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경량골재 및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2. 절대건조 상태에서 350g의 잔골재 시료가 흡수 후 표면건조포화 상태에서 364g, 공기중 건조상태에서는 357g이 되었다. 이 시료의 흡수율은?
3. 다음의 콘크리트 배합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중 잘못된 것은?
4. 다음 중 일반적인 콘크리트 시방배합표에 표시되지 않는 사항은?
5.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시험이 아닌 것은?
6. 다음은 시멘트의 특성과 용도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7. 다음 중 AE감수제의 사용효과로써 옳지 않은 것은?
8.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수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9. 섬유보강 콘트리트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강섬유의 물리적 특성이 다음과 같을 때, 이 섬유의 아스펙트비(형상비)는?
10. 플라이 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다음의 일반적인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1.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단면이 큰 철근콘크리트의 슬럼프 표준값으로 가장 옳은 것은?
12. 콘크리트의 배합조건을 변경할 경우, 슬럼프의 변화에 관한 일반적인 경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3. KS F 2508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에서 사용시료의 등급이 A인 경우 사용철구 수와 철구의 총 질량(g)이 맞는 것은?
14. 다음 중 시멘트 클링커 화합물의 조성광물로 틀린 것은?
15. 알루미나 시멘트의 특성에 관한 다음 사항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6. 골재의 조립률 계산에 필요한 체가 아닌 것은?
17. 다음의 시멘트 시험항목에 대한 관련장치로서 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18. 콘크리트 배합설계시 물-시멘트비를 결정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9. KS L 5110 의하여 시멘트 비중시험을 실시한 결과, 르샤틀리에 비중병에 광유를 주유하고 측정한 눈금이 0.6mL이었다. 이 비중병에 시멘트 64g을 넣고 광유가 올라온 눈금을 측정한 결과 21.25mL를 얻었다. 시멘트의 비중은 얼마인가?
20. 체가름 시험결과 잔골재 조립률 2.65, 굵은골재 조립률 7.38이며 잔골재 대 굵은골재비를 1:1.6으로 할 때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휨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5×15×55㎝ 각주형 공시체를 제작할 때 콘크리트는 2층으로 나누어 채우며 각 층에 대한 다짐횟수는 몇 회인가?
22. 블리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옳지 않은 것은?
23.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24. 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에서 최대하중 34.2kN에서 공시체가 파괴되었다. 이 콘크리트 공시체의 휨강도는 얼마인가? (단, 150×150×530㎜ 공시체이고 지간은 450㎜이고, 공시체가 인장쪽 표면 지간방향 중심선의 3등분 사이에서 파괴되었다.)
25. 콘크리트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26. 내구성이 양호한 콘크리트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27.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규정한 1회의 계량분에 대한 재료 계량오차의 허용범위를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28. 다음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의 쪼갬 인장강도시험에서 인장강도(fsp)를 구하는 공식으로 올바른 것은? (단, 공시체의 직경은 d, 최대하중은 P, 공시체의 길이는 L, 원주율은 π)
29. 압력법에 의한 공기량 시험법에서 허용되는 최대 골재크기는?
30. 유동화 콘크리트의 이점 및 효과가 아닌 것은?
31. 강제식 믹서로 콘크리트의 비비기를 할 경우, 최소 비비기 시간은 얼마를 표준으로 하는가? (단, 비비기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
32. 정비된 콘크리트 제조설비를 갖춘 공장으로부터 수시로 구입할 수 있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33. 다음 중 경화한(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이 아닌 것은?
34.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에서 직경 15㎝, 높이 30㎝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 경우, 최대압축하중 430kN에서 공시체가 파괴되었다면 압축강도는 얼마인가?
35. 모집단에 대한 품질 특성을 알기 위하여 모집단의 분포상태, 분포의 중심위치, 분포의 산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작성한 도수분포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36. 콘크리트의 동해 및 내동해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7.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대하여 적당하지 않은 것은?
38. 콘크리트 크리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9. 다음 중 일반적인 콘크리트 강도의 비파괴 시험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0. 압축강도에 의한 일반콘크리트의 품질검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수중콘크리트의 단위시멘트량의 기준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일반수중콘크리트에 한한다.)
42. 해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43. 다음은 숏크리트에서 리바운드율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이다. 옳지 않은 것은?
44. 뿜어 붙이기 콘크리트(shotcrete)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5. 서중콘크리트에서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아닌 것은?
46. 고강도콘크리트의 제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혼화제로써 물-시멘트비가 낮은 콘크리트 배합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은?
47. 매스콘크리트의 타설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물, 골재 등의 재료를 미리 냉각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48.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다음의 기술내용 중 잘못된 것은?
49. 수화열이나 건조수축으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변형이 구속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균열에 대한 대책중의 하나로, 소정의 간격으로 단면 결손부를 설치한 것을 지칭하는 것은?
50. 터널이나 큰 공동구조물의 라이닝, 비탈면, 법면 또는 벽면의 풍화나 박리, 박락의 방지를 위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뿜어 붙여서 시공하는 콘크리트는?
51. 유동화 콘크리트의 슬럼프 증가량은 몇 ㎜ 이하를 원칙으로 하는가?
52. 다음은 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53. 일반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 프리팩트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5.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를 설정할 때 적당한 것은?
56. 수밀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의 표준은 몇 % 이하로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7.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치기가 끝날 때까지의 제한시간으로 맞게 기술된 것은?
58. 해상에 가설되어 있는 철근콘크리트 교각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강재부식작용이 크게 발생하는 위치에서 작게 발생하는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59. 매스콘크리트 부재는 경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이 균열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수화열에 의한 균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음의 대책 방안 중 잘못 기술한 것은?
60. 일반콘크리트의 표면 마무리에서 마무리 두께 7㎜ 이하 또는 양호한 평탄함이 필요한 경우 평탄성 표준값은?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철근콘크리트 보의 주철근을 이용하는 데 가장 적당한 곳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2.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에서 주로 슈미트 해머를 많이 사용한다. 이 해머 사용 전에 검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기구의 명칭은?
63. 강도설계법에 있어서 설계 및 시공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강도감소계수 ø의 값으로 맞지 않는 것은?
64. 계수전단력 Vu가 1/2øVe<Vu≤øVe일 때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전단철근의 최소 단면적은 몇 ㎜2인가? (단, bm=300mm, 전달철근의 간격 s=250mm, fy=300MPa)
65. 철근콘크리트의 성립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66. 콘크리트 보수를 위해 각종 섬유(강섬유,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계섬유 등)를 사용할 경우 섬유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67. 철근의 단면적 As=3000mm2, fck=30MPa, fy=400MPa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전압축력 C는? (단, 이 보는 과소철근보이다.)
68. 콘크리트의 강도를 진단하는 시험으로 거리가 먼 것은?
69. 콘크리트 치기 작업에서 표면마감 전이나 마감 후에 급속히 건조가 이루어져 표면에 균열이 생겼다면 이 균열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70. 강도설계법으로 설계시 기본 가정에 어긋나는 것은?
71.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72. 구조물의 안전성평가를 위하여 구조물의 재하시험시 시험하중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D=고정하중, L=활하중)
73.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할 때, 고온고압 용기에 제품을 넣고 180℃ 전후, 공기압 7~15 기압으로 고온고압 처리하는 양생방법은?
74. 유지관리 시설물 중 1종 시설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5. 콘크리트 비파괴시험의 종류인 음향방출법(acoustic emission)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76.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다음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등가압축응력의 깊이 a는 얼마인가? (b=300mm, d=600mm, As=1.935mm2, As'=860mm2, fck=21MPa, fy=400MPa)
77. 콘크리트의 중성화로 인한 철근부식을 방지하여 균열발생을 억제하려면 다음 조치들을 취해야 하는데 이러한 조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78. 다음 중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작용효과가 가장 적은 것은?
79. 균열의 성장이 정지된 상태나 미세한 균열시에 주로 적용되는 공법으로써, 손상된 부분을 보수재로 도포하여 처리하는 공법은?
80. 그림의 T형보의 빗금친 부분의 압축강도와 같은 크기의 힘을 발휘하는 인장철근의 단면적(As)은? (단, fck=18MPa, fy=300MP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