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5-25)

종자산업기사
(2003-05-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채종하고자 할 때는 불임계통의 화분을 수분하기 전에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수분 하루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2. 그대로 두어도 된다.
  3. 뇌수분(雷授粉)을 하여야 한다.
  4. 노화수분(老花授粉)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웅성불임은 화분에 물을 주지 않고 불임계통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불임계통의 화분을 수분하기 전에 따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그대로 두어도 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배추의 일대 교잡종 채종에 쓰이는 유전적 특성은?

  1. 웅성 불임성
  2. 타가 불화합성
  3. 이형예 불화합성
  4. 자가 불화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추의 일대 교잡종 채종에 쓰이는 유전적 특성은 "자가 불화합성"입니다. 이는 배추가 자신의 종 내에서 교잡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어 메커니즘으로, 자가 불화합성 유전자에 의해 자가 수정이 억제되어 교잡종이 생기지 않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배추의 순종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물학상 과실이며 농학상 종자에 해당되는 것은?

  1. 당근종자
  2. 호박종자
  3. 가지종자
  4. 양배추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당근은 식물학적으로 열매에 해당하며, 열매 안에 담긴 것이 종자입니다. 따라서 "당근종자"가 과실이며 농학상 종자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타가수정 식물의 채종포장으로서 가장 알맞는 곳은?

  1. 지리적 고립지
  2. 관리가 편리한 도시근교
  3. 동일작물의 집단재배지
  4. 동일작물의 연작지역
(정답률: 알수없음)
  • 타가수정 식물은 원산지가 다양하고 생육환경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리적 고립지에서 채종포장을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지리적 고립지는 다른 작물과의 교차오염이나 병해충의 전파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생육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가 편리한 도시근교나 동일작물의 집단재배지, 연작지역에서는 작물간 경쟁이나 병해충 전파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품종보호출원품종의 품종의 요건 심사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구별성
  2. 균일성
  3. 우량성
  4. 안정성
(정답률: 알수없음)
  • 우량성은 품종의 경제적 가치와 관련된 요건으로, 품종의 생산성, 품질, 내성 등이 우수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품종의 특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품종보호출원품종의 품종의 요건 심사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관리사의 자격취소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인 것은?

  1.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2회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2.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1회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3.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막대한 손해를 가한 경우
  4.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2회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가 위반사항인 이유는, 종자관리사는 종자의 생산, 유통, 보관, 검사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중취업을 하게 되면, 해당 분야에서 경험과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질 수 있으며, 이는 종자관리사의 전문성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중취업을 2회 이상 한 경우에는 종자관리사 자격취소의 위반사항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결구상추의 채종재배에서 1주당 채종량 및 천립중에 영향이 가장 큰 비료는?

  1. 황(S)
  2. 칼륨(K)
  3. 인(P)
  4. 질소(N)
(정답률: 알수없음)
  • 결구상추는 높은 질소 요구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질소 비료가 결구상추의 채종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1주당 채종량과 천립중에 영향이 가장 큰 비료는 "질소(N)" 입니다. 황, 칼륨, 인 비료도 중요하지만, 결구상추의 생장과 수확에 질소 비료가 가장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경실종자의 휴면타파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MH 수용액 처리
  2. 종피파상법
  3. 저온처리
  4. 건,습열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경실종자의 휴면타파법 중 "MH 수용액 처리"는 다른 세 가지 방법과는 달리 화학적인 처리 방법으로, 종자 내부의 효소를 활성화시켜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과는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자산업법상 국가품종목록등재품종의 종자생산을 할 수 없는 자는?

  1. 종자매매업자
  2. 서울특별시장
  3. 농업단체
  4. 종자업등록자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상 국가품종목록등재품종의 종자생산은 특정한 자격과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종자매매업자는 종자를 생산하지 않고 판매하는 업체이기 때문에 종자생산을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종자매매업자는 해당 법에 따라 국가품종목록등재품종의 종자생산을 할 수 없는 자입니다. 서울특별시장, 농업단체, 종자업등록자는 각각 종자생산을 할 수 있는 자격과 권한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국가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 연장신청은 유효기간 만료전 몇 년 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 연장신청은 유효기간 만료전 1년 이내에 하여야 합니다. 이는 국가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연장을 신청하여 등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료일 이후에는 연장이 불가능하므로, 유효기간 만료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대잡종 품종의 농업적 의의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수량성이 높다.
  2. 채종이 용이하다.
  3. F1 종자값이 싸다.
  4. 열성유전자를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1대잡종 품종은 다양한 부모 개체들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전적 다양성이 높습니다. 이는 적응력이 뛰어나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농업적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수량성이 높다는 것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경제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량성이 높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농업적 의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선별에 흔히 이용되는 물리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비중
  2. 크기
  3. 구성성분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선별은 종자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종자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좋은 종자를 선별합니다. 따라서 "비중", "크기", "색"은 종자의 물리적 특성으로 종자선별에 이용됩니다. 반면에 "구성성분"은 종자의 화학적 특성으로, 종자의 성장과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만, 종자선별에 직접적으로 이용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구성성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벼의 발아형태이다. 부위별 명칭이 잘못된 것은?

  1. ① 제1본엽
  2. ② 자엽
  3. ③ 관근
  4. ④ 종자근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② 자엽은 잘못된 명칭이다. 자엽은 잎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 아니라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하는데, 그림에서는 벼의 잎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② 자엽이 아닌 다른 부위의 명칭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화아형성에 저온춘화처리를 필요로 하는 작물로 짝지은 것은?

  1. 상추, 무, 양파
  2. 양파, 옥수수, 벼
  3. 밀, 무, 당근
  4. 당근, 콩, 상추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아형성에 저온춘화처리를 필요로 하는 작물은 겨울철 작물이며, 이 중에서 밀, 무, 당근은 겨울철 작물이기 때문에 저온춘화처리가 필요합니다. 상추는 봄, 여름철 작물이며, 양파는 가을철 작물이기 때문에 저온춘화처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옥수수와 벼는 여름철 작물이며, 콩은 봄, 여름철 작물이기 때문에 저온춘화처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10개의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하여 만드는 암배우자의 수는?

  1. 1개
  2. 10개
  3. 20개
  4. 40개
(정답률: 알수없음)
  • 배낭모세포는 감수분열을 통해 두 개의 동일한 딸세포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1개의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하면 2개의 암배우자가 생기고, 10개의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을 하면 각각 2개씩 총 20개의 암배우자가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0개의 배낭모세포가 감수분열하여 만드는 암배우자의 수는?" 라고 했으므로, 정답은 10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자 정선 단계에서 어루어지는 작업내용으로만 구성된 것은?

  1. 종자건조, 이형주 제거, 종자검사
  2. 종자검사, 정밀정선, 순도분석
  3. 순도분석, 이형주 제거, 종자소독
  4. 종자소독, 정밀정선, 종자건조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 정선 단계에서는 불필요한 이형주를 제거하고, 순도를 높이기 위해 정밀정선을 실시하며, 종자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종자소독과 종자건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종자소독, 정밀정선, 종자건조"가 종자 정선 단계에서 어루어지는 작업내용으로만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콩의 포장검사시 특정병은?

  1. 모자이크병
  2. 세균성점무늬병
  3. 엽소병
  4. 자반병
(정답률: 알수없음)
  • 콩의 포장검사시 자반병은 특정병 중 하나입니다. 이는 콩의 잎이 갈색으로 변하고, 잎과 줄기에 검은색 반점이 생기는 증상을 보이며, 이는 곰팡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고온항온건조기법에 의한 옥수수 종자의 수분측정시 130 ∼ 133 ℃ 에서 몇 시간 건조시켜야 하는가?

  1. 1시간
  2. 2시간
  3. 3시간
  4. 4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고온항온건조기법은 적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여 시료를 건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옥수수 종자의 수분을 측정할 때는 130 ∼ 133 ℃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켜야 합니다. 이는 이 시간 동안 충분한 수분이 제거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2000년 4월 1일 벼 품종을 품종목록에 등재하였다. 유효기간은 언제까지인가?

  1. 2006년 4월 1일
  2. 2006년 12월 31일
  3. 2011년 4월 1일
  4. 2011년 12월 31일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 등재일로부터 유효기간이 5년이므로, 2000년 4월 1일부터 5년 후인 2005년 3월 31일까지가 유효기간이다. 그러나 법령상 5년마다 갱신이 가능하므로, 이 경우에는 2005년 4월 1일부터 다시 5년간 유효하게 된다. 따라서 유효기간은 2011년 3월 31일까지이지만, 이 경우에는 다시 갱신이 가능하므로 2011년 4월 1일부터 다시 5년간 유효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유효기간은 2011년 12월 31일까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벼 종자를 수입하려 할 때 누구에게 수입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1. 농림부장관
  2. 종자관리소장
  3. 산림청장
  4.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벼 종자는 농작물의 종자이므로, 해당 분야의 전문 기관인 종자관리소장에게 수입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종자관리소장은 벼 종자의 수입에 대한 검역 및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법적 규정에 따라 수입신고서를 접수하고 검역을 실시합니다. 따라서 벼 종자를 수입하려는 경우, 종자관리소장에게 수입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A,B,C,D의 자식계통으로된 단교배의 수량이 다음과 같을 때, (A × B) × (C × D)의 복교배의 예측 수량은 다음 수치 중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A × C = 70, A × D = 65, B × C = 50, B × D = 60)

  1. 50
  2. 61
  3. 70
  4. 83
(정답률: 알수없음)
  • 복교배의 예측 수량은 (A × C) × (B × D) 이므로, 각 항목의 값을 곱해보면 (70 × 60) = 4200이 나온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수는 61이다. 이유는 61은 4200과 가장 차이가 적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무배생식(apogamy)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

  1. 반족세포 또는 조세포의 핵이 발달하여 배를 형성 하는 것
  2. 웅성 배우자를 받지 않은 난세포가 단독으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
  3. 핵을 잃은 난세포의 세포질속으로 웅핵이 들어가서 이것이 단독으로 발육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
  4. 본래 유성생식을 하는 식물이 생식핵의 융합없이 접합자를 형성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반족세포 또는 조세포의 핵이 발달하여 배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이는 무배생식에서 원래 생식세포가 아닌 다른 세포에서도 배를 형성할 수 있는 현상으로, 반족세포나 조세포에서 발달한 핵이 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는 생식세포의 융합 없이도 새로운 개체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동시에 통계학적으로 추정이 가능한 검정방법은?

  1. 단교잡 검정법
  2. 이면교잡 검정법
  3. 톱교잡 검정법
  4. 다교잡 검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면교잡 검정법은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동시에 통계학적으로 추정이 가능한 검정방법이다. 이는 두 개 이상의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들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모집단의 평균값이 같은지 다른지를 검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분산이 같은 경우와 다른 경우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t-검정을 사용하여 검정한다. 따라서 이면교잡 검정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옳지 못한 방법은?

  1. 사전에 토양의 균일성을 검정한다.
  2. 포장 및 재배조건은 인위적으로 최상의 상태로 만든다.
  3. 반복 실험을 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4. 포장 배치는 임의 배열 등으로 경합을 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포장 및 재배조건을 인위적으로 최상의 상태로 만드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실제 생산환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검정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검정시험에서는 가능한 실제 생산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수는 많지만 각 유전자의 지배가 분석은 쉽게 할 수 있다.
  2. 폴리진(poly gene)은 주로 양적형질에 관여하나 개개의 지배가는 미미하다.
  3. 중복 유전자는 유전자 각각의 작용력의 누적효과가 없는 것을 말한다.
  4. 양적형질에 주동유전자(major gene)가 관여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수는 많지만 각 유전자의 지배가 분석은 쉽게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양적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수가 많아서 각 유전자의 지배가 분석하기 어렵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성염색체에 의하여 성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물은?

  1. 삼, 고추
  2. 고추, 수박
  3. 수박, 호프(hop)
  4. 호프(hop), 삼
(정답률: 알수없음)
  • 성염색체에 의하여 성의 분화가 이루어지는 작물은 삼과 호프입니다. 고추와 수박은 성분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변이의 종류 중 후대에 유전되지 않는 것은?

  1. 유전변이
  2. 교배변이
  3. 염색체 돌연변이
  4. 장소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장소변이는 유전자 내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로, 후대에 유전될 수 있지만 다른 세포나 개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후대에 유전되지 않는 변이는 "장소변이"이다. 반면에 유전변이, 교배변이, 염색체 돌연변이는 후대에 유전될 수 있으며, 개체나 종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공교배를 위한 개화기의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1. 파종기에 의한 조절
  2. 비배에 의한 조절
  3. 춘화처리에 의한 조절
  4. 삽목에 의한 조절
(정답률: 알수없음)
  • 삽목은 인공교배가 아닌 번식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인공교배를 위한 개화기의 조절 방법이 아니다. 삽목은 이미 존재하는 식물의 가지를 잘라서 새로운 식물을 만드는 방법으로, 인공교배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삽목에 의한 조절은 인공교배를 위한 개화기의 조절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1. 화기의 구조를 조사한다.
  2. 후대검정을 한다.
  3. 당대에 정밀한 형태조사를 한다.
  4. 조합능력 검정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을 해야 한다. 후대검정은 특정 유전자 변이가 어떤 특정 질병과 연관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유전학적 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해당 변이를 가진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비교하여 질병 발생률의 차이를 분석하고, 해당 변이가 질병과 연관이 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방황변이의 유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작물 시험구의 형상으로 가장 적당한 형은?

  1. 원형
  2. 타원형
  3. 장방형
  4. 삼각형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 시험구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쉽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형상은 면적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장방형"입니다. 원형과 타원형은 면적을 계산하기 어렵고, 삼각형은 너무 각이 많아서 측정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양친의 초장이 각각 100cm와 60cm일 때 F1의 초장이 50cm 였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 중 어떤 경우인가?

  1. 완전우성
  2. 불완전우성
  3. 완전열성
  4. 초우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초우성"이다.

    초우성은 양 부모의 초장이 차이가 매우 큰 경우에 발생한다. F1 세대에서는 양 부모의 염색체가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고, 한 쪽 부모의 염색체가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초장이 다른 현상이 나타난다. 이 경우 F1 세대의 표현형은 한 쪽 부모에 더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양 부모의 초장 차이가 큰 경우에는 F1 세대에서 초장이 다른 현상이 나타나며, 이를 초우성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재 종묘회사에서 판매하는 채소 품종들은 주로 어떤 종류인가?

  1. F1 잡종
  2. 재래종
  3. 고정종
  4. 변이종
(정답률: 알수없음)
  • 종묘회사에서 판매하는 채소 품종들은 대부분 F1 잡종입니다. F1 잡종은 부모의 우수한 성질을 유전적으로 결합시켜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가지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농작물 생산에 많이 사용됩니다. 재래종은 오랜 세월 동안 자연적으로 발생한 품종으로 유전적으로 다양하지만 생산성과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정종은 특정한 성질을 가진 개체들을 선택적으로 교배하여 유전적으로 일정한 성질을 가지는 품종으로, 일정한 생산성과 품질을 보장합니다. 변이종은 돌연변이나 돌연변이를 인공적으로 유도하여 생긴 품종으로, 특정한 성질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순계 분리 육종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순계내의 선발은 의미가 없다.
  2. 유전적으로 불순한 집단이 대상이 된다.
  3. 자식성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쉽다.
  4. 자식열세가 큰 타가수정작물에서 효과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식열세가 큰 타가수정작물에서 효과가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순계 분리 육종에서는 자식성 작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쉽고, 유전적으로 불순한 집단이 대상이 된다. 또한, 순계내의 선발은 의미가 없다는 것도 맞다. 하지만 자식열세가 큰 타가수정작물에서 효과가 크다는 것은 옳지 않다. 순계 분리 육종에서는 자식열세가 큰 작물일수록 유전적으로 불순한 성질이 많아서 오히려 효과가 작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품종의 특성이 가장 변하지 않는 것은?

  1. 자식성 작물
  2. 타식성 작물
  3. 영양번식 작물
  4. F1 이용 작물
(정답률: 알수없음)
  • 영양번식 작물은 씨앗 대신에 줄기, 뿌리, 잎, 줄기 노드 등을 이용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유전적으로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품종의 특성이 가장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전물질의 작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유전물질은 대부분 핵안에 있으나 세포질에도 일부 있다.
  2. 체세포분열에 필요한 유전 물질의 증식은 DNA의 복제에 의한다.
  3. 모든 유전자는 외부환경조건에 관계없이 특정의 형질을 표현한다.
  4. 실용적인 유전물질의 재조합은 유성생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모든 유전자는 외부환경조건에 관계없이 특정의 형질을 표현한다." 이다. 이는 틀린 설명이다. 외부환경조건은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전자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이 형질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멜라닌 합성을 촉진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여 피부가 검게 변하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적인 환경조건에서 정확한 감별이 불가능하여 형질 발현에 적합한 환경에서 검정하여야 하는 형질은?

  1. 수량성
  2. 내병성
  3. 개화기
  4. 초형
(정답률: 알수없음)
  • 내병성은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발현되지 않지만 특정한 환경에서 발현되는 형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감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형질 발현에 적합한 환경에서 검정하여야 합니다. 이와 달리 수량성, 개화기, 초형은 일반적인 환경에서도 형질 발현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감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질 배수체를 유발시킬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1. 방사선 조사
  2. 종간, 속간잡종 시도
  3. 콜히친 처리
  4. 중복수정
(정답률: 알수없음)
  • 콜히친 처리는 DNA를 균일하게 단편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동질 배수체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유전자 변이를 유발시키거나, 유전자의 혼합을 유발시켜 동질 배수체를 유발시키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생식세포 제1분열에서 상동 염색체의 대합이 일어나는 시기는?

  1. 중기
  2. 후기
  3. 말기
  4. 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기"입니다.

    생식세포 제1분열에서 상동 염색체의 대합이 일어나는 시기는 "전기"입니다. 이는 염색체가 상호 교차하여 유전자의 재조합이 일어나는 단계로, 이때 염색체의 대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생식세포의 분열 중간에 일어나며, 분열 후에는 각 염색체가 서로 다른 유전자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채종 단계를 나열한 것이다. 본래의 특성에 가장 가까운 종자는 어느 것인가?

  1. 원종
  2. 원원종
  3. 보급종
  4. 기본식물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식물은 채종의 첫 번째 단계인 원종으로부터 번식하여 생산된 식물로, 본래의 특성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종자이다. 따라서 채종의 다음 단계인 원원종, 보급종보다도 더욱 원래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채종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F2의 분리비를 관찰하여서 각각의 유전인자가 독립유전을 하는지의 여부를 검정할 때 쓰이는 방법은?

  1. t검정
  2. F검정
  3. X2 검정
  4. 조환가의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F2의 분리비를 관찰하여 각각의 유전인자가 독립유전을 하는지 검정할 때, X2 검정을 사용한다. 이는 분리비가 예상되는 비율과 실제로 관찰된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X2 검정은 관찰된 분리비와 예상되는 분리비 간의 차이를 제곱하여 상대적인 크기를 계산하고, 이를 자유도에 따른 기대값과 비교하여 검정한다. 따라서, 각각의 유전인자가 독립유전을 하는지를 검정할 때 X2 검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감자의 추작재배를 위하여 휴면타파에 이용되는 생장 조절제는?

  1. 오옥신
  2. 지베렐린
  3. 사이토카이닌
  4. 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지하부위인 뿌리가 발달하면서 식물체가 생장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장을 촉진시키는 지베렐린이 사용된다. 따라서 감자의 추작재배를 위해 휴면타파에 이용되는 생장 조절제는 지베렐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단위결과를 자연적으로 볼 수 있는 작물로 짝지어진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바나나, 감귤, 부유감
  2. 바나나, 복숭아, 배
  3. 무화과, 사과, 포도
  4. 무화과, 밤, 사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바나나, 감귤, 부유감"이다. 이는 모두 열매가 있고, 열매의 크기와 수량이 단위결과를 자연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바나나는 한 송이가 하나의 단위결과이며, 감귤은 한 개가 하나의 단위결과이다. 부유감은 크기가 다양하지만, 한 개가 하나의 단위결과이다. 다른 보기들은 열매의 크기나 수량이 단위결과를 자연적으로 볼 수 있는 정확한 기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의 중간 기주식물은?

  1. 전나무
  2. 향나무
  3. 가문비나무
  4. 밤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은 향나무를 중간 기주식물로 사용합니다. 이는 적성병균이 향나무에 강하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향나무를 중간 기주식물로 사용하여 적성병을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내풍성 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1. 고구마
  2. 목화
(정답률: 알수없음)
  • 고구마는 내풍성 작물에 해당합니다. 이는 고구마가 바람이 강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벼, 목화, 콩은 바람에 취약한 작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과실의 성숙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1. 지베렐린(gibberellic acid)
  2. 에틸렌(ethylene)
  3. IAA(indoleacetic acid)
  4. ABA(abscisic acid)
(정답률: 알수없음)
  • 에틸렌은 과실의 성숙을 촉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에틸렌은 과실의 색상, 향기, 맛, 텍스처 등을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에틸렌은 과실의 성장을 억제하고, 산분해 효소를 활성화시켜 과실의 성숙을 가속화시킵니다. 따라서, 에틸렌은 과실의 성숙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작물체가 생장할 때 평면공간으로 상당히 퍼지는 작물에 알맞은 파종 양식은?

  1. 산파
  2. 조파
  3. 점파
  4. 적파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체가 생장할 때 평면공간으로 상당히 퍼지는 경우에는 점파 양식이 적합합니다. 이는 작물을 작은 점으로 심어서 작물체가 퍼지는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고, 작물 간의 경쟁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산파는 산등성이 모양으로 심는 양식이며, 조파는 줄지어 심는 양식입니다. 적파는 작물을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 심는 양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복의 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

  1. 도복저항성 품종을 이용한다.
  2. 밀식재배를 통하여 입묘수를 늘린다.
  3. 규산질비료의 시용을 늘린다.
  4. 식물생장조절제를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밀식재배를 통해 입묘수를 늘리는 것은 도복의 대책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도복이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을 흡수하는 뿌리를 줄이고, 대신 더 많은 공기를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밀식재배를 통해 뿌리가 더 많은 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도복의 저항성을 높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량과 사료를 서로 균형 있게 생산하는 재배형식은?

  1. 식경(殖耕)
  2. 원경(園耕)
  3. 소경(疎耕)
  4. 포경(圃耕)
(정답률: 64%)
  • 포경은 작은 구획에 작물을 재배하고, 그 사이에 사료작물을 심어서 땅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재배형식입니다. 이 방식은 작물과 사료의 생산을 균형 있게 할 수 있어서 지속적인 농업 생산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벼나 보리의 채종 재배시 이형주를 도태시키는데 가장 적당한 시기는?

  1. 출수기
  2. 감수분열기
  3. 유수형성기
  4. 유효분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출수기는 벼나 보리의 생장기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이때 식물의 생장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수기에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이형주를 도태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시기가 됩니다. 감수분열기는 출수기 이전에 일어나는 단계이며, 유수형성기와 유효분얼기는 출수기 이후에 일어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시 근교에서 수익성이 높은 작물을 선택하여 집약적 관리를 하는 작부방식은?

  1. 이동경작
  2. 자유경작
  3. 대전법(代田法)
  4. 순환농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경작은 작물을 선택하고 작물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관리를 하여 수익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 달리 작물 선택과 관리에 대한 자유도가 높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동경작은 토지를 이동하면서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 대전법은 토양의 비옥도를 높이기 위해 토양을 교체하는 방식, 순환농법은 여러 작물을 번갈아가며 재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물 생육에 필요 불가결한 미량원소가 아닌 것은?

  1. 아연
  2. 염소
  3. 붕소
  4. 규소
(정답률: 알수없음)
  • 규소는 작물 생육에 필요한 미량원소가 아닙니다. 규소는 식물체 내에서 구조적인 역할을 하지만, 직접적으로 생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반면, 아연, 염소, 붕소는 작물 생육에 필수적인 미량원소입니다. 아연은 산화물환원효소의 활성화와 염기성 인산의 합성에 필요하며, 염소는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염기성 전해질을 제공합니다. 붕소는 식물체 내에서 세포벽의 구성에 관여하며, 식물체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오옥신의 재배적 이용이 아닌 것은?

  1. 발근 촉진
  2. 가지의 굴곡유도
  3. 제초제로 이용
  4. 과실의 성숙 지연
(정답률: 알수없음)
  • 오옥신은 발근 촉진, 가지의 굴곡유도, 제초제로 이용 등의 재배적 이용이 가능하지만, 과실의 성숙 지연은 불가능합니다. 이는 오옥신이 열매를 맺는 시기가 늦어서이며, 따라서 과실의 성숙 지연은 오옥신의 특성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물생육에 적당하지 않은 토양수분상태는?

  1. 최대용수량
  2. 최소용수량
  3. 수분당량
  4. 포장용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생육에 적당하지 않은 토양수분상태는 "최대용수량"이다. 최대용수량은 토양이 가장 많은 양의 물을 보유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 상태에서는 과습으로 인한 균류나 곰팡이 등의 병해충 발생이 쉽고, 뿌리가 썩을 수 있으며, 물이 너무 많아서 산소가 부족해져서 뿌리가 죽을 수도 있다. 따라서 최대용수량은 작물생육에 적당하지 않은 토양수분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물생육에서 질소기아가 일어나는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1. 유기물 시용을 극히 제한 하였을 때
  2. 미숙유기물을 다량 시용 하였을 때
  3. 완숙유기물을 다량 시용 하였을 때
  4. 작물의 질소 흡수가 왕성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미숙유기물은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로서, 작물이 직접 흡수할 수 있는 질소가 적어서 질소기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숙유기물을 다량 시용하면 작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증산계수가 큰 작물로 짝지은 것은?

  1. 옥수수, 수수, 기장
  2. 사탕무우, 귀리, 감자
  3. 호박, 알팔파, 클로버
  4. 보리, 완두, 밀
(정답률: 알수없음)
  • 증산계수란 작물이 생산하는 뿌리와 줄기의 양에 비례하여 토양의 질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증산계수가 큰 작물은 토양으로부터 많은 질소를 흡수하여 생장이 잘 되는 작물입니다. 이에 따라 호박, 알팔파, 클로버가 증산계수가 큰 작물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료의 행동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방사성동위 원소는?

  1. 11C, 14C
  2. 60CO, 24Na
  3. 32P, 42K, 45Ca
  4. 137Cs, 35S
(정답률: 알수없음)
  • 비료는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비료의 행동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비료가 어떻게 식물 내부에서 이용되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사성동위 원소는 비료가 식물 내부에서 이용될 때 함께 이용되는 원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서 32P, 42K, 45Ca가 비료의 행동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사성동위 원소로 선택됩니다. 이들 원소는 비료가 식물 내부에서 이용될 때 함께 이용되는 인산, 칼륨, 칼슘 등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작물 중에서 내습성이 가장 강한 작물은?

  1. 맥류
  2. 당근
(정답률: 알수없음)
  • 벼는 물이 많이 필요한 물작물로, 내습성이 가장 강합니다. 즉,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잘 자라며, 건조한 환경에서는 잘 자라지 않습니다. 따라서 벼는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재배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해를 입은 뒤의 사후대책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물이 빠진 즉시 추비해야 한다.
  2. 철저한 병해충 방제노력이 있어야 한다.
  3. 물이 빠진 즉시 새로운 물을 갈아 대야 한다.
  4. 토양표면의 흙앙금을 헤쳐줌으로서 지중 통기를 좋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이 빠진 즉시 추비해야 한다는 것은, 수해로 인해 땅이 너무 적당하지 않은 상태가 되었을 때, 물이 빠진 후에 빠르게 땅을 파서 흙을 풀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하면 땅이 물에 잠기지 않고 공기가 잘 통하는 상태가 되어 식물이 살아남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수해 후에 가장 중요한 대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벼 재배시 이화명충의 피해가 큰 지역에서 심어야 할 품종의 특성은?

  1. 내충성
  2. 내병성
  3. 조생종
  4. 내건성
(정답률: 알수없음)
  • 내충성 품종은 벼를 재배하는 지역에서 이화명충과 같은 해충에 대한 내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이화명충과 같은 해충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더욱 효율적인 재배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든 작물의 정상적인 종자발아에 관여하는 공통적인 외적 요인이 아닌 것은?

  1. 온도
  2. 산소
  3. 수분
(정답률: 알수없음)
  • 빛은 모든 작물의 정상적인 종자발아에 관여하는 공통적인 외적 요인 중 하나이지만, 모든 작물이 빛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작물은 그늘에서 잘 자라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빛은 모든 작물에게 필수적인 외적 요인은 아니며, 이 보기에서는 유일하게 그렇지 않은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우리나라의 밭에서 발생되는 우생잡초 중에 화본과 1년생 잡초는?

  1. 쇠비름
  2. 바랭이
  3. 참방동사니
  4. 바람하늘지기
(정답률: 알수없음)
  • 화본과 1년생 잡초는 농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해충이다. 이 중에서 "바랭이"는 우리나라의 밭에서 발생되는 화본과 1년생 잡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계면활성제(surfactant)의 작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습윤성과 확전성 증대
  2. 부착성과 고착성 증대
  3. 유화성 증대
  4. 표면장력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낮추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표면장력 증가"는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해당되지 않는다. 표면장력이 증가하면 물과 다른 물질 간의 접촉이 어려워지므로, 계면활성제는 이를 낮추어 물과 다른 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는 습윤성과 확전성, 부착성과 고착성, 유화성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각 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딧물류나 매미충류는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다.
  2. 혹명나방의 유충은 벼를 가해한다.
  3. 온실가루이는 채소작물의 중요한 해충이다.
  4. 흰등멸구는 우리 나라에서 월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흰등멸구는 우리 나라에서 월동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농약의 어류독성 및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수중생물의 성장 단계
  2. 유기물 함량
  3. 수온
  4. 제제 형태
(정답률: 알수없음)
  • 농약의 어류독성 및 감수성은 수중생물의 성장 단계, 수온, 제제 형태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지만, 유기물 함량은 그렇지 않습니다. 유기물 함량은 물의 탁도와 같은 물리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농약의 독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작물 병원 중 가장 작은 병원체는?

  1. 진균
  2. 세균
  3. 바이러스
  4. 바이로이드
(정답률: 알수없음)
  • 바이로이드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 형태로, 바이러스보다는 크고 세균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생물체의 세포 내에서만 살아남을 수 있는 병원체입니다. 따라서 작물 병원 중 가장 작은 병원체는 바이로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날개를 복부 뒤로 구부릴 수 없는 곤충목은?

  1. 잠자리목
  2. 매미목
  3. 바퀴목
  4. 사마귀목
(정답률: 알수없음)
  • 잠자리목은 날개를 복부 뒤로 구부릴 수 없는 곤충목이다. 이는 잠자리목의 날개가 몸 쪽으로 접혀서 놓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잠자리목은 날개를 놓고 휘갈기지 않고, 직선적으로 날아다닐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로 공중액제 살포시 살포액의 보급 횟수를 적게하고 살포능력을 높이는 생력적인 것은?

  1. 미량살포
  2. 묽게 희석 살포
  3. 다량살포
  4. 공중 증량제 살포
(정답률: 알수없음)
  • 미량살포는 살포액을 작은 양씩 조금씩 살포하는 것으로, 살포액의 보급 횟수를 적게하고 살포능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헬리콥터로 공중액제 살포시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묽게 희석 살포는 살포액을 묽게 만들어 살포하는 것으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다량살포는 살포액을 한 번에 많이 살포하는 것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공중 증량제 살포는 살포액을 공중에서 증량시켜 살포하는 것으로, 환경오염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에 직접 대응하는 저항성 인자에 의해 나타나는 저항성을 무슨 저항성이라고 하는가?

  1. 단순저항성
  2. 중도저항성
  3. 진정저항성
  4. 부분저항성
(정답률: 알수없음)
  • 진정저항성은 병원균의 병원성 유전자에 직접 대응하는 저항성 인자에 의해 나타나는 저항성을 말한다. 이는 병원균이 특정 항생제에 대해 저항성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항생제가 작용하는 병원성 유전자를 직접 대상으로 하는 인자에 의해 저항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항생제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진정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병원체의 침입방법 중 자연개구를 통한 침입이 아닌 것은?

  1. 기공
  2. 수공
  3. 밀선
  4. 각피
(정답률: 알수없음)
  • 각피는 피부의 각질층을 통해 침입하는 방법으로, 자연개구를 통한 침입이 아닙니다. 기공은 모공이나 눈물샘 등의 자연개구를 통해 침입하고, 수공은 소화관, 호흡기 등의 자연개구를 통해 침입합니다. 밀선은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방법으로, 각피와는 다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에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잡초는?

  1. 버뮤다그래스
  2. 자주괭이밥
  3. 나도겨풀
  4. 올미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잡초는 뿌리를 통해 번식하는데, 이 중에서 나도겨풀은 뿌리가 지하경을 통해 번식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개 씨앗을 통해 번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작물을 각종 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적절한 것은?

  1. 저항성 품종의 육성
  2. 병해충 방제 기구의 개량
  3. 농약의 개발과 적기 살포
  4. 다량의 시비
(정답률: 알수없음)
  • 다량의 시비는 작물을 보호하는 방법이 아니라 오히려 작물을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부적절한 것이다. 과도한 비료 사용은 토양 오염과 작물의 과다 생장으로 인한 병해충 발생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정한 양의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곤충 혈림프에는 곤충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혈구가 있는데 이들 혈구의 여러 가지 기능 중 지혈, 응고 및 침전작용을 주로 담당하고 있는 혈구는?

  1. 낭상혈구
  2. 과립혈구
  3. 세포질혈구
  4. 소구형혈구
(정답률: 알수없음)
  • 낭상혈구는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혈구로, 혈액 내부에서 혈소판과 함께 응고반응을 일으켜 혈액이 응고되어 상처가 막히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 때문에 지혈작용을 주로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메프 유제 20%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100L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려고 할 때 소요 약량은 얼마인가?

  1. 100 mL
  2. 90 mL
  3. 80 mL
  4. 70 mL
(정답률: 알수없음)
  • 메프 유제 20%를 1,000배로 희석하면 0.02%의 농도가 된다. 따라서 10a당 100L를 살포할 때 필요한 양은 0.02 × 100 = 2g이다. 이를 1,000배로 희석했으므로, 실제로 사용해야 할 양은 2g ÷ 1,000 = 0.002g 또는 2mg이다. 이를 mL로 환산하면, 농도 20%일 때 1mL에 해당하는 메프 유제의 질량은 20mg이므로, 2mg을 사용하려면 2mg ÷ 20mg/mL = 0.1mL 또는 100mL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00 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용이란 다 자란 유충의 허물이 그대로 굳어서 번데기의 껍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2. 진딧물의 생활사 중에서 간모란 늦가을에 발생하는 수정란을 낳을 수 있는 성충을 말한다.
  3. 단위생식 또는 처녀생식이란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것을 말한다.
  4. 유효적산온도의 법칙은 한 생물이 생육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총온도는 일정하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용이란 다 자란 유충의 허물이 그대로 굳어서 번데기의 껍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 틀림. 위용은 번데기의 껍질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진딧물의 생활사 중에서 간모란 늦가을에 발생하는 수정란을 낳을 수 있는 성충을 말한다. - 맞음. 간모란은 진딧물의 번식기관 중 하나로, 늦가을에 발생하는 수정란을 낳을 수 있는 성충을 말한다.

    단위생식 또는 처녀생식이란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것을 말한다. - 맞음. 단위생식 또는 처녀생식은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것을 말한다.

    유효적산온도의 법칙은 한 생물이 생육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총온도는 일정하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 맞음. 유효적산온도의 법칙은 한 생물이 생육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총온도가 일정하다는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잡초의 2차 휴면을 일으키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탄산가스의 짙은 농도
  2. 산소부족
  3. 고온
  4. 수분흡수장해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의 2차 휴면을 일으키는 조건은 탄산가스의 짙은 농도, 산소부족, 고온 등이 있지만, 수분흡수장해는 그렇지 않은 조건이다. 잡초는 수분이 부족하면 휴면 상태로 들어가지만, 수분이 많으면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흡수장해는 잡초의 2차 휴면을 일으키는 조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식물병의 발생에 주된 요인을 도와 촉진시키는 보조적 원인은?

  1. 주인
  2. 유인
  3. 요인
  4. 원인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조적 원인은 주된 요인을 도와서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인"은 식물병의 발생에 주된 요인을 유발하거나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조적 원인으로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병원균이나 해충이 식물에 침입하는 것이 주된 요인이라면, 환경적인 요인이나 영양분 부족 등이 유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매년 중국으로부터 비래해 오며, 해에 따라 대발생하여 벼생육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해충은?

  1. 애멸구
  2. 이화명나방
  3. 벼멸구
  4. 끝동매미충
(정답률: 알수없음)
  • 해충의 이름인 "벼멸구"는 "벼"와 "멸구"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이다. "벼"는 벼쌀을 뜻하고, "멸구"는 해충의 일종으로 벼를 해치는 작은 곤충을 뜻한다. 따라서 "벼멸구"는 벼를 해치는 작은 곤충이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잡초의 유용성과 관계없는 사항은?

  1. 지면을 덮어서 침식을 방지한다.
  2. 구황작물로서 이용성이 인정된다.
  3. 작물과 경합하여 작물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한다.
  4. 잡초는 자연보존과 유전자은행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와 작물이 경쟁하면 작물은 물과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없어서 성장이 늦어지거나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잡초를 제거하면 작물이 더욱 튼튼하게 자라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식물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방법은?

  1. KOSEF
  2. NMR
  3. ELISA
  4. NIR
(정답률: 알수없음)
  • ELISA는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의 약자로,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서 시료에 있는 바이러스와 결합시키고, 이를 효소로 표시하여 양성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ELISA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식물 바이러스를 진단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최근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무사마귀병의 설명 중 맞는 내용은?

  1. 자낭균에 의한 병이다.
  2. 산성 토양일수록 많이 발생한다.
  3. 국화과 식물에 주로 발생한다.
  4. 주 전염원은 토양전염보다 공기전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산성 토양일수록 많이 발생한다." 이다.

    무사마귀병은 자낭균에 의한 병으로, 국화과 식물에 주로 발생한다. 이 병은 토양전염과 공기전염 둘 다 가능하지만, 산성 토양일수록 더 많이 발생한다. 이는 자낭균이 산성 환경에서 더 잘 번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사마귀병 예방을 위해서는 토양의 pH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