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7200-06-02)

전산세무 1급
(7200-06-02 기출문제)

목록

1.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하에서 유형자산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감가상각 : 자산의 감가상각대상금액을 그 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체계적으로 배분하는 것
  2. 내용연수 : 기업이 자산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기간이나 자산에서 얻을 것으로 예상하는 생산량 또는 이와 비슷한 단위 수량
  3. 잔존가치 : 자산이 이미 오래되어 내용연수 종료시점에 도달하였다는 가정하에 자산의 처분으로부터 현재 획득할 금액에서 추정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금액의 추정치
  4. 회수가능액 : 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자산의 취득시점이나 건설시점에서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 자산 이나 제공한 기타 대가의 공정가치
(정답률: 91%)
  • 정답은 "잔존가치 : 자산이 이미 오래되어 내용연수 종료시점에 도달하였다는 가정하에 자산의 처분으로부터 현재 획득할 금액에서 추정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금액의 추정치"입니다.

    회수가능액은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지급한 대가의 총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산의 취득시점이나 건설시점에서 지급한 현금 또는 현금성 자산 이나 제공한 기타 대가의 공정가치를 모두 포함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회수가능액은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지불한 총 금액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한결의 상품과 관련된 자료이다. 기말 결산분개로 올바르게 회계처리 한 것은?

  1.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2,000,000원/(차) 매출원가 450,000원, (대) 상품 2,000,000원,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450,000원
  2.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2,000,000원, (대) 상 품 2,000,000원
  3.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450,000원/(차) 매출원가 2,000,000원, (대) 상 품 450,000원,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2,000,000원
  4.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1,500,000원/(차) 매출원가 450,000원,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1,500,000원, (대) 상 품 450,000원
(정답률: 70%)
  • 상품의 재고자산이 감모되어 평가충당금이 차감되고, 이로 인해 매출원가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2,000,000원/(차) 매출원가 450,000원, (대) 상품 2,000,000원, (대) 재고자산평가충당금 450,000원"이 올바른 기말 결산분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세무의 자본총액은 자본금 100,000,000원 뿐이다. 자기주식 100주(액면금액 주당 5,000원)을 주당6,000원에 취득하여 50주는 주당 7,000원에 매각하고, 50주는 소각한 경우 자본총액은 얼마인가?

  1. 99,800,000원
  2. 99,750,000원
  3. 99,900,000원
  4. 99,850,000원
(정답률: 53%)
  • 자기주식 100주를 취득하면 자본금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당 6,000원에 취득한 100주의 가치는 600,000원이므로, 이를 자본금에 더해준다. 따라서 자본총액은 100,600,000원이 된다.

    그 후 50주를 주당 7,000원에 매각하여 350,000원을 얻었다. 이를 자본금에서 차감해준다. 따라서 자본총액은 100,250,000원이 된다.

    나머지 50주는 소각하였으므로, 자본금에서 차감해준다. 50주 x 5,000원 = 250,000원이므로, 자본총액은 100,000,000원 - 250,000원 = 99,75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9,75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자본금의 변동이 없는 거래를 모두 고른 것은?

  1. 가, 라
  2. 나, 다
  3. 나, 다, 라
  4. 가, 나, 다
(정답률: 32%)
  • 자본금의 변동이 없는 거래는 자본과 부채, 수익과 비용이 모두 같은 경우입니다. 따라서 "가, 나, 다"가 정답입니다. "가, 라"는 부채와 자본의 변동이 있기 때문에 자본금의 변동이 없는 거래가 아니고, "나, 다"는 수익과 비용이 같지 않기 때문에 자본금의 변동이 있는 거래입니다. "나, 다, 라"는 부채와 자본의 변동이 있기 때문에 자본금의 변동이 없는 거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기계장치와 관련된 12월 31일 현재의 계정내용이다. 2017년 아래의 건설기계의 처분손익은얼마인가?

  1. 처분이익 100,000원
  2. 처분손실 500,000원
  3. 처분이익 500,000원
  4. 처분손실 100,000원
(정답률: 67%)
  • 기계의 원가는 2,000,000원이고, 누적상각비는 1,500,000원이다. 따라서 기계의 잔존가치는 500,000원이다. 이 기계를 400,000원에 매각하였으므로, 처분이익은 10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처분이익 100,000원"이 아니라 "처분이익 5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원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간접원가란 특정한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할 수 없는 원가이다.
  2. 경영자가 미래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과거 지출된 원가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함으로 매몰원가 역시 관련원가에 해당한다.
  3. 변동원가는 조업도가 증가할 때마다 원가총액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원가이다.
  4. 회피불능원가란 선택이나 의사결정을 할 때 그 발생을 회피할 수 없는 원가이다.
(정답률: 95%)
  • 경영자가 미래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과거 지출된 원가의 크기를 고려하여야 함으로 매몰원가 역시 관련원가에 해당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매몰원가는 이미 발생한 간접원가를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할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영자가 미래의 의사결정을 위해 원가를 파악할 때 고려해야 할 원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회사는 결합제품 A, B, C를 생산하고 있다. A의 결합원가 배부액은 얼마인가?

  1. 95,000원
  2. 105,000원
  3. 120,000원
  4. 140,000원
(정답률: 48%)
  • A의 결합원가 배부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의 결합원가 배부액 = (A의 결합원가 ÷ 전체 결합원가) × 전체 배부액
    = (50,000 ÷ 300,000) × 840,000
    = 140,000원

    따라서, 정답은 "14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결은 직접노동시간에 비례하여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고 있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제조 간접비 배부차이를 구하시오?

  1. 40,000원 과소배부
  2. 40,000원 과대배부
  3. 60,000원 과소배부
  4. 60,000원 과대배부
(정답률: 64%)
  • 제조 간접비 예정배부액은 직접노동시간에 비례하여 배분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직접노동시간에 비례하지 않게 배분되어서 예정배부액과 실제배부액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직접노동시간은 예정보다 실제로 적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조 간접비 예정배부액보다 적게 배분되어 60,000원 과소배부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정답은 "60,000원 과소배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상원가계산제도 하에서 제조간접비의 배부차이를 총원가기준법(비례배부법)으로 조정하고 있으나 만약 배부차이 전액을 매출원가에서 조정하는 경우, 매출총이익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900,000원 감소
  2. 800,000원 감소
  3. 700,000원 감소
  4. 600,000원 증가
(정답률: 43%)
  • 제조간접비의 배부차이를 매출원가에서 조정하는 경우, 매출원가가 증가하게 되므로 매출총이익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 경우, 배부차이가 400,000원이므로 매출원가는 400,000원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매출총이익은 400,000원 감소하게 되며, 이는 800,000원 감소하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800,000원 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국은 개별원가계산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제품A의 제조와 관련한 다음의 자료에서 기말원재료재고액은 얼마인가?

  1. 1,812,500원
  2. 1,762,000원
  3. 2,187,500원
  4. 1,952,000원
(정답률: 66%)
  • 기말원재료재고액 = 기초원재료재고액 + 원재료매입액 - 직접재료사용액

    = 750,000원 + 2,500,000원 - 1,437,500원

    = 1,812,500원

    따라서 정답은 "1,812,5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근로소득자가 2017년 지출한 특별세액공제 내역에서 소득세법상 특별세액공제 적용률이 가장 높은 내용은?

  1. 2천 5백만 원의 종교단체기부금 중 2천만원 초과분
  2. 근로자 본인의 보장성보험
  3. 근로자의 자녀인 소득이 없는 중학생 딸의 안경구입비
  4. 근로자의 자녀인 소득이 없는 대학생 아들의 대학교등록금
(정답률: 63%)
  • 정답은 "2천 5백만 원의 종교단체기부금 중 2천만원 초과분"입니다. 이유는 소득세법상 특별세액공제 적용률이 30%이며, 종교단체기부금의 경우 연간 2천만원까지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천 5백만 원의 기부금 중 2천만원을 초과하는 5백만 원에 대해서만 30%의 특별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법인세법상의 소득처분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천재지변등의 예외를 제외하고, 법인세를 추계결정하는 경우 과세표준과 법인의 재무상태표상의 당기순이익과의 차액(법인세 상당액을 공제하지 아니한 금액)은 대표자에 대한 상여로 한다.
  2. 사외유출된 소득의 귀속이 불분명하여 대표자에 대한 상여로 처분함에 따라 법인이 그에 대한 소득세를 대납하고 이를 손비로 계상한 경우에는 이를 손금불산입하여 기타사외유출로 처분한다.
  3. 유보(△유보 포함)의 소득처분은 조세부담의 영구적 차이이므로 차기 이후에 당초의 세무조정에 반대되는 세무조정이 발생하지 않는다.
  4. 임·직원의 경우에는 상여로 처리하고, 귀속자의 근로소득으로 소득세를 부과하고 원천징수가 필요하다.
(정답률: 87%)
  • "유보(△유보 포함)의 소득처분은 조세부담의 영구적 차이이므로 차기 이후에 당초의 세무조정에 반대되는 세무조정이 발생하지 않는다."이 부분이 옳지 않다. 유보된 소득은 추후에 조세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세무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보된 소득처분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추후에 세무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세무는 내국법인인 주주에게 주식을 발행하고 그 대가로 토지를 현물출자받았다. 발행주식의 액면금액은 1,000,000원, 시가는 1,300,000원이고 토지의 시가는 1,200,000원이다. ㈜세무가 주식발행시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한 경우 세무조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손금산입 토지 100,000원(△유보)의 세무조정이 발생한다.
  2. 익금산입 주식발행초과금 100,000원(기타사외유출)의 세무조정이 발생한다.
  3. 세무조정으로 인하여 각사업연도소득금액은 변동이 없다.
  4. 세무상 토지의 취득가액은 1,300,000원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세무상 토지의 취득가액은 1,300,000원이다."가 아닙니다.

    주식 발행시 초과금액은 기타사외유출로 처리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에는 익금산입으로 처리되어 세무조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익금산입 주식발행초과금 100,000원(기타사외유출)의 세무조정이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세무상 토지의 취득가액은 발행주식의 시가인 1,300,000원이 아니라, 현물출자받은 토지의 시가인 1,200,000원입니다. 따라서, "세무상 토지의 취득가액은 1,300,000원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가산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업자미등록가산세 : 미등록기간 공급가액의 1%
  2.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가산세 : 미제출 공급가액의 1%
  3. 재화를 공급하지 아니하고 발급한 세금계산서 가산세 : 공급가액의 2%
  4.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미제출가산세 : 수입금액의 1%
(정답률: 61%)
  •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 미제출가산세 : 미제출 공급가액의 1%"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 가산세는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 부과되는 가산세로, 제출하지 않은 매출처별세금계산서의 미제출 공급가액의 1%가 부가가치세로 추가로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소득세법상 결손금과 이월결손금의 공제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주거용 건물의 임대사업에서 발생한 결손금은 다른 소득금액에서 공제하지 않고 다음 과세기간으로이월시킨다.
  2. 2009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발생하는 결손금은 10년간 이월공제가 가능하다.
  3. 결손금 및 이월결손금을 공제할 때 해당 과세기간에 결손금이 발생하고 이월결손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과세기간의 결손금을 먼저 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4. 추계신고나 추계조사결정의 경우 이월결손금 공제를 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주거용 건물의 임대사업에서 발생한 결손금은 다른 소득금액에서 공제하지 않고 다음 과세기간으로 이월시킨다."라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유는 주거용 건물의 임대사업에서 발생한 결손금은 해당 과세기간의 소득금액에서 공제할 수 있지만, 공제하지 못한 나머지 금액은 다음 과세기간으로 이월하여 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득세법 제34조의 규정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