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금속도장기능사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색채

1. 색의 3속성이 아닌 것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잔상
(정답률: 알수없음)
  • 잔상은 색의 속성이 아닙니다. 색의 속성은 색상, 명도, 채도입니다. 잔상은 이미 사라진 것이 남아있는 현상을 뜻하며, 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색 중 노랑의 보색은?

  1. 남색
  2. 빨강
  3. 주황
  4.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노랑의 보색은 보통 보라색으로 알려져 있지만, 색상환에서 노랑과 정확히 반대편에 위치한 색은 남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남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먼셀표색계(표준20색상환)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1. 노랑
  2. 청록
  3. 연두
  4. 자주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표색계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노랑"입니다. 이는 먼셀표색계에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이 "빨강"이고, "노랑"은 "빨강"과 반대편에 위치하며, "빨강"과의 대비가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랑"은 채도가 가장 높은 색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색광혼합의 3원색은?

  1. 빨강 - 청록 - 노랑
  2. 빨강 - 녹색 - 자주
  3. 빨강 - 파랑 - 녹색
  4. 빨강 - 파랑 - 보라
(정답률: 알수없음)
  • 색광합성에서 3원색은 빨강, 파랑, 녹색입니다. 이는 RGB 색 모델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색으로, 이 세 가지 색을 적절히 혼합하면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빨강은 빛의 파장이 길고, 파랑은 짧으며, 녹색은 중간 정도의 파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색을 혼합하면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빨강 - 파랑 - 녹색"이 3원색으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두가지의 색광을 혼합할 경우 혼합된 색은?

  1.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
  2.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높아진다.
  3. 명도와 채도가 다 낮아진다.
  4. 명도와 채도가 다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가지 색을 혼합하면 빛의 파장이 섞이게 되어 새로운 파장이 만들어집니다. 이 때, 두 색의 명도가 높을수록 혼합된 색의 명도도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두 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혼합된 색의 채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두 색의 채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파장이 섞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먼셀(Munsell)은 빨강을 5R 4/14로 표기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4는?

  1. 색상
  2. 채도
  3. 명도
  4. 순도
(정답률: 알수없음)
  • 먼셀 색상 체계에서 숫자 4는 "명도"를 나타냅니다. 먼셀 색상 체계에서 색상은 색상환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알파벳과 숫자로 표기되고, 채도는 색상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숫자로 표기됩니다. 따라서 여기서 숫자 4는 해당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에서 A 부분을 들어가 보이게(후퇴) 하려면 어느 색이 가장 알맞는가?

  1. 주황
  2. 빨강
  3. 남색
  4. 다홍
(정답률: 알수없음)
  • A 부분을 들어가 보이게 하려면 배경색과 대비가 큰 색상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남색은 보색인 노란색과 대비가 크기 때문에 A 부분을 들어가 보이게 하는 데 가장 알맞은 색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노랑과 빨강이 같이 있을 때 노랑은 연두색을 띤 노랑으로 빨강은 연지색을 띤 빨강으로 보이는 현상은?

  1. 채도 대비
  2. 명도 대비
  3. 색상 대비
  4. 계시 대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현상은 "색상 대비" 때문입니다. 노랑과 빨강은 서로 상보적인 색상이기 때문에 함께 있을 때 더욱 강렬하게 느껴지며, 노랑은 연두색으로, 빨강은 연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이는 색상 대비의 원리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방화표지, 소화기, 화재 등에 사용하는 색은?

  1. 빨강
  2. 주황
  3. 파랑
  4. 녹색
(정답률: 알수없음)
  • 빨강은 시각적으로 가장 강렬하고 주목을 끄는 색상 중 하나이며, 위험하고 긴급한 상황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방화표지, 소화기, 화재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에서 빨강색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성색 계통의 색상조화는?

  1. 주황과 연두
  2. 녹색과 연두
  3. 보라와 빨강
  4. 자주와 다홍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색 계통은 주황, 녹색, 보라 등의 색상이 아닌, 이들 색상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색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녹색과 연두는 모두 노란색을 함유하고 있어 중성색 계통에서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주황과 연두, 보라와 빨강, 자주와 다홍은 서로 다른 색상 계통에 속하기 때문에 조화를 이루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체 색조배색에서 오는 느낌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색상이나 명도를 같게하면 전체적으로 활기있는 배색이 된다.
  2. 명도가 높은 색을 주로하면 무거운 느낌의 배색이 된다.
  3. 채도가 높은 색을 주로하면 수수하고 평정된 배색이 된다.
  4. 색상이나 채도차를 크게하면 자극적이며 활기있는 배색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색상이나 채도차를 크게하면 대비가 강해져 눈에 더욱 띄게 되어 자극적이며 활기있는 배색이 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을 크게 대비시키면 매우 활기찬 배색이 되지만, 빨간색과 주황색을 같은 명도로 조합하면 덜 자극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의 배색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중 가장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들은?

  1. 연두, 보라, 자주
  2. 빨강, 자주, 파랑
  3. 노랑, 초록, 남색
  4. 주황, 노랑, 다홍
(정답률: 알수없음)
  • 주황, 노랑, 다홍은 따뜻한 색상으로, 노란색은 태양과 같은 따뜻한 느낌을 주며, 주황색은 활력과 열정을 상징하며, 다홍색은 사랑과 열정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색들은 따뜻하고 활기찬 느낌을 주어서 가장 따뜻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유성니스 종류에 들지 않는 것은?

  1. 초산비닐니스
  2. 코우펄니스
  3. 흑바니시
  4. 코울드사이즈
(정답률: 알수없음)
  • 유성니스는 일본어로 "有星"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별빛이 반사되는 빛나는 표면을 가진 인조 가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산비닐니스"는 유성니스 종류에 들지 않는 것입니다. 초산비닐니스는 인조 가죽이 아니며, 표면이 빛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내열성, 전기절연성등이 특히 우수하여 석유난로, 보일러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료는?

  1. 멜라민 수지 도료
  2. 프탈산 수지 도료
  3.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도료
  4. 실리콘 수지 도료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리콘 수지 도료는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온에서 사용되는 석유난로, 보일러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실리콘 수지 도료는 내구성이 높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사용해도 변색이나 부식이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실리콘 수지 도료는 고온, 고압, 화학물질 등의 환경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도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용제 중 용해성이 가장 좋은 용제는?

  1. 알콜계
  2. 케톤, 아세톤계
  3. 에스테르계
  4. 석유, 탈계
(정답률: 알수없음)
  • 에스테르계는 분자 내부에 카복실기와 알킬기를 가지고 있어서 극성이 적고, 분자 크기가 작아서 용해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른 용제들보다 용해성이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알콜 가용성 페놀수지 도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무색 또는 엷은 노란색으로 일광에 의해 변색되기 쉽다.
  2. 가열하면 100-150℃에서 용융된다.
  3. 탄화수소계 용제에 잘 녹는다.
  4. 알콜, 아세톤에 잘 녹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콜 가용성 페놀수지 도료와 관계가 없는 것은 "탄화수소계 용제에 잘 녹는다." 입니다. 이유는 탄화수소계 용제는 기름이나 윤활유와 같은 유기 용제를 말하며, 이러한 용제는 대부분의 도료와 잘 녹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콜 가용성 페놀수지 도료가 탄화수소계 용제에 잘 녹는다는 것은 관계가 없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금속 화성처리에서 산비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산비=전산도/유리산도
  2. 유리산도는 액중의 유리인산의 농도를 나타낸다.
  3. 산비가 적으면 제1인산이 가수분해하여 침전 부식작용이 있다.
  4. 산비는 처리목적, 온도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비가 적으면 제1인산이 가수분해하여 침전 부식작용이 있다."가 틀린 것입니다. 산비가 적을수록 제1인산의 가수분해 속도가 느려져 침전 부식작용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산비가 적으면 부식작용이 적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화성처리 피막중 인산염의 중량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인산철계는 1.0-1.5g/m2이다.
  2. 인산아연계 박막형은 1.5-3g/m2이다.
  3. 인산아연계 중막형은 3-6g/m2이다.
  4. 인산아연계 후막형은 10-20g/m2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인산철계는 1.0-1.5g/m2이다." 가 아니다.

    인산철계는 일반적으로 0.5-1.0g/m2 범위 내에서 적용되며, 1.0-1.5g/m2는 인산아연계 박막형의 범위이다. 인산아연계 중막형은 1.5-3g/m2이며, 인산아연계 후막형은 3-6g/m2이다. 인산염의 중량은 피막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프레이 도장시에 도료점도는 20℃에서 포드컵 No.4로 어느 정도 되어야 하는가? (단, 래커도장시)

  1. 1-3 sec
  2. 18-25 sec
  3. 45-60 sec
  4. 65-80 sec
(정답률: 알수없음)
  • 스프레이 도장시에는 도료점도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이는 도료가 더욱 세밀하게 분사되어 부드럽고 균일한 코팅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래커도장시에는 보통 20℃에서 포드컵 No.4로 18-25초의 도료점도가 적합합니다. 이 범위는 적당한 점도를 유지하면서도 코팅의 두께와 질감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18-25 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체질안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단
  2. 탈크
  3. 호분
  4. 황산바륨
(정답률: 알수없음)
  • 체질안료는 동물, 식물, 미네랄 등에서 추출되는 천연 색소를 말합니다. 연단은 천연 색소가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합성 색소이기 때문에 체질안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금속도장재료

21. 식물성 탄화수소계 용제는?

  1. 메탄올
  2. 아세톤
  3. 에테르
  4. 테레핀유
(정답률: 알수없음)
  • 식물성 탄화수소계 용제는 테레핀유입니다. 이는 식물성 오일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윤활유, 페인트, 인쇄 잉크 등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메탄올은 알코올, 아세톤은 케톤, 에테르는 에테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도료는?

  1. EBC도료
  2. UVC도료
  3. 분체도료
  4. 에멀젼도료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도료는 빛을 흡수하는 파란색과 초록색 영역에서 흡수율이 높고, 빨간색 영역에서는 투과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도료는 빨간색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흡수하고, 빨간색을 반사하여 빨간색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이 도료는 EBC도료라고 불리며, 주로 빨간색을 강조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강 표면의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에멀션 세척
  2. 알칼리 세척
  3. 신너 세척
  4. 염산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염산 처리는 철강 표면을 부식시키는 강력한 화학처리 방법이므로, 잘못된 방법입니다. 이는 철강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표면의 노관성을 유발하여 부식 위험성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철강 표면 기름 제거 방법은 염산 처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에멀션 세척, 알칼리 세척, 신너 세척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철강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래커 프라이머에 관한 설명 중 잘못 기술된 것은?

  1. 산화철,산화티탄이 포함된다.
  2. 건조가 대단히 빠르다.
  3. 내후성,부착성이 우수하다.
  4.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전색제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전색제로 한다."입니다.

    래커 프라이머는 산화철, 산화티탄 등의 물질이 포함되어 내후성과 부착성이 우수하며, 건조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전색제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서페이서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살갖임이 좋아야 한다.
  2. 하지의 마무리 도료이다.
  3. 연마성이 좋아야 한다.
  4. 바탕조정 목적 도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페이서는 바탕조정 목적 도료가 아니라, 하지의 마무리 도료입니다. 서페이서는 나무의 표면을 부드럽게 마무리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탕조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유성바니스 중에서 중유성 바니스는?

  1. 코우펄 바니스
  2. 코울드 바니스
  3. 스파 바니스
  4. 콜드사이즈
(정답률: 알수없음)
  • 유성바니스 중에서 중유성 바니스는 코울드 바니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코우펄 바니스는 중유성 바니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도막형성 주요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요소는 지방유, 합성수지, 천연수지 등이다.
  2. 도막을 형성하는 주요소는 도막의 최종적인 목적인 주성분이 되는 물질이다.
  3. 도막을 형성하는 주요소는 도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4. 주요소에서 지방유에 속하는 것은 건성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도막을 형성하는 주요소는 도막의 최종적인 목적인 주성분이 되는 물질이다."입니다.

    도막을 형성하는 주요소는 도막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며, 이는 도막의 주성분인 물과 함께 작용하여 도막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도막을 형성하는 주요소는 도막의 최종적인 목적인 주성분이 되는 물질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퍼티도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의 홈을 평활하게 하는 작업이다.
  2. 오일퍼티는 건조가 늦다.
  3. 래커퍼티는 건조가 빠르다.
  4. 폴리에스테르 퍼티는 알키드 수지가 전색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스테르 퍼티는 알키드 수지가 전색제가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퍼티이다. 이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알키드 수지보다 더 강력하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전색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안료 중 독성이 있어 선저도료의 원료로 사용되며 선저부분에 굴, 조개류, 해초류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료는?

  1. 산화수은
  2. 아산화동
  3. 산화안티몬
  4. 탄산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아산화동은 독성이 있어 선저부분에 부착되는 굴, 조개류, 해초류 등의 생물이 성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선저도료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거나 선저부분에 부착되는 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안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철강의 조직 중 산에 부식되지 않고 경도가 가장 큰 것은?

  1. 펄라이트
  2. 페라이트
  3. 시멘타이트
  4. 오오스테나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타이트는 철과 탄소가 혼합된 합금으로, 경도가 가장 높은 강종 중 하나입니다. 또한, 산에 부식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어 열처리에 용이합니다. 따라서, 철강의 조직 중 산에 부식되지 않고 경도가 가장 큰 것은 시멘타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탈지방법 중 화학적 방법이 아닌 것은?

  1. 알칼리 세척법
  2. 블라스트법
  3. 에멀션 세척법
  4. 전해 세척법
(정답률: 알수없음)
  • 블라스트법은 화학적인 처리가 아닌 기계적인 방법으로 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블라스트법은 고압의 물 혹은 공기를 이용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화학적인 처리나 세척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화학적 방법이 아닌 탈지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면과 같은 열풍건조로는 무슨 방식인가?

  1. 직접순환식
  2. 간접순환식
  3. 직접 비순환식
  4. 간접 비순환식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에서 보이는 열풍건조로는 공기가 직접 가열기를 통해 가열되고, 건조된 후 바로 건조실 내부로 순환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직접순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적외선 건조로에 대한 설명 중 적합치 못한 것은?

  1. 취급이 간편하고 재해가 적다.
  2. 열효율이 좋고 건조가 빠르다.
  3. 비교적 위생적이다.
  4. 물체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외선 건조는 물체의 표면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물체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물체의 형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가 적합치 못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래커 마무리 도장(상도)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의 노즐 구경이 적당한 것은?

  1. 0.5 - 0.8 mm
  2. 1 - 1.2 mm
  3. 2.0 - 2.5 mm
  4. 3.0 - 3.5 mm
(정답률: 알수없음)
  • 래커 마무리 도장에서는 높은 정밀도와 균일한 분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스프레이 건의 노즐 구경이 작을수록 더 정밀한 분사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래커는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즐 구경이 너무 작으면 분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1 - 1.2 mm가 적당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스프레이 건(spray gun)의 청소시 주의 사항에 어긋나는 것은?

  1. 사용후에는 알칼리 세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2. 신너에 건을 침적시켜 부푼 후에 청소한다.
  3. 니들이 더러울 때는 분해하여 씻는다.
  4. 건은 필요할 때 이외는 분해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신너에 건을 침적시켜 부푼 후에 청소한다."

    이유: 스프레이 건은 물과 함께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내부에 물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이 남아있으면 청소 시에 물이 튀거나 건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먼저 신너에 건을 침적시켜 부푼 후에 청소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건 내부의 물이 완전히 제거되고, 청소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스프레이 건(Spray Gun)의 내부 혼합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료는 압송식으로 공급한다.
  2. 고점도 도료도 사용할 수 있다.
  3. 패턴은 둥근형과 평형이 있다.
  4. 공기캡의 내측에서 도료와 공기를 혼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패턴은 둥근형과 평형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스프레이 건의 내부 혼합형은 공기캡의 내측에서 도료와 공기를 혼합하며, 압송식으로 공급되는 도료는 고점도 도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패턴은 둥근형과 평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패턴은 스프레이 건의 노즐에서 나오는 도료의 분사 형태를 의미하며, 조절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중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에어스프레이에 비하여 도장 표면이 미려하다.
  2. 에어스프레이에 비하여 도료손실이 적다.
  3. 1회 도장으로 두꺼운 도장을 할 수 있다.
  4. 작업능률이 우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은 에어스프레이에 비하여 도장 표면이 미려하지 않습니다. 이는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이 도료를 고압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입자 크기가 크고,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에어리스 스프레이 도장은 두꺼운 도장을 할 수 있고, 도료손실이 적으며, 작업능률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호트스프레이컵(hot spray cup)의 공급 열원은?

  1. 전기열선
  2. 가스버너
  3. 열풍
  4. 온수
(정답률: 알수없음)
  • 호트스프레이컵은 전기열선을 이용하여 공급 열원을 제공합니다. 이는 전기를 통해 열을 발생시켜 물을 끓이는 방식으로, 가스버너나 열풍, 온수와는 다른 원리입니다. 전기열선은 안전하고 깨끗한 열원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빠른 열전달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오렌지필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 원인과 관계 없는 것은?

  1. 용해력이 불충분한 신너를 사용 하였다.
  2. 스프레이 공기 압력이 약했다.
  3. 도막이 지나치게 두터웠다.
  4. 실내 온도가 높고 풍속이 빨랐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렌지필 현상은 도막이 지나치게 두터웠을 때 발생한다. 이는 도막이 두껍게 형성되어 용해력이 불충분해지고, 스프레이 공기 압력이 강해도 도막을 제대로 분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해력이 불충분한 신너를 사용 하였다.", "스프레이 공기 압력이 약했다.", "실내 온도가 높고 풍속이 빨랐다."는 오렌지필 현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원인과 관계 없는 것은 "도막이 지나치게 두터웠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폴리에스테르 수지도료의 보관법으로 옳은 것은?

  1. 경화제와 촉진제를 혼합하여 보관한다.
  2. 어두운 곳이라면 어디라도 보관이 가능하다.
  3. 열이나 빛에 의하여 중합되기 쉬우므로 냉암소에 보관한다.
  4. 조합한 것을 사용가능 시간을 넘겨 방치할 때에는 밀봉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스테르 수지도료는 열이나 빛에 노출되면 중합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암소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도장

41. 공기압축기 시동시 유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

  1. 계절에 적당한 오일을 넣고 시동전 오일을 점검한다.
  2. 주위를 살펴보고 안전을 확인한 다음 스위치를 넣는다.
  3. 흡기구에 손을 대고 흡입 상태를 확인한다.
  4. 부하 상태로 스위치를 넣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하 상태로 스위치를 넣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공기압축기가 작동 중일 때 부하를 가하게 되어 기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기압축기를 시동할 때는 스위치를 넣기 전에 주위를 살펴보고 안전을 확인하고, 흡기구에 손을 대고 흡입 상태를 확인한 후에 스위치를 넣어야 합니다. 또한 계절에 적당한 오일을 넣고 시동 전 오일을 점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유해가스 중 인체에 가장 해로운 것은?

  1. 아세톤
  2. 염소
  3. 암모니아
  4. 가솔린
(정답률: 알수없음)
  • 염소는 매우 강한 산화제이며,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가스입니다. 염소 가스를 흡입하면 호흡곤란, 기침,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농도가 높을 경우 폐부종, 폐렴, 심장마비 등의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소는 인체에 가장 해로운 유해가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휘발성 용제는 취급에 주의를 하여야 하는데 위험성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인화점
  2. 폭발범위
  3. 발화점
  4. 빙점
(정답률: 알수없음)
  • 빙점은 휘발성 용제가 얼어서 고체 상태가 되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나 화재 발생 가능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만, 휘발성 용제를 보관할 때는 빙점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하면 용제가 얼어서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알칼리 탈지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심한 먼지와 때도 탈지한다.
  2. 기름 이외의 오물도 제거한다.
  3. 수세가 불충분해도 화성피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액의 수명이 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 탈지는 기름과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데, 이때 사용되는 알칼리 성분은 피부의 pH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세가 불충분해도 화성피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알칼리 탈지로 인해 피부의 pH가 높아지면서 화성피막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항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퍼티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주걱 각도를 15° 로 계속 유지하며 도포한다.
  2. 주걱 각도를 15° 로 하였다가 각도를 점점 높이면서 도포한다.
  3. 주걱 각도를 35∼45° 로 하였다가 각도를 점점 높인다.
  4. 주걱 각도를 35∼45° 로 하였다가 각도를 점점 낮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걱 각도를 35∼45° 로 하였다가 각도를 점점 낮춘다는 것은 퍼티를 처음에는 넓게 도포하고, 점점 좁게 도포해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법은 퍼티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며, 과도한 퍼티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적외선 건조로의 취급방법이 잘못된 것은?

  1. 온도조절을 위해서 전압조정기를 사용한다.
  2. 물체에 광택이 없을 때는 콘베이어 속도를 늦춘다.
  3. 노내부의 반사판은 더러워지기전에 청소하는 것이 좋다.
  4. 노에 물체를 처음 넣은 5분 정도는 100℃까지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외선 건조로에서는 물체의 표면이 광택이 있으면 적외선을 반사하여 건조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광택이 없는 상태로 건조해야 합니다. 따라서 물체에 광택이 없을 때는 콘베이어 속도를 늦추어 적외선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막 표면의 경도(hardness)가 낮은 가장 큰 이유는?

  1. 피도장물의 소지가 얇을 때
  2. 도막이 얇고 소부건조 시간이 길 때
  3. 소부건조 온도가 낮고 소부건조 시간이 짧을 때
  4. 도료의 미립화가 양호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소부건조 온도가 낮고 소부건조 시간이 짧을 때는 도막 내부의 용제가 완전히 증발하지 못하고 남아있기 때문에 도막 표면이 부드러워지고 경도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소부건조 온도와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도막 내부의 용제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에어 스프레이 건(Air Spray Gun)에서 도료 분무 패턴을 조절하는 나사는?

  1. 니들 조절 나사
  2. 에어(air) 조절 나사
  3. 에어(air) 밸브 나사
  4. 노즐 조절 나사
(정답률: 알수없음)
  • 에어 스프레이 건에서 도료 분무 패턴을 조절하는 것은 에어(air)의 양과 방향입니다. 따라서 이를 조절하는 나사는 "에어(air) 조절 나사"입니다. 다른 나사들은 분무 패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분체 도장의 장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세팅 시간이 필요 없다.
  2. 비산된 도료는 회수하여 다시 사용한다.
  3. 도막이 얇게 오른다.
  4. 다소 피도체가 복잡해도 도막은 균일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막이 얇게 오른다."는 분체 도장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분체 도장은 도료를 분체화하여 분사하는 방식으로 도장을 형성하는데, 이 때 도막이 얇게 오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료의 분체화와 분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굴곡 시험기에 대한 사항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도막 파괴 신장이 크면 내굴곡성이 나쁘다.
  2. 도막 파괴 신장과 온도의 관계가 도막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판정은 각종 직경의 중심봉에 대해서 시험하고 도막의 파괴 신장을 구하여 평가한다.
  4. 절단 가공을 행하는 제품은 내굴곡성이 좋을수록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막 파괴 신장이 크면 내굴곡성이 나쁘다."가 옳은 것이다. 도막 파괴 신장이 크다는 것은 도막이 매우 단단하고 깨지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막은 굴곡 시험에서 굴곡에 대한 변형이 적게 일어나므로 내굴곡성이 나쁘다고 평가된다. 즉, 내굴곡성이 좋다는 것은 도막이 일정한 변형을 보이며 굴곡에 대한 탄성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폭발 상한 농도(Vol.%)가 가장 높은 것은?

  1. 메틸에틸케톤(M.E.K)
  2. 이소프로필알콜(I.P.A)
  3. 톨루엔
  4. 키실렌(XYLENE)
(정답률: 알수없음)
  • 이소프로필알콜(I.P.A)이 폭발 상한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이유는, 이소프로필알콜(I.P.A)은 불꽃점화 온도가 높아서 쉽게 증발하지 않고, 공기 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화학물질들보다 더 높은 폭발 상한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분무시 다음과 같은 패턴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가장 큰 원인은?

  1. 공기캡의 한쪽 구멍이 막혀 있다.
  2. 공기 압력이 낮다.
  3. 공기 압력이 높다.
  4. 공기캡과 노즐간격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무기는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하는데, 이 공기압력은 공기캡을 통해 제공됩니다. 그러나 공기캡의 한쪽 구멍이 막혀있으면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공기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분무기에서 물이 제대로 분사되지 않고, 패턴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공기캡의 한쪽 구멍이 막혀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롤러브러쉬의 커버용 털의 종류 중 거친면이나 휘어진 곡면 도장에 적당한 것은?

  1. 단모(10mm이하)
  2. 중모(10∼20mm)
  3. 장모(20∼40mm)
  4. 절모(15∼30mm)
(정답률: 알수없음)
  • 거친면이나 휘어진 곡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더 긴 털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긴 털인 "장모(20∼40mm)"가 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도장 공정에 있어서 상도에 대한 설명을 하였다. 옳지 않은 것은?

  1. 가능하다면 붓 도장보다는 분무 도장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2. 상도 도포 후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신중 하게 재벌 도장하여 마무리 한다.
  3. 오물이 없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도포한다.
  4. 붓 도장을 행할시에는 붓은 많이 사용하던 붓을 사용하고 얼룩 손질도 충분히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도 도포 후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신중 하게 재벌 도장하여 마무리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상도 도포 후에 먼지가 부착되어 있으면, 재벌 도장을 하면 먼지가 도장과 함께 도포되어 결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먼저 먼지를 제거한 후에 도장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주걱 도장에 있어서 각 종류별 주걱과 그 용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나무 주걱은 주로 삼각형으로 퍼티 붙임 등에 사용된다.
  2. 대나무 주걱은 나무의 홈이 파인 부분 보수에 사용된다.
  3. 금속 주걱은 주로 사다리꼴형이 많으며 퍼티의 반죽에 적합하다.
  4. 고무 주걱은 합성고무를 재료로 사용하고 각진 부분 또는 모서리면을 바를 때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무 주걱은 합성고무를 재료로 사용하고 각진 부분 또는 모서리면을 바를 때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설명은 올바르며, 고무 주걱은 각진 부분이나 모서리면을 깨끗하게 닦거나 바를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도료의 시험법 중에 유출식 점도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오스왈드 점도계
  2. 레드우드 점도계
  3. 포드컵 점도계
  4. 스토머 점도계
(정답률: 알수없음)
  • 스토머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점도계 중 하나이지만, 유출식 점도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스토머 점도계는 회전하는 원통 안에 유체를 넣고, 원통의 회전 속도에 따라 유체의 저항을 측정하여 점도를 계산합니다. 반면에 유출식 점도계는 유체를 일정한 속도로 유출시켜서 그 유출 속도를 측정하여 점도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스토머 점도계는 유출식 점도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연 도금 강판에 대한 피막처리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인산아연 처리법
  2. 수산염 피막처리법
  3. 크로메이트 처리법
  4. 논크로메이트 처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산염 피막처리법은 아연 도금 강판에 대한 피막처리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주로 알루미늄 도금 강판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톱 코팅(Top coating)의 흡수를 방지하여 광택과 선명성을 부여하고 전체 도막의 내구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평활성을 부여하는 도장 공정은?

  1. 투명도장
  2. 상도도장
  3. 중도도장
  4. 하도도장
(정답률: 알수없음)
  • 중도도장은 톱 코팅을 하여 광택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도막의 평활성을 부여하는 도장 공정입니다. 이는 전체 도막의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에 코팅을 하는 것으로, 상도도장보다는 적은 코팅을 하기 때문에 투명도장보다는 내구성이 높아지지만 하도도장보다는 광택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장하지용 화성피막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방청작용이 강할 것
  2. 소지금속 및 도막과의 부착성이 강할 것
  3. 내열성이 있을 것
  4. 두꺼운 피막이 형성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화성피막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에서 "두꺼운 피막이 형성될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화성피막의 두께는 사용하는 도장재료와 도장 방법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성피막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방청작용이 강할 것, 소지금속 및 도막과의 부착성이 강할 것, 내열성이 있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름(Wrinkling) 현상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너무 두껍게 도장 했을 때
  2. 도료의 점도가 높을 때
  3. 건조가 미흡한 도막 위에 재 도장할 때
  4. 용해력이 강한 신너를 과량 투입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도료의 점도가 높을 때는 도료 분자들이 서로 더 밀집하여 도막이 더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주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료의 점도가 높을 때"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