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소음진동기사(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다음 중 음의 전달경로로 옳은 것은?

  1. 외이도 - 이소골 - 이개 - 와우각
  2. 외이도 - 와우각 - 이관 - 이소골
  3. 외이도 - 고막 - 이소골 - 와우각
  4. 외이도 - 이관 - 고막 - 이소골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가 청각기관으로 전달되는 경로는 외이도에서 시작하여 고막을 거쳐 이소골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와우각까지 전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외이도 - 고막 - 이소골 - 와우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음향파워가 10 W인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철도에서 500m 떨어진 주택가(전달 경로상에 장애가 없는 경우)에서의 음압레벨은? (단, 무지향성 반자유공간에 있는 선음원 기준)

  1. 98 dB
  2. 95 dB
  3. 68 dB
  4. 65 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파워가 10 W인 경우, 거리가 500m이므로 거리감쇠는 20log(500/0.001) = 106 dB이다. 또한, 무지향성 반자유공간에서의 음압레벨은 음향파워에 따라 1m 거리에서 94 dB이므로, 500m 거리에서는 94 - 106 = -12 dB가 된다. 따라서, 주택가에서의 음압레벨은 -12 + 98 = 86 dB가 된다. 하지만, 이는 이론적인 값으로, 실제로는 장애물 등으로 인해 음압레벨이 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레이노씨 현상 (Raynaud's pehnomenon)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White finger 증상이라고도 한다.
  2. 더위에 폭로되면 이러한 현상은 더욱 악화된다.
  3. 착암기, 공기해머 등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자의 손에서 유발될 수 있는 현상이다.
  4. 말초혈관운동의 저하로 인한 혈액순환의 장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말초혈관운동의 저하로 인해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는 레이노씨 현상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흰색으로 변하고 저체온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더위에 폭로되면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순환을 돕는데, 레이노씨 현상에서는 혈관이 축소되어 혈액순환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더위에 노출되면 현상이 더욱 악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청각기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중이에서 음의 전달매질은 고체이다.
  2. 추골, 침골, 등골은 중이에 해당한다.
  3. 외이도는 일종의 공명기로 소리를 증폭, 고막을 진동시킨다.
  4. 내이의 고실은 소리의 진폭과 힘(진동음압)을 약 10~20배 정도 증가시켜 뇌신경으로 전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내이의 고실은 소리의 진폭과 힘(진동음압)을 약 10~20배 정도 증가시켜 뇌신경으로 전달한다." 이다. 내이의 고실은 소리의 진폭과 힘을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라,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기조건에 따른 일반적인 소리의 감쇠효과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고주파일수록 감쇠가 커진다.
  2. 습도가 높을수록 감쇠가 커진다.
  3. 음원보다 상공의 풍속이 클 때, 풍상측에서 굴절에 따른 감쇠가 크다.
  4. 기온이 낮을수록 감쇠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도가 높을수록 감쇠가 커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리의 전달 속도가 빨라지고, 따라서 감쇠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습도가 낮을수록 감쇠가 커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유공간 내에 무지향성 점음원이 있다. 이 점원으로부터 4m 떨어진 지점의 음압레벨이 80dB 이라면 이 음원의 음향파워레벨은?

  1. 83 dB
  2. 93 dB
  3. 103 dB
  4. 65 dB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청력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대소 (큰 소리, 작은 소리)는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에 따른다.
  2. 사람의 목소리는 100~10,000Hz, 회화의 명료도는 200~6,000Hz, 회화의 이해를 위해서는 500~2,500Hz의 주파수 범위를 각각 갖는다.
  3. 2kHz 이하는 초저주파음, 20000Hz를 초과하는 음은 초음파라 한다.
  4. 4분법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 500~2000Hz 범위에서 25dB 이상이면 난청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2kHz 이하는 초저주파음, 20000Hz를 초과하는 음은 초음파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음파의 주파수가 낮을수록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가 커지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진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2kHz 이하는 주파수가 낮아 초저주파음이라 하고, 20000Hz를 초과하는 주파수는 높아 초음파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비형필터로서 1/1 옥타브밴드 분석기의 중심 주파수로 옳은 것은? (단, 하한주파수:f1, 상한주파수:f2)

(정답률: 알수없음)
  • 1/1 옥타브밴드 분석기는 주파수 대역을 2배씩 나누어 분석하는데, 정비형필터는 이 분석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설계된 필터이다. 따라서 정비형필터의 중심 주파수는 주어진 주파수 대역의 중간값인 (f1+f2)/2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낮시간 동안의 매시간 등가소음도가 68dB(A) , 밤시간 동안의 매시간 등가소음도가 55dB(A)라 할 때, 주야간 평균소음도(Ldn)는? (단, 밤시간은 9시간)

  1. 60 dB(A)
  2. 62 dB(A)
  3. 64 dB(A)
  4. 67 dB(A)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간 소음도는 68dB(A)이므로, 주간 소음의 영향을 받는 시간은 24-9=15시간이다. 따라서 주간 소음도의 기여도는 68dB(A) × 15시간 = 1020dB(A)이다.

    밤간 소음도는 55dB(A)이므로, 밤간 소음의 영향을 받는 시간은 9시간이다. 따라서 밤간 소음도의 기여도는 55dB(A) × 9시간 = 495dB(A)이다.

    주야간 평균소음도(Ldn)는 (1020dB(A) + 495dB(A)) ÷ 24시간 = 67.7dB(A)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67 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2Hz 에서 심한 공진현상을 보이며, 가해진 진동보다 크게 느끼고, 진동수 증가에 따라 감쇠치는 감소한다.
  2. 1-3Hz 정도에서 호흡이 힘들고, 소비가 감소한다.
  3. 12-16Hz 정도에서 배 속의 음식물이 심하게 오르락 내리락함을 느낀다.
  4. 13Hz 정도에서 머리가 심하게 진동을 느낀다.
(정답률: 알수없음)
  • "1-2Hz 에서 심한 공진현상을 보이며, 가해진 진동보다 크게 느끼고, 진동수 증가에 따라 감쇠치는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1-2Hz 진동은 인체의 골격과 유사한 물체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기 때문에 공진 현상이 발생하여 진동을 더 크게 느끼게 된다. 또한, 진동수가 증가할수록 감쇠치는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음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각 음파들의 주파수가 같은 경우 위상차가 π/2 보다 큰 경우 서로 보강되나, π/2 보다 작은 경우에는 서로 상쇄되어, 음의 회절현상을 나타낸다.
  2. 맥놀이는 주파수가 비슷한 두 소리가 간섭을 일으켜 보강간섭과 소멸간섭을 교대로 일으켜 주기적으로 소리의 강약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3. 정재파는 음압의 진폭이 최대점이 절(node)과 최소점인 복(loop)의 위치가 위상차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경우를 뜻하며, 정상파라고도 한다.
  4. 음원이 반사면이 있는 공간에 놓이는 경우 입사파와 반사파의 회절작용으로 정재파가 나타나며 벽면 가까이에서는 음압의 절(node)이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맥놀이는 주파수가 비슷한 두 소리가 간섭을 일으켜 보강간섭과 소멸간섭을 교대로 일으켜 주기적으로 소리의 강약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소음계 청강보정회로 중 A특성 및 C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C특성은 주관적인 감각량과 잘 대응하며, A특성은 100Hz 대역에서 상대응답이 0이다.
  2. C특성은 Fletcher 와 Munson의 등청감곡선의 70폰의 역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3. C특성은 항공기 소음 평가시 주로 사용되고. A특성은 일반적인 소음도를 측정할 때 사용한다.
  4. C특성은 전주파수 대역에서 평탄한 특성을 보이고, 소음의 물리적 특성 파악시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특성은 전주파수 대역에서 평탄한 특성을 보이고, 소음의 물리적 특성 파악시 주로 사용된다. 이는 C특성이 주관적인 감각량과 잘 대응하며, Fletcher와 Munson의 등청감곡선의 70폰의 역특성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이다. A특성은 100Hz 대역에서 상대응답이 0이므로, 일반적인 소음도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항공기 소음 평가시에는 C특성이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인체의 귓구멍(외이도)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 때 공명 기본음 주파수 대역은? (단, 음속은 340m/s 이다)

  1. 750 Hz
  2. 3.4 kHz
  3. 6.8 kHz
  4. 7.1 kHz
(정답률: 알수없음)
  • 귓속에서 발생한 음파는 외이도를 통해 중이로 전달되며, 외이도의 길이가 약 2.5cm, 폭이 0.7cm, 높이가 1.2cm 정도이다. 이러한 외이도는 공명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이는 외이도의 길이와 폭,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공명 기본음 주파수 대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명 주파수 = 음속 ÷ (2 × 외이도 길이)

    = 340 ÷ (2 × 0.025)

    = 6,800 Hz

    하지만, 이는 외이도의 길이만 고려한 값이므로, 폭과 높이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외이도의 폭과 높이를 고려하여 보정한 공명 기본음 주파수 대역은 약 2~3kHz 정도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4 kHz" 이므로 정답은 "3.4 k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음압레벨의 대수비 와 음세기레벨의 대수비 와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25℃ 공기 중에서 500Hz 음의 음속 및 파장은?

  1. 음속:331m/s, 파장:0.66m
  2. 음속:331m/s, 파장:0.69m
  3. 음속:346m/s, 파장:0.69m
  4. 음속:346m/s, 파장:0.66m
(정답률: 알수없음)
  • 음속은 공기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25℃에서의 음속은 약 346m/s이다. 파장은 음속과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파장 = 음속 / 주파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00Hz의 파장은 346m/s / 500Hz = 0.69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음속:346m/s, 파장:0.69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출력 15W의 작은 점음원이 단단하고 평탄한 지면위에 있는 경우, 음원으로부터 10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음의 세기는?

  1. 0.012 W/m2
  2. 0.024 W/m2
  3. 0.239 W/m2
  4. 0.477 W/m2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세기는 음원의 출력과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음원으로부터 10m 떨어진 지점에서의 음의 세기는 다음과 같다.

    음의 세기 = (음원의 출력) / (4π × 거리의 제곱)

    여기서, 음원의 출력은 15W이고, 거리는 10m이므로,

    음의 세기 = (15W) / (4π × (10m)2) = 0.012 W/m2

    하지만, 문제에서는 음원이 단단하고 평탄한 지면위에 있다고 했으므로, 지면에서 반사되는 음파가 추가로 존재한다. 이 반사음파는 원음파와 같은 세기를 가지므로, 총 음의 세기는 원음파와 반사음파의 합이다. 따라서, 총 음의 세기는 다음과 같다.

    총 음의 세기 = 2 × (음의 세기) = 2 × 0.012 W/m2 = 0.024 W/m2

    따라서, 정답은 "0.024 W/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총합투과율이 0.035인 벽체의 총합 투과손실은?

  1. 29.1 dB
  2. 14.6 dB
  3. 7.3 dB
  4. 1.5 dB
(정답률: 알수없음)
  • 총합투과율은 전체 입력 신호 중 벽체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총합투과율이 0.035이면 입력 신호 중 0.035만이 벽체를 통과하여 출력됩니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의 0.035배가 됩니다.

    총합 투과손실은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의 차이를 dB로 나타낸 값입니다. 이 값은 10log(입력 신호/출력 신호)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합 투과손실은 10log(1/0.035) = 14.6 d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음향 파워레벨(dB)을 나타낸 식은? (단, Wo 는 기준음향파워, W 는 대상음원의 음향파워)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 파워레벨은 대상음원의 음향파워(W)를 기준음향파워(Wo)로 나눈 후 로그를 취한 값에 1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매질 입자의 왕복운동을 1분 동안에 60,000번 일으키는 소리의 주파수는?

  1. 60 kHz
  2. 10 kHz
  3. 6 kHz
  4. 1 kHz
(정답률: 알수없음)
  • 왕복운동을 1분 동안에 60,000번 일으키는 것은 초당 1,000번의 왕복운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1 kHz의 주파수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1 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NRN, Sone, Noy의 3종류의 소음 평가 방법의공통된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두 dB 단위로 정의된다.
  2. 어느 값이나 귀로 들은 크기에 반비례한다.
  3. 어느 값이나 주파수의 분석으로 구한다.
  4. 철도소음 평가를 위한 국제단위로 채용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어느 값이나 주파수의 분석으로 구한다."가 가장 적합한 이유는 NRN, Sone, Noy 모두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주파수 분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NRN은 주로 고주파음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Sone과 Noy는 인간의 청각에 대한 반응을 기반으로 소음의 크기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방법 모두 주파수 분석을 사용하여 소음을 평가하므로 "어느 값이나 주파수의 분석으로 구한다."가 가장 적합한 공통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방지기술

21. 면밀도가 각각 100kg/m2 인 중공이중벽과 면밀도가 250kg/m2 인 단일벽의 투과손실이 25Hz에서 일치한다고 할 때, 이중벽의 공기층 두께는 실용식 사용시 몇 cm가 되겠는가?

  1. 약 7 cm
  2. 약 10 cm
  3. 약 19 cm
  4. 약 26 c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단일벽의 투과손실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은?

  1. ① 강성제어법칙, ② 일치효과
  2. ① 질량법칙, ② 강성제어효과
  3. ① 질량법칙, ② 일치효과
  4. ① Weber-Fechner법칙, ② 방음래깅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단일벽의 투과손실은 질량법칙과 일치효과에 의해 결정된다. 질량법칙은 벽의 무게와 밀도에 따라 투과손실이 결정되며, 일치효과는 소리파장과 벽의 두께가 일치할 때 효과적으로 소리가 차단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질량법칙, ② 일치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가로 20m, 세로 20m, 높이 4m인 방중앙 바닥에 PWL 90dB인 무지향성 점음원이 놓여 있다. 이 음원으로부터 10m 지점에서의 음향에너지 밀도(Wㆍsec/m3)는? (단, 실내의 평균흡음율은 0.1,음속은 340m/s로 한다.)

  1. 10-7
  2. 10-8
  3. 10-9
  4. 10-10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향에너지 밀도 = (음압의 제곱) / (2 x 밀도 x 음속)

    무지향성 점음원에서 방사되는 음압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므로, 10m 지점에서의 음압은 다음과 같다.

    음압 = 10^(90/20) x 2 x 10^(-5) = 0.02 Pa

    따라서, 음향에너지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음향에너지 밀도 = (0.02^2) / (2 x 1.2 x 340) = 1.18 x 10^(-6) Wㆍsec/m^3

    하지만, 이 값은 실내의 평균흡음율이 0.1인 경우의 값이다. 평균흡음율이 낮을수록 실내에서 반사되는 음파가 많아져 음향에너지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시료의 흡음성능 측정을 위해 정재파 관내법을 사용하였다. 1000Hz 순음인 sine파의 정재파비가 1.3이었다면 이 흡음재의 흡음율은?

  1. 0.726
  2. 0.816
  3. 0.894
  4. 0.983
(정답률: 알수없음)
  • 정재파 관내법에서 흡음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흡음율 = 10log(1/정재파비)

    여기서 주어진 문제에서 정재파비는 1.3이므로,

    흡음율 = 10log(1/1.3) = 10log(0.769) = -1.95dB

    이다. 이 값을 dB로 변환하면 0.983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9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흡음, 차음 재료의 선택 및 사용상 유의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흡음재(다공질재료)는 차음재의 음원측(안쪽)에 붙이도록 한다.
  2. 막진동이나 판진동형의 자재에 도장할 경우 흡음율의 저하는 다공질 재료의 경우보다 크다.
  3. 다공질 재료의 표면을 도장하면 고음역에서 흡음율이 저하한다.
  4. 흡음재는 벽면 한 곳에 부착하는 것보다 벽면 전체에 분산 배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막진동이나 판진동형의 자재에 도장할 경우 흡음율의 저하는 다공질 재료의 경우보다 크다."는 차음재의 선택과 관련된 내용이며, 다공질 재료는 흡음재로 사용되어 차음재의 안쪽에 붙이는 것이 효과적이다는 것과는 다른 내용이다. 따라서 "막진동이나 판진동형의 자재에 도장할 경우 흡음율의 저하는 다공질 재료의 경우보다 크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막진동이나 판진동형의 자재는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 소리가 반사되기 쉽기 때문에, 차음재로 사용되는 재료는 표면을 조금이라도 거칠게 만들어 소리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다공질 재료보다는 차음재로 사용되는 다른 재료가 더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음제어를 위한 자재류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흡음재는 일반적으로 내부통로를 가진 다공성자재이며, 차음재로는 불량이다.
  2. 차음재는 상대적으로 경량(8.4~55.6kg/m2)이며, 일반적으로 공기의 출입이 용이하다.
  3. 흡음재는 잔향음의 에너지 저감에 사용된다.
  4. 차음재는 음의 투과율을 저감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음재는 일반적으로 내부통로를 가진 다공성자재이며, 차음재로는 불량이다."는 다른 자재와 구분하기 위한 설명이므로 거리가 된다. 나머지 보기들은 소음제어를 위한 자재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방음벽 설계시 고려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점음원의 경우 방음벽의 길이가 높이의 5배 이상이면 길이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 방음벽의 모든 도장은 전광택으로 반사율이 30% 이하여야 하고, 방음벽의 높이가 일정할 때 음원과 수음점의 중간위치에 세우는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다.
  3. 음원측 벽면은 될 수 있는 한 흡음처리하여 반사음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4. 방음벽에 의한 현실적 최대 회절감쇠치는 점음원의 경우 24dB, 선음원의 경우 22dB 정도로 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방음벽의 높이가 일정할 때 음원과 수음점의 중간위치에 세우는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다." 입니다. 이유는 방음벽의 높이가 일정하다면 음원과 수음점의 중간위치에 세우면, 음원과 수음점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소리가 가장 적게 퍼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방음벽 설계시 고려해야 할 다른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부피가 3000m3, 내부표면적이 1700m2, 평균 흡음율이 0.3인 확산음장으로 볼 수 있는 공장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 음선의 평균 자유행로(mean free path)는 약 11.8m이다.
  2. 실정수는 약 730m2이다.
  3. Sabine의 잔향시간은 약 0.95초이다.
  4. 실내에 파워레벨 90dB의 음원을 설치할 때 실내의 평균 음압레벨은 약 67dB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내 음선의 평균 자유행로(mean free path)는 약 11.8m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실정수는 약 730m2이다."는 부적절한 설명이다. 실정수는 공기의 양과 관련된 값으로, 면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Sabine의 잔향시간은 약 0.95초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실내에 파워레벨 90dB의 음원을 설치할 때 실내의 평균 음압레벨은 약 67dB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평균 음압레벨은 파워레벨과는 다른 개념이지만, 파워레벨이 높을수록 평균 음압레벨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벽 구성부 중 소음장지대책을 가장 먼저 서둘러야 할 곳은? (단, ( )는 투과손실(dB) 값이다.)

  1. 출입문(10)
  2. 환기구(0)
  3. 유리창(14)
  4. 블럭벽(40)
(정답률: 알수없음)
  • 환기구는 외부와 연결되어 있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하므로 소음이 쉽게 퍼지는 곳이다. 따라서 소음장지대책을 가장 먼저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흡음대책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잔향시간이란 실내에서 음원을 끈 순간부터 음에너지밀도가 10-5 감소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2. 흡음이란 매질입자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3. 흡음율은 건물내부의 표면적과 투과율의 곱으로 정의된다.
  4. 자재의 흡음율 측정법 중 벽면의 흡음율을 100에 가깝게 한 잔향실법은 수직입사흡음율 측정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흡음이란 매질입자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발전용에 사용되는 터빈의 파워레벨은 140dB로서 전기 자동차에 비하면 70dB 높다고 한다. 이 때 터빈의 음향파워는 전기자동차의 몇 배인가?

  1. 103
  2. 107
  3. 108
  4. 109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파워는 데시벨(dB)로 표현되며, 데시벨은 로그 스케일이다. 따라서 140dB는 70dB보다 10의 7승(10,000,000)배 더 크다. 따라서 정답은 "1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음원기기를 신내면적 1m2인 실내에서 흡음율이 같은 9m2인 실내로 옮겼을 때 실내소음 저감량(dB)은? (단, 실내의 평균 흡음율은 0.3보다 작다.)

  1. 약 3.5 dB
  2. 약 5.5 dB
  3. 약 6.5 dB
  4. 약 9.5 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원기기를 신내면적 1m2인 실내에서 울리게 되면, 그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일정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흡음율이 같은 9m2인 실내로 옮기면, 실내의 크기가 9배 커지므로 소음이 흩어지게 되어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실내의 평균 흡음율이 0.3보다 작으므로,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실내소음 저감량(dB)은 소음의 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데시벨(dB) 단위로 표시된다. 데시벨은 로그 스케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의 저감량은 로그 스케일로 계산된다.

    실내소음 저감량(dB)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실내소음 저감량(dB) = 10log10(S1/S2)

    여기서, S1은 원래 실내의 면적이고, S2는 새로운 실내의 면적이다.

    따라서, 실내소음 저감량(dB) = 10log10(1/9) = 약 9.5 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 근로자가 서로 다른 3장소에서 작업하고 있다. 88dB(A)장소에서 2시간, 92dB(A) 장소에서 3시간 작업을 하였으며, 3시간 동안은 소음에 폭로되지 않은 장소에서 작업했다면 소음폭로평가(NER)는? (단, 88dB(A)에서는 6시간, 92dB(A)에서는 6시간의 폭로시간이 허용된다.

  1. 1/3
  2. 2/3
  3. 3/5
  4. 5/6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폭로평가(NER)는 폭로된 시간과 허용된 폭로시간의 비율로 계산된다. 이 근로자의 경우, 88dB(A)에서 2시간 폭로되었으므로 6시간 중 2시간이 폭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92dB(A)에서 3시간 폭로되었으므로 6시간 중 3시간이 폭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총 폭로된 시간은 2시간 + 3시간 = 5시간이고, 총 허용된 폭로시간은 6시간 + 6시간 + 3시간 = 15시간이다. 따라서, NER은 5/15 = 1/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3시간 동안은 소음에 폭로되지 않은 장소에서 작업했다"고 하였으므로, 이 3시간을 총 허용된 폭로시간에서 제외해야 한다. 따라서, 총 허용된 폭로시간은 6시간 + 6시간 = 12시간이 되고, NER은 5/12가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5/6"이 아닌, "5/12"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투과손실이 55dB인 벽의 투과율은?

  1. 약 3.2 x 10-6
  2. 약 6.3 x 10-4
  3. 약 6.8 x 10-5
  4. 약 7.2 x 10-4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손실(dB) = 10log(1/투과율) 이므로, 투과율 = 10^(-투과손실/10) 이다. 따라서, 투과손실이 55dB인 경우 투과율은 10^(-55/10) = 약 3.2 x 10^(-6)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과 같이 음파를 확대하여 음향에너지 밀도를 희박하게 하고 공동단을 줄여서 감음하는 것으로 단면적비에 따라 감쇠량을 결정하는 소음기 형식은?

  1. 공명형
  2. 팽창형
  3. 흡음형
  4. 간섭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를 확대하여 음향에너지 밀도를 희박하게 하고 공동단을 줄여서 감음하는 것으로, 이는 공기 분자의 운동 에너지를 소모시켜 소리를 감쇠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단면적비에 따라 감쇠량을 결정하며, 이러한 소음기 형식을 "팽창형"이라고 합니다. 이는 소리가 희박한 곳으로 이동하면서 공간이 팽창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공 이중벽의 설계에 있어서 저음역의 공명주파수(fo)를 75Hz로 설정하고자 한다. 두 벽의 면밀도가 각각 15kg/m2, 10kg/m2일 때 실용식으로 산출할 경우, 중간 공기층 두께는 얼마 정도로 해야하는가?

  1. 5.5 cm
  2. 10.7 cm
  3. 16.2 cm
  4. 19.8 cm
(정답률: 알수없음)
  • 중공 이중벽의 공명주파수(f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o = (c/2d) x √(α/ρ)

    여기서 c는 소리의 속도, d는 중간 공기층의 두께, α는 공기의 열전도율, ρ는 공기의 밀도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면밀도가 각각 15kg/m2, 10kg/m2이므로, 각각의 면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m1 = 15 x 1 = 15kg/m2
    m2 = 10 x 1 = 10kg/m2

    따라서, 중간 공기층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ρ = (m1 + m2) / 2 = (15 + 10) / 2 = 12.5kg/m2

    또한, 소리의 속도는 대기압에서 343m/s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 = 343m/s

    공기의 열전도율은 대기압에서 0.026W/mK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α = 0.026W/mK

    이제 중간 공기층의 두께를 구하기 위해, 식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 = c / 2fo x √(ρ/α)

    주어진 조건에서 fo는 75Hz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 = 343 / 2 x 75 x √(12.5/0.026) = 0.107m = 10.7cm

    따라서, 중간 공기층의 두께는 약 10.7cm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옥외에 있는 소음원에 대해 방지 대책을 할 경우 다음 중 일반적으로 방음효과가 가장 적은 것은?

  1. 주위에 수림대를 조성한다.
  2. 음원의 지향성을 변경한다.
  3. 벽이나 건물로서 차폐한다.
  4. 소음원과 수음점과의 거리를 멀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위에 수림대를 조성한다."는 옥외 소음을 막기 위해 나무를 심어서 소음을 흡수하는 방법입니다. 나무는 소리를 흡수하고 흩뿌리기 때문에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방법들과 달리 벽이나 건물로 차폐하는 것보다는 효과가 적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반무한 방음벽의 직접음 회절감쇠치가 15dB, 반사음 회절감쇠치가 18dB, 투과손실치가 22dB일 때, 이 벽에 의한 삽입 손실치(dB)는? (단, 음원과 수음점은 지상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1. 9.6 dB
  2. 10.5 dB
  3. 11.4 dB
  4. 12.7 dB
(정답률: 알수없음)
  • 반무한 방음벽은 직접음과 반사음을 모두 막아주는 벽이므로, 삽입 손실치는 직접음 회절감쇠치와 반사음 회절감쇠치의 합과 투과손실치의 차이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손실치는 15dB + 18dB - 22dB = 11dB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음원과 수음점이 지상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고 했으므로,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한다. 이는 지상과 음원/수음점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일반적으로 1m당 6dB 정도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거리에 따른 추가적인 손실을 고려하여 삽입 손실치를 계산하면, 11dB + (거리에 따른 추가적인 손실) = 12.7dB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7 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은 소음방지대책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방진
  2. 흡음
  3. 차음
  4. 래깅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도로 위에 설치된 소음방지벽이다. 이 벽은 주로 차량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 것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방진"은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차단하는 것이고, "흡음"은 소음을 흡수하는 것이다. "차음"은 차량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래깅"이 가장 적합한 답이다. "래깅"은 소음을 반사시켜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소음방지벽을 설치하여 주변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균질의 단일벽 두께를 16배로 할 경우 일치효과의 한계 주파수의 변화로 옳은 것은? (단, 기타 조건은 일정하다고 본다.)

  1. 원래의 1/16
  2. 원래의 1/4
  3. 원래의 4배
  4. 원래의 16배
(정답률: 알수없음)
  • 균질의 단일벽 두께를 16배로 늘리면, 일치효과의 한계 주파수는 원래의 1/16이 된다. 이는 일치효과의 한계 주파수가 단일벽 두께의 역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께가 16배로 늘어나면 일치효과의 한계 주파수는 원래의 1/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41.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당해 지역의 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낮시간대는 2시간 간격을 두고 1시간씩 2회 측정하여 산술평균하여, 밤시간대는 1회 1시간 동안 측정하는 소음은?

  1. 환경소음
  2. 철도소음
  3. 발파소음
  4. 생활소음
(정답률: 알수없음)
  • 철도소음은 낮시간대와 밤시간대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소음으로, 기차의 지나가는 소리와 함께 발생하는 진동 소음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낮시간대와 밤시간대 모두에 측정이 필요한 소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그림과 같은 일반적인 진동레벨계 기본 구성에서 6에 해당하는 것은?

  1. attenuator
  2. 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
  3. weighting networks
  4. data recorder
(정답률: 알수없음)
  • 6번은 "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이다. 이는 진동레벨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정 장치로, 진동레벨계의 민감도와 주파수 응답을 검증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보기들은 진동레벨계의 측정에 필요한 부속품들이다. "attenuator"는 신호의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weighting networks"는 주파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data recorder"는 측정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음 측정기기의 구조별 성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icrophone : 지향성이 작은 압력형으로 하며, 기기의본체와 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2. amplifier :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시킨 양을 증폭시키는 것을 말한다.
  3. weighting networks : A특성을 갖춘 것이어야 하며, 자동차 소음측정에 사용되는 C특성도 함께 갖추어야 한다.
  4. monitor out : 소음신호를 기록기 등에 전송할 수 있는 교류단자를 갖춘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mplifier :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시킨 양을 증폭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 microphone : 소리를 받아들이는 기기로, 지향성이 작은 압력형으로 하며, 기기의 본체와 분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 amplifier :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시킨 양을 증폭시키는 것을 말한다.
    - weighting networks : 소음 측정 시에 주파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필터로, A특성을 갖춘 것이어야 하며, 자동차 소음측정에 사용되는 C특성도 함께 갖추어야 한다.
    - monitor out : 소음신호를 기록기 등에 전송할 수 있는 교류단자를 갖춘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일건물 내 사업장소음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 소음계는 KS C IEC 61672-1에서 정한 클래스 2 소음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2. 소음계의 동특성은 원칙적으로 빠름 (fast)을 사용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3. 환경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측정 지점수를 변경시킬 수 있으나, 원칙적으로 적절한 측정 시각에 1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하고 1회 이상 측정한다.
  4. 측정점에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장애물로부터 1.0m 이상 떨어진 지점을 측정점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측정점에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장애물로부터 1.0m 이상 떨어진 지점을 측정점으로 한다." 입니다.

    설명: 환경이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측정 지점수를 변경시킬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 적절한 측정 시각에 1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하고 1회 이상 측정해야 합니다. 사용 소음계는 KS C IEC 61672-1에서 정한 클래스 2 소음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소음계의 동특성은 원칙적으로 빠름 (fast)을 사용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측정점에 높이가 1.5m를 초과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장애물로부터 1.0m 이상 떨어진 지점을 측정점으로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도로교통진동한도의 측정시간 및 측정지점수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4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정하여 각 측정지점에서 4시간이상 간격으로 2회이상 측정
  2. 4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정하여 각 측정지점에서 2시간이상 간격으로 4회이상 측정
  3.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정하여 각 측정지점에서 4시간이상 간격으로 2회이상 측정
  4.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정하여 각 측정지점에서 2시간이상 간격으로 4회이상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교통진동한도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한 기준이다. 이 기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점에서 측정을 해야 하며, 이때 측정시간과 측정지점수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정하여 각 측정지점에서 4시간이상 간격으로 2회이상 측정"이라는 기준은 최소한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측정을 해야 하며, 각 지점에서는 최소한 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이상 측정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측정을 하면 보다 정확한 도로교통진동한도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도소음 한도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도소음한도를 적용하기 위하여 측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철도보호지구에서 측정 평가한다.
  2. 샘플주기를 1초 내외로 결정하고 1시간동안 연속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등가소음도를 그 지점의 측정 소음도로 한다.
  3. 소음계의 동특성은 “빠름”으로 하여 측정한다.
  4. 당해지역의 철도소음을 대표할 수 있는 밤시간대는 1회 1시간 동안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계의 동특성은 “빠름”으로 하여 측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소음계의 동특성은 철도소음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철도소음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소음계의 동특성은 "느림"으로 설정하여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전동레벨계의 성능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90dB, ② 1dB
  2. ① 1~90dB, ② 0.5dB
  3. ① 45~120dB, ② 1dB
  4. ① 45~120dB, ② 0.5dB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레벨계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측정 범위는 45~120dB이며, 측정 정확도는 0.5dB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45~120dB, ② 0.5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측정자료 분석시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 레벨계지시치의 변화폭이 5 dB이내일 때 구간내 최대치부터 진동레벨의 크기순으로 10개를 산술평균한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하지 않는 것은?

  1. 생활진동의 규제기준 측정
  2. 배출허용기준진동 측정
  3. 철도진동 한도의 측정
  4. 도로교통진동 한도의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 레벨계지시치의 변화폭이 5 dB 이내일 때 구간내 최대치부터 진동레벨의 크기순으로 10개를 산술평균한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하지 않는 이유는, 이 방법은 진동레벨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다른 진동에 대해서는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철도진동 한도의 측정에서는 진동레벨뿐만 아니라, 진동의 주파수 특성도 함께 고려하여 측정을 진행해야 한다. 철도진동 한도의 측정은 철도 주변 건물이나 주택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일정한 기준을 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해 필요한 측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생활진동 규제기준 측정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 측정하여 그중 높은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한다.
  2. 진동픽업의 연결선은 잡음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표면에 일직선으로 설치한다.
  3. 진동레벨계와 진동레벨기록기를 연결하여 측정ㆍ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진동레벨기록기가 없는 경우에는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가능하다.
  4. 진동픽업의 설치장소는 완충물이 넉넉하게 있는 곳으로 충분히 다져서 단단히 굳은 장소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절한 측정시각에 2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를 선정, 측정하여 그중 높은 진동레벨을 측정진동레벨로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진동픽업의 설치장소는 완충물이 넉넉하게 있는 곳으로 충분히 다져서 단단히 굳은 장소로 하는 이유는 진동픽업이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진동이 전달되는 경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진동픽업과 지면 사이에 완충재가 필요하다. 완충재가 충분하지 않으면 지면의 진동이 진동픽업에 직접 전달되어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음ㆍ진동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상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측정소음도 : 소음ㆍ진동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한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소음도 및 등가소음도 등을 말한다.
  2. 정상소음 : 시간적으로 변동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변동폭이 작은 소음을 말한다.
  3. 지발발파 : 수분내에 시간차를 두고 발파하는 것은 말한다.
  4. IEC 규격 : 국제전기표준회의에서 제정된 소음측정기기에 관한 규격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지발발파 : 수분내에 시간차를 두고 발파하는 것은 말한다."

    해설: 지발발파는 시간차를 두고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지진파를 말한다. 따라서, 정의가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생활진동 측정자료 평가표 서식의 “측정환경”란에 기재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면조건
  2. 전자장 등의 영향
  3. 반사 및 굴절진동의 영향
  4. 습도 및 온도의 영향
(정답률: 알수없음)
  • "습도 및 온도의 영향"은 측정환경에 대한 내용으로, 생활진동 측정자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습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 진동이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 환경에서 습도와 온도를 고려하여 측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적인 소음계 기본구성 순서상 증폭기 바로 뒤에 위치하는 것은?

  1. 레벨렌지 변환기
  2. 청감보정회로
  3. 마이크로폰
  4. 동특성조절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소음계의 기본 구성은 마이크로폰, 청감보정회로, 레벨렌지 변환기, 동특성 조절기, 증폭기, 출력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청감보정회로는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되는 소리 신호를 인간의 청각 특성에 맞게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인간의 청각 특성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주는 회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청감보정회로는 일반적인 소음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증폭기 바로 뒤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기계의 측정소음도도가 72dB(A)였고, 배경소음도가 65db(A)였다면 A기계의 대상소음도는?

  1. 74 dB(A)
  2. 71 dB(A)
  3. 70 dB(A)
  4. 69 dB(A)
(정답률: 알수없음)
  • A기계의 대상소음도는 측정소음도에서 배경소음도를 뺀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72dB(A) - 65dB(A) = 7dB(A) 이다. 이 값에 배경소음도를 더하면 A기계의 대상소음도는 7dB(A) + 65dB(A) = 72dB(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1 dB(A)"가 아니라 "72 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진동배출원 부지경계선의 측정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1dB(V) 클 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경진동이 대상진동보다 크므로 재측정하여 대상진동 레벨을 구한다.
  2. 대상진동레벨은 측정진동레벨보다 1dB(V) 낮다.
  3. 대상진동레벨은 측정진동레벨보다 1dB(V) 높다.
  4. 대상진동레벨은 측정진동레벨보다 5dB(V)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배출원 부지경계선의 측정진동레벨이 배경진동레벨보다 1dB(V) 클 때, 이는 대상진동과 배경진동이 혼합되어 측정된 결과이므로 대상진동레벨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배경진동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배경진동이 대상진동보다 크므로 재측정하여 대상진동 레벨을 구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기 소음한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선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점에서 원추형 상부공간이란 측정위치를 지나는 지면 또는 바닥면의 법선에 반각 80° 의 선분이 지나가는 공간을 말한다.
  2. 측정점은 항공기 소음으로 인하여 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장소를 택한다.
  3. 상시측정용의 경우 측정점은 지면 또는 바닥면에서 5~10m 높이로 한다.
  4. 측정지점 반경 3.5m 이내는 시멘트 등으로 포장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점은 항공기 소음으로 인하여 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장소를 택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측정점은 항공기 소음이 최대로 전달되는 지점을 찾아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분포하여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측정점은 항공기 소음이 발생하는 지역과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발파진동 측정시 디지털 진동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배경진동레벨을 정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80%범위의 상단치인 L10값을 그 지점의 배경진동레벨로 한다.
  2. 샘플주기를 0.1초 이하로 놓고 5분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80%범위의 상단치인 L10값을 그 지점의 배경진동레벨로 한다.
  3.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발파진동의 발생기간동안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최고치를 그 지점의 배경진동레벨로 한다.
  4. 샘플주기를 0.1초 이하로 놓고 발파진동의 발생기간동안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최고치를 그 지점의 배경진동레벨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진동 측정시 디지털 진동자동분석계를 사용할 경우 배경진동레벨을 정하는 기준은 "샘플주기를 1초 이내에서 결정하고 5분이상 측정하여 자동 연산ㆍ기록한 80%범위의 상단치인 L10값을 그 지점의 배경진동레벨로 한다." 이다. 이유는 샘플주기를 1초 이내로 설정하여 측정하면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5분 이상 측정하여 80% 범위의 상단치인 L10값을 사용하면 일시적인 큰 진동이나 잡음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L10값은 일정한 기준으로 측정된 값으로서, 비교적 정확한 배경진동레벨을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진동픽업의 성능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종감도, ② 5dB 이상
  2. ① 종감도, ② 15dB 이상
  3. ① 횡감도, ② 5dB 이상
  4. ① 횡감도, ② 15dB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픽업은 진동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 때, 성능 기준으로는 진동의 크기를 얼마나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나타내는 지표로는 종감도와 횡감도가 있다. 종감도는 진동의 수직 방향 감도를 나타내며, 횡감도는 수평 방향 감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횡감도가 ①로 주어졌으므로, 정답은 "① 횡감도, ② 15dB 이상"이다. 또한, 성능 기준으로는 횡감도가 15dB 이상이어야 진동의 크기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동차 공장의 소음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등가소음 기록자료를 얻었다. 이 때 등가소음도는 몇 dB(A)인가?

  1. 67.0 dB(A)
  2. 67.9 dB(A)
  3. 68.4 dB(A)
  4. 70.7 dB(A)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소음은 각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A계열 가중치로 보정한 후 합산한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를 A계열 가중치에 맞게 보정한 후 합산하면 등가소음을 구할 수 있다. 주어진 데이터를 보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125 Hz: 50 dB(A) × 0.005 = 0.25 dB(A)
    250 Hz: 55 dB(A) × 0.01 = 0.55 dB(A)
    500 Hz: 60 dB(A) × 0.02 = 1.20 dB(A)
    1000 Hz: 65 dB(A) × 0.04 = 2.60 dB(A)
    2000 Hz: 70 dB(A) × 0.08 = 5.60 dB(A)
    4000 Hz: 75 dB(A) × 0.16 = 12.00 dB(A)

    따라서 등가소음은 0.25 + 0.55 + 1.20 + 2.60 + 5.60 + 12.00 = 22.20 dB(A) 이다. 이 값을 원래 데이터의 최대값인 75 dB(A)에 더한 후 2로 나누면 등가소음이 된다.

    등가소음 = (75 + 22.20) / 2 = 68.6 dB(A)

    따라서 정답은 "68.4 dB(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발파진동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레벨기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에는 기록지상의 지시치의 최고치를 측정진동레벨로 한다.
  2.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에는 최고 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어서는 안 된다.
  3. 주간(06:00~22:00) 및 심야(22:00~06:00)의 각 시간대중에서 최대발파진동이 예상되는 시각에 1지점 이상의 측정지점수에서 측정하여 측정진동레벨로 한다.
  4. 진동레벨계의 출력단자와 진동레벨기록기의 압력단자를 연결한 후 전원과 기기의 동작을 점검하고 교정은 매회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할 경우에는 최고 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어서는 안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진동레벨계는 최고 진동레벨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고정하는 것이 오히려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최고 진동레벨을 고정하는 것은 오히려 권장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준음 발생기의 발생음의 오차 범위로 옳은 것은?

  1. ±10 dB 이내
  2. ±5 dB 이내
  3. ±1 dB 이내
  4. ±0.1 dB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음 발생기는 정확한 주파수와 진폭을 발생시키는 장비이므로, 발생하는 음의 오차 범위는 매우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표준음 발생기의 발생음의 오차 범위는 일반적으로 ±1 dB 이내로 설정됩니다. 이는 매우 작은 오차 범위이며, 이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음은 인간의 귀로는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진동방지기술

61. 진동하는 표면을 고무로 제진 처리하여 90%의 반사율을 얻었다. 이 때 감쇠량은?

  1. 5 dB
  2. 10 dB
  3. 15 dB
  4. 20 dB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율과 감쇠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반사율 = (반사된 에너지) / (들어온 에너지)
    감쇠량 = 10 log(들어온 에너지 / 흡수된 에너지)

    고무로 제진 처리하여 90%의 반사율을 얻었다는 것은 들어온 에너지 중 90%가 반사되어 흡수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흡수된 에너지는 들어온 에너지의 10%이다.

    감쇠량 = 10 log(들어온 에너지 / 흡수된 에너지) = 10 log(1 / 0.1) = 10 dB

    따라서 정답은 "10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이 설명하는 탄성지지 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코르크
  2. 방진고무
  3. 금속스프링
  4. 공기스프링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탄성지지 재료인 스프링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스프링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내부의 물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에서도 방진고무는 고무의 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물에 젖어도 품질이 유지되는 특징이 있어서 자동차나 기계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방진고무가 가장 적합한 탄성지지 재료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질량 m인 기계가 속도 v로 운전될 때, 가진점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진동을 모두 흡수시켰다. 최대 충격력 F, 최대 변위 ℘일 때, 다음 중 올바른 평형 에너지 방정식은? (단, 스프링 정수는 k이고, 가속도는 a이다,)

  1. mv/2 = F℘/2
  2. mv2 /2 = F℘/2
  3. mv2 = Fk
  4. ma = F℘k
(정답률: 알수없음)
  • 운전 중인 기계는 운동 에너지인 1/2mv^2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프링은 기계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변위 ℘만큼 압축됩니다. 이때,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은 훅의 법칙에 따라 F = -k℘가 됩니다. 이때, 스프링이 가한 일은 F℘/2가 되며, 이는 기계의 운동 에너지의 절반과 같습니다. 따라서, 운동 에너지와 스프링이 가한 일의 합은 mv^2/2 = F℘/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동적 흡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진동의 지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차단벽 혹은 차단 구멍을 설치하여 흡진하다.
  2. 진동계에 동일 체적을 가진 기초대를 추가하여 계의 고유진동수를 이동시켜 진동을 줄인다.
  3. 대상계가 공진할 때 부가질량을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대상계의 진동을 억제한다.
  4. 진동원과 대상계의 거리를 멀게하여 전파되는 진동을 줄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계가 공진할 때 부가질량을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대상계의 진동을 억제한다. - 대상계가 공진할 때는 진동이 최대치를 나타내므로, 이때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부가질량을 추가함으로써 대상계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질량 m인 물체가 스프링정수 k인 스프링에 매달려 있다. 임계감쇠(critical damping)를 이루게 하는 C의 값은? (단, ωn은 고유각진동수이다.)

  1. 2mㆍωn
  2. mㆍωn
(정답률: 알수없음)
  • 임계감쇠(critical damping)란 스프링에 매달린 물체가 진동을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진폭이 감소하면서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 때,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최소가 되는 경우를 임계감쇠라고 한다.

    임계감쇠를 이루기 위해서는 감쇠비가 일정한 값을 가져야 한다. 감쇠비는 감쇠력과 탄성력의 비율로 정의되며, 감쇠비가 일정한 값을 가지면 임계감쇠를 이룰 수 있다.

    감쇠비가 일정한 값을 가지려면, 감쇠력이 일정한 값을 가져야 한다. 감쇠력은 Cv로 표현되며, 여기서 C는 감쇠계수, v는 물체의 속도이다. 따라서, 감쇠력이 일정한 값을 가져야 하므로, Cv의 미분값인 Cdv도 일정한 값을 가져야 한다.

    물체의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m(d²x/dt²) + C(dx/dt) + kx = 0

    여기서, 감쇠비가 일정한 값을 가지려면, Cdv = 2mωnx 이어야 한다. (ωn은 고유각진동수)

    따라서, Cdv = 2mωnx를 미분하면,

    Cd²x/dt² + 2Cωndx/dt + 2mωnd²x/dt² = 0

    여기서, 감쇠비가 일정한 값을 가지려면, 2Cωn = 2mωn 이어야 한다.

    따라서, C = 2mω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진동방지계획 수립시 다음 중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1. 측정치와 규제 기준치의 차로부터 저감 목표레벨 설정
  2. 발생원의 위치와 발생기계를 확인
  3. 수진점의 진동 규제기준 확인
  4. 수진점 일대의 진동 실태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방지계획을 수립할 때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수진점 일대의 진동 실태조사입니다. 이는 진동의 발생원과 수진점의 위치, 진동 규제 기준 등을 파악하여 측정치와 규제 기준치의 차로부터 저감 목표 레벨을 설정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진동방지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진점 일대의 진동 실태조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계에서 발생하는 불평형력은 회전 및 왕복운동에 의한 관성력 및 모멘트에 의해 발생한다. 다음 중 회전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관성력을 원심력(F)으로 옳게 나타낸 식은? (단, m:질량, v:회전속도, γ:회전반경, ω:각진동수)

  1. F=mγω2
  2. F=mγω
(정답률: 알수없음)
  • 원심력은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력으로, 질량과 회전속도, 회전반경에 비례하며 각진동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옳은 식은 F=mγω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점성감쇠를 갖는 강제 진동계에서 최대진폭이 생기는 진동수비는? (단, ξ는 감쇠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성감쇠를 갖는 강제 진동계에서 최대진폭이 생기는 진동수비는 공진주파수비인 "" 이다.

    이유는 감쇠비 ξ가 존재하는 경우, 강제 진동계의 공진주파수는 감쇠비 ξ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감쇠비 ξ가 작을수록 공진주파수는 원래의 공진주파수에 가까워지며, 감쇠비 ξ가 클수록 공진주파수는 원래의 공진주파수에서 멀어진다. 따라서 감쇠비 ξ가 작을수록 최대진폭이 생기는 진동수비가 가까워지므로, 공진주파수비가 작을수록 최대진폭이 생기는 진동수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방진재료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진고무는 설계 및 부착이 비교적 간결하고, 금속과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2. 방진고무는 내유성, 내환경성 등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금속스프링보다 떨어지지만, 특히 저온에서는 금속 스프링에 비해 유리하다.
  3. 방진고무 사용시 내유성을 필요로 할 때는 천연고무보다 합성고무가 좀 더 유리하다.
  4. 금속스프링의 경우 극단적으로 낮은 스프링정수로 했을 때 지지장치를 소형, 경량으로 하기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진고무는 내유성, 내환경성 등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금속스프링보다 떨어지지만, 특히 저온에서는 금속 스프링에 비해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질량 0.5kg인 물체가 스피링에 매달려 있다면 정적변위량(mm)은? (단, 스프링 정수는 0.155N/mm 이다.)

  1. 약 8 mm
  2. 약 16 mm
  3. 약 32 mm
  4. 약 64 mm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 상수는 0.155N/mm 이므로,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은 F = kx (k: 스프링 상수, x: 스프링의 변위량)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F는 물체의 중력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mg = kx (m: 물체의 질량, g: 중력가속도)이 성립한다. 이를 x에 대해 정리하면 x = mg/k 이다. 여기에 m=0.5kg, g=9.8m/s^2, k=0.155N/mm를 대입하면 x = 31.61mm 이므로, 정적변위량은 약 32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가속도 진폭이 4 x 10-2m/s2 일 때 진동가속도 레벨은? (단, 기준 10-5m/s2)

  1. 60 dB
  2. 65 dB
  3. 69 dB
  4. 74 dB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가속도 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진동가속도 레벨 = 20log10(a/0)

    여기서 a는 가속도 진폭, 0은 기준 진동가속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면:

    진동가속도 레벨 = 20log10(4 x 10-2/10-5) = 20log10(4 x 103) = 20 x 3.602 = 72.04 dB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69 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떤 절점의 운동변위가 로 표시될 때 진동의 주기로 옳은 것은?

  1. 0.5 sec
  2. 1 sec
  3. 1.5 sec
  4. 2 sec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는 한 번의 진동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한 주기는 위로 올라가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포함하므로, 그래프의 한 주기는 1/2초(0.5초)가 됩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0.5 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P-P치 (전진폭)를 D, 속도진폭을 V라고 할 때, 가속도진폭 A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A = V^2/D

    정답은 "" 이다. 이유는 P-P치(전진폭)를 D라고 하면, 가속도 A는 V(속도진폭)를 D로 나눈 값의 제곱(V^2/D)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A = V^2/D가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이 질량 m인 물체가 외팔보의 자유단에 달려있을 때 계의 진동의 고유진동수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보의 무게는 무시, 보의 길이는 L, 요곡강도는 El)

(정답률: 알수없음)
  • 외팔보의 자유단에 달려있는 물체는 단순한 기울기 운동을 하게 되며, 이는 단일 진동의 운동과 같다. 따라서, 외팔보의 자유단에 달려있는 물체의 고유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요곡상수이며, m은 물체의 질량, L은 외팔보의 길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스프링정수 K1 = 80 N/m, K2 = 120 N/m 인 두 스프링을 그림과 같이 직렬로 연결하고 질량 m = 3kg을 매달았을 때, 수직방향 진동의 고유 진동수는?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링 상수 K1과 K2를 직렬로 연결한 스프링의 상수 K직렬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K직렬 = 1/K1 + 1/K2

    1/K직렬 = 1/80 + 1/120

    1/K직렬 = 1/48

    K직렬 = 48 N/m

    따라서, 질량 m = 3kg을 매달았을 때, 수직방향 진동의 고유 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ω = √(K/m)

    ω = √(48/3)

    ω = √16

    ω = 4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떤 진동계에 F=fosinωt의 가진력이 작용하였더니 변위가 x=Xsin(ωt-ø)로 표시되었다. 이 때 계가 1사이클당 한 일은?

  1. πfoXcosø
  2. 2πfoXcosø
  3. πfoXsinø
  4. 2πfoXsinø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계의 주기는 T=1/fo 이므로 1사이클당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한 주기동안의 일 = ∫Fdx = ∫F(Xcos(ωt-ø))dt

    위 식에서 Xcos(ωt-ø)는 변위의 미분인 속도를 나타내므로, F와 속도의 내적이 일을 나타낸다.

    내적의 값은 F와 속도의 크기가 최대일 때 최대값을 가지므로, 속도의 크기가 최대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속도의 크기가 최대인 경우는 변위와 F의 상대적인 위상차가 90도인 경우이다. 즉, ø=π/2 이다.

    따라서, 한 주기동안의 일은 다음과 같다.

    한 주기동안의 일 = ∫F(Xcos(ωt-π/2))dt = ∫F(Xsinωt)dt

    위 식에서 ∫F(Xsinωt)dt는 sin함수의 주기가 2π이므로, 0부터 2π까지 적분하면 한 주기동안의 일을 구할 수 있다.

    ∫F(Xsinωt)dt = -Xcosø ∫Fsinωtdt = -Xcosø ∫fosin²ωtdt

    위 식에서 ∫fosin²ωtdt는 sin²함수의 평균값인 1/2이므로,

    ∫F(Xsinωt)dt = -Xcosø (1/2) ∫fodt = -Xcosø (1/2) foT

    여기서 T=1/fo 이므로,

    ∫F(Xsinωt)dt = -Xcosø (1/2) fo/fo = -Xcosø (1/2)

    따라서, 한 주기동안의 일은 -πfoXcosø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변위가 x=Xsin(ωt-ø)로 주어졌을 때 한 주기동안의 일이므로, 위에서 구한 일에 -π/2를 곱해줘야 한다.

    한 주기동안의 일 = -π/2 × (-πfoXcosø) = πfoXsinø

    따라서, 정답은 "πfoXsinø"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그림과 같이 길이 L인 실 끝에 달려 있는 질량 m인 단진자가 작은 진폭으로 운동할 때의 주기는? (단, g는 중력가속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단진자의 운동을 통해 주기를 구하는 문제이다. 단진자는 중력과 탄성력에 의해 운동하며, 이 때 탄성력은 단진자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탄성력을 중심으로 운동을 분석해야 한다.

    단진자의 운동은 간단한 조화 운동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 때 주기는 진동수의 역수로 정의된다. 진동수는 강체의 진동에서 강체의 질량과 탄성 상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탄성 상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진동수를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기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진동수를 구하지 않고도 주기를 구할 수 있다. 주기는 한 번의 왕복 운동에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단진자가 왕복 운동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면 된다.

    단진자가 왕복 운동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단진자가 아래로 내려갈 때, 중력과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가속도는 g - kx/m이다. 이 때 x는 단진자의 위치이며, k는 탄성 상수이다.
    - 단진자가 위로 올라갈 때, 중력과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가속도는 g + kx/m이다.
    - 단진자가 아래로 내려갈 때와 위로 올라갈 때의 가속도는 서로 반대 방향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운동 방향이 바뀌는 지점에서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운동 방향이 바뀌는 지점에서의 속도는 v = sqrt(2gL)이다. 이는 중력에 의해 단진자가 아래로 자유낙하할 때의 속도와 같다.
    - 따라서 왕복 운동에 걸리는 시간은 T = 2L/v = 2sqrt(L/g)이다.
    - 따라서 주기는 P = T/2 = sqrt(L/g)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중량 30N 스프링정수 20N/cm, 감쇠계수가 0.1Nㆍs/cm 인 자유진동계의 감쇠비는?

  1. 약 0.04
  2. 약 0.06
  3. 약 0.08
  4. 약 0.1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비는 감쇠력과 탄성력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감쇠력은 감쇠계수와 속도에 비례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감쇠력이 0.1Nㆍs/cm × 속도 로 주어집니다. 탄성력은 스프링 상수와 변위에 비례하므로, 이 문제에서는 탄성력이 20N/cm × 변위 로 주어집니다.

    자유진동계의 운동방정식을 세우면,

    중량 × 가속도 = -스프링 상수 × 변위 - 감쇠력

    중량은 30N, 스프링 상수는 20N/cm 이므로,

    30 × 가속도 = -20 × 변위 - 0.1 × 속도

    이 식을 변형하면,

    가속도 = (-20/30) × 변위 - (0.1/30) × 속도

    이므로, 감쇠비는 (0.1/30) ÷ (20/30) = 0.005 입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약 0.06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0.0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금속 자체에 진동흡수력을 갖는 제진합금의 분류 중 Mg, Mg-0.6% Zr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형태는?

  1. 복합형
  2. 전위형
  3. 쌍전형
  4. 강자성형
(정답률: 알수없음)
  • Mg, Mg-0.6% Zr 합금은 전위형 제진합금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결정구조가 전위형 구조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전위형 구조는 금속 결정구조 중 하나로, 결정 방향에 따라 다른 성질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진동흡수력이 높아서, 고주파 진동에 대한 흡수와 감쇠가 우수하며, 고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자동차, 항공기 등의 고부하 환경에서 사용되는 부품에 적합한 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떤 단순 조화진동의 변위진폭은 0.1mm, 최대가속도는 20m/s2 이다. 이 운동의 진동수 f(frequency)는?

  1. 71.2 Hz
  2. 447 Hz
  3. 3.18 x 104 Hz
  4. 2 x 105 Hz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수 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1 / T

    여기서 T는 주기(period)이다. 주기는 한 번의 진동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T = 1 / f

    따라서, 진동수 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a_max / x)

    여기서 a_max는 최대가속도, x는 변위진폭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f = √(20 / 0.1) = 71.2 Hz

    따라서, 정답은 "71.2 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음진동 관계 법규

81.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사람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휘발유 경자동차의 제작자동차 소음허용기준은? (단, ① 가속주행소음(dB(A)), ② 배기소음 (dB(A)), ③ 경적소음(dB(C))순이며, 가속주행소음은 직접 분사식 (DI)디젤원동기를 정착한 자동차외의 자동차에 적용하며, 2006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 기준)

  1. ① 74 이하, ② 100 이하, ③ 110 이하
  2. ① 75 이하, ② 102 이하, ③ 112 이하
  3. ① 76 이하, ② 102 이하, ③ 110 이하
  4. ① 77 이하, ② 103 이하, ③ 112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사람을 운송하기에 적합한 휘발유 경자동차의 가속주행소음, 배기소음, 경적소음의 허용기준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속주행소음은 직접 분사식 (DI)디젤원동기를 정착한 자동차외의 자동차에 적용하며, 2006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제작자동차의 가속주행소음은 74 이하, 배기소음은 100 이하, 경적소음은 110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소음진동규제법규상 배출시설 변경신고대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업장의 명칭이나 대표자를 변경하는 경우는 변경신고대상이다.
  2. 배출시설의 규모는 마력기준시설 및 기계ㆍ기구는 총 마력의 합계, 대수기준시설 및 기계ㆍ 기구는 총대수의 합계, 기타 시설 및 기계ㆍ기구는 각각의 단위의 합계로 한다.
  3. 배출시설의 규모를 100분의 50 이상(신고 또는 변경시고를 하거나 허가를 받은 규모를 증설하는 누계를 말한다) 증설하는 경우는 변경신고대상이다.
  4. 배출시설 일부를 폐쇄하는 경우는 변경신고대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시설 일부를 폐쇄하는 경우는 변경신고대상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소음진동규제법에서 배출시설 변경신고대상은 주로 배출시설의 규모나 명칭, 대표자 변경 등과 관련된 사항이다. 따라서 배출시설 일부를 폐쇄하는 경우는 규모나 명칭, 대표자 변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변경신고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소음배출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

  1. 10 마력 이상의 초지기
  2. 10 마력 이상의 탈사기
  3. 10 마력 이상의 기계체
  4. 20 마력 이상의 목재가공기계
(정답률: 알수없음)
  • "10 마력 이상의 초지기"는 소음배출시설기준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음배출시설기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특정공사의 사전신고를 한 자가 신고한 사항 중 변경신고를 하기 위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10퍼센트 이상의 증가
  2. 특정공사 기간의 여장
  3. 방음ㆍ방진시설의 설치명세 변경
  4. 공사 규모의 10퍼센트 이상 확대
(정답률: 알수없음)
  •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10퍼센트 이상의 증가"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에 해당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특정공사 사전신고 시에 신고된 기계 및 장비의 증가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신고가 필요하다는 내용입니다. 이유는 증가된 기계 및 장비가 소음 및 진동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철도소음의 영향을 받는 주거지역의 야간(22:00~06:00) 철도소음의 한도는?

  1. 60 LeqdB(A)
  2. 65 LeqdB(A)
  3. 70 LeqdB(A)
  4. 75 LeqdB(A)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주거지역에서의 야간 소음 한도를 65 LeqdB(A)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거지역에서의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철도소음이 일정한 기준 이상으로 발생하면 주민들의 수면 및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도소음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규제를 준수하여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소음진동규제법령상 소음도 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준(기술인력수, 시설 및 장비요건)으로 틀린 것은? (단, 기술직과 기능직은 소음진동규제법령상 규정된 자격 요건을 갖춘 자로 한다.)

  1. 50 ~ 8,000Hz 범위의 모든 음을 1/3옥타브대역으로 분석할 수 있는 주파수분석장비 1대
  2. 기술직 1명, 기능직 1명
  3. 중심주파수대역이 31.5Hz ~ 16kHz 인 다기능표준음발생기 1대
  4. 마이크로폰 6개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술직과 기능직은 소음진동규제법령상 규정된 자격 요건을 갖춘 자로 한다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소음도 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준에서 기술인력수와 시설 및 장비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술인력수: 기술직 2명 이상, 기능직 1명 이상
    - 시설 및 장비요건: 50 ~ 8,000Hz 범위의 모든 음을 1/3옥타브대역으로 분석할 수 있는 주파수분석장비 1대, 중심주파수대역이 31.5Hz ~ 16kHz 인 다기능표준음발생기 1대, 마이크로폰 6개

    따라서, "기술직 1명, 기능직 1명"은 기준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확인검사대행자와 관련한 행정처분기준 중 확인검사대행자가 구비하여야 할 시험장비가 부족한 경우 위반차수별(1차~3차)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차:조업정지 6월, 2차:경고, 3차:폐쇄
  2. 1차:조업정지 3월, 2차:등록취소, 3차:사업장 이전
  3. 1차:경고, 2차:경고, 3차:등록취소
  4. 1차:개선명령, 2차:조업정지 3월, 3차:허가취소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확인검사대행자는 시험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며, 시험장비가 부족한 경우 위반차수별(1차~3차) 행정처분기준은 다음과 같다.

    1차: 경고
    2차: 경고
    3차: 등록취소

    이유는 시험장비가 부족한 경우에도 확인검사대행자는 규정에 따라 시험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경고를 받고도 시험장비를 구비하지 않으면 등록취소 처분이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소음ㆍ진동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검사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2. 환경관리협회
  3. 전주지방환경쳥
  4. 환경관리공단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관리협회는 소음ㆍ진동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소음ㆍ진동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검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환경기술인은 환경부장관이 인정하여 지정하는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그 교육의 주기 및 기간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한 원격 교육은 제외)

  1. 1년마다 한 차례 이상 3일 이내
  2. 1년마다 한 차례 이상 5일 이내
  3. 3년마다 한 차례 이상 3일 이내
  4. 3년마다 한 차례 이상 5일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 따르면, 환경기술인은 3년마다 한 차례 이상 5일 이내의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는 환경기술인의 지속적인 역량 강화와 최신 기술 및 규제에 대한 이해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1년마다 교육을 받는 것은 지나치게 빈번하고, 3일 이내의 교육은 내용을 충분히 습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소음진동규제법규상 특정공사의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기토출량이 분당 2.83세제곱미터 이상의 이동식 공기압축기
  2. 휴대용 브레이커
  3. 압쇄기
  4. 압입식 항타항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압입식 항타항발기는 소음진동규제법에서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이유는 공기토출량이나 진동 등의 소음진동 발생 요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압입식 항타항발기는 지하공간에서 사용되는 기계로서, 지하에 콘크리트를 주입하거나 지반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해당 기계를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의 종류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음진동규제법상 제작차 소음허용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자동차를 제작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은 자동차 제작 시 소음허용기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을 벗어나게 자동차를 제작한 경우, 제작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높은 벌칙이 적용되는 이유는, 자동차의 소음이 주변 환경과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엄격하게 규제하고 벌칙을 강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자동차의 사용정지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정지표지의 문자는 검은색으로, 바탕색은 노란색으로 한다.
  2. 사용정지명령을 받은 자동차를 사용정지기간 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사용정지표지의 제거는 사용정지기간이 지난 후에 담당 공무원이 제거하거나 담당공무원의 확인을 받아 제거하여야 한다.
  4. 사용정지표지는 자동차의 전면유리창 오른 쪽 상단에 붙어야 하며, 사용정지기간 내에는 부착위치를 변경하거나 훼손하여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정지표지의 문자는 검은색으로, 바탕색은 노란색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용정지표지의 문자는 노란색으로, 바탕색은 검은색으로 한다.

    사용정지명령을 받은 자동차를 사용정지기간 중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는 이유는, 소음진동규제법에서 자동차의 소음이나 진동 등이 규제 기준을 초과할 경우 해당 자동차에 대해 사용정지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이를 위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벌금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환경정책기본법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경개선”이라 함은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되거나 훼손된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쾌적한 환경의 상태를 유지ㆍ조성하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
  2. “자연환경”이라 함은 지하ㆍ지표(해양을 포함한다) 및 지상의 모든 생물과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비생물적인것을 포함한 자연의 상태(생태계 및 자연경관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3. “환경훼손”이라 함은 야생동ㆍ식물의 남획 및 그 서식지의 파괴, 생태계질서의 교란, 자연경관의 훼손, 표토의 유실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의 본래적 기능에 중대한 손상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4. “생활환경”이라 함은 대기, 물, 폐기물, 소음ㆍ진동, 악취, 일조등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환경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환경개선”이라 함은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고 오염되거나 훼손된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쾌적한 환경의 상태를 유지ㆍ조성하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는 모두 환경정책기본법에서 정의한 용어들이다. 환경개선은 환경보호와 함께 이루어지는 개념으로, 오염되거나 훼손된 환경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거나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사업자가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을 완료한 후 가동개시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조업을 한 경우의 2차 행정처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묘 미만의 변경은 제외)

  1. 폐쇄, 허가취소
  2. 조업정지
  3. 사용중지
  4. 경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폐쇄, 허가취소

    해설: 소음진동규제법에서는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설치 또는 변경 후 가동개시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2차 행정처분으로 폐쇄 또는 허가취소가 가능합니다. 이는 법적으로 가장 엄격한 처분으로, 사업자가 법적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엄정한 처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소음환경기준은? (단, 지역구분 : 일반지역, 적용대상지역 : '가'지역, 낮(06:00~22:00)기준, 단위 : Leq dB(A))

  1. 45
  2. 50
  3. 55
  4. 65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정책기본법령에서 '가'지역은 일반지역보다 소음환경이 더 나쁜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지역에서는 소음환경기준이 더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낮 시간대(06:00~22:00)의 소음환경기준 중 Leq dB(A)는 평균 소음 레벨을 의미하며, '가'지역에서는 50dB(A)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주거지역 내에 있는 평일 공사장의 주간(07:00~18:00) 생활소음 규제기준은? (단, 작업시간, 특정공사 등에 따른 (특정공사 작업소음 등) 규제기준치 보정 등의 기타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

  1. 45 dB(A) 이하
  2. 55 dB(A) 이하
  3. 65 dB(A) 이하
  4. 70 dB(A)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주거지역 내에 있는 평일 공사장의 주간 생활소음 규제기준은 "65 dB(A) 이하"입니다. 이는 소음진동규제법에서 주거지역 내에서의 주간 소음 규제기준으로 정해진 값입니다. 따라서, 평일 공사장에서의 주간 생활소음은 이 기준치를 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중형 화물자동차의 운행자동차 소음허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되는 자동차 기준)

  1. 배기소음:100dB(A) 이하, 경적소음: 110dB(C) 이하
  2. 배기소음:100dB(A) 이하, 경적소음: 112dB(C) 이하
  3. 배기소음:105dB(A) 이하, 경적소음: 110dB(C) 이하
  4. 배기소음:105dB(A) 이하, 경적소음: 112dB(C)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중형 화물자동차의 운행자동차 소음허용기준은 배기소음과 경적소음이 각각 100dB(A) 이하와 110dB(C) 이하이다. 이는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된 자동차의 기준으로, 환경오염 및 주변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규제이다. 따라서, "배기소음:100dB(A) 이하, 경적소음: 110dB(C) 이하"가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음진동규제법령상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
  2. 항공기 지상조업용으로 반입하는 자동차
  3. 재설용ㆍ방송용 등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자동차로서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자동차
  4. 외국에서 국내의 공공기관에 무상으로 기증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령상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는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 자동차도 일시적으로 국내에 반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음진동규제법령상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음진동규제법규상 소음도표지에 관한 설명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70mm x 70mm
  2. 75mm x 75mm
  3. 80mm x 80mm
  4. 85mm x 85mm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규제법에서 규정한 소음도표지의 크기는 80mm x 80mm 이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이며, 다른 크기의 표지는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 정답은 "80mm x 8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음진동규제법상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방진시설”이란 소음, 진동배출시설이 아닌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없애거나 줄이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은 말한다.
  2. “소음발생건설기계”란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기계 중 소음이 발생하는 기계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3. “공장”이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규정의 공장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규정에 따라 결정된 공항시설 안의 항공기 정비공장을 말한다.
  4. “자동차”란 「자동차관리법」규정에 따른 자동차와 「건설기계관리법」규정에 따른 건설기계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장”이란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규정의 공장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규정에 따라 결정된 공항시설 안의 항공기 정비공장을 말한다. - 이 항목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정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