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보석감정사(기능사)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석학일반

1. 광물을 이루고 있는 원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방식 중 다이아몬드는 어느 결합에 속하는가?

  1. 이온결합
  2. 잔류결합
  3. 금속결합
  4. 공유결합
(정답률: 89%)
  • 다이아몬드는 공유결합에 속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를 이루는 탄소 원자들이 서로 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공유결합은 강한 결합으로, 다이아몬드의 단단하고 견고한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터키석의 청색을 유발하는 원소이며, 파라이바 투어멀린의 청색과 녹색의 원인이 되는 것은?

  1. 코발트
  2. 니켈
  3. 구리
(정답률: 76%)
  • 파라이바 투어멀린의 청색과 녹색은 구리의 산화물인 구리카르본산과 구리카르복시테이트에 의해 유발됩니다. 구리는 또한 터키석의 청색을 유발하는 원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순금의 함량이 75%인 장신구의 각인 표시 문자는?

  1. 22K
  2. 20K
  3. 18K
  4. 14K
(정답률: 91%)
  • 순금의 함량이 75%인 장신구는 18K이다. 이는 24K(순금)을 100%로 보았을 때, 75%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24K를 100%로 보았을 때, 18K는 75%가 되므로 18K로 각인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호주가 주요 산지이며 10월의 탄생석이기도 한 보석은?

  1. 루비
  2. 사파이어
  3. 오팔
  4. 에메랄드
(정답률: 95%)
  • 오팔은 호주가 대표적인 산지이며, 10월의 탄생석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판상 내포물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타나는 반짝거리는 현상을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보석은?

  1. 알렉산드라이트
  2. 크리소베릴
  3. 문스톤
  4. 선스톤
(정답률: 72%)
  • 선스톤은 판상 내포물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타나는 반짝거리는 현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보석 중 하나입니다. 이는 선스톤의 내부 구조가 빛을 반사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선스톤은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디자인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석을 세척할 때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해서는 안되는 보석은?

  1. 페리도트
  2. 사파이어
  3. 스피넬
  4. 투어멀린
(정답률: 56%)
  • 페리도트는 자연적으로 포함물이 많아 초음파 세척기에서 처리될 때 손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파이어의 화학성분으로 옳은 것은?

  1. Al2O3
  2. Al2O4
  3. MgAl2O3
  4. MgAl2O4
(정답률: 66%)
  • 사파이어는 화학식이 Al2O3인 알루미늄 산화물입니다. 사파이어는 청색, 녹색, 노란색, 분홍색 등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보석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성(Toughnes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성이란 깨어짐이나 부서짐 같은 외부 충격에 견디는 능력을 말한다.
  2. 인성이 가장 높은 것은 다이아몬드이고 낮은 것은 오팔이다.
  3. 보석의 깨어짐은 벽개, 단구, 열개로 구분할 수 있다.
  4. 보석이 경도가 강하다고 인성이 좋은 것은 아니다.
(정답률: 91%)
  • "인성이 가장 높은 것은 다이아몬드이고 낮은 것은 오팔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이아몬드는 인성이 높은 보석 중 하나이지만, 가장 높은 것은 나노크리스털이라고 합니다. 인성은 보석의 내구성과 관련된 성질로, 외부 충격에 견디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는 보석의 경도와도 관련이 있지만, 보석의 깨어짐은 벽개, 단구, 열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도가 강하다고 인성이 좋은 것은 아니며, 보석의 내부 구조와 결합력 등도 인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진주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표면광택의 선명도
  2. 진주를 품은 조개의 크기
  3. 구형의 정도
  4. 진주표면의 색상
(정답률: 95%)
  • 진주의 가치는 주로 진주표면의 색상, 표면광택의 선명도, 구형의 정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진주를 품은 조개의 크기는 진주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진주의 크기가 진주를 형성하는 조개의 종류와 크기, 성장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주의 가치는 진주표면의 색상, 표면광택의 선명도, 구형의 정도 등과 같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모거나이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베릴의 변종보석이다.
  2. 유리광택이며, 옅은 핑크색을 띤다.
  3. 확대검사 시 액체 내포물, 지문상, 침상 내포물을 관찰 할 수 있다.
  4. 단굴절성 보석이다.
(정답률: 67%)
  • 단굴절성 보석이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모거나이트는 이중굴절성 보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합성 커런덤에서 레코드판에서 볼 수 있는 가늘고 둥근 줄무늬를 닮은 성장선이 관찰된다면 어떤 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인가?

  1. 플레임 퓨전법
  2. 열수성장법
  3. 스컬용융법
  4. 초크랄스키법
(정답률: 66%)
  • 플레임 퓨전법은 불꽃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물질을 합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이 발생하여 물질이 융해되고 성장선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합성 커런덤에서 레코드판에서 볼 수 있는 가늘고 둥근 줄무늬는 플레임 퓨전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금제품의 가공 시 접합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금땜은 작업하려는 금(모재)보다 용융점이 몇도 정도 낮아야 좋은가?

  1. 0 ~ 10℃
  2. 20 ~ 40℃
  3. 50 ~ 100℃
  4. 150 ~ 200℃
(정답률: 67%)
  • 금땜은 금을 녹여서 접합하는 과정이므로, 금땜을 하기 위해서는 모재보다 용융점이 낮은 금땜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접합하려는 금보다 용융점이 50 ~ 100℃ 정도 낮은 금땜이 적합합니다. 0 ~ 10℃나 20 ~ 40℃는 용융점이 너무 낮아서 작업이 어렵고, 150 ~ 200℃는 용융점이 너무 높아서 모재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포일백(foilback)이 되어 있고 무색의 납유리로 제조된 다이아몬드 유사석을 뜻하는 용어는?

  1. 라인스톤
  2. 골드스톤
  3. 슬로컴스톤
  4. 이모리스톤
(정답률: 64%)
  • 포일백(foilback)이 되어 있고 무색의 납유리로 제조된 다이아몬드 유사석을 라인스톤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라인스톤"입니다. 다른 보기인 "골드스톤", "슬로컴스톤", "이모리스톤"은 다이아몬드 유사석을 가리키는 용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오팔 트리플릿(Opal Tripl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에 최상질의 오팔이 위치한다.
  2. 하부에 일반적으로 오닉스가 위치한다.
  3. 투명도는 STL ~ O 이다.
  4. 외관과 확대검사로 보석의 측면에서 검사하면 접합된 특성이 명백히 나타난다.
(정답률: 92%)
  • "상부에 최상질의 오팔이 위치한다."라는 설명은 오팔 트리플릿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며, 오팔 트리플릿의 구조상 상부에는 보호용 유리나 퀄케이크(Quartz)가 위치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표면 확산처리된 사파이어에 기본적으로 행하여서는 안되는 것은?

  1. 장시간 착용
  2. 재연마
  3. 물세척
  4. 햇빛에 노출
(정답률: 88%)
  • 표면 확산 처리된 사파이어는 이미 표면에 얇은 코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재연마를 하면 이 코팅이 제거되어 원래의 광택이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재연마는 표면 확산 처리된 사파이어에 기본적으로 행해선 안 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다이아몬드감정법

16. 다음 중 발색 원소가 티타늄인 타색 보석은?

  1. 차보라이트
  2. 카이아나이트
  3. 크리소프레이즈
  4. 아이올라이트
(정답률: 37%)
  • 카이아나이트는 발색 원소로 티타늄을 가지고 있으며, 차보라이트, 크리소프레이즈, 아이올라이트는 발색 원소로 티타늄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이아나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백금(P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도표시는 일반적으로 천분율(1/1000)을 사용한다.
  2. 은백색의 귀금속으로 은보다 단단하고 전성·연성이 있다.
  3. 소량의 이리듐을 가하면 전성은 현저하게 증가하나 경도는 떨어진다.
  4. 공기나 수분 등에는 극히 안정하나 왕수에는 서서히 녹는다.
(정답률: 75%)
  • "소량의 이리듐을 가하면 전성은 현저하게 증가하나 경도는 떨어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리듐은 백금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는 원소로, 백금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리듐을 소량 가하면 백금의 강도와 경도가 모두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가열된 열침을 대었을 때 송진 타는 냄새가 나는 것은?

  1. 토파즈
  2. 코끼리 상아
  3. 제트
  4. 호박
(정답률: 80%)
  • 가열된 열침을 대었을 때 송진 타는 냄새가 나는 것은 호박입니다. 이는 호박이 탄소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브루팅 작업시 연마의 부주의로 발생한 수염상의 페더를 표시하는 약자는?

  1. BG
  2. GrCnt
  3. Ftr
  4. RG
(정답률: 81%)
  • 정답은 "BG"입니다.

    BG는 "Beard Growth"의 약자로, 수염상에서 연마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페더를 표시하는 용어입니다. GrCnt는 "Grit Count"로 연마지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Ftr은 "Feather"로 연마로 인해 발생한 깃털 모양의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RG는 "Roughness"로 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연마 과정에서 생기는 블레미시가 아닌 것은?

  1. 폴리시 라인
  2. 엑스트라 패싯
  3. 폴리시 마크
  4. 표면 그레이닝
(정답률: 64%)
  • 표면 그레이닝은 연마 과정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나무재질의 결점으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 그레이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클래리티 등급 구분시 고려되는 내부 특징은 어느 것인가?

  1. 블레미시 (Blemish)
  2. 리젼 (Lesion)
  3. 불순물 (Impurity)
  4. 인클루젼 (Inclusion)
(정답률: 86%)
  • 클래리티 등급은 다이아몬드 내부의 결함과 불순물의 양과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인클루젼은 다이아몬드 내부에 포함된 자연적인 결함이나 불순물입니다. 따라서 클래리티 등급을 구분할 때 인클루젼의 양과 크기가 고려되며, 인클루젼이 적을수록 높은 등급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이아몬드의 대칭(symmetry)에 있어서 거들의 윤곽이 원형에서 벗어났을 때의 표시로 맞는 것은?

  1. T/oc
  2. Ptg
  3. OR
  4. Fac
(정답률: 84%)
  • 다이아몬드의 대칭을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는 거들의 윤곽이 원형에서 벗어났을 때의 표시입니다. 이때 거들의 윤곽이 원형에서 벗어났다는 것은 대칭이 깨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OR"은 거들의 윤곽이 원형에서 벗어났을 때의 대칭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T/oc", "Ptg", "Fac"는 다이아몬드의 대칭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이아몬드 작도(Plotting)시 적색으로만 표시해야 할것은?

  1. 스크래치
  2. 엑스트라 패싯
  3. 니들
  4. 캐비티
(정답률: 78%)
  • 다이아몬드 작도에서 적색으로만 표시해야 하는 것은 "니들"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작도에서 "니들"이라는 용어가 적색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이아몬드 작도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이아몬드 컬러에 따른 업계 용어 중 강한 푸른 형광을 띠고 있는 밝은 황색의 다이아몬드로 약간 흐릿한 외관을 보이는 것은?

  1. 예거(Jager)
  2. 프리미어(Premier)
  3. 웨셀톤(Wesselton)
  4. 케이프(Cape)
(정답률: 74%)
  • 강한 푸른 형광을 띠고 있는 밝은 황색의 다이아몬드는 "프리미어(Premier)"라고 부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색상 등급 중 하나로, 다이아몬드의 색상이 가장 밝고 깨끗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리미어 다이아몬드는 가치가 높으며, 보석업계에서 매우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레버리지 게이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이아몬드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구이다.
  2. 손으로 쥐고 사용하며, 100분의 1mm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정밀도가 있다.
  3. 나석 또는 세팅된 다이아몬드까지도 측정할 수 있다.
  4. 연마된 다이아몬드의 거들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각 부위의 비율을 측정한다.
(정답률: 51%)
  • 연마된 다이아몬드의 거들 직경을 기준으로 해서 각 부위의 비율을 측정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레버리지 게이지는 다이아몬드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기구로, 다이아몬드의 크기를 측정할 때 거들 직경을 이용하지만 각 부위의 비율을 측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스터 아이 효과로 인하여 검사하려는 다이아몬드가 F 컬러 마스터 스톤의 좌측에서는 짙어 보이고, 우측에서는 옅어 보이면 이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은?

  1. E
  2. F
  3. G
  4. H
(정답률: 92%)
  • 마스터 아이 효과는 다이아몬드의 중앙 부분에서 어두워 보이게 만들어서 주변 부분이 더 밝아 보이도록 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좌측에서는 마스터 아이 효과로 인해 다이아몬드가 더 짙어 보이고, 우측에서는 더 밝아 보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이 다이아몬드는 실제로는 F 컬러 이지만, 좌측에서는 G 또는 H 컬러처럼 보일 수 있고, 우측에서는 E 컬러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은 "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페어 형태로 연마 된 다이아몬드의 길이와 폭의 비율 중 선호되는 비율은?

  1. 1.25 : 1
  2. 1.60 : 1
  3. 2.00 : 1
  4. 2.50 : 1
(정답률: 59%)
  • 페어 형태로 연마 된 다이아몬드는 대개 두 개의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다이아몬드를 말합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는 보석 상자에서 매우 인상적으로 보이며, 대개 길이와 폭의 비율이 1.50 : 1에서 1.70 : 1 사이인 것이 가장 인기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1.60 : 1은 가장 인기 있는 비율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시각적으로 균형 잡힌 모양을 가지며, 다양한 종류의 반지나 귀걸이 등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클리비지(cleavage, 벽개)가 없는 보석은?

  1. 수정
  2. 다이아몬드
  3. 토파즈
  4. 칼사이트
(정답률: 54%)
  • 정답은 "다이아몬드"입니다. 다이아몬드는 결정 구조가 규칙적이며, 결정면이 없어 클리비지가 없습니다. 반면, 토파즈와 칼사이트는 클리비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서로 같지 않은 보석의 중량 단위는?

  1. 1ct
  2. 2g
  3. 4grain
  4. 100point
(정답률: 82%)
  • 보석의 중량 단위는 다양하지만, "1ct", "4grain", "100point" 모두 서로 다른 단위이며, 각각의 단위는 다른 중량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2g"는 그램 단위로 일정한 중량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른 단위와는 구분됩니다. 따라서, 서로 같지 않은 보석의 중량 단위 중 "2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마스터 스톤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크라운 높이는 12 ~ 16%
  2. 클래리티 등급은 최대 SI1이나 이보다 낮은 등급
  3. 중량은 0.3 ~ 0.4ct
  4. 퍼빌리언 깊이는 41 ~ 45%
(정답률: 91%)
  • "클래리티 등급은 최대 SI1이나 이보다 낮은 등급"은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마스터 스톤은 클래리티 등급이 최대 SI1까지 허용됩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보석감별법

31. 다음 중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내포물의 양과 위치
  2. 프로포션
  3. 다이아몬드의 크기
  4. 다이아몬드의 결정구조
(정답률: 65%)
  • 다이아몬드의 결정구조는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닙니다. 다이아몬드의 결정구조는 다이아몬드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결정구조가 좋을수록 다이아몬드의 무게감과 광택이 더욱 뛰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다이아몬드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절률 : 2.417
  2. 비중 : 3.52
  3. 분산 : 0.2
  4. 모스 경도 : 10
(정답률: 88%)
  • 분산이 0.2인 것이 옳지 않습니다. 다이아몬드의 분산은 0.044입니다. 분산은 물질이 빛을 어떻게 산란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빛의 파장에 따라 산란 정도가 달라집니다. 다이아몬드는 빛을 매우 강하게 굴절시키는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산이 매우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목측에 의한 다이아몬드 테이블 비율의 추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페이스-업법
  2. 비율법
  3. 보우잉법
  4. 플래시법
(정답률: 54%)
  • 페이스-업법은 다이아몬드를 위에서 바라보는 방식으로 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이며, 목측에 의한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이스-업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이색경 사용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반사광만을 사용해야 한다.
  2. 편광된 빛을 광원으로 사용해야 한다.
  3. 광원에 밀착하여 시험석을 올려놓고 관찰하여야 한다.
  4. 컬러 조닝과 밴딩을 다색성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72%)
  • 컬러 조닝과 밴딩은 다색성과는 다른 개념이며, 다색성과 혼동하면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컬러 조닝은 색상의 진한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고, 밴딩은 색상의 변화를 만드는 것이다. 다색성은 물체가 다른 색상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이색경 사용시 컬러 조닝과 밴딩을 다색성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조흔검사 시 소달라이트(Sodalite)의 조흔색은?

  1. 적색
  2. 백색
  3. 청색
  4. 갈색
(정답률: 73%)
  • 소달라이트는 백색에서 청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띠지만, 조흔 시에는 백색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소달라이트의 조흔색이 주로 형광성을 띄는데, 백색 형광이 가장 강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복굴절성 보석 중 보석과 광축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토파즈 - 이축성
  2. 자수정 - 이축성
  3. 페리도트 - 일축성
  4. 아이올라이트 - 일축성
(정답률: 32%)
  • 토파즈는 이축성 보석입니다. 이는 토파즈의 결정 구조가 이축성을 띄기 때문입니다. 이축성 보석은 광선이 두 개의 축을 따라 진행될 때 서로 다른 속도로 진행되어 광선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토파즈의 광축과 보석의 연결이 올바르게 되어 있으면 이러한 현상을 잘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대검사를 할 때 배경은 어둡고 보석 내포물은 밝게 보이기 때문에 내포물을 관찰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조명법은?

  1. 명시야 조명
  2. 암시야 조명
  3. 두상 조명
  4. 편광 조명
(정답률: 81%)
  • 암시야 조명은 배경을 어둡게 하고 보석 내포물을 밝게 비추어 내포물의 윤곽을 뚜렷하게 보이게 하는 조명법입니다. 이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내포물을 관찰할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편광성 검사시 편광기의 다크 포지션에서 시험석을 회전시켰을 때에 회전 중 시험석이 밝은 상태로 있으면 어떤 광학 특성인가?

  1. 단굴절(SR)
  2. 복굴절(DR)
  3. 이상복굴절(ADR)
  4. 잠정질(AGG)
(정답률: 78%)
  • 편광성 검사에서 시험석이 밝은 상태로 있으면 잠정질(AGG)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시험석 내부에 결정 구조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광선이 다양한 방향으로 산란되어 밝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반면, 단굴절(SR), 복굴절(DR), 이상복굴절(ADR)은 결정 구조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광선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어두운 상태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굴절률이 1.544~1.553에 해당되는 삼방정계 보석광물은?

  1. 터쿼이즈
  2. 네프라이트
  3. 지르콘
  4. 자수정
(정답률: 57%)
  • 굴절률이 1.544~1.553에 해당하는 삼방정계 보석광물은 자수정입니다. 자수정은 광학적으로 양축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굴절률이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굴절률이 1.544~1.553에 해당하는 삼방정계 보석광물 중에서는 자수정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비중 검사시 사용되는 비중액인 순수한 옥화메틸렌은 비중이 3.32이다. 이것과 가장 가까운 비중을 갖는 지시석은?

  1. 백수정(rock crystal)
  2. 방해석(calcite)
  3. 청금석(lapis-lazuli)
  4. 비취(jadeite)
(정답률: 57%)
  • 비중이란 물질의 단위 부피당 무게를 말합니다. 따라서 비중이 3.32인 옥화메틸렌과 가장 가까운 비중을 갖는 지시석은 비중이 3.32에 가장 가까운 비중을 갖는 비취(jadeite)입니다. 다른 보기들의 비중은 백수정(rock crystal)이 2.65, 방해석(calcite)이 2.71, 청금석(lapis-lazuli)이 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분광기의 스펙트럼에 어두운 수평선이 생기는 이유는?

  1. 시험석으로 빛이 반사되었을 때
  2. 슬릿이 많이 열려 있을 때
  3. 슬릿에 먼지가 쌓여 있을 때
  4. 투명하지 않은 시험석을 검사할 때
(정답률: 84%)
  • 분광기는 빛을 슬릿을 통해 쪼개어 스펙트럼으로 만들어내는데, 이때 슬릿에 먼지가 쌓이면 빛이 방해를 받아 스펙트럼이 어두워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슬릿에 먼지가 쌓여 있을 때는 정확한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외선 형광성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보석은 자외선을 조사하면 형광을 발한다.
  2. 자외선 형광성 검사는 암실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자외선 형광성 검사로 합성루비와 천연루비를 명확히 구분 할 수 있다.
  4. 자외선 형광성 검사는 백색판 위에서 해야 효과적이다.
(정답률: 79%)
  • 자외선 형광성 검사는 보석의 형광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 모든 보석이 자외선을 조사하면 형광을 발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검사는 암실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는 검사 과정에서 외부 광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자외선 형광성 검사는 암실에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분광기에 나타나는 흡수 패턴의 종류 중 뚜렷하며 날카롭고 가늘게 보이는 것은?

  1. 라인(line)
  2. 밴드(band)
  3. 일반적인 흡수(general absorption)
  4. 컷 오프(cut off)
(정답률: 80%)
  • 라인(line)은 특정한 파장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흡수 패턴으로, 분자 내부의 특정한 진동 모드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라인은 다른 흡수 패턴들과는 달리 매우 날카롭고 가늘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침적액을 사용한 담금액 검사(침적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색부분과 무색부분으로 이루어진 접합처리여부 관찰이 용이하다.
  2. 플레임 퓨전법으로 제조된 합성 루비의 고선의 성장선 관찰이 용이하다.
  3. 커런덤의 표면확산처리여부 관찰이 용이하다.
  4. 알렉산드라이트의 변색효과 관찰이 용이하다.
(정답률: 57%)
  • 알렉산드라이트의 변색효과 관찰이 용이한 이유는 침적액에 알렉산드라이트를 첨가하면, 알렉산드라이트가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색이 변하는데, 이 변색효과를 통해 금속 이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구(fracture)의 종류 중 깨진 면이 둥근 곡선 무늬를 나타내며, 유리, 수정, 오팔 등 대부분의 투명 보석에서 볼 수 있는 것은?

  1. 입상
  2. 목쇄상
  3. 패각상
  4. 균일상
(정답률: 85%)
  • 패각상은 깨진 면이 다각형 모양으로 나타나는 단구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유리, 수정, 오팔 등 대부분의 투명 보석에서 볼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보석들이 결정 구조가 다각형 모양을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깨진 면도 다각형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보석가공기법

46. 다음 중 정수법으로 비중을 측정할 때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다공질 보석은 비중치가 정확히 측정되지 않는다.
  2. 비커의 지지대가 저울의 접시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사용하는 물은 10℃ 이상의 온수가 이상적이다.
  4. 비중검사는 나석만 가능하고 세팅된 보석의 비중은 구할 수 없다.
(정답률: 87%)
  • "사용하는 물은 10℃ 이상의 온수가 이상적이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물의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기 때문입니다. 더 높은 온도의 물은 더 낮은 온도의 물보다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정확한 비중 측정을 위해서는 10℃ 이상의 온수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컬러필터 검사시 염색 녹색 칼세도니의 반응색은?

  1. 녹색 ~ 청록색
  2. 핑크 ~ 적색
  3. 황색
  4. 청색
(정답률: 87%)
  • 컬러필터 검사에서 염색 녹색 칼세도니의 반응색은 핑크 ~ 적색입니다. 이는 칼세도니가 녹색을 흡수하고, 빨간색과 파란색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빨간색과 파란색이 혼합되어 핑크 ~ 적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광택은 밝으나 확산되어 보이며, 방향성이 있는 실크 구조로 인해 여러 효과를 유발하는 광택으로 일반적으로 호안석에서 볼 수 있는 것은?

  1. 수지광택
  2. 진주광택
  3. 견사광택
  4. 금강광택
(정답률: 93%)
  • 견사광택은 실크 구조로 인해 방향성이 있어서, 특정 각도에서만 반사되어 보이며, 확산되지 않는 광택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호안석의 견사광택은 다른 광택과 구별이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보석을 현미경으로 확대검사를 실시하여 곡선의 성장선과 기포를 발견하였다. 예측 가능한 보석으로 옳은 것은?

  1. 합성루비
  2. 천연루비
  3. 합성에메랄드
  4. 천연에메랄드
(정답률: 79%)
  • 합성루비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보석으로, 제조과정에서 곡선의 성장선과 기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검사하면 이러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천연루비는 지구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된 보석으로, 이러한 특징이 발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곡선의 성장선과 기포가 발견된 보석은 합성루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외선에 의한 다이아몬드의 형광성 검사시 가장 일반적인 다이아몬드의 형광색은?

  1. 청색
  2. 회색
  3. 적색
  4. 갈색
(정답률: 89%)
  • 다이아몬드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일부 다이아몬드는 형광성을 띄게 됩니다. 이때 가장 일반적인 형광색은 청색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내부에 포함된 붕소 원자가 자외선을 받으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청색 형광은 붕소 원자의 특성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에메랄드의 균열은 감추기 위한 처리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열처리
  2. 방사능처리
  3. 오일처리
  4. 염료처리
(정답률: 89%)
  • 에메랄드는 자연적으로 균열이 많이 발생하는 보석입니다. 이러한 균열은 보석의 가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감추기 위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은 오일처리입니다. 오일처리는 균열을 채우고 보석의 투명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오일처리는 다른 처리 방법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고 비용도 적게 듭니다. 따라서 에메랄드의 균열을 감추기 위해서는 오일처리가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패시팅 연마시 굴절률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1. 테이블 비율
  2. 크라운 높이
  3. 거들 두께
  4. 퍼빌리언 각도
(정답률: 93%)
  • 패시팅 연마시 굴절률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퍼빌리언 각도는 다이아몬드의 광학적 특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퍼빌리언 각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다이아몬드가 빛을 받았을 때 빛이 다이아몬드 내부에서 반사되어 더욱 빛나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퍼빌리언 각도를 올바르게 조절하는 것이 패시팅 연마시 굴절률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5각형을 연마할 수 있는 인덱스 기어는?

  1. 32 인덱스 기어
  2. 60 인덱스 기어
  3. 84 인덱스 기어
  4. 96 인덱스 기어
(정답률: 77%)
  • 5각형은 5개의 변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360도를 5로 나눈 값인 72도씩 회전시켜야 합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인덱스 기어는 60 인덱스 기어입니다. 60 인덱스 기어는 6도씩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72도를 6으로 나눈 값인 12회 회전시켜서 5각형을 연마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인덱스 기어들은 5각형을 연마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스텝 컷(step cut)의 응용형이 아닌 것은?

  1. 브라질 컷(Brazilian cut)
  2. 삼각 컷(triangle cut)
  3. 쉴드 컷(shield cut)
  4. 트랩 브릴리언트 컷(trap brilliant cut)
(정답률: 51%)
  • 브라질 컷은 다이아몬드의 밑면이 평평하게 깎인 형태로, 다이아몬드의 빛을 더욱 강조하고 브릴리언트 컷과 유사한 화이트 브릴리언스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브라질 컷은 스텝 컷의 응용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라운드 브릴리언트형의 크라운면을 연마할 때 가장 먼저 연마하는 면은 무엇인가?

  1. 어퍼 거들면
  2. 베즐면(메인면)
  3. 테이블면
  4. 스타면
(정답률: 69%)
  • 라운드 브릴리언트형 다이아몬드의 테이블면은 다이아몬드의 가장 큰 면으로, 다이아몬드의 빛을 가장 잘 반사시키는 면입니다. 따라서 테이블면을 먼저 연마하여 다이아몬드의 빛을 최대한으로 반사시키고, 더욱 빛나는 다이아몬드를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연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접합 부분의 면적이 적고, 정밀을 요하는 Eoa 부분에 사용되는 땜질 기법은?

  1. 땜 올려 붙이기
  2. 질러 땜하기
  3. 편상 땜하기
  4. 핀셋에 땜달아 붙이기
(정답률: 84%)
  • Eoa 부분은 작고 복잡한 형태를 가지며, 접합 부분의 면적이 적기 때문에 정밀한 땜질 기술이 필요합니다. 핀셋에 땜달아 붙이기는 작은 부품을 다루는 데 적합하며, 땜을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조절할 수 있어 정밀한 땜질에 적합합니다. 또한, 핀셋을 이용하여 땜을 달아 붙이면 땜이 흘러나오지 않고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어 완성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핀셋에 땜달아 붙이기가 Eoa 부분에 사용되는 땜질 기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멜레 다이아몬드의 난물림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난발 난물림
  2. 조각 난물림
  3. 이중테 난물림
  4. 신관 난물림
(정답률: 66%)
  • 멜레 다이아몬드의 난물림 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조각 난물림"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각 조각을 따로 연마하는 방법으로, 다이아몬드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조각 난물림은 다이아몬드의 광택과 빛의 반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보석의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에메랄드 컷에서 거들상의 면을 뺀 나머지 면의 수는?

  1. 42면
  2. 50면
  3. 58면
  4. 62면
(정답률: 67%)
  • 에메랄드 컷은 보통 58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 거들상의 면은 8면이므로, 나머지 면의 수는 58면에서 8면을 뺀 50면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경도가 낮거나 반투명 및 불투명석에 있어 표면 반사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위한 돔형의 보석 가공법은?

  1. 캐보션(Cabochon)형
  2. 패시팅(Faceting)형
  3. 카빙(Caving)형
  4. 인탈리오(Intalio)형
(정답률: 93%)
  • 캐보션(Cabochon)형은 보석의 표면을 둥글게 연마하여 광택을 내는 가공법입니다. 이는 경도가 낮거나 반투명 및 불투명석의 경우, 패시팅(Faceting)형 등의 다른 가공법으로는 표면 반사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캐보션(Cabochon)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절단기를 사용할 때 사용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너무 무리하게 힘을 주어 원석을 절단하지 않는다.
  2. 원석이 흔들리지 않도록 양손으로 가볍게 잡는다.
  3. 바닥에서 원석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앞쪽으로 밀면서 절단한다.
  4. 마지막 절단의 끝부분에서는 미는 속도를 줄인다.
(정답률: 74%)
  • 소절단기를 사용할 때 바닥에서 원석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앞쪽으로 밀면서 절단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안전상 위험하며, 소재가 튀거나 원석이 깨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바닥에 고정시킨 후 절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