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3-10)

종자산업기사
(2002-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종자의 성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분함량이 감소된다.
  2. 세포분열이 활발하다.
  3. 동화양분의 축적이 활발하다.
  4. 엽록소의 기능이 최고단계에 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분함량이 감소된다."입니다.

    종자의 성숙기는 씨앗이 완전히 성장하고 발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기간을 말합니다. 이때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씨앗이 성장하면서 에너지를 소비하고 산소를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분이 적어져 씨앗 내부의 물질 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는 발아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세포분열이 활발하고 동화양분의 축적이 활발한 것은 씨앗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엽록소의 기능이 최고단계에 달하는 것은 씨앗이 아닌 식물의 생장과 관련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원종포 선정시 타품종과의 격리거리에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교통여건
  2. 작물의 종류
  3. 장해물 유무
  4. 원종포의 면적
(정답률: 100%)
  • 교통여건은 원종포와 다른 작물들 간의 격리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교통으로 인해 작물들이 서로 접촉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통여건은 격리거리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종자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용대상이 아닌 것은?

  1. 비모란선인장
  2. 누에
  3. 사과
  4. 라이그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용대상은 작물의 종자에 해당하는데, "누에"는 작물의 종자가 아니기 때문에 법적용대상이 아니다. "누에"는 노루발이라는 식물의 뿌리 부분으로, 채소나 약재로 사용되지만 작물의 종자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종자에서 저장조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배유
  2. 외배유
  3. 자엽
  4. 내종피
(정답률: 알수없음)
  • 내종피는 종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식물의 주요 저장조직인 반면, 배유, 외배유, 자엽은 종자의 발달 과정에서 식물의 영양 공급을 위한 역할을 하지만 저장조직으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종피가 종자에서 저장조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웅화(雄花)착생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생장조절제는?

  1. NAA
  2. gibberellin
  3. ethephon
  4. B-9
(정답률: 알수없음)
  • 웅화(雄花)는 식물의 남성 생식기관으로서, 생식세포를 생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gibberellin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웅화착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gibberellin은 웅화착생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생장조절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타식성 작물의 채종시 개체수가 너무 작을 때 특정 유전자형만 채종되어 차대의 유전자형에 편향이 생겨 발생하는 품종의 퇴화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미동유전자 분리에 의한 퇴화
  2. 역도태에 의한 퇴화
  3. 기회적 변동에 의한 퇴화
  4. 후작용에 의한 퇴화
(정답률: 알수없음)
  • 기회적 변동에 의한 퇴화는 작물의 채종 개체수가 너무 작아서 특정 유전자형만 채종되어 차대의 유전자형에 편향이 생겨 발생하는 품종의 퇴화를 말합니다. 이는 우연한 사건에 의해 특정 유전자형이 더 많이 전파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우연한 사건을 기회적 변동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기회적 변동에 의한 퇴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배유가 있는 밀 종자에서 종자발달에 대한 내용 중에 맞지 않는 것은?

  1. 수정 후 접합체(zygote)는 발달하여 배를 형성한다.
  2. 수정 후 8∼10일에 종자의 건물중은 대부분 종피부분 이 차지한다.
  3. 생리적 성숙 단계에 도달하면 성장량의 증가와 대사적 소비량은 균형이 잡힌다.
  4.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면 종자용으로 수확적기라고 판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면 종자용으로 수확적기라고 판정한다."

    해설: 생리적 성숙기에 도달하면 수확적기가 아니라 수확기로 판정한다. 수확적기는 수확기 이전의 시기를 말하며, 종자의 수확 시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산업법상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사항이 아닌 것은?

  1. 품종의 명칭
  2. 종자의 발아율 및 그 발아보증시한
  3. 종자관리사의 성명 및 주소
  4. 종자의 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관리사의 성명 및 주소는 유통종자의 품질표시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종자의 유통과 관련된 정보이며, 종자의 품질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종자관리사의 성명 및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국가품종목록 등재대상작물 품종의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경우는 품종목록에 등재하고 보증을 받아야 한다. 다음 품종목록 등재 대상작물 중 목록에 등재 및 보증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1대잡종의 친으로만 사용되는 품종
  2. 시험이나 연구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3. 생산된 종자를 전량 수출하는 경우
  4. 생산된 종자를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생산된 종자를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국가품종목록 등재 대상작물의 종자를 판매하거나 보급할 때는 해당 품종이 등재되어 있고 보증을 받은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산된 종자를 판매하고자 할 경우에는 품종목록에 등재하고 보증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품종보호출원서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품종보호출원서 부본
  2. 출원품종의 종자시료
  3. 출원품종의 특성이 나타나는 사진
  4. 승계사실을 증명하는 서류
(정답률: 42%)
  • 품종보호출원서류는 출원한 품종의 식별과 특징을 증명하는 서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승계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는 품종보호출원서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승계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는 특허나 상표 등과 같은 지적재산권 분쟁에서 사용되는 서류로, 특정인이 특허나 상표 등의 권리를 승계받았음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품종보호권이 미치지 아니하는 것은?

  1. 보호품종의 종자
  2. 보호품종 종자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 품종
  3. 보호품종으로부터 기본적으로 유래된 품종
  4. 보호품종을 육종재료로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
(정답률: 알수없음)
  • 보호품종을 육종재료로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은 품종보호권이 미치지 않는다. 이는 보호품종을 기반으로 육종되었지만 새로운 특성을 갖춘 새로운 품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채종재배에 있어서 충매를 방지하기 위한 격리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울타리를 세워서 재배
  2. 망실에 재배
  3. 1km 이상 떨어져서 재배
  4. 강 건너편 재배
(정답률: 알수없음)
  • 울타리를 세우는 것은 충매를 방지하기 위한 격리 방법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은 거리나 장애물을 이용한 격리 방법이지만, 울타리는 직접적인 장애물이 되어 충매가 전파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울타리를 세워서 재배"가 충매를 방지하기 위한 격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국가 품종목록에 등재되어야 하는 작물이 아닌 것은?

  1. 보리
  2. 감자
(정답률: 알수없음)
  • "무"는 국가 품종목록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작물이다. 이는 무가 일반적으로 씨앗 번식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는 대부분 채취한 뿌리를 이용하여 번식하게 되며, 이는 품종 유지 및 개량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아유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온도
  2. 일장
  3. 화학물질
  4. 습도
(정답률: 알수없음)
  • 습도는 화아유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아닙니다. 화아유도는 온도, 일장, 화학물질 등의 영향을 받지만, 습도는 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종자 중 수분함량이 가장 많은 종자는?

  1. 유채
  2. 참깨
  3. 옥수수
  4. 들깨
(정답률: 알수없음)
  • 옥수수는 농작물 중에서 가장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분함량이 가장 많은 종자는 옥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적으로 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는 종자 부분은?

  1. 종피, 과피, 영 등 종자의 외층부
  2. 배유부 등 종자 내층부
  3. 자엽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진균은 대개 외부 환경에서 생활하며, 종자의 외층부는 진균이 쉽게 침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자의 외층부에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피, 과피, 영 등 종자의 외층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리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더니 완전묘 81개, 경결함묘 4개, 2차감염묘 2개, 기형묘 3개, 부패묘 2개, 불발아 종자 8개였다. 이때 발아율은 얼마인가?

  1. 81%
  2. 85%
  3. 87%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율은 (완전묘 수 + 경결함묘 수) / (시험한 전체 종자 수)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발아율은 (81 + 4) / (81 + 4 + 2 + 3 + 2 + 8) × 100 = 85.5% 이다. 그러나 발아율은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87%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쌀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은 어느 것인가?

  1. 글루텔린
  2. 알부민
  3. 글로불린
  4. 프롤라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글루텔린"입니다. 쌀은 주로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지만, 단백질도 일정량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도 글루텔린은 쌀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중 하나입니다. 글루텔린은 쌀의 식물성 단백질 중 하나로, 아미노산 조성이 다양하며 소화가 잘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두꺼운 과피 때문에 발아시 물의 흡수에 방해를 받는 종자는?

  1. 해바라기
  2. 수박
(정답률: 알수없음)
  • 해바라기 종자는 두꺼운 과피 때문에 발아시 물의 흡수에 방해를 받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수박, 밀, 콩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자의 발아검정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발아검사는 300립을 100립씩 3반복으로 치상한다.
  2. 발아배지로 종이, 모래, 흙 등의 재료가 사용된다.
  3. 발아율은 백분율로 나타내며,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4. 발아온도의 변온시 고온 16시간, 저온 8시간의 조건을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배지는 종자가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종이, 모래, 흙 등의 재료가 사용되는 이유는 이러한 재료들이 수분을 잘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종자를 발아시켜 발아율을 측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잡종강세이용 육종법에서 조합능력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톱교배 조합능력, 일반조합능력
  2. 일반조합능력, 특정조합능력
  3. 특정조합능력, 단교배 조합능력
  4. 단교배 조합능력, 복교배 조합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잡종강세이용 육종법에서 조합능력의 종류는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이 있다. 이는 육종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조합능력과 특정한 목적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조합능력으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일반조합능력은 다양한 유전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하며, 특정조합능력은 특정한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따라서 이 중 정답은 "일반조합능력, 특정조합능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공교배를 위한 개화기 일치 방법이 아닌 것은?

  1. CO2 처리
  2. 춘화저리 응용
  3. 일장효과 이용
  4. 파종시기에 의한 조절
(정답률: 알수없음)
  • CO2 처리는 인공교배를 위한 개화기 일치 방법이 아니라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공교배를 위한 방법으로서, 춘화저리 응용은 꽃이 핀 시기를 조절하여 교배를 유도하는 방법, 일장효과 이용은 꽃이 핀 시기를 조절하여 교배를 유도하는 방법, 파종시기에 의한 조절은 꽃이 핀 시기를 조절하여 교배를 유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DNA에 들어있는 염기가 아닌 것은?

  1. 아데닌
  2. 우라실
  3. 구아닌
  4. 티민
(정답률: 알수없음)
  • 우라실은 RNA에만 존재하는 염기이며, DNA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우라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4품종을 난괴법 3반복으로 포장배치 후 분산분석할 때 오차의 자유도는?

  1. 4
  2. 6
  3. 8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의 자유도는 총 자료의 개수에서 처리의 개수를 뺀 값이다. 이 경우에는 4품종을 3반복으로 처리하므로 처리의 개수는 4x3=12이다. 따라서 총 자료의 개수인 12에서 처리의 개수인 12를 뺀 값인 6이 오차의 자유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등숙기춘화(登熟期春化) 현상이 일어나는 작물은?

  1. 양배추
  2. 당근
  3. 양파
(정답률: 알수없음)
  • 등숙기춘화 현상은 높은 온도와 긴 낮 시간에 영향을 받아 작물이 조금씩 성장하면서 꽃을 피우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겨울 작물인 무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타식성 작물의 자식의 효과는?

  1. 호모성의 증가와 잡종강세를 나타낸다.
  2. 호모성의 증가와 자식약세를 나타낸다.
  3. 헤테로성의 증가와 잡종강세를 나타낸다.
  4. 헤테로성의 감소와 잡종강세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타식성 작물의 자식은 부모의 유전자가 중복되어 호모성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자식의 약세를 나타낸다. 즉, 정답은 "호모성의 증가와 자식약세를 나타낸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동질 배수체(同質倍數體)를 얻는데 적당하지 못한 방법은?

  1. Colchicine 처리
  2. 단일처리
  3. Acenaphthene 처리
  4. 온도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동질 배수체를 얻기 위해서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이용하는데, 이를 위해 염색체를 복제하는 과정을 방해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Colchicine 처리와 Acenaphthene 처리는 염색체 복제 과정을 방해하는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일처리로는 충분한 동질 배수체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온도처리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단일처리는 염색체 복제 과정을 방해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이며, 충분한 동질 배수체를 얻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과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이종(異種), 이속(異屬)간 교잡의 효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품종간 교잡에서 얻을 수 없는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을 수 있다.
  2. 조합능력 검정이 쉬워진다.
  3. 잡종세대에서의 유전분리가 간단해진다.
  4. 교잡종자를 얻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종(異種), 이속(異屬)간 교잡은 서로 다른 종이나 속의 개체들을 교배시켜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는 것입니다. 이는 품종간 교잡에서 얻을 수 없는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이나 속의 개체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유전자들이 교배를 통해 조합되어 새로운 형질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종, 이속간 교잡은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타식성 작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폐화수분
  2. 자가 불화합성
  3. 이형예 현상
  4. 자웅이숙
(정답률: 알수없음)
  • 타식성 작물은 자가 불화합성, 이형예 현상, 자웅이숙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폐화수분"은 타식성 작물의 특징이 아닙니다. 폐화수분은 식물이 물을 흡수하고 이용한 후 남은 물의 양을 말하는데, 모든 식물이 이러한 폐화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화수분은 타식성 작물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1. 화기의 구조를 조사한다.
  2. 후대검정을 한다.
  3. 당대에 정밀한 형태조사를 한다.
  4. 조합능력 검정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을 해야 한다. 후대검정은 특정 유전자 변이가 어떤 특정 질병과 연관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유전학적 분석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와 그 가족들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해당 질병과 연관된 유전자 변이를 찾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Vavilov가 주요 작물의 재배 기원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벼의 재배 기원지는 어느 지구에 속하는가?

  1. 중국지구
  2. 힌두스탄지구
  3. 근동지구
  4. 중앙아메리카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Vavilov는 작물의 재배 기원지를 지리적, 생물학적, 역사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여 8개 지구로 나누었습니다. 벼는 인류의 주요 식량작물 중 하나이며, 인류의 문명 발달과 함께 재배되어 온 작물입니다. 이에 따라 벼의 재배 기원지는 역사적으로 인류의 문명이 발달한 지역인 힌두스탄지구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사용되는 방사능 물질의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체 내로 쉽게 흡수될 것
  2. 자유롭게 체내를 이동할 것
  3. 독성이 적을 것
  4. 반감기가 길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감기가 길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반감기란 방사능 물질이 절반으로 붕괴되는 시간을 말하는데, 반감기가 길 경우 방사능 물질이 오랫동안 존재하므로 더 많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사용되는 방사능 물질은 반감기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채종포를 산간벽지나 섬에 설치하는 이유는?

  1. 도난방지
  2. 화분오염 방지
  3. 관리비 절감
  4. 비밀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채종포는 화분을 놓고 식물을 기르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를 산간벽지나 섬에 설치하는 이유는 화분오염 방지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폐기물 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화분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채종포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질적 형질인 것은?

  1. 꽃색
  2. 초장
  3. 간장
  4. 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질적 형질은 어떤 대상의 특징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형질로, "꽃색"이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양적 형질로, 양적 형질은 어떤 대상의 양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형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간이 변이를 작성하여 육종에 이용하고 있는 행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자연계에서 변이를 탐색하여 이용
  2. 인위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이용
  3. 야생종에서 변이를 찾아서 이용
  4. 재래종에 포함된 변이를 분리하여 이용
(정답률: 알수없음)
  • 인위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이용하는 것은 인간이 직접 유전자를 조작하여 원하는 특성을 강화시키거나 새로운 특성을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알맞은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연적인 변이를 이용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변이를 찾아서 이용하는 것이므로 인간의 개입이 적은 것에 비해 육종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식물의 생장점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새로운 특성을 가진 가지로 발육한 현상은?

  1. 생식세포 돌연변이
  2. 아조변이
  3. 복귀변이
  4. 치사 돌연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의 생장점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새로운 특성을 가진 가지로 발육하는데, 이를 아조변이라고 합니다. 아조변이는 생식세포 돌연변이와는 달리 체세포에서 일어나며, 발생한 돌연변이는 후손에게 유전됩니다. 따라서 아조변이는 새로운 특성을 가진 식물을 얻을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현재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병에 약하고(유전자형RR) 대부분의 특성이 아주 나쁜 야생종은 병에 강하다(유전자형rr) 여교잡을 통하여 야생종의 내병성 유전자만을 재배종에 옮기려고 할 때 반복친으로 사용해야 하는 품종은?

  1. 야생종(rr)
  2. 재배종(RR)
  3. 잡종(Rr)
  4. 야생종의 동질 4배체(rrrr)
(정답률: 알수없음)
  • 재배종(RR)은 병에 약하고 대부분의 특성이 나쁜 야생종(rr)과 교잡하여 내병성 유전자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품종입니다. 이는 교잡을 통해 내병성 유전자를 얻기 위해서는 야생종의 유전자를 재배종에 옮겨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배종(RR)은 교잡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 사용되는 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순계 분리육종 방법에 있어 양적형질을 선발하려고 한다. 다음 분리 방법에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집단 선발
  2. 계통 집단 선발
  3. 영양체 분리법
  4. 순계 도태법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형질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끼리 집단을 형성하여 분리육종을 해야 한다. 이때, 계통 집단 선발은 한 개체에서 시작하여 그 개체의 자손들을 계속해서 선택하여 집단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끼리 집단을 형성하므로 양적형질을 선발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계통 집단 선발이 가장 적당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그 의미가 가장 다른 것은?

  1. 수직 저항성
  2. 수평 저항성
  3. 미동유전자 저항성
  4. 포장 저항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포장 저항성

    설명: "수직 저항성"은 수직 방향으로의 저항을 의미하며, "수평 저항성"은 수평 방향으로의 저항을 의미합니다. "미동유전자 저항성"은 유전체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저항성을 의미하며, "포장 저항성"은 제품이나 물건을 포장하는데 필요한 내구성과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직 저항성"이 가장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식물바이러스병의 감염에 의한 품종퇴화가 가장 적은 작물은?

  1. 감자
  2. 백합
  3. 튜우립
  4. 완두
(정답률: 알수없음)
  • 완두는 씨앗 번식으로 번식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이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품종퇴화가 적은 작물입니다. 반면 감자, 백합, 튜우립은 뿌리나 줄기를 이용한 번식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품종퇴화가 더 많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다음 중 비료의 3요소 끼리 짝지워진 것은?

  1. 질소 - 인산 - 칼슘
  2. 질소 - 인산 - 부식
  3. 질소 - 인산 - 칼륨
  4. 인산 - 칼륨 - 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비료의 3요소는 질소, 인, 칼륨이다. 이 중에서 비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정한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는데, 이를 NPK 비율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 "질소 - 인산 - 칼륨"은 작물의 생장과 열매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료 조합이다. 질소는 식물의 생장과 엽록소 합성에 필요하며, 인산은 근무늘기와 꽃과 열매의 발달에 필요하며, 칼륨은 열매의 크기와 당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3요소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서 사용하면 작물의 생장과 수확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을 감자 재배시 가장 효과적인 휴면타파 방법은?

  1. 2 ∼ 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 ∼ 60분 처리
  2. 2 ∼ 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24시간 처리
  3. 250 ∼ 500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60분 처리
  4. 250 ∼ 500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24시간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을 감자는 수확 후 휴면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발아가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면타파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2 ∼ 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 ∼ 60분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이유는 지베렐린이 감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30분에서 60분 정도의 처리 시간이 적당하며, 농약의 농도도 적당하여 감자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을 감자 재배시 가장 효과적인 휴면타파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벼 담수직파에 적합한 파종방법은?

  1. 적파
  2. 산파
  3. 점파
  4. 혼파
(정답률: 알수없음)
  • 벼 담수직파는 물이 많이 필요한 파종 방법이므로 산파가 적합합니다. 산파는 물이 많이 필요한 식물이기 때문에 물이 많이 필요한 벼 담수직파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작물 수량을 지배하는 3요소는?

  1. 유전성, 환경조건, 재배기술
  2. 유전성, 환경조건, 유통시장
  3. 유전성, 지대, 자본
  4. 환경조건, 재배기술, 토지자본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 수량을 지배하는 3요소는 유전성, 환경조건, 재배기술입니다.

    유전성은 작물의 유전적 특성을 의미하며, 작물의 성장속도, 수확량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환경조건은 작물이 자라는 환경적 요소를 의미하며, 온도, 습도, 조도, 토양 등이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재배기술은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과 기술을 의미하며, 적절한 재배기술을 사용하면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는 작물의 수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식물의 생장조절제 중에서 과일의 성숙을 촉진하는 것은?

  1. Auxin
  2. Gibberellin
  3. Cytokinin
  4. Ethylene
(정답률: 알수없음)
  • Ethylene은 과일의 성숙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Ethylene이 과일의 성장과정에서 생성되어 성숙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thylene은 과일의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생장조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작물생육의 최저· 최적· 최고온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유효온도
  2. 생육온도
  3. 주요온도
  4. 3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생육의 최저·최적·최고온도를 주요온도라고 부르는 이유는, 작물이 성장하고 생산성을 발휘하는데 가장 중요한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최저온도는 작물이 생장을 멈추는 온도, 최적온도는 작물이 가장 잘 성장하는 온도, 최고온도는 작물이 생장을 멈추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주요온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온도 조절을 통해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벼의 도복을 방지하는 재배법이 가장 올바르게 조합된 것은?

  1. 2절간의 신장억제, 2· 4-D살포, 유수분화기 질소시용
  2. 3절간의 신장억제, 규산질시용, 유수분화기 질소억제
  3. 4절간의 신장억제, 규산질시용, 유수분화기 질소시용
  4. 5절간의 신장억제, 2· 4-D살포, 유수분화기 질소억제
(정답률: 알수없음)
  • 벼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성장조절제와 질소의 흡수를 억제하는 질소억제제가 사용됩니다.

    2절간의 신장억제는 너무 일찍 적용되어 식물의 성장이 충분하지 않아 도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절간의 신장억제와 규산질시용은 도복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유수분화기 질소시용으로 인해 도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절간의 신장억제와 규산질시용은 도복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유수분화기 질소시용으로 인해 도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절간의 신장억제, 2· 4-D살포, 유수분화기 질소억제가 가장 올바르게 조합된 것입니다. 5절간의 신장억제는 적정한 시기에 적용하여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2· 4-D살포는 도복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유수분화기 질소억제는 질소의 흡수를 억제하여 도복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물체의 안토시아닌(Anthocyanin)의 생성을 촉진하는 빛은?

  1. 자색광
  2. 녹색광
  3. 황색광
  4. 적색광
(정답률: 알수없음)
  • 안토시아닌은 자색색소로, 자색광은 안토시아닌 생성을 촉진하는 파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토시아닌의 생성을 촉진합니다. 다른 광원들은 안토시아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사선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것은?

  1. α 선
  2. β 선
  3. γ선
  4. X선
(정답률: 알수없음)
  • γ선은 다른 방사선에 비해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아 세포 내부의 분자 구조를 파괴하고 DNA 손상을 일으키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방사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γ선은 암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방사선 치료 등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감자· 양파의 저장 중 발아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생장조절물질은?

  1. Amo - 1618
  2. B - nine
  3. Phosfon - D
  4. Maleic Hydrazide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와 양파는 저장 중에 발아하는 것이 원치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생장조절물질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Maleic Hydrazide는 감자와 양파의 발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감자와 양파의 저장 중 발아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생장조절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추락 저항성이 요구되는 작물은?

  1. 포도
  2. 사과
(정답률: 알수없음)
  • 벼는 생장기간 동안 매우 긴 줄기를 형성하며, 이는 추락 저항성을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벼는 추락 저항성이 요구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반면 콩, 포도, 사과는 줄기가 짧거나 덩굴성이므로 추락 저항성이 높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냉해에 강한 벼가 아닌 것은?

  1. 찰벼
  2. 수중형
  3. 유망종
  4. 무망종
(정답률: 30%)
  • 무망종은 냉해에 강한 벼가 아닌 이유는, 무망종은 농작물 중에서 가장 더운 기후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해에 강한 벼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내비성이 가장 약한 것은?

  1. 야생벼
  2. 재래벼
  3. 인도형벼
  4. 일본형벼
(정답률: 알수없음)
  • 야생벼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연에서 자라는 식물로, 인공적으로 개량되지 않았기 때문에 내비성이 가장 약합니다. 반면, 재래벼, 인도형벼, 일본형벼는 인간이 개량하여 내비성이 강화된 쌀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옥수수와 녹두를 간작형태로 재배하면 유리한 점은?

  1. 잡초 방제와 지력 유지
  2. 투광태세 양호
  3. 작업 용이
  4. 수확작업 용이
(정답률: 알수없음)
  • 옥수수와 녹두는 간작형태로 재배하면 잡초 방제가 용이해지고, 뿐만 아니라 작물의 지력도 유지됩니다. 이는 간작형태로 재배하면 작물이 더욱 강건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간작형태로 재배하면 투광태세가 양호해지고 작업과 수확이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작물의 일반적 분류법의 근거는?

  1. 형태
  2. 용도
  3. 생육특성
  4. 경제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의 일반적 분류법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근거는 "용도"입니다. 이는 작물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구분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곡물은 식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주목적이며, 채소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따라서 작물의 용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이는 농업 및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강산성 토양에서 용해도가 증대되어 뿌리의 신장을 억제하는 성분은?

  1. 알루미늄
  2. 마그네슘
  3. 붕소
(정답률: 40%)
  • 강산성 토양에서는 pH가 매우 낮아서 알루미늄의 용해도가 높아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뿌리가 알루미늄을 흡수하면, 알루미늄은 뿌리의 세포 내부에서 독성을 발휘하여 뿌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강산성 토양에서는 알루미늄이 뿌리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물 도복의 유발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질소성분의 과잉 흡수
  2. 근계의 발달과 근활력의 증대
  3. 밀파 및 밀식
  4. 병해충의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 도복의 유발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근계의 발달과 근활력의 증대"이다. 이는 작물의 생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도복의 유발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혼파시 화본과 목초와 콩과 목초의 알맞는 혼합비율은?

  1. 8 - 9 : 1 - 2
  2. 6 - 7 : 3 - 4
  3. 4 - 5 : 5 - 6
  4. 2 - 3 : 7 - 8
(정답률: 알수없음)
  • 혼파시 화본은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으며, 목초는 소화를 돕고 콩은 질소 공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혼합비율은 화본이 많이 들어가고, 목초와 콩은 적당한 비율로 섞여야 합니다. "8 - 9 : 1 - 2"는 화본이 8~9부분, 목초와 콩이 1~2부분으로 섞이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화본의 영양가를 충분히 공급하면서도 목초와 콩의 소화와 질소 공급을 돕는 적절한 비율이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벼에서 침관수 피해가 가장 큰 시기는?

  1. 묘대기(못자리기)
  2. 분얼 초기
  3. 출수개화기
  4. 등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출수개화기는 벼의 생장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이며, 이때 침관수 피해가 가장 큽니다. 이유는 출수개화기는 벼가 가장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침관수 피해가 발생하면 벼의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수개화기에는 침관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생력작업을 위한 기계화 재배의 전제조건이 아닌 것은?

  1. 대규모 경지정리
  2. 재배체계의 확립
  3. 집단재배
  4. 제초제의 미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제초제의 미사용은 생력작업을 위한 기계화 재배의 전제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잡초와 다른 잡초류를 제거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초제의 사용은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곤충이 지구상에서 번성하게 된 원인이 아닌 것은?

  1. 외골격이 발달하여 몸을 보호할 수 있다.
  2. 몸의 크기가 작아서 수분의 상대적 증발산량이 적다.
  3. 변태를 통하여 불량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다.
  4. 날개가 발달해서 분산에 유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몸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적 대비 체적이 적어서 수분의 상대적 증발산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곤충은 수분을 보존하기 쉽고 건조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몸의 크기가 작아서 수분의 상대적 증발산량이 적다는 것은 곤충이 지구상에서 번성하게 된 원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작물병원의 종류에서 비전염성병(非傳染性病)에 속하는 것은?

  1. 병원성 식물
  2. 병원성 동물
  3. 생리병
  4. 바이러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전염성병은 감염병이 아니며, 환경적인 요인이나 작물 자체의 생리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질병을 말합니다. 따라서 "생리병"이 비전염성병에 속하는 것입니다. "병원성 식물"과 "병원성 동물"은 감염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식물과 동물을 말하며, "바이러스"는 감염성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년 잡초는 7년 제초라는 말과 가장 밀접한 방제는?

  1. 생태적 방제
  2. 화학적 방제
  3. 생물적 방제
  4. 예방적 방제
(정답률: 알수없음)
  • 1년 잡초는 7년 제초라는 말은 잡초가 한 번 자라면 그 후로도 계속 자라는 성질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방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예방적 방제는 병해충이나 잡초 등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방법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개선하거나 병해충의 발생원인을 제거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작물의 건강을 유지하고, 병해충이나 잡초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농약의 여러 보조제 중 분제의 주성분 농도를 낮추기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전착제
  2. 용제
  3. 협력제
  4. 증량제
(정답률: 알수없음)
  • 분제의 주성분 농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농약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농약의 분해나 희석을 방지하여 농약의 효과를 유지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증량제입니다. 증량제는 농약의 분해나 희석을 방지하여 농약의 효과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액상 시용제의 물리적 성질에서 수화제에 물을 가하여 현탁액을 만들어 고체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 부유하는 성질과 그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은?

  1. 유화성
  2. 현수성
  3. 수화성
  4. 분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액상 시용제의 물리적 성질에서 수화제에 물을 가하여 현탁액을 만들면 고체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부유하는 성질을 나타내며, 이 현상을 현수성이라고 합니다. 현수성은 입자의 크기, 밀도, 표면 특성 등에 영향을 받으며, 안정성은 입자의 크기와 분산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현수성은 입자의 분산 상태와 안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적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외국에서 침입한 해충이 아닌 것은?

  1. 애멸구
  2. 벼물바구미
  3. 꽃노랑총채벌레
  4. 온실가루이
(정답률: 알수없음)
  • 애멸구는 원래 우리나라에 서식하던 해충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국에서 유입된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토양잔류성 농약의 반감기(半減期)는?

  1. 30일 이상인 농약
  2. 60일 이상인 농약
  3. 90일 이상인 농약
  4. 180일 이상인 농약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잔류성 농약은 토양에 흡착되어 오랫동안 분해되지 않고 잔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짧은 농약은 빠르게 분해되어 토양에서 사라지지만, 반감기가 긴 농약은 오랫동안 토양에 잔류하여 환경오염의 위험이 큽니다. 따라서 토양잔류성 농약의 반감기는 최소한 180일 이상이어야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부적합한 생육환경이나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곰팡이 중에서 난균류가 만드는 월동태는?

  1. 분생포자
  2. 난포자
  3. 후막포자
  4. 담자포자
(정답률: 알수없음)
  • 난균류는 부적합한 생육환경이나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월동태를 만듭니다. 이 중에서 난포자는 둥글고 단단한 외피를 가진 포자로, 겨울철을 지내는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난포자가 곰팡이 중에서 월동태를 만드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병환을 순서에 따라 알맞게 표기한 것은?

  1. 전염원 - 전반 - 침입 - 감염
  2. 전반 - 침입 - 전염원 - 감염
  3. 침입 - 전염원 - 감염 - 전반
  4. 감염 - 전반 - 침입 - 전염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염원 - 전반 - 침입 - 감염" 입니다.

    전염원은 감염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나 바이러스를 말하며, 전반은 전염병이 발생한 지역이나 환경을 말합니다. 침입은 전염원이 전반에 침입하여 감염을 유발하는 과정을 말하며, 감염은 전염원이 전반에 침입하여 전염병이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염원이 전반에 침입하여 감염을 유발하는 과정이 가장 먼저 일어나고, 그 후에 전반에 침입한 전염원이 감염을 유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사과나무 부란병의 방제에 가장 중요하다고 볼수 있는 사항은?

  1. 진딧물 방제
  2. 병든 부분의 제거
  3. 포장의 배수관리
  4. 과원 잡초의 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사과나무 부란병은 감염된 부분을 제거하지 않으면 전염이 계속되기 때문에 병든 부분의 제거가 가장 중요합니다. 감염된 가지나 잎을 제거하고 손질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전염을 예방하고 사과나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미국흰불나방 방제 최적기는?

  1. 1화기에 방제 중점
  2. 2화기 이후부터 방제 철저
  3. 3령기 이후부터 방제 철저
  4. 4령기 이후부터 방제 철저
(정답률: 알수없음)
  • 미국흰불나방은 봄과 가을에 번식하므로, 방제 시기는 이 두 계절에 집중해야 합니다. 따라서 "1화기에 방제 중점"이라는 답은 봄과 가을 중 첫 번째 계절인 봄에 방제를 집중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미국흰불나방의 번식을 억제하고, 방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방제 시기입니다. 2화기 이후부터 방제 철저, 3령기 이후부터 방제 철저, 4령기 이후부터 방제 철저는 모두 방제 시기를 늦추는 것이므로,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1화기에 방제 중점"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곤충의 호흡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문
  2. 기관
  3. 침샘
  4. 모세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침샘은 호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분비기관이기 때문에 곤충의 호흡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기문, 기관, 모세기관은 곤충의 호흡계에 속하는 구조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 중 초관형성기에서 생식생장기까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잡초경합허용기간
  2. 잡초발생허용한계기간
  3. 잡초경합한계기간
  4. 경제적허용한계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이 잡초와 경쟁하면서 자원을 더 이상 확보할 수 없는 시기를 "잡초경합한계기간"이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작물이 자원을 더 이상 확보하지 못하고, 잡초가 작물을 압도하여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 이전에는 작물의 생육을 위해 잡초를 제거하거나 관리하는 등의 대책을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동일 분자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진 화합물은?

  1. 계면 활성제
  2. 도포제
  3. 유화제
  4. 현수성
(정답률: 알수없음)
  •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진 화합물은 계면 활성제입니다. 이는 분자 내에서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이 서로 상충하여 분자가 물과 기름과 같은 두 개의 다른 상에 동시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계면 활성제가 물과 기름을 혼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잡초의 산포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것은?

  1. 바람
  2. 토양
  3. 동물
(정답률: 29%)
  • 잡초의 산포는 바람, 물, 동물 등의 이동에 의해 일어나지만, 토양은 그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정답은 "토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재배 중인 벼에 도열병 피해를 줄이려고 한다. 저항력을 길러줄 수 있는 비료는?

  1. 질소
  2. 인산
  3. 칼륨
  4. 규산
(정답률: 알수없음)
  • 규산은 벼의 저항력을 강화시켜 도열병 피해를 줄일 수 있는데, 이는 규산이 벼의 껍질을 강화시켜 바이러스나 곰팡이 등의 병원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벼의 생육과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산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병징 중 식물체의 일부기관에만 나타나는 국부병징에 속하는 것은?

  1. 빗자루병
  2. 오갈병
  3. 시들음병
  4. 황화병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빗자루병"

    식물체의 일부기관에만 나타나는 국부병징은 "빗자루병"입니다. 이 병은 잎의 일부분이 빗자루처럼 굽어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바이러스나 진균 등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된 잎을 제거하거나 적절한 방역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다른 선택지인 "오갈병", "시들음병", "황화병"은 전체적인 식물체의 증상을 보이는 전염병이므로 국부병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

  1. 제비꽃
  2. 방동사니
  3. 질경이
(정답률: 알수없음)
  • 방동사니는 한해살이 잡초이기 때문에 다년생 잡초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체외로 분비되는 곤충의 생리활성물질로서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여 방제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1. 페로몬
  2. 호르몬
  3. 유인물질
  4. 불임제
(정답률: 알수없음)
  • 페로몬은 곤충이 체외로 분비하는 생리활성물질로서, 같은 종의 다른 개체를 유인하거나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여 방제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바로 페로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벼도열병 방제와 거리가 먼 것은?

  1. 밀식다비 재배
  2. 저항성품종 이용
  3. 균형있는 시비
  4. 철저한 종자소독
(정답률: 알수없음)
  • 밀식다비 재배는 벼도열병과는 관련이 없는 작물 재배 방법입니다. 벼도열병은 밀식다비 재배와는 무관하게 발생하는 병이기 때문에, 밀식다비 재배는 벼도열병 방제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