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5-25)

콘크리트산업기사
(2014-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다음의 일반적인 설명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플라이애시 중의 미연탄소분에 의해 AE제 등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어 소요의 공기량을 연행하기 위한 AE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2. 시멘트 질량의 20%정도 이상을 플라이애시로 치환하면 알칼리골재반응이 억제된다.
  3. 습윤양생이 충분하지 못하면 초기강도의 저하 및 동해에 대한 표면열화가 발생하기 쉽다.
  4. 수화가 충분히 진행되면 치밀한 조직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커진다.
(정답률: 71%)
  • "수화가 충분히 진행되면 치밀한 조직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커진다."는 적당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플라이애시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내부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극을 채우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이고 강도를 향상시킵니다. 또한, 플라이애시 중의 미연탄소분에 의해 AE제 등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어 소요의 공기량을 연행하기 위한 AE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시멘트 질량의 20% 이상을 플라이애시로 치환하면 알칼리골재반응이 억제되고, 습윤양생이 충분하지 못하면 초기강도의 저하 및 동해에 대한 표면열화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분과 시간을 제공하여 수화를 충분히 진행시키면 치밀한 조직이 가능해져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굵은골재의 절건밀도는 2.5g/cm3 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2. 굵은 골재 중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은 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3. 필요한 경우 굵은 골재에 대한 내동해성 시험을 수행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굵은 골재의 안정성은 황산나트륨으로 3회 시험을 하여 평가하며, 그 손실질량은 1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굵은 골재의 안정성은 황산나트륨으로 3회 시험을 하여 평가하며, 그 손실질량은 1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 "굵은골재의 절건밀도는 2.5g/cm3 이상의 값을 표준으로 한다." : 굵은 골재의 절밀도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맞습니다.
    - "굵은 골재 중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의 합은 5%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콘크리트 내에 점토덩어리와 연한 석편이 포함되면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이 보기도 맞습니다.
    - "필요한 경우 굵은 골재에 대한 내동해성 시험을 수행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굵은 골재의 내동해성은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보기도 맞습니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안정성은 황산나트륨으로 3회 시험을 하여 평가하며, 그 손실질량은 1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가 틀린 이유는 콘크리트의 안정성 평가에는 황산나트륨 시험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콘크리트 내에 사용된 굵은 골재의 손실질량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밀도
  2. 비표면적(블레인)
  3. 활성도지수
  4. 전알칼리량
(정답률: 74%)
  • 전알칼리량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알칼리 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알칼리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시험 항목이다. 따라서 정답은 "전알칼리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잔골재 표건밀도 2.60g/cm3, 굵은골재 표건밀도 2.65g/cm3 인 재료를 이용하여 잔골재율 40% 인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단위 잔골재량이 624kg인 경우 단위 굵은골재량을 구하면?

  1. 954kg
  2. 1017kg
  3. 1087kg
  4. 1128kg
(정답률: 75%)
  • 단위 잔골재량이 624kg이므로, 단위 콘크리트 중 잔골재 부피는 40% × 1m3 = 0.4m3 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중 굵은골재 부피는 1m3 - 0.4m3 = 0.6m3 이다.

    단위 잔골재량의 밀도는 2.60g/cm3 이므로, 624kg의 잔골재는 부피로 환산하면 624,000g ÷ 2.60g/cm3 = 240,000cm3 이다. 따라서, 1m3의 콘크리트 중 잔골재 부피인 0.4m3의 잔골재 부피는 0.4m3 × 100cm/m × 100cm/m × 100cm/m = 40000cm3 이다. 이를 잔골재의 부피 비율로 나누면, 굵은골재의 부피 비율은 0.6m3 ÷ 0.4m3 = 1.5 이다.

    굵은골재의 밀도는 2.65g/cm3 이므로, 1m3의 굵은골재 중량은 2.65g/cm3 × 100cm/m × 100cm/m × 100cm/m × 1.5 = 3975kg 이다. 따라서, 단위 굵은골재량은 3975kg ÷ 1000kg/tonne = 3.975tonne 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954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감수제의 사용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2. 콘크리트 흡수성과 투수성을 줄일 목적으로 사용한다.
  3. 응결을 늦추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4.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배합 계산시 고려한다.
(정답률: 70%)
  • 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흡수성과 투수성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응결을 늦추는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배합 계산시에는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굵은 골재 체가름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과표를 얻었다. 굵은 골재 최대치수는?

  1. 15mm
  2. 20mm
  3. 25mm
  4. 30mm
(정답률: 87%)
  • 굵은 골재 체가름 시험에서는 골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쌓아서 그 높이를 측정하고, 그 높이가 일정한 기준치 이상이 되면 시험을 중단한다. 따라서 성과표에서 최대치수는 시험을 중단한 높이이므로, 30mm가 최대치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콘크리트 배합시 물-결합재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결합재비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균열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한다.
  2. 제빙화학제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55%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 탄산화 저항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3%)
  •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기준으로 물-결합재비를 정할 경우, 그 값은 50%이하로 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제빙화학제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입니다. 이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물-결합재비는 55%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유는 제빙화학제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물-결합재비가 높아지면 제빙화학제의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균열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하며, 제빙화학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5%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기록이 없는 현장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인 경우 배합강도는?

  1. 40MPa
  2. 38.5MPa
  3. 37MPa
  4. 35.5MPa
(정답률: 78%)
  • 설계기준압축강도는 일반적으로 28일 후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하며, 대부분의 콘크리트는 28일 후에 설계기준압축강도를 달성한다. 따라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인 경우, 28일 후의 압축강도는 30MPa가 된다.

    배합강도는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사용되는 재료들의 강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약간 높은 배합강도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인 경우, 배합강도는 30MPa보다 약간 높은 38.5MPa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한 강도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요구되는 성질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골재의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일 것
  2. 잔골재는 유기불순물시험에 합격한 것
  3. 골재의 입형은 편평하고 긴 모양을 가질것
  4. 잔골재의 염분허용한도는 0.04%(NaCl 환산량) 이하일 것
(정답률: 87%)
  • "골재의 입형은 편평하고 긴 모양을 가질 것"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이러한 입형을 가진 골재는 콘크리트 내부에서 서로 밀착하지 않고 간격이 생기기 때문에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입형은 둥근 모양이나 각이 둥근 모양인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로슬래그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해수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2. 고로슬래그시멘트의 경우 수화열이 높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 상승에 유의해야한다.
  3. 고로슬래그시멘트의 조기강도 발현은 완만하지만 장기강도는 증가한다.
  4. 고로슬래그시멘트는 매스콘크리트, 해양구조물 등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정답률: 62%)
  • 고로슬래그시멘트의 경우 수화열이 높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 상승에 유의해야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고로슬래그시멘트는 수화열이 높아서 콘크리트가 혼합되고 경화될 때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멘트풀의 응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가 높을수록 응결은 지연된다.
  2. 습도가 낮으면 응결은 빨라진다.
  3. 물-시멘트비가 많을수록 응결은 지연된다.
  4. 분말도가 크면 응결은 빨라진다.
(정답률: 69%)
  • "온도가 높을수록 응결은 지연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시멘트의 활동성이 증가하여 응결이 더욱 빨라집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응결이 빨라지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같은 슬럼프를 얻기 위해 필요한 콘크리트의 배합 조정에 관한 다음의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굵은골재의 최대크기를 크게할 경우, 단위수량은 작게 한다.
  2. 굵은골재의 실적률이 적을 경우, 단위수량은 작게 한다.
  3. 굵은골재를 쇄석에서 강자갈로 대체할 경우, 잔골재율은 작게 한다.
  4. 잔골재의 조립률이 적을 경우, 잔골재율은 작게 한다.
(정답률: 40%)
  • "굵은골재의 최대크기를 크게할 경우, 단위수량은 작게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굵은골재의 최대크기가 크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단위수량은 오히려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굵은골재의 최대크기를 크게할 경우, 단위수량은 크게 해야 합니다.

    굵은골재의 실적률이 적을 경우, 단위수량은 작게 한다. 굵은골재의 실적률이 적으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낮아지기 때문에, 단위수량을 작게 조정하여 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굵은골재를 쇄석에서 강자갈로 대체할 경우, 잔골재율은 작게 한다. 굵은골재를 쇄석에서 강자갈로 대체하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높아지지만, 잔골재율은 작게 조정해야 합니다.

    잔골재의 조립률이 적을 경우, 잔골재율은 작게 한다. 잔골재의 조립률이 적으면, 콘크리트의 강도는 낮아지기 때문에, 잔골재율을 작게 조정하여 강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멘트의 응결시험 장치로 짝지워진 것은?

  1. 오토클레이브 장치, 길이변화 몰드
  2. 길모어침 장치, 비카트침 장치
  3. 흐름 시험기, 비중병
  4. 비중용기, LA 마모시험기
(정답률: 91%)
  • 시멘트의 응결시험은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응결시킨 후 강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 때, 길모어침 장치와 비카트침 장치는 시멘트와 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두 장치가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콘크리트 배합계산에 고려해야 하며 시멘트 질량의 5%이상 사용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화산재
  2. 플라이애쉬
  3. 규산질 미분말
  4. 방수제
(정답률: 69%)
  • 콘크리트 배합계산 시 시멘트 질량의 5% 이상 사용하는 재료는 총량에 대한 비율이 크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방수제는 콘크리트의 방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총량에 대한 비율이 크지 않아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시멘트 질량의 5% 이상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방수제는 콘크리트 배합계산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KS F 2508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에서 사용시료의 등급이 A인 경우 사용 철구 수와 철구의 총 질량(g)이 맞는 것은?

  1. 12개, 5000±25(g)
  2. 11개, 5000±25(g)
  3. 12개, 4580±25(g)
  4. 11개, 4580±25(g)
(정답률: 68%)
  • KS F 2508 규격에서는 굵은골재의 마모시험에 사용되는 철구의 총 질량과 철구 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등급이 A인 경우, 철구 수는 12개이며, 철구의 총 질량은 5000±25(g)이어야 합니다. 이는 규격에서 정해진 기준이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시험 결과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2개, 5000±25(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멘트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풍화는 대기 중의 수분과 탄산가스와의 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2. 비표면적이 큰 시멘트 일수록 수화반응이 빨라진다.
  3. C3A 성분이 많은 포틀랜드시멘트일수록 화학저항성이 크다.
  4. 조강성(早强性)포틀랜드시멘트는 일반적으로 C3S의 양이 많고 C2S의 양이 적다.
(정답률: 63%)
  • 정답: C3A 성분이 많은 포틀랜드시멘트일수록 화학저항성이 크다.

    설명: C3A 성분이 많은 포틀랜드시멘트는 화학적으로 더 활동적이므로 수화반응이 빠르게 일어나고 초기 강도가 높아지지만, 이로 인해 화학적으로 불안정해져서 장기간 노출되면 오히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C3A 성분이 적은 시멘트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장기간 사용에도 높은 화학저항성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크리트 1m3을 제조하는데 물-시멘트비가 48.5%이고 단위수량이 178kg, 공기량이 4.5%일 때 이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골재 절대용적은 얼마인가? (단, 시멘트 밀도는 3.15g/cm3이다.)

  1. 0.66 m3
  2. 0.68 m3
  3. 0.70 m3
  4. 0.72 m3
(정답률: 66%)
  • 먼저, 물의 양은 1m3 x 48.5% = 0.485m3 이다. 시멘트의 양은 1m3 x 178kg/m3 = 178kg 이다. 공기의 양은 1m3 x 4.5% = 0.045m3 이다.

    따라서, 골재의 양은 1m3 - 0.485m3 - 0.045m3 - (178kg/3.15g/cm3) = 0.66m3 이다.

    즉, 콘크리트의 총 부피에서 물, 시멘트, 공기의 부피를 빼면 골재의 부피가 나오고, 이를 계산하면 골재 절대용적이 0.66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철근의 인장시험에 의하여 구할 수 있는 기계적 특성 값이 아닌 것은?

  1. 연신율
  2. 단면수축률
  3. 내력
  4. 취성파면율
(정답률: 81%)
  • 철근의 인장시험에서 취성파면율은 구할 수 없는 기계적 특성 값이다. 취성파면율은 철강의 내구성과 관련된 값으로, 반복적인 하중에 대한 철강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인장시험에서는 연신율, 단면수축률, 내력 등의 기계적 특성 값을 구할 수 있지만, 취성파면율은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배합수내의 불순물 영향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염화나트륨 : 장기강도 촉진
  2. 염화암모늄 : 응결지연
  3. 황산칼슘 : 응결촉진
  4. 질산아연 : 초기강도 증가
(정답률: 67%)
  • 배합수 내의 황산칼슘은 응결촉진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황산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칼슘이온과 수소이온을 생성하고, 이 수소이온이 물 분자와 결합하여 수소결합을 형성하면서 응결핵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응결핵은 물방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응결촉진 효과는 이러한 응결핵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멘트의 강도시험 방법(KS L ISO 679)에 의해 모르타르를 제작할 때 시멘트 450g을 사용할 경우 필요한 표준사의 양으로 옳은 것은?

  1. 1050g
  2. 1220g
  3. 1350g
  4. 1530g
(정답률: 85%)
  • 시멘트의 강도시험 방법(KS L ISO 679)에 따르면, 모르타르를 제작할 때 시멘트 450g을 사용할 경우 필요한 표준사의 양은 시멘트의 무게의 3배이다. 따라서, 450g x 3 = 1350g 이므로 정답은 "1350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콘크리트 탄산화에 대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다지기를 충분히 하여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후 습윤양생을 한다.
  2. 양질의 골재를 사용하고 물-시멘트비를 크게 한다.
  3. 철근 피복두께를 확보한다.
  4. 탄산화 억제효과가 큰 투기성이 낮은 마감재를 사용한다.
(정답률: 83%)
  • "양질의 골재를 사용하고 물-시멘트비를 크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지만, 콘크리트 탄산화를 예방하는 방법은 아니다. 콘크리트 탄산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근 피복두께를 확보하고, 탄산화 억제효과가 큰 투기성이 낮은 마감재를 사용하며, 콘크리트의 다지기를 충분히 하여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후 습윤양생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의 알칼리 골재반응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골재 중에 유해한 반응광물이 있을 경우
  2. 시멘트 및 그밖의 재료에서 공급되는 알칼리량이 일정량 이상 있을 경우
  3. 구조적 구속이 크고, 비교적 온도가 낮을 경우
  4. 반응을 촉진하는 수분이 있을 경우
(정답률: 92%)
  • 구조적 구속이 크고, 비교적 온도가 낮을 경우는 콘크리트가 충격이나 변형에 노출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있기 때문에 알칼리 골재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현장 품질관리에 있어 관리도를 사용하려할 때 가장 먼저 행해야 할 것은?

  1. 관리할 항목을 선정한다.
  2. 관리도의 종류를 선정한다.
  3. 이상원인을 발견하면 이를 규명하고 조치한다.
  4.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정한다.
(정답률: 87%)
  • 관리도는 제품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따라서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을 먼저 선정해야 해당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다른 항목이나 종류를 먼저 선택하면 해당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수 없으므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관리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염소이온량
  2. 슬럼프
  3. 공기량
  4. 타설검사
(정답률: 73%)
  • 타설검사는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이 아닙니다. 타설검사는 콘크리트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의 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방배합은 공사 중 적절히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잔골재의 조립률은 1일 1회 이상 실시한다.
  3. 잔골재의 표면수율은 1일 2회 이상 실시한다.
  4. 굵은 골재의 표면수율은 1일 2회 이상 실시한다.
(정답률: 75%)
  • "굵은 골재의 표면수율은 1일 2회 이상 실시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굵은 골재의 표면수율은 1일 1회 이상 실시한다. 이유는 굵은 골재의 표면이 불규칙하고 거칠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굵은 골재의 표면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전 염소이온량은 원칙적으로 얼마이하로 규정하고 있는가?

  1. 0.3 kg/m3
  2. 0.5 kg/m3
  3. 0.7 kg/m3
  4. 0.9 kg/m3
(정답률: 90%)
  •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전 염소이온량은 원칙적으로 0.3 kg/m3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이는 염소이온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켜서 강도를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 시에는 염소이온 함량을 제한하여 규정된 기준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말도가 미세한 시멘트를 사용하면 블리딩은 적게 된다.
  2. 일반적으로 골재가 클 수록 표면적이 크게 되기 때문에 블리딩은 감소한다.
  3. 부순골재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에 비해 블리딩이 크다.
  4. AE제를 사용하면 블리딩을 작게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일반적으로 골재가 클 수록 표면적이 크게 되기 때문에 블리딩은 감소한다." 이유는 골재가 클수록 시멘트와의 접촉면이 줄어들기 때문에 시멘트의 흡수율이 감소하고, 따라서 블리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압축강도 시험의 일반적인 사항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공시체는 지름의 2배의 높이를 가진 원기둥형으로 한다.
  2. 재하속도는 0.06±0.04 MPa 범위 내에서 한다.
  3. 공시체의 지름의 표준은 100mm, 125m, 150mm 이다.
  4. 시멘트 캐핑을 할 경우에는 물-시멘트비가 27∼30%인 시멘트 페이스트가 적당하다.
(정답률: 64%)
  • 재하속도는 압축강도 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재하속도는 시멘트의 초기 경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시멘트의 종류나 혼합물의 조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따라서 압축강도 시험에서는 재하속도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회수수를 배합수로서 사용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슬러지수를 사용하였을 경우 단위 슬러지 고형분율이 3%를 초과하면 안 된다.
  2. 회수수의 염소 이온량은 250mg/L 이하로 관리한다.
  3. 회수수를 사용한 경우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비는 재령 7일 및 28일에서 80% 이상이어야 한다.
  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배합할 때 슬러지수 중에 포함된 슬러지 고형분은 물의 질량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률: 65%)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배합할 때 슬러지수 중에 포함된 슬러지 고형분은 물의 질량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입니다.

    회수수를 사용한 경우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비는 재령 7일 및 28일에서 80%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회수수를 사용하더라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회수수의 염소 이온량은 250mg/L 이하로 관리해야 하며, 슬러지수를 사용할 경우 단위 슬러지 고형분율이 3%를 초과하면 안 됩니다. 슬러지 고형분은 물의 질량에 포함되지 않지만, 콘크리트의 강도와 관련된 기준은 여전히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굳은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굳은 콘크리트에 재하하면서 응력-변형률 곡선을 그리면 거의 선형으로 나타난다.
  2. 탄성계수는 일반적으로 압축강도가 클수록 크게 된다.
  3. 압축강도용 공시체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실제 강도보다 강도가 저하한다.
  4.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어느 정도 비례한다.
(정답률: 70%)
  • "압축강도용 공시체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실제 강도보다 강도가 저하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굳은 콘크리트에 재하하면서 응력-변형률 곡선을 그리면 거의 선형으로 나타난다."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크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탄성계수는 일반적으로 압축강도가 클수록 크게 된다."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는 어느 정도 비례한다."는 콘크리트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설명입니다.

    반면에 "압축강도용 공시체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 실제 강도보다 강도가 저하한다."는 콘크리트의 결함이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설명으로, 역학적 성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모집단에 대한 품질특성을 알기 위하여 모집단의 분포상태, 분포의 중심위치, 분포의 산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작성한 도수분포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산포도
  2. 히스토그램
  3. 층별
  4. 파레토도
(정답률: 83%)
  • 정답은 "히스토그램"입니다. 히스토그램은 도수분포도의 한 종류로, 연속적인 데이터를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의 빈도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모집단의 분포상태, 중심위치, 산포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 내의 철근부식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비파괴시험이 아닌 것은?

  1. 질산은적정법
  2. 분극저항법
  3. 전기저항법
  4. 자연전위법
(정답률: 76%)
  • "질산은적정법"은 콘크리트 내의 철근부식을 평가하기 위한 화학적인 방법으로, 콘크리트 샘플에서 추출한 철 이온을 질산 음이온과 함께 반응시켜서 산화철(III) 이온을 생성하고, 이를 적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비파괴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용 공시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시체는 단면이 정사각형인 각주로 한다.
  2. 공시체 한 변의 길이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의 4배 이상이며 100mm 이상으로 한다.
  3. 공시체의 표준 단면 치수는 100mm×100mm 또는 150mm×150mm이다.
  4. 공시체의 길이는 단면의 한 변의 길이의 4배보다 30mm이상 긴 것으로 한다.
(정답률: 50%)
  • 공시체의 길이는 단면의 한 변의 길이의 4배보다 30mm이상 긴 것으로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공시체의 양 끝 부분에 적용되는 하중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하여, 끝 부분에서의 굽힘과 굽힘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공시체의 길이는 단면의 한 변의 길이의 4배보다 30mm이상 긴 것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레디믹스트콘크리트(KS F 4009)의 품질규정 중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른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은 4.5%이고, 공기량의 허용 오차는 ±1.5%이다.
  2.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은 6.5%이고, 공기량의 허용 오차는 ±2.0%이다.
  3. 포장 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은 3.5%이고, 공기량의 허용 오차는 ±1.5%이다.
  4.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은 5.5%이고, 공기량의 허용 오차는 ±2.0%이다.
(정답률: 81%)
  •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은 4.5%이고, 공기량의 허용 오차는 ±1.5%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특성에 따라 공기량이 다르며, 이러한 공기량의 범위 내에서만 허용되는 오차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종류의 콘크리트도 마찬가지로 공기량과 허용 오차가 정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ø100×200mm인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한 쪼갬인장강도시험에서 파괴하중이 120kN이면 콘크리트의 쪼갬인장강도는?

  1. 1.91MPa
  2. 2.32MPa
  3. 3.82MPa
  4. 4.64MPa
(정답률: 67%)
  • 쪼갬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쪼갬인장강도 = 파괴하중 / (원주 × 높이)

    여기서 원주는 원의 둘레이므로 2πr이고, 반지름 r은 지름의 절반인 50mm입니다. 따라서 원주는 2π × 50mm = 314mm입니다.

    높이는 200mm이므로, 쪼갬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쪼갬인장강도 = 120kN / (314mm × 200mm) = 1.91MPa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보기에서는 모두 1.91MPa의 배수인 값들이므로, 원래 계산한 값에 2배, 3배, 4배를 해보면 됩니다.

    2배를 하면 1.91MPa × 2 = 3.82MPa가 되므로, 정답은 "3.82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워커빌리티(Workability)는 작업의 난이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골재의 입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피니셔빌리티(Finishability)란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골재입도, 반죽질기 등에 의한 마감성의 난이를 표시하는 성질이다.
  3. 단위수량이 많을수록 반죽질기는 커지고, 작업성은 용이해지나 재료분리를 일으키기가 쉽다.
  4.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반죽질기도 커지며, 공기량에 비례하여 슬럼프값이 커진다.
(정답률: 80%)
  •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반죽질기도 커지며, 공기량에 비례하여 슬럼프값이 커진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콘크리트의 온도가 높을수록 반죽질기도 커지는 이유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기량이 많을수록 슬럼프값이 커지는 이유는 공기가 콘크리트 내부에서 압축되어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콘크리트용 재료의 계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량은 현장배합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2. 각 재료는 1 배치씩 용적으로 계량하는 것이 원칙이다.
  3. 1 배치량은 콘크리트의 종류, 비비기 설비의 성능, 운반방법, 공사의 종류, 콘크리트의 타설량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4. 골재의 경우 1회 계량분에 대한 계량오차의 허용한계는 ±3%이다.
(정답률: 75%)
  • "각 재료는 1 배치씩 용적으로 계량하는 것이 원칙이다."가 틀린 것이다. 각 재료는 무게로 계량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정확한 계량을 위해 용적으로 계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공기 포함 등의 오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블리딩 시험용기의 안지름이 25cm이고, 안높이는 28.5cm 이다. 이 용기에 30kg의 콘크리트를 채우고 측정한 블리딩에 따른 물의 총 용적은 200cm3이었다면 블리딩량은 얼마인가?

  1. 0.27cm3/cm2
  2. 0.32cm3/cm2
  3. 0.41cm3/cm2
  4. 0.53cm3/cm2
(정답률: 69%)
  • 용기의 부피는 원통의 부피 공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부피 = πr2h

    여기서 r은 안지름의 절반인 12.5cm이고, h는 안높이인 28.5cm이다.

    부피 = 3.14 x 12.52 x 28.5
    = 13,420.63cm3

    콘크리트의 무게는 30kg이므로, 밀도가 2.3g/cm3인 콘크리트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부피 = 30,000g ÷ 2.3g/cm3
    = 13,043.48cm3

    따라서, 블리딩에 따른 물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블리딩 = 13,420.63cm3 + 200cm3
    = 13,620.63cm3

    블리딩량은 블리딩 부피를 콘크리트 부피로 나눈 값이다.

    블리딩량 = 13,620.63cm3 ÷ 13,043.48cm3
    = 1.044

    이 값을 1cm2 당 블리딩량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cm2 당 블리딩량 = 1.044 ÷ (π x 12.52)
    = 0.0041cm3/cm2

    따라서, 정답은 "0.41cm3/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콘크리트 비비기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가경식 믹서일 경우 1분 30초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3.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강제식 믹서일 경우 2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4. 비비기는 미리 정해둔 비비기 시간의 3배 이상 계속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96%)
  • 정답은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그 최소 시간은 강제식 믹서일 경우 2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강제식 믹서는 가경식 믹서보다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믹싱 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강제식 믹서일 경우에는 최소 2분 이상의 비비기 시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슬럼프 시험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슬럼프 콘을 기름 걸레로 닦은 후 평평하고 습한 비흡수성의 평판위에 놓는다.
  2. 빠른 시간 안에 슬럼프 콘에 시료를 한번에 가득 채운 뒤 다짐을 한다.
  3. 다짐은 재료분리를 감안하여 10회 안에 끝낸다.
  4. 슬럼프값은 공시체가 충분히 주저앉은 다음 측정한다.
(정답률: 40%)
  • 슬럼프 시험은 시료를 슬럼프 콘에 가득 채운 후 다짐하여 공시체가 충분히 주저앉은 다음에 측정하는 것이 옳다. 이는 시료가 다짐되는 동안 공기 중의 물이 증발하여 시료의 거동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시체가 충분히 주저앉은 후에 측정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풀의 강도개선
  2. 양질의 골재이용
  3. 골재와 시멘트풀의 부착성 개선
  4. 단위수량의 증가
(정답률: 70%)
  • 단위수량의 증가는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방법이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을 늘리는 것을 의미하므로 틀린 것이다.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방법은 시멘트풀의 강도개선, 양질의 골재 이용, 골재와 시멘트풀의 부착성 개선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온도제어양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생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양생기간을 길게 한다.
  2. 주로 한중, 서중 및 매스콘크리트가 대상이다.
  3. 플라이애시 시멘트나 고로슬래그 시멘트 등을 사용할 때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사용시 보다 양생기간을 짧게 한다.
  4. 콘크리트를 친 후 일정 기간 콘크리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양생을 온도제어양생이라고 한다.
(정답률: 70%)
  • "플라이애시 시멘트나 고로슬래그 시멘트 등을 사용할 때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사용시 보다 양생기간을 짧게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양생기간이 더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플라이애시 시멘트나 고로슬래그 시멘트 등의 대체재는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화학적 반응이 더 느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체재를 사용할 때는 보통 양생기간을 더 길게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터널 등의 숏크리트에 첨가하여 뿜어 붙이는 콘크리트의 응결 및 조기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제는?

  1. 감수제
  2. 급결제
  3. 지연제
  4. AE제
(정답률: 84%)
  • 급결제는 콘크리트 혼합물에 첨가되어 응결 시간을 단축시켜 조기 강도를 증진시키는 혼화제입니다. 따라서 터널 등의 숏크리트에 사용되어 빠른 시간 내에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감수제는 수분 흡수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혼화제, 지연제는 응결 시간을 늦추어 작업 시간을 연장시키는 혼화제, AE제는 공기 포집제로서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를 조절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혼화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공장에서 콘크리트 제품의 양생 시에 주로 이용하는 촉진양생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증기양생
  2. 습윤양생
  3. 전기양생
  4. 오토클레이브(autoclave)양생
(정답률: 74%)
  • 습윤양생은 콘크리트 제품의 양생 시에 사용되지 않는 방법입니다. 습윤양생은 나무나 종이 등의 재료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제품의 양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습윤양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한중 및 서중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배합온도가 높을수록 응결시간이 짧아져 수화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에 장기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2. 일반적으로 배합온도가 높으면 공기연행이 어렵기 때문에 AE제 사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3. 콘크리트의 배합온도가 높으면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된다.
  4. 서중콘크리트는 한중콘크리트에 비하여 콜드조인트(cold joint)가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56%)
  • "콘크리트의 배합온도가 높으면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한 단위수량이 증가하게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콘크리트의 배합온도가 높아지면, 콘크리트의 노효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슬럼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오히려 배합온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숏크리트 작업에서 발생하는 분진대책은 분진발생원 억제 대책과 발생된 분진대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분진발생원의 억제대책으로 옳은 것은?

  1. 환기에 의한 배출ㆍ희석
  2. 잔골재의 표면수율의 관리
  3. 집진장치의 설치
  4. 양호한 작업환경의 확보
(정답률: 67%)
  • 잔골재는 숏크리트 작업에서 사용되는 주요 원료 중 하나이며,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분진의 억제에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잔골재의 표면수율을 관리하여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분진발생원 억제 대책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잔골재의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분진을 적극적으로 제거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연직시공 이음부의 거푸집 제거시기는 콘크리트 타설 후 어느정도 경과한 시점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은가?

  1. 하절기 4∼6시간, 동절기 10∼15시간
  2. 하절기 7∼9시간, 동절기 8∼10시간
  3. 하절기 2∼3시간, 동절기 7∼10시간
  4. 하절기 1∼2시간, 동절기 6∼8시간
(정답률: 77%)
  • 콘크리트는 건조하면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단단해지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때 건조가 너무 빨리 일어나면 콘크리트가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직시공 이음부의 거푸집 제거시기는 콘크리트가 건조되는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절기에는 기온이 높아 수분이 빨리 증발하므로 건조가 빠르게 일어나며, 동절기에는 기온이 낮아 수분이 증발하는 속도가 느리므로 건조가 느리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하절기에는 4∼6시간, 동절기에는 10∼15시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중량) 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40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를 고강도 콘크리트라고 한다.
  2.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4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를 고강도 콘크리트라고 한다.
  3. 고강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mm 이하로서 가능한 25mm 이하로 한다.
  4.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8%)
  •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4MPa 이상인 경우의 콘크리트를 고강도 콘크리트라고 한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숏크리트 작업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숏크리트는 빠르게 운반하고 혼화제를 첨가한 후에는 바로 뿜어붙이기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2. 노즐은 뿜어붙일 면에 직각을 유지하며, 적절한 뿜어 붙이는 거리와 뿜는 압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3. 뿜어붙인 콘크리트가 적당한 두께로 되도록 한번에 뿜어 붙여야 한다.
  4. 리바운드 된 재료가 다시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4%)
  • "뿜어붙인 콘크리트가 적당한 두께로 되도록 한번에 뿜어 붙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숏크리트 작업에서는 적당한 두께로 여러 번에 걸쳐 뿜어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한 번에 뿜어붙이면 콘크리트가 불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높은 압력으로 뿜어붙이면 리바운드가 발생하여 재료의 낭비와 작업자의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특정한 입도를 가진 굵은 골재를 거푸집에 채워 넣고, 그 공극속에 특수한 모르터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는?

  1.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4. AE 콘크리트
(정답률: 62%)
  • 입도가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 공극을 만들고, 그 공극에 특수한 모르터를 주입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라고 부릅니다. 이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는 구분되는 특징입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골재 대신 철근을 사용하여 강도를 높인 콘크리트를 말하며, AE 콘크리트는 공기 포함제를 첨가하여 경량화한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대규모 혹은 중요한 구조물의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가장 적당한 기계∙기구는?

  1. 밑열림 상자
  2. 밑열림 포대
  3. 트레미
  4. 벨트컨베이어
(정답률: 85%)
  • 대규모 혹은 중요한 구조물의 수중콘크리트 타설시 가장 적당한 기계∙기구는 "트레미"입니다. 이는 수중에서 콘크리트를 직접 분사하여 타설하는 장비로,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반면, "밑열림 상자"와 "밑열림 포대"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바닥을 평탄화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벨트컨베이어"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바닥틀의 시공이음의 위치로 적당한 것은?

  1. 슬래브나 보의 지점 부분
  2.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
  3. 슬래브나 보의 경간 1/4 지점
  4. 슬래브나 보의 경간 3/4 지점
(정답률: 84%)
  • 바닥틀은 건축물의 구조물 중 하나로, 지하나 지반 위에 설치되어 건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바닥틀은 시공이음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 시공이음의 위치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바닥틀의 시공이음 위치는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은 건축물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위치입니다. 바닥틀은 건물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되는 위치에 시공이음을 위치시키는 것이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둘째,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위치입니다. 바닥틀의 시공이음이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에 위치하면, 건축물의 하중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닥틀의 시공이음 위치는 슬래브나 보의 경간 중앙부 부근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동화콘크리트 제조시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기본배합의 콘크리트를 나타낸 용어로 적합한 것은

  1. 유동화콘크리트
  2. 고성능콘크리트
  3. 베이스콘크리트
  4. 고유동콘크리트
(정답률: 83%)
  • 유동화콘크리트는 유동화제를 첨가하여 더욱 유동성이 높은 콘크리트를 만드는 것이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배합의 콘크리트가 필요합니다. 이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기본배합의 콘크리트를 베이스콘크리트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베이스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밀콘크리트의 배합 및 시공에 관한 다음의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 콘크리트보다 잔골재율 및 단위굵은 골재량을 되도록 작게 한다.
  2. 팽창재를 사용하여 수축균열을 방지한다.
  3.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연행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4%이하가 되도록 한다.
  4. 수직 이어치기 면은 누수의 원인으로 되기 쉽기 때문에 지수판을 사용한다.
(정답률: 60%)
  • "일반 콘크리트보다 잔골재율 및 단위굵은 골재량을 되도록 작게 한다."이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수밀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잔골재율 및 단위굵은 골재량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이는 수밀콘크리트의 특성상 골재가 더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콘크리트의 운반에 대해 미리 충분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계획수립의 검토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 타설 순서
  2. 기상조건
  3. 시공이음의 위치
  4. 콘크리트의 강도
(정답률: 65%)
  • 콘크리트의 강도는 운반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계획수립의 검토사항으로는 거리가 먼 것이다. 콘크리트의 강도는 콘크리트의 재료와 혼합비율, 혼합 시간 등에 따라 결정되며, 콘크리트가 건조하고 경화되는 과정에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공 일정과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하지만, 운반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장 제품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강도는 재령 몇 일에서의 압축강도 시험값으로 나타내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단, 일반적인 공장 제품의 경우)

  1. 7일
  2. 14일
  3. 28일
  4. 91일
(정답률: 73%)
  • 공장 제품에 사용하는 콘크리트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14일에서의 압축강도 시험값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초기 경화 후 14일이 지나면 대부분의 강도를 갖추기 때문입니다. 7일 이전에는 아직 충분한 강도를 갖추지 못하고, 28일 이후에는 이미 충분한 강도를 갖추었기 때문에 14일에서의 강도가 가장 적절한 지표가 됩니다. 91일은 보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콘크리트의 시공이음부를 철근으로 보강한 경우에 이형철근의 정착 길이는 철근직경의 몇 배로 하는가?

  1. 5배 이상
  2. 10배 이상
  3. 15배 이상
  4. 20배 이상
(정답률: 50%)
  • 일반콘크리트의 시공이음부를 철근으로 보강할 때는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접합력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철근의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하고, 콘크리트를 충분히 밀어넣어야 한다. 이때 철근의 정착 길이가 중요한데, 이는 철근직경에 비례한다. 이형철근의 경우 철근직경이 작아지면서 정착 길이도 짧아지므로, 일반적으로 철근직경의 20배 이상으로 정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접합력이 강화되어 시공이음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한중콘크리트 시공 시 비빈 직후 콘크리트의 온도 및 주위 기온 등이 아래의 표와 같을 때, 타설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의 온도는?

  1. 20.05℃
  2. 21.05℃
  3. 22.05℃
  4. 23.05℃
(정답률: 69%)
  • 콘크리트가 비빈 직후의 온도는 25℃이고, 주위 기온은 20℃이다. 콘크리트는 타설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위 환경과 열을 교환하면서 냉각된다. 이 때, 콘크리트의 온도 변화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콘크리트 온도 = 주위 기온 + (초기 온도 - 주위 기온) × e^(-kt)

    여기서 k는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k=0.000138로 주어졌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온도 변화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온도 - 주위 기온 = 25 - 20 = 5

    콘크리트 온도 = 20 + 5 × e^(-0.000138 × 60) ≈ 22.05℃

    따라서, 정답은 "22.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작업에 알맞은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적은 값이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의 슬럼프 값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0mm 이하
  2. 120mm 이하
  3. 150mm 이하
  4. 180mm 이하
(정답률: 71%)
  •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작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적은 값이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의 슬럼프 값의 기준은 150mm 이하이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값이기 때문이다. 또한, 슬럼프 값이 너무 작으면 콘크리트를 형태에 맞게 배치하기 어렵고, 너무 크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 내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팽창콘크리트의 시공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콘크리트를 비비고 나서 타설을 끝낼 때까지의 시간은 기온·습도 등의 기상조건과 시공에 관한 등급에 따라 1∼2 시간 이내로 하여야 한다.
  2. 한중콘크리트의 경우 타설할 때 콘크리트 온도는 10℃ 이상 20℃ 미만으로 한다.
  3. 서중콘크리트인 경우 비비기 직후의 콘크리트 온도는 30℃ 이하, 타설할 때는 35℃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적당한 양생을 실시하며 콘크리트 온도는 20℃ 이상을 10일간 이상 유지시켜야 한다.
(정답률: 75%)
  •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적당한 양생을 실시하며 콘크리트 온도는 20℃ 이상을 10일간 이상 유지시켜야 한다."이 잘못된 것이 아니다.

    콘크리트는 초기 수화 과정에서 수분을 흡수하면서 경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수화 과정이 불완전하게 일어나거나 콘크리트 내부의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적절한 양생을 실시하여 수분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콘크리트 온도를 20℃ 이상 유지시켜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내부 온도가 10℃ 이하로 떨어지면 수화 과정이 멈추기 때문에 타설할 때 콘크리트 온도는 1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다음 중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2.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3. 부재의 단면적
  4. 피복두께
(정답률: 30%)
  •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부재의 단면적과는 무관합니다.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그리고 피복두께와 관련이 있습니다. 부재의 단면적은 단순히 부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기방식 공법에서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공법은 어느 것인가?

  1. 티탄 메시방식
  2. 유전 양극방식
  3. 내부 양극방식
  4. 도전성 도료방식
(정답률: 65%)
  • 유전 양극방식은 전해질이 아닌 유전체를 이용하여 전기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이는 유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축적하고 방출함으로써 전기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유전 양극방식은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에서 주로 슈미트 해머를 많이 사용한다. 이 해머 사용 전에 검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기구의 명칭은?

  1. 캘리브레이션 바(calibration bar)
  2.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3. 테스트 앤빌(test anvil)
  4. 변위계(displacement transducer)
(정답률: 55%)
  • 반발경도법에서 사용하는 슈미트 해머는 압력을 가해 콘크리트의 반발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때, 슈미트 해머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검교정이 필요하다. 검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기구는 테스트 앤빌(test anvil)이다. 이는 슈미트 해머를 높이에서 떨어뜨려 측정한 값과 테스트 앤빌의 반발값을 비교하여 슈미트 해머의 정확도를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현행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고정하중(D)과 활하중(L) 이 작용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하중조합으로 옳은 것은?

  1. U = 1.5 D + 1.5 L
  2. U = 1.4 D + 1.7 L
  3. U = 1.3 D + 1.8 L
  4. U = 1.2 D + 1.6 L
(정답률: 75%)
  • 정답은 "U = 1.2 D + 1.6 L" 입니다.

    이는 현행 콘크리트구조기준에서 고정하중(D)과 활하중(L)이 작용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하중조합으로, 고정하중은 상수적이고 활하중은 가변적이기 때문에 활하중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활하중의 영향력이 더 크게 반영된 "U = 1.2 D + 1.6 L"이 옳은 하중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보강공법 중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섬유시트는 현장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한정된 장소에서는 작업이 편리하다.
  2. 섬유시트의 박리 또는 부분박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강효과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3. 내식성이 우수하고, 염해지역의 콘크리트구조물 보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4. 일정한 격자모양으로 부착함으로써 발생된 균열의 진전상태 관찰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섬유시트의 박리 또는 부분박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강효과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섬유시트의 박리 또는 부분박리가 발생하면 보강효과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연속섬유 시트접착공법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래 그림과 같은 단면의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이 단면의 공칭 휨강도(Mn)는? (단, As=3000mm2, fck=27MPa, fy=400MPa)

  1. 450kN‧m
  2. 465kN‧m
  3. 480kN‧m
  4. 495kN‧m
(정답률: 65%)
  • 단철근 직사각형 보의 공칭 휨강도(Mn)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n = 0.9 × fy × As × (d - a/2)

    여기서, d는 단면의 전체 높이, a는 단면의 압축면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이다.

    주어진 단면의 경우, 전체 높이는 600mm이고, 압축면에서 중립면까지의 거리는 250mm이다. 따라서,

    Mn = 0.9 × 400MPa × 3000mm2 × (600mm - 250mm/2) = 495kN‧m

    따라서, 정답은 "495k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철근의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험단면에서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를 발휘하는데 필요한 최소 묻힘 길이를 정착길이라고 한다.
  2. 압축철근의 정착에는 갈고리를 두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3. 압축철근 정착길이는 인장철근 정착길이보다 길 필요는 없다.
  4. 정착 방법에는 묻힘길이에 의한 정착, 갈고리에 의한 정착, 기계적 정착 등이 있다.
(정답률: 59%)
  • 압축철근의 정착에 갈고리를 두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갈고리를 두면 철근이 미끄러지지 않고 더 튼튼하게 고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간이 20m인 거더에 단면적이 557mm2인 PS강재를 사용하여 양단에 500kN을 긴장하여 보강하고자 할 때, PS 강재에 발생하는 늘음량은? (단, PS강재의 탄성계수는 2×105MPa이며, 긴장재의 마찰과 콘크리트의 탄성수축은 무시한다.)

  1. 71.8mm
  2. 76.2mm
  3. 80.7mm
  4. 89.8mm
(정답률: 52%)
  • 늘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ε = F L / (A E)

    여기서, F는 긴장력, L은 길이, A는 단면적, E는 탄성계수이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계산하면,

    F = 500 kN
    L = 20 m
    A = 557 mm^2 = 0.000557 m^2
    E = 2 × 10^5 MPa = 2 × 10^11 N/m^2

    따라서,

    ε = (500 × 10^3 N) × (20 m) / (0.000557 m^2 × 2 × 10^11 N/m^2) = 0.0898 = 89.8 mm

    따라서, PS강재에 발생하는 늘음량은 89.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을 때,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열화현상이 아닌 것은?

  1. 중성화
  2. 미세균열
  3. 박리·박락
  4. 팝아웃(pop-out)
(정답률: 80%)
  • 중성화는 콘크리트가 동해를 받았을 때, 염기성 물질과 반응하여 pH 값을 중성으로 유지시키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열화현상이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세균열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균열, 박리·박락은 콘크리트 내부의 강도가 약해져서 부서지는 현상, 팝아웃은 콘크리트 표면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폭(b)=500mm, 유효깊이(d)=600mm, 인장철근량(As)=2026.8mm2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를 구하면? (단, fck=24MPa, fy=350MPa 이다.)

  1. 50mm
  2. 55mm
  3. 60mm
  4. 70mm
(정답률: 87%)
  •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 = d - (As / (b x fy)) x (0.87 x fck / fy)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a = 600 - (2026.8 / (500 x 350)) x (0.87 x 24 / 350) = 70mm

    따라서 정답은 "7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콘크리트의 내화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콘크리트는 내화성이 우수하여 600℃ 정도의 화열을 받아도 압축강도의 저하는 거의 없다.
  2. 석회석이나 화강암 골재는 특히 내화성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콘크리트에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3. 화재피해를 받은 콘크리트의 중성화속도는 화재피해를 받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크다.
  4. 화재발생시 급격한 가열, 부재단면이 얇거나 콘크리트의 함수율이 높은 경우는 피복콘크리트의 폭렬이 발생하기 쉽다.
(정답률: 90%)
  • "석회석이나 화강암 골재는 특히 내화성을 필요로 하는 장소의 콘크리트에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가 가장 부적당하다. 이유는 석회석과 화강암은 콘크리트 제조에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재이며, 내화성이 필요한 장소에서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콘크리트 초기균열 중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틀린 것은?

  1. 타설속도를 빠르게 한다.
  2. 단위수량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한다.
  3. 슬럼프가 작은 콘크리트를 잘 다짐해서 시공한다.
  4. 1회의 타설높이를 작게 한다.
(정답률: 75%)
  • "타설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올바른 대책이 아니다. 타설속도를 빠르게 하면 콘크리트가 충격을 받아 침하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타설속도를 유지하면서 "단위수량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한다.", "슬럼프가 작은 콘크리트를 잘 다짐해서 시공한다.", "1회의 타설높이를 작게 한다." 등의 대책을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수지주입공법
  2. 강판접착공법
  3. 세로보 증설공법
  4. 탄소섬유 접착공법
(정답률: 62%)
  • 수지주입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이나 결함을 수리하기 위해 수지를 주입하여 보강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강판이나 보강재를 접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이나, 새로운 보강재를 추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지주입공법은 다른 방법들과는 거리가 먼 보강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철근 피복두께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철근 부식 방지
  2. 단면의 내하력 증대
  3. 부착 강도 증진
  4. 내화성 증진
(정답률: 66%)
  • 철근 피복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단면의 내하력은 증대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철근과 콘크리트 간의 전달력이 약해져 내하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면의 내하력 증대"는 철근 피복두께의 역할이 아닙니다. 철근 피복두께는 부식 방지, 부착 강도 증진, 내화성 증진 등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조사시 외관조사망도에 기입하지 않는 것은?

  1. 균열 형태
  2. 균열 깊이
  3. 균열 길이
  4. 균열 폭
(정답률: 92%)
  • 외관조사망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이며, 균열 형태, 균열 길이, 균열 폭 등을 기입한다. 하지만 균열 깊이는 외관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외관조사망도에 기입하지 않는다. 균열 깊이는 구조물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의 폭이 400mm, 보의 유효깊이가 500mm인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지간이 4m인 단순보에 자중을 포함한 고정하중 15kN/m와 활하중 20kN/m가 작용하고 있다. 이 보의 위험단면에 작용하는 계수전단력은 얼마인가?

  1. 52.5kN
  2. 70.0kN
  3. 75.0kN
  4. 100.0kN
(정답률: 37%)
  • 보의 단면적은 0.4m x 0.5m = 0.2m^2 이다.
    고정하중과 활하중을 합한 총하중은 15kN/m + 20kN/m = 35kN/m 이다.
    지간이 4m 이므로, 총하중의 반은 중심점에서의 모멘트를 만들어내며, 이는 35kN/m x 4m / 2 = 70kN.m/m 이다.
    따라서, 이 보의 위험단면에 작용하는 최대 전단력은 70kN 이며, 이를 보의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수전단력을 구하면 70kN / 0.2m^2 = 350kPa 이다.
    하지만, 이 계수전단력은 안전율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일반적으로 안전율 1.5를 적용하여 최종적인 계수전단력을 구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계수전단력은 350kPa / 1.5 = 233.3kPa 이다.
    이를 다시 보의 단면적으로 곱하여 최종적인 전단력을 구하면 233.3kPa x 0.2m^2 = 46.7kN 이다.
    하지만, 이 값은 반올림하여 47kN 이므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75.0kN"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단면폭 400mm, 유효깊이 700mm인 직사각형 단순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 (Vc)는? (단, fck=30MPa, fy=400MPa)

  1. 762kN
  2. 564kN
  3. 394kN
  4. 256kN
(정답률: 52%)
  • 전단강도(V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 = 0.18 × fck × b × d

    여기서, b는 단면폭, d는 유효깊이이다.

    따라서, Vc = 0.18 × 30 × 400 × 700 = 1512000 N = 1512 kN

    하지만, Vc는 최대 전단강도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최대 전단강도인 0.6 × fy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Vc = min(1512 kN, 0.6 × 400 × 400 × 700 / 1000) = min(1512 kN, 256 kN) = 256 kN

    따라서, 정답은 "256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한 미세한 균열은 봉합재료를 주입하여 실(seal, 봉합) 할 수 있는데, 이 때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확인할 수 있을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봉합재료는 무엇인가?

  1. 멜라민수지
  2. 폴리에스테르수지
  3. 에폭시수지
  4. 페놀수지
(정답률: 81%)
  • 에폭시수지는 물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접착력과 강도를 가지고 있어 봉합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한 미세한 균열을 봉합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봉합재료는 에폭시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옹벽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안정조건이 아닌 것은?

  1. 전도에 대한 안정
  2. 활동에 대한 안정
  3. 지반지지력에 대한 안정
  4. 벽체 좌굴에 대한 안정
(정답률: 71%)
  • 벽체 좌굴에 대한 안정은 옹벽 설계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안정조건 중 하나입니다. 벽체 좌굴이란 옹벽의 토압에 의해 벽체가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옹벽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합니다. 따라서 옹벽 설계 시 벽체 좌굴에 대한 안정을 고려하지 않으면 옹벽이 무너지거나 기울어질 가능성이 크며, 이는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조사 중 육안조사에 의한 조사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균열
  2. 철근노출
  3. 부재의 응력
  4. 침하
(정답률: 87%)
  • 육안조사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결함을 조사하는 것이므로 부재의 응력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내부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육안조사에 속하지 않는다. 부재의 응력은 보통 구조해석 등의 전문적인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