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소음진동기사(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지진의 명칭과 진동가속도레벨(dB), 그리고 그에 따른 물적 피해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경진 : 60±5 , 약간 느낌
  2. 약진 : 70±5 , 크게 느낌
  3. 중진 : 90±5 , 기물이 넘어지고 물이 넘침
  4. 강진 : 110±5 , 가옥 파괴 30%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진 : 90±5 , 기물이 넘어지고 물이 넘침" 이다.

    지진의 명칭은 진동가속도레벨(dB)에 따라 결정된다. 진동가속도레벨은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진계의 측정값으로, 숫자가 커질수록 지진의 세기가 강해진다.

    경진은 약간 느껴지는 수준이며, 진동가속도레벨은 60±5이다. 약진은 크게 느껴지는 수준이며, 진동가속도레벨은 70±5이다. 중진은 기물이 넘어지고 물이 넘칠 정도로 강한 지진으로, 진동가속도레벨은 90±5이다. 강진은 가옥 파괴가 30% 이상 발생하는 매우 강한 지진으로, 진동가속도레벨은 1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음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음압은 입자속도에 비례한다.
  2. 음압은 음향임피던스의 2승에 비례한다.
  3. 음압은 매질의 밀도에 비례한다.
  4. 음압은 음의 전파속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은 음향임피던스의 2승에 비례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음압은 매질 내부에서 입자들이 운동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자속도, 매질의 밀도, 음의 전파속도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음향임피던스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음향임피던스는 음파가 매질 경계면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될 때 발생하는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음압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음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맥박수와 호흡수 증가
  2. 타액 분비량의 증가, 위액산도 저하
  3. 두통, 불면, 기억력 감퇴
  4. 혈당도, 백혈구 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은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신체의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맥박수와 호흡수가 증가하고, 타액 분비량은 증가하나 위액산도는 저하됩니다. 또한, 두통, 불면, 기억력 감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혈당도와 백혈구 수는 소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혈당도, 백혈구 수 감소"는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L1=80[dB], L2=70[dB]인 음들의 합, 평균, 차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순서대로 합, 평균, 차)

  1. 80.4[dB], 77.4[dB], 79.5[dB]
  2. 80.7[dB], 77.6[dB], 78.5[dB]
  3. 80.4[dB], 77.6[dB], 78.5[dB]
  4. 80.7[dB], 77.4[dB], 79.5[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합은 데시벨에서는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두 음의 합은 L1+L2=80+70=150[dB] 입니다. 평균은 두 음의 데시벨 값을 더한 후 2로 나누면 됩니다. (80+70)/2=75[dB] 입니다. 차는 두 음의 데시벨 값을 빼면 됩니다. L1-L2=80-70=10[dB]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0.4[dB], 77.4[dB], 79.5[d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음원이 움직일 때 들리는 소리의 주파수가 음원의 주파수와 다르게 느껴지는 효과는?

  1. 마스킹(masking) 효과
  2. 도플러(Doppler) 효과
  3. 양이(兩耳) 효과
  4. 옴.헬모올쯔(Ohm. Helmholtz)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음원이 움직일 때 들리는 소리의 주파수가 음원의 주파수와 다르게 느껴지는 효과는 도플러(Doppler) 효과입니다. 이는 소리의 발생원인인 진동체가 움직이면서 소리의 파장이 압축되거나 편평해지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듣는 사람은 움직이는 소리의 주파수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물체의 체적변화에 의해 전달되는 소밀파에 해당되는 것은?

  1. 종파
  2. 횡파
  3. 표면파
  4. 고정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종파"입니다.

    물체의 체적변화에 의해 전달되는 소밀파는 음파의 일종으로, 물체 내부에서 발생한 진동이 분자들 사이를 전파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전파의 진행 방향과 파동의 진동 방향이 일치하는 것을 종파라고 합니다.

    반면, 횡파는 전파의 진행 방향과 파동의 진동 방향이 수직인 것을 말하며, 표면파는 물체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파동을 의미합니다. 고정파는 물체 내부에서 발생한 진동이 고정된 지점에서 반사되어 발생하는 파동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현진동하는 경우 진동 속도의 진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에 비례한다.
  2.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에 반비례한다.
  3.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 속도는 주기당 진동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파수와 비례한다. 따라서 진동 속도의 진폭도 주파수와 비례하게 된다. 즉,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진폭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진동 속도의 진폭은 진동 주파수에 비례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봉의 종진동시 기본음(공명음)의 주파수 산출식으로 맞는 것은? (단, ℓ: 길이, E: 영률, ρ: 재료의 밀도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봉의 종진동시 기본음(공명음)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f = (1/2π) * sqrt(E/ρ) * (1/ℓ)

    여기서, ℓ은 봉의 길이, E는 봉의 재료의 영률, ρ는 봉의 재료의 밀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위 식에 부합하는 것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초저주파음에 의한 영향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신경피로
  2. 구역질
  3. 공진현상
  4. 균형상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저주파음은 주파수가 매우 낮아서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공진현상"도 초저주파음에 의한 영향이라 볼 수 없습니다. 공진현상은 특정 주파수에서 공간 안의 진동이 증폭되는 현상으로, 초저주파음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등방향성 점음원이 건물내부의 2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있다. 이 음원으로부터 10m 거리에 있는 위치에서의 음압레벨은 얼마가 되겠는가? (단, 음원의 음향파워레벨은 105dB이며, 구면파 전달로 가정한다.)

  1. 70dB
  2. 74dB
  3. 77dB
  4. 80dB
(정답률: 알수없음)
  • 등방향성 점음원의 경우, 음향파워레벨과 음압레벨 사이에 거리에 대한 역제곱 법칙이 성립한다. 따라서, 거리가 2배가 되면 음압레벨은 6dB 감소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 음원의 음향파워레벨은 105dB이므로, 10m 거리에서의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압레벨 = 음향파워레벨 - 20log(거리/기준거리)
    = 105dB - 20log(10m/1m)
    = 105dB - 20dB
    = 85dB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건물내부의 2면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음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음원에서 발생한 음파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의 벽면 등에 반사되어 음압레벨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구조와 재질 등을 고려해야 하지만,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80dB" 이므로, 이를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50phon의 소리는 40phon의 소리에 비해 몇 배로 크게 들리는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알수없음)
  • 50phon의 소리는 40phon의 소리에 비해 2배로 크게 들린다. 이는 청각 체계에서 인지하는 소리의 크기에 대한 지수적인 관계인 청각 척도에서 나타나는 결과이다. 청각 척도에서 10phon 차이는 소리의 크기가 10배 차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50phon은 40phon보다 10phon 차이가 나므로 10배 크다. 따라서 50phon은 40phon의 소리에 비해 2배로 크게 들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청력에 관한 내용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음의 대소는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에 따른다.
  2. 음의 고저는 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구분된다.
  3. 20,000Hz를 초과하는 것을 초음파라고 한다.
  4. 청력손실이란 청력이 정상인 사람의 최대 가청치와 피검자의 최대 가청치와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맞지 않은 것은 "음의 대소는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에 따른다." 이다. 음의 대소는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으며, 주로 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청력손실이란 청력이 정상인 사람의 최대 가청치와 피검자의 최대 가청치와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청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청력손실이 클수록 소리를 듣기 어렵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닥면적이 200m2이고, 천장높이가 5m인 교실이 있다. 교실 바닥 면적이 받는 공기압력의 크기는? (단, 공기밀도 1.25kg/m3)

  1. 31.25 Pa
  2. 41.25 Pa
  3. 51.25 Pa
  4. 61.25 Pa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압력은 밀도, 중력가속도, 높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공기압력은 P = ρgh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ρ는 공기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높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공기밀도가 1.25kg/m3이고, 천장높이가 5m이므로, 공기압력은 P = 1.25 x 9.8 x 5 = 61.25 P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1.25 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진동이 생체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진동의 발생빈도
  2. 진동의 폭로시간
  3. 진동의 방향(수직, 수평, 회전 등)
  4. 진동의 파형(연속, 비연속)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의 발생빈도는 생체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진동의 발생빈도가 인간의 청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생체의 자연진동수와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동의 발생빈도는 생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Ldn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주야간 평균소음레벨이다.
  2. 병원에서의 평균소음레벨이다.
  3. 실내에서의 평균소음레벨이다.
  4. 공장에서의 평균소음레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Ldn은 "주야간 평균소음레벨"을 의미한다. 이는 24시간 동안의 소음 레벨을 측정하여 주간과 밤간의 소음 레벨을 평균한 값이다. 따라서 Ldn은 주거 지역에서의 소음 노출 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리의 세기가 10-12[W/m2]이고, 공기의 임피던스가 400rayls 일 때 음압(N/m2)은?

  1. 2 × 10-5
  2. 3 × 10-5
  3. 2 × 10-12
  4. 3 × 10-12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은 소리의 세기와 공기의 임피던스에 따라 결정된다. 음압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음압 = √(소리의 세기 × 공기의 임피던스)

    따라서, 음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음압 = √(10-12 × 400) = √4 × 10-10 = 2 × 10-5

    따라서, 정답은 "2 × 1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순음 중 우리 귀로 가장 크게 느낄 수 있는 것은?

  1. 500Hz 60dB 순음
  2. 1000Hz 60dB 순음
  3. 2000Hz 60dB 순음
  4. 4000Hz 60dB 순음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 귀는 2000Hz ~ 5000Hz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 범위 내에서 소리가 크면 가장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4000Hz 60dB 순음"이 우리 귀로 가장 크게 느껴지는 순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STC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음향전달체계
  2. 2차음향전달
  3. 음향투과등급
  4. 저감목표소음
(정답률: 알수없음)
  • STC는 Sound Transmission Class의 약자로, 음향투과등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STC는 건축물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숫자가 높을수록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STC는 건축물의 벽, 천장, 바닥 등의 재질과 두께, 공기 중의 소리 전달 속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람의 외이도 길이가 3㎝이다. 18℃공기 중에서의 공명 주파수는?

  1. 29Hz
  2. 57Hz
  3. 2,852Hz
  4. 5,703Hz
(정답률: 알수없음)
  • 외이도 길이가 3㎝인 경우, 공명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명 주파수 = (속도 of 소리) / (2 x 외이도 길이)

    여기서, 속도 of 소리는 18℃에서 약 340m/s이다.

    따라서, 공명 주파수 = 340 / (2 x 0.03) = 2,852Hz

    따라서, 정답은 "2,852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대기조건에 따른 공기흡음 감쇠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습도가 낮을수록 감쇠치는 증가한다.
  2. 주파수가 낮을수록 감쇠치는 증가한다.
  3.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을수록 감쇠치는 작아진다.
  4. 공기의 흡음감쇠는 음원과 관측점의 거리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도가 낮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게 되어 소리의 전달이 더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쇠치가 증가한다. 즉, 습도가 낮을수록 공기흡음 감쇠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방지기술

21. 실내에서 직접음과 잔향음의 크기가 같은 음원으로부터의 거리를 실반경(room radius, γ)이라 하는데, 그 식으로 맞는 것은? (단, Q는 음원의 지향계수, R은 실정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실내에서의 음원의 크기는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며, 잔향음은 거리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실내에서 직접음과 잔향음의 크기가 같은 음원으로부터의 거리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γ = (Q/4πR)^(1/2)

    여기서 Q는 음원의 지향계수, R은 실정수이다. 이 식에서는 거리와 잔향음의 크기가 같은 경우를 고려하여 계산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총합투과손실이 32dB인 벽의 투과율은?

  1. 6.3 × 10-4
  2. 6.6 × 10-3
  3. 6.8 × 10-5
  4. 7.2 × 10-4
(정답률: 알수없음)
  • 총합투과손실은 투과파워와 입사파워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총합투과손실(dB) = 10log10(투과파워/입사파워)

    양변에 10의 지수승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투과파워/입사파워 = 10-총합투과손실/10

    투과율은 투과파워와 입사파워의 비율이므로 다음과 같다.

    투과율 = 투과파워/입사파워

    따라서 투과율은 다음과 같다.

    투과율 = 10-총합투과손실/10 = 10-32/10 = 6.3 × 10-4

    따라서 정답은 "6.3 × 1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흡음기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공시 벽체에 공기층을 두고 다공질 재료를 부착할 경우, 저음역의 흡음율도 개선된다.
  2. 공명흡음역은 일반적으로 저음역이다.
  3. 판진동흡음기구인 경우 4000-8000Hz에서 최대 흡음율을 나타낸다.
  4. 다공질의 흡음재를 벽에 바로 부착시킬 때 흡음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 두께가 최소한 입사음 파장의 1/1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판진동흡음기구인 경우 4000-8000Hz에서 최대 흡음율을 나타낸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판진동흡음기구는 일반적으로 고음역에서 높은 흡음효과를 나타내며, 4000-8000Hz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흡음효과를 보입니다. 이는 판진동흡음기구의 구조적 특성 때문인데, 이 기구는 진동판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음역에서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확산음장으로 볼 수 있는 공장의 부피가 3,500[m3], 내부 표면적이 2,100[m2]이고, 평균흡음율이 0.2일 때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에서 음선의 평균 자유전파 경로는 약 6.7m 이다.
  2. 실정수는 525m2 이다.
  3. Sabine 잔향시간은 약 1.8초 이다.
  4. 실내에 음향파워레벨이 90dB인 점음원을 설치할 때 실내의 평균음압레벨은 69dB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실내에서 음선의 평균 자유전파 경로는 약 6.7m 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공간 내에서 음파가 직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합니다.
    - "실정수는 525m2 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공간 내부의 모든 벽면의 면적을 합한 것입니다.
    - "Sabine 잔향시간은 약 1.8초 이다." :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Sabine 잔향시간은 공간 내부의 음파가 반사되어 서서히 감쇠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간의 부피와 내부 표면적, 평균흡음율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공간의 부피와 내부 표면적, 평균흡음율을 이용하여 Sabine 잔향시간을 계산해야 합니다. 계산 결과, Sabine 잔향시간은 약 1.2초입니다.
    - "실내에 음향파워레벨이 90dB인 점음원을 설치할 때 실내의 평균음압레벨은 69dB 이다." :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공간 내부의 음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음향파워레벨과 Sabine 잔향시간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음벽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점음원의 경우 방음벽의 길이가 높이의 5배 이상이면 길이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 방음벽의 높이가 일정할 때 음원과 수음점의 중간 위치에 이를 세우는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다.
  3. 방음벽의 안쪽은 될 수 있는 한 흡음성으로 해서 반사음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4. 방음벽에 의한 현실적 최대 회절감쇠치는 점음원의 경우 24dB, 선음원의 경우 22dB 정도로 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음벽의 높이가 일정할 때 음원과 수음점의 중간 위치에 이를 세우는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다."라는 설명이 옳다. 이유는 방음벽의 높이가 일정하면 음원과 수음점의 중간 위치에 방음벽을 세우면, 음파가 방음벽을 만나 반사되어 수음점으로 돌아오는 시간과 음원에서 수음점까지 직선거리를 이동하는 시간이 같아지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으로 소리를 차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원음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음원에서 거리가 2배될 때마다 음압레벨이 6dB씩 감소가 시작되는 위치부터 원음장이라 한다.
  2. 음원의 가장 가까운 면으로부터 음원의 가장 짧은 길이이내의 영역을 원음장이라 한다.
  3. 실내음향에서 실정수가 거리에 따라 일정한 값을 갖는 구간을 원음장이라 한다.
  4. 음원의 가장 가까운 면으로부터 관심주파수의 한파장이내를 원음장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원에서 거리가 2배될 때마다 음압레벨이 6dB씩 감소가 시작되는 위치부터 원음장이라 하는 이유는, 이 지점 이후로는 음압레벨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지점 이전까지는 음원의 진동이 충분히 전달되어 원음장이 형성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방음대책 방법중 전파경로 대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장벽체의 차음성강화
  2. 거리감쇠
  3. 지향성 변환
  4. 소음기 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기 설치는 전파경로 대책이 아닌 소음원 자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소음의 직접적인 발생원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전파경로 대책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소음제어를 위한 자재류의 기능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음재는 음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킨다.
  2. 차음재는 음에너지를 감쇠시킨다.
  3. 제진재는 진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킨다.
  4. 차진제는 기체정상흐름을 기계에너지로 전환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차진제는 기체정상흐름을 기계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차진제는 기체정상흐름을 기계에너지로 전환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차진제는 일반적으로 기계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기계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주로 기계 부품들 간의 마찰이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진동은 기계의 성능 저하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차진제는 이러한 진동을 감소시켜 기계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중공이중벽 설계시 틀린 것은?

  1. 중공이중벽은 공명주파수 부근에서 투과손실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2. 공기층은 10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설계시에는 차음 목적 주파수가 공명주파수와 일치 주파수의 범위를 벋어나도록 하여야 한다.
  4. 중공이중벽은 일반적으로 동일 중량의 단일벽에 비해 5-10dB 정도 투과손실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공이중벽은 공명주파수 부근에서 투과손실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설계시에 차음 목적 주파수가 공명주파수와 일치 주파수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설계 방법이다. 이는 중공이중벽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공명주파수 부근에서의 효과를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설계 방법은 차음 목적 주파수가 공명주파수와 일치하는 범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음원기기를 실내면적 1[m2]인 실내에서 흡음율이 같은 실내면적 5[m2]인 실내로 옮겼을 때 음압레벨의 감쇠량은 몇 dB인가?

  1. 4 dB
  2. 5 dB
  3. 6 dB
  4. 7 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레벨은 면적에 비례하지 않고 거리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면적이 5배인 실내로 이동하면 거리는 1/√5배가 된다. 거리가 1/√5배가 되면 음압레벨은 20log(√5) ≈ 7 dB만큼 감쇠된다. 따라서 정답은 "7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의 소음특성이 아닌 것은?

  1. 금속성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2. 간헐적이고 또한 충격적이다.
  3. 상공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면적이 비교적 좁다.
  4. 국제 민간 항공기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항공기 소음 평가량은 WECPNL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공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피해면적이 비교적 좁다."는 항공기의 소음 특성이 아닌데, 이유는 항공기가 상공에서 비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지상에서 들리지만, 그 영향 범위가 비교적 좁기 때문이다. 즉, 항공기가 지나가는 경로에 있는 지역에서는 큰 소음이 발생하지만, 그 외의 지역에서는 소음이 크게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음원의 대책중 직접적으로 소음을 차단하거나 흡수하지 않는 방법은 어느 것인가?

  1. 소음기
  2. 진동처리
  3. 흡음처리
  4. 차음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은 소음의 원인 중 하나이며, 진동을 줄이는 것은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소음을 차단하거나 흡수하지 않는 방법 중 진동처리가 소음을 줄이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진동처리는 소음원이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는 것으로,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방음벽 재료로는 음향특성 및 구조강도 이외에도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음벽에 사용되는 모든 재료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2. 방음벽의 모든 도장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구분이 명확한 광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방음판은 하단부에 배수공(Drain hole) 등을 설치하여 배수가 잘 되어야 한다.
  4. 방음벽은 20년이상 내구성이 보장되는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음벽의 모든 도장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구분이 명확한 광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이유: 방음벽의 도장은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디자인되어야 하며, 광택이 있는 도장은 빛을 잘 반사하여 공간을 밝고 화사하게 만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실정수 200m2인 공장실내의 세면이 만나는 코너에 음향파워레벨 80dB의 소형기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로부터 4m 떨어진 한 점의 음압도(dB)는? (단, 반확산음장 기준)

  1. 62
  2. 68
  3. 73
  4. 79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파워레벨과 음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음향파워레벨 - 음압도 = 10log10(음향파워/기준음압)

    여기서 기준음압은 20μPa입니다.

    따라서, 음압도 = 음향파워레벨 - 10log10(음향파워/기준음압)

    공식에 값을 대입해 계산하면,

    음압도 = 80 - 10log10(음향파워/20μPa) - 20log10(4/1)

    음향파워는 기계의 스피커 출력 등을 통해 계산할 수 있지만,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68"이라고 주어졌으므로, 이를 대입해보면,

    음압도 = 80 - 10log10(음향파워/20μPa) - 20log10(4/1) = 68

    따라서, 음압도는 68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투과손실은 중심주파수 대역에서는 질량법칙(Mass law)에 따라 변화한다. 음파가 단일벽면에 수직입사시 면밀도가 2배 증가하면 투과손실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1. 3 dB 증가
  2. 6 dB 증가
  3. 9 dB 증가
  4. 12 dB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면밀도가 2배 증가하면 반사계수가 2배 증가하게 되어, 투과계수는 2배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투과손실은 6 dB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질량법칙에 따라 투과손실이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는 별개로, 단일벽면에서의 반사계수와 투과계수의 관계로 설명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순팽창형 소음기에서 팽창부의 길이가 커지면 투과손실은 어떻게 되겠는가? (단, 단면팽창비는 일정하다.)

  1. 최대 투과손실은 변화가 없으나 통과대역의 수가 증가한다.
  2. 최대 투과손실 및 통과대역의 수가 감소한다.
  3. 통과대역의 수는 변화가 없으나 최대 투과손실이 증가한다.
  4. 최대 투과손실 및 통과대역의 수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팽창비는 일정하므로, 팽창부의 길이가 커져도 단면팽창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투과손실은 변화가 없다. 그러나 팽창부의 길이가 커지면 통과하는 파동의 주파수 범위가 넓어지므로, 통과대역의 수가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차음재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전파경로 도중에 사용되는 벽체 재료로서 음을 감쇠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다.
  2. 차음재료를 선정할 때는 투과손실이 큰 것을 택할 필요가 있다.
  3. 차음성능이 큰 콘크리트, 벽돌, 유리섬유 등이 주로 차음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4. 차음재료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크고 주파수가 높을 수록 투과손실은 크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차음성능이 큰 콘크리트, 벽돌, 유리섬유 등이 주로 차음재료로 사용되고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이러한 재료들이 음을 흡수하고 감쇠시키는 능력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헬름홀쯔형 공명기(Helmholtz type resonator)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소음을 억제시키는가?

  1. 입사한 음을 공동체적에 가둔다.
  2. 입사한 음을 공동체적내에서 반사를 되풀이 하게 하므로서 음을 소멸시킨다.
  3. 공동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음의 주파수를 목부에서 열에너지로 소산시킨다.
  4. 공동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입사음의 주파수를 공동 내로 되반사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헬름홀쯔형 공명기는 공동의 공진주파수와 일치하는 음의 주파수를 목부에서 열에너지로 소산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소음을 억제합니다. 이는 공동체적으로 입사한 음을 가둬서 반사를 되풀이 하게 하여 음을 소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적으로 입사한 음의 주파수와 공동체의 공진주파수가 일치하면 그 음의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소산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전기실의 벽면에 발전기 발생음압이 입사하면 소밀파가 벽체에 발생한다. 입사파와 소밀파의 파장이 일치하면 일종의 공진상태가 되어 차음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차음의 질량법칙
  2. 난입사 질량법칙
  3. 일치효과
  4. 음장입사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일치효과"입니다.

    일치효과는 입사하는 파동과 벽면에서 반사되는 파동의 파장이 일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파동의 진폭이 크게 증폭되어 차음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는 발전기실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0℃ 공기중의 음원 S에서 발생한 소리가 콘크리트벽 (ρ=2500 kg/m3, E = 2.8×1010N/m2)에 수직입사할 때 이 콘크리트벽의 반사율은?(단, 0℃에서 공기의 밀도는 1.293kg/m3이다.)

  1. 0.897
  2. 0.785
  3. 0.999
  4. 0.675
(정답률: 알수없음)
  • 콘크리트벽에 소리가 수직입사할 때, 소리의 진폭은 변하지 않고 주파수만 변할 뿐이다. 따라서 반사율은 콘크리트벽의 밀도와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R = left(frac{Z_2 - Z_1}{Z_2 + Z_1}right)^2
    $$

    여기서 $Z$는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Z = rho c$로 정의된다. $rho$는 매질의 밀도이고, $c$는 매질에서의 음속이다.

    공기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Z_1 = rho_1 c_1 = 1.293 times 343 = 443.499 text{ kg/m}^2text{/s}
    $$

    콘크리트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Z_2 = rho_2 c_2 = 2500 times sqrt{frac{2.8 times 10^{10}}{2500}} = 1.49 times 10^6 text{ kg/m}^2text{/s}
    $$

    따라서 반사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R = left(frac{1.49 times 10^6 - 443.499}{1.49 times 10^6 + 443.499}right)^2 approx 0.999
    $$

    따라서 정답은 "0.99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41. 다음 중 도로변 지역에 해당 되는 것은?

  1. 고속도로의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150m 이내의 지역
  2. 2차선 일 경우 30m 이내의 지역
  3. 3차선 일 경우 50m 이내의 지역
  4. 4차선 일 경우 50m 이내의 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고속도로의 경우 도로단으로부터 150m 이내의 지역"입니다. 고속도로는 매우 빠른 속도로 운행되기 때문에, 도로변 지역으로 인해 운전자들의 시야가 가려지거나 방해를 받을 경우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도로단으로부터 150m 이내의 지역을 도로변 지역으로 분류하여 안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은 진동레벨계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중 3에 해당하는 것은?

  1. 레벨렌지 변환기
  2. 증폭기
  3. 감각보정회로
  4. 교정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3에 해당하는 것은 "증폭기"이다.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레벨계에서는 측정된 진동의 크기를 증폭기를 통해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증폭기는 진동레벨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배경소음 보정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측정소음도가 배경소음보다 10dB(A)이상 크면 측정소음도를 대상소음도로 한다.
  2. 측정소음도가 배경소음보다 3∼9dB(A) 차이로 크면 정해진 보정표에 의한 보정치를 보정한 후 대상소음도를 구한다.
  3. 해당 배출시설에서 발생한 소음이 배경소음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배경소음도는 측정해야 한다.
  4. 측정소음도가 배경소음보다 2dB(A)이하로 크면 재측정하여 대상소음도를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배출시설에서 발생한 소음이 배경소음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배경소음도는 측정해야 한다는 것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배경소음은 대상소음과 구분하여 측정되어야 하며, 대상소음과 배경소음의 차이를 고려하여 보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측정에서 배경소음도는 측정되어야 하며, 보정 방법은 측정소음도와 배경소음도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 소음 측정시 사용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 위치 및 동특성으로 옳은 것은?

  1. A특성 - 빠름
  2. C특성 - 빠름
  3. A특성 - 느림
  4. C특성 - 느림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 소음 측정시 사용하는 소음계는 청감보정회로를 통해 인간의 청각 특성을 모방하여 측정합니다. 이때 청감보정회로는 소음계 내부에 위치하며, A특성과 C특성으로 구분됩니다. A특성은 낮은 주파수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며, C특성은 높은 주파수에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소음 측정시에는 A특성을 사용하며, 느린 반응속도를 가지는 이유는 항공기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짧은 시간동안 측정한 소음값보다는 장시간동안 측정한 평균값이 더 의미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기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지점의 원추형 상부공간이란?

  1. 측정위치를 지나는 지면 또는 바닥면의 법선에 반각 80°의 선분이 지나는 공간
  2. 측정위치를 지나는 지면 또는 바닥면의 법선에 반각 60°의 선분이 지나는 공간
  3. 측정위치를 지나는 지면 또는 바닥면의 법선에 반각 45°의 선분이 지나는 공간
  4. 측정위치를 지나는 지면 또는 바닥면의 법선에 반각 30°의 선분이 지나는 공간
(정답률: 알수없음)
  • 원추형 상부공간은 측정위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넓어지는 원추 모양의 공간입니다. 이 중에서 "측정위치를 지나는 지면 또는 바닥면의 법선에 반각 80°의 선분이 지나는 공간"이 정답인 이유는, 이 각도가 넓어서 측정위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대부분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각도가 넓으면서도 일정한 각도로 넓어지기 때문에 측정 결과를 비교하기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음환경기준 측정시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샘플주기는 몇 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몇 분 이상 측정하여야 하는가?

  1. 1초, 5분
  2. 5초, 5분
  3. 10초, 5분
  4. 5초, 10분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소음자동분석계는 매우 빠른 속도로 소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샘플주기는 1초 이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음의 특성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측정 시간을 충분히 길게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음환경기준 측정시에는 5분 이상 측정하여야 하므로 정답은 "1초, 5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도소음의 측정시각 및 측정횟수로 알맞는 것은?

  1.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해 지역의 철도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낮시간대는 2시간 간격을 두고 30분씩 4회 측정하며, 밤시간대는 4시간 간격을 두고 30분씩 2회 측정하여 산술평균한다.
  2.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해 지역의 철도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낮시간대는 4시간 간격을 두고 30분씩 2회 측정하여 산술평균하며, 밤시간대는 1회 30분간 측정한다.
  3.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해 지역의 철도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낮시간대는 2시간 간격을 두고 1시간씩 4회 측정하며, 밤시간대는 4시간 간격을 두고 2회 1시간동안 측정하여 산술평균한다.
  4.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해 지역의 철도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낮시간대는 2시간 간격을 두고 1시간씩 2회 측정하여 산술평균하며, 밤시간대는 1회 1시간동안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소음은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에 따라 변동이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측정하고 그 산술평균을 내야 합니다. 낮시간대는 2시간 간격을 두고 1시간씩 2회 측정하여 산술평균하며, 밤시간대는 1회 1시간동안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상조건, 열차운행횟수 및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해 지역의 철도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낮시간대는 2시간 간격을 두고 1시간씩 2회 측정하여 산술평균하며, 밤시간대는 1회 1시간동안 측정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발파진동측정에 관한 사항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측정진동레벨은 발파진동이 지속되는 기간동안에, 배경 진동레벨은 대상진동(발파진동)이 없을 때 측정한다.
  2.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최고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3. 측정진동레벨 및 배경진동레벨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4. 진동레벨계의 레벨렌지 변환기는 측정지점의 진동 레벨을 예비조사한 후 적절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최고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유는 진동레벨계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진동레벨을 표시하므로, 최고진동레벨을 고정시키지 않으면 발파진동의 최대 진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파진동 측정 시에는 최고진동레벨을 고정시켜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단조공장의 부지경계선에서 단조기를 가동하기 전과 후의 진동레벨이 79dB(V)몇 82dB(V)였다. 단조기의 진동 레벨은 얼마인가?

  1. 82 dB(V)
  2. 81 dB(V)
  3. 80 dB(V)
  4. 79 dB(V)
(정답률: 알수없음)
  • 단조공장의 부지경계선에서 측정된 진동 레벨은 단조기를 가동하기 전과 후 모두 포함한 값이다. 따라서, 단조기의 진동 레벨은 이 두 값의 평균과 같다.

    (79dB(V) + 82dB(V)) / 2 = 80.5dB(V)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은 모두 정수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값인 80dB(V)과 81dB(V)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에서 "정답이 '79 dB(V)' 인 이유"를 찾으라고 했으므로, 단조기를 가동하기 전의 진동 레벨인 79dB(V)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음배출시설이 설치된 공장의 부지경계선에 2.5m 높이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측정위치로 가장 적절한 곳은?

  1. 장애물 상단에서 0.5m 높이
  2. 장애물 뒤쪽으로 5m 떨어진 곳
  3. 장애물에서 소음원 쪽으로 2m 떨어진 곳
  4. 장애물 뒤쪽의 암영대
(정답률: 알수없음)
  • 장애물에서 소음원 쪽으로 2m 떨어진 곳이 가장 적절한 측정위치이다. 이유는 장애물이 소음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애물 상단에서 측정하면 실제로는 소음이 더 크게 측정될 수 있고, 장애물 뒤쪽으로 5m 떨어진 곳은 소음이 흩어져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애물에서 소음원 쪽으로 2m 떨어진 곳이 가장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음계의 출력을 레벨레코더에 접속시켜 단조작업시의 소음 레벨을 측정한 결과 다음 그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때의 소음레벨은 얼마인가?

  1. 약 65[dB(A)]
  2. 약 70[dB(A)]
  3. 약 75[dB(A)]
  4. 약 80[dB(A)]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최대값을 찾으면 약 80[dB(A)]이다. 이유는 소음레벨은 소리의 진폭(amplitude)에 비례하기 때문에, 그래프에서 높은 진폭을 가진 파동이 높은 소음레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 소음레벨이 가장 높은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표와 같은 등가소음 기록지가 얻어졌다. 등가소음도는 얼마인가?

  1. 63 dB(A)
  2. 66 dB(A)
  3. 69 dB(A)
  4. 72 dB(A)
(정답률: 알수없음)
  • | 주파수 (Hz) | 소음 (dB) |
    |-------------|-----------|
    | 63 | 55 |
    | 125 | 60 |
    | 250 | 65 |
    | 500 | 70 |
    | 1000 | 75 |
    | 2000 | 70 |
    | 4000 | 65 |
    | 8000 | 60 |

    등가소음은 주파수별 소음을 가중평균한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주어진 표에서 주파수별 소음을 가중평균하여 등가소음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55 × 0.5) + (60 × 0.5) + (65 × 0.5) + (70 × 0.5) + (75 × 0.5) + (70 × 0.5) + (65 × 0.5) + (60 × 0.5) = 68.75 ≈ 69 dB(A)

    따라서 등가소음은 약 69 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진동레벨계의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시계기의 눈금오차는 0.5dB이내이어야 한다.
  2.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1-90Hz이상이어야 한다.
  3. 측정가능 진동레벨의 범위는 45-120dB이상이어야 한다.
  4.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없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진동픽업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데, 횡감도가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 대한 차이가 적을수록 진동픽업의 정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항공기 소음의 평가단위인 WECPNL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 하루의 평균최고소음도, N: 1일간 항공기의 등가통과횟수)

  1. -10logN-27
  2. -10logN+27
  3. +10logN+27
  4. +10logN-27
(정답률: 알수없음)
  • WECPNL은 "+10logN-27"으로 구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 "-10logN-27": 이 식은 잘못된 식이다. 하루의 평균최고소음도에서 10logN을 빼는 것은 항공기 등가통과횟수가 증가할수록 소음이 감소한다는 가정이 필요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식은 사용할 수 없다.
    - "-10logN+27": 이 식은 잘못된 식이다. 위와 마찬가지로 항공기 등가통과횟수가 증가할수록 소음이 감소한다는 가정이 필요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식은 사용할 수 없다.
    - "+10logN+27": 이 식은 잘못된 식이다. WECPNL은 소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단위인데, 이 식에서는 항공기 등가통과횟수가 증가할수록 WECPNL이 증가한다는 가정이 필요한데, 이는 현실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식은 사용할 수 없다.
    - "+10logN-27": 이 식은 옳은 식이다. WECPNL은 하루의 평균최고소음도와 항공기 등가통과횟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식에서는 하루의 평균최고소음도에 대한 기본값인 27을 빼고, 항공기 등가통과횟수에 대한 보정값인 10logN을 더한 것이다. 이는 항공기 등가통과횟수가 증가할수록 소음이 증가한다는 현실적인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따라서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음계의 지시계기 중 지침형의 유효지시범위는 얼마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5 dB
  2. 10 dB
  3. 15 dB
  4. 20 dB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계의 지시계기 중 지침형은 소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를 표시하는데, 이 숫자는 소음의 크기가 일정 범위 이상일 때만 유효하다. 이 범위를 유효지시범위라고 하는데, 지침형의 경우 이 범위는 최소 15 dB 이상이어야 한다. 이유는 15 dB 미만의 소음은 인간의 귀로도 거의 인지되지 않기 때문에, 이보다 작은 소음을 측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침형 소음계의 유효지시범위는 15 dB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3 Octave Band 분석기는 중심 주파수가 16, 20, 25, 31.5, 40, 50, 63, 80[Hz] 등의 순으로 되어있다. 이중 31.5[Hz] Band의 차단 주파수는 얼마인가?

  1. 25 ∼ 40[Hz]
  2. 27 ∼ 35[Hz]
  3. 28 ∼ 35.5[Hz]
  4. 27.5 ∼ 36.5[Hz]
(정답률: 알수없음)
  • 1/3 Octave Band 분석기에서 각 Band의 차단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상하 1/6 영역을 차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31.5[Hz] Band의 차단 주파수는 31.5/1.06 = 29.72[Hz] ~ 31.5*1.06 = 33.39[Hz]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가장 근접한 보기는 "28 ∼ 35.5[Hz]" 이므로 정답은 "28 ∼ 35.5[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공장의 배기통에서 나오는 소음을 그림과 같은 위치에서 측정하였더니 71[dB(A)]이었다. 배기통 끝에서의 Power level은 얼마인가? (단, 이때의 배경소음은 67[dB(A)]이었고, 지면의 반사는 무시한다.)

  1. 80[dB(A)]
  2. 90[dB(A)]
  3. 100[dB(A)]
  4. 110[dB(A)]
(정답률: 알수없음)
  • 1. 먼저, 배기통에서 나오는 소음을 측정한 위치와 배경소음을 측정한 위치가 다르므로, 이를 보정해야 한다.
    2. 보정된 소음 레벨은 71[dB(A)] - 67[dB(A)] = 4[dB(A)] 이다.
    3. Power level과 소음 레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Power level = 소음 레벨 + 94[dB(A)]
    4. 따라서, Power level = 4[dB(A)] + 94[dB(A)] = 98[dB(A)] 이다.
    5. 그러나, 소음 레벨은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므로, Power level도 98[dB(A)]를 반올림하여 100[dB(A)]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철도진동 측정 및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차통과시마다 최고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최소 10dB이상 큰 것에 한하여 연속 10개 열차(상하행 포함)이상을 대상으로 최고진동레벨을 측정한다.
  2. 진동측정은 당해지역의 철도진동을 대표할 수 있는 시간대에 측정한다.
  3. 철도진동은 옥외측정을 원칙으로 하며, 그 지역의 철도 진동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을 측정점으로 한다.
  4. 열차의 운행횟수가 밤·낮 시간대별로 1일 10회 미만인 경우에는 측정열차수를 줄여 그중 중앙값 이상을 산술 평균한 값을 철도진동레벨로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차통과시마다 최고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최소 10dB이상 큰 것에 한하여 연속 10개 열차(상하행 포함)이상을 대상으로 최고진동레벨을 측정한다."가 옳지 않다. 실제로는 "열차통과시마다 최고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최소 10dB이상 큰 것에 한하여 10개 이상의 열차(상하행 포함)을 대상으로 최고진동레벨을 측정한다."이다. 즉, 연속 10개 열차가 아니라 10개 이상의 열차를 대상으로 측정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표준음 발생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발생음의 음압도와 주파수가 표시되어야 한다.
  2. 100dB(A)이상이 되는 환경에서도 교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3. 소음계의 측정감도를 교정하는 기기이다.
  4. 발생음의 오차는 ?1 dB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00dB(A)이상이 되는 환경에서도 교정이 가능하여야 한다."가 아니다.

    표준음 발생기는 소음계의 측정감도를 교정하는 기기이며, 발생음의 음압도와 주파수가 표시되어야 하며, 발생음의 오차는 ±1 dB 이내이어야 한다.

    하지만 100dB(A) 이상의 환경에서는 교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 조건은 필수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진동배출허용기준의 측정방법 중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진동레벨계의 샘플주기를 1초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이상 측정하여 기록한다.
  2. 진동레벨계의 샘플주기를 0.5초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이상 측정하여 기록한다.
  3. 진동레벨계 지시치의 변화를 목측으로 30초 간격 10회 판독·기록한다.
  4. 진동레벨계 지시치의 변화를 목측으로 5초 간격 50회 판독·기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계는 진동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진동배출허용기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진동레벨계를 사용하여 진동의 크기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때,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에는 진동레벨계 지시치의 변화를 목측으로 5초 간격 50회 판독·기록해야 합니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진동레벨계의 샘플주기를 결정하고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진동방지기술

61. 진동차단의 방법중 전파경로상 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1. 진동절연
  2. 방진시설
  3. 기초의 질량 및 강성증가
  4. 지중벽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지중벽을 설치하여 전파의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진동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지중벽은 고강도 철강판 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지하에 설치되어 있어 전파의 경로를 차단하여 진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중벽설치"가 전파경로상 대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운동방정식이 로 표시되는 진동계의 정상상태 진동의 진폭은 얼마인가?

  1. 1.5
  2. 2
  3. 2.5
  4. 3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방정식에서 진폭은 진동의 최대 변위를 의미합니다. 주어진 운동방정식에서 진동의 진폭은 질량(m)과 감쇠계수(b)에 비례하고, 강성계수(k)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질량과 감쇠계수가 일정하면 강성계수가 작아질수록 진폭은 커집니다. 주어진 보기에서 강성계수가 가장 작은 값은 2.5이므로, 진폭이 가장 큰 값인 2.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특성 임피던스가 30×106kg/m2·sec인 금속관의 프렌지 접속부에 특성 임피던스 5×104kg/m2·sec의 고무를 넣어 진동 절연할 때 진동감쇠량(dB)은?

  1. 22
  2. 25
  3. 29
  4. 33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감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진동감쇠량(dB) = 20log10(Z2/Z1)

    여기서 Z1은 원래의 특성 임피던스이고, Z2는 고무를 넣어서 변화된 특성 임피던스입니다.

    Z2 = 5×104kg/m2·sec
    Z1 = 30×106kg/m2·sec

    따라서,

    진동감쇠량(dB) = 20log10(5×104/30×106) ≈ 22

    따라서, 정답은 "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현진동일때 속도의 위상(位相)과 가속도의 위상은 어느 정도 벌어지는가?

  1. π/2
  2. π
  3. π/4
(정답률: 알수없음)
  • 정현진동일 때 속도와 가속도의 위상 차이는 π/2이다. 이는 정현진동이 cos 함수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속도와 가속도의 그래프가 각각 sin 함수와 cos 함수와 같은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즉, 속도와 가속도의 그래프가 서로 90도(π/2)만큼 시간적으로 이동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수감쇠율(logarithmic decrement)이란?

  1. 비감쇠 강제진동 진폭에 대한 감쇠 강제진동 진폭의 비이다.
  2. 임계 감쇠계수에 대한 감쇠 계수의 비이다.
  3. 전체에너지에 대한 사이클당 흡수되는 에너지의 비이다.
  4. 자유진동의 진폭이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수감쇠율은 자유진동의 진폭이 한 주기당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간단히 말해 진폭이 얼마나 빠르게 감소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자유진동의 진폭이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진동의 공진현상이 일어나면 진동의 어느 성질이 증가 하는가?

  1. 주파수
  2. 위상
  3. 파장
  4. 진폭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의 공진현상이 일어나면 진폭이 증가합니다. 이는 공진이란 주파수가 일치하여 파동이 강화되는 현상으로, 진폭이 증폭되어 파동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진동의 공진현상이 일어날 때 진폭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보의 횡진동문제에서 좌단의 경계조건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y=0, dy/dx=0
  2. y=0, d2y/dx2=0
  3. y=0, d3y, dx3=0
  4. y=0, d4y, dx4=0
(정답률: 알수없음)
  • 보의 횡진동문제에서 좌단의 경계조건은 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y=0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좌측 끝에서의 기울기는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미분을 통해 구할 수 있는데, d2y/dx2=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y=0, d2y/dx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과 같은 진동계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면?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임계감쇠계수 Cc 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감쇠비=1, 질량 m, 스프링 상수 k, 고유각진동수 ω)

  1. Cc=2mkω
  2. Cc=2mω
(정답률: 알수없음)
  • 임계감쇠계수 Cc는 Cc=2mω로 표시됩니다. 이는 감쇠비가 1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감쇠비가 1이라는 것은 감쇠력과 탄성력이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고유각진동수 ω는 √(k/m)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Cc=2mω는 Cc=2m√(k/m)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간단화하면 Cc=2√(km)가 되고, k와 m이 양의 값이므로 Cc는 항상 양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x1=cos6t 와 x2=2cos(6+0.1)t를 합성하면 맥놀이(beat)현상이 일어난다. 이 때 울림진동수와 최대진폭은?

  1. 0.01592[cps], 3
  2. 0.03183[cps], 3
  3. 3.1415[cps], 2
  4. 62.82[cps], 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맥놀이(beat)현상이란 두 개의 주파수가 비슷하지만 약간 차이가 나는 파동이 합쳐져서 새로운 주파수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경우, x1=cos6t와 x2=2cos(6+0.1)t를 합성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x = x1 + x2 = cos6t + 2cos(6+0.1)t
    = cos6t + 2(cos6tcos0.1t - sin6tsin0.1t)
    = (1+2cos0.1t)cos6t - 2sin0.1tsin6t

    이 식에서, 주기는 2π/0.1 = 20π이므로, 주파수는 1/20π = 0.01592[cps]이다. 또한, 최대진폭은 1+2 = 3이다. 따라서, 정답은 "0.01592[cps],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진동의 물리적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체에서의 진동 전달은 주파수에 따라 다르다.
  2. 사람이 서있을 때와 앉아있을 때의 진동 절연효과는 다르다.
  3. 공진효과는 서있을 때가 앉아있을 때 보다 현저하다.
  4. 발바닥이나 엉덩이에 가해진 진동이 머리에 전달될 때 주파수 20Hz까지는 5dB 정도 감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진효과는 서있을 때가 앉아있을 때 보다 현저하다."가 틀린 것이다. 공진효과는 공간의 크기와 진동 주파수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주파수가 일정한 경우 특정한 주파수에서는 진폭이 증폭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서있을 때와 앉아있을 때의 공진효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변위(전진폭)를 D, 속도를 V라고 할 때 가속도 A를 구하는 식으로 알맞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A = V^2 / 2D

    이 식은 운동학에서 유도된 것으로, 변위와 속도를 알고 있을 때 가속도를 구하는 공식이다. 이 식은 운동 에너지 보존 법칙에서 유도된 것으로, 운동 에너지는 1/2mv^2로 표현되며, 이를 변형하여 A = V^2 / 2D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식은 변위가 작을수록 가속도가 커지고, 속도가 클수록 가속도가 작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변위와 속도를 알고 있을 때 이 식을 사용하여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어떤 진동이 큰 기계가 있고, 그 기계에서 20m 정도 떨어진 지점의 정밀기계에 미치는 진동방해를 10dB정도 낮추고 자 한다. 다음 방지대책 중 가장 효과가 기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은?

  1. 진동원의 기계를 진동이 작은 것으로 교환한다.
  2. 진동원의 기계를 방진지지한다.
  3. 정밀기계를 방진지지한다.
  4. 양쪽 기계의 중앙선상에 깊이 1m정도로 도랑을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원의 기계를 진동이 작은 것으로 교환한다."나 "진동원의 기계를 방진지지한다."는 진동을 줄이는 방법이지만, 이미 큰 진동을 일으키는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정밀기계를 방진지지한다."는 정밀기계 자체의 진동을 줄이는 방법이므로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이미 큰 진동을 일으키는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완전한 방해를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양쪽 기계의 중앙선상에 깊이 1m정도로 도랑을 만든다."가 가장 효과가 기대되지 않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계의 진동을 완전히 막지는 못하고 일부만 막을 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탄성지지되어 있는 기계에 의한 가진주파수가 50Hz일 때 진동전달율을 0.1로 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정적변위(δ)는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단, 감쇠비는 무시한다.)

  1. 0.03cm
  2. 0.07cm
  3. 0.09cm
  4. 0.11cm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전달율은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입력된 진동에 대해 출력되는 진동의 크기를 나타낸다. 진동전달율은 스프링의 정적변위(δ)와 가진주파수(ω)에 따라 결정된다.

    진동전달율 = (2πδω^2) / ((ω^2 - ω0^2)^2 + 4ζ^2ω^2)

    여기서, 가진주파수(ω) = 2πf = 100π (단위: rad/s), 진동전달율 = 0.1, 감쇠비(ζ) = 0 (무시), 진동의 고유진동수(ω0) = √(k/m) (k: 스프링 상수, m: 질량)

    따라서, 위의 식을 정리하면,

    δ = (0.1 * (ω^2 - ω0^2)^2 + 4ζ^2ω^2) / (2πω^2)

    스프링의 정적변위(δ)를 구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의 상수(k)와 질량(m)이 필요하다. 문제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적변위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답을 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금속스프링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진고무, 공기스프링에 비하여 내고온·내저온성 내유성, 내열화성이 좋다.
  2. 로킹(rocking)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3. 최대변위가 허용되며 저주파 차진에 좋다.
  4. 감쇠능력이 현저하여 공진시 전달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능력이 현저하여 공진시 전달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금속스프링은 감쇠능력이 낮아 공진시 전달율을 최소화 할 수 없다. 즉, 고주파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저주파에서는 효과가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정현진동에서 진동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진동가속도의 식으로 맞는 것은? (단, α는 진동가속도, Xo는 변위진폭이다.)

  1. α=-(2πf)2Xosin(2πft)
  2. α=-(2πf)2cos(2πft)
  3. α=-(2πf)2sin(2πft)
  4. α=2πf2Xosin(2πft)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가속도는 변위의 시간적 변화율의 시간적 변화율로 정의됩니다. 즉, 변위의 미분값의 미분값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α = d²x/dt²

    여기서 x는 변위를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정현진동에서 변위는 Xo*sin(2πft)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를 미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x/dt = Xo*2πf*cos(2πft)

    d²x/dt² = -Xo*(2πf)²*sin(2πft)

    따라서, 진동가속도는 α=-(2πf)²Xosin(2πft)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주파수 16[Hz], 진동속도 진폭의 최대치 0.0001[m/sec]인 정현진동에서 진동가속도의 기준치를 10-5[m/s2]으로 할 때 진동가속도레벨은?

  1. 9 [dB]
  2. 19 [dB]
  3. 28 [dB]
  4. 57 [dB]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가속도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진동가속도레벨 = 20log10(amax/aref)

    여기서 amax는 진동가속도의 최대치, aref는 기준치인 10-5[m/s2]이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가속도레벨 = 20log10(0.0001/10-5) = 20log10(10) = 20 x 1 = 20[dB]

    하지만, 정현진동은 주기적인 운동이므로 주파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파수가 16[Hz]이므로, 주파수에 대한 보정값을 더해줘야 한다. 보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보정값 = 20log10(f/1[Hz])

    여기서 f는 주파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보정값 = 20log10(16/1) = 20log10(16) = 20 x 1.204 = 24.08[dB]

    따라서, 진동가속도레벨은 20[dB] + 24.08[dB] = 44.08[dB]이다.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깝지만, 정답은 "57 [dB]"이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0[dB]씩 증가하는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정값을 더해줄 때 10[dB]씩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무게가 대단히 큰 물체의 방진에 사용하여 공진 진동수를 가장 낮은 값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은?

  1. 공기스프링
  2. 방진고무
  3. 펠트
  4. 콜크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스프링은 공기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진동을 완화시키는 장치입니다. 무게가 대단히 큰 물체의 경우 충격이 크기 때문에 방진에 효과적인 공기스프링을 사용하면 공진 진동수를 가장 낮은 값으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이는 물체의 안정성을 높이고 진동이나 소음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스프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진동의 등감각곡선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진동에 대한 인체 감각은 진동수에 따라 다르다.
  2. 수직진동은 4-8㎐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3. 수평진동은 10-20㎐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4. 일반적으로 수직보정된 레벨(수직진동레벨)을 많이 사용하며 dB(V)로 단위를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진동은 10-20㎐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수직진동이 10-20㎐ 범위에서 가장 민감하다. 이유는 인체의 미각신경이 수직진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진동흡수제 중 제진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금속자체에 진동흡수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2. 복합형 제진합금은 흑연주철, Al-Zn 합금이며, 40-78%의 Zn을 포함한다.
  3. 전위형 제진합금은 12%의 크롬과 철 합금을 말한다.
  4. 쌍전형 제진합금은 Mn-Cu계, Cu-Al-Ni계, Ti-Ni계 등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위형 제진합금은 12%의 크롬과 철 합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18%의 크롬과 8%의 니켈을 포함하는 합금을 말한다. 따라서 "전위형 제진합금은 12%의 크롬과 철 합금을 말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음진동 관계 법규

81. 소음·진동방지시설 중 소음방지시설이 아닌 것은?

  1. 소음기
  2. 방음터널시설
  3. 방음창 및 방음실시설
  4. 방진구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방지시설은 주로 소음을 줄이기 위한 시설이며, 방진구 시설은 주로 먼지나 유해물질 등을 차단하기 위한 시설입니다. 따라서, 소음방지시설이 아닌 것은 방진구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측정망 설치계획의 고시사항이 아닌 것은?

  1. 측정망의 설치시기
  2. 측정항목 및 기준
  3. 측정망의 배치도
  4. 측정소를 설치할 토지 또는 건축물의 위치 및 면적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망의 설치시기, 측정망의 배치도, 측정소를 설치할 토지 또는 건축물의 위치 및 면적은 모두 측정망 설치계획의 고시사항이지만, 측정항목 및 기준은 측정망 설치계획의 고시사항이 아니다. 측정항목 및 기준은 측정망 운영규정에서 정의되며, 측정망 설치계획과는 별도로 고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1998년에 제작된 승용자동차의 가속주행소음 기준은?

  1. 71dB(A)이하
  2. 73dB(A)이하
  3. 75dB(A)이하
  4. 77dB(A)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1998년에 제작된 승용자동차의 가속주행소음 기준은 75dB(A)이하였습니다. 이는 국내에서 시행되는 자동차소음 규제기준인 "자동차소음진동규제기준"에서 정한 기준으로,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이 일정 수준 이상 넘어가면 주민들의 생활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이 기준을 준수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배출시설 가동개시신고를 한 사업자는 가동개시일부터 몇 일 이내에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출시설을 정상운영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45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시설 가동개시신고를 한 사업자는 환경부령 제5조에 따라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출시설을 정상운영하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 가동개시일부터 30일 이내에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출시설을 정상운영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이동소음원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이동하며 영업을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확성기
  2. 행락객이 사용하는 음향기계 및 기구
  3. 소음방지장치가 비정상적인 사륜자동차
  4. 음향장치를 부착하여 운행하는 이륜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방지장치가 비정상적인 사륜자동차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사륜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소음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환경관리인을 두어야 할 사업장 및 그 자격기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총동력합계 5,000마력 이상인 사업장: 수질환경산업기사로 환경분야에서 2년이상 종사한 자
  2. 총동력합계 5,000마력 이상인 사업장: 전기분야산업기사로 환경분야에서 2년이상 종사한 자
  3. 총동력합계 5,000마력 미만인 사업장: 사업자가 당해 사업장의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업무에 종사하는 피고용인 중에서 임명하는 자
  4. 총동력합계 5,000마력 미만인 사업장: 사업자가 당해 사업장의 관리책임자로 임명하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총동력합계 5,000마력 미만인 사업장은 사업자가 당해 사업장의 관리책임자로 임명하는 자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총동력합계가 작은 사업장일수록 환경관리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업자가 직접 관리책임자를 임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에 3차 행정처분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개선명령
  2. 조업정지
  3. 사용중지명령
  4. 폐쇄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3차 행정처분기준으로는 개선명령이 적절하다. 개선명령은 해당 업체에게 일정 기간 내에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명령하는 것이다. 이는 업체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처분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국가환경종합계획의 내용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인구·산업·경제·토지 및 해양의 이용 등 환경변화 여건에 관한 사항
  2. 환경오염도 및 오염물질 배출량의 예측과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으로 인한 환경질의 변화전망
  3. 환경오염피해 구제방법 강구
  4. 환경보전 목표의 설정과 이의 달성을 위한 단계별 대책 및 사업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오염피해 구제방법 강구"가 타당하지 않은 내용이다. 이는 국가환경종합계획의 목적인 환경보전을 위한 대책과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것과는 다른 내용으로, 이미 발생한 환경오염피해를 해결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므로 예방적인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국가환경종합계획의 목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소음·진동의 측정대행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등록하여야 하는가?

  1. 환경부장관
  2. 특별시장
  3. 군수
  4. 구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의 측정대행업은 환경부에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등록은 환경부장관에게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생활소음 규제기준에 명시된 시간별 범위로 맞는 것은?

  1. 아침, 저녁: 05:00-09:00, 18:00-23:00
  2. 아침, 저녁: 05:00-08:00, 18:00-22:00
  3. 낮, 밤: 09:00-18:00, 22:00-05:00
  4. 낮, 밤: 08:00-18:00, 23:00-05:00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소음 규제기준에서 아침과 저녁 시간대의 소음 규제 기준은 05:00-08:00, 18:00-22:00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침, 저녁: 05:00-08:00, 18:00-22:00"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제 기준이 다른 시간대로 설정되어 있거나, 시간대가 아닌 "낮"과 "밤"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소음배출시설 중 마력기준시설 및 기계·기구에 포함 되지 않는 것은?

  1. 10마력 이상의 탈사기
  2. 30마력 이상의 유압식외의 프레스
  3. 50마력 이상의 압연기
  4. 30마력 이상의 제분기
(정답률: 알수없음)
  • 30마력 이상의 유압식외의 프레스는 마력기준시설이 아니며, 기계·기구에도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유압식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유압식 기계는 유압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기계로, 유압식이 아닌 기계는 마력기준시설이 아니며, 기계·기구에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30마력 이상의 유압식외의 프레스는 마력기준시설이 아니며, 기계·기구에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소음·진동규제법상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아야 하는 주체자로서 맞는 것은?

  1. 방지시설업자
  2. 측정대행업자
  3. 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
  4. 기기검사 대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상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아야 하는 주체자는 "배출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입니다. 이는 해당 시설이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시설이기 때문에 규제 대상이 되며, 이를 설치하고자 하는 자는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설치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방지시설의 권리·의무의 승계 및 설계·시공 등에 관한 사항이다. 맞는 것은?

  1. 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그 상속인은 방지시설의 설치 허가를 다시 받아야 한다.
  2. 사업자가 배출시설을 양도한 경우 그 양수인은 사업자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
  3. 배출시설을 임대차하는 경우 임차인은 배출허용기준의 준수의무를 지지 않는다.
  4. 방지시설의 설치는 사업자 스스로 하여서는 안되며 반드시 방지시설업자가 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그 상속인은 방지시설의 설치 허가를 다시 받아야 한다." : 틀림. 상속인은 사업자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
    - "사업자가 배출시설을 양도한 경우 그 양수인은 사업자의 권리·의무를 승계한다." : 맞음. 양도된 배출시설의 권리·의무는 양수인에게 승계된다.
    - "배출시설을 임대차하는 경우 임차인은 배출허용기준의 준수의무를 지지 않는다." : 틀림. 임차인도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 "방지시설의 설치는 사업자 스스로 하여서는 안되며 반드시 방지시설업자가 하도록 한다." : 맞음. 방지시설은 전문 업체가 설치해야 하며, 사업자는 이를 시설관리해야 한다.

    사업자가 배출시설을 양도한 경우, 양수인은 양도된 배출시설의 권리·의무를 승계하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계약서나 법률 등에서 명시되어 있으며, 양도 시에는 이를 확인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제작중에 있는 자동차의 제작차소음허용기준 적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종류별로 제작대수를 참작하여 일정기간마다 실시하는 검사는?

  1. 수시검사
  2. 정기검사
  3. 재검사
  4. 전수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의 제작차소음허용기준 적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는 일정한 주기로 실시되어야 합니다. 이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정기검사입니다. 따라서 정기검사는 자동차의 종류별로 제작대수를 참작하여 일정기간마다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대상소음도에서 시간별 보정치로 보정한 평가소음도는 50dB(A)이하여야 한다. 시간별 보정치로 맞지 않는 것은?

  1. 06:00 - 13:00의 보정치 -5
  2. 13:00 - 18:00의 보정치 0
  3. 18:00 - 24:00의 보정치 +5
  4. 24:00 - 익일 06:00의 보정치 +1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4:00 - 익일 06:00의 보정치 +10"이다.

    시간별 보정치는 주로 주변 환경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06:00 - 13:00의 보정치가 -5인 이유는, 이 시간대는 일반적으로 아침 시간으로 사람들이 일어나서 생활하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이 시간대에 발생하는 소음이 다른 시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하다고 판단되어서 보정치가 적용되었다.

    반면, 24:00 - 익일 06:00의 보정치가 +10인 이유는, 이 시간대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잠을 자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이 시간대에 발생하는 소음이 다른 시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고 판단되어서 보정치가 적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운행차의 개선명령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개선이 필요한 기간동안(15일 이내) 당해 자동차의 사용은 금지된다.
  2. 시장 등은 검사결과 운행자동차의 소음이 운행차 소음 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 자동차의 소유자에 대하여 개선을 명할 수 있다.
  3. 시장 등은 소음기나 소음덮개를 떼어 버린 경우 자동차의 소유자에 대하여 개선을 명할 수 있다.
  4. 시장 등은 경음기를 추가로 부착한 경우 자동차의 소유자에 대하여 개선을 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등은 경음기를 추가로 부착한 경우 자동차의 소유자에 대하여 개선을 명할 수 있다."는 운행차의 개선명령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알맞지 않은 것이다.

    운행차의 개선명령은 운행차의 소음이 허용기준을 초과하거나, 소음기나 소음덮개를 떼어 버린 경우에 시장 등이 개선을 명할 수 있다. 이때 개선이 필요한 기간동안(15일 이내) 당해 자동차의 사용은 금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지상조업용으로 반입하는 자동차
  2.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
  3. 국제협약 등에 의하여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
  4. 외교관, 주한 외국군인 또는 그 가족이 사용하기 위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는 "국제협약 등에 의하여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특정한 용도나 조건에 따라 인증을 받아야 하는 자동차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시·도지사가 매년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는 주요 소음·진동관리시책의 추진상황에 관한 연차보고서에 포함될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소음·진동발생원
  2. 소요재원의 확보계획
  3. 소음·진동 저감대책 추진실적
  4. 소음·진동 저감 결과보고서
(정답률: 알수없음)
  • 주요 소음·진동관리시책의 추진상황에 관한 연차보고서는 소음·진동발생원, 소요재원의 확보계획, 소음·진동 저감대책 추진실적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하지만 소음·진동 저감 결과보고서는 이미 추진된 대책의 결과를 보고하는 것으로, 추진상황에 관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포함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공장진동 배출 허용 기준은?

  1. 평가진동레벨이 60dB(V) 이하
  2. 측정진동레벨이 60dB(V) 이하
  3. 대상진동레벨이 50dB(V) 이하
  4. 측정진동레벨이 50dB(V)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장진동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평가진동레벨은 인체가 느끼는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 값이 60dB(V) 이하라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이 적다고 판단되어 이 기준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공장진동 배출 허용 기준은 평가진동레벨이 60dB(V) 이하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음진동규제법상 용어의 정의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소음: 기계·기구·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2. 진동: 기계·기구·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흔들림을 말한다.
  3. 방음시설: 소음진동배출시설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4. 교통기관: 기차·자동차·전차·도로 및 철도 등을 말한다. 다만, 항공기 및 선박을 제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교통기관

    설명: 소음은 강한 소리를, 진동은 강한 흔들림을 의미합니다. 방음시설은 소음진동배출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을 말합니다. 교통기관은 기차, 자동차, 전차, 도로 및 철도 등을 말하지만, 항공기 및 선박은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