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7-31)

축산기능사
(2011-07-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축산개론

1. 난자와 정자가 수정이 이루어지는 부위는?

  1. 자궁
  2. 난관
  3. 난소
(정답률: 80%)
  • 난자는 난소에서 생성되고, 정자는 고환에서 생성됩니다. 그리고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지는 곳은 난관입니다. 이유는 난자가 난소에서 생성된 후 난관을 통해 자궁으로 이동하며, 이동 중에 정자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난관은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추동물의 위 모양 유문샘부에 해당하는 곳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80%)
  • 반추동물의 위 모양은 "U"자 모양이며, 유문샘부는 위쪽에 위치한 입구를 말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4"가 유문샘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칠면조의 품종이 아닌 것은?

  1. 브론즈종
  2. 내러갠싯종
  3. 백색 홀랜드종
  4. 톨루즈종
(정답률: 67%)
  • 톨루즈종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칠면조의 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 중 소의 신장에 해당 되는 것은?

(정답률: 81%)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신장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심장, 폐, 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번식에 관계하는 호르몬 중 자궁을 수축시켜 출산을 촉진시키고 젖 배출을 돕는 호르몬은?

  1. 에스트로겐
  2. 테스토스테론
  3. 옥시토신
  4. 프로게스테론
(정답률: 83%)
  • 옥시토신은 자궁수축을 촉진시켜 출산을 돕고, 분만 후에는 젖을 배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번식과 관련된 호르몬 중 자궁을 수축시켜 출산을 촉진시키고 젖 배출을 돕는 호르몬은 옥시토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돼지 품종 중 미국이 원산이며 털빛이 적갈색으로 도체율이 타 돼지 품종보다 높은 것은?

  1. 요크셔종
  2. 랜드레이스종
  3. 듀록종
  4. 햄프셔종
(정답률: 75%)
  • 미국 원산이며 털빛이 적갈색인 것은 "듀록종"입니다. 또한, 도체율이 타 돼지 품종보다 높은 것도 "듀록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결핍이 되면 암컷에서는 불임이나 유산이 오며 수컷에서는 고환이 퇴화하며 정자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므로 불임의 원인이 되는 비타민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D
  3. 비타민 E
  4. 비타민 K
(정답률: 75%)
  • 비타민 E는 성호르몬의 생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식기 조직의 세포막을 보호하여 불임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정자의 운동성을 향상시켜 불임을 예방하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비타민 E 결핍은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돼지의 기생충과 관계가 먼 것은?

  1. 위충
  2. 회충
  3. 편충
  4. 신충
(정답률: 69%)
  • 위충은 돼지의 기생충과 관계가 없는 벌레입니다. 위충은 주로 식물을 먹고 생활하며, 돼지와 같은 동물에게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충은 돼지의 기생충과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닭에서 강제 털갈이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휴산기간이 짧아진다.
  2. 알껍질이 두꺼우며 치밀하다.
  3. 수정률은 높고 부화율은 낮다.
  4. 관리가 용이하고 연중 원하는 시기에 실시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수정률은 높고 부화율은 낮다는 것은, 강제 털갈이로 인해 닭의 털이 빠져서 정화된 상태로 육질이 좋아지지만, 이로 인해 알의 수분이 증발되어 알의 무게가 감소하고 부화율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공수정 방법 중 한손을 직장에 넣어 자궁경관부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정액주입기를 자궁경관에 천천히 넣어 경관부를 손으로 확인한 다음 주입하는 인공수정 방법은?

  1. 인공질법
  2. 질경법
  3. 타진주입법
  4. 직장질법
(정답률: 76%)
  • 이 방법은 "직장질법"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정액을 직접 자궁경관에 주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직접적으로 자궁경관에 접근하지 않고 질 입구나 질 경부를 통해 정액을 주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장질법"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돼지의 법정 전염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돼지 단독
  2. 돼지 위축성비염
  3. 돼지 콜레라
  4. 돼지 일본뇌염
(정답률: 75%)
  • 돼지 위축성비염은 법정 전염병이 아닙니다. 이는 돼지의 호흡기 감염병으로, 주로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합니다. 하지만 돼지 콜레라나 일본뇌염은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치사유전자에 의해 나타나는 돼지의 질병은?

  1. 거위 걸음
  2. 항문폐쇄
  3. 헤르니아
  4. 탈모증
(정답률: 82%)
  • 치사유전자에 의해 나타나는 돼지의 질병 중 항문폐쇄는 항문이 막혀서 배설물이 축적되어 창자가 팽창하고 염증이 생기는 질병입니다. 이는 돼지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치사율이 높은 질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축 사양 중 사료의 위생상태가 좋지 못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사료중독
  2. 영양실조
  3. 사료효율향상
  4. 소화장애
(정답률: 84%)
  • 사료의 위생상태가 좋지 못할 때 나타나는 현상은 "사료중독", "영양실조", "소화장애"입니다. 이는 사료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나 세균 등으로 인해 가축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반면, "사료효율향상"은 사료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료의 조성과 공급량, 그리고 가축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사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입체 부화기의 입란실 최적온도는 전 부화기간을 통해 몇 ℃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32~33℃
  2. 37~38℃
  3. 42~43℃
  4. 47~48℃
(정답률: 84%)
  • 입체 부화기에서는 알의 발달과 부화를 위해 일정한 온도가 필요합니다. 이때, 입란실의 최적온도는 37~38℃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는 적정한 온도로 알의 발달과 부화에 필요한 열량을 제공하면서도 과열로 인한 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 부화기간을 통해 이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축의 몸체를 이루고 있는 조직 중 동물체의 표면이나 내장의 관 또는 체강을 덮고 있는 조직은?

  1. 상피조직
  2. 결합조직
  3. 근육조직
  4. 신경조직
(정답률: 80%)
  • 상피조직은 동물체의 표면이나 내장의 관 또는 체강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피부나 소화관 등의 내장기관을 덮고 있습니다. 이 조직은 외부와 내부를 구분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물질의 흡수나 배설, 분비 등의 기능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싹이 난 감자나 푸른색 감자를 가축에 급여시 일어나는 식중독 증상의 원인 물질은?

  1. 아질산
  2. 고시폴
  3. 솔라닌
  4. 아민
(정답률: 80%)
  • 솔라닌은 감자의 녹말이 자외선이나 물 등의 자극을 받아 생기는 독성 물질로, 가축에게 급여시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병아리의 다발성 신경염은 어떤 비타민의 결핍증상으로 나타나는가?

  1. 비타민 A
  2. 비타민 D
  3. 비타민 E
  4. 비타민 B1
(정답률: 73%)
  • 병아리의 다발성 신경염은 비타민 B1 결핍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비타민 B1은 신경계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결핍 시 신경계 기능이 손상되어 다발성 신경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초유에는 상유에 없는 특수한 물질이 들어 있어 꼭 새끼에게 먹여야 되는데, 그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고단백질의 함유
  2. 소화가 잘 됨
  3. 고지방질의 함유
  4. 면역단백질의 함유
(정답률: 87%)
  • 초유에는 새끼가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 필요한 영양소들이 들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면역단백질은 새끼의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초유에는 면역단백질의 함유가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산칼슘제의 공급목적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뼈의 형성
  2. 알껍질 형성
  3. 몸의 색소 형성
  4. 치아의 형성
(정답률: 84%)
  • 인산칼슘제는 뼈, 치아, 알껍질 등의 형성에 필요한 무기질인 인과 칼슘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몸의 색소 형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몸의 색소는 멜라닌이라는 물질로 형성되며, 이는 태양광에 노출되거나 유전적인 요인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인산칼슘제는 몸의 색소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면양사육에 있어 결핍시 식모증(食毛症)을 유발하는 영양소는?

  1. 알칼리염류
  2. 단백질
  3. 지방
  4. 조사료
(정답률: 69%)
  • 알칼리염류는 면양사육에서 주로 사용되는 사료 중 하나로, 과다 섭취 시 칼슘과 인의 비율이 불균형해져 식모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양털이 비정상적으로 자라거나 빠지는 증상을 보이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따라서 면양사육에서는 알칼리염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식모증 예방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료작물

21. 호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인 다른 맥류보다 토양을 가리는 성질이 많다.
  2. 사일리지로만 이용하여 융통성이 없는 작물이다.
  3. 생육이 빠르나 추위에 약하다.
  4. 뿌리가 잘 발달되어 깊이 뻗어 있다.
(정답률: 68%)
  • 호밀은 뿌리가 잘 발달되어 깊이 뻗어 있기 때문에 토양 속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에서 건초는 조제방법에 따라 손실량의 차이가 크므로 세심한 주의를 하여 손실을 가능한 한 줄여야 하는데 다음 중 화본과 목초로 간초를 조제할 때 제조과정에서 그 손실이 가장 크게 예상되는 것은?

  1. 반전, 잡초 등의 과정에서 잎의 탈락에 의한 손실
  2. 퇴적과 건조지연 등에 의한 발효, 일광조사 및 공기 접촉에 의한 손실
  3. 비 및 이슬 등 강우에 의한 손실
  4. 세포가 사멸할 때까지의 호흡에 의한 손실
(정답률: 73%)
  • 비 및 이슬 등 강우에 의한 손실은 건초가 습기를 흡수하여 무거워지고, 또한 건조가 덜 이루어져서 건초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손실이 가장 크게 예상됩니다. 이는 건초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도 영향을 미치므로, 건초를 조제할 때에는 비가 오지 않는 날씨를 선택하거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를 보완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릉지가 많고 경사가 일반 경작지에 비해 심한 초지에서 산지초지용 트랙터는 안정성과 작업능률이 일반 평지용 트랙터와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면 산지용 트랙터의 특성과 관계가 먼 것은?

  1. 같은 크기의 포탈 차축(車軸)을 가져야 한다.
  2. 4륜구동형(four-wheel drive)으로 4바퀴에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 좋다.
  3. 차중의 분포 및 작업시 무게가 앞쪽에 40%, 뒤쪽에 60%가 분포되어야 한다.
  4. 양차축에 차동장치(differential locks both axile)가 있어야 한다.
(정답률: 73%)
  • "차중의 분포 및 작업시 무게가 앞쪽에 40%, 뒤쪽에 60%가 분포되어야 한다."는 산지 초지의 경사와 구릉지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고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앞쪽에 무게가 많이 분포되면 경사에서 뒤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뒤쪽에 무게가 많이 분포되면 구릉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산지용 트랙터의 특성과 관계가 먼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방목을 실시할 때 계절에 따른 휴목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봄이 여름과 가을보다 길어야 한다.
  2. 여름이 봄과 가을보다 길어야 한다.
  3. 가을이 봄과 여름보다 길어야 한다.
  4. 계절에 관계없이 같아야 한다.
(정답률: 74%)
  • 답: 여름이 봄과 가을보다 길어야 한다.

    방목은 휴목기간 동안 진행되며, 이는 축사 내에서 축사 청소, 소독, 수리 등을 포함한 소의 휴식과 관련된 작업을 의미한다. 그러나 휴목기간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며, 여름철에는 소가 더위에 쉬어야 하기 때문에 휴목기간이 봄과 가을보다 길어야 한다. 따라서 여름이 봄과 가을보다 길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초지조성 및 사료작물 재배 과정에서 진압을 하는 이유는?

  1. 모세관현상에 의한 수분공급으로 종자나 식물의 뿌리에 수분흡수를 쉽게 하기 위해
  2. 뿌리를 지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3. 흙이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4. 굵은 흙덩어리를 부수기 위해
(정답률: 67%)
  • 초지조성 및 사료작물 재배 과정에서 진압을 하는 이유는 "모세관현상에 의한 수분공급으로 종자나 식물의 뿌리에 수분흡수를 쉽게 하기 위해"입니다. 진압을 하면 흙이 밀착되어 모세관현상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뿌리가 수분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에 관계없는 세균은?

  1. 유산균
  2. 황산균
  3. 낙산균
  4. 초산균
(정답률: 69%)
  •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에 관계없는 세균은 황산균입니다. 이는 황산균이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유산균, 낙산균, 초산균은 사일리지 제조시 발효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익한 세균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추위에 강해 우리나라에서는 대관령지역이 재배하기에 알맞으며 줄기 기부에 볼록한 바늘줄기를 가지고 있는 목초는?

  1. 오처드그라스
  2. 톨 페스큐
  3. 티머시
  4. 이탈리안라이그래스
(정답률: 68%)
  • 티머시는 대관령지역에서 재배하기에 알맞은 식물이며, 볼록한 바늘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줄기 기부에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관령지역에서 재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거나, 바늘줄기가 볼록하지 않아 줄기 기부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목초의 분류 중 이용형태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1. 채초용
  2. 2년생(한해살이)
  3. 방석형
  4. 화본과 목초
(정답률: 66%)
  • 채초용은 작물 재배 시 채소와 함께 이용되는 목초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용형태에 따른 분류 중 채초용이 해당하며, 다른 보기들은 생약재, 생태복원용, 잡초 등 다른 분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토양을 가리는 성질이 적어 사토에서 사양토까지 가리지 않으며, 산성토양 및 염분이 많은 토양도 가리지 않고 방목시 고창증의 위험도 없으나 예취 후 재생이 느린 콩과 목초는?

  1. 알팔파(alfalfa)
  2. 레드 클로버(red clover)
  3.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
  4. 버즈 풋트 트레포일(birds foot trefoil)
(정답률: 51%)
  • 버즈 풋트 트레포일은 예취 후 재생이 느리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예취 후 재생이 빠르고 토양을 가리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방목시 고창증의 위험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근류균을 이용하는 작물은?

  1. 톨 페스큐
  2. 켄터키블루그래스
  3. 오처드그라스
  4. 알팔파
(정답률: 55%)
  • 알팔파는 근류균인 노바스코스포라와 공생하여 질소 고정을 돕는 작물로, 다른 작물에 비해 비교적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팔파는 비료 대체 작물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료작물을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벼과(화본과), 콩과(두과), 국화과, 십자화과 및 기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면 단백질 함량은 조금 낮지만 섬유소 함량이 높고, 단위 면적당 건물생산량이 높기 때문에 사초로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료작물은?

  1. 화본과(벼과) 사료작물
  2. 주과(콩과) 사료작물
  3. 국화과 사료작물
  4. 십자화과 사료작물
(정답률: 75%)
  • 화본과(벼과) 사료작물은 섬유소 함량이 높고, 단위 면적당 건물생산량이 높기 때문에 사초로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또한, 벼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식량작물 중 하나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고 가격이 저렴하여 사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료작물을 청예(靑刈)로 급여할 경우 유리한 점은?

  1. 이용하는데 노동력이 덜 든다.
  2. 이용적기(利用適期)가 빨라진다.
  3. 각종 영양소를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다.
  4. 가축의 건강 장애 유발을 막을 수 있다.
(정답률: 68%)
  • 청예는 식물이 자라는 초기 단계에서 잘라낸 것으로, 이 단계에서는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청예를 급여하면 가축에게 각종 영양소를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좋은 품질의 사일리지가 아닌 것은?

  1. 색깔이 가급적 밝은 갈색이다.
  2. 곰팡이가 없고 악취가 없다.
  3. 미끈미끈하고 푸석푸석하다.
  4. 입에 넣었을 때 상쾌한 산미를 느끼게 해야 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미끈미끈하고 푸석푸석하다."입니다. 사일리지는 보존을 위해 압축하고 발효시키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너무 높은 압력이 가해지거나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일리지가 미끈미끈하고 푸석푸석해집니다. 이는 사일리지의 보존성과 영양가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좋은 품질의 사일리지는 곰팡이가 없고 악취가 없으며, 입에 넣었을 때 상쾌한 산미를 느끼게 해야 합니다. 또한 색깔이 밝은 갈색인 것은 사일리지의 보존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파종상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1. 겉흙과 속흙에 물기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2. 매우 고운 가루 흙이 좋다.
  3. 씨앗이 자리를 잡는 바로 밑의 흙은 부드러워야 한다.
  4. 갈아 엎은 위층과 갈리지 않은 아래층의 흙은 수분과 양분의 이동이 있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69%)
  • 겉흙과 속흙에 물기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는 것은 파종 후 씨앗이 물을 흡수하여 발아하고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파종 전에는 물을 충분히 주어 흙이 충분히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작업기 중 목초를 직접 베는데 이용되는 기계는?

  1. 테더(tedder)
  2. 레이크(rake)
  3. 로터리(rotary)
  4. 모어(mower)
(정답률: 63%)
  • 목초를 직접 베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는 "모어(mower)"입니다. "테더(tedder)"는 건조한 풀을 흩어주는 기계, "레이크(rake)"는 건조한 풀을 모아주는 기계, "로터리(rotary)"는 풀을 잘게 자르는 기계입니다. 하지만 "모어(mower)"는 풀을 베는 기계로, 직접적으로 목초를 베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연맥의 특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다른 맥류보다 추위에 강하다.
  2. 뿌리가 적어 수확한 다음 갈아엎기가 수월하다.
  3. 기호성이 좋으며 건초용으로 알맞다.
  4. 출수 후에 줄기가 굳어지는 것이 빠르다.
(정답률: 63%)
  • 연맥은 기호성이 좋고 건초용으로 알맞은 이유는, 연맥의 줄기가 얇고 부드러워서 건초로 만들기 적합하며, 농축된 영양분이 많아서 가축에게 좋은 사료가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북방형 목초는 일평균 기온이 몇 ℃ 이상일 때 하고 현상이 나타나는가?

  1. 5℃
  2. 10℃
  3. 15℃
  4. 25℃
(정답률: 68%)
  • 북방형 목초는 일평균 기온이 25℃ 이상일 때 하고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북방 지역의 기후 특성으로, 일평균 기온이 25℃ 이상이 되면 충분한 습도와 영양분이 있는 환경에서 목초가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후 조건에서 목초가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설명의 ()에 가장 적합한 초장은?

  1. 5~10
  2. 20~25
  3. 35~40
  4. 50~60
(정답률: 67%)
  • 주어진 그래프에서 가장 높은 막대는 20~25 구간에 위치하고, 이 구간의 값이 다른 구간보다 크기 때문에 정답은 "20~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산성 토양의 산도를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여야 할 성분은?

  1. 질소
  2. 인산
  3. 칼륨
  4. 석회
(정답률: 75%)
  • 산성 토양은 pH 값이 낮아서 산성이며, 이는 작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pH 값을 높여줘야 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석회입니다. 석회는 중성화 작용을 하여 pH 값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산성 토양의 산도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석회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생육초기의 수수×수단그라스를 다량 급여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중독현상은?

  1. 엔도파이트 중독
  2. 고창증
  3. 그라스테타니
  4. 청산중독
(정답률: 66%)
  • 수수×수단그라스는 청산을 함유하고 있어, 다량 급여 시 청산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산중독은 신경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등에 영향을 주어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축산경영

41. 축산경영에서 이윤극대화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

  1. 한계수입=평균비용일 경우
  2. 한계비용=한계수입일 경우
  3. 한계비용=평균가격일 경우
  4. 한계수입=최고비용일 경우
(정답률: 61%)
  • 정답은 "한계비용=한계수입일 경우"입니다.

    이윤극대화의 원칙은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을 비교하여 한계수입이 더 클 때 생산량을 늘리고, 한계비용이 더 클 때 생산량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는 생산량을 조절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한계비용은 생산량이 1개 증가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말하며, 한계수입은 생산량이 1개 증가할 때 얻는 수입을 말합니다. 이윤극대화를 위해서는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을 비교하여 한계비용이 한계수입보다 작을 때까지 생산량을 늘리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따라서, "한계비용=한계수입일 경우"에는 생산량을 더 이상 늘리지 않아도 이윤이 극대화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윤극대화의 원칙에 부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낙농경영에서 젖소가격이 높을 때 수익성을 낮게 만드는 요인은?

  1. 산유량 증가
  2. 번식률 향상
  3. 이용연한 단축
  4. 번신간격 단축
(정답률: 67%)
  • 이용연한 단축은 젖소의 유제품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입니다. 이는 젖소의 체내 에너지가 젖소의 몸무게 유지와 운동 등에 사용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용연한 단축이 발생하면 젖소의 생산성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수익성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양돈경영에서 생산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1. 사료값
  2. 방역비
  3. 인공수정료
  4. 돼지수송비
(정답률: 77%)
  • 양돈경영에서 생산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사료값입니다. 이는 돼지의 성장과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주요 비용으로, 사료값이 높아질수록 생산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사료값을 절감하는 것이 양돈경영에서 중요한 경영전략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젖소(초산우)의 취득원가 2000000원, 내용연수 6년, 노폐우 판매가격 1400000원일 때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1. 1000원
  2. 10000원
  3. 100000원
  4. 1000000원
(정답률: 71%)
  • 감가상각비는 취득원가에서 노폐우 판매가격을 뺀 후, 내용연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2000000원 - 1400000원) / 6년 = 100000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차입금 이자율의 수준을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것은?

  1. 고정자본율
  2. 자기자본율
  3. 총자본수익율
  4. 자기자본수익률
(정답률: 60%)
  • 자기자본수익률은 기업이 자기 자본으로 차입금을 상환할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차입금 이자율의 수준을 판단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준이 됩니다. 다른 지표들은 기업의 자본 구조나 총 이익에 대한 지표이기 때문에 차입금 이자율의 수준을 판단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경종농업에서 생산되는 유기물을 가축에 급여함으로써 축산물을 생산한다는 축산경영상의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2차 생산적 성격
  2. 초지와 간접적 관계
  3. 농업의 안정화
  4. 생활수단의 자급화
(정답률: 61%)
  • 경종농업에서 생산되는 유기물을 가축에 급여함으로써 축산물을 생산하는 것은 2차 생산적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농업 생산물을 가공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가축에게 유기물을 급여하여 축산물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농업과 축산업이 간접적인 관계를 가지며, 농업의 안정화와 생활수단의 자급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우와 미작(米作)을 복합적으로 경영했을 때 나타나는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1. 노동과 자재의 상호 이용기회가 적다.
  2. 노동생산성이 낮아지기 쉽다.
  3. 노동배분을 균등화하기 어렵다.
  4. 자연적 피해가 집중될 수 있다.
(정답률: 45%)
  • 한우와 미작을 복합적으로 경영하면 농작물과 가축 사이의 상호 이용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노동 생산성이 낮아지기 쉽습니다. 즉, 농부가 농작물과 가축을 모두 관리해야 하므로 노동력과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노동능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노동수단의 고도화
  2. 노동수단의 인력화
  3. 작업방법의 표준화
  4. 노동력 분배의 평균화
(정답률: 66%)
  • 노동수단의 인력화는 노동자의 역량과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기계나 자동화된 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므로, 노동능률을 높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동수단의 인력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집단대상 농가와 비슷한 경영형태를 가진 그 지역의 우수농가 평균치화 비교하는 진단방법은?

  1. 표준비교법
  2. 직접비교법
  3. 내부비교법
  4. 부문간 비교법
(정답률: 56%)
  • 직접비교법은 집단대상 농가와 같은 경영형태를 가진 우수농가를 직접 비교하여 평균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로 경영하는 농가들을 비교하여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우유 1kg당 젖소의 상각비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67%)
  • 정답은 "" 입니다.

    상각비는 고정비와 가변비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고정비는 생산량과 상관없이 일정한 비용이며, 가변비는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입니다.

    우유 1kg당 상각비는 생산량과 관계없이 일정한 비용이므로 고정비입니다. 따라서 상각비는 우유 생산에 드는 고정비를 생산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각 보기에서 상각비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 5000원 ÷ 5000kg = 1원/kg
    - "": 5000원 ÷ 10000kg = 0.5원/kg
    - "": 10000원 ÷ 5000kg = 2원/kg
    - "": 10000원 ÷ 10000kg = 1원/kg

    따라서 올바른 상각비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본 등식이 바르게 표기된 것은?

  1. 자산+부채
  2. 자산+자본
  3. 부채×자산
  4. 자산-부채
(정답률: 66%)
  • 자본 등식은 "자산 = 부채 + 자본"으로 표기됩니다. 이 식에서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나머지 값이기 때문에 "자산-부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축산물 생산비와 축산 경영비에 모두 포함되는 것은?

  1. 자가노동의 평가액
  2. 자기자본의 이자평가액
  3. 자기토지자본에 대한 이자
  4. 자기소유 종축에 대한 감가상각비
(정답률: 58%)
  • 축산물 생산비와 축산 경영비에는 축산물 생산과 관련된 모든 비용이 포함됩니다. 이 중에서 자기소유 종축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축산물 생산과 관련된 비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축산물 생산을 위해 필요한 축사, 우리 등의 시설물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가치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감가상각비로 계산하여 생산비에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소유 종축에 대한 감가상각비는 축산물 생산과 관련된 비용 중 하나로 생산비와 경영비에 모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축산경영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경영진단 지표는?

  1. 축산소득
  2. 자기자본 비율
  3. 부채비율
  4. 노동생산성
(정답률: 60%)
  • 축산소득은 축산물 생산과 판매로 인한 수익에서 생산비용을 차감한 후 남은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축산경영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 자기자본 비율은 자본금 대비 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부채비율은 부채 대비 자산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노동생산성은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제품의 수량을 노동력의 양으로 나눈 지표로, 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수익성 측면에서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지만, 축산경영의 전반적인 경영진단을 위해서는 중요한 지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축산물 유통의 조성기능에 해당되는 것은?

  1. 축산물의 저장
  2. 축산물의 표준화 및 등급화
  3. 축산물의 구매와 판매
  4. 원유의 집유
(정답률: 60%)
  • 축산물의 표준화 및 등급화는 유통과정에서 품질과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소비자가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결하여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축산물 유통의 조성기능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경영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지표는?

  1. 소득
  2. 자본이익율
  3. 자본생산성
  4. 부채비율
(정답률: 51%)
  • 부채비율은 기업이 현재까지 빌린 돈(부채)이 자기 자본에 대해 얼마나 큰 비율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기업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부채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적 위험이 높아지며, 부도 위험성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경영의 안정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우유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우유의 가격
  2. 콜라나 쥬스 등과 같은 대체음료의 가격
  3. 낙농가의 소득수준
  4. 국민들의 식습관
(정답률: 71%)
  • 낙농가의 소득수준은 우유의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우유의 가격, 대체음료의 가격, 국민들의 식습관은 모두 우유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지만, 낙농가의 소득수준은 우유 생산에 대한 비용과 관련이 있을 뿐, 소비자들이 우유를 구매하는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축산의 경영규모가 확대되어 가면서 경영관리의 우열에 따라서 경영성과에 커다란 차이가 나는 등 경영자 능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경영자 능력의 3가지 요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판단력
  2. 노동력
  3. 결단력
  4. 실행력
(정답률: 75%)
  • 판단력, 결단력, 실행력은 모두 경영자가 경영 환경에서 적절한 판단과 결정을 내리고 실행하는 능력과 관련된 요소이지만, 노동력은 경영자 개인의 능력과는 관계없이 조직 내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능력과 관련된 요소이기 때문에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돈을 구입하여 체중을 100~110kg정도 사육하여 판매하는 경영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종돈 생산경영
  2. 비육돈 생산경영
  3. 번식돈 생산경영
  4. 복합 양돈경영
(정답률: 77%)
  • 정답은 "비육돈 생산경영"입니다. 이는 자돈을 구입하여 일정 체중까지 사육한 후 판매하는 경영 형태를 말합니다. 이와 달리 "종돈 생산경영"은 번식용 돈을 생산하는 경영 형태이고, "번식돈 생산경영"은 번식용 돈을 생산하고 그 후손을 판매하는 경영 형태입니다. "복합 양돈경영"은 돈과 함께 다른 가축도 함께 사육하는 경영 형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달걀의 가격이 10%하락했을 때 그 수요량이 5%증가되었다. 이 때 달걀의 수요 탄력치는?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67%)
  • 달걀의 수요 탄력성은 (수요량 변화율 / 가격 변화율)로 계산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가격이 10% 하락했을 때 수요량이 5% 증가했으므로, 가격 변화율은 -10%이고 수요량 변화율은 5%입니다. 따라서 수요 탄력성은 (5% / -10%)로 계산되며, 이 값은 -0.5가 됩니다. 하지만 수요 탄력성은 보통 양수로 표현되므로, 절댓값을 취해주면 0.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농업조수익)-(농업경영비)”의 공식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은?

  1. 농외소득
  2. 농가소득율
  3. 농업소득
  4. 겸업소득
(정답률: 67%)
  • 농업조수익은 농업에서 얻는 수입을 의미하고, 농업경영비는 농업을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업조수익에서 농업경영비를 뺀 값이 농업소득이 됩니다. 이에 따라 정답은 "농업소득"입니다. 농외소득은 농업 외 다른 직업에서 얻는 수입을 의미하며, 농가소득율은 농가의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겸업소득은 농업 외 다른 직업과 농업을 병행하여 얻는 수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