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자기탐상시험원리

1. 축통전법으로 2500[A] 의 전류를 흘렸을 때에 환봉표면의 자계 강도가 50[Oe] 이었다면 환봉의 직경은?

  1. 5cm
  2. 10cm
  3. 20cm
  4. 40cm
(정답률: 알수없음)
  • 축통전법에서 자계 강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B = (μ0 * I * N) / L

    여기서 B는 자계 강도, μ0는 자유공간의 유도율, I는 전류, N은 촉매의 수, L은 촉매의 길이를 나타낸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50 = (4π * 10^-7 * 2500 * 1) / (π * r^2)

    여기서 r은 환봉의 반지름이다.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r^2 = (4π * 10^-7 * 2500) / (50 * π)

    r^2 = 10^-5

    r = 0.01

    따라서 환봉의 직경은 2r = 0.02m = 20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은 일반적으로 자분탐상시험을 할 수 없다. 그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잔류자기가 매우 작기 때문이다
  2. 자기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3. 자화되는 정도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4. 전혀 자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철금속은 자화되는 정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자분탐상시험을 할 수 없다. 이는 비철금속의 자성이 매우 약하기 때문으로, 자기장에 노출되어도 자기화되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자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분탐상시험을 통해 비철금속의 성질을 파악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자성체가 큐리 온도에 도달하면 자성체는 어떻게 변하는가?

  1. 자성체의 성질을 그대로 갖는다.
  2. 자기적 성질을 잃는다.
  3. 동위원소가 된다.
  4. 자성체로 남아 있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큐리 온도는 자성체가 자기적 성질을 잃게 되는 온도이다. 이 온도에 도달하면 자성체 내부의 자기적인 질서가 깨어지고, 자기적인 성질을 잃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자기적 성질을 잃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분탐상검사시 발생될 수 있는 자기펜 자국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옳은 내용은?

  1. 자화시킨 시험체에 비자성체가 접속됐을 대 나타난다.
  2. 강자장에 의해 나타난다.
  3. 자화된 시험체들이 상호 접촉된 경우에 나타난다.
  4. 강전류에 의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화된 시험체들이 상호 접촉된 경우에 나타난다."이다. 이는 자기펜 자국이 자화된 시험체들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 자화란 자기장에 노출된 물체가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자기적으로 정렬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자화된 시험체들이 상호 작용하면 자기장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여 자기펜 자국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자기펜 자국이 발생하는 다른 원인들을 설명하고 있으며, 정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분탐상시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검사자의 기량을 향상시킨다.
  2. 적합한 규격을 적용한다.
  3. 적합한 자화방법을 선정한다.
  4. 가급적 높은 전류로 검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급적 높은 전류로 검사하는 것은 자성입자를 더욱 강하게 자극하여 더 많은 신호를 얻을 수 있지만, 이는 자성입자에 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검사 대상에 따라 적절한 전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급적 높은 전류로 검사하는 것은 자분탐상시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이 고무 튜브 내부에 전도체를 관통시켜서 자장을 유도시킬 경우 튜브 외부의 자력선 강도에 대해여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자력선이 발생하지 않는다.
  2. 튜브의 내부와 동일하다.
  3. 튜브의 내부보다 더 강하다
  4. 튜브의 내부보다 약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무 튜브 내부에 전도체를 관통시키면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자기장은 튜브 내부에서만 유도되므로 튜브 외부의 자력선 강도는 튜브 내부보다 약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튜브의 내부보다 약하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자력선의 방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자석의 내부에서는 위(E)에서 아래(W)로 흐른다.
  2. 자석의 외부에서는 북극(N)에서 남극(S)으로 흐른다.
  3. 자석의 내부에서는 북극(N)에서 남극(S)으로 흐른다.
  4. 자석의 내ㆍ외부에서 똑같이 남극(S)에서 북극(N)으로 흐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석의 외부에서는 북극(N)에서 남극(S)으로 흐른다."입니다. 이유는 자석의 북극과 남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력선은 북극에서 남극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는 자석의 내부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자석의 외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와류탐상원리를 이용하여 도금이나 비금속 코팅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 중 어떤 효과를 이용한 것인가?

  1. Hall 효과
  2. 표피효과(Skin Effect)
  3. Lift-off 효과
  4. 공명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Lift-off 효과

    설명: Lift-off 효과는 와류탐상원리를 이용하여 도금이나 비금속 코팅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효과는 측정 대상에 코팅층이 덮여있을 때, 코팅층과 측정 대상 사이에 공기나 다른 물질이 존재할 경우 발생한다. 이 때, 코팅층과 측정 대상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와류탐상원의 진폭이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이용하여 코팅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직경 30mm, 길이 150mm 인 봉을 코일법으로 검사할 때 약 5000암페어ㆍ턴의 자화전류가 필요하다. 장비의 최대 전류가 2500A 라면 시험체에는 최소 몇 회의 코일을 감아야 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4회
(정답률: 알수없음)
  • 자화전류가 5000암페어ㆍ턴이 필요하므로, 최소한 2개의 코일이 필요하다. 각 코일에서 2500A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총 5000A의 전류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분탐상시험에서 시험면을 태워서는 안 될 경우 선택해야 할 자화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프로드법
  2. 축통전법
  3. 자속관통법
  4. 직각통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시험에서 시험면을 태워서는 안 될 경우 선택해야 할 자화방법은 자속관통법입니다. 이는 자성체를 통과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자성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자성체 내부를 통과하는 자기장이 결함 부근에서 방향이 바뀌게 되어 결함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프로드법, 축통전법, 직각통전법은 모두 자성체 내부를 탐지하는 방법이지만, 자속관통법보다는 탐지능력이 떨어지거나 적용 가능한 자성체의 종류가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열중성자를 이용한 중성자투과시험을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1. 알루미늄합금의 산화피막 두께 측정
  2. 강주조품의 내부공동 검출
  3. 강관내부에 위치한 플라스틱 링의 상태 확인
  4.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결함검출
(정답률: 알수없음)
  • 열중성자는 고에너지 중성자로, 물질 내부로 침투하여 원자핵과 상호작용하면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관 내부에 위치한 플라스틱 링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강관 내부의 작은 부품이나 결함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강도나 두께 등의 측정에는 적합하지만, 작은 부품이나 결함 등을 확인하기에는 열중성자를 이용한 중성자투과시험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자분지시모양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전사
  2. 사진촬영
  3. 스케치
  4. 부식, 각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사진촬영"

    이유: 자분지시모양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부식과 각인이 적합합니다. 부식은 표면을 부식시켜 원하는 모양을 만들고, 각인은 원하는 모양을 새겨 넣어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전사와 스케치는 모양을 복사하는 방법이므로 원래 모양을 보존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사진촬영은 더욱 그렇습니다. 사진은 2차원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에 3차원적인 자분지시모양의 형태를 보존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파괴적 평가 기법을 능동적 기법과 수동적 기법으로 나눌 때 다음 중 능동적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초음파탐상시험법
  2. 음향방출시험법
  3. 잡음 해석법
  4. 누설검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법은 물체 내부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탐사하는 능동적 기법이다.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체 내부를 탐사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능동적 기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자성 도체에 전류가 흐를 대 자계의 강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도체 중심부가 가장 높다.
  2. 도체 중심부와 표면사이 중간 지점이 가장 높다.
  3. 도체 표면이 가장 높다.
  4. 도체 반지름의 2배 되는 곳이 가장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자성 도체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를 때 자계의 강도는 도체의 형태와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도체의 중심부는 전류가 흐르는 경로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계의 강도가 가장 약합니다. 반면 도체의 표면은 전류가 흐르는 경로에서 가장 가까이 있기 때문에 자계의 강도가 가장 강합니다. 따라서 "도체 표면이 가장 높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분탐상시험시 선형자화법으로만 구성된 것은?

  1. 극간법, 축통전법
  2. 코일법, 축통전법
  3. 코일법, 프로드법
  4. 코일법, 극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선형자화법은 전기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물체의 물성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 코일법과 극간법은 모두 선형자화법의 일종으로, 코일법은 전류를 흐르게 한 코일 주위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의 물성을 측정하고, 극간법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을 이용하여 물체의 물성을 측정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방법은 선형자화법으로만 구성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분탐상시험의 자화방법 중 표면 결함에 대하여 가장 감도가 좋은 것은?

  1. 교류 - 건식법
  2. 교류 - 습식법
  3. 직류 - 습식법
  4. 직류 - 건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시험에서 표면 결함을 감지하는 방법 중 가장 감도가 좋은 것은 "교류 - 습식법"입니다. 이는 전극을 적용하여 시료에 교류 전기를 흘려보내고, 시료 표면에 묻은 수분을 이용하여 결함을 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료 표면의 저항값이 낮아지는 결함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도가 높습니다. 반면에 "교류 - 건식법"과 "직류 - 습식법"은 감도가 낮고, "직류 - 건식법"은 결함 감지에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분탐상시험시 원형자계를 이용하여 균열이 검출 되었을 때 균열에 자분이 모이는 원인은?

  1. 항자력에 의해
  2. 누설자계에 의해
  3. 도플러 효과에 의해
  4. 균열에서의 높은 자기 저항에 의해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자계는 자기장이 균열을 통과하여 균열 내부로 누설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때, 누설자계에 의해 균열 내부로 자분이 모이게 됩니다. 이는 균열 내부의 자기장이 강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균열에 자분이 모이는 원인은 "누설자계에 의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자화의 방향이 분명하지 않은 시험체를 탈자 할 때의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험체를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반전 자계로부터 멀리하면서 자계의 방향을 바꾸어가며 탈자 한다.
  2. 시험체를 검사대에 올려놓고 일정한 자계의 세기를 유지하며 반전 감쇠자계를 걸어주어 반복 탈자한다.
  3. 시험체를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반자계의 발생이 많은 방향으로 반전 감쇠자계를 걸어주어 탈자한다.
  4. 시험체를 검사대에 올려놓고 극성을 바꾸면서 전압을 단계적으로 올리면서 반복 탈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체를 여러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반전 자계로부터 멀리하면서 자계의 방향을 바꾸어가며 탈자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이는 시험체의 자화 방향이 분명하지 않을 때, 자계의 방향을 바꾸어가며 탈자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전 자계로부터 멀리하면서 탈자를 하면 반전 자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탈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시험체의 잔류자기가 인근 계측기의 작동이나 정밀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때 탈자를 수행한다.
  2. 교류탈자에서는 내부가 잘 탈자되지 않으므로 완전한 탈자를 위해 직류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탈자시 시험체에 걸어주는 교번자계의 방향은 자화시 걸어준 자계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한다.
  4. 복잡한 형상 부품의 탈자는 시험체에 적용하는 교번 자계의 방향을 여러 가지로 바꾸어 탈자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복잡한 형상 부품의 탈자는 시험체에 적용하는 교번 자계의 방향을 여러 가지로 바꾸어 탈자해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탈자시 시험체에 걸어주는 교번자계의 방향은 자화시 걸어준 자계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한다. 이는 시험체의 자화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완전한 탈자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자화 및 탈자의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계측기로서 정량적이 계측이 어려운 계측기는?

  1. FLUX METER
  2. GAUSS METER
  3. PIE FIELD INDICATOR
  4. OERSTED 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PIE FIELD INDICATOR는 자화 및 탈자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계측기이기 때문에 정량적인 계측이 어렵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기장의 세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기탐상검사

21. 프로드(prod)법으로 자분탐상검사를 하다보면 접촉 부위에 자분이 축적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다음 중 이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자화 전류를 높인다.
  2. 프로드의 간격을 좁힌다.
  3. 습식 자분을 사용한다.
  4. 자력선의 강도를 낮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에서 접촉 부위에 자분이 축적되는 현상은 자력선의 강도가 강해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력선의 강도를 낮추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자력선의 강도를 낮추면 자분이 축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자분탐상검사에서 탈자를 하는 주된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결함지시를 정확히 판정하고, 합ㆍ부 여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2. 자분이 제거된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3. 작업자의 안전위생과 작업장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4. 잔류자기가 이 후의 기계 가공을 곤란하게 할 우려가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에서 탈자를 하는 주된 목적은 "잔류자기가 이 후의 기계 가공을 곤란하게 할 우려가 있을 때"입니다. 이는 자분이 기계 내부에 남아있을 경우, 이후의 가공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는 이러한 우려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자분탐상검사시 자분을 선택할 때 자분의 재질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투자율이 높은 재질
  2. 보자성이 높은 재질
  3. 가시성이 높은 재질
  4. 자극에 대한 흡착 성능이 높은 재질
(정답률: 알수없음)
  • 보자성이 높은 재질은 자분탐상검사에서는 부적당하다. 이는 보자성이 높은 재질은 자분의 크기와 모양을 구분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에서는 보자성이 낮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직경 5cm[2인치], 길이 137cm[54인치] 인 환봉을 코일법으로 검사할 때 탐상시험은 몇 회로 나누어 적용해야 하는가?

  1. 최소 1회 이상
  2. 최소 2회 이상
  3. 최소 3회 이상
  4. 최소 27회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상시험은 환봉의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간격은 일반적으로 환봉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환봉의 직경이 5cm이므로 탐상시험 간격은 2.5cm 이하로 설정해야 한다.

    환봉의 길이가 137cm이므로, 2.5cm 간격으로 탐상시험을 실시하면 약 54회의 측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소" 회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탐상시험 간격을 더 넓게 설정하여도 된다.

    따라서, 최소 3회 이상의 탐상시험이 필요하다. 이는 환봉의 길이를 3등분하여 각 구간마다 측정하는 것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건식자분의 보관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음지의 습기가 있는 곳에 보관한다.
  2. 음지의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한다.
  3. 양지의 자석과 함께 보관한다.
  4. 양지의 자외선이 많이 비추는 곳에 보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식자분은 습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음지의 습기가 있는 곳에 보관하면 변색이나 부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지의 습기가 없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형자계를 이용한 자분탐상검사로 환봉의 직경이 25mm, 길이가 100mm, 코일의 감은 수가 5회일 때 필요한 자화 전류(A)는 얼마인가? (단, 상수 K는 45000 을 이용한다. )

  1. 500
  2. 750
  3. 1200
  4. 2250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에서 필요한 자화 전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자화 전류 = (환봉의 직경^2 x K) / (4 x 길이 x 코일의 감은 수)

    여기서, 환봉의 직경은 25mm, 길이는 100mm, 코일의 감은 수는 5회이며, 상수 K는 45000이다.

    따라서, 자화 전류 = (25^2 x 45000) / (4 x 100 x 5) = 2250 (A)

    따라서, 정답은 "2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탄소강과 저탄소강을 용접하여 연삭한 후 이 부분을 자분탐상검사 한 결과 용접부에 [그림]과 같이 많은 량의 지시가 나타났을 때 1차적인 판정으로 다음 중 가장 옳은 것은?

  1. 결함에 의한 지시로 판정
  2. 자화전류의 과소에 의한 의사지시로 판정
  3. 흡착 성능이 낮은 자분을 적용한 지시로 의심
  4. 두 금속의 투자율 차이에 의한 의사지시로 의심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금속의 투자율 차이에 의한 의사지시로 의심하는 이유는 고탄소강과 저탄소강은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 차이로 인해 용접 후 연삭 시 두 금속의 투자율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분탐상검사에서 지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시가 나타난 경우 두 금속의 투자율 차이에 의한 의사지시로 의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입자크기가 작은 자분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영향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자분모양의 관찰에 혼동을 일으키기 쉽다.
  2. 미세한 결함을 검출하기에 유리하다.
  3. 시험면이 거친 경우 검출 감도가 낮다.
  4. 시험면이 젖어 있어도 검사감도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면이 젖어 있어도 검사감도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가 틀린 것이다. 입자크기가 작은 자분을 사용하는 경우 시료 표면에 물방울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시험면이 젖어 있으면 검출 감도가 낮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실린더를 전류관통법으로 자분탐상검사할 때 자계의 세기가 가장 강한 부분은?

  1. 필린더의 바깥표면
  2. 실린더 두께 중앙부위
  3. 실린더의 양끝단
  4. 실린더의 내부표면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관통법은 자계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자계의 세기는 결함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실린더의 경우 내부표면이 가장 강한 자계를 가지는데, 이는 실린더의 내부에 결함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에서 자계가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린더의 내부표면이 검사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분탐상검사에 사용하는 건식자분의 가장 큰 특징은?

  1. 대량 부품검사에 편리하다.
  2. 거친 표면상태의 결함검출에 매우 유용하다.
  3. 미세 결함검출에 유용하다.
  4. 자분의 색종류가 다양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에서 사용하는 건식자분은 거친 표면상태의 결함을 검출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는 자분이 부딪히면서 결함 부위의 표면이 더욱 불규칙해지고, 이를 건식자분이 검출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식자분은 대량 부품검사에도 편리하며, 미세 결함검출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자분의 색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은 검사 대상 부품의 색상에 따라 적합한 자분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분탐상검사로 검출되는 결함으로서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 혹은 주변에 나타나며 파괴의 원인이 되는 것은?

  1. 부식
  2. 수축공
  3. 피로균열
  4. 콜드샷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는 금속재료의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에서 피로균열은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나 주변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금속재료가 반복적인 응력에 노출되면서 생기는 균열입니다. 이러한 균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며, 결국에는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로균열은 자분탐상검사에서 주의해야 할 결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험체의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하여 자화시키는 방법은?

  1. 자속관통법
  2. 극간법
  3. 직각통전법
  4. 전류관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체의 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화시키는 방법을 "직각통전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시험체의 축과 직각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자기장을 만들어내어 시험체를 자화시키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험체를 자화시키는 방법 중에서 다른 방법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에서 같은 전류를 사용하였을 때 동일 크기의 결함이 시험체의 내부에 있을 때 A 면에 누설자속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결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입니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전류의 밀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그림에서 전류는 A면에서 B면으로 흐르고 있으므로, A면에 가까운 결함일수록 전류의 밀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A면에 누설자속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결함은 A면에 가까운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습식자분의 검사 방법으로 틀린 내용은?

  1. 거치식 장치에서 매일 검사 시작 전 농도를 측정한다.
  2. 검사절차서에 표기된 시험편으로 점검한다.
  3. 자분의 농도를 측정하려면 자분액을 가열하여 증발시킨 후 잔류량을 계량한다.
  4. 물을 자분액으로 사용할 때는 분산제를 첨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분의 농도를 측정하려면 자분액을 가열하여 증발시킨 후 잔류량을 계량한다."입니다. 이유는 습식자분의 검사 방법 중에서는 이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습식자분의 검사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자분의 종류와 검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항에서는 "습식자분의 검사 방법 중에서 자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주어졌을 때, 정답이 아닌 항목을 찾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분탐상검사에 비하여 누설자속탐상검사(Magnetic Field Test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자동화 적합
  2. 결함의 정량 측정 가능
  3. 복잡한 형상에 적용 양호
  4. 객관적 시험 가능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자속탐상검사는 자성을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에 적용하는 것이 자분탐상검사보다 더 양호합니다. 자성은 물체의 형태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복잡한 형상에 적용 양호"는 누설자속탐상검사의 장점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제품검사를 위해 비형광 자분을 사용하여 자분탐상검사 수행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미세한 균열검사에 적합하다.
  2. 큰 결함에 비교적 많이 사용된다.
  3. 습식법, 건식법 모두 사용된다.
  4. 가시광선 아래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형광 자분은 큰 결함에 비교적 많이 사용되며, 습식법과 건식법 모두 사용됩니다. 그러나 미세한 균열검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비형광 자분은 가시광선 아래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한 균열과 같은 작은 결함을 찾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미세한 결함을 찾기 위해서는 형광 자분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프로드법의 적용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반자장과 관련이 있다.
  2. 전류치는 시험품의 직경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3. 대형구조물의 부분검사에 적당하다.
  4. 시험품의 손상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드법은 반자장을 이용하여 시험품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대형구조물의 부분검사에 적합하며, 시험품의 손상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구조물의 결함 검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류치는 시험품의 직경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은 프로드법의 원리 중 하나이지만, 이는 대형구조물의 부분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시험체 두께가 25mm 이고 프로드 전극의 간격을 12.7cm(5인치)로 하여 검사할 때 필요한 자화전류(A)로 옳은 것은?

  1. 150
  2. 300
  3. 450
  4.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자화전류는 시험체의 두께와 프로드 전극 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시험체 두께가 25mm이고 프로드 전극 간격이 12.7cm(5인치)이므로, 자화전류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자화전류(A) = (시험체 두께(mm) / 프로드 전극 간격(cm)) x 1000

    따라서, 자화전류(A) = (25 / 12.7) x 1000 = 1968.5 ≈ 6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분적용시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직류자화에서는 연속법을 적용한다.
  2. 강자성체는 잔류법을 적용한다.
  3. 교류자화에서는 잔류법을 적용한다.
  4. 강자성체는 연속법을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자화에서는 연속법을 적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직류자화에서는 잔류법을 적용한다.

    교류자화에서는 잔류법을 적용하는 이유는, 교류자성체에서는 자기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자기화전류도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주기적인 변화를 고려하여 잔류법을 적용한다.

    강자성체는 자기화전류가 포화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법을 적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형 대비시험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검사액의 성능 점검에 사용한다.
  2. 유효자계의 범위 측정에 사용한다.
  3. 전류관통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4. 탐상장치의 성능 점검에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류관통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이다. B형 대비시험편은 유효자계의 범위 측정에 사용되며, 검사액의 성능 점검과 탐상장치의 성능 점검에도 사용된다. 전류관통법은 A형 대비시험편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유효자계의 범위 측정은 검사액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여 적절한 검사조건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기탐상관련규격및컴퓨터활용

41.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서 A형 표준시험편의 사용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인공흠이 있는 면이 시험면에 잘 밀착되도록 붙인다.
  2. 시험편의 명칭은 시험체의 자기특성, 검출해야 할 흠의 종류, 크기에 따라 정한다.
  3. 자분의 적용은 연속법으로 한다.
  4. 명칭의 분수치가 작은 것만큼 순차적으로 낮은 유효 자계의 강도로 자분모양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흠이 있는 면이 시험면에 잘 밀착되도록 붙인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이는 A형 표준시험편의 사용 설명이 아니라 시험편의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A형 표준시험편의 사용 설명은 "명칭의 분수치가 작은 것만큼 순차적으로 낮은 유효 자계의 강도로 자분모양이 나타난다."이다. 이는 시험편의 자분모양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를 적용하여 전류관통법으로 여러개의 시험체를 동시에 시험하는 경우,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자계강도와 도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고려
  2. 코일의 지름과 길이의 관계 고려
  3. 자기펜 자국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고려
  4. 자계강도와 도체 반지름과는 반비례 관계를 고려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의 지름과 길이의 관계 고려"는 전류관통법으로 여러개의 시험체를 동시에 시험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실제로 시험을 진행할 때 코일의 지름과 길이가 시험체의 크기와 일치하지 않으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코일의 지름과 길이를 시험체의 크기에 맞게 조절해야 합니다. "자계강도와 도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고려", "자기펜 자국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고려", "자계강도와 도체 반지름과는 반비례 관계를 고려"는 모두 전류관통법 시험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7)에따라 자분탐상시험을 실시할 때 시험체의 길이가 9인치, 직경이 3인치 인 강봉을 코일로 5회 감아 코일법으로 자화할 때 요구되는 자화전류 값은?

  1. 1000A
  2. 3000A
  3. 5000A
  4. 9000A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검사에서 요구되는 자화전류 값은 시험체의 길이와 직경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길이가 9인치, 직경이 3인치인 강봉을 시험체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ASME Sec. V, Art.7에 따른 요구 자화전류 값은 3000A이다. 이 값은 해당 규격에서 정해진 공식에 따라 계산되며, 시험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값이 요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25 SE 709)에서 용접부의 오목한 부분이나 시험체의 표면상태, 스케일 등에 의해서 나타난 자분모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관련지시(relevant indications)
  2. 무관련지시(nonrelevant indications)
  3. 의사지시(false indications)
  4. 불연속(discontinuities)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자분탐상검사에서 용접부의 오목한 부분이나 시험체의 표면상태, 스케일 등에 의해서 나타난 자분모양을 "의사지시(false indications)"라고 한다. 이는 실제 결함이 아니라 검사 과정에서 발생한 잘못된 신호로, 실제 결함이 없는 부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분모양은 검사 결과를 왜곡시키므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이러한 의사지시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 의해 다음 중 가장 높은 유효자계의 강도에서 자분 모양이 나타나는 시험편은?

  1. A1 7/50(직선형)
  2. A2 7/50(직선형)
  3. A1 15/50(직선형)
  4. A2 15/50(직선형)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 시험은 재료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시험으로, 시편을 절단하여 그 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결함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자분모양은 결함의 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KS D 0213에 따르면 직선형, 곡선형, 불규칙형으로 나뉜다.

    유효자계란 시편의 단면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 영역에서 결함이 발생하면 시편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유효자계의 강도가 높을수록 재료의 강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자분탐상 시험에서 가장 높은 유효자계의 강도에서 자분 모양이 나타나는 시편을 찾는 문제이다. 따라서 유효자계의 강도가 높은 시편을 선택해야 한다.

    보기 중에서 유효자계의 강도가 가장 높은 시편은 A2 7/50(직선형)이다. 이 시편은 직선형 자분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직선형 자분모양은 결함이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러한 결함은 시편의 강도를 크게 감소시키므로, 유효자계의 강도가 높은 시편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 규정한 의사모양지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기펜자국
  2. 자극지시
  3. 표면거칠기지시
  4. 요염지시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13에서는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의사모양지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요염지시"입니다. 이는 KS D 0213에서 규정한 자분모양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기펜자국, 자극지시, 표면거칠기지시는 모두 KS D 0213에서 규정한 자분모양 중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25 SE 709)에서 습식 자분용액의 주기적인 오염도시험은 최소 며칠 이내의 간격으로 시험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9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습식 자분용액의 주기적인 오염도시험은 최소 7일 이내의 간격으로 시험하여야 합니다. 이는 ASME Sec. V, Art.25 SE 709에서 규정된 내용으로,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적절한 유지보수 및 대처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7일 이내의 간격으로 시험하는 것은 오염도가 빠르게 증가할 수 있는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특성상, 빠른 대처와 유지보수를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7)에 따른 중심도체법(Central Conductor Technique)을 사용한 탐상시험에서 단일 중심 전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체를 검사하기 위해 3000A 의 전류가 필요하였다. 만일 2개의 관통 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얼마의 전류(A)가 필요 하겠는가?

  1. 750
  2. 1500
  3. 3000
  4. 6000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도체법에서는 검사체를 둘러싸고 있는 코일을 통해 전류를 흘려보내어 검사를 진행한다. 단일 중심 전도체를 사용할 경우, 전류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아 검사체 전체를 충분히 커버하기 위해 3000A의 전류가 필요하다. 그러나 2개의 관통 코일을 사용하면 전류가 두 코일을 통과하면서 고르게 분포되므로, 단일 중심 전도체를 사용할 때보다 적은 전류로도 검사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관통 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1500A의 전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 규정된 대비시험편은?

  1. A1형 시험편
  2. C형 시험편
  3. A2형 시험편
  4. B형 시험편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13에서 규정된 대비시험편은 B형 시험편입니다. 이는 자분탐상 시험에서 사용되는 시험편으로, 이 시험편은 길이가 10배, 너비가 5배인 직사각형 모양이며, 중앙에 1mm 두께의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이 구멍을 통해 자분이 통과하도록 하여 자분모양을 분석합니다. A1형 시험편은 인장시험용, C형 시험편은 굴곡시험용, A2형 시험편은 충격시험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7)의 규정에 대하여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 2년 B : 수리
  2. A : 1년 B : 수리
  3. A : 2년 B : 폐기
  4. A : 1년 B : 폐기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 V, Art.7에 따르면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는 보통 2년마다 수행되어야 하지만, 만약 보일러나 압력용기의 상태가 나쁘거나 위험한 경우 수리가 필요하며, 이 경우에는 1년마다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1년 B : 수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7)에 의해 비형광자분을 사용할 경우 지시의 적절한 평가를 위해 시험할 표면의 최소한의 조도는 몇 Lx 인가?

  1. 20
  2. 200
  3. 500
  4.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자분탐상검사는 비교적 어두운 환경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시험할 표면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상 되어야만 검사가 가능합니다. 이 때, ASME Sec. V, Art.7에서는 최소한 1000Lx의 조도가 필요하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 따르면 압력용기의 내압시험 후 용접부에 대한 탐상시험은 원칙적으로 어느 방법에 따라야 하는가?

  1. 극간법
  2. 프로드법
  3. 코일법
  4. 다중자화법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용기의 내압시험 후 용접부에 대한 탐상시험은 극간법에 따라야 한다. 이는 용접부의 결함을 탐지하기 위해 전극을 용접부에 접촉시키고 전류를 흘려 결함 부위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비파괴 검사 중에서도 높은 정확도와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구강과 일반구조용 강을 접합하여 연삭한 후 탐상한결과 접합부위에 의사 자분모양의 지시가 나타났다.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 따른 예상되는 지시는?

  1. 전류지시
  2. 자극지시
  3. 자기펜자국
  4. 재질경계지시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13에 따르면, 자분탐상 시험에서 재질경계지시는 두 재료 간 경계면에서 나타나는 지시로, 공구강과 일반구조용 강을 접합한 경우에는 두 재료 간 경계면에서 지시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예상되는 지시는 "재질경계지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류, 자극, 자기 등의 요소에 따라 지시되는 것들이므로 이 경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 의한 선상의 자분모양 및 원형상의 자분모양은 어떤 자분모양의 분류에 속하는가?

  1. 연속한 자분모양
  2. 독립한 자분모양
  3. 분산한 자분모양
  4. 균열에 의한 자분모양
(정답률: 알수없음)
  • 철강 재료의 자분탐상 시험방법 및 자분모양의 분류 (KS D 0213)에서 선상의 자분모양 및 원형상의 자분모양은 "독립한 자분모양"에 속합니다. 이는 자분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다른 자분들과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자분탐상검사(ASME Sec. V, Art.25 SE 709)의 검사장치 점검 권고기간을 나타낸 것이다. 연결이 틀린 것은?

  1. 시스템 성능 인정(시험편 이용) : 1일
  2. 조명 : 1주
  3. 습식자분 농도 : 1주
  4. 조도계 : 6개월
(정답률: 알수없음)
  • "습식자분 농도 : 1주"가 다른 항목들과 달리 권고기간이 너무 짧은 것으로 보인다. 이유는 보일러나 압력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식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면 안전에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습식자분 농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대처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권고기간이 다른 항목들과 비교하여 짧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뉴스그룹으로서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일종의 게시판 형식의 인터넷 서비스는?

  1. BBS
  2. Gopher
  3. Usenet
  4. Telnet
(정답률: 알수없음)
  • Usenet은 인터넷 상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게시판 형식의 서비스로, BBS나 Telnet과는 달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 Gopher보다는 더욱 자유로운 형식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제어프로그램 중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포맷과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은?

  1.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2. 작업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3. 문제처리 프로그램(Problem Processing Program)
  4. 데이터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관리 프로그램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포맷과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데이터의 생성, 수정, 삭제, 검색 등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며, 데이터의 보안성과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프로그램 중 데이터관리 프로그램이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 및 프로토콜 간을 연결해주는 장치는?

  1. 방화벽(Firewall)
  2. 하이퍼텍스트(Hypertest)
  3. 계정(Account)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알수없음)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구조 및 프로토콜 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변환, 데이터 패킷 라우팅, 보안 기능 등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게이트웨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메인의 분류 중 교육기관을 의미하는 것은?

  1. com
  2. gov
  3. edu
  4. net
(정답률: 알수없음)
  • "edu"는 education(교육)의 약어로, 교육기관을 나타내는 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용자로 하여금 모아놓은 여러 개의 검색엔진들 중 원하는 검색엔진 하나를 선택해서 검색할 수있는 것은?

  1. 메타 검색엔진
  2. 키워드형 검색엔진
  3. 디렉토리형 검색엔진
  4. 로봇 에이전트형 검색엔진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 검색엔진은 여러 개의 검색엔진을 동시에 검색하여 그 결과를 한번에 보여주는 검색엔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개의 검색엔진을 일일이 검색하지 않고도 한번에 여러 검색엔진의 결과를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 및 용접일반

61. 정격 2차 전류가 200A, 정격사용율 40%인 용접기의 용접 전류 150A로 아크 용접을 할 때 허용사용률(%)은 약 얼마인가?

  1. 53.3
  2. 60.0
  3. 71.1
  4. 90.0
(정답률: 알수없음)
  • 허용사용율(%)은 정격 2차 전류에 대한 실제 사용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격 2차 전류가 200A이고, 정격사용율이 40%이므로 실제 사용 전류는 200A * 40% = 80A입니다. 이에 비해 용접 전류가 150A이므로, 허용사용율은 150A / 200A * 100% = 75%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75%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71.1%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용접의 분류 중 저항용접에 해당하는 것은?

  1. 아크 용접
  2. 업셋 맞대기 용접
  3. 원자수소 용접
  4. 와이어 아크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업셋 맞대기 용접은 두 개의 금속을 압력과 열로 접합시키는 용접 방법으로, 저항을 이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저항용접에 해당합니다. 이는 아크 용접, 원자수소 용접, 와이어 아크 용접과는 다른 방식으로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점용접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전극의 재질
  2. 용접전류
  3. 통전시간
  4. 가압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전극의 재질은 점용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3대 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점용접에서는 전극의 크기와 모양이 더 중요하며, 전극의 재질은 전기전도성과 내구성이 좋은 것이면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용접 결함 중 구조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슬랙 섞임
  2. 용입 불량
  3. 변형
  4. 기공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변형"입니다.

    변형은 용접 과정에서 금속이 가열되어 녹거나 팽창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구조상의 결함이 아닙니다.

    반면에, 슬랙 섞임은 용접 부위에서 금속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아 발생하는 결함이며, 용입 불량은 용접 부위에 충분한 용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기공은 용접 부위에서 공기가 포함되어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이들은 모두 구조상의 결함으로, 용접 과정에서 최대한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용접재료에 예열을 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균열 발생 방지
  2. 아크 쏠림 방지
  3. 용접 속도 증가
  4. 용접봉 절약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재료에 예열을 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균열 발생 방지입니다. 이는 예열을 통해 용접재료의 내부 응력을 완화시켜 용접 후 냉각 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예열을 하지 않으면 용접 후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융속도에 대해 설명한 것 중 맞는 것은?

  1. 아크 전압에 비례한다.
  2.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
  3. 용접보의 직경과 전압의 곱에 비례한다.
  4. 아크 전류와 전압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아크 전류에 비례한다."입니다.

    피복 아크 용접봉의 용융속도는 아크 전류에 비례합니다. 이는 아크 전류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이 생성되어 용접봉이 빠르게 용융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작업 시에는 적절한 아크 전류를 설정하여 용접봉의 용융속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스용접시 사용되는 산소용기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충전가스의 명칭
  2. 용기 재질
  3. 용기의 내압시험 압력
  4. 용기 제조자의 용기번호 및 제조번호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용접시 사용되는 산소용기에 표시하는 사항 중에서 "용기 재질"은 제외되어야 합니다. 이는 가스용접시 사용되는 산소용기의 안전성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충전가스의 명칭, 용기의 내압시험 압력, 용기 제조자의 용기번호 및 제조번호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플러그 용접(Plug Weld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2개 부재 사이의 휨 부분을 용접하는 이음 방법
  2. 접합하려고 하는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그 곳에 용접하려 이음하는 방법
  3. 동일 평면에 있는 2개의 부재를 마주 붙여 용접하는 이음 방법
  4. 고 진공 중에서 고속 전자 빔에 의한 충격 발열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접합하려고 하는 한쪽의 부재에 둥근 구멍을 뚫고 그 곳에 용접하려 이음하는 방법"은 플러그 용접의 정확한 설명입니다. 이 방법은 한쪽 부재에 구멍을 뚫고 다른 부재와 겹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이음부가 깔때기 모양이 되어 강한 결합력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이상화탄소 아크 용접시에 스패터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용접 조건의 부적당
  2. 1차 입력전압의 불균형
  3. 직류 리액터의 탭 불량
  4. 이음 형상의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화탄소 아크 용접시에 스패터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 중 이음 형상의 불량은 아닙니다. 이음 형상의 불량은 용접 부위의 형상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스패터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음 형상의 불량은 이 문제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용접 구조물의 용접 순서는 수축변형에 크게 영향을 주며 잔류응력 및 구속응력에도 영향을 준다. 용접순서의 일반적인 원칙이 아닌 것은?

  1. 수축량이 큰 것은 먼저 용접하고 수축량이 적은 것은 나중에 용접한다.
  2. 좌ㆍ우는 될 수 있는 대로 중심에 대칭이 되도록 용접한다.
  3. 긴 용접부는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한다.
  4. 동일 평면 내에 이음이 많을 경우 수축은 가능한 자유단으로 보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긴 용접부는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한다." 이다.

    이유는 긴 용접부를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하면, 용접부의 수축변형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전체적인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이다. 만약 끝단에서부터 차례로 용접을 하면, 용접부의 수축변형이 끝단에서부터 집중되어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긴 용접부는 끝단에서 중앙부로 동시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표점거리의 길이가 50mm 인 재료를 인장시험 후 측정하였더니 55mm가 되었을 때, 이 재료의 연신율(%)은?

  1. 9
  2. 10
  3. 15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신율(%) = (측정된 길이 - 원래 길이) / 원래 길이 × 100
    연신율(%) = (55mm - 50mm) / 50mm × 100
    연신율(%) = 10%
    따라서, 정답은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냉간 가공한 금속을 풀림(annealing)하였을 때 내부 조직의 변화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재결정 → 회복 → 결정립 성장
  2. 결정립 성장 → 재결정 → 회복
  3. 회복 → 결정립 성장 → 재결정
  4.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입니다.

    냉간 가공한 금속은 내부 조직이 변형되어 결정립이 성장하고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풀림(annealing) 과정을 거칩니다.

    먼저, 회복 과정에서는 금속 내부의 응력을 완화시키고 결함을 일부 제거합니다. 이후 재결정 과정에서는 결정립을 재배열하여 결함을 더욱 제거하고 결정립의 크기를 줄입니다. 마지막으로 결정립 성장 과정에서는 결정립이 다시 성장하여 더욱 균일한 구조를 만듭니다.

    따라서, "회복 → 재결정 → 결정립 성장"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초경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경도가 높다.
  2. 내마모성 및 압축강도가 높다.
  3. 고온경도 및 강도는 양호하나 고온에서 변형이 크다
  4. WC 분말에 Tic, TaC 및 Co 분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WC 분말에 Tic, TaC 및 Co 분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는 초경합금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초경합금의 물성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고온경도 및 강도는 양호하나 고온에서 변형이 크다"가 가장 관계가 먼 설명입니다.

    이유는 초경합금은 고온에서 사용되는 재료로, 고온에서의 강도와 경도가 중요한 물성입니다. 하지만 초경합금은 고온에서 변형이 크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탄성구역에서 변형은 세로방향에 연신이 생기면 가로 방향에 수축이 생기는데 각 방향의 치수변화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강성률의 비
  2. 포아송의 비
  3. 탄성률의 비
  4. 전단변형량의 비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구역에서 변형이 생기면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치수가 변화하게 됩니다. 이때 세로방향의 변화와 가로방향의 변화의 비율을 포아송의 비(Poisson's ratio)라고 합니다. 포아송의 비는 탄성체의 물성 중 하나로, 탄성체의 형태가 변형될 때 발생하는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포아송의 비는 탄성체의 물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베어링에 사용되는 구리합금의 대표적인 켈밋(kelmet)의 주 성분은?

  1. 70%Cu - 30%Pb 합금
  2. 70%Pb - 30%Mg 합금
  3. 60%Cu - 40%Zn 합금
  4. 60%Pb - 40%Ti 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베어링에 사용되는 구리합금의 대표적인 켈밋(kelmet)의 주 성분은 "70%Cu - 30%Pb 합금"입니다. 이는 구리와 납의 비율이 7:3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합금은 납의 높은 내마모성과 구리의 높은 강도를 결합하여 베어링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합니다. 또한, 이 합금은 자가윤활성이 높아서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아도 베어링의 마찰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한 모양의 것을 인장하여 탄성한도를 넘어서 서성 변형시킨 경우에도 하중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돌아가는 현상
  2. 주어진 특정모양의 것을 인장하거나 소성 변형된 것이 가열에 의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현상
  3. Ti - Ni합금은 형상 기억효과가 있다.
  4. 냉각시의 유기 마텐자이트 변태가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냉각시의 유기 마텐자이트 변태가 일어난다."는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은 주어진 특정모양의 것을 인장하거나 소성 변형된 것이 가열에 의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보이는 합금이다. 이러한 특성은 Ti-Ni합금 등에서 관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Ni과 Al의 주된 슬립면으로 옳은 것은?

  1. {100}
  2. {110}
  3. {111}
  4. {0001}
(정답률: 알수없음)
  • Ni과 Al의 주된 슬립면은 {111}이다. 이는 FCC 구조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방향으로 슬립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111} 슬립면은 다른 슬립면에 비해 에너지가 낮아 슬립이 일어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주철에서 접종처리(lnoculation)하는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chill화 방지
  2. 흑연형상의 개량
  3. 기계적 성질향상
  4. 질량효과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주철에서 접종처리하는 목적은 질량효과의 증가가 아니라, 주철의 결정화 구조를 개선하여 기계적 성질 향상, 흑연형상의 개량, chill화 방지 등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질량효과의 증가는 주철의 무게를 늘리는 것으로, 접종처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내식성이 좋고 비자성체이며,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은?

  1. 3%Cr 스테인리스강
  2. 35%Cr 스테인리스강
  3. 18%Cr - 8%Ni 스테인리스강
  4. 석출경화형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알수없음)
  • 내식성이 좋은 이유는 크롬(Cr) 함량이 높아서이며, 비자성체인 이유는 니켈(Ni) 함량이 높아서입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이유는 니켈(Ni) 함량이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8%Cr - 8%Ni 스테인리스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황동의 자연 균열 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1. 도료칠
  2. 아연도금
  3. 저온응력 풀림
  4. 암모니아분위기 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분위기 조성은 황동의 자연 균열 방지에 효과가 없습니다. 이유는 암모니아분위기는 황동의 산화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동의 자연 균열 방지책으로는 "도료칠", "아연도금", "저온응력 풀림"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