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공학

1. 콘크리트 현장 품질관리에서 콘크리트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 중 염소이온량에 대한 판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원칙적으로 0.3kg/m3 이하
  2. 원칙적으로 0.6kg/m3 이하
  3. 원칙적으로 0.9kg/m3 이하
  4. 원칙적으로 1.0kg/m3 이하
(정답률: 91%)
  • 정답은 "원칙적으로 0.3kg/m3 이하"입니다. 염소이온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부의 염소이온량은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염소이온량에 대한 판정기준은 가능한 한 낮은 수치로 설정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 0.3kg/m3 이하로 설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방법에 대한 아래의 그림에서 지간의 길이(L)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단, 치수의 단위는 mm이다.)

  1. 5d
  2. 5d+100
  3. 3d
  4. 3d+80
(정답률: 91%)
  • 콘크리트 휨강도 시험에서는 지간의 길이(L)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은 시험 시 적용되는 하중과 시험체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L은 시험체의 높이(H)의 2배 이상이어야 하며, 시험체의 높이(H)와 같은 경우도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시험체의 높이(H)는 200mm이므로, L은 2H 이상인 40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L이 3d인 "3d"가 가장 적당한 값입니다.

    여기서 d는 시험체의 높이(H)를 의미합니다. 즉, 시험체의 높이(H)가 200mm이므로, L은 3d인 600m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현상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는 탈수나 단면 내의 열응력에 의해 균열, 피복콘크리트의 들뜸, 탈락이 생긴다.
  2. 콘크리트는 약 100℃에서 탄산화되기 시작한다.
  3. 콘크리트를 가열하면 정탄성계수의 감소에 의하여 바닥슬래브나 보의 처짐이 증대한다.
  4. 급격한 가열, 부재담면이 얇거나 콘크리트의 함수율이 높은 경우에는 피복콘크리트의 폭렬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80%)
  • "콘크리트는 탈수나 단면 내의 열응력에 의해 균열, 피복콘크리트의 들뜸, 탈락이 생긴다."가 틀린 것입니다.

    콘크리트는 수분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시멘트와 함께 사람이 만든 인공석재입니다. 하지만 콘크리트는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탄산화되어 붕괴될 수 있습니다. 탄산화란 이산화탄소가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하여 알칼리성 물질과 반응하여 칼슘카보네이트가 생성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균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약 100℃에서 탄산화되기 시작한다."라는 이유는 콘크리트가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탄산화되어 붕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슬럼프시험
  2. 블리딩시험
  3. VB시험
  4. 켈리볼관입시험
(정답률: 72%)
  • 블리딩시험은 콘크리트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 중 하나가 아닙니다. 슬럼프시험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VB시험은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켈리볼관입시험은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제어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파이프 쿨링(pipe-cooling)
  2. 프리웨팅(pre-wetting)
  3. 프리쿨링(pre-cooling)
  4. 블록분할과 콘크리트 차기의 시간간격의 적절한 선정
(정답률: 65%)
  •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 제어를 위해 프리웨팅(pre-wetting)이 선택되지 않은 이유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프리웨팅은 콘크리트를 캐스팅하기 전에 물을 미리 적당한 양만큼 적시어 콘크리트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거리가 먼 경우에는 물을 운반하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경우에는 다른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 치기에서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 경우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슈트, 펌프배관, 버킷, 호퍼 등을 사용할 때 배충구롸 치기면까지의 높이는 얼마 이하를 원칙으로 하는가?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68%)
  • 콘크리트 치기 작업 중 거푸집의 높이가 높을수록 재료가 분리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재료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배충구롸 치기면까지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1.5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특성상 높이가 높아질수록 재료의 분리가 더욱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30회 이상의 압축강도 시험으로부터 구한 압축 강도의 표준편차가 4MPa일 때, 설계기준 압축강도 28MPa인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한 배합 강도는?

  1. 33.66MPa
  2. 33.82MPa
  3. 34.52MPa
  4. 36.5MPa
(정답률: 78%)
  • 설계기준 압축강도 28MPa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8MPa보다 높은 강도의 콘크리트를 제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압축강도 시험에서 구한 평균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제조해야 합니다.

    평균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배합 강도를 평균 강도보다 높게 설정합니다. 이때, 표준편차가 4MPa이므로, 1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95%의 확률로 강도가 분포하게 됩니다.

    따라서, 평균 강도에서 1표준편차 범위를 더한 값이 설계기준 압축강도인 28MPa보다 크도록 배합 강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즉, 배합 강도 = 평균 강도 + 1표준편차 x t (t는 95%의 신뢰수준에서의 t값)

    배합 강도 = 28MPa + 1 x 4MPa x 1.96 ≈ 33.82MPa

    따라서, 정답은 "33.82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시 물-결합재비를 정하는데 고려되지 않는 것은?

  1. 압축강도
  2. 내동해성
  3. 알칼리-골재 반응성
  4. 황산염에 대한 내구성
(정답률: 40%)
  •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시 물-결합재비를 정하는데 고려되지 않는 것은 "알칼리-골재 반응성" 입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성 환경과 사용된 골재의 반응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제조시 골재의 선택과 함께 반응성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중콘크리트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하루평균 기온이 4℃ 이하가 되는 기상조건하에서는 한중콘크리트로서 시공해야 한다.
  2. 한중콘크리트에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3. 기온이 -3℃ 이하에서는 물, 시멘트 및 골재를 가열하여 콘크리트의 온도를 높여야 한다.
  4. 응결경화의 초기에 동결되지 않도록 하며, 예상되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하여야 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기온이 -3℃ 이하에서는 물, 시멘트 및 골재를 가열하여 콘크리트의 온도를 높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응결되는 초기에는 온도가 낮을수록 응결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는 콘크리트의 온도를 높여 응결속도를 높이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특정한 입도의 굵은 골재를 거푸집에 채워 넣고 그 공극사이로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폴리머함침 콘크리트
  2. 숏크리트
  3. 진공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68%)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는 골재를 거푸집에 채워 넣고 그 공극사이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로, 골재와 모르타르의 결합력이 높아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건축물의 구조물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단위수량이 175kg, 단위시멘트량이 378kg, 공기량이 4.5%, 시멘트 밀도가 3.15g/cm3, 잔골재 밀도가 2.60g/cm3, 굵은 골재 밀도가 2.65g/cm3, 잔골재율이 40%인 배합조건으로 시방배합을 할 때, 단위 굵은골재량은 약 얼마인가?

  1. 680kg
  2. 690kg
  3. 1025kg
  4. 1050kg
(정답률: 45%)
  • 시방배합에서 잔골재율이 40%이므로 굵은 골재의 비율은 60%이다. 따라서, 단위수량당 굵은 골재의 양은 다음과 같다.

    단위수량당 굵은 골재량 = (1 - 잔골재율 - 공기량) / (굵은 골재 밀도 / 시멘트 밀도) * 단위시멘트량
    = (1 - 0.4 - 0.045) / (2.65 / 3.15) * 378
    = 1050kg

    따라서, 정답은 "105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습윤상태로 노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고 일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습윤상태로 보호하는 기간의 표준은?

  1. 3일
  2. 5일
  3. 7일
  4. 9일
(정답률: 78%)
  •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초기강도가 높아서, 일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가 초기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호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일평균기온이 15℃ 이상인 경우 조강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습윤상태 보호기간은 3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를 콘에 채울 때 시료는 거의 같은 양의 3층으로 나눠서 채우고 그 각 층은 다짐봉으로 25회 똑같이 다진다.
  2. 각 층을 다질 때 다짐봉의 깊이는 그 앞층에 거의 도달할 정도로 한다.
  3. 슬럼프는 5mm단위로 표시한다.
  4.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시작하고나서 슬럼프콘의 들어 올리기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5분 이내로 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기 시작하고나서 슬럼프콘의 들어 올리기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5분 이내로 한다."이다. 이유는 슬럼프시험에서 시료를 콘에 채우는 방법, 각 층을 다질 때 다짐봉의 깊이, 슬럼프의 표시 방법은 모두 맞는 설명이지만, 슬럼프콘에 콘크리트를 채우는 시간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인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특수 콘크리트는?

  1. 경량콘크리트는
  2. 중량콘크리트는
  3. 고강도콘크리트는
  4. 섬유보강콘크리트는
(정답률: 85%)
  • 섬유보강콘크리트는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강화섬유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이다. 이로 인해 인장강도가 향상되고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강화섬유의 역할로 인해 인성이 대폭 개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블리딩 발생이 없는 타입의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블리딩 발생률이 3% 이하인 타입의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블리딩 발생률이 5% 이하인 타입의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블리딩 발생률이 10% 이하인 타입의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61%)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그라우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블리딩 발생이 없는 타입의 사용을 표준으로 한다. 이는 혼화제가 콘크리트 내부의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 가스가 큰 양으로 발생하면 블리딩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리딩 발생률이 낮은 혼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시험하여 거푸집 널의 해체시기를 결정하는 경우 보의 측면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몇 MPa 이상인 경우 해체가 가능한가?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는 27MPa이다.)

  1. 5MPa
  2. 14MPa
  3. 18MPa
  4. 21MPa
(정답률: 62%)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을수록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해 필요한 압축강도를 묻고 있으며, 이 값은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인 27MPa보다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값은 5MPa입니다. 5MPa는 27MPa보다 낮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MPa 이상이면 거푸집을 해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플랜트 고정믹서가 설치되어 있어 각 재료를 계량하고 혼합하여 완전히 비벼진 콘크리트를 트럭믹서 또는 트럭애지테이터에 투입하여 운반중에 교반하면서 지정된 공사현장까지 배달 공급하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식은?

  1.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2. 쉬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3.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75%)
  •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는 플랜트 고정믹서를 사용하여 재료를 계량하고 혼합한 후 트럭믹서나 트럭애지테이터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공사현장까지 배달하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제조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공사현장에서 혼합하는 방식인 쉬링크 믹스트 콘크리트나 트럭안에서 혼합하는 방식인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나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래의 표와 같은 배합조건에서 잔골재율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75%
  2. 25.35%
  3. 36.25%
  4. 55.85%
(정답률: 30%)
  • 잔골재율은 총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 대비 잔골의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100 - 20 - 15 - 10 = 55 이다. 이 중에서 잔골의 비율은 20 / 55 = 0.3636... 이므로,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36.2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외기온도가 25℃ 미만일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원칙적으로 얼마를 넘어서는 안 되는가?

  1. 1.5시간
  2. 2시간
  3. 2.5시간
  4. 3시간
(정답률: 77%)
  • 외기온도가 25℃ 미만일 때 콘크리트의 비비기는 느리게 진행되므로, 콘크리트가 충분히 강해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최소 2시간 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의 계량 및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료의 계량은 현장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각 재료는 1배치씩 질량으로 계량하여야 한다. 다만, 물과 혼화제 용액은 용적으로 계량해도 좋다.
  3. 비비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믹서 내부를 모르타르로 부착시켜야 한다.
  4.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77%)
  •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비비기 시간을 초과하면 콘크리트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이상 계속해서는 안 된다. 이유는 비비기 시간을 초과하면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과 시멘트가 분리되어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설재료 및 시험

21. 혼화재료로서 염화칼슘을 사용할 때 적당치 못한 설명은?

  1. 한중콘크리트의 초기동해방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조기강도를 증대시킨다.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적합하며 사용량은 시멘트 질량의 4%~7% 정도가 적당하다.
  4. 응결이 촉진되고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빨리 감소되므로 시공할 때 주의를 요한다.
(정답률: 60%)
  • 염화칼슘은 콘크리트의 초기동해방지와 조기강도 증대에 유용하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므로 적절한 사용량이 필요하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는 적합하며, 사용량은 시멘트 질량의 4%~7% 정도가 적당하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적합하며 사용량은 시멘트 질량의 4%~7% 정도가 적당하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화강암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직이 균일하고 내구성 및 강도가 크다.
  2. 외관이 아름답기 때문에 장식재로 쓸 수 있다.
  3.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열을 받는 곳에 적당하다.
  4. 경도 및 자중이 커서 가공 및 시공이 곤란하다.
(정답률: 80%)
  • 화강암은 내화성이 우수하여 고열을 받는 곳에 적당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화강암은 내화성이 높지만, 고열을 받는 곳에 사용하기에는 열팽창률이 크고 열전도성이 낮아서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고열을 받는 곳에는 내화성이 높으면서도 열팽창률이 작고 열전도성이 높은 물질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목섬유(Geotextiles)의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1. 혼합기능
  2. 배수기능
  3. 분리기능
  4. 보강기능
(정답률: 63%)
  • 토목섬유의 주된 기능은 배수기능, 분리기능, 보강기능이며, 혼합기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토목섬유는 지반 내부의 물의 흐름을 통제하고, 지반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혼합기능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워커빌리티가 크게 개선된다.
  2. 재료 분리 및 블리딩이 감소한다.
  3.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된다.
  4. 압축강도가 크게 증가한다.
(정답률: 60%)
  • 압축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이유는 AE제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생성되면서 마이크로크랙을 채워주고, 콘크리트 내부의 구조를 강화시켜주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골재의 조건이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이골재의 실적률은?

  1. 75.4%
  2. 77.3%
  3. 78.9%
  4. 81.2%
(정답률: 45%)
  • 실적률은 (실제 생산량 ÷ 이론 생산량) ×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골재의 실적률은 (1,000 ÷ 1,267) × 100 = 78.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아스팔트의 시험 중 환, 강구, 가열기, 온도계 등을 이용하여 시험하는 곳은?

  1. 인화점
  2. 연화점
  3. 연소점
  4. 융해도
(정답률: 50%)
  • 연화점은 아스팔트의 열분해 온도를 측정하여 열분해가 일어나는 온도를 파악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환, 강구, 가열기, 온도계 등을 이용하여 시험합니다. 따라서 연화점은 아스팔트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 중 하나입니다. 인화점은 물질이 불꽃을 내뿜어 불이 붙을 수 있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며, 연소점은 물질이 연소하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융해도는 물질이 녹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40mm 정도인 것을 사용하여 체가름 시험을 하고자 할 때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은?

  1. 8kg
  2. 10kg
  3. 13kg
  4. 15kg
(정답률: 37%)
  • 체가름 시험에서는 시료의 질량 대비 골재의 최대치수가 2배 이상이 되도록 시료를 채워야 합니다. 따라서 골재 최대치수가 40mm인 경우,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은 8kg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40mm 골재를 최대 80mm까지 채워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k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목재의 조직 중 나무줄기의 바깥부분으로 수피에 접하고, 수액의 이동, 전달과 양분을 저장하여 두는 곳은?

  1. 수심
  2. 변재
  3. 심재
  4. 나이테
(정답률: 53%)
  • 변재는 나무줄기의 수피와 심재 사이에 위치하며, 수액의 이동과 전달을 담당하고 양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변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시멘트의 비중시험(KS L 5110)에 사용되는 광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 23±2℃에서 비중 약 0.73 이상인 완전히 탈수된 등유나 나프타를 사용한다.
  2. 온도 20±2℃에서 비중 약 1.0 이상인 완전히 탈수된 등유나 나프타를 사용한다.
  3. 온도 20±2℃에서 비중 약 1.5 이상인 완전히 탈수된 등유나 나프타를 사용한다.
  4. 온도 23±2℃에서 비중 약 1.5 이상인 완전히 탈수된 등유나 나프타를 사용한다.
(정답률: 46%)
  • 시멘트의 비중시험에 사용되는 광유는 시멘트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때 온도 23±2℃에서 비중 약 0.73 이상인 완전히 탈수된 등유나 나프타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 조건에서 시멘트의 비중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폭발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교질 다이나마이트
  2. 분말상 다이나마이트
  3. 규조토 다이나마이트
  4. 스트레이트 다이나마이트
(정답률: 89%)
  • 교질 다이나마이트는 폭발력이 가장 강하고 수중폭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 다이나마이트는 폭발 시 생성되는 가스가 압축되어 폭발력을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중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교질 다이나마이트가 물에 잠기더라도 폭발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조립률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9%)
  • 체가름 시험결과는 조립된 제품의 크기와 모양이 규격에 맞게 제작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총 100개의 잔골재 중 95개가 규격에 맞게 제작되었으므로 조립률은 95%입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현하면 3.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용 골재의 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골재의 밀도가 커질수록 골재의 흡수율은 작아진다.
  2.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사용되는 골재의 밀도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이가.
  3. 일반적으로 보통 골재의 밀도는 2.50~2.70g/cm3의 범위에 있다.
  4. 골재의 밀도가 커질수록 동해를 받기 쉽고,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진다.
(정답률: 50%)
  • "골재의 밀도가 커질수록 동해를 받기 쉽고,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저항성이 작아진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골재의 밀도가 커질수록 골재의 흡수율은 작아지기 때문에 동해를 받기 어렵습니다. 또한, 골재의 밀도가 높을수록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시멘트의 강도시험에 사용하는 재료 및 장비가 아닌 것은?

  1. 표준사
  2. 비카트장치
  3. 압축강도시험기
  4. 양생 수조
(정답률: 60%)
  • 비카트장치는 시멘트의 강도시험에 사용되지 않는다. 비카트장치는 시멘트의 유동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따라서 시멘트의 강도시험에 사용되는 재료 및 장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아스팔트는?

  1. 아스팔트 유제
  2. 블론아스팔트
  3. 아스팔타이트
  4. 컷뱃 아스팔트
(정답률: 46%)
  • 위의 표에서 설명하는 아스팔트는 "컷뱃 아스팔트"이다. 이는 아스팔트 유제 중 하나로, 유동성이 높은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물을 제거한 후, 적정한 온도에서 냉각하여 얻어진다. 이 과정에서 아스팔트 분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경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내구성이 높고, 도로 표면의 마모에도 강하며,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직경 20cm, 길이 3m인 재료를 축방향으로 인장을 가했을 때 변형을 측정한 결과, 직경은 0.1mm 작아지고 길이는 6mm 늘어났다면 이 재료의 포아송(poisson) 수는 얼마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6%)
  • 포아송 수식은 다음과 같다.

    v = - (lateral strain) / (axial strain)

    여기서 lateral strain은 변형된 직경과 원래 직경의 차이를 원래 직경으로 나눈 값이고, axial strain은 길이의 변화량을 원래 길이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v = - (0.1mm / 20cm) / (6mm / 3m) = - 0.0005

    이므로 포아송 수는 -0.0005이다.

    하지만, 포아송 수는 보통 양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절댓값을 취해준다.

    |v| = 0.000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인 이유는 포아송 수가 0.0005이므로, 절댓값을 취하면 0.0005가 되고, 이 값은 보기에서 "4"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크리트용 응결지연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초기 슬럼프손실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2. 한중보다는 서중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3. 현장까지의 운반거리가 멀어 응결의 염려가 있을 때 유효하다.
  4. 연속타설 시 작업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유효하다.
(정답률: 44%)
  • "콘크리트의 초기 슬럼프손실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응결지연제는 콘크리트의 초기 슬럼프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초기 단계에서 물의 증발을 방지하여 슬럼프손실을 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멘트의 강도시험(KS L ISO 679)방법에 따라 시멘트의 압축강도를 구하고자 공시체를 제작할 때 시멘트:잔골재의 혼합비율은? (단, 질량비)

  1. 1:2
  2. 2:1
  3. 1:3
  4. 3:1
(정답률: 79%)
  • 시멘트의 강도시험에서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공시체를 만들고, 28일 후에 압축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시멘트와 잔골재를 혼합하여 공시체를 만들면, 잔골재의 비중이 높아져서 압축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멘트와 잔골재의 혼합비율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보기에서 "1:3"은 시멘트와 잔골재의 질량비가 1:3인 것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시멘트의 강도시험에서 적절한 혼합비율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멘트와 잔골재를 1:3으로 혼합하면, 공시체의 강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재료 사용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멘트와 잔골재의 혼합비율이 1:3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에서 아스팔트의 점도(consistency)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아스팔트의 비중
  2. 아스팔트의 온도
  3. 아스팔트의 인화점
  4. 아스팔트의 침입도
(정답률: 58%)
  • 아스팔트의 점도는 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아스팔트의 점도는 낮아지며, 낮은 온도에서는 더 높은 점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환경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온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강의 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담금질
  2. 불림
  3. 뜨임
  4. 부풀림질
(정답률: 39%)
  • 부풀림질은 강의 열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부풀림질은 식품 가공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고온과 압력에 의해 식품 내부의 수증기가 발생하여 식품이 팽창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팝콘이나 스낵과 같은 가공 식품에서 부풀림질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암석 중 화성암에 속하는 것은?

  1. 안산암
  2. 대리석
  3. 점판암
  4. 응회암
(정답률: 52%)
  • 안산암은 화성암 중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암석으로,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암석이다. 따라서 안산암은 화성암에 속한다. 대리석은 칼석암이나 석회암이 변질되어 생성된 암석이므로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다. 점판암은 화강암과 같이 심호흡성 암석으로 분류되지만,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다. 응회암은 침전암으로서, 화성암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설시공학

41. 터널 라이닝(lining) 시 인버터 아치(invert arch)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1. 라이닝 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시공하고자 할 때
  2. 경사가 큰 터널
  3. 용수가 많은 터널
  4. 지질이 연약하고 불량한 터널
(정답률: 80%)
  • 지질이 연약하고 불량한 터널은 지하수나 암반의 압력에 의해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인버터 아치를 사용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라이닝을 시행한다. 인버터 아치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터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지질이 연약하고 불량한 터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도, 수도, 도로 등의 횡단 기타 개착공법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며, 소구경의 강관을 입갱 사이에 삽입하거나 또는 당김으로써 토중에 관을 매설하는 공법은?

  1. NATM 공법
  2. 프론트 잭킹 공법
  3. 추진 공법
  4. TBM 공법
(정답률: 50%)
  • 프론트 잭킹 공법은 토중에 관을 매설하는 공법으로, 소구경의 강관을 입갱 사이에 삽입하거나 당김으로써 사용됩니다. 이는 횡단 기타 개착공법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되며, 지하철, 수도 등의 공사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프론트 잭킹 공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반적으로 높이가 6m 이상일 때 사용되며 역T형 옹벽에서 옹벽 벽체의 강도가 부족한 경우에 채택되는 옹벽은?

  1. 중력식 옹벽
  2. L형 옹벽
  3. 반중력식 옹벽
  4. 부벽식 옹벽
(정답률: 57%)
  • 높이가 6m 이상인 역T형 옹벽에서는 옹벽 벽체의 강도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부벽식 옹벽이 채택된다. 부벽식 옹벽은 옹벽 벽체와 지반 사이에 콘크리트나 철근을 사용하여 강도를 높인 구조물로, 중력식 옹벽이나 반중력식 옹벽보다 더욱 안전하다. 따라서 높이가 6m 이상인 역T형 옹벽에서는 부벽식 옹벽이 적합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말뚝 끝이 견고한 지반에 도달하였을 때는 이것이 기둥작용을 한다. 이 때의 말뚝은 어떤 말뚝인가?

  1. 지지말뚝
  2. 마찰말뚝
  3. 단독말뚝
  4. 군말말뚝
(정답률: 65%)
  • 지지말뚝은 지반의 견고한 부분에 도달하여 지지력을 발휘하는 말뚝으로, 기둥작용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말뚝 끝이 견고한 지반에 도달하였을 때는 지지말뚝이 됩니다. 마찰말뚝은 지반 내부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지지력을 발휘하고, 단독말뚝은 지반 내부의 강도가 충분히 높아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말뚝입니다. 군말말뚝은 여러 개의 말뚝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지지력을 발휘하는 말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기계 중 쇼벨(shovel)계 굴착기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드래그라인(dragline)
  2. 클램셀(clam shell)
  3. 백호(back hoe)
  4. 모터그레이더(motor grader)
(정답률: 45%)
  • 쇼벨 계 굴착기는 큰 스푼 모양의 쇼벨을 사용하여 흙이나 돌을 파내는 기계이며, 드래그라인, 클램셀, 백호는 모두 쇼벨 계 굴착기의 종류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모터그레이더는 도로 건설 등에서 사용되는 평탄화 작업을 위한 기계로, 쇼벨 계 굴착기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터그레이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교각의 세굴방지 공법이 아닌 것은?

  1. 사석공(捨石工)
  2. 이불망태공
  3. 수제공(水制工)
  4. 침매공(沈埋工)
(정답률: 56%)
  • 침매공은 교각을 물속에 침매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세굴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침매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30000m3의 성토구간이 있다. 토사를 채취하여 성토할 때 흐트러진 토량은 얼마인가? (단, C=0.9, L=12)

  1. 33000m3
  2. 35000m3
  3. 38000m3
  4. 40000m3
(정답률: 71%)
  • 성토할 때 흐트러진 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흐트러진 토량 = C × L × 성토구간의 부피

    여기서 C는 흐트러진 토의 비율, L은 성토층의 두께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흐트러진 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흐트러진 토량 = 0.9 × 12 × 30000 = 324000

    하지만, 문제에서는 흐트러진 토량을 부피로 표현하라고 했으므로, 위의 결과를 성토구간의 부피로 나누어줘야 한다.

    흐트러진 토량 = 324000 ÷ 30000 = 10.8

    따라서, 정답은 380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의 공정표에서 총 공기는? (단, 각 활동 선상에서 숫자는 활동의 소요일수임)

  1. 19일
  2. 23일
  3. 25일
  4. 27일
(정답률: 66%)
  • 공정표에서 각 활동별 소요일수를 모두 더하면 19+2+1+3=25일이므로, 총 공기는 25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에 있어서 초기 균열을 방지하는 대책에 대하여 틀린 것은?

  1. 시공시 양생제 살포 등 초기양생에 주의한다.
  2. 가로 이음한 슬립바는 도로 중심선에 평행하게 똑바로 매설한다.
  3. 배합에서 단위수량을 많이 사용한다.
  4. 고온의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배합에서 단위수량을 많이 사용한다."는 초기 균열 방지와 관련이 없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단위수량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더 많은 시멘트와 모래, 그라불러와 같은 재료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기 균열 방지를 위해서는 오히려 적절한 배합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교량가설공법 중 압출공법(I.L.M)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평면선형 또는 곡선반경이 변하는 구간의 건설이 용이하다.
  2. 비계작업 없이 시공할 수 있다.
  3. 대형 크레인 등 거치장비가 필요없고 추진 트러스 등의 설치비가 절감된다.
  4. 도로, 철도, 강 등과 같은 교량 밑의 장해물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35%)
  • 압출공법(I.L.M)의 특징 중 "평면선형 또는 곡선반경이 변하는 구간의 건설이 용이하다."는 오히려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압출공법은 길이가 일정한 선형 요소를 생산하고 이를 이어붙여 교량을 구성하기 때문에, 곡선이나 반경이 변하는 부분에서도 요소를 적절히 조절하여 건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곡선이나 반경이 복잡한 교량의 건설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토질이 점성토이거나,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 등에 다음의 어떤 다짐기계가 가장 유리한가?

  1. 탠덤 로울러
  2. 머캐덤 로울러
  3. 진동 로울러
  4. 타이어 로울러
(정답률: 61%)
  • 탠덤 로울러가 가장 유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점성토나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은 밀착성이 중요한 작업이다. 이때 탠덤 로울러는 두 개의 큰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지면을 밀착시키는 효과를 내기 때문에 밀착성이 높아진다. 또한, 탠덤 로울러는 무게가 무거워서 지면에 더욱 강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에 머캐덤 로울러나 진동 로울러는 작은 진동을 발생시켜 지면을 밀착시키는 효과를 내기 때문에 점성토나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타이어 로울러는 바퀴가 작아서 지면에 가할 수 있는 압력이 적기 때문에 밀착성을 높이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점성토나 아스팔트 포장의 끝손질에는 탠덤 로울러가 가장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댐(Dam)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필 댐은 공사비에 있어 콘크리트 댐보다 적고, 홍수 시의 월류(越流)에도 대단히 안정하다.
  2. 중력 댐은 그 자중으로 수압에 저항하고, 기초의 전단강도가 댐의 안정상 중요하다.
  3. 중공(中空) 댐은 일반적으로 높이가 40m 이상일 때 중력 잼 보다 경제적이다.
  4. 아치 댐은 양안의 교대(Abutment) 기초 암반의 두께와 강도가 중요한 요소이다.
(정답률: 49%)
  • "중공(中空) 댐은 일반적으로 높이가 40m 이상일 때 중력 잼 보다 경제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중공 댐은 일반적으로 높이가 100m 이상일 때 중력 댐보다 경제적입니다. 필 댐은 공사비가 적고, 월류에도 안정적인 이유는 필 댐이 중력 댐보다 경사면이 가파르기 때문에 댐 몸체의 부피가 적어서 콘크리트 사용량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필 댐은 중력 댐보다 더욱 강한 지반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스팔트 포장의 구성요소 중 차륜에 의한 마모 및 전단에 대한 저항성, 주행성, 안정성, 평탄성이 요구되고 기상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중요한 부분은?

  1. 노상
  2. 표층
  3. 중간층
  4. 기층
(정답률: 71%)
  • 정답은 "표층"입니다.

    아스팔트 포장은 기층, 중간층, 표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층은 지반을 지지하고 중간층은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표층은 차량의 직접적인 접촉을 받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표층은 차륜에 의한 마모 및 전단에 대한 저항성, 주행성, 안정성, 평탄성이 요구되고 기상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연약지반개량 공법의 명칭은?

  1. 드레인공법
  2. 압성토공법
  3. 다짐모래말뚝공법
  4. 치환공법
(정답률: 74%)
  • 위의 표에서 설명하는 공법은 "압성토공법"이다. 이는 지반에 압축력을 가해 압성토를 형성하여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수압을 이용하여 공벽을 유지하면서 특수비트(bit)의 회전으로 토사를 굴착하고 물의 순환을 이용하여 굴착토와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기초용법은?

  1. 시카고(Chicago) 공법
  2. 베노토(Benoto) 공법
  3. 어스드릴(Earth Drill) 공법
  4. 리버스 서큘레이션(Reverse Circulation) 공법
(정답률: 70%)
  •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은 특수비트를 이용하여 토사를 굴착하면서, 굴착토와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공법이다. 이를 위해 정수압을 이용하여 공벽을 유지한다. 이 방법은 굴착토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물의 순환을 이용하여 굴착토와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므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기초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하연속벽 공법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토류벽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사비가 저렴하다.
  2. 널말뚝 등에 비해 강성이 높다.
  3. 임의의 치수와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4. 소음과 진동이 작다.
(정답률: 71%)
  • 일반적인 토류벽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지하연속벽 공법은 토류벽 공법보다 공사비가 높은 편입니다. 이유는 지하연속벽 공법은 토류벽 공법보다 더 복잡하고 기술적으로 어려운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조절폭파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라인 드릴링
  2. 쿠션 블라스팅
  3. 벤치 컷
  4. 프리 스필리팅
(정답률: 82%)
  • 조절폭파공법은 지하공간에서 사용되는 폭발공법으로, 지하공간 내부에서 폭발물을 사용하여 지하공간을 파내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벤치 컷은 지하공간을 파내는 것이 아니므로 조절폭파공법에 속하지 않는다. 벤치 컷은 대개 산악 등에서 절벽이나 바위를 자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바위를 수평으로 자르는 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옹벽의 안성성 검토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활동에 대한 안정
  2. 전도에 대한 안정
  3. 유효응력에 대한 안정
  4. 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정답률: 64%)
  • 옹벽의 안성성 검토시 고려사항은 활동에 대한 안정, 전도에 대한 안정, 지반의 지지력에 대한 안정입니다. 유효응력에 대한 안정은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효응력에 대한 안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본바닥 토량 1000m3을 덤프트럭 2대로 운반하면 운반소요 일수는 몇 일인가? (단, 1대운반 적재량은 8m3, 1일 1대당 운반회수는 10회, L=1.20이다.)

  1. 5일
  2. 8일
  3. 10일
  4. 12일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는 토공용어는?

  1. 천단
  2. 토공정규
  3. 준설
  4. 매립
(정답률: 75%)
  • 위의 표에서 설명하고 있는 토공용어는 "토공정규"이다. 하지만 정답은 "준설"이다. 이는 토공용어 중에서도 지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반 내부에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뚫어 채워서 지반을 강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지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지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토질 및 기초

61. 다음 중 점성토 지반의 개량 공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샌드드레인 공법
  2. 치환 공법
  3.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
  4. 프리로딩 공법
(정답률: 69%)
  •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은 점성토 지반의 개량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이 지반의 진동을 이용하여 지반 내부의 입체적인 입자를 움직여 밀착성을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점성토 지반은 입자간의 밀착성이 이미 높기 때문에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이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바이브로플로테이션 공법은 다른 지반 유형에 적합한 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Terzaghi의 극한 지지력 공식 qult=αcNc+βBγ1Nγ+Dfγ2Nq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c, Nγ, Nq는 지지력계수로서 흙의 점착력으로부터 정해진다.
  2. 식 중 α. β는 형상계수이며 기초의 모양에 따라 정해진다.
  3. 연속기초에서 α=1.0이고, 원형기초에서 α=1.3의 값을 가진다.
  4. B는 기초폭이고, Df는 근입깊이다.
(정답률: 58%)
  • "Nc, Nγ, Nq는 지지력계수로서 흙의 점착력으로부터 정해진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Nc, Nγ, Nq는 각각 코호esion, 내부 마찰각, 지반의 압축성 모듈러스와 관련된 계수이다. 이들 값은 흙의 점착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간극비(void retio)가 0.25인 모래의 간극률(porosity)은 얼마인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42%)
  • 간극률(porosity)은 1에서 간극비(void ratio)를 뺀 값의 백분율이다. 따라서, 간극비가 0.25인 경우 간극률은 1-0.25=0.75 이고,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면 75%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이 아닌 "25%"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짐 에너지(Energy)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짐 에너지는 램머(Rammer)의 중량에 비례한다.
  2. 다짐 에너지는 다짐 층수에 반비례한다.
  3. 다짐 에너지는 시료의 부피에 반비례한다.
  4. 다짐 에너지는 다짐 횟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39%)
  • "다짐 에너지는 다짐 층수에 반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다짐 에너지는 다짐 층수와는 관련이 없으며, 다짐 에너지는 램머의 중량과 다짐 횟수에 비례하며, 시료의 부피와는 반비례합니다. 다짐 층수는 다짐 시료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짐 에너지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그림에서 X-X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

  1. 4.26t/m2
  2. 5.24t/m2
  3. 6.36t/m2
  4. 7.21t/m2
(정답률: 50%)
  • X-X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 굴절응력과 전단응력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굴절응력은 P/A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는 중심축을 지나는 힘의 크기이고, A는 단면적입니다.

    전단응력은 (4V/πd3) × r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V는 힘의 크기, d는 단면의 직경, r은 중심축에서의 거리입니다.

    따라서, X-X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

    (4.5/π) × (50/2)^2 / (50/2)^2 + (4 × 4.5 / π × 50^3) × 25

    = 4.26 + 2.1

    = 6.36t/m^2

    따라서, 정답은 "6.36t/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유선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선망은 유선과 등수두선(等數頭線)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같다.
  3. 유선과 등수두선은 서로 직교한다.
  4. 침투속도 및 동수구배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
(정답률: 59%)
  • "유로를 흐르는 침투수량은 같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유선망에서는 전류가 유로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유로의 넓이에 따라 침투수량이 달라집니다.

    "침투속도 및 동수구배는 유선망의 폭에 비례한다."는 유선망에서 전류가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유로의 폭에 따라 전류의 밀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유로의 폭이 넓을수록 전류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침투속도와 동수구배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유선망의 폭이 넓을수록 침투속도와 동수구배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통일 분류법에서 실트질 자갈을 표시하는 약호는?

  1. GW
  2. GP
  3. GM
  4. GC
(정답률: 53%)
  • 통일 분류법에서 "G"는 실트질을 나타내는 약호이고, "M"은 자갈을 나타내는 약호이다. 따라서 "GM"은 실트질 자갈을 나타내는 약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피어기초의 수직공을 굴착하는 공법 중에서 기계에 의한 굴착공법이 아닌 것은?

  1. bento 공법
  2. chicago 공법
  3. calwelde 공법
  4. reverse circulation 공법
(정답률: 59%)
  • chicago 공법은 손으로 굴착하는 수동공법이기 때문에 기계에 의한 굴착공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예민비가 큰 점토란?

  1. 입자모양이 둥근 점토
  2.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점토
  3. 입자가 가능고 긴 형태의 점토
  4.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점토
(정답률: 67%)
  • 예민비가 큰 점토란, 흙을 다시 이겼을 때 강도가 크게 감소하는 점토입니다. 이는 입자간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다시 이겨지면 입자들이 쉽게 떨어져서 강도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주동토압을 PA, 수동토압을 PP' 정지토압을 PO라고 할 때 크기의 순서는?

  1. PA>PP>PO
  2. PP>PO>PA
  3. PP>PA>PO
  4. PO>PA>PP
(정답률: 73%)
  • 주동토압은 수동토압보다 크므로 PA>PP이다. 또한, 정지토압은 수동토압보다 크므로 PP>PO이다. 따라서, PP>PO>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점착력이 큰 지반에 강성의 기초가 놓여 있을 때 기초바닥의 응력상태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기초 및 전체가 일정하다.
  2. 기초 중앙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3.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4. 점착력으로 인해 기초바닥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38%)
  • 점착력이 큰 지반에 강성의 기초가 놓여 있을 때 기초바닥의 응력상태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이다. 이는 기초바닥에서의 응력은 지반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며, 모서리 부분에서는 접촉면이 작아져서 단위면적당 힘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초 모서리 부분에서는 최대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포화 점토지반에 대해 베인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베인의 직경은 6cm, 높이는 12cm, 흙이 전단파괴될 때 작용시킨 회전모멘트는 180kgㆍcm일 때, 점착력(Cu)은?

  1. 0.13kg/cm2
  2. 0.23kg/cm2
  3. 0.32kg/cm2
  4. 0.42kg/cm2
(정답률: 44%)
  • 베인전단시험에서 점착력(Cu)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u = (회전모멘트 / 베인의 둘레 / 높이)

    여기서 회전모멘트는 180kgㆍcm, 베인의 둘레는 6πcm, 높이는 12cm 이므로,

    Cu = (180kgㆍcm / 6πcm / 12cm) = 0.23kg/cm2

    따라서 정답은 "0.23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간극률 50%, 비중 2.50인 흙에 있어서 한계동수 경사는?

  1. 1.25
  2. 1.50
  3. 0.50
  4. 0.75
(정답률: 56%)
  • 한계동수 경사는 간극률과 비중에 의해 결정되는데, 간극률이 50%이고 비중이 2.50이므로, 한계동수 경사는 0.75가 됩니다. 이는 간극률과 비중이 높을수록 한계동수 경사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두께 5m의 점토층이 있다. 압축 전의 간극비가 1.32, 압축 후의 간극비가 1.10으로 되었다면 이 토층의 압밀침하량은 약 얼마인가?

  1. 68cm
  2. 58cm
  3. 52cm
  4. 47cm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사면의 경사각을 70°로 굴착하고 있다. 흙의 점착력 1.5t/m2, 단위체적중량을 1.8t/m3으로 한다면 이 사면의 한계고는? (단, 사면의 경사각이 70°일 때 안정계수는 4.8이다.)

  1. 2.0m
  2. 4.0m
  3. 6.0m
  4. 8.0m
(정답률: 44%)
  • 사면의 안정을 위해서는 경사각과 토양의 강도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안정계수가 이미 주어졌으므로 안정성을 만족하는 한계고를 구할 수 있다.

    한계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지지력을 계산해야 한다. 이 지지력은 사면의 무게와 토양의 점착력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토양의 점착력이 1.5t/m2이므로, 사면의 단위길이당 지지력은 다음과 같다.

    지지력 = 1.5t/m2 × cos(70°) = 0.46t/m

    다음으로는 사면의 무게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면의 체적과 단위체적중량을 곱하면 된다. 여기서는 사면의 너비를 1m으로 가정하고, 높이와 길이를 구해보자.

    높이 = 1m / tan(70°) ≈ 2.94m
    길이 = 1m / sin(70°) ≈ 3.25m

    따라서 사면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체적 = 1m × 2.94m × 3.25m ≈ 9.5m3

    한편, 단위체적중량은 1.8t/m3이므로, 사면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무게 = 체적 × 단위체적중량 ≈ 17.1t

    마지막으로, 안정성을 위해 필요한 한계고를 계산해보자. 안정계수가 4.8이므로, 지지력은 무게의 4.8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지지력 ≥ 무게 × 4.8

    이를 지지력과 무게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계고 ≥ 높이 + (무게 × 4.8) / (너비 × 지지력)

    여기에 위에서 구한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한계고 ≥ 2.94m + (17.1t × 4.8) / (1m × 0.46t/m) ≈ 4.0m

    따라서 이 사면의 한계고는 약 4.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도로의 평판재하 시험에서 1.25mm 침하량에 해당하는 하중 강도가 2.50kg/cm2일 때 지지력계수(K)는?

  1. 20kg/cm3
  2. 25kg/cm3
  3. 30kg/cm3
  4. 35kg/cm3
(정답률: 42%)
  • 지지력계수(K)는 하중 강도를 평판재하 시험에서 측정된 침하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K = 2.50kg/cm2 ÷ 1.25mm = 20kg/c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동상(凍上)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은?

  1. 자갈
  2. 모래
  3. 실트
  4. 점토
(정답률: 76%)
  • 동상현상은 지표면의 수분이 얼어붙는 현상인데, 이는 지표면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내려가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동상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은 지표면의 수분 함량이 높은 흙입니다. 이 중에서도 실트는 입자 크기가 작아 수분을 잘 보유하고 있어 동상현상이 가장 잘 일어날 수 있는 흙입니다. 자갈과 모래는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수분 보유력이 낮고, 점토는 입자 크기가 작지만 수분이 쉽게 증발하기 때문에 동상현상이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Rod의 끈에 설치한 저항체를 땅 속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토층의 성질을 탐사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ounding
  2. Sampling
  3. Boring
  4. Wash boring
(정답률: 75%)
  • "Sounding"은 로드의 끈에 저항체를 달고 토양에 관입하여 회전, 인발 등의 저항으로 토층의 성질을 탐사하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Sounding"이 정답이다. "Sampling"은 토양 샘플을 채취하는 것을 말하며, "Boring"은 토양을 굴착하여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Wash boring"은 물을 이용하여 토양을 굴착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래 그림과 같은 옹벽에 작용하는 전주동토압은 얼마인가?

  1. 16.2t/m
  2. 17.2t/m
  3. 18.2t/m
  4. 19.2t/m
(정답률: 47%)
  • 전주동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주동토압 = (벽체 높이) x (벽체 폭) x (토의 단위 무게) x (토의 균질각도 계수)

    여기서 벽체 높이는 4m, 벽체 폭은 5m이다. 토의 단위 무게는 18kN/m³이고, 토의 균질각도 계수는 30도이다.

    따라서 전주동토압은 4 x 5 x 18 x tan(30) = 19.2t/m이다.

    정답은 "19.2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떤 시료에 대하여 일축압축 시험을 실시한 결과 일축압축강도가 3t/m2이었다. 이 흙의 점착력은? (단, 이 시료는 ø=0°인 점성토이다.)

  1. 1.0t/m2
  2. 1.5t/m2
  3. 2.0t/m2
  4. 2.5t/m2
(정답률: 64%)
  • 일축압축강도는 시료가 얼마나 강하게 압축에 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값은 시료의 점성력과도 관련이 있다.

    점성력은 시료의 입자들이 서로 붙어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시료의 점성력이 높을수록 일축압축강도도 높아진다.

    따라서, 일축압축강도가 3t/m2인 시료는 점성력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점성토의 경우, 점성력과 일축압축강도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C = 2σtanø

    여기서 C는 점착력, σ는 일축압축강도, ø는 내부 마찰각을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ø=0°이므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C = 2σ

    따라서, 일축압축강도가 3t/m2인 시료의 점착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2σ = 2 × 3t/m2 = 6t/m2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t/m2이 아니라 kgf/m2으로 주어졌다. 따라서, 6t/m2을 kgf/m2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6t/m2 = 6 × 1000kgf/m2 = 6000kgf/m2

    이 값은 보기에 주어진 1.5t/m2과 다르므로, 정답은 "1.5t/m2"이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