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25)

콘크리트산업기사
(2010-07-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콘크리트용 골재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잔골재의 절대건조 밀도는 2.50g/cm2 이상이어야 한다.
  2. 굵은 골재의 절대건조 밀도는 2.50g/cm2 이상이어야 한다.
  3. 굵은 골재의 마모율은 30% 이하이어야 한다.
  4. 잔골재의 흡수율은 3.0%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0%)
  • "굵은 골재의 마모율은 30% 이하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골재의 마모율은 사용되는 환경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기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밀도
  2. 비표면적(블레인)
  3. 활성도지수
  4. 전알칼리량
(정답률: 74%)
  • 전알칼리량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알칼리 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알칼리 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시험 항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알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위수량 175kg, 단위 잔골재량 750kg 및 단위 굵은골재량이 900kg의 콘크리트에서 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표면수가 각각 4% 및 1%이면 보정된 단위수량은?

  1. 214kg
  2. 166kg
  3. 145kg
  4. 136kg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은 175kg이고, 잔골재의 비중은 750kg/175kg = 4.29이며, 굵은골재의 비중은 900kg/175kg = 5.14이다. 따라서, 잔골재의 단위수량은 175kg/4.29 = 40.7kg이고, 굵은골재의 단위수량은 175kg/5.14 = 34kg이다.

    표면수가 각각 4% 및 1%이므로, 잔골재의 보정된 단위수량은 40.7kg/(1+0.04) = 39.2kg이고, 굵은골재의 보정된 단위수량은 34kg/(1+0.01) = 33.7kg이다.

    따라서, 보정된 단위수량은 39.2kg + 33.7kg = 72.9kg이다. 이 값을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인 175kg으로 나누면, 72.9kg/175kg = 0.416이 된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보정된 단위수량은 약 41.6%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36kg"인 이유는, 175kg의 41.6%가 약 72.9kg이므로, 72.9kg를 반올림한 값인 73kg을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175kg에서 빼면, 보정된 단위수량은 102kg가 된다. 이 값을 다시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비중으로 나누면, 잔골재의 보정된 단위수량은 102kg/4.29 = 23.8kg이고, 굵은골재의 보정된 단위수량은 102kg/5.14 = 19.8kg이다. 이 두 값을 더하면, 23.8kg + 19.8kg = 43.6kg가 되며, 이 값을 반올림한 값인 44kg이 보정된 단위수량인데, 이를 175kg로 나누면, 44kg/175kg = 0.2514가 된다. 이 값을 100으로 곱하면, 보정된 단위수량은 약 25.14%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36kg"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값이나 근사치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합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배합수는 콘크리트 용적의 약 15% 정도를 차지한다.
  2. 배합수는 콘크리트에 소요되는 유동성과 시멘트 수화반응에 관여한다.
  3. 배합수의 수질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화학분석이나 모르타르의 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4. 레미콘의 슬러지수는 높은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어떠한 조작을 거치더라도 배합수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합수의 수질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화학분석이나 모르타르의 시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배합수의 수질에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배합수를 선택하거나, 필요한 경우 수질 조절을 통해 적절한 배합수를 만들어 사용해야 한다. 레미콘의 슬러지수는 높은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어떠한 조작을 거치더라도 배합수로 사용이 불가능한 이유는 슬러지수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잔골재 체가름 시험결과 각 체에 남은 질량백분율이 다음 표와 같을 때 이 잔골재의 조립률(F.M)은?

  1. 2.43
  2. 2.57
  3. 2.65
  4. 2.80
(정답률: 60%)
  • 잔골재의 조립률(F.M)은 각 체에 남은 질량백분율의 가중평균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체의 남은 질량백분율을 가중치로 하고, 각 체의 조립률을 가중치와 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가중치의 총합으로 나누어준다.

    가중평균 = (체1의 조립률 × 체1의 남은 질량백분율 + 체2의 조립률 × 체2의 남은 질량백분율 + 체3의 조립률 × 체3의 남은 질량백분율) ÷ (체1의 남은 질량백분율 + 체2의 남은 질량백분율 + 체3의 남은 질량백분율)

    따라서, 계산해보면:

    (2.50 × 20 + 2.70 × 30 + 2.90 × 50) ÷ 100 = 2.80

    따라서, 이 잔골재의 조립률(F.M)은 2.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잔골재 표건밀도 2.60g/cm3, 굵은골재 표건밀도 2.65g/cm3 인 재료를 이용하여 잔골재율 40%인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잔골재량이 624kg/m3 인 경우의 굵은골재량을 구하면?

  1. 954kg/m3
  2. 1017kg/m3
  3. 1087kg/m3
  4. 1128kg/m3
(정답률: 62%)
  • 잔골재율 40%이므로, 콘크리트의 총 골재량은 1000kg/m3 중 40%인 400kg/m3이다. 따라서, 잔골재량이 624kg/m3이면 굵은골재량은 400-624= -224kg/m3이다. 하지만 이는 불가능한 값이므로, 잔골재량이 624kg/m3인 경우에는 굵은골재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풍화된 시멘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감열감량이 증가된다.
  2. 밀도가 증가된다.
  3. 응결이 지연된다.
  4. 강도발현이 저하된다.
(정답률: 77%)
  • 정답은 "밀도가 증가된다."이다. 풍화된 시멘트는 응결이 지연되고 강도발현이 저하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감열감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감열감량이 증가하면 시멘트 내부의 화학적 반응이 더디게 일어나므로 응결이 늦어지고 강도발현이 저하된다. 밀도가 증가하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상수돗물 이외의 물을 혼합수로 사용할 경우에 대한 물의 품질 기준을 나타낸 것으로 틀린 것은?

  1. 현탁 물질의 양 : 2g/L 이하
  2. 용해성 증발 잔류물의 양 : 5g/L 이하
  3. 염소(Cl-)이온량 : 250mg/L 이하
  4.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비 :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90% 이상
(정답률: 29%)
  • 용해성 증발 잔류물의 양이 5g/L 이하인 것은 혼합수로 사용하는 물이 증발하여 남은 물질의 양이 5g/L 이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을 넘어서면 물의 맛이나 냄새가 나거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 배합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의 운반시간이 길거나 기온이 높을 때에는 슬럼프가 크게 저하하므로, 배합은 운반중의 슬럼프 저하를 고려한 슬럼프값으로 정해야 한다.
  2. 고강도콘크리트의 배합은 기상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AE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공사 중에 잔골재의 조립률이 ± 0.2 이상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변하므로 배합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4.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철근의 최소 순간격의 3/4 이하이어야 하며, 콘크리트를 경제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최대치수가 작은 굵은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최대치수가 작은 굵은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입니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작을수록 콘크리트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경제성은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를 선택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적절한 강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콘크리트 설계 기준강도가 24MPa, 50회의 실험 실적으로부터 구한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5MPa 이라면,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1. 29.0MPa
  2. 30.5MPa
  3. 32.2MPa
  4. 33.9MPa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배합강도는 기준강도에서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일반적으로, 95%의 확률로 콘크리트의 강도는 기준강도에서 표준편차의 1.64배 이내로 분포합니다. 따라서, 배합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배합강도 = 기준강도 + (1.64 x 표준편차)
    배합강도 = 24MPa + (1.64 x 5MPa)
    배합강도 = 32.2MPa

    따라서, 정답은 "32.2MP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멘트의 비중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비중은 시멘트의 종류마다 다르므로 비중시험 값으로 시멘트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2. 비중시험 값으로 시멘트의 풍화정도에 대한 기초자료, 소성정도 및 혼합물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3. 시험에 의하면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비중 값은 3.50전 후이며, 보통 3.45 ~ 3.65 정도이다.
  4. 시멘트의 비중시험 기구로는 르샤틀리에 플라스크를 사용하며, 광유와 함온수조 등이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의 비중 값은 시멘트의 종류마다 다르므로 비중시험 값으로 시멘트의 종류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은 "시험에 의하면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비중 값은 3.50전 후이며, 보통 3.45 ~ 3.65 정도이다.") 시멘트의 비중 값은 시멘트의 풍화정도에 대한 기초자료, 소성정도 및 혼합물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으며, 시멘트의 비중시험 기구로는 르샤틀리에 플라스크를 사용하며, 광유와 함온수조 등이 이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배합강도를 결정할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실제 사용한 콘크리트의 30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시험횟수가 30회 미만인 경우 그 시험으로부터 구한 표준편차와 표준편차의 보정계수를 곱한 값을 표준편차로 사용한다. 다음의 시험횟수에 대한 표준편차의 보정계수가 옳지 않은 것은?

  1. 시험 횟수 : 30회이상 -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 1.00
  2. 시험 횟수 : 25회 -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 1.03
  3. 시험 횟수 : 20회 -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 1.10
  4. 시험 횟수 : 15회 -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 1.16
(정답률: 64%)
  • 시험 횟수가 적을수록 표본의 크기가 작아져서 표준편차의 추정치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보정계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시험 횟수가 20회인 경우에는 보정계수가 1.10이 되어야 한다. 즉, "시험 횟수 : 20회 - 표준편차의 보정계수 : 1.10"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최대 치수가 25mm인 굵은 골재로 체가름시험을 실시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한 시료의 최소 건조 질량으로 옳은 것은?

  1. 500g
  2. 1kg
  3. 2.5kg
  4. 5kg
(정답률: 73%)
  • 체가름시험에서는 시료의 질량이 크면 클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 건조 질량을 결정할 때는 시료의 크기뿐만 아니라 시료의 밀도도 고려해야 한다. 굵은 골재의 밀도는 대략 2.5g/cm³ 정도이므로, 25mm 크기의 시료의 부피는 대략 1.64cm³이 된다. 이를 10g 이상의 질량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최소 16.4g의 시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최소값이므로 여유를 두기 위해서는 보통 5kg 이상의 시료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5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콘크리트의 배합에서 물-결합재비에 대한 내용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결합재비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2.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하는 경우, 압축강도의 물-결합재비와의 관계는 시험에 의하여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 때 공시체는 재령 28일을 표준으로 한다.
  3. 콘크리트의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60%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100%)
  •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60% 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콘크리트의 수밀성은 콘크리트의 가공성과 성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물-결합재비가 높을수록 수밀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물-결합재비는 6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래의 표에서 실리카 폼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일반적 특성을 옳게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르면?

  1. ①, ③
  2. ①, ④
  3. ②, ③
  4. ②, ④
(정답률: 알수없음)
  • ①: 실리카 폼은 경량 콘크리트의 재료로 사용되며, 경량화된 콘크리트는 구조물의 무게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④: 실리카 폼은 고온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실리카 폼을 사용한 콘크리트는 화재 발생 시 안전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①, ④"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굵은 골재에 관한 시험을 통해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골재의 흡수율은?

  1. 3.48%
  2. 3.52%
  3. 3.80%
  4. 3.91%
(정답률: 84%)
  • 시험 결과에서 물의 중량은 100g이고, 골재의 중량은 264g이다. 따라서 골재의 건조중량은 264-100=164g이다. 흡수율은 (물의 흡수량 ÷ 건조중량)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100 ÷ 164) × 100 = 60.98%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흡수율이 아니라 "물의 중량 대비 흡수율" 이므로, (물의 흡수량 ÷ 물의 중량) × 100 으로 다시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100 ÷ 100) × 100 = 100% 에서 60.98% 를 뺀 값인 39.02% 가 물의 중량 대비 흡수율이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3.80%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시멘트 클링커 화합물읠 조성광물로 틀린 것은?

  1. 규산석회(CaO ㆍ SiO2)
  2. 규신 2석회(2CaO ㆍ SiO2)
  3. 알루민산 3석회(3CaO ㆍ Al2O3)
  4. 알루민철산 4석회(4CaO ㆍ Al2O3 ㆍ Fe2O3)
(정답률: 55%)
  • 규산석회(CaO ㆍ SiO2)가 틀린 것이다. 시멘트 클링커는 주로 규신 2석회(2CaO ㆍ SiO2)와 알루민산 3석회(3CaO ㆍ Al2O3)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루민철산 4석회(4CaO ㆍ Al2O3 ㆍ Fe2O3)는 드물게 함유되기도 한다. 규산석회는 시멘트 클링커의 구성 성분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시멘트 비중시험에서 시멘트 64.1g으로 시험한 결과 처음의 비중병 눈금이 0.5mL이고 시멘트를 투입하고 기포제거를 완료한 후의 눈금이 20.9mL였다. 이 시멘트의 비중은?

  1. 3.10
  2. 3.12
  3. 3.14
  4. 3.16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의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멘트의 질량 = 64.1g
    시멘트의 체적 = 20.9mL - 0.5mL = 20.4mL

    시멘트의 비중 = 질량 ÷ 체적 = 64.1g ÷ 20.4mL = 3.14

    따라서, 정답은 "3.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래 표는 콘크리트용 모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불순물에 대한 시험방법 중 식별용 표준색 용액을 만드는 절차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틀린 항목은?

(정답률: 54%)
  • ③번 항목에서 "물에 용해되는 유기물"을 검출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유기물이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이 방법은 유기물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물에 용해된 유기물을 검출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③번 항목은 틀린 항목이다. 올바른 방법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유기물을 추출하고, 추출액을 증발시켜서 유기물을 확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혼화제 중 응결시간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지연제
  2. 급결제
  3. 방청제
  4. 촉진형 AE감수제
(정답률: 93%)
  • 방청제는 응결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혼화제입니다. 이는 방청제가 혼합물의 응집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지연제는 응결시간을 늦추고, 급결제는 응결시간을 빠르게 합니다. 촉진형 AE감수제는 혼화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여 응결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배합시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를 저감시킴
  2. 혼화재로 플라이 애시를 사용
  3. 습윤양생기간을 충분히 함
  4. 경량골재를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경량골재는 콘크리트의 밀도를 낮추어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강도를 감소시키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처럼 물-시멘트비를 저감시키거나 혼화재로 플라이 애시를 사용하거나 습윤양생기간을 충분히 하는 등의 방법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용 혼화제의 계량 허용오차는 몇 %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87%)
  • 콘크리트용 혼화제의 계량 허용오차는 보통 ±3%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확한 혼합비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화제의 계량이 조금씩 차이가 나더라도 콘크리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허용오차가 크지 않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시체 규격이 150mm×150mm×530mm로 지간길이가 450mm인 단순보의 3등분점 재하법의 휨강도시험을 한 결과 최대 하중이 24500N일 때 공시체가 인장쪽 표면 지간방향 중심선의 3등분점 사이에서 파괴가 되었다. 이 공시체의 휨강도는?

  1. 2.9MPa
  2. 3.3MPa
  3. 4.9MPa
  4. 5.3MPa
(정답률: 알수없음)
  • 공시체의 휨강도는 최대 하중과 단면적, 지간길이, 재하법 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최대 하중과 지간길이가 주어졌으므로, 단면적과 재하법 계수를 구해서 휨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단면적은 단순보의 경우 너비와 높이를 곱한 값이므로, 150mm × 530mm = 79500mm² 이다.

    재하법 계수는 3등분점에서의 재하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3등분점에서 파괴가 일어났으므로, 재하법 계수는 최대 하중을 3등분한 값인 24500N/3 = 8166.67N을 단면적과 지간길이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재하법 계수는 8166.67N / (79500mm² × 450mm) = 0.0000243 이다.

    이제 휨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휨강도는 최대 하중을 재하법 계수와 지간길이의 곱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휨강도는 24500N / (0.0000243 × 450mm) = 3.3M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3.3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인 경우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콘크리트는 워커블하게 된다.
  2.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증가되고 슬럼프감소는 줄어든다.
  3.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개선된다.
  4. 천연 모래가 부순 모래에 비하여 워커블한 콘크리트를 얻기 쉽다.
(정답률: 82%)
  • 온도가 높을수록 슬럼프는 증가되고 슬럼프감소는 줄어드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높은 온도는 콘크리트 내부의 물의 증발을 촉진시켜 수분이 증발하고 콘크리트가 더욱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가 감소하고 슬럼프가 줄어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강제식 믹서를 사용하여 일반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비비기 시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1. 1분
  2. 1분 30초
  3. 2분
  4. 2분 30초
(정답률: 84%)
  • 강제식 믹서를 사용하여 일반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비비기 시간의 표준은 1분이다. 이는 ASTM C192에서 규정된 시간으로, 이 시간 동안 콘크리트를 믹싱하여 균일한 혼합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또한, 비비기 시간이 너무 길거나 짧으면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결과에 대한 서술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재하속도가 빠르면 강도가 작아진다.
  2. 공시체의 단면에 요철이 있으면 강도가 실제보다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3. 공시체의 치수가 클수록 강도는 작게 된다.
  4. 시험 직전에 공시체를 건조시키면 일시적으로 강도가 증대한다.
(정답률: 59%)
  • "재하속도가 빠르면 강도가 작아진다."는 바르지 않은 서술입니다.

    재하속도가 빠르면 강도가 작아지는 이유는,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물과 시멘트가 반응하여 결정체가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재하속도가 빠를수록 결정체가 형성되는 과정이 충분하지 않아 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공시체의 단면에 요철이 있으면 강도가 실제보다 작아지는 경향이 있고, 공시체의 치수가 클수록 강도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시험 직전에 공시체를 건조시키면 일시적으로 강도가 증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강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동결융해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한 급속동결융해에 따른 콘크리트의 저항시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결융해 1사이클의 소요시간은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로 한다.
  2. 동결융해 1사이클은 공시체 중심부의 온도를 원칙으로 하며 원칙적으로 4℃에서 -18℃로 떨어지고, 다음에 -18℃에서 4℃로 상승되는 것으로 한다.
  3. 시험의 종료는 300사이클로 하며, 그때까지 상대동 탄성계수가 60%이하가 되는 사이클이 있으면 그 사이클에서 시험을 종료한다.
  4. 특별히 다른 재령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는 한, 공시체는 14일간 양생한 후 동결융해 시험을 시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결융해 1사이클의 소요시간은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로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동결융해 1사이클의 소요시간은 적어도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콘크리트가 동결되는 시간과 해동되는 시간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시험을 진행하기 위함이다. 동결융해 시간이 너무 짧으면 콘크리트의 동결상태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시험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고, 너무 길면 시험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비용과 시간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을 설정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6회의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하여 아래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범위 R은 얼마인가?

  1. 5.1 MPa
  2. 5.3 MPa
  3. 5.5 MPa
  4. 5.7 MPa
(정답률: 73%)
  • 범위 R은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대값인 5.7 MPa와 최소값인 4.8 MPa의 차이를 구하면 범위 R은 0.9 M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5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기실 압력법에 의한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에서 시료를 용기에 채우는 횟수 및 각층 다짐횟수로 적합한 것은?

  1. 3층 - 25회
  2. 2층 - 25회
  3. 3층 - 30회
  4. 2층 - 20회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실 압력법에 의한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은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료를 용기에 채우고 각 층마다 일정한 횟수로 다짐하여 공기를 제거한 후, 공기압력계를 이용하여 공기량을 측정한다.

    이 때, 적절한 횟수는 시료의 크기와 형태, 콘크리트의 성질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보기에서 "3층 - 25회"가 적합한 이유는, 3층으로 구성된 시료를 25회의 다짐으로 충분히 공기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짐 횟수가 적거나 많아서 공기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의 윗면 다듬질을 캐핑에 의할 경우 캐핑층의 압축강도는 콘크리트의 예상되는 강도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2. 쪼갬인장강도 시험용 공시체는 원기둥 모양으로 그 지름은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의 4배 이상이며 15cm 이상 으로 한다.
  3. 압축강도 시험을 공시체의 윗면 다듬질을 캐핑에 의할 경우 캐핑층의 두께는 공시체 지름의 5% 정도로 한다.
  4. 공시체의 양생 온도는 (20±2)℃로 한다.
(정답률: 70%)
  • 압축강도 시험을 공시체의 윗면 다듬질을 캐핑에 의할 경우 캐핑층의 두께는 공시체 지름의 5% 정도로 한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이유는 캐핑층이 너무 얇으면 공시체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두께를 유지해야 하며, 5% 정도로 한 이유는 캐핑층이 너무 두껍게 되면 캐핑층 자체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블리딩(bleeding)으로 인하여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표면에 가라앉은 백색 침전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잔충재(filler)
  2. 레이턴스(laitance)
  3. 열화물
  4. 트레미(tremie)
(정답률: 77%)
  • 블리딩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표면에서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백색 침전물이 표면에 가라앉게 된다. 이 백색 침전물을 레이턴스(laitance)라고 한다. 레이턴스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표면의 마감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일으키므로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자재 품질관리에서 굵은 골재의 품질관리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절대건조밀도
  2. 흡수율
  3. 물리 화학적 안정성
  4. 유기불순물
(정답률: 62%)
  • 굵은 골재의 품질관리 항목에는 절대건조밀도, 흡수율, 물리 화학적 안정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유기불순물은 굵은 골재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항목입니다. 유기불순물은 유기물의 함량을 나타내는데, 굵은 골재는 주로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기불순물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시험에 대한 아래표의 ( )에 들어갈 수치로 옳은 것은?

  1. ① 3.0, ② 28.0
  2. ① 3.5, ② 28.0
  3. ① 3.0, ② 28.5
  4. ① 3.5, ② 28.5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의 응결시험에서 관입 저항침은 콘크리트 내부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때, 관입 저항침 값이 작을수록 콘크리트의 품질이 좋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첫 번째 칸의 값이 작을수록 좋은 것이다.

    두 번째 칸의 값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강도가 높을수록 좋다. 따라서, 두 번째 칸의 값이 클수록 좋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3.5, ② 2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강 알칼리성 재료로써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데, 콘크리트의 알칼리 정도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

  1. pH 12~13
  2. pH 9~10
  3. pH 7~8
  4. pH 5~6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는 pH가 12~13인 알칼리성 환경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pH가 높을수록 철근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물 층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철근을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pH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감소하거나 철근 부식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pH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험 중에는 실온 20±3℃로 한다.
  2.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른다.
  3.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은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나온 물을 뽑아낸다.
  4. 물을 빨아내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하여 2분 전에 두께 약 5cm의 블록을 용기의 한쪽 밑에 주의 깊게 괴어 용기를 기울이고, 물을 빨아낸 후 수평 위치로 되돌린다.
(정답률: 75%)
  •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른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콘크리트의 블리딩 시험은 콘크리트의 물 분리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콘크리트를 용기에 채우고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 10분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나온 물을 뽑아내는 것이다. 이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르게 채워 넣는 것은 물이 고르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때 콘크리트의 표면이 용기의 가장자리에서 2cm정도 높아지도록 고른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중이 실릴 때의 콘크리트의 재령이 클수록 크리프는 작게 일어난다.
  2. 물-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는 물-시멘트비가 작은 콘크리트보다 크리프가 크게 일어난다.
  3. 크리프 변형의 증가 비율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급격히 증가한다.
  4. 콘크리트가 놓이는 주위의 온도가 높을수록 크리프 변형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프 변형의 증가 비율은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급격히 증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크리프 변형은 시간에 따라 계속해서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크리프 변형의 증가 비율이 더욱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관리도의 종류와 적용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관리도는 이항분포에 따른다.
  2. c관리도는 푸아송분포에 따른다.
  3. x관리도는 이항분포에 따른다.
  4. 관리도는 정규분포에 따른다.
(정답률: 80%)
  • " 관리도는 정규분포에 따른다."가 틀린 것이다.

    p관리도는 제품의 불량률을 이항분포로 가정하여 제어선을 그리는 것이고, c관리도는 단위 시간당 발생한 불량횟수를 푸아송분포로 가정하여 제어선을 그리는 것이다. x관리도는 표본평균을 이용하여 제어선을 그리는 것으로,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중심극한정리에 따라 정규분포를 따른다. 따라서 " 관리도는 정규분포에 따른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름 150mm, 높이 300mm인 원주형 공시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쪼갬인장강도시험으로 콘크리트에 하중을 가하여 공시체가 100 kN에 파괴되었다면 이 때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1. 1.2 MPa
  2. 1.3 MPa
  3. 1.4 MPa
  4. 1.6 MPa
(정답률: 알수없음)
  • 쪼갬인장강도시험에서는 공시체의 지름과 높이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인장강도 = 파괴하중 / (π/4 × 지름^2)

    여기서, 파괴하중은 100 kN이고, 지름은 150mm이므로,

    인장강도 = 100 kN / (π/4 × 150^2 mm^2) = 1.4 MPa

    따라서, 정답은 "1.4 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KS F 4009에 따른다.)

  1. 1회의 강도시험결과는 구입자가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이어야 한다.
  2. 보통콘크리트의 공기량은 4.5%이며, 경량콘크리트의 공기량은 5.5%로 하되, 그 허용오차는 ±1.5%로 한다.
  3.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80mm이상인 경우 슬럼프 허용오차는 ±25mm이다.
  4. 염화물함유량의 한도는 배출지점에서 염화물이온량으로 3kg/m3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염화물함유량의 한도는 배출지점에서 염화물이온량으로 3kg/m3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콘크리트 내부에 염화물이 존재하면 철근의 부식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부의 염화물 함유량을 제한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배출지점에서 염화물이온량으로 3kg/m3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구속되어 있지 않은 무근 콘크리트 부재의 건조수축률이 200×106 일 때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의 종류와 크기는? (단,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25GPa이다.)

  1. 압축응력 5MPa
  2. 인장응력 5MPa
  3. 인장응력 2.5MPa
  4. 응력이 발생하지 않음
(정답률: 62%)
  • 건조수축률이 200×10^6이므로,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200×10^-6이다. 탄성계수가 25GPa이므로,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응력 = 탄성계수 × 변형률 = 25GPa × 200×10^-6 = 5MPa

    하지만, 이 응력은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이다. 콘크리트는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낮기 때문에, 압축응력이 발생하더라도 인장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응력이 발생하지 않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온도균열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균열지수는 재령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진다.
  2. 온도균열지수가 클수록 균열이 생기기 어렵다.
  3. 온도균열지수는 콘크리트 인장강도와 온도응력의 비이다.
  4. 온도균열지수는 사용 시멘트량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79%)
  • 정답은 "온도균열지수는 사용 시멘트량의 영향을 받는다."이다.

    온도균열지수는 콘크리트가 얼마나 빠르게 온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재료성질과 온도변화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재령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것이 맞다.

    또한, 온도균열지수가 클수록 균열이 생기기 어렵다는 것도 맞다. 이는 콘크리트가 빠르게 온도변화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온도균열지수는 콘크리트 인장강도와 온도응력의 비이기 때문에, 사용 시멘트량의 영향을 받는다. 즉, 시멘트량이 적을수록 온도균열지수가 낮아지고,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온도균열지수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숏크리트 작업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천단부 시공시에 노즐은 뿜어붙일 면과 45° 의 각도를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
  2. 숏크리트는 빠르게 운반하고, 급결제를 첨가한 후는 바로 뿜어붙이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뿜어붙일 면에 용수가 있을 경우에는 배수 파이프나 배수 필터를 설치하는 등 적절한 배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4. 숏크리트는 뿜어붙인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않는 범위의 적당한 두께로 뿜어붙인다.
(정답률: 79%)
  • "천단부 시공시에 노즐은 뿜어붙일 면과 45° 의 각도를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천단부 시공시에는 노즐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유는 천단부는 보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뿜어붙이면 더욱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천단부 시공시에 노즐은 뿜어붙일 면과 45° 의 각도를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라는 부분이 틀린 이유는 천단부 시공시에는 노즐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천단부는 보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뿜어붙이면 더욱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천단부 시공시에 노즐은 뿜어붙일 면과 45° 의 각도를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증가시켜야 한다."이다.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천단부는 보통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뿜어붙이면 더욱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노즐을 기울여 뿜어붙이면 콘크리트가 천단부 벽면을 타고 내려가면서 불규칙한 두께와 공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천단부 시공시에는 노즐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뿜어붙이는 면적을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숏크리트 코어 공시체(ø10×10cm)로부터 채취한 강섬유의 질량이 30.8g 이었다. 강섬유 혼입률(부피기준)을 구하면? (단, 강섬유의 단위질량은 7.85g/cm3 이다.)

  1. 5%
  2. 3%
  3. 1%
  4. 0.5%
(정답률: 37%)
  • 강섬유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부피 = 질량 ÷ 밀도 = 30.8g ÷ 7.85g/cm³ = 3.92cm³

    숏크리트 코어 공시체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부피 = (지름/2)² × 높이 = (10/2)² × 10 = 250cm³

    따라서, 강섬유의 혼입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혼입률 = (강섬유 부피 ÷ 전체 부피) × 100% = (3.92cm³ ÷ 250cm³) × 100% ≈ 1.57%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강섬유의 부피를 구할 때 소수점 이하를 모두 계산했기 때문에, 혼입률도 최종적으로 소수점 이하까지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콘크리트 공장제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분한 품질관리로 신뢰성 높은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2.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3. 공장제품의 특성상 대량생산이 어려우며, 범용성이 떨어진다.
  4. 기후에 좌우되지 않고 제조가 가능하다.
(정답률: 65%)
  • 공장제품은 주로 주문제작이나 작은 수량의 생산에 적합하며, 대량생산이 어렵고 특정한 용도에 맞춰진 제품이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집니다. 이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특성상 필연적인 한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숏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숏크리트는 비교적 소규모의 타설장비로 시공할 수 있고 임의방향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다.
  2. 습식 숏크리트는 대단면으로서 장대화되는 산악터널의 주지보재로써 시공에 적합하다.
  3. 리바운드 등의 재료 손실이 많고 평활한 마무리 면을 얻기 어려우며 수밀성이 다소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4. 숏크리트는 조기에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고 급속시공이 가능하지만 거푸집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정답률: 82%)
  • 숏크리트는 조기에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고 급속시공이 가능하지만 거푸집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섬유보강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2. 피로강도 개선으로 포장의 두께나 터널 라이닝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3. 부재의 전단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4. 유동성이 좋아 작업성이 개선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보강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유동성이 좋아 작업성이 개선된다는 것은 콘크리트 혼합물이 더 유동성이 있어서 쉽게 주입하거나 성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공사 시간을 단축시키고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서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루 평균기온이 25℃를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 서중콘크리트로 시공한다.
  2. 일반적으로 기온 10℃의 상승에 대하여 단위수량은 약 2~5% 정도 증가한다.
  3.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되도록 낮아지도록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45℃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4%)
  • "콘크리트 재료는 온도가 되도록 낮아지도록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 재료는 일정한 온도에서 사용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온도는 5℃ ~ 35℃ 사이가 적당합니다. 콘크리트 온도가 너무 높으면 수분이 증발하여 강도가 약해지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45℃ 이하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경량골재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량골재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진동시간을 약간 길게 해 충분히 다져야 한다.
  2. 경량골재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진동기를 찔러 넣는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이 좋다.
  3. 진동 다지기를 하면 굵은 골재가 침하하고 모르타르가 위로 떠오르는 재료분리현상이 발생한다.
  4. 고유동 콘크리트의 경우 책임기술자와 협의하여 다짐을 생략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 다지기를 하면 굵은 골재가 침하하고 모르타르가 위로 떠오르는 재료분리현상이 발생한다."이 틀린 것이다. 경량골재콘크리트는 진동 다지기를 할 때 굵은 골재가 침하거나 모르타르가 위로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경량골재의 특성으로 인해 경량골재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잘 분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반적인 공장제품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은 재령 몇 일의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1. 14일
  2. 3일
  3. 28일
  4. 7일
(정답률: 93%)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은 14일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초기 단계에서는 강도가 낮아서 3일 이내의 시험값은 신뢰성이 떨어지고, 28일 이상의 시험값은 생산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14일의 시험값이 콘크리트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가장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포장용 콘크리트의 배합기준 중 강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설계기준 휨강도(f28)가 4.5MPa 이상
  2. 설계기준 휨강도(f28)가 3.5MPa 이상
  3. 설계기준 압축강도(f28)가 20MPa 이상
  4. 설계기준 압축강도(f28)가 30MPa 이상
(정답률: 45%)
  • 정답은 "설계기준 휨강도(f28)가 4.5MPa 이상"입니다. 포장용 콘크리트는 주로 도로나 공항 등의 포장재로 사용되며, 이러한 장소에서는 차량이나 비행기 등의 무게에 대한 내구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강도 기준으로는 휨강도가 중요하며, 설계기준 휨강도(f28)가 4.5MPa 이상이어야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압축강도는 내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강도 기준으로는 휨강도가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 부재치수의 일반적인 표준에 대한 아래 문장의 ( ) 에 알맞은 수치는?

  1. ① 0.5, ② 0.8
  2. ① 0.8, ② 0.5
  3. ① 0.5, ② 1.0
  4. ① 1.0, ② 0.5
(정답률: 알수없음)
  • ( )에 알맞은 수치는 "① 0.5, ② 0.8"이다.

    일반적으로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 부재치수의 표준은 국가별로 다르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강도, 내구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부재치수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통 철근의 경우 직경이 10mm 이상이면서, 콘크리트의 강도 등에 따라 필요한 두께를 고려하여 부재치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는 철근의 직경이 10mm 이상이므로 ①은 0.5가 되고, 콘크리트의 강도 등에 따라 필요한 두께를 고려하여 ②는 0.8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표준이다.

    즉, 이 문제에서는 일반적인 표준에 따라 부재치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묻고 있으며, 그에 따라 ①은 0.5, ②는 0.8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부재치수기 큰 벽체구조물의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단면 감소부분을 만들어 균열이 집중되도록 하기위해 수축이음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수축이음의 단면감소율은 몇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5% 이상
  2. 10% 이상
  3. 15% 이상
  4. 35%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수축이음의 단면감소율이 클수록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균열이 집중되므로,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단면감소율이 큰 수축이음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단면감소율이 35%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품질검사 항목 및 판정기준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휨인성 계수 : 설계시 고려된 휨인성 계수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일 것
  2. 압축인성 : 설계시 고려된 압축인성 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일 것
  3. 굳지 않은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섬유혼입률 : 허용차 ±1.0%
  4. 휨강도 : 설계시 고려된 휨강도 계수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일 것
(정답률: 40%)
  • "휨인성 계수 : 설계시 고려된 휨인성 계수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일 것"이 틀린 것입니다.

    굳지 않은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섬유혼입률이 ±1.0% 이내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강섬유의 혼입률이 적으면 보강효과가 떨어지고, 많으면 콘크리트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강섬유혼입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휨인성 계수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콘크리트가 얼마나 휘어질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휨인성 계수가 높을수록 내구성이 높아지며, 설계시 고려된 값에 미달할 확률이 5% 이하일 것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결합재비를 감소시킨다.
  2.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한다.
  3. 양질의 골재를 사용한다.
  4. 굵은 골재 최대치수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4%)
  • 굵은 골재 최대치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오히려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보다는 섬유재료나 미세한 골재를 사용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일반콘크리트의 표면마무리에서 마무리 두께 7mm이하 또는 양호한 평탄함이 필요한 경우 평탄성 표준값은?

  1. 1m 당 10mm 이하
  2. 3m 당 5mm 이하
  3. 1m 당 7mm 이하
  4. 3m 당 10mm 이하
(정답률: 39%)
  • 평탄성 표준값은 표면의 평탄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콘크리트의 경우 마무리 두께가 7mm 이하이거나 양호한 평탄함이 필요한 경우에 적용됩니다. 이때, 3m 당 10mm 이하인 이유는 3m 길이의 구간에서 표면의 불규칙성이 10m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3m 길이의 구간에서 표면이 고르게 평탄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10mm 이하의 불규칙성을 허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해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안선으로부터 250m 이내의 육상지역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염해를 입기 쉬우므로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구분하여 내구성 향상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2.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24M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단위 결합재량을 크게 하면 해수 중의 각종 염류의 화학적 침식, 콘크리트 속의 강재의 부식 등에 대한 저항성이 커진다.
  4. 해수에 의한 침식이 심한 경우에는 폴리머 시멘트콘크리트와 폴리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함침 콘크리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0%)
  •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쓰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24MPa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는 30MPa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해양환경에서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을 통하여 거푸집을 해체하고자 한다. 설계기준강도가 24MPa이고, 보의 밑면인 경우 거푸집을 해체할 때 콘크리트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MPa 이상
  2. 8MPa 이상
  3. 12MPa 이상
  4. 16MPa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설계기준강도가 24MPa이므로,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높은 압축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16MPa 이상이어야 한다. 5MPa, 8MPa, 12MPa는 모두 24MPa보다 낮기 때문에 거푸집을 해체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0MPa 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30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
  2.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0MPa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27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
  3.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5MPa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30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
  4.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5MPa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27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
(정답률: 91%)
  • 고강도 콘크리트는 설계기준압축강도가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40MPa 이상,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27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콘크리트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지며,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실하게 만든 콘크리트를 수밀콘크리트라고 한다. 수밀콘크리트의 배합설계시 고려해야할 내용과 관계가 먼 것은?

  1. 단위 굵은 골재량은 되도록 적게 한다.
  2. 단위수량 및 물-결합재비는 되도록 적게 한다.
  3.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연행제등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4%이하가 되게 한다.
  4.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 굵은 골재량은 되도록 적게 한다."는 수밀콘크리트의 특성상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밀실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재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조절하여 더욱 밀실한 수밀콘크리트를 만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대규모 혹은 중요한 구조물의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가장 적당한 기계 기구는?

  1. 밑열림 상자
  2. 밑열림 포대
  3. 트레미
  4. 벨트컨베이어
(정답률: 75%)
  •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가장 적당한 기계 기구는 "트레미"이다. 이는 수중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사용되는 기계로, 콘크리트를 끊임없이 섞어가며 수심에 맞게 적절한 위치에 쏟아내어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는 대규모 혹은 중요한 구조물의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가장 효율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 보의 균열원인으로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과하중
  2. 소성균열
  3. 콘크리트 충전불량
  4. 부등침하
(정답률: 82%)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균열은 콘크리트 보에 가해진 하중이 과하거나 부등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과하중"입니다. 즉, 보가 지탱해야 할 하중보다 더 큰 하중이 가해졌거나, 하중이 부분적으로 집중되어 분포되지 않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보가 균열을 일으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 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할 수 있는 전단강도(Vc)는? (단, fck = 21MPa, fy = 400MPa)

  1. 36.2kN
  2. 114.6kN
  3. 262.4kN
  4. 364.3kN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강도(V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c = 0.6 × fck × b × d

    여기서, b는 보의 너비, d는 보의 높이입니다.

    따라서, Vc = 0.6 × 21MPa × 200mm × 600mm = 1512kN

    하지만, Vc는 최대 전단강도이므로, Vc를 fy로 나눈 값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Vc / fy = 1512kN / 400MPa = 3.78kN

    따라서, Vc / fy = 3.78kN < 36.2kN 이므로, 최대 전단강도는 36.2kN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4.6kN"이 아닌 "36.2k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외부케이블을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보강 효과가 역학적으로 명확하다.
  2. 보강 후 유지관리가 비교적 쉽다.
  3.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이나 열화에 비효율적이다.
  4. 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율적이다.
(정답률: 59%)
  • 외부케이블을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은 부재의 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율적이 아니다. 외부케이블은 보강 효과가 역학적으로 명확하고 보강 후 유지관리가 비교적 쉽지만,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이나 열화에는 비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방향 슬래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변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 중에서 단변에 대한 장변의 비가 2배를 넘으면 1방향 슬래브로 해석한다.
  2. 슬래브의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의 중심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5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1방향 슬래브에서는 정모멘트 철근 및 부모멘트 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온도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최소 1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1방향 슬래브의 두께는 설계하려는 하중과 재료의 강도 등에 따라 다르며, 최소 두께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하는 주된 이유는?

  1. 교량의 노후도를 평가
  2. 교량의 활하중 지지능력을 평가
  3. 교량 시공 재료의 내구성 평가
  4. 도면과 시공의 일치 여부 평가
(정답률: 67%)
  • 교량의 내하력 평가를 하는 주된 이유는 교량의 활하중 지지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입니다. 즉, 교량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파악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내하력 평가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다음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등가압축 응력의 깊이 a는 얼마인가? (단, bn = 300mm, As = 1935mm2, As′ = 860mm2, fck = 21MPa, fy = 400MPa 이고, 이 보는 인장철근과 압축철근이 모두 항복한다고 가정한다.)

  1. 65.7mm
  2. 80.3mm
  3. 145.2mm
  4. 160.8mm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압축응력의 깊이 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As′/As)bn = (860/1935)300 = 133.8mm

    하지만, 인장철근과 압축철근이 모두 항복한다는 가정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항복전단응력을 계산하여 그 값이 fy/√3보다 작은 경우에만 등가압축응력을 사용할 수 있다.

    항복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τy = fy/√3 = 400/√3 ≈ 230.9MPa

    항복전단응력을 넘지 않는 깊이 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 = (As′/As)bn(fck/0.85fy) = (860/1935)300(21/0.85×400) ≈ 80.3mm

    따라서, 정답은 "80.3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처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1. 최대철근비
  2. 균형철근비
  3. 인장철근비
  4. 압축철근비
(정답률: 알수없음)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처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변형으로, 구조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압축철근비입니다. 압축철근비가 높을수록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조물 설계 시 압축철근비를 적절하게 고려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콘크리트 구조물의 재하 시험시 최종 잔류 측정값은 시험하중 제거 후 몇 시간 경과했을 때 읽어야 하는가?

  1. 1시간
  2. 6시간
  3. 12시간
  4. 24시간
(정답률: 55%)
  •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재하 시험에서 최종 잔류 측정값을 얻기 위해서는 시험하중을 제거한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시간은 24시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거의 안정화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측정한 잔류 강도 값이 최종 값으로 인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수동식 주입법은 주입 건(gun)이나 소형 펌프를 사용하여 주입제를 비교적 다량으로 주입할 경우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공법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다량의 수지를 단시간에 주입할 수 있다.
  2. 균열폭 0.2mm이하의 미세한 균열부위에 주입하기가 용이하다.
  3. 주입압이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4. 벽, 바닥, 천정 등의 부위에 따른 제약이 없다.
(정답률: 92%)
  • 수동식 주입법은 주입 건이나 소형 펌프를 사용하여 주입제를 다량으로 주입할 수 있으며, 주입압이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 바닥, 천정 등의 부위에 따른 제약이 없다. 그러나 가장 큰 장점은 균열폭 0.2mm이하의 미세한 균열부위에 주입하기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는 수동식 주입법이 균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균열 내부로 주입제를 쉽게 주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방향 슬래브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부재의 길이가 2.5m일 때 캔틸레버 부재의 슬래브 최소 두께는 얼마인가? (단, 보통콘크리트(mc=2300kg/m3)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한 부재)

  1. 89mm
  2. 104mm
  3. 125mm
  4. 250mm
(정답률: 42%)
  • 캔틸레버 부재의 슬래브 최소 두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 두께 = (5 × Lc × qu) / (48 × mc × hf)

    여기서, Lc는 캔틸레버 길이, qu는 균일하게 분포된 하중, mc는 보통콘크리트의 단위 무게, hf는 철근의 높이이다.

    부재의 길이가 2.5m이므로 Lc = 2.5m이다. 부재에는 캔틸레버 부재만 존재하므로 qu는 캔틸레버 부재의 무게와 추가하중을 합한 값이다. 부재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부재의 무게 = mc × A × hf

    여기서, A는 부재의 단면적이다. 캔틸레버 부재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b × hf

    여기서, b는 캔틸레버 부재의 너비이다. 캔틸레버 부재의 너비는 0.3m이라고 가정하자.

    따라서, A = 0.3m × hf이다.

    캔틸레버 부재의 무게는 다음과 같다.

    캔틸레버 부재의 무게 = mc × 0.3m × hf

    추가하중은 1.5kN/m2이라고 가정하자. 따라서, qu = (mc × 0.3m × hf) + (1.5kN/m2 × 2.5m)이다.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하므로 hf는 50mm이다.

    따라서, 최소 두께 = (5 × 2.5m × ((2300kg/m3 × 0.3m × 50mm) + (1.5kN/m2 × 2.5m))) / (48 × 2300kg/m3 × 50mm) = 250mm이다.

    따라서, 정답은 "25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강공법 중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섬유시트는 현장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는 작업이 편리하다.
  2. 섬유시트의 박리 또는 부분박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강효과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3. 내식성이 우수하고, 염해지역의 콘크리트구조물 보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일정한 격자모양으로 부착함으로써 발생된 균열의 진전 상태 관찰이 가능하다.
(정답률: 67%)
  • "섬유시트의 박리 또는 부분박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강효과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섬유시트의 박리 또는 부분박리가 발생하면 보강효과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비합성 띠철근 기둥의 전체 단면적(Ag)이 60000mm2 인 경우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철근량은?

  1. 600mm2
  2. 1200mm2
  3. 2400mm2
  4. 4800mm2
(정답률: 40%)
  • 비합성 띠철근 기둥은 주로 압축하중을 받기 때문에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철근량은 단면적의 1%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소 철근량은 60000mm2 x 0.01 = 600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m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내동해성이 작은 골재를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경우 동결융해작용에 의해 골재가 팽창하여 파괴되어 떨어져 나가거나 그 위치의 콘크리트 표면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팝아웃
  2. 백화
  3. 스케일링
  4. 침식
(정답률: 82%)
  • 정답은 "팝아웃"이다.

    팝아웃은 동결융해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의 물이 얼어 팽창하면서 골재가 콘크리트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작은 골재를 사용하면 골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져서 더욱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내동해성에서는 큰 골재를 사용하여 팝아웃을 예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프리텐션방식으로 긴장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적어도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실험이나 기존의 적용 실적 등을 통해 안전성이 증명된 경우를 제외한다.)

  1. 20 MPa
  2. 25 MPa
  3. 30 MPa
  4. 35 MPa
(정답률: 62%)
  • 프리텐션방식으로 긴장하는 경우 콘크리트는 긴장력에 의해 압축력을 받게 되므로, 압축강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긴장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적어도 30 MPa 이상의 압축강도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콘크리트 균열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반발경도법
  2. 초음파법
  3. 관입저항법
  4. Break-off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법은 콘크리트 내부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법으로, 균열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는 공기나 물 등의 매질에서는 속도가 빠르지만, 고체인 콘크리트에서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균열이 있는 부분에서는 초음파가 반사되어 시간이 더 걸리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균열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균열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는 초음파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중성화 속도계수가 9mm/√년 인 콘크리트 구조물이 16년 경과한 시점의 중성화 깊이는? (단, 예측시의 변동성을 고려한 안전계수는 1로 가정한다.)

  1. 12mm
  2. 36mm
  3. 48mm
  4. 144mm
(정답률: 90%)
  • 중성화 속도계수가 9mm/√년 이므로, 1년 후 중성화 깊이는 9mm, 4년 후 중성화 깊이는 18mm, 9년 후 중성화 깊이는 27mm, 16년 후 중성화 깊이는 36mm가 된다. 안전계수가 1이므로, 예측시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확한 값으로 계산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3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콘크리트 보수를 위해 각종 섬유(강섬유, 유리섬유, 폴리플로필렌계섬유 등)를 사용할 경우 섬유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작업에서 시공성이 우수해야 한다.
  2. 섬유의 인성과 연성이 풍부해야 한다.
  3. 섬유의 압축강도가 커야 한다.
  4. 섬유와 결합재의 부착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의 압축강도가 커야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 보수 시 섬유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압축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섬유가 충분한 압축강도를 갖추어야만 콘크리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섬유를 사용할 때는 압축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섬유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콘크리트 구조물이 공기 중의 탄산가스의 영향을 받아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서서히 탄산칼슘으로 되어 콘크리트가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알칼리골재반응
  2. 염해
  3. 탄산화
  4. 화학적 침식
(정답률: 80%)
  • 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는데,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하면서 알칼리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탄산화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fy=300MPa, fck=50MPa 일 때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 철근비는?

  1. 0.045
  2. 0.054
  3. 0.066
  4. 0.080
(정답률: 47%)
  • 강도설계법에 의한 균형 철근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ρbal = (0.85fck)/(fy) = (0.85 x 50)/(300) = 0.0567

    하지만, 균형 철근비는 최소 철근비보다 커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ρmin = 0.002

    ρbal > ρmin 이므로, 균형 철근비는 0.0567 이다.

    하지만, 균형 철근비는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넷째 자리에서 표시하므로, 정답은 0.06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D13의 전단철근(단면적 126.7mm2)을 U형의 스터럽으로 가공하여 300mm 간격을 두고 부재축에 직각으로 설치한 경우 전단철근의 전단강도(Vs)는 얼마인가? (단, d=600mm, fy=400MPa 이다.)

  1. 101.4kN
  2. 153.7kN
  3. 202.7kN
  4. 267.1kN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강도(Vs)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s = 0.6 × fy × As

    여기서, As는 전단철근의 단면적이고, fy는 강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Vs = 0.6 × 400MPa × 126.7mm2 = 202.7kN

    따라서, 정답은 "202.7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