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종자산업기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생산학 및 종자법규

1. 다음 중 지상발아를 하는 작물은?

  1. 옥수수
  2. 완두
  3. 보리
(정답률: 알수없음)
  • 콩은 지상발아를 하는 작물입니다. 콩은 씨앗이 땅 속에서 발아하여 뿌리와 줄기가 자라나고, 이어서 잎과 꽃이 생기며 열매를 맺습니다. 따라서 콩은 지상에서 자라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장일성 식물을 한계일장보다 짧은 일장조건에 두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1. 발아촉진
  2. 발아지연
  3. 개화촉진
  4. 개화지연
(정답률: 알수없음)
  • 장일성 식물은 일장보다 더 긴 일장조건에서 최적의 개화를 보이는데, 일장보다 짧은 조건에서는 개화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장보다 짧은 조건에서는 식물이 충분한 에너지를 축적하지 못하고, 개화를 위한 준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개화지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적심이 교잡을 위한 개화기 조절방법으로 쓰일 수 없는 작물은?

  1. 배추
  2. 상추
  3. 양파
(정답률: 알수없음)
  • 양파는 교잡을 위해 꽃을 만들기 전에 일정한 기간의 저온 처리가 필요한데, 이는 다른 작물들과는 달리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적심이 교잡을 위한 개화기 조절방법으로 쓰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분종자에서 전분립이 주로 저장되어 있는 곳은?

  1. 배유
  2. 배축
  3. 떡잎
(정답률: 알수없음)
  • 전분립은 배유에 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는 배유가 전분을 합성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종자산업법에서 작물로 규정하고 있는 법 적용 대상이 아닌 것은?

  1. 비모란선인장
  2. 누에
  3. 사과
  4. 라이그라스
(정답률: 알수없음)
  • 누에는 작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자산업법의 적용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자산업법령상 종자의 수출 수입 또는 수입된 종자의 국내 유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수입된 종자에 유해한 잡초종자가 농림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이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2. 수입된 종자의 재배로 인하여 특정 병해충이 확산 될 우려가 있는 경우
  3. 수입된 종자의 가격이 매우 높아 폭리의 우려가 있는 경우
  4. 재래종 종자 또는 국내의 희소한 기본종자의 무분별한 수출 등으로 국내유전자원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령상 종자의 수출 수입 또는 수입된 종자의 국내 유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는 유해한 잡초종자가 포함되어 있거나, 특정 병해충이 확산될 우려가 있거나, 국내유전자원보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수입된 종자의 가격이 매우 높아 폭리의 우려가 있는 경우"는 종자산업법령상 종자의 수출 수입 또는 국내 유통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종자산업법령상 종자업의 등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자업을 등록하고자 하는 자는 법에서 정한 시설 기준을 갖추어야 한다.
  2. 종자업자는 등록한 사항이 변경이 있는 대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그 변경사항을 통지하여야 한다.
  3. 시∙도지사는 종자업 등록 없이 종자를 생산 또는 판매할 수 있다.
  4. 화훼작물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종자관리사를 두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도지사는 종자업 등록 없이 종자를 생산 또는 판매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시∙도지사도 종자업 등록을 해야 종자를 생산하거나 판매할 수 있습니다.

    종자업자는 등록한 사항이 변경이 있는 대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그 변경사항을 통지해야 합니다. 이는 종자업자의 정보를 최신화하고,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산업법에 의한 수수료 및 품종보호료 징수 규칙상 품종보호출원 수수료는 품종당 얼마인가?

  1. 1만 8천원
  2. 3만 8천원
  3. 5만원
  4. 10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에 따라 품종보호출원 수수료는 품종당 3만 8천원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임의로 지정한 금액이며, 법적 규정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십자화과(유채)채소의 자가불화합성을 타파하기 위한 적정 CO2처리 농도는?

  1. 1~3%
  2. 3~5%
  3. 5~7%
  4. 7~10%
(정답률: 알수없음)
  • 십자화과(유채)채소는 자가불화합성을 일으키는 채소로서, 저장 중에 CO2 농도가 높아지면서 자가불화합성이 증가하여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정 CO2 처리 농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때, 십자화과(유채)채소의 자가불화합성을 타파하기 위한 적정 CO2 처리 농도는 3~5%입니다. 이는 1~3%보다는 높은 농도가 필요하며, 5~7%나 7~10%보다는 낮은 농도가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CO2 농도가 너무 낮으면 십자화과(유채)채소의 식감과 색상이 변하고, 너무 높으면 자가불화합성이 증가하여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5%가 적정 CO2 처리 농도로 설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종자산업법상 벼품종의 품종보호권 존속 기간으로 맞는 것은?

  1. 품종보호권의 설정등록이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2. 출원공개가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3. 출원공고가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4. 품종보호사정이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품종보호권의 설정등록이 있는 날부터 20년으로 한다."

    이유: 종자산업법 제28조에 따르면, 품종보호권은 설정등록일로부터 20년간 존속한다. 따라서, 품종보호권이 설정등록되는 날을 기준으로 20년간 보호를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무, 배추, 양배추, 등의 채종포에서 결핍이 문제시 되기 쉬운 비료 성분은?

  1. 붕소
  2. 인산
  3. 칼리
(정답률: 알수없음)
  • 붕소는 무, 배추, 양배추 등의 채소에서 결핍이 문제가 되기 쉬운 비료 성분입니다. 이는 붕소가 식물의 생장과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붕소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이며, 뿌리의 성장과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붕소 결핍은 식물의 성장과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의 씨눈(배)은 씨방(자방)안의 어느 세포와 정(웅)핵이 융합하여 만들어 지는가?

  1. 난핵세포
  2. 극핵세포
  3. 조세포
  4. 반족세포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의 씨눈(배)은 여성 생식기에서 만들어지는 난자와 남성 생식기에서 만들어지는 정자가 만나서 생기는 배아로 발달합니다. 이때, 난자는 난소에서 만들어지는데, 난소에는 난핵세포가 있습니다. 따라서, 종자의 씨눈(배)은 난핵세포와 정핵이 융합하여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종자의 발아검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발아지로써 모래나 발아시험지를 쓴다.
  2. 발아시험지는 뿌리가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3. 발아시험지는 병원균이 자라기 어려워야 한다.
  4. 물은 유기·무기의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아시험지는 병원균이 자라기 어려워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발아시험지는 종자의 발아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균이 자라기 어려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발아시험지에는 적극적으로 미생물이 존재하여 종자의 발아능력을 높이기도 한다. "발아시험지는 뿌리가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이유는, 뿌리가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을 때 종자의 발아능력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볍씨 200대(40kg들이)소집단에서 채취하여야 할 1차 시료의 개수는?

  1. 매 포장에서 1개(개소)씩 200개
  2. 매 2대마다 1개(개소)씩 100개
  3. 총50(개소)이상
  4. 총 30개(개소)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볍씨 200대(40kg들이)소집단에서 채취하여야 할 1차 시료의 개수는 "총 30개(개소)이상"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매 포장에서 1개(개소)씩 200개" : 200개의 포장이 있으므로, 최소한 200개의 시료가 필요하다.
    - "매 2대마다 1개(개소)씩 100개" : 200대 중 2대마다 1개씩 채취하면 100개의 시료가 나온다. 따라서 최소한 100개의 시료가 더 필요하다.
    - "총50(개소)이상" : 위의 두 가지 방법으로 채취한 시료들을 합쳐도 300개가 되지 않으므로, 추가적으로 50개 이상의 시료가 더 필요하다.
    - "총 30개(개소)이상" : 따라서, 최소한 350개의 시료가 필요하며, 이는 30개 이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개화기의 조절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파종기에 의한 조절
  2. 파종량에 의한 조절
  3. 적심에 의한 조절
  4. 식물 생장조절제에 의한 조절
(정답률: 알수없음)
  • 개화기의 조절방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파종량에 의한 조절"이다. 이는 파종 시 뿌리는 씨앗의 양을 조절하여 작물의 생육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개화기의 조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개화기의 조절 방법으로는 "적심에 의한 조절"과 "식물 생장조절제에 의한 조절"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자산업법에 명시된 1년 이하 징역 도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것은?

  1. 농림부 직원이 그 직무상 알게 된 품종보호출원중의 품종에 관하여 비밀을 누설하거나 도용할 대
  2. 유통종자에 대한 품질을 표시하지 않고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한 자
  3. 보증서를 허위로 발급한 종자관리사
  4. 우량종자의 생산과 원활한 유통을 위한 관계공무원의 조사 또는 수거를 거부, 방해 또는 기피한자
(정답률: 알수없음)
  • 보증서를 허위로 발급한 종자관리사가 해당한다. 이는 종자의 품질을 보증하는 보증서를 허위로 발급하여 소비자를 속이거나 피해를 입힌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대한 처벌로는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발아촉진 물질로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지베렐린
  2. 페놀화합물
  3. 사이토카이닌
  4. 에틸렌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화합물은 발아촉진 물질이 아니라, 식물의 생장과 관련된 물질로서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발아촉진 물질로서의 관계가 가장 먼 것입니다. 반면, 지베렐린, 사이토카이닌, 에틸렌은 모두 발아촉진 물질로서 식물의 생장과 발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자검사용 시료의 추출, 조제 및 관리상 주의해야 할 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용 시료는 노브 색대 등으로 추출한다.
  2. 제출시료는 종자검사에 이용되지 않는 시료를 말한다.
  3. 검사된 종자시료(ISTA검정용 시료)는 조절된 환경에 1년간 보관한다.
  4. 수분측정용 시료는 방수용기로 포장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출시료는 종자검사에 이용되지 않는 시료를 말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제출시료는 종자검사에 이용되는 시료를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 저장중에 발생되는 병충해 방제에 주로 이용되는 약제 처리는?

  1. 수화제
  2. 훈증제
  3. 분제
  4. 유제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 저장 중에 발생하는 병충해는 종자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수확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자를 처리하는데,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훈증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훈증제는 고온과 고습환경에서 종자를 처리하여 병충해를 제거하고 종자 내부의 물분을 제거하여 저장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훈증제는 종자 저장 중에 발생되는 병충해 방제에 주로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자산업법상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때 종자보증을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국립종자관리소에서 벼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
  2. 증식목적으로 판매한 후 생산된 종자를 판매자가 다시 전량 매입하는 경우
  3. 작물시험장에서 종자를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4. 농협에서 생산된 감자 종자를 전량 수출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산업법 제9조에 따르면, 종자를 판매 또는 보급하고자 할 때는 종자보증을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국립종자관리소에서 벼 종자를 보급하는 경우는 종자보증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국립종자관리소가 벼 종자의 품질을 보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민들은 국립종자관리소에서 안심하고 벼 종자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물육종학

21. 검정교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우자의 분리비를 알 수 있다.
  2. F1의 수량을 예측할 수 있다.
  3. 질적형질의 유전분석을 할 수 있다.
  4. 양적형질의 유전분석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정교배는 두 개의 순수한 부모 개체를 교배시켜서 F1 자손을 만들고, 그 F1 자손들끼리 교배시켜서 F2 자손을 만드는 유전학적 실험이다. 이 때 F1 자손들은 모두 같은 형질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부모 개체들이 서로 다른 형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F2 자손들은 3:1 비율로 형질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나타나는 형질의 비율을 통해 배우자의 분리비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우자의 분리비를 알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전자원의 수집ㆍ보존(gene pool 형성)과 관계없는 것은?

  1. 재래종의 수집ㆍ보존
  2. 야생종의 수집ㆍ보존
  3. 보급종자의 대량증식
  4. 품종보존 재배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급종자의 대량증식은 유전자원의 수집ㆍ보존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품종의 대량 생산을 위한 것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쓰이지 않는 것은?

  1. 코발트60
  2. X선
  3. 알콜
  4. 열중성자
(정답률: 알수없음)
  • 알콜은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알콜은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원자핵을 파괴하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알콜은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양파의 웅성불임성에 적합한 것은?

  1. 자가 불화합성
  2.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성
  3. 세포질적 웅성불임성
  4. 이형예 불화합성
(정답률: 알수없음)
  • 양파의 웅성불임성은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성에 적합합니다. 이는 양파의 세포질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웅성불임성으로, 세포질 내에서 발생하는 유전자 변이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양파의 웅성불임성과는 관련이 없거나, 다른 종류의 웅성불임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벼의 게놈에 함유된 염색체의 수는?

  1. n개 이다.
  2. 2n/n=2
  3. n-2개 이다.
  4. 하나도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벼의 게놈은 2n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벼가 이중수가체(diploid)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개 이다."가 아닌 "2n개 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이질배수체를 얻기 위한 종속간 잡종채종에서 문제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교잡 종자를 얻기 어렵다.
  2. 후대의 유전현상이 복잡하다.
  3. 잡종식물의 생육이나 임실이 불량하다.
  4.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을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질배수체를 얻기 위한 종속간 잡종채종에서 문제점 중에서 "새로운 유전자형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아니라 장점이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유전자형을 조합하여 새로운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점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동구 교배법(plot inbreeding method)에 해당하는 것은?

  1. 가계 선발법
  2. 모계 선발법
  3. 계통 집단 선발법
  4. 집단 선발법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계 선발법은 동구 교배법 중 하나로, 특정한 가계(가족)에서 원하는 특성을 가진 개체를 선택하여 교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특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농작물의 특정조합능력을 검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톱교배 검정법
  2. 단교배 검정법
  3. 다계교배 검정법
  4. 3계교배 검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농작물의 특정 조합능력을 검정하는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단교배 검정법입니다. 이는 두 개의 순종된 부모 식물을 선택하여 교배시키고, 그 후 대수로부터 유전적 분리를 통해 자손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농작물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정품종의 특성 유지방법을 기술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격리재배
  2. 다비재배
  3. 주 보존재배
  4. 원원종재배
(정답률: 알수없음)
  • 다비재배는 고정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다비재배는 두 개 이상의 다른 품종을 섞어 재배하는 방법으로, 이는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품종을 만들어내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고정품종의 특성을 유지하려면 격리재배, 주 보존재배, 원원종재배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4품종을 난괴법 3반복으로 포장배치 후 분산 분석 할 때 오차의 자유도는?

  1. 4
  2. 6
  3. 8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의 자유도는 총 자료의 개수에서 처리의 개수를 뺀 값이다. 이 경우에는 4품종을 3반복으로 처리하므로 처리의 개수는 4 x 3 = 12이다. 따라서 총 자료의 개수인 12개에서 처리의 개수인 12를 뺀 값인 0이 오차의 자유도가 된다. 하지만 분산 분석에서는 오차의 자유도가 0이 될 수 없으므로, 처리의 개수에서 1을 뺀 값인 11이 오차의 자유도가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6"이 아니라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어떤 품종의 이삭 100개의 무게를 측정한 관측차의 표준편차가 +- 20g 이었다. 표준오차는 얼마나 되는가?

  1. +- 200g
  2. +- 20g
  3. +- 2g
  4. +- 0.2g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오차는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따라서,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표준오차 = 20 / √100 = 2

    따라서, 정답은 "+- 2g" 이다. 이는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표준오차가 작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감자 종자의 퇴화 원인으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1. 병리적 퇴화
  2. 자연교잡에 의한 퇴화
  3. 돌연변이에 의한 퇴화
  4. 근교약세에 의한 퇴화
(정답률: 알수없음)
  • 감자 종자의 퇴화 원인으로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병리적 퇴화"입니다. 이는 감염병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감염되어 생긴 질병적인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질병적 변화는 감자 종자의 생육력을 저하시키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감자 종자의 병리적 퇴화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암꽃과 수꽃이 한 개체에 있으나 서로 다른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작물은?

  1. 메밀
  2. 옥수수
  3. 아스파라거스
(정답률: 알수없음)
  • 옥수수는 암꽃과 수꽃이 한 개체에 있으나 서로 다른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작물입니다. 암꽃은 수술에 위치하고 있고, 수꽃은 줄기의 끝에 위치합니다. 메밀, 삼, 아스파라거스는 모두 암꽃과 수꽃이 같은 부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잡종강세육종법에서 평가하는 조합능력의 종류에 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 톱교배조합능력, 일반조합능력
  2. 일반조합능력. 특정조합능력
  3. 특정조합능력, 단교배조합능력
  4. 단교배조합능력, 복교배 조합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잡종강세육종법에서 평가하는 조합능력의 종류는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이 있습니다. 일반조합능력은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부모 개체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유전적 변이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하며, 특정조합능력은 특정한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 조합능력은 모두 중요하지만, 특정조합능력은 특정한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므로 특정한 목적을 가진 육종에서 더욱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DNA에 들어있지 않은 염기는?

  1. 구아닌
  2. 시토신
  3. 티민
  4. 우라실
(정답률: 알수없음)
  • DNA에는 구아닌, 시토신, 티민이 포함되어 있지만, 우라실은 DNA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우라실은 RNA에만 존재하는 염기로, RNA의 일부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자연집단과 잡종집단에서 불연속변이 하는 질적형질은?

  1. 수량
  2. 화색
  3. 초장
  4. 개화소요일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색은 자연집단과 잡종집단에서 불연속변이 하는 질적형질입니다. 이는 화분의 꽃이나 잎의 색깔이 부모의 유전자에서 불연속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 꽃을 가진 부모와 흰 꽃을 가진 부모가 교배하여 자손이 분홍색 꽃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수량, 초장, 개화소요일수와 같은 양적형질과는 달리 불연속적인 현상으로서, 자연선택이나 진화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위 동질배수체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세포와 기관이 거대화된다.
  2. 종자의 성숙 또는 개화기가 빨라진다.
  3. 함유성분이 증가할 수 있다.
  4. 착과성이 감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위 동질배수체의 특징 중에서 종자의 성숙 또는 개화기가 빨라진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인위 동질배수체의 단점 중 하나로, 종자의 성숙 또는 개화기가 빨라지면 작물의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종자의 성숙 또는 개화기가 빨라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유전자의 상호작용 중에 두 종의 우성유전자가 함께 작용해서 전혀 다른 한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억제 유전자
  2. 중복 유전자
  3. 보족 유전자
  4. 복수 유전자
(정답률: 알수없음)
  • 보족 유전자는 두 종의 우성유전자가 함께 작용하여 전혀 다른 형질을 발현시키는 유전자를 말한다. 이는 두 유전자가 함께 작용하여 발현되는 형질이 개별적으로 발현될 때보다 더 강력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두 유전자가 함께 작용하여 발현되는 형질이 보존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유전자의 상호작용 중에서 가장 강력한 형태로, 생물의 발달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가불화합계통에서 자식종자를 억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장 효과적 방법은?

  1. 개화수분
  2. 뇌수분
  3. 충매수분
  4. 풍매수분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불화합계통에서 자식종자를 억기 위해서는 꽃이 진 후에 뇌수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꽃이 진 후에 꽃받침이 마르고 열매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에 뇌수분을 주면 열매의 크기와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개화수분은 꽃이 피기 전에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충매수분과 풍매수분은 열매의 성장을 촉진하지만 자식종자를 억는 효과는 미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작물의 내충성 기구를 비선호성, 항생성 및 내성으로 분류한 학자는?

  1. Van der Plank
  2. Painter
  3. Collins
  4. Haven
(정답률: 알수없음)
  • Painter는 작물의 내충성 기구를 비선호성, 항생성 및 내성으로 분류한 학자로, 이 분류법은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Van der Plank, Collins, Haven은 모두 식물병리학 분야에서 활동한 학자들이지만, 내충성 기구 분류법에서는 Painter가 가장 유명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원론

41. 식물 호르몬인 옥신의 농업적 이용에서 효과가 가장 적은 것은?

  1. 발근
  2. 적과
  3. 제초
  4. 휴면타파
(정답률: 알수없음)
  • 옥신은 발근 촉진, 적과 효과, 제초 효과 등 다양한 농업적 이용이 가능하지만, 휴면타파 효과는 가장 적다. 이는 옥신이 식물의 휴면 상태를 깨우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이를 농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아직 기술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휴면타파 효과는 농업적 이용에서는 아직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물에 탄산시비를 하는 경우 그 효과로 옳은 것은?

  1. 광합성 촉진
  2. 호흡작용 감소
  3. 전류작용 촉진
  4. 병해충 방제
(정답률: 알수없음)
  • 탄산시비는 이산화탄소를 작물에 공급하여 광합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작물이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 작용을 더욱 활발하게 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양의 당분을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광합성 촉진"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엽면증산이나 증발작용을 억제하고자 할 경우 살포하는 약제는?

  1. NAA
  2. IBA
  3. OED
  4. ABA
(정답률: 알수없음)
  • 엽면증산이나 증발작용을 억제하고자 할 경우 살포하는 약제는 OED이다. 이는 올레산, 에틸렌, 디아민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수분 손실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NAA와 IBA는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성분이며, ABA는 수분 부족 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 사용하는 성분이므로 엽면증산이나 증발작용을 억제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하우스재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1. 일조부족
  2. 과습
  3. 염류집적
  4. 잡초 방제
(정답률: 알수없음)
  • 염류집적은 하우스재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이는 수분과 영양분이 과도하게 쌓여 염분이 집적되어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병해충 발생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관리와 관수, 배수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종자의 분류 중 식물학상의 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1. 메밀
  2. 복숭아
(정답률: 알수없음)
  • 종자는 식물의 번식과정에서 새로운 식물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콩은 식물학적으로 종자에 해당하는데, 이는 콩이 식물의 씨앗으로서 번식과정에서 새로운 식물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콩은 종자의 분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토양의 과습에 의한 습해의 직접적인 피해는?

  1. 양분흡수 저해
  2. 호흡 장해
  3. 유해가스 피해
  4. 유기산 피해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의 과습으로 인해 습해가 발생하면, 토양 중의 공기가 차단되어 산소 공급이 어려워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식물의 호흡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호흡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흡 장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벼 이앙재배시 육묘의 필요성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토지 이용도의 증대
  2. 재해방지
  3. 추대방지
  4. 종자절약
(정답률: 알수없음)
  • 벼 이앙재배시 육묘는 토지 이용도의 증대와 재해방지, 종자절약에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추대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추대방지는 농경지 내에서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 유실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는 육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vavilov의 작물 기원 중심지가 아닌 곳은?

  1. 아시아 동남부
  2. 지중해 연안
  3. 유럽북부
  4. 필리핀군도 부근
(정답률: 알수없음)
  • Vavilov의 작물 기원 중심지는 작물의 원래 발생지를 찾아내는 연구를 통해 유럽북부, 아시아 동남부, 지중해 연안, 필리핀군도 부근 등 여러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북부는 Vavilov의 작물 기원 중심지가 아닌 지역이다. 이유는 유럽북부는 기후와 지리적 조건이 다양하고, 작물의 다양성이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Vavilov는 유럽북부를 작물 기원 중심지로 보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파종·이식의 작업이 편리하고 생육도 좋아지는 토양의 입단의 크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약 0.01~0.1mm
  2. 0.2~0.5mm
  3. 1~5mm
  4. 6~10mm
(정답률: 알수없음)
  • 파종·이식 작업 시에는 작은 입단 크기가 편리하다. 1~5mm 크기의 입단은 작고 균일하여 씨앗이나 식물이 잘 자라기 때문에 가장 적당하다. 약 0.01~0.1mm 크기는 너무 작아서 흙에 묻히면 씨앗이나 식물이 숨을 쉴 수 없고, 6~10mm 크기는 너무 크기 때문에 흙이 공극화되어 씨앗이나 식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 0.2~0.5mm 크기는 중간 정도이지만 입단이 불균일하여 작업이 불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적심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작물은?

  1. 배추
  2. 담배
(정답률: 알수없음)
  • 담배는 적심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서 적은 양의 농약으로도 효과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담배는 적심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서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적어 적은 양의 농약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장일식물인 것은?

  1. 시금치
  2. 국화
  3. 코스모스
(정답률: 알수없음)
  • 시금치는 장일식물이다. 장일식물은 씨앗이 하나씩 있는 식물로, 시금치 역시 씨앗이 하나씩 있다. 또한 시금치는 뿌리가 얕고 줄기가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장일식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봄철 과수원의 개화기에 동해 예방을 위한 응급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품림을 조성한다.
  2. 수증기가 함유된 연기를 발산시킨다.
  3. 야간에 짚이나 고형물을 태운다.
  4. 저녁에 충분히 관개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방품림을 조성한다."

    이유: 방품림은 과수원 주변에 나무나 식물 등을 심어 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동해 예방을 위한 응급대책으로 옳은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동해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벼 품종개량에서의 고정개채들을 얻을 수 있어 육종년한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1. 계통육종
  2. 집단육종
  3. 세포융합
  4. 약배양
(정답률: 30%)
  • 약배양은 벼의 세포를 적절한 영양매체에 배양하여 새로운 개체를 얻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고정된 개체를 얻을 수 있어 육종년한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육종 기술이지만, 고정개채를 얻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사선 중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은?

  1. 알파선
  2. 베타선
  3. 감마선
  4. 50 FE
(정답률: 알수없음)
  • 감마선은 전자기파 형태의 방사선으로,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생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감마선은 세포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DNA를 파괴하고 세포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등의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감마선은 방사선 중에서 가장 현저한 생물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상생태형을 구성하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굴광성
  2. 감광성
  3. 감온성
  4. 기본영양생장성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생태형을 구성하는 성질 중 "굴광성"은 포함되지 않는다. 기상생태형은 기상 조건에 따라 생물의 생장, 번식, 분포 등이 결정되는데, 이를 구성하는 성질로는 감광성(빛에 대한 반응성), 감온성(온도에 대한 반응성), 기본영양생장성(영양분에 대한 반응성)이 있다. "굴광성"은 지하 광물을 채취하는 능력을 의미하므로, 기상생태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상적 발육의 이론을 단계발육설로 가장 먼저 제창한 사람은?

  1. lysenko
  2. garner
  3. Went
  4. Vavilo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ysenko"입니다. Lysenko는 상적 발육의 이론을 단계발육설로 가장 먼저 제창한 사람으로, 이론은 환경이 유전자보다 개체 발육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과학적으로 잘못되었으며, Lysenko는 이를 강제로 시행하려는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수많은 과학자들이 억압당하고, 소련의 농업 생산성은 크게 저하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물의 분화과정에서 첫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고립단계
  2. 유전적 변이 발생단계
  3. 순화
  4. 적응형
(정답률: 알수없음)
  • 작물의 분화과정에서 첫 단계는 고립단계입니다. 이는 씨앗이 땅에 심어지고 자라는 과정에서 외부 환경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생물체로 성장하는 단계를 말합니다. 유전적 변이 발생단계는 작물의 분화과정에서 중간 단계에 해당하며, 이 단계에서는 유전자의 변이가 발생하여 새로운 특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환상박피와 관련이 있는 것은?

  1. c/n율
  2. T/R율
  3. R/S율
  4. G-D율
(정답률: 알수없음)
  • 환상박피는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이 때, 환상박피의 효과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가 c/n율입니다. c/n율은 환상박피가 가지는 두 가지 특성인 질량과 강성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환상박피의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n율은 환상박피와 관련이 있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요소를 10a당 성분량으로 10kg을 시용하고자 할때 실중량은?

  1. 4.5kg
  2. 21.7kg
  3. 46.0kg
  4. 460.0kg
(정답률: 알수없음)
  • 요소의 성분량이 10a당 10kg이므로, 1a당 1kg의 성분량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요소의 실중량은 10a당 10kg인 100kg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요소를 10a당 성분량으로 사용하고자 하므로, 10kg의 성분량을 가진 1a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10a당 10kg의 성분량을 가진 요소를 사용하면, 10kg의 성분량을 가진 1a가 10개 들어있으므로, 실중량은 100kg의 1/10인 10kg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요소를 10a당 성분량으로 사용하고자 하므로, 10kg의 성분량을 가진 1a를 10으로 나누어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10a당 1kg의 성분량을 가진 요소를 사용하면, 10kg의 성분량을 가진 1a가 1개 들어있으므로, 실중량은 100kg의 1/100인 1kg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요소를 10a당 성분량으로 사용하고자 하므로, 10kg의 성분량을 가진 1a를 100으로 나누어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10a당 0.1kg의 성분량을 가진 요소를 사용하면, 10kg의 성분량을 가진 1a가 0.1개 들어있으므로, 실중량은 100kg의 1/1000인 0.1kg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1.7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한해(가뭄)에 견디는 작물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세포가 작아서 수분이 적어져도 원형질의 변형이 적다.
  2. 저수능력이 크고 다육질이다.
  3. 잎이 작고 왜소하다.
  4. 뿌리의 분포가 얕다.
(정답률: 알수없음)
  • 뿌리의 분포가 얕다는 것은 작물이 토양 속에서 깊이 뿌리를 내리지 않고 얕게 분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토양 속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약해 가뭄에 견디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물보호학

61. 밤나무의 눈에 기생하여 혹을 형성함으로 순이 자라지 못하고. 개화결실도 하지 못하여 결국은 작은 가지부터 고사한다. 연1회 발생하고 어린 유충으로 겨울 눈 속에서 월동하는 이 해충은?

  1. 밤나무혹응애
  2. 밤나무순혹벌
  3. 밤나무왕진딧물
  4. 밤나무알락진딧물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해충은 밤나무의 눈에 기생하여 혹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순이 자라지 못하고 개화결실도 하지 못하여 작은 가지부터 고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정답은 "밤나무순혹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배나무 방패벌레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식엽성 해충
  2. 과실 피해 해충
  3. 흡즙성 피해해충
  4. 식엽 및 과실 침해 해충
(정답률: 알수없음)
  • 배나무 방패벌레는 잎을 먹는 것보다는 잎의 살짝 밑면에서 수액을 빨아먹는 흡즙성 해충이기 때문에 "흡즙성 피해해충"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충분히 자란 유충이 먹는 것을 중지하고 유충시대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영충
  2. 부화
  3. 탈피
  4. 용화
(정답률: 알수없음)
  • 용화는 충분히 자란 유충이 먹는 것을 중지하고 유충시대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 현상을 말한다. "용화"라는 단어는 번데기가 나는 모습이 용이 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병원균 중 주로 수공 침입하는 병원균은?

  1. 벼흰잎마름병균
  2. 감자역병균
  3. 보리흰가루병균
  4. 보리겉깜부기병균
(정답률: 알수없음)
  • 벼흰잎마름병균은 벼의 병원균으로,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주로 번식하며, 수공으로 쉽게 침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경재배나 농업용 수로 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감자역병균은 감자의 병원균, 보리흰가루병균은 보리의 병원균, 보리겉깜부기병균은 보리의 병원균으로, 이들은 벼흰잎마름병균과는 다른 종류의 병원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영속적으로 바이러스를 전염하는 곤충은?

  1. 복숭아혹진딧물
  2. 끝동매미충
  3. 목화진딧물
  4. 노린재류
(정답률: 알수없음)
  • 끝동매미충은 바이러스를 전염시키는데 특화된 곤충으로, 바이러스를 체내에 보유하고 있어서 다른 개체에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른 보기들은 주로 식물을 해충으로 공격하거나, 노린재류는 물고기를 공격하는 등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벼 도열병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이병성 품종을 재배한다.
  2. 종자소독 보다 모판소독이 더 중요하다.
  3. 가능한 밀식 재배한다.
  4. 종합적 방제 체계를 수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벼 도열병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한 방제 방법으로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종합적인 방제 체계를 수립하여, 예방과 치료를 모두 고려한 ganzheitliche 방법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곤충 분류의 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발목마디의 수
  2. 날개의 시맥모양
  3. 알의 색깔
  4. 더듬이의 모양
(정답률: 알수없음)
  • 알의 색깔은 곤충 분류의 기준이 아니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곤충 분류의 기준은 발목마디의 수, 날개의 시맥모양, 더듬이의 모양 등과 같은 해부학적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제초제에 의해서 나타나는 작물의 약해 증상이 아닌 것은?

  1. 잎과 줄기의 생장 억제
  2. 잎의 황화와 비틀림
  3. 잎의 백화현상과 괴사
  4. 잎의 큐티클층 형성 촉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제초제는 작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황화와 비틀림, 백화현상과 괴사 등의 약해 증상을 유발한다. 하지만 잎의 큐티클층 형성은 제초제에 의해서 촉진되는데, 이는 작물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역할을 하는 큐티클층이 더욱 강화되어 더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잎의 큐티클층 형성 촉진"은 제초제에 의해서 나타나는 작물의 약해 증상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약해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농약제제의 품질불량으로 약해가 생길 수 있다.
  2. 생력적 방제를 위해 모든 농약을 섞어 쓰게 되어 있다.
  3. 약해는 작물의 종류, 품종에 따라 다르다.
  4. 어독성 A급 농약은 TLm(42시간)>10ppm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생력적 방제를 위해 모든 농약을 섞어 쓰게 되어 있다." 이다. 이 설명은 오히려 농약의 약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방식으로 농약을 사용하는 것으로, 생력적 방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물을 보호하면서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오히려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식물병의 발생은 어떤 한 요인에 의해서만 발생하지 않는다. 식물병의 발생에 가장 적게 관여하는 요인은?

  1. 기주식물
  2. 환경요인
  3. 병원균
  4. 유전인자
(정답률: 알수없음)
  • 유전인자는 식물의 내부적인 특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식물병의 발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식물병의 발생에 가장 적게 관여하는 요인은 유전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진딧물과 같이 흡즙형 구기를 이용하여 작물을 가해하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적절한 살충제는?

  1. 불임제
  2. 훈증제
  3. 침투성 살충제
  4. 잔류성 접축제
(정답률: 알수없음)
  • 진딧물과 같은 흡즙형 구기는 작물 내부로 침투하여 흡수하므로, 침투성 살충제가 적합합니다. 침투성 살충제는 작물 표면에 분무하여 작물 내부로 침투하여 해충을 퇴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진딧물과 같은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침투성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부적합한 생육환경이나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난균류가 만드는 월동태는?

  1. 분생포자
  2. 난포자
  3. 후막포자
  4. 담자포자
(정답률: 알수없음)
  • 난균류는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월동태를 만듭니다. 이 중에서도 난포자는 부적합한 생육환경이나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만들어지는 월동태입니다. 이는 난균류의 생식세포 중 하나인 난자가 특정 조건에 맞게 발달하여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난포자가 부적합한 생육환경이나 겨울철을 지내기 위해 만들어지는 월동태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Phytoplasma 에 의해서 감염된 대추나무빗자루병 치료제는?

  1. 페니실린
  2. 스트렙토마이신
  3. 테트라싸이클린
  4. 가나마이신
(정답률: 알수없음)
  • Phytoplasma는 세균으로, 테트라싸이클린은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Phytoplasma에 의해 감염된 대추나무빗자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테트라싸이클린이 적합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가나마이신은 다른 종류의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병·해충·잡초의 종합적 방제법이란?

  1. 한 지역에서 동시에 방제하는 것을 뜻한다.
  2. 농약의 항공방제를 말한다.
  3. 여러 방제법을 조합하여 적용한다.
  4. 한 방법으로 모두 섞어서 방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병·해충·잡초는 각각 다양한 원인과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일한 방법으로만 방제를 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가지 방제법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병을 예방하기 위해 적정한 수분 관리와 살균제 적용,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생물적 방제와 화학적 방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괴경 번식을 하는 잡초는?

  1. 벋음씀바귀
  2. 가래
  3. 쇠털골
  4. 올미
(정답률: 알수없음)
  • 올미는 괴경 번식을 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괴경 번식은 뿌리가 아닌 줄기나 잎사귀 등으로 번식하는 것을 말하는데, 올미는 줄기를 통해 번식합니다. 따라서 올미는 괴경 번식을 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식물병의 제 1차 전염원이 될 수 없는 것은?

  1. 종자 내의 병원체
  2. 토양 내의 월동 균핵
  3. 포장 내의 이병 잔재물
  4. 생육기 병반상의 분생포자
(정답률: 알수없음)
  • 생육기 병반상의 분생포자는 이미 식물 내부에 존재하는 병원체의 번식체인데, 따라서 이미 식물 내부에 있는 것이므로 제 1차 전염원이 될 수 없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식물에 감염되기 전에 이미 존재하는 병원체나 잔재물이므로 제 1차 전염원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작물을 생육단계별로 볼 때에 약제에 저항력이 가장 강한 시기는?

  1. 영양생장기
  2. 생식생장기
  3. 휴면기
  4. 유묘기
(정답률: 알수없음)
  • 휴면기는 작물이 최대한 생존을 위해 자신의 성장을 멈추고 대사 활동을 줄이는 시기입니다. 이때 작물은 약제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강해지는데, 이는 작물의 대사 활동이 줄어들어 약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휴면기는 약제 처리를 할 때 가장 효과적인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의 잡초방제법 중 현대의 농업에서 가장 의존도가 높은 방법은?

  1. 예방적 방제법
  2. 생태적 방제법
  3. 생물적 방제법
  4. 화학적 방제법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적 방제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높은 효율성과 빠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현대 농업에서 가장 의존도가 높은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잡초나 해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농업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작물과 경합적인 측면에서 잡초의 유리한 생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다년생 잡초의 경우 번식력이 매우 왕성하다.
  2. 잡초는 뿌리의 발달이 좋으므로 토양수분과 양분의 흡수가 왕성함
  3. 불량한 기후조건하에서도 적응력이 강하다.
  4. 잡초는 발아와 초기생장속도가 느리나 잎은 빨리 전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잡초는 발아와 초기생장속도가 느리나 잎은 빨리 전개된다는 것은 잡초가 경쟁 상대인 작물보다 초기 생장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작물이 먼저 자라서 자원을 차지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잡초가 빠르게 잎을 전개하여 자원을 확보하려는 전략이기 때문에 유리한 생태적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노린재목에 속하는 해충으로 성충과 약충이 어린싹이나 잎의 뒷면에 떼를 지어 즙액을 빨아먹어 기주식물의 잎이 위축되면. 또한 여러 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씨고자리파리
  3. 복숭아혹진딧물
  4. 점박이 응애붙이
(정답률: 알수없음)
  • 복숭아혹진딧물은 노린재목에 속하는 해충으로, 성충과 약충이 어린싹이나 잎의 뒷면에 떼를 지어 즙액을 빨아먹어 기주식물의 잎이 위축되고, 여러 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인 "벼멸구", "씨고자리파리", "점박이 응애붙이"는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