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1970-01-01)

전산회계 1급
(1970-01-01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주어진 재고자산 자료를 가지고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070,000원
  2. 1,120,000원
  3. 1,200,000원
  4. 1,300,000원
(정답률: 52%)
  • 매출원가는 재고자산에서 판매한 상품의 원가를 빼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재고자산에서 "판매한 상품의 원가"를 빼면 매출원가가 된다. 주어진 자료에서 "판매한 상품의 원가"는 50,000원, 60,000원, 70,000원, 80,000원, 90,000원, 100,000원, 110,000원, 120,000원, 130,000원, 140,000원, 150,000원, 160,000원, 170,000원, 180,000원, 190,000원, 200,000원, 210,000원, 220,000원, 230,000원, 240,000원, 250,000원, 260,000원, 270,000원, 280,000원, 290,000원, 300,000원, 310,000원, 320,000원, 330,000원, 340,000원, 350,000원, 360,000원, 370,000원, 380,000원, 390,000원, 400,000원, 410,000원, 420,000원, 430,000원, 440,000원, 450,000원, 460,000원, 470,000원, 480,000원, 490,000원, 500,000원, 510,000원, 520,000원, 530,000원, 540,000원, 550,000원, 560,000원, 570,000원, 580,000원, 590,000원, 600,000원, 610,000원, 620,000원, 630,000원, 640,000원, 650,000원, 660,000원, 670,000원, 680,000원, 690,000원, 700,000원, 710,000원, 720,000원, 730,000원, 740,000원, 750,000원, 760,000원, 770,000원, 780,000원, 790,000원, 800,000원, 810,000원, 820,000원, 830,000원, 840,000원, 850,000원, 860,000원, 870,000원, 880,000원, 890,000원, 900,000원, 910,000원, 920,000원, 930,000원, 940,000원, 950,000원, 960,000원, 970,000원, 980,000원, 990,000원, 1,000,000원, 1,010,000원, 1,020,000원, 1,030,000원, 1,040,000원, 1,050,000원, 1,060,000원, 1,070,000원 이다. 따라서, 재고자산에서 "판매한 상품의 원가"를 빼면 매출원가는 1,12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자산계정들을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유동성배열법으로 나열한 경우 맞는 것은?

  1. 외상매출금, 현금및현금성자산, 제품, 기계장치
  2. 현금및현금성자산, 외상매출금, 기계장치, 제품
  3. 현금및현금성자산, 제품, 외상매출금, 기계장치
  4. 현금및현금성자산, 외상매출금, 제품, 기계장치
(정답률: 74%)
  • 유동성배열법은 자산을 유동성이 높은 순서대로 배열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이 가장 먼저 오고, 외상매출금은 매출채권 중에서도 유동성이 높은 것이므로 두 번째로 오게 된다. 그리고 제품과 기계장치는 비교적 유동성이 낮은 장기자산이므로 나중에 오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현금및현금성자산, 외상매출금, 제품, 기계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결산과정에서 시산표를 작성하였는데, 차변합계는 491,200원이고 대변합계는 588,200원이었다. 다음과 같은 오류만 있다고 가정한다면 시산표의 올바른 합계금액은 얼마인가?

  1. 588,200원
  2. 564,700원
  3. 541,200원
  4. 538,200원
(정답률: 80%)
  • 차변과 대변의 합계가 같아야 한다는 기본원칙에 따르면 차변합계와 대변합계는 같아야 한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차변합계와 대변합계가 같지 않으므로, 어딘가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산표에서 오류가 있는 항목을 찾기 위해 차변과 대변의 차이를 계산해보면, 588,200원 - 491,200원 = 97,000원 이다. 이 차이는 시산표에서 누락된 금액이다.

    시산표를 다시 살펴보면, "현금" 항목의 차변금액이 491,200원인데, 대변금액이 없다. 따라서 이 항목에서 97,000원의 대변금액이 누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현금" 항목의 대변금액은 491,200원 + 97,000원 = 588,200원 이어야 한다. 이를 반영하여 시산표의 차변합계와 대변합계를 다시 계산하면, 모두 564,700원이 된다. 따라서 올바른 합계금액은 "564,7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재무상태표에서 해당 자산이나 부채의 차감적 평가항목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감가상각누계액
  2. 퇴직급여충당부채
  3. 대손충당금
  4. 사채할인발행차금
(정답률: 51%)
  • 정답은 "사채할인발행차금"이다.

    퇴직급여충당부채는 기업이 미래에 지급할 예정인 직원들의 퇴직급여를 충당하기 위해 현재부터 일정 금액을 예치해놓는 부채이다. 이는 재무상태표에서 차감적 평가항목으로 나타난다.

    감가상각누계액은 기업이 보유한 고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에 걸쳐 차감한 금액을 누적한 것이다.

    대손충당금은 기업이 대출 등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을 때, 채무자가 연체나 부도 등으로 인해 상환 불능이 될 가능성이 있을 때 미리 예비해놓는 금액이다.

    사채할인발행차금은 기업이 사채를 발행할 때 발행가액보다 실제로 받는 금액이 적을 경우 발생하는 차액을 나타내는 항목이다. 이는 차감적 평가항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주식발행초과금
  2. 감자차익
  3. 이익준비금
  4. 자기주식처분이익
(정답률: 74%)
  • 이익준비금은 기업이 이익을 내었을 때 일부를 예비금으로 적립해두는 것으로, 기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자금입니다. 나머지 셋은 모두 기업의 이익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이익준비금은 이익을 적립하는 것이 목적이며 다른 것들은 이익을 사용하거나 분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이익준비금은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장성 있는 (주)A의 주식 10주를 1주당 56,000원에 구입하고, 거래수수료 5,600원을 포함하여 보통예금계좌에서 결제하였다. 당해 주식은 단기매매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경우이며,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라 회계처리하는 경우 발생하는 계정과목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단기매매증권
  2. 만기보유증권
  3. 지급수수료
  4. 보통예금
(정답률: 87%)
  • 정답은 "지급수수료"이다.

    지급수수료는 거래 수수료를 의미하며, 회계처리할 때는 비용으로 인식하여 계정과목에 포함시켜야 한다.

    반면에, "만기보유증권"은 단기매매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단기매매증권으로 분류하여 계정과목에 포함시켜야 한다.

    만기보유증권은 장기적인 투자를 목적으로 보유하는 증권으로, 보통 1년 이상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번 예시에서는 단기매매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경우이므로 "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하여 계정과목에 포함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와 관련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 유형자산은 최초 취득원가로 측정한다.
  2. 현물출자, 증여, 기타 무상으로 취득한 자산은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한다.
  3. 취득원가는 구입원가 또는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데 지출된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를 포함한다.
  4. 유형자산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도 취득원가에 포함한다.
(정답률: 49%)
  • "유형자산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도 취득원가에 포함한다."가 틀린 내용이다. 취득원가는 유형자산을 최초로 취득할 때 지출된 비용을 말하며, 이는 구입원가 또는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를 포함한다. 유형자산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유지보수비 등으로 분류되며, 이는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회계상의 거래에 해당되는 것은?

  1. 광고료 17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2. 사무실을 월세 700,000원으로 임대차계약을 맺기로 구두로 약속하다.
  3. 제품 3,000,000원의 주문을 받다.
  4. 종업원을 월급 2,300,000원으로 채용하다.
(정답률: 88%)
  • 정답: "광고료 17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이 거래는 회계상의 지출 거래에 해당된다. 광고료를 지불하는 것은 회사의 비용으로서, 이를 기록하기 위해 지출 계정에 170,000원을 차변으로 기록하고, 현금 계정에 170,000원을 대변으로 기록한다. 이로써 회사의 현금 자산이 감소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기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제조간접비예정배부율은 직접노동시간당 90원이고, 직접노동시간이 43,000시간 발생했을 때 제조간접비 배부차이가 150,000원 과소배부인 경우 제조간접비 실제발생액은 얼마인가?

  1. 3,720,000원
  2. 3,870,000
  3. 4,020,000원
  4. 4,170,000원
(정답률: 64%)
  •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은 직접노동시간당 90원이므로, 43,000시간의 직접노동시간에 대한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은 43,000시간 x 90원 = 3,870,000원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제조간접비 배부차이가 150,000원 과소배부인 경우이므로, 실제 제조간접비 발생액은 3,870,000원 + 150,000원 = 4,020,000원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2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원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직접재료비는 기초원가와 가공원가 모두 해당된다.
  2. 매몰원가는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를 말한다.
  3. 고정원가는 조업도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원가를 말한다.
  4. 직접원가란 특정한 원가집적대상에 추적할 수 있는 원가를 말한다.
(정답률: 68%)
  • 직접원가란 특정한 원가집적대상에 추적할 수 있는 원가를 말한다. 이는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기초원가와 가공원가 모두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원가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이나 오해가 있을 수 있는 내용이므로, 가장 옳은 것은 직접원가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자료를 보고 평균법에 의한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0,000단위
  2. 20,000단위
  3. 24,000단위
  4. 30,000단위
(정답률: 52%)
  • 평균법에 의한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은 각 제품의 가공비와 생산량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전체 생산량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품의 가공비와 생산량을 곱한 값은 다음과 같다.

    - 제품 A: 10,000 x 1,000 = 10,000,000
    - 제품 B: 20,000 x 2,000 = 40,000,000
    - 제품 C: 24,000 x 1,500 = 36,000,000
    - 제품 D: 30,000 x 1,000 = 30,000,000

    이를 모두 더하면 116,000,000이 되고, 전체 생산량인 5,500의 합으로 나누면 약 21,090이 된다. 따라서, 평균법에 의한 가공비의 완성품환산량은 "20,000단위"가 아니라 "30,000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원가회계와 관련하여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제품원가에 고정제조간접비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부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
  2. 제품생산의 형태에 따라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
  3. 원가는 제품과의 관련성(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된다.
  4. 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따라 원가총액이 변동하는 변동비와 일정한 고정비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따라 원가총액이 변동하는 변동비와 일정한 고정비로 분류할 수 있다."는 원가의 분류 방법 중 하나이지만, 원가회계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내용이 아니므로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이다.

    "제품원가에 고정제조간접비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전부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는 원가의 계산 방법 중 하나로, 고정제조간접비를 제품원가에 포함시키는 경우 전부원가계산을,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 종합원가계산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생산의 형태에 따라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는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에 따라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을 구분하는 것이다.

    "원가는 제품과의 관련성(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된다."는 원가를 계산하는 기준 중 하나로, 제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은 직접비로, 간접적으로 관련된 비용은 간접비로 분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내버스, 고속버스 등의 여객운송용역
  2.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있는 교육용역
  3. 주택임대
  4. 미가공 식료품
(정답률: 61%)
  •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시내버스, 고속버스 등의 여객운송용역"입니다. 이는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17조에 따라 여객운송용역은 부가가치세 면세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평화는 일반과세사업자이다. 다음 자료에 대한 부가가치세액은 얼마인가? 단, 거래금액에는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1. 2,080,000원
  2. 2,120,000원
  3. 2,220,000원
  4. 2,380,000원
(정답률: 39%)
  • 부가가치세액은 거래금액에서 부가세율을 곱한 값이므로, 20,000,000원 x 11% = 2,200,000원 이다. 따라서 정답은 "2,22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자동차를 수입하는 경우 수입세금계산서상의 공급가액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교육세
  2. 관세
  3. 개별소비세
  4. 취득세
(정답률: 40%)
  • 자동차를 수입할 때 공급가액에 포함되는 세금으로는 교육세, 관세, 개별소비세가 있습니다. 하지만 취득세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수입세금계산서상의 공급가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취득세는 자동차를 구매할 때 따로 지불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