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1970-01-01)

전산회계 2급
(1970-01-01 기출문제)

목록

1.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자산, 부채 및 자본의 증감변화를 가져오는 일체의 경제적 사건은?

  1. 계정
  2. 거래
  3. 분개
  4. 전기
(정답률: 80%)
  • 거래는 기업의 경영활동에서 자산, 부채 및 자본의 증감변화를 가져오는 일체의 경제적 사건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수입, 지출, 매입, 매출 등의 경제적 활동을 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거래는 기업의 회계에 기록되어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거래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활동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래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은?

  1. 비용의 발생
  2. 자산의 감소
  3. 부채의 감소
  4. 자산의 증가
(정답률: 81%)
  • 이미지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은 "부채의 감소"입니다.

    이유: 이미지에서는 현금이 10,000원 증가하면서 자산의 증가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자산 항목인 현금이 증가하면서 발생한 것이므로 "자산의 증가"가 정답입니다. 비용의 발생은 이미지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으며, 자산의 감소는 이미지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부채의 감소는 이미지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한 거래가 총계정원장에 바르게 전기 되었는지 점검하기 위해 작성하는 계정집계표는?

  1. 정산표
  2. 시산표
  3. 대차대조표
  4. 손익계산서
(정답률: 75%)
  • 시산표는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한 거래가 총계정원장에 바르게 전기 되었는지 점검하기 위해 작성하는 계정집계표입니다. 이는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문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산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현금계정 차변에 기입해야 되는 거래는?

  1. 상품을 매출하고 약속어음을 받다.
  2. 상품 매입대금을 당좌수표를 발행하여 지급하다.
  3. 외상매출금을 거래처 발행 당좌수표로 받다.
  4. 소지하고 있던 자기앞수표를 거래은행에 당좌예입하다.
(정답률: 76%)
  • 현금계정은 현금으로 입금받은 금액을 기록하는 계정이므로, "외상매출금을 거래처 발행 당좌수표로 받다."가 정답이다. 이 경우에는 현금이 아닌 당좌수표로 입금받았기 때문에 현금계정 차변에 기입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현금으로 입금받았거나 지불한 경우이므로 현금계정 대변에 기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의 외상매출 자료에서 외상매출금 기말잔액은 얼마인가? (단, 모든 거래는 외상거래임)

  1. 140,000원
  2. 150,000원
  3. 160,000원
  4. 170,000원
(정답률: 58%)
  • 외상매출금 기초잔액은 100,000원이다. 이에 외상매출금으로 판매한 상품에 대한 대금 50,000원을 더해 기말잔액은 150,000원이 된다. 하지만, 이 중에서 현금으로 지불한 고객이 10,000원이므로 실제 외상매출금 기말잔액은 16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2006년 1월 1일 건물 3,000,000원을 구입하고 취득세 200,000원과 등록세 100,000원을 현금으로 지급하였다. 2006년 12월 31일 결산시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단,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액 0원, 결산 연1회)

  1. 300,000원
  2. 310,000원
  3. 320,000원
  4. 330,000원
(정답률: 70%)
  • 건물의 취득가액은 3,300,000원(3,000,000원 + 200,000원 + 100,000원)이며, 내용연수가 10년이므로 연간 감가상각비율은 10%입니다. 따라서 200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의 감가상각비는 330,000원(3,300,000원 x 10%)이 됩니다. 결국,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비는 330,00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에 설명하는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1. 영업권
  2. 차량운반구
  3. 상품
  4. 토지
(정답률: 75%)
  • 위 그림은 토지의 매입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2006년 9월 1일 건물임대료 6개월분 30,000원을 현금으로 받고 수익으로 회계 처리하였다. 12월 31일 결산시 선수임대료에 해당하는 금액은(월할계산에 의한다)?

  1. 10,000원
  2. 15,000원
  3. 20,000원
  4. 25,000원
(정답률: 53%)
  • 선수임대료는 미리 받은 임대료 중 아직 이용하지 않은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6개월분을 미리 받았으므로 12월 31일 기준 3개월분이 선수임대료에 해당한다. 월할계산에 따라 1개월분은 5,000원이므로 3개월분은 15,000원이다. 하지만 이미 6개월분 중 3개월분인 15,000원을 수익으로 인식했으므로, 남은 3개월분인 10,000원이 선수임대료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1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자료에 의하여 기말상품재고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150,000원
  2. 200,000원
  3. 250,000원
  4. 300,000원
(정답률: 60%)
  • 기말상품재고액 = 기말재고수량 × 단가

    기말재고수량 = 전월재고수량 + 입고수량 - 출고수량

    따라서, 기말재고수량은 100 + 200 - 50 = 250개이다.

    단가는 600원이므로, 기말상품재고액은 250 × 600 = 15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15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개인 사업을 하는 사업주가 관할 세무서에 본인 소유 주택에 대한 재산세 1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한 경우 차변계정과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인출금
  2. 소득세예수금
  3. 세금과공과
  4. 잡비
(정답률: 70%)
  • 차변계정과목으로는 "인출금"이 가장 올바릅니다. 이는 사업주가 개인 소유 주택에 대한 재산세를 현금으로 납부한 경우, 현금이 인출되어 회사의 자금에서 빠져나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거나, 잘못된 계정과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자료에서 제시하고 있는 계정과목이 속한 비용의 분류영역은?

  1. 매출원가
  2. 판매비와 관리비
  3. 영업외비용
  4. 특별손실
(정답률: 85%)
  • 이 자료에서 제시된 계정과목은 "임차료"이며, 이는 판매비와 관리비에 속하는 비용으로 분류됩니다. 이유는 임차료는 회사의 영업활동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비용으로, 판매와 관리에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외상매입금을 매입처에 약속한 기일보다 빨리 지급함으로써 외상매입금에서 일정액을 할인 받는 경우 관련 있는 항목은?

  1. 매입환출
  2. 매입할인
  3. 매출에누리
  4. 매입에누리
(정답률: 83%)
  • 외상매입금을 빨리 지급함으로써 매입처에서는 자신들이 받을 돈을 빨리 받을 수 있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일정액의 할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할인을 매입할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외상매입금에서 일정액을 할인 받는 경우 관련 있는 항목은 "매입할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원상점의 2006년 12월 31일 현재 기말자산은 100,000원, 기말부채는 30,000원이며, 1년 동안에 발생한 수익과 비용은 다음과 같다. 2006년 1월 1일 영업을 시작하였을 때 출자한 자본금은?

  1. 10,000원
  2. 20,000원
  3. 30,000원
  4. 40,000원
(정답률: 43%)
  • 기말자산은 100,000원이고 기말부채는 30,000원이므로 기말자본은 70,000원입니다. 수익과 비용을 계산하면 40,000원 - 20,000원 = 20,000원의 순이익이 발생했습니다. 이 순이익은 모두 자본에 누적되므로, 2006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자본은 70,000원 + 20,000원 = 90,000원입니다. 따라서, 2006년 1월 1일에 출자한 자본금은 100,000원 - 90,000원 = 10,000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영업이익 계산과 관련이 없는 계정은?

  1. 이자비용
  2. 세금과공과
  3. 매출채권 대손상각비
  4. 접대비
(정답률: 63%)
  • 이자비용은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재무활동에서 발생하는 비용이기 때문에 영업이익 계산과는 관련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영업활동과 관련된 비용이므로 영업이익 계산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품 300,000원을 구입하고, 대금 중 100,000원은 현금 지급하고 잔액은 3개월 후 지급하기로 한 경우 올바른 설명은?

  1. 총자산과 총부채가 증가한다.
  2. 총자산과 총자본이 증가한다.
  3. 총부채가 증가하고, 총자본은 감소한다.
  4. 총자산이 감소하고, 총부채가 증가한다.
(정답률: 65%)
  • 정답: "총자산과 총부채가 증가한다."

    비품을 구입하면 자산인 비품이 증가하고, 동시에 부채인 미지급금이 증가합니다. 현금으로 지불한 100,000원은 자산인 현금이 감소하고, 총자산은 변동이 없습니다. 따라서 총자산과 총부채가 모두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