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24)

PC정비사 1급
(2004-10-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운영체제

1. 도스에서 압축 해제를 할 때 올바른 명령은?

  1. PKZIP a
  2. LHA -a
  3. PKUNZIP
  4. ARJ c
(정답률: 알수없음)
  • 올바른 압축 해제 명령은 "PKUNZIP"입니다. 이는 PKWARE에서 개발한 ZIP 파일 형식을 해제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PKZIP은 ZIP 파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PKUNZIP은 ZIP 파일을 해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PKUNZIP은 DOS에서 ZIP 파일을 해제하기 위한 올바른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XP 제어판의 시스템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사운드카드와 조이스틱 인터럽트 제어
  2.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치 및 변경
  3. 하드웨어 인터럽트와 입출력 범위 설정
  4. 가상메모리, HDD 최적화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치 및 변경"은 시스템 설정이 아닌 네트워크 설정에 해당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Windows XP 제어판의 시스템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니다. 다른 항목들은 모두 시스템 설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리눅스 명령을 이용하여 ICQA 파일을 ICQA1 파일로 하드링크 형식으로 복사하기 위한 명령은?

  1. cp -a ICQA ICQA1
  2. cp -P ICQA ICQA1
  3. cp -I ICQA ICQA1
  4. cp -f ICQA ICQA1
(정답률: 70%)
  • 정답은 "cp -a ICQA ICQA1"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cp: 파일 복사 명령어
    - -a: 아카이브 모드.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타임스탬프 등을 보존하면서 복사한다.
    - ICQA: 복사할 원본 파일 이름
    - ICQA1: 복사한 파일 이름

    따라서, "cp -a ICQA ICQA1" 명령어는 ICQA 파일을 ICQA1 파일로 하드링크 형식으로 복사하면서 원본 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타임스탬프 등을 보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FAT32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 95 OSR2와 Windows 98에서 지원되며, 하드디스크 2GB이상의 파티션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하나의 드라이브에 대해 최대 2³2개의 클러스터(cluster)를 가질 수 있다.
  3. Windows NT 계열에서는 파티션매직이라는 FAT32 변환기가 자체 내장되어 있다.
  4. 8 GB 이하의 볼륨에서 클러스트의 크기는 2 KB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Windows NT 계열에서는 파티션매직이라는 FAT32 변환기가 자체 내장되어 있다." 이다. Windows NT 계열에서는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만, 파티션매직이라는 변환기는 내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FAT32로 변환하려면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indows XP의 아래 레지스트리 값들 중에서 RFC2018에 정의된 Selective Acknowledgement를 활성화하는 것은?

  1. TcpWindowSize
  2. Tcp1323Option
  3. DefaultTTL
  4. SackOpt
(정답률: 알수없음)
  • RFC2018은 TCP의 Selective Acknowledgement (SACK) 옵션을 정의합니다.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 값 중 "SackOpt"를 설정해야 합니다. 다른 값들은 TCP의 다른 옵션들을 설정하는데 사용되지만, SACK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SackOpt"를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Windows XP에서 자신의 컴퓨터 배경 화면을 바꾸고자 할 때 제어판 항목 중에서 어느 아이콘을 설정해야하는가?

  1. 관리도구
  2. 새 하드웨어 추가
  3. 글꼴
  4. 디스플레이
(정답률: 80%)
  •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선택해야하는 이유는 배경화면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배경화면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 XP 제어판에는 다양한 아이콘들이 있다. 이들 아이콘들 중에서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할 경우에 드라이버를 찾아 수동으로 설치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 포함된 것은?

  1. 시스템
  2. 프로그램 추가/제거
  3.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4. 사용자 계정
(정답률: 알수없음)
  • "시스템" 아이콘은 하드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새로운 하드웨어를 추가할 때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하는 기능도 제공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아이콘들은 각각 프로그램 추가/제거,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XP로 설치 되어 있는 컴퓨터의 장치관리를 하려고 한다. 이에 해당하는 실행 파일은?

  1. Dfrag.msc
  2. Devmgmt.msc
  3. Msconfig
  4. Rsop.msc
(정답률: 50%)
  • 정답은 "Devmgmt.msc"입니다. 이는 "Device Manager"를 실행하는 파일명으로, Windows XP에서 장치 관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디스크 조각 모음,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그룹 정책 결과 집합 및 로그를 보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XP 기본 화면 구성 중에서 기존의 Windows 9x 버전에서의 시스템 트레이에 해당하는 영역은?

  1. 알림영역
  2. 작업표시줄
  3. 도구모음줄
  4. 빠른실행
(정답률: 알수없음)
  • 알림영역은 시스템 트레이라고도 불리며,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위치하는 영역입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연결 상태, 볼륨 조절, 시간 등이 표시됩니다. 이전 버전의 Windows에서는 시스템 트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Windows XP부터는 알림영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추가하려고 한다. 이 때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클라이언트
  2. 서비스
  3. 어댑터
  4. 프로토콜
(정답률: 알수없음)
  • 네트워크 구성요소 중에서 "어댑터"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네트워크 카드나 무선랜 카드와 같은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인 "클라이언트", "서비스", "프로토콜"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Linux에서 모든 파일의 목록과 자세한 사항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한 명령은?

  1. ls -alc
  2. ls -als
  3. ls -alr
  4. ls -alf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s -alr"입니다.

    - "ls -alc": 모든 파일의 목록을 보여주고, 자세한 정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숨김 파일도 포함합니다. 하지만 파일 크기를 기준으로 정렬하지 않습니다.
    - "ls -als": 모든 파일의 목록을 보여주고, 자세한 정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숨김 파일도 포함합니다. 파일 크기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 "ls -alr": 모든 파일의 목록을 보여주고, 자세한 정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숨김 파일도 포함합니다. 파일 이름을 역순으로 정렬합니다.
    - "ls -alf": 모든 파일의 목록을 보여주고, 자세한 정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숨김 파일도 포함합니다. 파일 이름을 정렬합니다.

    따라서, 모든 파일의 목록과 자세한 정보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ls -alr"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 )에 적당한 용어는?

  1. OLE
  2. DLL
  3. INI
  4. PCX
(정답률: 59%)
  • 위 그림은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에 대한 설명이다. OLE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객체를 현재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하거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OLE을 사용하여 다른 문서나 그림을 현재 문서에 삽입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서로 연결하여, 같은 제어 프로그램 하에 같은 기억장치로 둘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은?

  1. 다중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2. 다중프로세싱(Multi-Processing)
  3. 실시간처리(Real Time Processing)
  4. 일괄처리(Batch Processing)
(정답률: 70%)
  • 다중프로세싱은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같은 제어 프로그램 하에 같은 기억장치로 둘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함께 일을 처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버전 중에서 Windows X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1. 6.0
  2. 6.5
  3. 7.0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Windows XP는 2001년에 출시되었고, 그 당시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6.0 버전이 기본적으로 제공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6.5, 7.0, 7.5 버전은 Windows XP 이후에 출시된 버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터넷상의 원격지 서버와 직접 접속한 후 마치 자신의 컴퓨터처럼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1. Telnet
  2. Hyperterminal
  3. Archie
  4. Gopher
(정답률: 60%)
  • Telnet은 인터넷상의 원격지 서버와 직접 접속하여 마치 자신의 컴퓨터처럼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일 관리와는 관련이 없는 프로그램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주변기기

16. CPU가 사용하는 클럭을 이용하여 자료 전송을 하는 방법은?

  1. DMA
  2. PIO MODE
  3. USB
  4. AGP
(정답률: 알수없음)
  • PIO MODE는 CPU가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CPU가 사용하는 클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 방식은 DMA보다는 느리지만, 간단하고 저렴하며 호환성이 좋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하드디스크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은?(단, 어워드 바이오스 기준)

  1. Standard CMOS Setup
  2. BIOS Features Setup
  3. Chipset Features Setup
  4. PNP/PCI Configur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하드디스크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BIOS에서 Standard CMOS Setup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항목에서는 하드디스크의 용량, 타입, 섹터 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이 하드디스크의 타입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USB
  2. PS/2
  3. SERIAL
  4. IEEE 1394
(정답률: 알수없음)
  • IEEE 1394는 일반적으로 "FireWire" 또는 "i.LINK"라고도 불리며, 주로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됩니다. 마우스와 같은 일반적인 주변 장치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3.5인치와 5.25인치, 8인치의 세 종류가 있다.
  2. 초당 100~200KB의 전송 속도를 가진다.
  3. 3.5인치 드라이버의 경우 720KB와 1.44MB 종류가 있다.
  4. 보조 기억 장치이다.
(정답률: 40%)
  • "초당 100~200KB의 전송 속도를 가진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송 속도는 더 낮은 수준이다. 이유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가 사용하는 기술이 오래되어서이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드디스크의 저장방식이 아닌 것은?

  1. NRZ(Non Return to Zero)
  2.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
  3.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
  4. RLL(Run Length Limited)
(정답률: 알수없음)
  •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은 하드디스크의 저장방식이 아니라, 하드디스크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따라서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가 정답이다. NRZ(Non Return to Zero),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 RLL(Run Length Limited)은 모두 하드디스크의 저장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열전사 방식을 사용하는 프린터로서 조그만 거품을 만들어 그 힘으로 잉크를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프린터는?

  1. 도트 프린터
  2. 레이저 프린터
  3. 버블젯 프린터
  4. 가열 잉크젯 프린터
(정답률: 50%)
  • 버블젯 프린터는 열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잉크를 분사하는데, 작은 거품을 만들어 그 힘으로 잉크를 분사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선명한 출력이 가능하며, 인쇄 속도도 빠르고 비용도 저렴하다. 따라서 조그만 거품을 만들어 잉크를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프린터는 버블젯 프린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캐너가 사용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시리얼 Port 방식
  2. SCSI I/O방식(전용 카드 방식)
  3. COM Port 방식
  4. USB Port 방식
(정답률: 40%)
  • COM Port 방식은 스캐너가 아닌 프린터와 같은 다른 장치에서 사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스캐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COM Port 방식은 시리얼 포트 방식과 유사하지만, 전송 속도가 느리고 연결 가능한 장치 수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현대의 스캐너는 USB Port 방식이나 SCSI I/O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운드 카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오디오 부분을 담당하는 사운드 카드들은 ISA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2. 사운드 카드를 새로 설치할 경우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브, CPU 등과 가능한 멀리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음질 향상에 좋다.
  3. 사운드 카드에 달려 있는 사운드 폰트용 ROM 또는 RAM은 미디 음악을 연주할 때 원래 악기의 음색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4. 새로운 사운드 카드를 구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풍부한 미디 음원 지원 여부, 게임 및 멀티미디어 타이틀을 지원하기 위한 3D 사운드 기능 지원여부, 전화와 화상회의를 위한 완전 이중 방식 오디오 지원 여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스템의 오디오 부분을 담당하는 사운드 카드들은 ISA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는 PCI 또는 PCI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ISA 방식은 오래된 기술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롬(ROM)
  2. 플래시롬(Flash ROM)
  3.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4. 마스크 롬(Mask ROM)
(정답률: 93%)
  • 이 그림은 컴퓨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캐시 메모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캐시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RAM)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미리 저장해 놓는 곳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CPU가 데이터나 명령어를 가져오는 속도를 높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의 보기 중 정답은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특정 컴퓨터 부품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에 해당하는 부품은?

  1. CD-롬 드라이브
  2. 하드디스크
  3.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4. CD-RW
(정답률: 60%)
  • 이 부품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용량이 크고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것으로 보아 하드디스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D-ROM의 전송속도가 느린 직접적인 이유는?

  1. 데이터의 기록방법이 등선속도방식이므로
  2. CD-ROM의 회전속도가 느리므로
  3. ATAP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4. 반사되는 빛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인식하므로
(정답률: 30%)
  • CD-ROM의 데이터 기록 방식이 등선속도 방식이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느립니다. 등선속도 방식은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기록 간격이 줄어들어 전송속도가 느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펜티엄4(프레스캇) CPU의 L2 캐시 메모리의 용량은 얼마인가?

  1. 64KB
  2. 128KB
  3. 512KB
  4. 1024KB
(정답률: 알수없음)
  • 펜티엄4(프레스캇) CPU의 L2 캐시 메모리 용량은 1024KB이다. 이는 인텔이 이전의 펜티엄3에서 사용하던 256KB 또는 512KB보다 큰 용량을 적용하여 CPU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었다. 이로 인해 프레스캇은 더 빠른 데이터 처리와 높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는 15핀을 사용한다. 다음중 핀의 번호와 사용 용도가 잘못된 것은?

  1. 1, 2, 3 - R, G, B 선
  2. 6, 7, 8 - 접지
  3. 4, 5, 9 - 핀 없음
  4. 13, 14 - 수평, 수직동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4, 5, 9 - 핀 없음" 이다.

    15핀 커넥터는 VGA 커넥터로도 알려져 있으며,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1, 2, 3 핀은 빨강, 초록, 파랑(RGB) 선으로, 모니터에 색상 정보를 전달한다.

    6, 7, 8 핀은 접지(GND)로, 전기적 안정성을 위해 사용된다.

    13, 14 핀은 수평, 수직동기(HSYNC, VSYNC)로, 모니터에 화면을 동기화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4, 5, 9 핀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 핀은 예전에는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필요하지 않아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컴퓨터의 입력장치와 연결장치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키보드 → 키보드커넥터, PS/2포트, USB포트
  2. 마우스 → 시리얼포트, PS/2포트, USB포트
  3. 프린터 → 시리얼포트, PS/2포트, USB포트
  4. MIDI → 게임포트, USB포트
(정답률: 알수없음)
  • 프린터는 키보드와 마우스와 달리 입력장치가 아니라 출력장치이기 때문에, 연결장치로 시리얼포트, PS/2포트, USB포트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프린터 → 시리얼포트, PS/2포트, USB포트"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DVD-ROM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비디오, 오디오, 컴퓨터 데이터를 포괄하는 새로운 저장매체
  2. '16:9' 와이드 화면을 수용하며, 음향은 5.1 채널이 지원
  3. MPEG 4에 따라 부호화하여 저장
  4. 보통 4.7GB에서 최대 17GB까지 저장 가능
(정답률: 알수없음)
  • MPEG 4는 비디오 압축 기술 중 하나로, DVD-ROM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압축하여 저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MPEG 4에 따라 부호화하여 저장"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지털 논리회로

31. 디지털 집적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TTL은 디지털 집적회로 중의 하나이다.
  2. C-MOS는 디지털 집적회로 중의 하나이다.
  3. C-MOS는 N형 트랜지스터를 서로 조합해 제작된 집적회로이다.
  4. 디지털 집적회로는 반도체 구조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C-MOS는 N형 트랜지스터를 서로 조합해 제작된 집적회로이다."이다. C-MOS는 N형과 P형 트랜지스터를 조합해 제작된 집적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없는 회로는?

  1. 레지스터
  2. 카운터
  3. RAM
  4. 전가산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전가산기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로, 입력된 두 비트와 이전 단계에서의 자리올림수를 고려하여 결과를 출력합니다. 이러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게이트가 복잡하게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플립플롭으로만 구성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가산기는 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없는 회로 중 하나입니다. 반면, 레지스터, 카운터, RAM은 플립플롭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1. 패리티비트
  2. 보수
  3. 3초과
  4. 8421코드
(정답률: 67%)
  • 패리티비트는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에 포함된 0과 1의 개수를 세어 짝수 개수가 되도록 1 또는 0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오류 검출을 수행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통신 수단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패리티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순서 논리회로의 구성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조합 논리회로를 포함한다.
  2. 입력 신호와 레지스터의 상태에 따라서 출력이 결정된다.
  3. 이 회로의 한 예로 카운터를 들 수 있다.
  4. 기억소자가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억소자가 필요 없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순서 논리회로는 이전의 입력 신호나 레지스터의 상태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전의 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기억소자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카운터는 현재 카운트 값이 어떤지를 기억하기 위해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기억소자가 필요하지 않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A' · B을 간단히 정리한 것은?

  1. B
  2. A + B
  3. A · B'
  4. A · B
(정답률: 47%)
  • A+A'는 항상 1이 되므로, A+A'·B은 B와 같습니다. 따라서, A+A'·B은 A+B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유지보수

36. 현재 시스템은 Award Bios의 CMOS를 이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절전 기능에 대하여 설정하는 곳은?

  1. Standard CMOS Setup
  2. Power Management Setup
  3. PNP AND PCI Setup
  4. BIOS Features Setup
(정답률: 알수없음)
  • "Power Management Setup"은 시스템의 절전 기능을 설정하는 곳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다른 설정들을 담당하고 있지만, "Power Management Setup"은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고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에서 절전 기능을 설정하려면 "Power Management Setup"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용 음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악을 들으려 하는데 스피커에서는 아무 소리도 나지 않지만 해당 음악 프로그램은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가 오류이다.
  2. 그래픽 카드에 문제가 있다.
  3. Windows의 볼륨 조절 기능에서 소리 출력을 없앴다.
  4. 스피커의 볼륨을 최대한 작게 설정했다.
(정답률: 100%)
  • 스피커에서 아무 소리도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스피커나 사운드 카드의 문제가 아니라 그래픽 카드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픽 카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화면 출력도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래픽 카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SCSI 방식의 HDD로 부팅을 시도하려는데 부팅이 되지 않는다. 다음 중 어떤 작업이 우선되어야 하는가?

  1. 메인보드 BIOS에서 부팅순서를 SCSI로 가장 먼저 설정했는지 체크한다.
  2. 메인보드에 이상이 있는지 체크한다.
  3. SCSI방식의 HDD에 부트섹터 오류인지를 체크한다.
  4. 연결케이블이 단락되었는지 체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CSI 방식의 HDD로 부팅을 시도하려면 메인보드 BIOS에서 부팅순서를 SCSI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할 것은 메인보드 BIOS에서 부팅순서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부팅이 되지 않는 원인일 수 있지만, 우선적으로 체크해야 할 것은 부팅순서 설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원인은?

  1. 하드디스크 점퍼설정이 Slave로 되어있다.
  2. 하드디스크 점퍼설정이 Master로 되어있다.
  3. 하드디스크 점퍼설정이 Cable로 되어있다.
  4. 하드디스크 케이블이 잘못 연결되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드디스크 케이블이 잘못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하드디스크와 마더보드 사이의 연결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불량한 케이블을 사용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아서 CMOS setup에서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연결을 다시 확인하고 교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쇄속도가 느려지거나 프린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의 해결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CMOS Setup에서 패러럴 포트의 설정을 바꿔본다.
  2. 프린터 장치 드라이버를 새로운 것으로 바꿔본다.
  3. 하드디스크 공간이 부족한지 확인한다.
  4. 인쇄 작업을 취소한 후, 다시 인쇄 작업을 시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 작업을 취소한 후, 다시 인쇄 작업을 시작하는 것은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들은 문제가 발생한 원인이 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확인하고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더 필요하다. 하지만 인쇄 작업을 취소하고 다시 시작하면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먼저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를 사용하는 도중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문제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내용이 쌓이기 때문이다.
  2. Windows에서 사용하는 DLL과 드라이버 파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4. 디스크 캐시와 가상 메모리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스크 캐시와 가상 메모리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성능이 저하되면 시스템 전체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디스크 캐시는 자주 사용되는 파일을 빠르게 로드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이며, 가상 메모리는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를 일종의 확장 메모리로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들의 성능이 저하되면 파일 로딩이 느려지고,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느려지며,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좋은 프린터를 선정하고자 할 때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

  1. 해상도
  2. 메모리
  3. 출력 속도
  4. 프린터 포트
(정답률: 80%)
  • 프린터 포트는 프린터를 컴퓨터에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프린터는 USB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려 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린터 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MOS Setup의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1. 입출력 데이터의 처리 및 연산기능 수행
  2. 메인보드의 성능과 기능을 제어
  3. 컴퓨터의 시동(Booting)과 하드웨어를 제어
  4. 컴퓨터에 장착된 장치를 인식하고 관리
(정답률: 82%)
  • CMOS Setup은 BIOS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 중에서도 "입출력 데이터의 처리 및 연산기능 수행"은 CMOS Setup이 수행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CPU와 관련된 기능으로, CMOS Setup은 CPU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입출력 데이터의 처리 및 연산기능 수행"은 CMOS Setup의 기능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의 주변장치 연결 방식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다음 중 가장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연결 방식은?

  1. USB
  2. IEEE1394
  3. PS/2
  4. SCSI
(정답률: 70%)
  • 정답: IEEE1394

    이유: IEEE1394는 USB와 비교하여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데이터 전송 중에도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성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SCSI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가장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연결 방식은 IEEE13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MI(American Megatrends Inc)의 BIOS프로그램의 구성메뉴에 속하지 않는것은?

  1. POWER MANAGEMENT SETUP
  2. STANDARD CMOS SETUP
  3. ADVANCED CHIPSET SETUP
  4. PnP/PCI CONFIGURATION SETUP
(정답률: 알수없음)
  • PnP/PCI CONFIGURATION SETUP은 BIOS 프로그램의 구성 메뉴 중 하나가 아니라, PnP (Plug and Play) 및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장치의 구성을 설정하는 별도의 메뉴입니다. 다른 메뉴들은 시스템의 기본 설정, 고급 칩셋 설정, 전원 관리 설정 등과 같이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정하는 메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MMSYSTEM266 장치가 로드될 수 없습니다."와 같이 MMSYSTEM 장치 관련 에러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그래픽 관련 드라이버 파일이 손상되었다.
  2. 사운드 관련 드라이버 파일이 손상되었다.
  3. 모뎀 관련 드라이버 파일이 손상되었다.
  4. Windows의 DLL파일이 손상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MMSYSTEM은 Windows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MMSYSTEM 관련 에러가 발생한다면, 이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파일 중 하나가 손상되었거나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모뎀 관련 드라이버 파일이 손상되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스템이 C드라이브를 엑세스 할 수 있으나, C드라이브로 부팅은 되지 않는다. 그 원인 및 해결방법과 관계가 없는것은?

  1. 신형 BIOS의 경우 Boot 기기 순서를 정하는 항목에서 HDD0이 있는지 확인하고 없으면 HDD0으로 설정한다.
  2. FDISK에서 Active설정을 확인한다.
  3. 시스템 파일을 C드라이브로 전송한다.
  4. HDD의 파티션을 C, D드라이브 2개로 분할한다.
(정답률: 55%)
  • C드라이브로 부팅이 되지 않는 원인은 부트 섹터가 손상되었거나 부트 로더가 올바르게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트 섹터를 복구하거나 부트 로더를 다시 설치해야 한다. HDD의 파티션을 C, D드라이브 2개로 분할하는 것은 부팅과는 관계가 없는 작업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MOS SETUP 프로그램 중 "BIOS FEATURE SETUP"에서 설정하는 내용이 잘못된 것은?

  1. 바이러스 경고 여부
  2. CPU내부 캐쉬 사용 여부
  3. 사용자 암호 설정
  4. 초당 키보드의 입력속도 설정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 암호 설정은 CMOS SETUP 프로그램에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운영체제에서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이다. 다른 항목들은 CMOS SETUP 프로그램에서 설정하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로그램을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제어판이 프로그램 추가/제거 기능을 이용한다.
  2.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언인스톨 기능을 이용한다.
  3. 탐색기에서 프로그램 폴더를 찾아 삭제한다.
  4. 클린스윕과 같은 설치/제거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색기에서 프로그램 폴더를 찾아 삭제하는 것은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만 삭제하고, 프로그램이 사용한 레지스트리 항목이나 다른 파일들은 삭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서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운드카드에 대한 일반적인 고장원인에 따른 처방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사운드 카드에 미디 키보드를 연결한 후 시스템이 다운된 경우-메인 메모리를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한다.
  2. Windows를 설치하는 도중에 사운드 카드를 찾지 못하는 경우-주변기기와의 충돌을 확인하여 문제를 수정한 후 새 하드웨어 추가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3. 오디오 CD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Windows를 재설치 한다.
  4. 사운드 카드를 장착 후 모니터 화면이 떨리는 경우-CD-ROM DRIVE의 전원을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Windows를 설치하는 도중에 사운드 카드를 찾지 못하는 경우-주변기기와의 충돌을 확인하여 문제를 수정한 후 새 하드웨어 추가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 이유: 사운드 카드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주변기기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을 확인하고 수정한 후 새 하드웨어 추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운드 카드의 인식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PC네트워크

51. 브리지(Bridge)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LAN과 LAN을 연결한다.
  2. 프로토콜이 다른 LAN을 확장시 사용한다.
  3. Data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내부와 외부간 LAN의 정보량과 트래픽 양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한다.
(정답률: 24%)
  • "프로토콜이 다른 LAN을 확장시 사용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브리지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N을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데이터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내부와 외부간 LAN의 정보량과 트래픽 양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네트워크의 관리 및 네트워크의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 관리하는 프로토콜은?

  1. SMTP
  2. SNMP
  3. SIP
  4. SD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NMP"입니다.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경고를 보내어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 및 감시에 필수적인 프로토콜입니다.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IP는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DP는 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의 약자로, 이들은 이메일이나 음성 통화 등과 관련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IP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32 비트 주소체계를 갖는 IPv4의 주소 부족으로 IPv6가 등장했다.
  2. IPv4에서는 Flow Labeling 기능과 인증,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3. IPv6에서는 Next Header가 있어서 확장된 헤더를 가리키도록 하고 있다.
  4. IPv6에서는 Checksum과 TTL 등과 같은 헤더가 제거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IPv4에서는 Flow Labeling 기능과 인증, 프라이버시를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패킷 스위칭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패킷은 통신회선과 패킷스위치를 통해 전달된다.
  2. store-and-forward 전송방식을 이용한다.
  3. 링크에 도착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필요없다.
  4. 패킷스위칭은 일반적으로 통계적 다중화(Statistical Multiplexing)을 이용한다.
(정답률: 54%)
  • "링크에 도착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필요없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패킷 스위칭 기법에서는 store-and-forward 전송방식을 이용하며, 이 방식은 패킷이 목적지로 전송되기 전에 모든 패킷이 일시적으로 버퍼에 저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링크에 도착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웹브라우저에서 'XXX 라는 URL을 가진 서버의 위치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 메시지가 나왔을 때 이 에러를 일으킨 원인과 점검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주소 입력 상자에 입력한 URL의 철자가 올바른지 확인한다.
  2. 접속하려는 곳의 서버가 어떤 문제가 다운됐거나, 인터넷 접속 서비스 업체의 네트워크상의 문제이므로 나중에 다시 접속을 시도해 본다.
  3.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프록시 서버를 설정한다.
  4. TCP/IP 설정에서 DNS 서버 주소가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에러는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프록시 서버는 인터넷에 접속할 때 중계 역할을 하는 서버로, 웹 브라우저가 직접 서버에 접속하지 않고 프록시 서버를 통해 접속합니다. 만약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지 않으면 웹 브라우저는 서버의 위치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에러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IP주소를 효과적으로 사용, 관리하기 위하여 32Bit로 이루어진 인터넷 주소를 8Bit씩 쪼개어서 각각을 A, B, C, D Class 등으로 관리하고 있다. 각 Class 당 포함되는 호스트의 수로 잘못된 것은?

  1. A Class : 0~126
  2. B Class : 128~191
  3. C Class : 192~223
  4. D Class : 224~254
(정답률: 알수없음)
  • D Class는 멀티캐스트 주소를 사용하기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호스트 주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호스트의 수를 나타내는 범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SNMP 프로토콜의 기본 3작동이 아닌 것은?

  1. GET : 관리자가 대리인에게 있는 객체의 값을 가져온다.
  2. SET : 관리자가 대리인에 있는 객체의 값을 변경한다.
  3. TRAP : 특정 상황 발생을 관리자에게 알린다.
  4. MIB : 관리자가 지정한 대리인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정답률: 50%)
  • MIB는 관리 정보 베이스로, SNMP 에이전트가 관리하는 객체들의 계층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MIB는 대리인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것이 아니라, SNMP 에이전트가 관리하는 객체들의 계층 구조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MIB가 SNMP 프로토콜의 기본 3작동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네트워크 장비는?

  1. 라우터
  2. 허브
  3. 스위치
  4. LAN
(정답률: 64%)
  • 주어진 그림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장비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면,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이 장비는 "허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라우터(Router)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 준다.
  2.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경로가 결정된다.
  3. 메시지 형식 변화, 문자코드 변환, 주소 변환 등의 기능을 한다.
  4.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터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경로를 결정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형식 변화, 문자코드 변환, 주소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메시지 형식 변화, 문자코드 변환, 주소 변환 등의 기능을 한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OSI 7계층의 구조를 순서대로 (하부구조부터)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네트워크→데이터 링크→물리→세션→표현 →응용→트랜스 포트
  2. 응용→표현→세션→물리→데이터 링크→트랜스 포트→네트워크
  3. 세션→표현→물리→응용→트랜스 포트→데이터 링크→네트워크
  4. 물리→데이터 링크→네트워크→트랜스 포트 →세션→표현→응용
(정답률: 알수없음)
  • OSI 7계층은 하부구조부터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트랜스 포트, 세션, 표현, 응용 순서로 나열됩니다. 이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하부에서 상위로 올라가며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음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되는 물리 계층이 가장 하위에 위치하고, 응용 계층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