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시멘트의 저장시 주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는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일로 또는 창고에 품종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2. 포대시멘트를 쌓아올리는 높이는 13포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저장 중에 굳은 시멘트는 적당한 시험을 통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4. 시멘트의 온도가 너무 높을 때는 온도를 낮추어 사용한다.
(정답률: 83%)
  • 저장 중에 굳은 시멘트는 적당한 시험을 통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 이것은 옳은 사항이다. 시멘트가 굳어서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는 적절한 시험을 통해 사용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이유는 굳은 시멘트는 물에 녹지 않으며, 시멘트의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굳은 시멘트를 사용하면 강도가 낮아지거나 건조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 치기를 한 후 응결이 종료될 때까지 발생하는 초기균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거푸집 변형에 따른 균열
  2. 온도균열
  3. 침하수축균열
  4. 플라스틱수축균열
(정답률: 53%)
  • 콘크리트 치기 후 응결이 종료될 때까지 발생하는 초기균열은 거푸집 변형에 따른 균열, 침하수축균열, 플라스틱수축균열에 해당됩니다. 이 중에서 온도균열은 콘크리트가 냉각되거나 가열될 때 발생하는 균열로, 초기균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즉, 콘크리트가 완전히 응결된 후에 발생하는 균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습식법으로 제조된 숏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품질관리가 쉽다.
  2. 재료의 공급에 제한을 받는다.
  3. 비교적 장거리의 압송이 가능하다.
  4. 분진이 적다.
(정답률: 62%)
  • 정답은 "비교적 장거리의 압송이 가능하다." 이다. 습식법으로 제조된 숏크리트는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물의 양에 따라 압축성이 달라지며, 물의 양이 적을 경우 압축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장거리의 압송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고강도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보통(중량)콘크리트에서 최소 몇 MPa이상이어야 하는가?

  1. 30
  2. 35
  3. 40
  4. 45
(정답률: 86%)
  • 일반적으로 고강도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는 40 MPa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일반적인 중량 콘크리트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0 MPa가 최소 기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콘크리트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재료는 반죽된 콘크리트가 균질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비벼야 한다.
  2.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가경식 믹서일 때에는 1분 30초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3.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 한다.
  4. 연속믹서를 사용할 경우, 비비기 시작 후 최초에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87%)
  • 연속믹서를 사용할 경우, 비비기 시작 후 최초에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사용할 수 없다. 이유는 비비기 시작 후 최초에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비비기 과정에서 충분히 혼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거푸집에 다져 넣을 수 있고, 거푸집을 제거하면 천천히 형상이 변하기는 하지만 재료가 분리되지는 않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2. 수량의 다소에 따르는 반죽이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3. 반죽질기 여하에 따른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4. 골재의 형상 및 입도, 잔골재율, 반죽질기 등에 따르는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정답률: 62%)
  •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재료들의 반죽질기 여하에 따른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죽질기 여하에 따른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단위용적질량이 1500 kg/m3 이고 밀도가 2.5g/cm3인 굵은 골재의 실적률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82%)
  • 단위용적질량이 1500 kg/m3 이므로 1m3의 굵은 골재의 질량은 1500kg이다. 또한 밀도가 2.5g/cm3 이므로 1cm3의 굵은 골재의 질량은 2.5g이다. 따라서 1m3의 굵은 골재의 질량은 2.5 x 106g이다.

    실적률은 실제로 채워진 부피와 전체 용기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실적률은 굵은 골재가 채워진 실제 부피를 굵은 골재의 총 부피로 나눈 값이다.

    만약 굵은 골재가 100% 채워져 있다면, 굵은 골재의 부피는 전체 용기 부피와 같을 것이다. 따라서 실적률은 100%가 된다.

    하지만 굵은 골재가 100% 채워져 있지 않다면, 실적률은 100%보다 작아질 것이다.

    예를 들어, 굵은 골재가 50% 채워져 있다면, 굵은 골재의 부피는 전체 용기 부피의 절반일 것이다. 따라서 실적률은 50%가 된다.

    이 문제에서는 굵은 골재의 부피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실적률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리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싱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최소 얼마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실험이나 기존의 적용 실적 등을 통하여 안전성이 증명된 경우를 제외한다.)

  1. 26MPa
  2. 28MPa
  3. 30MPa
  4. 35MPa
(정답률: 71%)
  • 프리텐션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전장하면 콘크리트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싱을 할 때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30MPa 이상이어야 안전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정답은 "30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알칼리 골재반응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알칼리-실리카 반응
  2. 알칼리-탄산염 반응
  3. 알칼리-실리케이트 반응
  4. 알칼리-황산염 반응
(정답률: 52%)
  • 알칼리-황산염 반응은 알칼리성 물질과 황산염이 반응하여 염기성 물질과 황산이 생성되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알칼리 골재반응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시방배합결과 물 170 kg/m3, 시멘트 350 kg/m3, 잔골재 700 kg/m3, 굵은골재 1000kg/m3 을 얻었다. 현장에서 골재의 입도는 시방배합에 가정한 것과 동일하고 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표면수가 각각 3%와 1% 일 경우 현장배합상의 단위수량은?

  1. 129 kg/m3
  2. 139 kg/m3
  3. 191 kg/m3
  4. 201 kg/m3
(정답률: 69%)
  • 시방배합에 따라 단위수량은 물,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시방배합에 따른 단위수량은 다음과 같다.

    물 : 170 kg/m3
    시멘트 : 350 kg/m3
    잔골재 : 700 kg/m3
    굵은골재 : 1000 kg/m3

    하지만 현장에서는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표면수가 각각 3%와 1%로 증가하게 된다. 이는 골재의 입도는 시방배합에 가정한 것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경우, 골재의 실제 부피는 시방배합에 따른 부피보다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현장배합상의 단위수량은 시방배합에 따른 단위수량보다 적어지게 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부피 증가량을 계산해야 한다. 잔골재의 표면수가 3% 증가하면 부피는 1.5%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잔골재의 부피는 700 x 1.015 = 710.5 kg/m3 이 된다. 마찬가지로 굵은골재의 표면수가 1% 증가하면 부피는 0.5%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부피는 1000 x 1.005 = 1005 kg/m3 이 된다.

    이를 반영하여 현장배합상의 단위수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물 : 170 kg/m3
    시멘트 : 350 kg/m3
    잔골재 : 710.5 kg/m3
    굵은골재 : 1005 kg/m3

    따라서 정답은 "139 k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여 시공한 일반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최소 습윤양생기간을 얼마로 규정하고 있는가? (단, 일평균 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1. 3일
  2. 5일
  3. 7일
  4. 14일
(정답률: 72%)
  • 콘크리트는 시공 후 초기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분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수축이 발생합니다. 이 수축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초기 수분을 유지하여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 습윤양생기간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일평균 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최소 5일간 습윤양생기간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어 강도가 충분히 발달하고, 수축이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일반 수중콘크리트의 단위 시멘트량은 얼마 이상을 표준으로 하는가?

  1. 300kg/m3
  2. 340kg/m3
  3. 370kg/m3
  4. 400kg/m3
(정답률: 64%)
  • 일반적으로 수중콘크리트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단위 부피당 시멘트량이 370kg/m3 이상으로 권장됩니다. 이는 수중에서 건축물을 지을 때 물의 압력과 수온 등의 영향으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70kg/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품질관리의 기본 4단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계획
  2. 준비
  3. 실시
  4. 조치
(정답률: 76%)
  • 품질관리의 기본 4단계는 계획, 실시, 조치, 평가이다. 준비는 이 단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준비는 품질관리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계획 단계에서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시 단계에서 원활한 진행을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준비는 품질관리의 기본 4단계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2.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 치수,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는 타설 후 초기에 동결하지 않도록 잘 보호하여야 하고, 초기양생에 주의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재료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 골재, 시멘트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97%)
  • "콘크리트 재료의 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 골재, 시멘트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 재료를 가열하여 사용하면 시멘트의 화학적 반응이 빨라져서 초기 강도는 높아지지만, 장기적으로는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열된 물을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재료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조강성, 내화성,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발열량이 커 긴급을 요하는 공사, 내화용 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 또는 한중공사의 시공에 적절히 이용될 수 있는 시멘트는?

  1. 팽창 시멘트
  2. 고로 시멘트
  3. 실리카 시멘트
  4. 알루미나 시멘트
(정답률: 56%)
  • 알루미나 시멘트는 조강성, 내화성, 화학적 저항성이 높고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긴급을 요하는 공사나 내화용 콘크리트, 해양콘크리트, 한중공사의 시공에 적절히 이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알루미나 시멘트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산화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 시멘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합강도 결정을 위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2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충분히 크게 정하여야 한다.
  3. 물-결합재비는 소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 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4. 단위수량은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는 대로 적게 되도록 시험을 통해 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배합강도 결정을 위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2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결정할 때, 실제 사용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시험실에서 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편차를 계산합니다. 이때, 표준편차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소 20회 이상의 시험실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배합강도 결정을 위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2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충분히 크게 정해야 하며, 물-결합재비는 소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 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해져야 합니다. 또한, 단위수량은 작업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시험을 통해 정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하시 콘크리트의 재령이 작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2. 부재의 치수가 적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3. 크리프는 콘크리트의 탄성적인 성질에 의하여 발생한다.
  4.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크리프는 크다.
(정답률: 28%)
  • "크리프는 콘크리트의 탄성적인 성질에 의하여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처음에는 탄성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플라스틱적인 성질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변형이 크리프 현상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리프는 콘크리트의 탄성적인 성질에 의하여 발생한다."라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의 단위잔골재량과 단위굵은골재량이 각각 700kg/m3과 1060kg/m3이며,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표건밀도가 각각 2.61g/cm3 및 2.65g/cm3 일 때 잔골재율(S/a)은 약 얼마인가?

  1. 35%
  2. 40%
  3. 45%
  4. 50%
(정답률: 72%)
  • 잔골재율(S/a)은 잔골재의 부피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a = (잔골재 부피) / (전체 콘크리트 부피)

    전체 콘크리트 부피는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부피 합이므로,

    전체 콘크리트 부피 = (잔골재 부피) + (굵은골재 부피)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단위량을 알고 있으므로, 부피는 각각 밀도의 역수로 계산할 수 있다.

    잔골재 부피 = (잔골재량) / (잔골재 표건밀도) = 700 / 2.61 = 268.20 cm^3/m^3
    굵은골재 부피 = (굵은골재량) / (굵은골재 표건밀도) = 1060 / 2.65 = 399.06 cm^3/m^3

    따라서,

    전체 콘크리트 부피 = 268.20 + 399.06 = 667.26 cm^3/m^3

    잔골재율(S/a)은 이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a = 268.20 / 667.26 ≈ 0.401 ≈ 40%

    따라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시체의 높이(h)와 지름(d)의 비(h/d)가 작을수록 큰 강도를 나타낸다.
  2. 하중을 가하는 속도가 빠를수록 큰 강도를 나타낸다.
  3. 공시체의 높이(h)와 지름(d)의 비(h/d)가 같은 경우, 지름이 클수록 작은 강도를 나타낸다.
  4. 시험직전에 건조시켜 시험을 한 경우가 습윤상태 그대로 시험하였을 때보다 작은 강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60%)
  • "시험직전에 건조시켜 시험을 한 경우가 습윤상태 그대로 시험하였을 때보다 작은 강도를 나타낸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콘크리트는 수분이 필요하며 습윤한 상태에서 강도가 발휘된다. 따라서 시험 전에 건조시켜 시험을 한 경우, 콘크리트가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해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에 대한 시공상의 대책으로 잘못된 것은?

  1. 단위시멘트량을 많게 한다.
  2. 1회의 타설높이를 낮게 한다.
  3. 수축줄눈을 설치한다.
  4.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83%)
  • 단위시멘트량을 많게 한다는 것은 콘크리트 내부의 시멘트 함량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온도균열을 예방하는 대책이 아니며, 오히려 콘크리트의 수축률을 높여 오히려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잘못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21. 석재의 모양에 따른 분류에서 면이 원칙적으로 거의 사각형에 가까운 것으로 길이는 네 면을 쪼개어 그 면에 직각으로 측정한 길이가 면의 최소 변의 1.5배 이상인 석재는?

  1. 견치석
  2. 사고석
  3. 판석
  4. 각석
(정답률: 34%)
  • 석재의 모양에 따른 분류에서 면이 원칙적으로 거의 사각형에 가까운 것으로 길이는 네 면을 쪼개어 그 면에 직각으로 측정한 길이가 면의 최소 변의 1.5배 이상인 석재는 견치석이다. 이는 견치석이 다른 석재들보다 더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사고석은 면이 불규칙하고 곡선적이며, 판석은 면이 평평하고 넓은 직사각형 모양이다. 각석은 면이 각진 모양이며, 견치석과 비슷하지만 견치석보다는 약하다. 따라서, 면의 모양과 길이를 고려하여 견치석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목재의 함수율 측정시험에서 건조 전 시료중량이 2.8kg, 절대건조 후 중량이 2.5kg 이었다면 이 목재의 함수율은?

  1. 15%
  2. 14%
  3. 13%
  4. 12%
(정답률: 57%)
  • 함수율 = (건조전중량 - 절대건조후중량) / 절대건조후중량 x 100
    함수율 = (2.8kg - 2.5kg) / 2.5kg x 100
    함수율 = 0.3kg / 2.5kg x 100
    함수율 = 12%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굵은 골재의 체가름 시험 결과 각 체의 누적잔류량이 다음의 표와 같을 때 조립률은 얼마인가?

  1. 3.35
  2. 5.58
  3. 7.35
  4. 7.58
(정답률: 48%)
  • 조립률은 누적잔류량을 골재의 체적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각 체의 조립률은 다음과 같다.

    - 체 1: 0.5 / 2.5 = 0.2
    - 체 2: 1.0 / 2.5 = 0.4
    - 체 3: 1.5 / 2.5 = 0.6
    - 체 4: 2.0 / 2.5 = 0.8
    - 체 5: 2.5 / 2.5 = 1.0

    이제 모든 체의 조립률을 더하면 전체 골재의 조립률이 된다.

    0.2 + 0.4 + 0.6 + 0.8 + 1.0 = 3.0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강의 열처리 방법 중 강의 경도,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온으로 가열하여 냉수, 온수 또는 기름에 담가 냉각하여 처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불림
  2. 풀림
  3. 담금질
  4. 뜨임질
(정답률: 66%)
  • 담금질은 강의 경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온으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강의 구조가 세공되어 경도와 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담금질이 강의 경도와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르샤틀리에(Le Chatelie)비중병의 0.5cc눈금까지 광유를 주입하고 시료로 시멘트 64g을 가하여 눈금이 21.5cc로 증가되었을 때 이 시멘트의 비중은?

  1. 3.01
  2. 3.05
  3. 3.12
  4. 3.17
(정답률: 72%)
  • 레샤틀리에 비중병은 비중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0.5cc 눈금까지 광유를 주입하고, 시료로 시멘트 64g을 가하여 눈금이 21.5cc로 증가되었다고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시멘트의 비중을 구해야 합니다.

    시료를 가한 후 눈금이 증가한 양은 시료의 부피입니다. 따라서 시료의 부피는 21.5cc - 0.5cc = 21cc입니다. 시료의 질량은 64g이므로, 시료의 밀도는 질량(m)을 부피(V)로 나눈 것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밀도 = 질량 / 부피 = 64g / 21cc = 3.05 g/cc

    따라서, 이 시멘트의 비중은 3.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역청재료의 연화점은 시료를 규정 조건에서 가열하였을 때 시료가 연해져서 규정거리 몇 mm 처졌을 때의 온도인가?

  1. 20.4
  2. 25.4
  3. 30.4
  4. 35.4
(정답률: 55%)
  • 역청재료의 연화점은 시료가 연해져서 규정거리 1mm 처졌을 때의 온도를 말한다. 따라서, 연화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규정거리가 1mm가 되도록 시료를 가열하고 그때의 온도를 측정해야 한다.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25.4" 이므로, 시료를 규정 조건에서 가열하였을 때 규정거리가 1mm 처졌을 때의 온도는 25.4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촉진하는 혼화제로써 쓰이는 것은?

  1. 염화칼슘
  2. 플라이애쉬
  3. 빈졸레진
  4. 포졸리스
(정답률: 35%)
  • 염화칼슘은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촉진하는 혼화제로써 쓰입니다. 이는 염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시드를 생성하고, 이것이 시멘트의 수화작용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멘트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이지만, 혼화제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석유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록(Rock)아스팔트
  2. 블론(Blown)아스팔트
  3. 용제추출(Propane)아스팔트
  4. 스트레이트(Straight)아스팔트
(정답률: 52%)
  • 정답: 록(Rock)아스팔트

    설명: 석유아스팔트는 크게 블론(Blown)아스팔트, 용제추출(Propane)아스팔트, 스트레이트(Straight)아스팔트로 나뉩니다. 록(Rock)아스팔트는 석유가 아닌 암석에서 추출되는 아스팔트로, 석유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폭약으로 칼릿(carlit)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어느 것인가?

  1. 경질토사의 절토용
  2. 채석장에서 큰 돌의 채취용
  3. 용수가 있는 터널공사의 발파용
  4. 갱외(坑外)의 암석절취용
(정답률: 71%)
  • 용수가 있는 터널공사의 발파용은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물의 압력이 터널 내부에 물이 차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칼릿(carlit)을 사용할 수 없다. 칼릿은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물의 압력을 막지 못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형철근에서 표면의 마디를 만드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부착강도 향상
  2. 인장강도 향상
  3. 압축강도 향상
  4. 충격강도 향상
(정답률: 71%)
  • 이형철근의 표면에 마디를 만드는 이유는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마디를 만들면 콘크리트와 철근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형철근의 표면에 마디를 만드는 것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스트레이트아스팔트와 비교한 블론(Blown)아스팔트의 성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탄성이 풍부하다.
  2. 감온성이 크다.
  3. 침입도가 작다.
  4. 신도가 작다.
(정답률: 61%)
  • "감온성이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비해 감온성이 작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블론 아스팔트가 높은 온도에서 녹아 흐르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론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보다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골재의 단위 부피가 0.78m3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율이 39% 이고 잔골재의 표건밀도가 2.62g/cm3 이면, 단위 잔골재량은 얼마인가?

  1. 204 kg
  2. 304 kg
  3. 597 kg
  4. 797 kg
(정답률: 88%)
  • 단위 부피가 0.78m3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의 비율이 39%이므로, 잔골재의 부피는 0.78m3 x 0.39 = 0.3042m3이다.

    표건밀도가 2.62g/cm3이므로, 1cm3의 잔골재의 질량은 2.62g이다. 따라서, 1m3의 잔골재의 질량은 2.62g x 100 x 100 x 100 = 26200kg이다.

    단위 부피당 잔골재의 질량은 26200kg / 1000 = 26.2kg이다.

    따라서, 단위 잔골재량은 0.3042m3 x 26.2kg/m3 = 7.97kg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kg 단위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797kg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철근의 기호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SR 240 : 항복강도가 240MPa인 이형철근
  2. SR 300 : 인장강도가 300MPa인 원형철근
  3. SD 300 : 항복강도가 300MPa인 이형철근
  4. SD 500 : 인장강도가 500MPa인 원형철근
(정답률: 52%)
  • 철근의 기호는 철근의 강도와 형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SD는 이형철근을 나타내며, SR은 원형철근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SR 240은 항복강도가 240MPa인 원형철근을 의미하고, SR 300은 인장강도가 300MPa인 원형철근을 의미합니다. 반면, SD 300은 항복강도가 300MPa인 이형철근을 나타내므로 정답입니다. SD 500은 인장강도가 500MPa인 원형철근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에서 그라우트(grout)용 혼화제로서 필요한 성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2. 블리딩 발생이 없어야 한다.
  3. 주입이 용이하여야 한다.
  4. 그라우트를 수축시키는 성질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82%)
  • 그라우트를 수축시키는 성질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그라우트가 수축하면 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라우트는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결함을 보완하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 수축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잔골재 조립률은 2.98, 굵은 골재 조립률은 6.33, 잔골재 대 굵은 골재 비가 1 : 1.9일 때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1. 3.21
  2. 4.13
  3. 5.17
  4. 9.31
(정답률: 64%)
  • 잔골재와 굵은 골재의 비율이 1:1.9 이므로, 총 비율은 1+1.9=2.9 이다. 따라서, 혼합골재의 1단위당 비율은 1/2.9 이다.

    잔골재의 조립률이 2.98 이므로, 1단위당 잔골재의 양은 2.98 이다.

    굵은 골재의 조립률이 6.33 이므로, 1단위당 굵은 골재의 양은 6.33 이다.

    따라서,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2.98+6.33)/(2.9) = 5.1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크리트 재료의 1회 계량분에 대한 허용오차로 옳은 것은?

  1. 물 : ±5%
  2. 혼화제 : ±3%
  3. 시멘트 : ±2%
  4. 혼화재 : ±1%
(정답률: 67%)
  • 콘크리트는 여러 재료를 혼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각 재료의 계량분에 대한 허용오차가 중요합니다.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균일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허용오차가 다른 재료보다 높지만, 너무 큰 오차가 발생하면 콘크리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혼화제의 허용오차는 ±3%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혼화재료는 소요의 성능을 얻기 위한 사용량의 다소에 의해 혼화제와 혼화재로 대별된다. 그 사용량의 기준이 되는 재료는?

  1. 시멘트
  2. 모래
  3. 자갈
(정답률: 86%)
  • 혼화재료는 소요의 성능을 얻기 위해 혼합되는 재료들로, 그 사용량의 기준이 되는 재료는 시멘트입니다. 시멘트는 혼화재료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재료로, 강도와 내구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시멘트는 혼화재료들을 결합시켜 구조물을 만들어주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시멘트는 혼화재료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에서 폭발력이 강하고 수중(물속)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다이나마이트(dynamite)는?

  1. 분상 다이나마이트
  2. 규조토 다이나마이트
  3. 교질 다이나마이트
  4. 스트레이트 다이나마이트
(정답률: 71%)
  • 정답은 "교질 다이나마이트"입니다. 이는 폭발력이 강하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는 이유는, 교질 다이나마이트에는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수분이 많으면 폭발력이 강해지고, 수중에서도 폭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경 20cm, 길이 3m인 재료를 축방향으로 인장을 가했을 때 이때의 변형을 측정한 결과 직경이 0.1mm 작아지고 길이가 6mm 늘어났다면 이 재료의 포아슨(poisson)수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8%)
  • 정답은 "4"이다.

    포아슨 수는 재료의 축방향 인장 변형과 수평방향 변형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수평방향 변형은 축방향 인장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방향의 압축 또는 팽창이다.

    이 문제에서는 축방향 인장에 의해 직경이 0.1mm 작아졌고 길이가 6mm 늘어났다고 했다. 이는 축방향 인장에 의한 변형이며, 수평방향 변형은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포아슨 수는 수평방향 변형과 축방향 변형 간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이 문제에서 포아슨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포아슨 수 = 수평방향 변형 / 축방향 변형
    = (직경 변화량 / 원래 직경) / (길이 변화량 / 원래 길이)
    = (0.1 / 200) / (6 / 3000)
    = 0.025

    따라서, 이 재료의 포아슨 수는 0.0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멘트의 비표면적 시험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블레인 공기 투과장치를 사용하여 시험할 수 있다.
  2. 시멘트의 분말도를 알아보는 시험이다.
  3. 시멘트 내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4. 표준체에 의한 방법으로도 시험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시멘트의 비표면적 시험은 시멘트 입자의 표면적이 아닌 입자 내부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시멘트 내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시험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다음 기초 말뚝 중 말뚝박기 방법이 다른 것은?

  1. PC 말뚝
  2. 레이몬드(raymond)말뚝
  3. 원심력 콘크리트 말뚝
  4. 강관 말뚝
(정답률: 31%)
  • 레이몬드 말뚝은 기존의 말뚝박기 방법과는 달리 진동을 이용하여 지반에 박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다른 말뚝들은 모두 충격을 이용하여 박는 방법이지만, 레이몬드 말뚝은 진동을 이용하여 박기 때문에 다른 말뚝들과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성토 재료로서 적당하지 않은 흙은?

  1. 함수비가 액성한계를 넘은 흙
  2. 안정에 필요한 전단강도를 가지고 있는 흙
  3. 압축성이 적은 흙
  4. 시공기계의 트래피커빌리티(Trafficability) 확보 등 시공이 용이한 흙
(정답률: 63%)
  • 함수비가 액성한계를 넘은 흙은 물이 많이 들어가면 액체 상태가 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해치기 때문에 성토 재료로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네트워크(Net work) 공정표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담당자의 공사착수가 예정되므로 미리 충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2. 공정표가 보기 쉽고 개념적인 것이 숫자화되어 신뢰도가 크다.
  3. 작성 및 수정이 어렵다.
  4. 공정의 진척, 지연의 상황판단이 어렵다.
(정답률: 40%)
  • 담당자의 공사착수가 예정되므로 미리 충분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 옳은 설명입니다.
    공정표가 보기 쉽고 개념적인 것이 숫자화되어 신뢰도가 크다. - 옳은 설명입니다.
    작성 및 수정이 어렵다. -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정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쉽게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공정의 진척, 지연의 상황판단이 어렵다. - 옳은 설명입니다. 공정표는 일정을 예측하는 도구이지만, 실제 공정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진척과 지연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토공 작업에서 불도저로 토량 138240m3를 60일 만에 끝내려고 할 때 불도저의 소요대수는 얼마인가? (단, 불도저 1시간당 작업량 24m3/h, 1일 작업시간 8시간, 가동율 80%)

  1. 19대
  2. 15대
  3. 12대
  4. 10대
(정답률: 56%)
  • 1일 작업량 = 24m3/h x 8h x 80% = 15.36m3/일
    60일간 작업량 = 15.36m3/일 x 60일 = 921.6m3
    필요한 불도저 대수 = 138240m3 ÷ 921.6m3/대 = 150대
    하지만, 소수점 이하의 값이 나오므로 반올림하여 계산해야 함.
    따라서, 필요한 불도저 대수 = 138240m3 ÷ 921.6m3/대 ≈ 150대
    정답은 "15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믹서의 1배치 용량 0.3m3, 작업효율 0.8, 1배치 혼합시간 4분인 경우 콘크리트 믹서의 시간당 작업량은?

  1. 0.86m3/hr
  2. 3.60m3/hr
  3. 5.24m3/hr
  4. 7.80m3/hr
(정답률: 48%)
  • 시간당 작업량은 1배치 용량에 작업효율을 곱한 후 60분을 나눈 값이다. 따라서 시간당 작업량은 다음과 같다.

    시간당 작업량 = (1배치 용량 × 작업효율) ÷ 4분 × 60분
    = (0.3m³ × 0.8) ÷ 4분 × 60분
    = 0.06m³ × 15
    = 0.9m³/시간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³/hr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변환해주어야 한다.

    0.9m³/시간 = 0.9 ÷ 1.0³ m³/시간 = 0.9 m³/hr

    따라서 정답은 "0.9m³/h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교량가설시 비계를 사용하는 공법이 아닌 것은?

  1. 새들 공법
  2. 벤트 공법
  3. 부선식 공법
  4. 이렉션 트러스 공법
(정답률: 20%)
  • 교량가설시 비계를 사용하는 공법은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되지만, 부선식 공법은 비계를 사용하지 않고 교량을 건설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부선식 공법은 교량의 기둥과 보를 동시에 세우는 방법으로, 기둥과 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비계 없이도 건설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과 같은 공정표에서 주공정(C.P)은 몇일인가?

  1. 15일
  2. 16일
  3. 17일
  4. 18일
(정답률: 65%)
  • 공정표에서 주공정(C.P)은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전 공정들의 소요시간을 모두 합한 값이 주공정의 소요시간이 된다. 따라서, A공정은 3일, B공정은 5일, C공정은 4일, D공정은 6일이 소요되므로, 주공정(C.P)의 소요시간은 3+5+4+6=18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기질토는 대개 지하수나 지면위나 지면 가까이에 있는 낮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 유기질토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유기질 속의 산성성분은 지중매설물을 부식시키는 경향이 있다.
  2. 특유의 냄새가 있다.
  3. 자연함수비가 매우 높으며 1차 압밀 후 2차 압밀이 있다.
  4. 순간 침하량이 매우 크며 장기 침하에는 비교적 안전하다.
(정답률: 58%)
  • "순간 침하량이 매우 크며 장기 침하에는 비교적 안전하다."가 아닌 것은 "유기질 속의 산성성분은 지중매설물을 부식시키는 경향이 있다."이다.

    유기질토는 매우 다양한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유의 냄새와 자연함수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순간 침하량이 매우 크지만 장기 침하에는 비교적 안전하다는 것은 유기질토가 물을 잘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유기질토는 농업에서 토양 개량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불도저로 운반거리가 50m 이고, 밀어가는 속도 V1 = 36m/min, 후퇴하는 속도 V2 = 42m/min 이고, 또 대기시간 t = 0.25min 이라 할 때 싸이클 타임(cm)은?

  1. 2.52min
  2. 2.66min
  3. 2.75min
  4. 2.83min
(정답률: 69%)
  • 싸이클 타임은 한 번의 작업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불도저가 50m를 밀어나가고 다시 50m를 후퇴하는 작업을 한 싸이클로 정의한다.

    따라서 한 싸이클에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밀어나가는 시간: 50m / 36m/min = 1.39min
    - 후퇴하는 시간: 50m / 42m/min = 1.19min
    - 대기시간: 0.25min

    따라서 한 싸이클에 걸리는 시간은 1.39min + 1.19min + 0.25min = 2.83min 이다.

    정답은 "2.83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속된 종방향의 철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포장의 횡줄눈을 생략시켜 주행성을 좋게 하는 포장 공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2. 특수 콘크리트포장
  3. 연속 철근 콘크리트포장
  4. 선유보강 시멘트 콘크리트포장
(정답률: 82%)
  • 정답은 "연속 철근 콘크리트포장"입니다. 이 공법은 철근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포장면의 횡줄눈을 생략하고, 콘크리트를 부어서 포장하는 방법입니다. 이로 인해 포장면이 매끄러워지고 주행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터널의 외형크기 단면의 강재틀을 굴착진행방향에 따라 압입하여 나가는 연약지반 터널굴착방법은?

  1. 개착공법
  2. 침매공법
  3. 역권공법
  4. 쉴드공법
(정답률: 81%)
  • 쉴드공법은 터널의 외형크기 단면의 강재틀을 굴착진행방향에 따라 압입하여 나가는 연약지반 터널굴착방법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동안 쉴드(방호막)를 사용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굴착면을 안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지하철, 철도, 도로 등 다양한 교통시설의 건설에 많이 사용되며, 안전하고 빠른 굴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기케이슨(Pneumatic caisson)기초의 장점으로 잘못된 것은?

  1. 깊이에 제약이 없이 시공 가능하다.
  2. Dry work이므로 침하공정이 빠르다.
  3. 정확한 지지력의 측정이 가능하다.
  4. 저부 콘크리트의 신뢰도가 크다.
(정답률: 68%)
  • 공기케이슨 기초는 수중에서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시공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하면 깊이에 제약이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물속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침하공정이 빠르고 정확한 지지력의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저부 콘크리트의 신뢰도가 높아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깊이에 제약이 없이 시공 가능하다."는 장점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직갱에 물이 고였을 경우 어떤 발파방법이 좋은가?

  1. 벤치컷
  2. 번컷
  3. 피라밋컷
  4. 스윙컷
(정답률: 70%)
  • 수직갱에 물이 고였을 경우 스윙컷이 좋은 이유는 고인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윙컷은 고인 물을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고인 물이 있는 부분에서 출발하여 일정한 각도로 스윙 모션을 가하면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컷은 수직갱에서 물 제거에 효과적인 발파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두 자유면을 가진 벤치컷에 있어서 구멍과 구멍의 간격을 1.2m로 하고 최소 저항선을 1.6m, 장약량은 10.5kg이라 할 때 천공 깊이 N을 구하면 얼마인가? (단, C = 0.56)

  1. 4.56m
  2. 9.77m
  3. 12.62m
  4. 14.71m
(정답률: 35%)
  • 천공 깊이 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장약량 / (C × 최소 저항선 × 구멍 간격)) - 구멍 간격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N = (10.5 / (0.56 × 1.6 × 1.2)) - 1.2
    N = 9.77m

    따라서 정답은 "9.7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45000m3(완성된 토량)의 성토를 하는데 유용토가 35000m3(느슨한 토량)있다. 부족한 토량은 본바닥 토량으로 얼마인가? (단, 토량변화율은 L=1.25, C=0.9 이다.)

  1. 15000m3
  2. 18000m3
  3. 22000m3
  4. 25000m3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초 말뚝의 지지력 공식중 정역학적(靜力學的)지지력 산정 공식은?

  1. Terzaghi 공식
  2. Engineering News 공식
  3. Weisbach 공식
  4. Sander 공식
(정답률: 45%)
  • Terzaghi 공식은 기초 말뚝의 정적인 지지력을 계산하는 공식으로, 말뚝의 토발 균열에 대한 고려와 함께 말뚝의 토압력과 토막력을 고려하여 지지력을 계산한다. 이에 비해 Engineering News 공식은 말뚝의 동적인 지지력을 계산하는 공식이며, Weisbach 공식과 Sander 공식은 말뚝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공식이다. 따라서, 기초 말뚝의 지지력 공식 중 정역학적인 지지력을 계산하는 Terzaghi 공식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입상재료층에 점성이 낮은 역청재료를 살포, 침투시켜 조기층, 기층 등의 방수성을 높이고, 기층의 모세공극을 메워 그 위에 포설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층과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해 역청재료를 얇게 피복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택 코트
  2. 프라임 코트
  3. 실 코트
  4. 아마 코트
(정답률: 62%)
  • 프라임 코트는 입상재료층에 점성이 낮은 역청재료를 살포, 침투시켜 조기층, 기층 등의 방수성을 높이고, 기층의 모세공극을 메워 그 위에 포설하는 아스팔트 혼합물층과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해 역청재료를 얇게 피복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라임 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층과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으로 높이가 6m 이상일 때 사용되며 역T형 옹벽에서 옹벽 벽체의 강도가 부족한 경우에 채택되는 옹벽은?

  1. 중력식 옹벽
  2. L형 옹벽
  3. 반중력식 옹벽
  4. 부벽식 옹벽
(정답률: 46%)
  • 높이가 6m 이상인 역T형 옹벽에서는 벽체의 강도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부벽식 옹벽이 채택된다. 부벽식 옹벽은 벽체와 지반 사이에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벽체를 추가로 설치하여 지반의 지지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지반의 지지력을 보완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표준관입 시험(S.P T)에 대한 다음 설명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표준관입 시험의 N치는 모래의 상대밀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2. 심도가 깊어지면 로드(Rod)의 변형에 의한 타격에너지 손실과 마찰이 생기므로 N치의 수정이 필요하다.
  3. N치를 이용하여 흙의 내부마찰각이나 일축압축 강도의 추정도 가능하다.
  4. 표준관입 시험은 매우 연약한 점토지반에 적용하는 경우에 신뢰성이 매우 높다.
(정답률: 38%)
  • "표준관입 시험은 매우 연약한 점토지반에 적용하는 경우에 신뢰성이 매우 높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표준관입 시험은 다양한 지반 조건에서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연약한 점토지반에서는 다른 시험 방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연약한 점토지반에서는 시료 채취 및 시험 과정에서 변형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목적 댐과 같이 상류 측에 콘크리트로 차수벽을 만들고 중앙 및 하류 측은 석괴로 쌓아 올리는 댐의 형식은?

  1. 표면 차수벽형
  2. 내부 차수벽형
  3. 코어형
  4. 록필형
(정답률: 67%)
  • 상류 측에 콘크리트로 차수벽을 만들어 물이 높아져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중앙 및 하류 측은 석괴로 쌓아 올리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식의 다목적 댐은 "표면 차수벽형"으로 분류됩니다. 즉, 댐의 표면에 차수벽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점토(ø=0)의 자연 시료에 대한 일축압축 강도가 3.6km/cm2이고 이 흙을 되비볐을 때의 파괴압축 응력이 1.2kg/cm2 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C)과 예민비(St)는 얼마인가?

  1. C = 1.8kg/cm2, St =3
  2. C = 1.8kg/cm2, St =0.33
  3. C = 2.4kg/cm2, St =3
  4. C = 2.4kg/cm2, St =0.33
(정답률: 54%)
  • 점착력(C)은 파괴압축 응력과 일축압축 강도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C = 3.6 - 1.2 = 2.4kg/cm2 이다.

    예민비(St)는 파괴압축 응력을 일축압축 강도로 나눈 값의 반올림 값이다. 따라서 St = round(1.2/3.6) = 0.33 이다.

    따라서 정답은 "C = 2.4kg/cm2, St =0.3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포화점토의 비압밀 비배수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속압력을 증대시키면 유효응력은 커진다.
  2. 구속압력을 증대한 만큰 간극수압은 증대한다.
  3. 구속압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단강도는 일정하다.
  4. 시공 직후의 안정 해석에 적용된다.
(정답률: 19%)
  • "구속압력을 증대한 만큼 간극수압은 증대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구속압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단강도는 일정하다."입니다.

    구속압력은 포화점토의 간극수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속압력을 증대시키면 간극수압도 증대하게 되므로, 포화점토의 유효응력은 커지게 됩니다. 이는 포화점토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모래 등과 같은 점성이 없는 흙의 전단강도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조밀한 모래의 전단과정에서는 전단응력의 피크(peak)점이 나타난다.
  2. 느슨한 모래의 전단과정에서는 응력의 피크점이 없이 계속 응력이 증가하여 최대 전단응력에 도달한다.
  3. 조밀한 모래는 변형의 증가에 따라 간극비가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4. 느슨한 모래의 전단과정에서는 전단파괴될 때까지 체적이 계속 감소한다.
(정답률: 40%)
  • 잘못된 설명은 "느슨한 모래의 전단과정에서는 응력의 피크점이 없이 계속 응력이 증가하여 최대 전단응력에 도달한다."입니다. 실제로는 느슨한 모래의 전단과정에서도 전단응력의 피크점이 나타납니다.

    조밀한 모래는 간극비가 작기 때문에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간극비가 계속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입체적으로 입자들이 서로 밀착하면서 간극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밀한 모래는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반면에 느슨한 모래는 간극비가 크기 때문에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간극비가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느슨한 모래는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고, 일정한 응력 하에서 체적이 계속 감소하다가 전단파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그림과 같은 지반에 100t의 집중하중이 지표면에 작용하고 있다. 하중 작용점 바로 아래 5m 깊이에서의 유효 연직응력은 얼마인가? (단, γsat = 1.8t/m3 이고 영향계수 I=0.4775임)

  1. 1.91 t/m2
  2. 7.91 t/m2
  3. 10.91 t/m2
  4. 5.91 t/m2
(정답률: 10%)
  • 유효 연직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v = γsat * H * I

    여기서 H는 하중 작용점과 측정 지점 사이의 깊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H=5m이다.

    그러면,

    σ'v = 1.8t/m^3 * 5m * 0.4775
    = 4.30125t/m^2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 중에서 유효 연직응력이 가장 근접한 값은 "5.91 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사면의 안정해석방법이 아닌 것은?

  1. 마찰원법
  2. 비숍(Bishop)의 방법
  3. 펠레니우스(Fellenius) 방법
  4. 카사그란데(Casagrande)의 방법
(정답률: 54%)
  • 카사그란데(Casagrande)의 방법은 사면의 안정해석방법이 아니다. 이 방법은 토양의 압축성과 인장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시험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사면의 안정해석을 위한 방법들이다. 마찰원법은 사면의 안정성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고, 비숍(Bishop)의 방법은 사면의 안정성을 지반의 내부마찰각과 지반의 강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펠레니우스(Fellenius) 방법은 사면의 안정성을 지반의 내부마찰각과 지반의 강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예민비가 큰 점토란?

  1. 입자모양이 둥근 점토
  2. 흙을 다시 이겼을때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검토
  3. 입자가 가늘고 긴 형태의 점토
  4. 흙을 다시 이겼을때 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점토
(정답률: 57%)
  • 예민비가 큰 점토란,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점토입니다. 이는 입자간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다시 이겨지면 입자들이 쉽게 떨어져서 강도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교란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토질 시험이 아닌 것은?

  1. 투수시험
  2. 입도분석시험
  3. 유기물 함량시험
  4. 액 ㆍ 소성한계시험
(정답률: 40%)
  • 투수시험은 교란 시료를 이용하지 않고, 토양의 흡수력을 측정하는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토양에 물을 주입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마나 빠르게 흡수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이 투수시험의 원리입니다. 따라서 교란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토질 시험은 입도분석시험, 유기물 함량시험, 액 ㆍ 소성한계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외경(Do)이 50.8mm, 내경(Di)이 47.6mm인 얇은관 샘플러(Thin wall tube sampler)의 면적비는 약 얼마인가?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28%)
  • 면적비는 (Do^2 - Di^2) / Do^2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8^2 - 47.6^2) / 50.8^2 = 0.14 이므로 면적비는 약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중 2.65, 간극률 50%인 경우에 Quick Sand 현상을 일으키는 한계 동수 경사는?

  1. 0.325
  2. 0.825
  3. 0.512
  4. 1.013
(정답률: 70%)
  • Quick Sand 현상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간극률이 50% 이상이어야 하며, 이는 비중이 2.65인 모래에서는 경사각이 일정한 값 이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값은 한계 동수 경사로, 실험적으로 약 30도(0.52 rad)에서 35도(0.61 rad) 사이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8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표준관입시험(S.P T) 결과 N치가 25 이었고, 그때 채취한 교란시료로 입도시험을 한 결과 입자가 모나고, 입도분포가 불량할 때 Dunham공식에 의해서 구한 내부 마찰각은?

  1. 약 42°
  2. 약 40°
  3. 약 37°
  4. 약 32°
(정답률: 35%)
  • Dunham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an δ = (π/2) x (D10/D50 - 1)

    여기서, D10은 입도분포에서 10% 지름, D50은 입도분포에서 50% 지름을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입도분포가 불량하다고 했으므로, D10과 D50의 차이가 크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10/D50 - 1은 큰 값이 됩니다.

    tan 함수는 값이 커질수록 기울기가 커지므로, tan δ 값도 큰 값이 됩니다. 따라서, 내부 마찰각인 δ 값은 약 37°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and drain 공법의 주된 목적은?

  1. 압밀침하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2. 투수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3. 간극수압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4. 지하수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32%)
  • Sand drain 공법의 주된 목적은 "압밀침하를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지반의 압축을 빠르게 진행시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Sand drain은 지반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지반의 보강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투수계수를 감소시키는 것, 간극수압을 증가시키는 것, 지하수위를 상승시키는 것은 Sand drain 공법의 주된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떤 흙의 건조단위중량이 1.724g/cm3이고, 비중이 2.65일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간극비는 0.537 이다.
  2. 간극률은 34.94% 이다.
  3. 포화상태의 함수비는 20.26% 이다.
  4. 포화단위중량은 2.223g/cm3 이다.
(정답률: 32%)
  • 틀린 것은 없다.

    포화단위중량은 해당 흙의 모든 간극이 물로 채워졌을 때의 단위 부피당 물의 질량이다. 따라서 포화단위중량은 비중과 밀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포화단위중량 = 비중 / (1 + 비중) x 1000

    = 2.65 / (1 + 2.65) x 1000

    = 2.223g/cm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직경 30cm의 말뚝 20분을 타입하여 기초 저판을 지지하고 있다. 1본의 말뚝이 외말뚝으로 30t의 극한 지지력을 가지고 있다면 무리말뚝의 극한 지지력은? (단, 무리말뚝의 효율 E=0.645 이다)

  1. 726t
  2. 387t
  3. 300t
  4. 600t
(정답률: 47%)
  • 극한 지지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극한 지지력 = 효율 × 외력 × 길이

    무리말뚝의 길이는 20m이므로,

    무리말뚝의 극한 지지력 = 0.645 × 30t × 20m = 387t

    따라서 정답은 "387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단위체적 중량이 1.65t/m3, 내부마찰각 15° 이고, 점착력이 0인 사질토 지반의 지표면에 폭 3m의 연속 기초를 시공할 때 기초의 극한 지지력은 얼마인가? (단, 내무마찰각 15° 일 때, Nc = 6.5, Nγ = 1.2, Nq = 4.7, 형상계수 α=1, β=0.5)

  1. 1.88t/m2
  2. 2.97t/m2
  3. 2.54t/m2
  4. 3.12t/m2
(정답률: 2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어떤 점토시료의 압밀시험에서 시료의 두께가 20cm라고 할 때, 압밀도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구하면? (단, 시료의 압밀계수는 2.3×10-3cm2/sec이고, 양면배수조건 이다.)

  1. 10.24 시간
  2. 5.12 시간
  3. 2.38 시간
  4. 1.19 시간
(정답률: 18%)
  • 압밀도는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시간이 충분히 길어지면 압밀도가 50%가 되는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양면배수조건이 주어졌으므로, 시간에 따른 압밀도 변화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압밀도 = 100% × (1 - e^(-2.3×10^(-3) × t / 20^2))

    여기서 e는 자연상수이다. 압밀도가 50%가 되는 시간을 t_50이라고 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50% = 100% × (1 - e^(-2.3×10^(-3) × t_50 / 20^2))

    따라서,

    e^(-2.3×10^(-3) × t_50 / 20^2) = 0.5

    -2.3×10^(-3) × t_50 / 20^2 = ln(0.5)

    t_50 = -20^2 × ln(0.5) / (-2.3×10^(-3)) ≈ 2.38 시간

    따라서, 정답은 "2.38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흙의 동해(凍害)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상현상은 빙층(ice lens)의 생장이 주된 원인이다.
  2. 사질토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3. 실트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4. 점토는 모관상승높이는 크지만 동상이 잘 일어나는 편은 아니다.
(정답률: 80%)
  • "실트는 모관상승높이가 작아서 동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라는 설명은 옳은 것이다. 실트는 모래보다 입자 크기가 작아서 모관상승높이가 작아 물이 잘 흐르기 때문에 빙층이 생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상현상이 일어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이 정수위 투수시험을 한 결과 10분 동안에 40.5cm3의 물이 유출되었다. 이 흙의 투수계수는?

  1. 2.5 × 10-1 cm/sec
  2. 5.0 × 10-2 cm/sec
  3. 2.5 × 10-3 cm/sec
  4. 5.0 × 10-4 cm/sec
(정답률: 30%)
  • 투수계수는 단위 시간당 토양이 투과하는 물의 양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투수계수 = 유출량 / (면적 × 시간)

    여기서 유출량은 10분 동안에 40.5cm3이므로 40.5/10 = 4.05cm3/분입니다. 면적은 그림에서 주어진 것처럼 20cm × 20cm = 400cm2입니다. 따라서 투수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투수계수 = 4.05 / (400 × 10) = 0.0010125 cm/sec

    이 값을 지수 형태로 표현하면 1.0125 × 10-3 cm/sec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5 × 10-1 cm/sec"와 "2.5 × 10-3 cm/sec" 사이에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 10-2 c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다짐시험에서 건조밀도와 함수비와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건조밀도-함수비 곡선에서 건조밀도가 최대가 되는 밀도를 최대 건조밀도라 한다.
  2. 최대 건조밀도를 나타내는 함수비를 최적 함수비라고 한다.
  3. 흙이 조립토(組立土)에 가까울수록 최적 함수비의 값은 크다.
  4. 최적 함수비는 흙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이 나온다.
(정답률: 52%)
  • "흙이 조립토(組立土)에 가까울수록 최적 함수비의 값은 크다."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는 흙이 조립토에 가까울수록 최적 함수비의 값은 작아진다. 이는 조립토와 같은 고압축성 흙은 건조밀도가 높기 때문에 함수비가 작아져야 최적인 밀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모래 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 측정법에서 모래(표준사)는 무엇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가?

  1.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부피
  3. 흙의 함수비
  4. 지반의 지지력
(정답률: 48%)
  • 모래(표준사)는 시험구멍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시험구멍의 부피는 흙의 밀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모래를 사용하여 시험구멍을 채우면 흙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래는 흙의 밀도 측정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지표면은 수평, 벽체 배면은 연직, 흙의 내부마찰각 ø = 30°, 흙의 단위중량 γ = 1.8t/m3 일 때 높이 H = 6m인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합력 PA는?

  1. 10.8t/m
  2. 12.6t/m
  3. 14.3t/m
  4. 15.5t/m
(정답률: 42%)
  • 주어진 옹벽의 단면은 직각삼각형이므로, 토체의 무게 중심은 옹벽 높이의 중심에 위치한다. 따라서, 주동토압의 합력은 중심에서의 압력과 같다.

    중심에서의 압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 = γH/2 * (1 + sinø) * (1 - sinø)

    여기서, γ = 1.8t/m^3, H = 6m, ø = 30° 이므로,

    P = 1.8 * 6/2 * (1 + sin30°) * (1 - sin30°) = 10.8t/m

    따라서, 정답은 "10.8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