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정보처리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 계산기 일반

1. 현재 수행중에 있는 명령어 코드(code)를 저장하고 있는 임시 저장 장치는?

  1.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2.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3. 누산기(Accumulator)
  4. 메모리 레지스터(Memory register)
(정답률: 82%)
  • 명령어 코드는 CPU가 실행하는 명령어를 의미하며, 이는 명령어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가산기(half-adder)에서 두개의 입력 비트가 모두 1 일 때 합(sum)은?

  1. 0
  2. 1
  3. 10
  4. 11
(정답률: 59%)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 비트를 받아서 합(sum)과 자리올림(carry)을 출력합니다. 하지만 반가산기는 자리올림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두 입력 비트가 모두 1일 때도 합(sum)은 0이 됩니다. 이는 반가산기가 덧셈 연산에서 자리올림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EBCDIC 코드의 존(zone) 코드는 몇 비트로 구성되어 있는가?

  1. 8
  2. 7
  3. 6
  4. 4
(정답률: 82%)
  • EBCDIC 코드의 존(zone) 코드는 4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EBCDIC 코드가 8비트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에서 상위 4비트는 zone 코드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zone 코드의 개수는 2의 4승인 16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기억장치에서 기억장치의 지정은 무엇을 따라 행하여 지는가?

  1. 레코드(Record)
  2. 블록(Block)
  3. 어드레스(Address)
  4. 필드(Field)
(정답률: 74%)
  • 주기억장치에서 기억장치의 지정은 어드레스(Address)를 따라 행하여 지정됩니다. 이는 주기억장치 내에서 각각의 데이터가 위치하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특정 데이터를 찾아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레지스터에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면 먼저 있던 내용은 어떻게 되는가?

  1. 기억된 내용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
  2. 먼저 내용은 지워지고 새로운 내용은 기억된다.
  3. 먼저 내용은 다른 곳으로 전송되고 새로운 내용만 기억된다.
  4. 누산기(Accumulator)에서는 덧셈이 이루어 진다.
(정답률: 79%)
  • 레지스터는 유한한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전에 있던 내용은 지워져야 합니다. 따라서 "먼저 내용은 지워지고 새로운 내용은 기억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2진수 "101111110"을 8진수로 변환하면?

  1. (576)8
  2. (567)8
  3. (558)8
  4. (557)8
(정답률: 7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진리표가 다음 표와 같이 되는 논리회로는?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OR 게이트
  4. NAND 게이트
(정답률: 80%)
  • 진리표에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AND 게이트의 출력과 정반대입니다. 따라서 이 논리회로는 AND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킨 것인데, 이를 NAND 게이트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NAND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입력이 어느 하나라도 1 이면 출력이 1 이 되고, 입력이 모두 0 일 때 만 출력이 0 이 되는 게이트는?

  1. NOT
  2. AND
  3. OR
  4. XOR
(정답률: 75%)
  •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에, 입력이 어느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조건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입력이 어느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OR 게이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명령어는 연산자 부분과 주소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주소(operand)부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주소 자체
  2. 명령어의 순서
  3. 데이터의 종류
  4. 데이터가 있는 주소를 구하는데 필요한 정보
(정답률: 50%)
  • 명령어는 연산자(operator)와 피연산자(operand)로 구성되는데, 주소 부분은 피연산자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종류"가 정답인 이유는 데이터의 종류는 주소 부분이 아닌 데이터 자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데이터의 종류는 명령어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명령어의 실행에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주소 부분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에서 출력 X에 알맞은 식은?(단, A,B,C 는 입력임)

(정답률: 81%)
  • X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출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의 입력은 A와 B, OR 게이트의 입력은 AND 게이트의 출력과 C입니다. 따라서 X의 출력은 (A AND B) OR 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1 비트(bit) 기억장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레지스터
  2. 누산기
  3. 계전기
  4. 플립플롭
(정답률: 77%)
  • 비트(bit)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최소 단위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러한 비트를 기억하는 기억장치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플립플롭이 가장 적합합니다.

    플립플롭은 0 또는 1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2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플립플롭은 순차 논리 회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여러 개의 플립플롭을 연결하여 레지스터 등의 기억장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트(bit)를 기억하는 기억장치로는 플립플롭이 가장 적합하며, 누산기나 계전기 등의 다른 기억장치보다 효율적으로 비트(bit)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보기의 연산은?

  1. AND 연산
  2. OR 연산
  3. MOVE 연산
  4. Complement 연산
(정답률: 83%)
  • 위 보기에서는 두 개의 비트가 AND 연산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AND 연산은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는 연산입니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는 두 비트가 모두 1인 경우에만 결과가 1이 되므로, 정답은 "AND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 A + 1 )·(B + 1)+ C의 논리식을 간단히 한 것은?

  1. 1
  2. 0
  3. A
  4. C
(정답률: 68%)
  • 논리식을 전개하면 AB + A + B + AC + C + 1 이 됩니다. 이를 간단히 하면 1이 됩니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모든 항이 OR 연산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떤 항이 참이 되더라도 전체 논리식의 결과는 참이 됩니다. 따라서 1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이 실행될 차례를 제어하거나 특정 프로그램과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고 유지해 두기 위한 제어 워드로서, 실행중인 CPU의 상태를 포함 하고 있는 것은?

  1. PSW
  2. SP
  3. MAR
  4. MBR
(정답률: 73%)
  • PSW는 Program Status Word의 약자로,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 워드입니다. CPU의 상태를 포함하여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예외 상황이나 오류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CPU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PSW이며, 다른 보기인 SP는 스택 포인터, MAR은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BR은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명령어 인출 절차를 보인 것이다. 올바른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①→②→③→④
  2. ③→②→①→④
  3. ④→②→①→③
  4. ①→③→④→②
(정답률: 52%)
  • 명령어 인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인출하여 명령어 레지스터(IR)에 저장합니다.
    ② 프로그램 카운터(PC)를 증가시켜 다음 명령어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③ 명령어를 해독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④ 수행된 결과를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④→②→①→③ 입니다. 먼저 수행된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명령어를 가리키도록 PC를 증가시킨 후,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여 IR에 저장하고, 마지막으로 명령어를 해독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제어장치에서 명령어의 실행 사이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출 주기(fetch cycle)
  2. 직접 주기(direct cycle)
  3. 간접 주기(indirect cycle)
  4. 실행 주기(execute cycle)
(정답률: 49%)
  • 직접 주기는 명령어의 실행 사이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제어장치가 직접적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나 주소를 가져오기 위해 메모리나 입출력장치와 통신하는 주기입니다. 따라서 직접 주기는 명령어 실행을 위한 사이클이 아니며, 인출 주기, 간접 주기, 실행 주기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앙처리장치(CPU)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을 감독하는 기능 수행
  2. 산술연산, 논리연산을 수행
  3.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수행
  4.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 수행
(정답률: 62%)
  • CPU는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이 기능은 컴파일러가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CPU는 작업을 감독하는 기능,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등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RS플립플롭에서 S=1, R=1이면 출력은 어떤 상태가 되는가?

  1. 불변 (No Change)
  2. 0 으로 Reset됨
  3. 1로 Set됨
  4. 불능(Not Allowed)
(정답률: 58%)
  • RS플립플롭에서 S=1, R=1이면 출력은 "불능(Not Allowed)" 상태가 됩니다. 이는 S와 R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출력이 불확정 상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태를 "메타스터블(Metastable)" 상태라고도 부르며, 이 상태에서는 출력이 불안정하게 진동하다가 어느 순간에는 0 또는 1로 안정화됩니다. 따라서 S=1, R=1인 입력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오퍼랜드(Operand) 자체가 연산대상이 되는 주소 지정 방식은?

  1. 즉시주소지정(Immediate Addressing)
  2. 직접주소지정(Direct Addressing)
  3. 간접주소지정(Indirect Addressing)
  4. 묵시적주소지정(Implied Addressing)
(정답률: 51%)
  • 오퍼랜드 자체가 연산대상이 되는 주소 지정 방식은 즉시주소지정입니다. 이는 오퍼랜드에 직접 값을 지정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다른 주소를 참조하지 않고 즉시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즉시주소지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MIPS 는 무엇의 약자인가?

  1. micro istruction per second
  2. million istruction per second
  3. minute istruction per second
  4. medium istruction per second
(정답률: 66%)
  • MIPS는 "million instruction per second"의 약자입니다. 이는 1초 동안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성능 지표입니다. 즉, 1초에 백만 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패키지 활용

21. 사원(사원번호, 이름) 테이블에서 "사원번호"가 "200"인 튜플을 삭제하는 SQL 문은?

  1. REMOVE TABLE 사원 WHERE 사원번호 = 200;
  2. KILL 사원번호, 이름 FROM 사원 WHERE 사원번호 = 200;
  3. DELETE FROM 사원 WHERE 사원번호 = 200;
  4. DROP TABLE 사원 WHERE 사원번호 = 200;
(정답률: 66%)
  • 정답은 "DELETE FROM 사원 WHERE 사원번호 = 20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REMOVE TABLE"은 잘못된 구문입니다. 올바른 구문은 "DROP TABLE"입니다.
    - "KILL"은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나 세션을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 "DELETE FROM"은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원" 테이블에서 "사원번호"가 "200"인 튜플을 삭제하라는 의미입니다.
    - "DROP TABLE"은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원번호"가 "200"인 튜플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사원"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SQL 명령어 중 데이터 정의문(DDL)에 해당하는 것은?

  1. UPDATE
  2. CREATE
  3. SELECT
  4. DELETE
(정답률: 72%)
  • CREATE은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 등을 생성하는 데이터 정의문(DDL)에 해당합니다. UPDATE, SELECT, DELETE는 데이터 조작문(DML)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하나의 애트리 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메인
  2. 속성
  3. 스키마
  4. 튜플
(정답률: 72%)
  • 도메인은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즉,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도메인"입니다. 속성은 애트리뷰트를 뜻하며,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개념이며,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용도로 거리가 먼 것은?

  1. 교육 자료 제작
  2. 제품 설명회 자료 작성
  3. 통계 자료 계산
  4. 회의 자료 작성
(정답률: 83%)
  •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은 주로 시각적인 자료를 제작하고 발표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통계 자료 계산은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용도로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통계 자료 계산은 주로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며, 이를 이용해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자체에서 통계 자료를 계산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통계 분석 도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SQL 구문 형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SELECT ~ FROM ~ WHERE ~
  2. DELETE ~ FROM ~ WHERE ~
  3. INSERT ~ INTO ~ WHERE ~
  4. UPDATE ~ SET ~ WHERE ~
(정답률: 70%)
  • "INSERT ~ INTO ~ WHERE ~"는 적절하지 않은 SQL 구문 형식입니다. INSERT 구문은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WHERE 절은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WHERE 절은 INSERT 구문에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올바른 INSERT 구문 형식은 "INSERT INTO ~ VALUES ~" 또는 "INSERT INTO ~ (column1, column2, ...) VALUES (value1, value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3단계로 구분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스키마
  2. 외부 스키마
  3. 개념 스키마
  4. 내용 스키마
(정답률: 84%)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3단계로 구분할 때, "내용 스키마"는 해당하지 않는다.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하고,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다.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며, 모든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내용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단계 중에서는 해당하지 않는다. 내용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의 내용을 정의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내용을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3단계로 구분할 때, 내용 스키마는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테이블에서 각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값을 갖는 필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블록
  2. 기본 키
  3. 슬라이드
(정답률: 51%)
  • 기본 키는 테이블에서 각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값을 갖는 필드입니다. 다른 필드와 중복되지 않는 값을 가지며, 이를 통해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수정할 때 기본 키를 사용하여 특정 레코드를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DBMS의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의 기능
  2. 조작 기능
  3. 독립 기능
  4. 제어 기능
(정답률: 81%)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의 정의, 조작, 제어 기능입니다. 이 중에서 "독립 기능"은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독립 기능"은 DBMS가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기능을 의미하며, 이는 DBMS의 기본적인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독립 기능"은 DBMS의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스프레드시트에서 행과 열이 교차하면서 만들어지는 사각형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본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클립보드
  2. 필터
  3. 슬라이드
(정답률: 82%)
  • 셀은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본 단위이다. 각 셀은 행과 열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계산 결과를 출력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셀"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프레드시트에서 반복 실행해야 하는 동일 작업이나. 복잡한 작업을 하나의 명령으로 정의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슬라이드
  2. 매크로
  3. 필터
  4. 시나리오
(정답률: 83%)
  • 매크로는 스프레드시트에서 반복 실행해야 하는 동일 작업이나 복잡한 작업을 하나의 명령으로 정의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따라서 스프레드시트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운영 체제

31. "윈도 98"에서 여러 개의 활성화 된 창을 순차적으로 전환 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는?

  1. <Alt> + <Tab>
  2. <Alt> + <Esc>
  3. <Ctrl> + <Tab>
  4. <Shift> + <Tab>
(정답률: 27%)
  • 정답은 "<Alt> + <Esc>"입니다. 이는 현재 활성화된 창을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Alt> + <Tab>"은 창을 전환할 때 사용되는 단축키이지만, 순차적으로 전환하지 않고 선택한 창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Ctrl> + <Tab>"은 탭 간에 전환하는 단축키이고, "<Shift> + <Tab>"은 역순으로 탭을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컴퓨터에 하드디스크를 새로 장착하고 부팅 가능한 하드 디스크로 만들기 위한 도스 명령어는?

  1. FORMAT C: /S
  2. FORMAT C: /B
  3. FORMAT C: /T
  4. FORMAT C: /Q
(정답률: 58%)
  • 정답은 "FORMAT C: /S" 입니다. 이 명령어는 C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시스템 파일을 복사하여 부팅 가능한 하드 디스크로 만들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S 옵션은 시스템 파일을 복사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B 옵션은 부트 섹터를 만들기 위한 옵션, /T 옵션은 포맷할 드라이브의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는 옵션, /Q 옵션은 빠른 포맷을 수행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컴퓨터 센터에 작업을 지시하고 나서부터 결과를 받을 때 까지의 경과시간은?

  1. 서치 시간(search time)
  2. 엑세스 시간(access time)
  3. 프로세스 시간(process time)
  4. 턴어라운드 시간(turnaround time)
(정답률: 57%)
  • 턴어라운드 시간은 작업을 지시한 후 결과를 받을 때까지 걸리는 총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센터에서 작업을 지시하고 결과를 받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므로 정답은 "턴어라운드 시간"입니다. 서치 시간은 검색하는 데 걸리는 시간, 엑세스 시간은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 프로세스 시간은 작업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앙처리장치와 같이 처리속도가 빠른 장치와 프린터와 같이 처리속도가 느린 장치들 간의 처리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1. 링킹
  2. 스풀링
  3. 매크로 작업
  4. 컴파일링
(정답률: 76%)
  • 스풀링은 중앙처리장치와 같이 처리속도가 빠른 장치와 프린터와 같이 처리속도가 느린 장치들 간의 처리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스풀링은 프린터와 같은 장치의 출력 작업을 일시적으로 디스크나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중앙처리장치가 다른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출력 작업을 계속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앙처리장치와 프린터와 같은 장치들 간의 처리속도 차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윈도 98"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있다
  2.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능이 추가되어 모뎀이 없어도 통신이 가능하다.
  3. 멀티태스킹이 가능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4. 프로그램이나 폴더 등을 아이콘화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정답률: 74%)
  •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능이 추가되어 모뎀이 없어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이유는 윈도 98은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모뎀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특징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스(MS-DOS)에서 "config.sys" 파일과 "autoexec.bat" 파일의 수행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실행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키(Fucntion Key)는?

  1. F4
  2. F5
  3. F7
  4. F8
(정답률: 68%)
  • 정답은 "F8"입니다.

    "config.sys" 파일과 "autoexec.bat" 파일은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파일입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 파일들의 실행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자 할 때, 부팅 시 "F8" 키를 누르면 "config.sys" 파일과 "autoexec.bat" 파일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F8" 키는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현재 디렉토리(Directory)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스의 DIR 명령을 사용하는 경우 화면에 가장 많은 파일을 표현할 수 있는 명령 방식은?

  1. DIR/W
  2. DIR/P
  3. DIR
  4. DIR *.*
(정답률: 56%)
  • 정답인 "DIR/W"는 화면 너비에 맞게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파일 이름이 길거나 많은 파일이 있는 경우에도 모든 파일을 볼 수 있도록 화면을 자동으로 스크롤하지 않고 파일 목록을 한 줄씩 표시하기 때문에 가장 많은 파일을 표현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운영체제에서 가장 기초적인 시스템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관리자(Supervisor),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 핵(Nucleus) 등으로 부르며 프로세스관리, CPU 제어, 입/출력 제어,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커널(Kernel)
  2. 파일 시스템(File system)
  3. 인터페이스(Interface)
  4. 데이터관리(Data control)
(정답률: 66%)
  • 커널은 운영체제에서 가장 기초적인 시스템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프로세스관리, CPU 제어, 입/출력 제어,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다른 부분들이 커널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이에 따라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윈도 98"의 클립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윈도에서 자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2. 선택된 대상을 클립보드에 오려두기를 할 때 사용되는 단축키는 Ctrl + V 이다
  3. 가장 최근에 저장된 파일 하나만을 저장할 수 있다.
  4. 클립보드에 현재 화면 전체를 복사하는 기능키는 Print Screen 이다.
(정답률: 72%)
  • 선택된 대상을 클립보드에 오려두기를 할 때 사용되는 단축키는 Ctrl + C이다. (선택된 대상을 복사하기 위한 단축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운영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중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1. 처리 프로그램
  2. 서비스 프로그램
  3. 작업 관리 프로그램
  4. 언어 처리 프로그램
(정답률: 63%)
  • 제어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작업 관리 프로그램은 이러한 제어 프로그램 중 하나로, 시스템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중 하나이며,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90% 이상이 고급언어인 C 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이 모듈화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변경, 확장할 수 있고 다중 사용자를 위한 대화식 운영체제는?

  1. UNIX
  2. PASCAL
  3. MS-DOS
  4. Windows 98
(정답률: 74%)
  • UNIX은 C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듈화된 시스템으로 필요에 따라 변경 및 확장이 가능하며,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대화식 운영체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윈도 98"에서 디스크 조각모음을 수행할 수 없는 매체는?(단, 각 매체는 로컬(Local) 매체를 의미한다.)

  1. 3.5 인치 플로피 디스크
  2. USB 메모리(이동식 디스크)
  3. 하드 디스크
  4. CD-ROM
(정답률: 55%)
  • 윈도 98에서 디스크 조각모음은 로컬 매체에서만 가능하며, CD-ROM은 읽기 전용 매체이기 때문에 디스크 조각모음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CD-RO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스(MS-DOS)에서 외부명령어가 아닌 것은?

  1. FORMAT
  2. COPY
  3. CHKDSK
  4. LABEL
(정답률: 68%)
  • COPY는 MS-DOS의 내장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외부 명령어가 아닙니다. FORMAT, CHKDSK, LABEL은 모두 MS-DOS의 내장 명령어 중 하나가 아니므로 외부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윈도 98"에서 작업표시줄에 볼륨 조절 표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판의 아이콘은?

  1. 사운드
  2. 멀티미디어
  3. 내게 필요한 옵션
  4. 시스템
(정답률: 60%)
  • 정답은 "멀티미디어"입니다. 이는 볼륨 조절이 오디오와 관련된 기능이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제어판에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운드" 제어판은 오디오 장치와 관련된 설정을 담당하고, "내게 필요한 옵션" 제어판은 사용자 지정 설정을 담당합니다. "시스템" 제어판은 운영체제와 관련된 설정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윈도 98"에서 워드패드로 작성한 파일 저장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확장자명은?

  1. bmp
  2. gif
  3. hwp
  4. doc
(정답률: 46%)
  • "윈도 98"에서 워드패드로 작성한 파일 저장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확장자명은 "doc"입니다. 이는 워드패드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와 호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워드패드로 작성한 문서를 워드에서도 열 수 있도록 "doc" 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윈도 98"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정렬하려고 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아이콘 정렬 방식이 아닌 것은?

  1. 계단식 정렬
  2. 크기별 정렬
  3. 자동 정렬
  4. 종류별 정렬
(정답률: 68%)
  • 윈도 98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정렬할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방식은 "크기별 정렬", "자동 정렬", "종류별 정렬"이다. "계단식 정렬"은 윈도 98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아이콘 정렬 방식이 아니며, 이는 아이콘을 세로로 정렬하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한 줄씩 내려가며 정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이콘을 정렬하기 때문에 깔끔하고 보기 좋은 정렬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열거하는데 사용되는 UNIX의 명령어는?

  1. cd
  2. ls
  3. tar
  4. pwd
(정답률: 59%)
  • "ls"는 "list"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열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열거하는데 사용됩니다. "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 "tar"는 파일을 압축하거나 해제하는 명령어,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스(MS-DOS)에서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로 나누어 각 볼륨이 서로 다른 드라이브 문자를 가진 별개의 드라이브로 동작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1. FDISK
  2. CHKDSK
  3. VOL
  4. XCOPY
(정답률: 67%)
  •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명령어로,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디스크로 나누어 각 볼륨이 서로 다른 드라이브 문자를 가진 별개의 드라이브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DISK는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What is the name of the program that can fix minor errors on your hard drive?

  1. SCANDISK
  2. FDISK
  3. FORMAT
  4. MEM
(정답률: 52%)
  • SCANDISK is a program that can fix minor errors on your hard drive by scanning the disk for bad sectors and repairing any file system errors. It is a utility tool that is built into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스(MS-DOS)에서 다음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FDISK.EXE
  2. CONFIG.SYS
  3. SYS.COM
  4. FORMAT.COM
(정답률: 60%)
  • 이미지는 MS-DOS의 부팅 시스템 파일들 중 하나인 CONFIG.SYS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ONFIG.SY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 통신 일반

51. 주파수분할 다중화에서 부채널(Sub-channel)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대역은?

  1. 채널(Channel)
  2. 가드 밴드(Guard Band)
  3. 네트워크(Network)
  4. 마스터 그룹
(정답률: 72%)
  • 주파수분할 다중화에서 부채널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채널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완충 대역을 만들어 줍니다. 이를 가드 밴드(Guard Band)라고 합니다. 가드 밴드는 인접한 채널 간의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고, 채널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분할 다중화에서 가드 밴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PCM 통신방식의 수신측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1. 복호화
  2. 양자화
  3. 부호화
  4. 표본화
(정답률: 45%)
  • PCM 통신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해야 합니다. 이때, 디지털 신호는 이진수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복호화 과정을 거쳐 이진수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PCM 통신방식의 수신측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은 "복호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에러검출후 재전송(ARQ) 에러 제어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Stop-and-Wait
  2. Go-back-N
  3. 선택적 재전송
  4. 전진에러수정
(정답률: 49%)
  • 전진에러수정은 에러검출후 재전송(ARQ) 에러 제어방식이 아니라, 에러 수정을 위한 방식입니다. 전진에러수정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에러를 검출하면 해당 블록만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ARQ 방식보다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지만, 에러 발생률이 높은 환경에서는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진에러수정은 ARQ 방식과는 별도의 에러 제어방식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터미널이 8개가 설치된 시스템에서 각 터미널 상호 간을 망으로 결선하려면 최소로 필요한 회선수는?

  1. 8회선
  2. 16회선
  3. 28회선
  4. 42회선
(정답률: 50%)
  • 8개의 터미널이 있을 때, 각 터미널은 다른 7개의 터미널과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터미널마다 7개의 회선이 필요하다. 이를 모두 더하면 8 x 7 = 56개의 회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 회선은 두 개의 터미널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중복을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56/2 = 28개의 회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8회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TV 화면과 화면 사이트 귀선시간을 이용하여 정보을 전송하는 뉴미디어는?

  1. Videotex
  2. HDTV
  3. Teletext
  4. CATV
(정답률: 37%)
  • Teletext는 TV 화면과 화면 사이트 귀선시간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뉴미디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기술이나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패킷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망에 의한 패킷의 손실이 있을 수 있다.
  2. 패킷의 저장 및 전송으로 이루어 진다.
  3. 전송속도와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4. 공중 데이터 교환망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정답률: 59%)
  • 공중 데이터 교환망은 패킷교환방식을 사용하는 통신망 중 하나이므로, "공중 데이터 교환망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광통신에서 발광기로 사용되는 다이오드는?

  1. 제너 다이오드
  2. 에사키 다이오드
  3. 스위칭 다이오드
  4. 레이져 다이오드
(정답률: 59%)
  • 광통신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발광기로 사용됩니다. 이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전류가 흐르면서 발광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다이오드들은 전류가 흐르면서 발광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RS-232C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MPEG 압축
  2. HDLC 프로토콜
  3. INTERNET 주소
  4. 물리계층
(정답률: 46%)
  • RS-232C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인 연결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물리적인 연결은 물리계층에서 이루어지며, RS-232C는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표준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RS-232C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물리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데이터통신의 전송시스템에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높은 전력의 잡음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충격성 잡음
  2. 백색 잡음
  3. 상호변조 잡음
  4. 위상 왜곡
(정답률: 55%)
  • 충격성 잡음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높은 전력의 잡음을 말합니다. 이는 전송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갑작스러운 전압 변화나 전류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이러한 변화가 전송되는 동안에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격성 잡음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필터링 및 보호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 열차 등의 좌석 예약이나 뱅킹 시스템(Banking system)에 사용되는 처리방식은?

  1. 배치(batch)처리 시스템
  2. 온-라인 리얼타임(on-line real time) 시스템
  3. 오프라인(off-line) 시스템
  4. 멀티 프로세싱(multi-processing) 시스템
(정답률: 70%)
  • 좌석 예약이나 뱅킹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청하는 즉시 바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리얼타임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즉각적으로 응답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예약 또는 거래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