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회계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9600-06-17)

전산회계 2급
(9600-06-17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유동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보통예금
  2. 임차보증금
  3. 재고자산
  4. 단기매매증권
(정답률: 67%)
  • 임차보증금은 유동자산이 아닌 고정자산에 해당한다. 이는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었을 때 반환되는 보증금으로, 일반적으로 장기간 보유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차보증금은 유동성이 낮아 유동자산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자료에서 거래의 8요소 중 차변요소와 대변요소의 구분으로 올바른 것은?

  1. 가. 대변, 나. 대변, 다. 대변
  2. 가. 대변, 나. 대변, 다. 차변
  3. 가. 차변, 나. 차변, 다. 대변
  4. 가. 대변, 나. 차변, 다. 대변
(정답률: 68%)
  • 주식 발행에 따른 현금 유입은 차변으로 기록되고, 발행한 주식은 대변으로 기록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 대변, 나. 차변, 다. 대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재무상태표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은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2.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낮은 항목부터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자산과 부채는 원칙적으로 상계하여 표시하지 않는다.
  4. 보고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상환되어야 하는 단기차입금 등의 부채는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정답률: 70%)
  •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낮은 항목부터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실제로는 자산과 부채를 유동성이 높은 항목부터 배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재무상태표를 통해 기업의 유동성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과 부채는 보다 쉽게 현금화되거나 상환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자료에 의하여 상품의 당기총매입액은 얼마인가?

  1. 145,000원
  2. 120,000원
  3. 115,000원
  4. 110,000원
(정답률: 53%)
  • 상품의 당기총매입액은 "매입원가"와 "매입수량"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매입원가와 매입수량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것이 당기총매입액이 된다.

    위 자료에서 매입원가와 매입수량은 다음과 같다.

    - 1월 매입: 20,000원 x 3개 = 60,000원
    - 2월 매입: 15,000원 x 4개 = 60,000원
    - 3월 매입: 20,000원 x 2개 = 40,000원
    - 4월 매입: 25,000원 x 1개 = 25,000원

    따라서, 매입원가와 매입수량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결과는 60,000원 + 60,000원 + 40,000원 + 25,000원 = 185,000원 이다.

    따라서, 상품의 당기총매입액은 185,000원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5,000원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당기총매입액"이 아닌 "당기순매입액"을 묻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당기순매입액은 매출액에서 매입액을 뺀 값으로 계산된다. 위 자료에서 매출액은 300,000원이고, 매입액은 185,000원이므로, 당기순매입액은 300,000원 - 185,000원 = 115,000원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으로 주어진 것은 "당기순매입액"이며, 이유는 문제에서 묻는 것이 "당기순매입액"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현금으로 지급되었으나 계정과목과 금액을 확정할 수 없을 때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계정으로 올바른 것은?

  1. 미수금
  2. 외상매입금
  3. 선급금
  4. 가지급금
(정답률: 80%)
  • 가지급금은 현금으로 지급되었으나 계정과목과 금액을 확정할 수 없을 때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계정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가지급금으로 일시적으로 처리하고, 나중에 계정과목과 금액을 확정한 후에는 해당 계정으로 이동시켜 처리합니다. 미수금은 아직 받지 못한 돈, 외상매입금은 아직 지불하지 않은 매입금, 선급금은 미리 지불한 금액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가지급금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계정잔액의 표시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4%)
  • ""가 옳지 않다. 이는 계정잔액을 음수로 표시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양수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당기에 발생한 비용 중 차기분을 이연하는 이유로 올바른 것은?

  1. 현금주의 인식
  2. 당기순이익의 과대공시
  3. 수익과 비용의 대응
  4. 차기순이익의 과소공시
(정답률: 51%)
  • 수익과 비용은 대응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당기에 발생한 비용 중 차기분을 이연하는 것은 수익과 비용의 대응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당기에 발생한 비용이 해당하는 수익과 대응되도록 하여, 정확한 회계 정보를 제공하고 당기순이익의 과대 또는 과소 공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거래를 회계처리 하였을 때, 차변 또는 대변에 기록하는 계정과목이 아닌 것은?

  1. 선수금
  2. 예수금
  3. 현금
  4. 받을어음
(정답률: 76%)
  • 예수금은 이미 입금된 돈으로서 차변 또는 대변에 기록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거래에서 차변 또는 대변에 기록하는 계정과목이 아닌 것은 "예수금"입니다.

    선수금은 아직 받지 않은 선급금이므로 차변에 기록됩니다. 현금은 현금으로 입금되었으므로 차변에 기록됩니다. 받을어음은 수취어음으로 대변에 기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회계상의 거래에 해당하는 것은?

  1. 화재로 인해 상품의 일부가 파손되다.
  2. 신입사원 김사랑씨를 채용하다.
  3. 신규 거래처로 ㈜희망상사를 선정하다.
  4. 사업 확장을 위해 새로운 건물을 임차하기로 결정하다.
(정답률: 70%)
  • 정답: "화재로 인해 상품의 일부가 파손되다."

    이유: 화재로 인해 상품의 일부가 파손되는 것은 회계상의 손실이 발생하는 거래이다. 이는 재고자산의 가치가 감소하고, 손익계산서에서 비용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내용연수 경과에 따른 감가상각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와 관련 없는 감가상각방법은?

  1. A, B, C, D
  2. B, C, D
  3. C, D
  4. D
(정답률: 42%)
  • 정답은 "D"입니다. 이유는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선형 감가상각법, 이중감가상각법, 150%초과법은 모두 경과에 따라 감가상각비가 감소하는 방법이지만, 세제감가상각법은 경과에 상관없이 일정한 감가상각비를 적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비유동부채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퇴직급여충당부채
  2. 유동성장기부채
  3. 미지급세금
  4. 선수금
(정답률: 61%)
  • 비유동부채는 장기적인 시간 동안 상환되는 부채를 말합니다. 따라서 "퇴직급여충당부채"가 비유동부채에 해당합니다. 이는 기업이 미래에 직원들에게 지급할 예정인 퇴직급여를 충당하기 위해 현재부터 일정 금액을 예치해놓은 것입니다. 이러한 예치금은 장기적인 시간 동안 충당되어야 하므로 비유동부채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제시된 자료에 의하여 제2기 기말자본금을 계산하면 얼마인가?(자본거래는 없음)

  1. 200,000원
  2. 330,000원
  3. 400,000원
  4. 500,000원
(정답률: 49%)
  • 기말자본금 = 자본금 + 이익잉여금 - 미처분이익

    = 200,000원 + 230,000원 - 30,000원

    = 400,000원

    따라서 정답은 "400,000원"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손익계산서상의 계정과목 중 영업외비용에 해당하는 항목은?

  1. 급여
  2. 복리후생비
  3. 이자비용
  4. 접대비
(정답률: 69%)
  • 영업외비용은 기업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이자비용은 기업이 차입한 자금에 대한 이자를 지불하는 비용으로, 영업활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자비용은 영업외비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의 거래내용과 관련이 없는 계정과목은?

  1. 보통예금
  2. 감가상각누계액
  3. 미수금
  4. 유형자산처분이익
(정답률: 61%)
  • 거래내용에서는 유형자산의 매각으로 인한 이익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감가상각누계액"과 관련이 없다. "보통예금"은 입출금이 이루어진 계좌를 나타내는 계정과목이고, "미수금"은 아직 수금되지 않은 매출채권을 나타내는 계정과목이다. 따라서 정답은 "감가상각누계액"이다. "감가상각누계액"은 유형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누적하여 기록하는 계정과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는?

  1. 예수금을 보통예금으로 지급하다.
  2. 미수금을 현금으로 지급받다.
  3. 통신비를 현금으로 지급하다.
  4. 차입금을 현금으로 상환하다.
(정답률: 47%)
  • 정답은 "통신비를 현금으로 지급하다." 이다. 이유는 통신비를 현금으로 지급하면 현금이 감소하게 되어 자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수금을 보통예금으로 지급하면 자본은 변하지 않고, 미수금을 현금으로 지급받아도 자본은 변하지 않는다. 차입금을 현금으로 상환하면 부채가 감소하게 되어 자본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거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