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1970-01-01)

전산회계 1급
(1970-01-01 기출문제)

목록

1. 회사가 소모품을 구입하면서 이를 모두 당기의 비용으로 회계처리 하였을 경우 다음 중 어떤 회계개념을 고려한 것인가? 단, 금액의 대소관계를 고려하지 않음.

  1. 보수주의
  2. 수익비용의 대응
  3. 편리성
  4. 계속성
(정답률: 34%)
  • 정답: 보수주의

    설명: 보수주의는 회계개념 중 하나로, 비용을 발생시키는 시점에 비용을 인식하고, 수익을 발생시키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회사가 소모품을 구입하면서 이를 모두 당기의 비용으로 회계처리 하였을 경우, 이는 보수주의에 따라 비용을 발생시키는 시점에 비용을 인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작성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은?

  1. 자산, 부채는 유동, 비유동으로 구분표시하고 유동성이 높은 것부터 배열한다.
  2. 자본은 자본활동과 손익활동에서 발생한 잉여금을 구분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3. 손익계산서에 수익은 원칙적으로 실현주의에 의하여 인식한다.
  4. 손익계산서에 비용은 관련된 수익을 인식하였을 때만 비용으로 인식한다.
(정답률: 69%)
  • "손익계산서에 비용은 관련된 수익을 인식하였을 때만 비용으로 인식한다."이 가장 틀린 것이다. 비용은 해당 비용이 발생한 시점에 인식되며, 수익과 관련이 없더라도 비용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임대료나 인건비와 같은 고정비용은 수익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해당 비용이 발생한 시점에 비용으로 인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재고자산의 인식시점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은?

  1. 적송품은 수탁자가 판매하기 전까지 위탁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2. 시송품은 매입자가 매입의사표시를 하기 전까지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3. 할부판매상품은 인도기준으로 매출을 인식하므로 대금회수와 관계없이 인도시점에서 판매자의 재고자산에서 제외한다.
  4. 미착품은 도착지 인도조건인 경우 선적시점에서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
(정답률: 66%)
  • "미착품은 도착지 인도조건인 경우 선적시점에서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한다."가 가장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미착품은 도착지 인도조건이 아닌 경우에도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될 수 있다. 미착품은 매입자가 이미 구매한 상품이므로, 매입자의 소유로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착품은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되며, 인도조건과는 무관하다.

    미착품이 도착지 인도조건인 경우에도 선적시점에서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되는 이유는, 이 경우에도 매입자가 이미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즉, 매입자가 이미 상품을 구매한 시점에서부터 재고자산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매출채권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은?

  1. 기업의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외상대금을 처리하는 계정이다.
  2. 제품을 매출한 후 제품의 파손, 부패등의 사유로 값을 깎아 주는 것을 매출할인이라 한다.
  3. 제품의 하자로 인하여 반품된 매출환입은 제품의 총매출액에서 차감한다.
  4. 매출채권을 매각할 경우 “매출채권처분손실”계정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65%)
  • "제품을 매출한 후 제품의 파손, 부패등의 사유로 값을 깎아 주는 것을 매출할인이라 한다."가 가장 틀린 것이다. 매출할인은 제품의 가격을 할인하여 매출액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의 파손, 부패 등으로 인해 값을 깎아주는 것은 매출반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감가상각대상자산은?

  1. 개발비
  2. 투자부동산
  3. 건설중인 자산
  4. 신주발행비
(정답률: 53%)
  • 감가상각대상자산은 회계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감가상각을 적용하여 가치를 감소시키는 자산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개발비"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이를 회계상 감가상각하여 가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개발비"는 감가상각대상자산에 해당합니다. "투자부동산"은 부동산 투자를 위해 구매한 부동산 자산, "건설중인 자산"은 아직 완공되지 않은 건설 중인 자산, "신주발행비"는 주식 발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이들은 감가상각대상자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매도가능증권의 평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영업외손익으로 손익계산서에 반영된다.
  2. 장부가액이 공정가액보다 높을 경우에는 매도가능증권평가손실로 계상한다.
  3. 단기매매증권이나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되지 않는 유가증권에 대한 평가이다.
  4. 시장성있는 매도가능증권은 장부상 금액을 공정가액에 일치시켜야 한다.
(정답률: 31%)
  •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영업외손익으로 손익계산서에 반영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은 영업외손익으로 분류되지 않고, 종목별 평가금액의 변동으로 인한 재산의 변동을 나타내는 자산의 증가 또는 감소로서, 기타포괄손익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주식회사의 자본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게 짝지은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1. 적립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2.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3. 자본금, 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
  4. 적립금, 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
(정답률: 70%)
  • 정답: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 자본금: 회사 설립 시 주주가 출자한 금액으로 회사의 초기 자본금이다.
    - 자본잉여금: 주식 발행 시 발행 가액보다 높은 금액으로 발생하는 자본금 초과액이다. 이는 주주에게 배당이나 주식 매입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이익잉여금: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 중 배당이나 재투자 등으로 사용하지 않은 금액이다. 이는 주주에게 배당이나 자본금 증액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식회사의 자본 구성 요소는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빈칸의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1. 과대계상, 과소계상
  2. 과소계상, 과소계상
  3. 과소계상, 과대계상
  4. 과대계상, 과대계상
(정답률: 31%)
  • 이 그래프는 실제로는 100만원을 벌었지만, 120만원을 벌었다고 계산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실제 수익과 비교하여 과대로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와 네 번째 보기 중에서 "과대계상"이 두 번 등장하는 "과대계상, 과대계상"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결손금의 처리 항목 중 마지막으로 이입되는 잉여금은?

  1. 감자차익
  2. 감채적립금
  3. 이익준비금
  4. 사업확장적립금
(정답률: 44%)
  • 결손금은 기업이 예상치 못한 손실을 대비하기 위해 일정 금액을 예비해 두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마지막으로 이입되는 잉여금은 감자차익입니다. 감자차익은 기업이 판매한 상품의 원가와 판매가격의 차이로 발생하는 이익을 말합니다. 이는 예상치 못한 이익이므로 결손금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으로 관련범위내에서 조업도가 증가하는 경우 변동원가와 고정원가의 행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틀린 것은?

  1. 총변동원가는 증가한다.
  2. 총고정원가는 증가한다.
  3. 단위당 변동원가는 일정하다.
  4. 단위당 고정원가는 변동한다.
(정답률: 51%)
  • "단위당 고정원가는 변동한다."가 가장 틀린 것이다.

    조업도가 증가하면 총생산량이 증가하므로 총변동원가는 증가한다. 그러나 고정원가는 조업도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총고정원가는 증가하지 않는다. 단위당 변동원가는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므로 일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에서 구분표시 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직접재료비
  2. 당기제품제조원가
  3. 매출원가
  4. 제조간접비
(정답률: 75%)
  • 매출원가는 제조원가명세서에서 구분표시 되는 항목 중 하나이지만, 이유는 매출원가는 제품 판매 시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조원가명세서에서는 제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다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출원가는 제조원가명세서에서 구분표시 되는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주)부산실업의 제조원가와 관련한 자료이다. 당기제품제조원가는 얼마인가?

  1. 1,350,000원
  2. 2,050,000원
  3. 1,450,000원
  4. 1,050,000원
(정답률: 47%)
  • 당기제품제조원가는 공장관리비(300,000원) + 원재료비(500,000원) + 인건비(400,000원) + 간접재료비(250,000원) + 직접노무비(500,000원) = 1,950,000원 이다. 하지만, 판매비와 일반관리비(500,000원)를 제외한 제조원가는 1,950,000원 - 500,000원 = 1,450,000원 이다. 따라서 정답은 "1,45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은?

  1. 제분업, 시멘트생산업 등은 종합원가계산에 적합하다.
  2. 작업원가표를 작성하는 것은 개별원가계산이다.
  3. 다품종소량생산의 형태는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한다.
  4. 종합원가계산은 개별원가계산에 비해 제조간접비 배부문제가 중요하다.
(정답률: 65%)
  • "다품종소량생산의 형태는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한다."가 가장 틀린 것이다. 다품종소량생산의 경우에는 종합원가계산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종합원가계산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제품에 배분하여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제조간접비 배부문제가 중요하다.

    반면에 개별원가계산은 제품 하나하나의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작업원가표를 작성하여 각 공정에서 발생한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등을 계산하여 제품의 원가를 도출한다.

    제분업, 시멘트생산업 등은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는 산업으로 종합원가계산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사업장의 범위를 업종별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다음 중 가장 틀린 것은?

  1. 무인자동판매기에 의한 사업 : 무인자동판매기의 설치장소
  2. 부동산매매업 : 법인은 법인의 등기부상 소재지
  3. 사업장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 사업자의 주소 또는 거소
  4. 비거주자와 외국법인 : 국내사업장 소재지
(정답률: 61%)
  • "무인자동판매기에 의한 사업 : 무인자동판매기의 설치장소"가 가장 틀린 것이다. 사업자는 무인자동판매기를 설치하는 장소가 아닌, 자동판매기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주소 또는 거소를 기준으로 사업장을 신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공급대가란?

  1. 매입가액에 부가가치세를 포함시킨 것
  2.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를 포함시킨 것
  3. 매입가액에 부가가치세를 포함시키지 않은 것
  4.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를 포함시키지 않은 것
(정답률: 74%)
  • 부가가치세법상 공급대가란 과세 대상이 되는 공급의 대가로서, 공급자가 고객에게 청구하는 금액 중에서 부가가치세를 포함한 가격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급가액에 부가가치세를 포함시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