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정보처리산업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다음과 같은 중위식(infix)을 후위식(postfix)으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 * / A B + C D E
  2. C D + A B / * E +
  3. / * + + A B C D E
  4. A B / C D + * E +
(정답률: 75%)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연산자는 그대로 출력합니다.
    2. 연산자는 스택에 넣습니다.
    3. 연산자를 넣을 때, 스택의 top에 있는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더 높거나 같으면 top의 연산자를 출력하고 pop한 후에 현재 연산자를 스택에 넣습니다.
    4. 중위식을 모두 읽은 후에 스택에 남아있는 연산자를 모두 출력합니다.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A B / C D + * E +
    = A / B * (C + D) + E
    = A B / C D + * E +

    따라서 정답은 A B / C D + * E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학생(STUDENT) 테이블에 컴퓨터정보과 학생 120명, 인터넷정보과 학생 160명, 사무자동화과 학생 80명에 관한 데이터가 있다고 했을 때, 다음에 주어지는 SQL문 (ㄱ), (ㄴ), (ㄷ)을 각각 실행시키면 결과 튜플 수는 각각 몇 개 인가?(단, DEPT는 학과 컬럼명임)

  1. (ㄱ) 3, (ㄴ), 360, (ㄷ) 1
  2. (ㄱ) 360, (ㄴ), 3, (ㄷ) 120
  3. (ㄱ) 3, (ㄴ), 360, (ㄷ) 120
  4. (ㄱ) 360, (ㄴ), 3, (ㄷ) 1
(정답률: 55%)
  • 정답은 "(ㄱ) 3, (ㄴ), 360, (ㄷ) 1"이다.

    (ㄱ)의 경우, DEPT 컬럼을 그룹화하여 COUNT 함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결과는 3이 된다.

    (ㄴ)의 경우, 모든 학과의 학생 수를 더한 결과이므로 120 + 160 + 80 = 360이 된다.

    (ㄷ)의 경우, WHERE 절에서 DEPT가 '컴퓨터정보과'인 학생만 선택하였기 때문에 결과는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자료 구조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스택(stack)
  2. 트리(tree)
  3. 큐(queue)
  4. 데크(deque)
(정답률: 82%)
  • 트리는 선형 자료 구조가 아니라 비선형 자료 구조이기 때문에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릅니다. 스택, 큐, 데크는 모두 선형 자료 구조로,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트리는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와 여러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는 계층 구조를 표현하는 데에 적합한 자료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물리적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정보 구조로부터 특정 목표 DBMS가 처리할 수 있는 스키마를 생성한다.
  2.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에 대해서 처리 성능을 얻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한다.
  3.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4. 물리적 설계에서 옵션 선택시 응답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율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정답: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정보 구조로부터 특정 목표 DBMS가 처리할 수 있는 스키마를 생성한다."

    해설: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액세스 경로를 결정하고,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옵션 선택시 응답시간, 저장 공간의 효율화, 트랜잭션 처리율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정보 구조로부터 스키마를 생성하는 것은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은?

  1. Redundancy Data
  2. Stored Data
  3. Operational Data
  4. Shared Data
(정답률: 64%)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Redundancy Data"는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중복된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데이터베이스는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Redundancy Data"는 데이터베이스의 목적과 정의와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 person responsible for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database and for deciding the storage and access strategy. Who is this?

  1. System analyzer
  2. DBA
  3. Programmer
  4. Custom engineer
(정답률: 78%)
  • DBA stands for Database Administrator, who is responsible for designing and managing the database, as well as deciding the storage and access strategy. They ensure the security, avail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database syste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정의와 관련된 용어는?

  1. stack
  2. tree
  3. queue
  4. list
(정답률: 64%)
  • 위 그림은 큐(Queue)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큐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선입선출(FIFO, First-In-First-Out)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를 삽입하는 enqueue와 데이터를 추출하는 dequeue 연산을 지원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데이터가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큐에 삽입되고, dequeue 연산을 수행할 때는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부터 추출된다. 따라서 정답은 "queu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

  1. (ㄱ), (ㄹ)
  2. (ㄱ), (ㄴ), (ㄷ)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73%)
  • - (ㄱ) : 릴레이션은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열은 속성(attribute)을 나타내고 각 행은 레코드(record)를 나타낸다.
    - (ㄴ) : 릴레이션은 키(key)를 이용하여 각 레코드를 구분하며, 키는 유일(unique)하고 최소(minimal)해야 한다.
    - (ㄷ) : 릴레이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는?

  1. 2
  2. 3
  3. 4
  4. 8
(정답률: 73%)
  • 트리의 차수란 한 노드에 연결된 자식 노드의 개수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노드 A는 자식 노드인 B와 C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수는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 file) 의 색인 구역으로 옳은 것은?

  1. Track Index, Cylinder Index, Master Index
  2. Primary Data Index, Overflow Index, Master Index
  3. Track Index, Cylinder Index, Primary Data Index
  4. Cylinder Index, Master Index, Overflow Index
(정답률: 78%)
  • 색인 순차 파일의 색인 구역은 Track Index, Cylinder Index, Master Index 입니다.

    - Track Index: 파일 내의 각 트랙(Track)의 위치를 기록한 색인 구역입니다.
    - Cylinder Index: 파일 내의 각 실린더(Cylinder)의 위치를 기록한 색인 구역입니다.
    - Master Index: 파일 내의 모든 레코드의 위치를 기록한 색인 구역입니다.

    이 세 가지 색인 구역은 파일 접근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파일 내에서 원하는 레코드를 찾기 위해 먼저 Track Index나 Cylinder Index를 참조하여 해당 레코드가 위치한 실린더나 트랙을 찾은 후, Master Index를 이용하여 레코드의 위치를 찾아 접근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일 내의 모든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읽는 것보다 빠르게 원하는 레코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SQL 명령 중 DML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ㄹ), (ㅁ), (ㅂ)
  3. (ㄷ), (ㅂ)
  4. (ㄹ), (ㅁ), (ㅂ)
(정답률: 74%)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 검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DML에 해당하는 명령어만 있는 보기는 "(ㄹ), (ㅁ), (ㅂ)" 이다.

    - (ㄹ) : INSERT INTO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DML 명령어이다.
    - (ㅁ) : UPDATE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DML 명령어이다.
    - (ㅂ) : DELETE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DML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뷰(View)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특정 집합의 우선 처리 등 튜닝된 뷰 생성으로 수행도의 향상 도모
  2. 데이터 보정작업, 처리과정 시험 등 임시적인 작업을 위한 활용
  3. 조인문의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 최대화
  4. 비정형적인 규칙의 정형화를 위하여 중간집합 생성으로 복잡화 유도
(정답률: 79%)
  • 뷰(View)를 사용하는 목적 중 비정형적인 규칙의 정형화를 위하여 중간집합 생성으로 복잡화 유도는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뷰는 주로 특정 집합의 우선 처리 등 튜닝된 뷰 생성으로 수행도의 향상 도모, 데이터 보정작업, 처리과정 시험 등 임시적인 작업을 위한 활용, 조인문의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 최대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삽입(insertion) 정렬을 사용하여 다음의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한다. 2회전 후의 결과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4, 5, 3, 2, 1
  2. 2, 3, 4, 5, 1
  3. 3, 4, 5, 2, 1
  4. 1, 2, 3, 4, 5
(정답률: 74%)
  • 삽입 정렬은 현재 위치에서 그 이하의 배열들을 비교하여 자신이 들어갈 위치를 찾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1회전에서는 4가 5보다 작으므로 자리를 바꾸지 않고 넘어가고, 3이 5보다 작으므로 5와 자리를 바꾸고 다시 4와 비교하여 4보다 작으므로 4와 자리를 바꾼다. 이후 2와 1도 각각 5, 4와 비교하여 자리를 바꾸게 되어 "4, 5, 3, 2, 1"이 된다.

    2회전에서는 3이 5보다 작으므로 자리를 바꾸지 않고 넘어가고, 2가 5보다 작으므로 5와 자리를 바꾸고 다시 4와 비교하여 4보다 작으므로 4와 자리를 바꾼다. 이후 1도 5, 4, 3과 비교하여 자리를 바꾸게 되어 "3, 4, 5, 2, 1"이 된다.

    따라서 2회전 후의 결과는 "3, 4, 5, 2,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레디키트 해석(predicate calculus)으로 질의어를 표현한다.
  2.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3.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다.
  4. 기본적으로 관계해석과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
(정답률: 68%)
  • 기본적으로 관계해석과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관계해석은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관계해석은 프레디키트 해석을 사용하여 질의어를 표현합니다.

    또한, 관계해석에는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습니다. 튜플 관계해석은 튜플 단위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이며, 도메인 관계해석은 속성 단위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논리적 데이터 모델로 변환
  2.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3.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
  4. 접근 경로 설계
(정답률: 58%)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데이터 모델링,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 등이 포함되지만, 접근 경로 설계는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접근 경로 설계는 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널 값(null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의 부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2.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값이다.
  3. 공백(space)과는 다른 의미이다.
  4. 영(zero)과 같은 값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영(zero)과 같은 값이다." 이다.

    널 값은 정보의 부재를 나타내는 특수한 데이터 값으로,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값이며, 공백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영(zero)과 같은 값은 아니다. 영은 값이 존재하는 것이고, 널 값은 값 자체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베이스 환경 하에서 데이터 참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레코드들의 위치나 주소에 의해 참조된다.
  2. 데이터베이스는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에 대하여 실시간 처리로 빠른 응답이 가능해야 한다.
  3.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해야 한다.
  4.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여러 응용자를 위한 것이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2%)
  • "데이터베이스 환경 하에서 데이터 참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값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레코드들의 위치나 주소에 의해 참조된다."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가 물리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위치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참조하기 때문입니다. 즉,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찾아서 해당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반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와는 별개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순차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떠한 입출력 매체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다.
  2. 필요한 레코드를 삽입, 삭제, 수정하는 경우 파일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
  3. 파일 검색시 효율이 좋다.
  4. 배치(batch) 처리 중심의 업무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59%)
  • "파일 검색시 효율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순차파일은 레코드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레코드를 찾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레코드를 차례대로 읽어야 하므로 검색 시간이 오래 걸린다. 따라서 검색이 빈번한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개체 타입 간에는 상위와 하위 관계가 존재한다.
  2. 개체 타입들 간에는 사이클(cycle)이 허용된다.
  3. 루트 개체 타입을 가지고 있다.
  4. 링크를 사용하여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성을 표시한다.
(정답률: 59%)
  • 개체 타입들 간에는 사이클(cycle)이 허용된다는 것은 계층형 데이터 모델에서 한 개체 타입이 다른 개체 타입의 부모가 될 수 있고, 그 부모 개체 타입이 다시 자식 개체 타입의 부모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이클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계층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복잡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체 타입들 간에는 사이클(cycle)이 허용된다."는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데이터 모델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관계 데이터 모델은 개체와 관계 모두가 테이블로 표현된다.
  2. 계층 데이터베이스는 부자관계(parent-child relationship)를 나타내는 트리 형태의 자료 구조로 표현된다.
  3.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는 오너-멤버관계(owner-member relationship)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로 표현된다.
  4.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데이터의 관계, 데이터의 의미 및 일관성 제약 조건 등을 기술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들의 모임이다.
(정답률: 47%)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는 오너-멤버관계(owner-member relationship)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로 표현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는 오너-멤버 관계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형태의 자료 구조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오퍼레이터 조작
  2. 정전
  3. 불법적인 인스트럭션의 수행
  4. 부프로그램의 호출
(정답률: 66%)
  • 부프로그램의 호출은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 아닙니다. 부프로그램의 호출은 프로그램 내부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제어 흐름의 변화이며, 인터럽트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프로그램의 호출은 인터럽트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register)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누산기
  2. 인덱스 레지스터
  3. 플래그 레지스터
  4. RAM
(정답률: 76%)
  • 누산기는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누산기는 주로 계산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CPU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소 계산에 사용되는 레지스터이고, 플래그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RAM은 주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CPU가 인터럽트 발생시 서비스 루틴의 분기 주소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인터럽트의 원인에 의해서 분기 정보를 얻게 되는 방식은?

  1. 핸드셰이킹
  2. 폴링
  3. 데이지체인
  4. 벡터 인터럽트
(정답률: 49%)
  • 벡터 인터럽트는 인터럽트 발생 시 인터럽트 번호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주소에 해당하는 서비스 루틴으로 분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의 원인에 상관없이 항상 정해진 주소로 분기할 수 있어서 처리 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산의 종류를 unary연산과 binary연산으로 구별할 때 다음 중 binary연산을 하는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Complement
  2. OR
  3. AND
  4. Exclusive OR
(정답률: 74%)
  • "Complement"는 unary 연산자이기 때문에 binary 연산을 하는 연산자가 아니다. Unary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하는 반면, binary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에 대해 연산을 수행한다. "Complement"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보수를 취하는 연산자이므로 unary 연산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8진법의 수 256과 542를 더한 값은?

  1. (798)8
  2. (1000)8
  3. (1020)8
  4. (A20)8
(정답률: 65%)
  • 256과 542를 8진법으로 각각 변환하면 각각 400과 1032가 된다. 이를 더하면 1432가 되는데, 이를 다시 8진법으로 변환하면 (1020)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2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부동소수점 표현의 수들 사이의 곱셈 알고리즘 과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0(zero) 인지 여부를 조사한다.
  2. 가수의 위치를 조정한다.
  3. 가수를 곱한다.
  4. 결과를 정규화 한다.
(정답률: 45%)
  • 가수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부동소수점 표현의 수들 사이의 곱셈 알고리즘에서 필수적인 과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수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은 덧셈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곱셈 알고리즘에서는 가수를 곱하고 결과를 정규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3가지 연산자(operator)가 혼합되어 나오는 식에서 시행(연산) 순서는?(단, 가장 왼쪽에 기술된 것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다.)

  1. a → b → c
  2. b → a → c
  3. c → a → b
  4. a → c → b
(정답률: 47%)
  • 시행 순서는 c → a → b 이다.

    이유는 먼저 괄호 안의 연산을 수행해야 하므로 2 + 3 = 5가 된다. 그 후에는 곱셈과 나눗셈이 우선순위가 같으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5 * 4 = 20이 되고, 이어서 20 / 10 = 2가 된다. 마지막으로 덧셈과 뺄셈이 우선순위가 같으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2 - 1 = 1이 된다.

    따라서 최종 결과는 1이 되며, 시행 순서는 c → a →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메모리가 8K x 8 크기를 가질 때 데이터의 입·출력 선과 어드레스 선은 몇 개인가?

  1. 입·출력선: 8, 어드레스 선: 13
  2. 입·출력선: 8, 어드레스 선: 8
  3. 입·출력선: 4, 어드레스 선: 8
  4. 입·출력선: 4, 어드레스 선: 13
(정답률: 54%)
  • 8K x 8 크기의 메모리는 8K(=8,192)개의 주소가 있고, 각 주소마다 8비트(=1바이트)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입·출력 선은 8개가 필요합니다.

    주소는 8K개가 있으므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 13비트가 필요합니다. 즉, 어드레스 선은 13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출력선: 8, 어드레스 선: 1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명령수행을 위한 메이저 상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실행상태는 간접주소 방식의 경우에만 수행된다.
  2. 기억장치내의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을 인출(fetch) 상태라 한다.
  3. CPU의 현재 상태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 접근을 indirect 상태라 한다.
  4. 명령어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indirect 상태라 한다.
(정답률: 63%)
  • 기억장치 내의 명령어를 가져오는 것을 인출(fetch) 상태라 하는 이유는 CPU가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기억장치에서 해당 명령어를 인출(fetch)하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는 해당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거쳐 명령어 수행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간에는 시간·공간적 특성 차이가 있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동작의 속도
  2. 버스 구성
  3. 정보의 단위
  4. 동작의 자율성
(정답률: 41%)
  • 버스 구성은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간의 시간·공간적 특성 차이와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간의 시간·공간적 특성 차이는 동작의 속도, 정보의 단위, 동작의 자율성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기디스크 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읽고/쓰기 헤드(read/write head)
  2. 디스크(disk)
  3. 실린더(cylinder)
  4. 액세스 암(access arm)
(정답률: 44%)
  • 실린더는 자기디스크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디스크와 액세스 암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논리적인 개념입니다. 디스크는 자기디스크의 중심에 위치한 회전하는 원판이고, 액세스 암은 디스크 위를 움직이며 읽고 쓰기 헤드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린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소지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mmediate mode는 피연산자가 그 명령어 자체내에 있다.
  2. direct address mode에서는 명령어의 주소 부분이 그대로 유효 명령어의 주소 필드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주어진다.
  3. indirect address mode에서는 명령어의 주소 필드가 가리키는 주소에 유효번지가 있다.
  4. relative address mode에서 유효번지를 구하려면 명령어의 주소 부분에 index register의 내용을 더해야 한다.
(정답률: 49%)
  • 주소지정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relative address mode에서 유효번지를 구하려면 명령어의 주소 부분에 index register의 내용을 더해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상대 주소 지정 방식에서는 명령어의 주소 필드에 상대적인 주소가 들어가며, 이 주소에 인덱스 레지스터의 값을 더하여 유효한 주소를 구한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이 메모리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대적인 주소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논리식 Y = A+AB+AC 를 간략화 하면?

  1. Y = A
  2. Y = B
  3. Y = A+B
  4. Y = A+C
(정답률: 67%)
  • 논리식 Y = A+AB+AC 를 간략화하면 Y = A입니다.

    이유는 A가 모든 항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AB 항에서 A가 참이면 B는 무엇이든 상관없이 AB는 참이 됩니다. AC 항에서도 마찬가지로 A가 참이면 C는 무엇이든 상관없이 AC는 참이 됩니다. 따라서 Y는 A 항으로 간략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터럽트(interrupt)의 우선순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우선순위 부과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과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이 있다.
  2.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에는 폴링 방법을 이용하며 인터럽트 반응속도가 빠르다.
  3. 주변장치들의 종류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자기디스크와 같이 속도가 빠른 장치에 높은 등급을 부여한다.
  4.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 중 daisy chain은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비교적 빠르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46%)
  •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에는 폴링 방법을 이용하며 인터럽트 반응속도가 빠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 중 폴링 방법은 인터럽트 요청을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으로,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 ) 안에 가장 알맞은 내용은?

  1. 레지스터
  2. 누산기
  3. 플립플롭
  4. 디코더
(정답률: 36%)
  • 이 그림은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출력하는 회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로를 디코더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프로그램의 진행에 대한 제어 명령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Jump
  2. Load
  3. Branch
  4. Interrupt
(정답률: 44%)
  • "Load"는 프로그램의 진행을 제어하는 명령이 아니라,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명령이기 때문에 제어 명령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각 단계의 세부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etch operation
  2. Control operation
  3. Macro operation
  4. Micro operation
(정답률: 57%)
  •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세부 동작은 매우 작은 단위로 이루어지며, 이를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Micro operation"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체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용어이거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명령수행 사이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cycle에는 그 끝부분에서 interrupt 사이클로 들어갈 것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
  2. indirect 사이클이 끝난 뒤에는 반드시 execute 사이클이 이어진다.
  3. interrupt 사이클이 끝나면 반드시 fetch 사이클로 들어간다.
  4. fetch 사이클 다음에는 indirect 사이클이나 execute 사이클이 이어진다.
(정답률: 36%)
  • "모든 cycle에는 그 끝부분에서 interrupt 사이클로 들어갈 것인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이클의 끝부분에서 interrupt 사이클로 들어갈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fetch 사이클과 execute 사이클에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른 사이클에서는 이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응용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직접 레지스터의 내용을 다룰 수 있는 레지스터는?

  1. Index Register
  2. Instruction Register
  3. MBR(Memory Buffer Register)
  4. MAR(Memory Address Register)
(정답률: 45%)
  • 응용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직접 레지스터의 내용을 다룰 수 있는 레지스터는 Index Register입니다. Index Register는 주소 계산에 사용되며, 프로그래머가 직접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레지스터들은 CPU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메모리와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지만, Index Register는 주소 계산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므로 응용 프로그래머가 직접 다룰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001)2을 그레이코드(Gray Code)로 변환하면?

  1. 1100
  2. 1110
  3. 1101
  4. 1111
(정답률: 62%)
  • 그레이코드는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뀌는 순서로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1001의 그레이코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복사한다. (1)
    2. 두 번째 비트는 첫 번째 비트와 두 번째 비트를 XOR 연산한다. (1 XOR 0 = 1)
    3. 세 번째 비트는 두 번째 비트와 세 번째 비트를 XOR 연산한다. (0 XOR 0 = 0)
    4. 네 번째 비트는 세 번째 비트와 네 번째 비트를 XOR 연산한다. (0 XOR 1 = 1)

    따라서, 1001의 그레이코드는 1101이 된다. 이유는 보기에서 1101은 1001에서 한 비트만 바뀐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코드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ㄷ) → (ㄹ) → (ㄱ) → (ㄴ)
  3. (ㄴ) → (ㄷ) → (ㄹ) → (ㄱ)
  4. (ㄹ) → (ㄷ) → (ㄴ) → (ㄱ)
(정답률: 72%)
  • 정답은 "(ㄴ) → (ㄷ) → (ㄹ) → (ㄱ)"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ㄴ) : 먼저 입력받은 숫자 n을 변수에 저장합니다.
    2. (ㄷ) : 입력받은 n개의 숫자를 배열에 저장합니다.
    3. (ㄹ) : 배열에 저장된 숫자들을 정렬합니다.
    4. (ㄱ) : 정렬된 숫자들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입력받은 숫자를 변수에 저장하고, 배열에 저장하고, 정렬하고, 출력하는 순서로 코드를 설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문서화(Documentation)의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내에도 문서화를 할 수 있다.
  2. 문서도 시스템 구성요소의 하나이다.
  3. 문서화는 시스템 개발 과정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4. 문서화는 시스템이 모두 개발된 후에 일괄적으로 작업해야 정확하다.
(정답률: 72%)
  • "문서화는 시스템이 모두 개발된 후에 일괄적으로 작업해야 정확하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문서화는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시스템이 완전히 개발된 후에 작업하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문서화는 시스템 개발 초기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오퍼레이터 개입을 최소화한다.
  2. 하드웨어의 기기구성과 처리 능력을 고려한다.
  3. 신뢰성과 정확성을 고려한다.
  4. 분류처리는 가급적 최대화한다.
(정답률: 73%)
  • 정답: "분류처리는 가급적 최대화한다."

    이유: 분류처리는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프로세스 설계시에는 분류처리를 최대화하여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보기들도 중요하지만, 분류처리는 특히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코드(code) 설계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2. 컴퓨터 처리에 적합하여야 한다.
  3. 체계성이 있어야 한다.
  4.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9%)
  • 코드 설계시 다양성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한 상황에서 코드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모든 입력값이 양수일 때만 동작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음수나 0이 입력될 경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입력값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또한, 다양성이 있는 코드는 유지보수와 확장성에도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프로세스의 표준 처리 패턴 중 특정의 조건을 제시하여 그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를 파일 중에서 추출해 내는 처리로서, 정보검색을 위한 필수적인 기능인 것은?

  1. Conversion
  2. Merge
  3. Extract
  4. Matching
(정답률: 55%)
  • 정보검색을 위해서는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프로세스의 표준 처리 패턴 중에서는 "Extract"가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Extrac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 정보 투입 설계시 검토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투입 주기 결정
  2. 투입 시기 결정
  3. 투입(입력) 장치 결정
  4. 매체화 장치 결정
(정답률: 63%)
  • 입력 정보 투입 설계시에는 투입 주기, 투입 시기, 투입 장치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 중에서 매체화 장치 결정은 입력 정보를 어떤 형태로 저장하고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다른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매체화 장치 결정은 입력 정보의 유형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가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매체화 장치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의 경우에는 문서 파일 형식이나 데이터베이스 형식 등 다양한 매체화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정보 투입 설계시에는 매체화 장치 결정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의 파일 설계 단계 중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것은?

  1. 파일 항목 검토
  2. 파일 특성 조사
  3. 편성법 검토
  4. 파일 매체 검토
(정답률: 66%)
  • 파일 설계 단계 중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것은 "편성법 검토"이다. 이는 파일을 구성하는 항목들을 어떤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정렬할 것인지를 검토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파일의 사용 목적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편성법을 선택하고, 이를 토대로 파일의 구조와 내용을 최적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파일 설계 단계에서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것은 편성법 검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객체지향 기법에서 객체의 데이터와 오퍼레이션을 하나로 묶고 실제 구현되는 내용은 외부에 감추는 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의 손상과 오용을 방지함
  2. 상위 클래스의 메소드를 비롯한 모든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을 수 있음을 의미함
  3. 연산 방법이 바뀌어도 연산 자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4. 자료가 변해도 다른 객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독립성을 보장함
(정답률: 47%)
  • 정답은 "상위 클래스의 메소드를 비롯한 모든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을 수 있음을 의미함" 입니다. 이는 상속(inheritance) 개념으로,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소드와 속성을 하위 클래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중복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파일 편성 설계 중 랜덤 편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접근 시간 내에 검색이 가능하므로 처리 시간이 빠르다.
  2. 레코드의 키 값으로부터 레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 장소의 주소를 직접 계산함으로써 원하는 레코드를 직접 접근할 수 있다.
  3. 특정 레코드에 대한 직접 접근이 가능하므로 대화형 처리에 많이 이용한다.
  4. 키-주소변환방법에 의한 충돌 발생이 없으므로 이를 위한 기억공간 확보가 필요 없다.
(정답률: 66%)
  • "키-주소변환방법에 의한 충돌 발생이 없으므로 이를 위한 기억공간 확보가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랜덤 편성 방법에서도 키-주소 변환 방법을 사용하며, 이를 위한 기억 공간이 필요하다. 키-주소 변환 방법은 키 값을 해시 함수를 통해 주소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충돌 처리를 위한 기억 공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코드화 대상 자료 전체를 계산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분류 단위로 블록을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적은 자릿수로 많은 항목의 표시가 가능하고 예비코드를 사용할 수 있어 추가가 용이한 코드로서, 구분 순차코드라고도 하는 것은?

  1. 순차(sequence) 코드
  2. 표의숫자(significant digit) 코드
  3. 블록(block) 코드
  4. 연상(mnemonic) 코드
(정답률: 52%)
  • 코드화 대상 자료를 블록 단위로 구분하고 각 블록 내에서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블록 코드이다. 이 방식은 적은 자릿수로 많은 항목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비코드를 사용하여 추가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 방식은 구분 순차코드라고도 불리며, 보기 중 "블록(block) 코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체크 시스템은 컴퓨터 입력 단계의 체크와 계산 처리 단계의 체크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 중 컴퓨터 입력 단계의 체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불일치 레코드 체크(Unmatched record check)
  2. 일괄 합계 체크(Batch total check)
  3. 순차 체크(Sequence check)
  4. 균형 체크(Balance check)
(정답률: 46%)
  • 불일치 레코드 체크는 입력된 데이터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레코드를 찾아내는 체크이다. 따라서 이는 컴퓨터 입력 단계의 체크가 아닌, 계산 처리 단계의 체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불일치 레코드 체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목적성
  2. 종합성
  3. 제어성
  4. 자동성
(정답률: 69%)
  • 시스템이 여러 가지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종합성"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도 여러 가지 기능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있어 종합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처리 시간 견적 방법 중 프로세스 차트를 기초로 하여 수행하며, 계산 방법은 각 주변장치의 동작 시간 및 중앙 처리 장치의 동작 시간을 중심으로 계산하는 것은?

  1. 출력에 의한 계산 방법
  2.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
  3. 추정에 의한 계산 방법
  4. 컴퓨터에 의한 계산 방법
(정답률: 31%)
  • 프로세스 차트를 기초로 하는 처리 시간 견적 방법에서는 각 작업의 입력과 출력에 따라 처리 시간이 결정되기 때문에 입력에 의한 계산 방법이 적용된다. 즉, 입력 데이터의 양과 종류에 따라 처리 시간이 달라지므로 입력 데이터의 양과 종류를 고려하여 처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출력에 의한 계산 방법은 처리 결과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처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며, 추정에 의한 계산 방법은 경험적인 지식과 추정 능력을 바탕으로 처리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다. 컴퓨터에 의한 계산 방법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처리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입력 설계시 가장 먼저 설계하는 항목은?

  1. 입력 정보 내용의 설계
  2. 입력정보 매체화에 관한 설계
  3. 입력 정보 투입의 설계
  4. 입력 정보 수집의 설계
(정답률: 58%)
  • 입력 정보 수집의 설계가 가장 먼저 설계하는 항목이다. 이는 입력 정보를 어떻게 수집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입력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입력 정보 내용의 설계나 입력 정보 매체화에 관한 설계는 입력 정보 수집의 방식이 결정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입력 정보 투입의 설계는 입력 정보 수집의 방식과 입력 정보 매체화에 관한 설계가 결정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출력정보의 내용 설계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출력항목의 문자표현 방법 결정
  2. 출력형식 결정
  3. 출력항목에 대한 집계 방법 결정
  4. 출력정보의 오류검사 방법 결정
(정답률: 36%)
  • 출력정보의 내용 설계시 고려사항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출력형식 결정"입니다. 이는 출력할 데이터의 형식을 결정하는 것으로, 다른 고려사항들은 출력할 데이터의 내용과 관련된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출력형식 결정은 출력할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보여줄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표 형태로 출력할 것인지, 그래프 형태로 출력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생략시 사용하는 기호는?

  1. ( )
  2. #
  3. &
  4. { }
(정답률: 61%)
  • 정답은 "( )"이다. 이는 괄호 안에 생략된 내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et al. (2019)"은 "et al."이라는 저자들의 이름이 생략되었음을 나타낸다. 다른 기호들은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은 주제나 키워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은 "and"를 축약한 것으로 사용된다. "{ }"는 집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색인 순차 편성에서의 각 구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랙 인덱스 구역 – 기본 데이터 구역의 한 트랙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레코드 중에서 최대 키 값과 그 주소가 기록되어 있다.
  2. 실린더 인덱스 구역 – 처리해야 할 레코드가 어느 실린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자료를 갖고 있다.
  3. 마스터 인덱스 구역 – 실린더 오버플로우 구역에 다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만들어 놓은 공간이다.
  4. 기본 데이터 구역 – 실제 데이터 레코드가 기록된 구역이다.
(정답률: 53%)
  •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실린더 오버플로우 구역에 다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만들어 놓은 공간이 아니라, 모든 실린더 인덱스 구역의 주소와 크기를 기록하는 구역이다. 따라서 "마스터 인덱스 구역 – 실린더 오버플로우 구역에 다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만들어 놓은 공간이다."가 옳지 않다.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모든 실린더 인덱스 구역의 주소와 크기를 기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레코드를 찾을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과정의 나열이 순서에 옳은 것은?

  1. (ㄴ) → (ㅁ) → (ㄹ) → (ㄷ) → (ㄱ)
  2. (ㄷ) → (ㄹ) → (ㄴ) → (ㅁ) → (ㄱ)
  3. (ㄹ) → (ㅁ) → (ㄴ) → (ㄷ) → (ㄱ)
  4. (ㄴ) → (ㅁ) → (ㄹ) → (ㄱ) → (ㄷ)
(정답률: 70%)
  • 정답은 "(ㄹ) → (ㅁ) → (ㄴ) → (ㄷ) → (ㄱ)" 입니다.

    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과정은 크게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ㄹ) 요구사항 분석: 시스템이 가져야 할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ㅁ) 설계: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합니다.

    (ㄴ) 구현: 설계한 시스템을 실제로 개발하고 구현합니다.

    (ㄷ) 테스트: 구현한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검증하고 오류를 찾아 수정합니다.

    (ㄱ) 유지보수: 시스템이 운영되는 동안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추가, 개선합니다.

    따라서, 요구사항 분석부터 시작하여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순서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듈화의 특징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일부 컴퓨터에서 괄호뒤의 특수문자가 보이지 않아서 괄호뒤에 다시 표기 하여 둡니다.)

  1. (ㄱ), (ㄹ)
  2. (ㄱ),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51%)
  • - (ㄴ) : 모듈화는 기능별로 나누어 작성하므로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진다.
    - (ㄷ) : 모듈화는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찾기 쉽고, 수정 후 다른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ㄹ) : 모듈화는 개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여러 명이 동시에 작업할 수 있고, 각 모듈을 병렬적으로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모델 중 폭포수형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용이하다.
  2.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고, 각 단계별 산출물이 명확하다.
  3. 두 개 이상이 과정이 병행하여 수행되지 않는다.
  4.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의 앞 단계가 끝나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정답률: 55%)
  •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용이하다."가 폭포수형의 특징이 맞습니다. 이유는 폭포수형 모델에서는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문제나 새로운 요구사항이 다음 단계에서 반영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폭포수형 모델에서는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합니다. 따라서 개발 과정 중에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용이하다는 것이 폭포수형 모델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 방지, 비선점 방지, 환형대기 방지와 관계되는 것은?

  1. Avoidance
  2. Detection
  3. Prevention
  4. Recovery
(정답률: 51%)
  •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 방지, 비선점 방지, 환형대기 방지는 모두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방법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Prevention"에 해당한다. "Avoidance"는 교착상태를 피하는 것을 의미하며, "Detection"은 교착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Recovery"는 이미 발생한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강결합(Tightly-coupled) 시스템과 약결합(Loosely-coupled)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결합 시스템은 각각의 시스템이 별도의 운영체제를 가진다.
  2. 강결합 시스템은 각 프로세서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가진다.
  3. 강결합 시스템은 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처리기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4. 약결합 시스템은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을 한다.
(정답률: 53%)
  • "강결합 시스템은 각 프로세서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가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강결합 시스템은 각 프로세서가 공유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른 데이터 교환과 공유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에서 시간 할당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 할당량이 너무 작으면 오버 헤드의 발생이 적어진다.
  2. 시간 할당량이 너무 작으면 문맥교환이 자주 일어나게 된다.
  3. 시간 할당량이 너무 크면 FIFO 기법과 거의 같은 형태가 된다.
  4. 시간 할당량이 너무 작으면 시스템은 대부분의 시간을 프로세서의 스위칭에 소비하고 실제 사용자들의 연산은 거의 처리할 수 없는 결과가 초래된다.
(정답률: 59%)
  • 시간 할당량이 너무 작으면 오버 헤드의 발생이 적어진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시간 할당량이 작을수록 문맥교환이 자주 일어나게 되어 오버 헤드가 증가합니다. 이는 작은 시간 할당량으로 인해 프로세스가 자주 중단되고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 할당량이 적절한 크기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스레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실행 환경을 공유시켜 기억 장소의 낭비가 줄어든다.
  3. 하나의 프로세스에 하나 이상의 스레드는 존재할 수 없다.
  4.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이 향상된다.
(정답률: 70%)
  • "하나의 프로세스에 하나 이상의 스레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 개의 스레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멀티스레딩이라고 합니다. 멀티스레딩을 사용하면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실행 환경을 공유시켜 기억 장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스레드 간의 통신이 더욱 간편해져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나 스택을 두어 현 시점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1. LFU
  2. LRU
  3. FIFO
  4. SCR
(정답률: 65%)
  • 정답은 "LRU"입니다. LRU 알고리즘은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으로, 각 페이지마다 사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가장 오래 전에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합니다. 이를 위해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나 스택을 두어 사용된 시간을 추적합니다. 따라서 LRU 알고리즘은 가장 최근에 사용된 페이지를 유지하고,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여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RN 스케줄링 기법 사용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작업 번호는?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률: 63%)
  • HRN 스케줄링 기법은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처리하는 기법이므로,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작업 번호는 가장 나중에 처리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가장 작은 우선순위를 가진 작업 번호는 5이므로, 정답은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UNIX 명령은?

  1. mv
  2. cat
  3. mkfs
  4. ls
(정답률: 66%)
  • "cat" 명령은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입니다.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 "ls"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은 "ca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한다.
  4.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한다.
(정답률: 75%)
  •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이는 컴파일러의 역할이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접근제어리스트에서 “파일2”가 처리될 수 없는 것은?(단, R=읽기, W=쓰기, P=인쇄, L=공유)

  1. 읽기
  2. 쓰기
  3. 인쇄
  4. 공유
(정답률: 74%)
  • "파일2"는 접근제어리스트에서 "읽기"와 "공유" 권한이 있지만, "인쇄" 권한이 없기 때문에 처리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3 페이지가 들어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 번호가 참조될 때 FIFO 기법을 사용하면 최종적으로 기억공간에 남는 페이지 번호는?(단, 현재 기억 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3, 2, 1
  2. 4, 1, 2
  3. 2, 3, 4
  4. 4, 1, 3
(정답률: 66%)
  • FIFO 기법은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내보내는 방식이므로, 페이지 번호가 참조된 순서대로 기억장치에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1페이지가 먼저 들어오고, 그 다음에 2페이지, 3페이지, 4페이지가 차례대로 들어오게 된다. 하지만 기억장치에는 3페이지까지만 들어갈 수 있으므로, 1페이지가 먼저 들어온 것부터 차례대로 내보내면서 4페이지를 새로운 페이지로 기억장치에 넣게 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억장치에 남는 페이지 번호는 "4, 1, 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UNIX 파일 시스템 구조에서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및 그룹 번호,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주소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것은?

  1. 데이터 블록
  2. I-node 블록
  3. 슈퍼 블록
  4. 부트 블록
(정답률: 60%)
  • I-node 블록은 UNIX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블록입니다. 이 블록에는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및 그룹 번호, 파일의 크기,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주소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찾거나 접근할 때 I-node 블록을 참조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운영체제의 운용 기법 중 데이터 발생 즉시 또는 데이터 처리 요구가 있는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은?

  1. 실시간 처리 시스템
  2. 분산 처리 시스템
  3. 일괄 처리 시스템
  4. 시분할 시스템
(정답률: 75%)
  •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발생 즉시 또는 처리 요구가 있는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성이 중요한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 제어 시스템이나 의료 장비 등에서는 실시간 처리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실시간 처리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의 정의가 의미하는 것은?

  1. 프로세스
  2. 운영체제
  3. 워킹 셋
  4. 스케줄러
(정답률: 74%)
  • 위 그림은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입니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실행하는 작업의 단위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프로세스가 운영체제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워킹 셋과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프로세스의 실행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세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분산처리 운영 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점진적 확장이 용이하다.
  2. 신뢰성, 가용성이 증대된다.
  3. 자원의 공유와 부하 균형이 가능하다.
  4.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보안 정책이 간소해진다.
(정답률: 60%)
  •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보안 정책이 간소해진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분산처리 운영 시스템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업을 처리하므로 보안 위협이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 정책은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며, 적절한 보안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주기억장치 관리 기법 중 “Best Fit” 기법 사용시 20K의 프로그램은 주기억장치 영역 번호 중 어느 곳에 할당되는가?(단, 탐색은 위에서 아래로 한다.)

  1. 영역 번호 1
  2. 영역 번호 2
  3. 영역 번호 3
  4. 영역 번호 4
(정답률: 70%)
  • Best Fit 기법은 주기억장치 내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크기에 가장 근접한 크기의 빈 영역을 찾아 할당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20K의 프로그램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20K 이상의 빈 영역이 필요하다. 위의 주기억장치 구조에서는 영역 번호 4가 20K 이상의 빈 영역으로 가장 근접하므로, 20K의 프로그램은 영역 번호 4에 할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 작업이 갖고 있는 세그먼테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세그먼트 맵 테이블이 필요하다.
  2. 각 세그먼트는 고유한 이름과 크기를 갖는다.
  3. 기억 장치의 사용자 관점을 보존하는 기억 장치 관리 기법이다.
  4. 하나의 작업을 똑같은 크기의 세그먼트라는 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주기억 공간의 페이지 프레임에 들어가도록 한다.
(정답률: 52%)
  •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하나의 작업을 똑같은 크기의 세그먼트라는 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주기억 공간의 페이지 프레임에 들어가도록 한다." 입니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은 논리적인 단위인 세그먼트로 나누어 주기억 공간에 할당하는 기법이며, 페이지 프레임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세그먼트는 크기가 다를 수 있으며, 각 세그먼트는 고유한 이름과 크기를 갖습니다. 또한, 각 작업이 갖고 있는 세그먼테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세그먼트 맵 테이블이 필요하며, 기억 장치의 사용자 관점을 보존하는 기억 장치 관리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UNI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1단계 디렉토리 구조
  2. 2단계 디렉토리 구조
  3. 트리 디렉토리 구조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64%)
  • UNIX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 디렉토리 구조"이다. 이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하위 디렉토리들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관리와 검색을 용이하게 하며, 파일 및 디렉토리의 위치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작업 도착시간과 CPU 사용시간은 다음 표와 같다. SJF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할 경우 모든 작업들의 평균 대기 시간은 얼마인가?(단,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 처리한다.)

  1. 14
  2. 15
  3. 20
  4. 28
(정답률: 61%)
  • SJF 스케줄링 기법은 작업의 CPU 사용시간이 짧은 것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먼저 도착한 작업 1부터 처리하면 된다.

    작업 1: 대기시간 0, CPU 사용시간 3, 종료시간 3

    작업 2: 대기시간 3, CPU 사용시간 5, 종료시간 8

    작업 3: 대기시간 8, CPU 사용시간 1, 종료시간 9

    작업 4: 대기시간 9, CPU 사용시간 2, 종료시간 11

    작업 5: 대기시간 11, CPU 사용시간 4, 종료시간 15

    따라서 모든 작업들의 평균 대기 시간은 (0+3+8+9+11)/5 = 6.2 이므로, 반올림하여 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가 아닌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파일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언어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든 원시 프로그램을 컴파일 가능하도록 한다.
  2.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하고, 변경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3. 정보의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백업과 복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언어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든 원시 프로그램을 컴파일 가능하도록 한다." 이다. 이는 파일 시스템이 아닌 컴파일러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변경,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정보의 손실이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백업과 복구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사용하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디스크 헤드의 현 위치는 50 트랙이며, 안쪽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 SSTF 방식을 사용할 경우 다음 디스크 대기 큐에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트랙은?(단, 트랙번호가 작은 쪽이 안쪽 방향임)

  1. 14
  2. 40
  3. 53
  4. 183
(정답률: 60%)
  • SSTF 방식은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현재 위치인 50 트랙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은 53 트랙이므로 다음에 처리될 트랙은 53 트랙이 된다. "14"과 "40"은 현재 위치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183"은 현재 위치보다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53 트랙이 가장 먼저 처리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이 필요한 이유는?

  1.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2.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기 위함이다.
  3. 채널의 신호를 혼합하기 위함이다.
  4.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이다.
(정답률: 71%)
  •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이 필요한 이유는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입니다. 보호대역은 인접한 채널 간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각 채널의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OSI 참조모델 중 암호화, 코드변환 및 압축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어플리케이션 계층
  2. 프레젠테이션 계층
  3. 세션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53%)
  •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고, 데이터의 암호화, 코드 변환, 압축 등을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따라서 이 계층은 데이터를 표현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표준화하여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며, 보안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비패킷형 단말기들을 패킷교환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수신측에서는 분해 해주는 것은?

  1. PAD
  2. CSU
  3. DSU
  4. NIC
(정답률: 61%)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비패킷형 단말기들이 패킷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수신측에서는 패킷을 분해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AD가 정답입니다. CSU는 Channel Service Unit, DSU는 Data Service Unit, NIC는 Network Interface Card의 약자로, 이들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데이터 통신 중 비동기 전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 시 start 비트와 stop 비트를 사용한다.
  2. 문자 위주와 비트 위주의 비동기 전송으로 나누어 진다.
  3.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함으로써 새로운 문자의 시작점에서 재동기를 이루도록 한다.
  4. 수신기는 자신의 클록신호를 사용하여 회선을 샘플링하여 각 비트 값을 읽어낸다.
(정답률: 30%)
  • "문자 위주와 비트 위주의 비동기 전송으로 나누어 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비동기 전송은 문자나 비트를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크기나 속도에 따라 전송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음성 정보의 교환을 주목적으로 하는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구축된 통신망은?

  1. PSTN
  2. PSDN
  3. ISDN
  4. INT-2000
(정답률: 42%)
  • PSTN은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약자로, 일반 전화망을 의미합니다. 음성 정보의 교환을 주목적으로 구축된 통신망으로,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전화망이 PSTN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집중화기(Concentra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개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회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로, 입력 회선의 수가 출력 회선의 수보다 적다.
  2. 저속 장치들이 하나의 빠른 회선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3. 프로세서와 기억 기능을 포함하여 일종의 교환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4. 데이터 압축 기능을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48%)
  • "m개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회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로, 입력 회선의 수가 출력 회선의 수보다 적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집중화기는 입력 회선의 수를 줄이고 출력 회선의 수를 늘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입력 회선의 수가 출력 회선의 수보다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물리주소를 이용하여 논리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은?

  1. RARP
  2. HTTP
  3. UTP
  4. TCP/IP
(정답률: 51%)
  • RARP는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물리적인 MAC 주소를 가지고 해당 장치의 논리적인 IP 주소를 찾아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물리주소를 이용하여 논리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은 RAR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른 동작 모드로 틀린 것은?

  1. SRM
  2. ARM
  3. NRM
  4. ABM
(정답률: 41%)
  • 정답은 "SRM"입니다.

    HDLC의 링크 구성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 모드가 있습니다.

    1. ARM (Asynchronous Response Mode): 비동기 응답 모드로, 동기화된 전송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2. NRM (Normal Response Mode): 정상 응답 모드로, 동기화된 전송을 보장합니다.

    3. ABM (Asynchronous Balanced Mode): 비동기 균형 모드로, 동기화된 전송을 보장하며, 송수신 측이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SRM은 HDLC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ISDN에서 제공하는 베어러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은?

  1. G4 FAX
  2. TV 화상회의
  3. 비디오 텍스
  4. 회선교환
(정답률: 47%)
  • ISDN에서 제공하는 베어러 서비스는 회선교환입니다. 이는 전화나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통신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회선교환은 전용 회선을 사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빠른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ISDN에서도 회선교환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을 제공합니다. G4 FAX, TV 화상회의, 비디오 텍스는 모두 ISDN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지만, 이들은 베어러 서비스가 아닌 추가적인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LAN의 네트워크 형태(topology)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BUS 형
  2. Star 형
  3. Packet 형
  4. Ring 형
(정답률: 70%)
  • "Packet 형"은 LAN의 네트워크 형태(topology)가 아닌 LAN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acket 형"은 데이터를 패킷(packet)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acket 형"은 LAN의 네트워크 형태(topology)에 따른 분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대역폭을 늘린다.
  2. S/N비를 작게 한다.
  3. 신호세력을 크게 한다.
  4. 잡음 세력을 줄인다.
(정답률: 60%)
  • 정답: S/N비를 작게 한다.

    S/N비는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작을수록 잡음이 많아지고 데이터 전송의 품질이 떨어진다. 따라서 S/N비를 작게 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다. 대역폭을 늘리거나 신호세력을 크게 하거나 잡음 세력을 줄이는 것이 데이터 전송 용량을 늘리는 방법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IPv6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IPv6 주소의 길이는 256비트이다.
  2. 암호화와 인증 옵션 기능을 제공한다.
  3.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4. 흐름 레이블(Flow Label)이라는 항목이 추가 되었다.
(정답률: 60%)
  • 정답은 "IPv6 주소의 길이는 256비트이다." 이다. IPv6 주소의 길이는 128비트이다. IPv6는 128비트 길이의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이는 IPv4의 32비트 주소 체계보다 훨씬 더 많은 주소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데이터 전송 시 오류검출 기법으로 틀린 것은?

  1. Parity Check
  2. Huffman Check
  3. Block Sum Check
  4. Cyclic Redundancy Check
(정답률: 52%)
  • Huffman Check는 데이터 전송 시 오류검출 기법이 아닙니다. Huffman 압축 기법은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한 기법으로, 데이터 전송 시에는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Huffman Che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PCM 방식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복호화
  2.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3.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 복호화
  4. 표본화 – 복호화 – 양자화 - 부호화
(정답률: 71%)
  • PCM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표본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후에는 양자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에서 가장 근접한 값을 선택하여 정확도를 조금 떨어뜨리지만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고, 이진 코드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복호화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파장 분할 다중화
  3.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4. 회선 분할 다중화
(정답률: 68%)
  • 주어진 문제에서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시분할 다중화"이다. 이 중에서도 시간 슬롯 할당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이다. 따라서 정답은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데이터 터미널 장비(DTE: Data Terminal Equipment)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일괄처리 기능
  2. 전송제어 기능
  3. 입·출력 기능
  4. 기억 기능
(정답률: 28%)
  • DTE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말 장비로서,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 전송제어 기능, 기억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괄처리 기능은 DTE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일괄처리는 대량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DTE는 일괄처리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패킷 단위로 전송한다.
  2.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3. 데이터 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으로 구분한다.
  4. 전송 대역폭이 고정적이다.
(정답률: 64%)
  • 전송 대역폭이 고정적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패킷교환 방식은 전송 대역폭이 가변적이다. 이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패킷의 우선순위를 조절하거나, 혹은 혼잡 제어를 통해 대역폭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데이터 전송 시 오류가 검출되면 자동적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ARQ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op-and-Wait ARQ
  2. Go-back-N ARQ
  3. Continue ARQ
  4. Selective Repeat ARQ
(정답률: 52%)
  • ARQ 기법 중에서 "Continue ARQ"는 오류 검출 시 재전송을 요청하지 않는다. 대신, 오류가 발생한 패킷은 버려지고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실시간 통신에서 사용되며, 재전송 요청에 따른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여 빠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데이터 전송 오류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호 감쇠
  2. 지연 왜곡
  3. 잡음
  4. 복조
(정답률: 65%)
  • 복조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해결하는 기술로, 신호 감쇠, 지연 왜곡, 잡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오류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TCP/IP 모델 중 응용 계층과 관련된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TTP
  2. SNMP
  3. FTP
  4. UDP
(정답률: 49%)
  • UDP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응용 계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HTTP, SNMP, FTP는 모두 응용 계층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