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7-21)

물류관리사 2교시
(2018-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보관하역론

1. 제품의 물리적 성질에 근거한 보관 원칙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ㄹ, ㅁ
  5. ㅁ, ㅂ
(정답률: 79%)
  • 이 제품은 습기에 민감한 제품으로,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관 시에는 습기가 적은 곳에 보관하고, 물이나 다른 액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밀봉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ㄹ, 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관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Link와 Link를 연결하는 기능
  2. 고객서비스의 접점 기능
  3. 집산, 분류, 구분, 조합, 검사 장소의 기능
  4. 재화의 물리적 보존과 관리 기능
  5. 제품에 대한 장소적 효용 창출 기능
(정답률: 58%)
  • "제품에 대한 장소적 효용 창출 기능"은 보관의 기능이 아니라, 위치 전략이나 마케팅 전략 등과 관련된 기능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보관의 기능은 주로 제품의 물리적 보존과 관리, 집산, 분류, 구분, 조합, 검사 등의 작업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물류시설은?

  1. 물류센터
  2.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3. 복합물류터미널
  4. 공동집배송단지
  5. 데포(Depot)
(정답률: 81%)
  • 이 시설은 다양한 운송수단으로 이동하는 다양한 물류를 처리하며, 창고, 터미널, 물류센터 등의 기능을 모두 갖춘 복합적인 물류시설이다. 따라서 정답은 "복합물류터미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항만 및 부두에서 사용하는 항만 기기 또는 시설이 아닌 것은?

  1. 트랜스포터(Transporter)
  2. 펜더(Fender)
  3. 계선주(Bitt)
  4. 안벽(Quay)
  5. 캡스턴(Capstan)
(정답률: 62%)
  • 트랜스포터(Transporter)는 항만 및 부두에서 사용하는 기기나 시설이 아니라, 영화나 산업 현장에서 물건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이나 장비를 일컫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ICD(Inland Container Depo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CD는 주로 항만터미널과 내륙운송수단과의 연계가 편리한 지역에 위치한다.
  2. ICD는 장치보관기능, 수출입 통관기능과 선박의 적하 및 양하기능을 수행함으로 써 육상운송 수단과의 연계를 지원한다.
  3. ICD는 항만지역에 비해 창고ㆍ보관시설용 토지 취득이 쉽고 시설비가 절감되어 보관료가 저렴하다.
  4. ICD는 공적권한과 공공설비를 갖추고 있다.
  5. ICD는 운송거점으로서 대량운송 실현과 공차율 감소를 통해 운송을 합리화하고 신속한 통관을 지원한다.
(정답률: 72%)
  • ICD는 장치보관기능, 수출입 통관기능과 선박의 적하 및 양하기능을 수행함으로 써 육상운송 수단과의 연계를 지원한다. (정답이 아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이 설명하는 물류시설의 민간투자사업 방식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ㄱ: BTL(Build Transfer Lease), ㄴ: BTO(Build Transfer Operate)
  2.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OO(Build Own Operate)
  3. ㄱ: BOT(Build Operate Transfer), ㄴ: BTL(Build Transfer Lease)
  4. ㄱ: BOO(Build Own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
  5.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
(정답률: 63%)
  • 정답은 "ㄱ: BTO(Build Transfer Operate), ㄴ: BTL(Build Transfer Lease)"입니다.

    BTO(Build Transfer Operate)는 민간투자자가 물류시설을 건설하고, 건설 후 운영을 담당하는 방식입니다.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당 시설을 정부나 공공기관에 이전하게 됩니다.

    BTL(Build Transfer Lease)은 민간투자자가 물류시설을 건설하고, 건설 후 일정 기간 동안 정부나 공공기관에 임대하는 방식입니다. 이후 해당 시설의 소유권은 민간투자자에게 남게 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민간투자자가 물류시설을 건설하고, 건설 후 일정 기간 동안 운영을 담당한 후 해당 시설을 정부나 공공기관에 이전하는 BTO(Build Transfer Operate) 방식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세구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세구역은 '세금이 보류된 구역'으로 수출입화물의 관세를 지불하지 않고 운영되는 특별지역이다.
  2. 보세장치장은 '항만법'에 근거하며, 외국화물을 취급하는 장소이다.
  3. 보세창고는 외국물품을 장치하기 위한 구역으로 세관장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통관되지 않은 내국물품도 장치가 가능하다.
  4. 보세장치장에서는 특정무역상을 위해 외국화물을 양륙하여 반출, 반입, 장치할 수 있다.
  5. 보세구역은 수출입화물의 집화, 분류, 보관, 운송을 위해 세관장이 지정하거나 특허한 장소이다.
(정답률: 63%)
  • 보세장치장은 외국화물을 취급하는 장소가 아니라, 외국화물을 보세구역 내에서 장치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시설이다. 따라서 "보세장치장은 '항만법'에 근거하며, 외국화물을 취급하는 장소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A회사의 공장과 수요지의 수요량과 좌표가 다음과 같을 때, 무게중심법에 의한 최적의 신규 물류센터 입지는? (단, 계산한 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1. X : 3, Y : 4
  2. X : 4, Y : 5
  3. X : 4, Y : 6
  4. X : 5, Y : 5
  5. X : 6, Y : 4
(정답률: 64%)
  • 무게중심법에 의한 최적의 신규 물류센터 입지는 수요지들의 좌표를 각각 x, y 좌표로 나타내어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X 좌표의 평균은 (2+3+4+4+5)/5 = 3.6, Y 좌표의 평균은 (3+4+5+6+5)/5 = 4.6 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X : 4, Y : 5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X : 4, Y : 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류센터 설계 시에는 랙(Rack)의 1개 선반 당 적재하중기준을 고려해야한다. 이 기준에 맞게 화물을 적재한 것은?(순서대로 중량 랙, 중간 랙, 경량 랙)

  1. 700kg, 400kg, 180kg
  2. 600kg, 350kg, 140kg
  3. 500kg, 200kg, 160kg
  4. 400kg, 300kg, 200kg
  5. 300kg, 200kg, 170kg
(정답률: 71%)
  • 랙(Rack)의 1개 선반 당 적재하중기준은 랙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중량 랙은 700kg, 중간 랙은 400kg, 경량 랙은 180kg까지 적재 가능하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중량 랙은 600kg으로 기준을 충족하고, 중간 랙은 350kg으로 기준을 충족하며, 경량 랙은 140kg으로 기준을 충족한다. 따라서 정답은 "600kg, 350kg, 140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연간 처리물동량 1만 톤 기준, 물류시설 A, B, C 세 곳의 연간 고정비와 변동비의 소요 예산이다. 물류시설 입지선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간 처리물동량 1만 톤일 때, 총비용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물류시설은 C이다.
  2. 연간 처리물동량 2만 톤일 때, 총비용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물류시설은 B이다.
  3. 연간 처리물동량 3만 톤일 때, 총비용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물류시설은 A이다.
  4. 연간 처리물동량이 증가할수록, 총비용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물류시설은 A이다.
  5. 연간 처리물동량이 1만 톤일 때는 고정비만 비교하여 물류시설 입지를 선정한다.
(정답률: 55%)
  • 연간 처리물동량이 2만 톤일 때, 총비용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물류시설은 B이다. 이유는 B의 고정비와 가변비의 합이 가장 작기 때문이다. 연간 처리물동량이 증가할수록, 고정비의 비중이 줄어들어 가변비의 비중이 높아지므로, 연간 처리물동량이 증가할수록 A가 가장 경제적인 물류시설이 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저장 중심형 창고 내 흐름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고 종류가 많아질 때, 피킹 순회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 동일품목을 폭은 좁게, 깊이는 깊게 적치하는 유형
  2. 선입선출이 많지 않은 소품종다량품의 경우, 적치장 안쪽에서 순서대로 적치해 놓고 출고 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출고하는 유형
  3. 선입선출이 필요하게 될 때, 2열 또는 3열의 병렬로 정리하여 입ㆍ출고하는 유형
  4. 물품을 대량으로 쌓아두면 피킹의 순회거리가 길어지므로 피킹장과 격납장을 분리하여 2단으로 적치하는 유형
  5. 피킹용 선반 상단부에 예비물품을 파렛트로 적치해두었다가, 선반 하단부가 비게 되면 상단부의 파렛트를 하단부로 옮겨놓고 상단부에 새 파렛트를 보충하는 유형
(정답률: 47%)
  • "재고 종류가 많아질 때, 피킹 순회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 동일품목을 폭은 좁게, 깊이는 깊게 적치하는 유형"이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동일한 품목을 좁은 폭으로 적치하면 피킹 시에 해당 품목을 찾기 쉽고, 깊이를 깊게 적치하면 같은 품목을 찾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가 줄어들어 효율적인 피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배송센터 구축의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송비 절감: 수요지에 가까운 배송센터까지 대형차로 수송하고 고객에게는 소형차로 배송하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2. 배송 서비스율 향상: 배송센터에서 고객에게 배송하는 것이 공장에서 고객에게 배송하는 것보다 리드타임이 단축된다.
  3. 납품작업의 합리화: 백화점이나 양판점은 배송센터를 통해 납품작업을 합리화시킨다.
  4. 교차수송의 발생: 각각의 공장에서 제품을 소비지까지 개별 수송하므로 손상, 분실, 오배송이 감소한다.
  5. 상물분리의 실시: 배송센터를 활용함으로써 각 영업지점은 상류활동에 전념할 수 있다.
(정답률: 74%)
  • 교차수송의 발생은 배송센터 구축의 이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각각의 공장에서 제품을 개별 수송하면서 발생하는 손상, 분실, 오배송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송센터를 활용하는 것이 이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랙(Ra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렛트 랙(Pallet Rack): 포크리프트를 사용하여 파렛트 단위 혹은 선반 단위로 셀마다 격납 보관하는 설비
  2. 적층 랙(Mezzanine Rack): 선반을 다층식으로 겹쳐 쌓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높이에서 천장까지의 사이를 이용하는 보관 설비
  3. 회전 랙(Carousel Rack): 입체형이며 소품종 대량 상품을 파렛트 단위로 보관하는데 적합한 설비
  4. 플로우 랙(Flow Rack): 격납 부분에 레일을 달아 전체가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만든 설비
  5. 드라이브 인 랙(Drive-in Rack): 지게차를 가지고 직접 격납 출고를 행하는 설비
(정답률: 78%)
  • 회전 랙(Carousel Rack): 입체형이며 소품종 대량 상품을 파렛트 단위로 보관하는데 적합한 설비가 옳지 않은 것이다. 회전 랙은 소품종 대량 상품을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제품들을 회전하는 원판 형태의 선반에 보관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설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재소요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ㅁ
  3. ㄱ,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59%)
  • - ㄱ: 자재소요계획은 생산계획을 기반으로 하여 원자재, 부품 등의 소요량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 ㄴ: 자재소요계획은 제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산성 향상과 재고관리의 최적화를 위해 사용된다.
    - ㅁ: 자재소요계획은 생산계획과 재고관리를 통합하여 생산량과 자재소요량을 최적화하며, 생산계획 변경 시 자동으로 자재소요량을 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업체는 경제적주문량(EOQ: Economic Order Quantity)모형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발주량을 결정하고자 한다. 연간 수요량이 170 % 증가하고 연간 단위당 재고유지비용이 10 % 감소한다고 할 때, 증감하기 전과 비교하면 EOQ는 얼마나 변동되는가? (√2=1.414, √3=1.732, √4=2.236 이며, 계산한 값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1. 14 % 증가
  2. 17 % 증가
  3. 22 % 증가
  4. 62 % 증가
  5. 73 % 증가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크로스 도킹(Cross Dock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렛트 크로스 도킹은 일일 처리량이 적을 때 적합한 방식이다.
  2. 파렛트 크로스 도킹은 기계설비와 정보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3. 효율적인 크로스 도킹을 위해서는 공급처와 수요처의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4. 크로스 도킹은 창고관리 시스템 영역 중 입ㆍ출고 관련 기능에 해당한다.
  5. 크로스 도킹의 목적은 유통업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재고를 제거하는 것이다.
(정답률: 70%)
  • "파렛트 크로스 도킹은 일일 처리량이 적을 때 적합한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파렛트 크로스 도킹은 일일 처리량이 많을 때 더욱 효율적인 방식이다. 파렛트 크로스 도킹은 대량의 상품을 빠르게 분류하고 재배치하기 때문에 일일 처리량이 적을 경우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통창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통창고는 원자재와 중간재가 주요 대상 화물이다.
  2. 유통창고는 자가창고에서 시작하여 공동창고나 배송센터로 발전하고 있다.
  3. 유통창고는 수송면에서 정형적 계획수송이 가능하다.
  4. 유통창고는 도매업 및 대중 양판점의 창고가 대표적이다.
  5. 유통창고는 신속한 배송과 대량생산체제에 대응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유통창고는 원자재와 중간재가 주요 대상 화물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유통창고는 제품이나 상품을 보관하고 분배하는 곳으로, 원자재나 중간재보다는 완제품이나 소비재가 더 많이 보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010년부터 2018년까지 A지역의 인구수와 B제품 보관량이 다음과 같을 때, 인구수 변화에 따른 보관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2019년 A지역 인구수가 6.3천 명으로 예측되었을 때, 단순선형회귀분석법을 통해 2019년 B제품 보관량을 예측한 것은? (단,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인구수와 보관량의 회귀식은 y=0.9886x-0.8295이며, 결정계수(R2)는 0.9557로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인다. 계산한 값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함)

  1. 5.1
  2. 5.2
  3. 5.3
  4. 5.4
  5. 5.5
(정답률: 28%)
  • 단순선형회귀분석법에서 예측값은 y = ax + b의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예측하고자 하는 독립변수(인구수), y는 예측하고자 하는 종속변수(보관량), a는 기울기, b는 y절편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회귀식 y=0.9886x-0.8295에 x=6.3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y=5.4가 된다. 이는 2019년 A지역 인구수가 6.3천 명일 때 B제품 보관량이 5.4천 개일 것으로 예측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ISO의 국제표준규격 20ft와 40ft 컨테이너 내부에 각 1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T-11형 표준 파렛트 최대 개수의 합은?

  1. 24매
  2. 30매
  3. 36매
  4. 42매
  5. 48매
(정답률: 57%)
  • ISO의 국제표준규격에 따르면, 20ft 컨테이너 내부에는 10개의 T-11형 표준 파렛트를 1단으로 적재할 수 있고, 40ft 컨테이너 내부에는 20개의 T-11형 표준 파렛트를 1단으로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20ft 컨테이너와 40ft 컨테이너 내부에 각각 1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T-11형 표준 파렛트 최대 개수의 합은 10 + 20 = 30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창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가창고의 장점은 최적의 창고설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2. 영업창고는 작업시간에 대한 탄력성이 적다는 것이 단점이다.
  3. 리스창고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익을 목적으로 건설한 창고이다.
  4. 정온창고는 공조기 등으로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조정가능한 창고이다.
  5. 기계화창고는 입하에서 출하까지 자동화되고, 유닛로드로 처리되는 창고이다.
(정답률: 70%)
  • "리스창고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공익을 목적으로 건설한 창고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리스창고는 민간 기업이나 개인이 건설한 창고를 임대하는 형태의 창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정성적 수요예측기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ㅁ, ㅂ
  4. ㄴ, ㄹ, ㅂ
  5. ㄷ, ㄹ, ㅁ
(정답률: 70%)
  • 정성적 수요예측기법은 주로 고객의 경험, 인식, 인지 등을 바탕으로 예측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ㄷ, ㄹ, ㅁ"이 옳은 이유는 이들이 모두 고객의 인식과 경험에 관련된 요소들이기 때문이다. "ㄱ, ㅁ, ㅂ"는 고객의 인식과 경험과는 덜 관련된 요소들이며, "ㄴ, ㄹ, ㅂ"는 일부 고객의 인식과 경험에만 관련된 요소들이기 때문에 정성적 수요예측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이 보관 실적치가 주어졌을 때, 단순이동평균법으로 예측한 9월의 수요는? (단, 이동기간 n=4를 적용하며, 계산한 값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함)

  1. 155.1
  2. 155.2
  3. 155.3
  4. 155.4
  5. 155.5
(정답률: 68%)
  • 이동평균법은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평균하여 다음 값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이동기간 n=4이므로, 5월부터 8월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9월의 값을 예측한다.

    5월부터 8월까지의 데이터를 더하고 4로 나누면 이동평균값을 구할 수 있다.

    (150.0 + 152.0 + 154.0 + 156.0) / 4 = 153.0

    따라서, 9월의 예측값은 153.0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값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153.0을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55.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5.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과 같은 A회사의 연도별 물동량 처리실적과 예측치가 있다고 할 때, 2018년의 처리실적에 가장 근접한 예측치를 제시할 수 있는 수요예측기법은?

  1. 4년간 이동평균법
  2. 5년간 이동평균법
  3. 3년간 가중이동평균법
  4. 평활상수(α) 0.2인 지수평활법
  5. 평활상수(α) 0.4인 지수평활법
(정답률: 38%)
  • A회사의 연도별 물동량 처리실적은 일정한 추세가 없어 보이므로, 이동평균법보다는 지수평활법이 적합하다. 또한, 최근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 적합하므로 평활상수(α)가 작은 0.2인 지수평활법이 적합하다. 따라서, "평활상수(α) 0.2인 지수평활법"이 가장 근접한 예측치를 제시할 수 있는 수요예측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JIT(Just In Time) 시스템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률: 62%)
  • JIT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고 최소화: 필요한 부품이나 제품을 바로 생산하여 재고를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ㄴ"이 선택됩니다.
    - 생산 계획의 유연성: 수요에 따라 생산 계획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ㄷ"이 선택됩니다.
    - 공정의 효율성: 생산 공정에서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하고,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ㄹ"이 선택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A창고는 처리실적이 지속적으로 저조하였으나, 최근 창고시스템의 고질적인 결함을 개선하면서 처리실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 경우 차기 처리실적을 예측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수요예측방법은?

  1. 지수평활법
  2. 회귀분석법
  3. 투입산출모형
  4. 단순이동평균법
  5. 수명주기예측법
(정답률: 52%)
  • 지수평활법은 과거 데이터를 지수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근 데이터에 더 많은 가중치를 주는 방법이다. 따라서 최근 창고시스템 개선으로 인한 처리실적 증가와 같이 최근 데이터가 미래 예측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하역의 원칙과 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률: 63%)
  • 하역의 원칙은 무게 중심을 유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ㄱ"입니다. "ㄱ"은 물건을 쌓아 올리는 것으로 무게 중심을 유지하지 않으므로 하역의 원칙에 어긋납니다. "ㄴ, ㄷ, ㄹ"은 물건을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역의 원칙에 부합합니다. "ㅁ"은 물건을 상자에 담는 것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하역의 원칙에 부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Lift on-Lift off 방식의 하역기기가 아닌 것은?

  1. 지브 크레인(Jib Crane)
  2. 천장 크레인(Overhead Travelling Crane)
  3. 슬랫 크레인(Slat Crane)
  4. 케이블 크레인(Cable Crane)
  5.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정답률: 57%)
  • 슬랫 크레인은 Lift on-Lift off 방식이 아니라 Roll on-Roll off 방식으로 사용되는 하역기기이다. 슬랫 크레인은 자동차나 기타 차량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며, 차량이 크레인 위로 진입하여 슬랫 위에 올라가면 크레인이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Lift on-Lift off 방식의 하역기기가 아닌 것은 슬랫 크레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역시스템을 도입하는 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역비용의 절감
  2. 노동환경의 개선
  3. 범용성과 융통성의 지양
  4. 에너지 또는 자원의 절감
  5. 고도 운전기능과 안전의 확보
(정답률: 52%)
  • "범용성과 융통성의 지양"은 하역시스템을 도입하는 목적이 아니라 오히려 하역시스템을 도입하지 않는 이유일 수 있습니다. 하역시스템은 일정한 규격과 기능을 갖춘 장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물품을 처리하기 어렵고, 융통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역시스템을 도입하는 목적은 "하역비용의 절감", "노동환경의 개선", "에너지 또는 자원의 절감", "고도 운전기능과 안전의 확보" 등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화물 탑재용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파렛트는 1인치 이하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평판이다.
  2. 항공파렛트는 화물을 특정 항공기의 내부모양과 일치하도록 탑재 후 망(net)이나 띠(strap)로 묶을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이다.
  3. 항공컨테이너는 별도의 보조장비 없이 항공기 화물실에 탑재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용기이다.
  4. 항공컨테이너는 탑재된 화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작되고 기체에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한다.
  5. 항공컨테이너와 해상컨테이너는 호환 탑재가 가능하다.
(정답률: 74%)
  • "항공컨테이너와 해상컨테이너는 호환 탑재가 가능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두 종류의 컨테이너가 규격이 비슷하며, 항공컨테이너가 해상컨테이너보다 더 강도가 높아서 호환 탑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하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역은 화물에 대한 시간적 효용과 장소적 효용 창출을 지원한다.
  2. 하역은 노동집약적인 물류분야 중의 하나였으나, 최근 기술 발전에 따라 개선되고 있다.
  3. 하역은 각종 운반수단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보관화물의 창고 내 운반과 격납, 피킹, 분류, 구색관리 등의 작업과 부수작업을 포함한다.
  4. 하역은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 유통과정의 효용창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하역의 합리화는 물류합리화에 큰 의미를 가진다.
  5. 하역은 화물 또는 생산품의 저장과 이동을 말하며, 제조와 품질검사 공정을 포함한다.
(정답률: 69%)
  • 모든 보기가 하역에 대한 옳은 설명이지만, "하역은 각종 운반수단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보관화물의 창고 내 운반과 격납, 피킹, 분류, 구색관리 등의 작업과 부수작업을 포함한다."라는 설명이 가장 구체적이고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 "하역은 화물 또는 생산품의 저장과 이동을 말하며, 제조와 품질검사 공정을 포함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하역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률: 74%)
  • 선박에서 하역작업은 크게 선적과 언로딩으로 나뉩니다. 선적은 화물을 선박에 싣는 작업이고, 언로딩은 선박에서 화물을 내리는 작업입니다. 이 중에서도 화물을 내리는 언로딩 작업에서 "ㄱ, ㄷ"이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선박의 좌측과 우측에 크레인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크레인은 화물을 좌우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좌측에서 화물을 내리면 "ㄱ"자 모양으로, 우측에서 내리면 "ㄷ"자 모양으로 화물을 쌓아나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ㄱ, ㄷ"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위적재시스템(ULS: Unit Load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적재시스템은 제품이 경박단소화 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2. 단위적재시스템을 통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도난 등의 피해가 감소하고 있다.
  3. 단위적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송장비, 하역장비, 창고시설 등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4. 단위적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포장단위, 거래단위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5. 단위적재시스템은 하역의 기계화를 통한 신속한 적재로 운송수단의 회전율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78%)
  • "단위적재시스템은 제품이 경박단소화 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단위적재시스템은 여전히 시간과 비용 절감, 도난 등의 피해 감소, 하역의 기계화를 통한 신속한 적재로 운송수단의 회전율 향상 등의 이점이 있기 때문에 중요성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파렛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렛트는 국제표준규격이 정해져 있다.
  2. 파렛트는 물류합리화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
  3. 파렛트를 물류활동의 모든 과정에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일관파렛트화(Palletization)라고 한다.
  4. 파렛트는 단위적재시스템의 대표적인 용기로 운송, 보관, 하역 등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적합하다.
  5. 우리나라 국가표준(KS) 운송용 파렛트에는 T-11형이 있으며, 이는 미국과 유럽의 표준 파렛트와도 동일한 규격이다.
(정답률: 74%)
  • 파렛트는 국제표준규격이 정해져 있지만, 우리나라 국가표준(KS) 운송용 파렛트에는 T-11형이 있으며, 이는 미국과 유럽의 표준 파렛트와도 동일한 규격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가표준(KS) 운송용 파렛트에는 T-11형이 있으며, 이는 미국과 유럽의 표준 파렛트와도 동일한 규격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오더 피킹(Order Pick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존 피킹(Zone Picking)은 여러 피커가 작업범위 공간을 정해두고, 본인이 담당하는 선반의 물품만을 골라 피킹하는 방식이다.
  2. 릴레이 피킹(Relay Picking)은 피킹전표 중에서 자기가 담당하는 종류만을 피킹하고, 다음 피커에게 넘겨주는 방식이다.
  3. 피킹 빈도가 높은 물품일수록 피커의 접근이 쉬운 장소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파렛트 슬라이딩 랙(Sliding Rack)은 선입선출이 가능하고, 오더 피킹의 효율성이 높은 방식이다.
  5. 드라이브 인 랙(Drive-in Rack)은 다품종 소량의 제품, 회전율이 높은 제품에 적합한 방식이다.
(정답률: 71%)
  • "드라이브 인 랙(Drive-in Rack)은 다품종 소량의 제품, 회전율이 높은 제품에 적합한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드라이브 인 랙은 회전율이 낮은 제품이나 대량으로 저장해야 하는 제품에 적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컨베이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벨트(Belt) 컨베이어: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벨트를 사용하여 벨트 위에 화물을 싣고 운반하는 기기
  2. 롤러(Roller) 컨베이어: 롤러 및 휠을 운반 방향으로 병렬시켜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
  3. 진동(Vibrating) 컨베이어: 철판의 진동을 통해 부품 등을 운반하는 기기
  4. 스크루(Screw) 컨베이어: 스크루 상에 철판을 삽입하고 이를 회전시켜 액체화물 종류를 운반하는 기기
  5. 플로우(Flow) 컨베이어: 파이프 속 공기나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
(정답률: 49%)
  • 플로우(Flow) 컨베이어: 파이프 속 공기나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 기기는 파이프 속 공기나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포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의 간소화로 포장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포장은 생산의 마지막 단계이며, 물류의 시작단계에 해당된다.
  3. 한국산업표준(KS)에 따르면 포장은 낱포장(Item packaging), 속포장(Inner packaging), 겉포장(Outer packaging)으로 분류된다.
  4. 상업포장은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물류비를 절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5. 반강성포장(Semi-rigid packaging)의 포장재료는 골판지상자, 접음상자, 플라스틱 보틀 등이다.
(정답률: 71%)
  • "포장은 생산의 마지막 단계이며, 물류의 시작단계에 해당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포장은 생산과 물류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산과 물류 사이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파렛트의 적재방법 중에서 동일한 단에서는 물품을 가로ㆍ세로로 조합해 쌓으며, 다음 단에서는 방향을 180° 바꾸어 교대로 겹쳐 쌓는 방법은?

  1. 블록(Block)형 적재
  2. 벽돌(Brick)형 적재
  3. 핀휠(Pinwheel) 적재
  4. 스프리트(Split) 적재
  5. 교호(Alternative)열 적재
(정답률: 53%)
  • 벽돌(Brick)형 적재 방법은 물품을 가로ㆍ세로로 조합해 쌓은 후, 다음 단에서는 방향을 180° 바꾸어 교대로 겹쳐 쌓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파렛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물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또한, 물품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적재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유연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물류모듈(Modu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모듈의 치수구조는 분할계열치수와 배수계열치수로 구분할 수 있다.
  2. 운송의 모듈화 대상으로는 트럭이나 화차, 컨테이너 선박 등과 같은 운송 수단들이 해당된다.
  3. 분할계열치수는 PVS(Plan View Size: 1,140 × 1,140 mm)를 기준으로 한 치수를 의미한다.
  4. 물류모듈이란 물류합리화와 표준화를 위해 기준척도 및 단위구성 요소를 수치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을 말한다.
  5. 물류모듈화란 물류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요소인 물류시설 및 장비들의 규격이나 치수가 일정한 배수나 분할관계로 집합되어 있는 집합체를 말한다.
(정답률: 48%)
  • 분할계열치수는 PVS(Plan View Size: 1,140 × 1,140 mm)를 기준으로 한 치수를 의미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의 화물 취급표시가 의미하는 것은?

  1. Stacking Limitation
  2. Protect from Heat
  3. Unstable
  4. Center of Gravity
  5. Do Not Roll
(정답률: 75%)
  • 화물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Center of Gravity"를 의미합니다. 이 표시는 화물이 안정적으로 운반되도록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화물의 중심이 불균형하거나 불안정하면 운반 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표시를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파렛트 풀(Pallet Poo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렛트의 장거리 회송이 필요하다.
  2. 파렛트의 규격 표준화가 필요하다.
  3. 물류합리화와 물류비 절감이 가능하다.
  4. 지역적, 계절적 수요에 대응이 가능하다.
  5. 파렛트 규격에 맞는 포장규격의 변경이 필요하다.
(정답률: 60%)
  • "파렛트의 장거리 회송이 필요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파렛트 풀은 파렛트의 재사용을 통해 물류합리화와 물류비 절감을 이루기 위한 시스템으로, 파렛트의 장거리 회송이 필요하다. 파렛트 규격 표준화, 지역적/계절적 수요 대응, 파렛트 규격에 맞는 포장규격 변경 등도 파렛트 풀 구축에 필요한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물류관련법규

41. 물류정책기본법령상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촉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ㆍ군수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에 대하여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을 권고하고 지원할 수 있다.
  2. 화물자동차ㆍ철도차량ㆍ선박ㆍ항공기 등의 배출가스를 저감하기 위하여 시설ㆍ장비투자를 하는 경우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의 지원대상이 될 수 있다.
  3. 환경친화적인 연료를 사용하는 운송수단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시설ㆍ장비투자를 하는 경우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의 지원대상이 될 수 있다.
  4.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자금의 보조ㆍ융자 및 융자 알선은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의 지원내용에 해당한다.
  5.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교육, 컨설팅 및 정보의 제공은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으로의 전환의 지원내용에 해당한다.
(정답률: 49%)
  • 시장ㆍ군수가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권고하고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공동화ㆍ자동화 촉진을 위한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ㆍ도지사는 물류공동화를 추진하는 물류 관련 단체에 대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물류기업이 물류공동화를 추진하는 경우 물류 관련 단체와 공동으로 추진하도록 명할 수 있다.
  3. 시ㆍ도지사는 화주기업이 물류자동화를 위하여 물류시설 및 장비를 확충하려는 경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ㆍ해양수산부장관ㆍ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물류공동화ㆍ물류자동화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협의없이 지원조치를 마련할 수 있다.
  5. 시ㆍ도지사가 물류공동화를 추진하는 물류기업이나 화주기업에 대하여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려는 경우 그 내용을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반영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시ㆍ도지사는 물류공동화를 추진하는 물류 관련 단체에 대하여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공동화ㆍ자동화 촉진을 위한 지원에 관한 내용으로, 시ㆍ도지사가 물류 관련 단체에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물류공동화를 촉진하고 물류 시스템을 개선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물류정책기본법」상 국제물류사업의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문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국제물류협력체계 구축, ㄴ: 국제물류사업, ㄷ: 국가물류정책위원회
  2. ㄱ: 국제물류협력체계 구축, ㄴ: 환적(換積)화물, ㄷ: 국가물류정책위원회
  3. ㄱ: 국제물류협력체계 구축, ㄴ: 환적(換積)화물, ㄷ: 국무회의
  4. ㄱ: 물류 관련 국제표준화, ㄴ: 환적(換積)화물, ㄷ: 국가물류정책위원회
  5. ㄱ: 물류 관련 국제표준화, ㄴ: 국제물류사업, ㄷ: 국무회의
(정답률: 61%)
  • 정답은 "ㄱ: 국제물류협력체계 구축, ㄴ: 환적(換積)화물, ㄷ: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이다. 국제물류협력체계 구축은 국제물류사업의 촉진과 지원을 위해 필요한 조치이며, 환적화물은 국제물류사업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국가물류정책위원회는 국가적인 물류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기 위한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회계의 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의 물류비 산정기준 및 방법 등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2. 해양수산부장관은 화주기업이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관리하도록 하는 의무를 부과할 수 있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계산ㆍ관리하는 물류기업에 대하여는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라 물류비를 계산ㆍ관리하는 화주기업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할 수는 없다.
  5. 물류비 관련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정의는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니다.
(정답률: 71%)
  •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회계의 표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의 물류비 산정기준 및 방법 등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물류정책기본법령 제9조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정책의 수립 및 추진 등을 담당하며, 이에 따라 물류기업 및 화주기업의 물류비 산정기준 및 방법 등을 표준화하기 위한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물류정책기본법령상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위물류정보망 또는 전자문서를 변작(變作)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 또는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은 전자문서 및 물류 정보를 3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해양수산부장관 및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협의하여 표준전자문서의 개발ㆍ보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운영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자문서를 공개하여서는 아니 된다.
  5. 단위물류정보망 전담기관은 물류정보에 대하여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진 자가 동의하는 경우에는 언제든지 물류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국토교통부장관은 해양수산부장관 및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협의하여 표준전자문서의 개발ㆍ보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이다.

    해당 법령에서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에 대한 표준화와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해양수산부장관 및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 협의하여 표준전자문서의 개발ㆍ보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물류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문서 및 물류정보의 표준화와 보급을 위한 법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물류정책기본법령상 우수물류기업의 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 및 해양수산부장관은 소관 물류기업을 각각 우수물류기업으로 인증할 수 있다.
  2. 우수물류기업 선정을 위한 인증의 기준ㆍ절차ㆍ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의 공동부령으로 정한다.
  3.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은 인증우수물류기업이 인증요건을 유지하는지에 대하여 공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점검하여야 한다.
  4. 인증우수물류기업 인증마크의 도안 및 표시방법은 국토교통부장관의 동의를 얻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5.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은 인증우수물류기업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률: 55%)
  • "인증우수물류기업 인증마크의 도안 및 표시방법은 국토교통부장관의 동의를 얻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인증우수물류기업 인증마크의 도안 및 표시방법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아니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현황조사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68%)
  • 물류정책기본법령에서는 물류현황조사지침을 제정하여 물류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물류현황조사지침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ㄱ. 물류시장 규모 및 구조
    ㄴ. 물류시설 및 장비 현황
    ㄷ. 물류인력 및 교육 현황
    ㄹ. 물류정책 및 제도 현황
    ㅁ. 물류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 ㅁ"이다.

    선택지마다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선택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ㄱ, ㄴ, ㄷ": 물류시장 규모, 물류시설 및 장비 현황, 물류인력 및 교육 현황이 포함되어야 한다.
    - "ㄱ, ㄷ, ㄹ": 물류시장 규모, 물류인력 및 교육 현황, 물류정책 및 제도 현황이 포함되어야 한다.
    - "ㄱ, ㄴ, ㄹ, ㅁ": 물류시장 규모, 물류시설 및 장비 현황, 물류정책 및 제도 현황, 물류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이 포함되어야 한다.
    - "ㄴ, ㄷ, ㄹ, ㅁ": 물류시설 및 장비 현황, 물류인력 및 교육 현황, 물류정책 및 제도 현황, 물류산업의 국제경쟁력 분석이 포함되어야 한다.
    - "ㄱ, ㄴ, ㄷ, ㄹ, ㅁ": 모든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 및 해양수산부장관은 10년 단위의 국가물류기본계획을 5년마다 공동으로 수립하여야 한다.
  2. 국가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ㆍ도지사와의 협의를 거쳐야 한다.
  3. 특별시장 및 광역시장은 10년 단위의 지역물류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4. 지역물류기본계획은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배치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5.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해양수산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60%)
  •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해양수산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물류시설분과위원회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소속시키는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물류기본계획의 승인은 해당 지역의 시ㆍ도지사가 담당한다. 따라서,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려는 경우에는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을 5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한다.
  2. 용수ㆍ에너지ㆍ통신시설 등 기반시설에 관한 사항도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3.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에서 물류시설별 물류시설용지면적의 100분의 10 이상으로 물류시설의 수요ㆍ공급계획을 변경하려는 때에는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을 수립한 때에는 이를 관보에 고시하여야 한다.
  5. 시ㆍ도지사는 해양수산부장관에게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의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시ㆍ도지사는 해양수산부장관에게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의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립하고 관보에 고시하게 되어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해당 계획에 대한 변경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ㆍ도지사는 해당 요청을 해양수산부장관에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류의 공동화ㆍ자동화 및 정보화를 위한 시설은 물류시설에 속하지 않는다.
  2. 「유통산업발전법」상 집배송시설 및 공동집배송센터를 경영하는 사업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에 속한다.
  3. 화물의 운송ㆍ포장ㆍ보관ㆍ판매ㆍ정보처리 등을 위하여 일반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약사법」상 의약품 도매상의 창고 및 영업소시설은 일반물류단지시설에 속한다.
  4. 화물의 집화ㆍ하역 및 이와 관련된 분류ㆍ포장ㆍ보관ㆍ가공ㆍ조립 또는 통관 등에 필요한 기능을 갖춘 시설물이지만 가공ㆍ조립 시설의 전체 바닥면적 합계가 물류터미널의 전체 바닥면적 합계의 5분의 1인 경우에는 물류터미널에 속하지 않는다.
  5. 도시첨단물류단지를 조성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하수도의 건설사업은 물류단지개발사업에 속하지 않는다.
(정답률: 52%)
  • 화물의 운송ㆍ포장ㆍ보관ㆍ판매ㆍ정보처리 등을 위하여 일반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약사법」상 의약품 도매상의 창고 및 영업소시설은 일반물류단지시설에 속한다. 이유는 해당 시설이 일반물류단지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의약품 도매상의 창고 및 영업소시설로서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용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예산을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할 수 없는 경우는?

  1. 「도로법」제2조제1호에 따른 도로의 설치
  2. 「철도산업발전기본법」제3조제1호에 따른 철도의 설치
  3. 「수도법」제3조제17호에 따른 수도시설의 설치
  4. 「폐기물관리법」제2조제8호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5. 「물환경보전법」제2조제12호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
(정답률: 34%)
  •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할 수 없는 경우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입니다. 폐기물처리시설은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설치되며,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중앙정부의 책임하에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등록한 사항에 대하여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 경우는?

  1. 영업소 명칭의 변경
  2. 영업소 위치의 변경
  3. 복합물류터미널 설비의 변경
  4. 복합물류터미널 구조의 변경
  5. 복합물류터미널 부지 면적의 10분의 1의 변경
(정답률: 63%)
  • 복합물류터미널 부지 면적의 10분의 1의 변경은 물류시설의 크기와 규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법령상 등록된 사항이 변경되면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적법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영업소의 이름, 위치, 설비, 구조 등은 운영에 영향을 미치지만, 부지 면적의 10분의 1의 변경은 물류시설의 크기와 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변경 등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법인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할 수 없다.
  2. 국가가 직접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할 수는 없다.
  3. 「상법」에 따라 설립된 법인의 임원이 외국인인 경우 그 법인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의 등록을 할 수 없다.
  4. 등록신청을 하려는 자는 복합물류터미널의 부지 및 설비의 배치를 표시한 축척 1000분의 1인 평면도를 제출하여야 한다.
  5.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기준이 되는 부지 면적은 3만3천제곱미터 이상이다.
(정답률: 67%)
  •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기준이 되는 부지 면적은 3만3천제곱미터 이상이다. 이유는 복합물류터미널은 대량의 화물을 처리하고 보관하기 위한 시설로, 충분한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공공기관이 시행자로서 새로이 설치한 공공시설 중 그 시설을 관리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게 무상 귀속되는 시설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ㅁ
  2. ㄴ, ㄷ
  3. ㄱ,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40%)
  • "ㄱ"은 공공기관이 시행자로서 설치한 공공시설이므로 옳다. "ㄹ"은 시설을 관리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게 무상 귀속되는 시설이므로 옳다. "ㅁ"은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공공기관이 시행자로서 설치한 시설이므로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ㄹ, 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00만 제곱미터의 일반물류단지를 지정하는 경우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가 확정되지 아니하였다면 일반물류단지를 지정할 수 없다.
  3.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 중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를 변경하려는 경우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내용에는 '문화재의 보존을 위하여 고려할 사항'이 포함되지 않는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무분별한 물류단지 개발을 방지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시ㆍ도지사와 협의하여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을 실시하여야 하고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정답률: 20%)
  •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 중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를 변경하려는 경우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이유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을 승인하면 해당 지역의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가 지정되는데, 이후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법령상 물류단지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내용과 다소 상이하거나 잘못된 내용을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사업의 휴업ㆍ폐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그 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는 때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인 법인이 합병의 사유로 해산하는 경우에는 그 청산인은 미리 그 사실을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는 경우 그 휴업기간은 1년을 초과할 수 없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폐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5.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를 휴업하려는 자는 휴업하려는 날로부터 7일 이전에 신고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폐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그 취지를 영업소나 그 밖에 일반 공중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이는 사업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자가 허가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신고를 하여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ㄱ, ㄹ, ㅁ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48%)
  • 운송사업자가 허가사항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법령상 규정은 다양하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운송사업자가 변경신고를 해야 하는 모든 사항을 고르는 것이 문제의 요구사항이다.

    ㄱ은 "운송구간 또는 운송방법의 변경"을 의미한다. 운송사업자가 운송구간이나 운송방법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를 변경신고해야 한다.

    ㄴ은 "차량의 추가 또는 변경"을 의미한다. 운송사업자가 차량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를 변경신고해야 한다.

    ㄷ은 "운송인원의 추가 또는 변경"을 의미한다. 운송사업자가 운송인원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를 변경신고해야 한다.

    ㄹ은 "운송인력의 추가 또는 변경"을 의미한다. 운송사업자가 운송인력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경우에는 이를 변경신고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안전운행의 확보, 운송질서의 확립 및 화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운송가맹사업자에 대하여 발령될 수 있는 개선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차 조치
  2. 화물자동차의 구조변경
  3. 운송시설의 개선
  4. 운송약관의 변경
  5. 화물의 안전운송을 위한 조치
(정답률: 48%)
  • 감차 조치는 운송가맹사업자에 대한 개선명령이 아니라, 화물자동차의 안전운행을 위한 조치로서 운전자가 화물을 적절히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감차 조치는 이 문제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1. 천재지변으로 인하여 수송력 공급을 긴급히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소유자는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2.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소유자가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사용하여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경영한 경우 시ㆍ도지사는 1년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자동차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금지할 수 있다.
  3. 영농조합법인이 소유하는 자가용 화물자동차에 대한 유상운송 허가기간은 2년 이내로 한다.
  4. 시ㆍ도지사는 영농조합법인의 유상운송 허가기간의 연장을 허가할 수 없다.
  5.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대폐차를 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57%)
  • 천재지변으로 인하여 수송력 공급을 긴급히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자가용 화물자동차의 소유자는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 자가용 화물자동차를 유상으로 화물운송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비상시에는 자가용 화물자동차도 화물운송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약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송약관의 변경신고에 대한 수리 여부는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3일 이내에 신고인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리기간 내에 운송약관 신고수리 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지 아니하면 수리기간이 끝난 날에 신고를 수리한 것으로 본다.
  3. 운송약관의 신고 또는 변경신고는 이 법 제48조에 따른 협회로 하여금 대리하게 할 수 있다.
  4. 운송약관에는 손해배상 및 면책에 관한 사항을 적어야 한다.
  5. 운송사업자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를 받는 때에 표준약관의 사용에 동의하면 운송약관을 신고한 것으로 본다.
(정답률: 57%)
  •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리기간 내에 운송약관 신고수리 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지 아니하면 수리기간이 끝난 날에 신고를 수리한 것으로 본다."이 부분이 옳지 않다. 이유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수리기간 내에 운송약관 신고수리 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지 않으면, 그 운송약관은 수리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에서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용 자동차에 싣기 부적합하여 화주가 밴형 화물자동차에 탈 때 함께 실을 수 있는 화물의 기준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률: 57%)
  • 정답은 "ㄱ, ㄴ, ㄷ" 입니다.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에서는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용 자동차에 싣기 부적합한 물품을 운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밴형 화물자동차에 탈 때 함께 실을 수 있는 화물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 밴형 화물자동차의 적재공간에 적합한 크기와 무게인 경우
    ㄴ. 밴형 화물자동차의 적재공간에 안전하게 적재 가능한 경우
    ㄷ. 밴형 화물자동차의 적재공간에 적재 후 운송 중 안정적으로 운송 가능한 경우

    따라서, 이 세 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화물만 밴형 화물자동차에 탑재하여 운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주선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화물운송주선사업의 허가신청서에는 상용인부 2명 이상의 고용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2. 운송주선사업의 허가사항에 대한 변경신고의 수리 여부는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5일 이내에 신고인에게 통지되어야 한다.
  3. 운송주선사업자는 자기 명의로 다른 사람에게 화물자동차 운송주선사업을 경영하게 할 수 없다.
  4. 운송주선사업자가 운송가맹사업자에게 화물의 운송을 주선하는 행위는 이 법에 따른 재계약ㆍ중개 또는 대리로 보지 아니한다.
  5. 운송가맹점인 운송주선사업자는 자기가 가입한 운송가맹사업자에게 소속된 운송 가맹점에 대하여 화물운송을 주선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30%)
  • "일반화물운송주선사업의 허가신청서에는 상용인부 2명 이상의 고용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운송주선사업의 허가신청서에는 상용인부 1명 이상의 고용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적재량이 3톤이고 총 중량이 5톤인 화물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적재물배상 책임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2. 이사화물을 취급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운송사업자의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3.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에도 책임보험계약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4.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사업자가 감차 조치 명령을 받은 경우에도 책임보험계약등 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제하거나 해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5.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하고 있는 보험등 의무가입자에게 그 계약종료일 50일 전까지 그 계약이 끝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
(정답률: 62%)
  • 이사화물을 취급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운송사업자의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이는 이사화물을 운송하는 경우에는 적재물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사화물을 취급하는 운송주선사업자는 이에 대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화물자동차 운송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 등에 관한 내용이지만, 이사화물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의 허가를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는?

  1. 화물자동차 교통사고와 관련하여 거짓으로 보험금을 청구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경우
  2. 정당한 사유 없이 운송계약의 인수를 거부한 경우
  3. 화물운송 종사자격이 없는 자에게 화물을 운송하게 한 경우
  4. 3대의 화물자동차를 소유한 운송사업자가 중대한 교통사고로 1명 이상의 사상자를 발생하게 한 경우
  5. 화물자동차 소유 대수가 2대 이상인 운송사업자가 영업소 설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주사무소 외의 장소에서 상주하여 영업한 경우
(정답률: 64%)
  •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의 허가를 취소하여야 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화물자동차 교통사고와 관련하여 거짓으로 보험금을 청구하여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경우"는 운송사업자의 범죄 행위로 인해 사회적 신뢰를 저해하고, 안전한 운송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허가를 취소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위ㆍ수탁계약의 갱신 등에 관한 조문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120, ㄴ: 30, ㄷ: 5
  2. ㄱ: 120, ㄴ: 60, ㄷ: 6
  3. ㄱ: 150, ㄴ: 30, ㄷ: 5
  4. ㄱ: 150, ㄴ: 60, ㄷ: 5
  5. ㄱ: 150, ㄴ: 60, ㄷ: 6
(정답률: 32%)
  • 주어진 조문에서 "갱신 기간은 ( )년으로 한다."라는 문장을 보면, 갱신 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ㄷ)는 6이다. 또한, "수탁자는 ( )일 이전에 수탁계약을 갱신할 것을 요청하여야 한다."라는 문장에서는 수탁자가 갱신을 요청해야 하는 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ㄴ)은 60이다. 마지막으로, "수탁자는 ( )일 이전에 수탁계약을 해지할 것을 요청하여야 한다."라는 문장에서는 수탁자가 해지를 요청해야 하는 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ㄱ)은 150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150, ㄴ: 60, ㄷ: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사업자단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제조합을 설립하려면 공제조합의 조합원 자격이 있는 자의 10분의 1 이상이 발기하여야 한다.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된 사람은 공제조합의 운영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없다.
  3. 운송사업자로 구성된 협회, 운송주선사업자로 구성된 협회 및 운송가맹사업자로 구성된 협회는 각각 연합회를 설립할 수 있다.
  4. 연합회가 공제사업을 하는 경우의 공제조합 운영위원회 위원은 시ㆍ도별 협회의 대표 전원을 포함하여 37명 이내로 한다.
  5. 공제조합이 조합에 고용된 자의 업무상 재해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공제 사업을 하려면 공제규정을 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52%)
  •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된 사람은 공제조합의 운영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파산선고를 받은 사람이라도 복권되면 다시 조합원 자격을 갖추게 되므로 공제조합의 운영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유통산업발전법령상 공동집배송센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ㄹ
(정답률: 25%)
  • - 공동집배송센터는 유통산업발전법령상 규제 대상이다.
    - 공동집배송센터는 물류센터와 달리 상품을 보관하지 않고, 단순히 배송을 위한 시설이다.
    - 공동집배송센터는 물류센터와 달리 지역적 제한이 없으며,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따라서, 공동집배송센터는 경쟁을 촉진하고 효율적인 물류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 이에 따라, 공동집배송센터의 설치와 운영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 따라서, 유통산업발전법령상 공동집배송센터에 대한 규제가 존재한다.
    - 이 규제는 "ㄱ, ㄷ"에 해당하는 "공동집배송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기준"으로 구체화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별자치시장은 대규모점포등의 개설등록을 하려는 대규모점포등의 위치가 전통상업보존구역에 있을 때에는 등록을 제한하거나 조건을 붙일 수 있다.
  2. 개설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대규모점포등을 개설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전통상업보존구역의 지정과 관련된 규정은 2020년 11월 23일까지 그 효력을 가진다.
  4. 대규모점포등관리자는 관리규정을 개정하려는 경우 해당 인터넷 홈페이지에 제안내용을 공고하고 입점상인들에게 개별적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5. 대규모점포등의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간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는 대규모점포등의 등록 취소 사유에 해당한다.
(정답률: 26%)
  • "대규모점포등의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간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는 대규모점포등의 등록 취소 사유에 해당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맞는 설명이다. 대규모점포등은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등록이 필요하며, 등록 후에는 일정한 규제와 제한이 적용된다. 이 중 하나가 대규모점포등의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6개월 간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 등록 취소 사유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는 대규모점포등이 등록 후에도 지속적인 영업을 유지하도록 규제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이하 “협의회”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협의회는 회장 1명을 포함한 9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해당 지역의 소비자단체의 대표 또는 주민단체의 대표는 협의회의 위원이 될 수 있다.
  3. 협의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협의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5. 협의회는 분기별로 1회 이상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39%)
  • 협의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협의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 이유는 협의회의 의결은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석위원이 9명인 경우 5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해당 지역의 소비자단체의 대표 또는 주민단체의 대표는 협의회의 위원이 될 수 있다." 이다. 이는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소비자단체나 주민단체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 개설등록 내용의 변경등록 사항이 아닌 것은?

  1. 종사자수 등 인력관리계획의 변경
  2. 법인 명칭의 변경
  3. 법인 소재지의 변경
  4. 업태 변경
  5. 개설등록(매장면적을 변경등록한 경우에는 변경등록) 당시 매장면적의 10분의 1 이상의 변경
(정답률: 47%)
  • 유통산업발전법령에서 대규모점포 개설등록 내용의 변경등록 사항 중 "종사자수 등 인력관리계획의 변경"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대규모점포 개설등록과는 관련이 없는 인력관리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대규모점포 개설등록과 관련된 내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상점가진흥조합은 사업조합으로 설립할 수 없다.
  2. 상점가진흥조합은 조합원의 자격이 있는 자 중 같은 업종을 경영하는 자가 3분의 1 이상인 경우에는 그 같은 업종을 경영하는 자의 5분의 3 이상의 동의를 받아 결성할 수 있다.
  3.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자가 아닌 자도 상점가진흥조합의 조합원이 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체인사업자가 유통관리사의 고용 촉진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
  5. 지방자치단체가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를 건립하여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에는 해당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의 매출액의 1천분의 10 이내에서 시설 및 장비의 이용료를 징수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체인사업자가 유통관리사의 고용 촉진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유통산업발전법령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유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통관리사의 고용 촉진 사업을 추진하는 체인사업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유통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용역업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본선을 경비하는 사업
  2. 선박을 소독하는 사업
  3. 선박용 연료를 공급하는 사업
  4. 선박에서 사용하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사업
  5. 통선으로 본선과 육지 간의 연락을 중계하는 사업
(정답률: 28%)
  • 선박용 연료를 공급하는 사업은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용역업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항만에서 선박이 출발하기 전에 필요한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항만에서 선박을 운송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항만운송사업법」상 검수사등에 관한 조문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것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2년, ㄴ: 2년
  2. ㄱ: 2년, ㄴ: 3년
  3. ㄱ: 3년, ㄴ: 2년
  4. ㄱ: 3년, ㄴ: 3년
  5. ㄱ: 5년, ㄴ: 3년
(정답률: 50%)
  • 해당 조문에서는 검수사의 임기를 규정하고 있는데, 검수사는 임기가 만료되기 전에도 임명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임명된 검수사는 임기 만료일로부터 ( ) 이내에 후임자가 임명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해당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ㄱ)의 경우 검수사의 임기가 3년이므로, 임기 만료일로부터 3년 이내에 후임자가 임명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해당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반면에 (ㄴ)의 경우 검수사의 임기가 2년이므로, 임기 만료일로부터 2년 이내에 후임자가 임명되기 전까지 해당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3년, ㄴ: 2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용품공급업을 하려는 자는 해양수산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선체, 기관 등 선박시설 및 설비를 수리, 교체 또는 도색하는 사업은 항만운송관련사업에 속한다.
  3. 항만용역업의 등록을 신청하려는 자는 부두시설 등 항만시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항만시설의 사용허가서 사본을 제출하여야 한다.
  4. 해양수산부장관은 항만운송관련사업의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 500만원 이하의 과징금을 병과할 수 있다.
  5. 항만운송관련사업자가 사업정지명령을 위반하여 그 정지기간에 사업을 계속한 경우에는 청문을 실시하지 않고 항만운송관련사업의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정답률: 26%)
  • 선체, 기관 등 선박시설 및 설비를 수리, 교체 또는 도색하는 사업은 항만운송관련사업에 속한다. - 이유: 선박의 유지보수 및 수리는 항만운송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항만운송관련사업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의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도사업의 면허가 취소된 후 그 취소일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법인은 철도사업의 면허를 받을 수 없다.
  2. 철도사업자는 여객유치를 위한 기념행사의 경우에는 여객운임ㆍ요금을 감면할 수 없다.
  3. 국토교통부장관은 여객 운임의 상한을 지정하려면 미리 기획재정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4. 철도사업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하는 날 또는 기간에 운송을 시작하여야 하지만, 천재지변으로 운송을 시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날짜를 연기하거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이 철도사업의 면허를 발급하는 경우에는 철도의 공공성과 안전을 강화하고 이용자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부담을 붙일 수 있다.
(정답률: 62%)
  • "철도사업자는 여객유치를 위한 기념행사의 경우에는 여객운임ㆍ요금을 감면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철도사업법 제32조(여객운임ㆍ요금의 책정 등) 제2항에 따라 "여객운임ㆍ요금은 여객수요의 증감, 경쟁상황 등을 고려하여 철도사업자가 자율적으로 책정할 수 있으며, 여객유치를 위한 기념행사 등의 경우에는 여객운임ㆍ요금을 감면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철도사업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ㄹ
(정답률: 43%)
  • 철도사업법령상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은 "철도건설, 철도운영, 철도시설물의 신설, 변경, 철도시설물의 철거, 철도시설물의 보수, 철도시설물의 이전, 철도시설물의 폐기, 철도시설물의 관리, 철도시설물의 안전관리"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ㄴ, ㄷ"은 철도시설물의 폐기와 안전관리입니다. 이 두 가지 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만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철도사업법령상 국유철도시설의 점용허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유철도시설의 점용허가로 인하여 발생한 권리와 의무를 이전하려는 경우에는 한국철도공사 사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국유철도시설의 점용허가를 받은 자의 점용이 폐지된 경우 예외 없이 원상회복 의무가 면제된다.
  3. 점용료는 매년 1월말까지 당해연도 해당분을 선납하여야 하나 국토교통부장관이 부득이한 사유로 선납이 곤란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납부기한을 따로 정할 수 있다.
  4. 점용허가를 받은 자가 점용허가의 기간만료에 따른 원상회복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민사집행법」에 따라 시설물을 철거할 수 있다.
  5. 점용허가를 받은 철도 재산에 대한 원상회복의무가 면제되는 경우에도 시설물 등을 무상으로 국가에 귀속시킬 수 없다.
(정답률: 56%)
  • 점용료는 매년 1월말까지 당해연도 해당분을 선납하여야 하나 국토교통부장관이 부득이한 사유로 선납이 곤란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납부기한을 따로 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철도사업법령상 전용철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용철도를 운영하려는 자는 전용철도의 건설ㆍ운전ㆍ보안 및 운송에 관한 사항이 포함된 운영계획서를 첨부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면허를 받아야 한다.
  2. 전용철도의 운영을 양수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3. 전용철도운영자가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전용철도운영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그 전용철도의 운영을 계속하려는 경우에는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부터 2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5. 이 법에 따라 전용철도 등록이 취소된 자는 취소일부터 6개월 이내에 전용철도를 등록할 수 있다.
(정답률: 31%)
  • 전용철도운영자가 그 운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한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이는 전용철도의 운영이 중단되는 경우에 대한 규정으로, 운영자는 휴업 전에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하며, 1개월 이내에 운영을 재개하지 않으면 면허가 취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의 생산조정 및 출하조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쌀과 보리를 제외한 농산물의 수급조절과 가격안정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농산물가격안정기금으로 농산물을 비축할 수 있다.
  2. 수입이익금을 정하여진 기한까지 내지 아니하면 국세 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다.
  3. 기획재정부장관은 주요 농수산물의 수급조절과 가격안정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당 농산물의 파종기 이전에 예시가격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미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4.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국내 농산물 시장의 수급안정 및 거래질서 확립을 위하여 「관세법」에 따라 몰수되거나 국고에 귀속된 농산물을 이관받을 수 있다.
  5. 비축사업등의 실시과정에서 발생한 농산물의 감모(減耗)에 대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는 한도에서 비용으로 처리한다.
(정답률: 35%)
  • "기획재정부장관은 주요 농수산물의 수급조절과 가격안정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해당 농산물의 파종기 이전에 예시가격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미리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에서는 농산물의 생산조정 및 출하조절을 통해 수급조절과 가격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농산물가격안정기금을 통해 농산물을 비축할 수 있고, 관세법에 따라 몰수되거나 국고에 귀속된 농산물을 이관받을 수 있다. 또한, 비축사업 등의 실시과정에서 발생한 농산물의 감모에 대해서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는 한도에서 비용으로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권한에 해당하는 것은?

  1. 양곡부류와 청과부류를 종합한 중앙도매시장의 개설
  2. 시(市)가 개설자인 지방도매시장의 업무규정 변경에 대한 승인
  3. 경매사의 임면
  4. 수입이익금의 부과ㆍ징수
  5. 농수산물집하장의 설치ㆍ운영
(정답률: 31%)
  •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중앙도매시장 및 지방도매시장의 개설, 업무규정 변경, 경매사의 임면, 농수산물집하장의 설치 및 운영 등 다양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수입이익금의 부과ㆍ징수"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가지고 있는 권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농수산물 수입에 대한 이익금을 부과하고 징수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농산물 가격 안정을 위한 자금을 조성하고 농가의 소득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