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비행상담
1. 사이크스(G. Sykes)와 맛짜(D. Matza)의 비행 중화 기술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3. 허쉬(T. Hirschi)의 사회유대이론에서 청소년비행을 통제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다음의 내용을 주장한 범죄심리학 학자는?
5. 다음에서 설명하는 비행이론은?
6. 밀러(W. Miller)가 주장한 하위계층문화이론에서 관심의 초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 다음의 내용을 주장한 범죄심리학 학자는?
8. 다음에서 설명하는 머튼(R. Merton)의 적응유형은?
9. 다음의 내용을 주장한 범죄심리학 학자는?
10. 서덜랜드(E. Sutherland)의 '차별접촉이론'의 명제에 기인한 범죄자의 학습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1. 소년법령상 보호처분과 그 내용의 연결이 옳은 것은?
12. 소년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 DSM-5-TR에서 분류된 도박장애 진단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 비행청소년의 성격 평가에 사용하는 PAI-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 비행청소년의 인지 능력 평가에 사용하는 K-WAIS-Ⅳ의 지각추론 지표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비행청소년 집단상담 기법은?
17. 학교전담경찰관의 업무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8. 다음에서 설명하는 청소년비행 상담은?
19. 와이너(I. Weiner)의 성격적 비행 상담의 주요 과제로 옳지 않은 것은?
20. 다음에서 설명하는 학교폭력 예방과 대처를 위한 프로그램은?
21. 올베우스 폭력예방프로그램(Olweus Bullying Prevention Program)에서 학교 수준의 조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2. 비행청소년과 상담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일반적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3. 제7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의 정책과제가 아닌 것은?
24. 청소년복지 지원법상 청소년회복지원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25. 경찰의 비행청소년 개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성상담
26. 성의 개념과 관련된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7. 다음이 설명하는 근대 성연구 학자는?
28.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 생물학적 성(sex)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사춘기 청소년의 유방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1. 사이버 성폭력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2. 베스(E. Bass)와 데이비스(L. Davis)의 성폭력 피해자에 관한 상담 과정이다. 다음 ( )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33. DSM-5 진단기준으로 아동의 젠더 불쾌감(Gender Dysphoria)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 다음에서 설명하는 생화학물질은?
35. 성폭력 피해자의 위기관리로 옳지 않은 것은?
36. 남녀 생식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 성질환(성병)의 원인과 질병명의 연결이 틀린 것은?
38. 리(J. Lee)가 주장하는 6가지 사랑의 유형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유형은?
39. 호르몬 조절피임법이 아닌 것은?
40. 성피해 상담의 종결 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1. 다음이 설명하는 성에 대한 접근방법은?
42.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로 옳지 않은 것은?
43. 성매매 피해 청소년을 상담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4. 친족에 의한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상담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45. 청소년 사이버 성폭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 성폭력 피해자 대상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 '1388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의 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 성 상담자가 가져야 할 윤리적 태도로 옳지 않은 것은?
49. 성 개념에 관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0. 청소년기의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3과목: 약물상담
51. 다음에서 설명하는 약물은?
52. 약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53. 약물중독의 주요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54. 청소년 약물사용의 원인을 설명하는 모델 또는 이론은?
55. 청소년의 약물사용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또는 모델은?
56. 청소년 약물사용의 위험요인과 관련이 없는 것은?
57.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상 '마약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8. 청소년의 약물중독 문제를 선별하기 위한 척도가 아닌 것은?
59. 공존장애(co-occurring disorder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0. 제시된 약물과 부작용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1. 미국중독의학회(ASAM)가 제시한 6개 사정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2. 다음 내용에 적합한 치료적 접근은?
63. 약물사용 청소년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64. 약물사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의 장점이 아닌 것은?
65. 대마 및 대마 관련 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 중독상담의 '고지된 동의'에서 윤리적 선행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다음 설명에서 제시하는 사례관리자의 역할은?
68. 중독 가정 자녀의 역할유형으로 옳은 것은?
69. 동기강화상담에서 상담자가 사용하고 있는 기술은?
70. 동기강화상담 기술 중 OAR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1. 미국 의학연구소(IOM)의 청소년 중독 예방 분류체계에 관한 연결로 옳은 것은?
72. 약물중독 청소년의 재발예방프로그램을 위한 목표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73. A.A. 12단계 중 다음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가?
74. PCP(Phencyclidin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5. 다음 약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과목: 위기상담
76. 발달과정상의 위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7. 골란(N. Golan)이 제시한 위기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8. 다음에서 설명하는 위기개입 이론은?
79.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 태도, 행동 등을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방어기제는?
80. 린더만(E. Lindemann)이 제시한 내담자의 일반적인 애도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81. DSM-5에 분류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82. 허만(J. Herman)이 제시한 재난대응 위기상담 모형에서 '안전' 단계의 상담기법이 아닌 것은?
83. 다음에서 설명하는 트라우마 체계 치료(Trauma System Therapy)의 단계는?
84. 심리적 응급처치(Psychological First Ai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5.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86. 길리랜드(B. Gilliland)의 위기개입 6단계 모델 중 1~3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87. 이혼가정 자녀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8.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 청소년안전망)의 필수연계기관이 아닌 것은?
89.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령상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에서 지원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90. 집단따돌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1.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기보고형 척도인 K 척도의 하위요인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92. 청소년 자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3.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NSSI)에 대한 보호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4. 다음에서 설명하는 자살에 관한 이론적 모델은?
95. 다음에서 설명하는 학교폭력 이론은?
96.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학교폭력 가해학생에게 취하는 4호 조치는?
97. 큐블러 로스(E. Kübler - Ross)의 죽음의 5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98. 심리적 응급처치(Psychological First Aid)에서 심리요원이 갖추어야 할 자질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99. 우리나라 아동학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