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콘크리트의 다지기에 사용하는 내부진동기 사용방법의 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한 콘크리트에서 내부진동기는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2. 내부진동기는 연직으로 찔러 넣으며, 그 간격은 일반적으로 0.5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3.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면 상부로 약간 부상하기 까지 한다.
  4.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로부터 천천히 빼내어 구멍이 남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한 콘크리트에서 내부진동기는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이다. 이유는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진동시켜 밀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들어가면 그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부진동기는 상층의 콘크리트에만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를 2층 이상으로 나누어 타설할 경우, 상층의 콘크리트 타설은 원칙적으로 하층의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하기 전에 해야 한다. 이때 외기온도가 25℃이하인 경우 이어치기 허용시간 간격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1. 1.0시간
  2. 1.5시간
  3. 2.0시간
  4. 2.5시간
(정답률: 54%)
  • 콘크리트가 굳는 시간은 외기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어치기 허용시간 간격의 표준은 외기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외기온도가 25℃ 이하인 경우, 이어치기 허용시간 간격의 표준은 2.5시간이다. 이는 콘크리트가 굳는 시간이 약 2~3시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층의 콘크리트 타설은 하층의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한 후 2.5시간 이상 지난 후에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재하속도
  2. 공시체 가압면의 표면상태
  3. 공시체의 크기와 모양
  4. 공시체에 남아있는 표면수
(정답률: 65%)
  • 공시체에 남아있는 표면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재하속도, 공시체 가압면의 표면상태, 공시체의 크기와 모양이 있기 때문이다. 즉, 공시체에 남아있는 표면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골재의 단위부피가 780ℓ인 콘크리트에서 잔골재율이 39%이고, 잔골재의 밀도가 2.62g/cm3이면, 단위 잔골재량은 얼마인가?

  1. 545kg
  2. 597kg
  3. 797kg
  4. 845kg
(정답률: 75%)
  • 잔골재율은 잔골재의 부피가 콘크리트의 부피에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부피는 잔골재 부피와 골재 부피의 합과 같다.

    골재의 부피는 콘크리트의 부피에서 잔골재 부피를 뺀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콘크리트 부피 = 잔골재 부피 / 0.39
    골재 부피 = 콘크리트 부피 - 잔골재 부피

    골재의 밀도가 2.62g/cm3이므로, 단위 부피당 무게는 2.62kg이다. 따라서, 단위 잔골재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위 잔골재량 = 잔골재 부피 x 2.62kg/ℓ

    = (780ℓ / 0.39) x 2.62kg/ℓ

    = 2000kg

    따라서, 정답은 "797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무근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단면이 큰 경우 슬럼프의 표준값으로 옳은 것은?

  1. 20~50mm
  2. 50~100mm
  3. 100~150mm
  4. 150~200mm
(정답률: 60%)
  • 단면이 큰 경우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작아져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단면이 크면서도 균일하게 분포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슬럼프의 표준값은 50~100mm가 됩니다.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슬럼프를 유지하면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슬럼프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 시료를 콘 용적의 약 1/3씩 되도록 3층으로 나누어 채우고 각 층을 다짐대로 25회씩 골고루 다진다.
  2. 몰드에 채우기 시작해서 벗길 때까지 전 작업을 중단없이 3분 30초 내에 끝마쳐야 한다.
  3. 슬럼프 콘은 밑면의 안지름이 200mm, 윗면의 안지름이 100mm, 높이가 300mm인 금속제로 한다.
  4. 다짐봉은 지름이 16mm이고 길이 500~600mm인 강 또는 금속제 원형봉으로 그 앞 끝을 반구 모양으로 한다.
(정답률: 90%)
  • "몰드에 채우기 시작해서 벗길 때까지 전 작업을 중단없이 3분 30초 내에 끝마쳐야 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시험을 정확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혼합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시험을 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시간은 일반적으로 5분 이내이며, 이 시간 내에 시험을 시작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특성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몰드에 채우기 시작해서 벗길 때까지 전 작업을 중단없이 3분 30초 내에 끝마쳐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시험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슬럼프시험
  2. 마샬시험
  3. 구관입시험
  4. 비비시험
(정답률: 56%)
  • 마샬시험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평가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시험 방법은 모두 콘크리트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며, 마샬시험은 그 중에서도 반죽질기를 평가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평균 기온이 15℃이상이고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콘크리트의 경우 습윤양생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1. 3일
  2. 5일
  3. 7일
  4. 9일
(정답률: 75%)
  • 일평균 기온이 15℃ 이상이면 콘크리트의 경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습윤양생기간이 짧아집니다. 또한,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는 빠른 경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습윤양생기간이 더욱 짧아집니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의 경우 습윤양생기간은 3일이면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열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2.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시멘트를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
  3. 물-결합재비가 작아지기 때문에, AE감수제 사용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4.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한다.
(정답률: 55%)
  • 한중콘크리트에서는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를 구조물의 단면치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5~20℃의 범위에서 정하는 이유는 콘크리트가 너무 높은 온도에서 타설될 경우 물-결합재비가 작아지고 AE감수제 사용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구조물을 위해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해수의 작용을 받는 콘크리트에서 단위 시멘트량의 최소값(kg/m3)은? (단,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40mm이며, 물보라 지역 및 해상 대기중인 경우이다.)

  1. 240
  2. 270
  3. 300
  4. 330
(정답률: 35%)
  • 해수는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키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해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는 단위 시멘트량을 높게 유지하여 강도를 보강해야 한다. 또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이하인 경우에는 단위 시멘트량을 높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물보라 지역 및 해상 대기중인 경우에는 단위 시멘트량의 최소값은 300kg/m3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콘크리트용 재료에 염화물이 많이 함유되면 구조물에 주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1. 일정 응력이 장시간 작용하면 소성적 변형이 급격히 증가한다.
  2.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어 부착강도가 향상된다.
  3. 거푸집과 콘크리트 사이에 압력이 증가되어 양생이 지연된다.
  4. 콘크리트 속의 강재 부식이 촉진되어 구조물이 조기에 열화한다.
(정답률: 65%)
  • 콘크리트 속의 강재 부식이 촉진되면 구조물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어 강도가 약해지고, 결국 구조물이 조기에 열화하게 된다.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저해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숏크리트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숏크리트는 빠르게 운반하고, 급결제를 첨가한 후는 바로 뿜어붙이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숏크리트는 뿜어붙인 콘크리트가 흘러내지 않는 범위의 적당한 두께를 뿜어붙이고,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해서 뿜어붙여야 한다.
  3. 숏크리트 작업에 반발량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리바운드된 재료는 즉시 다시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낟.
  4. 강재 지보재를 설치한 곳에 숏크리트를 실시할 경우에는 뿜어붙일 면과 강재 지보재와의사이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뿜어붙인다.
(정답률: 75%)
  • 숏크리트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숏크리트 작업에 반발량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리바운드된 재료는 즉시 다시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낟."이다. 이는 오히려 올바른 설명이다. 숏크리트 작업에서는 반발량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리바운드된 재료는 즉시 다시 혼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일어나는 재료분리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작은 경우
  2. 단위골재량이 너무 많은 경우
  3. 단위수량이 너무 많은 경우
  4. 입자가 거친 잔골재를 사용한 경우
(정답률: 62%)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작은 경우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굵은골재가 충분히 분산되지 못하고 모여서 분리되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크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더 잘 분산되어 분리되는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 운반에 대한 아래표의 ( )에 알맞은 수치는

  1. 1
  2. 1.5
  3. 2
  4. 2.5
(정답률: 61%)
  • 콘크리트 운반에 필요한 트럭의 수는 콘크리트 운반량을 트럭 한 대당 운반 가능한 콘크리트 양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1톤 트럭 한 대당 운반 가능한 콘크리트 양이 2톤이므로, 10톤의 콘크리트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10 ÷ 2 = 5대의 트럭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프르스트레싱을 할 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실험이나 기존의 적용 실적 등을 통해 안전성이 증명된 경우는 제외)

  1. 24MPa
  2. 27MPa
  3. 30MPa
  4. 35MPa
(정답률: 69%)
  • 프리텐션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는 콘크리트에 압력을 가해 전체 구조물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구조물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최소한 30MPa 이상의 압축강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에 따라 마무리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은?

  1. 성형성(plasticity)
  2. 내구성(durability)
  3. 워커빌리티(workability)
  4.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
(정답률: 75%)
  •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의 입도, 반죽질기 등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마무리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피니셔빌리티라고 합니다. 즉, 콘크리트의 표면을 부드럽고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건축물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측에 폭 0.5mm 정도의 균열이 발생되었다. 이 균열을 보수하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에폭시 주입공법
  2. 단면 증설 공법
  3. 강판 접착 공법
  4. 프리스트레스 도입공법
(정답률: 62%)
  • 에폭시 주입공법은 균열 내부에 에폭시 수지를 주입하여 균열을 채우고 보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균열의 크기와 위치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주입 후 에폭시 수지가 경화되면 균열을 완전히 막아주고 강도를 증가시켜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이 간편하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보수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콘크리트내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당량의 연행공기를 갖고 있는 콘크리트는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2. AE공기는 워커빌리티를 저하시킨다.
  3. 공기량이 증가하면 강도는 감소한다.
  4. 적당한 공기량은 4~7% 정도이다.
(정답률: 71%)
  • "AE공기는 워커빌리티를 저하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AE공기는 공기중에 추가된 화학물질로, 콘크리트의 워크빌리티를 향상시키고, 동결-해동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팽창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에 대한 시험값을 기준으로 한다.
  2. 팽창콘크리트의 품질은 원칙적으로 팽창률 및 압축강도의 시험값에 의해 확인하여야 한다.
  3. 팽창재는 원칙적으로 다른 재료를 투입할 때 동시에 믹서에 투입한다.
  4. 포대 팽창재를 저장하고자 할 때 포대 팽창재는 12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
(정답률: 41%)
  • "팽창콘크리트의 품질은 원칙적으로 팽창률 및 압축강도의 시험값에 의해 확인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이다. 팽창콘크리트의 품질은 팽창률, 압축강도, 밀도, 수분흡수율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확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팽창률만으로 품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에 대한 시험값을 기준으로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재령 28일 이후에는 콘크리트의 경화가 거의 완료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의 팽창률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이다. "팽창재는 원칙적으로 다른 재료를 투입할 때 동시에 믹서에 투입한다."와 "포대 팽창재를 저장하고자 할 때 포대 팽창재는 12포대 이하로 쌓아야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압축강도시험의 기록이 없는 현장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1MPa인 콘크리트를 제작하기 위한 배합강도로 옳은 것은?

  1. 28MPa
  2. 29.5MPa
  3. 31MPa
  4. 32.5MPa
(정답률: 64%)
  • 압축강도시험의 기록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설계기준압축강도는 21MPa에서 28MPa 사이로 설정됩니다. 이 때, 보수적인 입장에서는 21MPa를 기준으로 하여 배합강도를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28MPa를 기준으로 하여 배합강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28MPa보다 조금 높은 29.5MPa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21. 다음 중 천연 아스팔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Rock asphalt
  2. Lake asphalt
  3. Straight asphalt
  4. Sand asphalt
(정답률: 77%)
  • 천연 아스팔트의 종류 중 "Straight asphalt"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KS F 2564(콘크리트용 강섬유)의 규정에는 강섬유를 소재에 의한 제작방법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다음 중 강섬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와이어 섬유
  2. 이형 절단 시트 섬유
  3. 아라미드 섬유
  4. 용융 추출 섬유
(정답률: 64%)
  • 아라미드 섬유는 KS F 2564에서 소재에 의한 제작방법에 따라 구분되는 강섬유의 종류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다. 아라미드 섬유는 폴리아미드 중 하나로, 고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방탄조끼, 안전모, 타이어 등에 사용되는 고성능 섬유이다. 하지만 콘크리트용 강섬유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스팔트의 연소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 한 것은?

  1. 101.3kPa의 대기압에서 시료의 증기에 불꽃을 가까이 대었을 때 점화되고 규정 조건하에서 액체 표면에 점화가 일어나는 시료의 최저온도
  2. 101.3kPa의 대기압에서 시료의 증기에 불꽃을 가까이 대었을 때, 규정조건하에서 기름의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연속하여 5초 이상 연소하는 최저 시료 온도
  3. 101.3kPa의 대기압에서 시료의 증기에 불꽃을 가까이 대었을 때, 규정조건하에서 기름의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연속하여 10초 이상 연소하는 최저 시료 온도
  4. 101.3kPa의 대기압에서 시료의 증기에 불꽃을 가까이 대었을 때, 규정조건하에서 기름의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연속하여 20초 이상 연소하는 최저 시료 온도
(정답률: 58%)
  • 101.3kPa의 대기압에서 시료의 증기에 불꽃을 가까이 대었을 때, 규정조건하에서 기름의 증기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연속하여 5초 이상 연소하는 최저 시료 온도는 아스팔트의 연소점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이 온도 이하에서는 아스팔트가 연소되지 않고, 이상에서는 연소됩니다. 이는 아스팔트의 안전성과 사용 가능한 온도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목재의 기건 상태에서의 함수율은 보통 얼마 정도인가?

  1. 5~10%
  2. 12~18%
  3. 21~26%
  4. 28~35%
(정답률: 63%)
  • 목재의 기건 상태에서는 수분 함량이 높아서 목재 내부의 공극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목재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함수율이 낮아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목재의 기건 상태에서의 함수율은 보통 12~18%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르샤틀리에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구한 시멘트 비중은?

  1. 3.02
  2. 3.12
  3. 3.17
  4. 3.20
(정답률: 72%)
  • 주어진 그림에서 르샤틀리에 플라스크에 담긴 시멘트와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시멘트와 물의 비율을 계산하여 시멘트 비중을 구할 수 있다.

    시멘트와 물의 비율 = 시멘트의 양 ÷ 물의 양

    시멘트와 물의 비율 = 100g ÷ 32g = 3.125

    따라서, 시멘트 비중은 3.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긴급 또는 한중콘크리트 공사에 쓰면 가장 유효한 시멘트는?

  1.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2. 포졸란 시멘트
  3.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4. 알루미나 시멘트
(정답률: 54%)
  • 긴급 또는 한중콘크리트 공사에 쓰기에는 알루미나 시멘트가 가장 유효합니다. 이는 알루미나 시멘트가 빠른 경화 속도와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알루미나 시멘트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에서 사용하는 공사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혼화재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혼화재료는 혼화재와 혼화제로 구분한다.
  2. 일반적으로 시멘트 질량의 5%정도 이상 사용하는 것은 혼화재이다.
  3. 일반적으로 혼화제 사용량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4. 혼화재료는 콘크리트의 제성질을 개선,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55%)
  • "일반적으로 혼화제 사용량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고려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특정한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는 고려되지 않는다. 혼화재료는 혼화재와 혼화제로 구분되며, 혼화재는 시멘트 대체재로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시멘트 질량의 5% 이상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조립률이 2.7인 잔골재와 7.3인 굵은골재를 1:1.5의 무게비로 섞을 때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1. 5.46
  2. 4.46
  3. 3.46
  4. 2.46
(정답률: 75%)
  • 먼저, 조립률이란 골재의 입체적인 체적 대비 실제 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따라서,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1:1.5의 무게비로 섞을 때, 혼합골재의 체적은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체적의 합과 같습니다.

    즉, 혼합골재의 체적 = 잔골재의 체적 + 굵은골재의 체적 x 1.5

    여기서,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조립률은 각각 2.7과 7.3이므로, 각각의 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잔골재의 체적 = 1 / 2.7 = 0.3704
    굵은골재의 체적 = 1 / 7.3 = 0.1369

    따라서, 혼합골재의 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혼합골재의 체적 = 0.3704 + 0.1369 x 1.5 = 0.5796

    마지막으로,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혼합골재의 체적 대비 실제 체적의 비율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혼합골재의 조립률 = 1 / 0.5796 = 1.7241

    따라서,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5.4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스팔트 신도시험(ductility test)에서 시험온도와 인장속도의 조합이 옳은 것은?

  1. 20±0.5℃, 5±0.25cm/min
  2. 21±2℃, 3±0.25cm/min
  3. 25±0.5℃, 5±0.25cm/min
  4. 21±2℃, 1±0.25cm/min
(정답률: 60%)
  • 아스팔트 신도시험에서는 시험온도와 인장속도가 올바르게 조합되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시험온도가 너무 높으면 아스팔트가 녹아서 인장강도가 낮아지고, 너무 낮으면 아스팔트가 깨어져서 인장강도가 높아집니다. 인장속도가 너무 높으면 아스팔트가 끊어져서 인장강도가 낮아지고, 너무 낮으면 아스팔트가 늘어나서 인장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올바른 조합은 시험온도가 25±0.5℃이고 인장속도가 5±0.25cm/min인 것입니다. 이 조합은 아스팔트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도 이 조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강(鋼)의 응력-변형 곡선에서 항복점은?

  1. P
  2. Y
  3. U
  4. B
(정답률: 75%)
  • 강의 응력-변형 곡선에서 항복점은 재결정항복점(yield point)이라고도 하며, 재결정이 일어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 지점 이전까지는 선형적인 변형이 일어나지만, 항복점 이후에는 응력이 증가해도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복점은 강의 인성과 연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림에서는 "Y" 지점이 항복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석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밀도가 클수록 강도가 크다.
  2. 일반적으로 화성암이 수성암보다 강도가 높다.
  3. 석재의 종류에 따라 밀도가 다르다.
  4. 흡수율이 높으면 내구성이 크다.
(정답률: 68%)
  • 틀린 것은 "흡수율이 높으면 내구성이 크다." 이다. 흡수율이 높으면 물이 스며들어 내구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오히려 내구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석재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흡수율이 낮은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풍화한 시멘트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강열감량이 증가한다.
  2. 응결이 지연된다.
  3. 강도의 발현이 저하된다.
  4. 비중이 증가한다.
(정답률: 76%)
  •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풍화한 시멘트의 특성이 아니라,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면서 비중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풍화한 시멘트는 강열감량이 증가하고, 응결이 지연되며, 강도의 발현이 저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콘크리트용 골재시험과 관계없는 것은?

  1. 팽창도시험
  2. 로스앤젤레스 마모시험
  3. 체가름시험
  4. 유기불순물시험
(정답률: 51%)
  • 정답은 "팽창도시험"입니다.

    콘크리트용 골재시험에는 로스앤젤레스 마모시험, 체가름시험, 유기불순물시험이 포함됩니다.

    로스앤젤레스 마모시험은 골재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골재를 일정한 시간 동안 회전하는 드럼 속에서 마모시켜 마모량을 측정합니다.

    체가름시험은 골재의 경도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골재를 압축하고 깨지는 지점을 측정합니다.

    유기불순물시험은 골재 내에 유기물이나 불순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반면, 팽창도시험은 콘크리트용 골재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시험으로, 토양의 팽창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팽창도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E제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다음 중에서 이에 대한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연행공기가 시멘트, 골재입자 주위에서 볼 베어링과 같은 작용을 함으로써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2. 시멘트의 응결을 극도로 촉진하여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3. 시멘트 입자의 팽창작용에 의해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4. 시멘트의 응결ㆍ경화를 지연시킴으로써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정답률: 59%)
  • 연행공기가 시멘트, 골재입자 주위에서 볼 베어링과 같은 작용을 함으로써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포졸란 작용이 있는 혼화재가 아닌 것은?

  1. 플라이 애시
  2. 규조토
  3. 실리카 퓸
  4. 팽창재
(정답률: 43%)
  • 정답은 "팽창재"입니다. 포졸란은 물에 젖으면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포졸란 작용이 있는 혼화재는 플라이 애시, 규조토, 실리카 퓸입니다. 반면에 팽창재는 물에 젖으면 팽창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혼화작용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폭약을 기폭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폭용품이 아닌 것은?

  1. 질화납
  2. 도화선
  3. 도폭선
  4. 뇌관
(정답률: 75%)
  • 질화납은 폭약을 기폭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폭용품 중 하나가 아닙니다. 질화납은 주로 탄약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폭약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기폭용품은 아닙니다. 도화선, 도폭선, 뇌관은 모두 폭약을 기폭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폭용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재를 톱으로 켜서 얇게 자른 단판(veneer)을 3매, 5매, 7매 등의 홀수로 엇갈리게 겹친 것으로 팽창과 수축이 작다.
  2. 합판은 무늬가 아름답고 열과 음향의 전도율이 작으며 내구성, 내습성이 크나 목재의 결점을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3. 합판의 제조방법에 로터리 베니어(rotary cut veneer), 슬라이스트 베니어(sliced veneer), 소드 베니어(sawed veneer)가 있다.
  4. 합판의 제조방법 중에서 생산능률이 높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로터리 베니어(rotary cut veneer)이다.
(정답률: 74%)
  • 합판은 내구성과 내습성이 크지만, 목재의 결점을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화약류 중에서 폭발력이 가장 큰 것은?

  1. 흑색화약
  2. 무연화약
  3. 다이너마이트
  4. 칼릿
(정답률: 62%)
  • 칼릿은 집적화약으로, 다른 화약류에 비해 폭발력이 높습니다. 이는 칼릿이 집적화약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화약 입자들이 밀집되어 있어서 더욱 강력한 폭발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멘트 클링커 화합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3S는 C2S에 비하여 수화열이 크고 초기강도가 크다.
  2. C2는 수화열이 작으며 장기강도발현성과 화학저항성이 우수하다.
  3. C3A는 수화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발열량과 수축이 매우 적다.
  4. C4AF는 화학저항성이 양호해서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정답률: 56%)
  • C3A는 수화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발열량과 수축이 매우 적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 C3A는 수화속도가 빠르면서도 발열량과 수축이 크기 때문에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적절한 양으로 첨가해야 한다. C3S는 C2S에 비하여 수화열이 크고 초기강도가 크다, C2는 수화열이 작으며 장기강도발현성과 화학저항성이 우수하다, C4AF는 화학저항성이 양호해서 내황산염포틀랜드시멘트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화강암
  2. 섬록암
  3. 응회암
  4. 현무암
(정답률: 61%)
  • 화성암은 화강암, 섬록암,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응회암은 화성암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경우, 관리도 작성을 위한 R은?

  1. 5MPa
  2. 7MPa
  3. 9MPa
  4. 10MPa
(정답률: 44%)
  • R은 이동평균 범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2~3을 사용한다. 이 문제에서는 R=3으로 가정한다.

    이동평균 범위를 넘어서는 값이 나타날 경우, 이는 특별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 대상으로 삼는다. 따라서, 이동평균 범위를 넘어서는 값이 5MPa 이므로, R=3으로 설정할 경우 정답은 "5MPa"가 된다.

    즉, 이동평균 범위를 넘어서는 값이 나타날 확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R을 작게 설정할수록 관리 대상으로 삼을 값의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R을 작게 설정할수록 관리 대상으로 삼을 값의 범위가 넓어지므로, 이 경우 R=3으로 설정하여 "5MPa"를 정답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탬핑 로울러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sheep’s foot roller
  2. gird roller
  3. tapper foot roller
  4. tire roller
(정답률: 69%)
  • 정답은 "tire roller"입니다. 탬핑 로울러는 지형을 평탄화하고 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tire roller"는 타이어로 구성된 로울러로, 지형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도로나 구조물의 표면을 압축하여 밀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말뚝 중에서 항타기를 사용하지 않는 말뚝은 어느 것인가?

  1. 나무 말뚝
  2. RC 말뚝
  3. H형강 말뚝
  4. Benoto 말뚝
(정답률: 61%)
  • Benoto 말뚝은 항타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자체 지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타기를 사용하지 않는 말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ERT기법에 의한 공정관리에서 어떤 작업의 정상적인 소요일수는 10일이며, 가장 빨리 끝낼 경우 8일이 소요되고 아무리 늦어도 12일 이내 에는 끝낼 수 있을 경우 이 작업의 기대 소요일 수는?

  1. 8일
  2. 9일
  3. 10일
  4. 11일
(정답률: 37%)
  • PERT 기법에서 기대 소요일은 (최소 소요일 + 4*정상 소요일 + 최대 소요일) / 6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작업의 기대 소요일은 (8 + 4*10 + 12) / 6 = 10 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을 케이블과 주탑을 통하여 지반으로 전달시키는 교량으로서 아래의 그림과 같은 형태의 교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사장교
  2. 현수교
  3. 거더교
  4. 트러스교
(정답률: 77%)
  • 정답은 "사장교"이다. 사장교는 케이블과 주탑을 이용하여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시키는 교량으로, 아치형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대형 교량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교량을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눌 경우 다음 중 교량의 상부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형
  2. 브레이싱
  3. 교갹
  4. 받침부
(정답률: 82%)
  • 교갹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해당하는 요소입니다. 교갹은 교량의 기둥이나 기둥과 연결된 부재로, 지지력을 제공하고 교량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상부구조에 해당하는 주형과 브레이싱, 그리고 받침부는 교갹과는 구분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토공에서 시공기면을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절ㆍ성토량의 균형으로 토공량이 최소가 되게 한다.
  2. 가까운 곳에 토취장과 토사장을 설치하여 운반거리를 짧게 한다.
  3. 부대구조물이 크고 법면의 연장이 크게 되도록 하여야 하낟.
  4. 암석굴착은 비용 부담이 크므로 적게 한다.
(정답률: 67%)
  • "부대구조물이 크고 법면의 연장이 크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시공과정에서 부대구조물이 크면 공사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고, 법면의 연장이 크면 안정성이 떨어져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부대구조물과 법면의 크기는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퍼로 암석을 파쇄하면서 동시에 도저 작업을 실시하고자 한다. 1시간당 리핑작업량이 120m3/h이고, 1시간당 도저의 작업량이 40m3/h일 때 조합작업의 1시간당 작업량은?

  1. 25m3/h
  2. 30m3/h
  3. 65m3/h
  4. 80m3/h
(정답률: 54%)
  • 리퍼와 도저가 동시에 작업하므로, 작업량을 합산하여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1시간당 조합작업의 작업량은 120m3/h + 40m3/h = 160m3/h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조합작업의 1시간당 작업량을 묻고 있으므로, 답은 160m3/h를 2로 나눈 80m3/h가 아니라, 리퍼와 도저의 작업량을 합산한 후 2로 나눈 80m3/h에서 리퍼의 작업량인 120m3/h을 빼준 30m3/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m3/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은?

  1. 샌드드레인 공법
  2. 프리로딩 공법
  3.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
  4. 생석회 말뚝 공법
(정답률: 40%)
  • 연약한 지반에 인위적으로 하중을 가해 지반을 압축시키고 강화시키는 공법 중 하나인 프리로딩 공법은, 지반에 미리 인위적으로 무게를 실어놓고 그 위에 추가적인 하중을 가해 지반을 압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지반의 압축률을 높이고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계에 의한 터널 굴착방법 중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의 특징으로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굴착이 연속적으로 시공되므로 공사기간을 짧게 할 수 있다.
  2. 토질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토질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3. 주변 암반에 대한 이완이 비교적 적다.
  4. 소음, 진동이 적고 여굴의 발생이 적다.
(정답률: 65%)
  • "토질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토질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TBM은 토질에 따라 적합한 모델을 선택해야 하며, 토질 변화에 따라 작동 방식을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토질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간선 접수거의 연장을 작게 또는 배수구의 수가 1개 정도로서 습지대에 설치하는 암거 배열 방식은?

  1. 집단식 배열 방식
  2. 차단식 배열 방식
  3. 어골식 배열 방식
  4. 빗식 배열 방식
(정답률: 76%)
  • 빗식 배열 방식은 간선 접수거나 배수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지 않고, 빗모양으로 배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습지대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배치하므로 물이 효율적으로 배출되며, 간선 접수거나 배수구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습지대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래브 준설선(Grab Dredger)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선위에 트램셀의 일종을 달아 수중굴착을 한다.
  2. 대규모의 준설에 적합하다.
  3. 기계가 간단하고 건조비가 싸다.
  4. 준설깊이의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정답률: 42%)
  • "기계가 간단하고 건조비가 싸다."는 그래브 준설선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그래브 준설선은 대규모의 준설에 적합하며, 대선위에 트램셀의 일종을 달아 수중굴착을 합니다. 또한 준설깊이의 조절이 비교적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말뚝에 작용하는 부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말뚝 표면에 역청재를 도포한다.
  2. 군말뚝으로 시공한다.
  3. 표면적이 큰 말뚝으로 시공한다.
  4. 말뚝 직경보다 약간 큰 케이싱을 박거나 이중관말뚝을 시공한다.
(정답률: 69%)
  • 표면적이 큰 말뚝으로 시공하는 것이 옳은 대책이다. 이는 표면적이 큰 말뚝일수록 부마찰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부마찰력은 말뚝과 토양 사이의 마찰력으로, 말뚝이 토양에 박혀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힘이다. 따라서 표면적이 큰 말뚝으로 시공하면 부마찰력이 감소하여 안정성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댐의 부속설비 중 상하류면의 수위차를 이용한 것으로 동일 단면에서는 자유월류의 경우보다 다량의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여수로(spill way)는?

  1. 사이펀여수로
  2. 슈트식여수로
  3. 그로울리홀여수로
  4. 측수로여수로
(정답률: 61%)
  • 사이펀여수로는 부속설비 중 상하류면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는데, 이때 다른 여수로들과는 달리 파이프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물이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서 압력차를 이용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량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스팔트 포장 시공에서 노상 위에 포장하는 것으로 윤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층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중간층
  2. 차단층
  3. 표층
  4. 보조기층
(정답률: 47%)
  • 보조기층은 아스팔트 포장 시공에서 노상 위에 포장하는 것으로 윤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층입니다. 이 층은 중간층과 표층 사이에 위치하며,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포장면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조기층은 아스팔트 포장 시공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정적인 포장면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노상이나 노반의 다짐이 완료되면 로울러나 재하된 덤프트럭을 주행시켜 침하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1. 프루프롤링(proof rolling)
  2. 히터플레이너(heater planer)
  3. 일래스타이트(elastite)
  4. 마아샬 안정도시험
(정답률: 57%)
  • 프루프롤링은 로울러나 덤프트럭을 이용하여 도로 표면을 반복해서 주행시켜 침하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로 표면의 강도와 지지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히터플레이너나 일래스타이트와 같은 다른 방법들은 도로 표면의 평탄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마아샬 안정도시험은 도로 포장재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net work에서 공사에 필요한 소요 일수는?

  1. 25일
  2. 26일
  3. 27일
  4. 28일
(정답률: 49%)
  • 주어진 그래프에서 A에서 B까지의 거리는 9일, B에서 C까지의 거리는 6일, C에서 D까지의 거리는 8일, D에서 E까지의 거리는 4일이다. 따라서 A에서 E까지의 거리는 9+6+8+4=27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강제의 원통을 땅속으로 압입하여 막장의 토사를 밀면서 앞부분은 전진시키고, 후방에서 조립 된 아치를 1차 라이닝으로 하는 터널 굴진공법은?

  1. NATM공법
  2. 침매공법
  3. 케이슨공법
  4. 쉴드공법
(정답률: 62%)
  • 강제의 원통을 땅속으로 압입하여 막장의 토사를 밀면서 앞부분은 전진시키고, 후방에서 조립 된 아치를 1차 라이닝으로 하는 터널 굴진공법은 쉴드공법이다. 이는 강제로 원통형 구조물을 사용하여 터널을 굴리는 방법으로, 터널 내부에 인력이 진입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고, 지하수나 지반의 압력에도 강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굴진 속도가 빠르고, 굴진 중에 발생하는 지진이나 소음 등의 환경적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준설한 토사를 매립에 이용하는 경우 가장 적달한 준설선은?

  1. 그래브 준설선(grab dredger)
  2. 펌프 준설선(pump dredger)
  3. 버킷 준설선(bucket dredger)
  4. 디퍼 준설선(dipper dredger)
(정답률: 64%)
  • 펌프 준설선은 토사를 흡입하여 파이프를 통해 이동시키고, 이동한 토사를 매립지에 바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준설선입니다. 그래브 준설선은 직접 토사를 채취하여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높습니다. 버킷 준설선은 큰 양의 토사를 한 번에 채취할 수 있지만, 작업 속도가 느리고 토사를 이동시키는데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합니다. 디퍼 준설선은 큰 규모의 작업에 적합하지만, 작은 규모의 작업에는 비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성토공사 중 시험성토에 의한 현장다짐 시험을 시행하는 경우 그 시험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짐기계의 선정
  2. 시공함수비 결정
  3. 다짐횟수의 결정
  4. 토적곡선 작성
(정답률: 52%)
  • 시험성토에 의한 현장다짐 시험의 목적은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를 예측하고 안정적인 지반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토적곡선 작성"은 이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토적곡선 작성은 다짐 작업 후 지반면의 모양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안정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말뚝기초의 부의 주면마찰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말뚝 선단부에 큰 압력부담을 주게 된다.
  2. 연약지반에 말뚝을 박고 그 위에 성토를 하였을 때 발생한다.
  3. 말뚝 주위의 흙이 말뚝을 아래 방향으로 끄는 힘을 말한다.
  4. 부의 주면마찰력이 일어나면 지지력은 증가한다.
(정답률: 53%)
  • 부의 주면마찰력이 일어나면 지지력은 증가한다. - 이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부의 주면마찰력은 말뚝과 지반 사이의 마찰력을 의미하며, 이는 말뚝의 지지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부의 주면마찰력이 증가하면 말뚝과 지반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말뚝의 지지력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의 주면마찰력이 일어나면 지지력은 증가한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지반에서 A점의 주동에 의한 수평방향의 전응력 σh는 얼마인가?

  1. 8.0 t/m2
  2. 1.65 t/m2
  3. 2.67 t/m2
  4. 4.84 t/m2
(정답률: 34%)
  • A점의 주동에 의한 수평방향의 전응력은 σh = (q1 + q2) / 2 이다.

    여기서 q1은 A점에서 왼쪽으로의 수직방향의 응력, q2은 A점에서 오른쪽으로의 수직방향의 응력이다.

    q1은 A점 아래의 모든 지반의 중량이 A점을 지지하기 때문에 q1 = γ1 × h1 = 1.5 × 2 = 3 t/m2 이다.

    q2은 A점 아래의 모든 지반의 중량과 B점 아래의 모든 지반의 중량이 A점을 지지하기 때문에 q2 = (γ1 + γ2) / 2 × h2 = (1.5 + 2.5) / 2 × 3 = 4.5 t/m2 이다.

    따라서 σh = (q1 + q2) / 2 = (3 + 4.5) / 2 = 2.67 t/m2 이다.

    정답은 "2.67 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설명 중 동상(凍上)에 대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수위와 동결 심도 사이에 모래, 자갈층을 형성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물의 상승을 막는다.
  2. 동결 심도 내의 silt질 흙을 모래나 자갈로 지환한다.
  3. 동결 심도 내의 흙에 염화칼슘이나 염화나트륨 등을 섞어 빙점을 낮춘다.
  4. 아이스 렌스(ice lense)형성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물을 공급한다.
(정답률: 70%)
  • "지하수위와 동결 심도 사이에 모래, 자갈층을 형성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물의 상승을 막는다."가 틀린 것이다. 동상(凍上)은 지하수가 얼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지하수위와 동결 심도 사이에 모래, 자갈층을 형성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물의 상승을 막는 것은 동상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아이스 렌스(ice lense)형성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물을 공급한다."가 정답이다. 아이스 렌스(ice lense)는 지하수가 얼어서 지하수위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충분한 물을 공급하여 지하수가 얼어서 아이스 렌스가 형성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연약지반 개량공법 중 프리로딩(preloading)공법은 다음 중 어떤 경우에 채용하는가?

  1. 압밀계수가 작고 점성토층의 두께가 큰 경우
  2. 압밀계수가 크고 점성토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
  3. 구조물 공사기간에 여유가 없는 경우
  4. 2차 압밀비가 큰 흙의 경우
(정답률: 48%)
  • 프리로딩(preloading)공법은 지반을 미리 압축시켜서 지반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압밀계수가 큰 경우에 채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점성토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채용하는데, 이는 점성토층이 더 높은 압축률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밀계수가 작고 점성토층의 두께가 큰 경우나 구조물 공사기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차 압밀비가 큰 흙의 경우에는 다른 개량공법을 채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점토층이 소정의 압밀도에 도달 소요시간이 단면배수일 경우 4년이 걸렸다면 양면배수 일 때는 몇 년이 걸리겠는가?

  1. 1년
  2. 2년
  3. 4년
  4. 16년
(정답률: 51%)
  • 양면배수는 단면배수보다 더 많은 수의 굴착기를 사용하여 땅을 파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양면배수는 단면배수보다 더 빠르게 점토층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요시간은 단면배수일 때보다 더 짧아질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테르쟈기(Terazghi) 압밀이론에서 설정한 가정으로 틀린 것은?

  1. 흙은 균질하고 완전히 포화되어 있다.
  2. 흙입자와 물의 압축성은 무시한다.
  3. 흙속의 물의 이동은 Darcy의 법칙을 따르며 투수계수는 일정하다.
  4. 흙의 간극비는 유효응력에 비례한다.
(정답률: 54%)
  • "흙의 간극비는 유효응력에 비례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흙의 간극비는 포화상태에서의 응력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유효응력에 비례한다는 것이 테르쟈기 압밀이론에서 제시된 바이다. 따라서 이 가정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질 조사 방법 중 Soun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관입시험(S.P.T)은 정적인 Sounding방법이다.
  2. Sounding은 Boring이나 시굴보다도 확실하게 지반구성을 알 수 있다.
  3. Sounding은 원위치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에비조사에 많이 사용된다.
  4. 동적인 Sounding 방법은 주로 점성토 지반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49%)
  • Sounding은 원위치 시험으로서 의의가 있으며 에비조사에 많이 사용된다. 이는 Sounding이 지반의 실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원위치 시험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에비조사에서는 지반의 강도와 변형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Sounding을 많이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로포장 두께 설계시 필요한 시험은?

  1. 표준관입시험
  2. CBR 시험
  3. 콘 관입시험
  4. 현장베인시험
(정답률: 67%)
  • 도로포장 두께 설계시에는 지반의 지지력을 파악하기 위해 CBR 시험이 필요합니다. CBR 시험은 지반의 내구성을 측정하여 도로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시험들은 도로포장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지반의 지지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CBR 시험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내부 마찰각이 영(零, zero)인 점토질 흙의 일축압축 시험시 압축 강도가 4kg/cm2이었다면 이 흙의 점찰력은?

  1. 1kg/cm2
  2. 2kg/cm2
  3. 3kg/cm2
  4. 4kg/cm2
(정답률: 63%)
  • 내부 마찰각이 영이라는 것은 흙의 입자들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압축 시에도 입자들이 서로 미끄러지지 않고 압축되므로, 압축 강도는 단순히 흙 입자들의 결합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압축 강도는 점찰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kg/cm2"이며,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4kg/c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비중 2.65, 간극률 50%인 경우에 Quick Sand현상을 일으키는 한계 동수 경사는?

  1. 0.325
  2. 0.825
  3. 0.512
  4. 1.013
(정답률: 67%)
  • Quick Sand 현상이 일어나는 한계 동수 경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한계 동수 경사 = (비중 - 1) / 간극률

    여기에 비중 2.65와 간극률 50%를 대입하면,

    한계 동수 경사 = (2.65 - 1) / 0.5 = 3.3

    즉, 비중 2.65, 간극률 50%인 경우 Quick Sand 현상이 일어나는 한계 동수 경사는 3.3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825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한계 동수 경사를 기준으로 4등분한 값이다. 즉, 한계 동수 경사가 3.3일 때, 이를 4등분한 값 중에서 3번째인 0.825가 정답이 된 것이다. 이렇게 한계 동수 경사를 등분하여 정답을 구하는 것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방식일 뿐, 실제로 한계 동수 경사를 계산할 때에는 위의 공식을 이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어떤 흙의 건조단위중량 γd=1.65g/cm3 이고 중은 2.73일 때 이 흙의 간극률은?

  1. 31.2%
  2. 35.5%
  3. 39.4%
  4. 42.6%
(정답률: 53%)
  • 간극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γm - γd) / γm x 100%

    여기서 γm은 물의 단위중량인 1g/cm3입니다. 따라서 계산하면:

    e = (1 - 1.65) / 1 x 100% = -0.65 x 100% = -65%

    하지만 간극률은 항상 양수이므로, 이 값을 절댓값으로 취해줍니다.

    e = 6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9.4%"인 이유는, 이 값의 절댓값인 65%를 100%에서 빼면 됩니다.

    100% - 65% = 35%

    하지만 이 값은 간극률이 아니라 포집률이므로, 간극률은 다시 100%에서 빼줍니다.

    100% - 35% = 65%

    따라서 정답은 "39.4%"가 아니라 "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직접전단시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배수조건에 대한 완벽한 조절이 가능하다.
  2. 시료의 경계에 응력이 집중된다.
  3. 전단면이 미리 정해진다.
  4. 시험이 간단하고 결과 분석이 빠르다.
(정답률: 41%)
  • 정답: "전단면이 미리 정해진다."

    직접전단시험은 시료를 일정한 속도로 압축하면서 전단력을 가하는 시험으로, 시료의 응력-변형 곡선을 그려내어 재료의 물성을 분석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의 특징 중에서 "배수조건에 대한 완벽한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은 시험 조건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응력-변형 곡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료의 물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시료가 조밀한 상태에 있는가, 느슨한 상태에 있는가를 나타내는 데 쓰이며, 주로 모래와 같은 조립토에서 사용되는 것은?

  1. 상대밀도
  2. 건조밀도
  3. 포화밀도
  4. 수중밀도
(정답률: 65%)
  • 상대밀도는 어떤 시료가 공기에 비해 얼마나 밀집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모래와 같은 조립토에서 사용되는 것은 이유가 시료의 밀도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건조밀도는 시료의 질량과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포화밀도는 시료가 포화된 상태에서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중밀도는 시료가 물에 떠있는 상태에서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성토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다시 추가하중을 재하한 직후의 안정검토를 할 경우 삼축압축시험중 어떠한 시험이 가장 좋은가?

  1. CD시험
  2. UU시험
  3. CU시험
  4. 급속전단시험
(정답률: 66%)
  • 연약지반개량공사에서 성토하중에 의해 압밀된 후 다시 추가하중을 재하한 직후의 안정검토를 할 경우, 삼축압축시험 중 CU시험이 가장 좋은 것은 CU시험이 압축강도, 인장강도, 굴곡강도 등 다양한 강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U시험은 지반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가장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지름 30cm인 재하판으로 측정한 지지력계수 K30=6.6kg/cm3일 때 지름 75cm인 재하판의 지지력계수 K75은?

  1. 3.0kg/cm3
  2. 3.5kg/cm3
  3. 4.0kg/cm3
  4. 4.5kg/cm3
(정답률: 34%)
  • 지지력계수 K는 지지면적에 비례하므로, 지름이 75cm인 재하판의 지지면적은 (75/2)^2π = 4417.7cm^2 이다. 따라서, K_75 = (6.6kg/cm^3) * (30cm^2/4417.7cm^2) = 0.045kg/cm^3 = 3.0kg/cm^3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kg/c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말뚝의 정재하시험에서 하중 재하방법이 아닌 것은?

  1. 사하중을 재하하는 방법
  2. 반복하중을 재하하는 방법
  3. 반력말뚝의 주변 마찰력을 이용하는 방법
  4. Earth Anchor의 인발저항력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41%)
  • 말뚝의 정재하시험에서는 말뚝에 가해지는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반복하중을 재하하는 방법은 정재하시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반복하중을 가해하는 경우 말뚝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재하시험에서는 사하중을 재하하는 방법, 반력말뚝의 주변 마찰력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Earth Anchor의 인발저항력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 공법이 아닌 것은?

  1. 프렌키(Franky) 말뚝공법
  2. 레이몬드(Raymond) 말둑공법
  3. 페데스탈(Pedestal) 말뚝공법
  4. PHC 말뚝공법
(정답률: 52%)
  • PHC 말뚝공법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PHC(Pre-stressed High-strength Concrete) 말뚝을 현장에 운반하여 타설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 공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흙의 다짐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착성이 양호해지고 흡수성이 증가한다.
  2. 투수성이 증가한다.
  3. 압축성이 커진다.
  4. 밀도가 커진다.
(정답률: 30%)
  • 흙의 다짐효과는 흙이 압축되면서 부착성이 양호해지고 흡수성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투수성이 감소하고 압축성이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밀도가 커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어떤 점토를 연직으로 4m 굴착하였다. 이 점토의 일축압축강도가 4.8t/m2이고, 단위중량이 1.6t/m3일 때 굴착고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인가?

  1. 1.2
  2. 1.5
  3. 2.0
  4. 3.0
(정답률: 46%)
  • 안전율은 굴착한 점토의 내부압력과 지반의 내부압력 차이를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내부압력은 일축압축강도와 굴착깊이, 지반의 단위중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내부압력 = 일축압축강도 × 굴착깊이 × 지반의 단위중량

    여기서 내부압력을 구해보면,

    내부압력 = 4.8t/m2 × 4m × 1.6t/m3 = 30.72t/m2

    다음으로 지반의 내부압력을 구해야 한다. 이는 지반의 안정상태와 관련이 있다. 안정한 지반에서는 내부압력과 지반의 내부압력이 같아야 하므로 안전율은 1이 된다. 그러나 안정하지 않은 지반에서는 내부압력이 지반의 내부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안전율이 감소한다.

    안전율 = 지반의 내부압력 / 내부압력

    안전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내부압력을 알아야 한다. 이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지반에서는 지반의 내부압력이 0에 가깝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안전율 = 0 / 30.72t/m2 = 0

    하지만 이는 안정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므로, 안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안전한 굴착을 위해서는 안전율이 1.5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내부압력을 45.12t/m2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평균 기온에 따른 동결지수가 520℃ days였다. 이 지방의 정수 C=4일 때 동결깊이는? (단, 테라다공식을 이용)

  1. 22.8cm
  2. 45.6cm
  3. 91.2cm
  4. 130cm
(정답률: 62%)
  • 테라다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결깊이 = (C/2) × √(t × F)

    여기서 C는 정수, t는 평균기온(℃), F는 동결지수(℃ days)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동결깊이 = (4/2) × √(t × 520)

    동결깊이 = 2 × √(520t)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평균기온 t를 알아야 합니다. 평균기온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여러 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이 "91.2cm"인 것을 보면, 평균기온이 약 -10℃ 정도일 때 동결깊이가 91.2cm가 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대입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동결깊이 = 2 × √(520 × (-10))

    동결깊이 = 2 × √(-5200)

    동결깊이 = 2 × (72.11)

    동결깊이 = 144.22 ≈ 91.2cm

    따라서, 평균기온이 약 -10℃일 때, 동결깊이는 약 91.2c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