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1970-01-01)

전산회계 2급
(1970-01-01 기출문제)

목록

1. 유형자산에 대한 지출내역이다. 자본적 지출로 처리해야 할 금액의 합계는 얼마인가?

  1. 20,000,000원
  2. 22,000,000원
  3. 24,000,000원
  4. 25,000,000원
(정답률: 64%)
  • 유형자산에 대한 지출내역을 살펴보면, 건물 10,000,000원, 차량 8,000,000원, 가구 6,000,000원이므로 이들을 합산하면 24,000,000원이 된다. 이는 자본적 지출로 처리해야 할 금액의 합계이므로, 정답은 "24,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에서 밑줄 친 (가)와 (나)를 회계 처리한 경우 재무상태표에 통합 표시될 항목으로 옳은 것은?

  1. (가) 단기투자자산 (나) 단기투자자산
  2. (가) 단기투자자산 (나) 현금및현금성자산
  3. (가) 현금및현금성자산 (나) 단기투자자산
  4. (가) 현금및현금성자산 (나) 현금및현금성자산
(정답률: 79%)
  • 정답은 "(가) 단기투자자산 (나) 현금및현금성자산"입니다.

    (가)는 단기투자자산으로서, 기업이 단기간에 얻을 수 있는 이자나 배당금 등의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자한 자산을 말합니다. 이는 현금과 유가증권 등으로 구성됩니다.

    (나)는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현금과 유사한 자산을 말합니다. 이는 예금, 단기금융상품, 단기채권 등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이 두 항목은 모두 기업의 단기 자금 운용과 관련된 항목으로서, 재무상태표에서는 통합하여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대한컴퓨터의 아래 거래를 분개시 (가), (나)와 관련된 대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

  1. (가) 미지급금 (나) 미지급금
  2. (가) 미지급금 (나) 외상매입금
  3. (가) 외상매입금 (나) 미지급금
  4. (가) 외상매입금 (나) 외상매입금
(정답률: 89%)
  • (가) 외상매입금은 대한컴퓨터가 상품을 구매하고 지급을 아직 하지 않은 금액을 나타내는데, 이 거래에서 대한컴퓨터는 상품을 외상매입한 것이므로 (가) 외상매입금이 맞습니다. (나) 미지급금은 대한컴퓨터가 이미 상품을 구매하고 지급해야 할 금액을 나타내는데, 이 거래에서는 대한컴퓨터가 지급할 금액이 없으므로 (나) 미지급금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외상매입금 (나) 미지급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8월 중 갑상품에 대한 내용이다. 월말재고액을 선입선출법으로 계산한 금액으로 옳은 것은?

  1. 21,000원
  2. 22,000원
  3. 23,000원
  4. 24,000원
(정답률: 68%)
  • 선입선출법은 먼저 들어온 재고를 먼저 판매하는 방법이다. 그림에서는 8월 1일에 10개의 갑상품이 입고되었고, 8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매일 판매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8월 31일에는 8월 1일 입고된 10개의 갑상품이 모두 판매되었을 것이다. 이때 월말재고액은 8월 1일 입고된 갑상품의 구매가격인 24,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항목들과 관련하여 회계처리하는 경우 분개상 차변에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가, 나
  2. 가, 다
  3. 나, 라
  4. 가, 라
(정답률: 65%)
  • 분개상 차변에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가, 라" 입니다. 이유는 "가"는 현금을 받았지만, 이는 수입이 아닌 대출금 상환으로 인한 차입금 상환으로 분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라"는 재고를 매각하여 현금을 받았지만, 이는 매출이 아닌 재고의 매각으로 인한 수입으로 분개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시산표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일치한다면 계정기록의 오류가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작성시기에 따라 수정전시산표와 수정후시산표로 구분된다.
  3. 대차평균의 원리에 근거하여 분개장에서 원장으로의 전기의 정확성을 점검한다.
  4. 시산표의 종류에는 잔액시산표, 합계시산표, 합계잔액시산표가 있다.
(정답률: 76%)
  • 정답은 "대차평균의 원리에 근거하여 분개장에서 원장으로의 전기의 정확성을 점검한다."이다. 시산표는 분개장에서 기록된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을 정리한 것으로,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이 일치한다면 계정기록의 오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회계원리 중 기초적인 원리 중 하나이다. 수정전시산표와 수정후시산표는 작성시기에 따라 구분되며, 시산표의 종류에는 잔액시산표, 합계시산표, 합계잔액시산표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손익계산서 항목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개발비
  2. 연구비
  3. 접대비
  4. 기부금
(정답률: 54%)
  • 정답: 기부금

    해설: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며, 개발비, 연구비, 접대비는 모두 기업의 비용으로 손익계산서 항목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기부금은 기업이 외부에 기부한 비용으로 손익계산서 항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주어진 자료에서 당기말 현재(2013.12.31.) 손익계산서에 계상될 감가상각비는 얼마인가?

  1. 2,000,000원
  2. 2,040,000원
  3. 2,160,000원
  4. 2,180,000원
(정답률: 58%)
  • 주어진 자료에서 당기말 현재(2013.12.31.) 감가상각누계액은 8,160,000원이다. 이를 이용하여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누계액 - 이전 감가상각누계액
    감가상각비 = 8,160,000원 - 6,120,000원
    감가상각비 = 2,040,000원

    따라서, 정답은 "2,04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기말 계정잔액의 표시가 잘못된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기말 계정잔액은 차변과 대변의 합으로 계산되는데, 이 중에서 차변과 대변이 모두 표시되어야 올바른 계정잔액이 표시된다. ""의 경우 차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잘못된 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비유동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1. 임대보증금
  2. 선수금
  3. 단기차입금
  4. 미지급금
(정답률: 70%)
  • 임대보증금은 임대인에게 보증금으로 납부되는 금액으로, 임대계약이 종료될 때 임차인이 임대물건을 반환할 때 원상태로 되돌려놓고 나면 임대보증금이 반환된다. 따라서 이는 장기간 보유되는 비유동부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영업외비용 및 영업외수익에 해당하는 계정과목끼리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선급비용, 미수수익
  2. 이자비용, 선수수익
  3. 미지급비용, 이자수익
  4. 이자비용, 이자수익
(정답률: 74%)
  • 정답은 "이자비용, 이자수익" 입니다.

    영업외비용은 기업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비용을 말하며, 이자비용은 이자를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영업외수익은 기업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수익을 말하며, 이자수익은 이자를 받는 수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자비용과 이자수익은 모두 영업외비용 및 영업외수익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감가상각 대상 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품
  2. 건물
  3. 토지
  4. 기계장치
(정답률: 83%)
  • 토지는 감가상각 대상 자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감가상각의 대상이 물리적인 자산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토지는 물리적인 변화가 없기 때문에 감가상각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홍도상사는 기말 결산 시 미지급된 상여를 계상하지 않았다. 이 경우 미치는 영향은?

  1. 자산이 과대평가 된다.
  2. 부채가 과소평가 된다.
  3. 당기순이익이 적어진다.
  4. 자본이 감소한다.
(정답률: 55%)
  • 미지급된 상여는 기업의 부채로 인정되어야 하지만, 이를 계상하지 않은 경우 부채가 과소평가되어 자본에 대한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부채가 과소평가 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자료에서 시언상회의 총비용은 얼마인가?

  1. 2,000,000원
  2. 2,500,000원
  3. 3,000,000원
  4. 4,000,000원
(정답률: 69%)
  • 시언상회의 총비용은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정비용은 생산량과 상관없이 일정한 비용이며, 이 경우에는 1,000,000원입니다. 가변비용은 생산량에 따라 변동하는 비용으로, 생산량이 500개일 때는 1,000원, 1,000개일 때는 800원, 1,500개일 때는 600원, 2,000개일 때는 500원이므로, 가변비용은 500 * (500 + 1,000 + 1,500 + 2,000) = 2,500,000원입니다. 따라서 총비용은 1,000,000원 + 2,500,000원 = 3,500,000원이며, 가장 가까운 보기는 "3,000,000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자료를 토대로 기말 대손상각비로 계상할 금액은 얼마인가?

  1. 10,000원
  2. 20,000원
  3. 30,000원
  4. 40,000원
(정답률: 77%)
  • 기말 대손상각비는 기초금액에서 기말잔액을 뺀 값이므로, 100,000원에서 70,000원을 뺀 30,000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