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7-22)

정보처리기능사
(2001-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 계산기 일반

1. 다음 게이트에서 입력 A, B에 대한 출력 Y의 논리식은?

(정답률: 87%)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에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에만 출력 Y가 1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컴퓨터 시스템에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CPU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단계의 하나로써,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읽어 들이는 단계는?

  1. 재기록(write back)단계
  2. 실행(execute)단계
  3. 해독(decoding)단계
  4. 펫치(fetch)단계
(정답률: 58%)
  • 펫치(fetch)단계는 CPU가 기억장치에서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는 단계입니다. CPU는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이전 명령어가 실행되고 나면 다음 명령어를 가져와야 합니다. 따라서 CPU는 기억장치에서 다음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펫치(fetch)단계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진수 14.625를 2진수로 표현한 값은?

  1. 1111.011
  2. 1110.110
  3. 1110.011
  4. 1110.101
(정답률: 63%)
  • 14의 2진수 표현은 1110이고, 0.625의 2진수 표현은 0.101이므로, 14.625의 2진수 표현은 1110.10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원판형의 자기디스크 장치에서 하나의 원으로 구성된 기억공간으로, 원판형을 따라 동심원으로 나눈 것은?

  1. 트랙(Track)
  2. 릴(Reel)
  3. 헤드(Head)
  4. 실린더(Cylinder)
(정답률: 84%)
  • 원판형의 자기디스크 장치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원판을 동심원으로 나누어 각각의 원에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이때, 각각의 원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트랙(Track)입니다. 따라서, 트랙은 원판을 따라 동심원으로 나눈 하나의 원으로 구성된 기억공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보기 중 입력, 출력 모두 가능한 장치로만 이루어진 항은?

  1. B,C,E
  2. C,D,F
  3. B,E
  4. A,B,E
(정답률: 59%)
  • 정답인 A,B,E는 모두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는 키보드로 입력을 받고, 모니터로 출력을 합니다.

    B는 입력장치로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받고, 출력장치로서 모니터와 프린터를 출력합니다.

    E는 저장장치로서 하드디스크와 CD-ROM을 입력받고, 출력장치로서 프린터와 모니터로 출력합니다.

    따라서 A,B,E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가능한 장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B,C,E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가능하지만, C,D,F는 출력장치가 없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B,E는 입력과 출력이 가능하지만, 다른 장치가 없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컴퓨터의 연산장치에서 수행하는 논리 연산과 무관한 항은?

  1. ADD
  2. AND
  3. NOT
  4. OR
(정답률: 82%)
  • ADD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항으로, 논리 연산과는 무관합니다. AND, NOT, OR은 모두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항이므로, 이 중에서 ADD가 논리 연산과 무관한 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언어 번역 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이 아닌 것은?

  1. 어셈블러
  2. 인터프리터
  3. 로더
  4. 컴파일러
(정답률: 77%)
  • 로더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언어 번역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하지만, 로더는 이미 번역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회로도에서 A=1, B=1, C=0 일 때 X로 출력되는 값은?

  1. 1
  2. 2
  3. 0
  4. 3
(정답률: 85%)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1, B=1인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됩니다. 이 출력값이 C=0인 NOT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NOT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됩니다. 이 1이 X로 출력되는 값이므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상기억장치 시스템에서 주소 공간의 가상주소에서 기억장치 공간의 물리주소로의 변환은 어떤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

  1. shading 작업
  2. buffering 작업
  3. swiching 작업
  4. mapping 작업
(정답률: 54%)
  • 가상기억장치 시스템에서 주소 공간의 가상주소에서 기억장치 공간의 물리주소로의 변환은 mapping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는 가상주소와 물리주소 간의 대응관계를 맺어주는 작업으로, 가상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하여 실제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가상기억장치 시스템은 물리적인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 그림의 결과값은?

  1. 0
  2. 1
  3. 2
  4. 3
(정답률: 77%)
  • 정답은 "1"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초기값으로 i=0, j=0을 설정합니다.
    2. i가 3보다 작은 동안 반복합니다.
    3. j가 4보다 작은 동안 반복합니다.
    4. i와 j가 같은 경우, 즉 대각선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1"을 출력합니다.
    5.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합니다.
    6. j가 4까지 반복하면서 출력한 결과는 "0001"입니다.
    7. i가 1일 때, j가 4보다 작은 동안 반복합니다.
    8. i와 j가 같은 경우에는 "1"을 출력합니다.
    9.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합니다.
    10. j가 4까지 반복하면서 출력한 결과는 "0010"입니다.
    11. i가 2일 때, j가 4보다 작은 동안 반복합니다.
    12. i와 j가 같은 경우에는 "1"을 출력합니다.
    13.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합니다.
    14. j가 4까지 반복하면서 출력한 결과는 "0100"입니다.
    15. i가 3일 때, j가 4보다 작은 동안 반복합니다.
    16. i와 j가 같은 경우에는 "1"을 출력합니다.
    17. 그 외의 경우에는 "0"을 출력합니다.
    18. j가 4까지 반복하면서 출력한 결과는 "1000"입니다.
    19. 따라서 최종 결과는 "0001 0010 0100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2진수 (10110)2 의 2의 보수는?

  1. 01100
  2. 01011
  3. 01010
  4. 01001
(정답률: 60%)
  • 2진수의 2의 보수는 해당 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한 값입니다.

    따라서, 10110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값은 01001이 됩니다.

    그리고 01001에 1을 더한 값은 010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0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억 장소의 위치 지정 또는 특정한 입·출력 포트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field
  2. record
  3. block
  4. address
(정답률: 69%)
  • "address"는 기억 장소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인 "field", "record", "block"은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address"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addre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스트럭션 형식 중 모든 데이터 처리가 누산기에 의해 이루어 지며, 연산 결과는 누산기에 저장되는 형식은?

  1. 1-주소 인스트럭션 형식
  2. 3-주소 인스트럭션 형식
  3. 0-주소 인스트럭션 형식
  4. 2-주소 인스트럭션 형식
(정답률: 62%)
  • 누산기에 모든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주소가 하나만 필요하며 이를 1-주소 인스트럭션 형식이라고 부릅니다. 다른 주소나 값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기치 못한 일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제어프로그램에 알려 CPU가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로테이트(rotate)
  2. 인터럽트(interrupt)
  3. 교착상태(deadlock)
  4. 모듈(module)
(정답률: 70%)
  • 인터럽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제어프로그램에 알려 CPU가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답은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8비트로 256문자를 나타내는 체계의 정보 코드는?

  1. EBCDIC 코드
  2. BCD 코드
  3. Gray 코드
  4. ASCII 코드
(정답률: 68%)
  • 8비트로 256문자를 나타내는 체계의 정보 코드는 ASCII 코드와 EBCDIC 코드가 있습니다. 그 중 EBCDIC 코드는 IBM에서 개발한 코드로, ASCII 코드와는 다른 문자 집합을 사용합니다. 또한 EBCDIC 코드는 BCD 코드와는 다르게 8비트를 사용하여 더 많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EBCDIC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어장치에서 명령어 실행 싸이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간접 주기(indirect cycle)
  2. 직접 주기(direct cycle)
  3. 실행 주기(execute cycle)
  4. 인출 주기(fetch cycle)
(정답률: 51%)
  • 직접 주기는 명령어 실행 주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인출 주기(fetch cycle)에서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인출한 후, 간접 주기(indirect cycle)와 직접 주기(direct cycle)를 거쳐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간접 주기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을 거치는 반면, 직접 주기는 레지스터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직접 주기는 명령어 실행 주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억장치에 저장된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수행 상태, 대기 상태, 준비 상태와 같은 변환 과정을 반복할 때, 각 프로세스에게 중앙처리장치의 사용 시간을 할당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partition
  2. scheduling
  3. fragmentation
  4. optimize
(정답률: 65%)
  • 주어진 기억장치 내의 여러 프로세스들에게 중앙처리장치의 사용 시간을 할당하는 것은 "scheduling"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각 프로세스들이 수행 상태, 대기 상태, 준비 상태 등을 반복하며 자원을 공유하고 경쟁하게 되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논리 게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출력이 입력값에 의해 결정되는 조합논리 회로가 아닌 것은?

  1. 멀티플렉서(Multiplexer)
  2. 전가산기(Full-Adder)
  3. 디코더(Decoder)
  4. 플립플롭(Flip-Flop)
(정답률: 52%)
  • 플립플롭은 입력값에 의해 결정되는 조합논리 회로가 아니라 순차논리 회로이기 때문입니다. 즉, 이전 상태와 현재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domain)명의 연결이 바르게 된 것은?

  1. ac : 교육기관
  2. net : 군사기관
  3. nm : 연구기관
  4. co : 정부기관
(정답률: 63%)
  • 도메인명의 연결이 바르게 된 것은 인터넷 도메인명 체계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중 "ac"는 교육기관을 나타내는 Top-Level Domain(TLD) 중 하나로,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도메인명의 끝에 ".ac"를 붙여 사용합니다. 이와 같이 각 TLD는 해당 분야나 지역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사용자들은 해당 도메인이 어떤 분야나 지역에 속하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보처리 속도 단위 중 초당 1,000개의 연산을 수행한다는 의미의 단위는?

  1. MFLOPS
  2. MIPS
  3. KIPS
  4. LIPS
(정답률: 58%)
  • KIPS는 "Kilo Instruc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1,000개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에서 "초당 1,000개의 연산을 수행한다는 의미"와 일치하므로 KIPS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Million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 "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 "Million Logical Inferences Per Second"의 약자로, 각각 초당 백만 개의 부동 소수점 연산, 명령어 처리, 논리 추론을 수행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패키지 활용

21. 스프레드시트의 기능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차트 기능
  2. 슬라이드 작성 기능
  3. 표 계산 기능
  4. 데이터베이스 기능
(정답률: 79%)
  • 슬라이드 작성 기능은 스프레드시트의 기능이 아니라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스프레드시트는 주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하며, 계산과 분석을 수행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따라서 슬라이드 작성 기능은 스프레드시트의 기능이 아니라 다른 소프트웨어의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단계의 순서가 옳은 것은?

  1. (1)-(2)-(4)-(3)
  2. (1)-(4)-(2)-(3)
  3. (1)-(3)-(2)-(4)
  4. (1)-(2)-(3)-(4)
(정답률: 78%)
  • 데이터베이스 디자인 단계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요구사항 분석: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분석합니다.
    (2) 개념적 설계: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설계합니다.
    (3) 논리적 설계: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논리적 모델을 설계합니다.
    (4) 물리적 설계: 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물리적 모델을 설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3)-(4)" 입니다.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개념적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 모델을 설계하며, 마지막으로 물리적 모델을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간의 대화형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고 자유롭게 화면 구성배치를 하여 손쉽게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질의에 대한 대화작업 등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은?

  1. 보고서(Report)
  2. 테이블(Table)
  3. 폼(Form)
  4. 질의(Query)
(정답률: 52%)
  • 폼은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간의 대화형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고 자유롭게 화면 구성배치를 하여 손쉽게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질의에 대한 대화작업 등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고서는 데이터를 요약하거나 분석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이며,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질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엑셀 문서 파일의 저장시 기본적으로 붙는 확장자는?

  1. WP
  2. XLS
  3. DOC
  4. HWP
(정답률: 77%)
  • 엑셀 문서 파일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인 Microsoft Excel에서 생성되는 파일이며, 이 파일의 확장자는 XLS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엑셀 문서 파일을 저장할 때 기본적으로 XLS 확장자가 붙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용도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회사의 제품 선전
  2. 신제품 설명회
  3. 문서작성
  4. 강연회 준비
(정답률: 86%)
  •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은 주로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나 설명을 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문서작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서작성은 주로 글쓰기와 문서편집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며, 프레젠테이션과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DBMS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공유
  2. 데이터 무결성 유지
  3. 데이터 중복성 최대화
  4. 데이터 보안성 보장
(정답률: 87%)
  • DBMS의 장점은 데이터 공유, 데이터 무결성 유지, 데이터 보안성 보장입니다. 데이터 중복성 최대화는 오히려 단점이며, 이는 데이터 일관성을 해치고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DBMS는 중복성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스프레드시트에서 기본 입력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툴 바
  2. 블록
(정답률: 90%)
  • 스프레드시트에서 기본 입력 단위는 "셀"이라고 합니다. 이는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행과 열로 구성된 표의 각 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계산할 때는 각 셀에 값을 입력하거나 함수를 적용하여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엑셀 시트에서 연속되지 않은 셀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1. "Ctrl" 키를 누른 채, 지정할 셀을 클릭 또는 드래그한다.
  2. "Space" 키를 누른 채, 지정할 셀을 클릭 또는 드래그한다.
  3. "Alt" 키를 누른 채, 지정할 셀을 클릭 또는 드래그한다.
  4. "Shift" 키를 누른 채, 지정할 셀을 클릭 또는 드래그한다
(정답률: 81%)
  • 연속되지 않은 셀을 선택하려면 Ctrl 키를 누른 채로 지정할 셀을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Ctrl 키를 누르면 이전에 선택한 셀을 유지한 채로 새로운 셀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레젠테이션을 구성하는 내용을 하나의 화면 단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슬라이드
  2. 개체
  3. 포인트
  4. 서식파일
(정답률: 88%)
  • 프레젠테이션은 여러 개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화면을 하나의 단위로 나누어 표현한 것이 슬라이드입니다. 슬라이드는 프레젠테이션의 기본 단위이며, 각 슬라이드는 개체와 포인트, 서식파일 등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파워포인트에서 한 개의 도형이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도형을 연속적으로 선택하려면 어느 키를 누르고 선택해야 하는가?

  1. Caps Lock
  2. Shfit
  3. Ctrl
  4. Alt
(정답률: 70%)
  • Shfit 키를 누르면 현재 선택된 도형과 함께 다른 도형을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파워포인트에서 다중 선택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Caps Lock 키는 대문자 입력을 위한 키이며, Ctrl과 Alt 키는 다른 명령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운영 체제

31. UNIX에서 파일의 I-NODE에 포함된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이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간
  2.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3. 데이터가 담겨진 레코드의 주소
  4. 파일의 크기와 만든 시간
(정답률: 50%)
  • I-NODE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체입니다. 파일의 크기와 만든 시간,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파일이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간은 모두 파일의 메타데이터 중 일부이며 I-NODE에 저장됩니다. 하지만 데이터가 담겨진 레코드의 주소는 파일의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주소이므로 I-NODE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담겨진 레코드의 주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비디오 파일 형식으로 짝지어 진 것은?

  1. avi, asf
  2. pcx, mpeg
  3. bmp, doc
  4. pcx, gif
(정답률: 66%)
  • "avi, asf"는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사용되는 파일 형식입니다. AVI는 Audio Video Interleave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비디오 파일 형식입니다. ASF는 Advanced Systems Format의 약자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 형식입니다. 따라서 이 두 파일 형식은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비디오 파일 형식으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윈도 98"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상 메모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2. 워드패드에서는 글꼴의 선택이 가능하다.
  3. 메모장은 간단한 텍스트 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4. 계산기에서 로그(log) 계산은 불가능하다.
(정답률: 67%)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말이 이상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윈도 98"의 탐색기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같은 드라이브로 이동하는 방법 및 선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동할 파일이나 폴더의 전체항목을 선택하는 단축키는 <Ctrl>+<A>이다.
  2.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른 후 드래그앤드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3. 비연속인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 할 경우<Shift> 단축키를 사용한다.
  4. 마우스의 왼쪽 단추로 드래그앤드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정답률: 69%)
  •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누른 후 드래그앤드롭을 이용하여 이동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비연속인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 할 경우 <Shift> 단축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첫 번째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 마지막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할 때까지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선택하면, 첫 번째와 마지막 파일이나 폴더를 포함한 모든 파일이나 폴더가 선택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스풀링과 버퍼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버퍼링은 송신자와 수신자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2. 버퍼링은 서로 다른 여러 작업에 대한 입·출력과 계산을 동시에 수행한다.
  3. 스풀링은 저속의 입·출력장치와 고속의 CPU간의 속도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이다.
  4. 버퍼링은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버퍼로 사용한다.
(정답률: 63%)
  • "버퍼링은 서로 다른 여러 작업에 대한 입·출력과 계산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버퍼링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입·출력 작업을 버퍼에 저장해 놓고 일정량이 쌓이면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입·출력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스(MS-DOS)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을 화면 출력과 동시에 프린터로 출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키는?

  1. Shift + PrtScr
  2. Ctrl + PrtScr
  3. PrtScr
  4. Alt + PrtScr
(정답률: 48%)
  • 정답: Ctrl + PrtScr

    해당 키는 현재 화면을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후 프로그램에서 Ctrl + V를 이용해 클립보드에 저장된 내용을 붙여넣기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화면 출력 내용을 클립보드에 복사한 후, 프린터 프로그램에서 붙여넣기를 하여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
  2. 처리능력
  3. 비용
  4. 사용가능도
(정답률: 84%)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 중에서 "비용"은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평가 항목입니다. 즉, 운영체제를 도입하고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항목들과는 별개로, 기업이나 조직에서 운영체제를 도입할 때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비용"은 다른 항목들과는 거리가 먼 성능 평가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스의 시스템 파일 중 MSDOS.SY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숨겨진 파일로 존재하여 보이지 않는다.
  2. 파일, 메모리, 프로세서 등을 관리한다.
  3. 실제 입·출력 기능을 담당한다.
  4. 시스템 호출을 담당한다.
(정답률: 48%)
  • MSDOS.SYS는 실제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지 않습니다. 이 파일은 파일, 메모리, 프로세서 등을 관리하고 시스템 호출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실제 입·출력 기능을 담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UNIX에서 기억장치 관리 기법이 아닌 것은?

  1. 주소매핑(address mapping)
  2. 필터링(filtering)
  3. 스와핑(swapping)
  4. 페이징(paging)
(정답률: 46%)
  • 필터링은 기억장치 관리 기법이 아닙니다. 필터링은 데이터나 정보를 걸러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에서 스팸 메일을 걸러내는 것이 필터링의 한 예입니다. 따라서, UNIX에서 기억장치 관리 기법으로 사용되는 것은 주소매핑, 스와핑, 페이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윈도 98"의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하면 더 이상 복구가 불가능해진다.
  2. 삭제된 파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3. 각 드라이브마다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4. 휴지통에 있는 파일을 직접 실행시키려면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정답률: 73%)
  • 휴지통에 있는 파일은 이미 삭제된 파일이기 때문에 실행시키려면 해당 파일을 복원한 후 실행해야 하며, 직접 실행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휴지통에 있는 파일을 직접 실행시키려면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윈도 98"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
  2. PnP(Plug and Play)기능을 제공한다.
  3.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내장되어 있다.
  4. 쉽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67%)
  • "윈도 98"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단일 작업 처리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 중에서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멀티태스킹 기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중처리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서가 CPU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하나의 시간슬롯을 할당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시스템은?

  1. 병렬처리 시스템
  2. 시분할처리 시스템
  3. 실시간처리 시스템
  4. 분산처리 시스템
(정답률: 76%)
  • 시분할처리 시스템은 다중처리시스템에서 각각의 프로세서가 CPU를 독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하나의 시간슬롯을 할당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CPU를 공유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들이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시분할처리 시스템은 다중처리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작업 처리를 위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스(MS-DOS)에서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로 나누어 각 볼륨이 서로 다른 드라이브 문자를 가진 별개의 드라이브로 동작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1. CHKDSK
  2. VOL
  3. XCOPY
  4. FDISK
(정답률: 68%)
  •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삭제, 수정하는 명령어로,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로 나누어 각 볼륨이 서로 다른 드라이브 문자를 가진 별개의 드라이브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FDISK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보기>는 "윈도 98"의 어떤 기능을 설명하는가?

  1. DMA(Direct Memory Access)
  2.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3. Drag and Drop
  4. PnP(Plug and Play)
(정답률: 69%)
  • 보기에서는 "PnP(Plug and Play)" 기능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기능은 새로운 하드웨어를 컴퓨터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드라이버를 설치해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hich of the following key strokes is able to copy it to the clipboard in WINDOWS 98?

  1. Ctrl + c
  2. Ctrl + x
  3. Ctrl + v
  4. Alt + c
(정답률: 80%)
  • "Ctrl + c" is the key stroke that is able to copy text to the clipboard in WINDOWS 98 because it is the standard keyboard shortcut for the "Copy" function in Windows operating system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순환대기
  2. 점유와 대기
  3. 상호배제
  4. 선점
(정답률: 66%)
  •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은 상호배제, 점유와 대기, 순환대기, 한정된 대기자원이다. 이 중에서 선점은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이 아니다. 선점은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을 강제로 빼앗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선점은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이 아니며,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스(MS-DOS)에서 필터(filter) 명령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ORT
  2. MORE
  3. MEM
  4. FIND
(정답률: 57%)
  • 도스(MS-DOS)의 필터(filter) 명령어는 SORT, MORE, FIND이며, MEM은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므로 필터 명령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필터 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검색하거나 정렬하여 출력하는 명령어이며, MEM은 파일 내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스(MS-DOS)의 부팅(Boot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arm Booting이란 Ctrl + Alt + Del 을 이용하는 것이다.
  2. 도스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에 적재하여 컴퓨터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3. Cold Booting이란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다.
  4. 부팅절차는 IO. SYS → MSDOS.SYS → CONFIG.SYS → COMMAND. COM → AUTOEXEC.BAT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부팅절차는 IO. SYS → MSDOS.SYS → CONFIG.SYS → COMMAND. COM → AUTOEXEC.BAT이다."입니다.

    도스의 부팅은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서 시작되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도스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여 컴퓨터의 역할을 수행하게 합니다. 이를 Warm Booting이라고 합니다. Cold Booting은 전원을 끄고 다시 켜는 것을 말합니다. 부팅절차는 IO.SYS, MSDOS.SYS, CONFIG.SYS, COMMAND.COM, AUTOEXEC.BAT 순서로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윈도 98"에서 지정된 메뉴를 빠르게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lt>+<F4> : 열려진 창을 닫는다.
  2. <Ctrl>+<Esc> : 창 조절 메뉴를 표시한다.
  3. <Alt>+<Tab> :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작업 전환할 수 있도록 표시 해준다.
  4. <Alt>+<Esc> : 실행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으로 작업을 전환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Ctrl>+<Esc> : 창 조절 메뉴를 표시한다."입니다. 이유는 윈도 98에서 <Ctrl>+<Esc> 단축키는 시작 메뉴를 열어주는 기능을 합니다. 창 조절 메뉴를 열어주는 단축키는 <Alt>+<Spa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운영체제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UNIX
  2. LINUX
  3. PL/1
  4. Windows Me
(정답률: 70%)
  • PL/1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운영체제가 아닙니다. UNIX, LINUX, Windows Me은 모두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 통신 일반

51. 그림과 같은 네트워크는 데이터 처리관점에서 볼 때 어디에 속하는가?

  1. 분산형
  2. 루프형
  3. 계층형
  4. 중앙집중형
(정답률: 66%)
  • 이 네트워크는 중앙에 있는 서버를 중심으로 모든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앙집중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데이터통신의 정의에 대한 설명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보기기 사이에 디지털 2진 형태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 하는 통신
  2. 통신신호가 아날로그(Analog) 형태인 음성전용 통신
  3. 전기통신회선에 전자계산기 본체와 그에 부수되는 입·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통신
  4. 데이터전송과 데이터처리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정보 전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
(정답률: 52%)
  • "통신신호가 아날로그(Analog) 형태인 음성전용 통신"은 데이터통신의 정의와 맞지 않습니다. 데이터통신은 디지털 2진 형태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전용 통신은 데이터통신과는 다른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광섬유 통신케이블에 사용되는 심선(코아)의 주재료는?

  1. PVC
  2. 동(Cu)
  3. 은(Ag)
  4. 석영유리(SiO2)
(정답률: 55%)
  • 광섬유 통신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광섬유 코어입니다. 광섬유 코어는 석영유리(SiO2)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는 빛이 투과하기에 매우 적합한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섬유 통신케이블에 사용되는 심선(코아)의 주재료는 석영유리(Si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WWW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고자 할 때 WWW서버에 접속하여 HTML 문서를 받을 수 있는 클라이언트용 도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omain
  2. http
  3. Browser
  4. IPv6
(정답률: 46%)
  • Browser는 WWW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WWW 서버에 접속하여 HTML 문서를 받을 수 있는 클라이언트용 도구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Browser가 정답이다. Domain은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체계이고, http는 WWW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IPv6는 인터넷 주소 체계의 새로운 버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CM 통신방식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레벨 변동에 대한 방해가 적다.
  2. 협대역 주파수가 점유된다.
  3. 잡은 누화에 대한 방해가 적다.
  4. 펄스코드를 이용한 변조방식이다.
(정답률: 43%)
  • PCM 통신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협대역 주파수가 점유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협대역 주파수가 점유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EIA RS-232C DTE 접속장치의 판은 모두 몇 개인가?

  1. 25
  2. 16
  3. 8
  4. 32
(정답률: 61%)
  • EIA RS-232C DTE 접속장치의 판은 모두 25개입니다. 이는 RS-232C 표준에서 DTE(DTE는 데이터 통신 장비를 의미합니다) 접속장치의 판이 25핀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 발생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바이러스 오염
  2. 체형에 맞지 않은 책걸상 이용과 나쁜 자세
  3. 전자파를 많이 방출하는 장비 사용
  4. 좁은 공간과 열악한 사무환경
(정답률: 53%)
  • VDT 증후군은 주로 장시간의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눈과 목의 피로, 두통,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체형에 맞지 않은 책걸상 이용과 나쁜 자세, 전자파를 많이 방출하는 장비 사용, 좁은 공간과 열악한 사무환경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바이러스 오염은 VDT 증후군 발생 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바이러스 오염은 컴퓨터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에 영향을 미치지만, VDT 증후군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통신사업자에게 회선을 임차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은?

  1. ISDN
  2. LAN
  3. CATV
  4. VAN
(정답률: 46%)
  • VAN은 "Value-added Network"의 약자로,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이는 통신사업자가 회선을 임차하여 구축하며,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전용망으로서,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ISDN, LAN, CATV는 VAN과는 서비스와 구축 방식이 다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송신측에서 한 개의 블록을 전송한 다음 수신측이 에러의 발생을 점검한 후 'ACK'나 'NAK'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은?

  1. 연속적 ARQ
  2. cycle code
  3. 수직 parity check
  4. stop and wait ARQ
(정답률: 58%)
  • 송신측에서 한 개의 블록을 전송한 후 수신측이 에러의 발생을 점검한 후 'ACK'나 'NAK'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은 "stop and wait ARQ"입니다. 이는 송신측이 데이터를 전송한 후 수신측이 이를 확인하고 응답을 보내기 전까지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OSI 참조모델의 최하위 계층은?

  1. 물리층
  2. 전송층
  3. 세션층
  4. 표현층
(정답률: 69%)
  • OSI 참조모델의 최하위 계층은 물리층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인 매체를 사용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기 신호나 광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즉, 데이터의 물리적인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