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금형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 중 분할다이의 장점과 관계가 가장 없는 것은?

  1. 기계가공이 쉽다.
  2. 열처리 변형이 작다.
  3. 파손시 교환이 용이하다.
  4. 금형이 간소화되므로 작게 만들 수 있다.
(정답률: 69%)
  • 답: "금형이 간소화되므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분할다이는 큰 금형을 여러 개의 작은 금형으로 분할하여 생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금형이 간소화되어 작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분할다이의 핵심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분할다이의 장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도 분할다이의 장점과 관련이 있지만, "금형이 간소화되므로 작게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은 분할다이의 장점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분할 다이의 분할 방법 중 가장 나쁜 곳은?

  1. A면
  2. B면
  3. C면
  4. D면
(정답률: 69%)
  • 분할 다이의 분할 방법은 대각선으로 나누는 것이므로, 가장 나쁜 곳은 대각선이 가장 짧은 D면입니다. 이는 분할 다이의 크기를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각선이 길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굽힘가공시 소재에 발생하는 인장 및 압축은 소재의 표면에서 가장 크고 중심에 접근 할 수록 작아진다. 인장과 수축이 생기지 않는 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굽힘면
  2. 중립면
  3. 인장면
  4. 압축면
(정답률: 74%)
  • 중립면은 굽힘가공시 인장과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 면으로, 이는 굽힘하면서 소재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립면은 인장과 압축이 서로 상쇄되어 발생하지 않는 안정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계식 프레스에서 구조상 프레스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있는 최대압력을 공칭 압력이라 하며 이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하사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mm로 나타낸다.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토크(torque)능력
  2. 하중 능력
  3. 일 능력
  4. 크랭크 능력
(정답률: 66%)
  • 이것을 "스토크(stroke) 위치" 라고 한다. 이는 프레스 작업 시에 가장 안전한 압력을 적용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프레스 작업의 안전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토크(torque)능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금형의 설치에서 프레스의 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

  1. 안전 장치의 작동 상태
  2. 클러치의 작동 상태
  3. 이젝터의 작동상태
  4. 램과 생크 고정 볼트 체결 상태
(정답률: 42%)
  • 금형의 설치와 관련된 점검 사항은 안전 장치의 작동 상태, 클러치의 작동 상태, 램과 생크 고정 볼트 체결 상태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젝터는 금형의 설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으로, 따라서 이젝터의 작동 상태는 금형 설치와 관련된 점검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재료의 소성을 이용한 가공법이 아닌 것은?

  1. 주조
  2. 단조
  3. 굽힘
  4. 전단
(정답률: 66%)
  • 주조는 재료를 녹여서 틀 안에 부어 만드는 가공법으로, 소성을 이용한 가공법이 아니라 화학적인 변화를 이용한 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재 두께 1㎜인 연강판으로 안지름 40㎜의 플랜지 없는 원형 컵을 드로잉 하고자 할 때 필요한 블랭크의 지름은? (단, 드로잉률은 0.5로 한다.)

  1. 75㎜
  2. 80㎜
  3. 85㎜
  4. 90㎜
(정답률: 67%)
  • 드로잉률이 0.5이므로, 최종적으로 만들어질 컵의 안지름은 40 x (1 + 0.5) = 60㎜이 됩니다. 이때, 블랭크의 지름은 최종적으로 만들어질 컵의 안지름보다 크게 잡아야 합니다. 보통 블랭크의 지름은 최종적으로 만들어질 제품의 안지름보다 1.5배 정도 크게 잡습니다. 따라서, 블랭크의 지름은 60 x 1.5 = 90㎜이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소재 두께가 1㎜이므로, 블랭크의 지름은 2배가 아닌 2.5배로 잡아야 합니다. 따라서, 블랭크의 지름은 60 x 2.5 = 150㎜이 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80㎜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레스에서 가공할 소재를 연속적으로 이송 시키면서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하나의 제품으로 가공하는 금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순차 이송(progressive) 금형
  2. 콤파운드(compound) 금형
  3. 드로잉(drawing) 금형
  4. 블랭킹(blanking) 금형
(정답률: 83%)
  • 순차 이송 금형은 소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하나의 제품으로 가공하는 금형입니다. 따라서 이 금형은 소재를 한 번에 여러 단계로 가공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제품의 정확도와 일관성도 높습니다. 이에 반해 콤파운드 금형은 여러 개의 다이를 조합하여 하나의 금형으로 만드는 것이며, 드로잉 금형은 소재를 끌어당겨 제품을 만드는 것이고, 블랭킹 금형은 소재를 잘라내어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압축가공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냉간가공
  2. 열간가공
  3. 절삭가공
  4. 연삭가공
(정답률: 71%)
  •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압축가공하는 것은 열간가공입니다. 이는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가공하여 재료 내부의 결정 구조를 재배열하고 강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냉간가공은 재료를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고, 절삭가공과 연삭가공은 재료를 자르거나 연마하여 형태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프레스가공에서 전단면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1. 윤활유
  2. 클리어런스
  3. 전단력
  4. 프레스 중량
(정답률: 54%)
  • 프레스가공에서 전단면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클리어런스입니다. 클리어런스란 다이와 펀치 사이의 간격을 의미하며, 이 간격이 작으면 전단력이 증가하여 전단면이 깨지거나 변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클리어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전단면의 정확한 가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윤활유는 가공 시 마찰을 줄여서 전단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클리어런스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합니다. 프레스 중량은 가공의 안정성과 속도에 영향을 주지만, 전단면의 정확성과 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출성형품의 중앙에 설치하는 원형의 제한 게이트는 어느 것인가?

  1. 핀포인트 게이트
  2. 링 게이트
  3. 다이렉트 게이트
  4. 팬 게이트
(정답률: 57%)
  • 핀포인트 게이트는 작은 직경의 원형 게이트로, 사출성형품의 중앙에 설치됩니다. 이는 제품의 외관적인 결함을 최소화하고, 제품 내부의 응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핀포인트 게이트가 중앙에 설치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성형품을 제작하기 위한 유동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성형품의 이젝터 방식과 크기
  2. 성형품의 형상과 두께
  3. 수지의 온도
  4. 금형의 온도
(정답률: 48%)
  • 성형품의 유동길이는 수지의 온도와 금형의 온도, 그리고 성형품의 형상과 두께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젝터 방식과 크기는 성형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부품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는 요소이지만, 유동길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2매 구성 금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쉽다.
  2. 금형값이 싸다.
  3. 성형 사이클이 빠르다.
  4. 후가공이 적다.
(정답률: 69%)
  • 2매 구성 금형의 장점은 금형값이 싸고, 성형 사이클이 빠르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쉬워 생산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후가공이 적다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제품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따라서 후가공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출 금형가공 중 연화한 열가소성수지 튜브내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금형의 안쪽에서 팽창시켜 각종 중공 성형품을 얻는 가공은?

  1. 사출 성형
  2. 압출 성형
  3. 블로 성형
  4. 트랜스퍼 성형
(정답률: 53%)
  • 연화한 열가소성수지 튜브내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금형의 안쪽에서 팽창시켜 각종 중공 성형품을 얻는 가공은 "블로 성형"입니다. 이는 압출 성형과는 달리 금형의 안쪽에서 팽창시켜 성형품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출 성형과는 다르게 금형을 열고 닫는 과정이 없어 생산성이 높고, 성형품의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출금형의 검사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성질로서 적당한 것은?

  1. 경화시간이 길고 점성이 커야한다.
  2. 수축률과 열팽창 계수가 커야한다.
  3. 수축률이 적고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
  4. 열전도성과 연마성이 좋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68%)
  • 사출금형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높은 압력과 열에 노출되기 때문에, 경화시간이 길고 점성이 커야 한다는 것은 금형 내부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축률이 적고 유동성이 좋아야 하는 이유는 금형 내부에서 제품이 충분히 채워지고, 제품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금형용 강재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것
  2. 충분한 강도, 인성이 있고, 내마모성이 좋은 것
  3. 열처리가 쉽고, 열처리 변형이 적은 것
  4. 내열성 및 열 팽창 계수가 큰 것
(정답률: 75%)
  • 내열성 및 열 팽창 계수가 큰 것은 오히려 부적절한 성질이다. 내열성이 크면 금형이 가열되어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열 팽창 계수가 크면 금형이 가열되어 크기가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금형용 강재는 내열성 및 열 팽창 계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이젝팅 핀이 작동하도록 공간을 만들어 주는 금형부품은 어느 것인가?

  1. 스페이서 블록
  2. 리턴 핀
  3. 이젝터 플레이트
  4. 앵귤러 핀
(정답률: 64%)
  • 스페이서 블록은 이젝팅 핀이 작동할 때 필요한 공간을 만들어 주는 부품입니다. 이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되며, 이젝터 플레이트에 부착된 이젝팅 핀이 스페이서 블록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스페이서 블록은 이젝팅 핀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융된 수지가 금형 캐비티 내에서 분류하였다가 합류하는 부분에 생기는 가는선 모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축현상
  2. 충전부족
  3. 웰드라인
  4. 플래시
(정답률: 70%)
  • 웰드라인은 용융된 수지가 금형 캐비티 내에서 분류하였다가 합류하는 부분에서 생기는 가느다란 선 모양을 말합니다. 이는 용융된 수지가 서로 합쳐지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으로, 금형의 디자인이나 주입 조건 등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웰드라인은 제품의 외관적인 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입 조건을 조절하거나 금형 디자인을 개선하여 방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사출성형의 열경화성 수지가 아닌것은?

  1. 페놀수지
  2. 염화비닐수지
  3. 멜라민수지
  4. 요소수지
(정답률: 47%)
  • 염화비닐수지는 열경화성 수지가 아닙니다. 이는 열가소성 수지로, 열에 의해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출성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호칭치수 150㎜, 수지의 성형수축율 18/1000일 때 금형가공치수는 얼마로 하나?

  1. 150.2㎜
  2. 151.2㎜
  3. 152.7㎜
  4. 168㎜
(정답률: 65%)
  • 성형수축율은 원래 부품의 크기에 비해 성형 후 부품이 작아지는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금형가공치수는 원래 부품의 크기에 성형수축율을 곱한 값보다 크게 만들어야 합니다.

    금형가공치수 = 원래 부품의 크기 + (원래 부품의 크기 × 성형수축율)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금형가공치수 = 150㎜ + (150㎜ × 18/1000) = 150㎜ + 2.7㎜ = 152.7㎜

    따라서, 정답은 "15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100mm 사인바를 30° 로 세팅하려면 몇 mm 블록게이지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1. 30 mm
  2. 50 mm
  3. 60 mm
  4. 62.5 mm
(정답률: 66%)
  • 사인바는 삼각함수 측량에 사용되는 도구로, 각도에 따라 길이가 변화합니다. 100mm 사인바를 30°로 세팅하려면, 사인 30°의 값인 0.5를 곱한 값인 50mm 블록게이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사인바의 길이와 각도, 그리고 삼각함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방전가공에 의한 형의 제작 방법중 관통구멍의 가공방법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접법
  2. 간접법
  3. 상향법
  4. 혼합법
(정답률: 52%)
  • 상향법은 방전가공에 의한 형의 제작 방법 중 관통구멍의 가공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상향법은 형의 상단에서부터 점차적으로 형상을 만들어가는 방법으로, 관통구멍을 가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직접법은 직접적으로 형상을 가공하는 방법, 간접법은 주변의 형상을 이용하여 형상을 만드는 방법, 혼합법은 직접법과 간접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지그 중 칩 배출이 가장 용이한 지그는?

  1. 바깥지름 지그(Diameter Jig)
  2. 개방 지그(Open Jig)
  3. 리프 지그(Leaf Jig)
  4. 상자형 지그(Box Jig)
(정답률: 76%)
  • 개방 지그는 칩이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칩이 쌓이지 않고 바로 떨어지기 때문에 칩 배출이 가장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금형을 장기간 보관 하고자 할 때 취하여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방청처리를 한후 보관 한다.
  2. 습기가 있는 장소를 피한다.
  3. 진동이 없는 곳에 보관한다.
  4. 작업대 위에 직접 보관한다.
(정답률: 89%)
  • 금형은 직접적인 충격이나 진동을 받으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진동이 없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습기가 있는 장소를 피해야 금형 표면에 녹이 생기지 않습니다. 방청처리를 한 후 보관하는 것은 금형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작업대 위에 직접 보관하는 것은 올바른 보관 방법이 아닙니다. 금형은 작업대 위에 놓이면서도 충격이나 진동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대 위에 직접 보관하는 것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블록 게이지를 세척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알콜
  2. 경유
  3. 소금물
(정답률: 69%)
  • 블록 게이지에는 오염물질이 끼어있을 수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과 잘 미끄러지는 성질이 필요합니다. 알콜은 오염물질을 잘 제거할 수 있고, 미끄러운 성질이 있어 블록 게이지를 세척할 때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름 8mm 이하이고, 가공이 용이하여 모방 밀링머신에 많이 사용하는 커터는?

  1. 단인커터
  2. 모형커터
  3. 나선형 엔드밀
  4. 볼형 엔드밀
(정답률: 50%)
  • 단인커터는 지름 8mm 이하이고, 가공이 용이하여 모방 밀링머신에 많이 사용하는 커터입니다. 모형커터는 작은 모형을 만들 때 사용되며, 나선형 엔드밀은 나선형 형상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볼형 엔드밀은 곡면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공이 용이하고 지름이 8mm 이하인 커터는 단인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반에서 절삭속도가 V = 30m/min, 공작물 Ø 20mm일때 회전수(rpm)은 약 얼마인가?

  1. 477 rpm
  2. 1.8 rpm
  3. 1500 rpm
  4. 600 rpm
(정답률: 71%)
  • 절삭속도 V와 회전수(rpm)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π×D×N/1000

    여기서, D는 공작물의 직경, N은 회전수(rpm)입니다.

    따라서, N = V×1000/π×D

    공작물의 직경이 20mm이므로, D = 0.02m입니다.

    V = 30m/min이므로, N = 30×1000/π×0.02 = 477 rpm (약간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77 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중 가공 표면의 조도가 가장 좋은것은?

  1. 주조 가공
  2. 단조 가공
  3. 연삭 가공
  4. 래핑 가공
(정답률: 71%)
  • 래핑 가공은 가공 시에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부드러운 소재로 가공하기 때문에 표면의 조도가 가장 좋습니다. 또한, 래핑 가공은 소재의 변형이나 변색이 적고,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여 고급 제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인 금형제작시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중에 장난 또는 잡담을 하지 않는다.
  2. 기계나 기구를 올바르게 사용하여야 한다.
  3. 바쁜 와중에는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4. 자신의 안전은 물론 동료의 안전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88%)
  • "바쁜 와중에는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안전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유는 작업장의 청결은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 중에도 작업장의 청결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공작기계의 기본 운동이 아닌 것은?

  1. 절삭 운동
  2. 회전 운동
  3. 이송 운동
  4. 위치 조정 운동
(정답률: 54%)
  • 공작기계의 기본 운동은 절삭 운동, 이송 운동, 위치 조정 운동입니다. 회전 운동은 공작기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운동 중 하나이지만, 기본 운동은 아닙니다. 회전 운동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물체가 회전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이는 공작기계에서도 회전하는 칼날이나 드릴 등을 이용하여 절삭 운동을 수행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금형 가공 합리화로서 가공 공정의 단축이 있다. 가공 공정을 단축함에 따른 효과가 아닌 것은?

  1. 불량품 감소
  2. 제작기간의 단축
  3. 가공 실수의 절감
  4. 운반 횟수의 증대
(정답률: 72%)
  • 금형 가공 공정을 단축함으로써 불량품 감소, 제작기간의 단축, 가공 실수의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반 횟수의 증대는 가공 공정을 단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입니다. 가공이 끝난 부품을 다른 작업장으로 운반해야 할 경우, 가공 공정을 단축하면서 생기는 부품의 적재량이 증가하게 되어 운반 횟수가 증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반 횟수의 증대는 가공 공정을 단축함으로써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전용 전극재질의 구비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방전이 안정하다.
  2. 방전 가공성이 우수하다.
  3. 내열성이 높다.
  4. 전극 소모가 많다.
(정답률: 86%)
  • 전극 소모가 많다는 것은 전극이 방전 과정에서 빠르게 소모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극의 수명이 짧아지고, 전극 교체가 빈번해져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방전용 전극재질의 구비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의 표면 경화 열처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오스템퍼
  2. 질화법
  3. 침탄법
  4. 화염 경화법
(정답률: 61%)
  • 오스템퍼는 강의 경화를 위해 사용되는 열처리 방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대신, 오스템퍼는 강의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가공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따라서, 강의 표면 경화 열처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오스템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해액 중에서 공작물을 (+), 공구(전극)를(-)로 하고 빠른 속도로 전해액을 공급하면서 방전 가공과 같은 원리로 공구와 같은 형상을 제작하는 가공법은?

  1. 전해 가공
  2. 부식 가공
  3. 전주 가공
  4. 레이저 가공
(정답률: 78%)
  • 전해액 중에서 공작물을 (+), 공구(전극)를(-)로 하고 빠른 속도로 전해액을 공급하면서 방전 가공과 같은 원리로 공구와 같은 형상을 제작하는 가공법이 전해 가공입니다. 이는 전해액에 의해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면서 공구의 형상이 공작물에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줄 작업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직진법
  2. 전진법
  3. 병진법
  4. 사진법
(정답률: 73%)
  • 전진법은 줄을 끊임없이 전진시키면서 작업하는 방법이 아니라, 일정 구간을 전진한 후에 다시 되돌아가면서 작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전진법은 줄을 끊임없이 전진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주어진 보기 중 줄 작업 방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SM40C 에서 40이란 숫자가 나타내는 뜻은?

  1. 인장강도의 평균치
  2. 탄소량의 평균치
  3. 가공도의 평균치
  4. 경도의 평균치
(정답률: 81%)
  • SM40C에서 40은 해당 강재의 탄소량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SM40C은 탄소량이 0.40%인 강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탄소량의 평균치"가 정답입니다. 인장강도, 가공도, 경도 등은 강재의 다른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SM40C에서는 탄소량이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구리(Cu)에 관한 다음 사항중 틀린것은?

  1. 비중이 1.7이다.
  2. 용융점이 1083℃ 정도이다.
  3. 비자성으로 내식성이 철강보다 우수하다.
  4.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정답률: 61%)
  • 비중이 1.7이다는 것이 틀린 사실입니다. 구리의 비중은 약 8.96 g/cm³입니다. 구리는 용융점이 1083℃ 정도이며, 비자성으로 내식성이 철강보다 우수하며 전기 및 열의 양도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극한강도를 σ u , 허용응력을 σ a , 사용응력을 σ w 라 하면, 올바른 관계식은?

  1. σ u > σ a × σ w
  2. σ u > σ w × σ a
  3. σ a > σ w × σ u
  4. σ a > σ u × σ w
(정답률: 58%)
  • 올바른 관계식은 "σ u > σ a × σ w" 입니다.

    극한강도는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의미하며, 허용응력은 재료가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 응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극한강도는 허용응력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사용응력은 실제로 구조물이 받는 응력을 의미하며, 이 값은 허용응력보다 작아야 안전합니다. 따라서, 사용응력은 허용응력보다 작거나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σ u > σ a × σ w" 관계식이 올바릅니다. 극한강도는 허용응력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며, 사용응력은 허용응력보다 작거나 같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나사호칭 M10의 볼트에 생기는 전단응력이 7 ㎏f/㎜2이라면, 전단하중은 약 몇 ㎏f인가?

  1. 767.7
  2. 658.6
  3. 549.8
  4. 430.4
(정답률: 34%)
  • 전단응력과 전단하중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전단응력 = 전단하중 / 단면적

    따라서 전단하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전단하중 = 전단응력 x 단면적

    볼트의 나사호칭 M10은 지름이 10mm인 볼트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볼트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단면적 = (지름/2)2 x π = (10/2)2 x 3.14 = 78.5 mm2

    따라서 전단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전단하중 = 7 ㎏f/㎜2 x 78.5 mm2 = 549.5 ㎏f

    따라서 정답은 "549.8"이 아니라 "54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맞물림 클러치의 턱모양이 아닌 것은?

  1. 톱날형
  2. 사다리꼴형
  3. 반달형
  4. 사각형
(정답률: 60%)
  • 맞물림 클러치는 두 개의 톱날 모양이 맞물려서 만들어진 형태이다. 따라서 "톱날형"과 "사다리꼴형"은 맞물림 클러치의 턱모양이 될 수 있지만, "반달형"과 "사각형"은 톱날 모양이 아니므로 맞물림 클러치의 턱모양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코일의 평균지름 D mm, 소선의 지름 d mm 라 할때, 스프링지수 C 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C = d × D
(정답률: 55%)
  • 정답은 ""입니다.

    스프링지수 C는 소선의 지름 d과 코일의 평균지름 D의 비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C = d/D 입니다. 따라서 ""가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100의 기울기를 가진 2개의 키이를 1쌍으로 하여 사용하는 키이는?

  1. 원뿔키이
  2. 둥근키이
  3. 접선키이
  4. 미끄럼키이
(정답률: 62%)
  • 1/100의 기울기는 매우 작은 값이므로 두 키이가 서로 거의 평행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두 키이가 만나는 점이 무한히 먼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선키이를 사용합니다. 접선키이는 두 키이가 만나는 지점에서 서로 접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접선키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Hydro-forming(하이드로 포밍)가공을 하기 위한 다이의 재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담금질 처리된 STC
  2. 풀림 처리된 SKH
  3. 방사상으로 분할된 STS
  4. 유압으로 지지된 고무막
(정답률: 40%)
  • Hydro-forming(하이드로 포밍)은 압력을 가해 금속 시트를 다이에 가공하는 과정에서, 다이와 금속 시트 사이에 고무막을 끼워 사용합니다. 이는 고무막이 압력을 분산시켜 금속 시트가 균일하게 가공되도록 돕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이의 재료는 유압으로 지지된 고무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금형용 합성수지의 재료가 아닌 것은?

  1. 에폭시수지
  2. 불소수지
  3. 페놀수지
  4. 에틸셀룰로스
(정답률: 41%)
  • 금형용 합성수지는 내식성, 내구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에틸셀룰로스는 고분자 중 하나이지만, 내식성, 내구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용 합성수지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에폭시수지, 페놀수지는 내식성, 내구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금형용 합성수지의 재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불소수지는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내식성, 내구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지 않기 때문에 금형용 합성수지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불소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알루미늄-규소계 합금으로 10∼14% Si가 포함된 것으로 주조성은 좋으나 절삭성이 좋지 않은 합금은?

  1. 라우탈
  2. 실루민
  3. 알민
  4. 하이드로날륨
(정답률: 60%)
  • 실루민은 알루미늄-규소계 합금으로 10∼14% Si가 포함된 합금입니다. 이 합금은 주조성은 좋지만 절삭성이 좋지 않아 가공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실루민은 주로 주조용으로 사용되며, 가공이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펀치와 다이에 압축하중을 주어서 소성변형을 시키는 냉간단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압출(extrusion)
  2. 압축가공(up-setting)
  3. 압인가공(coining)
  4. 엠보싱(embossing)
(정답률: 72%)
  • 엠보싱은 소재를 압축하거나 압축하중을 주는 것이 아니라, 표면에 패턴을 새기는 가공 방법입니다. 따라서 펀치와 다이에 압축하중을 주어 소성변형을 시키는 냉간단조의 종류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주철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마찰저항이 우수하다.
  2. 절삭가공이 쉽다.
  3. 주조성이 우수하다.
  4. 압축강도가 작다.
(정답률: 77%)
  • 압축강도가 작다는 것은 주철의 내구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주철의 장점이 아닙니다. 주철은 마찰저항이 우수하고 절삭가공이 쉬우며 주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가장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키이는?

  1. 안장 키이
  2. 평 키이
  3. 묻힘 키이
  4. 스플라인
(정답률: 70%)
  • 스플라인은 곡선 모양의 디자인으로, 키이와 페달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더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플라인은 다른 키이들보다 더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어의 잇면, 크랭크축 머리부, 고급 내연 기관의 실린더내면, 게이지 블록 등에 0.3∼0.7㎜ 정도의 깊이로 처리하는 표면 경화법은?

  1. 액체 침탄법
  2. 질화법
  3. 고주파 경화법
  4. 화염 경화법
(정답률: 46%)
  • 기어의 잇면, 크랭크축 머리부, 고급 내연 기관의 실린더내면, 게이지 블록 등은 매우 내구성이 중요한 부품들입니다. 이러한 부품들은 표면 경화를 통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0.3∼0.7㎜ 정도의 깊이로 처리하는 표면 경화법은 질화법입니다. 질화법은 부품을 질소 기체 환경에서 가열하여 질소 원자가 부품 표면에 침투하여 질화물 층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품의 표면 경도를 높이고 마찰과 부식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작기계의 고속 능률화에 따라 생산성을 높이고 가공 재료의 피절삭성, 제품의 정밀도 및 절삭공구의 수명 등을 향상하기 위하여 탄소강에 S, Pb, P, Mn을 첨가한 강은?

  1. 표면경화용강
  2. 침탄용강
  3. 질화용강
  4. 쾌삭강
(정답률: 79%)
  • 탄소강에 S, Pb, P, Mn을 첨가한 강은 쾌삭강입니다. 이는 고속 절삭에 적합하며, 절삭력이 강하고 절삭면이 매끄러워져 가공 재료의 피절삭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정밀도와 절삭공구의 수명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쾌삭강은 열처리에 의해 경도와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보기의 도면에서 A ‾ D의 선의 용도에 의한 명칭 중 틀린 것은?

  1. A : 숨은선
  2. B : 중심선
  3. C : 치수선
  4. D : 지시선
(정답률: 82%)
  • 도면에서 A‾D의 선은 다른 요소들의 위치나 크기를 지시하기 위한 선으로, 이를 지시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D : 지시선은 틀린 것이 아니며,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적인 도면의 표제란 위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오른쪽 중앙
  2. 오른쪽 위
  3. 오른쪽 아래
  4. 왼쪽 아래
(정답률: 90%)
  • 일반적으로 도면의 표제는 오른쪽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는 도면의 정보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가장 먼저 봐야 할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도면의 크기와 비례에 따라 표제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도면에서 (10)의 치수에서 ( ) 가 뜻하는 것은?

  1. 참고치수
  2. 소재치수
  3. 중요치수
  4. 비례척이 아닌 치수
(정답률: 85%)
  • (10)의 치수에서 ( )는 "참고치수"를 뜻합니다. 이는 해당 치수가 실제 제품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치수는 아니지만, 제품을 제작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치수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 치수는 제품의 정확한 크기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제작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끼워맞춤에서 공차(公差,tolerance)란?

  1. 최대 허용 치수에서 최소 허용치수를 뺀 수치
  2. 최대허용치수에서 기준치수를 뺀 수치
  3. 기준치수에서 최소허용치수를 뺀 수치
  4. 실제치수에서 기준치수를 뺀 수치
(정답률: 77%)
  • 공차는 제품의 치수를 제한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값으로, 최대 허용치와 최소 허용치 사이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 허용 치수에서 최소 허용치수를 뺀 수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표면의 결 지시기호가 일 경우 올바른 해독은?

  1. 최대 높이 거칠기가 10mm 이하
  2. 최대 높이 거칠기가 10㎛ 이하
  3. 십점 평균 거칠기가 10mm 이하
  4. 십점 평균 거칠기가 10㎛ 이하
(정답률: 48%)
  • 정답은 "십점 평균 거칠기가 10㎛ 이하"입니다.

    결 지시기호란 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표면의 불순물, 기포, 구멍 등이 얼마나 많이 분포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 지표는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규정한 국제표준에 따라 측정됩니다.

    결 지시기호에서 "십점 평균 거칠기"란, 표면을 10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의 거칠기를 측정한 후, 그 값을 평균한 것입니다. 이 값이 10㎛ 이하라는 것은 표면이 매우 매끄럽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최대 높이 거칠기"는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이 10mm 이하라는 것은 표면의 큰 불규칙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매우 매끄럽다는 것은 보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결 지시기호에서 올바른 해독은 "십점 평균 거칠기가 10㎛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테이퍼값이 1/20 인 보기와 같은 그림에서 X 의 값은 얼마인가? (보기)

  1. φ5
  2. φ6
  3. φ8
  4. φ10
(정답률: 53%)
  • X의 값은 100입니다.

    이유는 테이퍼값이 1/20 이므로, 한 단위 길이(1)에 대해 20단위 길이(20)까지 증가하므로, 5단위 길이에 해당하는 X의 값은 100이 됩니다.

    정답이 "φ5" 인 이유는, 보기에서 각 원의 지름은 이전 원의 지름의 약 1.618배(황금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φ5는 φ4의 지름에 황금비를 곱한 값이므로, φ5의 지름은 φ4의 지름의 약 1.618배가 됩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φ6, φ8, φ10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보기와 같이 3각법으로 투상한 정면도와 평면도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는?

(정답률: 62%)
  • 정면도와 평면도에서는 물체의 높이와 너비를 알 수 있지만, 깊이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측면도에서는 물체의 깊이를 알 수 있어야 합니다. 보기 중에서 ""는 물체의 깊이를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우측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보기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 투상도면으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83%)
  • 보기 중에서 "" 이 적합한 이유는 화살표가 화면에서 우측 상단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투상도면에서는 우측 상단 방향이 일반적으로 앞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화살표가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살표의 방향이나 위치가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그림과 같은 손잡이를 스케치 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간접 모양뜨기
  2. 직접 모양뜨기
  3. 프린트법
  4. 사진 스케치법
(정답률: 49%)
  • 손잡이는 곡선과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형태를 직접 모양뜨기로 그리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간접 모양뜨기를 사용하여 손잡이의 형태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부분을 추가하여 완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탄소 주강품을 나타내는 재료 기호는?

  1. GC
  2. SC
  3. SF
  4. GCD
(정답률: 62%)
  • 탄소 주강품은 주로 탄소 강철로 만들어지며, 이는 "SC"로 표기됩니다. "GC"는 그레이스 주철, "SF"는 스테인리스 강 등 다른 재료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GCD"는 다공성 주철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탄소 주강품을 나타내는 기호는 "S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