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8-08)

종자산업기사
(2004-08-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채종포에서 종자의 과도한 밀파(密播)를 피하는 이유는?

  1. 파종량이 많아져 비용이 더 들므로
  2. 비료, 농약의 소모가 많으므로
  3. 과번무(過繁茂)되어 포장관리가 어려워지므로
  4. 종실의 크기가 작아져 품질이 떨어지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채종포에서 종자를 과도하게 밀파하면 종실의 크기가 작아져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피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분종자에서 전분립이 주로 저장되어 있는 곳은?

  1. 배유
  2. 배축
  3. 떡잎
(정답률: 알수없음)
  • 전분립은 배유에 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는 배유가 전분을 합성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옥수수 F1 품종의 종자를 채종하는 과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모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2. 부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암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3. 부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꽃가루가 비산하기 전에 제거한다.
  4. 종자의 생산은 부본의 암꽃에서 얻어진 종자도 모본의 암꽃에서 얻어진 종자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본으로 이용하는 계통의 수꽃은 피기전에 제거한다." 이유는 모본 계통에서는 수술로 인해 수꽃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꽃이 발생하지 않는 모본 계통에서는 수꽃을 제거해도 종자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공수분을 위한 개화기 조절 방법이 되지 못하는 것은?

  1. 파종기 조절
  2. 적심에 의한 조절
  3. 붕소 시용
  4. 식물생장조절제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공수분을 위한 개화기 조절은 식물의 성장과 꽃의 개화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 붕소는 꽃의 개화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붕소 시용이 되지 못하는 것은 인공수분을 위한 개화기 조절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자생산을 위한 채종재배에서의 일반적인 사항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유전적으로 순수하게 생산한 종자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2. 생리적으로 충실하고 종자 활력이 유지된 종자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3. 병해충에 오염되지 않은 종자로서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4.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확 재배법으로 생산한 종자로 경제성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확 재배법으로 생산한 종자로 경제성이 높아야 한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확 재배법을 사용하더라도, 생산된 종자는 유전적으로 순수하고 생리적으로 충실하며, 병해충에 오염되지 않은 품질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이는 종자의 품질이 높을수록 높은 수확량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 포장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방습질(防濕質)류의 가장 큰 장점은?

  1. 무게가 가벼워진다.
  2. 종자 중량에 변화가 적다.
  3. 포장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4. 재고목록을 비치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64%)
  • 방습질은 습기를 흡수하여 종자 내부의 수분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종자 중량에 큰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종자의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운송 및 보관 시에도 안정적이며, 정확한 수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국가보증의 정의로 맞는 것은?

  1. 종자업자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2. 종자관리사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3. 농림부장관이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4. 생산자단체가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보증은 국가가 특정 분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손실을 보장하는 것으로, 농림부장관이 행하는 종자보증은 국가가 농업 분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손실을 보장하기 위해 농업 종자에 대한 보증을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농림부장관이 행하는 종자보증을 말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번식 수단으로 식물학상의 종자를 이용하는 것은?

  1. 쌀보리
  2. 옥수수
(정답률: 알수없음)
  • 콩은 종자를 이용하여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씨앗이나 뿌리를 이용하여 번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종자관리사의 자격정지 1년에 해당하는 위반사항은 어느 것인가?

  1.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형의 선고를 받은 경우
  2. 종자관리사 자격과 관련하여 2회 이상 이중취업을 한 경우
  3. 자격정지 처분기간 종료 후 3년 이내에 자격정지 처분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경우
  4.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막대한 손실을 가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보증은 농작물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자관리사는 이를 보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종자보증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타인에게 막대한 손실을 가한 경우, 이는 매우 심각한 위반이 됩니다. 이러한 행위는 농작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며, 농민들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반사항은 자격정지 1년에 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자의 저장방법 중에서 용기내에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판매용 종자의 저장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1. 밀봉저장
  2. 층적저장
  3. 건조저장
  4. 냉건저장
(정답률: 알수없음)
  • 밀봉저장은 용기 내에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여 종자의 산화를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종자의 신선도와 발아율을 유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 순도 분석시 분류 항목이 아닌 것은?

  1. 정립 (Pure seed)
  2. 이종종자 (Other seed)
  3. 쇄립 (Broken seed)
  4. 이물 (Inert matter)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 순도 분석시 분류 항목 중에서 쇄립 (Broken seed)은 종자의 순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쇄립은 종자가 파손되어 부서진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종자의 품질과 관련이 있지만 순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종자 순도 분석시 분류 항목으로는 정립 (Pure seed), 이종종자 (Other seed), 이물 (Inert matter)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규정에 의한 품종 명칭의 등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1. 숫자 또는 기호로만 표시한 품종 명칭
  2. 공공질서를 문란하게 할 우려가 있는 품종 명칭
  3. 수확량만으로 표시한 품종 명칭
  4. 타인의 승낙을 득하여 그 사람의 성명을 이용한 품종 명칭
(정답률: 알수없음)
  • 타인의 승낙을 득하여 그 사람의 성명을 이용한 품종 명칭은 개인의 권리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해당 인물이 동의를 한 경우에만 등록이 가능하다. 다른 보기들은 품종의 특징이나 성질과 관련이 없거나, 공공질서를 해치는 경우 등으로 인해 등록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식물의 화아유도에 영향을 주며 일장효과와 광선의 질에 의하여 결정되는 물질은?

  1. 말레익 하이드라짓드(Maleic hydrazide (MH))
  2. 지베렐린 (GA3)
  3. 사이토카이닌(Cytokinin)
  4. 파이토크롬(Phytochrome)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의 화아유도에 영향을 주는 물질은 파이토크롬입니다. 파이토크롬은 일장효과와 광선의 질에 의해 활성화되며, 이를 통해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른 보기인 말레익 하이드라짓드, 지베렐린, 사이토카이닌은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물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종자의 발아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효소의 활성화 → 과피 파열 → 수분 흡수 → 유묘출아 → 배의 생장개시
  2. 배의 생장개시 →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유묘 출아 → 과피 파열
  3.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배의 생장개시 → 과피 파열 → 유묘 출아
  4. 유묘 출아 → 배의 생장개시 → 효소의 활성화 → 수분 흡수 → 과피 파열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가 물을 흡수하면 수분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효소가 활성화되어 배의 생장이 시작됩니다. 배가 생장하면 과피가 파열되고, 이후에 유묘가 출아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수분 흡수 → 효소의 활성화 → 배의 생장개시 → 과피 파열 → 유묘 출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위하여 발아검사를 할 때의 최소 시료는 어느 정도여야 하는가?

  1. 50립씩 2반복
  2. 50립씩 4반복
  3. 100립씩 2반복
  4. 100립씩 4반복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검사는 씨앗의 발아력을 측정하여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최소 시료는 100립씩 4반복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씨앗의 발아력은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료를 사용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함입니다. 50립씩 2반복이나 50립씩 4반복은 시료가 너무 적어서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0립씩 2반복은 시료는 충분하지만 반복 횟수가 적어서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0립씩 4반복이 가장 적절한 시료 양과 반복 횟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자 채종 기술에서 기회적 부동(機會的 浮動, random drift)이란 무엇인가?

  1. 채종 조건에 따라 그 해에 발현되는 표현형 비율
  2. 선발 과정에서 특수한 형질만을 선발하여 채종하는 경우
  3. 개화기에 타가수정에 의해서 잡종 발현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
  4. 특정 유전자형만 채종되어 다음 세대의 유전자형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회적 부동(機會的 浮動, random drift)은 특정 유전자형만 채종되어 다음 세대의 유전자형 비율이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우연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채종 조건이나 선발 과정과는 무관합니다. 이러한 기회적 부동은 작은 규모의 개체군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며, 큰 규모의 개체군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 발아력 검사방법 가운데 발아력을 가장 빨리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은?

  1. X-선 검사법
  2. 효소활성 측정법
  3. 전기전도율 검사법
  4. 테트라졸리움(TZ) 검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테트라졸리움(TZ) 검사법은 종자의 발아력을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TZ가 종자 내부의 호흡활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산소량을 측정하여 발아력을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검사법들과 달리 발아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정선할 벼 종자 8000 kg 시료종자를 접수하여 수분함량이 23 %인 종자를 12 %로 건조시킬 때의 종자 중량은 얼마인가?

  1. 1,000 kg
  2. 2,000 kg
  3. 5,000 kg
  4. 7,000 kg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종자의 수분함량이 23%이므로, 100 kg의 시료종자 중에 23 kg는 수분이다. 따라서 8000 kg의 시료종자 중에는 1840 kg의 수분이 있다.

    건조 후에는 시료종자의 중량이 줄어들어야 한다. 이때, 시료종자의 중량이 12%가 되려면, 100 kg의 시료종자 중에 12 kg는 수분이어야 한다. 따라서 8000 kg의 시료종자 중에는 960 kg의 수분이 있어야 한다.

    즉, 건조 후에는 시료종자의 중량이 8000 kg - (1840 kg - 960 kg) = 5920 kg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00 kg"가 아니라 "5,000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때 종자보증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국립종자관리소에서 벼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2. 시∙군에서 보리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3. 작물시험장에서 종자를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4. 농협에서 감자 종자를 판매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시험장에서는 종자를 연구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종자보증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종자보증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품종보호 출원시 제출하는 작물별 시험용 종자 시료량으로 맞는 것은?

  1. 벼 : 400 g
  2. 보리 : 1,000 g
  3. 콩 : 2,000 g
  4. 밀: 1,500 g
(정답률: 알수없음)
  • 품종보호 출원시 제출하는 작물별 시험용 종자 시료량은 해당 작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콩은 작은 크기의 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시료를 확보하기 위해 2,000g를 제출해야 합니다. 반면에 벼는 큰 크기의 종자를 가지고 있지만, 시료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400g를 제출합니다. 보리와 밀은 중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 1,000g와 1,500g를 제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이계교배(異系交配)의 문제점이 될 수 없는 것은?

  1. 형질 고정의 곤란
  2. 유전자 구성의 복잡
  3. 유전자 구성의 단순
  4. 교잡 불친화성
(정답률: 알수없음)
  • 이계교배에서 유전자 구성이 단순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종이나 품종의 개체들이 교배해도 유전자의 조합이 복잡하지 않아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전자 구성이 단순한 경우에는 이계교배의 문제점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험구 배치에 있어서 품종과 반복이 반드시 같아야 하는 방법은?

  1. 분할 시험구법
  2. 라틴방격법
  3. 난괴법
  4. 임의 배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라틴방격법은 품종과 반복이 반드시 같아야 하는 시험구 배치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각 품종과 반복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각 행과 열에서 한 번씩만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품종과 반복이 정확히 같은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바빌로프(Vavilov)가 주요 작물의 재배 중심지를 8개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벼는 어느 지구에 속하는가?

  1. 중국지구
  2. 힌두스탄지구
  3. 근동지구
  4. 중앙아메리카지구
(정답률: 알수없음)
  • 바빌로프는 주요 작물의 원산지와 재배 중심지를 연구하여 8개 지역으로 나누었습니다. 이 중 벼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인도에서 재배되었으며,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벼는 "힌두스탄지구"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세포질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포질 유전물질은 플라스마진(Plasmagene)이라 한다.
  2. 색소체의 유전은 일반적으로 모계의 것만이 유전한다.
  3. 세포질 유전 물질은 DNA에 의하여 구성되고 자기증식을 한다.
  4. 멘델성 유전과 같이 대립인자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포질 유전물질은 플라스마진(Plasmagene)이라 한다.", "색소체의 유전은 일반적으로 모계의 것만이 유전한다.", "세포질 유전 물질은 DNA에 의하여 구성되고 자기증식을 한다."는 모두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멘델성 유전과 같이 대립인자가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세포질 유전은 대부분 단일 유전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유전자들이 상호작용하여 표현형을 결정하기 때문에 대립인자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동 유전자(major gene)와 폴리진(poly gene)의 차이점을 잘 설명한 것은?

  1. 주동 유전자는 지배가가 크다.
  2. 폴리진의 유전력은 확실하게 다음 세대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폴리진은 양적형질을 나타내고 주동 유전자는 질적형질을 나타낸다.
  4. 주동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의 형질 발현을 억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동 유전자는 하나의 유전자가 다른 모든 유전자보다 지배력이 크기 때문에 해당 유전자의 형질이 나타나는 경향이 크다. 이는 해당 유전자가 표현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면, 폴리진은 여러 유전자의 조합으로 나타나는 양적형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음 세대에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주동 유전자는 질적형질을 나타내고, 폴리진은 양적형질을 나타낸다. 또한, 주동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의 형질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조기검정을 응용하여 단기간에 계통의 조합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3년을 1기간으로 하는 선발 방법은?

  1. 누적선발법
  2. 순환선발법
  3. 상반순환선발법
  4. 계통간교잡법
(정답률: 알수없음)
  • 3년을 1기간으로 하는 선발 방법은 순환선발법입니다. 이는 각 기간마다 일정한 인원을 선발하여 그 인원들이 다음 기간에도 계속해서 선발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조기검정을 응용하여 단기간에 계통의 조합능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품종의 퇴화를 유전자 퇴화와 생리적 퇴화로 나눌 때 생리적 퇴화에 속하는 것은?

  1. 토양적 퇴화
  2. 돌연변이 퇴화
  3. 자연교잡 퇴화
  4. 이형 유전자형의 분리
(정답률: 알수없음)
  • 생리적 퇴화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품종의 퇴화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토양적 퇴화는 토양의 영양성이 감소하거나 오염되어 작물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토양적 퇴화는 생리적 퇴화에 속하는 것입니다. 돌연변이 퇴화는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퇴화, 자연교잡 퇴화는 교잡에 의해 발생하는 퇴화, 이형 유전자형의 분리는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퇴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서로 관련되지 않는 것은?

  1. 수직 저항성
  2. 수평 저항성
  3. 미동유전자 저항성
  4. 총체적 저항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미동유전자 저항성"입니다.

    "수직 저항성"은 토양 내에서 물이 상승하는 능력을 말하며, "수평 저항성"은 토양 내에서 물의 이동을 방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총체적 저항성"은 토양 내에서 물과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는 모든 요인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미동유전자 저항성"은 유전체 내에서 유전자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성을 말합니다. 이는 토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자식물(被子植物)의 배젖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n
  2. 2n
  3. 3n
  4. 4n
(정답률: 알수없음)
  • 피자식물은 씨앗에 배젖이 존재합니다. 배젖은 씨앗의 영양분을 공급하고, 씨앗 발아 후에는 새로운 식물의 세포분열을 촉진합니다. 피자식물은 대부분이 3n 배수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젖도 3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2 집단의 유전력이 0.1이고 평균 수량이 500 g 일 때, 여기에서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평균값이 750 g이 된다면 선발 개체군의 차대 집단의 평균 수량은?

  1. 500 g
  2. 525 g
  3. 550 g
  4. 575 g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발 개체군의 평균값이 750 g이 되었으므로, 이 개체군의 유전력은 F2 집단의 유전력보다 높아진 것이다. 따라서 선발 개체군은 F2 집단보다 더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성은 평균 수량의 변동성을 증가시키므로, 선발 개체군의 평균 수량은 F2 집단의 평균 수량인 500 g보다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은 평균 수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므로, 750 g에 가까운 평균 수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F2 집단의 평균 수량과 선발 개체군의 평균 수량의 중간값인 525 g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525 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연 교잡율이 4 % 이하에 속하는 자식성 원예작물은?

  1. 비이트
  2. 당근
  3. 양파
  4. 토마토
(정답률: 알수없음)
  • 자연 교잡율이 4% 이하인 원예작물은 수동적인 인공교배 없이 자연적으로 교잡이 일어날 확률이 낮은 작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토마토는 꽃이 자가수분화되어 자가수분화로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 교잡율이 낮습니다. 따라서 토마토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양파의 웅성불임성인 Smsms와 NMsms의 다음 대에 나타나는 형은?

  1. NMsms, Nmsms
  2. NMsms, Smsms
  3. SMsms, Smsms
  4. SMsMs, SMsms
(정답률: 알수없음)
  • 양파의 웅성불임성은 유전자 형식으로 나타나며,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S와 N이다. S는 웅성불임성을 나타내며, N은 웅성불임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SMsms는 웅성불임성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Smsms는 웅성불임성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의 교배로 나타나는 형이다.

    따라서, 정답은 "SMsms, Sms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잡종강세 육종법 중 F1의 형질은 균일하나 종자 생산량이 적은 것은?

  1. A × B
  2. (A × B) × C
  3. (A × B) × (C × D)
  4. (A × B × C × D) × (E × F × G × H)
(정답률: 알수없음)
  • 잡종강세 육종법 중 F1의 형질은 균일하게 나타나지만, 부모 개체들이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F1 개체들은 다양한 형질을 가진다. 따라서 F1 개체들 중에서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하면, 원하는 형질을 가진 후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F1 개체들은 부모 개체들과 달리 생식세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종자 생산량이 적을 수 있다. 따라서 F1 개체들을 교배하여 원하는 형질을 가진 후손을 얻기 위해서는, 생산량이 많은 개체와 교배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A × B"이다. "A × B"는 두 개체를 교배한 후손으로, F1 개체들 중에서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하기에 적합한 개체이며, 생산량도 많기 때문에 후손을 많이 얻을 수 있다. 나머지 보기들은 여러 개체를 교배한 후손들로, 생산량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기에도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F1에 있어서 일반 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추정하는데이용되는 검정 방법은?

  1. 단교배 검정법
  2. 이면교배 검정법
  3. 다계교배 검정법
  4. 톱교배 검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F1에서 일반 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검정 방법은 이면교배 검정법입니다. 이는 두 개의 부모 개체가 서로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의 자손이 특정한 특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면교배 검정법은 특정한 유전적 특성을 가진 개체와 그렇지 않은 개체 간의 교배를 비교하여 그들의 자손이 어떤 특성을 가지는지를 분석합니다. 이 방법은 일반 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영양번식
  2. 격리재배
  3. 원원종 재배
  4. 교잡
(정답률: 알수없음)
  • 교잡은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닙니다. 교잡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종 또는 품종을 교배하여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드는 것으로, 이로 인해 품종의 특성이 변화하거나 상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번식, 격리재배, 원원종 재배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변이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환경변이는 육종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2. 아조변이는 영양번식 작물에서 이용된다.
  3. 자연돌연 변이율은 유전자 자리당 10-5 ~ 10-6 정도이다.
  4. 이질 배수체는 육종상 가치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질 배수체는 육종상 가치가 없다." 이다. 이유는 이질 배수체는 다른 종이나 품종과 교배하여 육종을 하기에는 유전적으로 너무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종에 이용되는 개체는 유전적으로 비슷한 개체들끼리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게놈(Genome)이 서로 다른 종속간 교잡에 의해서 얻어지는 잡종의 배수성은?

  1. 이질배수체
  2. 동질이배체
  3. 동질배수체
  4. 이수체
(정답률: 알수없음)
  • 이질배수체는 서로 다른 종속간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의 배수체를 말합니다. 이는 각 부모의 유전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생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동질이배체는 같은 종속간 교잡에 의해 생긴 배수체를 말하며, 동질배수체는 같은 종속간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의 배수체를 말합니다. 이수체는 세포분열 과정에서 생기는 유전자의 복제 과정에서 생긴 변이로 인해 생긴 배수체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염색체의 수적(數的) 변이는?

  1. 역위
  2. 이수성
  3. 중복
  4. 전좌
(정답률: 알수없음)
  • 염색체의 수적 변이는 이수성이다. 이는 한 쌍의 염색체가 두 개 이상의 염색체로 대체되는 변이를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염색체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간의 일반적인 염색체 수는 46개이지만, 이수성 변이를 가진 사람들은 47개 이상의 염색체를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과 가장 관계가 적은 가설은?

  1. 우성유전자 연관설
  2. 유전자 작용의 상승효과
  3. 헤테로 접합성설
  4. 돌연변이 유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종강세 현상은 서로 다른 두 종이 교배하여 새로운 혼종이 생겨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 때, 새로운 혼종은 부모 종보다 더 강한 생존력과 적응력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우성유전자 연관설", "유전자 작용의 상승효과", "헤테로 접합성설"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돌연변이 유발설"은 새로운 혼종이 생겨나는 원인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돌연변이는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새로운 혼종이 생겨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돌연변이 유발설"은 잡종강세 현상과 관련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변이 중 육종에 이용될 수 없는 변이는?

  1. 돌연변이
  2. 방황변이
  3. 교잡변이
  4. 아조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방황변이는 동물이나 식물이 자연 선택에 의해 살아남을 수 없는 변이로, 육종에 이용될 수 없습니다. 이는 동물이나 식물이 자신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살아남기 어려워지는 변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육종에 이용될 수 있는 변이는 돌연변이, 교잡변이, 아조변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작물을 일반식물과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은?

  1. 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2. 생존경쟁에 있어서 유리하다.
  3. 특수부분이 잘 발달되어 있다.
  4. 환경적응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은 일반식물과 구별되는 특성으로 "특수부분이 잘 발달되어 있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작물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특수한 부분을 발달시켜서 다른 식물과 구별되는 형태와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작물의 꽃, 열매, 잎, 줄기 등은 일반식물과는 다른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수부분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작물은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토양 유기물의 기능이 될 수 없는 것은?

  1. 다량원소와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2. 암석분해를 억제한다.
  3.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4. 미생물의 번식을 조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분해를 억제하는 것은 토양 유기물의 기능이 될 수 없는 이유는, 토양 유기물은 대개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토양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식물의 영양 공급을 돕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석분해를 억제하는 것은 토양 유기물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의 조합은?

  1. 벼, 감자, 땅콩, 수박
  2. 시금치, 알팔파, 콩, 사탕무우
  3. 당근, 옥수수, 목화, 오이
  4. 호박, 토란, 아마, 기장
(정답률: 알수없음)
  • 산성토양은 pH가 낮아서 산성이 많은 토양을 말합니다. 이러한 토양에서는 시금치, 알팔파, 콩, 사탕무우와 같은 염기성 작물이 가장 약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약한 작물 조합은 시금치, 알팔파, 콩, 사탕무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과와 단감을 같이 보관할 때 단감의 조직이 연해지는 이유는?

  1. 사과에서 Abscisic acid가 생성
  2. 단감에서 Auxin이 생성
  3. 사과에서 Ethylene이 생성
  4. 단감에서 Cytokinin이 생성
(정답률: 알수없음)
  • 사과에서 생성된 Ethylene이 단감에 영향을 주어 단감의 조직을 연해지게 만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식물 원형질의 팽만 상태는?

  1. 수분 포텐셜(ψw) = 0 bar
  2. 수분 포텐셜(ψw) = -5 bar
  3. 수분 포텐셜(ψw) = -10 bar
  4. 수분 포텐셜(ψw) = -15 bar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 원형질의 팽만 상태는 수분 포텐셜(ψw)이 0 bar일 때이다. 이는 원형질 내부의 수분 농도와 외부의 수분 농도가 같아서 더 이상 물이 움직이지 않아 원형질이 팽창한 상태를 의미한다. 수분 포텐셜이 음수일수록 원형질 내부의 수분 농도가 낮아져 원형질이 수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수분 포텐셜이 0 bar일 때가 가장 이상적인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논토양의 탈질현상을 방제하기 위하여 암모니아태 질소 비료를 주는 가장 적합한 때는?

  1. 이앙기
  2. 정지하기 전
  3. 최고분얼기
  4. 유수분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논토양에서의 탈질현상은 농작물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암모니아태 질소 비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가장 적합한 때는 "정지하기 전"입니다. 이유는 정지하기 전에 비료를 주면 농작물이 흡수할 수 있는 질소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고분얼기나 유수분화기에 비료를 주면 질소가 지나치게 많이 공급되어 농작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지하기 전에 암모니아태 질소 비료를 주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T/R율이 가장 많이 증대하는 것은?

  1. 칼륨비료 다량시용
  2. 인산비료 다량시용
  3. 질소비료 다량시용
  4. 석회다량 시용
(정답률: 알수없음)
  • 칼륨은 식물의 근력을 강화하고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칼륨비료를 다량 시용하면 식물의 근력이 강화되어 더 많은 열매를 맺고, 더 큰 열매를 맺을 수 있게 됩니다. 이는 T/R율을 증대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물의 수량을 가장 많이 올리기 위해서 3가지 조건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합리적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유전성 - 노동 - 환경
  2. 노동 - 환경 - 재배기술
  3. 유전성 - 환경 - 재배기술
  4. 노동 - 유전성 - 재배기술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합리적인 조건은 "유전성 - 노동 - 환경"입니다. 이는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유전성을 가진 종자를 선택하고, 이를 노동력을 투입하여 적절한 환경에서 재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노동과 환경은 작물의 성장과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전성은 작물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조건이 균형을 이루어야 작물의 수량을 가장 많이 올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pH 4.0∼8.0인 토양에서 가장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은?

  1. 호밀
  2. 시금치
  3. 메밀
  4. 땅콩
(정답률: 알수없음)
  • pH 4.0∼8.0인 토양은 약산성에서 약칼성까지의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호밀이 가장 잘 생육할 수 있습니다. 호밀은 중성에서 약산성인 토양에서 잘 자라는 작물로, pH 6.0∼7.0인 토양에서 가장 좋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pH 4.0∼8.0인 토양에서 호밀이 가장 잘 생육할 수 있는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내병성 품종의 형태적 특성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장간종이며 다비조건에서 줄기의 신장이 크다.
  2. 잎이 늘어지는 현상이 크다.
  3. 줄기의 탄력성이 약하다.
  4. 줄기가 굵고 단단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병성 품종은 내병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줄기가 굵고 단단하여 내병에 강하게 버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내습성이 가장 약한 작물은?

  1. 벼, 택사, 미나리
  2. 밭벼, 옥수수, 율무
  3. 감자, 고추, 메밀
  4. 당근, 양파, 파
(정답률: 40%)
  • 당근, 양파, 파는 모두 지하에서 뿌리를 키우는 작물이며, 지하에서 뿌리를 키우는 작물은 일반적으로 습성이 강한 편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내습성이 가장 약한 작물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조파조식으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고자 할 때 알맞는 기상생태형은?

  1. blt 형
  2. Blt 형
  3. blT 형
  4. bLt 형
(정답률: 알수없음)
  • bLt 형은 비교적 낮은 온도와 높은 습도를 유지하는 기상생태형으로, 이러한 환경에서는 식물이 더욱 느리게 성장하면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조파조식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bLt 형이 조파조식으로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하여 증수하는데 알맞은 기상생태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농업의 특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1. 토지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작용한다.
  2. 농업노동은 분업이 곤란하다.
  3. 농산물은 수급적응성이 적다.
  4. 농산물은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농산물은 수급적응성이 적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농산물은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급적응성이 적다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농산물의 수요의 탄력성이 큰 이유는 대체재가 적고, 필수적인 소비재이기 때문입니다. 농산물의 가격이 오르더라도 소비자들은 대체재가 없기 때문에 구매를 계속하게 되며, 가격이 내려가면 더 많은 양을 구매하게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농산물의 수요의 탄력성이 크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종자춘화형식물에 속하는 것은?

  1. 추파맥류, 봄올무우
  2. 봄올무우, 양배추
  3. 양배추, 히요스
  4. 잠두, 히요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춘화형식물은 꽃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종자가 생성되는 식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추파맥류, 봄올무우"가 정답입니다. "봄올무우"는 봄에 꽃이 피는데, 이때 종자가 생성됩니다. "추파맥류"는 추파라는 열매를 만들어내는데, 이 열매 안에는 종자가 들어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자춘화형식물에 속하지 않는 식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지과 작물로서 호광성 종자인 것은?

  1. 오이
  2. 상치
  3. 토마토
  4. 담배
(정답률: 알수없음)
  • 담배는 호광성 종자를 가진 가지과 작물입니다. 호광성 종자란 빛에 반응하여 발아하는 종자를 말합니다. 담배의 종자는 빛에 노출되면 발아하기 시작하므로, 농작물로서 재배할 때 적절한 빛을 유지해야 합니다. 반면, 오이, 상치, 토마토는 모두 어두운 곳에서도 발아할 수 있는 암광성 종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방사선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것은?

  1. α 선
  2. β 선
  3. γ선
  4. X선
(정답률: 알수없음)
  • γ선은 전자기파 형태의 고에너지 방사선으로, 세포 내부에 침투하여 DNA를 직접 파괴하거나 화학적 결합을 일으켜 DNA 손상을 유발하는 등 생물학적으로 매우 강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방사선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진 것입니다. 반면 α 선과 β 선은 짧은 거리에서만 효과를 발휘하며, X선은 γ선에 비해 에너지가 낮아 생물학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포기전체가 넘어지는 도복은?

  1. 뿌리도복
  2. 좌절도복
  3. 만곡도복
  4. 이삭도복
(정답률: 알수없음)
  • 뿌리도복은 뿌리가 깊고 튼튼하여 포기전체가 넘어져도 도복이 넘어지지 않는 도복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작물에 탄산시비를 하는 경우 그 효과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광합성 촉진
  2. 호흡작용 감소
  3. 전류작용 촉진
  4. 병해충 방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광합성 촉진

    탄산은 이온화되어 수소 이온과 탄산 이온으로 분해되어 식물의 뿌리로 흡수됩니다. 이 때, 탄산 이온은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광합성 작용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작물에 탄산시비를 하는 경우 광합성이 촉진되어 생장과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식품을 저장할 때 살균· 살충효과의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방사선 동위원소는?

  1. 45Ca
  2. 36Cl
  3. 14C
  4. 60Co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동위원소 중에서 60Co는 강력한 감마선을 방출하여 살균 및 살충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 저장에 많이 사용됩니다. 45Ca는 칼슘 동위원소로서 뼈 및 치아의 형성에 사용되며, 36Cl은 염소 동위원소로서 지하수 연구 등에 사용됩니다. 14C는 탄소 동위원소로서 연대 측정 등에 사용되며,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있어서 60Co보다는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감자를 생태적인 특성에 의하여 분류한 것은?

  1. 저온작물
  2. 서류(薯類)
  3. 전분작물
  4. 채소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는 생태적인 특성에 따라 저온작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감자가 낮은 온도에서도 잘 자라고, 추운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감자는 전분작물에 속하며, 채소 중에서도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다음 중 유기합성 농약은?

  1. 보르도액
  2. 다이아지논
  3. 송지합제
  4. 석유유제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합성 농약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물질로, 유기화합물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이에 반해 보르도액과 송지합제는 무기합성 농약이며, 석유유제는 기름을 기반으로 한 농약이다. 따라서 유기합성 농약 중에서 다이아지논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작물의 어느 곳에 뿌려도 약액이 퍼져서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방제에 유용한 약제는?

  1. 잔류성 접촉제
  2. 불임제
  3. 침투성 살충제
  4. 훈증제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성 살충제는 작물의 표면에 뿌려도 약액이 작물 내부로 침투하여 해충이 숨어있는 깊은 곳까지 효과적으로 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곳에 뿌려도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방제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칼탑 50 % 수용제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5말을 살포하려 한다. 칼탑 50 % 수용제의 소요량은 얼마인가?

  1. 120 mL
  2. 100 mL
  3. 90 mL
  4. 80 mL
(정답률: 알수없음)
  • 칼탑 50 % 수용제를 1,000배로 희석하면 1 mL의 수용제에 1/1,000 mL의 칼탑이 들어있게 된다. 따라서 10a당 5말을 살포하려면 10a x 5말 = 50말의 칼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1 mL의 수용제에 1/1,000 mL의 칼탑이 들어있으므로, 50/1,000 mL의 수용제가 필요하다. 이를 계산하면 0.05 mL의 수용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10a당 5말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1,000으로 나누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0.05 mL x 1,000 = 50 mL의 수용제가 필요하다. 하지만 칼탑 50 % 수용제를 1,000배로 희석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수용제의 양도 고려해야 한다. 즉, 1,000배로 희석하려면 원래의 수용제의 양도 1,000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수용제의 양은 50 mL x 1,000 = 50,000 mL = 50 L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mL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다시 1,000으로 나누어주면 최종적으로 필요한 수용제의 양은 50 m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 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잡초의 천이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1. 강우
  2. 비옥도
  3. 토성
  4. 제초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의 천이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제초방법입니다. 이는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에 따라서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완전히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강우나 비옥도는 잡초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제초방법이 없다면 잡초는 여전히 성장할 수 있습니다. 토성은 잡초의 천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식물병의 제1차 전염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종자내의 병원체
  2. 토양내 월동 균핵
  3. 포장내 이병 잔재물
  4. 생육기 병반상의 분생포자
(정답률: 알수없음)
  • 생육기 병반상의 분생포자는 이미 식물 내부에 존재하는 병원체의 번식체인데 비해, 다른 보기들은 식물에 전염될 수 있는 병원체나 균핵이 외부에서 식물에 전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1차 전염원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작물에 농약을 살포한 후 급성약해의 증상에 해당되는 것은?

  1. 반점 또는 낙엽현상
  2. 영양장해 현상
  3. 품질저하 현상
  4. 수확물 감소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면 농약이 작물 내부로 흡수되어 작물의 세포를 파괴하거나 대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작물은 영양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잎이 말라서 반점이 생기거나 낙엽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반점 또는 낙엽현상"이 농약 살포 후 급성약해의 증상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램염색시 적색으로 염색되는 그램음성균으로 분류· 동정에 활용되는 작물의 병은?

  1. 감자둘레썩음병
  2. 가지과 식물의 풋마름병
  3. 감자더뎅이병
  4. 감귤궤양병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램음성균은 적색으로 염색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 성질을 이용하여 분류 및 동정에 활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지과 식물의 풋마름병은 그램음성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작물의 뿌리 부분을 침범하여 식물이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램음성균 분류 및 동정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도유효분얼 후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제초제는?

  1. 벤치오 입제
  2. 벤타존 액제
  3. 부타졸 입제
  4. 2,4-D 액제
(정답률: 알수없음)
  • 수도유효분얼 후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제초제는 물에 잘 녹아 분해되기 쉬운 제초제여야 합니다. 이 중에서 2,4-D 액제는 물에 잘 녹아 분해되기 쉬우며, 잔류성이 낮아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은 안전한 제초제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거미강 응애목이며 과수 및 채소 화훼작물의 줄기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고 흡즙 부위는 백색의 점이 생기고 몸의 양측에 검은 무늬가 뚜렷한 이 해충은?

  1. 점박이응애
  2. 칠리이리응애
  3. 차응애
  4. 깍지응애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해충은 즙액을 빨아먹는 부위에 백색의 점이 생기고, 몸의 양측에 검은 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점박이응애"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응애 방제 방법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독성이 강한 약제 살포
  2. 응애 전문약제 지속 살포
  3. 고농도 살포로 완전 방제
  4. 저항성 유발 방지를 위한 계통이 다른 적용 약제의 교호 살포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성은 약제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독성이 강한 약제 살포나 고농도 살포로 완전 방제를 하면, 일부 생물체는 이에 대한 저항성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저항성 유발 방지를 위한 계통이 다른 적용 약제의 교호 살포는 다양한 약제를 사용하여 생물체가 저항성을 발달시키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체외로 분비되는 곤충의 생리활성물질로 이를 이용하여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여 방제하는데 이용되는 것은?

  1. 페로몬
  2. 호르몬
  3. 유인물질
  4. 불임제
(정답률: 알수없음)
  • 페로몬은 곤충이 체외로 분비하는 생리활성물질로, 암수의 교미를 유도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암수의 교미를 방해하여 방제하는데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생물학적 진단에 속하는 것은?

  1. 혈청반응을 이용한 진단
  2. 황산구리를 이용한 진단
  3. 지표식물을 이용한 진단
  4. 현미경을 이용한 진단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식물을 이용한 진단은 생물의 생장, 생리, 생태 등을 통해 환경의 변화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생물의 반응을 통해 환경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생물학적 진단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균체의 대부분이 기주식물의 외표면에 존재하면서 흡기를 표피에 삽입하여 정착하는 병원균은?

  1. 흰가루병균
  2. 노균병균
  3. 그을음병균
  4. 잿빛곰팡이병균
(정답률: 알수없음)
  • 흰가루병균은 대부분 기주식물의 외표면에 존재하면서 흡기를 표피에 삽입하여 정착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흰가루병균은 기주식물의 잎과 줄기에 흰가루 모양의 포자를 형성하여 병원성을 발휘합니다. 따라서 흰가루병균이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에서 벌목 곤충에 속하는 것은?

  1. 학질모기
  2. 왕소등애
  3. 왕개미
  4. 초파리
(정답률: 알수없음)
  • 왕개미는 나무를 벌목하여 나무를 먹는 벌목 곤충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왕개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완전변태하는 곤충은?

  1. 메뚜기
  2. 매미
  3. 잠자리
(정답률: 40%)
  • 벌은 다른 세 개의 곤충과 달리 완전변태를 하지 않고, 유충과 성충이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각종 작물의 잿빛곰팡이병 발생과 가장 관련이 깊은 기상 요인은?

  1. 일사량
  2. 풍속
  3. 대기습도
  4. 토양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잿빛곰팡이병은 곰팡이가 발생하기 위해 적정한 습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기습도가 가장 관련이 깊은 기상 요인입니다. 일사량이나 풍속, 토양온도는 곰팡이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잡초로 인한 피해 중 농경지에서의 피해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상호대립억제작용
  2. 기생
  3. 병해충의 매개
  4. 저수지의 부유식물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는 농경지에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등 직접적인 피해를 줍니다. 하지만 저수지의 부유식물은 농경지와는 관련이 없으며, 물 속에서 자라는 식물로 인해 수질 오염이나 수면 침식 등 간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수지의 부유식물은 농경지에서의 피해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다년생 잡초는?

  1. 개비름
  2. 방동사니
  3. 명아주
  4. 쇠뜨기
(정답률: 알수없음)
  • 쇠뜨기는 지속적으로 생장하며 다년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작물보호의 의미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새로이 도입된 종합적 방제를 뜻한다.
  2. 병· 해충방제는 신농약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3. 병· 해충방제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4. 작물의 병· 해충· 잡초· 기상 등의 재해로부터 작물을 합리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보호는 작물을 병, 해충, 잡초, 기상 등의 재해로부터 합리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는?

  1. 갈매나무
  2. 매발톱나무
  3. 까치밥나무
  4. 향나무
(정답률: 알수없음)
  •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주는 "향나무"입니다. 이는 향나무가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내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이 병에 취약하거나 감염되기 쉬우나, 향나무는 이 병에 대한 내성이 높아서 중간기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