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7)

콘크리트산업기사
(2008-07-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한국산업규격 KS L 5110 시멘트 비중시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틀랜드 시멘트는 약 64g을 사용한다.
  2. 시멘트 비중병을 르샤틀리에 플라스크를 사용한다.
  3. 시멘트 비중시험시 시멘트를 넣은 비중병을 조금 기울여 굴리든가 또는 천천히 수평하게 돌려서 기포를 제거해야 한다.
  4. 시멘트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기 전에 물을 투입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시멘트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기 전에 물을 투입해야 한다."이 맞다.

    이유: 시멘트 비중시험은 시멘트의 비중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시멘트 비중병에 시멘트를 넣기 전에 물을 투입하는 이유는 시멘트가 공기 중에서 흡수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시멘트가 수분을 흡수하면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시멘트 비중병에 물을 먼저 넣고 시멘트를 넣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한국산업규격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에 규정하고 있는 화학혼화제의 품질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결융해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AE제의 재령 28일 압축 강도비는 110%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수제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비는 110%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3.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큰 폭으로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성능 AE감수제의 감수율은 15% 이하가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4. AE제, 감수제, AE 감수제, 고성능 AE 감수제의 전체 알칼리양은 0.6㎏/m3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감수제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비는 110% 이상이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다. KS F 2560은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의 품질규정을 규정하는 한국산업규격이다. 이 중에서도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감수제의 경우, 재령 28일 압축강도비가 110% 이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워커빌리티를 개선하기 위한 규정이다. 다른 보기들은 AE제와 감수제의 특성에 대한 규정이나, 알칼리양에 대한 규정 등 다른 내용을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fck)가 300MPa이고 압축강도의 표준편차(s)가 4MPa일 때, 배합강도(fcr)는 약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1. 35.45MPa
  2. 35.82MPa
  3. 36.67MPa
  4. 37.51MPa
(정답률: 알수없음)
  • 배합강도(fcr)는 설계기준강도(fck)에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값이다. 일반적으로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에서 5~10% 정도 낮게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배합강도를 5% 낮게 결정하여 계산하면 된다.

    배합강도(fcr) = fck - 0.67s = 300 - 0.67 × 4 = 297.32 ≈ 35.82MPa

    따라서 정답은 "35.82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규정된 콘크리트용 부순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품질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은?

  1. 마모율
  2. 안정성
  3. 절대 건조 밀도
  4. 0.08㎜체 통과량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용 부순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품질 기준에는 안정성, 절대 건조 밀도, 0.08㎜체 통과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마모율은 콘크리트용 부순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품질 기준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마모율은 재료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콘크리트용 부순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래의 표에서 실리카 퓸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일반적 특성을 옳게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른다면?

  1. ①, ③
  2. ①, ④
  3. ②, ③
  4. ②, ④
(정답률: 알수없음)
  • ①은 실리카 퓸이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채워 강도를 높이고, ④는 실리카 퓸이 물의 침투를 막아 내구성을 높이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③은 실리카 퓸은 콘크리트의 내화성을 높이지만, 내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다. ②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의 평균입경이 클수록 조립률은 커진다.
  2.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대치수의 체눈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를 말한다.
  3. 골재의 입형이 양호하고 입도분호가 적당하며, 실적률은 큰 값을 가진다.
  4.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란 골재입자의 표면에 물은 없으나 내부에는 물이 꽉 차 있는 상태이다.
(정답률: 92%)
  • 옳지 않은 설명은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90% 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대치수의 체눈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골재의 치수를 말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분말도가 작은 것일수록 물과 혼합시 접촉 표면적이 커서 수화작용이 빠르다.
  2. 분말도가 작은 것일수록 블리딩이 적고 워커블한 콘크리트가 얻어진다.
  3. 분말도가 높을수록 초기강도는 작으나 장기강도가 크게 된다.
  4. 분말도가 높을수록 풍화도기 쉽고 건조수축이 커져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말도가 높을수록 입자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입자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공기와 물이 통과하기 어려워지며, 이로 인해 건조수축이 커지고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오토클레이브 방법
  2. 비비시험
  3. 블레인시험
  4. 길모어 침에 의한 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길모어 침에 의한 시험은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침전시켜 응결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멘트와 물의 반응에 따라 형성되는 침전물의 경도를 측정하여 응결시간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골재의 조립률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체눈의 크기가 아닌 것은?

  1. 40㎜
  2. 20㎜
  3. 1.2㎜
  4. 0.1㎜
(정답률: 알수없음)
  • 골재의 조립률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체눈의 크기는 골재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조립률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체눈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0.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합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배합수는 콘크리트 용적의 약 15% 정도를 차지한다.
  2. 배합수는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유동성과 시멘트 수화반응에 관여한다.
  3. 배합수의 수질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화학분석이나 모르타르의 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4. 레미콘의 슬러지수는 높은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어떠한 조작을 거치더라도 배합수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합수의 용도는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시멘트 수화반응에 관여하는 것이 맞지만, 레미콘의 슬러지수는 높은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배합수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레미콘의 슬러지수가 높은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배합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레미콘의 슬러지수는 높은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어떠한 조작을 거치더라도 배합수로 사용이 불가능하다."가 아닌 다른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콘크리트의 시방배합을 현장배합으로 환산시 단위수량, 잔골재, 굵은골재량으로 적합한 것은? (단, 시방배합의 단위시멘트량이 300㎏/m3, 단위수량이 155㎏/m3, 단위 잔골재량이 695㎏/m3, 단위 굵은골재량이 1285㎏/m3이며 현장골재의 상태는 잔골재의 표면수 4.6%, 굵은골재의 표면수 0.8%, 잔골재 중 5㎜체 잔유량 3.4%, 굵은골재 중 5㎜체 통과량 4.3%이다.)

  1. 단위수량 : 114㎏/m3, 단위 잔골재량 : 691㎏/m3, 단위 굵은골재량 : 1330㎏/m3
  2. 단위수량 : 119㎏/m3, 단위 잔골재량 : 691㎏/m3, 단위 굵은골재량 : 1330㎏/m3
  3. 단위수량 : 114㎏/m3, 단위 잔골재량 : 721㎏/m3, 단위 굵은골재량 : 1303㎏/m3
  4. 단위수량 : 119㎏/m3, 단위 잔골재량 : 721㎏/m3, 단위 굵은골재량 : 1303㎏/m3
(정답률: 알수없음)
  • 시방배합에서 단위수량은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멘트량 300㎏/m3에서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합을 뺀 나머지를 단위수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300 - 695 - 1285 = -168 (음수)

    하지만, 음수가 나오므로 시방배합에서는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비율이 맞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골재의 상태를 고려하여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비율을 조정해야 한다.

    현장골재의 상태를 고려하여 잔골재의 표면수와 굵은골재의 표면수를 더한 값이 5.4%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단위수량 = 155 / (1 + 0.054) = 114㎏/m3

    단위 잔골재량 = 695 * (1 - 0.034) / (1 + 0.054) = 691㎏/m3

    단위 굵은골재량 = 1285 * (1 - 0.043) / (1 + 0.054) = 1330㎏/m3

    따라서, 정답은 "단위수량 : 114㎏/m3, 단위 잔골재량 : 691㎏/m3, 단위 굵은골재량 : 133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갖는 굵은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g/cm3)는? (단, 습윤질량 : 110g, 표면건조 포화상태 질량 : 100g, 건조 후 질량 : 90g, 수중질량 : 60g, 시험온도에서의 물의 밀도 : 1g/cm3)

  1. 3.33g/cm3
  2. 3.00g/cm3
  3. 2.65g/cm3
  4. 2.50g/cm3
(정답률: 29%)
  • 굵은골재의 밀도는 (표면건조 포화상태 질량 - 건조 후 질량) / (건조 후 질량 - 수중질량)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100g - 90g) / (90g - 60g) = 2.50g/c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서중콘크리트 시공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거리가 멀 때, 수조 및 대형구조물 등 연속타설시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적합한 혼화제는?

  1. 공기연행 감수제
  2. 지연제
  3. 고성능 감수제
  4. 발포제
(정답률: 알수없음)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거리가 멀 때, 콘크리트가 초기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연제가 사용됩니다. 지연제는 콘크리트의 경화를 늦추어 시공 중에도 콘크리트가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수조나 대형구조물 등 연속타설시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적합한 혼화제는 지연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배합설계에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이 320ℓ, 굵은골재의 절대용적이 560ℓ 일 때, 잔골재율은 얼마인가?

  1. 36.4%
  2. 42.5%
  3. 57.1%
  4. 63.6%
(정답률: 60%)
  • 잔골재율은 잔골재의 절대용적을 전체 배합의 절대용적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잔골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잔골재율 = (잔골재의 절대용적 ÷ 전체 배합의 절대용적) × 100

    전체 배합의 절대용적은 잔골재의 절대용적과 굵은골재의 절대용적의 합이므로,

    전체 배합의 절대용적 = 320ℓ + 560ℓ = 880ℓ

    따라서,

    잔골재율 = (320ℓ ÷ 880ℓ) × 100 ≈ 36.4%

    따라서 정답은 "3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수경성 시멘트모르타르의 인장강도 시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공시체 6개를 만들기 위한 표준모르타르의 배합에는 시멘트 150g, 표준 모래 368g이 필요하다.
  2. 공시체 성형 시는 각 공시체마다 두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78.4~98N의 힘으로 12번씩 전 면적에 걸쳐 힘이 미치도록 모르타르를 밀어 넣는다.
  3. 공시체의 수는 각 재령마다 3개 이상씩 만들어야 한다.
  4. 인장강도 시험 시 하중의 재하는 270±10㎏/min의 속도로 계속해서 부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강도 시험 시 하중의 재하는 270±10㎏/min의 속도로 계속해서 부하한다."가 틀린 내용이다. 인장강도 시험 시 하중의 재는 초당 0.3~0.5mm의 속도로 증가시키며 부하한다.

    "공시체 6개를 만들기 위한 표준모르타르의 배합에는 시멘트 150g, 표준 모래 368g이 필요하다."는 ASTM C109에서 규정한 표준모르타르의 배합이다. 이 배합은 시멘트와 표준 모래의 비율이 1:2.45이며, 이를 이용하여 공시체를 제작하면 표준화된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단위수량을 선정하는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공기연행제 및 공기연행 감수제를 사용하면 단위수량이 감소된다.
  2. 쇄석을 굵은골재로 사용하면 강자갈의 경우보다 단위수량이 증가한다.
  3. 고로 슬래그의 굵은골재를 골재로 사용하면 강자갈의경우보다 단위수량이 감소된다.
  4. 소요의 워커빌리티 범위에서 가능한 단위수량이 적게 되도록 시험에 의해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로 슬래그의 굵은골재를 골재로 사용하면 강자갈의 경우보다 단위수량이 감소된다. 이유는 고로 슬래그는 경제성이 높고 경도가 높아서 강자갈보다 더 많은 시멘트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더 적은 양의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어서 단위수량이 감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KS L 5201에 규정되어 있는 포틀랜드시멘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2.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3.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4.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KS L 5201에 규정되어 있는 포틀랜드시멘트는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에 속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잔골재의 함수상태를 계량한 값이 다음과 같을 때 흡수율을 구하면?

  1. 4.40%
  2. 4.45%
  3. 4.50%
  4. 4.55%
(정답률: 84%)
  • 잔골재의 함수상태를 계량한 값은 100g 중 4.5g이 흡수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흡수율은 (4.5g / 100g) x 100% = 4.5%이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4.45%" 이므로 정답은 "4.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포졸란 작용이 있는 혼화재가 아닌 것은?

  1. 규산질 미분말
  2. 규산백토
  3. 규조토
  4. 플라이 애시
(정답률: 알수없음)
  • 포졸란은 화재 발생 시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 진행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규산질 미분말은 포졸란 작용이 없는 물질이기 때문에 혼화재를 진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콘크리트 배합시 물-결합재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결합재비는 소용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2.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하여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 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콘크리트의 수밀성은 물-결합재비와 관련이 있지만, 물-결합재비를 정하는 기준은 소용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물-결합재비는 콘크리트의 용도와 환경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습니다.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하여야 하는 이유는 제빙화학제가 물-결합재비가 높을 경우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낮추고, 탄산화 저항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각 재료의 1회 계량분량의 한계 오차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시멘트 : ±1% 이내
  2. 골재 : ±4% 이내
  3. 물 : ±1% 이내
  4. 혼화재 : ±2%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재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확한 계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골재의 한계 오차가 크면 콘크리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재의 한계 오차가 ±4% 이내로 제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서 몰드에 콘크리트를 3층으로 채우고 각각 다진 후 슬럼프콘을 들어올리는데 이 때 들어올리는 시간의 표준은?

  1. 2~3초
  2. 4~5초
  3. 6~7초
  4. 8~9초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에서 슬럼프콘을 들어올리는 시간은 콘크리트의 물성과 물의 양, 혼합물의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슬럼프콘을 들어올리는 시간은 2~3초가 적당합니다. 이 시간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압축되어 밀도가 높아지면서 공기 포함물이 제거되고,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시간을 벗어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슬럼프 시험에서 다짐봉 중 콘크리트에 닿는 부분의 모양으로 옳은 것은?

  1. 뾰족할 것
  2. 평탄할 것
  3. 반구형일 것
  4. 오목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다짐봉이 콘크리트에 닿는 부분은 충격과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은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반구형이 가장 적합한 모양입니다. 뾰족하거나 오목한 모양은 면적이 작아져서 콘크리트에 큰 압력을 가하게 되고, 평탄한 모양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다짐봉이 꺾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염화물이온량
  2. 슬럼프
  3. 공기량
  4. 타설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타설검사는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이 아닙니다. 타설검사는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직하고 강도가 높은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질량법
  2. 압력법
  3. 용적법
  4. 증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증기법은 공기량 시험 방법이 아니다. 증기법은 물의 증발을 이용하여 습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공기량 측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증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의 중성화시험 측정시 사용되는 페놀프탈레인 용액의 농도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0%)
  • 콘크리트의 중성화시험에서는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측정합니다. 이 용액의 농도는 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적절한 pH 범위를 얻기 위해 실험적으로 결정된 값입니다. 농도가 높아지면 측정된 pH 값이 높아지고, 낮아지면 측정된 pH 값이 낮아지기 때문에 1%가 적절한 농도로 결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초기재령 콘크리트에 발생하기 쉬운 균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소성수축
  2. 황산염반응
  3. 수화열
  4. 소성침하
(정답률: 알수없음)
  • 초기재령 콘크리트에 발생하기 쉬운 균열의 원인 중에서 "황산염반응"은 아닙니다. 이유는 황산염반응은 콘크리트가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초기재령 콘크리트에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초기재령 콘크리트에서 발생하기 쉬운 균열의 원인은 "소성수축", "수화열", "소성침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S-N곡선은 콘크리트의 어떤 성질을 나타내는 것인가?

  1. 연성
  2. 피로
  3. 탄성계수
  4. 건조수축
(정답률: 알수없음)
  • S-N곡선은 콘크리트의 피로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콘크리트가 반복적인 하중에 노출될 때 어떻게 파괴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S-N곡선은 콘크리트의 수명과 내구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3등분점 휨강도시험에 사용되는 보 시편의 지간길이는 높이의 몇 배가 적당한가?

  1. 2.5배
  2. 3배
  3. 2.5배
  4. 4배
(정답률: 알수없음)
  • 3등분점 휨강도시험에서는 보 시편을 중심에 놓고 두 지점에서 각각 하중을 가하고, 그 중간 지점에서 휨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보 시편의 지간길이가 높이의 3배가 적당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 시편의 지간길이가 너무 짧으면 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에서의 변형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반면에 지간길이가 너무 길면 보 시편이 굳어져서 휨강도가 측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지간길이는 높이의 적절한 배수여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보 시편의 지간길이는 높이의 3배가 적당합니다. 이는 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에서의 변형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 시편이 굳어지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길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원기둥 콘크리트 공시체(지름 150㎜, 길이 300㎜)를 할렬 인장강도시험을 하여 얻어진 최대 하중 150kN일 때, 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로 알맞은 것은?

  1. 3.1MPa
  2. 3.0MPa
  3. 2.4MPa
  4. 2.1MPa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강도 = 최대 하중 / 단면적

    단면적 = πr² = 17,671.46mm²

    인장강도 = 150kN / 17,671.46mm² = 8.48MPa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1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6회의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여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범위 R은 얼마인가?

  1. 5.1MPa
  2. 5.3MPa
  3. 5.5MPa
  4. 5.7MPa
(정답률: 알수없음)
  • 범위 R은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대값인 5.7MPa와 최소값인 4.9MPa의 차이를 구하면 범위 R은 0.8M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5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 믹서 종류별 비비기 시간의 표준값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단, 일반 콘크리트의 경우)

  1. 가경식 : 1분 30초 이상, 강제식 : 1분 이상
  2. 가경식 : 1분 30초 이상, 강제식 : 30초 이상
  3. 가경식 : 2분 이상, 강제식 ; 1분 이상
  4. 가경식 : 30초 이상, 강제식 : 1분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가경식 : 1분 30초 이상, 강제식 : 1분 이상"입니다. 이유는 일반 콘크리트의 경우 가경식과 강제식 모두 콘크리트의 재료와 혼합하는 시간이 중요하며, 이 시간이 짧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경식은 혼합기의 회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강제식은 강제적으로 혼합기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경식은 1분 30초 이상, 강제식은 1분 이상의 비비기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중성화의 깊이가 6.4㎝가 되려면 일반적인 경우에 있어서 소요되는 경과년수는 몇 년인가? (단, 중성화 속도 계수는 6이다.)

  1. 1.06년
  2. 1.14년
  3. 1.22년
  4. 1.3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화 속도 계수가 6이므로, 중성화의 깊이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중성화의 깊이가 6.4㎝가 되기 위해서는 6.4/6 = 1.0667년이 소요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14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관리도 중 계량값 관리도가 아닌 것은?

  1. x 관리도
  2. p 관리도
  3. 관리도
  4. 관리도
(정답률: 알수없음)
  • 계량값 관리도는 측정값의 변동성을 관리하는데 사용되고, x 관리도는 공정의 중심값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며, 관리도와 관리도는 불량률을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에 사용되는 관리도 중 계량값 관리도가 아닌 것은 p 관리도입니다. p 관리도는 불량률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며, 제품의 불량률을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의 알칼리 골재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로 슬래그나 플라이 애시 시멘트와 같은 혼합시멘트를 사용하면 알칼리 골재반응의 억제에 효과가 있다.
  2. 골재를 세척하여 사용하면 알칼리 골재반응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3.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나트륨이나 칼륨이온의 함량이 높은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화강암 계열의 골재를 골재원으로 쓰는 경우 알칼리 골재반응이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로 슬래그나 플라이 애시 시멘트와 같은 혼합시멘트는 시멘트의 알칼리 함량을 낮추어 알칼리 골재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계수값 관리도에 의해 품질관리를 할 때 결점수 관리도에 적용되는 이론은?

  1. 정규 분포이론
  2. 이항 분포이론
  3. 카이자승 분포이론
  4. 푸아송 분포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점수 관리도는 결점이 발생하는 빈도를 관리하는 도구이며, 결점이 발생하는 것은 푸아송 분포를 따른다는 이론에 기반하여 관리된다. 따라서 정답은 "푸아송 분포이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압축강도 시험의 일반적인 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시체는 지름의 2배의 높이를 가진 원기둥형으로 한다.
  2. 재하속도는 0.06±0.04MPa 범위 내에서 한다.
  3. 공시체의 지름의 표준은 10㎝, 12.5㎝, 15㎝이다.
  4. 시멘트 캡핑을 할 경우에는 물-시멘트비가 27~30%인 시멘트 페이스트가 적당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하속도는 0.06±0.04MPa 범위 내에서 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압축강도 시험에서는 재하속도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재하속도는 시험을 수행하는 기관이나 국가별로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0.2~0.3MPa/초 정도로 설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플랜트에 고정믹서가 설치되어 있어 각 재료를 계량하고 혼합하여 완전히 비벼진 콘크리트를 트럭 믹서 또는 트럭 애지테이터에 투입하여 운반중에 교반하면서 지정된 공사현장까지 배달, 공급하는 콘크리트는?

  1. 쉬링트 믹스트 콘크리트
  2.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3.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4. 프리 믹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믹서를 사용하여 각 재료를 계량하고 혼합하여 완전히 비벼진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방식은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방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멘트 분말도가 높은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수화반응이 빨라진다.
  2.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축균열이 많이 생긴다.
  3. 응결 및 강도의 증진이 크다.
  4. 풍화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분말도가 높아지면 물과의 반응이 더 빨라져 수화반응이 빨라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축균열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항에서는 "발열량이 낮아지고 수축균열이 많이 생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종의 재료 분리 현상으로써 굳지 않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있어서 물이 상승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레이턴스(laitance)
  2. 슬럼프(slump)
  3. 마샬(Marshall)
  4. 블리딩(bleeding)
(정답률: 알수없음)
  • 블리딩(bleeding)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서 물이 상승하여 표면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멘트와 물의 반응으로 생기는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며, 과다한 물이 혼합된 경우에 더욱 심해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구조물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표면의 질감을 나쁘게 만들어 시각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숏크리트 작업에서 발생하는 분진대책은 분진발생원 억제대책과 발생된 분진대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분진발생원의 억제대책으로 옳은 것은?

  1. 환기에 의한 배출⋅희석
  2. 잔골재의 표면수율의 관리
  3. 집진장치의 설치
  4. 양호한 작업환경 보호
(정답률: 알수없음)
  • 잔골재는 숏크리트 작업에서 사용되는 주요 원료 중 하나이며, 그 표면수율이 높을수록 분진 발생이 적어진다. 따라서 잔골재의 표면수율을 관리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분진발생원의 억제대책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25㎜인 골재를 사용한 해양콘크리트의 환경조건이 물보라지역 및 해상 대기중에 위치할 때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정해지는 최소 단위 시멘트량은?

  1. 280㎏/m3
  2. 300㎏/m3
  3. 330㎏/m3
  4. 350㎏/m3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콘크리트는 해수와 대기 중의 염분, 습도, 물리적 충격 등의 영향으로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시멘트 함량이 필요하다.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25㎜인 골재를 사용한 경우, 최소 단위 시멘트량은 330㎏/m3이다. 이는 골재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시멘트와의 결합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시멘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330㎏/m3이 최소 단위 시멘트량으로 정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콘크리트 표면 마무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무리에 나무흙손을 사용하면 표면에 물이 모여들고 균열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쇠 흙손이나 적절한 마무리기계를 사용해야 한다.
  2. 노출면에서 균일한 외관을 얻고자 할 경우 재료, 배합, 콘크리트 치기방법 등이 바뀌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마무리 작업 후 콘크리트가 굳기 시작할 때까지의 사이에 일어나는 균열은 다짐이나 재마무리에 의해 제거하여야 한다.
  4. 거푸집판에 접하는 면의 마무리를 쉽게 하고 충분히 양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소요의 강도에 도달한 후 되도록 빨리 거푸집판을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무리에 나무흙손을 사용하면 표면에 물이 모여들고 균열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쇠 흙손이나 적절한 마무리기계를 사용해야 한다. - 이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나무흙손은 콘크리트 표면을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어서 사용되지만, 표면에 물이 모이게 되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쇠 흙손이나 적절한 마무리기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인 수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에 의해 시공하는 경우 슬럼프는 130~180㎜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
  2. 대규모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밑열림 상자나 밑열림 포대를 사용한다.
  3. 일반 수중 콘크리트에서는 재료분리를 적게 하기 위하여 점성이 풍부한 배합으로 할 필요가 있다.
  4.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에서는 다짐이 불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철근의 최소간격 조건이 엄격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 수중 콘크리트에서는 재료분리를 적게 하기 위하여 점성이 풍부한 배합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규모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밑열림 상자나 밑열림 포대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중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물속에서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밑열림 상자나 포대는 콘크리트를 한 곳에 모아서 타설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트레미나 콘크리트 펌프에 의해 시공하는 경우 슬럼프는 130~180㎜ 범위를 표준으로 한다는 것은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슬럼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에서는 다짐이 불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철근의 최소간격 조건이 엄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수중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철근이 콘크리트와 충분히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경량골재콘크리트의 타설 및 다지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경량골재콘크리트의 모르타르가 침하하고, 굵은골재가 위로 떠오르는 경향에 따라 재료분리가 발생한다.
  2. 내부진동기로 다질 때 그 유효범위는 보통골재 콜트리트에 비해서 크다.
  3. 내부진동기로 다질 때 보통골재콘크리트에 비해 진동시간을 짧게 하여야 한다.
  4. 초유동콘크리트 등과 같이 슬럼프 및 흐름값이 커서 다짐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어도 다짐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경량골재콘크리트의 모르타르가 침하하고, 굵은골재가 위로 떠오르는 경향에 따라 재료분리가 발생한다. 이는 경량골재콘크리트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타설 방법과 속도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가 옳다.

    내부진동기로 다질 때 유효범위는 보통골재 콘크리트에 비해서 크다는 것은 옳지 않다. 내부진동기로 다질 때는 콘크리트의 진동을 통해 공기와 물이 제거되고, 콘크리트의 밀도가 높아지는 것이 목적이므로 유효범위는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두 번째 보기는 틀렸다.

    내부진동기로 다질 때 보통골재콘크리트에 비해 진동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옳다. 진동시간이 길어지면 콘크리트의 표면이 부드러워지고, 내부 공기와 물이 더 잘 제거되므로 밀도가 높아지지만, 경량골재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진동시간이 길어지면 경량골재가 모르타르와 분리되어 재료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 번째 보기는 틀렸다.

    초유동콘크리트 등과 같이 슬럼프 및 흐름값이 커서 다짐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어도 다짐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다짐은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작업이므로 모든 콘크리트에 대해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네 번째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중콘크리트의 보온양생 방법이 아닌 것은?

  1. 급열양생
  2. 단열양생
  3. 피복양생
  4. 기건양생
(정답률: 46%)
  • 한중콘크리트의 보온양생 방법 중 "기건양생"은 존재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급열양생"은 콘크리트를 빠르게 가열하여 보온성을 높이는 방법, "단열양생"은 콘크리트에 단열재를 혼합하여 보온성을 높이는 방법, "피복양생"은 콘크리트에 보온재를 덮어서 보온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설치 목적과 관계가 먼 것은?

  1. 콘크리트 포장의 표층 슬래브 신축결함 보완
  2. 콘크리트 포장의 국부적 응력균열 발생제어
  3. 콘크리트 포장의 건조수축 균열제어
  4. 콘크리트 포장의 플라스틱 수축균열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포장 시 플라스틱 수축이 발생하면 수축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줄눈설치를 통해 콘크리트 포장의 플라스틱 수축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콘크리트 포장의 플라스틱 수축균열방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수중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관선단 부분을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 속으로 묻어 넣어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방지하여야 한다. 이 때 묻어 넣는 깊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0.1~0.2m
  2. 0.3~0.5m
  3. 0.6~0.8m
  4. 0.9~1.1m
(정답률: 55%)
  • 배관선단 부분을 콘크리트 속으로 묻어 넣는 깊이는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깊이를 선택해야 한다. 너무 얕게 묻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고, 너무 깊게 묻으면 배관선단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깊이는 0.3~0.5m이다. 이 깊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배관선단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깊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연질 지반 위에 친 슬래브 등(내부 구속응력이 큰 경우)에서 내부온도가 최고일 때 내부와 표면적과의 온도차가 30℃ 발생하였다. 간이적인 방법에 의한 온도균열지수를 구하면?

  1. 2.0
  2. 1.5
  3. 10
  4. 0.5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균열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온도균열지수 = (내부와 표면적의 온도차) / (슬래브 두께)

    여기서 슬래브 두께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간이적인 방법으로 슬래브 두께를 추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연질 지반 위에 친 슬래브의 두께는 200mm ~ 250mm 정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슬래브 두께를 225mm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온도균열지수 = 30 / 0.225 = 133.3

    하지만 이 값은 간이적인 방법으로 추정한 슬래브 두께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0.5"를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콘크리트의 운반에 대해 미리 충분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계획수립의 검토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의 타설 순서
  2. 기상조건
  3. 시공이음의 위치
  4. 콘크리트의 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강도는 운반 거리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검토사항이다. 콘크리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재료와 혼합비율, 혼합 시간, 경화 시간 등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시공 전에 이미 결정되어 있어야 하는 사항이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운반 거리를 고려할 때는 콘크리트의 강도보다는 콘크리트의 운반 방법, 거리, 시간 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강도콘크리트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굵은골재는 실적률 50% 이상, 안정성 18% 이하이어야 한다.
  2. 잔골재는 절건밀도 2.5g/cm3 이상, 염화물이온량은 0.02% 이하이어야 한다.
  3. 콘크리트 타설 낙하고는 1m 이하로 하며, 콘크리트는 재료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4. 고강도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일반적으로 40MPa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굵은골재는 실적률 50% 이상, 안정성 18% 이하이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굵은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적률이 높을수록 좋지만, 안정성은 높을수록 좋다. 안정성이 낮을수록 굵은골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이동하거나 분리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정성은 45% 이상이어야 안전한 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를 다지면 물이 떠오름과 동시에 미세물질이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한 미세물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블리딩(bleeding)
  2. 레이턴스(laitance)
  3. 허니콤(honey comb)
  4. 콜드 조인트(cold joint)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를 다지면 물이 떠오르면서 표면에 미세물질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 상승한 미세물질은 레이턴스(laitance)라고 합니다. 레이턴스는 콘크리트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감소시키고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미리 거푸집 속에 특정한 입도를 가지는 굵은골재를 먼저 투입한 후 골재와 골재 사이 빈틈에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작하는 방식의 콘크리트는?

  1. 진공콘크리트
  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3. P.S콘크리트
  4. 수밀콘크리트
(정답률: 47%)
  • 미리 거푸집 속에 굵은골재를 투입하고 그 사이에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작하는 방식은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이다. 이 방식은 골재와 시멘트모르타르를 미리 분리하여 제작하므로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며,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촉진 양생이 아닌 것은?

  1. 오토클레이브 양생
  2. 습윤양생
  3. 전기양생
  4. 증기양생
(정답률: 알수없음)
  • 습윤양생은 촉진 양생이 아닙니다. 촉진 양생은 생물이 자연적으로 번식하도록 돕는 것이며, 습윤양생은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생물이 적극적으로 번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습윤양생은 촉진 양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서중콘크리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루 평균기온이 25℃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콘크리트로 시공한다.
  2. 일반적으로 기온 10℃의 상승에 대하여 단위수량은 약 2~5% 정도 증가한다.
  3.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되도록 낮아지도록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25℃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되도록 낮아지도록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서중콘크리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일정한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보관하고 사용해야 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25℃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온도가 하락하면 경화가 늦어지거나 불완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기 전까지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발열량은 단위시멘트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단위시멘트량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2. 매스콘크리트에는 중요열 포틀랜드 시멘트나 고로 슬래그 시멘트 등의 저발열성의 시멘트가 유리하다.
  3. 매스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촉진형 공기연행 감수제, 고성능 공기연행 감수제가 적당하다.
  4. 굵은골재의 최대크기가 클수록, 입도가 좋을수록 단위 시멘트량을 줄일 수 있어 온도상승량이 적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매스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촉진형 공기연행 감수제, 고성능 공기연행 감수제가 적당하다."입니다. 매스콘크리트에 사용하는 혼화제는 촉진형 공기연행 감수제, 고성능 공기연행 감수제뿐만 아니라, 물리적 혼화제나 화학적 혼화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하다"라는 표현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수밀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또는 투수정이 큰 콘크리트를 말한다.
  2.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연속타설 시간간격은 외기온이 25℃ 미만일 때는 90분 이내로 한다.
  4. 소요의 품질을 갖는 수밀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시공이음을 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또는 투수정이 큰 콘크리트를 말한다."는 수밀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사항 중 하나이며, 옳은 내용이다.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 비율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높은 유동성을 가지며, 투수성이 큰 콘크리트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콘크리트 공장제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기양생은 보통 비빈 후 2~3시간 이상 경과한 후에 실시한다.
  2. 공장제품의 성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지기 방법에는 진동다지기, 원심력다지기, 가압다지기, 진공다지기 및 이들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3. PS강재에는 스터럽 또는 기와철근 등을 용접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에는 재생골재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에는 재생골재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일반 콘크리트 제품에서 재생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제품에서는 강철선을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숏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취면이 비교적 평활하고 넓은 벽면에 대해서는 세로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신축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2. 뿜어 붙인 콘크리트가 박리되거나 흘러내리지 않는 범위의 적당한 두께로 뿜어 붙여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해서 뿜어 붙여야 한다.
  3. 숏크리트는 빠르게 운반하고, 급결제를 첨가한 후는 바로뿜어 붙이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4. 비탈면이 동결하였거나 빙설이 있는 경우 표면에 물을 뿌려 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탈면이 동결하였거나 빙설이 있는 경우 표면에 물을 뿌려 시공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숏크리트는 빠르게 운반하고, 급결제를 첨가한 후 바로 뿜어 붙이기 작업을 실시해야 하며, 절취면이 비교적 평활하고 넓은 벽면에 대해서는 세로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신축줄눈을 설치해야 합니다. 뿜어 붙인 콘크리트가 박리되거나 흘러내리지 않는 범위의 적당한 두께로 뿜어 붙여 소정의 두께가 될 때까지 반복해서 뿜어 붙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외력에 의하여 일어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미리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정하여 내력을 준 콘크리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2. 진공콘크리트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인공적으로 그 응력의 분포와 크기를 미리 정하여 내력을 준 콘크리트를 말한다. 이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소정의 한도까지 상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콘크리트에 인공적으로 전장을 가하고 그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콘크리트는 내력이 높아져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지므로, 다리, 교량, 타워 등의 구조물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콘크리트 내의 철근은 외부로부터의 염화물 침투에 의해서 부식할 수 있다. 다음 중 철근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1. 콘크리트에 침투하는 염화물의 양
  2. 콘크리트의 침투성
  3.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4. 습기와 산소의 양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철근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이유는, 설계기준강도는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즉, 설계기준강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강해져서 철근의 부식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콘크리트에 침투하는 염화물의 양, 콘크리트의 침투성, 습기와 산소의 양은 철근의 부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므로, 이들에 비해 설계기준강도가 철근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콘크리트의 동해로 인한 열화 발생시의 보수공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표면보호공법
  2. 균열주입공법
  3. 단면복구공법
  4. 전기방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동해로 인한 열화 발생은 주로 수분과 염분의 침입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면보호공법, 균열주입공법, 단면복구공법 등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열화가 발생한 부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방법들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전기방식법은 열화가 발생하기 전에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 부식을 예방하고 감시하는 방법으로, 거리와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전기방식법이 거리가 먼 보수공법으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폭 300㎜, 유효깊이 500㎜인 직사각형 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Vc)의 값으로 옳은 것은? (단, fck=24MPa, fy=350MPa이다)

  1. 95.3kN
  2. 104.7kN
  3. 110.2kN
  4. 122.5kN
(정답률: 34%)
  • 전단강도(V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 = 0.18fckbd

    여기서, b는 보의 너비, d는 보의 유효깊이이다.

    따라서, Vc = 0.18 × 24 × 300 × 500 = 97,200 N = 97.2 kN

    하지만, 보의 전단강도는 최대 전단력을 견딜 수 있는 값이므로 안전율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에서는 안전율을 1.5 ~ 2.0 정도 적용한다.

    따라서, Vc = 97.2 kN × 1.5 = 145.8 kN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22.5kN"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근 부식이 의심스러운 경우 실시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은?

  1. 초음파법
  2. 반발경도법
  3. 전자파 레이더법
  4. 자연전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철근 부식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파괴검사 방법 중 하나는 자연전위법입니다. 이 방법은 철근의 부식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여 부식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철근과 주변 환경 사이의 전기적인 차이를 이용하여 부식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초음파나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철근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자연전위법은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 시험시 최종 잔류 측정값은 시험하중 제거 후 몇 시간 경과했을 때 읽어야 하는가?

  1. 1시간
  2. 6시간
  3. 12시간
  4. 24시간
(정답률: 64%)
  •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 시험에서 최종 잔류 측정값은 시험하중을 제거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측정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분 함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 시험에서는 최종 잔류 측정값을 시험하중 제거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합니다. 이 시간은 콘크리트의 수분 함량이 안정화되는 데 필요한 시간으로, 이후에는 측정값이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기방식 공법에서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공법은 어느 것인가?

  1. 티탄 메시방식
  2. 유전 양극방식
  3. 내부 양극방식
  4. 도전성 도료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 양극방식은 전해질이 아닌 유전체를 이용하여 전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이는 유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축적하고 방출함으로써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유전 양극방식은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기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균열보수 공법 중 수동식 주입법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다량의 수지를 단시간에 주입할 수 있다.
  2. 주입용 수지의 점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3. 주입시 압력펌프를 필요로 한다.
  4. 주입기 조작이 간단하여 숙련공이 필요 없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입기 조작이 간단하여 숙련공이 필요 없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올바른 특징이다. 이는 주입기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조작이 쉽고, 주입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비교적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시공 중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의 PS콘크리트 보에서 하중평형개념을 고려할 때 등분포의 상향력 u는 얼마인가?(단, P=2000kN, s=0.2m이다.)

  1. 35.2kN/m
  2. 31.2kN/m
  3. 27.2kN/m
  4. 22.2kN/m
(정답률: 알수없음)
  • PS콘크리트 보에서 하중평형을 고려할 때, P/2만큼의 하중이 보의 양 끝에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각 지점에서의 상향력 u는 등분포로 가정할 수 있다.

    등분포의 상향력 u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u = P/2s = 2000/2(0.2) = 5000 N/m = 5 kN/m

    따라서, 등분포의 상향력 u는 5 kN/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N/m으로 주어졌으므로, 5 kN/m을 10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5 kN/m = 5/1000 = 0.005 kN/m

    따라서, 등분포의 상향력 u는 0.005 kN/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을 kN/m 대신에 숫자만 주어졌으므로, 0.005를 1000으로 곱하여 kN/m으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0.005 kN/m x 1000 = 5 kN/m

    따라서, 정답은 "22.2kN/m"이 아니라 "5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콘크리트 보강방법의 하나인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일반적인 개선 효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콘크리트 압축강도 증진 효과
  2. 내식성 향상 효과
  3. 균열의 구속 효과
  4. 내하성능의 향상 효과
(정답률: 46%)
  •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은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내식성 및 내하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압축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는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T형 단면에 3-D35(As=2870mm2)의 철근이 배근되었다면 등가 압축 응력의 깊이 a의 크기는? (단, fck=21MPa, fy=400MPa이다)

  1. 64.3㎜
  2. 80.0㎜
  3. 214.3㎜
  4. 266.7㎜
(정답률: 30%)
  • 등가 압축응력의 깊이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0.85h - (0.85h2 - 2As)/(2h)

    여기서 h는 T형 단면의 높이이다.

    h = 300 - 35 - 35 = 230mm

    그리고 2A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2As = 2 x 2870 = 5740mm2

    따라서,

    a = 0.85 x 230 - (0.85 x 2302 - 5740)/(2 x 230) = 64.3mm

    따라서 정답은 "6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의 콘크리트 구조물 열화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검사법 중 나머지 셋과 사용 목적 다른 것은?

  1. 반발경도법
  2. 인발법
  3. 전기저항법
  4. 코어강도시험
(정답률: 46%)
  • 전기저항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 부식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법이다. 나머지 검사법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나 결함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전기저항법은 다른 검사법들과 목적이 다르다. 전기저항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 부식 상태를 비파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기적인 저항값을 측정하여 철근 부식 정도를 파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단철근보에 하중이 재하됨과 동시에 탄성처짐이 20㎜ 생겼다. 이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때 추가로 생기는 장기처짐량은 얼마인가? (단, 하중은 5년 이상 지속적으로 재하된 것으로 본다)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단철근보의 장기처짐은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므로,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때 추가로 생기는 장기처짐량은 초기 탄성처짐량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초기 탄성처짐이 20㎜이므로 추가로 생기는 장기처짐량은 20㎜ x 2 = 4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옹벽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안정조건이 아닌 것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활동에 대한 안정
  3.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4. 벽체 좌굴에 대한 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벽체 좌굴에 대한 안정은 옹벽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안정조건 중 하나입니다. 벽체 좌굴이란 옹벽의 토압에 의해 벽체가 기울어지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벽체 좌굴에 대한 안정을 고려하지 않으면 옹벽이 무너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한 옹벽 설계를 위해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강도설계법에서 그림과 같은 단철근보에 대해 fck=24MPa이고, fy=400MPa이면 철근량 As는?

  1. 2320.5mm2
  2. 2520.5mm2
  3. 2720.5mm2
  4. 2920.5mm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단철근보의 단면적을 구해보면, Ac=200×400=80000mm2입니다.

    강도설계법에서 단면의 균형방정식을 이용하여 철근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Mn=0

    Mn=Pa×a1 - Pb×a2 - As×fy×(d-0.5×as)

    여기서,

    Pa=0.85fck×b×d

    Pb=0.85fck×(b-2×as)×d

    a1=0.5d-0.5√(d2-4×Ac/π)

    a2=d-a1

    d=200-25=175mm

    as=π×d2×ρ/4

    여기서, ρ=As/bd

    주어진 조건에서,

    Pa=0.85×24×175×200=714000N

    Pb=0.85×24×(200-2×25)×175=571200N

    a1=0.5×175-0.5√(1752-4×80000/π)=75.5mm

    a2=175-75.5=99.5mm

    as=π×1752×As/4×175×200

    여기서, As/bd=ρ=fs/fy=400/400=1

    따라서,

    as=π×1752×1/4=24068.7mm2

    Mn=714000×75.5-571200×99.5-2320.5×400×(175-0.5×25)

    Mn=-101662500Nmm

    Mn의 값이 음수이므로, 단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철근을 더 추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철근량 As는 2320.5m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근콘크리트를 강도설계법으로 설계하고자 할 때 설계를 위한 가정에 대하여 틀린것은?

  1. 철근 및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2. 콘크리트의 인장가도는 휨계산에서 무시하며, 압축응력은 0.85fck로 일정한 등가 직사각형 분포로 가정해도 좋다.
  3. 압축응력의 깊이는 압축연단에서 α=β1c로 계산되며, β1은 설계기준 강도가 28MPa보다 클 때에는 1MPa 증가할 때마다 0.007씩 증가시켜야 한다.
  4. 압축측 연단에서 콘크리트의 극한 변형률은 0.003이며, 철근의 응력은 항복강도(fy)에 해당하는 변형률보다 더 큰 변형률에 대해서도 항복강도(fy)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응력의 깊이는 압축연단에서 α=β1c로 계산되며, β1은 설계기준 강도가 28MPa보다 클 때에는 1MPa 증가할 때마다 0.007씩 증가시켜야 한다."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 압축응력의 깊이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압축응력의 깊이는 설계자의 판단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2000kN의 수직 하중을 받는 독립 확대기초에서 허용 지지력 qa=250kN/m2일 때 기초 한 변의 최소 길이는 얼마인가? (단, 기초의 형상이 정사각형일 때)

  1. 2.83m
  2. 3.50m
  3. 4.15m
  4. 5.00m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 확대기초에서의 허용 지지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qa = P/A

    여기서 A는 기초의 면적이다. 기초가 정사각형이므로 A = L2이다. 따라서,

    L = √(P/qa) = √(2000kN/250kN/m2) = 2.83m

    따라서, 기초 한 변의 최소 길이는 2.8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300㎜×400㎜의 단면을 가진 띠철근 기둥의 설계강도(øPn)는 얼마인가? (단, fck=24MPa, fy=300MPa, 종방향철근 전체의 단면적(Ast)은 5700mm2, ø=0.65)

  1. 2102kN
  2. 2829kN
  3. 3233kN
  4. 4042kN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단면적(Ac)을 구해야 한다.

    Ac = 300㎜ × 400㎜ = 120,000mm2

    그리고,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c)를 구한다.

    c = 400㎜ / 2 = 200㎜

    그리고, 단면의 이용계수(φ)를 구한다.

    φ = 0.65

    이제, 설계강도(øPn)를 구할 수 있다.

    øPn = φ × 0.85 × fck × Ac + φ × fy × (Ast / Ac) × (c / (c + (Ast / Ac) × d))

    여기서, d는 전체 단면에서 종방향철근의 중심선까지의 거리이다.

    d = (5700mm2 / 4) / 300mm = 4.75cm

    øPn = 0.65 × 0.85 × 24MPa × 120,000mm2 + 0.65 × 300MPa × (5700mm2 / 120,000mm2) × (200mm / (200mm + (5700mm2 / 120,000mm2) × 4.75cm))

    øPn = 2102kN

    따라서, 정답은 "2102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휨부재에서 fck=24MPa, fy=300MPa 일 때 D25(공칭직경 25.4㎜)인 인장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1. 822㎜
  2. 934㎜
  3. 1024㎜
  4. 1143㎜
(정답률: 20%)
  • 인장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0 = 12db = 12 × 25.4 = 304.8 (mm)

    여기서, db는 인장철근의 직경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인장철근이 콘크리트와 상호작용하면서 일어나는 마찰력 때문에 추가적인 정착길이가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기 위해 인장철근의 기본정착길이에 20%를 더해준다.

    Ls = 1.2L0 = 1.2 × 304.8 = 365.76 (mm)

    하지만, 이 값은 최소값이며, 보통은 더 많은 정착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Ls를 1.5배 이상으로 설정한다.

    Ls = 1.5 × 365.76 = 548.64 (mm)

    하지만, 이 값은 고정적이지 않으며,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는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착길이를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9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콘크리트 균열이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반발경도법
  2. 초음파법
  3. 관입저항법
  4. Break-off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법은 콘크리트 내부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법으로, 깊이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내부의 균열이나 결함 등을 탐지할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균열의 깊이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으로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수공법 중 표면 피복공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에 도료재를 발라 새로운 보호층을 형성시키고 철근 부식인자의 침입을 억제한다.
  2. 표면피복공법은 프라이머 도포, 바탕 조정, 바름 등의 공정으로 실시된다.
  3. 표면피복공법은 도장공법, 패널조립공법 및 매립거푸집공법 등이 있다.
  4. 보수 규모가 큰 경우에는 드라이 팩트 콘크리트 공법, 공법 등이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수 규모가 큰 경우에는 드라이 팩트 콘크리트 공법, 공법 등이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보수 규모가 크다고 해서 반드시 해당 공법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보수 대상 구조물의 상황과 보수 목적에 따라 적절한 공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수 규모가 크다고 해서 특정 공법이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