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보석감정사(기능사)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석학일반

1. 18K 이상의 고품위 금 합금을 시금석법으로 감별할 때 사용하는 시약으로 적합한 것은?

  1. 질산용액
  2. 왕수
  3. 황산용액
  4. 빙초산
(정답률: 68%)
  • 왕수는 고품위 금 합금을 감별할 때 사용되는 시약 중 하나입니다. 이는 왕수가 질산과 질산염을 함유하고 있어서, 고품질의 금 합금에 반응하여 질산금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반응은 다른 금 합금에는 일어나지 않으므로, 왕수를 사용하여 감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석으로 사용되는 양질의 제이다이트가 산출되는 가장 대표적인 산지는?

  1. 브라질
  2. 스리랑카
  3. 나미비아
  4. 미얀마
(정답률: 74%)
  • 미얀마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질의 제이다이트가 산출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이는 미얀마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과 지하수의 영향으로 인해 제이다이트가 형성되기 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얀마에서 산출되는 제이다이트는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가지고 있어 보석으로서의 가치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오닉스(Onyx)는 어떤 보석의 변종인가?

  1. 아게이트(Agate)
  2. 칼세도니(Chalcedony)
  3. 장석(Feldspar)
  4. 크리소베릴(Chrysoberyl)
(정답률: 65%)
  • 오닉스(Onyx)는 칼세도니(Chalcedony)의 변종 중 하나입니다. 칼세도니는 광물학적으로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보석으로, 오닉스는 칼세도니의 검은색 변종입니다. 따라서 오닉스는 칼세도니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하나의 광물이 아니고 여러 가지 광물의 집합체인 보석은?

  1. 크리소프레이즈
  2. 로도크로사이트
  3. 라피스라줄리
  4. 칼사이트
(정답률: 84%)
  • 라피스라줄리는 라줄라이트, 청금석, 황금석 등 여러 가지 광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보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진주 관리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땀이 묻은 채로 보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 전용 헝겊을 비치하여 닦는다.
  3. 산, 알칼리에 약하므로 주의를 한다.
  4. 물에 닦거나 베이비 오일을 발라둔다.
(정답률: 96%)
  • 물에 닦거나 베이비 오일을 발라둔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진주는 물에 닿으면 손상될 수 있으며, 베이비 오일은 진주의 광택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진주를 관리할 때는 전용 헝겊을 사용하여 부드럽게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석과 조흔색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산호 - 적색
  2. 라피스라줄리 - 청색
  3. 말라카이트 - 녹색
  4. 헤마타이트 - 적색
(정답률: 66%)
  • 산호는 적색이 아닌 백색 또는 연한 주황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점에 진열된 은제품의 변색을 막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1. 투명한 비닐로 밀봉한다.
  2. 습기를 높인다.
  3. 가열한다.
  4. 유황을 가한다.
(정답률: 93%)
  • 은은 공기 중의 황화물과 반응하여 검은색 산화물을 생성하므로, 투명한 비닐로 밀봉하여 공기와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변색을 막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학명에 따른 보석의 분류 중 군(group)으로 분류되는 것은?

  1. 베릴
  2. 커런덤
  3. 칼세도니
  4. 가닛
(정답률: 81%)
  • 가닛은 학명상으로 그룹 Garnet에 속하며, 나머지 보석들은 다른 그룹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목걸이 형태에서 진주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로 배열된, 진주 목걸이 명칭은?

  1. 유니폼(Uniform)
  2. 스프랜더(Splender)
  3. 그래듀에이션(Graduation)
  4. 컨버터블(Convertible)
(정답률: 87%)
  • 유니폼(Uniform)은 진주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로 배열된 목걸이 형태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진주의 크기나 배열 방식이 일정하지 않거나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작석(Malachite)에 들어 있는 성분은?

  1. 탄산칼슘
  2. 탄산아연
  3. 탄산구리
  4. 탄산망간
(정답률: 70%)
  • 공작석은 화학식 Cu2CO3(OH)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 탄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탄산을 가진 성분인 "탄산구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석합성 방법 중 가장 높은 압력이 요구되는 합성법은?

  1. 스컬 용융법
  2. 플럭스법
  3. 열수법
  4. 플레임 퓨전법
(정답률: 60%)
  • 열수법은 보석을 합성하기 위해 가장 높은 압력과 온도가 필요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고온과 고압에서 천연 보석의 원료인 광물을 녹여 합성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교하고 고가의 보석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합성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천연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적으로 제조한 물질이다.
  2. 천연보석과 외견상 유사하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전혀 다른 물질이다.
  3. 천연보석과 화학성분, 결정구조, 물리적 성질이 거의 같거나 동일한 물질이다.
  4. 두 개 이상의 물질이 하나의 형태로 붙여진 물질이다.
(정답률: 91%)
  • 합성석은 천연보석과 화학성분, 결정구조, 물리적 성질이 거의 같거나 동일한 물질입니다. 이는 인공적으로 제조되었지만 외견상으로는 천연보석과 유사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합성석은 천연보석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현미경으로도 구별할 수 없을 정도의 매우 미세한 결정의 조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등립질
  2. 현정질
  3. 입상조직
  4. 은미정질
(정답률: 91%)
  • 은미정질은 현미경으로도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미세한 결정의 조직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결정체가 매우 작고 불규칙적인 형태를 띠기 때문에 구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은미정질"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방향에 따른 경도의 변화가 가장 현저한 보석은?

  1. 네프라이트
  2. 에메랄드
  3. 석영
  4. 카이아나이트
(정답률: 54%)
  • 카이아나이트는 방향에 따라서 경도가 크게 달라지는 보석 중 하나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카이아나이트를 가공할 때는 보석의 결정 방향을 고려하여 가공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향에 따른 경도의 변화가 가장 현저한 보석은 카이아나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부분의 유색보석이 형성되는 곳은?

  1. 지구의 중심부 핵
  2. 지구의 멘틀층
  3. 지구의 대륙지각
  4. 지구의 해양지각
(정답률: 85%)
  • 유색보석은 대부분 지구의 대륙지각에서 형성됩니다. 이는 대륙지각이 지각 변동과 지열 활동으로 인해 깊은 지하에서 압력과 온도가 높아지면서 광물이 결정화되고, 이 과정에서 유색보석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중심부 핵과 멘틀층은 유색보석 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해양지각에서는 유색보석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다이아몬드감정법

16. 지르콘(Zirc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각상 단구를 보인다.
  2. 화학성분은 ZrSiO4이고, 정방정계 광물이다.
  3. 확대검사 시 말꼬리상 내포물을 관찰할 수 있다.
  4. 지르콘은 OTL보석이며, 653.5nm에 흡수라인이 나타난다.
(정답률: 75%)
  • 지르콘은 OTL보석이 아니며,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르콘은 광물 중 하나로, 화학성분은 ZrSiO4이고, 정방정계 광물입니다. 또한, 지르콘은 확대검사 시 말꼬리상 내포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653.5nm에 흡수라인이 나타나는 것은 맞지만, 지르콘이 OTL보석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유리
  2. 갈탄
  3. 산호
  4. 플라스틱
(정답률: 91%)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물건들은 모두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졌는데, "유리"와 "산호"는 자연 소재이고, "플라스틱"은 인공 소재이므로 "갈탄"이 유일한 자연 소재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석과 그 보석의 특징적인 내포물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에메랄드-삼상 내포물
  2. 상아-색대
  3. 호박-연꽃잎 모양의 내포물
  4. 네프라이트-썬 스팽글
(정답률: 77%)
  • 에메랄드는 삼상 내포물이다. 삼상 내포물은 보석 내부에 세 개의 삼각형 모양의 내포물이 있는 것을 말한다. 에메랄드는 이 삼각형 모양의 내포물이 뚜렷하게 보이는 대표적인 보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이아몬드의 중량을 추정할 때 길이 대 폭의 비율에 의한 조정계수가 필요한 형태는?

  1. 하트 셰이프
  2. 오벌 브릴리언트
  3. 라운드 브릴리언트
  4. 페어 세이프
(정답률: 62%)
  • 다이아몬드의 중량을 추정할 때 길이 대 폭의 비율에 의한 조정계수가 필요한 형태는 "페어 세이프"입니다. 이는 페어 세이프가 다른 형태의 다이아몬드보다 길이와 폭의 비율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비율에 따른 조정계수가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이아몬드의 컬러 그레이딩을 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팬시 컬러가 아닌 경우, 다이아몬드의 어느 부분을 통하여 색을 비교하는 것이 좋은가?

  1. 테이블에 수직방향으로
  2. 퍼빌리언에 수직방향으로
  3. 큐릿을 통해
  4. 방향에 관계가 없다.
(정답률: 73%)
  • 다이아몬드의 컬러 그레이딩에서는 퍼빌리언에 수직방향으로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컬러가 대부분 퍼빌리언에서 가장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테이블이나 큐릿을 통해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퍼빌리언에 비해 색상이 덜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컬러 그레이딩을 위해서는 퍼빌리언에 수직방향으로 비교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이아몬드를 잡는 방법 중 다이아몬드의 전체적인 첫인상을 파악하기에 유용한 방법은?

  1. 거들-업법
  2. 프로파일법
  3. 페이스-다운법
  4. 페이스-업법
(정답률: 77%)
  • 다이아몬드의 전체적인 첫인상을 파악하기에 유용한 방법은 "페이스-업법"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를 위에서 바라보며 보는 방법으로, 다이아몬드의 대부분의 미세한 결함이나 인클루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이아몬드의 광채와 빛의 반사도 확인할 수 있어 다이아몬드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착용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다이아몬드의 블레미시(blemish)가 아닌것은?

  1. 스크래치(Scratch)
  2. 닉(Nick)
  3. 내추럴(Natural)
  4. 어브레이젼(Abrasion)
(정답률: 79%)
  • 내추럴(Natural)은 다이아몬드의 원래 모양과 크기를 유지하면서 광택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착용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스크래치(Scratch), 닉(Nick), 어브레이젼(Abrasion)과는 달리 다이아몬드의 외형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블레미시(blemish)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합성 모이싸나이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복굴절하는 보석으로 확대 검사시 더블링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2. 경도가 다이아몬드와 같아서 경도검사로는 다이아몬드와 구별 할 수 없다.
  3. 내포물 검사시 가늘고 긴 침상 내포물이 특징이다.
  4. 굴절률은 2.65~2.69 이다.
(정답률: 75%)
  • 합성 모이싸나이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경도가 다이아몬드와 같아서 경도검사로는 다이아몬드와 구별 할 수 없다." 입니다.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다이아몬드의 경도는 10이며, 합성 모이싸나이트의 경도는 9.25입니다. 따라서 경도검사로는 다이아몬드와 합성 모이싸나이트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테이블을 통해서 보이고 퍼빌리언 표면까지 닿아 있는 페더는 어디에 무슨 색으로 작도하는가?

  1. 크라운 도형에 적색으로 작도
  2. 크라운 도형에 녹색으로 작도
  3. 퍼빌리언 도형에 적색으로 작도
  4. 퍼빌리언 도형에 녹색으로 작도
(정답률: 76%)
  • 페더는 퍼빌리언 표면까지 닿아 있으므로, 퍼빌리언 도형에 작도해야 합니다. 또한, 페더는 빨간색으로 작도되어 있으므로, 퍼빌리언 도형에 적색으로 작도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퍼빌리언 도형에 적색으로 작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이아몬드의 클래리티 등급 구분 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페이퍼 홀더
  2. 루페
  3. 트위저
  4. 젬 크로스
(정답률: 79%)
  • 다이아몬드의 클래리티 등급 구분 시 사용되는 것은 루페, 트위저, 젬 크로스입니다. 이들은 다이아몬드의 내부 결함, 흠집, 광택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페이퍼 홀더는 다이아몬드를 보관하거나 전달할 때 사용되는 종이로, 클래리티 등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이아몬드 거들(Girdle)의 윤곽을 만드는 작업은?

  1. 브루팅(Bruting)
  2. 클리빙(Cleaving)
  3. 블록킹(Blocking)
  4. 마킹(Marking)
(정답률: 90%)
  • 다이아몬드 거들의 윤곽을 만드는 작업은 브루팅(Bruting)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를 원하는 모양으로 연마하기 위해 다이아몬드를 회전시키면서 다이아몬드 거들의 윤곽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다이아몬드를 회전시키는 도구를 브루터(Bruter)라고 하며, 브루터를 사용하여 다이아몬드의 모양과 크기를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이아몬드의 피니시(finish)에서 거들의 윤곽이 원형에서 벗어난 것을 표시하는 대칭 요소는?

  1. OR
  2. WG
  3. Ptg
  4. Fac
(정답률: 72%)
  • 다이아몬드의 피니시에서 거들의 윤곽이 원형에서 벗어난 것을 나타내는 대칭 요소는 "OR"입니다. 이는 "OR"이 Oval Round의 약어이기 때문입니다. Oval Round는 원형에서 약간 벗어난 타원형 모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OR"은 다이아몬드의 거들이 원형에서 벗어난 모양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대칭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이아몬드가 색을 갖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빛의 선택적 흡수
  2. 컬러센터
  3. 화학적인 불순물
  4. 다이아몬드의 형태
(정답률: 69%)
  • 다이아몬드의 형태는 색을 갖는 원인이 아닙니다. 다이아몬드는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색은 불순물이나 결함에 의해 발생합니다. 빛의 선택적 흡수와 컬러센터는 다이아몬드의 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화학적인 불순물도 색을 만드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의 형태는 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마스터 스톤의 가장 적당한 프로포션은?

  1. 14% 크라운 높이, 43% 퍼빌리언 깊이, 약간 두꺼운 거들
  2. 16% 크라운 높이, 43% 퍼빌리언 깊이, 두꺼운 거들
  3. 18% 크라운 높이, 50% 펴빌리언 깊이, 얇은 거들
  4. 20% 크라운 높이, 52% 퍼빌리언 깊이, 매우 얇은 거들
(정답률: 82%)
  • 마스터 스톤은 크라운 높이와 퍼빌리언 깊이의 비율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14% 크라운 높이와 43% 퍼빌리언 깊이는 가장 적절한 비율로, 머리의 형태와 얼굴형을 고려하여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약간 두꺼운 거들은 마스터 스톤의 무게감을 더해주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이아몬드 컬러 스케일에서 베리 라이트 엘로우(VERY LIGHT YELLOW)의 범위는?

  1. G ~J
  2. K ~ M
  3. N ~ R
  4. S ~ Z
(정답률: 66%)
  • 다이아몬드 컬러 스케일에서 베리 라이트 엘로우(VERY LIGHT YELLOW)의 범위는 "N ~ R"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 컬러 스케일에서 엘로우(YELLOW)의 범위가 "Z ~ M"이고, 베리 라이트 엘로우(VERY LIGHT YELLOW)는 엘로우(YELLOW)보다 더 밝은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베리 라이트 엘로우(VERY LIGHT YELLOW)의 범위는 엘로우(YELLOW)의 범위보다 상위인 "N ~ R"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보석감별법

31. 마스터 아이 효과에 의해 검사하려는 다이아몬드가 G 컬러 마스터 스톤의 왼쪽에서는 짙어 보이지만, 오른쪽에서는 연해보인다면 이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은? (단, GIA 방식)

  1. E
  2. F
  3. G
  4. H
(정답률: 90%)
  • 이 다이아몬드는 마스터 아이 효과에 영향을 받아 왼쪽에서는 짙어 보이지만, 오른쪽에서는 연해 보인다는 것은 다이아몬드의 대칭성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경우 GIA 방식에서는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을 대칭성이 좋은 측면에서 평가합니다. 따라서 이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은 "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표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의 이상적인 크라운 각도는?

  1. 16½°
  2. 34½°
  3. 40¾°
  4. 43¾°
(정답률: 75%)
  • 표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다이아몬드의 이상적인 크라운 각도는 34½°입니다. 이유는 이 각도에서 다이아몬드가 최대한 빛을 받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이 각도는 빛이 다이아몬드의 상단에서 들어오면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이아몬드의 빛을 더욱 빛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이 각도는 다이아몬드의 브릴리언스와 파이어를 극대화시키는 최적의 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이아몬드에 관한 마무리 세부 사항을 통칭해서 피니시(finish)라고 하는데, 다음 중 피니시에 해당하는 항목은?

  1. 폴리시(polish), 대칭(symmetry)
  2. 색(color), 투명도(clarity)
  3. 중량(carat), 연마(cut)
  4. 광택(luster), 경도(hardness)
(정답률: 89%)
  • 폴리시는 다이아몬드의 표면을 광택나게 다듬는 과정을 말하며, 대칭은 다이아몬드의 대칭성을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따라서 이 둘은 다이아몬드의 외적인 모습과 미적인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다이아몬드의 물리적 특성이나 크기와 관련된 것으로, 다이아몬드의 외모나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현미경 조명 중 커브선이나 투명성이 낮은 보석의 내포물을 관찰하는데 이용되는 조명은?

  1. 편광 조명
  2. 수직 조명
  3. 명시야 조명
  4. 암시야 조명
(정답률: 65%)
  • 명시야 조명은 보석 내부의 내포물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으로, 빛을 보석 내부로 직접 비추어 내부의 구조를 관찰하는 방식입니다. 이에 비해 편광 조명은 보석의 표면을 비추어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보석의 외형을 관찰하는 방식이며, 수직 조명은 보석의 표면을 수직으로 비추어 그림자를 이용하여 보석의 형태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내포물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보석 내부로 직접 빛을 비추는 명시야 조명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천연 사파이어에서 볼 수 있는 내포물을 바르게 짝지어 놓은 것은?

  1. 교차 침상 내포물 - 지문상 내포물
  2. 육각성장구조 - 둥근 성장선
  3. 육각백금판상결정 - 관 모양의 내포물
  4. 삼상 내포물 - 구형기포
(정답률: 78%)
  • 천연 사파이어에서 볼 수 있는 내포물 중에는 교차 침상 내포물과 지문상 내포물이 있습니다. 이 둘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교차하는 라인이나 지문 모양의 패턴이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사파이어의 결정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둘을 바르게 짝지어 놓은 것이 정답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사파이어의 다른 특징들과 관련이 있지만, 내포물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편광검사에서 크로스 해치(Cross-hatch)현상이 나타나는 보석은?

  1. 합성 루비
  2. 토파즈
  3. 수정
  4. 합성 스피넬
(정답률: 77%)
  • 크로스 해치 현상은 보석의 결함이나 균열이 크로스 패턴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합성 스피넬은 다른 보석들과 비교하여 결함이나 균열이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크로스 해치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합성 스피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색보석 형광성 검사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단파 자외선
  2. 장파 자외선
  3. 백색 냉광
  4. 무형광 검은색 배경
(정답률: 82%)
  • 유색보석 형광성 검사는 보석이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 발광하는 형광성을 이용하여 보석의 종류나 원산지 등을 판별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중 백색 냉광은 자외선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유색보석 형광성 검사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석의 외관검사 중 색상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광과 동일한 투과광을 사용한다.
  2. 일광과 동일한 광원이 없다면 펜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3. 보석을 페이스 업 상태에서 검사한다.
  4. 약 10~15cm 떨어져 백색 바탕에서 검사한다.
(정답률: 46%)
  • "약 10~15cm 떨어져 백색 바탕에서 검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색상검사는 일광과 동일한 투과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보석의 색상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일광과 동일한 광원이 없다면 펜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는 일광과는 다른 광원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보석을 페이스 업 상태에서 검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는 색상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학약품 검사에서 염산에 발포 반응을 보이는 보석이 아닌것은?

  1. 칼사이트
  2. 아라고나이트
  3. 로도크로사이트
  4. 차보라이트
(정답률: 63%)
  • 염산에 발포 반응을 보이는 보석은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로도크로사이트입니다. 이들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어 염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면서 발포합니다. 반면 차보라이트는 탄산마그네슘으로 이루어져 있어 염산과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투과광을 이용해 흡수스펙트럼을 관찰하기 어려운 보석은?

  1. 재스퍼
  2. 페리도트
  3. 루비
  4. 지르콘
(정답률: 56%)
  • 재스퍼는 투과광을 이용해 흡수스펙트럼을 관찰하기 어려운 보석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재스퍼가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흡수선이 넓게 분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투과광을 이용한 분석이 어렵습니다. 반면, 페리도트, 루비, 지르콘은 특정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흡수선이 좁게 분포하므로 투과광을 이용한 분석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정수법에 의한 보석의 비중 측정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은 ""입니다.

    보석의 비중 측정 관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석의 무게 / (보석의 무게 - 물의 무게)) x 100

    이 식에서 보석의 무게는 측정한 보석의 무게를 의미하고, 물의 무게는 보석을 담을 수 있는 그릇에 물을 채워 놓고 보석을 담아서 생긴 물의 양에 해당하는 무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보석의 무게와 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보석의 비중을 계산하는 식인 ""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삼색성을 가진 보석을 이색경을 이용하여 광축방향을 검사할 경우 몇가지 색이 관찰되는가?

  1. 1가지
  2. 2가지
  3. 3가지
  4. 4가지
(정답률: 46%)
  • 삼색성을 가진 보석은 빛을 받으면 빨강, 녹색, 파랑 세 가지 색으로 나뉘어져서 반사됩니다. 이색경을 이용하여 광축방향을 검사할 경우, 삼색성을 가진 보석에서는 빨강, 녹색, 파랑 세 가지 색이 모두 관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가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표면 확산 처리된 사파이어의 감별시 가장 유용한 용액은?

  1. 톨루엔
  2. 브로모포름
  3. 아세톤
  4. 메틸렌 아이오다이드
(정답률: 71%)
  • 메틸렌 아이오다이드는 사파이어의 표면 확산 처리에 가장 적합한 용액입니다. 이는 메틸렌 아이오다이드가 사파이어와의 화학적 상호작용이 강하고, 높은 광학적 투과도를 가지며, 빠른 확산 속도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메틸렌 아이오다이드는 안전성이 높아 다른 용액들보다 사용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외선 형광기의 장파에서 강한 적색을 띠고, 확대 검사시 플럭스 내포물이 존재하였으며 굴절률은 1.762~1.770으로 측정되었다. 다음 중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는 보석과 광학 특성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알만다이트 가닛 - SR
  2. 합성 루비 - DR
  3. 스피넬 - SR
  4. 로돌라이트 가닛 - ADR
(정답률: 82%)
  • 이러한 특성을 가진 보석은 합성 루비이며, 광학 특성은 DR(이중굴절)입니다. 이는 합성 루비가 알만다이트 가닛과는 다르게 단일 광학적 특성을 가지지 않고 이중굴절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스피넬은 굴절률이 1.712~1.805로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으며, 로돌라이트 가닛은 ADR(강쌍굴절)이므로 광학 특성이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석의 침적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침적 검사시 용기는 내포물이나 색이 없는 무색투명한 유리 용기를 사용한다.
  2. 침적 용액은 정확한 검사를 위해 관찰하려는 보석보다 굴절률이 큰 용액이 적당하다.
  3. 침적 검사를 통해 보석의 내포물, 접합 여부, 확산 처리 등을 관찰할 수 있다.
  4. 침적 검사시 접합석은 접착제가 용해될 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한다.
(정답률: 77%)
  • "침적 용액은 정확한 검사를 위해 관찰하려는 보석보다 굴절률이 큰 용액이 적당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보석의 굴절률과 침적 용액의 굴절률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보석의 내포물이나 접합 여부 등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침적 용액의 굴절률이 보석의 굴절률과 비슷하거나 작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보석과 침적 용액의 경계면에서 굴절이 적게 일어나므로, 내포물 등을 더욱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보석가공기법

46. 캐보션으로 연마된 보석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햐여 사용하는 곡면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확대법
  2. 50/50법
  3. 명멸법
  4. 평균법
(정답률: 75%)
  • 캐보션으로 연마된 보석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곡면법은 보석의 곡면을 측정하여 굴절률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중 "확대법"은 곡면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보석을 확대하여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확대법"은 캐보션으로 연마된 보석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곡면법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보석 중 첼시 컬러필터의 반응색이 일반적으로 무반응인 것은?

  1. 에메랄드
  2. 어벤추린 쿼츠
  3. 염색 녹색 칼세도니
  4. 크리소프레이즈
(정답률: 57%)
  • 첼시 컬러필터는 보석의 색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필터의 반응색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순으로 나열된 색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 크리소프레이즈는 초록색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첼시 컬러필터의 반응색이 아니기 때문에 무반응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현재 사용 중인 굴절계의 굴절률이 정확한가를 검사하는데 이용되는 보석은?

  1. 토파즈(topaz)
  2. 에메랄드(emerald)
  3. 백수정(rock crystal)
  4. 루비(ruby)
(정답률: 84%)
  • 백수정은 굴절률이 매우 높은 보석 중 하나이며, 굴절계의 검사에 이용됩니다. 이는 백수정이 광선을 매우 강하게 굴절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굴절계의 정확도를 검사할 때는 백수정이 가장 적합한 보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아이도크레이즈의 대표적인 흡수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것은?

  1. 653nm 라인
  2. 510nm 라인
  3. 464nm 라인
  4. 420nm 라인
(정답률: 65%)
  • 아이도크레이즈는 464nm 라인을 대표적인 흡수 스펙트럼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아이도크레이즈 내부의 분자들이 464nm 파장의 빛을 가장 많이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아이도크레이즈를 측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비중액의 변색을 막기 위해 비중액 안에 넣어두는 물질은?

  1. 납 조각
  2. 구리 조각
  3. 아연 조각
  4. 니켈 조각
(정답률: 78%)
  • 비중액 안에 넣는 물질은 산화되어 비중액의 산성도를 낮추고 산화작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리 조각은 다른 보기에 비해 산화되는 속도가 느리고,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산화물이 비중액의 산성도를 낮추기 때문에 비중액 안에 넣어두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견사광택을 관찰할 수 있는 보석은?

  1. 산호
  2. 호안석
  3. 헤마타이트
  4. 로도나이트
(정답률: 89%)
  • 견사광택은 보석의 표면이 거울처럼 반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 호안석은 광택이 매우 뛰어나며, 특히 빛이 반사되는 각도가 넓어서 눈에 띄게 반짝이는 효과를 보입니다. 따라서 호안석은 견사광택을 관찰할 수 있는 보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연마가 끝난 보석을 세척할 때 끓이기 방법을 적용시킬 수 없는 보석은?

  1. 다이아몬드
  2. 사파이어
  3. 오팔
  4. 스피넬
(정답률: 77%)
  • 오팔은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끓이기 방법을 적용시킬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보석의 광택작업 중 광택제 사용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도가 높은 보석의 경우 거친 메시(#)를 사용한다.
  2. 무색 투명한 보석은 거친 메시를 사용한다.
  3. 벽개가 심한 보석은 거친 메시를 사용한다.
  4. 규격이 큰 경우에는 거친 메시를 사용하고 작은 경우에는 고운 메시를 사용한다.
(정답률: 74%)
  • "무색 투명한 보석은 거친 메시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무색 투명한 보석은 광택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고운 메시를 사용하여 광택을 높이는 것이 적합합니다. 거친 메시는 벽개가 심한 보석이나 경도가 높은 보석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패시팅 연마시 굴절률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1. 테이블 비율
  2. 크라운 높이
  3. 거들 두께
  4. 퍼빌리언 각도
(정답률: 85%)
  • 패시팅 연마시 굴절률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다이아몬드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퍼빌리언 각도는 다이아몬드의 광학적 특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퍼빌리언 각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면, 다이아몬드가 빛을 받았을 때 빛이 다이아몬드 내부에서 반사되어 더욱 빛나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퍼빌리언 각도를 올바르게 조절하는 것이 패시팅 연마시 굴절률 효과를 최대한으로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보석을 혼합 컷(Mixed cut)으로 연마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스타와 같은 특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2. 원석의 무게와 형태를 최대한 살려주기 위해
  3. 경도가 낮거나 반투명 및 불투명석을 연마하기 위해
  4. 무색 투명한 보석의 휘광성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정답률: 77%)
  • 보석을 혼합 컷으로 연마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원석의 무게와 형태를 최대한 살려주기 위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은(sterling silver)의 성분비로 맞는 것은?

  1. 은 92.5[%] + 구리 7.5[%]
  2. 은 80[%] + 구리 20[%]
  3. 은 72.5[%] + 구리 27.5[%]
  4. 은 50[%] + 구리 50[%]
(정답률: 94%)
  • 정은은 은과 구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은은 고체 상태에서도 유연하고 연성이 뛰어나지만, 순수한 은으로는 강도가 부족합니다. 따라서 은에 일정 비율의 구리를 합금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정은의 경우, 은 92.5%와 구리 7.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은과 구리를 합금한 비율로, 은이 92.5%를 차지하고 구리가 7.5%를 차지합니다. 이 비율은 정은의 특성을 최적화시키는 비율로, 은의 연성과 구리의 강도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은 92.5[%] + 구리 7.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평면 조각을 하기 위한 보석 원석을 선별할 때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깨짐
  2. 내포물
  3. 비중
(정답률: 74%)
  • 비중은 보석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면 조각을 하기 위한 보석 원석을 선별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중"이 아닌 다른 항목들인 "흠", "깨짐", "내포물"입니다. 이들은 보석의 외관적인 결함이나 내부 결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면 조각을 하기 위한 보석 원석을 선별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덱스 기어 중 120 인덱스 기어 1개의 각은?

  1. 3.75˚
  2. 4.5˚
  3. 7.5˚
(정답률: 66%)
  • 인덱스 기어는 360도를 120등분하여 한 번 회전할 때마다 3도씩 회전합니다. 따라서 120 인덱스 기어 1개의 각은 3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목걸이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크리트(necklet) : 작은 목걸이를 의미하는 용어로 작은 장식과 부품들로 연결된 목걸이형이다.
  2. 네크피스(neckpiece) : 여러 개의 부품들이 연결되어 늘어뜨리지 않고 전체의 형태가 하나로 고정되어 있는 목걸이이다.
  3. 펜던트(pendant) : 목걸이에서 매달려 늘어뜨린 물건을 가리키는데, 줄에 달린 장식에 중점을 둔 장신구이다.
  4. 쵸커(chocker) : 이집트인이 즐겨 사용하던 가슴과 어깨를 덮었던 장신구를 말한다.
(정답률: 89%)
  • 쵸커(chocker) : 이집트인이 즐겨 사용하던 가슴과 어깨를 덮었던 장신구를 말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캐보션 연마의 공정순서가 맞는 것은?

  1. 소잉, 샌딩, 그라인딩, 텀블링
  2. 소잉, 그라인딩, 샌딩, 폴리싱
  3. 소잉, 샌딩, 그라인딩, 폴리싱
  4. 소잉, 그라인딩, 샌딩, 컷팅
(정답률: 72%)
  • 캐보션 연마의 공정순서는 먼저 소재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소잉 작업을 하고, 그 다음으로는 샌딩 작업을 통해 조금 더 부드러운 표면을 만듭니다. 그리고 그라인딩 작업을 통해 더욱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폴리싱 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만듭니다. 따라서 "소잉, 그라인딩, 샌딩, 폴리싱"이 올바른 공정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