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8)

정보처리기사(구)
(2016-05-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뷰(View)에 대한 설명 중 옳은 내용으로만 나열한 것은?(일부 핸드폰에서 보기 내용이 보이지 않아서 괄호뒤에 다시 표기하여 둡니다.)

  1. ⓐ, ⓑ, ⓒ, ⓓ(a, b, c, d)
  2. ⓐ, ⓒ, ⓓ(a, c, d)
  3. ⓑ, ⓓ(b, d)
  4. ⓒ, ⓓ(c, d)
(정답률: 72%)
  • - 뷰(View)는 안드로이드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UI 요소이다. (ⓐ, a)
    - 뷰(View)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b)
    - 뷰(View)는 다른 뷰(View)나 레이아웃(Layout)에 포함될 수 있다. (ⓒ, c)
    - 뷰(View)는 XML 레이아웃 파일에서 정의할 수 있다. (ⓓ, d)

    따라서, 정답은 "ⓒ, ⓓ(c,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아래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degree)를 구하면?

  1. 2
  2. 3
  3. 4
  4. 5
(정답률: 78%)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루트 노드는 3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노드들은 각각 1개 또는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큰 차수는 3이므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Internal Schema
  2. External Schema
  3. Foreign Schema
  4. Conceptual Schema
(정답률: 54%)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개념적인 구조를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인 구조를 표현하는 스키마를 Conceptual Schema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Conceptual Sche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트리의 터미널 노드 수는?

  1. 2
  2. 4
  3. 6
  4. 10
(정답률: 74%)
  • 터미널 노드란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를 말합니다. 따라서, 터미널 노드의 개수는 6개입니다. "2", "4", "6", "10"은 모두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터미널 노드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스택 알고리즘에서 T 가 스택 포인터이고, m이 스택의 길이일 때, 서브루틴 “AA”가 처리해야 하는 것은?

  1. 오버플로우 처리
  2. 언더플로우 처리
  3. 삭제 처리
  4. 삽입 처리
(정답률: 75%)
  • 스택이 가득 차서 더 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상황을 오버플로우(Overflow)라고 합니다. 따라서 스택 알고리즘에서는 스택이 가득 차서 더 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오버플로우 처리를 서브루틴 "AA"에서 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해싱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Synonym
  2. Collision
  3. Bucket
  4. Overflow
(정답률: 78%)
  • 해싱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Bucket" 이라고 부릅니다. "Synonym"은 동의어를 의미하며,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Collision"은 충돌을 의미하며, "Overflow"는 버킷이 가득 차서 추가 레코드를 수용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자료에 대하여 “selection sort”를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1의 결과는?

  1. 3, 4, 8, 7, 9
  2. 3, 4, 7, 9, 8
  3. 3, 4, 7, 8, 9
  4. 3, 8, 4, 9, 7
(정답률: 80%)
  • Selection sort는 가장 작은 값을 찾아서 맨 앞으로 보내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PASS 1에서는 가장 작은 값인 3을 찾아서 맨 앞으로 보내고, 그 다음으로 작은 값인 4를 찾아서 3 다음 자리에 넣는다. 그 다음으로는 8이 이미 제 위치에 있으므로 넘어가고, 7과 9 중에서 작은 값인 7을 찾아서 4 다음 자리에 넣는다. 마지막으로 9와 8 중에서 작은 값인 8을 찾아서 9 다음 자리에 넣는다.

    따라서 "3, 8, 4, 9, 7"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SQL에서 DELETE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이블의 행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
  2. WHERE 조건절이 없는 DELETE 명령을 수행하면 DROP TABLE 명령을 수행했을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SQL을 사용 용도에 따라 분류할 경우 DML에 해당한다.
  4. 기본 사용 형식은 “DELETE FROM 테이블 [WHERE 조건];”이다.
(정답률: 78%)
  • "WHERE 조건절이 없는 DELETE 명령을 수행하면 DROP TABLE 명령을 수행했을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ELETE 명령은 테이블의 행을 삭제하는 명령이지만, WHERE 조건절이 없는 경우에는 모든 행이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 자체가 삭제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DROP TABLE 명령과는 다른 효과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로킹(Locking)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킹의 대상이 되는 객체의 크기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
  2.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3. 데이터베이스도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4. 로킹 단위가 커지면 로크 수가 작아 로킹 오버헤드가 감소한다.
(정답률: 79%)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지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더 많은 객체가 로킹될 수 있기 때문에 병행성 수준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킹 단위가 작아질수록 병행성 수준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병행제어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활용도 최대화
  2.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최대화
  3.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유지
  4. 사용자에 대한 응답시간 최대화
(정답률: 85%)
  • 병행제어의 목적은 사용자에 대한 응답시간 최대화가 아니라, 시스템 활용도 최대화,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최대화,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유지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한 응답시간 최대화"는 옳지 않은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일련의 연산 집합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작업 단위는?

  1. 도메인
  2. 트랜잭션
  3. 모듈
  4. 프로시저
(정답률: 82%)
  •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한 일련의 연산 집합을 하나의 논리적 기능으로 묶어서 수행하는 작업 단위이다. 이 작업 단위는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지속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여러 개의 연산이 동시에 수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트랜잭션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STUDENT 테이블에 독일어과 학생 50명, 중국어과 학생 30명, 영어영문학과 학생 50명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다음 SQL 문의 실행 결과 튜플 수는? (단, DEPT 컬럼은 학과명)

  1. ⓐ 3 ⓑ 3
  2. ⓐ 50 ⓑ 3
  3. ⓐ 130 ⓑ 3
  4. ⓐ 130 ⓑ 130
(정답률: 79%)
  • SELECT COUNT(*) FROM STUDENT WHERE DEPT IN ('독일어과', '중국어과', '영어영문학과');

    위 SQL 문은 STUDENT 테이블에서 DEPT 컬럼이 '독일어과', '중국어과', '영어영문학과'인 학생들의 수를 COUNT하여 출력하는 문장이다. 따라서 독일어과, 중국어과, 영어영문학과 학생들의 수를 합한 130이 출력되므로 정답은 ⓐ 130 ⓑ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QL언어의 데이터 정의어(DDL)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CREATE
  2. ALTER
  3. SELECT
  4. DROP
(정답률: 81%)
  • SQL의 데이터 정의어(DDL)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인덱스 등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명령어를 말합니다. 따라서 "SELECT"는 데이터 정의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SELECT"는 데이터 검색을 위한 데이터 조작어(DML)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에서 차수(Degree)의 의미는?

  1. 튜플의 수
  2. 테이블의 수
  3. 데이터베이스의 수
  4. 애트리뷰트의 수
(정답률: 68%)
  •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에서 차수(Degree)는 한 릴레이션 내에서 각 튜플이 가지는 애트리뷰트의 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애트리뷰트의 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규화의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게 만든다.
  2.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도모한다.
  3. 데이터 삽입 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줄인다.
  4.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정답률: 80%)
  • 정규화의 목적은 중복을 배제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최적화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중복을 배제하는 것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형 구조가 아닌 것은?

  1. 스택
  2. 트리
  3. 연결 리스트
(정답률: 78%)
  • 트리는 선형 구조가 아닌 비선형 구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선형 구조는 데이터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구조를 말하며, 스택, 큐, 연결 리스트는 모두 선형 구조입니다. 하지만 트리는 부모와 자식 노드 간의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렬로 나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선형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위 표기법(infix)의 수식 (A+B)*C+(D+E)을 후위 표기법(postfix)으로 옳게 표기한 것은?

  1. AB+CDE*++
  2. AB+C*DE++
  3. +AB*C+DE+
  4. +*+ABC+DE
(정답률: 71%)
  • 정답은 "AB+C*DE++"이다.

    중위 표기법에서는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괄호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해야 한다. 하지만 후위 표기법에서는 괄호가 필요 없으며, 연산자의 우선순위는 표기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AB+C*DE++"은 A와 B를 더한 후 C를 곱하고, D와 E를 더한 결과를 이전 결과에 더하는 식이다. 이는 중위 표기법의 수식 "(A+B)*C+(D+E)"과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관계 대수의 수학적 표현식이다. 해당되는 연산은?

  1. 합집합
  2. 교집합
  3. 차집합
  4. 카티션 프로덕트
(정답률: 61%)
  • 위 수식은 두 개의 릴레이션 R과 S의 카티션 프로덕트를 나타내고 있다. 카티션 프로덕트는 두 릴레이션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만들어내는 연산이다. 따라서 정답은 "카티션 프로덕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널(NUL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널(NULL)은 비어 있다는 뜻으로 기본값 “A”를 가진다.
  2. 널(NULL)은 Space 값을 나타낸다.
  3. 널(NULL)은 Zero 값을 나타낸다.
  4. 널(NULL)은 공백(space)도, 영(zero)도 아닌 부재 정보(missing information)를 나타낸다.
(정답률: 82%)
  • 널(NUL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필드에 값이 없거나 부재 정보(missing information)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백이나 영(zero)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널(NULL)은 공백(space)도, 영(zero)도 아닌 부재 정보(missing information)를 나타낸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트랜잭션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Durability
  2. Isolation
  3. Consistency
  4. Atomicity
(정답률: 69%)
  • 트랜잭션의 Atomicity는 "전부 또는 전혀"의 원칙을 따르며,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이 완료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음을 보장합니다. 즉, 트랜잭션 내의 어떤 작업이라도 실패하면 전체 트랜잭션이 롤백되어 이전 상태로 복원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수치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치 코드에는 자리 값을 가지고 있는 가중 코드(weighted code)와 자리 값이 없는 비가중 코드(non-weighted code)로 구분할 수 있다.
  2. 10진 자기보수화 코드로는 2421 code, excess-3 code 등이 대표적이다.
  3. 3초과 코드는 8421 코드에 10진수 3을 더한 코드로 코드 내에 하나 이상의 1 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 0과 무신호를 구분하기 위한 코드이다.
  4. 그레이 코드(gray Code)는 대표적인 가중(weighted) 코드로 인접하나 코드의 비트가 1비트만 변하여 산술 연산에 적합하다.
(정답률: 50%)
  • "그레이 코드(gray Code)는 대표적인 가중(weighted) 코드로 인접하나 코드의 비트가 1비트만 변하여 산술 연산에 적합하다." 이 설명은 옳다. 그레이 코드는 이진수에서 인접한 두 수의 코드 값이 단 하나의 비트만 차이가 나도록 만든 코드이기 때문에, 산술 연산에 적합하다. 이진수에서 한 비트만 바뀌면 값이 크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채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변 채널은 채널 제어기가 특정한 I/O 장치들에 전용인 전송통로를 지닌 형태를 말하며 구성은 간단하지만 고정 채널에 비해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2. 버스트 모드는 여러 개의 I/O 장치가 채널의 기능을 공유하여 시분할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로 비교적 저속의 I/O 장치 여러 개를 동시에 동작시키는데 적합하다.
  3. 멀티플렉서 모드는 하나의 I/O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채널의 기능을 완전히 독점하여 사용하므로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데 적합하다.
  4.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은 하나의 데이터 경로를 경유한다는 점과 고속의 입출력 장치를 취급한다는 점에서 바이트 멀티플렉서 채널과 selector 채널을 결합한 형태의 채널이다.
(정답률: 44%)
  •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은 하나의 데이터 경로를 경유한다는 점과 고속의 입출력 장치를 취급한다는 점에서 바이트 멀티플렉서 채널과 selector 채널을 결합한 형태의 채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Gray code 1111을 2진 코드로 바꾸면?

  1. 1010
  2. 1011
  3. 0111
  4. 1001
(정답률: 56%)
  • Gray code에서 인접한 두 수는 한 비트만 다르므로, 1111과 인접한 Gray code는 1110이다. 이를 2진 코드로 바꾸면 10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CPU 내부의 레지스터 중 프로그램 제어와 관계가 있는 것은?

  1. memory address register
  2. index register
  3. accumulator
  4. status register
(정답률: 56%)
  • status register는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레지스터입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한 오류나 예외 상황을 나타내는 플래그(bit)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제어와 관련된 레지스터 중 하나인 status regist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이터를 전송할 때 입, 출력 버스를 통하여 프로세서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데이터의 전송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태 레지스터를 사용하는 전송 모드는?

  1. 프로그램된 I/O
  2. 인터럽트에 의한 I/O
  3. 직접메모리접근(DMA)
  4. 간접메모리접근(IMA)
(정답률: 34%)
  • 프로그램된 I/O는 데이터 전송을 프로세서가 직접 제어하는 방식으로, 입, 출력 버스를 통해 주변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상태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전송 상태를 확인합니다. 이 방식은 프로세서가 주변장치와 직접 통신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송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아 처리 속도가 일정합니다. 따라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명령어의 주소(address)부를 유효주소로 이용하는 방법은?

  1. 상대 주소
  2. 즉시 주소
  3. 절대 주소
  4. 직접 주소
(정답률: 52%)
  • 명령어의 주소부를 유효주소로 이용하는 방법 중 "직접 주소"는 해당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직접 지정하여 접근하는 방법이다. 즉, 명령어의 주소부에 저장된 값이 메모리 주소 그 자체를 나타내므로, 이를 그대로 사용하여 해당 메모리 주소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상대적인 위치나 다른 주소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가 저장된 정확한 메모리 위치를 직접 지정하여 접근하기 때문에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Half-Adder의 진리표를 참조하여 캐리(C)와 합(S)을 구한 결과가 옳은 것은?

  1. S=x⊕y, C=xy
  2. S=xy+xy, C=xy
  3. S=x+y, C=xy
  4. S=xy+y, C=xy
(정답률: 63%)
  • 캐리(C)는 x와 y가 모두 1일 때 발생하므로 C=xy가 맞다. 합(S)은 x와 y 중 하나만 1일 때 1이 되므로 논리합(x+y)이 아니라 배타적 논리합(x⊕y)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S=x⊕y, C=x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로그램 처리 중 명령의 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인터럽트는?

  1. 기계착오 인터럽트
  2. 정전
  3. SVC 인터럽트
  4. 프로그램 인터럽트
(정답률: 44%)
  • SVC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운영체제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기능을 호출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는 해당 서비스를 처리한 후 다시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프로그램 실행 중에 운영체제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인터럽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데이터 입출력 전송이 CPU를 통하지 않고 직접 주기억 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방식은?

  1. Bus
  2. DMA
  3. Cache
  4. Interleaving
(정답률: 60%)
  •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CPU의 개입 없이 주변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입출력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채널 명령어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data address
  2. flag
  3. operation code
  4. I/O device 처리 속도
(정답률: 67%)
  • 채널 명령어의 구성 요소는 "data address", "flag", "operation code"이다. 이들은 채널이 수행할 작업을 명시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반면에 "I/O device 처리 속도"는 채널 명령어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이는 I/O 장치의 성능과 관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I/O device 처리 속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RAID-5는 RAID-4의 어떤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는가?

  1. 병렬 액세스의 불가능
  2. 긴 쓰기 동작 시간
  3. 패리티 디스크의 액세스 집중
  4. 많은 수의 검사 디스크 사용
(정답률: 46%)
  • RAID-4에서는 모든 데이터 블록과 패리티 블록이 하나의 디스크에 집중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해당 디스크에 액세스하는 모든 작업이 집중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AID-5에서는 패리티 블록을 여러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므로, 액세스 집중 문제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논리회로를 바르게 표시한 논리식은?

(정답률: 41%)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입력 A, B, C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어야 하므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버스 중재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폴링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교적 큰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다.
  2. 융통성이 있다.
  3. 반응속도가 느리다.
  4. 우선순위를 변경하기 어렵다.
(정답률: 45%)
  • 소프트웨어 폴링 방식은 주기적으로 정보를 조회하여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변경하기 어렵다는 것은 폴링 주기를 변경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폴링 주기를 변경하려면 소프트웨어를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순위를 동적으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른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명령어의 기능 중에서 동일한 명령을 반복 실행하거나, 명령의 실행 순서를 변경시키는 기능은?

  1. 전달기능
  2. 함수연산기능
  3. 제어기능
  4. 입, 출력기능
(정답률: 67%)
  • 제어기능은 반복 실행이나 실행 순서 변경과 같은 명령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동일한 명령을 반복 실행하거나, 명령의 실행 순서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에 반해 전달기능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 함수연산기능은 수학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기능, 입, 출력기능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과 같이 A, B 2개의 레지스터에 있는 자료에 대하여 ALU가 OR 연산을 행할 때 출력 레지스터 C의 내용은?

  1. 11101110
  2. 11111110
  3. 10000000
  4. 10110110
(정답률: 67%)
  •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이 되므로, A와 B 레지스터의 각 비트를 OR 연산한 결과가 출력 레지스터 C에 저장된다. 따라서 A와 B 레지스터의 각 비트를 OR 연산한 결과는 "11111110" 이 되어 출력 레지스터 C에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DRA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RAM에 비해 기억 용량이 크다.
  2. 쌍안정 논리 회로의 성질을 응용한다.
  3. 주기억 장치 구성에 사용된다.
  4. SRAM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50%)
  • "쌍안정 논리 회로의 성질을 응용한다."는 DRAM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라 SRAM의 특징 중 하나이다. DRAM은 쌍안정 논리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캐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쌍안정 논리 회로의 성질을 응용한다."는 DRA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쌍안정 논리 회로는 SRAM에서 사용되며, 전력 소모가 적고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DRAM은 캐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SRAM에 비해 전력 소모가 많고 속도가 느리다. 그러나 DRAM은 SRAM에 비해 기억 용량이 크고, 주기억 장치 구성에 많이 사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중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중처리기는 강결합 시스템으로 2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2. 다중처리기는 기억장치와 입출력 채널, 주변 장치들을 공유한다.
  3. 다중처리기는 다수의 복합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된다.
  4. 프로세서들 간의 통신은 공유 기억장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정답률: 54%)
  • "다중처리기는 다수의 복합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다중처리기는 하나의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다중처리기의 종류와 운영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기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장치 위치의 주소가 256AH이고, 명령어에 지정된 변위 값이 –75H인 경우 분기되는 주소의 위치는? (단, 분기 명령어 길이는 3바이트이고 상대 주소모드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1. 24F2H 번지
  2. 24F5H 번지
  3. 24F8H 번지
  4. 256DH 번지
(정답률: 45%)
  • 분기 명령어의 길이가 3바이트이므로, 분기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장치 위치의 주소 256AH에서 3을 더한 256DH가 분기되는 주소가 된다. 하지만, 명령어에 지정된 변위 값이 -75H이므로, 분기되는 주소는 256DH에서 -75H를 더한 24F8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F8H 번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인터럽트 작동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30%)
  • 인터럽트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럽트 요청 발생
    2.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 완료
    3.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 실행
    4. 인터럽트 처리 완료 후 원래 수행하던 작업으로 복귀

    따라서, 올바른 인터럽트 작동 순서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64Kbyte인 주소 공간(address space)과 4Kbyte인 기억 공간(memory space)을 가진 컴퓨터의 경우 한 페이지(page)가 512byte로 구성되었다면 페이지와 블록 수는 각각 얼마인가?

  1. 16페이지, 12블록
  2. 128페이지, 8블록
  3. 256페이지, 16블록
  4. 64페이지, 4블록
(정답률: 51%)
  • 한 페이지가 512byte이므로 1블록은 512*4=2048byte이다. 따라서 4Kbyte인 기억 공간은 2048*2=4096블록으로 구성된다.

    주소 공간이 64Kbyte이므로 페이지 수는 64Kbyte/512byte = 128페이지이다.

    기억 공간이 4Kbyte이므로 블록 수는 4096블록이다.

    따라서 페이지와 블록 수는 각각 "128페이지, 8블록"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Working set W(t,w)는 t-w 시간부터 t 까지 참조된 page들의 집합을 말한다. 그 시간에 참조된 페이지가 {2, 3, 5, 5, 6, 3, 7}이라면 working set은?

  1. {3, 5}
  2. {2, 6, 7}
  3. {2, 3, 5, 6, 7}
  4. {2, 7}
(정답률: 66%)
  • Working set은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들의 집합이므로, 중복된 페이지는 하나로 취급하여 {2, 3, 5, 6, 7}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 3, 5, 6,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디렉토리 구조 중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MFD와 각 사용자별로 만들어지는 UFD로 구성되며, MFD는 각 사용자의 이름이나 계정 번호 및 UFD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고 있으며, UFD는 오직 한 사용자가 갖고 있는 파일들에 대한 파일 정보만 갖고 있는 것은?

  1. 트리 디렉토리 구조
  2.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3. 2단계 디렉토리 구조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58%)
  • MFD와 각 사용자별 UFD로 구성되는 디렉토리 구조에서 각 사용자의 파일 정보를 UFD에 저장하는데, 이는 해당 사용자의 파일들만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파일들이 서로 다른 사용자들 간에 공유되지 않고, 각 사용자의 파일들만을 따로 관리하는 2단계 디렉토리 구조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하나인 로더(Loader)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llocation
  2. Linking
  3. Translation
  4. Relocation
(정답률: 54%)
  • 로더의 기능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링킹하여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고, 재배치 정보를 처리하여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Translation"은 로더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Translation"은 소스 코드를 목적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컴파일러의 역할이며, 로더와는 별개의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가의 자원은 최적의 이용을 위해 집중적인 관리를 필요로 한다. 주기억장치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한 OS에서의 기억장치 관리기법이 아닌 것은?

  1. Fetch strategy
  2. Placement strategy
  3. Cycle strategy
  4. Replacement strategy
(정답률: 38%)
  • 주기억장치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한 OS에서의 기억장치 관리기법 중에서 "Cycle strategy"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Cycle strategy"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UNIX에서 I-node는 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파일이 가장 처음 변경된 시간 및 파일의 타입
  2.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3. 파일이 만들어진 시간
  4. 데이터가 담긴 블록의 주소
(정답률: 56%)
  • I-node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파일이 가장 처음 변경된 시간 및 파일의 타입은 파일의 내용과는 관련이 없는 메타데이터 정보이기 때문에 I-node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의 생성 시간, 소유자 정보, 데이터 블록 주소 등 파일의 내용과 관련된 정보들이므로 I-node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RR(Round-Robin)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의 계산으로 우선순위를 처리한다.
  2. 시간 할당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이 자주 일어난다.
  3. 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4. 시간 할당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5%)
  • "(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의 계산으로 우선순위를 처리한다."는 RR 스케줄링과는 관련이 없는 우선순위 스케줄링 방식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RR 스케줄링은 시간 할당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이 자주 일어나고, 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 시간 할당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은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OS에 의해 CPU가 할당되는 프로세스를 변경하기 위한 목적으로 현재 CPU를 사용하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 권한을 ISR에게 넘기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ontext Switching
  2. Monitor
  3. Mutual Exclusion
  4. Semaphore
(정답률: 57%)
  • 정답은 "Context Switching"입니다.

    Context Switching은 현재 CPU를 사용하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 권한을 ISR에게 넘기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작업은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CPU 할당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Monitor는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기법입니다.

    Mutual Exclusion은 공유 자원에 대한 동시 접근을 막기 위한 동기화 기법입니다.

    Semaphore는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동기화 기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운영체제의 일반적인 역할이 아닌 것은?

  1. 사용자들 간의 하드웨어의 공동 사용
  2. 자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
  3. 입/출력에 대한 보조역할
  4. 실행 가능한 목적(object) 프로그램 생성
(정답률: 58%)
  • 운영체제의 일반적인 역할은 사용자들 간의 하드웨어의 공동 사용, 자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 입/출력에 대한 보조역할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행 가능한 목적(object) 프로그램 생성은 운영체제의 역할이 아닙니다. 이는 컴파일러의 역할로, 소스 코드를 목적 코드로 변환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분산 처리 시스템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신뢰도 향상
  2. 자원 공유
  3. 연산 속도 향상
  4. 보안성 향상
(정답률: 73%)
  • 보안성 향상은 분산 처리 시스템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분산 처리 시스템이 자원을 공유하고 연산 속도를 향상시키며, 신뢰도를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지만, 보안성은 분산 처리 시스템의 목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분산 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안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현재 헤드의 위치가 50에 있고, 요청 대기열의 순서가 다음과 같을 경우, C-SCAN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한 헤드의 총 이동 거리는 얼마인가? (단, 현재 헤드의 이동 방향은 안쪽이며, 안쪽의 위치는 0으로 가정한다.)

  1. 790
  2. 380
  3. 370
  4. 250
(정답률: 37%)
  • C-SCAN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요청 대기열을 한 방향으로 순회하다가 끝에 도달하면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순회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인 70으로 이동한 후, 끝까지 순회하면서 요청 대기열 중 가장 큰 값인 790까지 이동한 후 다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250까지 이동하면 된다. 이동 거리는 70-50+790-0+199+250-0 = 38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UNIX의 특징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

  1. ⓐ, ⓒ
  2. ⓐ, ⓑ, ⓒ
  3. ⓐ, ⓒ, ⓓ
  4. ⓐ, ⓑ, ⓒ, ⓓ
(정답률: 74%)
  • - ⓐ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작업 처리 가능: UNIX는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다중 작업 처리를 지원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대부분의 UNIX 시스템은 오픈 소스: UNIX는 대부분 오픈 소스로 개발되어 있어서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자유롭게 수정, 배포할 수 있습니다.
    - ⓒ 다양한 하드웨어와 호환성: UNIX는 다양한 하드웨어와 호환성이 높아서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강력한 명령어 인터페이스: UNIX는 강력한 명령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명령어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주변 장치 관리
  3.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
  4. 신뢰성 향상
(정답률: 65%)
  •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은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은 보안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보조적인 기능으로, 운영체제의 주요 목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운영체제를 수행 기능에 따라 분류할 경우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서비스 프로그램
  2. 감시 프로그램
  3.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4. 작업 제어 프로그램
(정답률: 62%)
  •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감시 프로그램",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작업 제어 프로그램"입니다. 반면에,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제어 프로그램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서비스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분산 운영체제 중 다음의 특징을 갖는 구조는?

  1. Ring Connection
  2. Multi Access Bus
  3. Hierarchy
  4. STAR
(정답률: 67%)
  • 정답은 "STAR"입니다.

    이 구조는 STAR 구조로, 중앙에 있는 컨트롤러가 다른 모든 노드들과 통신하는 형태입니다. 이 구조는 다른 구조에 비해 안정성과 확장성이 높으며, 노드 간의 통신이 중앙 컨트롤러를 거치기 때문에 충돌이나 데이터 손실이 적습니다. 또한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기도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교착상태(Deadlock)의 회복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교착상태에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중지시킨다.
  2.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자원을 하나씩 비선점 시킨다.
  3.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프로세스를 하나씩 종료시킨다.
  4. 교착상태 회복 기법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교착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정답률: 45%)
  • "교착상태가 없어질 때까지 교착상태에 포함된 자원을 하나씩 비선점 시킨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 기법은 자원 할당 그래프 알고리즘(RAG)을 사용하여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RAG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그래프에서 사이클이 발생하면 교착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이클을 해결하기 위해 자원을 비선점적으로 해제하여 교착상태를 해결합니다. 따라서 교착상태에 포함된 자원을 하나씩 비선점 시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파일 손상을 막기 위한 파일 보호 기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파일 명명(File Naming)
  2. 접근 제어(Access control)
  3. 암호화(Password/Cryptography)
  4. 복구(Recovery)
(정답률: 54%)
  • 복구는 이미 손상된 파일을 복구하는 기능이므로 파일 손상을 막는 기능이 아니다. 따라서 파일 손상을 막기 위한 파일 보호 기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페이지 기억장치 할당기법에서, 한 페이지의 크기가 512바이트이고 페이지 번호는 0부터 시작한다면, 논리적인 주소 1224번지는 어디로 변환되는가?

  1. 페이지 1, 변위 200
  2. 페이지 200, 변위 1
  3. 페이지 2, 변위 200
  4. 페이지 200, 변위 2
(정답률: 55%)
  • 논리적인 주소 1224번지는 2번째 페이지에 속하며, 해당 페이지에서의 변위는 200이 된다. 이는 1224를 512로 나눈 몫이 2이고, 나머지가 20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페이지 2, 변위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UNIX 명령어 중 permission 변경을 위한 “chmod”의 실행 예이다. “chmod” 명령어를 실행한 후 “ls -l” 명령을 사용하여 결과를 확인하고자 할 때 (Ⓐ) 부분에 출력될 결과로 가장 옳은 것은?

  1. -rwxr-xr-x
  2. -rwxrwxrwx
  3. -r--rwxrwx
  4. -rw-r-xr-x
(정답률: 53%)
  • chmod 755 test.sh 명령어를 실행하면, test.sh 파일의 permission이 rwxr-xr-x로 변경된다. 이는 owner에게는 read, write, execute 권한이 있고, group과 others에게는 read와 execute 권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wxr-xr-x"은 파일의 permission을 나타내는 문자열로, 첫 번째 문자는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는 일반 파일을 의미한다. 그 다음 세 개의 문자는 owner의 권한을 나타내며, r은 read, w는 write, x는 execute 권한을 의미한다. 그 다음 세 개의 문자는 group의 권한을 나타내며, 마지막 세 개의 문자는 others의 권한을 나타낸다.

    따라서 "-rwxr-xr-x"는 owner에게는 read, write, execute 권한이 있고, group과 others에게는 read와 execute 권한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보안의 메커니즘 중 데이터를 송수신한 자가 송수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송수신 증거를 제공하는 것은?

  1. Authentication
  2. Encryption
  3. Non-repudiation
  4. Decryption
(정답률: 46%)
  • Non-repudiation은 데이터 송수신의 증거를 제공하여 송수신한 자가 송수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 메커니즘이다. 다른 선택지인 Authentication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 Encryption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 Decryption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조건 방지, 비선점 조건 방지, 환형 대기조건 방지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Prevention
  2. Avoidance
  3. Detection
  4. Recovery
(정답률: 66%)
  •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조건 방지, 비선점 조건 방지, 환형 대기조건 방지는 모두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들이다. 따라서 이들 방법은 모두 "Prevention"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Data Dictionary에서 자료의 연결을 나타내는 기호는?

  1. =
  2. ( )
  3. { }
(정답률: 68%)
  • Data Dictionary에서 자료의 연결을 나타내는 기호는 "+"입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자료를 결합하여 하나의 자료로 표현할 때 사용되며, 이를 연결 연산자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이름"과 "성"을 결합하여 "성명"이라는 하나의 자료로 표현할 때 "성"과 "명" 사이에 "+" 기호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프트웨어 재공학 활동 중 원시 코드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관계를 파악하고 기존 시스템의 설계 정보를 재발견하고 다시 제작하는 작업은?

  1. Analysis
  2. Reverse Engineering
  3. Restructuring
  4. Migration
(정답률: 61%)
  • 원시 코드를 분석하여 기존 시스템의 설계 정보를 재발견하고 다시 제작하는 작업은 Reverse Engineering이다. 이는 기존 시스템의 구조와 관계를 파악하여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나 업그레이드 작업에서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객체지향 개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석 단계에서는 객체의 이름과 상태, 행위들을 개념적으로 파악한다.
  2. 설계 단계에서는 객체를 속성과 연산으로 정의하고 접근 방법을 구체화한다.
  3. 구현 단계에서는 클래스를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한다.
  4. 테스트 단계에서는 클래스 단위 테스트와 시스템 테스트를 진행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구현 단계에서는 클래스를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술한다."입니다. 객체지향 개발에서는 구현 단계에서도 객체지향적인 방법으로 클래스를 구현해야 합니다. 객체지향적인 방법으로 클래스를 구현하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객체지향 개발 과정에서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결합도(Coupl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 결합도(Data Coupling)는 두 모듈이 매개변수로 자료를 전달할 때 자료구조 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2. 내용 결합도(Content Coupling)는 하나의 모듈이 직접적으로 다른 모듈의 내용을 참조할 때 두 모듈은 내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3. 공통 결합도(Common Coupling)는 두 모듈이 동일한 전역 데이터를 접근한다면 공통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4. 결합도(Coupling)는 두 모듈간의 상호작용, 또는 의존도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답률: 41%)
  • 정답은 "데이터 결합도(Data Coupling)는 두 모듈이 매개변수로 자료를 전달할 때 자료구조 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이다.

    이유는 데이터 결합도는 모듈 간에 매개 변수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결합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자료구조 형태로 전달되어 이용될 때 데이터가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듈 간의 결합도를 나타내는 다른 유형들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오류의 80%는 전체 모듈의 20% 내에서 발견된다는 법칙은?

  1. Brooks의 법칙
  2. Boehm의 법칙
  3. Pareto의 법칙
  4. Jackson의 법칙
(정답률: 54%)
  • Pareto의 법칙은 "20%의 원인이 80%의 결과를 일으킨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도 이 원리가 적용되어, 전체 모듈 중 일부 모듈에서 발견된 오류가 전체 오류의 80%를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Pareto의 법칙"이다. Brooks의 법칙은 "추가적인 프로그래머를 프로젝트에 추가하면 일정이 더욱 지연된다"는 법칙이고, Boehm의 법칙은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에 결함을 발견하면 비용이 적게 든다"는 법칙이다. Jackson의 법칙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결함을 발견하면 비용이 적게 든다"는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Gantt chart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이정표
  2. 작업일정
  3. 작업기간
  4. 주요 작업경로
(정답률: 61%)
  • Gantt chart는 작업 일정과 작업 기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이지만, 주요 작업 경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주요 작업 경로는 작업 간의 의존성과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Gantt chart는 단순히 일정과 기간을 보여주는 것에 초점을 둔 도구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두 명의 개발자가 5개월에 걸쳐 10000 라인의 코드를 개발하였을 때, 월별(person-month) 생산성 측정을 위한 계산 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00 / 2
  2. 10000 / 5
  3. (2x10000) / 5
  4. 10000 / (5x2)
(정답률: 74%)
  • 정답은 "10000 / (5x2)" 입니다.

    월별 생산성 측정을 위해서는 개발자 수와 개발 기간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개발자 두 명이 5개월 동안 10000 라인의 코드를 개발한 경우, 월별 생산성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월별 생산성 = 총 생산성 / (개발자 수 x 개발 기간)

    여기서, 총 생산성은 10000 라인이고, 개발자 수는 2명, 개발 기간은 5개월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월별 생산성 = 10000 / (2 x 5) = 10000 / 10 = 1000

    따라서, 월별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계산 방식으로 "10000 / (5x2)"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3P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People, Priority, Problem
  2. People, Problem, Process
  3. Power, Problem, Process
  4. Problem, Process, Priority
(정답률: 79%)
  • 정답은 "People, Problem, Process"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eople (사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팀원들의 역량과 역할 분담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인력을 모집하고,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협업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Problem (문제): 프로젝트 수행 중 발생하는 문제들을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능력과 대처 전략이 프로젝트 성패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3. Process (과정):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일정 관리, 예산 관리, 품질 관리 등의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객체 지향 기법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은?

  1. 메시지
  2. 클래스
  3. 추상화
  4. 메소드
(정답률: 76%)
  • 클래스는 객체 지향 기법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상향식 통합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깊이 우선 통합법 또는 넓이 우선 통합법에 따라 스터브(stub)를 실제 모듈로 대치한다.
  2. 검사를 위해 드라이버를 생성한다.
  3. 하위 모듈들을 클러스터로 결합한다.
  4.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검사한다.
(정답률: 55%)
  • "깊이 우선 통합법 또는 넓이 우선 통합법에 따라 스터브(stub)를 실제 모듈로 대치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스터브(stub)를 실제 모듈로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 스터브(stub)를 사용하여 하위 모듈의 기능을 대신하고, 이를 통해 상위 모듈과 통합 검사를 수행한다. 스터브(stub)는 테스트 대상 모듈과 상호작용하는 더미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Alien C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그램의 로직이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2. 아주 오래되거나 참고 문서 또는 개발자가 없어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3. 오류(Error)가 없어 디버깅 과정이 필요 없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4. 차세대 언어를 사용해 인공지능적인 API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정답률: 74%)
  • "아주 오래되거나 참고 문서 또는 개발자가 없어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옳은 것이다. Alien Code는 유지보수가 어려운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오래되었거나, 개발자가 없어서 문서화되지 않았거나, 로직이 복잡하여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떤 프로그램을 재공학 기술을 적용하여 보수하고자 할 때 Flow Graph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의 샘플 프로그램에 대한 Flow Graph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McCabe 식의 Cyclomatic Complexity를 구하면?

  1. 1
  2. 2
  3. 3
  4. 4
(정답률: 48%)
  • McCabe 식의 Cyclomatic Complexity는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 그래프에서 분기점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이다. 위의 Flow Graph에서 분기점은 if문과 while문 두 개이므로 Cyclomatic Complexity는 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Rumbaugh”의 객체 지향 분석 모델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relational
  2. object
  3. functional
  4. dynamic
(정답률: 59%)
  • 정답은 "relational"입니다.

    Rumbaugh의 객체 지향 분석 모델링은 객체를 중심으로 하는 모델링 방법론으로,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중심으로 모델링합니다. 따라서 "object"와 "dynamic"은 객체 지향 분석 모델링에 해당하는 용어입니다.

    "Functional"은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용어이므로, 객체 지향 분석 모델링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하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모두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으로서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relationa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용어입니다. 객체 지향 분석 모델링은 객체를 중심으로 모델링하는 반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중심으로 모델링합니다. 따라서 "relational"은 객체 지향 분석 모델링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객체지향 테스팅 전략 중에서 Unit Testing에 사용되는 것은?

  1. class testing
  2. cluster testing
  3. thread-based testing
  4. use-based testing
(정답률: 44%)
  • Unit Testing은 개별적인 모듈 또는 클래스를 테스트하는 것이므로, "class testing"이 사용된다. 다른 옵션들은 보다 큰 범위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소프트웨어 공학의 여러 작업들을 자동화하는 도구이다.
  2.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의 어느 부분을 지원하느냐에 따라 Organic, Semi-detached Case, Embedded 모드로 분류할 수 있다.
  3.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문서화 및 명세화를 위한 그래픽 기능을 제공한다.
  4. 자료흐름, 비즈니스 프로세스(Business Process) 등의 다이어그램을 쉽게 작성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도 CASE 도구이다.
(정답률: 52%)
  • "자료흐름, 비즈니스 프로세스(Business Process) 등의 다이어그램을 쉽게 작성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도 CASE 도구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CASE 도구 중 하나인 프로세스 모델링 도구에 해당하는데, CASE는 이외에도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등 소프트웨어 공학의 여러 작업들을 자동화하는 도구이며, 소프트웨어 수명주기의 어느 부분을 지원하느냐에 따라 Organic, Semi-detached Case, Embedded 모드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이 CASE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주어진 시간동안 주어진 기능을 오류 없이 수행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효율성
  2. 사용 용이성
  3. 신뢰성
  4. 이식성
(정답률: 69%)
  • 주어진 시간동안 주어진 기능을 오류 없이 수행하는 것은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소프트웨어가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작동하는지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신뢰성은 소프트웨어 품질 목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보시스템 개발 단계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개발 정보시스템의 특성
  2. 사용자의 요구사항
  3. 컴파일러의 가용성
  4. 컴파일러의 독창성
(정답률: 77%)
  • 컴파일러의 독창성은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시 고려할 필요가 없는 사항입니다. 컴파일러의 독창성이란, 컴파일러가 언어의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정도나 방식이 다른 컴파일러와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개발자가 직접 컴파일러를 개발하는 경우에만 고려해야 할 사항이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미 개발된 컴파일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컴파일러의 독창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브룩스(Brooks) 법칙의 의미를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프로젝트 개발에 참여하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동일해야 한다.
  2. 프로젝트 수행 기간의 단축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
  3. 프로젝트에 개발자가 많이 참여할수록 프로젝트의 완료 기간은 지연된다.
  4. 진행 중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새로운 개발 인력을 추가로 투입할 경우 의사소통 채널의 증가로 개발 기간이 더 길어진다.
(정답률: 76%)
  • 진행 중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새로운 개발 인력을 추가로 투입할 경우 의사소통 채널의 증가로 개발 기간이 더 길어진다. - 이유는 새로운 인력이 추가될수록 의사소통이 더 복잡해지고, 정보 전달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는 브룩스(Brooks) 법칙의 의미와 일치한다. 브룩스 법칙은 "인력을 늘리면 개발 기간이 더 길어진다"는 것으로, 개발자들 간의 의사소통과 조율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세분화된 자료흐름도에서 최하위 단계 프로세스의 처리 절차를 설명한 것은?

  1. ERD
  2. Mini-spec
  3. DD
  4. STD
(정답률: 51%)
  • 세분화된 자료흐름도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이다. 이 중에서 최하위 단계 프로세스는 시스템의 가장 작은 단위로, 구체적인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이때 이 처리 절차를 설명한 것이 Mini-spec이다. 따라서 정답은 Mini-sp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Bottom-Up Integration Test의 과정이 옳게 나열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33%)
  • Bottom-Up Integration Test는 하위 모듈부터 테스트를 시작하여 상위 모듈로 향해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하위 모듈인 모듈 1과 모듈 2를 통합하여 테스트하는 ⓑ 단계가 가장 먼저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모듈 3과 통합하여 테스트하는 ⓐ 단계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모듈 4와 통합하여 테스트하는 ⓒ 단계와 마지막으로 전체 시스템을 대상으로 테스트하는 ⓓ 단계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다중화 방식 중 타임 슬롯(time slot)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은?

  1. Pulse Code Multiplexing
  2. 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
  3. 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4.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정답률: 40%)
  • 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은 다른 다중화 방식과 달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보낼 때마다 필요한 대역폭을 할당받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tatistical Time Division Multiplex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데이터 전송제어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회선접속 → 데이터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회선절단 → 데이터링크 해제
  2. 데이터링크 확립 → 회선접속 → 정보 전송 → 데이터링크 해제 → 회선절단
  3. 회선접속 → 데이터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데이터링크 해제 → 회선절단
  4. 데이터링크 확립 → 회선접속 → 정보 전송 → 회선절단 → 데이터링크 해제
(정답률: 66%)
  • 정답은 "회선접속 → 데이터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데이터링크 해제 → 회선절단"입니다.

    회선접속: 통신을 위한 회선을 연결하는 단계입니다.
    데이터링크 확립: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정보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입니다.
    데이터링크 해제: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입니다.
    회선절단: 통신을 종료하고 회선을 해제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입력 아날로그 데이터의 최대 주파수가 18kHz인 정보신호를 PCM 시스템에서 전송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표본화 주파수(kHz)는?

  1. 9
  2. 18
  3. 27
  4. 36
(정답률: 42%)
  • 표본화 이론에 따르면, 표본화 주파수는 입력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대 주파수가 18kHz인 경우, 요구되는 표본화 주파수는 18kHz x 2 = 36kHz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중앙에 호스트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터미널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성 형태(topology)는?

  1. 버스형(Bus)
  2. 링형(Ring)
  3. 성형(Star)
  4. 그물형(Mesh)
(정답률: 71%)
  • 중앙에 호스트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터미널들이 연결되는 구성 형태는 성형(Star)이다. 이는 호스트 컴퓨터와 각 터미널이 별모양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구성 형태는 각 터미널이 독립적으로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으며, 한 터미널의 문제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터미널을 추가하기도 쉽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데이터 전송 중 한 비트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수신측에서 정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 P/F
  2. HRC
  3. Checksum
  4. Hamming code
(정답률: 64%)
  •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 중 에러가 발생했을 때 해당 비트를 식별하고 정정하는 데 사용되는 오류 정정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데이터에 추가되어 전송되며, 수신측에서는 이 코드를 사용하여 에러를 식별하고 정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OSI 7계층 중 통신망을 통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계층은?

  1. 응용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표현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률: 72%)
  • 네트워크 계층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라우터를 이용하여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하며,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통신망을 통해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비 적응 경로배정(routing) 방식인 플러딩(flood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노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2. 네트워크의 모든 근원지, 목적지 노드의 쌍에 대해서 한 경로씩을 미리 결정해 두는 방식이다.
  3. 네트워크의 변화하는 상태에 따라 반응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4. 단순성과 견고성을 띄면서 트래픽의 부하를 훨씬 적게 한 방식으로 노드는 들어온 패킷에 대해 나가는 경로를 무작위로 1개만을 선택한다.
(정답률: 41%)
  • 정답은 "각 노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입니다. 플러딩은 모든 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하며, 각 노드는 도착한 패킷을 자신의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경로를 미리 결정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반응하여 경로를 결정하는 비 적응 경로배정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2.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3. 복구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4. 수신된 데이터의 순서 재조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UDP는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하지 않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며, 복구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수신된 데이터의 순서 재조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동기전송 방식에서 주로 사용되는 오류검출 방식으로 프레임 단위로 오류검출을 위한 코드를 계산하여 프레임 끝에 FCS를 부착하는 것은?

  1. CRC
  2. Hamming Code
  3. Block Parity
  4. Parity Bit
(정답률: 50%)
  • CRC는 주로 동기전송 방식에서 사용되는 오류검출 방식 중 가장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방식이기 때문에 프레임 단위로 오류검출을 위한 코드를 계산하여 FCS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Hamming Code, Block Parity, Parity Bit은 CRC에 비해 오류검출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네트워크 전체에서 255.255.255.128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는 10.0.0.0 네트워크에서 유효하지 않은 서브네트 ID는?

  1. 10.0.0.0
  2. 10.0.0.128
  3. 10.1.1.192
  4. 10.255.255.0
(정답률: 48%)
  • 255.255.255.128 서브넷 마스크는 2의 7승(128) 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는 서브넷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10.0.0.0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서브넷 ID는 10.0.0.0, 10.0.0.128, 10.0.1.0, 10.0.1.128, 10.0.2.0 등이 됩니다. 하지만 10.1.1.192는 10.0.0.0 네트워크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유효하지 않은 서브네트 I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데이터 프레임의 정확한 수신 여부를 매번 확인하면서 다음 프레임을 전송해 나가는 ARQ 방식은?

  1. Go-back-N ARQ
  2. Selective-Repeat ARQ
  3. Distribute ARQ
  4. Stop-and-Wait ARQ
(정답률: 65%)
  • Stop-and-Wait ARQ 방식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정확한 수신 여부를 확인한 후에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수신측에서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의 확인 응답을 보내기 전까지는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은 가장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은 ARQ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이동 단말이나 PDA, 소형 무선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의 총칭은?

  1. ASP
  2. WAP
  3. HTTP
  4. PPP
(정답률: 57%)
  • WAP은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의 약자로, 이동 단말이나 PDA, 소형 무선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의 총칭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WAP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ASP는 Active Server Pages의 약자로,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PP는 Point-to-Poin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PCM에서 ISI를 측정하기 위해 eye pattern을 이용하는데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변조도
  2. 시스템 감도
  3. 잡음의 여유도
  4. ISI 간섭 없이 수신파를 sampling 할 수 있는 주기
(정답률: 58%)
  •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수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데, 높이가 낮을수록 잡음이 많고 ISI(Inter-Symbol Interference)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눈을 뜬 상하의 높이가 높을수록 잡음의 여유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신기가 더 많은 잡음을 감당할 수 있고 ISI 간섭 없이 수신파를 샘플링할 수 있는 주기가 더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잡음의 여유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RIP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ETF에서 고안한 것으로 네트워크의 변화가 있을 때에만 갱신함으로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1. BGP
  2. IGRP
  3. OSPF
  4. RTP
(정답률: 51%)
  • OSPF는 RIP과 달리 네트워크의 변화가 있을 때에만 갱신함으로써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RIP는 주기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을 많이 차지하지만, OSPF는 변화가 있을 때만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OSPF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DM)에서 Guard Band가 필요한 이유는?

  1.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기 위함이다.
  2.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3. 채널 간섭을 막기 위함이다.
  4. 많은 채널을 좁은 주파수 대역에 쓰기 위함이다.
(정답률: 72%)
  • Guard Band는 인접한 채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채널 간섭을 막기 위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데이터 링크제어 프로토콜 중 HDLC의 프레임 형식으로 틀린 것은?

  1. 8비트 길이의 플래그
  2. 8비트 또는 16비트의 제어영역
  3. 가변 길이의 정보영역
  4. 64비트의 FCS
(정답률: 51%)
  • HDLC의 프레임 형식에서 틀린 것은 "64비트의 FCS"이다. HDLC의 FCS는 16비트이며,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된다. 64비트의 FCS는 CRC-64와 같은 다른 오류 검출 방법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OSI-7 layer의 2번째 계층인 data link layer에서 사용되는 기본 데이터 단위는?

  1. 비트
  2. 프레임
  3. 패킷
  4. 메시지
(정답률: 60%)
  • Data link layer에서는 프레임이라는 기본 데이터 단위를 사용합니다. 이는 송신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프레임 형태로 만들어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이를 다시 합쳐서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합니다. 프레임은 헤더, 페이로드, 트레일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더와 트레일러는 각각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Carrier
  2. Manchester
  3. Keying
  4. Converter
(정답률: 45%)
  • 이 그림은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는 변조 방식 중 하나인 "Keying"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Keying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 그림에서는 Carrier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고 있습니다. Manchester은 Keying 방식 중 하나이며, Converter는 변환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X.25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틀린 것은?

  1. 물리계층
  2. 링크계층
  3. 전송계층
  4. 패킷계층
(정답률: 47%)
  • X.25 프로토콜은 OSI 7계층 모델에서 물리계층, 링크계층, 패킷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송계층은 X.25 프로토콜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X.25 프로토콜은 전송계층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패킷계층에서 데이터를 분할하고 재조립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송계층은 X.25 프로토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QPSK(Quadrature PSK) 변조방식에서 변화되는 위상차는?

  1. 45°
  2. 90°
  3. 180°
  4. 위상차 없음
(정답률: 63%)
  • QPSK 변조방식에서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기 때문에 4개의 가능한 위상차를 가집니다. 이 때, 위상차는 90°씩 변화하게 됩니다. 이는 I축과 Q축을 이용하여 4개의 위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I축과 Q축이 각각 1과 0일 때는 위상이 0°이고, I축과 Q축이 각각 0과 1일 때는 위상이 90°이며, 이와 같이 180°, 270°의 위상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QPSK 변조방식에서 변화되는 위상차는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