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정보처리기사(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다음 SQL 명령 중 DML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②,④,⑤,⑥,⑦
  2. ②,⑤,⑥,⑦
  3. ①,②,⑥
  4. ②,④
(정답률: 75%)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 검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②, ⑤, ⑥, ⑦은 모두 DML에 해당하는 명령어이다. ②는 INSERT, ⑤는 UPDATE, ⑥은 DELETE, ⑦은 SELECT이므로, 정답은 "②,⑤,⑥,⑦"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베이스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비용 감소
  2. 신뢰성(Reliability)와 가용성(Avability) 향상
  3. 질의처리(Query processing) 향상
  4. 데이터의 공유성 향상
(정답률: 76%)
  •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대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므로, 데이터베이스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이 감소합니다. 이는 단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대규모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축해야 하지만,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 제어어(DCL)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보안
  2. 논리적, 물리적 데이터 구조 정의
  3. 무결성 유지
  4. 병행수행 제어
(정답률: 65%)
  • DCL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보안", "무결성 유지", "병행수행 제어"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기능은 "논리적, 물리적 데이터 구조 정의"이다. 이는 데이터 정의어(DDL)의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스템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다양한 데이터 객체에 대한정보들을 유지,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2. 시스템카탈로그를 데이터사전(Date Dictionary)이라고도 한다.
  3. 시스템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를 메타 데이터라고도 한다.
  4. 시스템카탈로그는 시스템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정답률: 77%)
  • 시스템카탈로그는 시스템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일부 시스템카탈로그는 일반 사용자에게도 접근 가능하며, 일반 사용자도 해당 시스템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과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물리적 설계→논리적 설계
  2.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
  3. 요구조건 분석→논리적 설계→개념적 설계→물리적 설계
  4. 요구조건 분석→물리적 설계→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
(정답률: 80%)
  •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은 요구조건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설계를 수행하여 업무 프로세스와 개체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이를 논리적 설계로 변환하여 데이터 모델을 구축하며, 마지막으로 물리적 설계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현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은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property of the transaction to ensure integrity of the data?

  1. isolation
  2. autonomy
  3. durability
  4. consistency
(정답률: 55%)
  • Autonomy is not a property of the transaction to ensure integrity of the data because it refers to the ability of a transaction to execute independently without interference from other transactions. While autonomy is important for ensuring transactional independence, it does not directly contribute to data integrity. The other properties listed - isolation, durability, and consistency - all play a role in ensuring that data remains accurate and consistent throughout the transaction proces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트리를 Preorder 운행법으로 운영한 결과는?

  1. DBGHEFCA
  2. ABDCEGHF
  3. DBAGEHCF
  4. ABCDEFGH
(정답률: 68%)
  • Preorder 운행법은 루트 노드를 먼저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방문한 후에 오른쪽 서브트리를 방문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트리의 Preorder 운행법 결과는 "A" (루트 노드) -> "B" (A의 왼쪽 자식) -> "D" (B의 왼쪽 자식) -> "C" (A의 오른쪽 자식) -> "E" (C의 왼쪽 자식) -> "G" (E의 오른쪽 자식) -> "H" (C의 오른쪽 자식) -> "F" (A의 오른쪽 자식의 왼쪽 자식) 이므로, 정답은 "ABDCEGH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2%)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노드 1은 3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수는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Fi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색인 영역은 트랙 색인 영역, 실린더 색인 영역, 오버플로우 색인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랜덤(random) 및 순차(sequence)처리가 모두 가능하다.
  3. 레코드의 삽입과 삭제가 용이하다.
  4. 색인 및 오버플로우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정답률: 50%)
  • "색인 영역은 트랙 색인 영역, 실린더 색인 영역, 오버플로우 색인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물리적 설계 옵션 선택시 고려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트랜잭션 모델링
  2. 응답시간
  3. 저장 공간의 효율화
  4. 트랜잭션 처리율
(정답률: 65%)
  • 트랜잭션 모델링은 물리적 설계 옵션 선택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트랜잭션 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트랜잭션의 성격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거리가 먼 것은 "트랜잭션 모델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개체-관계모델에 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

  1.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라고도 한다.
  2.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을 기본요소로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한다.
  3.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 타입은 사각형으로 나타낸다.
  4. E-R 다이어그램에서 속성은 타원으로 나타낸다.
(정답률: 64%)
  •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라고도 한다."는 개체-관계모델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문장이다.

    개체-관계모델은 개체 타입과 이들 간의 관계 타입을 기본요소로 이용하여 현실 세계를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모델이다. E-R 다이어그램에서 개체 타입은 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속성은 타원으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은 내용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①,②,③,④
  2. ①,②,③
  3. ②,④
  4. ①,③,④
(정답률: 74%)
  • ① 속성은 모두 기본키에 속한다.
    ② 튜플은 중복되지 않는다.
    ③ 속성 A와 속성 B는 함수적 종속 관계이다.
    ④ 속성 C는 NULL 값을 가질 수 있다.

    ①은 모든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기본키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②는 중복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③은 속성 A의 값이 결정되면 속성 B의 값도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④는 속성 C가 NULL 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규화 과정 중 1NF에서 2NF가 되기 위한 조건은?

  1. 1NF를 만족하고 모든 도메인이 원자 값이어야 한다.
  2. 1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애트리뷰트들이 기본키에 이행적으로 함수 종속되지 않아야 한다.
  3. 1NF를 만족하고 다치 종속이 제거되어야 한다.
  4. 1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함수적 종속되어야 한다.
(정답률: 49%)
  • 정규화 과정 중 1NF에서 2NF가 되기 위한 조건은 "1NF를 만족하고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함수적 종속되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2NF는 기본키에 대해 부분적으로 종속되는 속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가 아닌 속성이 기본키의 일부에만 종속되는 경우, 이를 분리하여 별도의 릴레이션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키가 아닌 속성이 기본키에 완전함수적 종속이어야만 한다. 즉, 기본키의 어떤 일부에도 종속되지 않고, 기본키 전체에 종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병형제어의 로킹(Locking)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킹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
  2.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3. 데이터베이스도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4. 로킹 단위가 커지면 로크 수가 작아 로킹 오버헤드가감소한다.
(정답률: 68%)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지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로킹 단위가 작아질수록 동시에 접근 가능한 자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킹 단위를 작게 설정하면 병행성은 높아지지만,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단위는 적절한 크기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자료를 삽입(Insertion)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자 한다. 3회전 후의 결과로 옳은 것은?

  1. 3, 4, 5, 2, 1
  2. 4, 5, 3, 2, 1
  3. 2, 3, 4, 5, 1
  4. 1, 2, 3, 4, 5
(정답률: 55%)
  • Insertion 정렬은 현재 위치에서 그 이하의 배열들을 비교하여 자신이 들어갈 위치를 찾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정렬을 수행한다.

    1회전: 3은 이미 정렬된 상태이므로 아무런 변화가 없다.

    2회전: 4는 3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5는 4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2는 5보다 작으므로 5와 자리를 바꾼다. [3, 4, 2, 5, 1]

    3회전: 4는 3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2는 4보다 작으므로 4와 자리를 바꾼다. [3, 2, 4, 5, 1] 5는 4보다 크므로 그대로 둔다. 1은 5보다 작으므로 5와 자리를 바꾼다. [3, 2, 4, 1, 5]

    따라서 3회전 후의 결과는 "3, 2, 4, 1, 5" 이다. 정답은 "2, 3, 4, 5, 1"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뷰(view)에 대한 설명 중 옳은 내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①, ③, ④
  3. ②, ④
  4. ③, ④
(정답률: 68%)
  • ③은 뷰의 크기와 위치를 지정하는 속성이고, ④는 뷰의 콘텐츠를 그리는 속성이다. 따라서 옳은 내용으로만 나열된 것은 "③, ④"이다. ①은 뷰의 이름을 지정하는 속성이고, ②는 뷰의 색상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뷰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Which of the following is a linear list in that elements are accessed created and deleted in a last-in-first-out order?

  1. Queue
  2. Graph
  3. Stack
  4. Tree
(정답률: 71%)
  • "Stack" is the correct answer because it follows the last-in-first-out (LIFO) principle, where the most recently added element is the first one to be removed. This is similar to a stack of plates, where the last plate added is the first one to be taken off the top.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하는 것은?

  1. 트랜젝션
  2. 튜플
  3. 카디널리티
(정답률: 77%)
  • 트랜젝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개의 작업이 동시에 일어날 때, 이러한 작업들을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서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랜젝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2.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Codd)가 관계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3.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다.
  4.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특성을 가진다.
(정답률: 61%)
  • 옳지 않은 설명은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이다. 관계해석은 수학의 관계대수와 관련이 있으며, 프레디킷 해석은 관계해석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관계해석은 프레디킷 해석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특성을 가지는 이유는, 관계해석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추론하는 과정에서 어떤 정보를 원하는지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할 수 있는지를 절차적으로 기술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영어 설명 중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로 옳은 내 용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①, ②, ④
  2. ②, ③
  3. ①, ③
  4. ①, ②, ③, ④
(정답률: 64%)
  • ① 데이터베이스는 조직의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할 수 있는 통합된 데이터의 집합이다.
    ② 데이터베이스는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 무결성, 보안성 등을 유지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③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저장하고, 검색, 갱신,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도구이다.
    ④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인덱스, 뷰, 트리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②, ④"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어떤 디스크 팩이 6장으로 되어 있고 1면에는 200개의 트랙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디스크 팩에서 사용 가능한 Cylinder는 몇 개인가?

  1. 200
  2. 400
  3. 1200
  4. 2400
(정답률: 42%)
  • 한 면에 200개의 트랙을 사용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Cylinder는 1개의 트랙을 따라서 쌓인 원통 모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디스크 팩에서 사용 가능한 Cylinder의 수는 200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어디에 기준을 두고 실행되는가?

  1. flag
  2. 펄스
  3. 메모리
  4. RAM
(정답률: 41%)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컴퓨터 시스템의 클럭 펄스에 기준을 두고 실행됩니다. 클럭 펄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는 전기 신호로, 이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실행되고 동기화됩니다. 따라서 "펄스"가 정답입니다. "flag"는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변수의 일종이며, "메모리"와 "RAM"은 컴퓨터의 기억장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스트럭션의 설계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interrupt 종류
  2. 연산자의 수와 종류
  3. 데이터 구조
  4. 주소지정 방식
(정답률: 50%)
  • 인스트럭션의 설계 과정에서 interrupt 종류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interrupt 종류는 인터럽트 처리를 위한 기능으로, 인스트럭션의 설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interrupt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대주소지정방식을 사용하는 JUMP 명령어가 750번지에 저장되어 있다. 오퍼랜드 A=56일 때와 A=-61일 때 몇 번지로 JUMP 하는가?

  1. 806, 689
  2. 56, 745
  3. 807, 690
  4. 56, 689
(정답률: 51%)
  • 상대주소지정방식에서 JUMP 명령어는 현재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거리를 오퍼랜드로 받아 목적지를 계산한다.

    A=56일 때, JUMP 명령어는 현재 위치에서 56칸 뒤로 이동하므로 750+56=806번지로 JUMP한다.

    A=-61일 때, JUMP 명령어는 현재 위치에서 61칸 앞으로 이동하므로 750-61=689번지로 JUMP한다.

    따라서 정답은 "807, 6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메모리 구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캐시는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보조기억장치(가상메모리)는 CPU에 의하여 현재 쓰이지 않는 부분을 저장한다.
  2. 캐시는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저장하고 보조기억장치(가상메모리)도 CPU에 의하여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부분을 저장한다.
  3. 보조기억장치(가상메모리)는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캐시는 CPU에 의하여 현재 쓰이지 않는 부분을 저장한다.
  4. 보조기억장치(가상메모리)와 캐시 모두 CPU에 의하여 현재 쓰이지 않는 부분을 저장한다.
(정답률: 53%)
  • 캐시는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조기억장치(가상메모리)는 CPU에 의하여 현재 쓰이지 않는 부분을 저장한다. 이는 캐시가 빠른 속도로 접근 가능한 작은 용량의 메모리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조기억장치는 느린 속도로 접근 가능한 큰 용량의 메모리이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RS 플립플롭에서 출력이 이전 입력에 의한 출력 값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는?

  1. R=0, S=0
  2. R=0, S=1
  3. R=1, S=0
  4. R=1, S=1
(정답률: 58%)
  • RS 플립플롭에서 "R=0, S=0" 일 때, 출력은 이전 입력에 의한 출력 값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이는 R과 S 입력 모두가 0이기 때문에, 플립플롭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입니다. 즉, 이전 상태에서 출력이 0이었다면, 현재 상태에서도 출력은 0이 유지됩니다. 이전 상태에서 출력이 1이었다면, 현재 상태에서도 출력은 1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R=0, S=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의 Decoder에 있어서 Y0, Y1 에 각각 0, 1 이 입력되었을 때 1을 출력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쪽 단자인가?

  1. X0
  2. X1
  3. X2
  4. X3
(정답률: 59%)
  • 정답은 "X2"이다. 이유는 Y0, Y1이 각각 0,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X1과 X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X1은 0, X2는 1이 된다. 그리고 OR 게이트를 통해 X1과 X2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종 출력값은 1이 된다. 따라서 1을 출력하는 단자는 X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스트럭션 수행시간이 20ns이고, 인스트럭션 패치시간이 5ns, 인스트럭션 준비시간이 3ns이라면 인스트럭션의 성능은 얼마인가?

  1. 0.4
  2. 0.6
  3. 2.5
  4. 4.0
(정답률: 58%)
  • 인스트럭션의 성능은 인스트럭션 하나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인스트럭션의 성능은 인스트럭션 수행시간인 20ns이다. 인스트럭션 패치시간과 준비시간은 인스트럭션 수행시간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이므로, 인스트럭션의 성능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불 함수 를 최소항의 곱으로 바르게 표시한 것은?

  1. F(A, B, C) = ∑(1, 4, 5, 6, 7)
  2. F(A, B, C) = ∑(1, 2, 3, 6, 7)
  3. F(A, B, C) = ∑(1, 3, 5, 6, 7)
  4. F(A, B, C) = ∑(1, 2, 4, 6, 7)
(정답률: 44%)
  • 불 함수를 최소항의 곱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참인 경우를 모두 곱하고 거짓인 경우를 모두 더해야 합니다. 따라서, 불 함수를 참으로 만드는 최소항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번째 항: A'B'C'
    - 4번째 항: A'BC'
    - 5번째 항: AB'C'
    - 6번째 항: ABC'
    - 7번째 항: ABC

    이를 모두 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A, B, C) = A'B'C' + A'BC' + AB'C' + ABC' + ABC

    하지만,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거짓인 경우를 모두 더해야 합니다. 따라서, 2, 3번째 항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F(A, B, C) = A'B'C' + A'BC' + AB'C' + ABC' + ABC + A'BC + AB'C

    이를 최소항의 곱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A, B, C) = ∑(1, 4, 5, 6, 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연산 명령 자체로 특수한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하거나 혹은 곱셈과 나눗셈에 보조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1. 산술적 Shift
  2. 논리적 Shift
  3. ADD
  4. rotate
(정답률: 63%)
  • 산술적 Shift는 연산 명령 자체로 곱셈과 나눗셈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산술적 Shift는 이진수의 자릿수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부호비트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키는 연산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2의 거듭제곱을 곱하거나 나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진수 1010을 오른쪽으로 1칸 산술적 Shift하면 0101이 됩니다. 이는 2로 나눈 결과와 같습니다. 왼쪽으로 1칸 산술적 Shift하면 10100이 됩니다. 이는 2를 곱한 결과와 같습니다. 따라서 산술적 Shift는 곱셈과 나눗셈에 보조적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Interrupt cycle에 대한 micro-operation 중 관계가 없는 것은?

  1. MAR ← PC, PC ← PC + 1
  2. MBR ← MAR, PC ← 0
  3. M ← MBR, IEN ← 0
  4. GO TO fetch cycle
(정답률: 36%)
  • Interrupt cycle에서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멈추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을 실행해야 하므로, 현재 PC(Program Counter) 값을 저장하고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찾기 위해 PC 값을 0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MBR ← MAR, PC ← 0"이 관계가 없는 것이 아니라, Interrupt cycle에서 필요한 micro-operation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 -13.625를 부동소수점으로 표현할 때 지수부에 해당 하는 값은? (단, 바이어스는 128이고, 소수점 아래의 1번째 비트는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1. 0000 0100
  2. 1000 0000
  3. 1000 0100
  4. 0110 1101
(정답률: 43%)
  • -13.625를 2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 13 = 1101
    - 0.625를 2진수로 변환하면 0.101이 된다.

    따라서 -13.625의 2진수 표현은 1101.101이 된다.

    부호비트는 1이므로, 지수부는 128 - 14 = 114가 된다.

    소수부는 101과 같이 23비트까지 저장한다.

    따라서 부동소수점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114 1101 1010 0000 0000 000

    지수부는 114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인 "1000 010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3 다음과 같은 스택(stack) 구조에서 SP(stack pointer)와 레지스터 A가 pop A를 수행한 후 SP와 A 레지스터의 내용은?

  1. 2, 9
  2. 4, 7
  3. 3, 9
  4. 2, 5
(정답률: 38%)
  • pop A는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값을 꺼내서 레지스터 A에 저장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SP은 3에서 1 감소하여 2가 되고, A 레지스터에는 스택에서 꺼낸 값인 9가 저장된다. 따라서 정답은 "2,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마이크로연산이 ]나타내는 동작은?

  1. Branch AC
  2. Store to AC
  3. Add AC
  4. Load to AC
(정답률: 47%)
  • 해당 마이크로연산은 "Store to AC"을 나타냅니다. 이는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에서 AC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메모리 주소에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이를 나타내는 이유는 마이크로연산의 이름에서 "Store"와 "AC"이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C 레지스터와 관련된 동작이지만,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는 것은 "Store to AC"이기 때문에 정답은 "Store to A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분리 캐시(split cache)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1. 캐시 크기의 확장
  2. 캐시 적중률 향상
  3. 캐시 액세스 충돌 제거
  4. 데이터 일관성 유지
(정답률: 55%)
  • 분리 캐시를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캐시 액세스 충돌을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캐시에 저장된 데이터가 많아지면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분리 캐시를 사용하면 캐시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도 충돌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캐시 적중률 향상과 데이터 일관성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명령 사이클의 명령어 인출 과정에서 DMA(Direct Memory Access) 요청이 있었다면 CPU는 어느 지점에서 요청 사실을 아는가?

(정답률: 47%)
  • CPU는 명령어 인출을 위해 프로그램 카운터(PC)가 가리키는 주소에서 명령어를 읽어온다. 만약 DMA 요청이 발생하면, DMA 컨트롤러가 CPU에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알려준다. 따라서 CPU는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실행하면서 DMA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DMA 요청이 발생한 시점은 명령어 인출 과정에서 PC가 가리키는 주소에서 DMA 요청이 발생하기 전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식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일 인터럽트 요청신호 회선체계의 경우 고유 인터럽트 요청신호 회선체계와 달리 장치 식별이 필요하지 않다.
  2. 폴링방식은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가 자신의 장치번호를 장치번호버스(Device Code Bus)를 통해 CPU에 알리는 방식이다.
  3. 벡터인터럽트 방식은 소프트웨어에 의한 장치식별 방식이다.
  4. 벡터 인터럽트 방식은 장치 식별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루틴이 없어 속도 면에서 폴링 방식에 비해 빠르다.
(정답률: 47%)
  • 벡터 인터럽트 방식은 장치 식별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 루틴이 없어 속도 면에서 폴링 방식에 비해 빠르다. 이는 벡터 인터럽트 방식이 인터럽트를 요청한 장치의 고유한 인터럽트 번호를 사용하여 CPU가 적절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벡터 인터럽트 방식은 폴링 방식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DMA 제어기에서 CPU와 I/O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1. address register
  2. word count register
  3. address line
  4. device register
(정답률: 44%)
  • DMA 제어기는 CPU와 I/O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전송할 데이터의 주소를 저장하는 "address register", 전송할 데이터의 크기를 저장하는 "word count register", 전송할 데이터의 목적지를 지정하는 "address line"이다. 하지만 "device register"는 DMA 제어기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CPU와 I/O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device regist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2계층 캐시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평균 메모리 엑세스 시간이 약 몇 배 향상되는가?

  1. 0.7
  2. 1.4
  3. 2.7
  4. 5.5
(정답률: 44%)
  • 2계층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면 CPU가 메모리에 접근할 때 먼저 L1 캐시 메모리를 확인하고, L1 캐시 메모리에 없는 경우 L2 캐시 메모리를 확인하고, L2 캐시 메모리에도 없는 경우에만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게 됩니다. 이렇게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면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는 횟수가 줄어들어 평균 메모리 엑세스 시간이 단축됩니다.

    위의 시스템에서는 메인 메모리의 엑세스 시간이 100ns이고, L1 캐시 메모리의 엑세스 시간이 5ns, L2 캐시 메모리의 엑세스 시간이 20ns이라고 가정합니다. 이 경우, L1 캐시 메모리와 L2 캐시 메모리를 모두 사용하는 2계층 캐시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L1 캐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 L2 캐시 메모리를 확인하고, L2 캐시 메모리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만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므로 평균 메모리 엑세스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0.9 * 5ns) + (0.1 * 20ns) + (0.1 * 100ns) = 0.45ns + 2ns + 10ns = 12.45ns

    반면, 2계층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 메인 메모리에 접근해야 하므로 평균 메모리 엑세스 시간은 100ns이 됩니다.

    따라서, 2계층 캐시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 평균 메모리 엑세스 시간은 100ns 대비 약 8배 정도 단축되므로, 2.7배 정도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동기가변식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사이클 타임을 정의하는 방식은 수행시간이 유사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끼리 모아 집합을 이루고 각 집합에 대해서 서로 다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사이클 타임을 정한다. 이 때 각 집합간의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수배가 되도록 하는 이유는?

  1. 각 집합 간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2. 각 집합간의 사이클 타임을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하기 위하여
  3. 각 집합간의 사이클 타임을 모두 다르게 정의 하기 위하여
  4. 사이클 타임을 비동기식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정답률: 69%)
  • 각 집합 간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을 동기화시키는 이유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동작할 경우 데이터의 불일치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집합의 사이클 타임을 정수배로 맞추어 동기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프로세스(proc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랩 오류, 프로그램 요구, 입.출력 인터럽트에 대해 조치를 취한다.
  2.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로 정의할 수 있다.
  3.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4. 프로세스는 각종 자원을 요구한다.
(정답률: 51%)
  • "트랩 오류, 프로그램 요구, 입.출력 인터럽트에 대해 조치를 취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말하며,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는 각종 자원을 요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분산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원 공유
  2. 연산속도 향상
  3. 통신기능 증대
  4. 보안성 향상
(정답률: 72%)
  • 분산 운영체제의 목적은 자원 공유, 연산속도 향상, 통신기능 증대 등이 있지만, 거리가 먼 것은 보안성 향상입니다. 이는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와 자원이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 위협이 더욱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보안성을 강화하는 기술과 방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운영체제를 자원 관리자(Resource Manager)라는 관점으로 보았을 때, 자원들을 관리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2. 다 → 라 → 나 → 가
  3. 가 → 다 → 나 → 라
  4. 다 → 나 → 라 → 가
(정답률: 65%)
  • 다 → 나 → 라 → 가

    1. 자원 요청: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한다.
    2. 자원 할당: 운영체제가 요청한 자원을 할당한다.
    3. 자원 이용: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한다.
    4. 자원 반납: 프로세스가 자원을 반납한다.

    이 순서대로 자원을 관리하게 된다. 먼저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하고, 운영체제가 해당 자원을 할당해준다.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한 후에는 반드시 자원을 반납해야 한다. 이렇게 자원을 관리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페이징 기법에서 페이지 크기가 작아질수록 발생하는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억장소 이용 효율이 증가한다.
  2. 입/출력 시간이 늘어난다.
  3. 내부 단편화가 감소한다.
  4.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감소한다.
(정답률: 50%)
  • 페이지 크기가 작아질수록 페이지 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페이지 맵 테이블에 저장되는 페이지 번호와 프레임 번호의 쌍도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페이지 크기가 작아질수록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인 최초, 최적, 최악 적합기법을 각각 사용할 때, 각 방법에 대하여 5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을 각 기법의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단, 영역 1, 2, 3, 4 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영역1, 영역3, 영역4
  2. 영역2, 영역1, 영역3
  3. 영역1, 영역2, 영역3
  4. 영역1, 영역1, 영역4
(정답률: 70%)
  • 최초 적합 기법은 메모리의 처음부터 순서대로 할당하므로, 5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 중 가장 처음인 영역 1에 할당된다. 최적 적합 기법은 가장 작은 크기의 빈 영역을 찾아 할당하므로, 5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 중 가장 작은 크기의 빈 영역인 영역 1에 할당된다. 최악 적합 기법은 가장 큰 크기의 빈 영역을 찾아 할당하므로, 5K의 프로그램이 할당되는 영역 중 가장 큰 크기의 빈 영역인 영역 4에 할당된다. 따라서 영역1, 영역1, 영역4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닉스에서 I-node 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UID)
  2. 파일에 대한 링크 수
  3.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
  4. 파일의 크기
(정답률: 68%)
  • I-node는 유닉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체이다. 이 중에서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은 I-node의 내용 중 하나로,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을 기록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파일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를 나타내지만, 이 보기는 파일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현재 헤드 위치가 53에 있고 트랙 0번 방향으로 이동 중이다. 요청 대기 큐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 중일 때 SSTF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면 헤드의 총 이동거리는 얼마인가?

  1. 202
  2. 236
  3. 256
  4. 320
(정답률: 48%)
  • SSTF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요청 대기 큐에서 가장 가까운 50번 요청부터 처리하고, 이후에는 58번, 65번, 70번, 75번 순서로 처리하면 된다. 이렇게 처리하면 헤드의 이동 거리는 50-53+58-50+65-58+70-65+75-70 = 236 이다. 따라서 정답은 "2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 가능도 축소
  2. 응답시간 단축
  3. 처리 능력 향상
  4. 신뢰도 향상
(정답률: 75%)
  • 운영체제의 목적은 사용 가능도를 높이고, 응답시간을 단축하며,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용 가능도 축소"는 목적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시스템의 가용성을 낮추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용 가능도 축소"는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워킹 셋(Working S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 변화하기 때문에 워킹 셋은 시간에 따라 바뀌게 된다.
  2. 프로그램의 구역성(Locality) 특징을 이용한다.
  3. 워킹 셋에 속한 페이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스의 기억장치 사용은 안정상태가 된다.
  4. 페이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정답률: 57%)
  • "페이지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의미한다."는 워킹 셋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워킹 셋은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 변화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바뀌게 되며, 프로그램의 구역성 특징을 이용하여 워킹 셋을 구성합니다. 또한, 워킹 셋에 속한 페이지를 참조하면 프로세스의 기억장치 사용은 안정상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과 같은 3개의 작업에 대하여 FCFS 알고리즘을 사용 할 때, 임의의 작업 순서로 얻을 수 있는 최대 평균 반환 시간을 T, 최소 평균 반환 시간을 t 라고 가정했을 경우 T-t의 값은?

  1. 3
  2. 4
  3. 5
  4. 6
(정답률: 44%)
  • FCFS 알고리즘은 작업이 도착한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작업의 순서에 따라 평균 반환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평균 반환 시간과 최소 평균 반환 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한 작업 순서를 고려해야 한다.

    위의 그림에서 가능한 모든 작업 순서를 고려해보면, 작업 1, 2, 3 순서로 처리하는 경우가 최대 평균 반환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의 평균 반환 시간은 (0+3+7)/3 = 3.33 이다.

    반면, 작업 2, 3, 1 순서로 처리하는 경우가 최소 평균 반환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의 평균 반환 시간은 (0+2+9)/3 = 3.67 이다.

    따라서, T-t = 3.33 - 3.67 = -0.34 이므로, 정답은 4가 아닌 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파일 시스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File)은 연관된 데이터들의 집합이다.
  2. 파일은 각각의 고유한 이름을 갖고 있다.
  3. 파일은 주로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사용한다.
  4. 사용자는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하며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66%)
  • "파일은 주로 주기억장치에 저장하여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일은 주기억장치뿐만 아니라 보조기억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이유는 주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지기 때문에,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UNIX에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호출문은?

  1. getpid
  2. fork
  3. pipe
  4. signal
(정답률: 67%)
  • 정답은 "fork"입니다. fork 시스템 호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복제본을 만들어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합니다. 이 새로운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와 동일한 코드와 데이터를 가지지만, 각각의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고유한 프로세스 ID를 가지며, 독립적으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fork는 다중 프로세스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시스템 호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렉토리의 구조 중 중앙에 마스터 파일디렉토리가 있고 하부에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가 있는 구조는?

  1. 단일 디렉토리 구조
  2. 2단계 디렉토리 구조
  3. 트리 디렉토리 구조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61%)
  • 이 구조는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와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2단계 디렉토리 구조입니다. 2단계 디렉토리 구조는 디렉토리를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최상위 디렉토리가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이고, 그 하위에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가 위치합니다. 이렇게 구성된 디렉토리 구조는 파일의 관리와 검색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파일을 보관하고 찾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식 처리가 가능하다.
  2. 시분할 시스템에 사용되는 처리기를 Time Slice라고 한다.
  3. 실제로 많은 사용자들이 하나의 컴퓨터를 공유하고 있지만 마치 자신만이 컴퓨터 시스템을 독점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4. H/W를 보다 능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정답률: 41%)
  • "시분할 시스템에 사용되는 처리기를 Time Slice라고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시분할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시간대(Time Slice)를 할당받아 대화식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교착 상태(Deadlock)의 회복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착상태에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중지시킨다.
  2.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자원을 하나씩 비선점 시킨다.
  3.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프로세스를 하나씩 종료시킨다.
  4. 교착상태 회복 기법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교착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정답률: 42%)
  •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자원을 하나씩 비선점 시킨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회복 기법 중 하나인 자원 선점(preemption) 기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자원을 선점하여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것이므로, 교착 상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회복 기법으로는 "교착상태에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중지시킨다.",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프로세스를 하나씩 종료시킨다."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교착 상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자원 선점 기법보다는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징 기법에서는 주소변환을 위한 페이지 맵 테이블이 필요하다.
  2. 프로그램을 일정한 크기로 나눈 단위를 페이지라고한다.
  3.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하나의 작업을 크기가 각각 다른 여러 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사용한다.
  4.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내부 단편화가, 페이징 기법에서는 외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는 내부 단편화가, 페이징 기법에서는 외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세그먼테이션 기법에서도 외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고, 페이징 기법에서도 내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형태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 프로세서가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2. 주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모두 입/출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칭 구조를 갖는다.
  3. 주 프로세서가 고장이 나면 시스템 전체가 다운된다.
  4. 하나의 프로세서로 지정하는 구조이다.
(정답률: 65%)
  • "주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모두 입/출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칭 구조를 갖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주/종 처리기 구조에서는 주 프로세서가 운영체제를 수행하고, 종 프로세서는 주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입/출력을 수행하는 것은 주 프로세서뿐이며, 대칭 구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다수의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제한된 자원을 사용할 때 생기는 분쟁들을 해결한다.
  2.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하는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 (Control)해 주는 가장 기본적인 하드웨어이다.
  3.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성능을 극대화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4. 운영체제는 처리기(Processor), 기억장치, 주변장치 등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자원들을 제어한다.
(정답률: 56%)
  • 운영체제는 "가장 기본적인 하드웨어"가 아니라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이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자원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UNIX의 커널(Kern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을 관리하는 UNIX 시스템의 핵심 부분이다.
  2.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상주하면서 실행된다.
  3. 명령어 해석기 역할을 한다.
  4. 프로세스,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을 관리한다.
(정답률: 67%)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프로세스,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을 관리하며 주기억장치에 상주하면서 실행된다. 하지만 커널은 명령어 해석기 역할을 하지 않는다. 명령어 해석기는 셸(Shell)이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선점 스케줄링과 비선점 스케줄링에 대한 비교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선점 스케줄링은 이미 할당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없다.
  2. 선점 스케줄링은 상대적으로 과부하가 적다.
  3. 비선점 스케줄링은 시분할 시스템에 유용하다.
  4. 비선점 스케줄링은 응답시간의 예측이 용이하다.
(정답률: 42%)
  • 선점 스케줄링은 이미 할당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응답시간이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비선점 스케줄링이 응답시간의 예측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다음 사항과 관계되는 결합도는 무엇인가?

  1. Data Coupling
  2. Content Coupling
  3. Control Coupling
  4. Stamp Coupling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모듈 사이의 결합도는 "Content Coupling"이다. 이는 두 모듈이 서로의 내용(content)을 직접 참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데이터나 변수를 직접 참조하고 있어서 두 모듈이 강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모듈 간의 독립성을 낮추고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ASE 도구의 정보저장소(Repository)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정보저장소는 도구들과 생명 주기 활동, 사용자들, 응용 소프트웨어들 사이의 통신과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를 향상시킨다.
  2. 초기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사람이 정보 저장소 역할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응용프로그램이 정보 저장소 역할을 담당한다.
  3. 정보 저장소는 도구들의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표준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 시스템웨어 재사용성의 기본이 된다.
  4.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시스템 정보가 정보 저장소에 의해 관리되므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정답률: 58%)
  • "일반적으로 정보저장소는 도구들과 생명 주기 활동, 사용자들, 응용 소프트웨어들 사이의 통신과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를 향상시킨다."를 제외하고 모든 보기는 정보저장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하지만 "초기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사람이 정보 저장소 역할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응용프로그램이 정보 저장소 역할을 담당한다."는 정보저장소의 역할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초기의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는 사람이 정보 저장소 역할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응용프로그램이 정보 저장소 역할을 담당한다."이다. 이 내용은 정보저장소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으며, 정보저장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효율적 모듈 설계를 위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듈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
  2. 모듈은 단일 입구와 단일 출구를 갖도록 설계한다.
  3. 결합도는 강하게, 응집도는 약하게 설계하여 모듈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4.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70%)
  • 정답: 결합도는 강하게, 응집도는 약하게 설계하여 모듈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해설: 모듈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단일 입구와 단일 출구를 갖도록 설계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모듈 설계의 기본 원칙이지만, 결합도는 강하게, 응집도는 약하게 설계하는 것이 효율적인 모듈 설계를 위한 유의사항 중 하나이다. 결합도가 강하면 모듈 간의 의존성이 높아져서 수정이 어렵고, 응집도가 강하면 모듈 내부의 기능이 복잡해져서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결합도는 강하게, 응집도는 약하게 설계하여 모듈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의 소프트웨어 검사기법 중 성격이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Equivalence partitioning test
  2. Boundary value analysis
  3. Comparison test
  4. Loop test
(정답률: 60%)
  • Loop test는 반복문을 검사하는 기법으로, 나머지 세 가지는 입력값을 검사하는 기법이다. Loop test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검사하여 반복문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OMT(Object Modeling Technique)에서 다수 프로세스간의 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자료 흐름도로 나타내는 것과 관계되는 것은?

  1. Dynamic Modeling
  2. Function Modeling
  3. Object Modeling
  4. Class Modeling
(정답률: 46%)
  • Function Modeling은 OMT에서 다수 프로세스간의 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자료 흐름도로 나타내는 기법이다. 이는 시스템의 기능적인 측면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이는 OMT에서 다수 프로세스간의 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 과정을 자료 흐름도로 나타내는 것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브룩스(Brooks)의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

  1.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은 초기에 많이 투입하고 후기에 점차 감소시켜야 한다.
  2.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은 40-20-40으로 해야 한다.
  3. 소프트웨어 개발은 소수의 정예요원으로 시작한 후 점차 증원해야 한다.
  4.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정답률: 72%)
  •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이유는 새로운 인원이 팀에 합류하면 기존 팀원들이 그들을 교육하고 지원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감소하고, 또한 새로운 인원이 이전에 작업한 내용을 이해하고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일정이 더욱 지연됩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초기에 많은 인력을 투입하고 후기에 점차 감소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소프트웨어 재공학이 재개발에 비해 갖는 주요한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위험부담 감소
  2. 비용 절감
  3. 시스템 명세의 오류억제
  4. 최신의 소프트웨어 공학기법 적용
(정답률: 63%)
  • 소프트웨어 재공학은 최신의 소프트웨어 공학기법을 적용할 수 있어서 재개발보다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명세의 오류를 억제하고 위험부담을 감소시키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어떤 프로그램을 재공학 기술을 적용하여 보수하고자 할 때 Flow Graph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샘플 프로그램에 대한Flow Graph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McCabe식의 Cyclomatic complexity를 구하면?

  1. 1
  2. 2
  3. 3
  4. 4
(정답률: 50%)
  • McCabe식의 Cyclomatic complexity는 Flow Graph에서 분기점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이다. 위의 Flow Graph에서 분기점은 "if (a > b)"와 "if (a < b)" 두 곳이므로 Cyclomatic complexity는 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객체지향기법에서 inheritance에 대한 설명에 해당 하는 것은?

  1. 상위 클래스의 매소드와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말한다.
  2. 데이터와 데이터를 조작하는 연산을 하나로 묶는 것을 말한다.
  3. 객체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하나의 인스턴스이다.
  4. 변수가 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특성 중의 하나를 결정 받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1%)
  •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된 메소드와 속성을 하위 클래스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물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추상화
  2. 캡슐화
  3. 다형성
  4. 상속성
(정답률: 6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동일한 모양의 객체들이지만, 각각 다른 색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형성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다형성은 같은 이름의 메서드나 속성이 다른 객체에서 다르게 동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객체들이 같은 이름의 메서드나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들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어서 다른 결과를 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지보수의 종류 중 소프트웨어 테스팅 동안 밝혀지지 않는 모든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활동에 해당하는 것은?

  1. Corrective Maintenance
  2. Adaptive Maintenance
  3. Perfective Maintenance
  4. Preventive Maintenance
(정답률: 51%)
  • 정답: Corrective Maintenance

    해당 유지보수 종류는 소프트웨어 테스팅 동안 발견되지 않은 모든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활동에 해당합니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수정하고,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입니다. 따라서, "Corrective Maintenanc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료흐름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소단위명세서
  2. 단말
  3. 프로세스
  4. 자료저장소
(정답률: 58%)
  • 소단위명세서는 자료흐름도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자료흐름도는 프로세스, 자료저장소, 단말로 구성되며, 소단위명세서는 자료흐름도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로, 자료흐름도에서 표현된 프로세스나 데이터 흐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담고 있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원칙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기술 적용
  2. 지속적인 검증 시행
  3.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록 유지
  4. 충분한 인력 투입
(정답률: 62%)
  • "충분한 인력 투입"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 원칙과는 달리 기본 원칙이 아니라 보조적인 원칙으로 볼 수 있습니다. 충분한 인력 투입은 프로젝트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보기에는 다른 원칙들과는 달리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며, 다른 원칙들이 충실히 지켜진다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료사전에서 자료 반복의 의미를 갖는 기호는?

  1. { }
  2. +
  3. ( )
  4. =
(정답률: 72%)
  • 자료사전에서 자료 반복의 의미를 갖는 기호는 "{ }"이다. 이는 중괄호 안에 있는 자료를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중괄호 안에 있는 자료를 여러 번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2, 3}은 1, 2, 3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형 기술 검토시 지침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참가자의 수를 제한한다.
  2. 의제를 제한하지 않고 폭 넓게 진행한다.
  3. 문제 영역을 확실히 표현한다.
  4. 제품의 검토에만 집중한다.
(정답률: 63%)
  • 정형 기술 검토는 가능한 모든 문제 영역을 고려하여 진행해야 하므로 "의제를 제한하지 않고 폭 넓게 진행한다."가 옳은 것이다.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거나 제품의 검토에만 집중하는 것은 검토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다. 문제 영역을 확실히 표현하는 것은 검토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프로젝트 일정 관리시 사용하는 간트(Gantt)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막대로 표시하며, 수평 막대의 길이는 각 태스크의 기간을 나타낸다.
  2. 이정표, 기간, 작업, 프로젝트 일정을 나타낸다.
  3. 시간선(Time-line) 차트라고도 한다.
  4. 작업들 간의 상호 관련성, 결정경로를 표시한다.
(정답률: 60%)
  • 간트 차트는 작업들 간의 상호 관련성과 결정 경로를 표시하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일정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작업들 간의 선후 관계와 의존성을 파악하여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작업들 간의 상호 관련성, 결정경로를 표시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프트웨어 공학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영, 유지보수, 그리고 폐기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다.
  2. 소프트웨어 제품을 체계적으로 생산하고 유지보수와 관련된 기술과 경영에 관한 학문이다.
  3. 과학적인 지식을 컴퓨터 프로그램 설계와 제작에 실제 응용하는 것이며, 이를 개발하고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데 필요한 문서화 작성 과정이다.
  4.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이미 해결한 학문으로, 소프트웨어의 개발만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이미 해결한 학문으로, 소프트웨어의 개발만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은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며,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영, 유지보수, 폐기 등 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어떤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10명의 개발자가 20개월 동안 참여되었다. 그 중 7명은 20개월 동안 계속 참여했고 3명은 5개월 동안만 참여했다. 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MM(Man-Month)은 얼마인가?

  1. 5
  2. 20
  3. 79
  4. 155
(정답률: 63%)
  • MM(Man-Month)은 개발자 한 명이 한 달 동안 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10명의 개발자가 20개월 동안 참여한 경우, 총 MM은 10명 x 20개월 = 200이 된다. 그러나 3명의 개발자는 5개월 동안만 참여했으므로, 이들의 MM은 3명 x 5개월 = 15이다. 따라서 총 MM은 200 - 15 = 18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5"이 아니라, 보기에 없는 다른 값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최소한의 컴퓨터 시간과 기억장소를 소요하여 요구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능력을 의미하는 것은?

  1. Usability
  2. Reliability
  3. Integrity
  4. Efficiency
(정답률: 52%)
  • Efficiency는 최소한의 컴퓨터 시간과 기억장소를 사용하여 요구된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능력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사용성, 신뢰성, 무결성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포수 모형을 점진적 모형이라고도 한다.
  2. 나선형 모형은 반복적으로 개발이 진행되므로 소프트웨어의 강인성을 높일 수 있다.
  3. 프로토타입 모형은 개발 단계에서 요구사항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4. 폭포수 모형은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기 전에 의뢰자가 최종결과물의 모형을 볼 수 있다.
(정답률: 49%)
  • 나선형 모형은 반복적으로 개발이 진행되므로 소프트웨어의 강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단계마다 검토와 평가를 수행하므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TCP/IP에서 네트워크 계층과 관련이 없는 프로토콜은?

  1. IGMP
  2. SNMP
  3. ICMP
  4. IP
(정답률: 54%)
  • SNMP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IGMP, ICMP, IP는 모두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유형이 아닌 것은?

  1. Information Frame
  2. SupervisoryFrame
  3. UnnumberedFrame
  4. ControlFrame
(정답률: 55%)
  • HDLC에서는 "ControlFrame"이라는 프레임 유형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유형은 "Information Frame", "Supervisory Frame", "Unnumbered Frame"입니다. "Control Frame"은 HDLC에서 사용되지 않는 프레임 유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인 HDLC에서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1. 플래그(Flag)
  2. 제어부(Control)
  3. 정보부(Information)
  4. 프레임 검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정답률: 61%)
  • HDLC에서 플래그(Flag)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구분자 역할을 합니다. 플래그는 011111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수신측에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래그는 HDLC에서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encryption
  2. sampling
  3. quantization
  4. encoding
(정답률: 45%)
  • 암호화(encryption)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는 관련이 없는 보안 기술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는 샘플링(sampling), 양자화(quantization), 인코딩(encoding)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X.25는 ITU-T 표준으로 호스트 시스템과 패킷 교환망간 인터페이스를 규정하고 있다. 이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링크 계층(link level)
  2. 패킷 계층(packet level)
  3. 물리 계층 (physical level)
  4. 전송 계층 (transport level)
(정답률: 50%)
  • X.25은 OSI 모델에서 링크 계층(link level)과 패킷 계층(packet level), 그리고 물리 계층(physical level)을 규정하고 있지만, 전송 계층(transport level)은 규정하지 않고 있다. 전송 계층은 OSI 모델에서 네트워크 계층과 세션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데이터의 전송을 관리하고 에러 처리 및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X.25은 이러한 기능을 규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전송 계층은 X.25의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HTTP
  2. FTP
  3. SMPT
  4. WAP
(정답률: 63%)
  • 이 보기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HTTP"는 웹 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SMTP"는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WAP"은 모바일 기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모바일 웹 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WAP"이 정답인 이유는 인터넷에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나열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ASK
  2. FSK
  3. PSK
  4. PCM
(정답률: 69%)
  • PCM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를 직접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ASK, FSK, PSK는 모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송 데이터가 있는 동안에만 시간 슬롯을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1. 통계적시분할 다중화
  2. 광파장분할 다중화
  3. 동기식시분할 다중화
  4. 주파수분할 다중화
(정답률: 53%)
  • 통계적시분할 다중화는 전송 데이터가 있는 동안에만 시간 슬롯을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송 데이터가 없는 시간에는 다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간 슬롯을 공유합니다. 따라서 전송 데이터가 있는 시간에는 높은 전송 속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LAN을 망의 형상(Topology)으로 구분할 때, 각 노드에서 발생한 송신 요구가 충돌을 일으킬 경우에 재 전송하거나 충돌을 피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방식으로 주로 CSMA/CD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1. Star 형
  2. Bus 형
  3. Ring 형
  4. Loop 형
(정답률: 48%)
  • Bus 형은 모든 노드가 하나의 통신 매체를 공유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CSMA/CD 방식을 사용하여 충돌을 감지하고 재전송하거나 충돌을 피하기 위한 매체 액세스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Star 형은 중앙 집중식으로 모든 노드가 중앙 장비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Ring 형은 모든 노드가 순환형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지만, 한 노드의 장애로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될 수 있습니다. Loop 형은 Ring 형과 유사하지만, 노드 간의 연결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 노드의 장애로 인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프로토콜은?

  1. LDP
  2. DHCP
  3. ARP
  4. RTCP
(정답률: 52%)
  • 이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입니다. DHC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기타 장치들에게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위 그림은 DHC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1%)
  •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 측과의 연결을 확인한다.
    ⓑ 송신 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받았다는 확인 신호를 송신 측에 보낸다.
    ⓒ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받는다.
    ⓓ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부터의 확인 신호를 받으면 다음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는?

  1. E-mail 서비스
  2. FTP 서비스
  3. HTTP 서비스
  4. SNMP 서비스
(정답률: 59%)
  • 웹 브라우저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SNMP 서비스는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프로토콜로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단방향 통신 방식
  2. 반이중 통신방식
  3. 회선 다중방식
  4. 전이중 통신방식
(정답률: 65%)
  • "회선 다중방식"은 통신 방식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회선의 다중화 방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회선 다중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이동통신 가입자가 셀 경계를 지나면서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거나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이 떨어져 현재 사용중인 채널을 끊고 다른 채널로 전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Mobile Control
  2. Location registering
  3. Hand off
  4. Multi-Path fading
(정답률: 62%)
  • Hand off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셀 경계를 지나면서 현재 사용중인 채널을 끊고 다른 채널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거나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이 떨어질 때 필요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Hand of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국(station) 간의 관계가 주/종 관계일 때 종국이 데이터를 보내려 한다면 먼저 주국으로부터 받아야 하는 신호는?

  1. ACK
  2. ENG
  3. Poll
  4. SEL
(정답률: 47%)
  • 주국에서 종국으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Poll"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종국이 데이터를 보내려면 먼저 주국으로부터 "Poll" 신호를 받아야 합니다. "ACK"는 수신 확인 신호, "ENG"은 엔진 동작 신호, "SEL"은 선택 신호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은?

  1. HDLC
  2. PPP
  3. LAPB
  4. LLC
(정답률: 47%)
  • 이 그림은 PPP(Point-to-Point Protocol)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PP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접속 시 ISP와의 연결에서 사용됩니다. PPP는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PPP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정답은 "PP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데이터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error)를 검출하는 기법이 아닌 것은?

  1. Parity Check
  2. Run Length Check
  3. Block Sum Check
  4. Cyclic Redundancy Check
(정답률: 59%)
  • Run Length Check는 데이터의 반복되는 패턴을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기법이 아니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모두 데이터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인터넷 도메인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www : 호스트 컴퓨터 이름
  2. hankook : 소속기관
  3. co : 소속기관의 서버이름
  4. kr : 소속 국가
(정답률: 48%)
  • "co : 소속기관의 서버이름"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o"는 상업적인 목적을 가진 기업이나 조직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도메인으로, "소속기관의 서버이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OSI 참조 모델 중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세션계층
  2. 트랜스포트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52%)
  • 이 계층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두 시스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이를 위해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 계층은 "트랜스포트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v6 주소는 128비트 길이이다.
  2. 암호화와 인증 옵션 기능을 제공한다.
  3. Qos는 일부 지원하지만, 품질 보장이 곤란하다.
  4.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답률: 63%)
  • "Qos는 일부 지원하지만, 품질 보장이 곤란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IPv6는 QoS를 지원하며, 품질 보장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트래픽 클래스, 흐름 라벨링, 우선순위 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QoS를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