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조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3-10)

기계조립산업기사
(2002-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 터릿 선반의 종류 중 크고 무거운 큰 가공물의 선삭, 보링, 래핑 등의 가공을 하는 데 가장 편리한 것은?

  1. 원통형
  2. 램형
  3. 드럼형
  4. 새들형
(정답률: 알수없음)
  • 새들형은 큰 가공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어서 선삭, 보링, 래핑 등의 가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작업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크고 무거운 가공물의 가공에 가장 적합한 선반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선반에서 지름 125mm, 길이 350mm인 연강봉을 초경합금 바이트로 절삭하려고 한다. 회전수는? (단, 절삭속도는 150m/min 이다.)

  1. 720 rpm
  2. 382 rpm
  3. 540 rpm
  4. 1200 rpm
(정답률: 50%)
  • 절삭속도 = 회전수 × π × 지름
    따라서, 회전수 = 절삭속도 ÷ (π × 지름)
    = 150 ÷ (π × 0.125)
    = 1200 ÷ π
    ≈ 382 rpm

    따라서, 정답은 "382 rp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바이트 끝 반지름이 1.2mm 의 바이트로 0.08mm/rev의 이송으로 깎았을 때, 이론상의 최대 표면 거칠기는?

  1. 약 0.53 ㎛
  2. 약 0.67 ㎛
  3. 약 0.053 ㎛
  4. 약 0.067 ㎛
(정답률: 34%)
  • 이론상의 최대 표면 거칠기는 바이트의 끝 반지름과 이송 거리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표면 거칠기는 1.2mm x 0.08mm/rev = 0.096mm 이다. 이를 마이크로미터(㎛)로 변환하면 약 0.96 ㎛이 된다. 그러나, 이론상의 최대 표면 거칠기는 실제로는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은 이론상의 최대 표면 거칠기의 10% 이내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약 0.96 ㎛의 10%인 약 0.67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선반작업시 절삭속도 결정의 조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일감의 재질
  2. 바이트의 재질
  3. 절삭제의 사용유무
  4. 기계의 강도
(정답률: 60%)
  • 선반작업시 절삭속도 결정의 조건 중 거리가 가장 먼 것은 "기계의 강도"입니다. 이는 기계의 강도가 낮을 경우에는 고속으로 절삭을 하면 기계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계의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절삭속도를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모듈5, 잇수 36인 스퍼기어를 절삭하려면 소재의 지름은 얼마가 가장 좋은가?

  1. 180mm
  2. 190mm
  3. 200mm
  4. 550mm
(정답률: 28%)
  • 스퍼기어의 잇수가 36이므로 한 바퀴를 돌기 위해 필요한 톱니 수는 36개입니다. 이때, 톱니가 절단될 때마다 소재의 지름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절삭 후에도 충분한 지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출발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진 소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보기에서는 190mm가 출발 지름보다 충분히 크면서도 다른 보기보다 작은 값이므로,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계를 운전하기 전에 미리해야 할 일이 아닌 것은?

  1. 기계점검
  2. 기계 주위정리
  3. 치수검사
  4. 급유
(정답률: 알수없음)
  • 치수검사는 기계의 크기와 형태를 측정하여 기계가 작동하는 동안 충돌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기계를 운전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입니다. 기계점검은 기계의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윤활유를 보충하는 작업, 기계 주위정리는 작업장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작업, 급유는 기계에 필요한 윤활유를 보충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프레스에서 안전 장치는?

  1. 클러치 페달
  2. 펀치
  3. 스위치
  4. 형틀
(정답률: 64%)
  • 프레스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클러치 페달은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상황에 대비하여 작동을 중지시키는 안전 장치입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이 프레스에서 안전 장치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밀링작업시 안전사항에 어긋나는 것은?

  1. 커터에 옷이 감기지 않게 한다.
  2. 급할 때에는 커터를 회전시 또는 절삭중에 변속한다.
  3. 보호안경을 사용한다.
  4. 자동조작중이라도 항상 기계주위를 떠나지 않는다.
(정답률: 77%)
  • "급할 때에는 커터를 회전시 또는 절삭중에 변속한다."는 안전사항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이유는 커터를 회전시키거나 절삭중에 변속하면 기계가 갑자기 멈출 수 있고, 이는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중에는 안전사항을 준수하고, 급할 때에도 안전을 우선시하여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구성인선(built-up edg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틀린 것은?

  1. 바이트의 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2. 절삭 속도를 크게 한다.
  3. 윤활성이 좋은 절삭유를 준다.
  4. 절삭 속도를 극히 작게하여 윤활성이 작은 절삭유를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 속도를 극히 작게하여 윤활성이 작은 절삭유를 준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구성인선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로, 절삭 속도를 줄여서 칼날과 재료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작은 양의 절삭유를 사용하여 마찰을 더욱 줄이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구성인선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삭액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거품이 일어날 것
  2. 냉각성이 우수할 것
  3. 인체에 해가 없을 것
  4. 화학적으로 안정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거품이 일어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연삭액은 연마 작업 시 마모된 부분을 제거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입니다. 따라서 연삭액이 거품이 일어나면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부적절한 표면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삭액은 거품이 일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인 성질을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반 주축의 회전이 정지해 있을 때, 주축 센터와 심압대 센터의 높이는 어떠한가?

  1. 주축 센터가 약간 높다.
  2. 심압대 센터가 약간 높다.
  3. 주축 센터 높이와 심압대 센터의 높이는 같다.
  4. 선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압대는 선반의 중심에 위치하며, 회전 중인 선반에서는 중력과 반력이 서로 상쇄되어 회전 중심을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선반 주축이 정지하면 중력만 작용하게 되어 심압대가 약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심압대 센터가 약간 높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밀링머신으로 가공할 수 없는 작업은?

  1. 기어 절삭
  2. 절단 작업
  3. 총형 절삭
  4. 널링 작업
(정답률: 70%)
  • 밀링머신은 회전하는 커터를 이용하여 작업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기계이다. 따라서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평면상에서 가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널링 작업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평면상에서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축을 중심으로 내부공간을 가공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밀링머신으로는 가공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숫돌 바퀴의 WA46JmV라고 하면 m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입도
  2. 결합도
  3. 조직
  4. 결합제
(정답률: 60%)
  • m은 바퀴의 연마재료를 나타내는 것으로, WA46J는 바퀴의 종류와 크기를 나타내고, m은 바퀴의 연마재료로서 모래와 같은 물질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조직"이 정답인 이유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깥지름 연삭시 방진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1. 단면만 연삭할 경우
  2.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긴 일감을 연삭할 경우
  3. 지름이 작은 경우
  4. 지름이 큰 공작물을 연삭할 경우
(정답률: 60%)
  • 바깥지름 연삭시 방진구를 사용하는 경우는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긴 일감을 연삭할 경우입니다. 이는 방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작업 중에 발생하는 먼지나 칩 등이 일감의 길이에 걸쳐 쌓이게 되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진구를 사용하여 작업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일감을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표면연삭기에서 숫돌의 원주속도 V = 2400 m/min이고, 연삭력 P = 15 kgf이다. 이 때 연삭기에 공급된 동력이 10 PS이라면 이 연삭기의 효율은 몇 %인가?

  1. 70%
  2. 75%
  3. 80%
  4. 125%
(정답률: 5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아베(Abbe)의 원리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눈금선의 간격은 일치 되어야 한다.
  2. 단도기의 지지는 양끝 단면이 평행 하도록 한다.
  3. 피측정물은 측정기의 눈금선상에 놓아야 한다.
  4. 내측 측정시는 최대값을 택한다.
(정답률: 37%)
  • 아베의 원리는 "피측정물은 측정기의 눈금선상에 놓아야 한다." 이다. 이유는 측정기의 눈금선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피측정물을 눈금선과 일치시켜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피측정물이 눈금선과 평행하지 않으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피측정물을 눈금선상에 놓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손작업시 안전수칙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1. 녹슨 것을 해머로 칠 때 보안경을 사용한다.
  2. 해머 작업시 장갑을 끼고 한다.
  3. 정작업시 작업 초기와 끝에는 세게 치지 않는다.
  4. 스패너의 자루에는 파이프 등을 끼워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머 작업시 장갑을 끼고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해머 작업시 장갑을 끼면 손이 민감하지 않아서 작업물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또한 장갑이 미끄러워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해머 작업시에는 장갑 대신 안전한 손목밴드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W,Ti,Ta 등의 경질합금 탄화물 분말을 Co 또는 Ni을 결합 제로 소결하여 제조한 것은?

  1. 탄소 공구강
  2. 스텔라이트
  3. 초경 합금
  4. 시효경화 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W, Ti, Ta 등의 경질합금 탄화물 분말을 Co 또는 Ni을 결합 제로 소결하여 제조한 것은 "초경 합금"이다. 이는 경질합금과 탄화물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매우 높은 경도와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으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보인다. 따라서 고온에서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작물, 미디어, 컴파운드, 공작액을 적당량 넣어 회전하여 매끈한 다듬질면을 얻는 가공법은?

  1. 숏피닝
  2. 그릿블라스팅
  3. 버핑
  4. 텀블링
(정답률: 40%)
  • 텀블링은 회전하는 드럼 안에 공작물, 미디어, 컴파운드, 공작액을 넣고 회전시켜 부드럽고 매끈한 다듬질면을 얻는 가공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숏피닝", "그릿블라스팅", "버핑"은 텀블링과는 다른 가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회전 공구 숫돌에 압력을 가하고 일감에 대해 회전과 왕복 운동을 시키면서 연삭액으로 원통내면과 외면을 가공하는 것은?

  1. 보링머신
  2. 방전가공기
  3. 호우닝머신
  4. 호빙머신
(정답률: 20%)
  • 회전 공구 숫돌에 압력을 가하고 일감에 대해 회전과 왕복 운동을 시키면서 연삭액으로 원통내면과 외면을 가공하는 것은 "호우닝머신"이다. 이는 보링머신과는 다르게 원통형태의 가공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공이 가능하며, 방전가공기와는 다르게 전기 방전을 이용하지 않고 연삭액을 이용하여 가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호빙머신과는 다르게 내면과 외면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21. 직접 측정의 장점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측정기의 측정범위가 다른 측정법에 비하여 크다.
  2. 측정물의 실제치수를 직접 읽을 수 있다.
  3. 눈금의 읽음오차 발생이 없다.
  4. 양이 적고 많은 종류의 측정에 유리하다.
(정답률: 42%)
  • "눈금의 읽음오차 발생이 없다."는 직접 측정의 장점으로 맞지 않는다. 이는 오히려 직접 측정에서도 눈금의 읽음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눈금이 작거나 눈금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눈금을 정확하게 읽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눈금의 읽음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측정기의 정확도와 눈금의 크기 및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측정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그림과 같이 테이퍼진 공작물을 심압대를 편위시켜 선반으로 가공코자 한다. 심압대의 편위량을 몇 mm로 하면 되는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34%)
  • 테이퍼진 공작물을 가공할 때는 심압대를 편위시켜야 한다. 이때 심압대의 편위량은 테이퍼 각도와 가공할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테이퍼 각도가 1:50이고 가공할 길이가 350mm이다. 따라서 편위량은 350mm × 1/50 = 7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맨드릴(mandrel)을 사용하는 가장 큰 목적은?

  1.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2. 구멍이있는 공작물에 센터작업이 어렵기때문에
  3. 구멍과 외면이 동심원이 되기 위해서
  4. 척에 공작물을 고정하기 어려우므로
(정답률: 46%)
  • 맨드릴은 구멍과 외면이 동심원이 되도록 가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정확한 가공을 위해 필요하며, 작업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름이 100 mm인 일감에 리드 600 mm의 오른나사 헬리컬 홈을 깎고자 한다. 테이블 이송나사는 피치가 10 mm인 밀링머신에서, 테이블 선회각을 tanα 로 나타낼 때 옳은 값은?

  1. 1.90
  2. 31.41
  3. 0.03
  4. 0.52
(정답률: 24%)
  • 피치가 10 mm이므로, 나사 한바퀴 회전 시 이송 거리는 10 mm이 된다. 따라서, 테이블을 1 회전 시 선회각은 나사의 피치에 비례하게 된다.

    1 회전 시 선회각 = 360° / (리드 / 피치) = 360° / (600 mm / 10 mm) = 6°

    따라서, tanα = 6° / 100 mm = 0.052

    하지만, 질문에서는 선회각을 tanα로 나타내라고 했으므로, 0.052를 100으로 나누어 주면 된다.

    tanα = 0.052 / 100 = 0.00052

    따라서, 옳은 값은 0.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래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랩은 공작물보다 연해야 한다.
  2. 래핑에는 손 래핑과 기계 래핑이 있다.
  3. 손 래핑에서는 세이퍼나 밀링 머신 등을 이용한다.
  4. 기계 래핑은 래핑 머신을 이용하는 것이다.
(정답률: 46%)
  • 정답은 "손 래핑에서는 세이퍼나 밀링 머신 등을 이용한다." 이다. 이유는 손 래핑은 손으로 직접 공작물을 연마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이퍼나 밀링 머신과 같은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다. 기계 래핑에서는 래핑 머신을 사용하여 공작물을 연마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일반 작업 안전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지를 끼지 않고 작업한다.
  2. 더운 곳에서 작업할 때도 작업복을 착용한다.
  3. 작업복의 주머니는 많을수록 좋다.
  4. 작업 모자의 안은 깨끗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복의 주머니가 많을수록 작업 도구나 부품 등을 보관하기 편리하고 작업 중에 필요한 것들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옳은 안전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반에서 분할너트(Half nut)는 어느 부분에 있는가?

  1. 주축대
  2. 심압대
  3. 왕복대
  4. 베드
(정답률: 37%)
  • 분할너트는 왕복대에 위치합니다. 왕복대는 주축과 베드 사이에 위치하며, 분할너트는 왕복대 내부에 있는 나사형 부품으로 주축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나사형 부품을 조절하여 주축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 나사칩을 정확하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분할 크랭크를 1회전하면 스핀들은 몇 도 회전하는가?

  1. 36°
  2. 27°
  3. 18°
(정답률: 60%)
  • 분할 크랭크는 4등분되어 있으므로 1회전하면 360°/4 = 90° 회전한다. 따라서 스핀들은 90°/10 = 9° 회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KS규격의 안전색과 안전표지를 연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자주 - 방사능
  2. 빨강 - 고도의 위험
  3. 주황 - 항해, 항공의 보안시설
  4. 파랑 - 위생肢구호
(정답률: 64%)
  • 정답은 "파랑 - 위생肢구호"입니다. KS규격에서는 파란색은 안전장비와 관련된 안전색으로 사용되며, 위생 및 의료시설과 관련된 안전표지는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파랑 - 위생肢구호"는 틀린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링 머신의 대표적인 수평식 보링머신은 구조에 따라 몇가지 형으로 분류되는데 이에 맞지 않는 것은?

  1. 플로어형(floor type)
  2. 플레이너형(planer type)
  3. 베드형(bed type)
  4. 테이블형(table type)
(정답률: 55%)
  • 수평식 보링머신은 구조에 따라 플로어형, 플레이너형, 베드형, 테이블형으로 분류됩니다. 그 중 베드형은 기계의 베드(작업대)가 고정되어 있고, 작업물이 이동하는 형태로 작동하는 보링머신입니다. 따라서 베드형은 다른 형태의 수평식 보링머신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Co-Cr-W합금으로 이루어진 주조경질 합금은?

  1. 켈밋
  2. 센더스트
  3. 퍼멀로이
  4. 스텔라이트
(정답률: 37%)
  • Co-Cr-W합금으로 이루어진 주조경질 합금은 "스텔라이트"입니다. 이는 스텔라이트 합금이 Co-Cr-W합금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내식성, 내마모성, 내부식성, 내열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치과 분야에서는 치아 보강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칠드주철에서 칠드층의 깊이는 냉각속도에 관계되므로 보통 몇 mm로 하는것이 가장 좋은가?

  1. 5∼8mm
  2. 10∼25mm
  3. 35∼45 mm
  4. 50∼55mm
(정답률: 알수없음)
  • 칠드주철에서 칠드층의 깊이는 냉각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칠드층의 깊이는 얇아지고, 느릴수록 깊어집니다. 따라서 보통은 10∼25mm로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충분한 경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칠드층이 너무 얇거나 두껍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중 금속재료의 가공도와 재결정 온도의 관계를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항은?

  1. 가공도가 큰 것은 재결정 온도가 높아진다.
  2. 가공도가 큰 것은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3. 재결정온도가 낮은 금속은 가공도가 적다.
  4. 가공도와 재결정 온도는 관계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가공도가 큰 것은 재결정 온도가 낮아진다."

    이유: 금속재료를 가공하면 결정 구조가 변형되어 결정 경계가 많아지고 결정 크기가 작아진다. 이로 인해 금속재료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가공도는 감소한다. 이와 반대로, 재결정은 금속재료의 결정 구조를 다시 정렬하는 과정으로, 결정 경계를 줄이고 결정 크기를 크게 만든다. 따라서, 재결정 온도가 낮아지면 가공도가 증가하고, 재결정 온도가 높아지면 가공도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6.4황동에 철 1∼2% 를 첨가한 것으로 광산기계, 선박용 기계등에 사용되는 것은?

  1. 톰백 (tombac)
  2. 델터메탈 (delta metal)
  3. 문쯔메탈 (muntz metal)
  4. 네이벌 황동 (naval brass)
(정답률: 59%)
  • 황동에 철을 첨가하여 만든 합금 중에서 광산기계, 선박용 기계 등에 사용되는 것은 델타메탈입니다. 이는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성질을 충족시키기 때문입니다. 톰백은 구리와 아연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문쯔메탈은 구리와 아연, 그리고 약간의 철로 이루어진 합금입니다. 네이벌 황동은 구리와 아연, 그리고 납으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선박의 부식 방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축지름을 d, 축재료의 전단응력을 τ 라 하면 비틀림 모멘트 T 는?

  1. T = π d3τ /32
  2. T = π d3τ /16
  3. T = π d2τ /32
  4. T = π d2τ /16
(정답률: 알수없음)
  • 비틀림 모멘트 T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T = (π/2)Gd⁴θ/L

    여기서 G는 축재료의 전단탄성계수, θ는 축의 비틀림 각도, L은 축의 길이입니다.

    θ는 τ = Gθ/d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θ = τd/G입니다.

    이를 T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 = (π/2)Gd⁴(τd/G)/L
    = πd³τ/2L

    여기서 L은 축의 길이이므로, 축의 길이가 충분히 길다면 L을 무한대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T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T = πd³τ/2L → T = πd³τ/16

    따라서 정답은 "T = π d³τ /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리벳이음을 리벳줄수에 의해 분류할 때 다음 그림과 같은 리벳이음의 명칭은? (단, h는 강판의 두께, h1은 덮개판의 두께, d는 리벳구멍, 또는 리벳지름, P는 피치이다.)

  1. 2줄 리벳 양쪽 덮개판 겹치기 이음
  2. 1줄 리벳 양쪽 덮개판 겹치기 이음
  3. 2줄 리벳 양쪽 덮개판 맞치기 이음
  4. 1줄 리벳 양쪽 덮개판 맞대기 이음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1줄 리벳 양쪽 덮개판 맞대기 이음이다. 이유는 리벳이 한 줄로 덮개판을 연결하고 있으며, 덮개판이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겹치기 이음은 리벳이 두 줄로 덮개판을 연결하고 있으며, 덮개판이 서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1줄 리벳 양쪽 덮개판 겹치기 이음과 2줄 리벳 양쪽 덮개판 겹치기 이음이 있다. 맞치기 이음은 리벳이 덮개판을 연결하면서 덮개판이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2줄 리벳 양쪽 덮개판 맞치기 이음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한 체인 전동장치의 특성은?

  1. 초기장력을 줄 필요가 있다.
  2. 접촉각은 60° 이하이면 된다.
  3. 수리가 어려우나, 수명은 길다.
  4. 내열, 내유, 내습성이 있다.
(정답률: 31%)
  • 체인 전동장치는 벨트 전동장치와 달리 내열, 내유, 내습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고온, 고습, 오일 등의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장력을 줄 필요가 없고, 접촉각이 60° 이하이면 된다는 점에서 설계가 간단하며, 수명은 길지만 수리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60 kgf의 인장하중을 받는 코일 스프링에서 코일의 지름 D=15 mm, 소선의 지름 d=3 mm, 유효권수 n=8, G=8× 103 kgf/mm2 일때 처짐량은?

  1. 20 mm
  2. 30 mm
  3. 40 mm
  4. 60 mm
(정답률: 17%)
  • 코일 스프링의 처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4FD3n)/(d4G)

    여기서, W는 처짐량, F는 인장하중, D는 코일 지름, d는 소선 지름, n은 유효권수, G는 전단탄성계수입니다.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W = (4 × 60 × 153 × 8)/(34 × 8 × 103) = 20 mm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20 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양수량 0.314 m3/sec, 압력 15 kgf/cm2의 터빈펌프의 배출구의 안지름을 구하면 약 몇 cm가 되는가? (단, 평균유속은 0.9 m/sec이다.)

  1. 31.4 cm
  2. 66.6 cm
  3. 42.9 cm
  4. 52.3 cm
(정답률: 알수없음)
  • 유량과 평균유속을 이용하여 배출구의 효율적인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유량 = 단면적 x 평균유속

    단면적 = 유량 / 평균유속

    압력과 유량을 이용하여 유체의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압력 = 밀도 x 속도2 / 2

    속도 = √(압력 x 2 / 밀도)

    따라서,

    속도 = √(15 x 2 / 1000) = 0.549 m/sec

    단면적 = 0.314 / 0.9 = 0.349 m2

    반지름 = √(0.349 / π) = 0.332 m

    안지름 = 2 x 반지름 = 0.664 m = 66.4 cm

    따라서, 정답은 "66.6 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밴드 브레이크에서 밴드에 생기는 인장응력 σ 를 나타내는 식이 옳은 것은? (단, F1 : 밴드의 인장쪽 장력, t : 밴드두께, b : 밴드의 나비이다.)

(정답률: 4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밴드의 인장응력 σ는 밴드의 인장쪽 장력 F1을 밴드의 나비 b와 밴드두께 t의 곱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σ = F1 / (b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및 CNC 공작법

41. 탄소강의 강도와 경도는 온도에 따라 어떻게 되는가?

  1. 상온 이하에서 감소한다.
  2. 100-200℃에서 최대이다.
  3. 200-300℃에서 최대이다.
  4. 300℃이상에서 증가한다.
(정답률: 40%)
  • 탄소강의 강도와 경도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을수록 높아지다가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는 감소한다. 이는 온도가 낮을 때는 탄소강 내부의 결정 구조가 더욱 강화되기 때문에 강도와 경도가 높아지지만,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는 결정 구조가 파괴되어 강도와 경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강의 강도와 경도가 200-300℃에서 최대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Al의 합금으로서 고온 강도가 크고 내연기관 실린더, 피스톤, 실린더헤드에 사용되는 합금은?

  1. 실루민
  2. 두랄루민
  3. Y합금
  4. 톰백
(정답률: 70%)
  • Y합금은 고온 강도가 높아 내연기관 실린더, 피스톤, 실린더헤드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합금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Y합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면내에 참고 치수를 나타내려고 한다. 옳은 것은?

  1. 치수에 괄호를 한다.
  2. 치수 밑에 밑줄을 긋는다.
  3. 치수를 ○ 안에 표시한다.
  4. 치수 위에 ※ 표를 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치수에 괄호를 한다."이다.

    치수에 괄호를 하는 이유는 해당 치수가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치수가 여러 개 있을 경우, 괄호 안에 어떤 부분을 나타내는지 표시하여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괄호 안에 특정한 기호를 사용하여 해당 치수가 어떤 방식으로 측정되는지 표시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은?

  1. 파단선
  2. 절단선
  3. 가상선
  4. 숨은선
(정답률: 47%)
  • 가공 전 또는 가공 후의 모양을 표시하는 선은 "가상선"이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선으로, 제품의 모양을 이해하기 쉽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상선은 제품의 디자인 및 생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단면도에서 아암, 리브, 핸들 등은 다음 중 어느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가?

  1. 계단 단면
  2. 회전 단면
  3. 부분 단면
  4. 전단면
(정답률: 44%)
  • 아암, 리브, 핸들 등은 회전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회전 단면은 해당 부분이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구조물의 형태와 기능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계단 단면은 계단의 구조를 보여주는데 적합하며, 부분 단면은 특정 부분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데 적합합니다. 전단면은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구멍의 지름 치수가 로 표시되어 있을 때 공차는 몇 mm 인가?

  1. 0.013
  2. 0.025
  3. 0.037
  4. 0.012
(정답률: 알수없음)
  • 공차는 인접한 두 개의 치수 값의 차이이므로, 가장 큰 치수와 가장 작은 치수의 차이를 구해야 한다.

    가장 큰 치수는 + 0.025 = 46.025 mm 이고, 가장 작은 치수는 - 0.012 = 45.988 mm 이다.

    이 두 값의 차이를 구하면 46.025 - 45.988 = 0.037 mm 이므로, 공차는 0.037 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임의의 50㎜×50㎜ 면에 대해 평면도가 0.01㎜ 인 것을 올바르게 나타내는 표시는?

(정답률: 30%)
  • 정답은 ""이다.

    평면도는 실제 크기의 1/1000로 축소된 그림이다. 따라서 50㎜×50㎜ 면을 평면도로 나타낼 때, 0.01㎜의 크기로 그려야 한다. 이를 나타내는 표시는 1:5000이다. 즉, 1㎜를 5000분의 1로 축소하여 그린 것이다. 따라서 50㎜×50㎜ 면을 0.01㎜의 크기로 그리기 위해서는 ""와 같은 표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기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의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59%)
  • 보기에서 화살표 방향의 투상도는 물체의 왼쪽 부분이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오른쪽 부분이 더 가까이 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것은 ""입니다. 이는 물체의 왼쪽 부분이 더 높이 있고 오른쪽 부분이 더 낮은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과 같이 도면에 가는 실선이 교차하는 대각선 부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평면이라는 뜻
  2. 수기 가공하라는 뜻
  3. 가공에서 제외하라는 뜻
  4. 대각선의 홈이 파여 있다는 뜻
(정답률: 58%)
  • 대각선 부분은 평면을 의미한다. 이는 가공할 부분을 나타내며, 평면에 가공을 하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모양뜨기법에 의한 스케치 법과 가장 관계가 있은 것은?

  1. 광명단
  2. 사진기
  3. 납선, 구리선
  4. 버니어 캘리퍼스
(정답률: 17%)
  • 모양뜨기법은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해 선을 굵게 그리고 얇게 하여 그림자와 반사광을 나타내는 기법입니다. 이때 납선과 구리선은 선의 굵기를 조절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사용되며, 선의 굵기를 조절하여 입체감을 더욱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납선과 구리선은 모양뜨기법과 가장 관련이 깊은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기와 같은 입체도의 제3각 투상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40%)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이 입체도의 제3각 투상도에서는 가장 앞쪽에 있는 면이 가장 크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은 가장 앞쪽에 있는 면이 가장 크게 보이므로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기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이 정면일 경우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투상도는?

(정답률: 60%)
  • 보기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평면도에서는 입체도의 화살표 방향이 수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수직으로 투영된 투상도가 가장 적합하다. ""은 수직으로 투영된 형태이므로 가장 적합한 투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면에 나사의 표시가 M 10 - 2/1 로 되어 있을 때 다음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M : 관용 나사
  2. 1 : 수나사의 피치
  3. 2 : 수나사 등급
  4. 10 : 호칭 지름
(정답률: 67%)
  • 정답은 "10 : 호칭 지름"입니다.

    M은 관용 나사를 나타내며, 이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표준 나사 규격 중 하나입니다.

    1은 수나사의 피치를 나타내며, 이는 나사 간 거리를 의미합니다.

    2는 수나사 등급을 나타내며, 이는 나사의 정확도와 품질을 나타냅니다.

    10은 호칭 지름을 나타내며, 이는 나사의 지름을 의미합니다. 호칭 지름은 나사의 실제 지름보다 약간 작은 값을 가지며, 이는 나사를 조립할 때 적합한 구멍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KS 재료 기호 중 절삭 공구용 및 내충격 공구용의 합금 공구강 기호는?

  1. SCM
  2. STC
  3. SM45C
  4. STS
(정답률: 31%)
  • 정답은 "STS"이다. STS는 스테인리스강으로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절삭 공구용 및 내충격 공구용으로 적합한 합금 공구강이다. SCM은 고강도 강재, STC는 탄소강, SM45C는 중탄소강으로 각각의 특성이 있지만, 절삭 공구용 및 내충격 공구용으로는 STS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직류 분권전동기의 계자저항을 운전 중에 증가시킬 경우 옳은 것은?

  1. 전류는 일정하다.
  2. 속도가 감소한다.
  3. 속도가 일정하다.
  4. 속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40%)
  • 직류 분권전동기의 계자저항을 운전 중에 증가시키면 전류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속도가 감소하지 않고, 대신에 전압이 감소하여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전동기의 토크-속도 특성 곡선에서 토크가 감소하고 속도가 증가하는 영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열전대형 계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액체제동을 한다.
  2. 전력소모가 적다.
  3. 미소전류에 의하여 동작한다.
  4. 절연형은 초단파에도 사용된다.
(정답률: 19%)
  • 액체제동은 열전대형 계기의 특성이 아닙니다. 열전대형 계기는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데, 이때 미소전류에 의해 동작하며 전력소모가 적습니다. 또한 절연형은 초단파에도 사용됩니다. 하지만 액체제동은 다른 계기에서 사용되는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전동기에 100V의 전압을 가했더니 60W의 전력을 소비 하였다. 이때 전류는 몇 A 인가? (단, 전동기의 역률은 1로 가정한다.)

  1. 0.2
  2. 0.4
  3. 0.6
  4. 0.8
(정답률: 50%)
  • 전력 = 전압 x 전류 x 역률
    역률이 1이므로 전력 = 전압 x 전류
    전압 = 100V, 전력 = 60W 이므로
    60 = 100 x 전류
    전류 = 0.6A
    따라서 정답은 "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5Ω의 저항 10개를 직렬로 연결했을 경우의 합성저항은 병렬로 연결했을 경우의 몇 배인가?

  1. 1/10
  2. 1/100
  3. 10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5Ω의 저항 10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각 저항의 전압이 합산되므로 총 전압은 5Ω x 10 = 50V가 된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50V / 5Ω = 10Ω이 된다.

    반면, 5Ω의 저항 10개를 병렬로 연결하면 각 저항의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총 전압은 5V가 된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5V / (5Ω / 10) = 10Ω이 된다.

    즉,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의 합성저항은 동일하므로, 병렬로 연결했을 경우의 몇 배인가는 1배, 즉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평행판 전극간의 정전용량 C[F]는 전극면적 S[m2]에 ( ① )하고, 전극간격 d[m]에 ( ② )한다". ①, ②에 알맞은 말은?

  1. ① 비례, ②비례
  2. ① 반비례, ②비례
  3. ① 비례, ②반비례
  4. ① 반비례, ②반비례
(정답률: 알수없음)
  • ① 비례, ②반비례

    정전용량은 전하가 축적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극면적이 클수록 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공간이 많아지므로 비례한다. 반면에 전극간격이 작을수록 전하가 축적될 공간이 좁아지므로 반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퀀스제어회로에 사용하는 전자접촉기의 접점을 표시하는 그림기호는?

(정답률: 알수없음)
  • 시퀀스제어회로에서 사용하는 전자접촉기의 접점을 나타내는 그림기호는 "" 이다. 이유는 이 그림기호가 접촉기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접촉기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1"과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0"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그림기호는 다른 그림기호와 혼동되지 않도록 일관성 있게 사용되고 있어서 시퀀스제어회로에서 전자접촉기의 접점을 나타내는 표준적인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