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파일의 자료구조에 근거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이 아닌 것은?

  1.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모델
  2. 관계 데이터베이스 모델
  3.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모델
  4. 이진 데이터베이스 모델
(정답률: 89%)
  • 이진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파일의 자료구조에 근거하지 않고, 데이터를 이진 형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이기 때문에 파일의 자료구조에 근거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이 아니다. 이진 데이터베이스 모델은 주로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자상거래시 결제수단의 발행자가 소비자에게 반드시 고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잔여금의 현금 환불과 관련된 사항
  2. 반품 시 처리 기준과 관련된 사항
  3. 결제수단 사용상 제한 및 주의사항
  4. 결제절차와 관련된 사항
(정답률: 69%)
  • 결제수단의 발행자가 소비자에게 반드시 고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결제절차와 관련된 사항입니다. 이는 결제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이며, 소비자가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발행자는 결제절차와 관련된 사항을 고지하지 않으면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잔여금의 현금 환불과 관련된 사항, 반품 시 처리 기준과 관련된 사항, 결제수단 사용상 제한 및 주의사항은 소비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발행자가 반드시 고지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DRAM(dynamic RAM)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용량 메모리에 주로 사용된다.
  2. refresh 펄스가 필요하다.
  3. 전력소모가 적다.
  4. 주로 주기억장치에 쓰인다.
(정답률: 47%)
  • "전력소모가 적다."는 DRAM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DRAM은 refresh 펄스를 주기적으로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전력을 소모합니다.

    "소용량 메모리에 주로 사용된다."는 DRAM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DRAM은 비교적 저렴하고 작은 용량의 메모리를 만들기에 적합하며, 주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양방향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을 위한 동영상 압축 기술로 64kps급의 초저속 고압축률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21
(정답률: 59%)
  • MPEG4는 초저속 고압축률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양방향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에서도 고품질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컴퓨터에서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 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은?

  1. bus
  2. buffer
  3. channel
  4. console
(정답률: 63%)
  •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채널(channel)입니다. 채널은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고 제어하며,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따라서 채널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마치 하나의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입출력 속도 및 안정성을 개선시킨 기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CSI
  2. Serial ATA
  3. RAID
  4. EIDE
(정답률: 65%)
  • 정답은 "RAID"이다. RAID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구성하여 입출력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SCSI, Serial ATA, EIDE는 모두 하드디스크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자상거래를 행하는 사업자가 해도 되는 것은?

  1. 계약의 해지를 방해하는 행위
  2. 청약철회 등을 방해할 목적으로 인터넷도메인 이름 등을 변경하는 행위
  3. 분쟁이나 불만처리에 필요한 인력 또는 설비 부족을 상당기간 방치하여 소비자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
  4. 본인의 허락을 받고 소비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행위
(정답률: 79%)
  • 전자상거래를 행하는 사업자가 해도 되는 것은 "본인의 허락을 받고 소비자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소비자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사업자의 이익을 동시에 고려한 합법적인 행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피해를 주는 행위로, 전자상거래법에서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HSDPA(고속하향패킷접속)보다 12배 이상 빠른 고속무선 데이터 패킷통신 규격을 가리키는 것은?

  1. WLAN
  2. WiBro
  3. WCDMA
  4. LTE
(정답률: 76%)
  • LTE는 Long-Term Evolution의 약자로, 고속무선 데이터 패킷통신 규격 중 가장 빠르며 HSDPA보다 12배 이상 빠른 기술입니다. 이는 더 넓은 대역폭과 더 높은 전송속도를 제공하며, 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LT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는 단계이다. 올바른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④③①⑤②⑧⑥⑦
  2. ①⑤②④③⑥⑧⑦
  3. ⑤④③①②⑥⑧⑦
  4. ⑦①⑤③④②⑥⑧
(정답률: 76%)
  • ④: 사무자동화 추진 계획 수립
    ③: 업무 분석 및 설계
    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확보
    ⑤: 시스템 구축 및 테스트
    ②: 교육 및 훈련
    ⑧: 운영 및 유지보수 계획 수립
    ⑥: 시스템 도입 및 전환
    ⑦: 성과 평가 및 개선

    사무자동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업무 분석 및 설계를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확보하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이후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고, 운영 및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도입하고 전환하며,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④③①⑤②⑧⑥⑦"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정성적 효과인 것은?

  1. 재고, 설비, 금리 등에 대한 직접비, 간접비의 개선
  2. 수익성 향상을 위한 지원
  3. 시장(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
  4. 정보의 입수까지 드는 전체 비용의 절감
(정답률: 82%)
  • 사무자동화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더욱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지므로 시장(환경)의 변화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매핑 방법이 아닌 것은?

  1. associative mapping
  2. direct mapping
  3. set-associative mapping
  4. relative mapping
(정답률: 63%)
  • "Relative mapping"은 존재하지 않는 매핑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relative mapp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기디스크(magnetic disk)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read/write head
  2. access arm
  3. disk
  4. cylinder
(정답률: 46%)
  • "cylinder"는 자기디스크(magnetic disk)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cylinder"는 디스크의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디스크의 논리적인 구성 단위입니다. 디스크는 여러 개의 원형 트랙(track)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러한 트랙들이 같은 반경을 가지고 있는 것들끼리 묶어서 cylinder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read/write head", "access arm", "disk"는 자기디스크(magnetic disk)장치의 구성요소이지만, "cylinder"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텔렉스 등 통신수단에 관계없이 상대방의 통신수단별 번호만 알면 국내외 어디서나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EDI
  2. WCDMA
  3. MHS
  4. 인트라넷
(정답률: 71%)
  • MHS는 Message Handling System의 약자로,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 시스템은 상대방의 통신수단별 번호만 알면 어디서나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텔렉스 등 어떤 통신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상호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MHS가 정답이다. EDI는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WCDMA는 3세대 이동통신 기술, 인트라넷은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주요기능이 아닌 것은?

  1. 문서화 기능
  2. 집중처리 기능
  3. 정보 활용 기능
  4. 업무의 자동화 기능
(정답률: 48%)
  • 집중처리 기능은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주요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일괄처리나 대량의 데이터 처리와 같은 기능을 의미하는데, 사무자동화 시스템은 주로 업무의 자동화, 문서화, 정보 활용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집중처리 기능은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보조적인 기능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무자동화 발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산업구조가 농업 및 공업 중심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변하여 정보의 적기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2. 산업인력의 고학력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극대화되어 상대적으로 자동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3. 인건비 상승과 사무실 운영비용의 증가로 사무부분의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4.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 이용이 보편화 되었다.
(정답률: 87%)
  • 정답: "산업인력의 고학력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극대화되어 상대적으로 자동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해설: 산업인력의 고학력화로 인해 개인의 능력이 향상되어 자동화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즉, 이전에는 사무작업 등을 자동화하여 인력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었지만, 이제는 개인의 능력이 높아져서 자동화보다는 개인의 능력을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중복을 최소화하여 불일치성을 제거한다.
  2.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가 변하더라도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독립성을 유지한다.
  3. 자료의 내용을 이용하여 참조 및 검색이 가능하다.
  4. 데이터가 한 곳에 모여 있어 보안상 위험이 크므로 정보처리의 사용에 부적합하다.
(정답률: 88%)
  • 데이터가 한 곳에 모여 있어 보안상 위험이 크므로 정보처리의 사용에 부적합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은 중복을 최소화하여 불일치성을 제거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가 변하더라도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독립성을 유지하며, 자료의 내용을 이용하여 참조 및 검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터넷에서 전달하는 전자우편을 다른 사람이 받아 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것은?

  1. SSL
  2. PGP
  3. TLS
  4. JSP
(정답률: 66%)
  • PGP는 Pretty Good Privacy의 약자로, 전자우편을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으며,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PGP이다. SSL, TLS, JSP는 모두 다른 보안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업무상 일 처리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서비스로 판단하여 그 서비스를 네트워크상에 연동하여 시스템 전체를 구축해 나가는 방법론은?

  1. SLA
  2. EAI
  3. RSA
  4. SOA
(정답률: 60%)
  • SOA는 업무상 일 처리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서비스로 판단하고, 이를 네트워크상에 연동하여 시스템 전체를 구축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SOA이다. SLA는 서비스 수준 계약, EAI는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 RSA는 암호화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D-ROM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레이저빔을 비추어 반사하는 정도로써 정보를 읽는다.
  2. 광디스크의 일종이다.
  3. 읽기만 하고 CD-ROM에 쓸 수는 없다.
  4. 주기억 장치로 사용된다.
(정답률: 66%)
  • CD-ROM은 주기억 장치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CD-ROM은 읽기 전용으로, 정보를 읽어오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보를 저장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작업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파일링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용화에 의한 사물화 방지
  2. 문서 보관 및 반출 신속
  3. 기록 활용에 대한 제비용 증가.
  4. 문서 관리의 명확화
(정답률: 87%)
  • 파일링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기록 활용에 대한 제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파일링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문서 보관 및 반출이 신속해지고, 문서 관리가 명확해지며, 공용화에 의한 사물화 방지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부상사의 응급처치에 필요한 구급용구를 갖추고 알려야 할 사항은?

  1. 장소, 사용시기
  2. 장소, 사용방법
  3. 관리자, 사용시기
  4. 관리자, 사용방법
(정답률: 85%)
  • 부상사의 응급처치에 필요한 구급용구를 갖추고 알려야 할 사항은 "장소, 사용방법"이다. 이는 구급용구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려주어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소, 사용시기"는 구급용구가 언제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관리자, 사용시기", "관리자, 사용방법"은 구급용구를 관리하는 책임자와 사용 시기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무조직에서 분산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작업시간, 거리, 운반 등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2. 사무작업자의 사기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3. 사무중요도에 따라 순조롭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4. 직원의 전문화 및 직원관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직원의 전문화 및 직원관리를 쉽게 할 수 있다."는 분산화의 특징이 아닙니다. 분산화는 작업시간, 거리, 운반 등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사무작업자의 사기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무중요도에 따라 순조롭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저작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작권은 저작물을 공표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행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2. 저작권은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행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3. 저작권은 저작물을 공표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행을 필요로 한다.
  4. 저작권은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해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45%)
  • 저작권은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의 이행을 필요로 하지 아니한다. 이는 저작권법 제2조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저작물을 창작하는 순간부터 저작자에게 저작권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작물을 공표하거나 등록하는 등의 추가적인 절차나 형식의 이행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컴퓨터에 등록하였을 때
  2. 컴퓨터에 저장되었을 때
  3. 컴퓨터에 입력되었을 때
  4. 컴퓨터에 출력되었을 때
(정답률: 75%)
  • 주어진 그림은 키보드를 눌러 문자를 입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컴퓨터에 입력되었을 때"입니다. 입력된 문자는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처리되고, 필요에 따라 출력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무실의 책상 배치 방식 중 대향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유 면적이 적다.
  2. 감독하기에 편리하다.
  3. 전화기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직무상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정답률: 64%)
  • "점유 면적이 적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대향식은 책상을 대각선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지만, 이로 인해 책상 하나당 필요한 공간이 더 많아져 전체적으로 점유 면적이 더 크다는 단점이 있다. "감독하기에 편리하다."는 대향식의 장점 중 하나로, 감독자가 책상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업무 상황을 파악하기 쉽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가장 올바른 통제로 볼 수 있는 것은?

  1. 도구나 수단의 사용 빈도가 많은 통제
  2. 제한과 지도가 전제적이거나 방임적인 통제
  3. 주관적이고 감정에 우선한 통제
  4. 객관성이 수반된 사실에 의한 적합한 통제
(정답률: 83%)
  • 객관성이 수반된 사실에 의한 적합한 통제가 가장 올바른 통제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주관적인 요소나 감정적인 요소가 개입되지 않고, 사실에 기반하여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통제는 공정하고 명확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공공기록물 관리에 의거 기록물철을 생산연도별, 보존기간별 구분하여 보존 상자에 담을 때, 생산연도의 기준이 되는 것은?

  1. 기록물철의 분류시점
  2. 기록물철의 보존시점
  3. 기록물철의 시작연도
  4. 기록물철의 종료연도
(정답률: 55%)
  • 기록물철을 생산하는 시점에는 보존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보존기간이 끝나는 기준은 기록물철의 종료연도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연도별로 기록물철을 분류할 때는 해당 기록물철의 종료연도를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사무관리규정상 사무의 분장에 관한 내용이다. 각 ( ) 안에 알맞은 것은?

  1. (a) 업무특성별 (b) 능력
  2. (a) 업무특성별 (b) 업무량
  3. (a) 단위업무별 (b) 업무량
  4. (a) 부서별 (b) 능력
(정답률: 39%)
  • 사무관리규정에서는 사무 분장을 단위업무별로 분류하고, 각 단위업무에 필요한 업무량을 고려하여 인력을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 단위업무별 (b) 업무량" 입니다. 업무특성별이나 부서별로 분류하면 각 업무나 부서의 업무량을 고려하지 못하고 인력 배치가 부적절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정보의 수집부터 작성까지를 여럿이 분담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각 사무원이 각기 맡은 처리를 행한 다음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방식은?

  1. 개별 처리방식
  2. 로트(lot) 처리방식
  3. 유동 작업방식
  4. 오토메이션(automation)방식
(정답률: 71%)
  • 로트 처리방식은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정보의 수집부터 작성까지를 각 사무원이 각기 맡은 처리를 행한 다음에 한꺼번에 다른 사람에게 넘겨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를 빠르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가 많은 업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무관리의 산출요소 중에서 투입과 산출의 대응시기의 문제점은?

  1. 유효성
  2. 능률성
  3. 산출발현의 시차(Time Lag)
  4. Side Effect
(정답률: 80%)
  • 산출발현의 시차(Time Lag)는 투입된 자원이나 노력에 대한 산출물이 나타나는 시간적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어떤 작업을 시작하고 자원을 투입했을 때 그 결과물이 나타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시차는 사무관리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일부 작업이 끝나고 결과물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리면 다음 작업을 시작하는 데에도 시간이 더 필요해지고 전체적인 일정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관리에서는 이러한 시차를 최소화하고 빠른 산출물 발현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료의 적합성 평가항목이 아닌 것은?

  1. 유용성
  2. 신뢰성
  3. 통계성
  4. 효과성
(정답률: 51%)
  • 통계성은 자료의 적합성 평가항목이 아닙니다. 자료의 통계성은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자료의 분포, 평균, 표준편차 등을 파악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자료의 적합성 평가항목으로는 유용성, 신뢰성, 효과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경영조직의 형태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라인(line) 조직
  2. 직선 조직
  3. 군대식 조직
  4. 스태프(staff)조직
(정답률: 60%)
  • 스태프 조직은 주로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으로,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라인 조직과는 달리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스태프 조직은 라인 조직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보관리 및 사무관리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관리는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나, 사무관리는 지정한 자료를 지정한 기일, 방법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2. 사무관리의 범위가 정보관리의 범위보다 넓다.
  3. 사무관리는 일상업무를 처리하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반면에 정보관리는 경영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포함한다.
  4. 경영활동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 정보관리이고, 사무처리방법의 합리화 및 시스템화는 사무관리이다.
(정답률: 75%)
  • "사무관리는 지정한 자료를 지정한 기일, 방법으로 작성하는 것이다."와 "사무관리는 일상업무를 처리하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반면에 정보관리는 경영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포함한다."는 모두 사무관리의 범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관리의 범위가 정보관리의 범위보다 넓다."는 사무관리가 정보관리보다 더 많은 업무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사무를 위한 작업이 아닌 것은?

  1. 기록(writing)
  2. 의사소통(communication)
  3. 접근(access)
  4. 분류, 정리(classifying and filing)
(정답률: 64%)
  • 접근은 사무를 위한 작업이 아닙니다. 접근은 보안과 관련된 작업으로,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사무를 위한 작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권리 발생시점으로 옳은 것은?

  1.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공표한 때
  2.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완료한 때
  3.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등록한 때
  4.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갱신한 때
(정답률: 45%)
  • 데이터베이스 제작자의 권리 발생시점은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완료한 때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제작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완성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었을 때, 그리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저작권법상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제작을 공표하거나 등록하거나 갱신하는 것은 제작자의 권리 발생시점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유통되는 음란, 폭력정보 등 청소년에게 해로운 정보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송통신위원회가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시책은?

  1. 내용 선별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보급
  2. 청소년 보호를 위한 교육 및 홍보
  3. 청소년 보호를 위한 기술의 개발 및 보급
  4. 유해사이트 차단을 위한 지속적인 업체 단속 방안
(정답률: 66%)
  • 유해사이트 차단을 위한 지속적인 업체 단속 방안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유통되는 유해한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들을 지속적으로 단속하여 해당 사이트를 차단하는 방안입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유해한 정보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청소년 보호를 위한 교육, 기술 개발, 소프트웨어 보급 등으로 유해한 정보를 막는 방법이지만, 이러한 방법들만으로는 모든 유해한 정보를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업체 단속 방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무관리규정상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 처리하고자 하는 자가 등록하여 사용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개인별 사용자 계정
  2. 비밀번호
  3. 전자이미지서명
  4. 공인인증서
(정답률: 77%)
  • 사무관리규정에서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 처리하고자 하는 자가 등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개인별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 전자이미지서명 등의 보안 기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공인인증서는 개인의 신원을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보안 기능으로, 사무관리규정에서는 이를 등록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인인증서는 이 문제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표준화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정 시간 내에 일정 생산량을 정하는 작업 또는 수단
  2. 최고의 기준을 만드는 것
  3. 표준을 만들어 내는 작업 또는 수단
  4. 절차에 대하여 획일성 및 통일성을 기하는 것
(정답률: 69%)
  • "일정 시간 내에 일정 생산량을 정하는 작업 또는 수단"이 틀린 설명입니다. 표준화는 제품, 서비스, 절차 등을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통일성을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이며, 생산량을 정하는 것은 표준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최고의 기준을 만드는 것"은 표준화의 목적 중 하나로,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최적의 기준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무량 측정 방법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작업자나 기계에 대하여 임의의 시간간격으로 관찰하여 시간표준을 결정하는 방법은?

  1. 워크 샘플링법
  2. 표준시간 자료법
  3. 실적 기록법
  4. 주관적 판단법
(정답률: 71%)
  • 워크 샘플링법은 무작위로 추출된 작업자나 기계에 대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여 작업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 시간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업무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사무량 측정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무관리와 전통적 조직의 수평적 구조인 재무관리, 생산 관리, 판매관리(부문관리) 등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무관리는 관리라는 측면에서 각 부문관리와 병립한다.
  2. 사무관리는 부문관리에 종속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사무관리는 부문관리와 상호독립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적인 요소에 관점을 둔다.
  4. 사무관리가 각 부문관리를 통합하는 상위개념으로 불 수 있다.
(정답률: 49%)
  • 정답은 "사무관리는 부문관리와 상호독립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적인 요소에 관점을 둔다." 이다. 이유는 사무관리는 각 부문관리와 병렬적으로 존재하며, 각 부문의 업무를 통합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무관리는 부문관리에 종속된 개념으로 해석할 수 없고, 부문관리와 상호독립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적인 요소에 관점을 둔다는 것이 적합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한 프로그램은?

  1. 링커
  2. 로더
  3. 디버거
  4. 텍스트 에디터
(정답률: 88%)
  •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내부 동작을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는 디버거가 필요합니다. 디버거는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변수 값, 메모리 상태, 함수 호출 등을 모니터링하고 오류가 발생한 부분을 찾아내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디버거가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한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는?

  1. COBOL
  2. FORTRAN
  3. C
  4. BASIC
(정답률: 84%)
  •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다루어야 합니다. 이러한 작업은 C 언어와 같은 저수준 언어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C 언어는 메모리 관리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다룰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높은 성능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C 언어는 운영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을 구현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는 C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객체지향기법에서 캡슐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을 의미한다.
  2. 캡슐화된 객체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3. 캡슐화된 객체의 세부 내용이 외부에 은폐되어, 변경이 발생할 때 오류의 파급 효과가 적다.
  4. 객체들 간의 인터페이스가 단순해진다.
(정답률: 75%)
  • "캡슐화된 객체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로부터 숨기고, 외부에서는 객체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객체의 재사용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캡슐화된 객체들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위표기의 수식 "A*(B-C)"를 후위표기로 나타낸 것은?

  1. ABC*-
  2. ABC-*
  3. A*BC-
  4. AB-C*
(정답률: 56%)
  • 정답은 "ABC-*"이다.

    후위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표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A*(B-C)"를 후위표기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B C - *

    여기서 연산자 "-"와 "*"의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한다. "-"는 "*"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를 먼저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를 "*"보다 먼저 나타내기 위해 괄호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A (B-C) *

    이제 괄호 안의 연산을 처리하면 다음과 같다.

    A B C - *

    따라서 정답은 "AB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중위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방법이다.
  2. 산술, 논리, 비교 연산 등에 주로 사용된다.
  3. 단항 연산자 표현에 적당하다.
  4. 피연산자들 사이에 연산자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9%)
  • 중위 표기법은 단항 연산자 표현에 적당하지 않습니다. 중위 표기법은 피연산자들 사이에 연산자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 하나만을 가지기 때문에 표현이 어렵습니다. 대신 전위나 후위 표기법이 단항 연산자 표현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동변수(Automatic variable)
  2. 레지스터 변수(Resister variable)
  3.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4. 동적 변수(Dynamic variable)
(정답률: 68%)
  • 동적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할 수 있는 변수로, 기억 클래스가 아닌 메모리 관리 방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적 변수(Dynamic variab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2.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 및 정보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3. 시스템의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한다.
  4.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 프로그램 환경 하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자원 분배를 위한 스케줄링을 담당한다.
(정답률: 66%)
  •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는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이며, 하드웨어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BNF 표기법 중 “택일”을 의미하는 기호는?

  1. +1
  2. <>
  3. ?=
  4. |
(정답률: 87%)
  • "|" 기호는 BNF 표기법에서 "택일"을 의미하는 기호입니다. 이는 하나의 규칙에서 여러 개의 선택 가능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 | B는 A 또는 B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객체지향언어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클래스(class)
  2. 메시지(message)
  3. 행위(behavior)
  4. 사건(event)
(정답률: 86%)
  • 클래스는 객체지향언어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의 집합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역할을 하며, 객체를 생성할 때 이 설계도를 참조하여 객체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클래스(cla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예약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판독성을 감소시킨다.
  2.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4. 번역 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
(정답률: 66%)
  • 예약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미리 정해진 용도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맞다. 하지만 예약어를 사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번역 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는 것은 맞다. 따라서 "프로그램 판독성을 감소시킨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예약어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오히려 판독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 언어에서 사용되는 자료형이 아닌 것은?

  1. double
  2. short
  3. integer
  4. float
(정답률: 82%)
  • "integer"은 C 언어에서 사용되는 자료형이 아닙니다. C 언어에서는 "int"라는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프로그램 수행 순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②→③→④→①
  2. ①→②→③→④
  3. ①→④→③→②
  4. ④→②→①→③
(정답률: 86%)
  • 정답은 "①→④→③→②" 입니다.

    ①번은 먼저 변수 a와 b에 각각 10과 20을 대입합니다.
    ④번은 변수 c에 a와 b를 더한 값을 대입합니다.
    ③번은 변수 d에 c를 2로 나눈 값을 대입합니다.
    ②번은 변수 e에 d를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나 스택을 두어 현 시점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은?

  1. SCR
  2. FIFO
  3. LFU
  4. LRU
(정답률: 69%)
  • 이 기법은 LRU (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이다. 각 페이지마다 사용된 시간을 계산하여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가장 최근에 사용된 페이지는 계속해서 사용되므로 교체되지 않는다. 이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주기억장치의 사용 가능 공간 리스트가 다음과 같을 때 새로운 13K의 프로세스를 30K 공백에 배치하였다. 이때 사용된 메모리 배치 기법은?

  1. 최적적합(Best-Fit)
  2. 최악적합(Worst-Fit)
  3. 최초적합(First-Fit)
  4. 최후적합(Last-Fit)
(정답률: 62%)
  • 새로운 프로세스를 30K 공백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3K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다. 이때 최악적합(Worst-Fit) 기법을 사용하면, 사용 가능한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을 찾아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배치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30K 공백이 가장 큰 공간이므로 최악적합(Worst-Fit) 기법을 사용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학습의 용이성
  2. 보안의 용이성
  3. 작성의 용이성
  4. 검증의 용이성
(정답률: 62%)
  • 보안의 용이성은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조건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보안적 취약점을 가지고 있거나 보안적으로 취약한 코드를 작성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보안적 취약점을 최소화하고, 보안적으로 안전한 코드를 작성하기 쉽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Allocation
  2. Compile
  3. Load
  4. Link
(정답률: 71%)
  • 로더의 주요 기능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로드하고, 링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Compile"은 로더의 기능이 아닙니다. 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로더는 이미 컴파일된 기계어 코드를 메모리에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언어에서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n : null character
  2. \r : carriage return
  3. \f : form feed
  4. \b : backspace
(정답률: 62%)
  • \n은 개행 문자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이며, null character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0입니다. 따라서 "\n : null character"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구문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연산의 복잡시 판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스 프로그램에 간단한 설명을 부여하는 문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구분문자
  2. 잡음어
  3. 식별자
  4. 주석
(정답률: 76%)
  • 주석은 소스 코드에 대한 설명을 담은 문장으로, 소스 코드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연산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프로그래머들 간의 협업이나 코드 유지보수에도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진수 0과 1만 사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나타낸다.
  2.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어 실행 속도가 빠르다.
  3. 모든 기계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
  4.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들다.
(정답률: 64%)
  • 기계어는 모든 기계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각각의 기계마다 아키텍처와 명령어 집합이 다르기 때문에 호환성이 높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묵시적 순서 제어에 해당하는 것은?

  1. 일반 언어에서 문장 나열 순서대로 제어한다.
  2. 해당 언어에서 각 문장이나 연산의 순서를 프로그래머가 직접 변경한다.
  3. 반복문을 사용해서 문장의 실행 순서를 변경한다.
  4. 수식의 괄호를 사용해서 연산의 순서를 변경한다.
(정답률: 52%)
  • 정답: "일반 언어에서 문장 나열 순서대로 제어한다."

    일반 언어에서는 문장이나 연산의 순서를 프로그래머가 직접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이 작성된 순서대로 실행되며, 다음 문장은 이전 문장이 실행된 후에 실행됩니다. 이러한 방식을 묵시적 순서 제어(implicit sequence control)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다른 보기들은 프로그래머가 직접 순서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명시적 순서 제어(explicit sequence control)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다음 중 전송회선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동축케이블은 평형케이블보다 대역폭이 넓으며,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2. 평형케이블은 동축케이블보다 혼선, 감쇄, 전송 지연이 적다.
  3. 광섬유케이블은 온도변화에 안정적이며 신뢰성이 높다.
  4. 동축케이블은 초고주파대의 전송로에 적합하다.
(정답률: 44%)
  • 정답은 "동축케이블은 초고주파대의 전송로에 적합하다."입니다.

    평형케이블은 동축케이블보다 혼선, 감쇄, 전송 지연이 적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형케이블은 두 개의 동일한 전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 동축케이블은 중심축을 따라 한 개의 전선을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평형케이블은 전송 중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상쇄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혼선이 적습니다. 또한, 평형케이블은 전선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서 감쇄가 적고, 전송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전송 지연이 적습니다.

    반면, 동축케이블은 중심축을 따라 한 개의 전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 중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영향을 상쇄시키지 못합니다. 또한, 전선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감쇄가 크고, 전송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송 지연이 큽니다.

    따라서, 평형케이블은 짧은 거리에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고, 동축케이블은 장거리와 고주파 대역에서 데이터 전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비동기식 전송방식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 데이터의 앞과 뒤에 start bit와 stop bit를 첨가한다.
  2. 문자단위로 동기를 맞춘다.
  3. 수신측에서는 parity bit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4. 주로 장거리 전송에 이용되며 고속전송에 적합하다.
(정답률: 57%)
  • "주로 장거리 전송에 이용되며 고속전송에 적합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비동기식 전송방식은 각 데이터의 앞과 뒤에 start bit와 stop bit를 첨가하고, 문자단위로 동기를 맞추며, 수신측에서는 parity bit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방식을 통해 송신측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2.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3.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4.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정답률: 84%)
  • 음성신호를 PCM 방식으로 송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표본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후, 양자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을 특정한 값으로 대표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 과정을 통해 양자화된 값들을 이진수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완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16-QAM에서 16은 무엇의 개수를 나타내는가?

  1. 위상
  2. 진폭
  3. 위상과 진폭의 조합
  4. 위상과 주파수의 조합
(정답률: 63%)
  • 16-QAM에서 16은 "위상과 진폭의 조합"의 개수를 나타낸다. 16-QAM은 4개의 진폭과 4개의 위상을 조합하여 16개의 서로 다른 심볼을 만들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16개의 심볼은 4개의 비트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어떤 회사에 8개의 장치가 완전히 연결된 망형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최소로 필요한 케이블의 연결 수(C)와 각 장치당 포트 수(P)는?

  1. C=28, P=7
  2. C=28, P=8
  3. C=32, P=7
  4. C=32, P=8
(정답률: 64%)
  • 망형 네트워크에서 모든 장치는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각 장치는 다른 7개의 장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장치당 7개의 포트가 필요하다. 총 8개의 장치가 있으므로, 총 포트 수는 8 x 7 = 56개가 된다. 그러나 각 케이블은 두 개의 포트를 연결하므로, 총 케이블 수는 56 / 2 = 28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C=28, P=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송신측에서 1개의 프레임을 전송한 다음 수신측에서 오류의 발생을 점검하여 ACK또는 NAK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은?

  1. 전진 오류 점검
  2. 적응적 ARQ
  3. 연속적 ARQ
  4. 정지 대기 ARQ
(정답률: 80%)
  • 이 방식은 송신측이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측에서 오류를 점검하여 ACK 또는 NAK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송신측은 전송한 프레임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까지 대기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정지 대기 ARQ"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정보통신시스템의 회선구성 방식과 거리가 먼 것은?

  1. 점-대-점(Point-to-Point) 방식
  2. 다중점(Multi-point) 방식
  3. 비동기식 전송방식
  4. 다중화 방식
(정답률: 50%)
  • 비동기식 전송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특별한 신호로 구분하지 않고,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에 반해, 점-대-점 방식, 다중점 방식, 다중화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특정한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비동기식 전송방식은 다른 방식들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파수분할 다중화(FDM)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이 필요한 이유는?

  1. 신호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함이다.
  2.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기 위함이다.
  3. 채널의 신호를 혼합하기 위함이다.
  4.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이다.
(정답률: 76%)
  •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이 필요한 이유는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함입니다. 이 보호대역은 인접한 채널 간의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각 채널의 신호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프레임을 송신, 수신하는 스테이션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테이션 식별자 필드는?

  1. 주소 필드
  2. 프레임 검사 필드
  3. 제어 필드
  4. 플래그 필드
(정답률: 52%)
  • 주소 필드는 스테이션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로, 각 스테이션에 할당된 고유한 주소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을 올바른 수신 스테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주소 필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HDLC의 Frame 구성 순서는? (단, A: Address, F: Flag, C: Control, I: Information, FCS: Frame Check Sequence)

  1. I → C → A → F → FCS → F
  2. C → F → I → FCS → A → F
  3. F → A → C → I → FCS → F
  4. F → FCS → A → C → I → F
(정답률: 62%)
  • HDLC의 Frame 구성 순서는 "F → A → C → I → FCS → F" 이다. 이는 Frame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Flag로 시작하고 끝나며, 그 사이에는 주소 정보인 Address, 제어 정보인 Control, 데이터 정보인 Information, 그리고 오류 검사 정보인 Frame Check Sequence가 차례로 위치한다. 따라서 "I → C → A → F → FCS → F", "C → F → I → FCS → A → F", "F → FCS → A → C → I → F"은 모두 HDLC의 Frame 구성 순서와 다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디멀티플렉서
  2. 변복조장치
  3. 디지털서비스유니트
  4. 멀티플렉서
(정답률: 57%)
  • 디지털신호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산적인 신호이지만, 아날로그신호는 연속적인 신호이므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변복조장치가 필요합니다. 변복조장치는 디지털신호를 주파수, 진폭, 위상 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보통신에서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와 터미널 사이의 물리적, 전기적 접속규격은?

  1. LAB-P
  2. RS-232C
  3. X.25
  4. TCP/IP
(정답률: 65%)
  • RS-232C는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와 터미널 사이의 물리적, 전기적 접속규격 중 하나입니다. 이 규격은 시리얼 통신을 위한 표준으로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비트, 패리티 비트, 정지 비트 등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RS-232C는 데이터 통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LAN으로 널리 이용되는 이더넷(Ethernet)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1. CSMA/CD
  2. CDMA
  3. TOKEN-BUS
  4. DQDB
(정답률: 76%)
  • 이더넷에서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CSMA/CD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채널을 감지하여 다른 컴퓨터가 전송 중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다른 컴퓨터가 전송 중이라면 해당 컴퓨터가 전송을 완료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전송을 시작합니다. 또한, 동시에 전송을 시작한 경우 충돌이 발생하므로 충돌이 발생한 컴퓨터는 일정 시간 동안 기다린 후에 다시 전송을 시도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돌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데이터 교환방식 중 패킷교환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신 장애발생시 대체 경로 선택이 가능하다.
  2. 패킷형태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패킷교환기가 목적지 주소에 따라 통신경로를 선택해주는 방식이다.
  3. 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하고 디지털 전송방식에 사용된다.
  4. 데이터 전송 단위는 메시지이고, 교환기가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아 축적한 후 피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이다.
(정답률: 55%)
  • 데이터 전송 단위가 메시지이고, 교환기가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아 축적한 후 피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은 회선교환 방식의 특징이다. 패킷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 형태로 만들어서 목적지 주소에 따라 통신 경로를 선택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단위는 메시지이고, 교환기가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아 축적한 후 피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이다."가 패킷교환 방식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정보의 전달을 위한 단계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링크확립-회로연결-메시지전달-회로절단-링크절단
  2. 링크확립-회로연결-메시지전달-링크절단-회로절단
  3. 회로연결-링크확립-메시지전달-회로절단-링크절단
  4. 회로연결-링크확립-메시지전달-링크절단-회로절단
(정답률: 75%)
  • 정답은 "회로연결-링크확립-메시지전달-링크절단-회로절단" 입니다.

    먼저, 회로연결과 링크확립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가 설정됩니다.

    다음으로, 메시지전달 단계에서는 데이터가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전송됩니다.

    링크절단 단계에서는 전송 중인 데이터의 경로가 끊어지거나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물리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회로절단 단계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고,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물리적인 연결이 해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LAN에서 중앙의 교환기가 고장이 나면 시스템이 일시에 통신 불능이 되는 토폴로지(topology)는?

  1. 링(Ring)
  2. 버스(Bus)
  3. 스타(Star)
  4. 트리(Tree)
(정답률: 61%)
  • 스타(topology)는 중앙의 교환기를 중심으로 모든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중앙의 교환기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단말기들은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다른 토폴로지에 비해 신뢰성이 높은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OSI-7계층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응용 계층
  4. 표현 계층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MAC 주소를 이용한 이더넷 프레임이며, 이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처리된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비트열을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때, MAC 주소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므로, 이 이미지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중인 이동국이 현재의 셀에서 벗어나 다른 셀로 진입하는 경우, 셀이 바뀌어도 중단 없이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1. 핸드오프(hand off)
  2. 다이버시티(diversity)
  3. 셀 분할(cell splitting)
  4. 로밍(roaming)
(정답률: 80%)
  • 핸드오프는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중인 이동국이 현재의 셀에서 벗어나 다른 셀로 진입하는 경우, 셀이 바뀌어도 중단 없이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는 이동국이 새로운 셀에 진입할 때 기존의 셀과 새로운 셀 간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여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통화 품질을 유지하면서 이동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동종의 네트워크(LAN)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모뎀
  2. 서버
  3. PAD
  4. 브리지
(정답률: 53%)
  • 브리지는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 이상의 LAN을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장비들은 네트워크와 관련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만, 브리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여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브리지가 동종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보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호스트 컴퓨터
  2. 단말장치
  3. 통신제어장치
  4. 데이터 전송회선
(정답률: 48%)
  • 호스트 컴퓨터는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데이터 전송계는 단말장치, 통신제어장치, 데이터 전송회선으로 구성되며, 호스트 컴퓨터는 이들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는 데이터 전송계의 일부가 아니라, 데이터 전송계를 제어하는 주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