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 실기(베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19)

정보처리기능사 실기(베타)
(2006-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베이스

1. -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관련된 전반적인 정의로서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 이들 사이의 속성, 이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에 관한 정의를 총칭한다.

  1. 스키마
  2. 프로토콜
  3. 릴레이션
  4. 튜플
(정답률: 80%)
  •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련된 전반적인 정의를 의미하는데, 이는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에서 데이터 개체, 속성, 관계,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스키마를 먼저 정의해야 한다. 프로토콜은 통신 규약을 의미하고, 릴레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을 의미하며,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값들이 항상 일관성을 갖고 데이터의 유효성, 정확성,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약조건을 두는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이다.
- ( ) 규정의 대상으로는 도메인, 키, 종속성, 관계성 등이 있다.

  1. 기본키
  2. 스키마
  3. 무결성
  4. 트랜잭션
(정답률: 64%)
  • 도메인, 키, 종속성, 관계성 등의 제약조건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값들이 항상 일관성을 갖고 데이터의 유효성, 정확성,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결성의 핵심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결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서 한 행(Low)에 해당한다.
- 파일시스템의 레코드(Record)에 해당한다.

  1. 카디널리티
  2. 튜플
  3. 차수
  4. 속성
(정답률: 74%)
  • - 튜플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한 행에 해당하며, 파일시스템에서 레코드에 해당한다.
    - 카디널리티는 테이블이나 릴레이션에 포함된 행의 수를 의미한다.
    - 차수는 테이블이나 릴레이션에서 한 행이 가지는 속성의 수를 의미한다.
    - 속성은 테이블이나 릴레이션에서 각 열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의미한다.
    -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이 "튜플"인 이유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나 파일시스템에서 한 행 또는 레코드에 해당하는 개념이 바로 "튜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 개체들에 존재하는 데이터 속성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일치성을 보장하며 데이터 모델을 단순하게 구성하는 과정으로 개체에 존재하는 함수적 종속 관계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안정화 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 ( )의 목적
a. 자료저장 공간의 최소화 및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 최대화
b. 데이터베이스 내부 자료의 무결성 유지 극대화
c.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삽입, 삭제, 갱신이 발생하는 아노말리(이상) 현상을 최소화

  1. 다양성
  2. 정규화
  3. DML
  4. DBMS
(정답률: 81%)
  •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개체에 존재하는 함수적 종속 관계를 이용하여 데이터 속성의 중복을 최소화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자료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규화는 자료저장 공간과 데이터 구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 내부스키마를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언어이다.
- 시스템에 데이터를 저장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변경, 삭제하며 보안 및 무결성 규칙 등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이다.

  1. SQL
  2. DCL
  3. DML
  4. DDL
(정답률: 58%)
  • DDL은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구조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언어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변경, 삭제하며 보안 및 무결성 규칙 등을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언어이며, DCL은 데이터베이스의 보안과 권한을 관리하는 언어, DML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신기술

6. ( )은(는) 기업의 생산계획 수립부터 시작하여 구매, 생산, 출하, 광고, 판매, 고객관리 등 기업 활동의 전 과정을 컴퓨터 기반으로 연결하여 실시간 관리를 지원해 주는 경영지원 시스템으로 기업 전체를 경영 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 관리와 경영 효율화를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업 전반의 업무프로세서를 전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 ERP
  2. EDI
  3. RFID
  4. 인트라넷
(정답률: 58%)
  • 기업 전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업무 프로세스를 전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경영지원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 )은(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분할한 데이터의 전송단위로 분할된 각각의 ( )은(는) 별도의 번호가 붙여지고 목적지의 인터넷 주소가 기록되며 에러 체크 데이터도 포함된다.

  1. 암호화
  2. 패킷(packet)
  3. Telnet
  4. 웜(worm)
(정답률: 71%)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분할한 데이터의 전송단위로 분할된 각각의 패킷은 별도의 번호가 붙여지고 목적지의 인터넷 주소가 기록되며 에러 체크 데이터도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 )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로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 단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1. POS
  2. MMS
  3. DMB
  4. SMS
(정답률: 79%)
  •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의미하는 "SMS"은 Short Message Service의 약자이며,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 단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 )은(는)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노텔, DEC, IBM, NEC 등이 공동으로 제안하고 있는 새로운 주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범용직렬버스라고 부르기도 하며 규격이 다른 주변기기를 개인용 컴퓨터 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을 가진다. ( )은(는) PC와 주변장치를 접속하는 버스규격으로 주변기기에 대해 Plug & Play를 지원하며 최대 127개까지의 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USB
  2. SCSI
  3. MPEG
  4. Active-X
(정답률: 79%)
  • USB는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노텔, DEC, IBM, NEC 등이 공동으로 제안하고 있는 새로운 주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범용직렬버스라고 부르기도 하며 규격이 다른 주변기기를 개인용 컴퓨터 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PC와 주변장치를 접속하는 버스규격으로 주변기기에 대해 Plug & Play를 지원하며 최대 127개까지의 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USB가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 )는(은) 개인정보와 낚시의 합성어로, 정상 웹서버를 해킹하여 위장사이트를 만들어 놓고 네티즌들이 프로그램을 내려 받도록 하거나 이메일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빼내어 범죄에 악용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1. 보이스 피싱(Phishing)
  2. 위장사이트
  3. 피싱(Phishing)
  4. 가상현실
(정답률: 75%)
  • 문제에서 설명하는 행위는 개인정보와 낚시를 합성한 "피싱(Phishing)"이라는 용어로 불리며, 이는 정상 웹서버를 해킹하여 위장사이트를 만들어 놓고 네티즌들이 프로그램을 내려 받도록 하거나 이메일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빼내어 범죄에 악용하는 행위를 일컫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싱(Phish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산영어

11. This means the ownership on respective works. ( ) is on purpose to encourage authors to open his creative product to the public continuously and to make an environment suitable to creative activities. The piratical IP information and the trespass of software are representative cases in the invasion of ( ).

  1. deadlock
  2. copyright
  3. BLog
  4. operating system
(정답률: 51%)
  • 이 문장에서는 "ownership on respective works"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이는 저작권(copyright)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는 저작자가 창작물을 계속해서 대중에게 공개하고 창의적인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침해와 같은 경우도 저작권 침해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 ) is the short for Web log. A ( ) is a Web page that serves as a publicly accessible personal journal for an individual. Typically updated daily, ( )s often reflect the personality of the author.

  1. Virus
  2. EDI
  3. BLog
  4. RAM
(정답률: 75%)
  • 문장에서 "Web log"의 줄임말이 무엇인지 묻고 있으며, "Web page that serves as a publicly accessible personal journal for an individual"이라는 설명과 "updated daily"와 "reflect the personality of the author"라는 특징을 고려할 때, 이에 해당하는 용어는 "BLo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 ) is the initial of 'Structured Query Language', and is the standard language of relational databases that constructing databases or table conveniently. ( ) is a non-procedural programming language, and its one command can process data independently. The data necessary to database can be added, updated or deleted by using ( ), as well as retrieval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database security and data continuity can be safely maintained

  1. DML
  2. DDL
  3. DCL
  4. SQL
(정답률: 73%)
  • SQL is the correct answer because it is the standard language used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relational databases. It allows for easy addition, updating, and retrieval of data, as well as ensuring database security and data continuity. DML, DDL, and DCL are all related to SQL, but they are not the same as SQL itself.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 ) is temporary data storage space that hardware or priority order that speed difference is shared by processes of other program. ( ) does data so that each device or process is not stagnant and can act well by function that do temporary storage.

  1. CDMA
  2. RAM
  3. buffer
  4. register
(정답률: 44%)
  • 이 문장에서는 "temporary data storage space"와 "temporary storage"라는 단어가 나오며, 이는 buffer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또한 "shared by processes of other program"이라는 문장에서도 buffer가 다른 프로세스와 공유될 수 있다는 특징이 언급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buff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 ) is the clash between to processes requiring resources, or the situation wherein two or more competing processes are waiting for the other to finish, and thus neither ever does. The result is that both processes hang. A situation that two or more processes are unable to proceed because each is waiting for the device in use by other program.

  1. ERP
  2. deadlock
  3. operating system
  4. virus
(정답률: 59%)
  • 보기에서 설명하는 상황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경쟁하며 자원을 요구하고, 서로가 끝나기를 기다리다가 결국 어느 쪽도 진행하지 못하고 멈춰버리는 상황을 뜻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deadlock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eadlo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