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7-16)

보석감정사(기능사)
(2006-07-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석학일반

1. 진주의 주요 성분은?

  1. 규소(SiO2)
  2. 탄산칼슘(CaCO3)
  3. 산화철(Fe2O3)
  4. 산화알루미늄(Al2O3)
(정답률: 95%)
  • 진주는 주로 조개나 껍질류의 내부에서 형성되는데, 이 때 조개나 껍질류의 주요 성분인 탄산칼슘(CaCO3)이 진주 내부에서 침전하여 진주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진주의 주요 성분은 탄산칼슘(CaC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밝음(light), 중간(medium), 어두움(dark)으로 표현되는 용어와 관련된 것은?

  1. 색조
  2. 강도
  3. 명도
  4. 브릴리언시
(정답률: 90%)
  • 밝음(light), 중간(medium), 어두움(dark)은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색의 명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명도는 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색의 밝기 정도를 0~100%의 범위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밝음(light), 중간(medium), 어두움(dark)은 색의 명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색조"는 색의 질감, "강도"는 색의 선명도, "브릴리언시"는 색의 광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빛의 반사에 의한 특수현상은?

  1. 래브라도레센스
  2. 이리디센스
  3. 오리엔트
  4. 샤토얀시
(정답률: 83%)
  • 정답은 "샤토얀시"입니다. 샤토얀시는 빛이 반사되어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로, 물 위나 유리 등의 표면에서 발생합니다. 빛이 표면에 닿으면 표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과 원래 빛이 섞여서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과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며, 빛의 광도나 강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브릴리언시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굴절률
  2. 비율
  3. 면의 연마
  4. 비중
(정답률: 84%)
  • 브릴리언시를 결정하는 요소 중 "비중"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브릴리언시는 광선이 물질 내에서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광선의 진행 방향과 물질의 굴절률, 그리고 물질의 밀도와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반면에 "비중"은 물질의 밀도와 관련된 값으로, 물질의 무게와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브릴리언시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터키석(turquoise)의 청색 원인이 되는 화학 성분은?

  1. 구리(Cu)
  2. 알루미늄(Al)
  3. 철(Fe)
  4. 인(P)
(정답률: 88%)
  • 터키석의 청색 원인은 주로 구리(Cu)입니다. 이는 터키석이 형성될 때 구리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구리는 청록색을 띄는 광물이며, 터키석의 청색은 구리의 산화물인 산화구리(CuAl6(PO4)4(OH)8·4H2O)의 색소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호박을 기름에 넣고 열을 가하는 이유는?

  1. 외관을 맑게 하기 위해서
  2. 색상을 짙게 하기 위해서
  3. 색상을 옅게 하기 위해서
  4. 내포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정답률: 75%)
  • 호박을 기름에 넣고 열을 가하는 이유는 외관을 맑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과정은 호박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고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기름에 의해 호박의 색상이 더욱 선명해지고 맛이 좋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합성법에 의해서 대표적으로 만들어지는 보석광물과 그 합성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산화니켈 - 플럭스 성장법
  2. 사파이어 - 화염용융법(베르누이법)
  3. 수정 - 열수합성법
  4. 큐빅지르코니아 - 쵸크랄스키법
(정답률: 80%)
  • 큐빅지르코니아는 쵸크랄스키법으로 합성되지 않습니다. 쵸크랄스키법은 유리나 세라믹 등의 물질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큐빅지르코니아는 산화아연과 산화이트리튬 등의 원료를 이용한 열수합성법으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밝은 적색 또는 자적색 루비로 이 중에는 분홍 사파이어로 분류된 것은?

  1. 타이 루비
  2. 실론 루비
  3. 동양 루비
  4. 버마 루비
(정답률: 77%)
  • 분홍 사파이어는 밝은 적색 또는 자적색 루비 중에서 분류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분홍빛이 강한 것이 실론 루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론 루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합성 루비와 천연 루비의 물리적 성질이 동일한 이유는?

  1. 색상이 같기 때문에
  2. 연마형태가 같기 때문에
  3. 화학성분과 구조가 같기 때문에
  4. 광학적 성질이 같기 때문에
(정답률: 96%)
  • 루비의 색상과 연마형태는 합성 루비와 천연 루비에서 모두 동일하지만, 이는 화학성분과 구조가 같기 때문입니다. 루비는 알루미늄 산화물인 알루미늄 산화물 크로뮴(III)입니다. 합성 루비와 천연 루비는 모두 이러한 화학성분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물리적 성질이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시금석 검사법에 사용되는 산의 종류는?

  1. 초산
  2. 황산
  3. 아황산
  4. 질산
(정답률: 88%)
  • 시금석은 주로 질산으로 검사합니다. 이는 질산이 시금석과 반응하여 질산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산들은 시금석과 반응하지 않거나 부적합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토파즈의 특징적인 내포물은?

  1. 말꼬리상
  2. 연꽃 모양의 내포믈
  3. 두 개 내지 그 이상의 섞이지 않는 액체
  4. 실모양의 액체 및 기체
(정답률: 46%)
  • 토파즈는 광물 중 하나로, 주로 광물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토파즈의 특징적인 내포물은 "두 개 내지 그 이상의 섞이지 않는 액체"입니다. 이는 토파즈가 형성될 때 액체가 함께 결정되어 내포되기 때문입니다. 이 내포물은 종종 불순물로 인해 생기는 것이며, 종종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하기에 부적합한 보석은?

  1. 루비
  2. 아쿠아마린
  3. 토파즈
  4. 알렉산드라이트
(정답률: 77%)
  • 토파즈는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하기에 부적합한 보석입니다. 이는 토파즈가 내부에 약한 균열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음파 세척기는 보석의 균열을 더욱 심화시키는 위험이 있으므로, 토파즈와 같은 보석은 다른 세척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에서 법적으로 인정한 합금이 순도가 아닌 것은?

  1. 24K
  2. 20K
  3. 16K
  4. 12K
(정답률: 80%)
  • 우리나라에서 법적으로 인정한 합금 중에서는 24K, 20K, 12K이 순도가 아닙니다. 그러나 16K는 순도가 아니라고 인정되는 합금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16K 합금이 16/24 (66.7%)의 순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6K 합금은 법적으로 인정되는 합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원소의 원자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비결정질 광물은?

  1. 수정
  2. 유리
  3. 토파즈
  4. 강옥
(정답률: 70%)
  • 유리는 원소의 원자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비결정질 광물에 해당합니다. 이는 유리가 녹아서 형성되기 때문에 결정 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원자들이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부에 직접 닿으면 변색 될 수 있는 보석은?

  1. 아쿠아마린
  2. 히데나이트
  3. 지르콘
  4. 진주
(정답률: 92%)
  • 진주는 침산성이 강한 보석으로, 피부에 닿으면 산성분이 반응하여 변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다이아몬드감정법

16. 다음 보석 중 접합처리를 많이 하는 보석은?

  1. 헤마타이트
  2. 오팔
  3. 다이아몬드
  4. 진주
(정답률: 92%)
  • 오팔은 자연적으로 접합부가 많이 발생하는 보석 중 하나입니다. 이는 오팔이 형성될 때 광물이 서로 다른 온도와 압력에서 결합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팔은 접합처리를 많이 하게 되는데, 이는 보석의 외관을 개선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크리소프레이스(chrysoprase)는 무슨 광물의 변종인가?

  1. 칼세도니(chalcedony)
  2. 아게이트(agate)
  3. 장석(feldspar)
  4. 크리소베릴(chrysoberyl)
(정답률: 81%)
  • 크리소프레이스는 칼세도니(chalcedony)의 변종입니다. 칼세도니는 광물학적으로 광석이 아닌 석영의 일종으로, 크리소프레이스는 칼세도니의 녹색 변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두 개의 보석재를 열로 융합시키거나 무색의 접착제로 접합시키는 방법은?

  1. 더블릿
  2. 텀블 폴리싱
  3. 부루팅
  4. 합성석
(정답률: 92%)
  • 더블릿은 두 개의 보석재를 열로 융합시켜 하나의 보석으로 만드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더블릿이 정답입니다. 텀블 폴리싱은 보석의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내는 기술, 부루팅은 작은 보석 조각들을 접착제로 붙여 큰 보석을 만드는 기술, 합성석은 인공적으로 만든 보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취급 소홀이나 착용상의 부주의로 생길 수 있는 블레미시가 아닌 것은?

  1. 스크래치
  2. 어브레이젼
  3. 폴리시 라인
  4. 피트
(정답률: 85%)
  • 스크래치와 어브레이젼은 취급 소홀이나 착용상의 부주의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흠집과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블레미시입니다. 하지만 폴리시 라인은 제품 제조 과정에서 생긴 작은 선명이나 물결 모양의 라인으로, 제품의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피트는 제품 착용 시 개인의 체형이나 사이즈 선택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블레미시이므로 이 역시 취급 소홀이나 부주의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루페(Loup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사용되는 배율은 보통 10배이다.
  2. 다이아몬드 감정에는 완전히 교정된 트리플릿 렌즈를 사용한다.
  3. 비율이 10배인 렌즈의 초점거리는 1인치이다.
  4. 확대배율이 높을수록 초점거리가 멀어진다.
(정답률: 86%)
  • "확대배율이 높을수록 초점거리가 멀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루페의 확대배율이 높아질수록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렌즈의 초점거리와는 다른 개념이다. 초점거리는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로, 루페의 초점거리는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와는 무관하다. 따라서 "확대배율이 높을수록 초점거리가 멀어진다."라는 설명은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레이져 드릴 홀(Laser drill hole)의 처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백처리
  2. 필드처리
  3. 방사선 처리
  4. 코팅처리
(정답률: 66%)
  • 레이져 드릴 홀은 물질을 광분해하여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생기는 노화된 부분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처리 방법은 표백처리입니다. 표백처리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노화된 부분을 제거하고, 깨끗한 표면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레이져 드릴 홀의 처리 과정에서 표백처리가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클래러티의 기록과 작도(plotting)하는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감정가 결정
  2. 확증과 상태기록
  3. 등급결정의 뒷받침
  4. 식별에 대한 수단
(정답률: 85%)
  • 클래러티의 기록과 작도(plotting)하는 목적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감정가 결정은 이 목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감정가 결정은 주관적인 판단이 필요한 것이며, 데이터 분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정가 결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의 다이아몬드에서 이상적인 테이블 크기, 크라운 각도, 퍼빌리온 깊이, 거들 두께, 큐렛 크기로 이루어진 것은?

  1. 50~52%, 32~34°, 41%, 얇다, 없다
  2. 61~64%, 34~35°, 42%, 두껍다, 없다
  3. 53~58%, 34~35°, 43%, 중간, 없다
  4. 53~60%, 32~34°, 44%, 약간 두껍다, 중간
(정답률: 81%)
  •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의 다이아몬드에서 이상적인 테이블 크기는 53~58%이어야 하며, 이는 다이아몬드의 빛을 잘 반사시키기 위한 최적의 크기이기 때문입니다. 크라운 각도는 34~35°이어야 하며, 이는 빛을 잘 반사시키고 브릴리언스를 높이기 위한 최적의 각도입니다. 퍼빌리온 깊이는 43%이어야 하며, 이는 빛을 잘 반사시키고 파랑빛을 강조하기 위한 최적의 깊이입니다. 거들 두께는 중간이어야 하며, 이는 다이아몬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두께입니다. 큐렛 크기는 없어야 하며, 이는 다이아몬드의 브릴리언스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크기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53~58%, 34~35°, 43%, 중간, 없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컬러 등급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내포물의 양과 위치
  2. 프로포션
  3. 다이아몬드의 크기
  4. 인클루젼
(정답률: 46%)
  • 인클루젼은 다이아몬드 내부에 있는 자연적인 결함이나 불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컬러 등급 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컬러 등급은 다이아몬드의 색상 순도에 따라 결정되며, 내포물의 양과 위치, 프로포션, 다이아몬드의 크기는 모두 컬러 등급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연마비율 등급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거들 직경에 대한 테이블의 대각선 길이의 비
  2. 거들 직경에 대한 전체 높이의 비
  3. 크라운 크기와 거들 두께의 비
  4. 큐릿 크기
(정답률: 45%)
  • 크라운 크기와 거들 두께의 비는 연마비율 등급과 관련이 없습니다. 연마비율 등급은 다이아몬드의 광택과 반짝임을 결정하는데, 이는 다이아몬드의 대칭과 연마의 정확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크라운 크기와 거들 두께의 비는 다이아몬드의 디자인과 미적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만, 광택과 반짝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이아몬드가 갖는 블레미시 특징이 아닌 것은?

  1. 외부적인 클래리티이다.
  2. 작도 시 대부분 적색으로 표시한다.
  3. 10배 확대 하에서는 깊이가 보이지 않는다.
  4. 착용이나 커팅 과정 또는 결정 구조의 결과로 생긴다.
(정답률: 85%)
  • 작도 시 대부분 적색으로 표시하는 것은 다이아몬드의 형광성 때문입니다. 다이아몬드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녹색, 노란색 또는 파란색 형광을 내며, 이러한 형광성 때문에 작도 시 적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내부적인 특징이 아니라 외부적인 클래리티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이아몬드의 결정 정계는?

  1. 등축정계
  2. 사방정계
  3. 정방정계
  4. 육방정계
(정답률: 90%)
  • 다이아몬드의 결정 구조는 등축정계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결정 구조가 세 축이 서로 수직이며, 각 축의 길이가 서로 같은 등각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의 다이아몬드에서 테이블 %를 계산하는 방법은 테이블 크기를 무엇으로 나눈 것인가?

  1. 전체 깊이 치수
  2.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
  3. 거들 직경의 가장 큰 치수
  4.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와 가장 큰 치수의 평균
(정답률: 94%)
  •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의 다이아몬드에서 테이블 %를 계산하는 방법은 테이블 크기를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와 가장 큰 치수의 평균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크기와 비례하여 테이블 %를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와 가장 큰 치수의 평균을 사용하면 다이아몬드의 크기를 가장 잘 대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이아몬드의 맑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10배의 확대경으로 검사하였을 경우 내외부에 흠을 찾아 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것은?

  1. VVS
  2. VS
  3. F, FL
  4. I
(정답률: 90%)
  • 다이아몬드의 맑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F, FL"을 사용하는 이유는 "F"는 Flawless(결함 없음)의 약자이며, "FL"은 Flawless(결함 없음)의 약자로 내외부에 어떠한 결함도 없는 완벽한 다이아몬드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0배의 확대경으로 검사하였을 때 내외부에 흠을 찾아 볼 수 없는 다이아몬드를 "F, FL"로 표기합니다. "VVS"와 "VS"는 내부 결함이 존재하지만 미세한 차이로 구분되며, "I"는 내부 결함이 많거나 큰 결함이 있는 다이아몬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이아몬드의 형광에서 가장 다양한 강도로 반응하는 색상은?

  1. 녹색
  2. 청색
  3. 황색
  4. 적색
(정답률: 89%)
  • 다이아몬드의 형광에서 가장 다양한 강도로 반응하는 색상은 청색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내부의 질소와 결합하여 형성된 "N-V" 센터가 청색 형광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녹색, 황색, 적색은 각각 다른 결합체나 불순물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이며, 청색에 비해 강도가 낮거나 한정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보석감별법

31. 다이아몬드 원석의 성장 시 결정면에 성장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육면체의 결정면에 나타나는 성장마크는?

  1. 사각형
  2. 삼각형
  3. 원형
  4. 일자형
(정답률: 69%)
  • 다이아몬드는 결정 구조가 육면체이기 때문에 성장 시 육면체의 각 면에 결정면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육면체의 면이 사각형이므로 성장마크는 사각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이아몬드의 중량을 정확하게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것은?

  1. 뒤가 막힌 베즐 셋팅
  2. 뒤가 막힌 프롱 셋팅
  3. 뒤가 막히지 않은 베즐 셋팅
  4. 뒤가 막히지 않은 프롱 셋팅
(정답률: 83%)
  • 다이아몬드의 중량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것은 "뒤가 막힌 베즐 셋팅"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가 베젤(베즐) 안에 꽉 밀착되어 있어서 뒷면이 가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량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를 베젤에서 분리하여 뒷면을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이아몬드 컬러 등급시 마스터 스톤(master stone)으로 가장 적합한 프로포션(proportion)은?

  1. 크라운 높이 : 10%, 퍼빌리언 깊이 : 40%, 거들 : 약간 두껍다
  2. 크라운 높이 :12%, 퍼빌리언 깊이 : 44%, 거들 : 야간 두껍다
  3. 크라운 높이 : 18%, 퍼빌리언 깊이 : 47%, 거들 : 약간 두껍다
  4. 크라운 높이 : 10%, 퍼빌리언 깊이 : 48%, 거들 : 약간 두껍다
(정답률: 93%)
  • 다이아몬드 컬러 등급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빛의 반사와 굴절이며, 이는 다이아몬드의 프로포션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마스터 스톤으로 가장 적합한 프로포션은 크라운 높이가 12%, 퍼빌리언 깊이가 44%, 거들이 야간 두껍다인 것입니다. 이는 빛의 반사와 굴절이 최적화되어 있어 다이아몬드의 빛깔이 가장 아름답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최적화된 프로포션을 갖추지 않거나, 거들이 너무 얇거나 두껍기 때문에 마스터 스톤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형광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돌과 광원과의 적당한 거리는?

  1. 4~5inch
  2. 7~8inch
  3. 10inch
  4. 12inch
(정답률: 73%)
  • 형광은 광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인식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광원과 돌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면 형광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반면에 광원과 돌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형광이 과도하게 밝아져서 오히려 판단이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적당한 거리는 4~5inch 정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굴절률이 1.762~1.770으로 확인 되는 보석은?

  1. 가닛(Garnet)
  2. 베릴(Beryl)
  3. 커런덤(Corundum)
  4. 페리도트(Peridot)
(정답률: 79%)
  • 굴절률이 1.762~1.770인 보석은 커런덤(Corundum)입니다. 이는 커런덤이 알루미늄 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굴절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커런덤은 루비(Ruby)와 사파이어(Sapphire)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비는 붉은색, 사파이어는 파란색으로 빛나는 보석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보석감별의 첫 단계는?

  1. 육안검사
  2. 확대검사
  3. 굴절률 측정
  4. 편광검사
(정답률: 100%)
  • 보석감별의 첫 단계는 육안검사입니다. 이는 보석의 색상, 투명도, 광택 등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여 보석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다른 검사 방법들은 육안검사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적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굴절계에서 굴절률을 읽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30/70법
  2. 명멸(blink)법
  3. 평균법(average)
  4. 50/50법
(정답률: 91%)
  • 30/70법은 굴절계에서 굴절률을 읽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30/70법은 광선이 물과 유리 경계면에서 굴절할 때, 물과 유리 경계면의 각도 비율이 3:7일 때 굴절률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는 굴절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굴절률 측정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편광기를 다크포지션에 놓고 광축을 조사했더니 다음과 같은 모양들이 나타났다. 이 중에서 수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단, 1축성 황소눈)

(정답률: 73%)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모양은 1축성 황소눈의 특징인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모양들은 모두 이와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색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다색성
  2. 이색성
  3. 삼색성
  4. 광축각
(정답률: 84%)
  • 광축각은 빛이 물체와 만나서 굴절되는 각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이색경으로 관찰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이색경은 빛의 파장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이는 다색성, 빛의 굴절로 인해 물체가 이상하게 보이는 이색성, 빛이 물방울에서 반사되어 삼색 띠가 보이는 삼색성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에메랄드는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균열이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은폐하기 위한 처리방법은?

  1. 밀납처리
  2. 유동파라핀처리
  3. 오일처리
  4. 알콜처리
(정답률: 98%)
  • 에메랄드는 균열이 발달하기 쉬운 보석이기 때문에, 이를 은폐하기 위해 보석 내부에 오일을 주입하여 균열을 채우는 오일처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균열을 채우고 보석의 투명도를 높여주기 때문에 에메랄드의 가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경옥의 착색여부를 알 수 있는 효과적인 검사법은?

  1. 편광기 관찰
  2. 굴절률 측정
  3. 비중 측정
  4. 분광기 검사
(정답률: 84%)
  • 경옥은 분광기 검사를 통해 착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광기는 빛을 여러 색으로 분해하여 각 색의 파장을 측정하는 기기로, 경옥이 흡수하는 파장을 측정하여 착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광기 검사가 경옥의 착색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편광기 관찰, 굴절률 측정, 비중 측정은 경옥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착색 여부를 확인하는 데는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외선 형광을 실험할 때 가장 좋은 조건은?

  1. 일광 아래
  2. 어두운 곳
  3. 형광등 조명 아래
  4. 백열등 조명 아래
(정답률: 90%)
  • 자외선 형광은 빛이 어두운 곳에서 더욱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어두운 곳이 가장 좋은 조건입니다. 일광 아래에서는 자외선이 다른 빛과 섞여서 보이기 어렵고, 형광등이나 백열등 조명 아래에서는 자외선이 너무 강해서 형광이 무너지거나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삼상 내포물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보석은?

  1. 칼사이트
  2. 아이올라이트
  3. 서펜틴
  4. 에메랄드
(정답률: 100%)
  • 에메랄드는 삼상 내포물 중 모두 포함되어 있는 보석입니다. 삼상 내포물이란 보석 내부에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에메랄드는 약간의 철, 크로뮴, 및 백금족 원소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에메랄드는 칼사이트, 아이올라이트, 서펜틴과 달리 모든 삼상 내포물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산호의 열반응 검사에서 반응하는 냄새는?

  1. 단백질 냄새
  2. 송진냄새
  3. 기름 냄새
  4. 자극적인 냄새
(정답률: 92%)
  • 산호의 열반응 검사에서 반응하는 냄새는 "단백질 냄새"입니다. 이는 검사 시 산호가 단백질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반응은 단백질이 산호와 상호작용하여 아미노산과 아미드 등의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시 발생하는 냄새는 단백질 냄새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몇 몇 변종(Variety)들에서 볼 수 있는 보기 드문 특이한 광학효과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굴절율(Refractive Index)
  2. 다색성(Pleochroism)
  3. 광택(Polish luster)
  4. 특수효과(Phenomena)
(정답률: 87%)
  • 특수효과는 광선이 물질 내에서 특이한 방식으로 반사, 굴절, 흡수되어 나타나는 광학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광선이 물질 내에서 특정한 구조나 결정 방향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거나, 물질 내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결함 등이 광선을 특이하게 반사, 굴절, 흡수시켜서 나타납니다. 따라서 특수효과는 다른 광학적 특성들과는 달리 특정한 물질에만 나타나는 보기 드문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보석가공기법

46. 다음 중 비중 검사 시 주의를 요하는 보석은?

  1. 플로라이트
  2. 접합석
  3. 수정
  4. 문스톤
(정답률: 89%)
  • 접합석은 다른 보석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보석으로, 이로 인해 비중이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중 검사 시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면에 플로라이트, 수정, 문스톤은 단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비중이 일정하므로 주의를 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형광기에 의한 감별기구 사용시 눈의 망막에 해로우므로 직접 눈에 쬐어서는 안 되는 광원은?

  1. 장파(LW)
  2. 단파(SW)
  3. 형광
  4. 인광
(정답률: 79%)
  • 형광기는 빛을 발산하는데, 이 빛은 단파(SW)와 장파(LW)로 나뉩니다. 그 중에서도 단파(SW)는 눈의 망막에 더 큰 해로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눈에 쬐어서는 안 되는 광원입니다. 따라서 단파(SW)는 감별기구 사용시에도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비중 측정시 정수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보석은?

  1. 합성 루비
  2. 합성 스피넬
  3. 진주
  4. 스타 루비
(정답률: 37%)
  • 진주는 비중 측정시 정수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보석입니다. 이는 진주가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보석으로, 그 밀도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합성 보석들은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요인에 따라 밀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비중 측정을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외부반사로 스펙트럼을 관찰할 때 분광기와 보석의 각도는?

  1. 45°
  2. 55°
  3. 75°
  4. 90°
(정답률: 69%)
  • 외부반사로 스펙트럼을 관찰할 때, 분광기와 보석의 각도는 45°이다. 이는 스펙트럼을 관찰하기 위해 들어오는 빛이 보석의 표면에 수직으로 들어오면 반사되는 빛이 분광기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석의 표면과 분광기 사이의 각도를 45°로 조정하여 외부반사로 스펙트럼을 관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정수법에 의한 비중측정은 어떤 크기의 돌일 경우에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1. 1/10ct 이하의 돌
  2. 1.4ct 이하의 돌
  3. 1/2ct 이하의 돌
  4. 1ct 이상의 돌
(정답률: 88%)
  • 정수법에 의한 비중측정은 돌의 무게를 정수로만 표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돌의 크기가 작을수록 측정 오차가 커집니다. 따라서 1ct 이상의 돌일 경우에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10ct 이하의 돌은 너무 작아서 측정이 어렵고, 1.4ct 이하의 돌은 정수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1/2ct 이하의 돌도 측정 오차가 크며, 1ct 이상의 돌은 크기가 적당하여 측정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검사방법 중 보석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검사방법은?

  1. 열전도 검사
  2. 조흔 검사
  3. 자성 검사
  4. 비중 검사
(정답률: 98%)
  • 조흔 검사는 보석의 표면을 세밀하게 검사하는 방법으로, 보석의 표면을 강하게 긁거나 세게 누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보석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석을 보호하고자 할 때는 조흔 검사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은(sterling sliver)에는 몇 %의 은이 함유되어 있는가?

  1. 97.5%
  2. 95%
  3. 92.5%
  4. 90%
(정답률: 98%)
  • 정은은 92.5%의 은과 7.5%의 다른 금속(주로 구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정은이라는 용어가 "sterling silver"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이중 캐보션의 변형으로 상ㆍ하부가 동일 할 정도로 얇고 둥글게 되어 있으며 오팔을 연마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1. 역 캐보션(reverse cabochon)
  2. 평 캐보션(lentil cabochon)
  3. 오목 캐보션(hollow cabochon)
  4. 단순 캐보션(simple cabochon)
(정답률: 91%)
  • 평 캐보션은 이중 캐보션의 변형으로 상하부가 동일한 둥글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오팔을 연마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오팔의 미세한 불순물이나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평한 표면을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팔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나게 하기 위해 평 캐보션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라운드 브릴리언트 연마에서 아주 작은 퍼빌리언의 맨 끝 면으로, 거들 평면과 평행한 면은?

  1. 스타면(star facet)
  2. 퍼빌리언(pavilion)
  3. 큐릿(culet)
  4. 베즐면(bezeled facet)
(정답률: 82%)
  • 라운드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의 아래쪽 부분인 퍼빌리언에서 맨 끝에 위치한 작은 면을 큐릿(culet)이라고 합니다. 이 면은 다이아몬드의 끝을 보호하고, 빛이 다이아몬드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평하게 연마됩니다. 따라서 거들 평면과 평행한 면은 큐릿(cul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형 구슬 형태의 보석을 천공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

  1. 탁상 그라인더
  2. 드릴
  3. 핸드피스
  4. 지그
(정답률: 92%)
  • 보석을 천공할 때는 보석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석을 고정시키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것이 지그입니다. 지그는 보석을 고정시키고 드릴을 이용해 천공하는 공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보석 중 끓여서 세척하는 방법을 쓰면 안 되는 것은?

  1. 오팔
  2. 에메랄드
  3. 터키석
  4. 토파즈
(정답률: 77%)
  • 오팔은 끓이면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색이 바래질 수 있기 때문에 끓여서 세척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성채효과가 있는 보석가공에 적합한 연마형은?

  1. 패싯형
  2. 캐보션형
  3. 하트형
  4. 오벌형
(정답률: 100%)
  • 캐보션형은 보석의 아래 부분을 둥글게 연마하여 빛이 반사되는 면적을 최대화시키는 연마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빛이 보석 내부에서 반사되어 더욱 빛나는 성채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채효과가 있는 보석가공에 적합한 연마형은 캐보션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귀 볼을 뚫어 착용하는 귀걸이 형으로 귀고리 앞부분의 장식이 귓볼에서부터 늘어지는 형은?

  1. 조임형
  2. 나사형
  3. 자석형
  4. 드롭형
(정답률: 94%)
  • 드롭형 귀걸이는 귓볼을 뚫어 착용하는 귀걸이 형 중에서 귀고리 앞부분의 장식이 귓볼에서부터 늘어지는 형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드롭"이라는 단어는 귀걸이 앞부분이 아래로 늘어지는 모양을 표현하는 단어이며, 이 형태가 드롭형 귀걸이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드릴 부착 방법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길이가 30mm, 지름 0.8~1.0mm가 되는 드릴을 준비한다.
  2. 호온을 버너로 가열한다.
  3. 용제를 바른다.
  4. 호온에 드릴을 나사로 고정한다.
(정답률: 53%)
  • 호온에 드릴을 나사로 고정하는 것은 부착 방법이 아니라 드릴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호온에 드릴을 나사로 고정하는 것은 드릴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 단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의 컷은?

  1. 6면 로즈 컷(six-facet rose cut)
  2. 싱글 컷(single cut)
  3. 마그나 컷(magna cut)
  4. 올드 마인 컷(old-mine cut)
(정답률: 96%)
  • 이 그림은 6면 로즈 컷(six-facet rose cut)입니다. 이유는 다이아몬드의 윗부분에 6개의 삼각형 모양의 컷이 있고, 아랫부분은 평평하게 연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컷은 대개 작은 다이아몬드에 사용되며, 빛을 잘 반사하여 광채가 뛰어나고, 브릴리언트 컷과는 다른 독특한 빛의 효과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