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8-26)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2017-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파괴시험을 정적시험과 동적시험으로 나눌 때 동적시험에 해당하는 것은?

  1. 경도시험
  2. 피로시험
  3. 인장시험
  4. 크리프시험
(정답률: 62%)
  • 동적시험은 물체나 재료에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으로 힘을 가해주는 시험을 말한다. 이 중에서도 피로시험은 반복적인 하중에 의한 피로 파괴를 예측하기 위한 시험이다. 즉,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는 하중을 가해주며, 이로 인해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파괴되는 시험이다. 따라서 피로시험이 동적시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침투탐상시험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시험체의 크기 및 모양에 많은 제한을 받는다.
  2. 시험체의 표면온도에 따라 검사 감도가 달라진다.
  3. 시험체의 표면에 열려 있는 결함이어야만 검출이 가능하다.
  4. 다공성 또는 흡수력이 큰 재질로 구성된 시험체는 검사하기가 곤란하다.
(정답률: 67%)
  • 침투탐상시험의 단점 중 "시험체의 크기 및 모양에 많은 제한을 받는다."는 시험체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검사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검사 장비의 크기나 형태와도 관련이 있으며, 작은 시험체나 복잡한 형태의 시험체는 검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초음파탐상시험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시험물 내부상태를 단면 또는 평면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2. 가장 널리 이용하는 수동탐상방법은 연속파법이다.
  3. 균열성 결함은 검출하기가 매우 어렵다.
  4. 결함의 방향성은 검출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71%)
  • 초음파탐상시험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험물 내부를 탐상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험물 내부의 결함, 균열, 불순물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단면 또는 평면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물 내부상태를 단면 또는 평면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와전류탐상시험에 대한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관, 환봉, 선 등에 대하여 고속으로 검사가 가능하다.
  2. 결함크기, 재질변화 등을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비접촉 방법으로 원격조작이 가능하여 좁은 영역, 관의 내부 검사 등이 가능하다.
  4. 강자성 금속, 전도성이 좋은 재질 등의 검사가 용이하고, 자동으로 검사가 가능하므로 결함의 종류, 형상 등의 판별이 쉽다.
(정답률: 48%)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모든 답안이 정답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어진 필름을 10mAㆍmin 으로 노출했을 때 관심 부위의 농도가 0.8H&D 이었다. 관심부위의 농도를 2.0H&D 로 하고자할 때 필요한 노출(mAㆍmin)은 약 얼마인가?(단, 농도 0.8H&D 에서의 상대노출 logE = 1.00이고, 농도 2.0H&D 에서의 상대 노출 logE = 1.62 이다.)

  1. 22
  2. 42
  3. 62
  4. 82
(정답률: 55%)
  • 노출량과 농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logE = log(H&D) - log(노출량)

    따라서, 농도를 2.0H&D 로 높이기 위해서는 log(H&D) 값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logE 값을 1.62 로 높여야 한다.

    즉, 1.62 = log(H&D) - log(노출량) 이므로, log(H&D) - 1.62 = log(노출량) 이다.

    농도가 0.8H&D 일 때의 상대노출 logE 값이 1.00 이므로, log(H&D) - 1.00 = log(10mAㆍmin) 이다.

    따라서, log(H&D) = 2.62 이고, log(노출량) = 2.62 - 1.62 = 1.00 이다.

    이를 antilog 로 계산하면, 노출량은 10mAㆍmin x 10 = 100mAㆍmin 이다.

    따라서, 정답은 "4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체심입방격자에 관한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배위수는 8이다.
  2. 원자충진율은 약 68% 이다.
  3. 단위격자에 속한 원자수는 총 4개이다.
  4. Cr, Mo, V은 체심입방격자 금속에 해당된다.
(정답률: 75%)
  • "단위격자에 속한 원자수는 총 4개이다."가 틀린 것이다. 체심입방격자는 단위격자 내에 하나의 원자가 위치한 입방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단위격자에는 하나의 원자만 존재한다. 따라서 "단위격자에 속한 원자수는 총 1개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광석과 그에 따른 화학식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자철광 : Fe3O4
  2. 능철광 : Fe2O3
  3. 갈철광 : FeCO3
  4. 적철광 : 2Fe2O3ㆍ3H2O
(정답률: 61%)
  • 자철광은 Fe(철)와 O(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며, 화학식은 Fe3O4이다. 이는 철 3개와 산소 4개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자철광 : Fe3O4"이 올바른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황동에 Ni을 첨가한 것으로 색깔이 은과 비슷하여 예로부터 장식용, 식기, 악기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탄성, 내식성이 좋아 탄성재료, 화학기계용 재료에 사용되는 것은?

  1. 백동
  2. 양은
  3. 쾌삭 황동
  4. 네이벌 황동
(정답률: 73%)
  • 황동에 Ni을 첨가하면 색깔이 은과 비슷해지며, 이것을 양은이라고 부릅니다. 양은은 탄성과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탄성재료나 화학기계용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상온에서 냉간가공한 금속재료를 가열할 때 발생하는 조직변화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재결정 → 회복 → 결정립성장
  2. 결정립성장 → 회복 → 재결정
  3. 재결정 → 결정립성장 → 회복
  4. 회복 → 재결정 → 결정립성장
(정답률: 61%)
  • 상온에서 냉간가공한 금속재료를 가열하면 먼저 회복이 일어나게 된다. 회복은 금속재료 내부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과정으로,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으로 재결정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금속재료의 결정구조가 재배열되는 과정으로, 기존의 결정구조를 파괴하고 새로운 결정구조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결정립성장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새로운 결정구조가 성장하면서 금속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회복 → 재결정 → 결정립성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청동에서 취약한 성질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1. Cu2N
  2. Cu3P
  3. Fe2S
  4. Fe2N
(정답률: 73%)
  • 인청동은 대부분 구리(Cu)와 황(S)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Cu3P는 인청동에서 발견되는 화합물 중에서 가장 취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Cu3P가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색이 바래지고 부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청동 제작 과정에서 Cu3P가 형성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려고 노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합금주철에 첨가하는 원소 중 강력한 흑연화 억제제 이며 조직을 치밀하고 균일하게 하는 원소는?

  1. Cu
  2. Ni
  3. Ti
  4. V
(정답률: 55%)
  • 정답은 "V"입니다.

    합금주철에 첨가하는 원소 중 흑연화 억제제는 주로 크롬(Cr)이나 몰리브덴(Mo)이 사용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흑연화 억제제는 바로 바나듐(V)입니다. 또한 바나듐은 조직을 치밀하고 균일하게 만들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합금주철에 바나듐을 첨가하면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진 합금이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인 "Cu", "Ni", "Ti"도 합금주철에 첨가되는 원소 중 하나이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구리(Cu)는 합금의 연성과 전기전도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니켈(Ni)은 합금의 내식성과 내열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티타늄(Ti)은 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Fe-C계 평형상태도 상의 1490℃에서 δ 고용체 + 용융액 ⇔ γ 고용체로 되는 반응은?

  1. 공정반응
  2. 공석반응
  3. 포정반응
  4. 편석반응
(정답률: 62%)
  • Fe-C계 평형상태도에서 1490℃에서 δ 고용체 + 용융액 ⇔ γ 고용체로 되는 반응은 포정반응이다. 이는 탄소의 농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용융액과 고용체 간의 상호 변환이 일어나는 반응으로, 탄소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포정반응이라고 불린다. 이 반응은 철과 탄소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철과 탄소의 비율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초경합금의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고온에서 변형이 많다.
  2. 내마모성과 압축강도가 높다.
  3. 고온 경도 및 강도가 양호하다.
  4. 사용목적에 따라 재질의 종류 및 형상이 다양하다.
(정답률: 60%)
  • "고온에서 변형이 많다."는 초경합금의 특성 중 틀린 것이다. 초경합금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며, 고온에서 변형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초경합금이 고온에서도 높은 내열성과 내산화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8 - 8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r 8%, Ni 18% 를 함유한 스테인리스강으로 마텐자이트 조직을 갖는다.
  2. W 18%, Ni 8% 를 함유한 스테인리스강으로 펄라이트 조직을 갖는다.
  3. Cr 18%, Ni 8% 를 함유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다.
  4. Ni 8%, W 18% 를 함유한 스테인리스강으로 페라이트 조직을 갖는다.
(정답률: 82%)
  • "Cr 18%, Ni 8% 를 함유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크롬과 니켈은 스테인리스강에서 중요한 합금 원소로, 크롬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니켈은 강도와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은 스테인리스강에서 가장 일반적인 조직으로,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하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어떤 재료를 인장시험하여 항복 구역까지 소성 변형시킨 후 하중을 제거했을 때의 응력-변형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재료로 옳은 것은?

  1. 수소저장합금
  2. 탄소공구강
  3. 초탄성합금
  4. 형상기억합금
(정답률: 63%)
  • 그림에서 보이는 처음의 선형 구간은 탄성 구간이며, 이후에는 일정한 응력에 대해 변형이 계속 증가하는 비탄성 구간이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은 초탄성합금에 해당한다. 초탄성합금은 탄성계수가 매우 높아 변형에 대한 회복력이 뛰어나며, 고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재료는 초탄성합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교류 아크 용접기는 무부하 전압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있다. 다음 중 용접사를 보호하기 위한 부속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원격제어장치
  2. 전격방지장치
  3. 핫 스타트 장치
  4. 고주파 발생 장치
(정답률: 71%)
  • 교류 아크 용접기는 높은 전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접사를 보호하기 위한 부속장치로는 전격방지장치가 가장 적합합니다. 전격방지장치는 용접기의 전압이 높아져도 용접사에게 전기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용접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전격방지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용접부의 변형 교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롤러에 거는 방법
  2. 아크 에어 가우징법
  3. 박판에 대한 점 수축법
  4. 형재에 대한 직선 수축법
(정답률: 52%)
  • 아크 에어 가우징법은 용접부의 변형 교정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용접 부위에 공기압을 가해 용접부를 교정하는 방법으로, 실제로는 용접 부위의 변형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피복 아크 용접에서 정격 2차 전류가 300A, 정격 사용률이 50%인 아크용접기로 실제 200A의 전류로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허용 사용률은 약 몇 % 인가?

  1. 113
  2. 120
  3. 144
  4. 165
(정답률: 50%)
  • 정격 2차 전류가 300A이고 정격 사용률이 50%이므로 최대 사용 가능한 전류는 150A입니다. 따라서 실제 사용한 전류 200A는 최대 사용 가능한 전류 150A보다 크므로 허용 사용률은 150/200 = 0.75, 즉 75% 이하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113"은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용접봉 기호 E 4316에서 E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용접자세
  2. 아크 안정제
  3. 가스 용접봉
  4. 피복 아크 용접봉
(정답률: 63%)
  • E는 용접봉의 재료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이 경우에는 피복 아크 용접봉을 의미합니다. 피복 아크 용접봉은 용접 시에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피복재가 덧대어져 용접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용접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잔류응력이 존재하는 제품에 인장이나 압축하중을 주어 용접부에 약간의 소성 변형을 시킨 후 하중을 제거하는 잔류 응력 완화 방법은?

  1. 피닝법
  2. 국부 풀림법
  3. 저온 응력 완화법
  4. 기계적 응력 완화법
(정답률: 56%)
  • 기계적 응력 완화법은 인장이나 압축하중을 가해 용접부에 약간의 소성 변형을 일으킨 후 하중을 제거하여 잔류 응력을 완화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대부분의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기계적 응력 완화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기탐상검사 원리 및 규격

21. 다음 중 자속의 단위로 옳은 것은?

  1. T
  2. G
  3. Wb/m2
  4. Wb
(정답률: 61%)
  • 자속의 단위는 웨버(Wb)이다. 자속은 자기장의 세기와 면적의 곱으로 나타내는데, 자기장의 단위는 테슬라(T)이고 면적의 단위는 제곱미터(m^2)이므로, 자속의 단위는 테슬라 x 제곱미터 = 웨버(Wb)이 된다. 따라서 "W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분탐상시험시 자분 모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자화 방법
  2. 시험체의 크기
  3. 불연속의 크기 및 형태
  4. 자장(자계)의 방향과 강도
(정답률: 82%)
  • 자분탐상시험은 시험체의 크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시험체의 크기가 자분 모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다른 요인들도 중요하지만, 시험체의 크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시험체 외부의 도체에 통전하여 시험체를 자화 시키는 검사법의 조합은?

  1. 전류관통법, 코일법
  2. 축통전법, 직각통전법
  3. 극간법, 프로드법
  4. 자속관통법, 축통전법
(정답률: 58%)
  • 시험체 외부에 전류를 흘려보내어 시험체를 자화시키는 전류관통법과, 시험체 주위에 코일을 두어 자기장을 발생시켜 시험체를 자화시키는 코일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류관통법은 시험체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유용하며, 코일법은 시험체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두 검사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시험체의 내부와 표면 결함을 모두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요크 장비의 성능 측정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케토스링 시험
  2. 전자속 측정
  3. A형 표준 시험편 측정
  4. 인상력 시험
(정답률: 76%)
  • 요크 장비는 주로 인상력을 측정하는 운동기구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성능 측정 방법은 인상력 시험입니다. 인상력 시험은 요크 장비의 안정성과 사용자의 힘을 측정하여 운동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요크 장비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한다면 인상력 시험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500AㆍT/m의 자계 중에서 어떤 자극을 놓았을 때 3×103N의 힘이 작용한 경우 자극의 세기[Wb]는?

  1. 2
  2. 3
  3. 5
  4. 6
(정답률: 49%)
  • 자기장 세기 H와 자기유도율 N을 이용하여 힘 F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F = H2 × N × A

    여기서 A는 자기장과 수직인 면적이다.

    주어진 자기장 세기 H와 힘 F를 이용하여 자기유도율 N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N = F / (H2 × A)

    주어진 힘 F는 3×103N이고, 자기장 세기 H는 500AㆍT/m이다. 면적 A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생략한다.

    N = 3×103N / (500AㆍT/m)2 = 0.024 Tㆍm2/A

    따라서 자극의 세기는 자기유도율 N과 자기장 세기 H를 곱한 값인 다음과 같다.

    B = N × H = 0.024 Tㆍm2/A × 500AㆍT/m = 12 T

    단위를 Wb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B = 12 T = 12 Wb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Wb/m2
  2. T(tesla)
  3. Mx(Maxwell)
  4. G(Gauss)
(정답률: 83%)
  • "Mx(Maxwell)"는 자속(magnetic flux)의 단위이지만, 자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의 단위는 "Wb/m2" 또는 "T(tesla)"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Mx(Maxwe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접통전법이 아닌 것은?

  1. 프로드법
  2. 축통전법
  3. 직각통전법
  4. 전류관통법
(정답률: 81%)
  • 전류관통법은 전류가 직접 몸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전류가 흐르는 금속 물체와 몸 사이에 있는 공간에서 전기장이 발생하여 몸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직접통전법이 아닙니다. 반면, 프로드법, 축통전법, 직각통전법은 모두 직접적으로 전류가 몸을 통과하는 방법으로 직접통전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분탕상시험에서 습식자분을 선택할 경우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액체 중에 잘 분산하는 것
  2. 액체 중에서 침강 속도가 느린 것
  3. 장기간 침전하지 않는 것
  4. 점성이 큰 것
(정답률: 93%)
  • 습식자분은 액체 중에서 잘 분산하고 침강 속도가 느리며, 장기간 침전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점성이 큰 것"은 습식자분을 선택할 경우 요구되는 성질로 틀린 것입니다. 점성이 큰 물질은 침전 속도가 빠르고 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습식자분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래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봉형 자기도체에 교류를 통과시킬 때의 자기 분포도
  2. 구멍 뚫린 자기도체에 직류를 통과시킬 때의 자기 분포도
  3. 봉형 자기도체에 직류를 통과시킬 때의 자기 분포도
  4. 비자기도체에 직류를 통과시킬 때의 자기 분포도
(정답률: 60%)
  • 정답은 "봉형 자기도체에 교류를 통과시킬 때의 자기 분포도"이다. 이유는 교류를 통과하는 경우 전류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자기장도 계속해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봉형 자기도체 내부의 자기 분포도를 알기 위해서는 교류를 통과시켜서 자기장의 분포를 살펴봐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누설자속 탐상시험에서 센서와 시험체의 상대위치에 기인하는 영향은 무엇인가?

  1. 결함의 형상, 자화크기
  2. Lift-off, 탐상속도
  3. 자화방향, Lift-off
  4. Skin effect, Lift-off
(정답률: 52%)
  • 누설자속 탐상시험에서 Lift-off와 탐상속도는 센서와 시험체의 상대위치에 기인하는 영향입니다. Lift-off는 센서와 시험체 사이의 거리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영향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신호 강도가 약해지게 됩니다. 탐상속도는 센서가 시험체를 향해 이동하는 속도로, 속도가 빠를수록 신호 강도가 약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의 합격기준(ASME Sec.Ⅷ Div.1 App.6)에서 관련지시로 간주하는 지시모양의 길이 기준은?

  1. 1/32인치 이하
  2. 1/32인치 초과
  3. 1/16인치 이하
  4. 1/16인치 초과
(정답률: 55%)
  • 자분탐상검사에서 관련지시로 간주하는 지시모양의 길이 기준은 "1/16인치 초과"입니다. 이는 검사 중 발견된 결함이 일정 크기 이상이어야 하며, 이 기준 이하의 결함은 무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32인치 이하"와 "1/16인치 이하"는 기준 이하이므로 합격할 수 없습니다. "1/32인치 초과"는 기준 이상이지만, "1/16인치 초과"보다는 작기 때문에 합격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0213)에서 충격전류를 사용하여 잔류법으로 검사할 경우 1회 통전시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120초 미만
  2. 1/120초 이상
  3. 1/4초 이상
  4. 1초 이상
(정답률: 51%)
  •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에서 충격전류를 사용하여 잔류법으로 검사할 경우, 1회 통전시간은 충격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말합니다. 이 시간이 너무 짧으면 충격전류가 충분히 흐르지 않아 검사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KS D0213에서는 1회 통전시간의 기준을 정해놓고 있으며, 이 기준은 "1/120초 이상"입니다. 즉, 충격전류가 1/120초 이상 흐르도록 검사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 0213)에서는 A형 표준시험편의 용도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다음 중 A형 표준시험편의 용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장치, 자분 검사액의 성능평가
  2. 연속법에 있어서 유효자장의 강도 및 방향
  3. 탐상 유효범위 조사
  4. 검출할 수 있는 결함 깊이 예측(측정)
(정답률: 70%)
  • "검출할 수 있는 결함 깊이 예측(측정)"은 A형 표준시험편의 용도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A형 표준시험편이 결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결함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함의 깊이를 예측하거나 측정하는 것은 A형 표준시험편의 용도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0213)에 규정된 의사모양 중 잔류법에서 시험체가 서로 접촉했을 때 또는 다른 강자성체에 접촉했을 때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한 자분모양은?

  1. 전극 지시
  2. 자기펜 자국
  3. 재질경계 지시
  4. 단면급변 지시
(정답률: 68%)
  • 잔류법에서 시험체가 서로 접촉했을 때 또는 다른 강자성체에 접촉했을 때 생기는 누설자속에 의한 자분모양은 자기펜 자국입니다. 이는 자기력선의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자성체 입자가 누적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자성체 입자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펜 자국은 자성체 입자의 분포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지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0213)에서 “시험 기록” 중 시험 조건으로 반드시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시험 장치
  2. 자분의 모양
  3. 시험실 온도
  4. 자분의 적용시기
(정답률: 73%)
  • 시험 기록 중 시험 조건으로 반드시 작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시험실 온도"이다. 이는 시험 장치와 자분의 모양은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자분의 적용시기는 시험 결과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험실 온도는 시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Ⅴ Art.7)에서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예비검사를 수행한다. 이에 관한 사항 중 맞는 것은?

  1. 적정 전류의 50% 정도를 사용하여 큰 결함을 먼저 검출하는 것을 말한다.
  2. 표면에 개구된 불연속으로 인하여 자분이 집적되거나 유지되지 못하는 부분을 미리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3. 사용하는 자화 기법과 다른 방법으로 적용 하여 큰 결함을 먼저 검출하는 것을 말한다.
  4. 예비 검사는 자장의 적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소 매주에 한번 점검한다.
(정답률: 58%)
  • "표면에 개구된 불연속으로 인하여 자분이 집적되거나 유지되지 못하는 부분을 미리 점검하는 것을 말한다." 이유는 검사 대상이 되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표면에 개구된 부분이 있을 경우, 자분이 집적되거나 유지되지 못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리 점검하여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0213)에서 자화방법이 전류관통법일 때 부호로 옳은 것은?

  1. P
  2. B
  3. C
  4. M
(정답률: 86%)
  • 정답은 "B"입니다.

    자분탐상 시험에서 자화방법은 전류관통법과 자기선광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KS D0213에서는 전류관통법을 사용할 때 자분모양을 분류하는 부호로 "B"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Ⅴ Art.7)에 따른 자화장비의 교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비의 교정은 최소한 1년에 한번 해야 한다.
  2. 중대한 전기적 수리가 있는 경우 해야 한다.
  3. 장비를 1년 이상 사용하지 않은 경우 사용 전에 해야 한다.
  4. 시험결과의 신뢰도에 의문이 생겨 재시험해야 할 경우 해야 한다.
(정답률: 63%)
  • "시험결과의 신뢰도에 의문이 생겨 재시험해야 할 경우 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시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정을 하지만, 교정 후에도 시험결과의 신뢰도에 의문이 생길 경우에는 재시험을 해야 한다. 따라서 "시험결과의 신뢰도에 의문이 생겨 재시험해야 할 경우 해야 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Ⅴ Art.7)에 의거 그림과 같은 환봉을 선형좌화 할 때 필요한 자화전류[A]는? (단, 권선수는 4회로 한다.)

  1. 2250
  2. 3750
  3. 4250
  4. 4750
(정답률: 79%)
  • 이 문제는 자화전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자화전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자화전류 = 0.8 × (선형좌화력 / 권수)

    여기서 선형좌화력은 그림에서 주어졌으며, 권수는 권선수가 4회로 한다고 했으므로 4입니다. 따라서 자화전류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화전류 = 0.8 × (15000 / 4) = 0.8 × 3750 = 3000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을 고르라고 했으므로, 계산 결과와 일치하는 보기를 고르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7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KS D0213)에서 A형 표준시험편 사용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인공홈이 있는 면이 시험면 쪽에 잘 밀착되도록 시험면에 붙인다.
  2. 직선형의 경우 인공홈의 방향과 예상되는 자속방향이 평행하도록 부착시킨다.
  3. 자분 적용은 연속법으로 한다.
  4. 시방에 (A2-7/50)×2로 명기된 경우, A2-7/50으로 자분모양을 얻을 수 있는 자화전류치의 두 배로 전류를 적용한다.
(정답률: 64%)
  • "직선형의 경우 인공홈의 방향과 예상되는 자속방향이 평행하도록 부착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직선형의 경우 인공홈의 방향과 예상되는 자속방향이 수직하도록 부착시킨다."이다. 이유는 자성체의 자기장은 자성체의 긴 축 방향에 수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공홈의 방향과 자속방향이 수직하도록 부착해야 정확한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기탐상검사

41. 자분탐상검사에서 자분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자화방법
  2. 자계의 세기와 방향
  3. 불연속의 형상
  4. 시험체의 밀도
(정답률: 78%)
  • 자분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화방법, 자계의 세기와 방향, 불연속의 형상입니다. 그러나 시험체의 밀도는 자분의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험체의 밀도가 자분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분탐상시험용 ASME 시험편(Pie-Shaped Magnetic Particle Field Indicator)에 포함된 인공결함의 가공방식은?

  1. 줄 가공
  2. 기계가공
  3. 방전가공
  4. 경납접합
(정답률: 49%)
  • ASME 시험편(Pie-Shaped Magnetic Particle Field Indicator)에 포함된 인공결함은 경납접합으로 가공되었습니다. 이는 인공결함을 만들기 위해 두 개의 금속 조각을 경납으로 접합하여 만든 것입니다. 경납은 높은 용융점과 우수한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 인공결함을 만들기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분탐상검사에 사용되는 자분의 성능 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형광자분의 질량, 체적이 점검대상이다.
  2. 입도, 유동성, 착색계의 변색은 점검대상이다.
  3. 형광자분은 흡착성, 자성을 점검하지 않아도 된다.
  4. 보관 중 또는 사용 중 습기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78%)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자분의 입도, 유동성, 착색계의 변색을 점검합니다. 이는 자분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여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입도, 유동성, 착색계의 변색은 점검대상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분의 다른 특성을 언급하고 있으나, 이들은 자분의 성능 점검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분탐상검사에서 표면 직하 불연속 검출에 가장 효과적인 자화방법은?

  1. 교류-습식법
  2. 교류-건식법
  3. 직류-습식법
  4. 직류-건식법
(정답률: 68%)
  • 자분탐상검사에서 표면 직하 불연속 검출에 가장 효과적인 자화방법은 "직류-건식법"입니다. 이는 직류 자기장을 이용하여 샘플의 표면에 자기장을 인가하고, 이를 측정하여 불연속 부위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교류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더 높은 감도와 해상도를 가지며, 표면 상태에 민감하지 않아서 샘플의 표면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건식법은 샘플의 표면에 물이나 유체가 없어도 적용할 수 있어서 보다 넓은 적용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극간식 자분탐상장치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류 전자석을 이용한 자화기는 시험체 표면에 있는 결함에 한정되어 사용된다.
  2. 극간식 자화기는 시험체에 직접 통전하지 않으므로 자극면이 시험체에 밀착되지 않아야 자화능력이 높다.
  3. 직류 전자석을 이용한 자화기는 표피효과가 적기 때문에 시험체에 대한 자속의 유입깊이가 교류보다 깊다.
  4.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화기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자화기와 달리 전원이 필요 없다.
(정답률: 68%)
  • "극간식 자화기는 시험체에 직접 통전하지 않으므로 자극면이 시험체에 밀착되지 않아야 자화능력이 높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극간식 자분탐상장치는 시험체에 직접 통전하지 않고 자기장을 발생시켜 시험체를 자화시키는데, 이 때 자극면이 시험체에 밀착되어야 자화능력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누설자계를 측정하는 자속계에는 여러 가지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이중 공간의 교류와 직류의 자계 그리고 누설자속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속계는 어느 원리를 이용한 것인가?

  1. 홀 효과(Hall Effect)
  2. 끝단부 효과(End Effect)
  3. 진동자 효과(Crustal Effect)
  4.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
(정답률: 63%)
  • 정답은 "홀 효과(Hall Effect)"이다. 홀 효과는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질에서 자기장을 가하면 전자의 운동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의 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기장이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를 이용하여 자속계에서는 누설자속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자속계에서 사용되는 원리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분탐상시험에서 비형광자분지시를 관찰할 때의 시험체 표면조도와 형광자분을 관찰할 때의 암실 조도는?

  1. 350lx 이상-20lx 이하
  2. 500lx 이상-50lx 이하
  3. 350lx 이상-20lx 이하
  4. 500lx 이상-20lx 이하
(정답률: 95%)
  • 비형광자분지시는 시험체 표면의 조도가 너무 낮으면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최소 350lx 이상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반면에 형광자분을 관찰할 때는 암실 조도가 너무 높으면 형광이 약해져서 관찰이 어렵기 때문에 최대 50lx 이하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험체 표면조도는 350lx 이상이어야 하고, 암실 조도는 50lx 이하이어야 하므로, 정답은 "500lx 이상-20lx 이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분탐상검사에서 자분에 요구되는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휘발성이 높을 것
  2. 인화점이 낮을 것
  3. 분산성이 낮을 것
  4. 현탁성이 좋을 것
(정답률: 90%)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샘플을 용매에 녹여서 사용하기 때문에 현탁성이 좋을 것이 요구되는 특성 중 하나입니다. 현탁성이 좋다는 것은 샘플이 용매에 잘 녹아 분산되어 있어서 측정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에서는 현탁성이 좋은 샘플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류관통법의 일반적인 자화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계의 강도는 전류관통봉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작아진다.
  2. 자장은 폐회로이므로 반자장이 없고 자화는 유효하게 거동 한다.
  3. 자화 전류로 교류를 사용하면 직류의 경우보다 표피효과가 적기 때문에 표면 아래의 결함검출이 용이하다.
  4. 시험체의 크기 및 자기특성에 따라 자화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적정한 자계의 강도에 의해 자화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자화 전류로 교류를 사용하면 직류의 경우보다 표피효과가 적기 때문에 표면 아래의 결함검출이 용이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자화 전류로 교류를 사용하면 표면 아래의 결함을 검출하기 쉽기 때문이다. 직류의 경우에는 표피효과로 인해 표면 아래의 결함을 검출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분탐상검사에서 표면결함 검출감도가 가장 좋은 방법은?

  1. 교류 연속법 - 형광 습식
  2. 직류 연속법 - 형광 건식
  3. 직류 잔류법 - 형광 습식
  4. 교류 잔류법 - 형광 건식
(정답률: 84%)
  • 교류 연속법 - 형광 습식 방법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사용하여 표면결함을 검출하는 방법 중 가장 민감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표면결함의 크기와 깊이에 관계없이 모든 결함을 검출할 수 있으며, 형광 검사액을 사용하여 결함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줍니다. 또한 습식 방법이므로 검사 대상의 표면이 깨끗하지 않아도 검출 감도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에서 표면결함 검출감도가 가장 좋은 방법은 교류 연속법 - 형광 습식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외선등에 사용되는 자외선의 파장은?

  1. 365nm
  2. 560nm
  3. 800nm
  4. 1200nm
(정답률: 79%)
  • 자외선은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로, 365nm의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장은 DNA나 단백질 등의 생물분자를 파괴할 수 있는 에너지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등에서는 이 파장을 이용하여 살균, 소독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극간법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불감대가 없어 자극 외부의 결함 검출이 용이하다.
  2. 자극이 넓어져도 자화 능력은 변하지 않는다.
  3. 전자속을 이용한다.
  4. 자속밀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정답률: 63%)
  • 극간법은 전자속을 이용하여 자성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전자속은 자성체 내부를 통과할 때 결함 부근에서 변화되는데, 이 변화를 측정하여 결함을 검출한다. 따라서 "전자속을 이용한다."가 옳은 답이다. 또한, 불감대가 없어 자극 외부의 결함 검출이 용이하고, 자극이 넓어져도 자화 능력은 변하지 않으며, 자속밀도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도전류법에 의한 자분탐상검사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링, 원반(Disk) 또는 구(Ball) 형태의 시험체 검사에 적합하다.
  2. 크기가 작은 구형 시험체를 연속법으로 검사하면 효율이 매우 높다.
  3. 1회의 자화로도 시험체를 100% 검사할 수 있다.
  4. 시험체에 전류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고도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휴대형 극간식 자분탐상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절절한 것은?

  1. 두께가 두꺼울 경우 자속밀도가 감소하여 검출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2. 시험체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자속밀도가 상승하여 결함의 검출능력이 향상된다.
  3. 직류 전자석을 이용한 자화기기는 극간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
  4. 자극 접촉면이 거칠어 밀착이 잘 안되더라도 자화능력에는 영향이 거의 없다.
(정답률: 71%)
  • 두께가 두꺼울 경우 자속밀도가 감소하여 검출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는 자기장이 물체를 통과할 때, 물체의 두께가 증가하면 자기장이 물체 내부에서 분산되어 자속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출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자화방법을 이용한 자분탐상 시험법은?

  1. 전류 관통법
  2. 코일법
  3. 직각 통전법
  4. 축 통전법
(정답률: 83%)
  • 그림과 같은 자화방법은 전류 관통법으로, 자석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물체 내부의 자기적 성질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물체 내부의 전기적 성질을 파악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정답은 "전류 관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분탐상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분적용 시기에 따라 연속법과 잔류법으로 구분한다.
  2. 탈자는 시험체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3. 의사지시가 확인되면 재시험하지 않아도 된다.
  4. 형광 자분을 사용할 때는 가능한 형광 휘도가 낮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형광 자분을 사용할 때는 가능한 형광 휘도가 낮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은, 높은 형광 휘도를 가진 자분을 사용하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은 형광 휘도를 가진 자분은 검사 대상물질과 상호작용하여 검사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으므로, 가능한 낮은 형광 휘도를 가진 자분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습식 자분을 사용했을 때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시험체가 소형이고 다량일 때 적합하다.
  2. 표면 밑에 존재하는 결함의 검출감도가 건식자분보다 높다.
  3.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결함에 대한 검출감도가 매우 높다.
  4. 자동탐상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정답률: 8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강 용접부를 자분탐상검사하였을 때 모재와 용접비드가 접하는 부분에 모재가 지나치게 녹아서 홈이나 오목부분이 생겨 용접비드를 따라 단속적인 선형지시가 나타났다면, 이 지시모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터짐
  2. 인더컷
  3. 용입 부족
  4. 융합불량
(정답률: 72%)
  • 이 지시모양을 "인더컷"이라고 한다. 이는 용접부에서 모재가 지나치게 녹아서 홈이나 오목부분이 생겨 용접비드를 따라 단속적인 선형지시가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용접시 모재와 용접비드가 충분히 융합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용입 부족이나 융합불량과는 다른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자분탐상검사에 사용되는 자분이 갖추어야 할 자기적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높은 항자성을 가질 것
  2. 높은 보자성을 가질 것
  3. 높은 투자율을 가질 것
  4. 보자력이 시험체의 5배 일 것
(정답률: 84%)
  • 자분탐상검사에서는 자분이 시료에 높은 투자율을 가지면서도 충분한 보자성과 항자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자분이 시료와 충분히 상호작용하면서도 시료를 파괴하지 않고 정확한 분석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높은 투자율을 가질 것"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치식 장비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선형자화만 가능하다.
  2. 주로 습식 자분탐상방법으로 사용된다.
  3. 길이에 관계없이 부품을 취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4. 탈자도 가능하도록 스탭 스위치가 있다.
(정답률: 58%)
  • 정치식 장비는 선형자화만 가능하다는 특성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정치식 장비의 특성이 맞지만, 선형자화만 가능하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이다. 정치식 장비는 비선형 자화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