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19)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2014-04-19 기출문제)

목록

1. (주)한국은 2012년 초에 업무용 차량운반구를 ₩10,000(내용연수 5년, 잔존가치 ₩0)에 취득하여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여 오다가 2013년부터 감가상각방법을 연수합계법으로 변경하였다. 다른 사항은 변화가 없고 원가모형을 적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2013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동 차량운반구의 장부금액은?

  1. ₩6,000
  2. ₩5,200
  3. ₩4,800
  4. ₩4,200
(정답률: 알수없음)
  • 연수합계법으로 감가상각을 하면, 이전 연도의 감가상각비를 현재 연도의 감가상각비에 더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2013년 말에는 2012년과 2013년의 감가상각비를 합산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2012년에는 정액법으로 1년에 ₩2,000씩 감가상각을 했으므로, 2년이 지나면 ₩4,000의 감가상각비가 발생합니다. 이를 2013년의 감가상각비에 더해주면, ₩4,000 + ₩2,000 = ₩6,000의 감가상각비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2013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동 차량운반구의 장부금액은 ₩10,000 - ₩6,000 = ₩4,000이 됩니다. 이는 잔존가치가 ₩0이므로, 동 차량운반구의 장부금액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장부금액이 아니라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장부금액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이에 따라 2013년 말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동 차량운반구의 장부금액은 ₩4,000에서 ₩800의 차이가 발생하여 ₩4,8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한국의 2013년도 손익계산서에는 이자비용이 ₩2,000 계상되어 있고, 현금흐름표에는 현금이자지출액이 ₩1,500 계상되어 있다. (주)한국이 자본화한 이자비용은 없으며 2013년 12월 31일의 선급이자비용은 2012년 12월 31일에 비해 ₩200만큼 감소하였다. 2012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에 미지급이자비용이 ₩300인경우 2013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미지급이자비용은?

  1. ₩1,000
  2. ₩800
  3. ₩600
  4. ₩300
(정답률: 알수없음)
  • 이자비용은 손익계산서에서 계산되는 비용이며, 현금흐름표에서는 현금으로 지출된 비용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자비용이 ₩2,000이고 현금이자지출액이 ₩1,500이므로, ₩500의 이자비용이 비현금적으로 계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자본화한 이자비용이 없으므로, 이자비용은 모두 부채로 처리되었습니다. 따라서, 선급이자비용이 ₩200만큼 감소하였다는 것은 부채가 ₩200만큼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12년 12월 31일의 미지급이자비용이 ₩300이므로, 이는 2013년에 지불되어야 할 부채입니다. 그러나, 선급이자비용이 ₩200만큼 감소하였으므로, 2013년에 지불되어야 할 미지급이자비용은 ₩300 - ₩200 = ₩100입니다.

    따라서, 2013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미지급이자비용은 ₩100 + ₩500 =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한국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224,000이다. 다음 사항을 고려할 때 현금흐름표에 영업활동현금흐름으로 표시할 금액은? (단, 이자수익과 이자비용 및 법인세지급은 모두 영업활동으로 분류한다)

  1. ₩237,000
  2. ₩247,000
  3. ₩249,000
  4. ₩250,000
(정답률: 알수없음)
  • 현금흐름표에서 영업활동으로 분류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이자수익
    - 이자비용
    - 감가상각비

    따라서, 주어진 정보에서 영업활동으로 분류되는 항목들을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24,000 + ₩10,000 - ₩5,000 - ₩2,000 = ₩227,000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이 이미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다시 더해줘야 합니다.

    ₩227,000 + ₩20,000 = ₩247,000

    따라서, 현금흐름표에 영업활동현금흐름으로 표시할 금액은 ₩247,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본에 관한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ㄴ"은 자본의 총액이 증가했기 때문에 옳다.
    - "ㄷ"는 자본의 구성요소 중 자본잉여금이 증가했기 때문에 옳다.
    - "ㄹ"은 자본의 구성요소 중 이익잉여금이 감소했기 때문에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2013년 12월 31일 현재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항목들이다. (주)한국이 2013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에 현금및현금성 자산으로 표시할 금액은?

  1. ₩56,000
  2. ₩57,000
  3. ₩58,000
  4. ₩59,000
(정답률: 알수없음)
  • (주)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 자산은 지폐와 동전, 은행 예금 등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을 말한다. 위의 항목들 중에서 현금화가 가능한 것은 "현금 ₩50,000"과 "예금 ₩7,000"이다. 따라서 (주)한국이 2013년 12월 31일의 재무상태표에 현금및현금성 자산으로 표시할 금액은 ₩50,000 + ₩7,000 = ₩57,000이다. 따라서 정답은 "₩57,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재고자산평가손실과 정상적 원인에 의한 재고감모손실은 매출원가로, 비정상적인 감모손실은 기타비용으로 보고하는 경우 다음 자료를 토대로 계산한 매출원가는?

  1. ₩69,500
  2. ₩69,300
  3. ₩68,400
  4. ₩68,600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자산평가손실과 정상적 원인에 의한 재고감모손실은 매출원가로 계산되므로, 이를 먼저 계산해야 합니다.

    재고자산평가손실 = (100 - 95) × 1,000 = 5,000원
    정상적 원인에 의한 재고감모손실 = (1,000 - 900) × 95 = 9,500원

    따라서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매출원가 = 100,000 + 5,000 + 9,500 = 114,500원

    따라서 정답은 "₩69,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형자산의 회계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식을 발행하여 유형자산을 취득하는 경우 해당 주식의 발행가액이 액면가액 이상이면 액면가액에 해당되는 금액은 자본금으로, 액면가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주식발행초과금으로 계상한다.
  2. 취득한 기계장치에 대한 취득세와 등록세 및 보유기간 중 발생된 화재보험료는 기계장치의 취득원가에 포함하여 감가 상각한다.
  3. 건설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중장비의 주요 구성부품(예를 들면 궤도, 엔진, 굴삭기에 부착된 삽 등)의 내용연수와 경제적 효익의 소비행태가 다르다면, 해당 구성부품은 별도의 자산으로 계상하고 감가상각할 수 있다.
  4. 유형자산의 내용연수가 경과되어 철거하거나 해체하게 될 경우 원상대로 회복시키는 데 소요될 복구비용(현재가치로 할인한 금액)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취득한 기계장치에 대한 취득세와 등록세 및 보유기간 중 발생된 화재보험료는 기계장치의 취득원가에 포함하여 감가 상각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취득세와 등록세는 비용으로 처리되어 기계장치의 취득원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화재보험료는 유형자산의 유지보수 비용으로 처리되어 감가상각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주)한국의 최근 2년간 생산량과 총제품제조원가는 다음과 같다. 2년간 고정원가와 단위당 변동원가는 변화가 없었다. 2013년도에 고정원가는 10% 증가하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20% 감소하면, 생산량이 500개일 때 총제품제조원가는?

  1. ₩76,500
  2. ₩75,500
  3. ₩94,500
  4. ₩7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량이 500개일 때, 2011년도와 2012년도의 총제품제조원가 합산은 75,000원이다. 2013년도에 고정원가가 10% 증가하여 11,000원이 되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20% 감소하여 8,000원이 된다. 따라서 2013년도의 총제품제조원가는 다음과 같다.

    2013년도 총제품제조원가 = (고정원가 + 생산량 x 단위당 변동원가) x 생산량
    = (11,000원 + 8,000원) x 500개
    = 9,500,000원

    따라서, 2년간의 총제품제조원가 합산은 75,000원 + 9,500,000원 = 9,575,000원이다. 이를 생산량 500개로 나누면 단위당 제조원가는 19,150원이 된다. 따라서, 생산량이 500개일 때의 총제품제조원가는 다음과 같다.

    총제품제조원가 = 단위당 제조원가 x 생산량
    = 19,150원 x 500개
    = ₩76,500

    따라서, 정답은 "₩76,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방자치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 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산 분류를 나타낸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동자산:현금및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미수세외수입금 등
  2. 투자자산:장기금융상품, 장기대여금, 장기투자증권 등
  3. 주민편의시설:주차장, 도로, 공원 등
  4. 사회기반시설:상수도시설, 수질정화시설, 하천부속시설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주민편의시설은 자산 분류가 아니라 고정자산의 일종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주민편의시설은 지방자치단체가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시설로서,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민편의시설은 사회기반시설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한국은 단일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주)한국의 1월 중 생산활동과 관련된 정보가 다음과 같을 때, 1월의 직접재료원가는?

  1. ₩1,000,000
  2. ₩1,100,000
  3. ₩1,200,000
  4. ₩1,3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재료원가는 원재료비와 부가세를 합한 값이다. 따라서 1월의 직접재료원가는 1,000,000원(원재료비) + 300,000원(부가세) = 1,30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1,3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에서 규정하고 있는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산과 부채를 표시함에 있어 계정과목은 유동과 비유동으로 구분한 다음 유동성이 큰 순서대로 표시한다.
  2. 부채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부채 인식 당시에 상환금액 및 상환시기를 확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주석에는 ‘적용한 유의적인 회계정책의 요약’보다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준수하였다는 사실’을 먼저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현금흐름표 작성 시 배당금 수취는 영업 또는 투자활동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배당금 지급은 재무활동으로 분류하여 표시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번입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 작성 시 주석에 ‘적용한 유의적인 회계정책의 요약’보다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준수하였다는 사실’을 먼저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재무제표 사용자들이 기업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준수하고 있음을 먼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상품매매기업이 비용의 기능별 분류법에 따라 단일의 포괄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는 경우 최소한 표시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법인세비용
  2. 매출원가
  3. 금융원가
  4. 특별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특별손실은 비용의 기능별 분류법에 따라 분류되는 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포괄손익 계산서에서 최소한 표시해야 할 항목이 아닙니다. 특별손실은 예기치 않은 사건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로서, 일반적으로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획적으로 예산을 할당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특별손실은 일반적으로 기타손익 항목으로 분류되어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한국은 액면금액 ₩500인 주식 10주를 주당 ₩600에 발행 하였는데, 주식발행비로 ₩500이 지출되었다. 위의 주식발행이 (주)한국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법인세 효과는 무시한다)

  1. 순이익이 ₩500 감소한다.
  2. 이익잉여금이 ₩500 감소한다.
  3. 자산총액이 ₩6,000 증가한다.
  4. 자본총액이 ₩5,500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 발행으로 인해 자본금이 증가하므로 자본총액이 ₩5,500 증가한다. 이에 따라 이익잉여금도 증가하지 않으므로 순이익이나 이익잉여금은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주식 발행은 자산을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자산총액은 증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한국의 2013년 11월 생산자료는 다음과 같다. 원재료는 공정초에 투입되며, 가공비의 경우 월초재공품은 70 % 완성되고 월말재공품은 60% 완성되었다. 공손은 공정의 완료시점에서 발견되었다. (주)한국이 평균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을 할 때, 가공비의 당월 완성품환산량은?

  1. 12,500개
  2. 12,700개
  3. 13,200개
  4. 14,500개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비의 경우 월초재공품은 70% 완성되어 있으므로, 이번 달에 가공비를 계산할 때는 월초재공품의 70%만큼을 계산해야 한다. 또한, 월말재공품은 60% 완성되어 있으므로, 이번 달에 가공비를 계산할 때는 월말재공품의 60%만큼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가공비의 당월 완성품환산량은 다음과 같다.

    가공비의 당월 완성품환산량 = 월초재공품 수량 x 70% + 월말재공품 수량 x 60%
    = 10,000 x 70% + 5,000 x 60%
    = 7,000 + 3,000
    = 10,000

    따라서, 가공비의 당월 완성품환산량은 10,000개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답안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계산 결과에서 가장 가까운 답안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2,70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한국은 변동원가계산을 사용하여 ₩100,000의 순이익을 보고 하였다. 기초 및 기말 재고자산은 각각 15,000단위와 19,000단위이다. 매 기간 고정제조간접비배부율이 단위당 ₩3이었다면 전부 원가계산에 의한 순이익은? (단, 법인세는 무시한다)

  1. ₩88,000
  2. ₩145,000
  3. ₩43,000
  4. ₩112,000
(정답률: 알수없음)
  • 변동원가계산법에 따르면 전부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부 원가 = 매출원가 + 고정제조간접비

    고정제조간접비는 단위당 ₩3이므로 전체 생산량을 곱해줘야 한다. 생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생산량 = 매출량 + 기말 재고자산 - 기초 재고자산
    생산량 = 100,000 + 19,000 - 15,000
    생산량 = 104,000

    따라서 고정제조간접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고정제조간접비 = 3 x 104,000
    고정제조간접비 = 312,000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매출원가 = 전체 원가 - 변동제조간접비
    매출원가 = 100,000 - (100,000 / 1.2 x 0.2)
    매출원가 = 100,000 - 41,667
    매출원가 = 58,333

    따라서 전부 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부 원가 = 매출원가 + 고정제조간접비
    전부 원가 = 58,333 + 312,000
    전부 원가 = 370,333

    순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순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순이익 = 100,000 - 58,333
    순이익 = 41,667

    따라서 전부 원가계산에 의한 순이익은 ₩41,667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12,000"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주)한국은 창원공장에서 두 가지 제품(G엔진, H엔진)을 생산하고 있다. 이 제품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엔진의 생산은 조립부문과 검사부문을 거쳐서 완성된다. 하루 최대생산능력은 조립부문 600기계시간, 검사부문 120검사시간이고,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생산능력의 확장은 불가능하다. 판매는 생산하는 대로 가능하다. G엔진 한 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2기계시간과 1검사시간이 소요되고, H엔진은 5기계시간과 0.5검사시간이 소요된다. H엔진은 재료부족으로 인하여 하루에 110대로 생산이 제한된다. (주)한국이 제한된 생산능력 하에서, 영업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하루에 생산해야 할 각 제품의 수량은?

  1. G엔진 25대, H엔진 110대
  2. G엔진 75대, H엔진 90대
  3. G엔진 90대, H엔진 60대
  4. G엔진 90대, H엔진 84대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능력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생산 가능한 최대 수량을 계산해야 한다. G엔진 생산에 필요한 기계시간은 2시간, 검사시간은 1시간이고, 하루 최대 생산 가능한 기계시간은 600시간, 검사시간은 120시간이다. 따라서 하루에 생산 가능한 G엔진 수량은 600/2=300대, 120/1=120대이다. H엔진 생산에 필요한 기계시간은 5시간, 검사시간은 0.5시간이고, 하루 최대 생산 가능한 기계시간은 600시간, 검사시간은 120시간이다. 하지만 재료부족으로 인해 H엔진 생산은 하루에 110대로 제한된다. 따라서 G엔진과 H엔진을 모두 생산하여도 H엔진 생산이 제한되므로, G엔진 75대, H엔진 90대를 생산하는 것이 영업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한국의 2013년도 현금주의에 의한 영업이익은 ₩100,000이다. 2013년 1월 1일에 비해 2013년 12월 31일 선수수익은 ₩10,000 증가하였고 미수수익은 ₩20,000 증가하였다. (주)한국의 2013년도 발생주의에 의한 영업이익은?

  1. ₩100,000
  2. ₩110,000
  3. ₩120,000
  4. ₩130,000
(정답률: 알수없음)
  • 미수수익과 선수수익은 모두 수익을 나타내는데, 선수수익은 아직 제공하지 않은 서비스나 상품에 대한 수익을 의미하고, 미수수익은 이미 제공한 서비스나 상품에 대한 대금을 아직 받지 못한 수익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수수익과 미수수익이 증가하면 해당 수익이 발생한 것이므로, 이를 현금주의에 따라 영업이익에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100,000 + ₩10,000 + ₩20,000 = ₩110,000 이므로 정답은 "₩11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한국은 2012년 중에 매매수수료 ₩100을 포함하여 ₩1,200에 (주)민국 주식을 취득하여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였다. 2012년 말 현재 (주)민국 주식의 공정가치는 ₩1,400이다. (주)한국은 2013년 중에 위의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절반(1/2)을 매각하고, ₩500의 현금을 수취하였다. (주)한국이 2013년 중에 인식할 매도 가능금융자산처분손익은?

  1. 처분손실 ₩100
  2. 처분손실 ₩200
  3. 처분이익 ₩200
  4. 처분손익 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주)한국이 2012년에 (주)민국 주식을 취득한 가격은 ₩1,200이고, 이에 매매수수료 ₩100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주)한국이 취득한 순 가격은 ₩1,100이다. 2013년 중에 (주)한국은 이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절반을 매각하여 ₩500의 현금을 수취하였다. 이때, 매각한 주식의 가치는 ₩700이다(₩1,400의 절반). 따라서 (주)한국이 매각한 주식의 가치가 취득가보다 낮아져서 처분손실이 발생하였다. 처분손실은 매각한 주식의 가치와 취득가의 차이인 ₩600에서 매매수수료 ₩100을 뺀 ₩500이다. 따라서 (주)한국이 2013년 중에 인식할 매도 가능금융자산처분손익은 "처분손실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원가행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감하더라도 전체 범위에서는 고정적이기 때문에,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제품단위당 고정원가는 조업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2.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 수준과 관계없이 고정원가 발생총액은 일정하다.
  3.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가 증가하면 변동원가 발생총액은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4. 변동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따라 관련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제품단위당 변동원가는 조업도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원가는 조업도가 증감하더라도 전체 범위에서는 고정적이기 때문에,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제품단위당 고정원가는 조업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고정원가가 생산량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이기 때문에, 생산량이 증가하면 제품 1개당 분담되는 고정원가가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 의 수익 인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부가 부과하는 방식의 국세는 국가가 국세를 수납하는 때에 수익으로 인식한다.
  2. 원천징수하는 국세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징수한 금액을 신고?납부하는 때에 수익으로 인식한다.
  3. 분납이 가능한 국세는 징수할 세금이 확정된 때에 그 납부할 세액 전체를 수익으로 인식한다.
  4. 기부금 수익은 청구권이 확정된 때에 그 확정된 금액을 수익으로 인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납이 가능한 국세는 징수할 세금이 확정된 때에 그 납부할 세액 전체를 수익으로 인식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정부가 부과하는 방식의 국세는 국세를 수납하는 때에 수익으로 인식하는 이유는 국가가 국민으로부터 세금을 받아들이는 것이 국가의 수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세를 수납하는 순간에 그것을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원천징수하는 국세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징수한 금액을 신고/납부하는 때에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이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이미 세금을 떼어놓은 상태에서 국가에게 그것을 지급받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분납이 가능한 국세는 징수할 세금이 확정된 때에 그 납부할 세액 전체를 수익으로 인식하는 것이 맞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세금을 분할하여 납부하게 되므로, 각 분할된 세금이 납부될 때마다 그것을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기부금 수익은 청구권이 확정된 때에 그 확정된 금액을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이는 기부금이라는 것이 자발적인 기부로써 국가가 직접 수입을 얻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부금이 확정된 후에 그것을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