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1970-01-01)

전산회계 1급
(1970-01-01 기출문제)

목록

1. 발생주의 회계는 발생과 이연의 개념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계정과목이 아닌 것은?

  1. 미수수익
  2. 미지급비용
  3. 선수금
  4. 선급비용
(정답률: 80%)
  • 선수금은 미래에 고객으로부터 받을 예정인 수익에 대한 선급금이므로 발생주의 회계의 개념과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선수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역사적원가주의와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은?

  1.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을 모두 높일 수 있다.
  2. 기업이 계속하여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정당화되고 있다.
  3. 취득 후에 그 가치가 변동하더라도 역사적원가는 그대로 유지된다.
  4.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한 회계정보를 생산하는데 도움이 된다.
(정답률: 44%)
  • 역사적원가주의와 가장 관련성이 적은 것은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을 모두 높일 수 있다." 이다. 역사적원가주의는 자산의 가치를 취득 시점의 비용으로 평가하고 유지하는 회계처리 방법론이다. 따라서 취득 후에 그 가치가 변동하더라도 역사적원가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과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한 회계정보를 생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역사적원가주의와 관련이 있다. 하지만 기업이 계속하여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정당화되고 있다는 것은 재무회계의 기본 가정 중 하나인 지속기업가치가정과 관련이 있으며, 역사적원가주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서울은 유형자산 처분에 따른 미수금 기말잔액 45,000,000원에 대하여 2%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려 한다. 기초 대손충당금 400,000원이 있었고 당기 중 320,000원 대손이 발생되었다면 보충법에 의하여 기말 대손충당금 설정 분개로 올바른 것은?

  1. (차) 대 손 상 각 비 820,000원 (대) 대손충당금 820,000원
  2. (차) 기타의 대손상각비 820,000원 (대) 대손충당금 820,000원
  3. (차) 대 손 상 각 비 900,000원 (대) 대손충당금 900,000원
  4. (차) 기타의 대손상각비 900,000원 (대) 대손충당금 900,000원
(정답률: 55%)
  • 기말 대손충당금 설정액은 미수금 기말잔액의 2%인 900,000원이 되어야 하지만, 이미 기초 대손충당금 400,000원이 있으므로 보충할 대손충당금은 500,000원이 된다. 따라서, "(차) 대 손 상 각 비 820,000원 (대) 대손충당금 820,000원"이 올바른 분개이다. 이유는 대손충당금은 대손상각비와 대조적인 개념으로 대손상각비는 손실을 예측하여 미리 계상하는 것이고, 대손충당금은 이미 발생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마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손상각비와 대손충당금은 같은 금액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발생하는 비용 중 영업비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거래처 사장인 김수현에게 줄 선물을 구입하고 50,000원을 현금 지급하다.
  2. 회사 상품 홍보에 50,000원을 현금 지급하다.
  3. 외상매출금에 대해 50,000원의 대손이 발생하다.
  4. 회사에서 국제구호단체에 현금 50,000원을 기부하다.
(정답률: 77%)
  • 회사에서 국제구호단체에 현금 50,000원을 기부하는 것은 영업비용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기부금으로 분류되며, 회사의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초재고와 기말재고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면 다음 중 어떤 재고평가방법이 가장 높은 순이익과 가장 높은 매출원가를 기록하게 하는가?(순서대로 가장 높은 순이익, 가장 높은 매출원가)

  1.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2. 선입선출법, 선입선출법
  3. 후입선출법, 선입선출법
  4. 후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정답률: 68%)
  • 정답: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선입선출법(FIFO)은 먼저 입고된 재고를 먼저 판매하는 방법으로, 가장 최근에 입고된 재고는 가장 나중에 판매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물가가 상승하면 먼저 입고된 재고를 먼저 판매하기 때문에 재고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순이익이 높아지고 매출원가가 낮아집니다.

    반면 후입선출법(LIFO)은 가장 최근에 입고된 재고를 먼저 판매하는 방법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가장 최근에 입고된 재고를 먼저 판매하기 때문에 재고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따라 순이익이 낮아지고 매출원가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경기의 4월 기말재고액이 기초재고액 보다 200,000원 증가되었고, 4월 매출액은 2,700,000원으로 매출원가의 20% 이익을 가산한 금액이라 한다면, 당기 매입금액은?

  1. 2,150,000원
  2. 2,250,000원
  3. 2,350,000원
  4. 2,450,000원
(정답률: 35%)
  • 기말재고액이 기초재고액보다 200,000원 증가했으므로, 매입금액은 매출액의 80%에서 200,000원을 뺀 값과 같다. 따라서 매입금액은 2,700,000원 x 80% - 200,000원 = 2,45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5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이익잉여금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이익준비금
  2. 임의적립금
  3. 주식발행초과금
  4. 미처분이익잉여금
(정답률: 75%)
  • 주식발행초과금은 이익잉여금 항목이 아니라 자본금 항목에 해당한다. 이는 회사가 주식을 발행할 때 발행가액보다 실제로 받은 금액이 더 많은 경우 발생하는데, 이를 자본금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익잉여금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수익적지출로 회계처리 하여야할 것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냉난방 장치 설치로 인한 비용
  2. 파손된 유리의 원상회복으로 인한 교체비용
  3. 사용용도 변경으로 인한 비용
  4. 증설·확장을 위한 비용
(정답률: 82%)
  • 파손된 유리의 원상회복으로 인한 교체비용은 수익적 지출로 회계처리하여야 합니다. 이는 기존의 자산을 복원하는 비용으로, 회사의 자산 가치를 유지하고 증가시키는데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비용은 회사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용이므로 수익적 지출로 처리하여 올바른 회계처리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흑룡상사는 거래처와 제품 판매계약을 체결하면서 계약금 명목으로 수령한 2,000,000원에 대하여 이를 수령한 시점에서 미리 제품매출로 회계처리하였다. 이러한 회계처리로 인한 효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자산 과대계상
  2. 비용 과대계상
  3. 자본 과소계상
  4. 부채 과소계상
(정답률: 57%)
  • 정답은 "부채 과소계상"입니다. 계약금은 제품 판매 대금이 아니므로 수령 시점에서 매출로 인식할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계약금은 선수수입으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를 제품매출로 처리하면 부채가 과소계상되어 재무상태가 좋아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회계처리는 선수수입으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제조원가명세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당기원재료매입액을 파악할 수 있다.
  2.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당기총제조비용을 파악할 수 있다.
  3.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당기매출원가를 파악할 수 있다.
  4.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기말재공품원가를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기말재공품원가를 파악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제조원가명세서는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를 분석하고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제조원가명세서를 통해 당기매출원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조원가명세서에서 당기총제조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생산한 제품의 생산량으로 나누어서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기본원가(prime costs)를 구성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1.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
  2. 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3.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
  4.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변동제조간접비
(정답률: 82%)
  • 기본원가(prime costs)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로 구성됩니다. 직접재료비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자재나 부재료 등의 비용을 말하며, 직접노무비는 직접 생산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인건비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간접비용을 말합니다. 따라서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가 기본원가를 구성하는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의 자료에 의하여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82,000원
  2. 122,000원
  3. 132,000원
  4. 172,000원
(정답률: 56%)
  • 매출원가 = 매출액 - 순이익

    매출액 = 1,000,000원

    순이익 = 고정비용 + 가변비용

    고정비용 = 300,000원

    가변비용 = 568,000원

    순이익 = 300,000원 + 568,000원 = 868,000원

    매출원가 = 1,000,000원 - 868,000원 = 132,000원

    따라서, 정답은 "132,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조부문비의 배분방법인 직접배분법, 상호배분법 및 단계배분법의 세가지를 서로 비교하는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장 정확한 계산방법은 상호배분법이다
  2. 가장 정확성이 부족한 계산방법은 단계배분법이다.
  3. 배분순서가 중요한 계산방법은 단계배분법이다.
  4. 계산방법이 가장 간단한 배분법은 직접배분법이다.
(정답률: 72%)
  • "가장 정확성이 부족한 계산방법은 단계배분법이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각각의 배분법은 특정한 상황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정확성이나 간단함 등의 측면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과세표준의 산정방법이 옳지 않은 것은?

  1. 재화의 공급에 대하여 부당하게 낮은 대가를 받는 경우 : 자기가 공급한 재화의 시가
  2. 재화의 공급에 대하여 대가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 : 자기가 공급한 재화의 시가
  3. 특수관계인에게 용역을 공급하고 부당하게 낮은 대가를 받는 경우 : 자기가 공급한 용역의 시가
  4. 특수관계 없는 타인에게 용역을 공급하고 대가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 : 자기가 공급한 용역의 시가
(정답률: 56%)
  • 정답은 "특수관계 없는 타인에게 용역을 공급하고 대가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 : 자기가 공급한 용역의 시가"이다. 이유는 부가가치세법상 과세표준의 산정방법은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대가에서 공급자가 부담하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으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가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공급대가가 없으므로 시가를 산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면제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항목은?

  1. 내국신용장 또는 구매확인서에 의하여 공급하는 재화
  2. 판매목적타사업장 반출을 제외한 간주공급
  3. 부동산임대용역 중 간주임대료
  4. 택시운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용역
(정답률: 47%)
  •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면제되는 경우는 대부분의 공급에서 발급의무가 있지만, "내국신용장 또는 구매확인서에 의하여 공급하는 재화"는 예외적으로 발급의무가 면제되는 경우입니다. 이는 이미 내국신용장이나 구매확인서로 거래 내용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