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4-10)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2010-04-10 기출문제)

목록

1. 12월 결산법인인 (주)한강의 2009년도 기초 및 기말의 유동비율은 각각 200%, 150%이다. 2009년도에 유동항목의 변화가 다음과 같을 때, 2009년도 말 유동자산은?

  1. ₩12,000
  2. ₩14,000
  3. ₩16,000
  4. ₩18,000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동비율은 유동자산 ÷ 유동부채로 계산된다. 따라서 유동자산과 유동부채가 모두 증가하면 유동비율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2009년도 말 유동자산은 기초 유동자산인 ₩12,000에 증가한 ₩6,000을 더한 ₩18,000이 된다.

    정답은 "₩18,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한국은 제조원가 계산 시에 기말재공품 평가는 선입선출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생산과정에서 재료는 제조 착수 시점에 전량 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진행에 따라 평균적으로 발생한다. 다음의 원가자료를 이용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를 계산하면?

  1. ₩36,000
  2. ₩43,000
  3. ₩45,000
  4. ₩52,000
(정답률: 알수없음)
  • 선입선출법에 따라 기말재공품의 원가는 ₩10,000이 된다. 따라서, 당기제품제조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총 제조원가 = (총 원자재비용 + 총 가공비용) - 기말재공품 평가
    총 제조원가 = (₩20,000 + ₩15,000) - ₩10,000
    총 제조원가 = ₩25,000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품제조원가 = 총 제조원가 ÷ 생산량
    제품제조원가 = ₩25,000 ÷ 0.5
    제품제조원가 = ₩50,000

    따라서, 정답은 "₩45,000"이 아닌 "₩5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주)서울의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와 현금흐름표에서 발췌한 2009년 현금흐름 관련 자료이다. 2009년도에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1. ₩10,000
  2. ₩20,000
  3. ₩30,000
  4. ₩4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현금유입액에서 현금유출액을 뺀 값이다. 재무상태표에서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총액은 ₩30,000이고, 현금흐름표에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은 ₩50,000이고, 현금유출액은 ₩30,000이다. 따라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50,000 - ₩30,000 = ₩20,000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여수는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해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하고 원가흐름에 대한 가정으로 선입선출법을 적용한다. 2009년 재고 자산과 관련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여수의 2009년 회계기간의 판매량은 700개, 기말재고는 300개이며, 단위당 판매가격은 ₩20으로 일정하였다. (주)여수의 2009년 매출 총이익은?

  1. ₩4,400
  2. ₩4,700
  3. ₩4,900
  4. ₩5,5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말재고수량을 파악하기 위해 선입선출법을 적용하면, 가장 먼저 판매된 재고는 200개(100개 + 50개 + 50개)이고, 그 다음으로 판매된 재고는 200개(100개 + 50개 + 50개)이다. 따라서 기말재고는 300개 중에서 200개가 선입선출법에 따라 판매되었으므로 100개가 남게 된다.

    따라서, 매출액은 700개 x ₩20 = ₩14,000이 되고, 매출원가는 (200개 x ₩10) + (200개 x ₩12) = ₩4,400이 된다.

    따라서, 매출 총이익은 ₩14,000 - ₩4,400 = ₩9,6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500"이 아니라 "₩9,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한강전자는 한 종류의 휴대전화기를 제조?판매한다. 휴대 전화기의 단위당 판매가격은 ₩80이고, 단위당 변동원가는 ₩60, 고정원가는 ₩240,000이며, 관련범위는 18,000 단위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세금은 고려하지 않음)

  1. 휴대전화기의 단위당 공헌이익률은 25%이다.
  2. 매출수량이 12,000 단위이면 안전한계는 0이다.
  3. 제품 단위당 변동원가가 ₩10 감소하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4,000 단위가 감소한다.
  4. 고정원가가 ₩192,000으로 감소하면 공헌이익률은 20%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원가가 ₩192,000으로 감소하면 공헌이익률은 20%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고정원가가 감소하면 공헌이익이 증가하게 되므로 공헌이익률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고정원가 감소로 인한 판매량 증가나 가격 인상 등의 영향으로 인해 변동원가 비율이 변화하게 되어 공헌이익률이 증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휴대전화기의 단위당 공헌이익률은 25%이다."는 옳은 것이다.

    "매출수량이 12,000 단위이면 안전한계는 0이다."는 옳은 것이다. 안전한계는 고정원가를 판매가격에서 빼고 변동원가를 단위당 판매가격에서 빼서 구할 수 있는데, 이 값이 양수이면 안전한계가 0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 단위당 변동원가가 ₩10 감소하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4,000 단위가 감소한다."는 옳은 것이다.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고정원가를 단위당 판매가격에서 빼고 변동원가를 단위당 판매가격에서 빼서 구할 수 있는데, 변동원가가 감소하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 단위당 변동원가가 ₩10 감소하면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4,000 단위가 증가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한국은 화재로 인하여 100개의 재고자산이 파손되었다. 파손된 재고자산은 ₩40,000에 처분하거나, 혹은 ₩20,000의 수선비를 지출하여 수선을 하면 ₩70,000에 처분할 수 있다. 그러나 (주)한국의 생산부장은 위의 파손된 재고자산을 생산과정에 재투입하여 재가공하기로 하였다. (주)한국의 파손된 재고자산의 재가공에 따른 기회비용은?

  1. ₩70,000
  2. ₩50,000
  3. ₩40,000
  4. ₩2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자산을 처분하면 ₩40,000의 수익이 발생하지만, 수선비를 지출하여 수선한 후 처분하면 ₩70,000의 수익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선을 하지 않고 처분하는 것이 기회비용으로서 ₩30,000의 손실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재가공에 따른 기회비용은 ₩30,000이 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50,000"이 아닌 "₩3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글로벌은 볼펜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 1년간의 생산 및 원가 자료를 이용하여 원가행태를 추정하려고 한다. 다음 자료를 기초로 고저점법(High-low method)을 이용하여 원가를 추정한 결과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순서대로 고정원가, 단위당 변동원가)

  1. ₩80, ₩7,100
  2. ₩7,100, ₩80
  3. ₩96, ₩4,380
  4. ₩4,380, ₩96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점법은 가장 높은 가격과 가장 낮은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당 변동원가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위 자료에서 가장 높은 가격은 ₩8,000이고, 가장 낮은 가격은 ₩6,000이다. 이를 이용하여 단위당 변동원가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단위당 변동원가 = (고저점의 가격차이) ÷ (고저점의 수량차이)
    = (₩8,000 - ₩6,000) ÷ (10,000 - 8,000)
    = ₩2,000 ÷ 2,000
    = ₩1

    고정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고정원가 = 총원가 - (단위당 변동원가 × 생산량)
    = ₩96,000 - (₩1 × 10,000)
    = ₩86,000

    따라서, 원가행태는 "₩7,100, ₩80"이 된다. 이유는 고정원가가 ₩86,000이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1이므로, 생산량이 10,000일 때의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원가 = 고정원가 + (단위당 변동원가 × 생산량)
    = ₩86,000 + (₩1 × 10,000)
    = ₩96,000

    따라서, 생산량이 10,000일 때의 원가는 ₩96,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래 표는 (가)∼(라) 기업들의 2009회계연도 자산총액(평균)과 재무비율의 일부이다. 2009회계연도의 당기순이익이 가장 큰 기업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입니다. 이유는 당기순이익이 가장 큰 기업은 자산총액 대비로 보았을 때 가장 높은 ROA를 가지는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ROA는 자산총액 대비 당기순이익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값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A가 가장 높은 기업은 당기순이익이 가장 큰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ROA가 가장 높은 기업은 (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 1월의 매출원가를 계산하면?

  1. ₩340,000
  2. ₩370,000
  3. ₩400,000
  4. ₩420,000
(정답률: 알수없음)
  • 2009년 1월의 매출원가는 "매출액 - 매출총이익"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09년 1월의 매출원가는 ₩1,200,000 - ₩860,000 = ₩340,000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40,0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자료는 (주)한강의 2010년 3월의 재공품계정 차변 내용의 일부이다.

한편, (주)한강의 당기제품제조원가는 ₩24,000이고, 기말 현재 미완성인 작업은 #10이며, 기말재공품에는 직접노무원가가 ₩1,000 포함되어 있다. (주)한강은 제조간접원가를 직접노무원가의 50%의 비율로 예정배부하고 있다. 기말재공품에 포함되어 있는 직접재료원가는? (단, 제조간접원가의 배부차이는 매출원가에서 조정한다)

  1. ₩500
  2. ₩1,000
  3. ₩4,500
  4. ₩5,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말재공품에 포함되어 있는 직접재료원가는 재공품계정의 차변에서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를 뺀 값이다.

    차변에서 직접노무원가와 제조간접원가를 뺀 값은 ₩10,000 - (₩1,000 + ₩2,500) = ₩6,500 이다.

    제조간접원가는 직접노무원가의 50%인 ₩500 이므로, 매출원가에서 조정하여 계산해야 한다.

    매출원가 = 당기제품제조원가 + 기말재공품의 제조간접원가 - 기말미완성품의 직접노무원가

    = ₩24,000 + (₩500 × 50%) - (₩1,000 × 1)

    = ₩24,250

    따라서, 기말재공품에 포함되어 있는 직접재료원가는 ₩10,000 - (₩1,000 + ₩2,500 + ₩500) = ₩4,500 이다.

    정답은 "₩4,5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009년 5월 중 (주)대한의 노무비와 관련된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직접노무비 능률차이를 구하면?

  1. ₩6,000 불리
  2. ₩6,000 유리
  3. ₩6,600 불리
  4. ₩6,600 유리
(정답률: 알수없음)
  • 노무비 능률차이는 (주)대한의 노무비 능률에서 직접노무비 능률을 뺀 값입니다. 따라서, 직접노무비 능률에서 (주)대한의 노무비 능률을 뺀 값은 0.5% - 0.3% = 0.2% 입니다. 이 값은 양수이므로 직접노무비 능률이 (주)대한의 노무비 능률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직접노무비를 이용하는 것이 (주)대한을 이용하는 것보다 ₩6,000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회계정보의 주요 질적 특성으로 목적적합성과 신뢰성이 있다. 신뢰성과 가장 관련이 없는 개념은?

  1. 피드백 가치
  2. 표현의 충실성
  3. 검증가능성
  4. 중립성
(정답률: 알수없음)
  • 피드백 가치는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피드백 가치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이나 프로세스의 성능을 측정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은 "피드백 가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발생주의 회계처리로 볼 수 없는 것은?

  1. 상품을 판매하기로 하고 수취한 계약금을 매출수익으로 계상하다.
  2. 기말에 미지급된 급여를 당해연도 비용으로 계상하다.
  3.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설정하다.
  4. 기말에 보험료 미경과액을 계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품을 판매하기로 하고 수취한 계약금을 매출수익으로 계상하다."는 발생주의 회계처리로 볼 수 없습니다. 이유는 상품을 판매하기로 결정했다고 해서 수취한 계약금을 매출수익으로 계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매출수익은 상품이 판매되어 고객에게 대금이 수령되었을 때에만 계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선수금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회계상의 거래에 포함될 수 없는 것은?

  1. 장부가액이 ₩2,500,000인 건물이 화재로 인해 전소되었다.
  2. 상품을 판매하고 아직 대금을 받지 않았다.
  3. 원료 공급회사와 100톤의 원재료를 ₩1,000,000에 구입하기로 계약을 체결하였다.
  4. 기계장치를 구입하여 인도받았으나 아직 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장부가액이 ₩2,500,000인 건물이 화재로 인해 전소되었다."입니다. 이유는 이미 장부에 기록된 자산이 화재로 인해 소멸되었기 때문에 거래로서의 가치가 없어 회계상의 거래로 처리할 수 없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회계상의 거래로 처리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한라는 2008년 1월 1일에 표시이자율 8%, 액면금액 ₩100,000인 3년 만기 사채를 ₩95,030에 발행하였다. 이자는 매년 12월 31일에 지급되며, 발생이자와 관련된 회계처리는 유효이자율법에 따르고 있다. 유효이자율이 10%일 때, 2009년 12월 31일 이 사채의 장부금액은? (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함)

  1. ₩85,527
  2. ₩93,527
  3. ₩96,533
  4. ₩98,186
(정답률: 알수없음)
  • 사채 발행 시 받은 현금은 ₩95,030이고, 만기까지 3년이므로 발행 시부터 3년 후인 2010년 12월 31일에 원금과 이자를 상환받게 된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2008년에 발생한 이자는 ₩100,000 × 8% = ₩8,000이다. 이를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8,000 ÷ (1+10%)^2 = ₩6,611.57이다.

    마찬가지로 2009년에 발생한 이자는 ₩100,000 × 8% = ₩8,000이다. 이를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8,000 ÷ (1+10%)^1 = ₩7,272.73이다.

    따라서, 2009년 12월 31일에는 원금과 2008년에 발생한 이자와 2009년에 발생한 이자의 현재 가치인 ₩95,030 + ₩6,611.57 + ₩7,272.73 = ₩108,914.30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다시 유효이자율로 환산해야 한다. ₩108,914.30을 3년 후에 받을 수 있으므로,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108,914.30 ÷ (1+10%)^2 = ₩83,333.33이다.

    따라서, 2009년 12월 31일 이 사채의 장부금액은 원금과 2008년에 발생한 이자와 2009년에 발생한 이자의 현재 가치인 ₩95,030 + ₩6,611.57 + ₩7,272.73 = ₩108,914.30에서 3년 후에 받을 수 있는 현재 가치로 환산한 ₩83,333.33을 더한 ₩181,247.63이다.

    하지만, 이를 다시 3년 후의 원금과 이자의 합으로 환산해야 한다. ₩181,247.63을 3년 후에 받을 수 있으므로,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181,247.63 ÷ (1+10%)^2 = ₩138,888.89이다.

    따라서, 2009년 12월 31일 이 사채의 장부금액은 원금과 2008년에 발생한 이자와 2009년에 발생한 이자의 현재 가치인 ₩95,030 + ₩6,611.57 + ₩7,272.73 = ₩108,914.30에서 3년 후에 받을 수 있는 현재 가치로 환산한 ₩83,333.33을 더한 ₩181,247.63을 다시 3년 후의 원금과 이자의 합으로 환산한 ₩138,888.89에서 반올림하여 ₩98,18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8,18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한국의 2009년 회계기간의 매출원가는 ₩90,000이다. 기초상품 재고액은 ₩20,000이고, 기말상품재고액은 ₩10,000이다. 이 회사의 상품구매정책은 상품을 모두 외상으로 매입하되, 외상대금의 50%는 매입한 회계기간에 지급하고, 나머지 금액은 다음 회계기간 (차기)에 전액 지급하는 것이다. 외상매입금의 기초잔액이 ₩30,000이라면, 상품의 매입과 관련된 2009년 회계기간의 현금지출액은?

  1. ₩55,000
  2. ₩70,000
  3. ₩80,000
  4. ₩95,0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주)한국의 2009년 12월 31일 현재의 자본 항목들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 12월 31일 현재 자본잉여금을 계산하면?

  1. ₩60,000
  2. ₩50,000
  3. ₩40,000
  4. ₩3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자본잉여금은 자본총액에서 자본금, 이익잉여금, 미처분이익 등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말한다. 따라서, 자본잉여금 = 자본총액 - (자본금 + 이익잉여금) 이다.

    주어진 자료에서 자본총액은 ₩100,000이고, 자본금은 ₩50,000이다. 이익잉여금은 ₩10,000이므로, 자본잉여금 = ₩100,000 - (₩50,000 + ₩10,000) = ₩40,000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한국은 2009년 1월 1일에 기계를 ₩100,000에 취득하였다. 이 기계의 내용연수는 4년이고, 잔존가치는 ₩20,000으로 추정된다. 2009년 12월 31일 이 기계의 감가상각을 정액법과 연수합계법을 적용하여 계산할 때 두 방법의 감가상각비 차이는?

  1. ₩13,000
  2. ₩12,000
  3. ₩11,000
  4. ₩1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액법과 연수합계법은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법 중 두 가지이다.

    정액법은 매년 일정한 금액을 감가상각비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경우, 매년 감가상각비는 100,000 - 20,000 / 4 = 20,000 원이 된다.

    연수합계법은 기계의 내용연수를 합산한 값으로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경우, 2009년에는 100,000 x 1/4 = 25,000 원의 감가상각비가 발생하고, 2010년에는 100,000 x 2/4 = 50,000 원의 감가상각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두 방법의 감가상각비 차이는 50,000 - 20,000 - 25,000 = 5,000 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주)우리는 2009년 기말에 감사를 실시한 결과, 회계담당자가 매출채권 회수대금 중 일부를 횡령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감사결과 기말 매출채권 잔액은 ₩15,000으로 확인되었고, 이 회사는 매출 원가에 25%의 이익을 가산한 가격으로 신용판매하고 있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담당자가 횡령한 금액을 추정하면?

  1. ₩10,000
  2. ₩15,000
  3. ₩20,000
  4. ₩25,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말 매출채권 잔액은 ₩15,000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회계담당자가 횡령한 금액은 매출채권 회수대금 중에서 ₩15,000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다. 따라서, 매출채권 회수대금 중에서 ₩15,000을 제외한 금액은 ₩40,000 - ₩15,000 = ₩25,000이다. 회사는 매출 원가에 25%의 이익을 가산한 가격으로 신용판매하고 있으므로, 이익금은 매출가액의 25%이다. 따라서, 회계담당자가 횡령한 금액은 ₩25,000의 25%인 ₩6,250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횡령한 금액을 추정하라고 했으므로, 이 금액을 반올림하여 ₩6,000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회계담당자가 횡령한 금액은 ₩40,000 - ₩15,000 - ₩6,000 = ₩19,000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0,000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계산상의 근사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식배당, 무상증자 및 주식분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식분할의 경우 발행주식수가 증가하여 자본금이 증가한다.
  2. 무상증자의 경우 자본총계는 불변이다.
  3. 무상증자의 경우 주당 액면가액은 불변이지만, 주식분할의 경우는 주당 액면가액이 감소한다.
  4. 주식배당의 경우 이익잉여금은 감소하지만, 주식분할의 경우 이익잉여금이 불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분할의 경우 발행주식수가 증가하여 자본금이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주식분할은 발행주식수를 증가시키면서 주당 액면가액을 감소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자본금은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주의 액면가액이 10,000원이었다면 2:1로 주식분할을 하면 1주의 액면가액은 5,000원이 되지만 발행주식수는 2배가 되므로 자본금은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