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8400-06-17)

전산세무 1급
(8400-06-17 기출문제)

목록

1. 일반기업회계기준을 따른 회계변경에 대하여 다음 기술된 내용 중 옳은 것은?

  1. 변경된 새로운 회계정책은 전진법을 적용한다.
  2. 회계정책 변경의 누적효과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어려워 전진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 변경의 효과를 다음해 회계연도 개시일부터 적용한다.
  3. 회계변경의 속성상 그 효과를 회계정책의 변경효과와 회계추정의 변경효과로 구분하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회계정책의 변경으로 본다.
  4. 회계추정의 변경은 전진적으로 처리하여 그 효과를 당기와 당기이후의 기간에 반영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회계추정의 변경은 전진적으로 처리하여 그 효과를 당기와 당기이후의 기간에 반영한다."입니다.

    이유는 회계추정의 변경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효과를 전진적으로 처리하여 현재와 미래의 회계연도에 모두 반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회계정보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재무상태표 항목의 구분・통합표시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현금및현금성자산은 기업의 유동성 판단에 중요한 정보이므로 별도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2. 자본조정 중 자기주식과 주식할인발행차금은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3. 자본잉여금은 주식발행초과금과 기타자본잉여금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4. 자본금은 보통주자본금과 우선주자본금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정답률: 89%)
  • 정답은 "자본조정 중 자기주식과 주식할인발행차금은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이다. 이유는 자기주식과 주식할인발행차금은 모두 자본조정 항목에 속하며, 이들은 모두 기업의 자본과 관련된 내용이기 때문에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백두산이 전기 7월 1일에 구입한 기계장치를 2019년 12월 31일 6,000,000원에 매각하였다. 기계장치와 관련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기계장치의 처분손익은 얼마인가?

  1. 처분손실 300,000원
  2. 처분이익 300,000원
  3. 처분이익 3,000,000원
  4. 처분손실 3,000,000원
(정답률: 80%)
  • 기계장치의 원가는 8,000,000원이고, 매각가격은 6,000,000원이므로 처분손실이 발생한다. 처분손익은 매각가격에서 원가를 뺀 값이므로 6,000,000원 - 8,000,000원 = -2,000,000원이다. 따라서 처분손실은 2,000,000원이며, 이는 보기에서 "처분손실 300,000원"이 아닌 "처분손실 3,000,000원"과도 다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당좌자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당좌자산에는 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투자자산, 선급비용 등이 포함된다.
  2. 당좌자산은 회계연도 말부터 1년이내에 현금화되거나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이다.
  3. 당좌자산은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 회사가 통제하고 있지만,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회사로 유입될 가능성은 낮은 자원이다.
  4. 매출채권, 대여금, 미수금, 미수수익 등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차감계정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된다.
(정답률: 83%)
  • 당좌자산은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 회사가 통제하고 있지만, 미래에 경제적 효익이 회사로 유입될 가능성은 낮은 자원이 아니라, 빠르게 현금화되거나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세무는 2019년 7월 1일부터 2년간 교량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총계약수익은 300,000원, 총계약원가는 240,000원이다. 다음의 진행기준에 따른 수익인식표를 참조하여 빈칸에 들어갈 정답을 구하시오. (순서대로 (1), (2), (3), (4))

  1. 30%, 80%, 90,000원, 150,000원
  2. 24%, 64%, 72,000원, 192,000원
  3. 30%, 80%, 90,000원, 240,000원
  4. 24%, 64%, 72,000원,120,000원
(정답률: 72%)
  • 정답: 30%, 80%, 90,000원, 150,000원

    수익인식 기준에 따라 계약금액의 10%를 선수금으로 받았으므로, 선수금으로 받은 30,000원은 수익인식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총 수익인식 대상 금액은 270,000원이다.

    (1) 진척율은 공사가 진행된 비율을 나타내는데, 7월 1일부터 2년간의 공사이므로 1년이 지난 2020년 7월 1일까지는 50%의 진척율을 적용한다. 따라서, 50% × 270,000원 = 135,000원을 인식한다.

    (2) 2020년 7월 1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의 진척율은 80%이므로, 80% × 270,000원 = 216,000원을 인식한다.

    (3) 추가수주나 변경사항이 없으므로, 총계약수익에서 총계약원가를 뺀 60,000원을 인식한다.

    (4) 총계약원가에서 이미 인식한 수익을 뺀 나머지 금액인 90,000원을 인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공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손품은 정상품에 비해 품질이나 규격이 미달하는 불량품을 말한다.
  2. 비정상공손은 효율적인 작업수행에서는 회피가능하고 통제가능한 공손이다.
  3. 비정상공손원가는 제조원가에 가산한다.
  4. 종합원가계산에서 기말재공품이 공손품의 검사시점을 통과하지 않은 경우 정상공손원가는 완성품에만 배부한다.
(정답률: 89%)
  • "비정상공손원가는 제조원가에 가산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정상공손원가는 제조원가에 가산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공손원가와는 별도로 계산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비정상공손은 회피 가능하고 통제 가능한 공손이기 때문에, 이를 제조과정에서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당 회사는 선입선출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으로 제품원가를 계산한다. 당기발생 가공비는 7,200,000원이며, 가공비 완성품 단위당 원가는 8,000원이다. 다음 자료를 보고 기말재공품의 완성도를 구하시오. (단, 가공비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75%)
  • 기말재공품의 원가는 1,200,000원이다. 이를 가공비 완성품 단위당 원가인 8,000원으로 나누면 기말재공품의 완성도가 나온다. 따라서, 1,200,000원 ÷ 8,000원 = 150개의 제품이 완성되었다. 이는 200개 중 150개가 완성된 것이므로, 완성도는 150/200 = 0.75 = 75%이다. 따라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표준원가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원가계산이란 기업이 사전에 설정해 놓은 표준원가를 이용하여 제품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2. 실제원가와 표준원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성과평가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3. 기업이 연초에 수립한 계획을 수치화하여 예산을 편성하는데 기초가 된다.
  4.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면 실제원가계산의 문제점인 제품단위원가가 변동되지 않는다.
(정답률: 81%)
  •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면 실제원가계산의 문제점인 제품단위원가가 변동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실제원가와 표준원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성과평가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이다. 이는 표준원가와 실제원가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성과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당기 초에 영업을 개시한 ㈜현화는 정상개별원가계산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며, 당기말 재고자산가액 및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다. 당기의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1,000,000원 과소배부인 경우 각 배부차이조정 방법에 따라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매출원가조정법: 800,000원 감소, 총원가기준법: 281,250원 감소, 원가요소법: 200,000원 감소
  2. 매출원가조정법: 1,000,000원 감소, 총원가기준법: 222,222원 감소, 원가요소법: 206,250원 감소
  3. 매출원가조정법: 1,000,000원 감소, 총원가기준법: 206,250원 감소, 원가요소법: 266,666원 감소
  4. 매출원가조정법: 1,000,000원 감소, 총원가기준법: 206,250원 감소, 원가요소법: 222,222원 감소
(정답률: 44%)
  • 매출원가조정법은 재고자산의 가치를 기준으로 매출원가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재고자산가액이 감소하면 매출원가도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재고자산가액이 1,000,000원 감소하므로 매출원가도 1,000,000원 감소한다.

    총원가기준법은 제조간접원가를 기준으로 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1,000,000원 과소배부인 경우 제조간접원가를 적게 배분하게 되므로 원가도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1,000,000원 감소하므로 원가도 206,250원 감소한다.

    원가요소법은 각 원가요소의 비중을 고려하여 원가를 배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1,000,000원 과소배부인 경우 제조간접원가의 비중이 높아지므로 원가도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가 1,000,000원 감소하므로 원가도 222,222원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매출원가조정법: 1,000,000원 감소, 총원가기준법: 206,250원 감소, 원가요소법: 222,222원 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한결은 2019년 4월 중 작업량 1,000개가 제시된 작업지시서 #105의 생산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원가가 발생하였으며, 기초재고 및 기말재고는 없다. 한편, 제품의 최종검사과정에서 150개의 불량품이 발생하였다. 불량품은 총원가 20,000원을 투입하여 재작업하여 정상제품으로 전환되었다. 작업지시서 #105과 관련하여 발생한 정상제품의 단위당 원가는?

  1. 95원
  2. 111.7원
  3. 115원
  4. 135.2원
(정답률: 75%)
  • 작업지시서 #105의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작업지시서 #105 원가 = 재료비 + 직접노무비 + 공장간접비 + 판매간접비
    = (500 + 200)원 × 1,000개 + (300 + 100)원 × 1,000개 + (100 + 50)원 × 1,000개 + (50 + 20)원 × 1,000개
    = 700,000원 + 400,000원 + 150,000원 + 70,000원
    = 1,320,000원

    하지만, 불량품 150개가 발생하여 재작업이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원가가 발생하였다.

    재작업 원가 = 불량품 150개 × 20,000원 ÷ 1,000개
    = 3,000원

    따라서, 작업지시서 #105의 총 원가는 다음과 같다.

    총 원가 = 작업지시서 #105 원가 + 재작업 원가
    = 1,320,000원 + 3,000원
    = 1,323,000원

    정상제품의 단위당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정상제품의 단위당 원가 = 총 원가 ÷ 생산량
    = 1,323,000원 ÷ (1,000개 - 150개)
    = 1,323,000원 ÷ 850개
    ≈ 1,556원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상제품의 단위당 원가를 묻는 것이 아니라,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원가를 묻고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원가 중에서 1,556원에 가장 가까운 값은 115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법인세법상 감가상각방법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 적용하는 상각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광업용 유형고정자산 : 생산량비례법
  2. 제조업의 기계장치 : 정액법
  3. 광업권 : 정률법
  4. 개발비 : 5년간 정률법
(정답률: 64%)
  • 법인세법상 감가상각방법을 신고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정률법"이 적용됩니다. 그러나 광업용 유형고정자산의 경우에는 생산량비례법이 적용됩니다. 이는 광업에서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생산량에 따라 감가상각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광업용 유형고정자산의 경우에는 생산량비례법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법인세법상 기부금과 접대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부금한도초과액과 접대비한도초과액은 이월공제가 적용된다.
  2. 기부금과 접대비와 관련된 모든 세무조정사항은 소득금액조정합계표에 반영된다.
  3. 중소기업여부에 따라 접대비 및 기부금 한도초과액이 달라진다.
  4. 접대비 및 기부금 한도초과액은 모두 각사업연도소득금액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8%)
  • 정답은 "접대비 및 기부금 한도초과액은 모두 각사업연도소득금액을 증가시킨다."입니다. 이유는 법인세법상 기부금과 접대비의 한도초과액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금액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득금액이 증가하면 한도초과액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비출자임원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2. 종업원이 주택자금을 저리 또는 무상으로 대여 받음으로서 얻는 이익
  3. 종업원이 보험계약자이거나 종업원 또는 그 배우자, 가족을 보험수익자로 하는 보험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부담하는 보험료
  4. 임원 또는 사용인이 회사로부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아 이를 근무기간 중 행사함으로써 얻은 이익
(정답률: 39%)
  • 정답은 "비출자임원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입니다. 이유는 근로소득에 해당하는 것은 일정한 근로를 통해 얻는 대가로서의 소득이기 때문입니다. 비출자임원이 사택을 제공받는 것은 근로를 통해 얻는 대가가 아니므로 근로소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화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재화가 인도되는 때이고, 재화의 이동이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재화가 이용 가능하게 되는 때이다.
  2. 재화의 인도 전 또는 이용이 가능하기 전에 선수금을 받는 경우에는 선수금을 받은 때를 공급시기로 한다.
  3. 조건부 판매 및 기한부 판매의 경우에는 그 조건이 성취되거나 기한이 지나 판매가 확정되는 때를 공급시기로 본다.
  4. 장기할부판매의 경우에는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를 공급시기로 한다.
(정답률: 82%)
  • "재화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재화가 인도되는 때이고, 재화의 이동이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재화가 이용 가능하게 되는 때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재화의 공급시기는 재화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도되는 때, 이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 가능하게 되는 때이다. 따라서, 선수금을 받은 경우에는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공급시기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을 적용함에 있어 조세의 부담을 부당히 감소시킨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 것은?

  1. 대표자의 친족에게 무상으로 금전을 대여한 때
  2.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영업권을 적정대가를 초과하여 취득한 때
  3. 주주(소액주주 제외)가 부담할 성질의 것을 법인이 부담한 때
  4. 업무 수행을 위해 초청된 외국인에게 사택을 무상으로 제공한 때
(정답률: 80%)
  • 법인세법상 부당행위계산은 조세의 부담을 부당히 감소시킨 경우에 적용된다. 따라서 대표자의 친족에게 무상으로 금전을 대여한 경우,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영업권을 적정대가를 초과하여 취득한 경우, 주주(소액주주 제외)가 부담할 성질의 것을 법인이 부담한 경우는 모두 부당행위계산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업무 수행을 위해 초청된 외국인에게 사택을 무상으로 제공한 경우는 법인의 업무 수행을 위한 필요한 비용으로 인정될 수 있기 때문에 부당행위계산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