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정보처리기사(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데이터 암호화가 필요하다. DES 알고리즘에서는 평문을 (①) 비트로 블록화를 하고, 실제 키의 길이는 (②) 비트를 이용한다. 괄호의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① 64 ② 56
  2. ① 64 ② 32
  3. ① 32 ② 16
  4. ① 32 ② 8
(정답률: 54%)
  • 정답은 "① 64 ② 56"이다.

    DES 알고리즘에서는 평문을 64비트 블록으로 나누어 암호화를 진행한다. 이때, 키의 길이는 56비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64비트 중 8비트는 패리티 비트로 사용되므로, 실제 키의 비트 수는 56비트가 된다. 따라서, "① 64 ② 56"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함수 종속 관계의 추론은 어떤 규칙에 의한 것인가?

  1. 이행규칙
  2. 재귀규칙
  3. 연합규칙
  4. 첨가 규칙
(정답률: 73%)
  • 이 함수 종속 관계의 추론은 이행규칙에 의한 것이다. 이행규칙은 A → B, B → C가 주어졌을 때 A → C를 유도할 수 있는 규칙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 → B, B → C, C → D가 주어졌을 때 A → D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이행규칙을 사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중 물리적 설계에 해당하는 것은?

  1. 데이터 모형화와 사용자 뷰들을 통합 한다.
  2.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메타 데이터를 수집, 기록한다.
  3. 파일 조직 방법과 저장방법, 그리고 파일 접근 방법 등을 선정한다.
  4.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입력으로 하여 응용프로그램의 골격인 스키마를 작성한다.
(정답률: 60%)
  • 물리적 설계는 데이터 모형화와 사용자 뷰들을 통합한 후,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확인하고 메타 데이터를 수집, 기록한 뒤에 파일 조직 방법과 저장방법, 그리고 파일 접근 방법 등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정답은 "파일 조직 방법과 저장방법, 그리고 파일 접근 방법 등을 선정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릴레이션의 Degree 와 Cardinality를 옳게 구한 것은?

  1. Degree : 4, Cardinality : 3
  2. Degree : 3, Cardinality : 4
  3. Degree : 3, Cardinality : 12
  4. Degree : 12, Cardinality : 3
(정답률: 61%)
  • 릴레이션의 Degree는 속성의 개수를 의미하고, Cardinality는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이 릴레이션은 4개의 속성(학번, 이름, 학과, 학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Degree는 4입니다. 또한, 튜플의 개수는 3개이므로 Cardinality는 3입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Degree : 4, Cardinality :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병렬처리에 있어서 자원에 대한 로킹(Locking)은 필수적이다. 로킹의 단위가 작은 경우와 비교하여 큰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것은?

  1. 병행성의 수준이 높아진다.
  2. 로크(Lcok)의 수가 적어진다.
  3. 병렬제어 기법이 간단해 진다.
  4. 교착상태의 경우가 적어진다.
(정답률: 58%)
  • 로킹의 단위가 큰 경우에는 자원에 대한 경합이 줄어들기 때문에 병행성의 수준이 높아지게 된다. 이는 로크의 수가 적어지고, 병렬제어 기법이 간단해지며, 교착상태의 경우가 적어지는 이유가 된다. 즉, 로킹의 단위가 작을수록 경합이 많아져 병행성의 수준이 낮아지고, 로크의 수가 많아지며, 병렬제어 기법이 복잡해지고, 교착상태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STUDENT 테이블은 50개의 튜플이 정의되어 있으며 “S-AGE"열의 값은 정수 값으로 되어 있다. "S-AGE" 값이 18인 튜플이 10개, 19인 튜플이 35개, 20인 튜플이 5개일 경우, 다음 두 SQL의 실행 결과 값을 순서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50, 40
  2. 50, 5
  3. 3, 5
  4. 3,1
(정답률: 40%)
  • 1. SELECT COUNT(*) FROM STUDENT WHERE S-AGE >= 19;
    - "S-AGE" 값이 19 이상인 튜플의 개수를 구하는 쿼리이다.
    - 따라서 결과 값은 35이다.

    2. SELECT COUNT(*) FROM STUDENT WHERE S-AGE = 18 OR S-AGE = 20;
    - "S-AGE" 값이 18이거나 20인 튜플의 개수를 구하는 쿼리이다.
    - 따라서 결과 값은 15이다.

    따라서 정답은 "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과 같은 트랜잭션의 특징은?

  1. Atomictiy
  2. Consistency
  3. Isolation
  4. Durability
(정답률: 58%)
  • 이 트랜잭션의 특징은 "Isolation" 입니다. 이유는 트랜잭션 T1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다른 트랜잭션 T2가 해당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T1과 T2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Isolation" 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과 같이 오름차순 정렬되었을 경우 적용된 정렬기법은 무엇인가?

  1. Selection Sort
  2. Bubble Sort
  3. Insertion Sort
  4. Shell Sort
(정답률: 43%)
  • 주어진 배열이 이미 정렬되어 있으므로, Insertion Sort가 적용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Insertion Sort는 배열의 앞부터 순차적으로 정렬을 진행하면서, 각 원소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정렬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미 정렬된 배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정렬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Insertion Sort는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hat are general configuration of indexed sequential file?

  1. Index area, Mark area, Overflow area
  2. Index area, Prime area, Overflow area
  3. Index area, Mark area, Excess area
  4. Index area, Prime area, Mark area
(정답률: 51%)
  • Indexed sequential files consist of three main areas: the index area, the prime area, and the overflow area.

    The index area contains the index entries that point to the location of the records in the prime area.

    The prime area contains the actual records in sequential order.

    The overflow area is used to store records that cannot fit in the prime area due to space limitations.

    Therefore, the correct answer is "Index area, Prime area, Overflow are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뷰는 독자적인 인덱스를 가질수 있다.
  2. DBA는 보안 측면에서 뷰를 활용할수 있다.
  3.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수 있다.
  4. 뷰는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59%)
  • "뷰는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뷰는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제한이 있지만, 이러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만 완전히 옳지 않다.

    뷰는 독자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뷰가 기존의 테이블과는 별개의 인덱스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뷰를 사용하여 쿼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DBA는 보안 측면에서 뷰를 활용할 수 있다. 뷰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테이블에 접근하지 않고 뷰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므로, DBA는 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중첩 뷰(nested view)라고 한다. 중첩 뷰를 사용하면 복잡한 쿼리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데이터 모델링을 단순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Content Reference
  2. Concurrent Sharing
  3. Continuous Evolution
  4. Time Accessibility
(정답률: 72%)
  • 이 보기에서 "Content Reference"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참조할 때 데이터의 내용(content)을 기반으로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위치(reference)를 기반으로 참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되더라도 해당 데이터를 참조하는 다른 데이터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순서가 A, B, C, D로 정해진 입력 자료를 스택에 입력 하였다가 출력한 결과로 가능한 것은?

  1. D, B, C, A
  2. D, C, A, B
  3. C, D, A, B
  4. B, C, D, A
(정답률: 57%)
  •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므로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것이 가장 먼저 출력된다. 따라서 "B, C, D, A"가 가능하다.

    "D, B, C, A": D가 가장 마지막에 입력되었으므로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하지만, 그 다음으로 입력된 B가 먼저 출력되므로 불가능하다.
    "D, C, A, B": D가 가장 마지막에 입력되었으므로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하지만, 그 다음으로 입력된 C가 먼저 출력되므로 불가능하다.
    "C, D, A, B": C가 먼저 출력되어야 하지만, D가 먼저 출력되므로 불가능하다.
    "B, C, D, A":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외래키(Foreign Ke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래키는 하나의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후보 키들 중에서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들을 의미한다.
  2. 외래키는 현실 세계에서 존재하는 개체타입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3.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한 릴레이션의 외래키는 참조되는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대응되어 릴레이션간에 참조 관계를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4. 외래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이 되고, 대응되는 기본키를 포함하는 릴레이션이 참조 릴레이션이 된다.
(정답률: 57%)
  • 외래키는 하나의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후보 키들 중에서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들을 의미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으로, 해당 릴레이션의 튜플이 참조하는 릴레이션의 튜플을 식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래키는 해당 릴레이션의 후보키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논리적 데이터의 독립성(Logical Data Independence)를 설명한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수정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시킬수 있다.
  2. 개별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관점을 변경하지 않고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다.
  3. 물리적인 파일 구조를 변경하더라도 개념적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4.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45%)
  • 논리적 데이터의 독립성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키더라도 개별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관점을 변경하지 않고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변경해도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이터 중복으로 인해 릴레이션 조작시 예상하지 못한 곤란한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Normalization
  2. Degree
  3. Cardinality
  4. Anomaly
(정답률: 64%)
  • 데이터 중복으로 인해 릴레이션 조작시 예상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Anomaly"라고 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릴레이션의 정규화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Normalization"은 이와 관련된 용어이며, "Degree"와 "Cardinality"는 릴레이션의 속성과 관련된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다음 수식을 후위 표기법으로 옳게 표현한 것은?

  1. a/b+c=d*e
  2. ab/c+de*-
  3. -+/abc*de
  4. a/b+-de*c
(정답률: 67%)
  • 중위 표기법에서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먼저 곱셈과 나눗셈을 처리하고, 그 다음에 덧셈과 뺄셈을 처리합니다. 따라서, "d*e"와 "ab/c"를 먼저 처리하고, 그 결과를 더해줍니다. 그리고 그 결과에서 "c"를 나누어줍니다. 따라서, "ab/c+d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개체-관계(Entity-Relationship) 모델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은?

  1. P. Chen
  2. E.F Codd
  3. Bill Gates
  4. Lawrence J. Ellison
(정답률: 72%)
  • P. Chen은 1976년에 개체-관계(Entity-Relationship) 모델을 최초로 제안한 사람입니다. 이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이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체(Entity)와 그들 간의 관계(Relationship)로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Which is the design step of database correctly?

  1. Requirement Formulation→Conceptual Schema→Physical Sehema→Logical Schema
  2. Logical Schema→Requirement Formulation→Conceptual Schema→Physical Sehema
  3. Requirement Formulation→Conceptual Schema→Logical Schema→Physical Sehema
  4. Logical Schema→Requirement Formulation→Physical Sehema→Conceptual Schema
(정답률: 67%)
  • The correct design step of a database is "Requirement Formulation→Conceptual Schema→Logical Schema→Physical Schema" because it follows a logical sequence of steps. First, the requirements for the database are formulated, then a conceptual schema is created to represent the data and relationships. Next, a logical schema is developed to translate the conceptual schema into a more detailed and structured representation. Finally, a physical schema is created to implement the logical schema in a specific database management system. This sequence ensures that the database is designed in a systematic and organized manner, leading to a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database syste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택을 이용하는 예로써 옳지 않은 것은?

  1.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의 저장
  2.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3. 컴파일러를 이용한 언어번역
  4. 재귀 프로그램의 순서 제어
(정답률: 50%)
  •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스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CPU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스택은 주로 함수 호출과 반환, 재귀 호출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흐름 제어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BCNF를 만족하기 위한 조건 모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③, ④
  2. ②, ③, ④
  3. ①, ④
(정답률: 63%)
  • BCNF를 만족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모든 결정자는 후보키이어야 한다.
    ②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속성에 의해 결정되면 안 된다.
    ③ 모든 결정자가 최소한의 후보키에 의해 결정되면 안 된다.
    ④ 이행적 종속이 없어야 한다.

    주어진 보기에서 모든 조건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①, ②, ③, ④" 이다.

    ①은 모든 결정자가 후보키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나타내며, ②는 후보키가 아닌 속성에 의해 결정되면 안 된다는 조건을 나타낸다. ③은 최소한의 후보키에 의해 결정되면 안 된다는 조건을 나타내며, ④는 이행적 종속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나타낸다. 이 모든 조건을 만족해야 BCNF를 만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I/O 장치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시스템 사이에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1. I/O 장치 인터페이스
  2. I/O 버스
  3. I/O 제어기
  4. I/O 장치
(정답률: 50%)
  • I/O 제어기는 컴퓨터 시스템과 I/O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I/O 장치 인터페이스는 I/O 장치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고, I/O 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터페이스와 버스만으로는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I/O 제어기가 필요합니다. I/O 제어기는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고, 버퍼링, 에러 처리, 인터럽트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I/O 제어기가 없으면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터럽트 체계의 동작을 나열하였다. 수행 순서가 옳은 것은?

  1. ②→①→⑤→④→③
  2. ②→①→④→⑤→③
  3. ②→⑤→①→④→③
  4. ②→④→⑤→①→③
(정답률: 63%)
  • 인터럽트 체계의 동작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인터럽트 요청 발생
    ② CPU는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고 인터럽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수행을 중단한다.
    ③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 실행
    ④ ISR 실행이 끝나면 CPU는 이전에 수행하던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⑤ 인터럽트 요청 해제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②→①→⑤→④→③" 이다.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면 CPU는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고 인터럽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수행을 중단한다(②). 그 후 ISR을 실행하고(③), ISR 실행이 끝나면 CPU는 이전에 수행하던 작업을 계속 수행한다(④). 마지막으로 인터럽트 요청이 해제된다(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터럽트 요청 판별방법에 관한 내용중 옳지 않은 것은?

  1. S/W에 의한 판별 방법은 폴링에 의한 방법이라고도 한다.
  2. H/W에 의한 판별 방법은 장치번호 버스를 이용한다
  3. S/W에 의한 판별 방법은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 수행한다.
  4. H/W에 의한 판별 방법은 S/W에 의한 판별 방법 보다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60%)
  • "H/W에 의한 판별 방법은 S/W에 의한 판별 방법 보다 속도가 느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H/W에 의한 판별 방법은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속도가 더 빠르다. 반면에 S/W에 의한 판별 방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복수 모듈 기억장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 모듈을 여러개 가진 기억장치로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 차이 문제점을 개선한다.
  2. 기억장치 버스를 시분할하여 사용하며 기억장소의 접근을 보다 빠르게 한다.
  3. 복수 모듈 기억장치에 사용되는 각각의 기억장치는 자체의 어드레스 레지스트와 버퍼레지스터를 가지고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4. 인터리빙 기법을 이용하여 m개의 모듈로 구성된 기억장치에서 m개의 연속적인 명령을 동시에 패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답률: 39%)
  • 인터리빙 기법은 m개의 모듈로 구성된 기억장치에서 m개의 연속적인 명령을 동시에 패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인터리빙 기법은 여러 모듈의 데이터를 교차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하나의 모듈에서만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따라서 인터리빙 기법을 이용하여 여러 모듈로 구성된 기억장치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명령만 패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리빙 기법을 이용하여 m개의 모듈로 구성된 기억장치에서 m개의 연속적인 명령을 동시에 패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캐시 메모리의 매핑방법 중 같은 인덱스를 가졌으나 다른 tag를 가진 두개 이상의 워드가 반복하여 접근된다면 히트율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는 것은?

  1. Associative 매핑
  2. Set-Associtative 매핑
  3. Direct 매핑
  4. Indirect 매핑
(정답률: 40%)
  • Direct 매핑은 인덱스 값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인덱스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워드가 반복하여 접근되면 충돌이 발생하게 되어 히트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다른 매핑 방법들은 인덱스 값이 유동적이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 히트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일반적으로 n비트의 2진 병렬 가산은 어떻게 구성 되는가?

  1. 2n 개의 반가산기로 구성
  2. 2n 개의 전가산기로 구성
  3. n개의 반가산기로 구성
  4. n개의 전가산기로 구성
(정답률: 33%)
  • n비트의 2진 병렬 가산기는 각 비트별로 전가산기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들어온 두 비트와 이전 비트에서의 자리올림 값을 이용하여 해당 비트의 합과 자리올림 값을 계산한다. 따라서 n개의 전가산기를 사용하여 n비트의 2진 병렬 가산기를 구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동 소수점 파이프라인의 비교기, 쉬프트, 가산-감산기, 이크리멘터/디크르멘터가 모두 조합회로로 구성된다. 이때 네 세그먼트의 시간 지연이 t1=60ns, t2=70ns, t3=100ns, t4 =80ns이고 중간 레지스터의 지연이 tr=10ns 라고 가정하면 클럭 사이클은 얼마로 결정되어야 하는가?

  1. 60ns
  2. 110ns
  3. 310ns
  4. 320ns
(정답률: 47%)
  • 클럭 사이클은 파이프라인의 가장 긴 지연 시간인 t3+tr=110ns으로 결정된다. 이는 모든 세그먼트가 동일한 클럭 사이클 내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모든 세그먼트가 동시에 작동하며, 파이프라인이 최대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PU가 어떤 명령과 다음 명령을 수행하는 사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데이터 워드를 직접 전송하는 DMA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Word Stealing
  2. Word Transfer
  3. Cycle Stealing
  4. Cycle Transfer
(정답률: 55%)
  • 정답: Cycle Stealing

    설명: Cycle Stealing은 CPU가 다음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DMA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CPU가 메모리 접근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DMA 컨트롤러가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CPU와 DMA 컨트롤러가 메모리 접근을 공유하며, CPU가 메모리 접근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 때문에 Cycle Stealing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일어나는 상태는?

  1. Fecth
  2. Indirect
  3. Interrupt
  4. Execute
(정답률: 55%)
  • 해당 상태는 Interrupt 상태이다. 이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 수행 중에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여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이동하여 해당 작업을 처리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지 않고 중단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이동하여 해당 작업을 처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에 실질적인 대역폭(Band-Width)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은?

  1. 메모리 인터리빙
  2. 자기기억장치
  3. RAM
  4. 폴링기법
(정답률: 62%)
  • 메모리 인터리빙은 여러 개의 기억장치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여 대역폭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CPU가 데이터를 요청할 때 여러 모듈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의 실질적인 대역폭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자기기억장치, RAM, 폴링기법은 메모리 인터리빙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컴퓨터 내부에서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1. SP
  2. PSW
  3. Interrupt
  4. MAR
(정답률: 55%)
  • PSW는 Program Status Word의 약자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SW는 프로그램 카운터(PC)와 함께 사용되어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와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며, 또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예외 상황(Interrupt)이나 오류(Error) 등의 정보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PSW는 컴퓨터 내부에서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나 데이터의 위치를 찾는 방법을 주소지정방식(Addressing mode)이라고 하는데 이는 오퍼랜드가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다르기도 하다. 다음 주소 지정방식 가운데 연산 속도가 가장 빠른것은?

  1. Direct addressing mode
  2. Indirect addressing mode
  3. Calculate addressing mode
  4. Immediate addressing mode
(정답률: 49%)
  • Immediate addressing mode는 오퍼랜드가 명령어 자체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계산할 필요가 없어 연산 속도가 가장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동 소수점인 두 수의 나눗셈을 위한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3-2-4-1-5
  2. 5-3-2-1-4
  3. 3-2-1-4-5
  4. 5-3-2-4-1
(정답률: 47%)
  • 부동 소수점 수의 나눗셈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1. 두 수의 지수 차이를 계산한다.
    2. 나누는 수를 정규화(normalize)한다.
    3. 나누는 수로 나눈다.
    4. 몫을 반올림(round)한다.
    5. 나머지를 계산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5-3-2-4-1"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두 수의 지수 차이를 계산한다. (5)
    2. 나누는 수를 정규화한다. (3)
    3. 나누는 수로 나눈다. (2)
    4. 몫을 반올림한다. (4)
    5. 나머지를 계산한다. (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과 같은 조건값에서 각 명령어를 모두 수행한 후의 R1값과 두 번째 오퍼랜드의 유효 주소는?(단, #은 직접모드, @는 간접모드를 의미하며 레지스터값은 R1=10, R2=20)

  1. R1=100, 유효주소=70
  2. R1=200, 유효주소=70
  3. R1=100, 유효주소=60
  4. R1=200, 유효주소=60
(정답률: 36%)
  • 1. LDA #50: R1=50
    2. LDX #30: R2=30
    3. ADD R2: R1=80
    4. STX @R1: 메모리 주소 50에 30 저장
    5. LDA #20: R1=20
    6. LDX #40: R2=40
    7. ADD R2: R1=60
    8. STX R1: 메모리 주소 60에 40 저장
    9. LDA @50: R1=30 (메모리 주소 50의 값인 30을 가져옴)
    10. LDX @60: R2=40 (메모리 주소 60의 값인 40을 가져옴)
    11. ADD R2: R1=70
    12. ST @70: 메모리 주소 70에 70 저장

    따라서 R1은 100이 되고, 유효주소는 70이 된다. 이유는 명령어 12번에서 ST @70을 수행하면 메모리 주소 70에 R1의 값인 70이 저장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입출력을 위해 DMA 전송의 초기 준비에 프로세서의 1000클럭이 소요되고 DMA 완료시 인터럽트 처리에 프로세서의 500클럭 사이클이 쓰여지는 시스템이 있다. 하드디스크는 초당 4MB를 전송하며 DMA를 사용할 때 디스크로 부터의 평균 전송량이 8KB이면 디스크가 전송에 100% 쓰여질 경우 500MHz 프로세서의 클럭 사이클 중 얼마만큼이 사용되는가?

  1. 2*10-3
  2. 20*10-3
  3. 700*103
  4. 750*103
(정답률: 30%)
  • 디스크로부터의 평균 전송량이 8KB이므로, 1초당 전송되는 데이터 양은 4MB = 4000KB 이다. 이를 8KB씩 전송하면 500초가 걸린다. DMA 전송의 초기 준비에 1000클럭, 완료시 인터럽트 처리에 500클럭이 소요되므로, 총 1500클럭이 사용된다. 이를 500초에 맞추어 계산하면, 1500클럭 / 500초 = 3클럭/1초 이다. 따라서, 500MHz의 클럭 사이클 중 3클럭이 사용되므로, 750*10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펜티엄 프로세서를 사용한 컴퓨터에서 베이스 주소 지정방식을 나타낸 것은?(단, SR=세그먼트 레지스터, BR=베이스 레지스터, IX=인덱스 레지스터, A=오퍼랜드 필드의 내용, EA=유효주소, LA=선형주소를 나타낸다)

  1. EA=R, LA=R
  2. EA=A, LA=(SR)+EA
  3. EA=(BR), LA=(SR)+EA
  4. EA=(BR)+A, LA=(SR)
(정답률: 44%)
  • 펜티엄 프로세서에서 베이스 주소 지정 방식은 "EA=(BR), LA=(SR)+EA" 이다. 이는 베이스 레지스터(BR)에 저장된 값이 유효주소(EA)가 되며, 세그먼트 레지스터(SR)에 저장된 값과 유효주소(EA)를 더한 값이 선형주소(LA)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베이스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은 세그먼트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과 함께 주소 계산에 사용되며, 이를 통해 메모리 주소를 참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산술 시프트(Arithmetic Shift)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레지스터의 값을 우측으로 쉬프트할 때 새로운 입력비트는 1의보수, 2의보수 모두 0이 입력된다.
  2. 레지스터의 값을 좌측으로 쉬프트 할 때 새로운 입력 비트는 1의 보수의 경우 부호 비비트가 입력되고, 2의 보수의 경우 무조건 0이 입력된다.
  3. 레지스터의 값을 N비트 우측으로 시프트하면 2n으로 나누는 효과를 갖는다
  4. 1의 보수 표현방식으로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이 최상위 비트인 부호비트와 최하위 비트인 LSB가 서로 다를 때 우측 시프트를 수행하면 잘림 에러(Truncation Error)가 발생한다.
(정답률: 41%)
  • "레지스터의 값을 우측으로 쉬프트할 때 새로운 입력비트는 1의보수, 2의보수 모두 0이 입력된다."가 옳지 않다. 산술 시프트는 부호를 유지하기 위해 최상위 비트를 새로운 입력 비트로 사용한다. 따라서, 우측 시프트의 경우 1의 보수 표현방식에서는 1로, 2의 보수 표현방식에서는 부호 비트와 동일한 값으로 입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제어주소 레지스터(Control Address Register)에 적재 될 수 없는 것은?

  1. MAR(Memory Address Register)의 내용
  2. 사상(Mapping)의 결과값
  3. 주소 필드(Address Field)
  4. 서브루틴 레지스터(Subroutine Register)의 내용들
(정답률: 37%)
  • 제어주소 레지스터(Control Address Register)는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MAR(Memory Address Register)의 내용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레지스터이므로 제어주소 레지스터에 적재될 수 없다. 사상(Mapping)의 결과값과 주소 필드(Address Field)는 메모리 주소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값이므로 제어주소 레지스터에 적재될 수 있다. 서브루틴 레지스터(Subroutine Register)의 내용들은 서브루틴 호출과 관련된 값이므로 제어주소 레지스터에 적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터럽트 체제의 기본 요소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인터럽트 처리 기능
  2. 인터럽트 요청 처리
  3. 인터럽트 스테이트
  4. 인터럽트 처리 루틴
(정답률: 54%)
  • 인터럽트 스테이트는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현재 수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인터럽트 체제의 기본 요소가 아니라 보조적인 개념입니다. 인터럽트 처리 기능, 인터럽트 요청 처리, 인터럽트 처리 루틴은 모두 인터럽트 체제의 기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자기 디스크에서 데이터 접근시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가번,다번이 정답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읽기시간(Reading time)
  2. 탐색시간(Seek time)
  3. 전송시간(Transmission time)
  4. 회전지연시간(Rotational latency time
(정답률: 67%)
  • 정답: 읽기시간(Reading time)

    자기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 읽기시간은 디스크 헤드가 데이터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디스크 헤드가 데이터를 찾아서 읽는 탐색시간과 회전지연시간,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을 제외한 시간입니다. 따라서 읽기시간은 데이터 접근시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UNIX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식 운영체제이다.
  2.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이다.
  3. 멀티유저,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
  4.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리스트 구조를 사용한다.
(정답률: 64%)
  •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리스트 구조를 사용한다."는 UNIX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UNIX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에서 이중 연결 리스트를 사용하지만, 이는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UNIX 시스템의 전반적인 특징이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UNIX 운영체제의 파일 구성 중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정보 및 그룹번호, 파일크기, 생성시기 등의 정보가 저장된 블록은 무엇인가?

  1. 데이터 블록
  2. 슈퍼 블록
  3. 부트 블록
  4. I-node 블록
(정답률: 64%)
  • I-node 블록은 UNIX 운영체제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입니다. 이 블록에는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정보 및 그룹번호, 파일크기, 생성시기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쥴링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선점 스케쥴링 기법이다.
  2. SJ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다.
  3. 긴 작업과 짧은 작업간의 지나친 불평등을 해소할수 있다.
  4. 우선순위 결정식은 (대기시간+서비스시간)/대기시간 이다.
(정답률: 54%)
  • 우선순위 결정식은 (대기시간+서비스시간)/대기시간 이라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버퍼링과 스풀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퍼링과 스풀링은 페이지 교체 기법의 종류이다.
  2. 스풀링의 Spool 은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의 약자이다.
  3. 버퍼링은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사용한다.
  4. 스풀링은 디스크의 일부를 사용한다.
(정답률: 46%)
  • "버퍼링과 스풀링은 페이지 교체 기법의 종류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버퍼링과 스풀링은 데이터 처리 방식 중 하나로, 페이지 교체 기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버퍼링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사용합니다.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지 않고 일정량을 모아서 처리하므로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스풀링은 출력 데이터를 디스크의 일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Spool은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의 약자입니다. 출력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출력 장치는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출력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가상기억장치 구현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상기억장치 기법은 가상적인 것으로 현재 실무에서는 실현되는 방법이 아니다.
  2. 가상기억장치를 구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에는 Paging과 Segmentation 기법이 있다.
  3. 주기억장치의 이용율과 다중 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64%)
  • "가상기억장치 기법은 가상적인 것으로 현재 실무에서는 실현되는 방법이 아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가상기억장치 기법은 현재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되며,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기억장치의 이용율과 다중 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UNIX 명령중 DOS 명령어 "Type"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은?

  1. cp
  2. cat
  3. ls
  4. rm
(정답률: 50%)
  • "cat"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로, "Type"과 유사한 기능을 갖습니다.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 "ls"는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 "rm"은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분산시스템의 위상에 따른 분류중 성형(Star)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중 제어로 보수와 관리가 용이하다.
  2. 중앙 컴퓨터 고장시 전체 네트워크가 정지된다.
  3. 중앙 노드를 제외한 노드의 고장시에도 다른 노드에 영향을 준다.
  4. 데이터 전송이 없는 터미널이 접속된 통신회선은 휴지상태가 된다.
(정답률: 59%)
  • "중앙 노드를 제외한 노드의 고장시에도 다른 노드에 영향을 준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성형 구조에서 중앙 노드가 모든 노드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중앙 노드가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정지되는 단점이 있지만, 중앙 노드를 제외한 다른 노드들이 고장나면 해당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다른 노드들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형 구조는 신뢰성 측면에서는 약한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형태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lave 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다.
  2. Master에 문제가 발생하면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3.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4. 하나의 처리기를 Master로 지정하고 다른 처리기들은 Slave로 처리 한다.
(정답률: 70%)
  • "Slave 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종 처리기 구조에서는 하나의 처리기를 Master로 지정하고 다른 처리기들은 Slave로 처리한다. Master는 운영체제를 수행하고, Slave는 Master의 명령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Slave도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Slave가 운영체제를 수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Master가 운영체제를 수행하고, Slave는 보조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Master에 문제가 발생하면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옳은 설명이다. 주/종 처리기 구조에서는 Master가 입/출력 작업을 담당한다. 따라서 Master에 문제가 발생하면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주/종 처리기 구조는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즉, Master와 Slave는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처리 능력이나 권한 등이 다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인 "Slave 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Master와 Slave의 역할과 관련된 개념적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의 자원(Resource)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
  2. 입/출력에 대한 일을 대행하거나 사용자가 컴퓨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능
  3. 사용자가 작성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Machine-Language)로 번역시키는 기능
  4.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류(Error)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신뢰성 기능
(정답률: 66%)
  • "사용자가 작성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Machine-Language)로 번역시키는 기능"은 운영체제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컴파일러(Compiler)의 역할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입/출력에 대한 일을 대행하거나 사용자가 컴퓨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기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류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신뢰성 기능 등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차례로 큐에 도착하였다. SJF 정책을 사용할 경우 가장 먼저 처리 되는 작업은?

  1. P1
  2. P2
  3. P3
  4. P4
(정답률: 60%)
  • SJF(Shortest Job First) 정책은 도착한 작업 중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위의 프로세스를 실행 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정렬하면 [P4, P1, P3, P2]가 된다. 따라서, 가장 먼저 처리되는 작업은 P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상메모리의 교체 정책중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으로 구현할 때 그림에서 D 페이지가 참조될 때의 적재되는 프레임으로 옳은 것은?(단, 고정 프레임이 적용되어 프로세스에 3개의 프레임이 배정되어 있고, 4개의 서로 다른 페이지(A,B,C,B)를 B, C, B, A, D 순서로 참조한다고 가정한다.)

(정답률: 51%)
  • LRU 알고리즘은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그림에서 B, C, D 페이지가 참조되었으며, 이 중에서 가장 오래전에 참조된 페이지는 A 페이지이다. 따라서 A 페이지가 교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분산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변경을 위한 점진적인 확대 용이성
  2. 고가의 하드웨어에 대한 여러 사용자들 간의 공유
  3. 빠른 응답시간
  4. 향상된 보안성
(정답률: 65%)
  • 분산 운영체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체제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변경을 위한 점진적인 확대 용이성과 고가의 하드웨어에 대한 여러 사용자들 간의 공유, 빠른 응답시간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향상된 보안성"은 분산 운영체제의 장점 중 하나이다. 분산 운영체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컴퓨터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서 보안성이 향상된다. 또한 분산 운영체제는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이나 손상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중 Banker's Algorithm과 관계되는 것은?

  1. Avoidance
  2. Prevention
  3. Detection
  4. Recovery
(정답률: 57%)
  • Banker's Algorithm은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Avoidance"가 정답이다. Banker's Algorithm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시스템이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미리 검사하여 교착상태를 예방한다. 이를 위해 각 프로세스는 자원을 요청하기 전에 필요한 최대 자원량을 미리 선언하고, 시스템은 자원 할당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검사하여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절한다. 이를 통해 교착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무엇인가?

  1.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시스템
  2. 트리 구조 디렉토리 시스템
  3. 1단계 디렉토리 시스템
  4. 2단계 디렉토리 시스템
(정답률: 49%)
  • 정답은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시스템"이다. 이는 디렉토리 간에 순환 참조가 없는 구조를 의미한다. 즉, 어떤 디렉토리도 자기 자신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파일의 위치를 찾는 데에도 용이하다. 반면에 "트리 구조 디렉토리 시스템"은 모든 디렉토리가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되어 계층적으로 구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1단계 디렉토리 시스템"과 "2단계 디렉토리 시스템"은 디렉토리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 관리를 위한 파일 제어 블록이다.
  2.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3.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파일이 개발될 때 주기억 장치로 옮겨 진다.
  4. 사용자의 직접 참조가 가능하다.
(정답률: 59%)
  • "사용자의 직접 참조가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사용자가 직접 참조할 수 없으며, 시스템 호출을 통해 파일을 조작할 때 사용된다.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 제어 블록과는 다른 개념이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내부에서 관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안 유지 기법 중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신뢰성 있는 운영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것은?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2. 내부 보안
  3. 외부 보안
  4. 시설 보안
(정답률: 62%)
  • 내부 보안은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신뢰성 있는 운영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안 유지 기법은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 외부 보안, 시설 보안은 각각 다른 보안 유지 기법과 관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Locality
  2. Segmentation
  3. Thrashing
  4. Working-Set
(정답률: 65%)
  • 위 그림은 메모리 관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 가지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Locality"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가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캐시 히트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Segmentation"은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이 분할되어 있어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Working-Set"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 크기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성능이 좋아진다. 반면 "Thrashing"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페이지 교체가 지나치게 빈번하게 일어나서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Thrashing"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인 First-fit, Best-fit, Worst-fit 방법을 각각 적용할 경우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영역의 순서대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2, 3, 4
  2. 2, 2, 3
  3. 2, 3, 2
  4. 2, 1, 1
(정답률: 69%)
  • First-fit 방법은 메모리 공간 중 가장 먼저 발견되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영역의 순서대로 메모리 공간을 탐색하면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에 할당하게 된다.

    - "2, 3, 4":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첫 번째 영역은 2K 이고, 이후 3K와 4K의 공간이 순서대로 발견되어 할당되기 때문에 옳게 짝지어진다.
    - "2, 2, 3":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첫 번째 영역은 2K 이고, 이후 2K와 3K의 공간이 순서대로 발견되어 할당되기 때문에 옳지 않다.
    - "2, 3, 2":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첫 번째 영역은 2K 이고, 이후 3K의 공간이 발견되지만 10K보다 작기 때문에 다음으로 2K의 공간이 할당되고, 마지막으로 2K의 공간이 할당되어 옳지 않다.
    - "2, 1, 1":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첫 번째 영역은 2K 이고, 이후 1K와 1K의 공간이 순서대로 발견되어 할당되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페이지 교체기법 중 시간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각 페이지 마다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두는 교체기법은?

  1. LRU
  2. FIFO
  3. LFU
  4. NUR
(정답률: 49%)
  • NUR은 "Not Used Recently"의 약자로, 페이지 교체 시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이용하여 가장 오래 전에 참조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LRU와 유사하지만,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선별하기 때문에 시간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간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방식으로 NUR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영체제를 기능별로 분류할 경우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중 처리 프로그램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②, ④, ⑤
  2. ① ,②, ④, ⑥
  3. ①, ③
  4. ①, ②
(정답률: 49%)
  • 제어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의 실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에 처리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파일 관리, 네트워크 통신,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②, ④, ⑤ 이고, 처리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①, ③ 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③"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설계 기법중 하향식 설계 방법과 상향식 설계 방법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향식 설계에서는 통합 검사시 인터페이스가 이미 정의되어 있어 통합이 간단하다.
  2. 하향식 설계에서 레벨이 낮은 데이터 구조의 세부 사항은 설계 초기 단계에서 필요하다.
  3. 상향식 설계는 최하위 수준에서 각각의 모듈들을 설계하고 이러한 모듈이 완성되면 이들을 결합하여 검사한다.
  4. 상향식 설계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이미 성립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능 추가가 쉽다.
(정답률: 45%)
  • "상향식 설계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이미 성립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능 추가가 쉽다."는 옳은 설명이다. 상향식 설계에서는 모듈을 하나씩 추가하면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므로, 인터페이스가 완전히 정의되어 있지 않더라도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는 것이 비교적 쉽다. 하향식 설계에서는 이미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터페이스를 수정해야 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FTR(Formal Technical Reciew)의 검토 지침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제 영역을 명확히 표현한다.
  2. 의제를 제한하여 진행한다.
  3. 참가자의 수를 제한한다.
  4. 논쟁과 반박에 제한을 두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60%)
  • 논쟁과 반박에 제한을 두는 것은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제한하고, 검토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놓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FTR은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생략을 의미하는 기호는?

  1. { }
  2. **
  3. =
  4. ( )
(정답률: 57%)
  • 정답: "( )"

    이유: "( )" 기호는 자료 사전에서 생략된 부분을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A ( ) B"라는 표현은 "A와 B 사이에 다른 값이 생략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이트 박스 시험(White Box Testing)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제어구조에 따라 선택, 반복 등의 부분들을 수 행함으로써 논리적 경로를 점검한다.
  2. 모듈안의 작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3. 소프트웨어 산물을 각 기능별로 적절한 정보영역을 정하여, 적합한 입력에 대한 출력의 정확성을 점검한다.
  4. 원시코드의 모든 문장을 한번 이상 수행함으로써 진행된다.
(정답률: 44%)
  • 정답은 "원시코드의 모든 문장을 한번 이상 수행함으로써 진행된다."이다.

    화이트 박스 시험은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와 프로그램 코드를 검사하는 기법으로, 프로그램 제어구조에 따라 선택, 반복 등의 부분들을 수행함으로써 논리적 경로를 점검하고, 모듈 안의 작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산물을 각 기능별로 적절한 정보영역을 정하여, 적합한 입력에 대한 출력의 정확성을 점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람바우의 모델링에서 상태도와 자료흐름도는 각각 어떤 모델링과 관련이 있는가?

  1. 상태도 - 기능 모델링, 자료흐름도 - 동적 모델링
  2. 상태도 - 객체 모델링, 자료흐름도 - 기능 모델링
  3. 상태도 - 객체 모델링, 자료흐름도 - 동적 모델링
  4. 상태도 - 동적 모델링, 자료흐름도 - 기능 모델링
(정답률: 41%)
  • 상태도는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표현하는 모델링 기법으로, 시스템의 동적인 측면을 나타내기 때문에 동적 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 자료흐름도는 시스템의 기능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모델링 기법으로, 시스템의 기능적인 흐름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능 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태도 - 동적 모델링, 자료흐름도 - 기능 모델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프로그램 설계도의 하나인 NS(Nassi-Schneiderman) char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이다.
  2. 박스, 다이아몬드, 화살표 등의 기호를 사용하므로 읽고 작성하기가 매우 쉽다.
  3. 이해하기 쉽고 코드로 변환이 용이하다.
  4. 연속, 선택, 반복 등의 제어 논리 구조를 표현한다.
(정답률: 46%)
  • NS chart는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이며, "박스, 다이아몬드, 화살표 등의 기호를 사용하므로 읽고 작성하기가 매우 쉽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CPM(Critical Path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작업은 왼쪽 열에 명시되어 , 수평 막대는 각 작업의 기간을 나타낸다.
  2. 프로젝트 진행 일정 계획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이다.
  3. 프로젝트 내에서 각 작업이 수행되는 시간과 작 작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도록 한다.
  4. 각 작업의 순서와 의존관계, 어느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44%)
  • 각 작업은 왼쪽 열에 명시되어, 수평 막대는 각 작업의 기간을 나타낸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다. CPM은 프로젝트 진행 일정 계획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내에서 각 작업이 수행되는 시간과 작업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도록 한다. 또한 각 작업의 순서와 의존관계, 어느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는 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프로그램 품질관리의 한 방법으로써 워크스루(Walk-through)와 인스펙션(Inspection)이 있다. 워크스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프트웨어 품질을 검토하기 위한 기술적 검토 회의이다.
  2. 제품 개발자가 주최가 된다.
  3. 오류 발견과 발견된 오류의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둔다.
  4. 검토 자료는 사전에 미리 배포한다.
(정답률: 40%)
  • "제품 개발자가 주최가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워크스루는 제품 개발자뿐만 아니라 다른 팀원들도 참여하여 소프트웨어 품질을 검토하는 기술적 검토 회의이다. 오류 발견과 발견된 오류의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둔다는 것은 워크스루의 목적 중 하나이다. 검토 자료는 사전에 미리 배포하여 참여자들이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소프트웨어 재공학(Reengineering)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것은?

  1. 현재의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재구조화(Restructuring) 하는 것이다.
  2. 재구조화는 재공학의 한 유형으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나 기술적 설계의 변경 없이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것이다.
  3. 재개발(Redevelopment)과 재공학은 동일한 의미이다.
  4.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변경시키기 않고 기술적 설계를 변경하여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것도 재공학이다.
(정답률: 53%)
  • "재개발(Redevelopment)과 재공학은 동일한 의미이다."라는 설명이 거리가 먼 이유는 재개발과 재공학이 서로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재개발은 기존 시스템을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으로 다시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재공학은 기존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재구조화하여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재개발과 재공학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시스템에서 모듈 사이의 결합도(Coupo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모듈 내에 있는 처리요소들 사이의 기능적인 연관 정도를 나타낸다.
  2. 결합도가 높으면 시스템을 구현 및 유지 보수작업이 쉽다.
  3. 모듈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
  4. 자료 결합도는 내용 결합도 보다 결합도가 높다.
(정답률: 48%)
  • 모듈 사이의 결합도란 모듈 간의 상호작용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듈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각 모듈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서 모듈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모듈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생명주기 모형은?

  1.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
  2. 프로토타입 모형(Prototype Model)
  3. 코코모 모형(Cocomo Model)
  4. 점진적 모형(Spiral Model)
(정답률: 67%)
  • 위 그림은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을 나타낸다. 이 모형은 개발 과정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선형 모형으로,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전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이 모형은 각 단계에서의 결과물이 다음 단계에서의 입력물이 되는 형태로 진행되며, 각 단계에서의 결함이 다음 단계로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초기에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변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한된 자원과 일정에 대한 최적의 방법을 찾고자 노력해야 한다.
  2. 계획에 따라 소프트웨어 품질이 결정되기도 한다.
  3. 비용 추정에 관한 문제는 계획 단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4. 계획 단계에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임무는 매우 중요하다.
(정답률: 66%)
  • "비용 추정에 관한 문제는 계획 단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용 추정은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제한된 자원과 일정에 대한 최적의 방법을 찾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비용 추정은 계획 단계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다음의 예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클래스
  2. 다형성
  3. 상속성
  4. 캡슐화
(정답률: 48%)
  • 이 예시는 다형성을 나타내는 예시입니다. 다형성은 하나의 메소드나 클래스가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Animal 클래스를 상속받은 Dog와 Cat 클래스가 Animal 타입으로 선언되어 있지만, 각각의 객체는 자신만의 bark()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타입으로 다양한 객체를 다룰 수 있는 것이 다형성의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ASE(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성을 향상시켜 준다.
  2. Rayleigh-Norden 곡성의 노력 분포도를 기초로 한 생명 주기 예측 모형이다.
  3.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모든 단계를 연결시켜 주고 자동화 시켜 준다.
  4.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정답률: 53%)
  • "Rayleigh-Norden 곡성의 노력 분포도를 기초로 한 생명 주기 예측 모형이다."는 CA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CASE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 주기의 모든 단계를 연결시켜 주고 자동화 시켜주는 도구로,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객체지향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체지향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객체와 속성, 연산을 인식하는 것이다.
  2. 시스템 기술서의 동사는 객체를, 명사는 연산이나. 객체 서비스를 나타낸다.
  3. 객체지향 설계를 문서화 할 때 객체와 그들의 부객체(Sub-Object)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계층차트를 그리면 유용하다
  4. 객체는 순차적으로(Sequentially) 또는 동시적으로(Concurrently) 구현될 수 있다.
(정답률: 48%)
  • "객체는 순차적으로(Sequentially) 또는 동시적으로(Concurrently) 구현될 수 있다."는 객체지향 설계와 관련이 없는 용어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시스템 기술서의 동사는 객체를, 명사는 연산이나 객체 서비스를 나타낸다는 것은 객체지향 설계에서 중요한 문서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객체와 그들의 연산, 서비스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해할 수 있다.

    객체지향 설계에서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객체와 속성, 연산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객체와 그들의 부객체(Sub-Object)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계층차트를 그리는 것도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비용 예측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헴이 제안한 원시 프로그램의 규모에 의한 비용 예측 모형이다.
  2.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비용산정 방정식을 이용한다.
  3. COCOMO 방법은 가정과 제약조건이 없어 모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4. 같은 규모의 프로그램이라도 그 성격에 따라 비용이 다르게 산정된다.
(정답률: 57%)
  • "COCOMO 방법은 가정과 제약조건이 없어 모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COCOMO 모델은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다른 모델을 사용해야 하며, 가정과 제약조건이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유지보수의 종류 중 소프트웨어 테스팅 동안 밝혀지지 않은 모든 잠재적인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보수 형태로써 오류의 수정과 진단을 포함하는 것은?

  1. Adaptive maintenance
  2. Perfective maintenance
  3. Preventive maintenance
  4. Corrective maintenance
(정답률: 51%)
  • 소프트웨어 테스팅 동안 발견되지 않은 잠재적인 오류를 수정하는 것은 "Corrective maintenance"이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수정하고,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보수 형태이다. 다른 유지보수 형태들은 시스템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소프트웨어 재공학의 주요 활동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Analysis
  2. Reverse Engineering
  3. Restructuring
  4. Migration
(정답률: 52%)
  • 이미 존재하는 소프트웨어의 코드나 설계를 분석하여 원래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활동이 "Reverse Engineering"이다. 위 그림에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Reverse Engineer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프트웨어 품질목표 중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Correctness
  2. Reliability
  3. Usability
  4. Integrity
(정답률: 63%)
  • Usability는 사용자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목표들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한 것이라면, Usability는 사용자의 경험과 만족도를 고려한 목표입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나선형(Spiral) 모형에서 각 단계마다 실시되는 작업의 절차로 옳은 것은?

  1. 계획수립 → 위험분석 → 개발 → 평가
  2. 계획수립 → 요구분석 → 설계 → 구현
  3. 계획수립 → 구현 → 인수/설치 → 평가
  4. 계획수립 → 요구분석 → 평가 → 구현
(정답률: 44%)
  • 나선형 모형은 반복적인 개발 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따라서 각 단계마다 실시되는 작업의 절차는 계획수립, 위험분석, 개발, 평가입니다.

    먼저 계획수립 단계에서는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 일정, 예산 등을 계획합니다. 그리고 위험분석 단계에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합니다.

    다음으로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평가하는 단계에서는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검증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선형 모형은 점진적인 개발을 통해 최종 제품을 완성합니다.

    따라서 "계획수립 → 위험분석 → 개발 → 평가"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다음 중 비적응경로배정 방식인 플러딩(Flood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각 모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2. 네트워크의 모든 근원지, 목적지 노드의 쌍에 대해서 한 경로씩을 미리 결정해 두는 방식이다.
  3. 네트워크의 변화하는 상태에 따라 반응하여 경로를 결정 한다.
  4. 단순성과 견고성을 띄면서 트래픽의 부하를 훨씬 적게한 방식으로 노드는 들어오는 패킷에 대한 나가는 경로를 무작위로 1개만 선택한다.
(정답률: 41%)
  • 각 모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 플러딩은 모든 링크로 패킷을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경로를 결정하지 않고 모든 경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적응경로배정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해 나가다가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1. Stop-and-Wait
  2. Stop-and-Wait ARQ
  3. Go-back-N ARQ
  4.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정답률: 58%)
  • Go-back-N ARQ는 NAK를 수신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Stop-and-Wait는 데이터 프레임을 하나씩 전송하고, ACK를 수신한 후에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Stop-and-Wait ARQ는 Stop-and-Wait와 같은 방식이지만, NAK를 수신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합니다. ARQ(Automatic Repeat reQuest)는 전송된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손상되었을 때, 수신측에서 재전송을 요청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라우팅(Routing)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BGP(Border Gateway Protocol)
  2.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3. SNMP(Simple Network Protocol)
  4.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정답률: 59%)
  • SNMP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니라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BGP, EGP, RIP는 모두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중 데이터링크 제어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TCP
  2. DTE
  3. HDLC
  4. UDP
(정답률: 46%)
  • HDLC는 데이터링크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HDLC가 정답입니다. TCP와 UD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이며, DTE는 데이터 통신 장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ession의 모든 참여자에게 컨트롤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2. RTCP 패킷은 항상 16비트의 경계로 끝난다.
  3. 하위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과 컨트롤 패킷의 멀티 플렉싱을 제공한다.
  4.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 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49%)
  • RTCP 패킷은 항상 16비트의 경계로 끝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RTCP 패킷은 일반적으로 16비트의 경계로 끝나지만, 패킷의 크기가 16비트의 배수가 아닐 경우 패딩을 추가하여 16비트의 배수로 만들어줍니다. 이를 통해 패킷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중 비연결형(Connectionless)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HTTP
  2. TCP
  3. IP
  4. X.25
(정답률: 38%)
  • I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보낼 때 미리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패킷 단위로 보내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에 반해 HTTP, TCP, X.25은 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IP가 비연결형 프로토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X.25 프로토콜에서 정의 하고 있는것은?

  1. 다이얼 접속(Dial Access)을 위한 기술
  2. Start-Stop 데이터를 위한 기술
  3. 데이터 비트 전송률
  4. DTE/DCE 인터페이스
(정답률: 48%)
  • X.25 프로토콜은 DTE(Digital Terminal Equipment)와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간의 통신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X.25 프로토콜은 다이얼 접속 기술과 Start-Stop 데이터를 위한 기술도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X.25 프로토콜의 주요 목적이 아닙니다. 또한 X.25 프로토콜은 데이터 비트 전송률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송 속도를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HDLC는 링크 구성 방식에 따라 세가지 동작 모드를 가지고 있다. 다음중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정규 응답 모드(NRM)
  2. 비동기 응답 모드(ARM)
  3. 비동기 균형 모드(ABM)
  4. 정규 균형 모드(NBM)
(정답률: 52%)
  • 정규 균형 모드(NBM)는 HDLC의 동작 모드 중에는 없습니다. HDLC의 세 가지 동작 모드는 정규 응답 모드(NRM), 비동기 응답 모드(ARM), 비동기 균형 모드(AB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프로토콜은?

  1.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3. BOOTP(Bootstrap Protocol)
  4.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정답률: 56%)
  • 이 그림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패킷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ICMP는 인터넷 상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를 보고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이며, BOOTP(Bootstrap Protocol)는 네트워크 부팅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 중 하나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ICMP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인터넷 응용서비스 중 가상 터미널(Virtual Terminal) 기능을 갖는 것은?

  1. FTP
  2. Archie
  3. Gopher
  4. Telnet
(정답률: 58%)
  • Telnet은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해당 컴퓨터의 쉘(shell)을 제어할 수 있는 가상 터미널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Telnet은 가상 터미널 기능을 갖는 인터넷 응용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에러 검출 방식은?

  1. Cyclic Redundancy Check
  2. Hamming Code
  3. Parity Check
  4. Block Sum Check
(정답률: 48%)
  • 이 방식은 Cyclic Redundancy Check (CRC)이다. CRC는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에 추가적인 비트를 붙여서 생성된 다항식으로 나누어 나머지를 검사하는 방식이다. 이때 생성된 다항식은 수신측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어야 하며, 나머지가 0이 아니면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무선 LAN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효율성
  2. 확장성
  3. 이동성
  4. 보안성
(정답률: 64%)
  • 무선 LAN은 무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침입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안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보안성은 무선 LAN의 장점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다중 접속 방식은?

  1. FDMA
  2. CDMA
  3. SDMA
  4. TDMA
(정답률: 56%)
  • 위 그림은 시간 분할 다중 접속(TDMA) 방식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TDMA는 시간을 나눠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즉, 시간을 슬롯(slot)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각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각각의 사용자가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한 번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TCP/IP 관련 프로토콜 중 하이퍼텍스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1. HTTP
  2. SMTP
  3. SNMP
  4. Mailto
(정답률: 66%)
  •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됩니다. 즉, 인터넷 상에서 웹 페이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Mailto는 이메일 주소를 지정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하이퍼텍스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은 HT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무선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중 경쟁에 의해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것은?

  1. PSK
  2. ASK
  3. DCF
  4. PCF
(정답률: 39%)
  • DCF는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의 약자로, 무선 LAN에서 경쟁에 의해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무선 LAN에서 노드들이 채널을 공유하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각 노드가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채널을 감지하고, 다른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만약 다른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다면, 해당 노드는 채널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LAN에서 충돌을 최소화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HDLC 프레임의 종류 중 링크의 설정과 해제, 오류 회복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I-Frame
  2. U-Frame
  3. S-Frame
  4. R-Frame
(정답률: 35%)
  • U-Frame은 HDLC 프로토콜에서 링크의 설정과 해제, 그리고 오류 회복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프레임입니다. 이는 Unnumbered Frame의 약자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I-Frame은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S-Frame은 제어 정보와 함께 순서 번호를 포함하는 프레임입니다. R-Frame은 재전송 요청을 나타내는 프레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문자 위주의 전송에서 투명한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문자로 옳은 것은?

  1. DLE
  2. STX
  3. SYN
  4. DTM
(정답률: 47%)
  • "DLE"은 데이터 링크 이스케이프(Data Link Escape)의 약자로, 문자 위주의 전송에서 투명한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문자입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에 특정 문자가 데이터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만약 데이터 중에 "DLE"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데이터로 인식하지 않고 제어 문자로 인식하여 데이터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TCP/IP 모델 중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경로선택과 폭주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ARP, RARP, ICMP 등의 프로토콜이 제공되는 계층은?

  1. 응용계층
  2. 전송계층
  3. 인터넷계층
  4. 물리계층
(정답률: 36%)
  • 인터넷계층은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경로선택과 폭주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패킷이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ARP, RARP, ICMP 등의 프로토콜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인터넷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송 속도가 10Mbps이고, 버스의 총 길이가 2500m인 경우에 한 비트를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비트 시간이 1us 라고 할 때 슬롯 크기는 몇 bit인가? (단, 4개의 리피터를 사용하여 500m짜리 LAN 세그먼트를 5개 연결할 경우이며, 슬롯 시간은 51.2us이다.)

  1. 64
  2. 128
  3. 256
  4. 512
(정답률: 28%)
  • 슬롯 크기는 전송 속도와 슬롯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슬롯 시간은 51.2us이므로, 전송 속도가 10Mbps인 경우 한 슬롯에 전송될 수 있는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슬롯 크기 = 전송 속도 × 슬롯 시간
    = 10Mbps × 51.2us
    = 512

    따라서, 슬롯 크기는 512 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베이스 밴드 전송 방식중 비트 간격의 시작점에서는 항상 천이가 발생하며, “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하고 “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없는 방식은?

  1. NRZ-L 방식
  2. NRZ-M 방식
  3. NRZ-S 방식
  4. NRZ-I 방식
(정답률: 40%)
  • NRZ-M 방식은 비트 간격의 시작점에서는 항상 천이가 발생하지만, "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하고 "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없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이다. NRZ-L 방식은 "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없고, "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한다. NRZ-S 방식은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가 같으면 천이가 없고, 다르면 천이가 발생한다. NRZ-I 방식은 이전 비트와 현재 비트가 같으면 천이가 발생하고, 다르면 천이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