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정보처리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다음 트리의 차수는?

  1. 2
  2. 3
  3. 4
  4. 8
(정답률: 78%)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의 트리에서 노드 A는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수는 2입니다. 다른 노드들도 마찬가지로 자식 노드의 수를 세어보면, B는 3개, C는 4개, D는 0개, E는 1개, F는 0개, G는 0개, H는 1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트리의 차수를 물었으므로, 가장 큰 차수인 4가 아닌, 노드 A의 차수인 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영문과 관련되는 SQL 명령은?

  1. KILL
  2. DELETE
  3. DEL
  4. ERASE
(정답률: 87%)
  • 이 SQL 명령은 "DELETE"이다. 그 이유는 "DELETE"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레코드를 삭제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KILL", "DEL", "ERASE"는 모두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코드를 삭제하는 명령어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널 값(null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의 부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2.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값이다.
  3. 공백(space)과는 다른 의미이다.
  4. 영(zero)과 같은 값이다.
(정답률: 89%)
  • 정답은 "영(zero)과 같은 값이다." 인 이유는 널 값은 실제로 아무 값도 가지지 않는 값으로, 영(zero)과 같이 아무 값도 없는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널 값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자료를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할 경우 2회전 후의 결과는?

  1. 4, 1, 3, 5, 9
  2. 4, 5, 1, 3, 9
  3. 9, 4, 5, 1, 3
  4. 4, 5, 9, 1, 3
(정답률: 73%)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냅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 원소까지 반복하면 가장 큰 원소가 맨 뒤로 이동합니다.

    2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냅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에서 두 번째 원소까지 반복합니다.

    따라서 2회전 후의 결과는 "4, 1, 3, 5, 9" 입니다.

    보기에서는 3회전까지 진행된 결과가 나와 있습니다. 3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냅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에서 세 번째 원소까지 반복하면 가장 작은 원소가 맨 앞으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3회전 후의 결과는 "1, 3, 4, 5, 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트리를 Post-order로 운행할 때 노드 B는 몇 번째로 검사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75%)
  • Post-order 운행은 왼쪽 서브트리, 오른쪽 서브트리, 루트 노드 순으로 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B 노드는 왼쪽 서브트리인 D와 E를 먼저 검사한 후, 오른쪽 서브트리인 C를 검사한 후, 마지막으로 루트 노드인 A를 검사하게 된다. 따라서 B 노드는 4번째로 검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싱 기법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은?

  1. Synonym
  2. Collision
  3. Bucket
  4. Overflow
(정답률: 66%)
  • 해싱 기법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은 "Collision"이다. "Synonym"은 동의어를 의미하며,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은 서로 다른 키 값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동의어가 될 가능성이 적다. "Bucket"은 해시 테이블에서 각각의 홈 주소에 해당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은 같은 버킷에 저장된다. "Overflow"는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이 버킷에 저장되지 못하고 다른 공간에 저장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레디키트 해석(predicate calculus)으로 질의어를 표현한다.
  2.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3.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다.
  4. 한정된 튜플 관계해석은 관계 대수의 표현 능력과 동등하다.
(정답률: 77%)
  • 옳지 않은 설명은 "한정된 튜플 관계해석은 관계 대수의 표현 능력과 동등하다."이다. 한정된 튜플 관계해석은 관계 대수보다 더 강력한 표현 능력을 가지고 있다.

    관계해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언어로, 프레디키트 해석을 사용하여 질의어를 표현하며,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또한,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 두 가지 유형이 있으며, 한정된 튜플 관계해석은 관계 대수보다 더 강력한 표현 능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SQL의 데이터 정의문(DDL)이 아닌 것은?

  1. CREATE
  2. DROP
  3. ALTER
  4. INSERT
(정답률: 79%)
  • INSERT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 조작어(DML)이며, 나머지는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데이터 정의어(DDL)이기 때문에 정답은 INSE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n개의 원소를 정렬하는 방법 중 평균 수행시간 복잡도와 최악 수행시간 복잡도가 모두 O(nlog2n)인 정렬은?

  1. 삽입 정렬
  2. 힙 정렬
  3. 버블 정렬
  4. 선택 정렬
(정답률: 75%)
  • 힙 정렬은 최악 시간 복잡도와 평균 시간 복잡도가 모두 O(nlog2n)인 정렬 알고리즘이다. 이는 힙 정렬이 힙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정렬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힙 자료구조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이진트리 형태의 자료구조로, 이를 이용하여 정렬을 수행하면 평균적으로 O(nlog2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힙 정렬은 안정적인 정렬 알고리즘이며, 추가적인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힙 정렬은 O(nlog2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면서도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개체 타입 간에는 상위와 하위 관계가 존재한다.
  2. 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한다.
  3. 루트 개체 타입을 가지고 있다.
  4. 링크를 사용하여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성을 표시한다.
(정답률: 53%)
  • CODASYL DBTG 모델은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다른 이름이다. 따라서 "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한다."는 계층형 데이터 모델의 특징이 아니라, 그것의 다른 이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CODASYL DBTG 모델이라고도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전위(prefix) 표기식을 중위(infix) 표기식으로 옳게 변환한 것은?

  1. B * D + A - E / C
  2. C * D + B - A / E
  3. E * D + C - B / A
  4. A * B + C - D / E
(정답률: 83%)
  • 전위 표기식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나오는 표기법이고, 중위 표기식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사이에 나오는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전위 표기식을 중위 표기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옮겨주어야 합니다.

    위의 전위 표기식을 중위 표기식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B) + C) - (D / E)

    이유는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서 곱셈과 나눗셈이 덧셈과 뺄셈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곱셈과 나눗셈을 먼저 계산하고 덧셈과 뺄셈을 계산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위 표기식에서는 곱셈과 나눗셈이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덧셈과 뺄셈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중위 표기식으로 변환하면, 곱셈과 나눗셈을 괄호로 묶어서 먼저 계산하고, 그 다음에 덧셈과 뺄셈을 계산하도록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Array
  2. Stack
  3. Queue
  4. Binary Tree
(정답률: 76%)
  • 위 그림은 Stack 자료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Stack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듯이 쌓아서 저장하는 자료구조로,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구조라고도 불립니다. 그림에서도 데이터가 차곡차곡 쌓여있고,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될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Stack 자료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릴레이션 A는 4개의 튜플로, 릴레이션 B는 6개의 튜플로 구성되어 있다. 두 릴레이션에 대한 카티션 프로덕트 연산의 결과로서 몇 개의 튜플이 생성되는가?

  1. 2
  2. 6
  3. 10
  4. 24
(정답률: 78%)
  • 카티션 프로덕트 연산은 두 릴레이션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만들어내는 연산이다. 따라서 A와 B의 카티션 프로덕트 연산 결과로 생성되는 튜플의 수는 A의 튜플 수와 B의 튜플 수를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4 x 6 = 24 이므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개체-관계(E-R) 모델에서 개체 타입을 표시하는 기호는?

(정답률: 78%)
  • 정답은 ""이다. 이 기호는 사각형 모양으로, 개체 타입을 나타낸다. 이유는 사각형이 일반적으로 객체를 나타내는 기호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각형의 상단에는 개체 타입의 이름이 적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키 값을 여러 부분으로 분류하여 각 부분을 더하거나 XOR 하여 주소를 얻는 해싱 함수 기법은?

  1. Divide
  2. Folding
  3. Mid-Square
  4. Digit Analysis
(정답률: 79%)
  • Folding은 키 값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더하거나 XOR하여 주소를 얻는 해싱 함수 기법입니다. 이는 키 값의 분포를 균등하게 만들어 해시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해싱 함수 기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순서가 A, C, B, D 로 정해진 입력 자료를 스택에 입력하였다가 출력한 결과가 될 수없는 것은? (단, 보기 항에서 좌측 값부터 먼저 출력된 순서이다.)

  1. D, B, C, A
  2. D, A, C, B
  3. A, C, B, D
  4. C, D, B, A
(정답률: 65%)
  •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값이 가장 먼저 출력된다. 따라서 "D, A, C, B" 순서로 입력된 자료는 스택에서는 "B, C, A, D" 순서로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D, B, C, 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본 테이블, 뷰, 인덱스, 패키지,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2. 시스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3.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가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4.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85%)
  • 시스템 카탈로그는 일반 사용자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SQL 문장의 기술이 적당치 않은 것은?

  1. select... from... where...
  2. insert... on... values...
  3. update... set... where...
  4. delete... from... where...
(정답률: 77%)
  • 정답은 "insert... on... values..."입니다. 이유는 "insert... on... values..."는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를 삽입하는 SQL 문장으로, 기본적인 문법에 대한 이해만 있으면 쉽게 작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select... from... where...", "update... set... where...", "delete... from... where..."는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등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SQL 문장으로, 문법과 함께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관련된 지식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insert... on... values..."는 다른 SQL 문장들에 비해 기술이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테이블, 뷰, 인덱스 제거 시 사용하는 SQL은?

  1. CREATE 문
  2. DROP 문
  3. SELECT 문
  4. CLOSE 문
(정답률: 88%)
  • DROP 문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SQL 문이다. 따라서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CREATE 문은 객체를 생성하는 SQL 문이고, SELECT 문은 데이터를 조회하는 SQL 문이다. CLOSE 문은 커서를 닫는 SQL 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접근을 제어하게 함으로써 보안을 제공한다.
  2.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를 간단하게 해 준다.
  3. 뷰가 정의된 기본 테이블이 삭제되면, 뷰도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4.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물리적이 실제 테이블이다.
(정답률: 78%)
  • 뷰는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논리적인 가상 테이블이며, 물리적인 실제 테이블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물리적이 실제 테이블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인터럽트 처리에서 I/O 장치들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인터럽트 발생 빈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2. CPU가 하나 이상의 인터럽트를 처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3. 여러 개의 인터럽트 요구들이 동시에 들어올 때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4. 인터럽트 처리 루틴의 주소를 알기 위해서
(정답률: 75%)
  • 여러 개의 인터럽트 요구들이 동시에 들어올 때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를 지정해야 합니다. 이는 CPU가 처리할 인터럽트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처리에서 I/O 장치들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것은 여러 개의 인터럽트 요구들이 동시에 들어올 때 그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나 종류를 소프트웨어로 판단하는 방법은?

  1. Polling
  2. Daisy chain
  3. Decoder
  4. Multiplexer
(정답률: 61%)
  • Polling은 소프트웨어가 주기적으로 하드웨어 상태를 확인하여 인터럽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터럽트의 발생 원인이나 종류를 소프트웨어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Polling을 선택할 수 있다. Daisy chain, Decoder, Multiplexer는 하드웨어적인 방식으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방법이므로 소프트웨어로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256MB라면 주소버스의 폭은 최소한 몇 bit 이어야 하는가?

  1. 24
  2. 26
  3. 28
  4. 30
(정답률: 56%)
  • 256MB는 2의 28승 바이트이다. 따라서, 주소버스의 폭은 최소한 28 bit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Interrupt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1. Program Interrupt
  2. I/O Interrupt
  3. Paging Interrupt
  4. Power Failure Interrupt
(정답률: 66%)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Interrupt는 "Power Failure Interrupt"입니다. 이는 시스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발생하며, 다른 Interrupt들과 달리 처리가 불가능하고 즉시 시스템이 종료됩니다. 따라서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Operand의 내용을 저장하는 장소에 operand주소를 저장하는 방식으로서 두 번의 참조를 필요로 하는 주소 방식은?

  1. 직접 주소방식
  2. 간접 주소방식
  3. 인덱스 주소방식
  4. 레지스터 주소방식
(정답률: 67%)
  • 간접 주소방식은 Operand의 내용을 저장하는 장소에 operand 주소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두 번의 참조를 필요로 합니다. 이는 Operand의 실제 값을 찾기 위해 먼저 Operand의 주소를 참조하고, 그 주소에 저장된 값을 다시 참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접 주소방식은 두 번의 참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유연성이 높아서 다양한 주소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프트웨어의 의한 인터럽트(interrupt) 우선순위 체제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우선순위 등급이 높은 장치가 인터럽트 요청을 할 때 등급이 낮은 장치로 부터는 요청을 할 수 없게 된다.
  2. 우선순위는 프로그램 상에서 결정하므로 융통성이 있다.
  3. 우선순위의 설정을 위한 하드웨어가 별도로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4.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45%)
  • 정답: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느리다.

    해설: 소프트웨어의 의한 인터럽트 우선순위 체제에서는 우선순위 등급이 높은 장치가 인터럽트 요청을 할 때 등급이 낮은 장치로부터도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선순위가 프로그램 상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융통성이 있고, 하드웨어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반응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의한 인터럽트 우선순위 체제의 특징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보의 물리적 표현방법으로 2바이트를 사용할 때 표현범위는? (단, K는 kilo이다.)

  1. 0 ~ FF
  2. 0 ~ 1K
  3. 0 ~ 16K
  4. 0 ~ 64K
(정답률: 49%)
  • 2바이트는 16비트이므로 2의 16승인 65536가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0도 포함되므로 실제 표현범위는 0부터 65535까지이며, 이를 K로 환산하면 0부터 64K까지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 ~ 64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펄스에 따른 계산기의 각 부분의 동작을 규칙적으로 진행시키는 제어 방식은?

  1. 직류 방식
  2. 비동기식 제어 방식
  3. 비주기식 제어 방식
  4. 동기식 제어 방식
(정답률: 72%)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펄스에 따라 계산기의 각 부분을 규칙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방식은 동기식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펄스의 발생 주기에 맞춰서 각 부분이 동시에 동작하며, 시스템 전체가 동기화되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산기의 정확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에 전달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etch
  2. Store
  3. Load
  4. Transfer
(정답률: 47%)
  •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에 전달하는 기능을 "Store"라고 한다. 이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를 가져오는(fetch),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불러오는(load), 데이터를 전송하는(transfer)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Store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각 비트(bit)를 전하(charge)의 형태로 저장하며, 주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한 기억장치는?

  1. Static RAM
  2. Dynamic RAM
  3. CMOS RAM
  4. TTL RAM
(정답률: 59%)
  • 정답은 "Dynamic RAM"입니다. Dynamic RAM은 각 비트를 전하(charge)의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합니다. 이는 비트가 저장된 캐패시터(capacitor)의 전하가 누수(leakage)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Static RAM은 각 비트를 전기적인 회로로 유지하기 때문에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CMOS RAM과 TTL RAM은 RAM의 구성 방식에 대한 용어이며, 각각 CMOS와 TTL 로직을 사용하여 RAM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산술연산과 논리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는?

  1. 누산기
  2. 인덱스 레지스터
  3. 플래그 레지스터
  4. RAM
(정답률: 77%)
  • 누산기는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누산기가 정답입니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소 계산에 사용되며, 플래그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RAM은 주기억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주기억 장치의 영역구분을 크게 둘로 나눌 때 가장 옳은 것은?

  1.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
  2.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 운영체제 영역
  3. 관리자 프로그램 영역, 운영체제 영역
  4. 관리자 프로그램 영역,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
(정답률: 56%)
  • 주기억 장치의 영역구분을 크게 둘로 나눌 때,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과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스템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체제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들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영역 구분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내부 인터럽트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오버플로우
  2. 트랩
  3. 불법적 명령
  4. 타이밍 장치
(정답률: 49%)
  • 내부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예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오버플로우", "트랩", "타이밍 장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불법적 명령"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잘못된 명령어가 실행되는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는 내부 인터럽트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불법적 명령"이 내부 인터럽트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십진수 6을 4bit excess-3 코드로 변환한 후Gray 코드로 표현한 것은?

  1. 0110
  2. 1101
  3. 1100
  4. 1001
(정답률: 52%)
  • 십진수 6을 4bit excess-3 코드로 변환하면 6에 3을 더한 값인 9가 나온다. 9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1001이다. 이진수 1001을 Gray 코드로 변환하면 1101이 된다. 이유는 Gray 코드는 인접한 두 수의 이진수 표현에서 한 비트만 다르게 표현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1001의 인접한 두 수는 1011과 1101인데, 이 중에서 한 비트만 다르게 표현된 것이 1101이다. 따라서 정답은 "1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컴퓨터에서 정수를 표기할 때 크기를 제한받는 가장 큰 이유는?

  1. 레지스터의 개수
  2. 기억용량
  3. 워드의 비트수
  4. 기억장치의 종류의 차이
(정답률: 68%)
  • 정수를 표기할 때 크기를 제한받는 가장 큰 이유는 워드의 비트수입니다. 워드의 비트수는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더 큰 워드의 비트수를 가진 컴퓨터는 더 큰 정수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워드의 비트수가 작으면 더 큰 정수를 표현할 수 없게 되어 크기를 제한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앙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을 내린 순간부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끝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ccess time
  2. loading time
  3. seek time
  4. search time
(정답률: 69%)
  • "access time"은 중앙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요구하는 명령을 내린 순간부터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끝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단어가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인 "loading time", "seek time", "search time"은 데이터를 요구하는 순간부터 주고받는 것이 끝나는 순간까지의 전체 시간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논리식 Y = AB+A(B+C)+B(B+C)를 가장 간소화 시킨 것은?

  1. AB+C
  2. ABC
  3. B+AC
  4. A+BC
(정답률: 42%)
  • 논리식을 간소화하기 위해서는 논리식을 구성하는 항들을 최대한 단순화해야 합니다.

    먼저, Y = AB + A(B+C) + B(B+C)를 전개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Y = AB + AB + AC + BB + BC

    Y = AB + AC + B

    여기서 AB와 AB를 합쳐서 AB로 단순화하고, BC와 AC를 합쳐서 AC로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Y = AB + AC + B

    따라서, 가장 간소화된 논리식은 "B+A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메모리 용량이 총 4096워드이고, 1워드가 8비트라 할 때 PC(program counter)와 MBR(memory buffer register)의 비트수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PC=8비트, MBR=12비트
  2. PC=12비트, MBR=8비트
  3. PC=8비트, MBR=8비트
  4. PC=12비트, MBR=12비트
(정답률: 67%)
  • PC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메모리 용량이 4096워드이므로 12비트가 필요하다. MBR은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1워드가 8비트이므로 8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PC=12비트, MBR=8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형 프로세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2. 많은 수의 명령어를 갖는다.
  3. 다양한 주소 모드를 지원한다.
  4. 레지스터와 메모리의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한다.
(정답률: 67%)
  • 정답: "명령어의 길이가 일정하다."

    CISC형 프로세서는 많은 수의 명령어를 갖고, 다양한 주소 모드를 지원하며, 레지스터와 메모리의 다양한 명령어를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명령어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CISC형 프로세서는 명령어의 길이가 가변적이며, 명령어 하나가 여러 개의 기계어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CISC형 프로세서가 복잡한 명령어를 지원하기 위해 명령어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나의 전가산기를 구성하는 필요한 반가산기는 최소 몇 개 인가?

  1. 5
  2. 4
  3. 3
  4. 2
(정답률: 72%)
  •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들어온 두 비트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을 더한 결과를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반가산기는 입력으로 들어온 두 비트를 더한 결과를 출력하지만 자리올림값은 출력하지 않는 논리회로이다. 따라서 전가산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입력으로 들어온 두 비트를 더한 결과를 출력하는 반가산기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값을 더하는 반가산기가 필요하다. 즉, 전가산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2개의 반가산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컴퓨터에 의한 계산 처리에 앞서 오류 데이터 찾기 위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항목의 논리적 모순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은?

  1. Numeric Check
  2. Limit Check
  3. Logical Check
  4. Matching Check
(정답률: 65%)
  • 논리적 모순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은 "Logical Check"입니다. 이는 입력된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올바른지 확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성별 항목에 "기타"라는 값이 입력되는 것은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데이터입니다.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논리적 모순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준 처리 패턴 중 동일한 파일형식을 가지고 있는 두개 이상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처리 하는 패턴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대조(Match)패턴
  2. 병합(Merge)패턴
  3. 갱신(Update)패턴
  4. 생성(Generate)패턴
(정답률: 81%)
  • 병합(Merge)패턴은 동일한 파일형식을 가지고 있는 두개 이상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통합처리하는 패턴이다. 이 패턴은 파일의 내용을 비교하고 중복되지 않는 부분을 합쳐서 하나의 파일로 만든다. 이를 통해 중복되는 내용을 제거하고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병합(Merge)패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세스의 표준 처리 패턴 중 마스터 파일 내의 데이터를 트랜잭션 파일로 추가, 변경, 삭제하여 항상 최근의 정보를 갖는 마스터 파일을 유지하는 것은?

  1. Conversion
  2. Sort
  3. Update
  4. Merge
(정답률: 78%)
  • 마스터 파일은 항상 최신의 정보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변경 또는 삭제할 때마다 마스터 파일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표준 처리 패턴은 "Upd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코드화 대상 항목의 길이, 넓이, 부피, 무게 등을 나타내는 문자, 숫자 혹은 기호를 그대로 코드로 사용하는 코드는?

  1. Group Classification Code
  2. Decimal Code
  3. Significant Digit Code
  4. Combined Code
(정답률: 68%)
  • "Significant Digit Code"는 항목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를 그대로 코드로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코드와 달리 숫자의 유효숫자를 중요하게 다룹니다. 이는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산업에서 유용하며, 예를 들어 부피나 무게 등의 측정에서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무시하고 유효숫자만을 사용하여 코드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ignificant Digit Cod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과 같은 코드 부여 방법의 종류는?

  1. Group Classification Code
  2. Block Code
  3. Letter Type Code
  4. Mnemonic Code
(정답률: 64%)
  • 이 코드 부여 방법은 "Mnemonic Code"이다. 이유는 코드가 단어나 구문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쉽고, 인간이 이해하기 쉽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코드 부여 방법들은 숫자나 문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기억하기 어렵거나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 방식의 종류 중 현장 정보를 기록한 원시 전표를 전산 부서에서 일정한 주기로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입력 매체를 작성하는 방식은?

  1. 분산 입력 방식
  2. 직접 입력 방식
  3. 집중 입력 방식
  4. 턴어라운드(반환) 입력 방식
(정답률: 53%)
  • 집중 입력 방식은 현장에서 발생한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일괄적으로 수집하여 입력 매체를 작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분산 입력 방식이나 직접 입력 방식과는 달리 중앙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일괄 처리로 인한 효율성이 높은 방식이다. 따라서 정답은 "집중 입력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입력 데이터의 오류발생 원인 중 좌우자리를 바꾸어서 발생하는 오류로 가장 옳은 것은?

  1. 오자오류
  2. 전위오류
  3. 추가오류
  4. 임의오류
(정답률: 81%)
  • 전위오류는 입력 데이터의 좌우자리를 바꾸어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는 입력 데이터의 순서가 중요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숫자 123을 입력해야 하는데 실수로 132를 입력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오류는 입력 데이터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객체지향(Object-Oriented)의 개념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클래스(Class) :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필드와 이 필드에서 연산하는 메소드로 정의
  2. 속성(Attribute) : 객체들이 갖고 있는 데이터의 값으로 파일처리에서 객체는 레코드, 속성은 필드와 유사한 개념
  3. 객체(Object) : 데이터 구조와 이 구조 하에서 이루어진 연산들이 모여서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
  4. 메소드(Method) : 객체들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
(정답률: 55%)
  • "메소드(Method) : 객체들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메소드는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정의하고, 이를 호출하여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메소드는 객체들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객체들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대화형 입출력 방식 중 화면에 여러 개의 항목을 진열하고 그 중의 하나를 선택 도구로 지정하여 직접 실행하는 방식으로 직접 조작 방식이라고도 하는 것은?

  1. 프롬프트 방식
  2. 커맨드 방식
  3. 항목 채우기 방식
  4. 아이콘 방식
(정답률: 60%)
  • 화면에 여러 개의 항목을 진열하고 그 중의 하나를 선택 도구로 지정하여 직접 실행하는 방식은 "아이콘 방식"입니다. 이는 아이콘으로 표시된 각 항목이 해당하는 기능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직접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직관적이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출력 보고서 설계 시 고려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이용자
  2. 이용목적
  3. 보고서의 양
  4. 보고서의 보관순서
(정답률: 53%)
  • 보고서의 보관순서는 출력 보고서를 작성하고 나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고서를 보관할 때 어떤 순서로 보관할 것인지를 미리 결정해 놓으면 나중에 보고서를 찾을 때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고서의 보관순서는 출력 보고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스템의 특성 중 시스템이 정의된 기능을 오류가 없이 정확히 발휘하기 위해 정해진 규정이나 한계, 또는 궤도로부터 이탈되는 사태나 현상을 미리 인식하여 그것을 올바르게 수정해 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목적성
  2. 자동성
  3. 제어성
  4. 종합성
(정답률: 76%)
  • 제어성은 시스템이 정의된 기능을 오류 없이 정확히 발휘하기 위해 규정이나 한계를 설정하고, 이탈되는 사태나 현상을 미리 인식하여 수정해 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제어성은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시스템은?

  1. 음성 출력 시스템
  2. 파일 출력 시스템
  3. 인쇄 출력 시스템
  4. COM 시스템
(정답률: 51%)
  • 이 시스템은 파일을 출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파일 이름과 출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파일 출력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파일형식 중 파일편성의 설계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색인 순차 편성 파일(Indexed sequence file)
  2. 원시 데이터 파일(Source data file)
  3. 마스터 파일(Master file)
  4. 트랜잭션 파일(Transaction file)
(정답률: 59%)
  • 정답: 색인 순차 편성 파일(Indexed sequence file)

    해설: 색인 순차 편성 파일은 레코드의 키 값을 기준으로 정렬된 파일로, 레코드의 키 값을 이용하여 색인을 생성하고 이 색인을 이용하여 레코드에 접근하는 파일 형식이다. 따라서 파일편성의 설계 종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입력 정보의 매체화를 그 데이터가 발생한 장소에서 하고 그 입력 매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입력 형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분산 매체화 시스템
  2. 턴어라운드 시스템
  3. 직접 입력 시스템
  4. 피드백 시스템
(정답률: 38%)
  • 정답: 분산 매체화 시스템

    분산 매체화 시스템은 데이터가 발생한 장소에서 입력 매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입력 형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산 매체화 시스템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입력 방식입니다.

    턴어라운드 시스템은 컴퓨터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입니다. 직접 입력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 매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피드백 시스템은 출력된 결과를 다시 입력 매체를 통해 입력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시스템으로서 “좋은 시스템”과 “좋지 않은 시스템”을 판정하는 기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의 가격
  2. 시스템의 효율
  3. 시스템의 신뢰성
  4. 시스템의 유연성
(정답률: 74%)
  • 시스템의 가격은 다른 기준들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시스템을 구매하는 비용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기준이다. 시스템의 효율, 신뢰성, 유연성은 모두 시스템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이지만, 가격은 이러한 성능 요소들과는 별개로 시스템을 구매할 때 고려해야 하는 비용적인 측면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가격은 다른 기준들과는 거리가 먼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스템 개발 시 문서화의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의 요식적 행위이다.
  2.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관리가 용이하다.
  3.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한다.
  4. 시스템 개발 후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정답률: 78%)
  • "시스템 개발 단계에서의 요식적 행위이다."는 문서화의 효과와 관련이 없는 부적절한 설명입니다. 문서화는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관리가 용이하고,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며, 시스템 개발 후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프로토타입 모델의 순차적 과정 순서를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 마 → 바
  2. 가 → 다 → 나 → 마 → 라 → 바
  3. 나 → 가 → 다 → 라 → 마 → 바
  4. 가 → 다 → 나 → 라 → 마 → 바
(정답률: 68%)
  • 정답은 "가 → 나 → 다 → 라 → 마 → 바"이다.

    - 가: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 나: 프로토타입 설계
    - 다: 프로토타입 구현
    - 라: 프로토타입 평가
    - 마: 프로토타입 수정
    - 바: 최종 제품 개발

    이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한다. 먼저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한 후,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을 평가하고 수정하여 최종 제품을 개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순차편성에 적합하고 평균 처리 시간(access time)이 가장 긴 매체는?

  1. 자기디스크
  2. 자기테이프
  3. 자기드럼
  4. 자기코어
(정답률: 67%)
  • 자기테이프는 순차편성에 적합하고 평균 처리 시간이 가장 긴 매체입니다. 이는 자기테이프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기 때문에 순차편성에 적합하며, 자기테이프의 회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평균 처리 시간이 가장 길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스템 오류 검사 기법 중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 측으로 되돌려 보내 원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류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은?

  1. Balance Check
  2. Range Check
  3. Limit Check
  4. Echo Check
(정답률: 71%)
  • Echo Check은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 측으로 되돌려 보내 원래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류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오류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의 값이나 범위 등을 검사하는 방법이지만, Echo Check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시스템 개발 방법을 축차적 방법과 규범적 방법으로 분류할 때 규범적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존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목적에 따라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과거 유사한 시스템의 개발 경험을 최대한 활용한다.
  2. 개발기간이 짧고 시스템의 도입이 쉽다.
  3. 안정된 기존의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적용 설계가 가능하다.
  4. 현행 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하는 개발 방법이다.
(정답률: 51%)
  • 규범적 방법은 기존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시스템의 개발 경험과 기술적 규범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목적에 따라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과거 유사한 시스템의 개발 경험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축차적 방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다음 설명과 같은 현상이 의미하는 것은?

  1. Segmentation
  2. Locality
  3. Thrashing
  4. Monitor
(정답률: 71%)
  • 이미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계속해서 스왑인/아웃하며 접근하는 현상을 "Thrashing"이라고 한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CPU와 디스크 사이의 부하를 증가시킨다. 위 그림에서도 페이지 폴트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스왑인/아웃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Thrashing"이라는 용어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가변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하나의 작업이 끝났을 때, 그 저장장치가 다른 비어있는 저장 장소와 인접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 때 인접한 공백들을 하나의 공백으로 합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교체(Swapping)
  2. 단편화(Segmentation)
  3. 집약(Compaction)
  4. 통합(Coalescing)
(정답률: 58%)
  • 가변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는 작업이 끝날 때마다 저장 공간이 조각나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접한 공백들을 합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합(Coalesc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통합(Coalesc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3K의 작업을 다음 그림의 30K 공백의 작업공간에 할당했을 경우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1. Last fit
  2. First fit
  3. Best fit
  4. Worst fit
(정답률: 69%)
  •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Worst fit"입니다. 이유는 13K의 작업을 할당하기 위해 가장 큰 공백인 30K의 공간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Worst fit"은 사용 가능한 공간 중 가장 큰 공간을 선택하는 전략으로, 작은 공간들이 남아있게 되어 작은 작업들이 할당되기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CPU 이용률과 처리율을 최대화한다.
  2. CPU 이용률은 최소화하고 응답시간은 최대화한다.
  3. 처리율은 최소화하고 반환시간은 최대화한다.
  4. 대기시간, 응답시간, 반환시간 모두를 최대화한다.
(정답률: 66%)
  • CPU 이용률과 처리율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시스템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입니다. CPU 이용률이 높을수록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작업 처리율도 높아지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요소를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른 요소들인 응답시간, 반환시간, 대기시간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CPU 이용률과 처리율을 최대화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공개키 암호화 방법과 관계없는 것은?

  1. 대칭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2. 디지털 서명에도 이용된다.
  3. 암호화 키는 공개되어 있다.
  4. 복호키 또는 개인키만이 전문을 복호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암호화 키가 공개되어 있다는 것은 공개키 암호화 방법과 관련이 있으며, 대칭 알고리즘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암호화 키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대칭 알고리즘을 이용한다."가 공개키 암호화 방법과 관계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PCB 에 저장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할당되지 않은 주변 기기들의 상태 정보
  2.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3. 프로세스가 위치한 메모리에 대한 포인터
  4.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정답률: 69%)
  • "할당되지 않은 주변 기기들의 상태 정보"는 PCB에 저장되지 않는 이유는, PCB는 프로세스의 실행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데, 주변 기기들의 상태 정보는 프로세스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PCB는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변 기기들의 상태 정보는 해당 기기들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드라이버 등에서 관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버퍼링과 스풀링의 비교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버퍼링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적 구현이지만 스풀링은 소프트웨어적 구현이다.
  2. 버퍼링은 일반적으로 단일 작업단일사용자이지만 스풀링은 다중작업 다중사용자이다.
  3. 버퍼링에서 일반적으로 버퍼의 위치는 주기억 장치이지만 스풀링에서 스풀의 위치는 디스크이다.
  4. 일반적으로 버퍼링은 스택 또는 큐 방식의 입출력을 수행하지만 스풀링은 스택방식으로 입출력을 수행한다.
(정답률: 43%)
  • 일반적으로 버퍼링은 스택 또는 큐 방식의 입출력을 수행하지만 스풀링은 스택방식으로 입출력을 수행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스풀링은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여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므로, 스택 방식이 아닌 대기열 방식으로 입출력 작업을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UNIX에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은?

  1. find
  2. ls
  3. cat
  4. finger
(정답률: 68%)
  • 정답은 "ls"입니다. "ls"는 "list"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ls"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nd"는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이고, "cat"은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입니다. "finger"는 사용자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억장치 배치 전략 중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빈 영역 중에서 단편화를 가장 많이 남기는 분할영역에 배치시키는 기법은?

  1. FIRST FIT
  2. WORST FIT
  3. LARGE FIT
  4. BEST FIT
(정답률: 70%)
  • WORST FIT은 가장 큰 빈 영역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배치시키는 기법으로, 작은 크기의 빈 영역이 많아지면서 단편화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편화를 가장 많이 남기는 분할영역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는 메모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지만, 작은 크기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배치시키기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에서 작업도착시간과 CPU 사용시간은 다음 표와 같다. 모든 작업들의 평균 대기시간은 얼마인가?

  1. 6
  2. 9
  3. 12
  4. 18
(정답률: 53%)
  • SJF 스케줄링은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먼저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A(3)가 처리되고, 그 다음으로 B(4), C(5), D(6)가 처리된다. 작업의 대기시간은 작업이 CPU를 할당받기까지 대기한 시간을 의미하므로, 각 작업의 대기시간은 이전 작업의 종료시간에서 작업의 도착시간을 뺀 값이다. 따라서, A의 대기시간은 0, B의 대기시간은 3-1=2, C의 대기시간은 7-2=5, D의 대기시간은 12-7=5이다. 따라서, 평균 대기시간은 (0+2+5+5)/4=3.0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 아닌 가장 가까운 정수인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분산 운영체제에서 각 노드들이 point-to-point 형태로 중앙 컴퓨터에 연결되고 중앙 컴퓨터를 경유하여 통신하는 위상(Topology) 구조는?

  1. 성형(Star) 구조
  2. 링(Ring) 구조
  3. 계층(Hierarchy) 구조
  4. 완전 연결(Fully Connection) 구조
(정답률: 73%)
  • 성형 구조는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각 노드들이 point-to-point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 구조는 중앙 컴퓨터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노드들 간의 직접적인 통신이 필요하지 않아 간단하고 유연한 구조이다. 또한 중앙 컴퓨터가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지만, 다른 구조에 비해 유지보수가 쉽고 확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RR(ROUND ROBIN) 스케줄링 기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할당된 자원과 처리기의 소유권은 수행중인 프로세스의 제어권한이다.
  2. FIFO스케줄링 기법을 선점기법 (PREEMPTIVE)으로 구현한 것이다.
  3.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한 방식이다.
  4. 빈번한 스케줄러의 실행이 요구된다.
(정답률: 34%)
  • 답: "할당된 자원과 처리기의 소유권은 수행중인 프로세스의 제어권한이다."는 RR 스케줄링의 특징이 맞는 설명이다.

    RR 스케줄링은 할당된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에게 처리기를 넘기는 방식으로, 선점 기법(preemptive)으로 구현된 FIFO 스케줄링 기법이다.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하며, 빈번한 스케줄러의 실행이 요구된다는 것도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디스크에서 헤드가 70트랙을 처리하고 60트랙으로 이동해 왔다.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으로 SCAN 방식을 사용할 때 다음 디스크 대기큐에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트랙은?

  1. 20
  2. 50
  3. 95
  4. 100
(정답률: 70%)
  • SCAN 방식은 디스크 헤드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방향에 있는 모든 트랙을 처리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해당 방향에 있는 모든 트랙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을 먼저 처리하고, 이동 방향에 따라 다음으로 처리할 트랙을 결정한다.

    현재 헤드 위치는 60트랙이고, 이동 방향은 오른쪽이다. 따라서, 오른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트랙인 95트랙을 먼저 처리하고, 이어서 100트랙을 처리한다. 그리고 헤드 이동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50트랙을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 디스크 대기큐에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트랙은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분산 시스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보안이 향상된다.
  2. 자원 공유가 가능하다.
  3. 신뢰성이 보장된다.
  4. 연산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정답률: 71%)
  • 보안이 향상되는 것은 분산 시스템의 장점이 아니다. 분산 시스템은 자원 공유가 가능하고 신뢰성이 보장되며 연산 처리 속도가 향상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분산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 강화를 위한 추가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운영체제 구성요소의 핵심으로 인터럽트 처리기, 디스패처, 프로세스 동기화 등을 지원하는 것은?

  1. I/O 인터페이스
  2. Shell
  3. Kernel
  4. NetBIOS
(정답률: 61%)
  • 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구성요소로, 인터럽트 처리기, 디스패처, 프로세스 동기화 등을 지원하여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들을 지원하는 것이 Kernel이며,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CPU 스케줄링 방식 중 비선점(nonpreemptive)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RT 스케줄링
  2. HRN 스케줄링
  3. FIFO 스케줄링
  4. SJF 스케줄링
(정답률: 47%)
  • SRT 스케줄링은 선점(preemptive) 방식으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보다 예상 실행 시간이 더 짧은 프로세스가 있으면 그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비선점 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스레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 내부에 포함되는 스레드는 공통적으로 접근 가능한 기억장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통신한다.
  2. 스레드란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단위를 말하며, 다중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시스템 하에서 CPU에게 보내져 실행되는 또 다른 단위를 의미한다.
  3.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스레드들로 구성되어 있을 때, 하나의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스레드들은 모두 공통적인 제어흐름을 갖는다.
  4. 상태의 절감은 하나의 연관된 스레드 집단이 기억장치나 파일과 같은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정답률: 56%)
  • 정답은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스레드들로 구성되어 있을 때, 하나의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스레드들은 모두 공통적인 제어흐름을 갖는다." 이다.

    이유는 스레드는 각각 독립적인 실행 흐름을 가지기 때문에 제어흐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스레드 간의 제어흐름을 동기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뮤텍스, 세마포어 등의 동기화 기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더라도 스레드 간의 제어흐름이 항상 공통적이라는 보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HRN 기법에서 우선순위를 구하는 식은?

  1. (대기시간+서비스를 받을 시간) / 서비스를 받을 시간
  2. (서비스를 받을 시간+대기 시간) / 대기 시간
  3. (서비스를 받을 시간 – 대기 시간) / 대기 시간
  4. (대기 시간 – 서비스를 받을 시간) / 서비스를 받을 시간
(정답률: 69%)
  • HRN 기법에서 우선순위를 구하는 식은 "(대기시간+서비스를 받을 시간) / 서비스를 받을 시간" 이다. 이 식은 대기시간과 서비스를 받을 시간의 합을 서비스를 받을 시간으로 나눈 것으로, 대기시간이 짧고 서비스를 빨리 받을 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이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대기시간이 길고 서비스를 느리게 받는 고객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Master/Slave(주/종)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종 프로세서는 입, 출력 발생 시 주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2. 주 프로세서는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3. 주 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된다.
  4. 종 프로세서는 입, 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정답률: 67%)
  • "종 프로세서는 입, 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주 프로세서가 입, 출력과 연산을 담당하고, 종 프로세서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종 프로세서는 주 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주 프로세서의 명령을 수행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E. J. Dijkstra가 제안한 방법으로 반드시 상호배제의 원리가 지켜져야 하는 공유 영역에 대해 각각의 프로세스들이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두 개의 연산 P와 V를 통해서 프로세스 사이의 동기를 유지하고 상호 배제의 원리를 보장하는 것은?

  1. synchronization
  2. context switching
  3. monitor
  4. semaphore
(정답률: 63%)
  • 세마포어는 상호배제의 원리를 지키기 위해 사용되는 동기화 도구로,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P와 V 두 개의 연산을 제공합니다. P 연산은 세마포어 값을 1 감소시키고, 값이 0보다 작아지면 해당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로 전환됩니다. V 연산은 세마포어 값을 1 증가시키고, 대기 중인 프로세스가 있다면 하나를 깨워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듭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간의 동기화와 상호배제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인 ATM 셀(CELL)의 구조로 옳은 것은?

  1. Header : 5 옥텟, Payload : 53 옥텟
  2. Header : 5 옥텟. Payload : 48 옥텟
  3. Header : 2 옥텟, Payload : 64 옥텟
  4. Header : 6 옥텟, Payload : 52 옥텟
(정답률: 64%)
  • 옳은 것은 "Header : 5 옥텟. Payload : 48 옥텟" 이다. ATM 셀은 53바이트(424비트)로 구성되며, 이 중에서 5바이트는 헤더(header)로 구성되고, 48바이트는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헤더는 셀의 경로 및 제어 정보를 담고 있으며, 페이로드는 실제 데이터를 담고 있다. 따라서 셀의 전체 크기는 53바이트이지만, 헤더와 페이로드의 크기는 각각 5바이트와 48바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ARQ 방식 중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해 나가다가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은?

  1. GO-back-N ARQ
  2. Selective-Repeat ARQ
  3. Window-Control ARQ
  4. Adaptive ARQ
(정답률: 73%)
  • GO-back-N ARQ 방식은 수신측에서 NAK를 수신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의 순서를 유지하며, 일부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Selective-Repeat ARQ 방식과는 달리, 전체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GO-back-N ARQ 방식이 정답입니다. Window-Control ARQ와 Adaptive ARQ는 다른 ARQ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데이터그램(datagram) 패킷교환방식에 대한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신은 송신된 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한다.
  2. 속도 및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3. 각 패킷은 오버헤드 비트가 필요하다.
  4. 대역폭 설정에 융통성이 있다.
(정답률: 43%)
  • "각 패킷은 오버헤드 비트가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에서는 각 패킷마다 목적지 주소와 출발지 주소 등의 정보를 포함한 헤더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헤더 정보를 위해 오버헤드 비트가 필요합니다.

    "수신은 송신된 순서대로 패킷이 도착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에서는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송신된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패킷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수신측에서 패킷을 재조립할 때 순서대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광섬유 케이블의 기본 동작 원리는 무엇에 의해서 이루어지는가?

  1. 산란
  2. 흡수
  3. 전반사
  4. 분산
(정답률: 75%)
  • 광섬유 케이블의 기본 동작 원리는 전반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광섬유 케이블 안에 있는 광섬유가 빛을 내보내면, 광섬유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반사 현상으로 인해 빛이 광섬유 안에서 계속해서 전달되어 목적지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이 빛을 흡수하거나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고, 빛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광섬유의 구조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다중 모드 손실
  2. 불균등 손실
  3. 코어 손실
  4. 마이크로밴딩 손실
(정답률: 38%)
  • 광섬유의 구조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다중 모드 손실"입니다. 다중 모드 손실은 광섬유 내에서 여러 개의 광 모드가 동시에 전파되어 발생하는 손실로, 광섬유의 구조 손실 중 하나입니다. 다른 세 가지 손실인 불균등 손실, 코어 손실, 마이크로밴딩 손실은 모두 광섬유의 구조 손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샤논(Shnnon)의 정리에 따라 백색 가우스 잡음이 발생되는 통신선로의 용량(C)이 옳게 표시된 것은? (단, W : 대역폭, S/N : 신호대잡음비)

  1. C=Wlog2(1+S/N)
  2. C=2Wlog10(10+S/N)
  3. C=Wlog2(S/N)
  4. C=3Wlog10(1+S/N)
(정답률: 51%)
  • Shannon의 정리에 따르면, 용량(C)은 대역폭(W)과 신호대잡음비(S/N)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백색 가우스 잡음이 발생하는 통신선로의 경우, 신호대잡음비(S/N)는 10^(S/N/10)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C=Wlog2(1+S/N)은 C=Wlog2(1+10^(S/N/1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신호대잡음비(S/N)이 증가할수록 용량(C)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C=Wlog2(1+S/N)"이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데이터 통신에서의 변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PSK
  3. FSK
  4. ESK
(정답률: 71%)
  • ESK는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지 않는 변조 방식입니다. ASK는 진폭 변조, PSK는 위상 변조, FSK는 주파수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 해 줌으로써 통화가 지속되게 하는 기능은?

  1. 핸드오프
  2. 핸드쉐이크
  3. 쉘의 분할
  4. 페이딩
(정답률: 65%)
  • 핸드오프는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해주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통화가 지속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데이터 교환방식 중 축적 교환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메시지 교환방식
  2. 회선 교환방식
  3.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
  4.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
(정답률: 47%)
  • 회선 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설정하고 이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한 전송 속도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축적이나 분할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메시지 교환방식,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은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거나 축적하여 전송할 수 있어서 축적 교환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통신망 구성 형태 중 하나의 노드에 여러 개의 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각 노드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망의 형태는?

  1. 트리(Tree)형
  2. 링(Ring)형
  3. 스타(Star)형
  4. 버스(Bus)형
(정답률: 70%)
  • 트리(Tree)형은 하나의 노드에서 여러 개의 하위 노드가 분기되어 연결되는 구조로, 계층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위 노드에서 하위 노드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구조로, 데이터 전송이 일방향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트리(Tree)형은 중앙집중식 구조로 많이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변조속도가 1600[baud]이고 트리비트(tribit)를 사용한다면 전송속도(bps)는?

  1. 1600
  2. 3200
  3. 4800
  4. 6400
(정답률: 72%)
  • 트리비트는 3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변조속도에 3을 곱한 값이 전송속도가 된다. 따라서 1600 x 3 = 4800 이므로 전송속도는 48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16-QAM에서 16은 무엇의 개수를 나타내는가?

  1. 위상
  2. 진폭
  3. 위상과 진폭의 조합
  4. 주파수
(정답률: 63%)
  • 16은 "위상과 진폭의 조합"의 개수를 나타낸다. 16-QAM은 4개의 진폭과 4개의 위상을 조합하여 16개의 서로 다른 심볼을 만들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심볼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통해 전송되어 통신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16진 QAM 의 전송 대역폭 효율은 몇 [bps/Hz]인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64%)
  • 16진 QAM은 4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송 대역폭 효율은 4 [bps/Hz]입니다. 즉, 1 Hz의 대역폭에서 4 bps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OSI 7계층 참조모델 중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교환, 전자사서함, 파일전송 등을 취급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응용 계층
  3. 데이터링크 계층
  4. 전송 계층
(정답률: 40%)
  • 응용 계층은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계층으로,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교환, 전자사서함, 파일전송 등과 같은 고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위해 응용 계층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전달 방향이 교대로 바뀌어 전송되는 교번식 통신 방법으로 무전기에 사용되는 것은?

  1. 반이중 통신
  2. 전이중 통신
  3. 단방향 통신
  4. 실시간 통신
(정답률: 68%)
  • 무전기에서는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방향이 교대로 바뀌어 전송되는 교번식 통신 방법인 "반이중 통신"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전이중 통신과는 달리 동시에 송신과 수신을 할 수 없으며, 단방향 통신과는 달리 데이터가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되지 않습니다. 또한, 무전기에서는 실시간 통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번식 통신 방법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대역폭이 100[kHz]이고 신호대잡음비(S/N)가 15일 때, 채널용량[Kbps]은?

  1. 200
  2. 400
  3. 600
  4. 800
(정답률: 50%)
  •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채널용량 = 대역폭 x log2(1 + S/N)

    여기서 대역폭은 100[kHz], S/N은 15입니다.

    따라서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채널용량 = 100 x log2(1 + 15) = 400[Kbps]

    따라서 정답은 "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검출 후 재전송(ARQ)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Window-Control ARQ
  2. Stop-and Wait ARQ
  3. Go-back-N ARQ
  4. Selective-Repeat ARQ
(정답률: 66%)
  • "Window-Control ARQ"는 검출 후 재전송 방법이 아니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여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검출 후 재전송 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문
  2. 의미
  3. 순서
  4. 포맷
(정답률: 70%)
  •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는 구문, 의미, 순서이며, 포맷은 이러한 요소들을 구체화하여 구현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포맷은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가 아니라 구현 방식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HDLC의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스타트 필드(Start Field)
  2. 플래그 필드(Flag Field)
  3. 주소 필드(Address Field)
  4. 제어 필드(Control Field)
(정답률: 69%)
  • HDLC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스타트 필드(Start Field)"입니다. 스타트 필드는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 패턴이며, HDLC 프레임 구조에서는 플래그 필드로 대체됩니다. 플래그 필드는 스타트 필드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스타트 필드보다 더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비트 패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LAN에서 사용되는 매체 액세스 제어 기법과 관련 없는 것은?

  1. TOKEN-BUS
  2. XSMA
  3. CSMA/CD
  4. TOKEN-RING
(정답률: 65%)
  • 정답은 "XSMA"입니다. 이유는 "XSMA"라는 용어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CSMA/CD"는 충돌 감지 방식, "TOKEN-BUS"와 "TOKEN-RING"은 토큰 패싱 방식으로 매체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