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9-28)

소음진동기사(구)
(2013-09-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음진동개론

1. 가로 7m, 세로 3.5m의 벽면밖에서 음압레벨이 112dB이라면 15m떨어진 곳은 몇 dB인가? (단, 면음원 기준)

  1. 76.4dB
  2. 85.8dB
  3. 88.9dB
  4. 92.8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15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레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12dB - 20log(15/7) = 92.8dB

    여기서 20log(15/7)은 면음원에서 15m 떨어진 곳까지의 거리와 벽면까지의 거리(7m)의 비율에 대한 보정값이다. 이 값을 빼면 15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레벨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92.8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음의 영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말초혈관을 수축시키며, 맥박을 증가시킨다.
  2. 호흡깊이를 감소시키며, 호흡회수를 증가시킨다.
  3. 타액분비량을 감소시키며, 위액산도를 증가시킨다.
  4.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며, 혈중 아드레날린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로 인해 신체적인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 중에서 타액분비량을 감소시키고 위액산도를 증가시키는 이유는 소음으로 인해 식욕이 감소하고 소화기관의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위산의 분비량이 증가하고 소화기관의 기능이 저하되어 위액산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향지수가 6dB일 때 지향계수는?

  1. 4.60
  2. 4.35
  3. 3.98
  4. 3.56
(정답률: 알수없음)
  • 지향지수와 지향계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지향계수 = 10^(지향지수/20)

    따라서, 지향지수가 6dB일 때 지향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지향계수 = 10^(6/20) = 3.98

    따라서, 정답은 "3.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심주파수 750Hz일 때 1/1옥타브밴드 분석기(정비형 필터)의 상한주파수는?

  1. 841Hz
  2. 945Hz
  3. 1060Hz
  4. 1500Hz
(정답률: 알수없음)
  • 1/1 옥타브밴드 분석기는 중심주파수에서 상하한 주파수를 2배씩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중심주파수가 750Hz일 때, 상한주파수는 750Hz x 2 = 1500Hz가 됩니다. 이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500Hz"입니다. 그러나, 이는 정답이 아닙니다. 이유는 1/1 옥타브밴드 분석기는 정비형 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한주파수가 중심주파수의 1.414배가 아니라 1.189배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750Hz x 1.189 = 891.75Hz가 되는데, 이 값에서 가장 가까운 보기의 값은 "1060Hz"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60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진동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4~14Hz에서 복통을 느끼고, 9~20Hz에서는 대소변을 보고 싶게 한다.
  2. 수직 및 수평진동이 동시에 가해지면 10배 정도의 자각 현상이 나타난다.
  3. 6Hz에서 머리는 가장 큰 진동을 느낀다.
  4. 20~30Hz부근에서 심한 공진현상을 보여 가해진 진동보다 크게 느끼고, 진동수 증가에 따라 감쇠는 급격히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4~14Hz에서 복통을 느끼는 이유는 내장기관이나 장기가 진동에 의해 자극을 받아 생기는 것이고, 9~20Hz에서 대소변을 보고 싶게 하는 이유는 진동이 장기를 자극하여 장운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수직 및 수평진동이 동시에 가해지면 자각 현상이 10배 정도 증폭되는 이유는 두 가지 진동이 상호작용하여 더 큰 자극을 만들기 때문이다. 6Hz에서 머리가 가장 큰 진동을 느끼는 이유는 머리가 가장 민감한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20~30Hz부근에서 공진현상이 심해지는 이유는 해당 주파수 범위에서 장기나 내장기관이 공명하면서 진동이 더욱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감쇠는 진동수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는데, 이는 공명주파수를 벗어나면 더 이상 공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흡음감쇠가 가장 큰 경우는?

  1. [주파수, Hz]:4000, [기온, °C]:-10, [상대습도, %]:50
  2. [주파수, Hz]:2000, [기온, °C]:0, [상대습도, %]:50
  3. [주파수, Hz]:1000, [기온, °C]:-10, [상대습도, %]:70
  4. [주파수, Hz]:500, [기온, °C]:10, [상대습도, %]:85
(정답률: 알수없음)
  • 흡음감쇠는 주파수, 기온, 상대습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주파수가 높을수록 흡음감쇠가 커지고, 기온이 낮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흡음감쇠가 커진다. 따라서 주파수가 4000Hz이고 기온이 -10°C이며 상대습도가 50%인 경우가 가장 흡음감쇠가 큰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주파수 범위(Hz)중 인간의 청각에서 가장 강도가 좋은 것은?

  1. 20 ~ 100
  2. 100 ~ 500
  3. 500 ~ 1,000
  4. 2,000 ~ 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의 청각에서 가장 강도가 좋은 주파수 범위는 2,000 ~ 5,000 Hz이다. 이는 인간의 청각기관인 이어가 가장 민감한 주파수 범위이기 때문이다. 이어 안쪽에 위치한 청각신경이 이 범위의 소리를 가장 잘 감지하고 전달하기 때문에, 이 범위의 소리는 다른 주파수에 비해 더욱 선명하게 들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자유진동의 해법 중 어떤 방법에 관한 설명인가?

  1. 완전해법
  2. 집중파라미터 표현법
  3. Ritz법
  4. Hamilton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Ritz법을 사용하여 자유진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Ritz법은 근사해를 구하기 위해 시스템의 에너지 함수를 근사화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스템의 모양을 표현하는 함수를 선택하고, 이 함수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에너지를 근사화합니다. 그리고 이 근사화된 에너지 함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근사해를 구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시스템의 모양을 표현하는 함수를 선택하고, 이 함수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에너지를 근사화한 후, 이 근사화된 에너지 함수를 최소화하여 근사해를 구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음파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재파 : 둘 또는 그 이상의 음파의 구조적 간섭에 의해 시간적으로 일정하게 음압의 최고와 최저가 반복되는 패턴의 파
  2. 평면파 : 음파의 파면들이 서로 평행한 파
  3. 구면파 : 음원에서 진행 방향으로 큰 에너지를 방출 할 때 발생하는 파
  4. 발산파 :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욱 넓은 면적으로 퍼져나가는 파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파는 음원에서 진행 방향으로 큰 에너지를 방출할 때 발생하는 파가 아니라, 원점에서 일정한 속도로 퍼져나가는 파입니다.

    구면파는 원점에서 발생한 파가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이름이 구면파라고 불립니다. 예를 들어, 물속에서 돌멩이를 던지면 돌멩이에서 발생한 구면파가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인체의 귓구멍(외이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 때 공명 기본음 주파수 대역은? (단, 음속은 340m/s 이다.)

  1. 750 Hz
  2. 3400 Hz
  3. 6800 Hz
  4. 12143 Hz
(정답률: 알수없음)
  • 귓구멍의 길이는 약 2.5cm이며, 음속은 340m/s이므로, 공명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명 주파수 = 음속 ÷ (2 × 귓구멍 길이)

    = 340 ÷ (2 × 0.025)

    = 3400 Hz

    따라서, 공명 기본음 주파수 대역은 3400 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반을 전파하는 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표진동 시 주로 계측되는 파는 R파이다.
  2. R파는 역2승법칙으로 대략 감쇠된다.
  3. 표면파의 전파속도는 일반적으로 횡파의 92~96% 정도이다.
  4. 파동에너지비율은 R파가 S파 및 P파에 비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R파는 역2승법칙으로 대략 감쇠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R파는 지반 내부에서 전파될 때, 파동이 지속적으로 감쇠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속도로 진행되며, 파동의 진폭이 감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쇠는 지반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항공기 소음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트엔진으로부터 기체가 고속으로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은 기체배출속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2. 회전날개의 선단속도가 음속 이상일 경우 회전날개 끝에 생기는 충격파가 고정된 날개에 부딪쳐 소음을 발생시킨다.
  3. 회전날개에 의해 발생된 소음은 고음성분이 많으며 감각적으로 인간에게 큰 자극을 준다.
  4. 회전날개의 선단속도가 음속 이하일 경우는 날갯수에 회전수를 곱한 값의 정수배 순음을 발생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날개의 선단속도가 음속 이하일 경우는 날갯수에 회전수를 곱한 값의 정수배 순음을 발생시킨다."는 항공기 소음의 특징 중 거리와 관련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제트엔진으로부터 기체가 고속으로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은 기체배출속도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소음의 크기와 속도의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기체배출속도가 높을수록 소음이 커지는 것이다.

    "회전날개의 선단속도가 음속 이상일 경우 회전날개 끝에 생기는 충격파가 고정된 날개에 부딪쳐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회전날개에 의한 소음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회전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충격파가 고정된 날개에 부딪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다.

    "회전날개에 의해 발생된 소음은 고음성분이 많으며 감각적으로 인간에게 큰 자극을 준다."는 회전날개에 의한 소음의 특징 중 소리의 성분과 감각적인 효과를 설명한 것이다. 회전날개에 의한 소음은 고음성분이 많아서 인간에게 큰 자극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진동레벨 산정 시 수직보정곡선에서 주파수대역이 8 ≤ f ≤ 90Hz 일 때 보정치 물리량(m/s2)은?

  1. 10-5
  2. 0.125×10×-5×f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8 ≤ f ≤ 90Hz 범위 내의 수직보정곡선을 따라 보정치 물리량(m/s2)을 읽으면, 보정치는 0.125×10×-5×f가 된다. 이는 그래프에서 y축 값이 0.125×10×-5이고, x축 값이 f일 때의 값을 의미한다. 이유는 그래프에서 수직축 값이 보정치 물리량(m/s2)을 나타내고, x축 값이 주파수(f)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범위 내에서 주파수(f)에 따른 보정치 물리량(m/s2)은 0.125×10×-5×f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청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의 대소는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에 따른다.
  2. 음의 고저는 음파의 주파수에 따라 구분된다.
  3. 4분법에 의한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가 500~2000Hz범위에서 5dB이상이면 난청이라 한다.
  4. 청력손실이란 청력이 정상인 사람의 최소 가청치와 피검자의 최소 가청치와의 비를 dB로 나타낸 것이 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음의 대소는 음파의 진폭(음압)의 크기에 따른다." 이다. 음의 대소는 소리의 진폭(음파의 진폭)이 아니라 소리의 강도(에너지 흐름)에 따라 결정된다.

    4분법에 의한 청력손실이 옥타브밴드 중심주파수가 500~2000Hz범위에서 5dB이상이면 난청이라 한다는 것은 이 범위의 주파수에서 대부분의 대화음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청력손실이 크면 대화를 듣기 어려워지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질량은 1kg, 100N/m 강성을 갖는 스프링 4개가 연결된 진동계가 있다. 이 진동계의 고유진동수(Hz)는?

  1. 0.80
  2. 1.59
  3. 3.18
  4. 6.37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스프링 상수와 질량을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고유진동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고유진동수 = √(스프링 상수 / 질량)

    각 스프링의 상수는 100N/m이고, 질량은 1kg이므로 고유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고유진동수 = √(100N/m / 1kg) = √100 Hz = 10 Hz

    하지만 이 진동계는 4개의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스프링의 상수를 합산하여 전체 스프링 상수를 구해야 한다.

    전체 스프링 상수 = 1 / (1/100 + 1/100 + 1/100 + 1/100) = 25 N/m

    따라서 전체 스프링 상수와 질량을 이용하여 고유진동수를 다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고유진동수 = √(25N/m / 1kg) = √25 Hz = 5 Hz

    하지만 이 진동계는 스프링이 4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유진동수는 4배가 된다.

    따라서 최종적인 고유진동수는 5 Hz × 4 = 20 Hz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 Hz가 없고, 대신 3.18 Hz가 있다. 이는 고유진동수를 구할 때 실수를 하여 나온 값이다. 스프링 상수를 합산할 때 분모에 4를 곱해주지 않아서 생긴 오차이다.

    따라서 정답은 3.18 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실정수 200m2인 실내 중앙의 바닥 위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기계의 파워레벨이 100dB 이었다. 이 기계로부터 5m 떨어진 실내의 한 점에서의 음압레벨(SPL)은?

  1. 74dB
  2. 84dB
  3. 94dB
  4. 114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레벨(SPL)은 파워레벨과 거리에 따라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거리가 두 배가 되면 음압레벨은 6dB 감소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거리가 5m 떨어져 있으므로, 음압레벨은 파워레벨에서 6dB씩 감소한 값이 된다.

    100dB에서 5m 떨어진 점의 음압레벨은 100dB - 6dB = 94dB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84dB"이다. 이는 문제에서 실내 중앙의 바닥 위에 기계가 설치되어 있다는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기계가 설치된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음압레벨이 감소하기 때문에, 실내 중앙에서 5m 떨어진 점의 음압레벨은 94dB에서 10dB 감소한 84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4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마스킹(masking)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파의 간섭현상에 의한 것으로 저음이 고음을 잘 마스킹 한다.
  2. 두 음의 주파수가 서로 거의 같을 때는 맥동현상에 의해 마스킹 효과가 감소한다.
  3. 두 음의 주파수가 비슷할 EO는 마스킹 효과가 대단히 커진다.
  4. 주파수가 비슷한 두 음원이 이동시 진행방향 쪽에서는 원래 음보다 고음이 되어 마스킹 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주파수가 비슷한 두 음원이 이동시 진행방향 쪽에서는 원래 음보다 고음이 되어 마스킹 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한다."이다. 이유는 마스킹 효과는 두 음원의 주파수 차이에 따라 결정되며, 주파수가 비슷할수록 마스킹 효과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동시 진행방향 쪽에서는 고음이 되는 것이 아니라, 두 음원이 서로 겹치는 구간이 줄어들어 마스킹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체 귀의 구성요소 중 초저주파소음의 전달과 진동 에 따르는 인체의 평형을 담당하고 있는 부분은?

  1. 3개의 청소골
  2. 유스타키오관
  3. 세반고리관 및 전정기관
  4. 고막과 섬모세포
(정답률: 알수없음)
  • 세반고리관 및 전정기관은 인체 귀의 구성요소 중 초저주파소음의 전달과 진동에 따르는 인체의 평형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여 뇌에 전달하여 우리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세반고리관 및 전정기관은 인체 귀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래 그림과 같이 진동하는 파의 감쇠특성으로 적합한 것은? (단, 감쇠비는 ξ이다.)

  1. ξ= 0
  2. 0 < ξ < 1
  3. 1/2< ξ< 1
  4. ξ> 1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하는 파의 감쇠특성에서 감쇠비(ξ)는 파가 진동할 때마다 파의 진폭이 줄어드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감쇠비가 클수록 파의 진폭이 빠르게 줄어들어 파가 빠르게 소멸됩니다.

    그림에서 ξ> 1인 경우, 감쇠비가 매우 크기 때문에 파의 진폭이 매우 빠르게 줄어들어 파가 빠르게 소멸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가 진동하는 파의 감쇠특성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옥외의 자유공간에 설치된 무지향성 소음원의 음향파워레벨이 105dB 이다. 이 소음원으로부터 20m 떨어진 곳에서의 음압레벨은?

  1. 68dB
  2. 71dB
  3. 84dB
  4. 87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레벨과 음향파워레벨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음압레벨 = 음향파워레벨 - 20log(거리/기준거리)

    여기서 기준거리는 보통 1m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기준거리를 1m로 놓고 계산하면 된다.

    음압레벨 = 105dB - 20log(20/1) = 68dB

    따라서 정답은 "68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음방지기술

21. 콘크리트(면적 30m2, TL=40dB)와 유리창(면적 10m2, TL=15dB)으로 구성된 벽이 있을 때 유리 창을 3m2만큼 열었다. 이 때의 총합투과손실(dB) 은?

  1. 11dB
  2. 13dB
  3. 15dB
  4. 17dB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창을 3m2만큼 열면, 유리창의 투과손실은 15dB에서 3dB만큼 감소하여 12dB가 됩니다. 따라서 벽 전체의 총합투과손실은 콘크리트의 투과손실 40dB와 유리창의 투과손실 12dB를 더한 52dB에서, 열린 유리창의 면적 3m2에 해당하는 투과손실 5dB를 빼면 47dB가 됩니다. 이는 보기 중에서 "11dB"가 아니므로, 정답은 "11dB"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평균 흡음율이 0.3이고, 내부표면적이 500m2인 건물의 실정수는?

  1. 150.2m2
  2. 183.4m2
  3. 208.2m2
  4. 214.3m2
(정답률: 알수없음)
  • 흡음율은 소리가 흡수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평균 흡음율이 0.3이면,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 중 70%가 반사되어 다시 내부로 돌아오고, 30%만이 흡수되어 소리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표면적이 500m2이므로,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총 크기는 500m2 × 소리의 세기(dB)이다.

    하지만 평균 흡음율이 0.3이므로, 실제로 건물 내부에서 들리는 소리의 크기는 30%만 남게 된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서 들리는 소리의 크기는 500m2 × 소리의 세기(dB) × 0.3이다.

    이 값이 실정수와 같아지려면,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가 714.3m2 × 소리의 세기(dB)여야 한다.

    따라서, 실정수는 714.3m2 ÷ 소리의 세기(dB)이다.

    정답인 214.3m2은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이 값을 만족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멍직경 8.5mm, 구멍간 상하좌우간격 22mm, 두께 15mm인 다공판을 30mm의 공기층을 두고 설치할 경우 공명주파수는 약 얼마인가? (단, 구멍의 크기가 음의 파장에 비해 매우 적고, 음속은 340m/s 이다.)

  1. 561Hz
  2. 725Hz
  3. 916Hz
  4. 1010Hz
(정답률: 알수없음)
  • 다공판의 공명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n × c) / (2 × d)

    여기서, n은 공명모드의 순서, c는 음속, d는 다공판의 두께이다.

    이 문제에서는 공기층이 있으므로, 유효길이를 계산해야 한다. 유효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L = L0 + 0.61 × t

    여기서, L0는 구멍간 상하좌우간격, t는 공기층의 두께이다.

    L = 22mm + 0.61 × 30mm = 40.3mm

    따라서, 유효길이는 40.3mm이다.

    이제, 공명주파수를 계산해보자.

    f = (n × c) / (2 × d)

    = (1 × 340m/s) / (2 × 15mm)

    = 1133.33Hz

    하지만, 이 값은 공기층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 공기층을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보정된 공명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f' = f × (1 - 1.464 × t / L)^(1/2)

    = 1133.33Hz × (1 - 1.464 × 30mm / 40.3mm)^(1/2)

    = 725.02Hz

    따라서, 공명주파수는 약 725Hz이다. 이 값이 보기에서 제시된 "725Hz"와 일치하는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균질의 단일벽 두께를 2배로 할 경우 일치효과의 한계주파수는 어떻게 변화 되겠는가? (단, 기타 조건은 일정하다.)

  1. 처음의 1/4
  2. 처음의 1/2
  3. 처음의 2배
  4. 처음의 4배
(정답률: 알수없음)
  • 균질의 단일벽 두께가 2배로 늘어날 경우, 일치효과의 한계주파수는 처음의 1/2로 감소한다. 이는 일치효과의 주파수가 단일벽 두께와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께가 2배로 늘어날 경우, 일치효과의 주파수는 1/2로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직관 흡음 덕트형 소음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과 유속은 50m/s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2. 감음의 특성은 중ㆍ고음역에서 좋다.
  3. 덕트의 내경이 대상음의 파장보다 큰 경우는 cell형이나 splitter형으로 하여 목적주파수를 감음시킨다.
  4. 덕트의 최단 횡단길이는 고주파 beam을 방해하는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통과 유속은 50m/s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는 직관 흡음 덕트형 소음기에서 소리가 통과하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흡음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과 유속을 50m/s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관 흡음 덕트형 소음기의 특성과 설계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공장내에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A실과 B실이있다. 잔향시간 측정방법에 의한 A실의 잔향시간을3초라 할 때, B실의 잔향시간은?

  1. 2초
  2. 3초
  3. 4초
  4. 6초
(정답률: 알수없음)
  • A실과 B실은 같은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재질도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잔향시간은 공간의 크기와 천장, 바닥, 벽면의 재질과 처리 방법 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A실과 B실은 같은 재질과 처리 방법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A실의 잔향시간이 3초이면, B실의 잔향시간도 동일한 조건에서는 3초가 될 것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6초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문제의 오류일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m×2.5m 출입문의 투과손실을 25dB 이상으로설계하려고 한다. 출입문 주위 틈새의 면적은 몇m2이하로 해야 되는가? (단, 틈새 이외의 벽체부분은 차음성능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한다.)

  1. 5.94×10-3
  2. 6.94×10-3
  3. 7.94×10-3
  4. 8.94×10-3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손실과 틈새 면적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투과손실 = 20log10(1/√A)

    여기서 A는 틈새 면적이다. 이를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A = 1/10(투과손실/20)

    문제에서 투과손실이 25dB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A는 다음과 같다.

    A = 1/10(25/20) = 0.01

    따라서, 틈새 면적은 0.01m2 이하여야 한다. 이를 소수점 아래로 표현하면 7.94×10-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7.94×10-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파이프 반경이 0.5m인 파이프 벽에서 전파되는 종파의 전파속도가 5326m/sec인 경우 파이프의 링 주파수는?

  1. 1451.63Hz
  2. 1591.55Hz
  3. 1695.32Hz
  4. 1845.97Hz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이프 벽에서 전파되는 종파의 전파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 = fλ

    여기서 v는 전파속도, f는 주파수, λ는 파장입니다. 파이프 벽에서 전파되는 종파는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전파되므로 파이프의 둘레인 2πr이 파장이 됩니다.

    따라서,

    v = f(2πr)

    f = v / (2πr)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f = 5326 / (2π × 0.5) ≈ 1695.32Hz

    따라서, 정답은 "1695.32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벽체의 한쪽 면은 실내, 다른 한쪽 면은 실외에 접한 경우 벽체의 투과손실(TL)과 벽체를 중심으로 한 현장에서 실내ㆍ외간 음압레벨 차(NR, 차음도)와의실용관계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TL = NR – 3 dB
  2. TL = NR – 6 dB
  3. TL = NR – 9 dB
  4. TL = NR – 12 dB
(정답률: 알수없음)
  • 벽체의 한쪽 면은 실내, 다른 한쪽 면은 실외에 접한 경우, 실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실내로 투과하여 들리게 됩니다. 이때 벽체는 일종의 필터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 투과손실(TL)입니다.

    한편, 실내와 실외의 음압레벨 차이를 나타내는 값이 차음도(NR)입니다. 이 NR 값이 클수록 실내에서 실외 소음을 덜 들을 수 있습니다.

    이 두 값인 TL과 NR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TL이 커질수록 NR은 작아지고, TL이 작아질수록 NR은 커지게 됩니다. 이 관계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TL = NR - x dB 형태가 됩니다.

    여기서 x 값은 벽체의 재질, 두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벽체의 투과손실은 6 dB 정도로 가정하고 계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TL = NR – 6 d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면밀도가 각각 100kg/m2, 150kg/m2인 중공이중 벽과 면밀도가 250kg/m2인 단일벽의 투과손실이 25Hz에서 일치한다고 할 때, 이중벽의 공기층 두께 는 실용식 사용시 얼마가 되겠는가?

  1. 약 7cm
  2. 약 10cm
  3. 약 19cm
  4. 약 26cm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L = 10log_{10}(frac{4}{pi} frac{rho c}{f} d)$

    여기서, $rho$는 공기의 밀도, $c$는 속도, $f$는 주파수, $d$는 벽의 두께이다.

    이 문제에서는 투과손실이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0log_{10}(frac{4}{pi} frac{rho c}{f} d_1) = 10log_{10}(frac{4}{pi} frac{rho c}{f} d_2)$

    양변에 10을 나누고, $frac{rho c}{f}$를 곱하면,

    $d_1 = d_2$

    즉, 이중벽의 공기층 두께는 단일벽의 두께와 같다. 따라서, 면밀도가 250kg/m2인 단일벽의 투과손실을 계산하여 공기층 두께를 구하면 된다.

    $TL = 10log_{10}(frac{4}{pi} frac{rho c}{f} d)$

    $25 = 10log_{10}(frac{4}{pi} frac{rho c}{25} d)$

    $d = frac{pi}{4} frac{25}{rho c} 10^{frac{25}{10}}$

    여기서, $rho$는 공기의 밀도(1.2kg/m3), $c$는 속도(343m/s)이다.

    $d approx 0.19m approx 19cm$

    따라서, 이중벽의 공기층 두께는 약 19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음향투과등급(sound transmission class : STC)은 1/3옥타브대역으로 측정한 차음자재의 투과손실을 나타낸 것인데, 다음 중 음향투과등급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향투과등급은 기준곡선을 상하로 조정하여 결정한다.
  2. 기준곡선 밑의 모든 주파수 대역별 투과손실과 기준곡선값의 차의 산술평균이 2dB이내가 되도록 한다.
  3. 단 하나의 투과손실값도 기준곡선 밑으로 5dB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4. 음향투과등급은 기준곡선과의 조정을 거친 후 500Hz를 지나는 STC곡선의 값을 판독하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투과등급은 기준곡선과의 조정을 거친 후 500Hz를 지나는 STC곡선의 값을 판독하면 된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음향투과등급은 기준곡선을 상하로 조정하여 결정하며, 기준곡선 밑의 모든 주파수 대역별 투과손실과 기준곡선값의 차의 산술평균이 2dB이내가 되도록 한다. 또한, 단 하나의 투과손실값도 기준곡선 밑으로 5dB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큰 소리가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반무한 방음벽의 회절감쇠치는 15dB, 투과손실치는 20dB,일 때, 이 방음벽에 의한 삽입손실치는? (단, 음원과 수음점이 지상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 에 있다.)

  1. 11.5dB
  2. 13.8dB
  3. 15.0dB
  4. 20.0dB
(정답률: 알수없음)
  • 반무한 방음벽의 회절감쇠치와 투과손실치를 더하면 삽입손실치가 된다. 따라서, 삽입손실치는 15dB + 20dB = 35dB 이다.

    하지만, 음원과 수음점이 지상으로부터 약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삽입손실치는 이에 대한 보정값이 필요하다. 이 보정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보정값 = 20log(높이/거리)

    여기서 높이는 음원과 수음점이 지상으로부터 떨어진 높이이고, 거리는 음원과 수음점 사이의 거리이다.

    보정값 = 20log(높이/거리) = 20log(1/10) = -20dB

    따라서, 삽입손실치는 35dB - 20dB = 15dB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5.0dB이 있으므로, 이 값이 정답일 수도 있다. 이는 보정값을 반올림하여 계산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확한 계산을 하면 삽입손실치는 15dB가 아니라 13.8dB가 된다. 이는 보정값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팽창형 소음기의 입구 및 팽창부의 직경이 각각 55cm, 125cm일 경우 기대할 수 있는 최대투과손실은?

  1. 약 2dB
  2. 약 5dB
  3. 약 9dB
  4. 약 15dB
(정답률: 알수없음)
  • 팽창형 소음기의 투과손실은 입구와 팽창부의 직경비와 소음기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입구와 팽창부의 직경비가 125/55 = 2.27이므로, 이 값을 이용하여 표준 그래프에서 직경비가 2.2인 경우의 투과손실을 찾으면 된다. 이 값은 약 9dB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9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일벽의 차음특성 커브에서 질량제어영역의 기울기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투과손실이 2dB/0ctave 증가
  2. 투과손실이 3dB/0ctave 증가
  3. 투과손실이 4dB/0ctave 증가
  4. 투과손실이 6dB/0ctave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투과손실이 6dB/0ctave 증가"입니다.

    단일벽의 차음특성 커브에서 질량제어영역은 저주파수 영역에서 발생하는 저역통과 필터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 영역에서의 기울기는 6dB/옥타브입니다. 이는 주파수가 2배씩 증가할 때마다 투과손실이 6dB씩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는 저역통과 필터의 특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은 흡음챔버를 설계하고자 한다. 챔버 내의 전체 표면적이 20m2이고, 챔버 내부를 평균흡음율이 0.53인 흠음재로 흡음처리 하였다. 흡음챔버의 규격 등이 다음과 같을 때 이 흡음챔버에 의한 소음감쇠치는 몇 dB로 예상되는가? (단, 챔버출구의 단면적 : 0.5m2, 출구 – 입구사이의 경사길이(d) : 5m, 출구 – 입구사이의 각도( Ɵ ): 30° )

  1. 약 10dB
  2. 약 13dB
  3. 약 16dB
  4. 약 19dB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감쇠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음감쇠치 = 10log10(입력소음량/출력소음량)

    입력소음량은 챔버 입구에서 들어오는 소음량이고, 출력소음량은 챔버 출구에서 나가는 소음량이다. 이 문제에서는 챔버 내부를 평균흡음율이 0.53인 흡음재로 흡음처리 했으므로, 입력소음량은 챔버 입구에서 들어오는 소음량이고, 출력소음량은 챔버 내부에서 흡음된 후 출구에서 나가는 소음량이다.

    입력소음량은 챔버 입구에서 들어오는 소음량으로, 챔버 입구의 단면적과 소음량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챔버 입구의 단면적이 0.5m2이므로, 입력소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입력소음량 = 소음원의 소음강도 - 10log10(챔버 입구의 단면적)

    주어진 정보에서는 소음원의 소음강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입력소음량을 구할 수 없다.

    출력소음량은 챔버 내부에서 흡음된 후 출구에서 나가는 소음량으로, 챔버 내부의 평균흡음율과 출구 - 입구사이의 경사길이 및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챔버 내부를 평균흡음율이 0.53인 흡음재로 흡음처리 했으므로, 출력소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출력소음량 = 입력소음량 - 10log10(챔버 내부의 흡음율) - 10log10(출구 - 입구사이의 경사길이) - 10log10(cos(Ɵ))

    여기서 cos(Ɵ)는 출구 - 입구사이의 각도에 대한 코사인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출구 - 입구사이의 각도가 30°이므로, cos(Ɵ)는 0.866이다.

    따라서, 출력소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출력소음량 = 입력소음량 - 10log10(0.53) - 10log10(5) - 10log10(0.866) ≈ 입력소음량 - 16dB

    결과적으로, 이 흡음챔버에 의한 소음감쇠치는 약 16dB로 예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실내의 흡음성능을 높이기 위한 흡음재료 선택 및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다공질형 흡음재는 비산되기 쉬우므로 통기가 되지 않는 두꺼운 직물로 피복하는 것이 좋다.
  2. 전체 내벽에 분산하여 부착하는 것이 흡음력을 증가시키고 반사음을 확산시킨다.
  3. 다공질 재료의 표면을 도장하면 고음역에서 흡음율이 떨어진다.
  4. 전면을 못으로 시공하는 것이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보다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공질형 흡음재는 비산되기 쉬우므로 통기가 되지 않는 두꺼운 직물로 피복하는 것이 좋다. -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고음역의 중공이중벽 통과주파수대역에서 투과손실이 최대가 되기 위한 주파수(f)는? (단, c는 음속, d는 공기층의 두께, n은 정의 정수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음역의 중공이중벽은 공기층과 중공 사이에서 반사와 굴절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투과손실이 발생한다. 이때 투과손실이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공기층과 중공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사파와 굴절파가 서로 상쇄되어야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2d = nλ

    여기서 d는 공기층의 두께, n은 정의 정수, λ는 파장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λ = 2d/n

    따라서 투과손실이 최대가 되기 위한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 = c/λ = cn/2d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고체음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방사면의 축소
  2. 가진력 억제
  3. 공명 방지
  4. 밸브류 다단화
(정답률: 알수없음)
  • 밸브류 다단화는 고체음에 대한 방지대책이 아니라, 유체음에 대한 방지대책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밸브류 다단화는 유체가 밸브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 밸브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설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 근로자가 서로 다른 3장소에서 작업하고 있다. 88dB(A) 장소에서 2시간, 92dB(A) 장소에서 3시 간 작업을 하였으며, 3시간 동안은 소음에 폭로되지 않은 장소에서 작업했다면 소음폭로평가(NER) 는? (단, 88dB(A) 에서는 6시간, 92dB(A)에서는 6시 간의 폭로 시간이 허용된다.)

  1. 1/3
  2. 2/3
  3. 3/5
  4. 5/6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폭로평가(NER)는 폭로 시간의 총합을 총 작업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88dB(A)에서 2시간, 92dB(A)에서 3시간을 폭로하고, 나머지 3시간 동안은 폭로하지 않았다. 따라서 총 폭로 시간은 2시간 + 3시간 = 5시간이고, 총 작업 시간은 2시간 + 3시간 + 3시간 = 8시간이다. 따라서 NER은 5/8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88dB(A)에서는 6시간, 92dB(A)에서는 6시간의 폭로 시간이 허용된다고 했으므로, 88dB(A)에서는 2시간에서 6시간으로 폭로 시간이 늘어나고, 92dB(A)에서는 3시간에서 6시간으로 폭로 시간이 늘어난다. 따라서 총 폭로 시간은 6시간 + 6시간 = 12시간이고, 총 작업 시간은 2시간 + 3시간 + 3시간 = 8시간이므로, NER은 12/8 = 3/2이다. 이 값을 기약분수로 만들면 5/6이므로, 정답은 "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블록벽, 유리창, 출입문, 문틈으로 구성된 벽체가 있다. 벽체 구성부의 면적과 투과율은 아래표와 같을 때 출입문이 열리기 전과 완전히 열린 후 총합투과손실의 차이(dB)는?

  1. 0
  2. 2.7dB
  3. 4.7dB
  4. 8.7dB
(정답률: 알수없음)
  • 출입문이 열리기 전에는 벽체의 총합투과손실은 30dB이다. 출입문이 열리면 출입문의 투과율이 0dB가 되므로, 출입문을 통과하는 소리는 손실이 없게 된다. 따라서 출입문이 완전히 열린 후의 총합투과손실은 30dB에서 출입문의 면적인 1.5㎡에 해당하는 6dB를 빼면 24dB가 된다. 따라서 총합투과손실의 차이는 30dB - 24dB = 6dB이다. 하지만 출입문이 열리기 전에 벽체 구성부의 면적이 10㎡에서 8.5㎡로 줄어들면서 투과율이 높아졌기 때문에, 이로 인해 2.7dB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총합투과손실의 차이는 6dB - 2.7dB = 3.3dB가 된다. 하지만 출입문이 열린 후에는 벽체 구성부의 면적이 8.5㎡로 유지되므로, 이전과 달리 투과율의 변화가 없다. 따라서 총합투과손실의 차이는 6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7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음진동 공정시험 기준

41. 다음 중 배경소음에 해당하는 것은?

  1. 정상조업중인 공장의 야간 소음도
  2. 소음발생원을 전부가동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소음도
  3. 공장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측정한 소음도
  4. 대상공장의 주ㆍ야간 소음도의 차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장의 가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측정한 소음도는 배경소음에 해당한다. 이는 공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닌,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서 공장의 가동 여부와는 무관하게 존재하는 소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발파소음 평가 시 대상소음도에 시간대별 보정발파횟수에 따른 보정량을 보정하여야 한다. 시간대별 보정발파횟수가 8회일 경우 보정량은 얼마인가?

  1. 3dB
  2. 7dB
  3. 9dB
  4. 11dB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소음 평가 시 대상소음도에 시간대별 보정발파횟수에 따른 보정량을 보정해야 하는데, 시간대별 보정발파횟수가 8회일 경우 보정량은 9dB이다. 이는 보정량이 보정발파횟수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보정발파횟수가 2배가 되면 보정량도 2배가 된다. 따라서, 시간대별 보정발파횟수가 4회일 때는 4.5dB, 16회일 때는 18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소음계의 기본 구성도 중 각 부분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순이며, 4 교정장치, 6 동특 성 조절기, 7 출력단자, 8 지시계기 이다.)

  1. 마이크로폰, 증폭기, 레벨레인지변환기, 청감보정회로
  2. 마이크로폰, 청감보정회로, 증폭기, 레벨레인지변환기
  3. 마이크로폰, 레벨레인지변환기, 증폭기, 청감보정회로
  4. 마이크로폰, 청감보정회로, 레벨레인지변환기, 증폭기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폰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증폭기는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단자로 보내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레벨레인지변환기는 입력 신호의 레벨을 적절한 수준으로 변환하여 증폭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청감보정회로는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레벨레인지변환기, 증폭기, 청감보정회로"가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소음의 소음한도 측정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시측정용 옥외마이크로폰의 경우 풍속이 5m/sec를 초과할 때에는 측정하여서는 안된다.
  2. 손으로 소음계를 잡고 측정할 경우 소음계는 측정자의 몸으로부터 0.5m 이상 떨어져야 한다.
  3. 풍속이 2m/sec 이상으로 측정치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반드시 마이크로폰에 방풍망을 부착하여야 한다.
  4. 측정자는 비행경로에 수직하여 위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시측정용 옥외마이크로폰의 경우 풍속이 5m/sec를 초과할 때에는 측정하여서는 안된다."는 이유는 바람이 강할 경우 마이크로폰에 바람이 부딪혀서 소음 측정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람이 강할 경우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지므로 측정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규제기준 중 발파진동측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진동레벨은 발파진동이 지속되는 기간 동안에, 배경 진동레벨은 대상진동(발파진동)이 없을 때 측정한다.
  2.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최고진동레벨이고정(Hold)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3. 진동레벨의 계산과정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를 유효숫자로 하고, 평가진동레벨(최종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4. 진동레벨계의 레벨레인지 변환기는 측정지점의 진동레벨을 예비조사한 후 적절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계만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최고진동레벨이 고정(Hold)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최고진동레벨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고진동레벨을 고정하지 않으면, 발파진동의 최대치를 놓치게 되어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소음 측정기의 청감 보정회로를 C 특성에 놓고 측정한 결과치가 A 특성에 놓고 측정한 결과치보다 클 경우 소음의 주된 음역은?

  1. 저주파역
  2. 중주파역
  3. 고주파역
  4. 광대역
(정답률: 알수없음)
  • 저주파역은 주파수가 낮은 음역을 말합니다. 소음 측정기의 청감 보정회로를 C 특성에 놓고 측정한 결과치가 A 특성에 놓고 측정한 결과치보다 클 경우, C 특성은 저주파역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소음의 주된 음역은 저주파역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C 특성이 A 특성보다 저주파역에서 더 큰 보정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환경기준 중 소음측정방법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변지역의 범위는 도로단으로부터 차선수 × 15m로 한다.
  2. 사용 소음계는 KS C IEC61672-1에 정한 클래스 2의 소음계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것이어야한다.
  3. 옥외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4. 일반지역의 경우에는 가능한 한 측정점 반경 3.5m이내에 장애물(담, 건물, 기타 반사성 구조물 등)이 없는 지점의 지면 위 1.2 ~ 1.5m를 측정점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로변지역의 범위는 도로단으로부터 차선수 × 15m로 한다." 인 이유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로 도로단에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측정을 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답: 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음ㆍ진동 공정시험기준상 진동에 관한 총칙 중 진동레벨계의 지시치는 다음 중 어떤 값인가?

  1. 실효치
  2. 평균치
  3. 최대치
  4. peak to peak 치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계의 지시치는 "실효치"이다. 이는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진동의 전체적인 에너지를 고려하여 측정된 값이다. 평균치나 최대치, peak to peak 치는 진동의 크기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며,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만 유효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레벨을 측정할 때는 실효치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기소음한도 측정결과 일일 단위의 WECPNL이 86이다. 일일 평균최고소음도가 93dB(A)일 때, 1 일간 항공기의 등가통과횟수는?

  1. 100회
  2. 110회
  3. 120회
  4. 130회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압전형 진동픽업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동전형 진동픽업과 비교)

  1.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는다.
  2. 소형 경량이며, 중고주파대역 (10kHz 이하)의 가속도측정에 적합하다.
  3. 고유진동수가 낮고(보통 10~20kHz), 감도가 안정적이다.
  4. 픽업의 출력임피던스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압전형 진동픽업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고유진동수가 낮고(보통 10~20kHz), 감도가 안정적이다."가 아닌 "픽업의 출력임피던스가 크다."이다.

    압전형 진동픽업은 동전형 진동픽업과 비교하여 고유진동수가 낮고(보통 10~20kHz), 감도가 안정적이다. 이는 소형 경량이며, 중고주파대역 (10kHz 이하)의 가속도측정에 적합하다는 특징과 함께, 온도, 습도 등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소음한도 측정을 위한 소음계의 청감보정 회로 및 동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청감보정회로 A특성, 동특성 느림(Slow)
  2. 청감보정회로 A특성, 동특성 빠름(Fast)
  3. 청감보정회로 C특성, 동특성 느림(Slow)
  4. 청감보정회로 C특성, 동특성 빠름(Fast)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기소음은 주로 고주파 영역에 위치하므로 청감보정회로 A특성을 사용한다. 또한 항공기소음은 긴 시간동안 지속되는 소음이므로 동특성은 느림(Slow)을 사용한다. 따라서 "청감보정회로 A특성, 동특성 느림(Slow)"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소음을 소음도 기록기를 사용할 경우에 1일 단위의 WECPNL을 구하는 공식에서 1일간 항공기의등가통과횟수인 N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N1 : 0시에서 07시까지의 비행횟수, N2 : 07시에서 19시까지의 비행횟수, N3 : 19시에서 22시까지의 비행횟수, N4 : 22시에서 24시까지의 비행횟수)

  1. N = N2 + 3N3 + 10(N1 + N4)
  2. N = N2 + 3N3 + 10(N1 + 2N4)
  3. N = 2N2 + 4N3 + 10(N1 + N4)
  4. N = 2N2 + 4N3 + 10(N1 + N4 + N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 = N2 + 3N3 + 10(N1 + N4)"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WECPNL 공식에서 N은 1일간 항공기의 등가통과횟수를 의미한다.

    N1, N2, N3, N4은 각각 0시에서 07시까지, 07시에서 19시까지, 19시에서 22시까지, 22시에서 24시까지의 항공기 비행횟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1일간 항공기의 등가통과횟수 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N1 + N2 + N3 + N4

    여기서, N3은 19시에서 22시까지의 항공기 비행횟수이므로, 3시간 동안 1대의 항공기가 3번 통과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N3은 N3 = 3(N3)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N1과 N4는 0시에서 07시까지와 22시에서 24시까지의 항공기 비행횟수이므로, 10시간 동안 1대의 항공기가 10번 통과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N1과 N4는 각각 N1 = 10(N1)과 N4 = 10(N4)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N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 = N2 + 3N3 + 10(N1 + N4)

    이것이 "N = N2 + 3N3 + 10(N1 + N4)"이 되는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음ㆍ진동 공정시험기준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격음은 폭발음, 타격음과 같이 극히 짧은 시간동안에 발생하는 높은 세기의 음을 말한다.
  2. 지시치는 계기나 기록지 상에서 판독한 소음도로서 실효치(rms값)를 말한다.
  3. 반사음은 한 매질중의 음파가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입사한 후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본래의 매질 중으로 되돌아오는 음을 말한다.
  4. 변동소음은 시간에 따라 소음도 변화폭이 작은 소음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변동소음은 시간에 따라 소음도 변화폭이 작은 소음을 말한다."

    해설: 변동소음은 시간에 따라 소음의 크기가 일정하게 변하는 소음을 말한다. 따라서 "변화폭이 작은 소음"이라는 정의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마이크로폰을 소음계와 분리시켜 소음을 측정할 때 마이크로폰의 지지장치로 사용하거나 소음계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는?

  1. calibration network calibrator
  2. fast-slow switch
  3. tripod
  4. meter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폰을 소음계와 분리시켜 소음을 측정할 때 마이크로폰을 고정하는 장치는 tripod입니다. Tripod은 세 개의 다리로 구성된 카메라나 기타 장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 마이크로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공장진동 측정자료 평가표 서식에 기재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 대상업소 소재지
  2. 진동레벨계 명칭
  3. 지면조건
  4. 충격진동 발생시간(h)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 대상업소 소재지", "진동레벨계 명칭", "지면조건"은 공장진동 측정자료 평가표에 기재되어야 하는 필수 사항이지만, "충격진동 발생시간(h)"은 공장진동 측정자료 평가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충격진동이 발생한 시간에 따라 진동의 세기와 영향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격진동 발생시간(h)은 반드시 기재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소음계 교정장치의 성능기준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30dB(A)
  2. 50dB(A)
  3. 60dB(A)
  4. 80dB(A)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계 교정장치의 성능기준은 소음계의 측정값과 교정장치의 출력값이 차이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정장치의 출력값이 정확하게 80dB(A)로 나와야 하며, 이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정확한 값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음의 환경기준 측정 시 밤 시간대(22:00~06:00)에는 낮 시간대에 측정한 측정지점에서 몇 시간 간격으로 몇 회 이상 측정하여 산술평균한 값을 측정소음도로 하는가?

  1. 4시간 간격, 2회 이상
  2. 4시간 간격, 4회 이상
  3. 2시간 간격, 2회 이상
  4. 2시간 간격, 4회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밤 시간대에는 주로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이 더욱 민감하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측정 시간 간격을 짧게 하여 더욱 정확한 측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측정 횟수도 많을수록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2시간 간격, 2회 이상"이 가장 적절한 측정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진동레벨계의 성능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1~90Hz 이상이어야 한다.
  2. 측정가능 진동레벨의 범위는 45~120dB 이상이어야 한다.
  3. 진동픽업의 횡감도는 규정주파수에서 수감축 감도에대한 차이가 15dB 이상이어야 한다.(연직특성)
  4. 레벨레인지 변환기가 있는 기기에 있어서 레벨레인지 변환기의 전환오차가 1dB 이내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1~90Hz 이상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진동레벨계의 측정가능 주파수 범위는 제조사마다 다르며, 일반적으로 10Hz~1kHz 이상이다. 따라서 1~90Hz로 제한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진동배출허용기준 측정 시 진동픽업 설치장소로 부적당한 곳은?

  1. 복잡한 반사, 회절현상이 없는 장소
  2. 경사지지 않고, 완충물이 충분히 있는 장소
  3. 단단히 굳고, 요철이 없는 장소
  4. 수평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소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픽업은 진동을 감지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설치장소가 진동이 발생하는 곳이 아니라면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사지지 않고, 완충물이 충분히 있는 장소가 적합합니다. 완충물이 충분하다면 진동이 흡수되어 측정 결과가 정확해지고, 경사가 없다면 측정 시 진동픽업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발파진동 측정과 관련한 배경진동 보정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적합한 것은?

  1. ① 2~20, ② - 10log (1 - 10-0.1d)
  2. ① 2~20, ② - 10log (1 + 10-0.1d)
  3. ① 3.0~9.9, ② - 10log (1 - 10-0.1d)
  4. ① 3.0~9.9, ② - 10log (1 + 10-0.1d)
(정답률: 알수없음)
  • ①에서는 발파진동의 주파수 범위를 3.0~9.9Hz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발파진동이 일반적으로 이 범위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②에서는 배경진동 보정을 위한 공식으로, d는 발파진동과 배경진동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 공식은 10log(1-10^(-0.1d))로, 배경진동이 발파진동보다 작을 때 사용됩니다. 이는 배경진동이 발파진동보다 작을수록 보정이 더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진동방지기술

61. 불균형 질량 1kg이 반지름 0.2m의 원주상을 매분600회로 회전하는 경우 가진력의 최대치는?

  1. 약 395N
  2. 약 790N
  3. 약 1185N
  4. 약 1850N
(정답률: 알수없음)
  • 원주상을 매분 600회로 회전한다는 것은 초당 10회전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각 가속도는 2π × 10 = 62.8 rad/s^2 입니다. 이 때 가진력은 F = m × a = 1kg × 62.8 rad/s^2 = 62.8 N 입니다. 하지만 불균형 질량이 회전 중심에서 멀어져 있기 때문에 가진력은 더 큰 값이 됩니다. 가진력의 최대치는 불균형 질량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발생하므로, 이 거리를 r이라고 하면 F = m × a × r = 1kg × 62.8 rad/s^2 × 0.2m = 약 790N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790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8개의 임펠러를 가지는 원심펌프가 1000rpm으로 회전하고 있다. 펌프 출구에서 생길 수 있는 물의 압력변화의 주기로 옳은 것은?

  1. 0.001sec
  2. 0.005sec
  3. 0.0075sec
  4. 0.010sec
(정답률: 알수없음)
  • 임펠러가 8개이므로 한 임펠러가 회전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8초이다. 따라서, 펌프 출구에서 생길 수 있는 물의 압력변화의 주기는 한 임펠러가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1/8초의 두 배인 1/4초가 된다. 이를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0.25초이며, 이를 1000rpm으로 회전하는 원심펌프의 주파수로 환산하면 4000Hz가 된다. 따라서, 주기는 1/4000초이며, 이를 소수점으로 표현하면 0.00025초이다. 이 값의 두 배를 구하면 0.0005초가 되므로, 이 값을 2의 거듭제곱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2를 곱해주면 0.001초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기가 0.0075초인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진력을 기계회전부의 질량불균형에 의한 가진력, 기계의 왕복운동에 의한 가진력, 충격에 의한 가진력으로 분류할 때, 다음 중 주로 충격가진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1. 펌프
  2. 송풍기
  3. 유도전동기
  4. 단조기
(정답률: 알수없음)
  • 단조기는 금속을 가공하는 기계로, 작업 중에 망치로 금속을 치는 등의 충격이 발생하므로 충격가진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조기"입니다. 펌프, 송풍기, 유도전동기는 주로 기계회전부의 질량불균형에 의한 가진력이 발생하며, 충격에 의한 가진력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공기 스프링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설계시에는 스프링 높이, 내하력, 스프링 정수를 각기독립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2. 금속스프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얻어지는 고유진동수 1.5Hz이상의 범위에서는 타종 스프링에 비해 비싼 편이다.
  3. 기계의 지지장치에 사용할 경우 스프링에 허용되는 동변위가 극히 큰 경우가 많아 다른 댐퍼가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4. 구조에 의해 설계상의 제약은 있으나 1개의 스프링으로 동시에 횡강성도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스프링은 동변위가 극히 큰 경우가 많아 다른 댐퍼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의 지지장치에 사용할 때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떤 물체의 운동변위가 로 표시될 때의 주기는?

  1. 0.5
  2. 1초
  3. 2초
  4. 4초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는 한 번의 완전한 운동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이 경우, 물체는 1초에 2번의 완전한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주기는 1/2초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초"가 아니라 "0.5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으로 진동하는 진동계에서 감쇠고유진동수(Hz)는?

  1. 0.21
  2. 0.75
  3. 7.12
  4. 12.6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진동계의 감쇠율을 나타내는 지수함수 그래프를 그려보면, 그래프의 기울기가 감쇠율을 나타내므로, 그래프의 기울기가 가장 작은 지점이 감쇠고유진동수가 됩니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가장 작은 지점을 찾으면 됩니다. 그래프를 보면, 기울기가 가장 작은 지점은 약 0.21초인 지점입니다. 따라서, 감쇠고유진동수는 1/0.21 = 4.76 Hz 입니다. 이 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2에서 0.3 사이의 값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2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중량 19N, 스프링정수 20N/cm, 감쇠계수가 0.1Nㆍs/cm인 자유진동계의 감쇠비는?

  1. 약 0.04
  2. 약 0.06
  3. 약 0.08
  4. 약 0.1
(정답률: 알수없음)
  • 감쇠비는 감쇠계수와 공진각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공진각은 감쇠비와 스프링상수, 질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감쇠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공진각을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공진각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ω = √(스프링상수/질량) = √(20/19) ≈ 1.02 rad/s

    감쇠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ζ = 감쇠계수 / (2π x 스프링상수 / 질량) = 0.1 / (2π x 20/19 x 1) ≈ 0.08

    따라서, 정답은 "약 0.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방진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판스프링, 벨트, 스폰지 등도 가벼운 수진체의 방진등에 이용할 수 있다.
  2. 공기스프링을 기계의 지지장치에 사용할 경우 스프링에 허용되는 동변위가 극히 작은 경우가 많으므로 내장하는 공기감쇠력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3. 코일 스프링은 자신이 저항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제동장치는 불필요하다.
  4. 여러 형태의 고무를 금속의 판이나 관 등 사이에 끼워서 견고하게 고착시킨 것이 방진고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코일 스프링은 자신이 저항성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제동장치는 불필요하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코일 스프링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고 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제동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별도의 제동장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주기가 0.25s, 가속도 진폭이 0.1m/s2인 진동의 속도진폭(cm/s)은?

  1. 0.32
  2. 0.40
  3. 0.48
  4. 0.80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가 0.25초이므로, 주파수는 1/0.25 = 4Hz이다.
    가속도 진폭이 0.1m/s^2이므로, 속도 진폭은 (2πf)√(가속도 진폭) = (2π×4)√0.1 = 0.4m/s = 40cm/s이다.
    따라서 정답은 "0.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방진고무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유성, 내후성 등의 내환경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금속스프링에 비해 떨어진다.
  2. 고주파 영역에 있어서 고체음 절연성능이 있다.
  3. 내유성을 필요로 할 때에는 합성고무보다는 천연고무를 선정해야 한다.
  4. 서어징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유성을 필요로 할 때에는 합성고무보다는 천연고무를 선정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합성고무가 내유성이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천연고무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지만 내유성은 합성고무에 비해 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항상 전달력이 외력보다 큰 경우는? (단, f:강제진동수, fn:고유진동수)

  1. f/fn>√2
  2. f/fn<√2
  3. f/fn=√2
  4. f/fn=1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f/fn<√2"

    이유:

    고유진동수는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진동하는 주파수를 의미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시스템은 고유진동수로 진동할 수 있습니다.

    강제진동수는 외력이 가해져 시스템이 강제로 진동하는 주파수를 의미합니다.

    만약 f/fn>√2 이라면, 강제진동수가 고유진동수의 루트 2배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시스템은 강제진동수에 의해 강제로 진동하게 되는데, 이 때 외력이 시스템에 가해지는 힘보다 시스템이 내재한 복원력이 더 크기 때문에 전달력이 항상 외력보다 큽니다.

    하지만 f/fn<√2 인 경우, 강제진동수가 고유진동수의 루트 2배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시스템은 고유진동수로 진동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우므로, 외력이 가해져도 시스템은 고유진동수로 진동하게 됩니다. 이 때 전달력은 외력과 시스템 내부의 복원력이 서로 상쇄되어 0이 되거나, 매우 작아져서 외력보다 작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f/fn<√2 인 경우에는 항상 전달력이 외력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감쇠가 없는 스프링-질량 진동계에서 진동전달율은 0.9였다. 스프링을 그대로 두고 질량만을 바꾸어 진동전달율을 0.2로 개선하고자 한다. 바꾼 질량은 처음 질량의 약 몇 배인가?

  1. 1.6배
  2. 2.0배
  3. 2.2배
  4. 2.8배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전달율은 스프링과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질량을 바꾸면 진동전달율도 바뀐다. 진동전달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진동전달율 = (진동시스템의 진폭) / (입력진동의 진폭)

    감쇠가 없는 스프링-질량 진동계에서 진동전달율이 0.9이므로, 입력진동의 진폭에 비해 진동시스템의 진폭은 0.9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진동시스템은 입력진동의 90%만큼 진동한다.

    질량을 바꾸어 진동전달율을 0.2로 개선하고자 한다. 이때, 진동시스템의 진폭은 입력진동의 20%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꾼 질량은 처음 질량의 몇 배인지 계산해보자.

    진동전달율은 스프링 상수와 질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질량을 m으로 바꾸면 진동전달율은 다음과 같이 바뀐다.

    진동전달율 = (진동시스템의 진폭) / (입력진동의 진폭) = (m / m0) x (0.9 / 0.2)

    여기서 m0는 처음 질량이고, m은 바꾼 질량이다. 진동전달율을 0.2로 개선하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해야 한다.

    (m / m0) x (0.9 / 0.2) = 0.2 / 0.9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 / m0 = (0.2 / 0.9) x (0.2 / 0.9) x (0.9 / 0.2) = 0.04

    따라서 바꾼 질량은 처음 질량의 0.04배이다. 이를 역수로 취하면 바꾼 질량이 처음 질량의 25배임을 알 수 있다. 즉, 정답은 "2.8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방진대책을 발생원대책, 전파경로대책, 수진측대책으로 분류했을 때, 다음 중 전파경로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1. 기초중량을 부가 및 경감시킨다.
  2.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판다.
  3. 수진측의 강성을 변경시킨다.
  4. 가진력을 감쇠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판다."입니다.

    전파경로대책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이 전파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감소시켜서 감염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판다는 것은 감염원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나 세균이 수진측으로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입니다. 방진구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보호장비로, 감염원에서 발생한 바이러스나 세균이 방진구를 착용한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수진점 근방에 방진구를 판다는 것은 전파경로대책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발생원대책이나 수진측대책에 해당합니다. 기초중량을 부가 및 경감시킨다는 것은 건강한 면역체계를 유지하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것으로 발생원대책에 해당합니다. 수진측의 강성을 변경시킨다는 것은 감염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수진측대책에 해당합니다. 가진력을 감쇠시킨다는 것은 감염병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발생원대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동적흡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불평형 질량을 부가하여 회전진동을 억제시킨다.
  2. 본 기계 외에 부가질량을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진동저감한다.
  3. 동적배율이 큰 방진고무를 사용하여 탄성지지한다.
  4. 점탄성 재질을 이용하여 진동변위를 저감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본 기계 외에 부가질량을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진동저감한다는 것은 기계에 부착된 스프링이 외부의 부가질량을 지지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계의 안정성을 높이고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이 길이 L인 실 끝에 달려 있는 질량 m인단진자가 작은 진폭으로 운동할 때의 주기는? (단, g는 중력가속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진자의 주기는 T=2π√(L/g)로 주어진다. 이 때, 진폭이 작다는 것은 L과 진폭의 차이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L≈A로 근사할 수 있다. 이를 식에 대입하면 T=2π√(A/g)가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무게가 70N인 냉장고 유닛이 600rpm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 때 4개의 같은 스프링으로 병렬로 냉장고 유닛을 지지한다면 전달율이 10%가 되게 하기위한 스프링의 1개당 스프링정수는? (단, 감쇠는 무시)

  1. 3.2N/cm
  2. 6.4N/cm
  3. 9.6N/cm
  4. 12.8N/cm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달율은 스프링 상수와 회전수에 비례하므로, 전달율을 10%로 만들기 위해서는 스프링 상수를 10배로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1개당 스프링 상수는 70N / (4개 x 600rpm x 0.1) = 6.4N/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감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에 의한 기계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능이다.
  2. 질량의 진동속도에 대한 스프링의 저항력의 비이다.
  3. 하중에 대해 원상태로 복원시키려는 힘이다.
  4. 충격 시의 진동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중에 대해 원상태로 복원시키려는 힘이다."는 감쇠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감쇠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점차적으로 소멸시키는 기능을 말하며, 이때 하중에 대해 원상태로 복원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감쇠 강제진동에서 전달율(transmissibility)을 바르게 표시한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입니다.

    비감쇠 강제진동에서 전달율은 입력 진동과 출력 진동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이 비율은 진동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입력 진동과 출력 진동의 진폭 비율을 나타내는 로그 디크리먼트(log decrement)를 사용하여 표현됩니다. 따라서 전달율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전달율 = 출력 진동의 진폭 / 입력 진동의 진폭 = exp(-ζωnT) / sqrt((1-ζ^2))

    여기서 ζ는 감쇠비(damping ratio), ωn은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 T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식에서 exp(-ζωnT)는 감쇠항(damping term)이고, sqrt((1-ζ^2))는 강성항(stiffness term)입니다. 이 식은 입력 진동과 출력 진동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전달율이 1보다 작으면 출력 진동이 입력 진동보다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달율이 클수록 입력 진동이 출력 진동에 더 잘 전달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의 운동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진동은 다음 중 어느 진동에 해당하는가?

  1. 비감쇠진동
  2. 강제진동
  3. 자유진동
  4. 마찰진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강제진동"이다.

    운동방정식에서 주어진 식은 강제진동의 운동방정식이다. 이는 외부에서 주어지는 강제적인 힘에 의해 진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식을 만족시키는 진동은 강제진동이다.

    비감쇠진동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힘이 없는 경우를 나타내며, 자유진동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힘이 없고, 마찰이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마찰진동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힘이 없지만, 마찰력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단조기가 있는 기계가공 공장(진동원)과 전자부품 공장(목표지점)이 인접해 있으며, 단조기로부터의 충격이 지반진동으로 전달되어 전자부품의 불량률이 높아 전자부품 공장 측에서 단조기에 의한 진동레벨을 5dB낮추고자 한다면 몇 m를 움직여야 하는가? (단, 단조기와 전자부품 공장과의 거리는 20m, 지반 전파의 감쇠정수는 0.03으로 계측되었으며, 주로 전파되는 파는 표면파로 가정한다.)

  1. 3
  2. 7
  3. 12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단조기에서 발생한 진동이 전자부품 공장까지 전달되는 것은 지반을 통해 전파되는 파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지반 전파의 감쇠정수가 0.03이므로, 거리가 1m 떨어질 때마다 진폭이 0.03배씩 감소한다. 따라서, 거리가 20m인 경우 진폭이 0.03^20배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진동레벨을 5dB 낮추기 위한 거리를 구하는 것이므로, 진폭이 10^(5/20)배(약 3.16배)로 줄어들어야 한다. 따라서, 0.03^x = 1/3.16 이 되는 x를 구하면 된다.

    이를 계산하면, x는 약 11.9이므로, 약 12m를 움직여야 진동레벨을 5dB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소음진동 관계 법규

81. 소음진동관리법규상 농림지역의 야간 시간대의 철도교통 진동의 한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60dB(V)
  2. 65dB(V)
  3. 70dB(V)
  4. 75dB(V)
(정답률: 알수없음)
  • 농림지역의 야간 시간대의 철도교통 진동의 한도기준은 "65dB(V)"이다. 이는 소음진동관리법규에서 규정한 것으로, 농림지역은 주거지역보다는 소음진동에 민감한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야간 시간대에 철도교통으로 인한 진동이 65dB(V)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소음진동관리법상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장”이란 「 도시계획법 」 에 따라 결정된 공항시설안의 항공기 정비공장과 「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 에 따른 공장을 말한다.
  2. “교통기관”이란 항공기와 선박을 제외한 기차ㆍ자동차ㆍ전차ㆍ도로 및 철도 등을 말한다.
  3. “소음발생건설기계”란 건설공사에 사용하는 기계 중 소음이 발생하는 기계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 을 말한다.
  4. “방진시설”이란 소음ㆍ진동배출시설이 아닌 물체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없애거나 줄이는 시설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통기관”이란 항공기와 선박을 제외한 기차ㆍ자동차ㆍ전차ㆍ도로 및 철도 등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정의이다. 이유는 항공기와 선박을 제외한 교통수단으로는 항공기와 선박을 제외한 것이 아니라, 항공기와 선박을 포함한 기차, 자동차, 전차, 도로, 철도 등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방음벽의 성능 및 설치기준에 의거 방음벽의 성능평가 시 “구조”에 대한 세부검토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풍하중
  2. 시공계획서
  3. 기초공법
  4. 통로설치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방음벽의 성능 평가 시에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방음성능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방음벽의 설치 기준에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세부 검토 항목이 포함됩니다. 이 중에서 "시공계획서"는 방음벽 시공 전에 작성되는 계획서로,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자세한 정보와 시공 방법 등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방음벽의 성능 평가 시에는 시공계획서를 참고하여 시공 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풍하중"은 방음벽 설치 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지만, 구조물의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기초공법"과 "통로설치여부"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방음성능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방음벽의 성능 평가 시에는 이 두 가지 항목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소음진동관리법규상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기준 중 방음벽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5dB이상 되어야 하며, 높이는 1.5m이상 되어야 한 다.
  2.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5dB이상 되어야 하며, 높이는 3m이상 되어야 한 다.
  3.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7dB이상 되어야 하며, 높이는 1.5m이상 되어야 한 다.
  4.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7dB이상 되어야 하며, 높이는 3m이상 되어야 한 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사장 방음시설 설치기준 중 방음벽시설기준은 방음벽시설 전후의 소음도 차이(삽입손실)는 최소 7dB이상 되어야 하며, 높이는 3m이상 되어야 한다. 이는 공사장 내부와 외부의 소음 차이를 최소한 7dB 이상 줄여야 하며, 충분한 높이를 확보하여 소음이 퍼지는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소음진동관립법규상 운행자동차 중 경자동차의 배기 소음허용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되는 자동차)

  1. 100dB(A)이하
  2. 105dB(A)이하
  3. 110dB(A)이하
  4. 112dB(A)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운행자동차 중 경자동차의 배기 소음허용기준은 100dB(A)이하이다. 이는 국내 소음진동관리법에서 정한 기준으로,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된 자동차는 이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이유는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이 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규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경자동차의 배기 소음이 100dB(A)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소음진동관리법규상 배출허용기준에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음진동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에 대하여검사할 수 있도록 지정된 기관이라 볼 수 없는 것 은?

  1. 국립환경과학원
  2. 특별시ㆍ광역시ㆍ도ㆍ특별자치도의 보건환경연구원
  3. 유역환경청
  4. 환경보전협회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보전협회는 소음진동관리법규상 배출허용기준에 맞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환경보전협회"입니다. 올바른 기관은 "국립환경과학원", "특별시ㆍ광역시ㆍ도ㆍ특별자치도의 보건환경연구원", "유역환경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음진동관리법규상 공장소음 배출허용기준에서 다음지역과 시간대 중 배출허용기준치가 가장 엄격한 것은?

  1. 도시지역 중 녹지지역의 낮시간대
  2. 도시지역 중 일반주거지역의 저녁시간대
  3. 농림지역의 밤시간대
  4. 도시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의 저녁시간대
(정답률: 알수없음)
  • 공장소음 배출허용기준은 주거지역과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전용주거지역은 주거지역 중에서 가장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저녁시간대는 주거지역에서 가장 민감한 시간대입니다. 따라서 "도시지역 중 전용주거지역의 저녁시간대"가 가장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소음진동관리법규상 관리지역 중 산업개발진흥지구에서의 낮시간대 공장소음 배출허용기준은 65dB(A) 이하이다. 동일한 조건에서 충격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보정치를 감안한 허용기준치로 옳은 것은? (단, 기타 조건은 고려않음)

  1. 60dB(A)이하
  2. 70dB(A)이하
  3. 75dB(A)이하
  4. 80dB(A)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개발진흥지구에서의 낮시간대 공장소음 배출허용기준은 65dB(A) 이하이지만, 충격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보정치를 감안해야 한다. 충격음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보정치는 5dB(A)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허용기준치는 65dB(A) - 5dB(A) = 60dB(A) 이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dB(A)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소음진동관리법규상 대형 화물자동차의 운행자동차 소음허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되는 자동차를 기준으로 하며, 배기소음과 경적소음의 단위는 각각 dB(A) 및 dB(C)로 한다.)

  1. 배기소음 : 100이하, 경적소음 : 110이하
  2. 배기소음 : 100이하, 경적소음 : 112이하
  3. 배기소음 : 105이하, 경적소음 : 110이하
  4. 배기소음 : 105이하, 경적소음 : 112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대형 화물자동차의 운행자동차 소음허용기준은 배기소음과 경적소음으로 나뉘며,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제작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한다. 배기소음은 dB(A) 단위로 측정하며, 105dB(A) 이하로 허용된다. 경적소음은 dB(C) 단위로 측정하며, 112dB(C) 이하로 허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배기소음 : 105이하, 경적소음 : 112이하"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소음진동관리법령상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 중 학교 또는 종합병원 등은 그 부지경계선으로부터 직선거리 최대 얼마이내의 지역인가?

  1. 30미터 이내
  2. 50미터 이내
  3. 100미터 이내
  4. 200미터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관리법령에서는 학교나 종합병원 등과 같은 시설의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해당 시설의 부지경계선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서는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해당 거리는 최대 50미터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나 종합병원 등과 같은 시설의 주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해당 거리 이내에서는 적절한 소음진동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음진동관리법상 법칙기준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설치하거나 그 배출시설을 이용해 조업한 자
  2. 배출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한 조업정지명령 등을 위반한 자
  3. 생활소음 진동의 규제기준 초과에 따른 작업시간 조정 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
  4. 소음도 검사를 받은 소음발생건설기계제작자가 소음도 표지를 붙이지 아니하거나 거짓의 소음도표지를 붙인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소음 진동의 규제기준 초과에 따른 작업시간 조정 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는 법칙기준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법적으로 처벌받지 않는 예외사항이 아니라, 법칙기준 중 처벌이 가장 가벼운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법적으로 적절한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소음진동관리법규상 소음발생건설기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브레이커(휴대용을 포함하며, 중량 5톤 이하로 한정한다)
  2. 천공기
  3. 발전기(정격출력 400kw 미만의 실외용으로 한정한다)
  4. 콘크리트 믹서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관리법규에서는 브레이커, 천공기, 발전기 등의 건설기계에 대한 소음 및 진동 관리 규정을 제시하고 있지만, 콘크리트 믹서는 해당 규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 것입니다. 즉, 콘크리트 믹서는 소음 및 진동 관리 규정의 대상이 아니므로,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소음진동관리법규상 소음배출시설기준 중 마력기준이“10마력 이상”인 기계ㆍ기구가 아닌 것은?

  1. 제재기
  2. 기계체
  3. 탈사기
  4. 송풍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관리법규상 소음배출시설기준 중 마력기준이 “10마력 이상”인 기계ㆍ기구는 제재기, 기계체, 탈사기, 송풍기 등이 해당됩니다. 그 중에서 제재기는 나무를 잘라 나무판자 등을 만드는 기계로, 대형이고 고성능이기 때문에 소음이 매우 큽니다. 따라서 제재기는 소음진동관리법규상 소음배출시설기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소음진동관리법규상 행정처분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처분권자는 위반행위의 동기ㆍ내용ㆍ횟수 및 위반의정도 등에 해당 사유를 고려하여 그 처분(허가취소, 등록취소, 지정취소 또는 폐쇄명령인 경우는 제외한다)을 감경할 수 있다.
  2. 행정처분이 조업정지, 업무정지 또는 영업정지인 경우에는 그 처분기준의 2분의 1의 범위에서 감경할 수 있다.
  3. 행정처분기준을 적용함에 있어서 소음규제기준에 대한 위반행위와 진동 규제기준에 대한 위반행위는 합산하지 아니하고, 각각 산정하여 적용한다.
  4.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허가취소, 2차 처분기준은 폐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허가취소, 2차 처분기준은 폐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은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가동한 경우 1차 행정처분기준은 허가취소, 2차 처분기준은 폐쇄이다."입니다. 이유는 소음진동관리법규상 행정처분기준은 "허가취소, 등록취소, 지정취소, 조치명령, 과태료부과, 영업정지, 폐쇄명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 처분기준과 2차 처분기준은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의 문장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소음진동관리법상 운행차 소음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운행차의 사용정지명령을 위반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운행차 소음허용기준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정지명령을 받은 후에도 계속 사용하는 것은 법적으로 위반행위이다. 이에 따라 소음진동관리법은 이를 위반한 자에 대해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음진동관리법규상 제작차 소음허용기준과 관련하여 재검사를 신청하고자 할 때 재검사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재검사 신청전의 검사서
  2. 재검사 신청의 사유서
  3. 개선계획 및 사후관리 대책에 관한 서류
  4. 제작차 소음허용기준 초과원인의 기술적 조사내용에 관한 서류
(정답률: 알수없음)
  • 재검사 신청서에 첨부해야 할 서류는 재검사 신청의 사유서, 개선계획 및 사후관리 대책에 관한 서류, 제작차 소음허용기준 초과원인의 기술적 조사내용에 관한 서류입니다. 하지만 "재검사 신청전의 검사서"는 첨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이미 이전에 검사를 받았기 때문에, 해당 검사서는 이미 존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검사 신청서에는 이전 검사서를 첨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소음진동관리법상 항공기 소음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항 인근 지역의 항공기 소음의 한도는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80 이다.
  2. 공항 인근 지역이 아닌 그 밖의 지역의 항공기 소음의 한도는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75이다.
  3. 환경부장관은 항공기 소음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항공기 소음의 한도를 초과하여 공항 주변의 생활환경이 매우 손상된다고 인정하면 관계 기관의 장에게 방음시설의 설치나 그 밖에 항공기 소음의 방지에 필요한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4. 공항 인근 지역과 그 밖의 지역의 구분은 환경부령 로 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항 인근 지역의 항공기 소음의 한도는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80 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공항 인근 지역의 항공기 소음의 한도는 항공기소음영향도(WECPNL) 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소음진동관리법규상 동력을 사용하는 시설 및 기계ㆍ기구에 속하는 진동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2대 이상 시멘트벽돌 및 블록의 제조기계
  2. 유압식을 제외한 20마력 이상의 프레스
  3. 파쇄기와 마쇄기를 포함한 30마력 이상의 분쇄기
  4. 압출ㆍ사출을 포함한 50마력 이상의 성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관리법규에서는 2대 이상의 시멘트벽돌 및 블록의 제조기계를 진동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기계들이 다른 기계들과 달리 진동배출이 크지 않아서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소음진동관리법규상 소음방지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소음기
  2. 방음벽시설
  3. 방음내피시설
  4. 흡음장치 및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방지시설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소음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한 시설이며, 방음내피시설은 소음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내부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음내피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제작차에 대한 인증을 면제할 수 있는 자동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한 외국군대의 구성원이 공무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2. 자동차제작자ㆍ연구기관 등이 자동차의 개발이나 전시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동차
  3.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
  4. 외국에서 국내의 공공기관이나 비영리단체에 무상으로 기중하여 반입하는 자동차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진동관리법령상 제작차에 대한 인증을 면제할 수 있는 자동차는 "외국에서 국내의 공공기관이나 비영리단체에 무상으로 기중하여 반입하는 자동차"가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 자동차들은 제작차에 대한 인증을 면제받을 수 있는 자동차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한 외국군대, 자동차제작자 및 연구기관, 여행자 등이 사용하는 자동차들로, 이들은 제작차에 대한 인증을 면제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