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종자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종자 구성요소 중 어미식물의 일부가 발달한 것은?

  1. 배젖
  2. 자엽
  3. 종피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는 배젖, 자엽, 종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어미식물의 일부가 발달한 것은 종피입니다. 종피는 씨앗을 덮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종자의 발아와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종자의 구성요소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종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자식물의 종자는 배추의 시원체라 불리우는 이곳의 분열조직에서 시작되는데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자방벽
  2. 주두
  3. 암술대
  4. 화판
(정답률: 알수없음)
  • 피자식물의 종자는 배추의 시원체에서 시작되는데, 시원체는 자방벽이라는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따라서 자방벽이 피자식물의 종자가 시작되는 곳입니다. 주두, 암술대, 화판은 배추의 다른 조직이며, 피자식물의 종자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종자관리요강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1. 법률
  2. 대통령령
  3. 농림부령
  4. 농림부고시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관리요강은 농작물의 종자 생산, 유통, 관리 등에 대한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는 지침서이며, 이는 농림부고시에 해당합니다. 다시 말해, 농림부고시는 농림부에서 발행하는 지침서로서, 농작물의 생산과 관련된 다양한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경실종자(硬實種子)의 휴면타파법이 아닌 것은?

  1. 기계적으로 종피에 상처를 입힌다.
  2. 얼렸다 녹였다 한다.
  3. 희석한 황산 또는 에탄올에 침지한다.
  4. Auxin용액에 침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Auxin은 식물 성장 호르몬으로, 종자 내부에서 이용 가능한 영양분을 활성화시켜 발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uxin 용액에 침지시키면 경실종자의 휴면이 깨어나 발아가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밀 배유세포벽의 주요 구성성분이 아닌 것은?

  1. Pentosan
  2. Cellulose
  3. Hemicellulose
  4. β-glucan
(정답률: 알수없음)
  • 밀 배유세포벽의 주요 구성성분은 Pentosan, Hemicellulose, β-glucan이지만 Cellulose는 주요 구성성분은 아닙니다. 이는 밀 배유세포벽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인 Cellulose와는 달리, 다른 식물의 세포벽에서 더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용대상이 아닌 것은?

  1. 비모란선인장
  2. 누에
  3. 사과
  4. 라이그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적용대상은 작물의 종자에 해당하는데, "누에"는 작물의 종자가 아니기 때문에 법적용대상이 아니다. "누에"는 노루발이라는 식물의 뿌리 부분으로, 채소나 약재로 사용되지만 작물의 종자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랭지에서 생산된 씨감자를 평야지에서 재배하면 생산력이 높다. 그러나 계속 평야지에서 재배하면 같은 품종이라도 생산력이 급격히 감퇴하는데 그 원인은?

  1. 생리적 및 병리적 퇴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2. 평야지에서는 재배기간이 길기 때문이다.
  3. 유전적 퇴화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4. 연작 장해가 중요한 원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랭지에서 생산된 씨감자는 고산지대에서 자란 것이므로 추위와 건조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그러나 평야지에서는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리적 및 병리적 퇴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력이 감퇴한다. 이는 평야지에서 재배기간이 길어지면 더욱 심해진다. 유전적 퇴화현상도 일어날 수 있지만, 이는 생리적 및 병리적 퇴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연작 장해도 생산력 감퇴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생리적 및 병리적 퇴화와는 별개의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총종자중량 : 100g, 순정종자중량 : 80g, 발아율 : 80% 일때 종자의 용가(用價, utility value)는 얼마인가?

  1. 60%
  2. 64%
  3. 68%
  4. 72%
(정답률: 알수없음)
  • 용가는 순정종자중량 ÷ 총종자중량 × 발아율 ×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80g ÷ 100g × 80% × 100 = 64%

    따라서, 정답은 "6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국가 품종목록에 등재해야하는 대상 품종이 아닌 것은?

  1. 새로운 보리 품종을 육성하여 보급하고자 할 경우
  2. 감자의 품종을 도입하여 국내에 보급하고자 할 경우
  3. 밀에 대한 신품종을 육성하여 판매하고자 할 경우
  4. 식용옥수수 품종을 수입하여 공급하고자 할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밀은 이미 국가 품종목록에 등재되어 있는 대상 품종이기 때문에, 새로운 신품종을 육성하여 판매하고자 할 경우에도 국가 품종목록에 등재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농림부장관이 품종보호권의 설정 등록이 된 이후 공보에게재하여야 할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품종보호권자의 성명
  2. 품종보호 등록번호
  3. 납부 할 품종보호료
  4. 품종보호권의 존속기간
(정답률: 알수없음)
  • 납부 할 품종보호료는 공보에게재하여야 할 내용이 아니라, 품종보호권 신청 시 납부해야 하는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품종보호권 등록과는 별개의 과정이며, 품종보호권 등록 후에도 추가적으로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품종퇴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종자갱신
  2. 돌연변이
  3. 미동유전자의 분리
  4. 역도태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갱신은 품종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품종퇴화의 원인이 아닙니다. 종자갱신은 품종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새로운 종자를 생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품종퇴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의 수입적응성 시험의 심사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재배시험기기간 : 2기작 이상
  2. 재배시험지역 : 최소한 2개지역 이상
  3. 평가형질 : 작물별로 품종의 목표형질을 필수형질과 추가형질을 정하여 평가
  4. 표준품종 : 국내외 품종중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3개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품종 : 국내외 품종중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3개 이상"은 다른 기준들과는 달리 품종의 선택과 관련된 기준이기 때문에 다른 기준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 기준은 수입된 종자가 국내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들과 비교하여 얼마나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이상적인 종자처리 약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한다.
  2. 약효가 오랫동안 지속되어야 한다.
  3. 종자에 약해가 다소 있어 일정 잠복하여야 한다.
  4.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에 약해가 다소 있어 일정 잠복하여야 한다는 것은, 약제가 너무 강력하면 종자가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 약제의 영향을 받은 후에야 싹이 돋아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이상적인 종자처리 약제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오이가 교잡율이 높은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단성화
  2. 자웅이주
  3. 단화주화
  4. 자가불화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이는 단성화 작물로서, 교잡율이 높은 이유는 자가수법으로 번식하기 때문입니다. 즉, 한 개체 내에서 수컷과 암컷 꽃이 동시에 개화하여 자가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잡이 쉽게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발아시험을 다시 실시해야 하는 경우는?

  1. 반복간 발아율 차이가 최대 허용오차 범위를 넘을 때
  2. 반복간 발아율 차이가 5%를 넘을 때
  3. 휴면을 타파시킨 종자의 발아율이 50% 미만일 때
  4. 한 개 이상의 정상묘가 자란 복수발아종자가 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시험에서는 발아율을 측정하여 종자의 품질을 판단합니다. 이때, 같은 종자를 여러 번 시험하여 발아율을 측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반복간 발아율 차이가 최대 허용오차 범위를 넘으면 다시 실시해야 합니다. 이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즉, 발아율이 일정 범위 내에서 일관되게 측정되어야만 종자의 실제 발아율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품종명칭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알맞는 것은?

  1. 품종은 1개이상의 고유한 품종명칭을 가져야 한다.
  2. 외국에 품종명칭이 등록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품종 명칭이 발음상 부르기가 어려울 때는 다른 품종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3. 숫자나 기호로만 표시한 품종명칭은 사용할 수 있다.
  4. 당해 품종 또는 당해 품종의 수확물의 산지, 품질, 수확량, 가격, 용도, 생산시기, 생산방법으로만 표시한 품종명칭은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당해 품종 또는 당해 품종의 수확물의 산지, 품질, 수확량, 가격, 용도, 생산시기, 생산방법으로만 표시한 품종명칭은 사용할 수 없다. 이유는 이러한 정보는 품종의 고유한 특성과는 무관하며, 품종을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품종명칭은 품종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는 이름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조처리의 활용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국화의 촉성재배
  2. 장일식물의 개화촉진
  3. 개화기 차이에 의한 품종선발
  4. 개화기 조절에 의한 육종년한 단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국화의 촉성재배"입니다. 전조처리는 식물의 생육과 개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장일식물의 개화촉진, 개화기 차이에 의한 품종선발, 개화기 조절에 의한 육종년한 단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하지만 국화는 전조처리를 하면 오히려 꽃이 더 늦게 피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의 건조요령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확, 조제 직후부터 건조시킨다.
  2. 맑은 날에는 마른 바닥에 펴 널고 자주 뒤섞어 준다.
  3. 비가 올 위험이 있을 때는 비닐을 덮어 비를 맞지 않게 한다.
  4. 직사광선 밑에서는 온도가 너무 오르지 않게 주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가 올 위험이 있을 때 비닐을 덮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종자가 습기를 더 많이 흡수하여 부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비가 올 때는 건조 작업을 중단하고 종자를 실내로 옮겨 건조를 이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벼의 채종포는 이품종(異品種)으로부터 격리되어야 하는 기준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m 이상
  2. 2m 이상
  3. 3m 이상
  4. 5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벼의 채종포는 이품종으로부터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격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품종과 충분한 거리를 두어야 하며, 이 거리는 이품종의 꽃가루가 벼의 채종포에 도달하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여야 합니다. 따라서, "1m 이상"이 가장 적당한 기준입니다. "2m 이상", "3m 이상", "5m 이상"은 더욱 큰 거리를 두는 것이므로 더욱 격리 효과가 높아질 수 있지만, 이는 비용과 공간적 제약 등의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991년 3월에 개정된 UPOV(식물 신품종 보호 조약)에서 개선된 주된 사항이 아닌 것은?

  1. 품종권의 강화
  2. 보호 대상 작물의 확대
  3. 보호 기간의 연장
  4. 이중 보호 금지 조항의 첨가
(정답률: 알수없음)
  • UPOV의 1991년 개정에서 개선된 주된 사항은 "품종권의 강화", "보호 기간의 연장", "이중 보호 금지 조항의 첨가"입니다. "보호 대상 작물의 확대"는 개선된 주된 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1978년 UPOV에서 이미 보호 대상 작물이 확대되었기 때문입니다. 1991년 개정에서는 기존 보호 대상 작물에 대한 보호 강화와 함께 새로운 기술적 발전에 따른 보호 대상 작물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조항이 추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양적형질을 지배하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동의유전자(polymeric gene)
  2. 미동유전자(minor gene)
  3. 세포질유전자(plasma gene)
  4. 환경(environment)
(정답률: 알수없음)
  • 양적형질은 주로 핵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데, 세포질유전자는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로 핵유전자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양적형질을 지배하는 요인으로는 거리가 먼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세포질유전자(plasma gene)"이다. 동의유전자와 미동유전자는 핵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유전자이며, 환경은 양적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으로 지배하는 요인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육종변이의 생성에 관한 내용이 맞지 않은 것은?

  1. 형질의 발현은 유전질의 지배를 받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는 비유전적변이인 환경변이가 관여 할 수도 있다.
  2. 교배변이, 돌연변이, 생리적변이 등을 유전변이라하며 변이 생성 주 요인이 된다.
  3. 온도, 영양분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는 유전물질에 까지 영향을 끼쳐 유전적변이가 일어나는 수도 있다.
  4. 육종의 연한을 단축시킬 수 있고, 포장면적을 적게 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육종의 연한을 단축시킬 수 있고, 포장면적을 적게 요한다." 이다. 이유는 육종의 연한을 단축시키거나 포장면적을 적게 요하는 것은 육종 방법이나 기술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며, 유전변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유전변이의 생성에 관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이질배수체를 이용한 육종적인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교잡이 잘 안된다.
  2. 잡종 식물의 생육이나 임실(稔室)이 불량하다.
  3. 유전현상이 매우 복잡하다.
  4. 내병성이 약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질배수체를 이용한 육종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두 종의 유전자를 섞어 새로운 특성을 갖는 개체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과정에서 내병성이 약해지는 이유는 이질배수체를 이용한 육종으로 인해 새로운 특성을 갖는 개체가 생기기 때문에, 이 개체는 기존의 종보다 다양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개체는 기존의 종보다 내병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불임성이 가장 큰 것은?

  1. 2n
  2. 3n
  3. 4n
  4. 복2배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n"입니다. 이유는 "3n" 유전자는 세 개의 염색체에 위치하며, 이 중 하나가 변이를 일으키면 불임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2n"은 일반적인 염색체 수이며, "4n"은 염색체 수가 두 배인 복제체이며, "복2배체"는 염색체 수가 두 배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이들 중에서는 "3n"이 가장 불임성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3 배체(3n)식물은 어떻게 하여 얻을 수 있는가?

  1. 1배체(1n) × 2배체(2n)
  2. 2배체(2n) × 2배체(2n)
  3. 4배체(4n) × 2배체(2n)
  4. 8배체(8n) × 2배체(2n)
(정답률: 알수없음)
  • 3 배체(3n)식물은 보통 1배체(1n)와 2배체(2n)의 교잡으로 얻어진다. 이때, 1배체(1n)와 2배체(2n)의 염색체 수를 합치면 3이 되기 때문에 3 배체(3n)가 된다. 따라서, 4배체(4n)와 2배체(2n)를 교잡하면 염색체 수의 합이 6이 되어 3 배체(3n)식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4배체(4n) × 2배체(2n)"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유전자의 새로운 조합(조환)이 생기지 않는 경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독립유전
  2. 교차가(C.O.V)가 30%일 때
  3. 부분연관
  4. 완전연관
(정답률: 알수없음)
  • 완전연관은 두 개 이상의 유전자가 항상 같은 염색체에 위치해 있어서, 교차오버가 발생하지 않고 새로운 조합이 생기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완전연관인 경우에는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들이 항상 같은 조합으로 유지되어 다양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집단육종법을 적용한 내한, 내병성 품종 육성시 잡종 초기 세대에서 해야 할 일로 적합한 것은?

  1. 혹한 환경, 발병환경에 양성 → 생존개체의 품질, 수량, 실용 형질 선택
  2. 이상환경 → 생존개체의 형질 선택
  3. 실용적 제형질 선택 → 이상환경시험
  4. 다습환경, 한발환경 → 생존개체의 실용적 제형질의 선택
(정답률: 알수없음)
  • 집단육종법을 적용한 내한, 내병성 품종 육성시 잡종 초기 세대에서는 혹한 환경과 발병환경에 양성하여 생존하는 개체를 선택함으로써 품질과 수량, 실용 형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상환경에서 생존하는 개체의 형질 선택이나 실용적 제형질 선택과 같은 다른 보기와는 달리, 초기 세대에서 생존 가능성이 높은 개체를 선택하여 품종 육성의 기반이 되는 개체를 선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감자 종자의 퇴화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1. 병리적 퇴화
  2.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
  3. 돌연변이에 의한 퇴화
  4. 근교약세에 의한 퇴화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 종자의 퇴화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병리적 퇴화"입니다. 이는 감염병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감염되어 생긴 질병으로 인해 감자 종자의 생산성과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병리적 퇴화는 감자 재배 시 적극적인 예방조치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주로 풍매수분을 하는 작물은?

  1. 옥수수
  2. 배추
  3. 유채
  4. 메밀
(정답률: 알수없음)
  • 옥수수는 높은 수분 요구량을 가지고 있어서 풍매수분을 많이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주로 풍매수분을 하는 작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옥수수 육종에 있어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계통분리법은?

  1. 집단선발법
  2. 성군집단선발법
  3. 계통집단선발법
  4. 일수일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일수일렬법은 개체를 일렬로 나열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한 개수만큼 선택하는 방법으로,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옥수수 육종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계통분리법이다. 다른 방법들은 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하거나 특정한 기준에 따라 선택하기 때문에 일수일렬법보다 분리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자웅이주(雌雄異株)식물은?

  1. 보리
(정답률: 알수없음)
  • 자웅이주는 수컷과 암컷이 구분되어 한 개체에 둘 다 존재하는 이식물로, "삼"이 정답입니다. 벼, 보리, 콩은 모두 자웅이주가 아닌 이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영양계(clone)를 설명한 것 중 바른 것은?

  1. 종자로 개체수를 늘인 것
  2. 채종포에서 얻은 종자
  3. 한 개체를 삽목에 의하여 늘인 것
  4. 집단채종하여 얻은 종자
(정답률: 알수없음)
  • 영양계는 한 개체를 삽목에 의하여 늘인 것입니다. 이는 원래의 개체를 분열시켜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분열된 개체는 원래 개체와 동일한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영양계는 원래 개체와 동일한 특성을 가진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동질 배수체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영양체의 생육 증진
  2. 임성 저하
  3. 개화 성숙기의 단축
  4. 저항성 증대
(정답률: 알수없음)
  • 개화 성숙기의 단축은 동질 배수체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일부 동질 배수체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환경 조건이 적절하면 개화와 성숙이 빨리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작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전적 변이 인지 또는 환경적 변이 인지를 알아내는 검정 방법은?

  1. 특성검정
  2. T검정
  3. 생산력 검정
  4. 후대검정
(정답률: 50%)
  • 유전적 변이와 환경적 변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후대검정은 어떤 특성이 유전적인 영향을 받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해당 특성이 나타나는 후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유전자가 특정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특성검정, T검정, 생산력 검정은 모두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으로, 유전적 변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화학물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KNO3
  2. H2O2
  3. Abscisic acid
  4. Gibberellin
(정답률: 알수없음)
  • Abscisic acid는 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발아를 촉진시키는 화학물질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KNO3과 Gibberellin은 발아를 촉진시키는 화학물질이며, H2O2는 적정 농도에서는 발아를 촉진시키지만 과도한 양에서는 오히려 발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배수성육종에서 동질 4배체를 만들 때 많이 이용되는 화학약품은?

  1. 카이네친
  2. 콜히친
  3. 오옥신
  4. 인돌초산
(정답률: 알수없음)
  • 콜히친은 다양한 화학 반응에서 중간체로 사용되며, 다른 화학물질과 결합하여 원하는 화합물을 만들어내는데 이용됩니다. 따라서 다음 배수성육종에서 동질 4배체를 만들 때 콜히친이 많이 이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Vp1(p1의 분산) = 30, Vp2 = 20, VF2 = 100일 때 넓은 뜻(광의)의 유전력(h2B)은?

  1. 20%
  2. 30%
  3. 50%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력(h2B)은 유전적인 변이가 표현형 분산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유전력은 분산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전체 분산(VP)은 VP1 + VP2 + VF2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VP = 30 + 20 + 100 = 150입니다.

    유전력(h2B)은 VP1 / VP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h2B = 30 / 150 = 0.2입니다.

    0.2는 소수점으로 나타내면 2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육종상 주요 대상이 되는 변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유전변이
  2. 환경변이
  3. 장소변이
  4. 일시적변이
(정답률: 알수없음)
  • 육종상 주요 대상이 되는 변이는 "유전변이"입니다. 이는 유전자의 변화로 인해 생기는 변이로, 육종에서는 원하는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유전자를 조작하여 유전변이를 유도합니다. 환경변이나 장소변이, 일시적변이는 유전자의 변화와는 무관하며, 육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채종포를 산간벽지나 섬에 설치하는 이유는?

  1. 도난방지
  2. 화분오염 방지
  3. 관리비 절감
  4. 품조의 기밀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채종포를 산간벽지나 섬에 설치하는 이유는 화분오염 방지입니다. 이는 산간벽지나 섬에서는 토양이나 지하수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채종포를 설치하여 화분오염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생태계 보전을 위해 노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순계분리를 하는데 순도검정 년도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자가수정작물 - 1년째
  2. 타가수정작물 - 5년째
  3. 자가수정작물 - 3년째
  4. 타가수정작물 - 6년째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수정작물 - 1년째"가 알맞지 않은 것이다. 순계분리는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들을 분리하여 순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자가수정작물은 자신의 유전자를 수정하여 순도를 높이는 작물이므로, 1년째에서는 아직 충분한 순도를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순도검정 년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식물호르몬 중 작물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며, 잎의 생장촉진, 호흡억제, 엽록소와 단백질의 분해억제, 노화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은?

  1. 오옥신류(auxins)
  2. 지베렐린(gibberellin)
  3. 사이토카이닌(cytokinins)
  4. 플로리겐(florigen)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토카이닌은 작물의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식물호르몬으로, 잎의 생장촉진, 호흡억제, 엽록소와 단백질의 분해억제, 노화방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작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겨울철 작물의 내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지방 함량이 적다.
  2. 당분 함량이 높다.
  3. 세포의 수분함량이 낮다.
  4.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겨울철 작물의 내동성을 높이는 요인은 주로 당분 함량이 높고, 세포의 수분함량이 낮으며,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이 많은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지방 함량이 적다는 것은 내동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지방 함량이 적다"는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병해충 방제에서 기계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1. 소각
  2. 중간기주 식물의 제거
  3. 담수
  4. 온도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중간기주 식물의 제거는 기계적 방제법이 아니라 생물학적 방제법에 해당한다. 기계적 방제법은 소각, 담수, 온도처리 등으로 병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하지만 중간기주 식물의 제거는 병해충이 서식하는 환경을 제거하여 병해충의 번식을 방지하는 생물학적 방제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벼의 이상적인 초형(Plant type)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상위엽일수록 직립한다.
  2. 이삭이 지엽 밑에 위치한다.
  3. 각 잎이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4. 엽초가 길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엽초가 길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벼의 초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엽초가 길어야 한다."는 벼의 초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적인 초형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춘화처리와 일장처리의 감응부위를 순서대로 바르게 쓰여진 것은?

  1. 성엽, 생장점
  2. 줄기, 성엽
  3. 뿌리, 생장점
  4. 생장점, 성엽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생장점, 성엽"입니다.

    춘화처리는 식물의 생장점을 자르는 것으로, 생장점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생장점을 자르면 식물의 성장이 멈추게 됩니다.

    일장처리는 식물의 성엽을 자르는 것으로, 성엽은 광합성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성엽을 자르면 광합성이 어려워져 식물의 생장이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춘화처리와 일장처리의 감응부위는 순서대로 "생장점, 성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요수량(要水量)이 가장 큰 작물은?

  1. 기장
  2. 감자
  3. 귀리
  4. 호박
(정답률: 알수없음)
  • 호박은 다른 작물에 비해 요수량이 많이 필요합니다. 호박은 큰 크기와 무게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요수량이 가장 큰 작물은 호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에서 장일성 작물로 짝지어진 것은?

  1. 시금치, 감자, 양파
  2. 담배, 들깨, 코스모스
  3. 당근, 고추, 토마토
  4. 딸기, 사탕수수, 메밀
(정답률: 알수없음)
  • 장일성 작물은 겨울철에 잘 자라는 작물로, 시금치, 감자, 양파가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장일성 작물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식물의 생장조절제 중에서 과일의 성숙을 촉진하는 것은?

  1. Auxin
  2. Gibberellin
  3. Cytokinin
  4. Ethylene
(정답률: 알수없음)
  • Ethylene은 과일의 성숙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Ethylene이 과일의 성장과정에서 생성되어 성숙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Ethylene은 과일의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생장조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작물생육에 적당하지 않은 토양 수분상태는?

  1. 최대용수량
  2. 최소용수량
  3. 수분당량
  4. 포장용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포장용수량"입니다. 포장용수량은 토양이 완전히 마르고 굳어진 상태에서의 수분양이량을 말하며, 작물생육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최대용수량은 토양이 포화상태일 때의 수분양이량을 말하며, 작물생육에 적합한 수분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사용됩니다. 최소용수량은 토양에서 작물이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수분양이량을 말하며, 수분당량은 토양이 가지고 있는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일반적으로 내습성이 강한 작물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피층세포의 직렬 배열
  2. 파생 통기조직의 형성
  3. 뿌리조직의 목화(木化)
  4. 심근성의 근계 형성
(정답률: 알수없음)
  • 심근성의 근계 형성은 일반적으로 내습성이 강한 작물의 특성이 아닙니다. 이는 심근성이 강하다는 것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습성이 강한 작물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물을 보존하고 흡수할 수 있는 뿌리조직의 목화, 피층세포의 직렬 배열, 파생 통기조직의 형성 등의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N율(C-N ratio)의 설명으로 가장 바르게 된 것은?

  1. 탄수화물보다 광물질양분이 풍부하면 화성 및 결실이 양호하다.
  2. 탄수화물과 다른 양분이 동시에 풍부하면 화성 및 결실이 양호하다.
  3. 수분과 질소의 공급이 약간 쇠퇴하고 탄수화물이 풍부 해지면 화성 및 결실이 양호하지만 생육은 약간 감소한다.
  4. C/N율은 화성 유도의 주요 외적 요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C/N율은 토양 내 유기물과 질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이 적절하면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질소를 공급하므로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수분과 질소의 공급이 약간 쇠퇴하고 탄수화물이 풍부해지면 화성 및 결실이 양호하지만 생육은 약간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식물영양에 대한 무기영양설을 주장한 사람은?

  1. Koelreuter
  2. Mendel
  3. Morgan
  4. Liebig
(정답률: 알수없음)
  • Liebig은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영양소가 물과 무기물에서 얻어진다는 무기영양설을 주장했습니다. 이것은 식물영양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식물과 작물 분류의 기본단위가 순서대로 쓰여진 것은?

  1. 종, 계통
  2. 속, 변종
  3. 종, 품종
  4. 속, 품종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 분류에서는 종이 가장 기본적인 분류 단위이며, 작물 분류에서도 종이 가장 기본적인 분류 단위입니다. 품종은 같은 종 내에서도 특정한 성질이나 용도에 따라 구분된 하위 분류 단위입니다. 따라서, 식물과 작물 분류의 기본단위는 모두 종이며, 작물에서는 품종이 추가적인 분류 단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식물이 영양기관을 이용해서 번식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차대에 다양한 변이 발생
  2. 모수의 유전형질을 차대에 계승
  3. 종자생산이 용이함
  4. 작업이 간편함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이 영양기관을 이용해서 번식하는 이유는 모수의 유전형질을 차대에 계승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차대에 다양한 변이가 발생하고, 종자생산이 용이하며 작업이 간편하다는 이유와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을 감자 재배시 가장 효과적인 휴면타파 방법은?

  1. 2 ∼ 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 ∼ 60분 처리
  2. 2 ∼ 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24시간 처리
  3. 250 ∼ 500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60분 처리
  4. 250 ∼ 500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24시간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을 감자는 수확 후 휴면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발아가 어렵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면타파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2 ∼ 5ppm 지베렐린 수용액에 30 ∼ 60분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이유는 지베렐린이 감자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30분에서 60분 정도의 처리 시간이 적당하며, 농약의 농도도 적당하여 감자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을 감자 재배시 가장 효과적인 휴면타파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모체의 영양체 일부를 절단하여 적당한 곳에 심어서 뿌리를 내어 번식시키는 것은?

  1. 삽목
  2. 분주
  3. 취목
  4. 접목
(정답률: 알수없음)
  • 삽목은 모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번식시키는 방법으로, 모체의 뿌리와 줄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나무를 키우는 방법입니다. 이는 빠르게 번식이 가능하며, 원하는 품종을 유지할 수 있어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가장 낮은 농도에서 피해를 일으키는 대기오염 물질은?

  1. SO2
  2. HF
  3. PAN
  4. O3
(정답률: 알수없음)
  • HF는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눈, 코, 목 등의 점막을 자극하여 피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대기오염 물질들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피해가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작물 수량을 지배하는 3요소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유전성, 환경조건, 재배기술
  2. 유전성, 환경조건, 유통시장
  3. 유전성, 지대, 자본
  4. 환경조건, 재배기술, 토지자본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 수량을 지배하는 3요소는 유전성, 환경조건, 재배기술입니다.

    유전성은 작물의 유전적 특성을 의미하며, 작물의 성장속도, 수확량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환경조건은 작물이 자라는 환경적 요소를 의미하며, 온도, 습도, 조도, 토양 등이 작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재배기술은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적절한 재배기술을 사용하면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요소는 모두 작물 수량을 지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도복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밀식재배
  2. 내도복성 품종 선택
  3. 배토 후 답압
  4. 균형시비
(정답률: 알수없음)
  • 밀식재배는 도복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도복은 작물의 생육을 저해시키는 병해충, 질병,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는 것을 말하는데, 밀식재배는 작물을 과도하게 밀어서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작물의 저항력을 약화시키고, 병해충과 질병에 취약해지게 만들기 때문에 도복 대책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내도복성 품종 선택, 배토 후 답압, 균형시비 등의 방법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종자를 일에서 수립씩 뛰엄뛰엄 파종하는 방식으로 두류, 감자 등과 같이 개체가 평면공간으로 상당히 퍼지는 작물에 적용되는 파종양식은?

  1. 적파
  2. 조파
  3. 점파
  4. 산파
(정답률: 알수없음)
  • 점파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작은 구역에 종자를 파종하는 방식으로, 작물이 평면공간으로 상당히 퍼지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 방식은 작물 간의 경쟁을 줄이고, 작물의 성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방식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점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벼도열병 방제와 거리가 먼 것은?

  1. 밀식다비 재배
  2. 저항성품종 이용
  3. 균형있는 시비
  4. 철저한 종자소독
(정답률: 알수없음)
  • 밀식다비 재배는 벼도열병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입니다. 벼도열병은 벼의 병해충으로 인한 질병이지만, 밀식다비 재배는 벼의 재배 방법 중 하나로, 벼의 생육을 돕기 위해 밭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삽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밀식다비 재배는 벼도열병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원제가 유기용매에 녹기 어려운 경우 주제를 카올린,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과 혼합, 분쇄하고 계면활성제를 적량 혼합하여 만든 것은?

  1. 수용제
  2. 유제
  3. 수화제
  4. 분제
(정답률: 알수없음)
  • 원제가 유기용매에 녹기 어려운 경우, 카올린,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과 혼합하면 표면적이 증가하여 녹이기 쉬워지고, 분쇄하면 입자 크기가 작아져 녹이기 쉬워진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적정량 혼합하여 만들면 원제와 유기용매 간의 계면장력을 줄여 녹이기 쉬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이 문제의 정답은 "수화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작물 병원균 중 그 생활환을 완결하기 위해 전혀 다른 2종의 식물을 기주로 하는 것은?

  1. 기주교대
  2. 잠복
  3. 감염
  4. 보균
(정답률: 알수없음)
  • 기주교대는 작물 병원균의 생활환경을 변화시켜 그들의 번식과 감염을 억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기존에 감염된 기주를 제거하고, 그 기주와 상호작용하지 않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식물을 기주로 대체함으로써, 병원균이 생활하는 환경을 바꿔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병원균은 적응하지 못하고 죽어나가게 되어, 작물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작물에 병이 발생할 때에는 여러 요인이 종합적으로 관여하게 된다. 병이 발생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가장 중 요한 요인은?

  1. 소인
  2. 유인
  3. 종인
  4. 주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주인"이다. 이는 작물 병의 발생 원인 중 가장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으로, 작물을 관리하는 사람의 농업 기술, 작물의 종류, 작물의 생육 환경 등이 모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물 병 예방 및 관리에 있어서는 주인인 농업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농경지에서 잡초의 피해가 아닌 것은?

  1. 양분과 수분의 감소
  2. 상호대립억제작용
  3. 병해충의 매개
  4. 수질 오염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는 농작물과 함께 자라면서 양분과 수분을 경쟁하고, 농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상호대립억제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병해충의 매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잡초가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질 오염"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미국흰불나방
  2. 파리
  3. 먹좀벌
  4. 메뚜기
(정답률: 알수없음)
  • 메뚜기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중 하나입니다. 불완전변태는 애벌레나 유충 등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성체로 진화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성체에 가까워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메뚜기는 애벌레와 성체가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성체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날개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메뚜기가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잡초의 유용성과 관계없는 사항은?

  1. 지면을 덮어서 침식을 방지한다.
  2. 구황작물로서 이용성이 인정된다.
  3. 작물과 경합하여 작물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한다.
  4. 잡초는 자연보존과 유전자은행 역할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는 자연보존과 유전자은행 역할을 한다는 것이 유용성과 관련이 없는 사항이다. 작물과 경합하여 작물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은 잡초의 생태적 역할 중 하나로,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곤충의 머리에 있는 부속기관이 아닌 것은?

  1. 겹눈
  2. 촉각
  3. 기문
  4. 입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문은 곤충의 머리에 있는 부속기관이 아니라, 성충의 생식기로서 복부 끝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시설재배시 가장 많이 발생하기 쉬운 병은?

  1. 토양에 의해 옮기는 병
  2. 물에 의해 옮기는 병
  3. 바람에 의해 옮기는 병
  4. 종자에 의해 옮기는 병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재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기 쉬운 병은 "토양에 의해 옮기는 병"입니다. 이는 토양 중에 병균이 존재하여 작물의 뿌리나 줄기 등에 감염되어 전염되기 때문입니다. 토양 중에 있는 병균은 작물이 생장하는 동안 계속해서 번식하며, 작물이 죽어서 토양에 분해되어도 병균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재배 시에는 토양 관리와 병균 방제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관행적인 방법으로 살충제인 A 유제 50%를 500배로 희석해서 10a 당 100 L를 살포하고자 할 때, 그 약제의 소요량은?

  1. 50cc
  2. 100cc
  3. 200cc
  4. 400cc
(정답률: 알수없음)
  • 50%의 A 유제를 500배로 희석하면 0.1%의 농도가 된다. 따라서 10a 당 100 L를 살포하려면 10a x 100 L x 0.1% = 10a x 0.1 L = 1 L의 약제가 필요하다. 이를 ml 단위로 환산하면 1,000 ml = 1 L 이므로 1 L = 1,000 cc 이다. 따라서 약제의 소요량은 1,000 cc 중 0.2배인 200c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작물병의 전염경로로 가장 거리가 먼 연결은?

  1. 바람 - 벼도열병
  2. 충(蟲)매전염 - 벼오갈병
  3. 종자전염 - 벼잎집얼룩병
  4. 수(水)매전염 - 벼흰잎마름병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전염은 작물의 씨앗에서 발생하는 질병 전파 방식으로, 다른 보기들은 작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서 발생하는 질병 전파 방식입니다. 따라서, 종자전염은 다른 보기들보다 더 멀리 전파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곤충의 이 기관은 내배엽성 기관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표피층이 없어 대부분의 소화효소를 합성·방출하고 먹이 성분들을 분해시켜 그 산물을 흡수하는 기관은?

  1. 침샘
  2. 전장
  3. 중장
  4. 후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곤충의 내배엽성 기관은 표피층이 없어 대부분의 소화효소를 합성·방출하고 먹이 성분들을 분해시켜 그 산물을 흡수하는 기관입니다. 이 중에서도 중장은 소화효소와 함께 먹이를 잘게 분해하여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토양의 생물학적 환경은 토양내 병원균의 생존, 증식에 크게 영향을 미쳐 토양전염성 병해의 발생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아래 미생물 환경 중에서 토양병 발생을 가장 많게하는 경우는?

  1. 미생물 종류가 다양하고 밀도도 높다.
  2. 미생물 종류는 다양하지만 밀도가 낮다.
  3. 미생물 종류가 단순하지만 밀도가 높다.
  4. 미생물 종류가 단순하고 밀도도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미생물 종류가 단순하고 밀도도 낮다." 이다. 이는 토양 내에서 특정한 종류의 미생물이 지배적으로 존재하고, 이들 미생물의 수가 적기 때문에 경쟁력이 약해져서 다른 병원균이 증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양 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밀도는 토양전염성 병해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해충의 약제 방제 효과는 1령충 때에 크게 나타난다. 1령충이란 어느 기간을 말하는가?

  1. 산란 이후 부화직전까지
  2. 부화 직후부터 1회 탈피 전까지
  3. 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
  4. 용화 이후 우화 직전까지
(정답률: 알수없음)
  • 1령충은 부화 직후부터 1회 탈피 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 동안 해충은 성장과 발달이 가장 빠르기 때문에 약제나 방제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간에 적절한 방제를 시행하면 해충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계유(機械油) 유제(乳劑)의 작용 특성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1. 식독제로서 위에서 소화중독되어 치사된다.
  2. 신경에 작용하여 이상 흥분을 일으켜 치사된다.
  3. 직접 접촉제로서 곤충체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기문이나 기관을 막아 질식사 시킨다.
  4. 침투성 살충제로서 작용점인 원형질에 도달하여 에너지 생성계의 효소에 저해작용을 하여 치사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유 유제는 직접 접촉제로서 곤충체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기문이나 기관을 막아 질식사 시킨다. 즉, 곤충의 호흡을 방해하여 죽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살선충제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친유성이어야 한다.
  2. 다른 동물에 대한 독성이 커야 한다.
  3. 토양에 휘발이 빠르고 오랫동안 존재해야 한다.
  4. 물에 대한 용해도가 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살선충제는 물 속에서 사용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친유성이어야 합니다. 친유성이란 물과 잘 섞이는 성질을 말하며, 이 성질이 없으면 물 속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살선충제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친유성이어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여름철 밭작물 재배에서 주요 잡초로 대두되는 것들을 가장 알맞게 연결한 것은?

  1. 쇠비름 - 냉이 - 망초 - 쇠털골
  2. 나도겨풀 - 물달개비 - 방동산이 - 피
  3. 바랭이 - 개비름 - 명아주 - 깨풀
  4. 벗풀 - 개밀 - 메꽃 - 피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랭이, 개비름, 명아주, 깨풀은 모두 여름철 밭작물 재배에서 주요 잡초로 대두되는 식물들이다. 바랭이와 개비름은 높이가 낮고 잎이 작아서 밭작물과 경쟁에서 유리하며, 명아주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서 밭작물의 영양분을 빼앗는다. 깨풀은 빠른 생장력으로 밭작물을 덮치고 성장을 방해한다. 따라서 이들은 여름철 밭작물 재배에서 가장 알맞게 연결된 잡초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특정식물이 다른 식물의 생장권 안으로 화학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생존이나 생육상의 피해를 유발하는 현상은?

  1. 상호대립억제작용
  2. 정아우세
  3. 식물경합
  4. 화학적방제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대립억제작용은 특정식물이 다른 식물의 생장권 안으로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식물경합에서 발생하는데, 서로 다른 식물들이 같은 자원을 경쟁하면서 생존을 위해 경쟁하는 것입니다. 이때, 화학적방제를 통해 경쟁 상대를 제거하거나, 상호대립억제작용을 통해 경쟁 상대의 생장을 억제하여 자원을 더 많이 확보하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농약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목적한 내용의 효력이 정확할 것
  2.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을 것
  3. 잔류성이 적거나 없을 것
  4. 가능한 많은 종류의 균이나 곤충을 죽일 수 있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 많은 종류의 균이나 곤충을 죽일 수 있을 것은 농약의 구비조건 중 하나이지만, 이유는 각 균과 곤충마다 다양한 특성과 생태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종류를 죽일 수 있는 농약이 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농작물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진균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

  1. 감자암종병
  2. 사과수심(水心)병
  3. 감자역병
  4. 사과탄저병
(정답률: 알수없음)
  • 사과수심(水心)병은 진균에 의한 병이 아니라, 사과의 수분과 영양분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사과가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받지 못하면 과일 내부의 조직이 부드러워지고 물이 쌓이게 되어 수심(水心)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이 질병은 진균에 의한 병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