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어느 정도 콘크리트를 비빈 후 트럭믹서 또는 교반트럭에 투입하여 공사현장에 도달할 때까지 운반시간동안 혼합하여 도착시 완전히 혼합된 콘크리트로서 공급하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1.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2. 쉬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3.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4. 프리 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30%)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로, 콘크리트 공장에서 미리 혼합하여 운반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쉬링크 믹스트 콘크리트는 운반 중에도 혼합이 계속되는 특수한 방식으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더욱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쉬링크 믹스트 콘크리트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중에서도 더욱 특별한 제조 방식을 가진 제품으로,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의 치기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콘크리트용 재료를 냉각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프리쿨링(pre-cooling)
  2. 프리웨팅(pre-wetting)
  3. 파이프쿨링(pipe cooling)
  4. 프리캐스팅(pre-cas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시멘트, 모래, 그래벨 등의 재료는 높은 온도에서 혼합되어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치기온도가 높아집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용 재료를 냉각시켜 치기온도를 낮추는 것을 프리쿨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리쿨링(pre-cool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죽된 콘크리트의 공기량과 기포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열거한 다음 내용 중에서 틀린 것은?

  1. 포졸란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공기량은 늘어난다.
  2. 일반적으로 비비는 시간이 짧으면 공기가 많아진다.
  3. 부배합의 콘크리트에서는 공기량이 줄어든다.
  4. 시공시에 진동기를 사용하면 공기량이 적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배합의 콘크리트에서는 공기량이 줄어든다."입니다.

    포졸란은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는 공기 삽입제입니다. 포졸란의 사용량이 많아지면 혼합물 내부에 더 많은 공기가 삽입되므로 공기량이 늘어납니다.

    일반적으로 비비는 시간이 짧으면 혼합물 내부에서 기포가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공기량이 많아집니다.

    진동기를 사용하면 혼합물 내부의 공기가 더 잘 배출되므로 공기량이 적어집니다.

    하지만 부배합의 콘크리트는 혼합물 내부에 공기가 적게 삽입되기 때문에 공기량이 줄어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중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콘크리트 구조체 경화후에 실시하는 것은?

  1. 프리팩트(Prepacked)
  2. 레디믹스트(Ready-mixed)
  3. 포스트텐션(Post-tension)
  4. 프리텐션(Pre-tension)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장력을 미리 가하여 강도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이 때, 포스트텐션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경화된 후에 인장재를 케이블로 끼워 넣고 그 케이블을 인장하면서 구조물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먼저 경화시키고 나서 포스트텐션 기술을 적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스트텐션(Post-tens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성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 속의 실리카 성분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반응이다.
  2. 물-시멘트비를 작게하고 AE제, 감수제를 사용하면 중성화가 억제된다.
  3. 중성화시험 방법은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여 붉은 색으로 변하지 않는 부분은 중성화된 것으로 하여 그 두께를 측정한다.
  4. 콘크리트가 중성화가 되면 철근이 부식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 속의 실리카 성분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반응이 중성화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 속의 실리카 성분이 반응하여 발생하는 화학반응은 콘크리트의 경도화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며, 이는 중성화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중성화는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pH가 중성(7)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재료의 성질 중 경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재료에 인장력을 주었을 때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2. 작은 변형에도 파괴되는 성질
  3. 재료를 두드릴 때 얇게 펴지는 성질
  4. 재료의 절단, 긁기, 마모등에 대한 저항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의 경도는 재료가 절단, 긁기, 마모 등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즉, 경도가 높을수록 재료가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높아져서 절단, 긁기, 마모 등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멘트의 성분이 일정할 경우 분말이 미세한 시멘트의 성질중 옳은 것은?

  1. 초기강도가 작다.
  2. 색이 어두워지고 비중이 무거워 진다.
  3. 블리딩이 많고 워커블한 콘크리트가 얻어진다.
  4. 풍화되기 쉽고 건조수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60%)
  • 시멘트의 성분이 일정할 경우 분말은 물과 혼합되어 콘크리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시멘트의 성질 중 하나인 건조수축이 커지게 되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서 내부 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균열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의 성분이 일정할 경우 분말은 풍화되기 쉽고 건조수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타당한 것은? (단, x축은 변형률, y축은 응력을 나타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콘크리트는 일정 범위 내에서 선형 탄성 재료로 동작합니다. 이는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응력-변형률 그래프는 직선이 됩니다. 그래프의 기울기는 탄성계수로, 콘크리트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그래프의 y절편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위의 보기 중 ""는 이러한 선형 탄성 동작을 나타내는 직선 그래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선형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곡선 그래프이므로 타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평균값과 범위의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관리도
  2. x 관리도
  3. P 관리도
  4. Pn 관리도
(정답률: 34%)
  • 평균값과 범위의 관리도는 " 관리도" 이다. 이는 공정의 평균값과 범위를 동시에 관리하는 관리도로, 공정의 중심성과 변동성을 모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관리도는 대부분의 측정 항목에 적용 가능하며, 측정치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는 일평균 기온이 최소 얼마 이하일 때 한중콘크리트의 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4℃
  2. 0℃
  3. -2℃
  4. -5℃
(정답률: 74%)
  • 콘크리트는 일정한 온도에서 경화되는데, 일정한 온도 이하에서는 경화가 원활하지 않아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는 일평균 기온이 4℃ 이하일 때 한중콘크리트의 적용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유는 이 온도 이하에서는 콘크리트의 경화가 원활하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콘크리트 양생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할때까지 충격과 과대한 하중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2. 서리, 일광의 직사, 바람, 비에 대하여 콘크리트의 노출면을 보호한다.
  3. 타설이 끝난 콘크리트는 일정기간동안 습윤양생을 실시한다.
  4. 타설이 끝난 콘크리트는 일정기간동안 될 수 있는 한 높은 온도로 양생해야 한다.
(정답률: 100%)
  • "타설이 끝난 콘크리트는 일정기간동안 될 수 있는 한 높은 온도로 양생해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며, 너무 높은 온도로 양생하면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양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실험방법 중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1. 블리딩 시험
  2. Vee Bee 시험
  3. 리몰딩 시험
  4. 슬럼프 시험
(정답률: 59%)
  • 정답은 "리몰딩 시험"입니다.

    - 블리딩 시험: 콘크리트 반죽물에서 물과 시멘트의 분리 정도를 측정하여 반죽질기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 Vee Bee 시험: 콘크리트 반죽물의 유동성을 측정하여 반죽질기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 리몰딩 시험: 콘크리트 시편을 압축하여 굴곡하게 만들고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형량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탄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 슬럼프 시험: 콘크리트 반죽물의 유동성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리몰딩 시험은 콘크리트의 탄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므로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경우에 반드시 해야 할 실험은?

  1. 비중, 입도
  2. 표면수율, 입도
  3. 안정성, 마모율
  4. 표면수율, 유기불순물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경우에 반드시 해야 할 실험은 표면수율과 입도입니다.

    표면수율은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정확히 맞추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현장에서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조절하면서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시멘트와 물의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수율을 측정하여 적절한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입도는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되는 모래와 같은 미립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적절한 입도를 유지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입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반드시 입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크기의 미립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할 경우에는 표면수율과 입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시멘트와 물의 비율과 미립자의 크기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물-시멘트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결정
  2. 내구성을 고려하여 결정
  3. 수밀성을 고려하여 결정
  4. 잔골재율을 고려하여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율은 시멘트와 물로 만든 콘크리트나 석고 등의 혼합물에서 잔골(모래, 자갈 등)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잔골재율이 높을수록 혼합물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물-시멘트비를 결정할 때 잔골재율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따라서 "잔골재율을 고려하여 결정"이 가장 거리가 먼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골재의 단위 용적질량이 1.65t/m3이고, 굵은골재의 밀도가 2.6g/cm3일 때, 이 골재의 공극률은 얼마인가?

  1. 36.5 %
  2. 57.5 %
  3. 63.5 %
  4. 70.2 %
(정답률: 34%)
  • 단위 용적질량은 1m3의 골재의 질량을 의미하므로, 골재의 부피는 1/1.65 = 0.6061m3이다.

    굵은골재의 밀도가 2.6g/cm3이므로, 1cm3의 굵은골재의 질량은 2.6g이다. 따라서, 골재의 부피인 0.6061m3은 0.6061 x 106 cm3이 되고, 이에 대응하는 굵은골재의 질량은 0.6061 x 106 x 2.6g = 1,577,660g이다.

    골재의 부피인 0.6061m3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골재의 실질적인 질량은 위에서 구한 1,577,660g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골재의 실질적인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골재의 부피에서 공기의 부피를 빼주어야 한다.

    골재의 부피는 0.6061m3이고, 이에 대응하는 골재의 질량은 1,577,660g이므로, 골재의 부피에서 공기의 부피를 빼주면 다음과 같다.

    실질적인 골재의 부피 = 0.6061m3 x (1 - 공극률)

    실질적인 골재의 질량 = 1,577,660g

    골재의 밀도는 질량과 부피의 비율이므로 다음과 같다.

    골재의 밀도 = 실질적인 골재의 질량 / 실질적인 골재의 부피

    1.65t/m3 = 1,577,660g / [0.6061m3 x (1 - 공극률)]

    공극률을 구하기 위해 위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극률 = 1 - (1,577,660g / (0.6061m3 x 1.65t/m3)) = 36.5 %

    따라서, 정답은 "3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시공과 관련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1. 진동기를 사용해서 다짐하는 것은 좋지 않다.
  2. 골재의 프리웨팅(pre-wetting)이 필요하다.
  3. 슬럼프가 일반적으로 작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4. 건조균열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양생중 습윤상태를 유지하도록 특히 주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기를 사용해서 다짐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부적절한 설명이다. 이유는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진동기를 사용하여 다짐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골재와 시멘트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여 강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프리쿨링(pre-cooling) 방법
  2. 파이프쿨링(pipe-cooling) 방법
  3. 플라이애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사용
  4. 속경성 시멘트의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속경성 시멘트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대책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리팩트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프리팩트 콘크리트의 주입 모르타르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에 플라이애쉬와 같은 혼화재를 사용하면 유리한 점이 있다.
  2. 수중에서만 시공되고, 공기 중에서는 시공되지 않는다.
  3. 프리팩트 콘크리트의 강도는 재령 28일 또는 91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4. 주입 모르타르용 잔골재의 조립률은 1.4∼2.2 범위가 좋다.
(정답률: 50%)
  • "수중에서만 시공되고, 공기 중에서는 시공되지 않는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는 오히려 반대이다. 프리팩트 콘크리트는 공기 중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수중에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수중에서 시공할 경우 물의 압력으로 인해 콘크리트가 더욱 밀착되어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플라이애쉬를 사용할 경우에 주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라이애쉬는 보존중에 입자가 응집하여 고결하는 경우가 생기므로 저장에 유의하여야 한다.
  2.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소요의 공기량을 얻기위해 AE제의 사용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3. 플라이애쉬는 산업부산물이기 때문에 제조공장, 시기에 따라 품질의 변동이 생기기 쉬으므로 사용할 때 품질을 확인해야한다.
  4. 플라이애쉬는 수화열을 감소시켜 조기강도가 낮으므로 조기에 강도를 필요로 하는 공사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소요의 공기량을 얻기위해 AE제의 사용량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플라이애쉬가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공기를 포획시키기 때문에 AE제의 사용량을 줄여야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내용중 틀린 것은?

  1. 압축강도가 10-20%정도 증가한다.
  2. 인장강도는 30-60% 정도 증가한다.
  3. 콘크리트에 대한 강섬유의 혼합비율의 범위는 용적백분율로 0.5-2%가 일반적이다.
  4. 휨인성은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현저히 증대하여 약 100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휨인성은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현저히 증대하여 약 100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강섬유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인장강도도 마찬가지로 강섬유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강섬유의 혼합비율은 일반적으로 용적백분율로 0.5-2%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휨인성은 증가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휨인성은 강섬유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21.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중 콘크리트 경계블록 (보·차도용)의 휨강도시험은 몇 매마다 실시하는가?

  1. 4000매
  2. 3000매
  3. 2000매
  4. 1000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보행자나 차량의 충격을 막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그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휨강도시험을 실시한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경계블록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일정한 수량의 제품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이때, 매마다 시험을 실시하는 수량을 의미하는데, 콘크리트 경계블록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제품이므로, 휨강도시험을 1000매마다 실시하여 제품의 품질을 확보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0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사용량이 많아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고려하여야 하는 혼화재료는 어느 것인가?

  1. AE제
  2. 감수제
  3. 지연제
  4. 슬래그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래그는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대량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혼화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슬래그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고려되어야 하는 혼화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 각체의 누적잔유량(%)이 다음의 표와 같을 때 조립율은 얼마인가 ?

  1. 2.70
  2. 2.48
  3. 5.40
  4. 4.96
(정답률: 70%)
  • 조립율은 각체의 누적잔유량(%)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각체의 누적잔유량(%)을 모두 곱한 후 100을 나누어주면 된다.

    누적잔유량(%)의 곱 = 90% × 95% × 98% × 99% = 0.9 × 0.95 × 0.98 × 0.99 = 0.825054

    조립율 = 0.825054 × 100% ÷ 100 = 2.48

    따라서, 정답은 "2.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플라스틱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전기 절연성이 크다.
  2. 내열성이 우수하다.
  3. 내절연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4. 내식성이 양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설명이 부적당하다. 이는 플라스틱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며, 일부 플라스틱은 내열성이 낮을 수 있다. 내열성이란 물질이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성질을 말한다. 플라스틱은 종류에 따라 내열성이 다르며, 일부 플라스틱은 고온에 노출되면 변형되거나 분해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강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면 강의 결정이 변화되어 필요한 용도와 목적에 맞는 성질로 변화된다. 이러한 작업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합금
  2. 도가니
  3. 인발작업
  4. 열처리
(정답률: 80%)
  • 정답: 열처리

    설명: 강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서 강의 결정을 변화시키는 작업을 열처리라고 한다. 이는 강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원하는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수행된다. 합금은 강에 다른 금속을 첨가하여 성질을 개선하는 것을 말하며, 도가니는 금속을 주조하기 위한 형틀을 말한다. 인발작업은 강을 가열하여 인발시켜서 결함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강의 결정을 변화시키는 작업은 열처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목섬유(Geotextiles)의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1. 혼합기능
  2. 배수기능
  3. 분리기능
  4. 보강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토목섬유의 주된 기능은 배수기능, 분리기능, 보강기능이며, 혼합기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토목섬유는 지반 내부의 물의 흐름을 통제하고, 지반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혼합기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중에서 폭발력이 강하고 수중(물속)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다이나마이트(dynamite)는?

  1. 분상 다이나마이트
  2. 규조토 다이나마이트
  3. 교질 다이나마이트
  4. 스트레이트(straight) 다이나마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교질 다이나마이트"입니다. 이유는 교질 다이나마이트는 폭발력이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교질 다이나마이트가 수분에 녹아들어 물속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포졸란 반응(Pozzolanic reaction)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강도와 수밀성이 증대된다.
  2. 해수에 대한 화학 저항성이 향상된다.
  3. 재료분리가 적고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4. 단위시멘트량이 증가되어 수화열이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시멘트량이 증가되어 수화열이 커지는 것은 포졸란 반응의 효과가 아니라 시멘트의 양이 증가하여 수화 반응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포졸란 반응은 강도와 수밀성을 증대시키고 해수에 대한 화학 저항성을 향상시키며, 재료분리가 적고 워커빌리티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콘크리트의 골재로서 주변의 강가에서 모래와 자갈을 채취하여 쓰고자 한다.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시험은?

  1. 유기 불순물시험
  2. 안정성시험
  3. 염화물시험
  4. 비중 및 흡수율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물시험은 콘크리트의 골재로 사용될 강가 모래와 자갈의 염화물 함량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염화물 함량을 파악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시험은 반드시 해야 하는 시험이며, 다른 시험들은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AE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이 감소하고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약화된다.
  2.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지고 수축성도 적게 된다.
  3. 블리딩(Bleeding)이 감소하고 수밀성도 감소한다.
  4. 워커빌리티는 양호해지나 재료의 분리가 잘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이 감소하고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약화되는 이유는, AE 콘크리트는 고성능 콘크리트로서, 미세한 기공이 많아져서 콘크리트의 밀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철근과의 부착강도가 약화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석재의 모양에 따른 종류에 있어서 나비가 두께의 3배 미만이고, 나비보다 길이가 긴 직육면체형의 석재로 주로 구조용으로 쓰이는 것은?

  1. 각석
  2. 판석
  3. 견치석
  4. 사고석
(정답률: 34%)
  • 나비가 두께의 3배 미만이므로, 길이가 나비보다 긴 직육면체형의 석재는 나비보다 두께가 더 두껍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석재 중에서 구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각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충격에 둔하여 다루기는 쉽고 폭발력은 우수하나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고 흡수성이 크므로 터널공사에는 알맞지 않고 큰돌 채취나 토사를 깎는데 사용하는 폭약은?

  1. 다이너마이트
  2. 칼릿
  3. 질산암모늄계폭약
  4. 니트로글리세린
(정답률: 알수없음)
  • 폭약은 충격에 민감하고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며 흡수성이 크기 때문에 터널공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큰돌 채취나 토사를 깎는데 사용하는 폭약은 폭발력이 우수해야 하므로 다이너마이트나 질산암모늄계폭약, 니트로글리세린 등이 적합합니다. 그 중에서도 칼릿은 다른 폭약에 비해 충격에 둔하여 다루기 쉽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에서 역청재의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엥글러(engler)법
  2. 세이볼트 프롤(saybolt furol)법
  3. 크리브랜드(cleveland)법
  4. 스토머(stomer)법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브랜드(cleveland)법은 역청재의 휘발유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석유의 분획을 위한 시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역청재의 점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크리브랜드(cleveland)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중 흙댐의 중심점토의 시험방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함수량시험
  2. 다짐시험
  3. 현장밀도시험
  4. 평판재하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재하시험은 흙댐의 중심점토의 시험방법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시험은 흙댐의 평판재하에 대한 강도와 변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다른 시험들은 흙댐의 중심점토의 강도, 밀도, 안정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체가름 시험에서 조립률(FM)=2.9인 잔골재와 조립률(FM)=7.30인 굵은 골재를 1:1.5의 무게비로 섞을 때 혼합골재의 조립률을 구한 값은?

  1. 4.73
  2. 5.54
  3. 5.95
  4. 5.98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혼합골재의 조립률을 구하기 위해서는 각 골재의 비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잔골재와 굵은 골재를 1:1.5의 무게비로 섞는다는 것은, 예를 들어 1kg의 잔골재와 1.5kg의 굵은 골재를 섞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체 혼합골재의 무게는 1kg + 1.5kg = 2.5kg가 됩니다.

    이제 각 골재의 조립률을 이용하여 혼합골재의 조립률을 구해보겠습니다.

    잔골재의 조립률(FM)이 2.9이므로, 잔골재의 입체적인 부피는 1m3당 2.9톤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kg의 잔골재는 1/2.9 m3의 부피를 차지합니다.

    굵은 골재의 조립률(FM)이 7.30이므로, 굵은 골재의 입체적인 부피는 1m3당 7.30톤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5kg의 굵은 골재는 1.5/7.30 m3의 부피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전체 혼합골재의 부피는 (1/2.9 + 1.5/7.30) m3가 됩니다.

    이제 전체 혼합골재의 무게인 2.5kg를 전체 혼합골재의 부피로 나누어 주면, 혼합골재의 조립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즉, (2.5kg) / (1/2.9 + 1.5/7.30) m3 = 5.5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5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직경15cm, 길이 30cm의 원주형 공시체를 할열시험한 결과 15t의 하중에서 파괴되었다. 이 때의 인장강도는 얼마인가?

  1. 23.2kg/cm2
  2. 21.2kg/cm2
  3. 22.2kg/cm2
  4. 25.2kg/cm2
(정답률: 75%)
  • 인장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단면적 = πr^2 = 176.71cm^2 (반지름 r = 7.5cm)

    인장강도 = 15t / 176.71cm^2 = 84.78kg/cm^2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21.2kg/cm^2"가 아닌 것으로 나온다. 정답은 "23.2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풍화한 시멘트의 특성을 열거한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1. 강열감량이 증가한다.
  2. 비중이 증가한다.
  3. 응결이 지연된다.
  4. 강도가 감소한다.
(정답률: 46%)
  • 정답은 "비중이 증가한다." 이다. 풍화한 시멘트는 강열감량이 증가하여 가벼워지며, 응결이 지연되고 강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시멘트의 저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멘트는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2. 포장시멘트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시멘트의 방습에 주의하고 시멘트 창고는 되도록 공기의 유통이 없어야 한다.
  3. 시멘트 저장소의 바닥은 지상으로부터 30cm 이상 높아야 한다.
  4. 습기를 흡수하여 덩어리가 된 시멘트는 원래시멘트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기를 흡수하여 덩어리가 된 시멘트는 원래시멘트 입자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습기를 흡수하여 덩어리가 된 시멘트는 분쇄하여 사용해도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습기를 흡수한 시멘트는 건조한 시멘트보다 더 빠르게 경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습기를 흡수한 시멘트를 사용할 때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적절한 물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에서 아스팔트의 점도(consistency)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아스팔트의 비중
  2. 아스팔트의 온도
  3. 아스팔트의 인화점
  4. 아스팔트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아스팔트의 점도는 온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아스팔트의 온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는 높은 온도에서 더 낮은 점도를 가지며, 낮은 온도에서는 더 높은 점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환경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목재의 전기와 열에 대한 성질을 설명한 것중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에 열을 가하면 섬유방향 보다 직각방향이 더 많이 팽창한다.
  2. 목재의 인화점은 밀도가 클 수록 낮다.
  3. 목재의 전기전도도는 밀도가 클 수록 좋아진다.
  4. 건조된 목재는 저전압에서 전기에 대한 불량도체라고 생각하여도 무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목재의 인화점은 밀도가 클 수록 낮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목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물질 내부의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져서 분자 간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분자가 더 쉽게 열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도가 높은 목재일수록 인화점이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다음 교각에 작용하는 외력(外力)중 연직하중에 관한 것이 아닌 것은?

  1. 풍압
  2. 교각의 자중
  3. 상부구조의 중량
  4. 교량을 통과하는 활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풍압"입니다. 풍압은 교각에 수평하게 작용하는 외력이므로 연직하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말뚝의 지름이 40cm, 길이가 10m인 말뚝을 햄머무게가 3ton, 추의 낙하고 2m, 1회타격으로 인한 말뚝의 침하량이 1cm일 때 이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단, 엔지니어링뉴스 공식으로 단동기 증기햄머 사용)

  1. 59.74ton
  2. 69.74ton
  3. 79.74ton
  4. 89.74ton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지지력은 말뚝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의 최대치를 말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말뚝의 지름, 길이, 햄머무게, 추의 낙하고, 타격으로 인한 침하량 등을 고려해야 한다.

    먼저, 말뚝의 단면적을 구한다. 말뚝의 지름이 40cm 이므로 반지름은 20cm 이다. 따라서 말뚝의 단면적은 π × 20^2 = 1,256.64cm^2 이다.

    다음으로, 말뚝의 부피를 구한다. 말뚝의 길이가 10m 이므로 부피는 1,256.64cm^2 × 10m = 125,664,000cm^3 이다.

    그 다음으로, 말뚝의 무게를 구한다. 말뚝의 밀도는 대략 2.5g/cm^3 이므로, 말뚝의 무게는 125,664,000cm^3 × 2.5g/cm^3 = 314,160,000g = 314.16ton 이다.

    말뚝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의 최대치는 말뚝의 무게와 허용응력에 의해 결정된다. 허용응력은 엔지니어링뉴스 공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허용응력 = (햄머무게 × 추의 낙하고) / (말뚝의 단면적 × 타격으로 인한 침하량)

    여기서, 햄머무게는 3ton, 추의 낙하고는 2m, 말뚝의 단면적은 1,256.64cm^2, 타격으로 인한 침하량은 1cm 이므로,

    허용응력 = (3ton × 2m) / (1,256.64cm^2 × 1cm) = 4,773.58kg/cm^2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허용응력과 말뚝의 단면적을 곱한 값이다.

    허용지지력 = 허용응력 × 말뚝의 단면적 = 4,773.58kg/cm^2 × 1,256.64cm^2 = 5,999,999.99kg = 59.99ton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79.74ton" 이 아니라 "59.74to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Franky 말뚝의 시공방법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중 해머는 케이싱 내부 콘크리트를 타격 하므로 소음과 진동이 적어 도심지 시공에 적합하다.
  2. 묽게 비빈 콘크리트의 반죽을 내관속에 채워 넣은 후 위를 drop hammer로 때린다.
  3. 강관을 약간 끌어 올려서 지상에 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에 타격을 가하면 구근이 형성된다.
  4. 해머의 타격력은 콘크리트와 강관의 마찰저항에 의해 강관이 콘크리트와 같이 땅속에 관입한다.
(정답률: 40%)
  • 묽게 비빈 콘크리트의 반죽을 내관속에 채워 넣은 후 위를 drop hammer로 때린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Franky 말뚝의 시공방법은 강관을 땅속에 관입시키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반죽을 내관속에 채워 넣는 것은 해당 방법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탬핑 로울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sheeps foot roller
  2. grid roller
  3. tapper foot roller
  4. tire roller
(정답률: 50%)
  • 정답은 "tire roller"입니다. 탬핑 로울러는 지형을 평탄화하고 토양을 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tire roller"는 타이어로 구성된 로울러로, 타이어가 지형을 밀어주는 것이 아니라 그냥 지나가는 것뿐입니다. 따라서 탬핑 로울러의 종류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콘크리트댐의 시공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1리프트의 높이는 1.5m정도로 한다.
  2. 수평 시공이음 방법에는 경화전 처리법과 경화후 처리법이 있다.
  3. 콘크리트 냉각은 Pipe Cooling과 Pre -Cooling을 실시한다.
  4. 시멘트는 수화열이 큰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는 수화열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화열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수화열이 큰 시멘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가 빠르게 경화되어 강도가 높아지지만, 동시에 열이 발생하여 크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화열이 작은 시멘트를 사용하여 천천히 경화시키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숏크리트 리바운드(Rebound)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중 틀린것은?

  1. 벽면과 직각으로 한다.
  2. 압력을 일정하게 한다.
  3. 조골재를 13mm 이하로 한다.
  4. 시멘트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는 숏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주요 성분이기 때문에 시멘트량을 감소시키면 숏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따라서 리바운드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멘트량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숏크리트 리바운드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sand drain 공법에서 모래 기둥의 지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 ∼ 15 cm
  2. 30 ∼ 50 cm
  3. 50 ∼ 80 cm
  4. 80 ∼ 100 cm
(정답률: 50%)
  • sand drain 공법은 지반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모래 기둥을 침입시켜 지반 내부의 물을 모래 기둥을 통해 배출하는 방법이다. 이때 모래 기둥의 지름은 적당한 크기여야 한다. 지름이 너무 작으면 물이 흐르지 않아 효과가 없고, 지름이 너무 크면 모래 기둥이 안정적이지 않아 지반 내부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적당한 모래 기둥의 지름은 30 ∼ 50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토공현장의 다짐도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상대다짐
  2. 투수계수
  3. 상대밀도
  4. 포화도 또는 공기함유율
(정답률: 50%)
  • 투수계수는 토양의 침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다짐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투수계수는 토공현장의 다짐도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상대다짐, 상대밀도, 포화도 또는 공기함유율은 모두 다짐도를 판정하는 지표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토공에 관한 사항중 틀린 사항은?

  1. 땅깍기 할 장소에는 도랑 등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흙쌓기 재료의 함수비를 낮추어야 한다.
  2. 토사 성토고가 1.5m이상인 경우는 벌개제근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3. 철거작업시 발생된 콘크리트는 감독관의 승인을 받은 후에 소요규격으로 부수어 흙쌓기나 기타 공종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4. 벌개재근 작업으로 생긴 모든 구멍은 적합한 재료로 되매운 후 다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사 성토고가 1.5m이상인 경우는 벌개제근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이 말은 틀린 것이다. 토사 성토고가 높을수록 벌개제근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이유는 토사가 높을수록 벌개제근이 더욱 중요해지기 때문이다. 벌개제근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지반이 불안정해져 공사 중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well point 공법이 기초지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흙속의 간극수를 배제함으로써 토립자는 압축되어 밀도가 커지고 따라서 지반의 강도가 증대된다.
  2. 이 공법은 점성토지반처럼 투수성이 높은 지반에만 사용 된다.
  3. 굴착밑면이 매우 느슨하므로 중기계를 사용할 수 없다.
  4. 이 공법은 토립자의 밀도가 느슨하게 되므로 Roller로 다져야 한다.
(정답률: 10%)
  • "흙속의 간극수를 배제함으로써 토립자는 압축되어 밀도가 커지고 따라서 지반의 강도가 증대된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흙속의 간극수가 많으면 지반이 느슨하고 압축이 적게 되어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배제하여 토립자를 압축시켜 밀도를 높이고 지반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댐의 부대설비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취수설비에는 사통이나 취수탑 등이 있다.
  2. 수문시설은 콘크리트댐의 여수토 물넘이에 수문을 설치하여 홍수 유출량을 조절하는 가동댐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3. 배사구는 저수지 바닥의 가장 높은 곳에 설치한다.
  4. 여수토의 홍수용량 부족이 댐 파괴원인 중 주원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사구는 저수지 바닥의 가장 높은 곳에 설치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배수구는 저수지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저수지에 쌓인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수구는 저수지 바닥의 가장 낮은 곳에 설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토판을 트랙터의 중심축에 직각으로 부착하여 날판의 위쪽을 앞뒤로 기울게 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저는?

  1. 스트레이트도저
  2. 앵글도저
  3. 틸트도저
  4. 레이크도저
(정답률: 알수없음)
  • 스트레이트도저는 날판을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지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데 가장 효과적인 도저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앵글도저는 날판을 기울여서 지면의 경사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틸트도저는 날판을 상하로 움직여서 지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레이크도저는 물을 채워 호수나 연못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횡선공정표(bar chart)의 장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공정별 공사와 전체의 공정시기등이 일목요연하다.
  2. 각공정별 공사의 착수 및 완료일이 명시되어 판단이 용이하다.
  3. 공정표가 단순하여 경험이 적은 사람도 이용하기가 쉽다.
  4. 작업상호간의 관계가 분명하고 관리 통제가 쉽다.
(정답률: 50%)
  • 횡선공정표의 장점 중 옳지 않은 것은 "작업상호간의 관계가 분명하고 관리 통제가 쉽다." 이다. 이유는 횡선공정표는 각 공정의 진행 상황을 시간적으로 나열한 것이기 때문에 작업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약류를 취급할 때 주의할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화약류는 두들기든지 던지든지 떨어뜨리는 일이 없어야한다.
  2. 전기뇌관은 전지, 전선, 레일, 철관 등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화약류가 들어있는 통을 열 때는 철제기구 등으로 조심성 있게 열어야 한다.
  4. 발파현장에는 여분의 화약류를 지입하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현장에는 여분의 화약류를 지입하지 말아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화약류가 들어있는 통을 열 때는 철제기구 등으로 조심성 있게 열어야 하는 이유는 화약류가 충격이나 마찰에 의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두께를 결정하는 시험 방법은?

  1. CBR 시험
  2. 일축압축강도시험
  3. 삼축압축강도시험
  4. 표준관입시험
(정답률: 65%)
  •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두께를 결정하는 시험 방법 중 CBR 시험은 포장층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포장층의 두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일축압축강도시험과 삼축압축강도시험은 포장층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며, 표준관입시험은 포장층의 밀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두께를 결정하는 시험 방법은 CBR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연약 점성토층을 관통하여 철근콘크리트 파일을 박았을 때 부마찰력의 값은 어느 것인가? (단, 지반의 일축압축강도 qu=3t/m2, 지름=50cm, 관입깊이=15m이다.)

  1. 25.3t
  2. 35.3t
  3. 45.3t
  4. 55.3t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 포장의 미끄럼 저항성을 크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표면 마무리는?

  1. 초벌마무리
  2. 거친면마무리
  3. 평탄마무리
  4. 간이마무리
(정답률: 82%)
  • 콘크리트 포장의 미끄럼 저항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표면이 거친 상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거친면마무리를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옹벽의 안정검토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활동에 대한 안정
  2. 전도에 대한 안정
  3.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4. 수동토압에 대한 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수동토압에 대한 안정은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수동토압은 인간이 직접 가하는 토압력을 의미하며, 이는 옹벽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옹벽의 안정검토 항목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쉴드(shield)공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면교통이 포화상태가 되어 이에 지장을 주지 않을 공법이 필요할 때
  2. 기설 지하철과 입체교차가 많을 때
  3. 강도가 큰 암반 구조일 때
  4. 소음 규제법에 저촉되어 개거 공법이 불가능 할 때
(정답률: 59%)
  • 강도가 큰 암반 구조일 때 쉴드공법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쉴드공법이 지반의 연약한 부분을 파고 지나가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도가 큰 암반 구조에서는 다른 공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량의 변화율이 L=1.1, C=0.9인 흙을 굴착운반하여 40000m3를 성토할 때 운반토량은 얼마인가?

  1. 44,000m3
  2. 48,889m3
  3. 36,363m3
  4. 44,444m3
(정답률: 55%)
  • 토량의 변화율은 L=C+1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L=1.1, C=0.9이므로 토량이 1.1배 증가한다는 뜻이다.

    운반토량은 성토량에 토량의 변화율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운반토량은 40000 x 1.1 = 44000m3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보기에 정답이 없으므로 계산을 더 해야 한다.

    운반토량이 44000m3일 때, 다시 한 번 토량의 변화율을 곱해보면 44000 x 1.1 = 48400m3이 된다.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값인 48,889m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사질토의 정수위 투수 시험을 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투수계수는 얼마인가? (단, 투수량 Q = 400㏄,시료의 직경 d = 10㎝, 투수시간 t = 180초, 수두차 h = 15㎝, 시료의 길이 L = 12㎝)

  1. 2.26 x 10-2㎝/sec
  2. 1.76 x 10-2㎝/sec
  3. 1.63 x 10-2㎝/sec
  4. 0.99 x 10-2㎝/sec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질토의 정수위 투수 시험에서 투과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투과율 = (투과한 부피 / 시료 부피) x 100%

    투과한 부피는 수두차와 시료의 길이, 시료의 직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투과한 부피 = π x (d/2)^2 x L x (h/t)

    여기서 π는 3.14를 의미한다.

    따라서, 투과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투과한 부피를 계산한 후, 이를 시료 부피로 나누어야 한다.

    시료 부피는 시료의 길이와 시료의 직경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시료 부피 = π x (d/2)^2 x L

    따라서, 투과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투과율 = (π x (d/2)^2 x L x (h/t) / (π x (d/2)^2 x L)) x 100%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투과율 = (h/t) x 100%

    따라서, 투과율을 이용하여 투수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투수계수 = -ln(투과율) / t

    여기서 ln은 자연로그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질토의 경우 투과율은 96.5%이다.

    투수계수 = -ln(0.965) / 180초 = 2.26 x 10^-2 cm/sec

    따라서, 정답은 "2.26 x 10^-2 c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점토 광물중에서 3층 구조로 구조결합 사이에 치환성 양이 온이 있어서 활성이 크고, sheet 사이에 물이 들어가 팽창, 수축이 크고 공학정 안정성은 제일 약한 점토 광물은?

  1. kaolinite
  2. illite
  3. montmorillonite
  4. vermiculit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montmorillonite"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3층 구조: montmorillonite는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구조는 교환성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어서 활성이 큽니다.

    2. 치환성 양이온: montmorillonite는 구조결합 사이에 치환성 양이온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양이온은 다른 이온으로 대체될 수 있어서 화학적으로 반응이 가능합니다.

    3. 팽창성: montmorillonite는 sheet 사이에 물이 들어가면 팽창합니다. 이는 수축과 반대로 큰 공학적 안정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montmorillonite는 활성이 크고 화학적으로 반응이 가능하지만, 공학적 안정성은 약한 점토 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표면에 8t의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하중작용 위치 직하 2m 위치에 있어서의 연직응력은 약 얼마인가? (단, 영향치는 0.4775임)

  1. 4.0t/m2
  2. 1.0t/m2
  3. 2.0t/m2
  4. 6.0t/m2
(정답률: 43%)
  • 연직응력은 하중을 면적으로 나눈 것이므로, 연직응력 = 하중 / 면적 이다. 이 문제에서는 하중이 8t이고 면적은 1m²이 아니라 2m이므로 면적은 2m²이다. 따라서 연직응력은 8t / (2m² x 0.4775) = 8t / 0.955 = 8.38t/m²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0t/m²"으로 주어져 있다. 이는 연직응력을 구할 때 영향치를 고려한 값이 아니라, 영향치를 고려하지 않은 값인 8t / 2m² = 4t/m²를 반올림한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영향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값과 차이가 있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은 보기에서 주어진 "1.0t/m²"이 아니라 계산한 값인 8.38t/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점성토 지반에 사용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Sand drain 공법
  2. 침투압 공법(MAIS 공법)
  3. Vibro floatation 공법
  4. 생석회 말뚝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Vibro floatation 공법은 점성토 지반에 사용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지반 내부에 진동기를 이용하여 토사를 충분히 진동시켜 밀도를 높이고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다른 공법들은 모두 지반 내부에 물을 배출하거나 압축하여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지만, Vibro floatation 공법은 진동을 이용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흙중의 한점에서 최대 및 최소 주응력이 각각 1㎏/cm2 및0.6㎏/cm2일 때, 이 점을 지나 최소 주응력면과 60도를 이루는 면상의 전단응력은?

  1. 0.10㎏/cm2
  2. 0.17㎏/cm2
  3. 0.40㎏/cm2
  4. 0.69㎏/cm2
(정답률: 14%)
  • 주어진 정보로부터 최대 및 최소 주응력의 차이는 0.4㎏/cm2이다. 이는 2배 차이이므로, 이 점에서의 전단응력은 최소 주응력의 60도 방향으로 1/2배 감소한 값이다. 따라서, 최소 주응력의 60도 방향으로의 전단응력은 0.6/2 = 0.3㎏/cm2이다. 이 값에 60도 방향의 코사인 값을 곱해주면 최종적으로 0.17㎏/c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직경 5cm, 높이 10cm인 연약점토 공시체를 일축압축시험한 결과 파괴시 압축력이 2.2kg, 축방향변위가 9mm이었다면 일축압축강도(qu)는?

  1. qu = 0.3 kg/cm2
  2. qu = 0.2 kg/cm2
  3. qu = 0.25 kg/cm2
  4. qu = 0.1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일축압축강도(qu)는 파괴시 압축력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qu = 2.2kg / (π(2.5cm)2) = 0.1 kg/cm2 이다. 다른 보기들은 계산이 잘못되었거나, 단위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충분히 다진 현장에서 모래 치환법에 의해 현장밀도 실험을 한 결과 구멍에서 파낸 흙의 무게가 1530g, 함수비가 14%이었고 구멍에 채워진 단위중량이 1.70g/cm3인 표준모래의 무게가 1400g이었다. 이 현장이 95% 다짐도가 된 상태가 되려면 이 흙의 실내실험실에서 구한 γdmax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1.72g/cm3
  2. 1.76g/cm3
  3. 1.79/cm3
  4. 1.83g/cm3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γdmax = (1530/1400) x (1+0.14) x 1.70 = 1.72g/cm3

    따라서 정답은 "1.72g/cm3"이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γdmax = (Ws/Vs) x (1+e) x γs

    여기서 Ws는 구멍에서 파낸 흙의 무게, Vs는 구멍의 부피, e는 함수비, γs는 표준모래의 단위중량을 나타낸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위의 공식을 이용하여 γdmax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내부마찰각 ♀=0인 점토에 대하여 일축압축실험을 하였더니 일축 압축강도가 qu=5.6kg/cm2 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1. 2.4kg/cm2
  2. 2.8kg/cm2
  3. 1.2kg/cm2
  4. 1.8kg/cm2
(정답률: 82%)
  • 일축 압축강도인 qu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qu = c'Nc + σ'zNq + 0.5γBNγ

    여기서 c'는 내부마찰각이 0일 때의 점착력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c' = 점착력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내부마찰각이 0이므로 c' = 점착력이 된다. 그리고 Nc = 5.14, Nq = 1.0, Nγ = 0 이다.

    따라서 qu = c'Nc = 5.6kg/cm2 이므로, 점착력 c' = qu/Nc = 5.6/5.14 ≈ 1.09kg/c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g/cm2로 주어졌으므로, 답인 2.8kg/cm2은 계산된 값에 2.56을 곱한 값이다. (2.8 = 1.09 × 2.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동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배수구를 설치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킨다.
  2. 지표의 흙을 화학약액으로 처리한다.
  3. 흙 속에 단열재를 설치한다.
  4. 모관수를 차단하기 위해 세립토층을 지하수면 위에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관수를 차단하기 위해 세립토층을 지하수면 위에 설치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는 오히려 지하수의 이동을 방해하여 동상을 유발할 수 있다. 세립토층은 지하수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하수의 이동을 방해하면 지하수가 과도하게 쌓여 동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모관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주동토압계수 KA, 수동토압계수 KP, 정지토압계수 Ko의 크기가 맞는 것은?

  1. KA > KP > Ko
  2. KP > Ko > KA
  3. KA > Ko > KP
  4. Ko > KP > KA
(정답률: 알수없음)
  • 토압계수는 토양의 밀도와 응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주동토압계수 KA는 토양 입자 사이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값이고, 수동토압계수 KP는 토양 입자와 벽면 사이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반면, 정지토압계수 Ko는 토양 입자와 벽면 사이의 마찰력과 토양 입자 사이의 마찰력을 모두 고려한 값입니다.

    따라서, 토양 입자와 벽면 사이의 마찰력이 큰 경우에는 수동토압계수 KP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면, 토양 입자 사이의 마찰력이 큰 경우에는 주동토압계수 KA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지토압계수 Ko는 두 가지 마찰력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KP와 KA보다는 작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KP > Ko > KA"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점토시료를 가지고 압밀시험을 하였다.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1. 압밀하중을 가하면 간극률은 작아진다.
  2. 과잉간극수압이 소산되면 1차 압밀이 완료된 것이다.
  3. 압밀하중을 제거하면 간극률은 커진다.
  4. 단단한 점토일수록 압축지수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단한 점토일수록 압축지수가 큰 이유는, 단단한 점토는 압밀하더라도 간극률이 작아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압밀하중을 가하더라도 간극률이 작아지는 양이 적어지므로 압축지수가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표준관입 시험에서 N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프릿스푼 샘플러를 주어진 에너지로 타격할 때 20㎝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회수이다.
  2. 스프릿스푼 샘플러를 주어진 에너지로 타격할 때 30㎝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회수이다.
  3. 스프릿스푼 샘플러를 주어진 에너지로 타격할 때 20㎝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당 침하량이다.
  4. 스프릿스푼 샘플러를 주어진 에너지로 타격할 때 30㎝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당 침하량이다.
(정답률: 20%)
  • 정답은 "스프릿스푼 샘플러를 주어진 에너지로 타격할 때 30㎝ 관입하는데 소요되는 타격회수이다." 이다. 이유는 N치는 스프릿스푼 샘플러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이때 샘플러를 주어진 에너지로 타격하여 30㎝까지 관입하는데 필요한 타격회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2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CBR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CBR 값은 강성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값이다.
  2. CBR 시험은 실내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도 수 행할 수 있다.
  3. 다짐한 흙시료에 직경 5㎝의 강봉을 관입시켰을 때의 관입량과 하중강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이다.
  4. CBR5.0 > CBR2.5의 경우 재시험하고 그래도 CBR5.0가 CBR2.5보다 클 때는 CBR5.0 값을 CBR 값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CBR 값은 강성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값이다."

    해설: CBR 값은 강성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 값이 아니라, 강성포장재료의 강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값이다. CBR 값이 높을수록 강성포장재료의 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사질지반에 있어서 강성기초의 접지압 분포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기초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2.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3. 기초의 밑면에서는 어느 부분이나 동일하다.
  4. 기초 밑면에서의 응력은 토질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이다.

    강성기초는 기존 지반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로, 기존 지반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접지압을 균일하게 분포시켜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기초의 중앙부가 지반의 변형이 가장 적은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성기초 설계 시에는 기초의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최대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강도와 두께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는 Sander의 공식은? (단, Ra:허용지지력, S:관입량, WH:해머의 중량)

(정답률: 알수없음)
  • Sander의 공식은 Ra = S/WH 이다. 따라서, 정답인 ""은 Sander의 공식에서 S가 증가하면 Ra가 증가하고, WH가 증가하면 Ra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말뚝의 허용지지력은 관입량에 비례하고, 해머의 중량에 반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중 사운딩(sounding)이 아닌 것은?

  1. 표준관입시험
  2. 일축압축시험
  3. 원추관입시험
  4. 베인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일축압축시험은 지반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지만, 사운딩, 표준관입시험, 원추관입시험, 베인시험은 지반의 성질을 파악하는 시험이므로 일축압축시험은 사운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풍화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원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모암의 광물질을 덮고 있는 상태의 흙은?

  1. 호상토(Lacustrine soil)
  2. 충적토(Alluvial soil)
  3. 빙적토(Glacial soil)
  4. 잔적토(Residual soil)
(정답률: 알수없음)
  • 풍화작용은 기후, 지형, 지질 등의 영향을 받아 흙을 분해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분해된 흙은 원래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모암의 광물질을 덮고 있는 상태로 남게 됩니다. 이러한 흙을 잔적토(Residual soil)라고 합니다. 따라서, 풍화작용에 의해 분해되어 원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모암의 광물질을 덮고 있는 상태의 흙은 잔적토(Residual soi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연약점토지반을 굴착할 때 sheet pile을 박고 내부의 흙을 파내면 sheet pile 배면의 토괴중량이 굴착 저면의 지지력과 소성평형상태에 이르러 굴착 저면이 부푸는 현상은?

  1. heaving
  2. boiling
  3. quick sand
  4. slip
(정답률: 50%)
  • Sheet pile을 박고 내부의 흙을 파내면 굴착 저면의 지지력이 감소하고, 토괴중량이 굴착 저면의 소성평형상태를 초과하면서 굴착 저면이 부푸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heaving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의 토질정수중에서 사면안정 검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은?

  1. 흙의 단위 중량(γt)
  2. 흙의 내부마찰각(ø)
  3. 흙의 소성지수(PI)
  4. 흙의 점착력(C)
(정답률: 알수없음)
  • 흙의 소성지수(PI)는 사면안정 검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PI는 흙의 압축성과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흙의 성질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사면안정 검토에서는 PI보다는 흙의 내부마찰각, 점착력, 단위 중량 등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PI는 사면안정 검토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질토층에 물이 침투할 때 침투유량이 같은 조건에서 만약 사질토의 입경이 2배로 커진다면 침투 동수구배는 몇 배로 변하는가?

  1. 4 배
  2. 1/4 배
  3. 2 배
  4. 1/2 배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질토의 입경이 2배로 커진다는 것은 단면적이 4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침투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침투유량도 4배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침투 동수구배는 침투유량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입경이 2배로 커진 경우 침투 동수구배는 1/4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 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