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콘크리트재료 및 배합
1. 현장에서 12회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표준편차는 2.0MPa이었다. 설계기준 압축강도 (fck)가 28MPa 일 때 배합강도 (fcr)는?
2. 골재의 체가름 시험(KS F 2502)에 사용되는 시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콘크리트용 골재의 유해물 함유량의 허용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다음 중 골재에 관련된 일반적인 시험이 아닌 것은?
5. 화학 혼화제 중 AE감수제를 성능에 따라 분류할 때 그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6.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제시된 콘크리트 배합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재의 종류와 특성에 관한 조합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굵은 골재의 밀도시험 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절대건도 상태의 밀도를 구하면?
9.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표준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 콘크리트의 혼합에 사용되는 물에 관한 다음 설명중 KS F 4009 부속서 2(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혼합에 사용되는 물)의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 골재 품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2. 배합설계에서 고려해야할 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13. KS 관련규격에 따라 콘크리트용 잔골재에 대한 시험을 하고자 할 때, 시험시간이 가장 오래 소요되는 시험항목은? (단, 시험에 필요한 용액은 미리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14.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거리가 먼 것은?
15. 시방배합의 단위량과 현자골재의 입도가 다음과 같을 때, 현장배합의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굵은골재량은?
16. 조립률이 2.20과 3.10인 두 종유의 골재를 질량비로 각각 7.3의 비율로 혼합한 경우 혼합골재의 조립률은?
17. 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8.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잔골재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 포틀랜드 시멘트를 화학 분석한 결과 Na2O가 0.1% 및 K2O가 0.9%이다. 이 시멘트의 총알칼리량은?
20. 굵은골재의 마모시험 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이 굵은 골재의 마모율은?
2과목: 콘크리트제조, 시험 및 품질관리
21. 슬럼프가 25mm인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허용 오차로서 옳은 것은? (단, KS F 4009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규정을 따른다.)
22. 지름 150mm, 높이 300mm 인 공시체의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공시체가 100kN의 하중에 퐈괴되었다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23. 믹서의 효율을 시험하기 위하여 믹서로 비빈 굳지 않은 콘크리트 중의 모르타릐와 굵은골재량의 변화율 시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굵은골래의 최대치수가 25mm인 경우 시료의 양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24. 어떤 콘크리트시료의 압축강고 시험결과 평균값이 24MPa이고 ,표중편차가 4.8MPa이었다면 변동계수는?
25.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초기 균열의 일종인 침하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틀린 것은?
26. 콘크리트의 받아들이기 품질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7. 콘크리트의 탄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8.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반죽질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재료의 비비기에 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30. 물-시멘트비를 작게 하여도 개선되지 않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은 어느 것인가?
31. 관입 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의 응결시험에 대한 아래 표의 ( )에 들어갈 수치로 옳은 것은?
32. 관리도의 종류와 적용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3. 일반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계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품질 기준중 여화물 함유량에 대한 규정내용으로 옳은 것은?
35. 중성화의 깊이가 6.4m가 되려면 일반 적인 경우에 있어서 소요되는 경과년수는 약 몇 년인가?(단, 중성화 속도 계수는 6이다.)
36. 1배치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량이 1000kg인 경우 허용 계량오차를 고려한 굵은 골재의 허용범위를 구한 것으로 옳은 것은?
37.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8. 콘크리트 내의 철근부식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비파괴시험이 아닌 것은?
39. 공시체의 형상 및 시험방법이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0. 콘크리트 응결 특성에 관계되는 요소로서 거리가 먼 것은?
3과목: 콘크리트의 시공
41. 건식방식의 숏크리트 배합을 정할 때 선정해야 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42. 콘크리트의 비비기로부터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3.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재가 아닌 것은?
44. 한중 콘크리트의 강도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적산 온도의 개념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θ:△t시간 중의 콘크리트의 평균 양생온도(℃), A:정수로서 일반적으로 10℃를 사용, △t:시간(일))
45. 다음 중 서중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균열에 대한 대책으로 옳은 것은?
46. 숏크리트 작업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47. 매스콘크리트로 다루어야 하는 구조물의 부재 치수의 일반적인 표준으로 옳은 것은?
48.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25mm인 골재를 사용한 해양콘크리트 환경조건이 물보라지역 및 해상 대기중에 위치한 때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정해지는 최소 단위시멘트량은?
49. 다음 중 공장에서 콘크리트 제품의 양생 시에 주로 이용하는 촉진양생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0. 한중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1. 콘크리트 타설시 슈트, 펌프배관, 버킷,호퍼 등의 배출구와 타설면까지의 낙하 높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52.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비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3. 콘크리트 공장제품의 성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다지기 방법이 아닌 것은?
54.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수중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배관 선단 부분을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 속으로 묻어 넣어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방지하여야 한다. 이때 묻어 넣는 깊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55.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6. 다음 중 콘크리트의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표면 마무리 방법이 아닌 것은?
58.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59.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21Mpa 인 경우 슬래브 및 보의 밑면, 아치 내면의 거푸집은 콘크리트 압축강도(fcu)가 몇 MPa 이상인 경우 해체할수 있는가?
60. 팽장콘크리트의 시공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과목: 콘크리트 구조 및 유지관리
61. 비합성 띠철근 기둥의 전체 단면적 (Ag)이 60000mm2인 경우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철근량은?
62. 다음 중 콘크리트의 균열 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63. 설계기준 항복강도가 400MPa인 이형철근을 사용한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 및 온도철근에 대한 최소 철근비는?
64. 콘크리트 공사 중에 플라스틱수축균열이 발생한 가능성이 있다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65.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반발 경도 시험(KS F 2730)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6. 콘크리트의 탄산화 진행속도를 크게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67. 어떤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하중이 재하됨과 동시에 순간적인 탄성처짐 20mm가 발생하였으며, 이 하중이 5년 이상 지속적으로 재하되는 경우 이 부재의 최종적인 총 처짐은? (단, 단순보로서 압축철근비는 0.02)
68. 자중을 포함한 수직하중 800kN을 받는 독립 확대기초를 정사각형 단면으로 설계하고자 한다. 지반의 허용지지력이 200kN/m2일 때 기초 단면의 한 변 길이의 최소값은?
69. 아래의 표에서 설명하는 균열보수공법을?
70. 다음 중 탄산화 깊이 조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1. 보수공법 중 표면처리 공법을 적용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균열은?
72. 철근콘크리트가 성립되는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73.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4.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무엇과 반비례하는가?
75.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각각 80KN/m, 100KN/m의 등분포하중으로 작용하는 보의 설계하중을 구하면? (단, 강도설계법에 의한 하중계수와 하중조합을 고려하시오.)
76. 콘크리트 바닥판의 보강 공법 중 연속섬유시트접착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7. 콘크리트 균열의 깊이를 축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8. 경간이 20m인 거더에 단면적이 557mm2인 PS강재를 사용하여 양단에 500kN을 긴장하여 보강하고자 할 때, PS 강재에 발생하는 늘음량은? (단, PS강재에 탄성계수는 2×105MPa이며, 긴장재의 마찰과 콘크리트의 탄성수축은 무시한다.)
79. 응벽의 안정조건에 애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0. 폭 b=300mm, 유효깊이 d=500mm인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 인장철근 As=2570mm2인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fck=27MPa, fy=400MPa일 때 이 단면의 공칭힘강도(Mn)를 구하면?
따라서, fcr = fck × γc = 28 × 1.5 = 42MPa 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측정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표준편차가 2.0MPa이므로, 실제 강도는 평균값에서 표준편차의 1.64배 이상 높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안전율을 1.64로 설정하면,
fcr = fck × γc / 1.64 = 28 × 1.5 / 1.64 = 25.7 ≈ 26MPa
따라서, 가장 근접한 정답은 "36.5MPa"이 아닌 "35.0MP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