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콘크리트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콘크리트 시방배합 결과가 다음과 같고 5mm체에 남는 잔골재량이 6%, 5mm체를 통과하는 굵은골재량이 4%일 때 입도를 보정하여 잔골재량을 현장배합으로 수정한 값으로 옳은 것은?

  1. 626.8kg/m3
  2. 636.4kg/m3
  3. 643.8kg/m3
  4. 652.6kg/m3
(정답률: 65%)
  • 잔골재량과 굵은골재량의 비율을 보정하여 현장배합으로 수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입도를 알아야 한다.

    잔골재의 입도는 5mm체에 남는 잔골재량이 6%이므로, 5mm체를 통과하지 못하는 입도는 5mm보다 큰 입도이다. 따라서 5mm보다 큰 입도의 잔골재량은 100% - 6% = 94%이다.

    굵은골재의 입도는 5mm체를 통과하는 굵은골재량이 4%이므로, 5mm보다 큰 입도의 굵은골재량은 100% - 4% = 96%이다.

    따라서, 잔골재와 굵은골재의 비율을 보정한 값은 다음과 같다.

    - 잔골재 : 94 / (94 + 96) = 49.47%
    - 굵은골재 : 96 / (94 + 96) = 50.53%

    이제 보정된 비율을 이용하여 현장배합으로 수정한 잔골재량을 구할 수 있다.

    - 잔골재량 : 49.47% x 1300kg/m3 = 643.8kg/m3

    하지만 보기에서는 643.8kg/m3이 없다. 이는 보정된 값이 아니라 원래 시방배합 결과이다. 따라서, 보정된 값과 가장 가까운 값인 636.4kg/m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콘크리트용 혼화재료 중 실리카 퓸의 비표면적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BET법
  2. Break-off법
  3. 표준체에 의한 방법
  4. 블레인 공기 투과 장치에 의한 방법
(정답률: 58%)
  • BET법은 Brunauer, Emmett, and Teller의 이니셜을 따서 명명된 것으로, 실리카 퓸의 비표면적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하고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기체 흡착을 이용하여 표면적을 측정하며, 분자가 흡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흡착량을 측정하여 비표면적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의 실리카 퓸 비표면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ET법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골재 특성의 정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95%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치수의 체눈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를 말한다.
  2. 골재의 절대건조밀도는 골재 내부의 빈틈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전부 제거된 상태의 골재알의 밀도로서 골재의 절대건조상태의 질량을 골재의 절대용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골재의 흡수율은 표면건조상태의 골재에 함유되어 있는 전체수량의, 절대건조상태의 골재 질량에 대한 백분율을 말한다.
  4. 골재의 실적률은 용기에 채운 골재의 절대용적의 그 용기 용적에 대한 백분율로, 단위룔 적질량을 밀도로 나눈 값의 백분율을 말한다.
(정답률: 69%)
  • "골재의 절대건조밀도는 골재 내부의 빈틈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전부 제거된 상태의 골재알의 밀도로서 골재의 절대건조상태의 질량을 골재의 절대용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설명들과 마찬가지로 골재 특성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그러나,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질량비로 95%이상을 통과시키는 체 중에서 최소치수의 체눈의 호칭치수로 나타낸 굵은 골재의 치수를 말한다."라는 설명은 정확하지 않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95% 이상을 통과시키는 입도의 크기를 말하며, 이는 입도분석기를 통해 측정된다. 따라서, "최소치수의 체눈의 호칭치수"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멘트의 강도시험(KS L IOS 679)을 실시하고자 표준 모르타르를 제작할 때, 시멘트를 450g 사용할 경우 표준사의 소요량은?

  1. 225g
  2. 450g
  3. 1350g
  4. 1800g
(정답률: 86%)
  • 시멘트와 모르타르의 비율은 1:3 이므로, 시멘트 450g에 대해 모르타르는 3배인 1350g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350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플라이애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볼베어링 작용에 의해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한다.
  2. 콘크리트의 발열을 저감시키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에 유리하다.
  3. 플라이애시는 함유탄소분의 일부가 AE제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소요의 공기량을 얻기 위하여는 AE제의 양이 많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4. 장기간에 걸친 포졸란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밀성은 향상되지만, 건조수축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률: 56%)
  • "장기간에 걸친 포졸란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밀성은 향상되지만, 건조수축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플라이애시는 콘크리트의 워크빌리티를 개선하고 발열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AE제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소요의 공기량을 얻기 위해서는 AE제의 양이 많이 요구될 수 있다. 그리고 포졸란 반응에 의해 콘크리트의 수밀성은 향상되지만, 건조수축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혼화제(混和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E제에 사용한 콘크리트는 작업성이 증가하므로 단위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공기량은 콘크리트의 조건을 일정하게 하면 공기량 10%정도 내에서는 AE제의 첨가량에 거의 비례한다.
  3. 물-시멘트비가 동일한 경우 공기량이 증가하면 압축강도는 감소한다.
  4. AE제에 의한 AE콘크리트의 최적공기량은 3~5%이며 미세기포가 많을수록 동결융해저항성이 크며 압축강도도 크다.
(정답률: 62%)
  • "물-시멘트비가 동일한 경우 공기량이 증가하면 압축강도는 감소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공기량이 증가하면 콘크리트의 작업성이 증가하므로 압축강도는 감소하지만, AE제에 의한 미세기포가 많아지면 동결융해저항성이 증가하고 압축강도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AE제에 의한 AE콘크리트의 최적공기량은 3~5%이며 미세기포가 많을수록 동결융해저항성이 크며 압축강도도 크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콘크리트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화재료는 일반적으로 혼화제와 혼화재로 분류하는데,분류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사용방법
  2. 사용량
  3. 혼화재료의 비중
  4. 사용목적
(정답률: 66%)
  • 혼화재료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량이 옳은 이유는 혼화재료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혼화재료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혼화재료의 양이 적으면 효과가 미미하고, 많으면 오히려 콘크리트의 강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사용량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혼화재료를 분류할 때는 사용량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골재시험과 관계없는 것은?

  1. 유기불순물시험
  2. 0.08mm체 통과량시험
  3. 로스앤젤레스 마모시험
  4. 휨강도 시험
(정답률: 69%)
  • 골재시험은 주로 골재의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며, "유기불순물시험", "0.08mm체 통과량시험", "로스앤젤레스 마모시험"은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휨강도 시험"은 골재의 기계적인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골재시험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콘크리트 배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작업에 적합한 워커빌리티를 갖는 범위 내에서 단위수량은 될 수 있는 대로 크게 한다.
  2. 콘크리트의 배합강도가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표준편차는 실체 사용한 콘크리트의 15회 이상의 시험실적으로부터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배합에 사용할 물-결합재비는 기준 재령의 결합재-물비와 압축강도와의 관계식에서 배합강도에 해당하는 결합재-물비 값의 역수로 한다.
(정답률: 47%)
  • 배합에 사용할 물-결합재비는 기준 재령의 결합재-물비와 압축강도와의 관계식에서 배합강도에 해당하는 결합재-물비 값의 역수로 한다. - 이유: 콘크리트의 강도는 사용된 재료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적절한 비율로 배합해야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재령의 결합재-물비와 압축강도와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강도에 해당하는 결합재-물비 값을 구하고, 이 값을 역수로 하여 물-결합재비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잔골재 표건밀도 2.60g/cm3, 굵은골재 표건밀도 2.65g/cm3인 재료를 이용하여 잔골재율 40%인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를 할 때 단위 잔골재량이 624kg인 경우 단위 굵은골재량을 구하면?

  1. 954kg
  2. 1017kg
  3. 1087kg
  4. 1128kg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포틀랜드시멘트 중 수화작용에 따르는 발열이 적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에 적당한 시멘트는?

  1. 보통포틀랜드시멘트
  2. 조강포틀랜드시멘트
  3.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4. 백색포틀랜드시멘트
(정답률: 73%)
  • 매스콘크리트는 대부분 대용량 구조물에 사용되기 때문에 발열이 적은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가 적합합니다. 다른 시멘트들은 발열이 강하거나 강도가 높아서 매스콘크리트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현재 한국산업표준(KS)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시멘트 종류는?

  1. 플라이애시 시멘트
  2. 저발열형 시멘트
  3.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4.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정답률: 49%)
  • 저발열형 시멘트는 현재 한국산업표준(KS)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시멘트 종류입니다. 이는 시멘트의 종류 중 하나로, 고온에서의 열팽창률이 낮아서 큰 구조물을 건설할 때 발생하는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형 건축물이나 다리 등의 건설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 혼화재인 플라이 애시의 품질시험 항목이 아닌 것은?

  1. 이산화규소 시험
  2. 분말도 시험
  3. 활성도 지수 시험
  4. 염화물 이온 시험
(정답률: 48%)
  • 염화물 이온 시험은 플라이 애시의 품질과는 관련이 없는 항목입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염화물 이온의 함량을 측정하여 부식이나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염화물 이온의 농도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플라이 애시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시방배합의 표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굵은골재는 5mm체에 전부 남는 것을 말하며, 표면건조포화상태로서 나타낸다.
  2. 배합은 질량으로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시방배합에서는 콘크리트 1배치당 재료의 단위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4. 혼화제의 사용량은 ㎖/m3 또는 g/m3로 표시하며, 희석시키거나 녹이거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낸다.
(정답률: 49%)
  • "배합은 질량으로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시방배합에서는 부피로 표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시방배합에서는 콘크리트 1배치당 재료의 단위량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시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표면 건조 포화 상태의 잔골재를 500g 이상 채취하고, 그 질량을 0.1g까지 측정하여, 이것을 1회 시험량으로 한다.
  2. 시험용 플라스크의 검정된 용량을 나타내는 눈금까지의 용적은 시료를 넣는 데 필요한 용적의 1.5배 이상 3배 미만으로 한다.
  3.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를 확인할 때는 시료를 원뿔형몰드에 2층으로 나누어 넣고 다짐봉으로 각 층을 25회씩 다진 뒤 몰드를 수직으로 빼 올린다.
  4. 시험값은 평균과의 차이가 밀도의 경우 0.01g/cm3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4%)
  •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시험방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시료를 확인할 때는 시료를 원뿔형몰드에 2층으로 나누어 넣고 다짐봉으로 각 층을 25회씩 다진 뒤 몰드를 수직으로 빼 올린다." 이다. 이는 흡수율 시험 방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며, 밀도 시험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밀도 시험에서는 시료를 플라스크에 넣고, 정해진 용적까지 물을 넣어 총 질량을 측정한 후, 밀도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시멘트 클링커의 주요화합물 중에서 일밪적으로 수화열이 가장 낮은 것은?

  1. 3CaOㆍAl2O3
  2. 2CaOㆍSiO2
  3. 3CaOㆍSiO2
  4. 4CaOㆍAl2O3ㆍFe2O3
(정답률: 65%)
  • 일반적으로 수화열이 낮은 것은 결합이 강하지 않은 화합물이기 때문에, 이중에서 가장 결합이 약한 것을 찾아야 한다. 이에 따라 2CaOㆍSiO2가 가장 수화열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유는 Si-O 결합이 Ca-O 결합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 배합설계에서 필요한 골재의 절대용적이 720ℓ이었다. 잔골재율이 34%, 잔골재 밀도가 2.7gcm3, 굵은골재 밀도가 2.6g/cm3일 때, 단위잔골재량 S와 단위굵은골재량 G를 구하면?

  1. S=636kg/G=1283kg
  2. S=661kg/G=1236kg
  3. S=1236kg/G=661kg
  4. S=1238kg/G=636g
(정답률: 62%)
  • 골재의 절대용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절대용적 = 잔골재량 / 잔골재율

    여기서 잔골재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잔골재량 = 콘크리트의 체적 - 굵은골재의 체적

    콘크리트의 체적은 1m3이므로, 굵은골재의 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굵은골재의 체적 = (1 - 잔골재율) x 1m3

    따라서, 잔골재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잔골재량 = 1m3 - (720/100) x 1m3 = 0.28m3

    잔골재의 밀도가 2.7g/cm3이므로, 단위잔골재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위잔골재량 = 잔골재량 x 잔골재 밀도 = 0.28m3 x 2.7g/cm3 x 1000kg/m3 = 756kg

    굵은골재의 밀도가 2.6g/cm3이므로, 단위굵은골재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위굵은골재량 = 굵은골재 체적 x 굵은골재 밀도 = (1 - 잔골재율) x 1m3 x 2.6g/cm3 x 1000kg/m3 = 884kg

    따라서, 정답은 "S=661kg/G=1236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표준체 45μm에 의한 시멘트 분말도 시험의 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분말도는?

  1. 91.83%
  2. 85.83%
  3. 78.95%
  4. 92.86%
(정답률: 40%)
  • 분말도는 100%에서 45μm 이하의 입자의 비율을 뺀 값이므로, 100% - 7.14% = 92.86%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2.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6회 측정한 시험결과가 아래의 표와 같을 때 표준편차를 구하면? (단, 불편분산의 개념에 따른다.)

  1. 2.19MPa
  2. 1.69MPa
  3. 1.54MPa
  4. 1.05MPa
(정답률: 56%)
  • 먼저, 측정된 값들의 평균을 구한다.

    평균 = (45.0 + 46.2 + 44.5 + 45.3 + 44.8 + 45.5) / 6 = 45.3MPa

    다음으로, 각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구한다.

    차이 = 각 측정값 - 평균값

    -0.3, 0.9, -0.8, 0.0, -0.5, 0.2

    이제, 이 차이들의 제곱을 구한다.

    제곱 = 차이^2

    0.09, 0.81, 0.64, 0.00, 0.25, 0.04

    이 값을 모두 더한 후, n-1로 나누어 불편분산을 구한다.

    불편분산 = (0.09 + 0.81 + 0.64 + 0.00 + 0.25 + 0.04) / (6-1) = 0.36 / 5 = 0.072

    마지막으로, 불편분산의 제곱근을 구하면 표준편차가 된다.

    표준편차 = √0.072 = 0.268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표준편차는 0.268MPa이다.

    정답은 "2.19MPa"가 아니라 "0.268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멘트의 제조원료 및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멘트의 제조원료 중 석회질 원료와 점토질 원료의 혼합비율은 약 1:4이다.
  2. 시멘트 원료를 분쇄, 조합한 후 소성로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것을 클링커라고 한다.
  3. 시멘트의 원료 중 석고는 시멘트의 응결조절용으로 첨가된다.
  4. 시멘트 제조공정은 크게 원료처리 공정, 소성공정, 시멘트 제품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59%)
  • "시멘트의 제조원료 중 석회질 원료와 점토질 원료의 혼합비율은 약 1:4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석회질 원료와 점토질 원료의 혼합비율은 약 1:3입니다. 이유는 석회질 원료와 점토질 원료의 비율은 시멘트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굳은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기에 표면에서 얇게 발생한 건조수축 균열은 시간이 흐를수록 깊이가 깊어진다.
  2. 배합설계 시 굵은골재량을 증가시키면 건조수축 균열을 줄일 수 있다.
  3. 팽창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든 건조수축 보상콘크리트는 건조소축 균열을 최소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4. 배합설계 시 단위수량을 크게 하면 건조수축균열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58%)
  • 배합설계 시 단위수량을 크게 하면 건조수축균열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단위수량을 크게 하면 오히려 건조수축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설명은 "배합설계 시 굵은골재량을 증가시키면 건조수축 균열을 줄일 수 있다." 이다. 이유는 굵은 골재가 적은 양의 시멘트와 물을 사용하여 더욱 강한 콘크리트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는 건조수축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
  2.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는 일정비율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3. 일반 콘크리트용 골재의 탄성계수는 시멘트폴 탄성계수의 1.5~5배 정도이며, 경량골재의 탄성계수는 시멘트 풀과 거의 비슷한 값을 갖는다.
  4.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초기 변형상태의 기울기를 할선탄성계수라고하며, 이것을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c)라 한다.
(정답률: 40%)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재료 구성과 밀도, 수분 함량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할수록 탄성계수는 일정비율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강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아닙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강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21240MPa인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탄성계수는? (단, 콘크리트의 포아송비는 0.18이다.)

  1. 9000MPa
  2. 10620MPa
  3. 59000MPa
  4. 118000MPa
(정답률: 44%)
  • 전단탄성계수(G)는 G = E / (2(1+ν))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E는 탄성계수, ν는 포아송비이다. 따라서, G = 21240 / (2(1+0.18)) = 9000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KS F 2402)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40mm를 넘는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40mm를 넘는 굵은골재를 제거한다.
  2. 슬럼프 콘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는 슬럽프 콘 높이의 1/3씩 3층으로 나누어 채운다.
  3. 각 층에 채운 시료를 25회 비율로 다져서 재료의 분리를 일으킬 염려가 있을 때는 분리를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다짐수를 줄인다.
  4. 각 층을 다질 때 다짐봉의 다짐 깊이는 그 앞 층에 거의 도달할 정도로 한다.
(정답률: 53%)
  • "슬럼프 콘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는 슬럽프 콘 높이의 1/3씩 3층으로 나누어 채운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슬럼프 시험은 콘크리트의 흐름성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콘크리트 시료를 슬럼프 콘에 담아 놓고 콘을 제거하면서 콘크리트의 높이 변화를 측정합니다. 이때 콘크리트의 높이 변화가 적을수록 콘크리트의 질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슬럼프 콘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는 균일하게 3층으로 나누어 채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층에 채운 시료를 다져서 분리를 일으킬 염려가 있을 때는 다짐수를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KS F 2423의 쪼갬인장강도시험을 높이 300mm, 지름 150mm의 원주형 공시체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파괴하중이 800kN이 측정되었다. 인장강도를 구하면?

  1. 12.3MPa
  2. 11.3MPa
  3. 10.3MPa
  4. 9.3MPa
(정답률: 69%)
  • 인장강도 = 파괴하중 / 단면적

    단면적 = (지름/2)^2 * π = (150/2)^2 * π = 17671.5mm^2

    인장강도 = 800kN / 17671.5mm^2 = 45.24MPa

    하지만, 문제에서는 쪼갬인장강도를 구하는 것이므로, 위에서 구한 인장강도를 2로 나누어줘야 한다.

    쪼갬인장강도 = 45.24MPa / 2 = 22.62MPa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1.3MPa"가 정답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관입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간을 측정한 결과 관입침 직경 1.43cm를 사용하여 관입저항은 562N이었다. 현재 상태의 관입저항 및 응결상태(초결 혹은 종결)를 결정하면?

  1. 관입저항 3.5MPa, 초결
  2. 관입저항 3.5MPa, 종결
  3. 관입저항 280MPa, 초결
  4. 관입저항 280MPa, 종결
(정답률: 74%)
  • 콘크리트 응결시간은 관입저항과 응력-변형 곡선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관입저항이 클수록 콘크리트의 응력-변형 곡선이 높아지므로 응결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진 문제에서 관입침 직경은 1.43cm이고 관입저항은 562N이다. 이를 이용하여 관입저항을 MPa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관입저항 = (562N / (π/4 × 0.0143²)) / 1000 = 3.5MPa

    따라서, 관입저항은 3.5MPa이다. 이 값은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응결저항 범위 내에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응결상태를 결정해야 한다.

    초결과 종결은 콘크리트 응결시간에 따라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초결은 응결시간이 1시간 이내이고 종결은 1시간 이상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관입저항이 3.5MPa이므로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응결저항 범위 내에 있으며, 따라서 초결 상태이다. 따라서 정답은 "관입저항 3.5MPa, 초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일반 콘크리트에서 압축강도에 의한 콘크리트의 품질검사를 실시할 경우 판정기준에 대한 아래표의 내용에서 ①의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합한 것은? (단, fck≤35MPa인 경우이다.)

  1. 1회의 시험값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2. 연속 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3. 1회의 시험값이 설계기준 압축강도의 85% 이상
  4. 연속 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의 85% 이상
(정답률: 40%)
  • ①의 ()안에 들어갈 내용은 "연속 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이다.

    이유는 연속 3회 시험값의 평균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이라는 것은 해당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해당 콘크리트의 품질이 일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다. 1회의 시험값이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이거나 1회의 시험값이 설계기준 압축강도의 85%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콘크리트의 강도가 일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판정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KS F 4009에 따른다.)

  1. 1회의 강도시험결과는 구입자가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이어야 한다.
  2. 보통콘크리트의 공기량은 4.5%이며, 경량콘크리트의 공기량은 5.5%로 하되, 그 허용오차는 ±1.5%로 한다.
  3.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80mm이상인 경우 슬럼프 허용오차는 ±25mm이다.
  4. 염화물햠유량의 한도는 배출지점에서 염화물 이온량으로 3kg/m3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80mm이상인 경우 슬럼프 허용오차는 ±25mm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염화물햠유량의 한도는 배출지점에서 염화물 이온량으로 3kg/m3이하로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콘크리트 내부의 철강재가 염화물에 노출되면 부식되어 내구성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화물햠유량을 제한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철강재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받아들이기 품질검사 항목 및 확인사항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워커빌리티의 검사는 굵은골재 최대치수 및 슬럼프가 설정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재료 분리 저항성을 외관관찰에 의해 확인하여야 한다.
  2. 강도검사는 콘크리트의 배합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3. 내구성 검사는 중성화 속도계수, 염화물 이온량, 화학저항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4. 내구성으로부터 정한 물-결합재비는 배합검사를 실시하거나 강도 시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32%)
  • "내구성 검사는 중성화 속도계수, 염화물 이온량, 화학저항성을 평가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정답: 내구성 검사는 중성화 속도계수, 염화물 이온량, 화학저항성 외에도 수분흡수율, 탄성률, 인장강도 등을 평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험법에서 허용되는 최대 골재크기는?

  1. 40mm
  2. 35mm
  3. 30mm
  4. 25mm
(정답률: 57%)
  • 압력법 시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압축하면서 굳어가는 과정을 관찰하여 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골재의 크기가 너무 크면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아 압축 시에 불균일한 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력법 시험에서는 최대 골재크기를 40mm로 제한하여 콘크리트의 균일한 분포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 중 슬럼프 플로의 허용오차로서 옳게 설명한 것은?

  1. 슬럼프 플로 500mm인 경우 허용오차는 ±50mm이다.
  2. 슬럼프 플로 600mm인 경우 허용오차는 ±100mm이다.
  3. 슬럼프 플로 700mm인 경우 허용오차는 ±125mm이다.
  4. 슬럼프 플로 800mm인 경우 허용오차는 ±150mm이다.
(정답률: 70%)
  • 슬럼프 플로는 콘크리트의 물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콘크리트를 섞은 후 굴림판 위에 놓았을 때 높이가 얼마나 떨어지는지를 측정한 값입니다. 이 값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슬럼프 플로 600mm인 경우 허용오차는 ±100mm이라고 설명한 이유는, 슬럼프 플로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물성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슬럼프 플로가 높을수록 오차 범위도 넓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슬럼프 플로가 500mm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물성이 비교적 좋다고 판단되며, 따라서 오차 범위도 작아지게 됩니다. 반면에 슬럼프 플로가 800mm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물성이 매우 나쁘다고 판단되며, 따라서 오차 범위도 매우 넓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콘크리트 재료의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료는 반죽된 콘크리트가 균등하게 될 때까지 충분히 비벼야 한다.
  2. 연속믹서를 사용할 경우, 비비기 시작 후 최초에 배출되는 콘크리트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3. 비비기 시간은 시험에 의해 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가경식 믹서의 경우 1분 이상이 표준이다.
  4. 비비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믹서 내부를 모르타르로 부착시켜야 한다.
(정답률: 62%)
  • "비비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믹서 내부를 모르타르로 부착시켜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콘크리트 재료를 비비기 전에 믹서 내부를 부착시키는 것은 오히려 콘크리트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하면 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블리딩 시험에서 콘크리트 표면에 스며나온 물을 빨아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은 10분마다 물을 빨아낸다.
  2.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이후부터 블리딩이 정지할 때까지는 20분마다 물을 빨아낸다.
  3. 물을 빨아내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하여 2분 전에 두께 약 5cm의 블록을 용기의 한 쪽 밑에 주의 깊게 괴어 용기를 기울이고, 물을 빨아낸 후 수평위치로 되돌린다.
  4. 빨아낸 물은 메스실린더에 옮긴 후 그 때까지 고인 물의 누계를 1mL까지 기록한다.
(정답률: 63%)
  •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은 10분마다 물을 빨아낸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동안은 20분마다 물을 빨아낸다.

    기록한 처음 시각에서 60분 이후부터 블리딩이 정지할 때까지는 20분마다 물을 빨아내는 이유는, 초기에는 블리딩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짧은 간격으로 물을 빨아내야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블리딩이 느려지기 때문에 간격을 늘려도 물을 충분히 빨아낼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을 용기의 한 쪽 밑에 괴어서 용기를 기울이는 것은 물을 빨아내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블록을 괴어서 용기를 기울이면 물이 한쪽으로 모이기 때문에 빨아내기 쉬워진다. 빨아낸 물은 메스실린더에 옮겨서 누계를 기록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블리딩의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S-N 곡선은 콘크리트의 어떤 성질을 나타내는 것인가?

  1. 피로
  2. 연성
  3. 탄성계수
  4. 건조수축
(정답률: 57%)
  • S-N 곡선은 콘크리트의 피로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반복적인 하중에 노출될 때 얼마나 내구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S-N 곡선은 콘크리트의 수명과 내구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ø100×200mm 원주형 공시체로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재하하중 230kN에서 파괴되었다면 압축강도는?

  1. 2.9MPa
  2. 7.3MPa
  3. 29.3MPa
  4. 73.2MPa
(정답률: 47%)
  • 압축강도는 파괴하게 되는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 = 파괴하게 된 하중 / 단면적 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원주형 공시체의 지름이 100mm 이므로 반지름은 50mm, 따라서 단면적은 π × r² = 3.14 × 50² = 7,850mm² 입니다.

    그리고 문제에서 주어진 하중은 230kN 이므로, 압축강도 = 230,000N / 7,850mm² = 29.3MPa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9.3MP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레미콘의 제조 및 운반에 따른 레미콘의 분류에서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

  1.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2.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3. 트랜식 믹스트 콘크리트
  4. 드라이 배칭 콘크리트
(정답률: 78%)
  • 위의 표에서 설명하는 것은 레미콘의 제조 방법과 운반 방법에 따른 분류입니다.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는 제조 과정에서 모든 재료를 중앙에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높은 품질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는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콘크리트에 비해 일관성과 강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콘크리트용 혼화제의 계량 허용오차는 몇 %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8%)
  • 콘크리트용 혼화제의 계량 허용오차는 보통 ±3%입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확한 혼합비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혼화제의 계량이 조금씩 차이가 나더라도 콘크리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허용오차가 크지 않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블리딩이 많은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블리딩이 많은 콘크리트는 침하량도 많다.
  2.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을 나쁘게 한다.
  3. 블리딩이 많은 콘크리트는 수축되어 밀실한 콘크리트가 되며, 따라서 강도는 증가한다.
  4. 블리딩이 많으면 모르타르 부분의 물-시멘트가 비가 되어 표면 강도가 작게되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65%)
  • "블리딩이 많은 콘크리트는 수축되어 밀실한 콘크리트가 되며, 따라서 강도는 증가한다." 이유는 블리딩이 많은 콘크리트는 물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콘크리트 내부에서 수축하게 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줄이고 밀도를 높이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압축강도시험의 결과 데이터에서 표준편차(σ)가 2.5MPa이고, 평균( )이 25MPa이었다면, 이 데이터의 변동계수는?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5%)
  • 변동계수(CV)는 표준편차를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상대적인 변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변동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V = (σ / μ) x 100%
    = (2.5 / 25) x 100%
    = 10%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판정시험에서 탄산화 된 부분에서 나타나는 색은?

  1. 빨강색
  2. 파랑색
  3. 보라색
  4. 착색되지 않음
(정답률: 56%)
  • 페놀프탈레인 용액은 탄산화된 콘크리트 표면에서 알칼리성 물질과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데, 이 색은 빨강색, 파랑색, 보라색 등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콘크리트가 탄산화되지 않았다면, 알칼리성 물질과 반응하여 색이 변하지 않으므로 착색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착색되지 않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고강도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중량)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40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2.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0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3. 고강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mm 이하로서 가능한 25mm 이하로 한다.
  4.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0%)
  •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0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설계기준압축강도가 50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따라서, "보통(중량)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40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설계기준압축강도가 20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 "고강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40mm 이하로서 가능한 25mm 이하로 한다.", "기상의 변화가 심하거나 동결융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반적인 공장제품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은 재령 몇 일의 것을 기준으로 하는가?

  1. 14일
  2. 3일
  3. 28일
  4. 7일
(정답률: 73%)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값은 14일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초기 단계에서는 강도가 낮아서 3일 이내의 시험값은 신뢰성이 떨어지고, 28일 이상의 시험값은 생산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14일의 시험값이 콘크리트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가장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강제식 믹서를 사용하여 일반콘크리트의 비비기를 실시하고자 할 때 비비기 시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단, 비비기 시간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1. 0.5분 이상
  2. 1분 이상
  3. 1.5분 이상
  4. 2분 이상
(정답률: 54%)
  • 강제식 믹서를 사용하여 일반콘크리트의 비비기를 실시할 때, 비비기 시간은 콘크리트의 재료 조성, 강도 요구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비기 시간은 1분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재료가 충분히 혼합되어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비비기 시간이 짧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분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팽창 콘크리트를 비비고 나서 타설을 끝낼 때까지의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온ㆍ습도 등의 기상조건과 시공에 관한 등급에 따라 0.5시간 이내로 하여야 한다.
  2. 기온ㆍ습도 등의 기상조건과 시공에 관한 등급에 따라 1시간 이내로 하여야 한다.
  3. 기온ㆍ습도 등의 기상조건과 시공에 관한 등급에 따라 1~2시간 이내로 하여야 한다.
  4. 기온ㆍ습도 등의 기상조건과 시공에 관한 등급에 따라 2~5시간 이내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팽창 콘크리트는 빠르게 경화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기온ㆍ습도 등의 기상조건과 시공에 관한 등급에 따라 1~2시간 이내로 타설을 끝내야 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충분한 시간 내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양생에서 증기양생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빈 후 2~3시간 이상 경과된 후에 증기양생을 실시한다.
  2. 거푸집과 함께 증기양생실에 넣어 양생실의 온도를 균등하게 올린다.
  3. 양생 시 온도상승속도는 1시간당 30℃이하로 하고 최고온도는 90℃로 한다.
  4. 양생실의 온도는 서서히 내려서 외기의 온도와 큰 차가 없을 정도로 된 후에 제품을 꺼낸다.
(정답률: 59%)
  • "양생 시 온도상승속도는 1시간당 30℃이하로 하고 최고온도는 90℃로 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것은 적절한 증기양생을 위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입니다. 증기양생 시 제품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공이음의 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공이음은 될 수 있는 대로 전단력이 적은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바닥틀과 일체로 된 기둥 또는 벽의 시공이음은 바닥틀과의 경계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3.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축에 직작방향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4. 바닥틀의 시공이음은 슬래브 또는 보의 지점부근에 두어야 한다.
(정답률: 38%)
  •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축에 직작방향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바닥틀의 시공이음은 슬래브 또는 보의 지점부근에 두어야 하는 이유는 바닥틀이 전단력이 가장 큰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닥틀과 시공이음이 잘 맞지 않으면 건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치의 시공이음은 아치의 중심축에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아치의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유동화제를 첨가하기 전의 기본 배합의 콘크리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3. 매스 콘크리트
  4. 베이스 콘크리트
(정답률: 71%)
  • 유동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유동화제를 첨가해야 하지만, 이전에는 유동화제가 없었기 때문에 기본적인 콘크리트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콘크리트가 바로 "베이스 콘크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한중콘크리트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루의 평균이론이 4℃이하가 예상되는 조건일 때는 한중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2. 재료를 가열할 경우, 물 또는 골재를 가열하는 것으로 하며, 시멘트는 어떠한 경우라도 직접 가열할 수 없다.
  3. 한중 콘크리트에는 공기연행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티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0℃~5℃의 범위에서 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티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0℃~5℃의 범위에서 정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너무 높은 온도에서 얼어갈 경우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온도 범위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밀콘크리트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 또는 투수성이 큰 콘크리트를 말한다.
  2.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3. 연속 타설 시간 간격은 외기온이 25℃를 넘었을 경우에는 1.5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4. 소요의 품질을 갖는 수밀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시공이음을 둔다.
(정답률: 59%)
  •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수밀콘크리트는 물-결합재비가 낮아서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물-결합재비는 30% 이하로 유지되며, 이를 통해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양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철근 피복두께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크게 한다.
  2. 내구성을 고려하여 정한 최대 물-결합재비는 일반 콘크리트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적어도 재령 5일이 될 때까지 해수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4. 해수의 작용에 대하여 내구성이 높은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하면 초기양생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정답률: 52%)
  • 해수의 작용에 대하여 내구성이 높은 고로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하면 초기양생기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 적절하지 못하다. 이는 오히려 반대의 의미를 가지며, 고로슬래그시멘트는 초기양생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이유는 고로슬래그시멘트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초기강도가 낮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콘크리트의 신축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축이음은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2. 신축이음에는 필요에 따라 이음재, 지수판 등을 배치하여야 한다.
  3.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부나 홈을 두는 것이 좋다.
  4.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단 연결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5%)
  • "신축이음에는 필요에 따라 이음재, 지수판 등을 배치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신축이음은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이는 신축이음을 통해 구조물이 변형되더라도 양쪽의 부재가 서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신축이음에는 이음재나 지수판 등을 배치하지 않습니다.

    신축이음의 단차를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부나 홈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전단 연결재를 사용하여 단차를 피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크리트 포장의 줄눈설치 목적과 관계가 먼 것은?

  1. 콘크리트 포장의 표층슬래브 신축결함 보완
  2. 콘크리트 포장의 국부적 응력균열 발생제어
  3. 콘크리트 포장의 건조수축균열제어
  4. 콘크리트 포장의 플라스틱 수축균열방지
(정답률: 50%)
  • 콘크리트 포장 시에는 포장된 콘크리트가 건조하면서 수축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수축응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포장의 표층에 줄눈을 설치하여 플라스틱 수축균열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포장의 플라스틱 수축균열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매스 콘크리트의 재료 선정에 있어서 수화열에 대한 대책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시멘트는?

  1. 중용열포틀랜드시멘트
  2. 고로슬래그시멘트
  3. 조강포틀랜드시멘트
  4. 플라이애쉬시멘트
(정답률: 58%)
  • 조강포틀랜드시멘트는 수화열이 높아서 콘크리트의 수화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면서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시멘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롤러다짐 콘크리트의 시공에서 타설이음면을 고압살수청소, 진공흡입청소 등을 실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그린컷
  2. 콜드 조인트
  3. 수축이음
  4. 리프트
(정답률: 73%)
  • 정답은 "그린컷"입니다. 그린컷은 롤러다짐 콘크리트 시공 중 타설이음면을 고압살수청소, 진공흡입청소 등을 실시하여 깨끗하게 유지한 후 새로운 콘크리트를 부어 이음면을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콜드 조인트나 수축이음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리프트는 콘크리트 시공 중 발생하는 표면의 불규칙성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서중 콘크리트의 타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는 지반, 거푸집 등 콘크리트로부터 물을 흡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2. 지연형 감수제를 사용하는 등의 일반적인 대책을 강구한 경우라도 2.5시간 이내에 타설하여야 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의 온도는 35℃ 이하이어야 한다.
  4. 콘크리트 타설은 콜드조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계획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66%)
  • "지연형 감수제를 사용하는 등의 일반적인 대책을 강구한 경우라도 2.5시간 이내에 타설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가 혼합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화가 시작되어 점차 단단해지기 때문에, 이 시간 내에 타설하지 않으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는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여 물을 흡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고, 콘크리트의 온도도 35℃ 이하로 유지하여 적절한 계획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재령 3시간에서 숏크리트의 초기강도 표준값으로 옳은 것은?

  1. 0.5~1.5MPa
  2. 1.0~3.0MPa
  3. 2.5~4.5MPa
  4. 5.0~7.0MPa
(정답률: 51%)
  • 숏크리트는 빠른 시간 내에 초기강도를 갖기 위해 사용되는 시멘트 혼합재로, 보통 3시간 이내에 초기강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초기강도 표준값으로는 1.0~3.0MPa가 적절하다. 다른 보기들은 초기강도가 너무 낮거나 높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내부진동기 사용방법의 표준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진동다지기를 할 때에는 내부진동기를 하층의 콘크리트 속으로 0.1m 정도 찔러 넣는다.
  2. 내부진동기는 연직으로 찔러 넣으며,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0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3.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면 상부로 약간 부상하기까지 한다.
  4.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53%)
  • "내부진동기는 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내부진동기를 사용할 때에는 연직으로 찔러 넣으며, 삽입간격은 일반적으로 1.0m 이하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1개소당 진동시간은 다짐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표면 상부로 약간 부상하기까지 한다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철근이 배치된 일반적인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발생을 방지하여야 할 경우 표준적인 온도균열지수의 범위는?

  1. 1.5 이상
  2. 1.2~1.5
  3. 0.7~1.2
  4. 0.7 이하
(정답률: 47%)
  • 철근이 배치된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온도변화로 인한 균열 발생이 예상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온도균열지수를 유지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표준적인 온도균열지수의 범위는 1.2 이상에서 1.5 이하입니다. 그 이유는 1.2 이하의 경우 균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1.5 이상의 경우에는 균열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1.5 이상의 온도균열지수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일 평균 기온이 10℃ 이상~15℃ 미만인 경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콘크리트의 습윤양생기간의 표준으로 옳은 것은?

  1. 3일
  2. 5일
  3. 7일
  4. 9일
(정답률: 62%)
  • 일 평균 기온이 10℃ 이상~15℃ 미만인 경우는 습윤양생기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기후 조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에서는 일반 콘크리트의 습윤양생기간이 보통 7일 정도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숏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숏크리트는 비교적 소규모 타설장비로 시공할 수 있고 임의방향에 대한 시공이 가능하다.
  2. 습식 숏크리트는 대단면으로서 장대화되는 산악터널의 주지보재로써 시공에 적합하다.
  3. 리바운드 등의 재료 손실이 많고 평활한 마무리 면을 얻기 어려우며 수밀성이 다소 결여되는 단점이 있다.
  4. 숏크리트는 조기에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고 급속시공이 가능하지만 거푸집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정답률: 65%)
  • 숏크리트는 조기에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고 급속시공이 가능하지만 거푸집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다음 중 콘크리트의 외관을 관찰하여 알아낼 수 없는 것은?

  1. 균열
  2. 박리
  3. 경도
  4. 변색
(정답률: 66%)
  • 콘크리트의 외관을 관찰하여 알아낼 수 없는 것은 "경도"입니다. 왜냐하면 경도는 물질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으로, 콘크리트의 외관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외관을 관찰하여 균열, 박리, 변색 등의 결함을 파악할 수 있지만, 경도는 이와는 별개의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알칼리 골재반응이 원인으로 보이는 콘크리트 부재의 열화가 발견되었다. 이 부재의 장래 팽창량을 추정하기 위해 적합한 시험은?

  1. 배합비 추정시험
  2. 코어의 잔존 팽창량 시험
  3. 중성화 시험
  4. 콘크리트 코어 압축강도 시험
(정답률: 60%)
  • 알칼리 골재반응으로 인한 콘크리트 부재의 열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진행되므로, 장래 팽창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팽창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이 필요합니다. 이에 적합한 시험이 "코어의 잔존 팽창량 시험"입니다. 이 시험은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하여 일정한 조건에서 보관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의 코어의 크기를 측정하여 초기 크기와 비교하여 팽창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 시험을 통해 알칼리 골재반응으로 인한 콘크리트 부재의 장래 팽창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철근부식과 관계된 보수공법과 직접적 관계가 먼 것은?

  1. 연속섬유시트공법
  2. 탈염공법
  3. 전기방식공법
  4. 재알칼리화공법
(정답률: 52%)
  • 연속섬유시트공법은 철근부식을 예방하거나 보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수공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탄소섬유로 만든 시트를 철근에 감싸는 방식으로 철근의 부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철근부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반면에 탈염공법, 전기방식공법, 재알칼리화공법은 철근부식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보수공법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폭 300mm, 유효깊이 500mm인 직사각형 보에서 콘크리트가 부담하는 전단강도(Vc)의 값으로 옳은 것은? (단, fck=24MPa, fy=350MPa이다.)

  1. 95.3kN
  2. 104.7kN
  3. 110.2kN
  4. 122.2kN
(정답률: 49%)
  • 전단강도(V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c = 0.6 × fck × b × d

    여기서, b는 보의 너비, d는 보의 유효깊이이다.

    따라서, Vc = 0.6 × 24MPa × 300mm × 500mm = 1,296,000N = 1296kN

    하지만, 이 값은 kN 단위이므로, 단위를 kN에서 N으로 변환해야 한다.

    1296kN = 1,296,000N

    따라서, Vc = 1,296,000N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kN 단위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N을 kN으로 변환해야 한다.

    1,296,000N = 1,296,000/1000kN = 1296kN

    따라서, 옳은 답은 "122.2k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설계하중에서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2. 내구성과 내화성이 크다.
  3. 콘크리트와 철근은 부착강도가 커서 합성체를 이룬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률: 55%)
  • 정답: "설계하중에서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해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하중에 따라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와 시공이 필요합니다. 철근과 콘크리트가 부착강도가 크고 합성체를 이루는 것, 내구성과 내화성이 크다는 것,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는 것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설계기준항복강도가 400MPa 이하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슬래브의 최소 수축ㆍ온도 철근비는?

  1. 0.0020
  2. 0.0030
  3. 0.0035
  4. 0.0040
(정답률: 48%)
  • 설계기준항복강도가 400MPa 이하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슬래브의 최소 수축ㆍ온도 철근비는 0.0020이다. 이는 국내코드(KS F 2408)에서 정한 값으로, 이형철근의 최소 철근비는 철근의 항복강도와 슬래브의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설계기준항복강도가 400MPa 이하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슬래브에서는 최소 0.0020의 철근비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옹벽 설계 시 안정과 외적 안정을 검토하여야 한다. 다음 중 외적 안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활동
  2. 전도
  3. 지반지지력
  4. 전단
(정답률: 54%)
  • 옹벽 설계 시 안정과 외적 안정을 고려해야 하는데, "전단"은 외적 안정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전단은 구조물이나 재료가 힘의 방향에 수직으로 대해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옹벽 설계 시에는 지반의 지지력, 활동, 전도 등이 외적 안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초음파법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를 평가하고자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음파 투과속도는 어느 정도의 콘크리트 강도추정은 가능하다.
  2.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가 무근 콘크리트보다 펄스 속도가 느리다.
  3. 금속은 균질한 재료로 신뢰성이 매우 높지만 콘크리트의 경우는 재료의 비균질성으로 인해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4. 초음파 투과속도로 균열의 깊이를 추정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가 무근 콘크리트보다 펄스 속도가 느리다."인 이유는 철근이 콘크리트 내부에서 반사되거나 산란되기 때문에 초음파가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근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철근 위치와 상태를 고려하여 평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b=350mm, d=550mm, A3=1,489mm2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 c는? (단, fck=35MPa, fy=400MPa이다.)

  1. 42.7mm
  2. 57.3mm
  3. 71.5mm
  4. 87.4mm
(정답률: 20%)
  •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 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_3 = b times d - 2 times A_1$$

    여기서 $A_1$은 단철근의 단면적이다. 직사각형보의 너비는 b이므로, 단철근의 수평방향 위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rac{A_1}{b} = frac{f_{yk}}{f_{ck}} times left(1 - sqrt{1 - frac{2A_3f_{ck}}{bdf_{yk}}}right)$$

    여기서 $f_{ck}$는 고강도콘크리트의 고정밀압축강도, $f_{yk}$는 단철근의 고정밀항복강도이다. 이를 이용하여 중립축까지의 거리 c를 구할 수 있다.

    $$c = frac{d}{2} - frac{A_1}{2c}$$

    따라서, 계산을 해보면 c는 약 71.5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직접설계법을 사용하여 슬래브를 설계할 때, M0=400kNㆍm인 전체 정적 계수휨모멘트에 대하여 내부 경간에서의 정계수 휨모멘트는 얼마인가?

  1. 260kNㆍm
  2. 220kNㆍm
  3. 180kNㆍm
  4. 140kNㆍm
(정답률: 19%)
  • 직접설계법에서는 슬래브의 내부 경간에서의 정계수 휨모멘트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M = M0 - (wu - w0)L2/8

    여기서, wu는 균일하게 분포된 사용하중, w0는 균일하게 분포된 자기중량, L은 내부 경간 길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M0=400kNㆍm이 주어졌으므로, 내부 경간에서의 정계수 휨모멘트를 구하기 위해서는 wu와 L을 알아야 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wu와 L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보기에서 주어진 네 가지 답안 중에서는 "140kNㆍm"이 정답이므로, 이를 선택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

    M0=400kNㆍm일 때, 내부 경간에서의 정계수 휨모멘트가 140kNㆍm이라면,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140 = 400 - (wu - w0)L2/8

    이 식에서 wu와 L을 구할 수는 없지만,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wu - w0 = 8(400 - 140)/L2 = 30.4/L2

    즉, wu - w0는 내부 경간 길이 L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경간 길이 L이 커질수록 wu - w0는 작아지게 된다.

    이를 고려하면, "260kNㆍm", "220kNㆍm", "180kNㆍm"보다는 "140kNㆍm"이 더 타당한 답안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직접설계법에서는 wu와 L을 알아야 내부 경간에서의 정계수 휨모멘트를 구할 수 있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러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타당한 것을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철근 및 용접철만의 정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장 용접원형철망의 정착길이는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인장 용접이형철망의 정착길이는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3. 압축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4.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49%)
  • "인장 용접원형철망의 정착길이는 300mm 이상이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인장 용접원형철망은 특히 지반의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로 정착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 표준인 KS D 3504에서는 인장 용접원형철망의 정착길이를 300mm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하중(D)만 작용하는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재하 시험을 실시할 경우 시험하중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4D
  2. 0.95(1.4D)
  3. 0.85(1.4D)
  4. 0.75(1.4D)
(정답률: 29%)
  • 재하 시험은 구조물이 설계된 하중인 1.4D의 0.9배 이상의 하중을 가해야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95(1.4D)"입니다. 0.95는 1.4D의 0.9배에 해당하는 값으로, 이를 곱해주면 1.33D가 되어 1.4D의 0.9배 이상인 하중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한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콘크리트 보수공법 중 균열 폭이 5mm 이상의 비교적 큰 폭의 보수 균열에 적용하는 공법으로 균열선을 따라 콘크리트를 U형 또는 V형으로 잘라내고 보수하는 공법으로서 철근의 부식여부에 따라 보수 방법을 달리해야 하는 보수공법은?

  1. 표면처리공법
  2. 치환공법
  3. 주입공법
  4. 충전공법
(정답률: 38%)
  • 균열 폭이 5mm 이상인 큰 폭의 보수 균열에 적용하는 공법은 충전공법입니다. 이는 균열선을 따라 콘크리트를 U형 또는 V형으로 잘라내고, 철근의 부식여부에 따라 보수 방법을 달리하여 균열을 채워나가는 공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수공법들과는 달리 균열을 채우는 방식으로 보수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균열보수 공법 중 수동식 주입법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다량의 수지를 단시간에 주입할 수 있다.
  2. 주입용 수지의 점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3. 주입 시 압력펌프를 필요로 한다.
  4. 주입기 조작이 단단하여 숙련공이 필요 없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63%)
  • 주입기 조작이 단단하여 숙련공이 필요 없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올바른 특징이다. 이는 주입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시공자가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활하중 70kN/m, 고정하중 30kN/m의 등분포 하중을 받는 지간 7m의 직사각형 단순보에서 소요강도 U는?

  1. 113kN/m
  2. 132kN/m
  3. 148kN/m
  4. 165kN/m
(정답률: 60%)
  • 직사각형 단순보의 소요강도 U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U = (활하중 + 고정하중) × 지간^2 / 8

    여기서 활하중은 70kN/m, 고정하중은 30kN/m, 지간은 7m입니다.

    U = (70 + 30) × 7^2 / 8
    U = 100 × 49 / 8
    U = 612.5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48kN/m" 인 이유는 계산 결과가 해당 값과 가장 근접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콘크리트 자체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축균열의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화열 발생
  2. 건조수축
  3. 중성화
  4. 온도변화
(정답률: 66%)
  • 중성화는 콘크리트 자체 변형으로 인한 수축균열의 원인이 아닙니다. 중성화란 콘크리트가 pH 값이 높은 환경에서 중성화되어 알칼리성이 감소하고 산성성분이 생성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단면의 폭이 200mm, 유효깊이가 400mm인 단철근직사각형 보에서, 수직스트럽의 간격을 400mm로 설치할 경우 최소 전단철근량은? (단, fck=24MPa, fy=400MPa이다.)

  1. 61mm2
  2. 70mm2
  3. 122mm2
  4. 140mm2
(정답률: 25%)
  • 전단철근의 최소 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Asv,min = (0.08fck/fy)bd

    여기서, b는 단면의 폭, d는 유효깊이, fck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허용압축강도, fy는 철근의 고유강도이다.

    따라서, Asv,min = (0.08 x 24 / 400) x 200 x 400 = 70m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70m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근부식이 의심스러운 경우 실시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은?

  1. 초음파법
  2. 반발경도법
  3. 전자파 레이더법
  4. 자연전위법
(정답률: 52%)
  • 철근부식은 철근 내부의 부식으로 인해 구조물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철근의 부식 상태를 파악하는 비파괴검사가 필요합니다. 이 중 자연전위법은 철근의 부식 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자연전위법은 철근의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철근과 지하수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철근의 부식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며, 철근의 부식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방법 중 반발경도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발경도법에는 직접법, 간접법, 표면법 등이 있다.
  2. 측정 가능한 콘크리트 강도의 범위는 사용할 측정기기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60MPa정도이다.
  3. 슈미트해머에 의한 측정점의 수는 측정치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20점을 표준으로 한다.
  4. 공시체의 타격할 경우에는 공시체의 구속정도에 따라 반발도는 달라진다.
(정답률: 45%)
  • "공시체의 타격할 경우에는 공시체의 구속정도에 따라 반발도는 달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슈미트해머라는 기기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일정한 에너지로 타격을 가한 후, 그 반발하는 에너지를 측정하여 압축강도를 계산합니다. 이 때, 측정 가능한 콘크리트 강도의 범위는 사용할 측정기기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60MPa정도이며, 슈미트해머에 의한 측정점의 수는 측정치의 신뢰도를 고려하여 20점을 표준으로 합니다. 반발경도법에는 직접법, 간접법, 표면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하중 재하기간이 60개월 이상된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있다. 하중 재하 시 탄성처짐량이 20mm 발생했다고 하면 부재의 총처짐량은? (단, 압축철근비는 0.02)

  1. 20mm
  2. 30mm
  3. 40mm
  4. 50mm
(정답률: 52%)
  • 총처짐량은 탄성처짐량과 비영구적처짐량의 합으로 구성된다. 비영구적처짐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체적변형으로, 이 경우에는 크리프 현상이 발생한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하중을 가하고 나서 탄성처짐량이 20mm 발생했다고 하였다. 이는 하중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발생하는 변형량으로, 비영구적처짐량은 아직 계산되지 않았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부재의 하중 재하기간이 60개월 이상이므로, 비영구적처짐량은 이미 거의 모두 발생한 상태이다. 따라서 비영구적처짐량은 탄성처짐량의 약 2배인 40mm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총처짐량은 탄성처짐량 20mm과 비영구적처짐량 40mm의 합인 60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0mm"이 아니라 "6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