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7-10)

보석감정사(기능사)
(2016-07-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석학일반

1. 명주실을 가득 감아놓은 실 꾸러미를 불빛에 가까이 갖다 대보면 실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하나의 아주 밝은 광선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보석광물에서도 볼 수 있는데 이를 무슨 효과라고 하는가?

  1. 변색
  2. 성채
  3. 스타
  4. 묘안
(정답률: 72%)
  • 이러한 현상을 묘안 효과라고 부릅니다. 이는 광선이 보석 내부에서 반사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석의 내부 구조와 광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광택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에메랄드를 모조할 때 사용하는 보석물질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합성 에메랄드
  2. 착색한 녹색 칼세도니
  3. 녹색 전기석
  4. 청색 토파즈
(정답률: 62%)
  • 에메랄드는 녹색의 보석이므로, 청색 토파즈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청색 토파즈는 파란색 또는 청록색을 띄는 보석으로, 에메랄드와는 색상이 매우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가장 저렴한 합성보석의 제조방법은 무엇인가?

  1. 플럭스법
  2. 초크랄스키법
  3. 플레임 퓨전법
  4. 수열법
(정답률: 67%)
  • 플레임 퓨전법은 가장 저렴한 합성보석 제조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고온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유리나 세라믹 같은 물질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방법들에 비해 재료와 장비가 간단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루비를 붉은 전등 불빛으로 보면 어떤색으로 보이는가?

  1. 검은색
  2. 황색
  3. 적색
  4. 백색
(정답률: 72%)
  • 루비는 적색의 광원에서 가장 아름답게 반짝이기 때문에 붉은 전등 불빛으로 보면 적색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도매상이 수행해야 할 중요한 역할에 부합되지 않는 것은?

  1. 제조업자들의 판매책을 담당하므로 새로운 상품을 소매상에 소개한다.
  2. 제조업자들의 상품을 더 넓은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한다.
  3. 소매상들에게 낮은 비용으로 물건을 공급한다.
  4. 모든 소비자들에게 도매가격으로 판매한다.
(정답률: 83%)
  • "모든 소비자들에게 도매가격으로 판매한다."는 도매상이 수행해야 할 중요한 역할에 부합되지 않는다. 도매상은 소매상에게 낮은 비용으로 물건을 공급하여 소매상이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든 소비자들에게 도매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은 그 역할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터키석(turquoise)의 청색 원인이 되는 화학 성분은?

  1. 구리(Cu)
  2. 망간(Mn)
  3. 철(Fe)
  4. 코발트(Co)
(정답률: 63%)
  • 터키석의 청색 원인은 구리(Cu)입니다. 이는 터키석이 형성될 때 함께 존재하는 구리 성분이 산화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구리는 청록색을 띄는 금속으로, 터키석의 청색 색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진주알을 한 줄로 꿰어가다가 두 줄 이상으로 나누어 꿰어가는 형태로 되어있는 진주 목걸이의 명칭은?

  1. 컨버터블
  2. 콤비네이션
  3. 스프랜더
  4. 갤럭시
(정답률: 54%)
  • 스프랜더는 한 줄로 꿰어진 진주알 목걸이를 두 줄 이상으로 나누어 꿰어가는 형태로 만든 목걸이를 뜻합니다. "스프랜더"는 영어 단어 "suspended"의 고유어 발음인 "sprenger"에서 유래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은수저에 즉각적인 변색을 일으키는 음식물은?

  1. 콩나물
  2. 계란 노른자
  3. 김치
(정답률: 79%)
  • 계란 노른자에는 철분과 황색소가 함유되어 있어서, 은수저와 접촉하면 산화되어 검은색으로 변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가닛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알만다이트 가닛과 로돌라이트 가닛은 분광기 검사로 구별할 수 있다.
  2. 그로슐라라이트 가닛의 녹색 변종은 차보라이트이다.
  3. 파이로프 가닛은 알만다이트 가닛보다 굴절률이 낮다.
  4. 로돌라이트 가닛에서는 자색이 관찰된다.
(정답률: 38%)
  • "로돌라이트 가닛에서는 자색이 관찰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로돌라이트 가닛은 녹색 혹은 노란색을 띄며, 자색은 관찰되지 않습니다.

    알만다이트 가닛과 로돌라이트 가닛은 분광기 검사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가닛의 분광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알만다이트 가닛은 UV-Vis 분광기에서 흡수선이 관찰되며, 로돌라이트 가닛은 흡수선 대신 발광선이 관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열법(열수법)으로 제조된 합성보석에서 식별할 수 있는 특징은?

  1. 종자결정이나 못머리 형태의 내포물
  2. 커브선과 기포
  3. 백금 소편
  4. 용해되지 않는 산화지르코늄 분말
(정답률: 53%)
  • 수열법(열수법)으로 제조된 합성보석은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보석으로, 자연에서 형성된 보석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종자결정이나 못머리 형태의 내포물은 수열법으로 제조된 합성보석에서 식별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수열법으로 제조된 보석이 초기에 작은 결정체(종자)를 형성하고, 이후에 이 종자가 성장하면서 보석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에서 종자결정이나 못머리 형태의 내포물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내포물을 관찰하면 수열법으로 제조된 합성보석임을 판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가장 높은 온도에서 녹는 귀금속은?

  1. 백금
  2. 팔라듐
(정답률: 63%)
  • 백금은 가장 높은 녹는점을 가진 귀금속입니다. 이는 백금의 결정 구조가 매우 단단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백금은 고온에서도 녹지 않고,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귀금속 중에서 가장 인기가 높은 소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호박(ambe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기질 보석이다.
  2. 결정구조가 없는 비정질 물질이다.
  3. 산지는 러시아, 발트 해안, 폴란드 등이다.
  4. 복굴절성(DR) 보석이다.
(정답률: 62%)
  • 호박은 복굴절성(DR) 보석이 아닙니다. 호박은 결정구조가 없는 비정질 물질로, 유기질 보석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산지는 러시아, 발트 해안, 폴란드 등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정계 중 가장 많은 결정축을 가지고 있는 정계는?

  1. 육방정계
  2. 등축정계
  3. 정방정계
  4. 삼사정계
(정답률: 63%)
  • 육방정계는 6개의 결정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육면체의 모양과 같으며, 모든 면이 서로 평행하고 모든 모서리와 면이 직각입니다. 따라서 다른 정계들보다 더 많은 결정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모조석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리와 플라스틱의 구조는?

  1. 비결정질
  2. 쌍정
  3. 결정집합체
  4. 미정질
(정답률: 56%)
  • 모조석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리와 플라스틱은 비결정질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분자들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결정집합체나 쌍정과 같이 분자들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비결정질 구조는 유리와 플라스틱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광원에 따라 구성 원소들이 빛을 선택 흡수하여 각기 다른 색을 보이는 특수현상이 나타나는 보석은?

  1. 수정
  2. 진주
  3. 알렉산드라이트
  4. 토파즈
(정답률: 66%)
  • 알렉산드라이트는 광원에 따라 구성 원소들이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각기 다른 색을 보이는 현상인 트롭리즘을 나타내는 보석입니다. 이는 다른 보석들과는 달리 광원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다이아몬드감정법

16. 층상구조의 보석에서 나타나는 특수효과로 백색광이 간섭과 회절현상에 의해 무지개빛으로 나타나는 것은?

  1. 샤토얀시
  2. 어벤츄레센스
  3. 아스테리즘
  4. 오리엔트
(정답률: 57%)
  • 층상구조의 보석에서 나타나는 특수효과로 백색광이 간섭과 회절현상에 의해 무지개빛으로 나타나는 것을 "오리엔트"라고 합니다. 이는 오리엔트 지역에서 채굴되는 진주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 이름이 붙여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루비와 사파이어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티타늄
  2. 크롬
  3. 알루미늄
(정답률: 64%)
  • 알루미늄은 루비와 사파이어의 색을 결정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루비와 사파이어의 색은 철, 티타늄, 크롬 등의 불순물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2K라고 각인 된 금반지 속에 금이 아닌 금속은 얼마나 들어 있는가?

  1. 10.7%
  2. 8.3%
  3. 4.4%
  4. 2.0%
(정답률: 71%)
  • 22K는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24K보다 약간 덜 순수한 금입니다. 따라서 22K 금반지는 금이 91.6% 들어있고, 나머지는 다른 금속입니다. 따라서 22K라고 각인 된 금반지 속에 금이 아닌 금속은 8.4% (100% - 91.6% = 8.4%) 들어있습니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 중에서 8.3%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테이블 중앙에서 한 개의 유색 내포 결정이 여러 개로 반사되어 보이는 것을 어떻게 작도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가?

  1. 실제 위치에는 빨간색으로 그리고 반사된 것은 실선 표시한다.
  2. 실제 위치는 빨간색으로 그리지만 다른 것은 빨간 점으로 표시한다.
  3.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을 다 표시한다.
  4. 빨간색으로 한 군데 표시하고 그리고 코멘트 항목에 주석을 달 수 있다.
(정답률: 61%)
  • 유색 내포 결정이 여러 개로 반사되어 보이는 것은 광학적 현상 중 하나인 광학 분열 현상입니다. 이를 작도할 때는 실제 위치에는 빨간색으로 그리고 반사된 것은 실선 표시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이유는 반사된 것은 실제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제 위치와 반사된 위치를 구분하여 작도해야 합니다. 또한, 코멘트 항목에 주석을 달아 추가적인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배의 확대경은 몇 인치의 초점거리를 갖는가?

  1. 1인치
  2. 2인치
  3. 3인치
  4. 4인치
(정답률: 59%)
  • 10배의 확대경은 물체를 10배로 확대시키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초점거리는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확대경을 사용할 때 렌즈와 물체 사이의 거리가 1인치이면, 물체가 10배로 확대되어 보일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인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이아몬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깨짐에 대한 저항이 방향에 따라 차이가 난다.
  2. 다른 모든 보석에 비해 인성이 가장 높다.
  3. 보석용 다이아몬드의 모스 경도는 10이다.
  4. 보석용 일반 굴절계로는 굴절률을 측정할 수 없다.
(정답률: 69%)
  • 정답은 "보석용 일반 굴절계로는 굴절률을 측정할 수 없다."입니다.

    다이아몬드는 깨짐에 대한 저항이 매우 높아서, 다른 보석들에 비해 더욱 단단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인성이 가장 높다는 것은, 다이아몬드가 압력에 대한 저항이 매우 높아서, 다른 보석들에 비해 더욱 단단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가 매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보석용 다이아몬드의 모스 경도는 10이며, 이는 모든 보석 중에서 가장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보석용 일반 굴절계로는 굴절률을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보석용 일반 굴절계로도 다이아몬드의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다이아몬드 비중으로 옳은 것은?

  1. 3.13
  2. 3.32
  3. 3.52
  4. 3.73
(정답률: 64%)
  • 다이아몬드 비중은 다이아몬드의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입니다. 다이아몬드는 밀도가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비중이 높습니다. 따라서 무게가 같은 다이아몬드라도 부피가 작을수록 비중이 높아집니다.

    이 중에서 다이아몬드 비중이 가장 높은 값은 "3.52"입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밀도가 3.52g/cm³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이아몬드의 밀도와 다르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비중이 더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래리티 등급으로 옳은 것은?

  1. IF
  2. VVS1
  3. VS1
  4. SI1
(정답률: 42%)
  • 이 보석의 클래리티 등급은 내부 결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VS1"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 IF (Internally Flawless): 내부 결함이 전혀 없는 최상위 등급입니다. 이 보석에는 내부 결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IF 등급은 아닙니다.
    - VVS1 (Very Very Slightly Included 1): 내부 결함이 매우 적게 존재하는 등급입니다. 이 보석에는 내부 결함이 존재하지만 매우 작아서 미세하게만 보이므로 VVS1 등급은 아닙니다.
    - VS1 (Very Slightly Included 1): 내부 결함이 적게 존재하는 등급입니다. 이 보석에는 내부 결함이 존재하지만 매우 작아서 미세하게만 보이므로 VS1 등급으로 판단됩니다.
    - SI1 (Slightly Included 1): 내부 결함이 적게 존재하지만 눈에 띄게 보이는 등급입니다. 이 보석에는 내부 결함이 존재하지만 눈에 띄게 보이므로 SI1 등급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마스터 스톤의 조건으로 부적당한 것은? (단, GIA 방식이다.)

  1. 41 ~ 45% 사이의 퍼빌리언 깊이
  2. 20 ~ 25% 사이의 크라운 높이
  3. 0.3 ~ 0.4ct 중량
  4. 표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
(정답률: 60%)
  • GIA 방식에서 마스터 스톤의 조건 중 크라운 높이는 10% 간격으로 평가되며, 20 ~ 25% 사이의 크라운 높이는 적당한 범위로 인정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다른 요소들이 얼마나 우수하더라도 마스터 스톤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크라운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브릴리언스와 파이어가 충분하지 않아 다이아몬드의 빛이 부족해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표준 라운드 브릴리언트 형태(아이디얼 컷)로 연마된 1.00ct에 해당하는 다이아몬드의 직경은?

  1. 5.25mm
  2. 6.00mm
  3. 6.50mm
  4. 7.00mm
(정답률: 63%)
  • 표준 라운드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의 직경은 6.5mm입니다. 이는 국제 다이아몬드 교환소에서 제정한 아이디얼 컷의 기준에 따라 연마된 1.00ct 다이아몬드의 직경이기 때문입니다. 다이아몬드의 무게는 카라트(ct) 단위로 측정되며, 1ct 다이아몬드의 무게는 0.2g입니다. 따라서 1.00ct 다이아몬드의 직경은 아이디얼 컷의 기준에 따라 6.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마 후 다이아몬드의 표면에 노출되어 남아있는 내포된 크리스털(crystral)을 의미하는 것은?

  1. 캐비티(cavity)
  2. 노트(knot)
  3. 크리스털(crystal)
  4. 내부 자연면(indented natural)
(정답률: 49%)
  • 연마 후 다이아몬드의 표면에 남아있는 내포된 크리스털을 노트(knot)라고 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가 형성될 때 크리스털이 다이아몬드 안으로 포함되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의 내부에 있는 크리스털을 노트(knot)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이아몬드의 작도(Plotting)에서 흑색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것은?

  1. 폴리시 라인
  2. 엑스트라 패싯
  3. 클리비지
  4. 클라우드
(정답률: 64%)
  • 정답은 "엑스트라 패싯"입니다.

    다이아몬드의 작도에서 흑색의 실선은 다이아몬드의 대칭축을 나타내며, 이를 "메인 패싯"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와 수직인 방향으로 그어지는 선을 "엑스트라 패싯"이라고 합니다. 엑스트라 패싯은 다이아몬드의 대칭성을 더욱 강조하며, 다이아몬드의 규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의 작도에서 흑색의 실선으로 표시되는 것은 메인 패싯과 엑스트라 패싯 두 가지가 있지만, 흑색의 실선 중에서 엑스트라 패싯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라운드 브릴리언트의 주대칭성에 포함되는 항목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C/oc, OR, T/G
  2. OR, WG, EF
  3. WG, EF, N
  4. EF, N, T/oct
(정답률: 59%)
  • 정답은 "C/oc, OR, T/G"입니다. 이는 라운드 브릴리언트의 주대칭성을 나타내는 항목으로, C/oc는 중심축 대칭성을, OR은 2-fold 축 대칭성을, T/G는 3-fold 축 대칭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항목들만으로 라운드 브릴리언트의 주대칭성을 완전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대칭성을 모두 포함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대칭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이아몬드에 대한 설명 중 오일리(oily)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다이아몬드의 표면에 이물질이 많이 묻어 있는 상태
  2. 형관이 매우 강하여 백색광에서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
  3. 형광색이 적색계열을 보일 때
  4. 다이아몬드 클래리티 등급이 낮아 내부에 인클루전이 많은 상태
(정답률: 65%)
  • 다이아몬드의 형관은 다이아몬드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형관이 매우 강할 경우, 백색광에서 빛이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을 "오일리(oily)"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빛의 반사와 관련된 현상으로, 다이아몬드의 투명도와 빛의 반사 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의 다이아몬드에서 테이블 %를 계산하는 방법은 테이블 크기를 무엇으로 나눈 것인가?

  1. 전체 깊이 치수
  2.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
  3. 거들 직경의 가장 큰 치수
  4.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와 가장 큰 치수의 평균
(정답률: 70%)
  • 테이블 %는 다이아몬드의 테이블 크기를 전체 다이아몬드 지름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거들 직경의 가장 작은 치수와 가장 큰 치수의 평균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크기와 비례하여 테이블 %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전체 깊이 치수를 사용하면 다이아몬드의 깊이와 관련된 값이므로 테이블 %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보석감별법

31. 페어 형태의 다이아몬드의 경우 가장 선호되는 길이와 폭의 비율은?

  1. 1.00 : 1.00
  2. 1.75~2.25 : 1.00
  3. 1.33~1.66 : 1.00
  4. 1.50~1.75 : 1.00
(정답률: 50%)
  • 다이아몬드의 비율은 길이와 폭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페어 형태의 다이아몬드는 두 개의 동일한 크기와 모양의 다이아몬드를 한 쌍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두 개의 다이아몬드가 서로 어울리는 비율이 중요합니다.

    1.00 : 1.00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비율로, 페어 형태의 다이아몬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1.75~2.25 : 1.00은 길쭉한 비율로, 페어 형태의 다이아몬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1.33~1.66 : 1.00은 중간적인 비율로, 페어 형태의 다이아몬드에는 적합하지만, 1.50~1.75 : 1.00보다는 조금 더 길쭉한 형태입니다.

    따라서, 1.50~1.75 : 1.00은 페어 형태의 다이아몬드에 가장 적합한 비율로, 두 개의 다이아몬드가 서로 어울리는 완벽한 비율입니다. 이 비율은 두 다이아몬드가 서로 균형잡힌 모양을 이루며, 눈에 띄는 차이 없이 어울리기 때문에 선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컬러 등급 구분에서 다이아몬드의 컬러가 E 마스터 스톤 보다 짙고 G 마스터 스톤보다 옅은 경우의 컬러 등급은? (단, GIA 방식이다.)

  1. D 또는 F
  2. E 또는 F
  3. F 또는 G
  4. G 또는 H
(정답률: 61%)
  • GIA 방식에서는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을 D부터 Z까지 총 23단계로 구분합니다. 이 중에서 D, E, F는 "무색"이라고 분류되며, 이들은 컬러가 거의 없는 완전한 투명 상태입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의 컬러가 E 마스터 스톤보다 짙고 G 마스터 스톤보다 옅다면, 이 다이아몬드의 컬러 등급은 E 또는 F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이아몬드의 색 등급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표시이며, 가장 가치가 높은 등급은?

  1. D
  2. G
  3. K
  4. N
(정답률: 75%)
  • 다이아몬드의 색 등급은 광학적으로 측정된 무색도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D"는 무색에 가까운 최상급 등급으로, 다른 등급들과 비교하여 더욱 깨끗하고 밝은 빛을 반사합니다. 따라서 "D" 등급의 다이아몬드는 가장 순수하고 귀한 다이아몬드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컬러필터로 보았을 때 핑크 또는 적색으로 반응하는 녹색 보석은?

  1. 어벤츄린 쿼츠
  2. 크리소프레이즈
  3. 염색 녹색 쿼츠
  4. 제이다이트
(정답률: 36%)
  • 어벤츄린 쿼츠는 핑크 또는 적색으로 반응하는 녹색 보석입니다. 이는 쿼츠 내부에 포함된 철, 티타늄, 망간 등의 미량 원소가 빛을 반사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핑크 또는 적색으로 보이는 것은 철 원소의 존재로 인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보석은?

  1. 알만다이트 가닛
  2. 합성 루비
  3. 스피넬
  4. 로돌라이트 가닛
(정답률: 60%)
  • 이 보석은 빨간색이며, 천연 루비보다는 가격이 저렴하고 인공적으로 합성된 보석입니다. 따라서 이 보석은 "합성 루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산호의 열반응 검사 시 발생하는 독특한 냄새는?

  1. 단백질 타는 냄새
  2. 향 타는 냄새
  3. 석탄 타는 냄새
  4. 합성수지 타는 냄새
(정답률: 68%)
  • 산호의 열반응 검사 시 발생하는 독특한 냄새는 "단백질 타는 냄새"입니다. 이는 산호가 주로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열반응 시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아미노산 등의 화합물이 생성되어 냄새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학 검사에서 희석된 염산(물:염산 = 10:1)용액에 의해 발포현상이 나타나는 보석은?

  1. 칼사이트
  2. 칼세도니
  3. 스타루비
  4. 헤마타이트
(정답률: 49%)
  • 칼사이트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어 염산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서 발포현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화학 검사에서 희석된 염산용액에 의해 발포현상이 나타나는 보석은 칼사이트입니다. 칼세도니, 스타루비, 헤마타이트는 이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광기를 이용한 검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투과법
  2. 굴절법
  3. 외부 반사법
  4. 내부 반사법
(정답률: 56%)
  • 분광기를 이용한 검사방법 중 굴절법은 옳지 않습니다. 굴절법은 빛이 물체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물체의 굴절률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분광기를 이용한 검사에서는 빛의 파장을 측정하여 물질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굴절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외선 형광성 검사시 형광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보석은?

  1. 루비
  2. 엠버
  3. 알만다이트 가닛
  4. 진주
(정답률: 29%)
  • 알만다이트 가닛은 자외선 형광성 검사에서 형광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보석입니다. 이는 알만다이트 가닛이 자외선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루비와 엠버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형광반응이 나타나며, 진주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형광반응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편광기의 구조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의 편광판의 명칭은?

  1. 상부 - 애널라이저, 하부 - 니콜라이저
  2. 상부 - 애널라이저, 하부 - 폴라라이저
  3. 상부 - 폴라라이저, 하부 - 애널라이저
  4. 상부 - 폴라라이저, 하부 - 니콜라이저
(정답률: 58%)
  • 편광기는 광섬유에서 전달되는 광파장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를 위해 광섬유에 진입하는 광을 폴라라이저를 이용해 편광시키고, 다시 애널라이저를 이용해 편광된 광을 검출합니다. 따라서 편광기의 상부는 애널라이저, 하부는 폴라라이저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보석의 투명도에서 빛이 확산되어 투과하고 보석을 통해 사물을 보면 구별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등급은?

  1. 투명
  2. 아투명
  3. 반투명
  4. 아반투명
(정답률: 58%)
  • 반투명은 보석의 투명도가 낮아 빛이 확산되어 투과하고, 보석을 통해 사물을 보면 구별할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키는 등급입니다. 즉, 보석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는 정도가 적어서 내부의 사물이나 색상이 구별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반투명은 투명도가 높은 보석에 비해 내부의 물질 구성이 불규칙하거나 불순물이 많아서 빛이 잘 통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중액법에 의한 비중검사 시 3.32 비중액에 보석을 넣었을 때 가라앉았다면 이 보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투어멀린
  2. 사파이어
  3. 안달루사이트
  4. 터쿼이즈
(정답률: 40%)
  • 중액법은 물질의 비중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비중액에 물질을 넣었을 때 가라앉는 정도로 비중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비중이 높은 물질일수록 비중액에 가라앉는 정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3.32 비중액에 보석을 넣었을 때 가라앉았다면, 해당 보석의 비중이 비중액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보석은 사파이어입니다. 사파이어의 비중은 3.99 ~ 4.00 정도로, 다른 보석들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사파이어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이색경을 사용한 다색성 감별시 강한 삼색성을 띠는 보석은?

  1. 안달루사이트
  2. 투어멀린
  3. 에메랄드
  4. 루비
(정답률: 62%)
  • 안달루사이트는 강한 삼색성을 띠는 보석 중 하나입니다. 이색경을 사용하여 빛을 비추면 빨강, 녹색, 파랑색의 세 가지 색상이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에 삼색성을 띠고 있습니다. 반면, 투어멀린은 강한 이중색성을 띠고 있고, 에메랄드와 루비는 단색성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안달루사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배율이 10배인 루페(Loupe)에 비하여 20배의 루페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1. 초점 거리가 더 짧다.
  2. 초점의 시야 폭이 더 넓다.
  3. 관찰 범위가 넓다.
  4. 초점의 거리가 2.5cm 이다.
(정답률: 68%)
  • 루페의 배율이 높아질수록 초점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20배의 루페는 10배의 루페보다 초점 거리가 더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석의 경도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에 잘 띠지 않는 부분을 골라 검사한다.
  2. 검사한 표면을 닦고 상처가 생겼는지 여부를 확대하여 검사한다.
  3.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
  4. 커팅된 투명석 등에 한정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67%)
  • 보석의 경도검사는 보석의 단단함을 판별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 다이아몬드와 같은 보석은 다른 물질로부터 상처를 입지 않고 단단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검사한다. 따라서 보석의 경도검사는 단단한 보석에 대해서만 실시할 수 있으며, 커팅된 투명석 등에 한정하여 실시한다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보석가공기법

46. 자외선 형광성 검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하기 전에 보석을 깨끗이 닦는다.
  2. 형광기의 램프를 켜고 장파 또는 단파는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항상 같은 순서로 검사한다.
  3. 검사하는 동안 보석의 위치를 바꾸거나 흔들리지 않게 보석을 잡고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트위저를 사용해야 한다.
  4. 형광반응이 강한 보석과 약한 보석을 함께 검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정답률: 57%)
  • "검사하는 동안 보석의 위치를 바꾸거나 흔들리지 않게 보석을 잡고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트위저를 사용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트위저를 사용하면 보석의 위치가 바뀌거나 흔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석을 잡을 때는 손가락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미세하고 평행한 침상 내포물로부터 반사된 빛에 의해 생기는 특수효과는?

  1. 이리데센스
  2. 래브라도레센스
  3. 샤토얀시
  4. 어벤츄레센스
(정답률: 60%)
  • 미세하고 평행한 침상 내포물로부터 반사된 빛에 의해 생기는 특수효과를 샤토얀시라고 합니다. 이는 물결 모양의 무늬가 반사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주로 와인잔이나 유리병 등 유리 제품에서 관찰됩니다. 이는 유리의 내부 구조와 빛의 굴절, 반사 등의 현상이 결합하여 생기는 것으로, 샤토얀 지방의 샤토 라벨 와인에서 처음 관찰되어 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분광기를 사용해서 흡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을 때 나타나지 않는 형태는?

  1. 컷 오프
  2. 밴드
  3. 라인
  4. 성장선
(정답률: 69%)
  • 분광기는 흡수 스펙트럼을 관찰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흡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지 않는 형태는 물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는 성장선의 경우와 같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성장선은 물질이 성장하는 동안 발생하는 현상으로,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미지의 보석이 공기 중에서 중량은 3.24ct이고, 물속에서의 중량은 2.43ct일 때 비중은 얼마인가?

  1. 4.00
  2. 3.25
  3. 3.00
  4. 2.75
(정답률: 62%)
  • 비중은 물의 밀도를 1로 놓고, 물과의 밀도 비율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미지의 보석의 비중은 3.24/2.43 = 1.3333... 입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1.33이 되고,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어떤 값과도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보기에서 제시된 값들은 모두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들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한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00"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석의 표면 구조 및 특징 등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조명법은?

  1. 명시야 조명
  2. 두상 조명
  3. 핀포인트 조명
  4. 암시야 조명
(정답률: 51%)
  • 두상 조명은 보석의 표면을 균일하게 밝혀주는 조명법으로, 보석의 표면 구조와 특징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석의 광택과 반사를 최대한 살려주어 보석의 아름다움을 더욱 빛나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굴절률을 측정할 때 낮은 수치의 굴절률은 변화하고 높은 수치의 굴절률은 일정하다면 이 보석의 광학특성과 광학부호는 무엇인가?

  1. 일축성 포지티브(U+)
  2. 일축성 네거티브(U-)
  3. 이축성 포지티브(B+)
  4. 이축성 네거티브(B-)
(정답률: 53%)
  • 낮은 수치의 굴절률이 변화하고 높은 수치의 굴절률이 일정하다는 것은 이 보석이 단축파와 장축파의 굴절률이 다른 이축성 보석이 아니라 일축성 보석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광학특성은 일축성이며, 광학부호는 일축성 네거티브(U-)입니다. 이는 보석 내부에서 빛이 전파될 때 일축 방향에서는 굴절률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조건과 같은 마키즈 형의 테이블 비율은 얼마인가?

  1. 41%
  2. 61%
  3. 67%
  4. 72%
(정답률: 42%)
  • 마키즈 형의 테이블에서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각각의 비율을 더하면 100%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부터 J까지의 비율인 41%와 K부터 Z까지의 비율인 20%를 더하면 61%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캐보션 연마 후 빛의 간섭결과에 의한 특수현상이 아닌 것은?

  1. 유색효과 (play of color)
  2. 이리데센스효과(iridescence)
  3. 진주효과(orient)
  4. 성채효과(asterism)
(정답률: 48%)
  • 캐보션 연마 후 빛의 간섭결과에 의한 특수현상 중에서 성채효과(asterism)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성채효과가 빛의 간섭결과가 아닌 다른 원리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성채효과란, 보석 내부에 포함된 미세한 결정체가 빛을 반사하여 별모양의 빛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보통 루비, 사파이어, 스타 사파이어 등에서 관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탭 컷 스타일(step cut style) 중 에메랄드 컷은 거들면을 포함하여 보통 몇 개의 면으로 연마되는가?

  1. 50면
  2. 54면
  3. 58면
  4. 62면
(정답률: 58%)
  • 에메랄드 컷은 보통 58면으로 연마됩니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4개의 모서리와 2개의 거들면, 그리고 32개의 테이블 면과 24개의 측면 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2+4+32+24=58면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세팅하려는 보석보다 조금 큰 지름, 너비의 고랑을 만들고, 양쪽에 생긴 둑 사이에 보석을 끼우고 둑을 조여서 보석을 고정시켜 난물림(setting)하는 방법은?

  1. 조각 난물림
  2. 신관 난물림
  3. 접시 난물림
  4. 채널 난물림
(정답률: 49%)
  • 채널 난물림은 보석을 고정시키기 위해 양쪽에 생긴 둑 사이에 보석을 끼우고 둑을 조여서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보석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면서도 보석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릴 수 있기 때문에 세팅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진주 목걸이의 길이에 따른 분류에서 가장 긴 목걸이의 명칭은? (단, CIBJO 기준이다.)

  1. 로프(Rope)
  2. 마티니(Matinee)
  3. 오페라(Opera)
  4. 프린세스(Princess)
(정답률: 62%)
  • 로프(Rope)는 CIBJO 기준으로 가장 긴 목걸이의 분류로, 길이가 45인치(약 114.3cm) 이상인 목걸이를 의미한다. 이는 목에 두 번 감아서 착용할 수 있는 길이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연출할 수 있어 다양한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라운드 브릴리언트형의 연마순서로 옳은 것은?

  1. 거들면 - 퍼빌리언 - 크라운 - 테이블면
  2. 거들면 - 테이블면 - 크라운 - 퍼빌리언
  3. 테이블면 - 크라운 - 거들면 - 퍼빌리언
  4. 테이블면 - 거들면 - 크라운 - 퍼빌리언
(정답률: 53%)
  • 정답은 "거들면 - 테이블면 - 크라운 - 퍼빌리언" 입니다.

    거들면은 다이아몬드를 연마할 때 가장 처음에 하는 과정으로, 다이아몬드의 불순물이나 불규칙한 부분을 제거하여 균일한 모양으로 만듭니다. 그 다음으로는 테이블면을 연마하여 다이아몬드의 윗면을 평평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크라운은 다이아몬드의 윗면에서 아랫면으로 이어지는 부분으로, 다이아몬드의 광택과 반짝임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퍼빌리언은 다이아몬드의 밑면을 연마하는 과정으로, 다이아몬드의 광택과 반짝임을 더욱 높여줍니다. 따라서, 올바른 연마순서는 "거들면 - 테이블면 - 크라운 - 퍼빌리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의 컷은?

  1. 6면 로즈 컷(six-facet rose cut)
  2. 싱글 컷(single cut)
  3. 마그나 컷(magna cut)
  4. 올드 마인 컷(old-mine cut)
(정답률: 70%)
  • 이 그림은 6면 로즈 컷(six-facet rose cut)입니다. 이유는 다이아몬드의 윗부분에 6개의 삼각형 모양의 컷이 있고, 아랫부분은 평평하게 연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컷은 다이아몬드의 빛을 반사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며, 빛의 반사와 굴절을 통해 아름다운 빛의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텀블링 연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텀블러를 이용하여 보석재료의 거친 조각들을 면과 모서리가 없는 자연스러운 형태로 연마하는 방법이다.
  2. 텀블링 연마는 큰 원석의 연마만이 가능하다.
  3. 텀블링 연마에서 경도가 4 이하인 원석의 경우는 습식방법을 이용한다.
  4. 연마제로는 산화크롬이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8%)
  • 텀블러를 이용하여 보석재료의 거친 조각들을 면과 모서리가 없는 자연스러운 형태로 연마하는 방법이 맞습니다. 이는 텀블러 안에 보석재료와 연마제, 물을 넣고 일정한 시간 동안 회전시켜서 보석재료의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색이 짙은 보석을 옅은 색으로 보이게 하는데 사용되는 캐보션의 형태는?

  1. 단순캐보션
  2. 이중캐보션
  3. 오목캐보션
  4. 역캐보션
(정답률: 62%)
  • 보석의 아랫면에 오목한 형태의 캐보션을 사용하면, 빛이 캐보션 안에서 반사되어 보석의 색이 옅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목캐보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